KR20110122786A - 기록매체, 재생장치 및 집적회로 - Google Patents

기록매체, 재생장치 및 집적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2786A
KR20110122786A KR1020107016889A KR20107016889A KR20110122786A KR 20110122786 A KR20110122786 A KR 20110122786A KR 1020107016889 A KR1020107016889 A KR 1020107016889A KR 20107016889 A KR20107016889 A KR 20107016889A KR 20110122786 A KR20110122786 A KR 20110122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am
file
base view
view data
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6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이지 사사키
히로시 야하타
와타루 이케다
도모키 오가와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122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27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1251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for continuous data, e.g. digitised analog information signals, pulse code modulated [PCM]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61Encoding,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different image signal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72Processing image signals image signals comprising non-image signal components, e.g. headers or format information
    • H04N13/178Metadata, e.g. disparity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72Processing image signals image signals comprising non-image signal components, e.g. headers or format information
    • H04N13/183On-screen display [OSD] information, e.g. subtitle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89Recording image signals; Reproducing recorded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27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by decomposing into layers, e.g. base layer and one or more enhancement 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4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reading from or writing on a non-volatile solid state storage medium, e.g. DVD, CD-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 H04N21/4325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by playing back content from the storage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04N9/822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t least another television signa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91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serves a specific purpose
    • G11B2020/1294Increase of the access spe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1Blu-ray discs; Blue laser DVR dis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5Aspects relating to the "3D+depth" image form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기록매체는 베이스 뷰 스트림과 디펜던트 뷰 스트림을 포함한다. 베이스 뷰 스트림은 평면 시 영상의 재생에 이용된다. 디펜던트 뷰 스트림은 그 베이스 뷰 스트림과 조합되어서 입체 시 영상의 재생에 이용된다. 그 기록매체는 제 1 파일과 제 2 파일을 더 포함한다. 제 1 파일은 평면 시 영상의 재생시에 베이스 뷰 스트림을 참조한다. 제 2 파일은 입체 시 영상의 재생시에 베이스 뷰 스트림을 참조한다.

Description

기록매체, 재생장치 및 집적회로{RECORDING MEDIUM, PLAYBACK DEVICE, AND INTEGRATED CIRCUIT}
본 발명은 입체 시 영상, 즉 3차원(3D) 영상의 재생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록매체 상에서의 스트림 데이터의 파일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3D 영상에 대한 일반적인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예를 들어 유원지에서는 3D 영상을 이용한 어트랙션이 인기를 끌고 있다. 또, 전국 각지에서 3D 영상의 영화를 상영하는 영화관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3D 영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서 3D 영상을 각 가정에서도 재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 기술에서는 3D 영상 콘텐츠를 고화질의 상태로 광 디스크 등의 휴대형 기록매체에 기록할 것이 요구된다. 또, 2D 재생장치에 대한 그 기록매체의 호환성이 요구된다. 즉, 그 기록매체에 기록된 3D 영상 콘텐츠로부터 2D 재생장치는 2D 영상을 재생할 수 있고, 3D 재생장치는 3D 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2D 재생장치」는 평면 시 영상, 즉 2 차원(2D) 영상만을 재생할 수 있는 종래의 재생장치를 의미하고, 「3D 재생장치」는 3D 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재생장치를 의미한다. 단, 본 명세서에서는 3D 재생장치가 기존의 2D 영상도 재생할 수 있는 경우를 상정한다.
도 75는 3D 영상 콘텐츠가 기록된 광 디스크에 대하여 2D 재생장치에 대한 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광 디스크(6701)에는 두 종류의 비디오 스트림이 저장되어 있다. 일방은 2D/레프트 뷰 비디오 스트림이고, 타방은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이다. 「2D/레프트 뷰 비디오 스트림」은 3D 영상의 재생에서는 시청자의 왼쪽 눈에 보이는 2D 영상, 즉 「레프트 뷰」를 나타내고, 2D 영상의 재생에서는 그 2D 영상 자체를 나타낸다.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은 3D 영상의 재생에서 시청자의 오른쪽 눈에 보이는 2D 영상, 즉 「라이트 뷰」를 나타낸다. 좌우의 비디오 스트림 사이에서는 프레임 레이트는 동일하나, 프레임의 표시시기는 프레임 주기의 절반만큼 어긋나 있다. 예를 들어, 각 비디오 스트림의 프레임 레이트가 1초 동안에 24프레임일 때, 2D/레프트 뷰/비디오 스트림과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각 프레임이 1/48초마다 교호로 표시된다.
각 비디오 스트림은 도 75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광 디스크(6701) 상에서는 복수의 익스텐트 6702A-C, 6703A-C로 분할되어 있다. 각 익스텐트는 GOP(Group of Picture)를 1 이상 포함하며, 광 디스크 드라이브에 의해서 일괄해서 판독된다. 이하, 2D/레프트 뷰 비디오 스트림에 속하는 익스텐트를 「2D/레프트 뷰 익스텐트」라 하고,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에 속하는 익스텐트를 「라이트 뷰 익스텐트」라고 한다. 2D/레프트 뷰 익스텐트(6702A-C)와 라이트 뷰 익스텐트(6703A-C)는 교호로 광 디스크(6701)의 트랙(6701A)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인접하는 2개의 익스텐트 6702A-6703A, 6702B-6703B, 6702C-6703C의 사이에서는 재생시간이 동일하다. 이와 같은 익스텐트의 배치를 「인터리브 배치」라고 한다. 인터리브 배치로 기록된 익스텐트 군(群)은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3D 영상의 재생과 2D 영상의 재생의 양쪽에서 이용된다.
2D 재생장치(6704)에서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6704A)가 광 디스크(6701) 상의 익스텐트 중 2D/레프트 뷰 익스텐트(6702A-C)만을 선두에서부터 차례로 판독하는 한편, 라이트 뷰 익스텐트(6703A-C)의 판독을 스킵한다. 또, 영상 디코더(6704B)가 광 디스크 드라이브(6704A)에 의해서 판독된 익스텐트를 순차 영상 프레임(6706L)으로 복호한다. 이에 의해 표시장치(6707)에는 레프트 뷰만이 표시되므로 시청자에게는 통상의 2D 영상이 보인다.
3D 재생장치(6705)에서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6705A)가 광 디스크(6701)에서 2D/레프트 뷰 익스텐트와 라이트 뷰 익스텐트를 교호로, 부호로 나타내면 6702A, 6703A, 6702B, 6703B, 6702C, 6703C의 순서로 판독된다. 또, 판독된 각 익스텐트로부터 2D/레프트 뷰 비디오 스트림은 좌영상 디코더(6705L)에 보내지고,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은 우영상 디코더(6705R)에 보내진다. 각 영상 디코더(6705L, 6705R)는 교호로 각 비디오 스트림을 영상 프레임 6706L, 6706R로 복호한다. 이에 의해 표시장치(6708)에는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가 교호로 표시된다. 한편, 셔터안경(6709)은 좌우의 렌즈를 표시장치(6708)에 의한 화면의 전환에 동기하여 교호로 불투명하게 한다. 따라서, 셔터안경(6709)을 쓴 시청자에게는 표시장치(6708)에 표시된 영상이 3D 영상으로 보인다.
광 디스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록매체에 3D 영상 콘텐츠를 저장할 때에는 상기와 같이 익스텐트의 인터리브 배치를 이용한다. 이에 의해 그 기록매체를 2D 영상의 재생과 3D 영상의 재생의 양쪽에서 이용할 수 있다.
특허문헌 1:일본국 특허 제 3935507호 공보
광 디스크에는 이른바 2층 디스크와 같은 기록 층을 복수 포함하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은 광 디스크에서는 일련의 스트림 데이터가 2층에 걸쳐서 기록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단층 디스크에서도 일련의 스트림 데이터가 다른 데이터를 사이에 삽입하여 기록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픽업은 광 디스크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 중에 층의 전환에 수반하는 포커스 점프, 또는, 디스크의 반경 방향의 이동을 수반하는 트랙 점프를 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러한 점프는 일반적으로 시크 시간이 길기 때문에 「롱 점프」라 불린다. 롱 점프의 발생에 관계없이 영상을 심리스로 재생하려면 롱 점프의 직전에 판독되는 익스텐트의 사이즈를 충분히 크게 하고, 롱 점프 중에 영상 디코더 내의 버퍼가 언더 플로(underflow)를 일으키지 않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도록 해야한다.
도 75에 도시된 익스텐트의 인터리브 배치에 대해 상기의 조건을 2D 영상과 3D 영상의 양쪽 모두의 재생에 대해서 만족하려면 롱 점프의 직전에 액세스 되는 2D/레프트 뷰 익스텐트를 충분히 확대하면 좋다. 그러나 그 경우, 그 익스텐트와 재생시간이 동일한 라이트 뷰 익스텐트도 아울러 확대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 결과, 우영상 디코더(6705R) 내에 확보되어야 할 버퍼 용량은 상기의 조건을 만족하기에 충분한 용량보다도 더욱 크다. 이는, 3D 재생장치(6705) 내의 버퍼용량의 삭감 및 메모리의 이용 효율의 향상을 방해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우영상 디코더(6705R) 내에 확보되어야 할 버퍼 용량을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롱 점프의 직전 또는 직후에서 2D 영상의 재생경로와 3D 영상의 재생경로를 분리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의 재생경로」란 그 영상을 나타내는 비디오 스트림의 각 부와 그 재생순서 사이의 대응관계를 의미한다. 또, 「재생경로의 분리」란 비디오 스트림의 재생대상의 부분과 그 복제 데이터를 기록매체 상에 기록하여 각각을 다른 재생경로에 할당하는 것을 의미한다. 2D 영상의 재생경로와 3D 영상의 재생경로를 상기와 같이 분리한 때, 2D 영상의 재생시와 3D 영상의 재생시에서 롱 점프의 직전에 판독되어야 할 2D/레프트 뷰 익스텐트의 사이즈를 각각 별도로 설계할 수 있다. 따라서, 우영상 디코더(6705R) 내에 확보되어야 할 버퍼 용량을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한 채로 2D 영상의 재생시와 3D 영상의 재생시의 어느 것에서도 롱 점프 중에서의 각 영상 디코더(6705L, 6705R) 내의 버퍼·언더 플로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그 반면, 2D/레프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동일한 부분이 다른 익스텐트에 중복해서 저장된다. 따라서, 롱 점프의 전후에 판독되어야 할 익스텐트와 이에 저장되어야 할 비디오 스트림의 부분 간의 대응관계가 복잡해지게 된다. 그 결과, 이러한 익스텐트의 신속한 판독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파일구조는 자명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재생장치 내에 확보되어야 할 버퍼 용량을 더 삭감할 수 있도록 배치된 익스텐트 군을 포함하고, 또 재생장치에 각 익스텐트로의 신속한 액세스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파일구조를 갖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기록매체에는 평면 시 영상의 재생에 이용되는 베이스 뷰 스트림 및 그 베이스 뷰 스트림과 조합되어서 입체 시 영상의 재생에 이용되는 디펜던트 뷰 스트림이 기록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에 의한 기록매체에는 제 1 파일과 제 2 파일이 더 기록되어 있다. 제 1 파일은 평면 시 영상의 재생시에 베이스 뷰 스트림을 참조한다. 제 2 파일은 입체 시 영상의 재생시에 베이스 뷰 스트림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한 기록매체에서는 베이스 뷰 스트림은 복수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으로 분할되고, 디펜던트 뷰 스트림은 복수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으로 분할되어 있다. 이 기록매체 상에서는 이들 복수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과 복수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이 교호로 배치되어 있다. 이 기록매체에는 제 1 파일과 제 2 파일이 더 기록되어 있다. 제 1 파일은 평면 시 영상의 재생시에 복수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을 참조한다. 제 2 파일은 입체 시 영상의 재생시에 교호로 배치된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과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을 일련의 데이터로서 참조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의 기록매체에서는 평면 시 영상의 재생경로와 입체 시 영상의 재생경로 사이에서 공통되는 베이스 뷰 스트림의 부분이 2종류의 참조파일에 의해서 참조되어 있다. 이들 기록매체는 재생장치에 평면 시 영상의 재생시와 입체 시 영상의 재생시 사이에서 상기 2종류의 참조파일을 구별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그 결과, 이들 기록매체에서는 재생장치 내에 확보되어야 할 버퍼 용량을 더 삭감할 수 있도록 데이터블록 군으로부터 익스텐트 군을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재생장치에 각 익스텐트로의 신속한 액세스를 용이하게 실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의한 기록매체를 사용하는 홈시어터 시스템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BD-ROM 디스크(101) 상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모
식도이다.
도 3 (a)는 도 2에 도시된 하위 디렉터리의 파일 식별 기술자(241)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b)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하위 파일의 파일 식별 기술자(242)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하위 파일(#1223)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BD-ROM 디스크(101)의 볼륨영역(202B)에 저장된 데이터의 디렉터리/파일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 (a)는 도 2에 도시된 BD-ROM 디스크(101) 상의 메인 TS에 다중화된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b)는 도 2에 도시된 BD-ROM 디스크(101) 상의 제 1 서브 TS에 다중화된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700) 내의 각 엘리멘터리 스트림 701, 702, 703, 704에 속하는 TS 패킷의 배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 (a)는 도 7에 도시된 TS 패킷 열의 모식도이고, (b)는 도 8 (a)에 도시된TS 패킷 열로 구성된 소스 패킷 열의 모식도이다.
도 9는 도 6 (a)에 도시된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901)과 도 6 (b)에 도시된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902)의 픽처를 표시 시간순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도 6 (a)에 도시된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901)과 도 6 (c)에 도시된 깊이 맵 스트림(depth map stream)(1001)의 픽처를 표시 시간순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비디오 스트림(1100)의 데이터구조의 상세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PES 패킷 열(1202)로의 비디오 스트림(1201)의 저장 방법의 상세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3은 도 6 (a)에 도시된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1301)과, 도 6 (b) 또는 (c)에 도시된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1302)의 각 픽처에 할당된 PTS와 DTS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4 (a), (b)는 도 11에 도시된 보충 데이터(1111D)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5 (a), (b)는 도 6 (a)에 도시된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1501)과 도 6 (b) 또는 (c)에 도시된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1502)의 각 픽처에 할당된 복호 카운터(1510, 1520)의 두 개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6은 도 6 (a), (b), (c)에 도시된 메인 TS, 제 1 서브 TS 및 제 2 서브 TS의 각각 속하는 데이터블록 군의 BD-ROM 디스크(101) 상에서의 물리적인 배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7 (a)는 어느 BD-ROM 디스크 상에 개별로 연속해서 기록된 메인 TS(1701)와 서브 TS(1702)의 배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의한 BD-ROM 디스크(101) 상에 교호로 기록된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0], B[1], B[2], …와,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0], D[1], D[2], …의 배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8 (a)는 어느 BD-ROM 디스크 상에서 인접하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과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사이에 비디오 스트림의 재생시간이 다를 때의 재생경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의한 BD-ROM 디스크(101) 상에서 인접하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과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사이에서 비디오 스트림의 재생시간이 동일할 때의 재생경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9 (a), (b), (c), (d), (e)는 각각, 도 5에 도시된 파일 2D(01000.m2ts) (541), 제 1 파일 DEP(02000.m2ts)(542), 제 2 파일 DEP(03000.m2ts)(543), 제 1 파일 SS(01000.ssif)(544A), 제 2 파일 SS(02000.ssif)(544B)의 각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0은 도 16에 도시된 데이터블록 군에 대한 2D 재생모드에서의 재생경로(2001), L/R모드에서의 재생경로(2002) 및 깊이모드에서의 재생경로(2003)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의한 BD-ROM 디스크(101)의 층 경계의 전후에 기록된 데이터블록 군의 물리적인 배치의 제 1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데이터블록 군에 대한 2D 재생모드에서의 재생경로(2201)와 L/R모드에서의 재생경로(2202)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3은 어느 BD-ROM 디스크의 층 경계의 전후에 인터리브 배치로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블록 군과, 그에 대한 각 재생모드에서의 재생경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의한 BD-ROM 디스크(101)의 층 경계의 전후에 기록된 데이터블록 군의 물리적인 배치의 제 2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데이터블록 군에 대한 2D 재생모드에서의 재생경로(2501)와, L/R모드에서의 재생경로(2502)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의한 BD-ROM 디스크(101)의 층 경계의 전후에 기록된 데이터블록 군의 물리적인 배치의 제 3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7은 도 21에 도시된 데이터블록 군에 대한 2D 재생모드에서의 재생경로(2701)와 L/R모드에서의 재생경로(2702)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8 (a)는 도 21에 도시된 배치의 제 1 예에서 깊이 맵 데이터블록을 제거한 것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b)는 (a)에 도시된 데이터블록 군에 대한 2D 재생모드에서의 재생경로(2803)와 L/R모드에서의 재생경로(2804)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9는 PMT(2910)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0은 도 5에 도시된 2D 클립정보파일(01000.clpi)(531)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1 (a)는 도 30에 도시된 엔트리 맵(3030)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b)는 도 5에 도시된 파일 2D(541)에 속하는 소스 패킷 군(3110) 중 엔트리 맵(3030)에 의해서 각 EP_ID(3105)에 대응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2 (a)는 오프셋 테이블(3041)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b)는 오프셋 엔트리의 유효구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3 (a)는 도 30에 도시된 익스텐트 기점(3042)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b)는 도 5에 도시된 라이트 뷰 클립정보파일(02000.clpi)(532)에 포함되는 익스텐트 기점(3320)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c)는 L/R모드의 재생장치(102)에 의해서 제 1 파일 SS(01000.ssif)(544A)로부터 추출된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L1, L2, …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d)는 제 1 파일 DEP(02000.m2ts)(542)에 속하는 라이트 뷰 익스텐트 EXT2[0], EXT2[1], …와 익스텐트 기점(3320)이 나타내는 SPN(3322)간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e)는 제 1 파일 SS544A에 속하는 3D 익스텐트 EXTSS[0], EXTSS[1], …과 BD-ROM 디스크(101) 상의 데이터블록 군(3350)간의 대응관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의한 BD-ROM 디스크(101) 상에 기록된 3D 영상 콘텐츠를 포함한 데이터블록 군의 배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의한 BD-ROM 디스크(101)에서의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3510)과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3520)으로 설정된 엔트리 포인트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6은 도 5에 도시된 2D 플레이리스트 파일(00001.mpls)(521)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7은 도 36에 도시된 PI#N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8 (a), (b)는 각각, 도 37에 도시된 커넥션 컨디션(3704)이 「5」, 「6」일 때 접속대상의 두 개의 재생구간 3801, 3802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9는 도 36에 도시된 2D 플레이리스트 파일(00001.mpls)(521)이 나타내는 PTS와, 도 5에 도시된 파일 2D(01000.m2ts)(541)로부터 재생되는 부분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0은 도 5에 도시된 3D 플레이리스트 파일(00002.mpls)(522) 또는 (00003.mpls)(523)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1은 도 40에 도시된 STN 테이블 SS(4030)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2 (a), (b), (c)는 각각, 도 41에 도시된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스트림 등록정보 열(4112), PG 스트림의 스트림 등록정보 열(4113) 및 IG 스트림의 스트림 등록정보 열(4114)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3은 도 40에 도시된 3D 플레이리스트 파일(00002.mpls)(522)이 나타내는 PTS와, 도 5에 도시된 제 1 파일 SS(01000.ssif)에서 재생되는 부분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4는 도 5에 도시된 인덱스 파일(index.bdmv)(511) 내의 인덱스 테이블(4410)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5는 도 1에 도시된 재생장치(102)에 의해서 3D 영상의 타이틀이 선택된 때 행해지는 재생대상의 플레이리스트 파일의 선택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46은 도 1에 도시된 재생장치(102)의 2D 재생모드에서의 기능 블럭도이다.
도 47은 도 46에 도시된 플레이어 변수 기억부(4608) 내의 시스템 파라미터의 일람표이다.
도 48은 도 46에 도시된 시스템 타깃 디코더(4603)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49는 도 1에 도시된 재생장치(102)의 3D 재생모드에서의 기능 블럭도이다.
도 50은 도 49에 도시된 시스템 타깃 디코더(4903)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1은 도 49에 도시된 플레인 가산부(4910)의 기능 블럭도이다.
도 52 (a), (b)는 도 51에 도시된 제 2 크로핑 처리부(5132)에 의한 크로핑 처리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3 (a), (b), (c)는 각각, 도 52에 도시된 있는 크로핑 처리에 의해서 생성된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PG 플레인 및 그것들로부터 시청자에게 지각되는 3D 영상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4는 도 46에 도시된 2D 재생모드의 재생장치(102) 내의 재생처리계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5 (a)는 도 54에 도시된 재생처리계통에 의한 2D 익스텐트의 재생처리 중, 리드 버퍼(4602)에 축적되는 데이터량 DA의 변화를 그래프이며, (b)는 이들 2D 익스텐트를 포함한 3D 익스텐트 블록(5510)과 2D 재생모드에서의 재생경로(5520)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6은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의한 BD-ROM 디스크에 관한 점프거리 Sjump와 최대 점프시간 Tjump 사이의 대응 표의 일 예이다.
도 57은 도 49에 도시된 3D 재생모드의 재생장치(102) 내의 재생처리계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8 (a), (b)는 도 57에 도시된 재생처리계통에 의한 L/R 모드에서의 3D 익스텐트 블록의 재생처리 중, 각 리드 버퍼(4921, 4922)에 축적되는 데이터량 DA1, DA2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c)는 그 3D 익스텐트 블록(5810)과 L/R모드에서의 재생경로(5820)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9 (a), (b)는 도 57에 도시된 재생처리계통에 의한 깊이모드에서의 3D 익스텐트 블록의 재생처리 중, 각 리드 버퍼(4921, 4922)에 축적되는 데이터량 DA1, DA2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c)는 그 3D 익스텐트 블록(5910)과 깊이모드에서의 재생경로(5920)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0은 도 57에 도시된 재생처리계통에 의한 L/R모드에서의 재생처리 중에 발생하는 롱 점프(JLY), JBDJ1, JBDJ2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1 (a), (b)는 도 57에 도시된 재생처리계통에 의해서 확대된 최소 익스텐트 사이즈 이상의 사이즈를 갖는 데이터블록 군으로 이루어지는 3D 익스텐트 블록이 판독될 때의 각 리드 버퍼(4921, 4922)의 축적 데이터량 DA1, DA2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c)는 그 3D 익스텐트 블록(6110)과 L/R모드에서의 재생경로(6120)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2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의한 BD-ROM 디스크 상에서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만을 포함한 인터리브 배치의 데이터블록 군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b)는 그 BD-ROM 디스크 상에서 다른 파일에 속하는 익스텐트를 포함하는 인터리브 배치의 데이터블록 군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3은 본 발명의 실시 예 2에 의한 기록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64 (a),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 2에 의한 기록장치에서 3D 영상의 한 신의 표시에 이용되는 좌영상 픽처와 우영상 픽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c)는 비디오 인코더(6301)에 의해서 그러한 픽처로부터 산출된 깊이정보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5는 본 발명의 실시 예 3에 의한 집적회로(3)의 기능 블럭도이다.
도 66은 도 65에 도시된 스트림 처리부(5)의 대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럭도이다.
도 67은 도 66에 도시된 전환부(53)가 DMAC일 때의 주변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8은 도 65에 도시된 AV 출력부(8)의 대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69는 도 68에 도시된 AV 출력부(8)을 포함한 재생장치(102)의 데이터 출력에 관한 부분의 상세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0은 도 65에 도시된 집적회로(3) 내의 제어버스 및 데이터 버스의 토폴로지(topology)의 예 (a), (b)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1은 도 65에 도시된 집적회로(3)를 이용한 재생장치(102)에 의한 재생처리의 플로차트(flow chart)이다.
도 72는 도 71에 도시된 각 스텝 S1-5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73 (a) (c)는 시차 영상을 이용하는 방법에 의한 3D 영상의 재생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74는 2D 영상(6601)과 깊이 맵(6602)의 조합으로부터 레프트 뷰(6603L)와 라이트 뷰(6603R)를 구성하는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5는 3D 영상 콘텐츠가 기록된 광 디스크에 대하여 2D 재생장치에 대한 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기록매체 및 재생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 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의한 기록매체를 사용하는 홈시어터 시스템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 홈시어터 시스템은 시차 영상을 이용한 3D 영상(입체 시 영상)의 재생방식을 채용하고, 특히 표시방식으로 계시 분리방식을 채용하고 있다(상세는 <보충> 참조). 도 1을 참조하면, 이 홈시어터 시스템은 기록매체(101)를 재생대상으로 하고, 재생장치(102), 표시장치(103), 셔터안경(104) 및 리모컨(105)을 포함한다.
기록매체(101)는 판독전용 블루레이 디스크(등록상표)(BD:Blu-ray Disc), 즉 BD-ROM 디스크이다. 기록매체(101)는 그 외의 휴대형 기록매체, 예를 들어 DVD 등의 다른 방식에 의한 광 디스크, 리무버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SD 메모리 카드 등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라도 좋다. 그 기록매체, 즉 BD-ROM 디스크(101)는 3D 영상에 의한 영화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다. 이 콘텐츠는 그 3D 영상의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각각을 나타내는 비디오 스트림을 포함한다. 그 콘텐츠는 3D 영상의 깊이 맵(depth map)을 나타내는 비디오 스트림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들 비디오 스트림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데이터블록 단위로 BD-ROM 디스크(101) 상에 배치되고, 후술하는 파일구조를 이용해서 액세스 된다. 레프트 뷰 또는 라이트 뷰를 나타내는 비디오 스트림은 2D 재생장치와 3D재생장치의 각각에 의해 그 콘텐츠를 2D 영상으로 재생하는데 이용된다. 한편,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각각을 나타내는 비디오 스트림의 쌍 또는 레프트 뷰 또는 라이트 뷰의 어느 하나와 깊이 맵의 각각을 나타내는 비디오 스트림의 쌍은 3D 재생장치에 의해 그 콘텐츠를 3D 영상으로 재생하는데 이용된다.
재생장치(102)는 BD-ROM 드라이브(121)를 탑재하고 있다. BD-ROM 드라이브 (121)는 BD-ROM 방식에 준거한 광 디스크 드라이브이다. 재생장치(102)는 BD-ROM 드라이브(121)를 이용하여 BD-ROM 디스크(101)로부터 콘텐츠를 판독한다. 재생장치(102)는 그 콘텐츠를 영상데이터/음성 데이터로 복호한다. 여기서, 재생장치(102)는 3D 재생장치이고, 그 콘텐츠를 2D 영상과 3D 영상의 어느 것으로도 재생이 가능하다. 이하, 2D 영상과 3D 영상의 각각을 재생할 때의 재생장치(102)의 동작모드를 「2D 재생모드」, 「3D 재생모드」라고 한다. 2D 재생모드에서는 영상데이터는 레프트 뷰 또는 라이트 뷰의 어느 한쪽의 영상 프레임을 포함한다. 3D 재생모드에서는 영상데이터는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양쪽의 영상 프레임을 포함한다.
3D 재생모드는 레프트/라이트(L/R) 모드와 깊이모드로 나눌 수 있다. 「L/R모드」에서는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각각을 나타내는 비디오 스트림의 조합으로부터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영상 프레임의 쌍이 재생된다. 「깊이모드」에서는 레프트 뷰 또는 라이트 뷰의 어느 하나와 깊이 맵의 각각을 나타내는 비디오 스트림의 조합으로부터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영상 프레임의 쌍이 재생된다. 재생장치(102)는 L/R 모드를 구비한다. 재생장치(102)는 깊이모드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재생장치(102)는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케이블(122)로 표시장치(103)에 접속되어 있다. 재생장치(102)는 영상데이터/음성 데이터를 HDMI 방식의 영상신호/음성신호로 변환하고, HDMI 케이블(122)을 통해서 표시장치(103)에 전송한다. 2D 재생모드에서는 영상신호에는 레프트 뷰 또는 라이트 뷰 중 어느 하나의 영상 프레임이 다중화되어 있다. 3D 재생모드에서는 영상신호에는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양쪽의 영상 프레임이 시분할로 다중화되어 있다. 재생장치(102)는 HDMI 케이블(122)을 통해서 표시장치(103)와의 사이에서 CEC 메시지를 교환한다. 이에 의해 재생장치(102)는 3D 영상의 재생에 대응 가능한가 여부를 표시장치(103)에 문의할 수 있다.
표시장치(103)는 액정 디스플레이이다. 표시장치(103)는 그 외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및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 다른 방식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또는 프로젝터라도 좋다. 표시장치(103)는 영상신호에 따라서 화면(131) 상에 영상을 표시하고, 음성신호에 따라서 내장된 스피커에서 음성을 발생시킨다. 표시장치(103)는 3D 영상의 재생에 대응 가능하다. 2D 영상의 재생시, 화면(131) 상에는 레프트 뷰 또는 라이트 뷰의 어느 일방이 표시된다. 3D 영상의 재생시 화면(131) 상에는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가 교호로 표시된다.
표시장치(103)는 좌우신호 송신부(132)를 포함한다. 좌우신호 송신부(132)는 좌우신호 LR을 적외선 또는 무선으로 셔터안경(104)에 송출한다. 좌우신호 LR은 현시점에서 화면(131)에 표시되는 영상이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 중 어느 것인지를 나타낸다. 3D 영상의 재생시에 표시장치(103)는 영상신호에 부수(付隨)하는 제어 신호에서 레프트 뷰 프레임과 라이트 뷰 프레임을 식별함으로써 프레임의 전환을 검지한다. 표시장치(103)는 좌우신호 송신부(132)에 검지된 프레임의 전환에 동기하여 좌우신호 LR를 전환시킨다.
셔터안경(104)은 2매의 액정표시패널 141L, 141R과 좌우신호 수신부(142)를 포함한다. 각 액정표시패널 141L, 141R은 좌우의 각 렌즈 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좌우신호 수신부(142)는 좌우신호 LR를 수신하고, 그 변화에 따라서 좌우의 액정표시패널 141L, 141R에 신호를 보낸다. 각 액정표시패널 141L, 141R은 그 신호에 따라서 광을 그 전체에서 동일하게 투과시키거나 또는 차단한다. 특히 좌우신호 LR이 레프트 뷰의 표시를 나타낼 때, 왼쪽 눈 측의 액정표시패널(141L)은 광을 투과시키고, 오른쪽 눈 측의 액정표시패널(141R)은 광을 차단한다. 좌우신호 LR이 라이트 뷰의 표시를 나타낼 때는 그 역이다. 이와 같이, 2매의 액정표시패널 141L, 141R은 프레임의 전환과 동기하여 교호로 빛을 투과시킨다. 그 결과, 시청자가 셔터안경(104)을 쓰고 화면(131)을 보았을 때, 레프트 뷰는 그 시청자의 왼쪽 눈에만 비치고, 라이트 뷰는 오른쪽 눈에만 비친다. 그때, 그 시청자에게는 각 눈에 비치는 영상 간의 차이가 동일한 입체적 물체에 대한 양 눈의 시차로 지각되므로 그 영상이 입체적으로 보인다.
 리모컨(105)은 조작부와 송신부를 포함한다. 조작부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한다. 각 버튼은 전원의 온 오프, 또는 BD-ROM 디스크(101)의 재생 개시 또는 정지 등, 재생장치(102) 또는 표시장치(103)의 각 기능에 대응시킬 수 있다. 조작부는 사용자에 의해 각 버튼이 눌러진 것을 검출하고, 그 버튼의 식별정보를 신호로 송신부에 전달한다. 송신부는 그 신호를 적외선 또는 무선에 의한 신호 IR로 변환하여 재생장치(102) 또는 표시장치(103)에 송출한다. 한편, 재생장치(102)와 표시장치(103)는 각각 그 신호 IR를 수신하고, 그 신호 IR이 나타내는 버튼을 특정하여 그 버튼에 대응된 기능을 실행한다. 이렇게 해서 사용자는 재생장치(102) 또는 표시장치(103)를 원격조작할 수 있다.
<BD-ROM 디스크 상의 데이터구조>
도 2는 BD-ROM 디스크(101) 상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BD-ROM 디스크(101) 상의 데이터 기록영역의 최 내주부(最內周部)에는 BCA(Burst Cutting Area)(201)가 설치되어 있다. BCA에 대해서는 BD-ROM 드라이브(121)에 의한 액세스만이 허가되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한 액세스는 금지된다. 이에 의해 BCA(201)는 저작권 보호기술에 이용된다. BCA(201)보다 외측의 데이터 기록영역에서는 내주에서 외주를 향해서 트랙이 나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2에는 트랙(202)이 모식적으로 횡 방향으로 연장되어서 묘사되어 있다. 그 좌측은 디스크(101)의 내주부를 나타내고, 우측은 외주부를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트랙(202)은 내주에서 순서대로 리드인 영역(202A), 볼륨영역(202B) 및 리드 아웃 영역(202C)을 포함한다. 리드인 영역(202A)은 BCA(201)의 바로 외주 측에 설치되어 있다. 리드인 영역(202A)은 볼륨영역(202B)에 기록된 데이터의 사이즈 및 물리 어드레스 등, BD-ROM 드라이브(121)에 의한 볼륨영역(202B)으로의 액세스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리드 아웃 영역(202C)은 데이터 기록영역의 최 외주부에 설치되고, 볼륨영역(202B)의 종단(終端)을 나타낸다. 볼륨영역(202B)은 영상 및 음성 등의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포함한다.
볼륨영역(202B)은 「섹터」라고 불리는 소 영역(202D)으로 분할되어 있다. 섹터의 사이즈는 공통이며, 예를 들어 2048 바이트이다. 각 섹터(202D)에는 볼륨영역(202B)의 선단에서부터 순서대로 일련번호가 할당되어 있다. 이 일련번호는 논리 블록번호(LBN)라 불리고, BD-ROM 디스크(101) 상의 논리어드레스에 이용된다. BD-ROM 디스크(101)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에서는 판독 원의 섹터의 LBN이 지정됨으로써 판독대상의 데이터가 특정된다. 이렇게 하여, 볼륨영역(202B)은 섹터 단위로 액세스가 가능하다. 또, BD-ROM 디스크(101) 상에서는 논리 어드레스가 물리어드레스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특히, LBN가 연속하고 있는 영역에서는 물리어드레스도 실질적으로 연속하고 있다. 따라서, BD-ROM 드라이브(121)는 LBN이 연속하고 있는 섹터에서 데이터를 그 광 픽업에 시크를 행하지 않고 연속해서 판독할 수 있다.
볼륨영역(202B)에 기록된 데이터는 소정의 파일시스템으로 관리된다. 그 파일시스템으로는 UDF(Universal Disc Format)가 채용되고 있다. 이 파일시스템은 그 외에 ISO9660이라도 좋다. 이 파일시스템에 따라서 볼륨영역(202B)에 기록된 데이터는 디렉터리/파일 형식으로 표현된다. 즉, 이들 데이터는 디렉터리 단위 또는 파일 단위로서 액세스 가능하다.
도 2에는 파일시스템으로 UDF가 이용된 때의 볼륨영역(202B)의 데이터구조가 나타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볼륨영역(202B)은 일반적으로 복수의 디렉터리(213-215), 파일 세트 기술자(211) 및 종단 기술자(212)의 각각이 기록된 영역을 포함한다. 각 「디렉터리」(213, 214, 215)는 동일한 디렉터리를 구성하는 데이터 군이다. 「파일 세트 기술자」(211)는 루트 디렉터리(213)의 파일 엔트리가 기록되어 있는 섹터의 LBN를 나타낸다. 「종단 기술자」(212)는 파일 세트 기술자(211)의 기록영역의 종단을 나타낸다.
각 디렉터리(213, 214, 215)는 공통의 데이터구조를 갖는다. 도 2에는 그 전형 예로 디렉터리 #1214의 데이터구조가 나타나 있다. 디렉터리 #1214는 파일 엔트리(221), 디렉터리 파일(222) 및 하위 파일 군(223-225)을 포함한다.
「파일 엔트리」(221)은 기술자 태그(231), ICB(Information Control Block)태그(232) 및 할당 기술자(allocation descriptor)(233)를 포함한다. 「기술자 태그」(231)는 그 기술자 태그를 포함한 데이터의 종류가 파일 엔트리임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기술자 태그의 값이“261”일 때 그 데이터의 종류는 파일 엔트리이다. 「ICB 태그」(232)는 그 파일 엔트리 자신의 속성정보를 나타낸다. 「할당 기술자」(233)는 디렉터리 #1214에 속하는 디렉터리 파일(222)이 기록된 섹터의 LBN를 나타낸다.
「디렉터리 파일」(222)은 하위 디렉터리의 파일 식별 기술자(241)와 하위 파일의 파일 식별 기술자(242)를 일반적으로 복수씩 포함한다. 도 3 (a)는 하위 디렉터리의 파일 식별 기술자(241)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하위 디렉터리의 파일 식별 기술자」(241)는 디렉터리 #1의 아래에 놓인 하위 디렉터리에 액세스하기 위한 정보이다. 도 3 (a)를 참조하면, 하위 디렉터리의 파일 식별 기술자(241)는 그 하위 디렉터리의 식별정보(311), 디렉터리 명의 길이(312), 파일 엔트리 어드레스(313) 및 디렉터리 명 그 자체(314)를 포함한다. 특히, 파일 엔트리 어드레스(313)는 그 하위 디렉터리의 파일 엔트리가 기록된 섹터의 LBN를 나타낸다. 도 3 (b)는 하위 파일의 파일 식별 기술자(242)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하위 파일의 파일 식별 기술자」(242)는 디렉터리 #1의 아래에 놓인 하위 파일에 액세스하기 위한 정보이다. 도 3 (b)를 참조하면, 하위 파일의 파일 식별 기술자(242)는 그 하위 파일의 식별정보(321), 파일 명의 길이(322), 파일 엔트리 어드레스(323) 및 파일명 그 자체(324)를 포함한다. 특히, 파일 엔트리 어드레스(323)는 그 하위 파일의 파일 엔트리가 기록된 섹터의 LBN를 나타낸다. 「하위 파일의 파일 엔트리」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하위 파일의 실체를 구성하는 데이터의 어드레스정보를 포함한다.
 도 2, 3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파일 세트 기술자(211)와 하위 디렉터리/파일의 파일 식별 기술자를 순서대로 거슬러 올라가면 볼륨영역(202B)에 기록된 임의의 디렉터리/파일의 파일 엔트리에 액세스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디렉터리 #1214 하위파일 #1223에 액세스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먼저, 파일 세트 기술자(211)로부터 루트 디렉터리(213)의 파일 엔트리가 특정되고, 그 파일 엔트리 내의 할당 기술자로부터 루트 디렉터리(213)의 디렉터리 파일이 특정된다. 다음에, 그 디렉터리 파일에서 디렉터리 #1214의 파일 식별 기술자가 검출되며, 그 중의 파일 엔트리 어드레스에서 디렉터리 #1214의 파일 엔트리(221)가 특정된다. 또, 그 파일 엔트리(221) 내의 할당 기술자(233)로부터 디렉터리 #1214의 디렉터리 파일(222)이 특정된다. 다음에, 그 디렉터리 파일(222) 중 하위 파일 #1의 파일 식별 기술자(242) 내의 파일 엔트리 어드레스(323)로부터 하위 파일 #1223의 파일 엔트리가 특정된다.
도 2에 도시된 하위 파일 군(223, 224, 225, …)은 공통의 데이터구조를 갖는다. 도 4는 그 공통의 데이터구조의 전형 예로, 하위 파일 #1223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하위 파일 #1223은 익스텐트(410-430)와 파일 엔트리(400)를 포함한다. 「익스텐트」(410, 420, 430, …)는 일반적으로 복수이며, 각각, 디스크 상의 논리 어드레스, 즉 LBN가 연속하고 있는 데이터 열이다. 익스텐트(410, 420, 430, …)의 전체가 하위 파일 #1223의 실체를 구성한다. 「파일 엔트리」(400)는 기술자 태그(401), ICB 태그(402) 및 할당 기술자(411-413)를 포함한다. 「기술자 태그」(401)는 그 기술자 태그(401)를 포함하는 데이터(400)의 종류가 파일 엔트리임을 나타낸다. 「ICB 태그」(402)는 그 파일 엔트리(400) 자신의 속성정보를 나타낸다. 「할당 기술자」(411, 412, 413, …)는 각 익스텐트(410, 420, 430, …)에 대하여 하나씩 설치되고, 볼륨영역(202B) 상에서의 각 익스텐트(410-430)의 배치, 구체적으로는 각 익스텐트의 사이즈와 그 선단의 LBN를 나타낸다. 그 외에, 복수의 할당 기술자가 나타내는 영역 간에서 LBN를 연속시킴으로써 이들 복수의 할당 기술자의 전체에서 하나의 익스텐트의 배치가 나타나도 좋다. 도 4에 점선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각 할당 기술자(411, 412, …)를 참조함으로써 각 익스텐트(410, 420, …)에 액세스할 수 있다. 그 외에 각 할당 기술자(411, …)의 상위 2비트는 그 할당 기술자가 나타내는 LBN의 섹터에 익스텐트(410, …)가 실제로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즉, 그 상위 2비트가 “0”일 때는 그 섹터에는 익스텐트가 할당이 완료되고, 또한 기록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며, “1”일 때는 그 섹터에 익스텐트가 할당이 완료되었으나 미기록임을 나타낸다.
UDF를 이용한 상기의 파일시스템과 마찬가지로, 볼륨영역(202B)에 대한 파일시스템에서는 일반적으로 볼륨영역(202B)에 기록된 각 파일이 복수의 익스텐트로 분할된 때, 상기의 할당 기술자와 같이 각 익스텐트의 배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볼륨영역(202B)에 아울러 기록된다. 그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각 익스텐트의 배치, 특히 그 논리어드레스를 알 수 있다.
≪BD-ROM 디스크 상의 디렉터리/파일구조≫
도 5는 BD-ROM 디스크(101)의 볼륨영역(202B)에 저장된 데이터의 디렉터리/파일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 디렉터리/파일구조에서는 루트(ROOT) 디렉터리(500)의 아래에 BD 무비(BDMV:BD Movie) 디렉터리(501)가 배치되어 있다. BDMV 디렉터리(501)의 아래에는 인덱스 파일(index.bdmv)(511)과 무비 오브젝트 파일(MovieObject.bdmv)(512)이 배치되어 있다.
인덱스 파일 511은 BD-ROM 디스크(101)에 기록된 콘텐츠의 전체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이다. 그 정보는 특히 그 콘텐츠를 재생장치(102)에 인식시키기 위한 정보 및 인덱스 테이블을 포함한다. 인덱스 테이블은 그 콘텐츠를 구성하는 타이틀과 재생장치(10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사이의 대응 표이다. 그 프로그램을 「오브젝트」라고 한다. 오브젝트의 종류에는 무비 오브젝트와 BDJ(BD Java (등록상표)) 오브젝트가 있다.
무비 오브젝트 파일(512)은 일반적으로 복수의 무비 오브젝트를 포함한다. 각 무비 오브젝트는 내비게이션 커멘드(navigation commands)의 열을 포함한다. 내비게이션 커멘드는 일반적인 DVD 플레이어에 의한 재생처리와 동일한 재생처리를 재생장치(102)에 실행시키기 위한 제어지령이다. 내비게이션 커멘드의 종류에는 예를 들어, 타이틀에 대응하는 플레이리스트 파일의 판독 명령, 플레이리스트 파일이 나타내는 AV 스트림 파일의 재생 명령 및 다른 타이틀로의 천이 명령이 있다. 내비게이션 커멘드는 인터프리터형 언어로 기술되고, 재생장치(102)에 내장된 인터프리터, 즉 잡 제어 프로그램(job control program)에 의해서 해독되며, 그 제어부에 원하는 잡을 실행시킨다. 내비게이션 커멘드는 오피코드(opcode)와 오퍼랜드(operand)로 이루어진다. 오피코드는 타이틀의 분기와 재생 및 연산 등 재생장치(102)에 실행시켜야 할 조작의 종류를 나타낸다. 오퍼랜드는 타이틀번호 등 그 조작대상의 식별정보를 나타낸다. 재생장치(102)의 제어부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각 무비 오브젝트를 호출하고, 그 무비 오브젝트에 포함되는 내비게이션 커멘드를 열의 순서로 실행한다. 이에 의해 재생장치(102)는 일반적인 DVD 플레이어와 마찬가지로, 먼저 표시장치(103)에 메뉴를 표시하고 사용자에게 커멘드를 선택하도록 한다. 재생장치(102)는 다음에 선택된 커멘드에 따라서 타이틀의 재생 개시/정지 및 다른 타이틀로의 전환 등 재생되는 영상의 진행을 동적으로 변화시킨다.
도 5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BDMV 디렉터리(501)의 아래에는 플레이리스트(PLAYLIST) 디렉터리(520), 클립 정보(CLIPINF) 디렉터리(530), 스트림(STREAM) 디렉터리(540), BD-J오브젝트(BDJO:BD Java Object) 디렉터리(550) 및 Java 아카이브(JAR:Java Archive) 디렉터리(560)가 배치되어 있다.
STREAM 디렉터리(540)의 아래에는 3종류의 AV 스트림 파일(01000.m2ts)(541), (02000.m2ts)(542), (03000.m2ts)(543) 및 입체 시 인터리브 파일(SSIF:Stereoscopic Interleaved File) 디렉터리(544)가 배치되어 있다. SSIF 디렉터리(544)의 아래에는 2종류의 AV 스트림 파일 (01000.ssif)(544A), (02000.ssif)(544B)가 배치되어 있다.
「AV 스트림 파일」은 BD-ROM 디스크(101) 상에 기록된 영상 콘텐츠의 실체 중 파일시스템이 정하는 파일 형식으로 종합된 것을 말한다. 여기서, 영상 콘텐츠의 실체는 일반적으로 영상·음성·자막 등을 나타내는 각종 스트림 데이터가 다중화된 스트림 데이터를 의미한다. 이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는 내장된 프라이머리 비디오 스트림의 종류에 따라서 메인 트랜스포트 스트림(TS)과 서브 TS로 대별된다. 「메인 TS」는 프라이머리 비디오 스트림으로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을 포함한다.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은 단독으로 재생 가능하고, 2D 영상을 나타낸다. 「서브 TS」는 프라이머리 비디오 스트림으로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을 포함한다.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은 그 재생에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을 필요로 하고, 그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과의 조합으로 3D 영상을 나타낸다.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종류에는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 레프트 뷰 비디오 스트림 및 깊이 맵 스트림이 있다.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은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이 나타내는 2D 영상이 L/R모드의 재생장치에 의해서 3D 영상의 레프트 뷰로 이용될 때 그 3D 영상의 라이트 뷰를 나타내는 비디오 스트림으로 이용된다. 「레프트 뷰 비디오 스트림」은 그 반대이다. 「깊이 맵 스트림」은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이 나타내는 2D 영상이 깊이모드의 재생장치에 의해서 가상적인 2D 화면에 대한 3D 영상의 투영으로 이용될 때 그 3D 영상의 깊이 맵을 나타내는 스트림 데이터로 이용된다.
AV 스트림 파일은 내장된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서 파일 2D, 파일 디펜던트(이하, 파일 DEP라고 한다) 및 인터리브 파일(이하, 파일 SS라고 한다.)의 3종류로 나눌 수 있다. 「파일 2D」는 2D 재생모드에서의 2D 영상의 재생에 이용되는 AV 스트림 파일이며, 메인 TS를 포함한다. 「파일 DEP」는 서브 TS를 포함한다. 「파일 SS」는 동일한 3D 영상을 나타내는 메인 TS와 서브 TS의 쌍을 포함한다. 파일 SS는 특히 그 메인 TS를 어느 하나의 파일 2D와 공유하고, 그 서브 TS를 어느 하나의 파일 DEP와 공유한다. 즉, BD-ROM 디스크(101)의 파일시스템에서는 메인 TS는 파일 SS와 파일 2D의 어느 것으로도 액세스 가능하고, 서브 TS는 파일 SS와 파일 DEP의 어느 것으로도 액세스 가능하다. 이와 같이, BD-ROM 디스크(101) 상에 기록된 일련의 데이터를 다른 파일에 공유시켜서, 어느 파일로도 액세스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파일의 크로스 링크(file cross-link)」라고 한다.
도 5에 나타낸 예에서는, 제 1 AV 스트림 파일(01000.m2ts)(541)은 파일 2D이고, 제 2 AV 스트림 파일(02000.m2ts)(542)과 제 3 AV 스트림 파일(03000.m2ts)(543)은 모두 파일 DEP이다. 이와 같이, 파일 2D와 파일 DEP는 STREAM 디렉터리(540)의 아래에 배치된다. 제 1 AV 스트림 파일, 즉 파일 2D(541)가 포함하는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은 3D 영상의 레프트 뷰를 나타낸다. 제 2 AV 스트림 파일, 즉 제 1 파일 DEP(542)가 포함하는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은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이다. 제 3 AV 스트림 파일, 즉 제 2 파일 DEP(543)가 포함하는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은 깊이 맵 스트림이다.
도 5에 나타낸 예에서는 제 4 AV 스트림 파일(01000.ssif)(544A)과 제 5 AV 스트림 파일(02000.ssif)(544B)은 모두 파일 SS이다. 이와 같이, 파일 SS는 SSIF 디렉터리(544)의 아래에 놓인다. 제 4 AV 스트림 파일, 즉 제 1 파일 SS(544A)는 파일 2D(541)와는 메인 TS, 특히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을 공유하고, 제 1 파일 DEP(542)는 서브 TS, 특히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을 공유한다. 제 5 AV 스트림 파일, 즉 제 2 파일 SS(544B)는 파일 2D(541)와는 메인 TS, 특히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을 공유하고, 제 2 파일 DEP(543)와는 서브 TS, 특히 깊이 맵 스트림을 공유한다.
CLIPINF 디렉터리(530)에는 3종류의 클립정보파일 (01000.clpi)(531), (02000.clpi)(532), (03000.clpi)(533)이 놓여져 있다. 「클립정보파일」은 AV 스트림 파일 중에서도 파일 2D와 파일 DEP에 일 대 일로 대응시킬 수 있고, 특히 각 파일의 엔트리 맵을 포함한다. 「엔트리 맵」은 파일 2D 또는 파일 DEP가 나타내는 각 신의 표시시간과 그 신이 기록된 각 파일 내의 어드레스 사이의 대응 표이다. 클립정보파일 중 파일 2D에 대응되어 있는 것을 「2D 클립정보파일」이라고 하고, 파일 DEP에 대응되어 있는 것을 「디펜던트 뷰 클립정보파일」이라고 한다. 또, 파일 DEP가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을 포함할 때, 대응하는 디펜던트 뷰 클립정보파일을 「라이트 뷰 클립정보파일」이라고 한다. 파일 DEP가 깊이 맵 스트림을 포함할 때, 대응하는 디펜던트 뷰 클립정보파일을 「깊이 맵 클립정보파일」이라고 한다. 도 5에 나타낸 예에서는 제 1 클립정보파일(01000.clpi)(531)은 2D 클립정보파일이며, 파일 2D(541)에 대응되어 있다. 제 2 클립정보파일(02000.clpi)(532)은 라이트 뷰 클립정보파일이며, 제 1 파일 DEP(542)에 대응되어 있다. 제 3 클립정보파일(03000.clpi)(533)은 깊이 맵 클립정보파일이며, 제 2 파일 DEP(543)에 대응되어 있다.
 PLAYLIST 디렉터리(520)에는 3종류의 플레이리스트 파일 (00001.mpls)(521), (00002.mpls)(522), (00003.mpls)(523)이 놓여져 있다. 「플레이리스트 파일」은 AV 스트림 파일의 재생경로, 즉 AV 스트림 파일의 재생대상인 부분과 그 재생순서를 규정한다. 플레이리스트 파일의 종류에는 2D 플레이리스트 파일과 3D 플레이리스트 파일이 있다. 「2D 플레이리스트 파일」은 파일 2D의 재생경로를 규정한다. 「3D 플레이리스트 파일」은 2D 재생모드의 재생장치에 대해서는 파일 2D의 재생경로를 규정하고, 3D 재생모드의 재생장치에 대해서는 파일 SS의 재생경로를 규정한다. 도 5에 나타낸 예에서는 제 1 플레이리스트 파일(00001.mpls)(521)은 2D 플레이리스트 파일이며, 파일 2D(541)의 재생경로를 규정한다. 제 2 플레이리스트 파일(00002.mpls)(522)은 3D 플레이리스트 파일이며, 2D 재생모드의 재생장치에 대해서는 파일 2D(541)의 재생경로를 규정하고, L/R모드의 재생장치에 대해서는 제 1 파일 SS(544A)의 재생경로를 규정한다. 제 3 플레이리스트 파일(00003.mpls)(523)은 3D 플레이리스트 파일이며, 2D 재생모드의 재생장치에 대해서는 파일 2D(541)의 재생경로를 규정하고, 깊이모드의 재생장치에 대해서는 제 2 파일 SS(544B)의 재생경로를 규정한다.
BDJO 디렉터리(550)에는 BDJ 오브젝트 파일(XXXXX.bdjo)(551)이 배치되어 있다. BD-J 오브젝트 파일(551)은 BD-J 오브젝트를 하나 포함한다. BD-J 오브젝트는 재생장치(102)에 실장된 Java 가상머신에 타이틀의 재생처리 및 그래픽스 영상의 렌더링(rendering)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바이트코드 프로그램이다. BD-J 오브젝트는 Java 언어 등의 컴파일러형 언어(compiler language)로 기술되어 있다. BD-J 오브젝트는 애플리케이션 관리테이블과 참조대상의 플레이리스트 파일의 식별정보를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 관리테이블은 Java 가상머신에 실행시켜야 할 Java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그 실행시기(라이프 싸이클(lifecycle))의 리스트이다. 참조대상의 플레이리스트 파일의 식별정보는 재생대상의 타이틀에 대응하는 플레이리스트 파일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Java 가상머신은 사용자의 조작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따라서 각 BDJ 오브젝트를 호출하고, 그 BD-J 오브젝트에 포함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테이블에 따라서 Java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이에 의해 재생장치(102)는 재생되는 각 타이틀의 영상의 진행을 동적으로 변화시키거나, 또는 표시장치(103)에 그래픽스 영상을 타이틀의 영상과는 독립적으로 표시시킨다.
JAR 디렉터리(560)에는 JAR 파일(YYYYY.jar)(561)이 배치되어 있다. JAR 파일(561)은 BD-J 오브젝트가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 관리테이블에 따라서 실행되어야 할 Java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본체를 일반적으로 복수 포함한다. Java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BD-J 오브젝트와 마찬가지로 Java 언어 등의 컴파일러형 언어로 기술된 바이트코드 프로그램이다. Java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종류에는 Java 가상머신에 타이틀의 재생처리를 실행시키는 것 및 Java 가상머신에 그래픽스 영상의 렌더링 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이 포함된다. JAR 파일(561)은 Java 아카이브 파일(archive file)이며, 재생장치(102)에 판독된 때 그 내부의 메모리에서 전개된다. 이에 의해 그 메모리 안에 Java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의 구조≫
도 6 (a)는 BD-ROM 디스크(101) 상의 메인 TS에 다중화된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메인 TS는 MPEG 2 트랜스포트 스트림(TS) 형식의 디지털 스트림이고, 도 5에 나타낸 파일 2D(541)에 포함된다. 도 6 (a)를 참조하면, 메인 TS는 프라이머리 비디오 스트림(601)과 프라이머리 오디오 스트림(602A, 602B)을 포함한다. 메인 TS는 그 외에 프레젠테이션 그래픽스(PG) 스트림(603A, 603B), 인터랙티브 그래픽스(IG) 스트림(604), 세컨더리 오디오 스트림(605) 및 세컨더리 비디오 스트림(606)을 포함해도 좋다.
프라이머리 비디오 스트림(601)은 영화의 주(主) 영상을 나타내고, 세컨더리 비디오 스트림(606)은 부(副) 영상을 나타낸다. 여기서, 주 영상이란 영화의 본편의 영상 등 콘텐츠의 주요한 영상을 의미하고, 예를 들어 화면 전체에 표시되는 것을 가리킨다. 한편, 부 영상이란 예를 들어 주 영상 안에 작은 화면으로 표시되는 영상과 같이, 픽처 인 픽처 방식을 이용해서 주 영상과 동시에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의미한다. 프라이머리 비디오 스트림(601)과 세컨더리 비디오 스트림(606)은 모두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이다. 각 비디오 스트림(601, 606)은 MPEG-2, MPEG-4 AVC, 또는 SMPTE VC-1 등의 동화상 압축 부호화방식으로 부호화되어 있다.
프라이머리 오디오 스트림(602A, 602B)은 영화의 주 음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두 개의 프라이머리 오디오 스트림(602A, 602B) 사이에서는 언어가 다르다. 세컨더리 오디오 스트림(605)은 그 주 음성과 믹싱되어야 할 부 음성을 나타낸다. 각 오디오 스트림(602A, 602B, 605)은 AC-3, 돌비 디지털 플러스(Dolby Digital Plus:「돌비 디지털」은 등록상표), MLP(Meridian Lossless Packing:등록상표), DTS(Digital Theater System:등록상표), DTS-HD, 또는 리니어 PCM(Pulse Code Modulation) 등의 방식으로 부호화되어 있다.
각 PG 스트림(603A, 603B)은 그래픽스에 의한 자막 등 프라이머리 비디오 스트림(601)이 나타내는 영상에 중첩해서 표시되어야 할 그래픽스 영상을 나타낸다. 두 개의 PG 스트림(603A, 603B) 사이에서는 예를 들어 자막의 언어가 다르다. IG 스트림(604)은 표시장치(103)의 화면(131) 상에 대화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그래픽스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용의 그래픽스 부품 및 그 배치를 나타낸다.
엘리멘터리 스트림(601-606)은 패킷 식별자(PID)에 의해서 식별된다. PID의 할당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하나의 메인 TS는 프라이머리 비디오 스트림을 한 개만 포함하므로 프라이머리 비디오 스트림(601)에는 16진수 값 0x1011이 할당된다. 하나의 메인 TS에 다른 엘리멘터리 스트림이 종류별로 최대 32개까지 다중화가 가능할 때, 프라이머리 오디오 스트림(602A, 602B)에는 0x1100에서 0x111F까지 중 어느 하나가 할당된다. PG 스트림(603A, 603B)에는 0x1200에서 0x121F까지 중 어느 하나가 할당된다. IG 스트림(604)에는 0x1400에서 0x141F까지 중 어느 하나가 할당된다. 세컨더리 오디오 스트림(605)에는 0x1A00에서 0x1A1F까지 중 어느 하나가 할당된다. 세컨더리 비디오 스트림(606)에는 0x1B00에서 0x1B1F까지 중 어느 하나가 할당된다.
도 6 (b)는 BD-ROM 디스크(101) 상의 제 1 서브 TS에 다중화된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제 1 서브 TS는 MPEG-2 TS형식의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이고, 도 5에 도시된 제 1 파일 DEP(542)에 포함된다. 도 6 (b)를 참조하면, 제 1 서브 TS는 프라이머리 비디오 스트림(611)을 포함한다. 제 1 서브 TS는 그 외에도 레프트 뷰 PG 스트림(612A, 612B), 라이트 뷰 PG 스트림(613A, 613B), 레프트 뷰 IG 스트림(614), 라이트 뷰 IG 스트림(615) 및 세컨더리 비디오 스트림(616)을 포함해도 좋다. 프라이머리 비디오 스트림(611)은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이며, 메인 TS 내의 프라이머리 비디오 스트림(601)이 3D 영상의 레프트 뷰를 나타낼 때 그 3D 영상의 라이트 뷰를 나타낸다.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PG 스트림의 쌍 612A+613A, 612B+613B는 자막 등의 그래픽스 영상을 3D 영상으로 표시할 경우에 그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쌍을 나타낸다.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IG 스트림의 쌍(614, 615)은 대화화면의 그래픽스 영상을 3D 영상으로 표시할 경우에 그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쌍을 나타낸다. 세컨더리 비디오 스트림(616)은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이며, 메인 TS 내의 세컨더리 비디오 스트림(606)이 3D 영상의 레프트 뷰를 나타낼 때 그 3D 영상의 라이트 뷰를 나타낸다.
엘리멘터리 스트림(611-616)에 대한 PID의 할당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프라이머리 비디오 스트림(611)에는 0x1012가 할당된다. 하나의 서브 TS에 다른 엘리멘터리 스트림이 종류별로 최대 32개까지 다중화가 가능할 때, 레프트 뷰 PG 스트림(612A, 612B)에는 0x1220에서 0x123F까지 중 어느 하나가 할당되고, 라이트 뷰 PG 스트림(613A, 613B)에는 0x1240에서 0x125F까지 중 어느 하나가 할당된다. 레프트 뷰 IG 스트림(614)에는 0x1420에서 0x143F까지 중 어느 하나가 할당되고, 라이트 뷰 IG 스트림(615)에는 0x1440에서 0x145F까지 중 어느 하나가 할당된다. 세컨더리 비디오 스트림(616)에는 0x1B20에서 0x1B3F까지 중 어느 하나가 할당된다.
도 6 (c)는 BD-ROM 디스크(101) 상의 제 2 서브 TS에 다중화된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제 2 서브 TS는 MPEG-2 TS형식의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이며, 도 5에 도시된 제 2 파일 DEP(543)에 포함된다. 도 6 (c)를 참조하면, 제 2 서브 TS는 프라이머리 비디오 스트림(621)을 포함한다. 제 2 서브 TS는 그 외에도 깊이 맵 PG 스트림(623A, 623B), 깊이 맵 IG 스트림(624) 및 세컨더리 비디오 스트림(626)을 포함해도 좋다. 프라이머리 비디오 스트림(621)은 깊이 맵 스트림이며, 메인 TS 내의 프라이머리 비디오 스트림(601)과의 조합으로 3D 영상을 나타낸다. 깊이 맵 PG 스트림(623A, 623B)은 메인 TS 내의 PG 스트림(623A, 623B)이 나타내는 2D 영상이 가상적인 2D 화면에의 3D 영상의 투영으로 이용될 때 그 3D 영상의 깊이 맵을 나타내는 PG 스트림으로 이용된다. 깊이 맵 IG 스트림(624)은 메인 TS 내의 IG 스트림(604)이 나타내는 2D 영상이 가상적인 2D 화면에의 3D 영상의 투영으로 이용될 때 그 3D 영상의 깊이 맵을 나타내는 IG 스트림으로 이용된다. 세컨더리 비디오 스트림(626)은 깊이 맵 스트림이며, 메인 TS 내의 세컨더리 비디오 스트림(606)과의 조합으로 3D 영상을 나타낸다.
엘리멘터리 스트림(621-626)에 대한 PID의 할당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프라이머리 비디오 스트림(621)에는 0x1013가 할당된다. 하나의 서브 TS에 다른 엘리멘터리 스트림이 종류별로 최대 32개까지 다중화가 가능할 때, 깊이 맵 PG 스트림(623A, 623B)에는 0x1260에서 0x127F까지 중 어느 하나가 할당된다. 깊이 맵 IG 스트림(624)에는 0x1460에서 0x147F까지 중 어느 하나가 할당된다. 세컨더리 비디오 스트림(626)에는 0x1B40에서 0x1B5F까지 중 어느 하나가 할당된다.
도 7은 메인 TS(700) 내의 각 엘리멘터리 스트림(701, 702, 703, 704)에 속하는 TS 패킷의 배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먼저, 비디오 스트림(701)에서는 각 프레임(701A)이 하나의 PES(Packetized Elementarty Stream) 패킷(711)으로 변환된다. 다음에, 각 PES 패킷(711)이 일반적으로 복수의 TS 패킷(721)으로 변환된다. 마찬가지로 오디오 스트림(702), PG 스트림(703) 및 IG 스트림(704)은 각각 일단 PES 패킷(712, 713, 714)의 열로 변환된 후, TS 패킷(722, 723, 724)의 열로 변환된다. 마지막으로, 각 엘리멘터리 스트림(701, 702, 703, 704)에서 얻어진 TS 패킷(721, 722, 723, 724)이 한 개의 스트림 데이터, 즉 메인 TS(700)에 시분할로 다중화된다.
 도 8 (a)는 메인 TS를 구성하는 TS 패킷 열의 모식도이다. 도 8 (a)를 참조하면, 각 TS 패킷(801)은 188바이트 길이의 패킷이며, 4바이트 길이의 TS헤더(801H)와 184바이트 길이의 TS 페이로드(801P)를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PES 패킷(711-714)은 각각 일반적으로 복수의 부분으로 분할되고, 각 부분이 다른 TS 페이로드(801P)에 저장된다. 한편, TS헤더(801H)에는 동일한 TS 패킷(801)의 TS 페이로드(801P)에 저장된 데이터가 속하는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PID가 저장된다.
도 8 (b)는 메인 TS의 TS 패킷 열로 구성된 소스 패킷 열의 모식도이다. 도 8 (a)에 도시된 TS 패킷(801)이 BD-ROM 디스크(101)에 기록될 때, 도 8 (b)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그 TS 패킷(801)에는 4바이트 길이의 헤더(TP_Extra_Header)(802H)가 부여된다. 이 헤더(802H)와 TS 패킷(802P)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192바이트 길이의 패킷(802)을 「소스 패킷」이라고 한다. 소스 패킷(802)의 헤더(802H)는 ATS(Arrival_Time_Stamp)를 포함한다. 「ATS」는 소스 패킷(802)이 BD-ROM 디스크(101)에서 재생장치(102) 내의 시스템 타깃 디코더에 보내진 때, 그 소스 패킷(802) 중에서 TS 패킷(802P)이 추출되어 그 시스템 타깃 디코더 내의 PID 필터에 전송되기 시작해야 할 시각을 나타낸다. 또, 시스템 타깃 디코더 및 재생장치(102)에 의한 ATS의 이용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8 (c)는 일련의 소스 패킷(802)이 연속적으로 기록된 BD-ROM 디스크(101)의 볼륨영역(202B) 상의 섹터 군의 모식도이다. 도 8 (c)를 참조하면, 일련의 소스 패킷(802)은 32개씩 세 개의 연속하는 섹터 811, 812, 813에 기록되어 있다. 이는, 32개의 소스 패킷의 데이터량 192바이트×32=6144바이트가 세 개의 섹터의 합계 사이즈 2048바이트×3=6144바이트와 동일한 것에 의거한다. 이와 같이, 세 개의 연속하는 섹터 811, 812, 813에 기록된 32개의 소스 패킷(802)을 「얼라인드 유닛(Aligned Unit)」(820)이라고 한다. 재생장치(102)는 BD-ROM 디스크(101)에서 소스 패킷(802)을 얼라인드 유닛(820)별로, 즉 32개씩 판독한다. 또, 섹터 군 811, 812, 813, …은 선두에서부터 순서대로 32개씩으로 분할되며, 각각이 하나의 오류 정정부호(ECC) 블록(830)을 구성하고 있다. BD-ROM 드라이브(121)는 ECC 블록(830)마다 오류 정정 처리를 한다.
서브 TS도 도 7, 8에 도시된 메인 TS의 패킷 구조와 동일한 패킷 구조를 갖는다. 단, 서브 TS는 메인 TS와는 비디오 스트림의 데이터구조가 다르다.
≪비디오 스트림의 데이터구조≫
도 9는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901)과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902)의 픽처를 표시시간 순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901)은 픽처 910, 911, 912, …, 919를 포함하고,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902)은 픽처 920, 921, 922, …, 929를 포함한다. 각 픽처(910-919, 920-929)는 1 프레임 또는 1 필드를 나타내며, MPEG-2 또는 MPEG-4 AVC 등의 동화상 압축부호화방식에 의해서 압축되어 있다.
상기의 부호화방식에 의한 각 픽처의 압축에는 그 픽처의 공간방향 및 시간방향에서의 용장성(冗長性)이 이용된다. 여기서, 공간방향에서의 용장성만을 이용하는 픽처의 부호화를 「픽처 내 부호화」라고 한다. 한편, 시간방향에서의 용장성, 즉, 표시순서가 연속하는 복수의 픽처 간에서의 데이터의 근사성을 이용하는 픽처의 부호화를 「픽처 간 예측부호화」라고 한다. 픽처 간 예측부호화에서는, 먼저 부호화 대상의 픽처에 대하여 표시시간이 전 또는 후인 다른 픽처가 참조 픽처로 설정된다. 다음에, 부호화 대상의 픽처와 그 참조 픽처 사이에서 모션 벡터(motion vector)가 검출되고, 이를 이용하여 모션 보상(motion compensation)이 이루어진다. 또, 모션 보상 후의 픽처와 부호화 대상의 픽처 사이의 차분치(差分値)가 구해지고, 그 차분치로부터 공간방향에서의 용장성이 제거된다. 이렇게 하여 각 픽처의 데이터량이 압축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901)에 포함되는 픽처는 일반적으로 복수의 GOP(931, 932)로 분할되어 있다. 「GOP」는 I(Intra) 픽처를 선두로 하는 복수 매의 연속하는 픽처의 열을 말한다. 「I 픽처」는 픽처 내 부호화에 의해서 압축된 픽처를 말한다. GOP는 일반적으로 I 픽처 외에 P(Predictive) 픽처와 B(Bidirectionally Predivtive) 픽처를 포함한다. 「P 픽처」는 픽처 간 예측부호화에 의해서 압축된 픽처로, 표시시간이 그보다 전인 I 픽처 또는 다른 P 픽처 1매가 참조 픽처로 이용된 것을 말한다. 「B 픽처」는 픽처 간 예측부호화에 의해서 압축된 픽처로, 표시시간이 그보다 전 또는 후인 I 픽처 또는 P 픽처가 2매 참조 픽처로 이용된 것을 말한다. B 픽처 중 다른 픽처에 대한 픽처 간 예측부호화에서 참조 픽처로 이용되는 것을 특히 「Br(reference B) 픽처」라고 한다.
도 9에 나타나고 있는 예에서는 각 GOP(931, 932) 내의 픽처가 이하의 순으로 압축된다. 제 1 GOP(931)에서는, 먼저 선두의 픽처가 I0 픽처(910)로 압축된다.여기서, 아래 첨자의 숫자는 각 픽처에 표시시간 순으로 할당된 일련번호를 나타낸다. 다음에, 4번째의 픽처가 I0 픽처(910)를 참조 픽처로하여 P3 픽처(913)로 압축된다. 여기서, 도 9에 도시된 각 화살표는 선단(先端)의 픽처가 후단(後端)의 픽처에 대한 참조 픽처임을 나타낸다. 계속해서, 2, 3번째의 픽처가 I0 픽처(910)와 P3 픽처(913)를 참조 픽처로하여 각각, Br1 픽처(911), Br2 픽처(912)로 압축된다. 또, 7번째의 픽처가 P3 픽처(913)를 참조 픽처로하여 P6 픽처(916)로 압축된다. 계속해서, 4, 5번째의 픽처가 P3 픽처(913)와 P6 픽처(916)를 참조 픽처로하여 각각 Br4 픽처(914), Br5 픽처(915)로 압축된다. 마찬가지로 제 2 GOP(932)에서는 먼저 선두의 픽처가 I7 픽처(917)로 압축되고, 다음에 3번째의 픽처가 I7 픽처(917)를 참조 픽처로하여 P9 픽처(919)로 압축된다. 계속해서, 2번째의 픽처가 I7 픽처(917)로 P9 픽처(919)를 참조 픽처로하여 Br8 픽처(918)로 압축된다.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901)에서는 각 GOP(931, 932)가 그 선두에 I 픽처를 반드시 포함하므로 픽처는 GOP별로 복호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 1 GOP(931)에서는 먼저 I0 픽처(910)가 단독으로 복호된다. 다음에, 복호 후의 I0 픽처(910)를 이용해서 P3 픽처(913)가 복호된다. 계속해서, 복호 후의 I0 픽처(910)와 P3 픽처(913)를 이용해서 Br1 픽처(911)와 Br2 픽처(912)가 복호된다. 후속하는 픽처 군(914, 915, …)도 마찬가지로 복호된다. 이렇게 하여,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901)은 단독으로 복호 가능하고, 또 GOP 단위로의 랜덤 액세스가 가능하다.
도 9를 더 참조하면,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902) 내의 픽처(920-929)는 픽처 간 예측부호화로 압축되어 있다. 그러나, 그 부호화방법은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901) 내의 픽처(910-919)의 부호화방법과는 달리 영상의 시간방향에서의 용장성에 더하여 좌우의 영상 간의 용장성도 이용한다. 구체적으로는, 각 픽처(920-929)의 참조 픽처가 도 9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동일한 스트림(902)에서 뿐만이 아니라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901)으로부터도 선택된다. 특히,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902) 내의 각 픽처(920-929)와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901)에서 선택된 그 참조 픽처는 표시시각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들 픽처는 3D 영상의 동일한 신의 라이트 뷰와 레프트 뷰의 쌍, 즉 시차 영상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픽처(920-929)는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901)의 픽처(910-919)와 일 대 일로 대응한다. 특히,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902)은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901)과 마찬가지로 GOP 단위로 분할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낸 예에서는, 먼저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902) 내의 선두의 픽처가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901) 내의 I0 픽처(910)를 참조 픽처로하여 P0 픽처(920)로 압축된다. 여기서, 이들 픽처(910, 920)는 3D 영상의 선두 프레임의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를 나타낸다. 다음에, 4번째의 픽처가 P0 픽처(920)와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901) 내의 P3 픽처(913)를 참조 픽처로하여 P3 픽처(923)로 압축된다. 계속해서, 2번째의 픽처가 P0 픽처(920)와 P3 픽처(923)에 더하여,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901) 내의 Br1 픽처(911)를 참조 픽처로하여 B1 픽처(921)로 압축된다. 마찬가지로 3번째의 픽처가 P0 픽처(920)와 P3 픽처(930)에 더하여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901) 내의 Br2 픽처(912)를 참조 픽처로하여 B2 픽처(922)로 압축된다. 이후의 픽처(924-929)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그 픽처와 표시시각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901) 내의 픽처가 참조 픽처로 이용된다.
상기와 같은 좌우의 영상 간의 상관관계를 이용한 동화상 압축부호화방식으로는 MVC(Multiview Video Coding)라고 불리는 MPEG-4 AVC/H.264의 수정 규격이 알려져 있다. MVC는 ISO/IEC MPEG와 ITU-T VCEG와의 공동 프로젝트인 JVT(Joint Video Team)에 의해서 2008년 7월에 책정된 것이며, 복수의 시점에서 보이는 영상을 종합해서 부호화하기 위한 규격이다. MVC에서는 영상 간 예측부호화에 영상의 시간방향에서의 유사성뿐만이 아니라 시점이 다른 영상 간의 유사성도 이용된다. 그 예측부호화에서는 각 시점에서 본 영상을 개별로 압축하는 예측부호화보다 영상의 압축률이 높다.
상기와 같이,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902) 내의 각 픽처의 압축에는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901) 내의 각 픽처가 참조 픽처로 이용된다. 따라서,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901)과는 달리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902)을 단독으로 복호 할 수는 없다. 그러나, 시차 영상 간의 차이는 일반적으로 적으며, 즉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 사이의 상관은 높다. 따라서,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902) 내의 각 픽처는 일반적으로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901) 내의 각 픽처보다 압축률이 현저하게 높고, 즉 데이터량이 현저하게 작다.
도 10은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901)과 깊이 맵 스트림(1001)의 픽처를 표시시간 순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901)은 도 9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그 상세에 대한 설명은 도 9에 대한 설명을 원용한다. 한편, 깊이 맵 스트림(1001)은 깊이 맵(1010, 1011, 1012, …, 1019)을 포함한다. 깊이 맵(1010-1019)은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901)의 픽처(910-919)와 일 대 일로 대응하며, 각 픽처가 나타내는 1프레임 또는 1필드의 2D영상에 대한 깊이 맵을 나타낸다.
각 깊이 맵(1010-1019)은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901) 내의 각 픽처(910-919)와 마찬가지로 MPEG-2 또는 MPEG-4 AVC 등의 동화상 압축 부호화방식에 의해서 압축되어 있다. 특히 그 부호화방식에서는 픽처 간 예측부호화가 이용된다. 즉, 각 깊이 맵이 다른 깊이 맵을 참조 픽처로 이용해서 압축된다. 도 10에 나타낸 예에서는, 먼저 제 1 GOP(931)에 대응하는 깊이 맵 군의 선두가 I0 픽처(1010)로 압축된다. 여기서, 아래 첨자의 숫자는 각 픽처에 표시시간 순으로 할당된 일련번호를 나타낸다. 다음에, 4번째의 깊이 맵이 I0 픽처(1010)를 참조 픽처로하여 P3 픽처(1013)로 압축된다. 여기서, 도 10에 도시된 각 화살표는 선단의 픽처가 후단의 픽처에 대한 참조 픽처임을 나타낸다. 계속해서, 2, 3번째의 깊이 맵이 I0 픽처(1010)와 P3 픽처(1013)를 참조 픽처로하여 B1 픽처(1011), B2 픽처(1012)의 각각으로 압축된다. 또, 7번째의 깊이 맵이 P3 픽처(1013)를 참조 픽처로하여 P6 픽처(1016)로 압축된다. 계속해서, 4, 5번째의 깊이 맵이 P3 픽처(1013)와 P6 픽처(1016)를 참조 픽처로하여 B4 픽처(1014), B5 픽처(1015)의 각각으로 압축된다. 마찬가지로 제 2 GOP(932)에 대응하는 깊이 맵 군에서는, 먼저 선두의 깊이 맵이 I7 픽처(1017)로 압축되고, 다음에 3번째의 깊이 맵이 I7 픽처(1017)를 참조 픽처로하여 P9 픽처(1019)로 압축된다. 계속해서, 2번째의 깊이 맵이 I7 픽처(1017)와 P9 픽처(1019)를 참조 픽처로하여 B8 픽처(1018)로 압축된다.
깊이 맵 스트림(1001)은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901)과 마찬가지로 GOP 단위로 분할되고, 각 GOP가 그 선두에 I 픽처를 반드시 포함한다. 따라서, 깊이 맵은 GOP별로 복호 가능하다. 예를 들어, 먼저 I0 픽처(1010)가 단독으로 복호되고, 다음에 복호 후의 I0 픽처(1010)를 이용하여 P3 픽처(1013)가 복호된다. 계속해서, 복호 후의 I0 픽처(1010)와 P3 픽처(1013)를 이용하여 B1 픽처(1011)와 B2 픽처(1012)가 복호된다. 후속하는 픽처 군(1014, 1015, …)도 마찬가지로 복호된다. 이렇게 하여 깊이 맵 스트림(1001)은 단독으로 복호 가능하다. 그러나, 깊이 맵 자체는 2D 영상의 각부의 깊이를 화소별로 나타내는 정보에 지나지 않으므로, 깊이 맵 스트림(1001)을 단독으로 영상의 재생에 이용할 수는 없다.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902)과 깊이 맵 스트림(1001)은 동일한 부호화방식으로 압축된다. 예를 들어,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902)이 MVC의 포맷으로 부호화된 때 깊이 맵 스트림(1001)도 MVC의 포맷으로 부호화되어 있다. 이 경우, 재생장치(102)는 3D 영상의 재생시에 부호화방식을 일정하게 유지한 채로 L/R모드와 깊이모드의 전환을 원활하게 실현할 수 있다.
도 11은 비디오 스트림(1100)의 데이터구조의 상세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비디오 스트림(1100)은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901)이라도 좋고,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902, 1001)이어도 좋다. 도 11을 참조하면, 실제의 비디오 스트림(1100)을 구성하는 각 GOP(1110, 1120)에서는 도 9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GOP의 실체(930, 940)에 더하여, 헤더가 각 픽처(910, 911, 912, …)에 개별적으로 부여되어 있다. 이 헤더와 각 픽처의 실체와의 조합을 「비디오 액세스유닛(VAU)」이라고 한다. 즉, 각 GOP(1110, 1120)에서는 픽처 마다 1개의 VAU(1111, 1112, …)가 구성되어 있다. 각 픽처는 VAU 단위로 비디오 스트림(1100)으로부터 판독이 가능하다.
도 11을 더 참조하면, 각 GOP(1110, 1120)의 선두의 VAU(VAU #1)(1111)은 I0 픽처(910)의 실체와 헤더를 포함한다. I0 픽처(910)의 실체는 압축 픽처 데이터(1111E)에 저장되어 있다. 헤더는 액세스유닛(AU) 식별코드(1111A), 시퀀스 헤더(sequence header)(1111B), 픽처 헤더(1111C) 및 보충 데이터(1111D)를 포함한다. AU 식별코드(1111A)는 각 VAU의 선단을 나타내는 소정의 부호이다. 시퀀스 헤더(1111B)는 GOP 헤더라고도 하고, 그 GOP(1110)의 전체에서 공통되는 정보, 예를 들어, 해상도, 프레임 레이트, 어스펙트 비 및 비트 레이트를 포함한다. 픽처 헤더(1111C)는 부호화방식의 종류 등, I0 픽처(910)의 복호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보충 데이터(1111D)는 I0 픽처(910)의 복호 이외에 관한 부가적인 정보, 예를 들어, 클로즈드 캡션(closed caption)을 나타내는 문자정보 및 타임코드정보를 포함한다. 각 GOP(1110, 1120)의 두 번째 이후의 VAU는 헤더가 시퀀스 헤더(1111B)를 포함하지 않는 점을 제외하고는 VAU #1 (1111)과 구조가 동일하다. 예를 들어, VAU #2 (1112)는 P3 픽처(913)의 실체와 헤더를 포함한다. VAU(1111, 1112)의 각부의 구체적인 내용은 비디오 스트림(1100)의 부호화방식마다 다르다. 예를 들어, 그 부호화방식이 MPEG-4 AVC일 때, VAU(1111, 1112)는 복수의 NAL 유닛으로 구성된다. 그때, AU 식별코드(1111A), 시퀀스 헤더(1111B), 픽처 헤더(1111C), 보충 데이터(1111D) 및 압축 픽처 데이터(111E)는 각각 AU 딜리미터(Access Unit Delimiter), SPS(시퀀스 파라미터 세트), PPS(픽처 파라미터 세트), SEI(Supplemental Enhancement Information) 및 뷰 컴퍼넌트(view component)에 상당한다.
도 12는 PES 패킷 열(1202)에의 비디오 스트림(1201)의 저장방법의 상세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비디오 스트림(1201)은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901)이라도 좋고,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902, 1001)이라도 좋다. 도 12를 참조하면, 실제의 비디오 스트림(1201)에서는 픽처가 표시시간 순이 아니라 부호화 순으로 다중화되어 있다. 즉, 도 1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비디오 스트림(1201)을 구성하는 VAU에는 선두로부터 순서대로 I0 픽처(1210), P3 픽처(1211), B1 픽처(1212), B2 픽처(1213), …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아래 첨자의 숫자는 각 픽처에 표시시간 순으로 할당된 일련번호를 나타낸다. P3 픽처(1211)의 부호화에는 I0 픽처(1210)가 참조 픽처로 이용되고, B1 픽처(1212)와 B2 픽처(1213)의 각 부호화에는 I0 픽처(1210)와 P3 픽처 (1211)가 참조 픽처로 이용된다. 이들 VAU가 하나씩 다른 PES 패킷(1220, 1221, 1222, 1223, …)에 저장된다. 각 PES 패킷(1220)은 PES 페이로드(1220P)와 PES 헤더(1220H)를 포함한다. VAU는 PES 페이로드(1220P)에 저장된다. 한편, PES 헤더(1220H)는 동일한 PES 패킷(1220)의 PES 페이로드(1220P)에 저장된 픽처의 표시시각(PTS:Presentation Time-Stamp) 및 그 픽처의 복호시각(DTS:Decoding Time-Stamp)을 포함한다.
도 12에 도시된 비디오 스트림(1201)과 마찬가지로, 도 6에 도시된 다른 엘리멘터리 스트림도 일련의 PES 패킷의 각 PES 페이로드에 저장된다. 또, 각 PES 패킷의 PES 헤더는 그 PES 패킷의 PES 페이로드에 저장된 데이터의 PTS를 포함한다.
도 13 (a), (b)는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1301)과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1302)의 각각에 대하여 각 픽처에 할당된 PTS와 DTS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양 비디오 스트림(1301, 1302) 사이에서는 3D 영상의 동일한 프레임 또는 필드를 나타내는 한 쌍의 픽처에 대해서 동일한 PTS 및 동일한 DTS를 할당된다. 예를 들어 3D 영상의 선두의 프레임 또는 필드는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1301)의 I1 픽처(1311)와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1302)의 P1 픽처(1321)의 조합으로 재현된다. 따라서, 이들 픽처의 쌍(1311, 1321)에서는 PTS가 동일하고, 또한 DTS가 동일하다. 여기서, 아래 첨자의 숫자는 각 픽처에 DTS의 순으로 할당된 일련번호를 나타낸다. 또,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1302)이 깊이 맵 스트림일 때, P1 픽처(1321)는 I1 픽처(1311)에 대한 깊이 맵을 나타내는 I 픽처로 치환된다. 마찬가지로, 각 비디오 스트림(1301, 1302)의 2번째의 픽처, 즉, P2 픽처(1312, 1322)의 쌍에서는 PTS가 동일하고, 또한 DTS가 동일하다. 각 비디오 스트림(1301, 1302)의 3번째의 픽처, 즉 Br3 픽처(1313)와 B3 픽처(1323)의 쌍에서는 PTS와 DTS가 모두 공통이다. Br4 픽처(1314)와 B4 픽처(1324)의 쌍에서도 동일하다.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1301)과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1302) 사이에서 PTS가 동일하고 또한 DTS가 동일한 픽처를 포함하는 VAU의 쌍을 「3D VAU」라고 한다. 도 13에 도시된 PTS와 DTS의 할당에 의해 3D 재생모드의 재생장치(102) 내의 디코더에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1301)과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1302)을 3D VAU 단위로 병행해서(parallel) 처리시키기가 용이해진다. 이에 의해 3D 영상의 동일한 프레임 또는 필드를 나타내는 한 쌍의 픽처가 디코더에 의해서 확실하게 병행해서 처리된다. 또, 각 GOP의 선두의 3D VAU에서는 시퀀스 헤더가 동일한 해상도, 동일한 프레임 레이트 및 동일한 어스펙트 비를 포함한다. 특히, 이 프레임 레이트는 2D 재생모드에서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1301)이 단독으로 복호될 때의 값과 동일하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보충데이터(1111D)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보충데이터(111D)는 특히 MPEG-4 AVC에서는 NAL 유닛의 일종인“SEI”에 상당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보충 데이터(1111D)는 복호스위치정보(1401)를 포함한다. 복호스위치정보(1401)는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과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양쪽에서 각 VAU에 포함된다. 복호스위치정보(1401)는 재생장치(102) 내의 디코더에 다음에 복호할 VAU를 용이하게 특정시키기 위한 정보이다. 여기서, 그 디코더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과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을 VAU 단위로 교호로 복호한다. 이때, 이 디코더는 일반적으로 각 VAU에 부여된 DTS가 나타내는 시각에 맞춰서 다음에 복호할 VAU를 특정한다. 그러나, 디코더의 종류에는 DTS를 무시하고 VAU를 순차 계속해서 복호하는 것도 많다. 이와 같은 디코더에서 각 VAU가 DTS에 더하여 복호스위치정보(1401)를 포함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도 14를 참조하면, 복호스위치정보(1401)는 다음 액세스유닛 타입(1411), 다음 액세스유닛 사이즈(1412) 및 복호 카운터(1413)를 포함한다. 다음 액세스유닛 타입(1411)은 다음에 복호 되어야 할 VAU가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과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어느 것에 속하는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다음 액세스유닛 타입(1411)의 값이 「1」일 때는 다음에 복호 되어야 할 VAU는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에 속하고, 「2」일 때는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에 속한다. 다음 액세스유닛 타입(1411)의 값이 「0」일 때는 현재의 VAU가 복호 대상의 스트림의 후단에 위치하고, 다음에 복호 되어야 할 VAU가 존재하지 않는다. 다음 액세스유닛 사이즈(1412)는 다음에 복호 되어야 할 VAU의 사이즈를 나타낸다. 재생장치(102) 내의 디코더는 다음 액세스유닛 사이즈(1412)를 참조함으로써 VAU의 구조 자체를 해석하는 일 없이 그 사이즈를 특정할 수 있다. 따라서, 디코더는 버퍼에서 VAU를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다. 복호 카운터(1413)는 이것이 속하는 VAU가 복호 되어야 할 순서를 나타낸다. 그 순서는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 내의 I 픽처를 포함하는 VAU로부터 셀 수 있다.
도 15 (a)는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1501)과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1502)의 각 픽처에 할당된 복호 카운터의 일 예(1510, 1520)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5 (a)를 참조하면, 복호 카운터(1510, 1520)는 양 비디오 스트림(1501, 1502) 사이에서 교호로 증가한다. 예를 들어,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1501) 내의 I 픽처를 포함한 VAU(1511)에 대하여 복호 카운터(1510)로 「1」이 할당된다. 다음에 복호 되어야 할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1502) 내의 P 픽처를 포함한 VAU(1521)에 대하여 복호 카운터(1520)로 「2」가 할당된다. 또, 그 다음에 복호 되어야 할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1501) 내의 P 픽처를 포함한 VAU(1512)에 대하여 복호 카운터(1510)로 「3」이 할당된다. 이 할당에 의해, 어떠한 문제가 원인으로 재생장치(102) 내의 디코더가 어느 하나의 VAU를 잘못 판독했을 때에도, 이에 의해 결락(缺落)한 픽처를 디코더는 복호 카운터(1510, 1520)에서 바로 특정할 수 있다. 따라서, 디코더는 에러처리를 적절하고도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다.
도 15 (a)에 나타낸 예에서는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1501)의 3번째의 VAU(1513)의 판독에 에러가 발생해서 Br 픽처가 결락되어 있다. 그러나, 디코더는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1502)의 2번째의 VAU(1522)에 포함되는 P 픽처의 복호처리에서 그 VAU(1522)에서 복호 카운터(1520)를 판독하여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디코더는 다음에 처리해야 할 VAU의 복호 카운터(1510)를 예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그 P 픽처를 포함한 VAU(1522) 내의 복호 카운터(1520)는 「4」이므로 다음에 판독될 VAU의 복호 카운터(1510)는 「5」라고 예측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다음에 판독된 VAU는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1501)의 4번째의 VAU(1514)였으므로 그 복호 카운터(1510)는 「7」이다. 이로부터 디코더는 VAU를 하나 잘못 판독했음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디코더는 다음의 에러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1502)의 3번째의 VAU(1523)에서 추출된 B 픽처에 대해서는 참조해야 할 Br 픽처가 결락하고 있으므로 복호처리를 스킵한다」. 이와 같이, 디코더는 복호처리마다 복호 카운터(1510, 1520)를 체크한다. 이에 의해 디코더는 VAU의 판독 에러를 신속히 검출할 수 있으며, 또한 적절한 에러처리를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재생 영상에의 노이즈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5 (b)는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1501)과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1502)의 각 픽처에 할당된 복호 카운터의 다른 예(1530, 1540)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5 (b)를 참조하면, 복호 카운터(1530, 1540)는 각 비디오 스트림(1501, 1502)에서 따로따로 증가된다. 따라서, 복호 카운터(1530, 1540)는 동일한 3D VAU에 속하는 한 쌍의 픽처 사이에서 동일하다. 그 경우, 디코더는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1501)의 VAU를 하나 복호 한 시점에서는 다음과 같이 예측할 수 있다. 「그 복호 카운터(1530)가 다음에 복호 되어야 할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1502)의 VAU의 복호 카운터(1540)와 같다」. 한편, 디코더는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1502)의 VAU를 하나 복호 한 시점에서는 다음과 같이 예측할 수 있다. 「그 복호 카운터(1540)에 1을 더한 값이 다음에 복호 되어야 할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1501)의 VAU의 복호 카운터(1530)와 같다」. 따라서, 디코더는 어느 시점에서도 복호 카운터(1530, 1540)로부터 VAU의 판독 에러를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으며, 또한 적절한 에러처리를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재생 영상에의 노이즈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다.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의 인터리브 배치≫
3D 영상의 심리스 재생에는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과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BD-ROM 디스크(101) 상에서의 물리적인 배치가 중요하다. 여기서, 「심리스 재생」은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로부터 영상과 음성을 도중에서 끊어지지 않고 매끄럽게 재생하는 것을 말한다.
 도 16은 도 6에 도시된 메인 TS, 제 1 서브 TS 및 제 2 서브 TS의 각각 속하는 데이터블록 군의 BD-ROM 디스크(101) 상에서의 물리적인 배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데이터블록」은 BD-ROM 디스크(101) 상의 연속영역, 즉 물리적으로 연속하는 복수의 섹터에 기록된 일련의 데이터를 말한다. BD-ROM 디스크(101)에서는 물리어드레스가 논리어드레스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각 데이터블록 내에서는 LBN도 연속하고 있다. 따라서, BD-ROM 드라이브(121)는 하나의 데이터블록을 광 픽업에 시크를 실시하게 하는 일 없이 연속해서 판독할 수 있다. 이하, 메인 TS에 속하는 데이터블록(L1, L2, L3, …)을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이라고 하고, 서브 TS에 속하는 데이터블록(R1, R2, R3, …, D1, D2, D3, …)을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이라고 한다. 특히, 제 1 서브 TS에 속하는 데이터블록(R1, R2, R3, …)을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이라고 하고, 제 2 서브 TS에 속하는 데이터블록(D1, D2, D3, …)을 「깊이 맵 데이터블록」이라고 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데이터블록 군은 BD-ROM 디스크(101) 상의 트랙(1601)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기록되어 있다. 또,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1, L2, L3, …),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R1, R2, R3, …) 및 깊이 맵 데이터블록(D1, D2, D3, …)이 한 개씩 교호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데이터블록 군의 배치를 「인터리브 배치」라고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의한 인터리브 배치에서는 인접하는 3종류의 데이터블록의 사이에서 익스텐트 ATC 시간이 동일하다. 예를 들어, 도 16에서는 선두의 깊이 맵 데이터블록(D1), 선두의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R1) 및 선두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1)이 연속하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블록(D1, R1, L1) 사이에서는 익스텐트 ATC 시간이 동일하다. 여기서, 「ATC(Arrival Time Clock)」는 ATS의 기준이 될 클록을 의미한다. 또, 「익스텐트 ATC 시간」은 ATC의 값으로 정의되고, 하나의 익스텐트 내의 소스 패킷에 부여된 ATS의 범위, 즉, 그 익스텐트의 선두의 소스 패킷의 ATS에서 다음의 익스텐트의 선두의 소스 패킷의 ATS까지의 시간간격을 나타낸다. 즉, 익스텐트 ATC 시간은 그 익스텐트 내의 소스 패킷을 모두 재생장치(102) 내에서 리드 버퍼에서 시스템 타깃 디코더로 전송하는데 필요한 시간과 동일하다. 또, 「리드 버퍼」는 재생장치(102) 내의 버퍼 메모리이며, BD-ROM 디스크(101)에서 판독된 데이터블록을 시스템 타깃 디코더에 보낼 때까지의 사이에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익스텐트 ATC 시간이 동일한 3종류의 데이터블록 간에서는 재생기간이 일치하고, 또한 비디오 스트림의 재생시간이 동일해도 좋다. 예를 들어, 도 16에서는 선두의 세 개의 데이터블록 D1, R1, L1 간에서 재생기간이 일치하고, 또한 비디오 스트림의 재생시간이 동일하다. 후속하는 데이터블록 군에서도 마찬가지로 익스텐트 ATC 시간이 동일한 3종류의 데이터블록 D2, R2, L2 간에서는 재생기간이 일치하고, 또한 비디오 스트림의 재생시간이 동일해도 좋다.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의한 인터리브 배치에서는 익스텐트 ATC 시간이 동일한 세 개의 연속하는 데이터블록은 깊이 맵 데이터블록,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 및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의 순으로, 즉 데이터량이 작은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16에서는 선두의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R1)에 포함되는 픽처는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선두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1)에 포함되는 픽처를 참조 픽처로하여 압축되어 있다. 따라서, 선두의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R1)의 사이즈 Sext2[1]은 선두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1)의 사이즈 Sext1[1] 이하이다:Sext2[1]≤Sext1[1]. 한편, 깊이 맵의 화소당 데이터량, 즉 깊이 치의 비트 수는 일반적으로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에 포함되는 픽처의 화소당 데이터량, 즉 색 좌표치와 α값의 비트수의 합보다 작다. 또, 도 6 (a),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메인 TS는 제 2 서브 TS와 달리 프라이머리 비디오 스트림 외에도 프라이머리 오디오 스트림 등의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포함한다. 따라서, 도 16에서는 선두의 깊이 맵 데이터블록(D1)의 사이즈 Sext3[1]은 선두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1)의 사이즈 Sext1[1] 이하이다:Sext3[1]≤Sext1[1]. 따라서, 도 16에서는 선두의 깊이 맵 데이터블록(D1), 선두의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R1) 및 선두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1)이 상기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연속하는 세 개의 익스텐트 D2, R2, L2의 순서도 동일하다.
익스텐트 ATC 시간이 동일한 데이터블록의 각 선두에 위치하는 VAU는 동일한 3D VAU에 속하고, 특히 동일한 3D 영상을 나타내는 GOP의 선두의 픽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16에서는 익스텐트 ATC 시간이 동일한 세 개의 연속하는 데이터블록 Dn, Rn, Ln(n=1, 2, 3, …) 중 깊이 맵 데이터블록(Dn)의 선단은 깊이 맵 스트림의 I 픽처를 포함하고,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 Rn의 선단은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P 픽처를 포함하며,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n)의 선단은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의 I 픽처를 포함한다. 그 깊이 맵 스트림의 I 픽처는 그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의 I 픽처가 나타내는 2D 영상에 대한 깊이 맵을 나타낸다. 그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P 픽처는 그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의 I 픽처가 나타내는 2D 영상을 레프트 뷰로 할 때의 라이트 뷰를 나타낸다. 특히 그 P 픽처는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그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의 I 픽처를 참조 픽처로 압축되어 있다. 따라서, 3D 재생모드의 재생장치(102)는 어느 데이터블록의 세트 Dn, Rn, Ln으로부터도 3D 영상의 재생을 개시할 수 있다.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를 데이터블록으로 분할하는 의의≫
재생장치(102)는 BD-ROM 디스크(101)에서 3D 영상을 심리스 재생하기 위해서는 메인 TS와 서브 TS를 병행해서 처리해야 한다. 그러나, 그 처리에 이용 가능한 리드 버퍼의 용량은 일반적으로 한정되어 있다. 특히, BD-ROM 디스크(101)로부터 리드 버퍼에 연속해서 판독할 수 있는 데이터량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재생장치(102)는 메인 TS와 서브 TS를 익스텐트 ATC 시간이 동일한 부분의 쌍으로 분할하여 판독해야 한다.
도 17 (a)는 어느 BD-ROM 디스크 상에 개별로 연속해서 기록된 메인 TS(1701)와 서브 TS(1702)의 배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재생장치(102)가 이들 메인 TS(1701)와 서브 TS(1702)를 병행해서 처리할 때, 도 17 (a)에 실선의 화살표 (1)-(4)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BD-ROM 드라이브(121)는 메인 TS(1701)와 서브 TS(1702)를 교호로 익스텐트 ATC 시간이 동일한 부분씩 판독한다. 그때, BD-ROM 드라이브(121)는 도 17 (a)에 점선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판독처리의 도중에 BD-ROM 디스크 상의 판독대상 영역을 크게 변화시켜야 한다. 예를 들어, 화살표(1)가 나타내는 메인 TS(1701)의 선단 부분이 판독된 때 BD-ROM 드라이브(121)는 광 픽업에 의한 판독동작을 일단 정지하고, BD-ROM 디스크의 회전 속도를 올린다. 이에 의해 화살표(2)가 나타내는 서브 TS(1702)의 선단 부분이 기록된 BD-ROM 디스크 상의 섹터를 신속하게 광 픽업의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광 픽업에 판독동작을 일단 정지시키고, 그 사이에 다음의 판독대상 영역 상에 광 픽업을 위치시키기 위한 조작을 「점프」라고 한다. 도 17 (a)에 도시된 점선의 화살표는 판독처리의 도중에 필요한 각 점프의 범위를 나타낸다. 각 점프의 기간 중 광 픽업에 의한 판독처리는 정지하고, 디코더에 의한 복호 처리만이 진행한다. 그 결과, 판독처리를 복호처리에 시간적으로 일치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심리스 재생을 확실하게 지속하기가 어렵다.
도 17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의한 BD-ROM 디스크(101) 상에 교호로 기록된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0], B[1], B[2], …과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0], D[1], D[2], …의 배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7 (b)를 참조하면, 메인 TS와 서브 TS는 각각 복수의 데이터블록으로 분할되어서 교호로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재생장치(102)는 3D 영상의 재생시에 도 17 (b)에 화살표(1)-(4)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데이터블록 B[0], D[0], B[1], D[1], …을 선두에서 차례로 판독한다.그것만으로 재생장치(102)는 메인 TS와 서브 TS를 교호로 판독하는 것을 원활하게 실현할 수 있다. 특히 이 판독처리에서는 점프가 생기지 않으므로 3D 영상의 심리스 재생이 확실하게 지속가능하다.
≪인접하는 데이터블록 간에 익스텐트 ATC 시간을 일치시키는 의의≫
도 16에 도시된 인터리브 배치에서는 인접하는 3종류의 데이터블록 Dn, Rn, Ln이 모두 동일한 익스텐트 ATC 시간을 갖는다. 즉, 이들 익스텐트 간에는 각 익스텐트의 선두의 소스 패킷에서 다음의 익스텐트의 선두의 소스 패킷까지의 ATS의 차가 동일하다(단, 그 차의 계산에서는 ATS에 랩 어라운드(wrap-around)가 발생하는 것이 고려되어 있다). 이 경우, 재생장치(102) 내의 시스템 타깃 디코더는 리드 버퍼에서 ATC에 의해 계산되는 동일한 시간 내에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Ln와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 또는 Rn의 양쪽에 포함되는 모든 TS 패킷을 인출한다. 따라서, 특히 인터럽트 재생(interrupt playback) 시에 시스템 타깃 디코더는 베이스 뷰 스트림과 디펜던트 뷰 스트림의 사이에서 TS 패킷의 복호처리를 용이하게 동기시킬 수 있다.
≪재생시간이 동일한 데이터블록을 인접시키는 의의≫
도 18 (a)는 인접하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과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사이에서 익스텐트 ATC 시간이 다르고, 또한 비디오 스트림의 재생시간이 다를 때의 재생경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8 (a)에 나타낸 예에서는 선두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0]의 재생시간은 4초간이고, 선두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0]의 재생시간은 1초간이다. 여기서,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0]의 복호에 필요한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의 부분은 그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0]과 동일한 재생시간을 갖는다. 따라서, 재생장치(102) 내의 리드 버퍼의 용량을 절약하려면, 도 18 (a)에 화살표(1810)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재생장치(102)에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0]과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0]을 교호로 동일한 재생시간씩, 예를 들어 1초간씩 판독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그 경우, 도 18 (a)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판독처리의 도중에 점프가 생긴다. 그 결과, 판독처리를 복호처리에 시간적으로 일치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심리스 재생을 확실하게 지속하기가 어렵다.
도 18 (b)는 인접하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과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사이에서 비디오 스트림의 재생시간이 동일할 때의 재생경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의한 BD-ROM 디스크(101) 상에서는 도 18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접하는 한 쌍의 데이터블록의 사이에서 비디오 스트림의 재생시간이 동일하다. 예를 들어, 선두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0]과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0]의 쌍에서는 비디오 스트림의 재생시간이 모두 1초로 동일하고, 두 번째의 데이터블록의 쌍 B[1], D[1]에서는 비디오 스트림의 재생시간이 모두 0.7초로 동일하다. 이 경우, 재생장치(102)는 3D 영상의 재생시에 도 18 (b)에 화살표(1820)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데이터블록 B[0], D[0], B[1], D[1], …을 선두에서부터 차례로 판독한다. 그것만으로 재생장치(102)는 메인 TS와 서브 TS를 교호로 동일한 재생시간만큼 판독하는 것을 원활하게 실현할 수 있다. 특히 이 판독처리에서는 점프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3D 영상의 심리스 재생이 확실하게 지속 가능하다.
또, 인접하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과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사이에서 익스텐트 ATC 시간이 동일하면, 이들 데이터블록 간에 재생기간이 일치하고 있지 않아도, 또한 비디오 스트림의 재생시간이 동일하지 않아도 좋다. 그 경우에도 도 18 (b)에 도시된 것과 마찬가지로, 재생장치(102)는 데이터블록 군을 선두에서 차례로 판독하는 것만으로 메인 TS와 서브 TS와 교호의 판독을 원활하게 실현할 수 있다. 특히 그 판독처리에서는 점프가 생기지 않으므로 3D 영상의 심리스 재생이 확실하게 지속 가능하다.
≪데이터블록에 대한 AV 스트림 파일의 크로스 링크(cross-link)≫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에 속하는 각 데이터블록은 BD-ROM 디스크(101)의 파일시스템에서는 파일 2D 또는 파일 DEP 내의 하나의 익스텐트로서 액세스 가능하다. 즉, 각 데이터블록의 논리 어드레스는 파일 2D 또는 파일 DEP의 파일 엔트리에 기록된 할당 기술자로부터 알 수 있다. 도 5, 16에 나타낸 예에서는 파일 2D(01000.m2ts)(541)의 파일 엔트리(1610)에 포함되는 할당 기술자(#1,#2,#3, …)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1, L2, L3, …)의 각 사이즈와 그 선단의 LBN를 나타낸다. 제 1 파일 DEP(02000.m2ts)(542)의 파일 엔트리(1620)에 포함되는 할당 기술자(#1,#2,#3, …)는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R1, R2, R3, …)의 각 사이즈와 그 선단의 LBN를 나타낸다. 제 2 파일 DEP(03000.m2ts)(543)의 파일 엔트리(1630)에 포함되는 할당 기술자(#1,#2,#3, …)는 깊이 맵 데이터블록(D1, D2, D3, …)의 각 사이즈와 그 선단의 LBN를 나타낸다.
도 19 (a)는 파일 2D(01000.m2ts)(541)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파일 엔트리(1610) 내의 할당 기술자(#1,#2,#3, …)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1, L2, L3, …)을 참조한다. 따라서, 각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1, L2, L3, …)은 도 19 (a)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파일 2D(541)의 익스텐트 EXT2D[0], EXT2D[1], EXT2D[2], …로서 액세스 가능하다. 이하, 파일 2D(541)에 속하는 익스텐트 EXT2D[0], EXT2D[1], EXT2D[2], …를 「2D 익스텐트」라고 한다.
도 19 (b)는 제 1 파일 DEP(02000.m2ts)(542)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6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파일 엔트리(1620) 내의 할당 기술자(#1,#2,#3, …)는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R1, R2, R3, …)을 참조한다. 따라서, 각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R1, R2, R3, …)은 도 19 (b)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제 1 파일 DEP(542)의 익스텐트 EXT2[0], EXT2[1], EXT2[2], …로서 액세스 가능하다. 이하, 제 1 파일 DEP(542)에 속하는 익스텐트 EXT2[0], EXT2[1], EXT2[2], …를 「라이트 뷰 익스텐트」라고 한다.
도 19 (c)는 제 2 파일 DEP(03000.m2ts)(543)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6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파일 엔트리(1630) 내의 할당 기술자(#1,#2,#3, …)는 깊이 맵 데이터블록(D1, D2, D3, …)을 참조한다. 따라서, 각 깊이 맵 데이터블록(D1, D2, D3, …)은 도 19 (c)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제 2 파일 DEP(543)의 익스텐트 EXT3[0], EXT3[1], EXT3[2], …로서 액세스 가능하다. 이하, 제 2 파일 DEP(543)에 속하는 익스텐트 EXT3[0], EXT3[1], EXT3[2], …를 「깊이 맵 익스텐트」라고 한다. 또, 라이트 뷰 익스텐트와 깊이 맵 익스텐트와 같이, 어느 하나의 파일 DEP에 속하는 익스텐트를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라 총칭한다.
도 16에 도시된 데이터블록 군에 대해서 AV 스트림 파일의 크로스 링크는 다음과 같이 실현된다. 제 1 파일 SS(01000.ssif)(544A)의 파일 엔트리(1640)에 포함되는 할당 기술자(#1,#2,#3, …)는 인접하는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과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의 쌍 R1+L1, R2+L2, R3+L3, …를 각각 하나의 익스텐트로 간주하여 각 사이즈와 그 선단의 LBN를 나타낸다. 제 2 파일 SS(02000.ssif)(544B)의 파일 엔트리(1650)에 포함되는 할당 기술자(#1,#2,#3, …)는 깊이 맵 데이터블록(D1, D2, D3, …)과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1, L2, L3, …)의 각 사이즈와 그 선단의 LBN를 교호로 나타낸다.
도 19 (d)는 제 1 파일 SS(01000.ssif)(544A)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6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파일 엔트리(1640) 내의 할당 기술자(#1,#2,#3, …)는 인접하는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과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의 쌍 R1+L1, R2+L2, R3+L3, …를 참조한다. 따라서, 인접하는 데이터블록의 각 쌍 R1+L1, R2+L2, R3+L3, …는 도 19 (d)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제 1 파일 SS(544A)의 익스텐트 EXTSS[0], EXTSS[1], EXTSS[2], …로서 액세스 가능하다. 이하, 제 1 파일 SS(544A)에 속하는 익스텐트 EXTSS[0], EXTSS[1], EXTSS[2], …를 「3D 익스텐트」라고 한다. 각 3D 익스텐트 EXTSS[n](n=0, 1, 2, …)는 파일 2D(541)와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n)을 공유하고, 제 1 파일 DEP(542)와는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Rn)을 공유한다.
도 19 (e)는 제 2 파일 SS(02000.ssif)(544B)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파일 엔트리(1650) 내의 할당 기술자(#1,#2,#3, …)는 깊이 맵 데이터블록(D1, D2, D3, …)과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1, L2, L3, …)을 교호로 참조한다. 따라서, 각 데이터블록(D1, L1, D2, L2)은 도 19 (e)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2 파일 SS(544B)의 익스텐트 EXTSS[0], EXTSS[1], EXTSS[2], EXTSS[3], …으로서 액세스 가능하다. 제 2 파일 SS(544B)의 각 익스텐트는 파일 2D(541)와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n)을 공유하고, 제 2 파일 DEP(543)와는 깊이 맵 데이터블록(Dn)을 공유한다.
≪인터리브 배치의 데이터블록 군에 대한 재생경로≫
도 20은 도 16에 도시된 데이터블록 군에 대한 2D 재생모드에서의 재생경로(2001), L/R모드에서의 재생경로(2002) 및 깊이모드에서의 재생경로(2003)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재생장치(102)는 2D 재생모드에서는 파일 2D(541)를 재생한다. 따라서, 2D 재생모드에서의 재생경로(2001)가 나타내는 것과 같이,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L1, L2, L3가 차례로 2D 익스텐트 EXT2D[0], EXT2D[1], EXT2D[2]로 판독된다. 즉, 먼저 선두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L1가 판독되고, 그 직후의 깊이 맵 데이터블록 D2와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 R2의 판독이 최초의 점프 J2D1에 의해서 스킵된다. 다음에, 두 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L2가 판독되고, 그 직후의 깊이 맵 데이터블록 D3와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 R3의 판독이 2회째의 점프 J2D2에 의해서 스킵된다. 계속해서, 3번째의 베이스 뷰·데이터블록 L3가 판독된다.
재생장치(102)는 L/R모드에서는 제 1 파일 SS(544A)를 재생한다. 따라서, L/R모드에서의 재생경로(2002)가 나타내는 것과 같이, 인접하는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과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의 쌍 R1+L1, R2+L2, R3+L3가 차례로 3D 익스텐트 EXTSS[0], EXTSS[1], EXTSS[2]로 판독된다. 즉, 먼저 선두의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 R1와 그 직후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L1가 연속해서 판독되고, 그 직후의 깊이 맵 데이터블록 D2의 판독이 최초의 점프 JLR1에 의해서 스킵된다. 다음에, 두 번째의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 R2와 그 직후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L2가 연속해서 판독되고, 그 직후의 깊이 맵 데이터블록 D3의 판독이 2회째의 점프 JLR2에 의해서 스킵된다. 계속해서, 3번째의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 R3와 그 직후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L3가 연속해서 판독된다.
재생장치(102)는 깊이모드에서는 제 2 파일 SS(544B)을 재생한다. 따라서, 깊이모드에서의 재생경로(2003)가 나타내는 것과 같이, 깊이 맵 데이터블록(D1, D2, D3)와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1, L2)가 교호로 제 2 파일 SS(544B)의 익스텐트 EXTSS[0], EXTSS[1], EXTSS[2], EXTSS[3]로 판독된다. 즉, 먼저 선두의 깊이 맵데이터블록 D1가 판독되고, 그 직후의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 R1의 판독이 최초의 점프 JLD1에 의해서 스킵된다. 다음에, 선두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L1가 판독되고, 계속해서 그 직후의 깊이 맵 익스텐트 D2가 판독된다. 또, 그 직후의 라이트 뷰 익스텐트 R2의 판독이 2회째의 점프 JLD2에 의해서 스킵되고, 두 번째의 베이스 뷰데이터블록 L2가 판독된다.
도 20의 각 재생경로(2001-2003)가 나타내는 것과 같이, 데이터블록 군이 인터리브 배치로 기록된 영역에서는 재생장치(102)는 그 데이터블록 군을 실질적으로 선두에서부터 순서대로 판독하면 좋다. 여기서, 그 판독처리의 도중에서는 점프가 발생한다. 그러나, 각 점프의 거리는 도 17 (a)에 나타내는 것과 달리 메인 TS와 서브 TS의 어느 전체 길이보다도 충분히 짧다. 또, 어느 점프도 도 18 (a)에 나타내는 것과 달리 하나의 데이터블록의 판독의 도중에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 익스텐트 ATC 시간이 동일한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과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의 각 쌍에서는 사이즈가 비교적 작은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이 먼저 판독된다. 따라서, 그 반대의 경우보다 재생장치(102)는 리드 버퍼의 용량을 삭감할 수 있다.
재생장치(102)는 L/R모드에서는 데이터블록 군을 제 1 파일 SS(544A)의 익스텐트 군으로서 판독한다. 즉, 재생장치(102)는 제 1 파일 SS(544A)의 파일 엔트리(1640) 내의 할당 기술자(#1,#2, …)로부터 각 3D 익스텐트 EXTSS[0], EXTSS[1], …의 선단의 LBN와 그 사이즈를 판독하여 BD-ROM 드라이브(121)에 인계한다. BD-ROM 드라이브(121)는 그 LBN로부터 그 사이즈의 데이터를 연속해서 판독한다. 이러한 처리는 데이터블록 군을 제 1 파일 DEP(542)와 파일 2D(541)의 각 익스텐트로서 판독하는 처리보다 BD-ROM 드라이브(121)의 제어가 다음의 2가지 (A), (B)에서 간단하다: (A) 재생장치(102)는 1개소의 파일 엔트리를 이용하고, 익스텐트를 차례로 참조하면 좋다; (B) 판독대상의 익스텐트의 총 수가 실질적으로 반감하므로 BD-ROM 드라이브(121)에 인계할 LBN와 사이즈의 쌍의 총 수가 적다. 이점 (a)는 깊이모드에서 데이터블록 군을 제 2 파일 SS(544B)의 익스텐트로서 판독하는 처리에도 적용 가능하다. 단, 재생장치(102)는 3D 익스텐트 EXTSS[0], EXTSS[1], …를 판독한 후, 각각을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과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으로 분리하여 디코더에 인계해야한다. 이 분리처리에는 클립정보파일이 이용된다. 그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층 경계의 전후에서의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의 배치≫
BD-ROM 디스크(101)가 기록 층을 복수 포함할 때, 메인 TS와 서브 TS는 두 개의 기록 층의 경계, 즉 층 경계를 넘어서 기록되어도 좋다. 또, 메인 TS와 서브 TS는 다른 데이터를 사이에 끼워서 기록되어도 좋다. 이러한 경우, BD-ROM 드라이브(121)는 일반적으로 메인 TS와 서브 TS의 판독 중에 롱 점프를 하지 않으면 안 된다. 「롱 점프」는 점프 중에서도 시크 시간이 긴 것의 총칭이며, 구체적으로는 점프거리가 소정의 임계치를 넘는 것을 말한다. 「점프거리」란 점프기간 중에 판독조작이 스킵되는 BD-ROM 디스크(101) 상의 영역의 길이를 말한다. 점프거리는 통상 그 부분의 섹터 수로 나타낸다. 롱 점프의 정의에 이용되는 임계치는 BD-ROM의 규격에서는 예를 들어 40000 섹터로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그 임계치는 BD-ROM 디스크의 종류와 BD-ROM 드라이브의 판독처리에 관한 성능에 의존한다. 롱 점프는 특히 포커스 점프와 트랙 점프를 포함한다. 「포커스 점프」는 기록 층의 전환에 수반하는 점프이고, 광 픽업의 초점거리를 변화시키는 처리를 포함한다. 「트랙 점프」는 광 픽업을 BD-ROM 디스크(101)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처리를 포함한다.
BD-ROM 디스크(101)에서는 일련의 메인 TS와 서브 TS가 층 경계 및 다른 데이터의 기록영역 등, 롱 점프의 필요한 위치의 전후에 분리되어 있을 때, 이들 데이터블록 군이 이하에 설명하는 3종류의 배치 1-3의 어느 하나로 기록되어 있다.또, 이들 데이터블록 군으로의 액세스에는 AV 스트림 파일의 크로스 링크가 이용된다. 이에 의해 재생장치(10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리드 버퍼의 용량을 필요 최소한으로 유지한 채로 롱 점프 중에서의 영상의 심리스 재생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배치 1]
도 21은 BD-ROM 디스크(101)의 층 경계의 전후에 기록된 데이터블록 군의 물리적인 배치의 제 1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들 데이터블록 군은 도 6에 도시된 메인 TS, 제 1 서브 TS 및 제 2 서브 TS에 속한다. 이하, 이 배치를 「배치 1」이라고 한다. 도 21을 참조하면, 층 경계 LB의 앞에 위치하는 제 1 기록 층에는 깊이 맵 데이터블록 군…, D1, D2,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 군 …, R1, R2 및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군 …, L1, L2가 인터리브 배치로 기록되어 있다. 이하, 이들 데이터블록 군을 「제 1의 3D 익스텐트 블록」(2101)이라고 한다. 또, 제 1의 3D 익스텐트 블록(2101)의 후단(L2)과 층 경계(LB)의 사이에 하나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L32D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층 경계(LB)의 뒤에 위치하는 제 2 기록 층에는 깊이 맵 데이터블록 군 D3, D4, …,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 군 R3, R4, … 및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군 L3SS, L4, …가 인터리브 배치로 기록되어 있다. 이하, 이들 데이터블록 군을 「제 2의 3D 익스텐트 블록」(2102)이라고 한다.
각 3D 익스텐트 블록(2101, 2102)의 인터리브 배치는 도 16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즉, 깊이 맵 데이터블록,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 및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이 그 순으로 교호로 나열된다. 또, 세 개의 연속하는 데이터블록 Dn, Rn, Ln(n=…, 1, 2, 3, 4, …) 간에서는 익스텐트 ATC 시간이 동일하다.
제 1의 3D 익스텐트 블록(2101)의 후단에 위치하는 세 개의 데이터블록(D2, R2, L2)과 제 2의 3 익스텐트 블록(2102)의 선단에 위치하는 세 개의 데이터블록(D3, R3, L3SS)의 사이에서는 각 스트림 데이터의 내용이 연속하고 있다.
층 경계(LB)의 직전에 위치하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32D)은 제 2의 3D 익스텐트 블록(2102) 내의 선단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3SS)과 비트 단위(bit-for-bit)에서 일치한다. 즉, 이들 데이터블록 L32D, L3SS의 일방은 타방의 복제데이터이다. 이하, 전자 L32D를 「2D 재생전용블록」이라고 하고, 후자 L3SS를 「3D 재생전용블록」이라고 한다.
도 21에 도시된 각 데이터블록은 3D 재생전용블록 L3SS을 제외하고 파일 2D 또는 파일 DEP 중 어느 하나의 익스텐트로서 액세스 가능하다. 예를 들어, 파일 2D(01000.m2ts)(541)의 파일 엔트리(2110)에서는 할당 기술자 #1이 제 1의 3D 익스텐트 블록(2101) 내의 최후에서 두 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1)의 사이즈와 그 선단의 LBN를 나타낸다. 따라서, 그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1)은 파일 2D(541)의 하나의 2D 익스텐트 EXT2D[0]로서 액세스 가능하다. 할당 기술자 #2는 제 1의 3D 익스텐트 블록(2101) 내의 최후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L2와 그 직후의 2D 재생전용블록 L32D의 쌍 L2+L32D를 단일의 익스텐트로 간주하고, 그 사이즈와 그 선단의 LBN를 나타낸다. 따라서, 그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의 쌍 L2+L32D는 파일 2D(541)의 단일의 2D 익스텐트 EXT2D[1]로서 액세스 가능하다. 또, 할당 기술자 #3이 제 2의 3D 익스텐트 블록(2102) 내의 두 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4)의 사이즈와 그 선단의 LBN를 나타낸다. 따라서, 그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4)은 다른 하나의 2D 익스텐트 EXT2D[2]로서 액세스 가능하다.
도 21에 도시된 데이터블록 군에 대해서도 AV 스트림 파일의 크로스 링크는 도 16의 것과 동일하게 실현된다. 특히, 제 1 파일 SS(544A)의 파일 엔트리(2120)에서는 할당 기술자 #1, #2, #3, #4가 인접하는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과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의 쌍 R1+L1, R2+L2, R3+L3SS, R4+L4를 각각 하나의 익스텐트로 간주하고, 각 사이즈와 그 선단의 LBN를 나타낸다. 따라서, 인접하는 데이터블록의 각 쌍 R1+L1, R2+L2, R3+L3SS, R4+L4는 제 1 파일 SS(544A)의 3D 익스텐트 EXTSS[0], EXTSS[1], EXTSS[2], EXTSS[3]로서 액세스 가능하다. 여기서, 층 경계(LB)의 직후의 3D 익스텐트 EXTSS[3]을 제외하고, 3D 익스텐트 EXTSS[0], EXTSS[1], EXTSS[3]는 각각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L1, L2, L4를 파일 2D(541)과 공유한다. 한편, 2D 재생전용블록 L32D은 층 경계(LB)의 직전에 위치하는 파일 2D(541)의 익스텐트 EXT2D[1]의 일부로만 액세스 가능하다. 또, 3D 재생전용블록 L3SS의 층 경계(LB)의 직후의 3D 익스텐트 EXTSS[2]의 일부로만 액세스 가능하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데이터블록 군에 대한 2 D 재생모드에서의 재생경로(2201)와 L/R모드에서의 재생경로(2202)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또, 깊이모드에서의 재생경로는 도 16에 도시된 것으로부터 당업자에게는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다.
재생장치(102)는 2D 재생모드에서는 파일 2D(541)을 재생한다. 따라서, 2D 재생모드에서의 재생경로(2201)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제 1의 3D 익스텐트 블록(2101) 내의 최후에서 두 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1)이 최초의 2D 익스텐트 EXT2D[0]로 판독되고, 그 직후의 깊이 맵 데이터블록(D2)과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R2)의 판독이 최초의 점프 J2D1에 의해서 스킵된다. 다음에, 제 1의 3D 익스텐트 블록(2101) 내의 최후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L2와 그 직후의 2D 재생전용블록 L32D의 쌍 L2+L32D가 두 번째의 2D 익스텐트 EXT2D[1]로 연속해서 판독된다. 그 직후의 층 경계(LB)에서는 롱 점프(JLY)가 생기고, 포커스 점프의 실행과 동시에 제 2의 3D 익스텐트 블록(2102)의 선단에 위치하는 5개의 데이터블록 D3, R3, L3SS, D4, R4의 판독이 스킵된다. 계속해서, 제 2의 3D 익스텐트 블록(2102) 내의 두 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4)이 3번째의 2D 익스텐트 EXT2D[2]로 판독된다.
재생장치(102)는 L/R모드에서는 제 1 파일 SS(544A)를 재생한다. 따라서, L/R모드에서의 재생경로(2202)가 나타내는 것과 같이, 먼저 선두의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 R1와 그 직후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L1의 쌍 R1+L1가 최초의 3D 익스텐트EXTSS[0]로 연속해서 판독되고, 그 직후의 깊이 맵 데이터블록(D2)의 판독이 최초의 점프 JLR1에 의해서 스킵된다. 다음에, 두 번째의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R2)과 그 직후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2)이 두 번째의 3D 익스텐트 EXTSS[1]로 연속해서 판독된다. 그 직후에 롱 점프(JLY)가 생기고, 포커스 점프의 실행과 동시에 2D 재생전용블록 L32D과 제 2의 3D 익스텐트 블록(2102) 내의 선두의 깊이 맵 데이터블록(D3)의 판독이 스킵된다. 계속해서, 제 2의 3D 익스텐트 블록(2102) 내의 선두의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R3)과 그 직후의 3D 재생전용블록 L3SS이 3번째의 3D 익스텐트 EXTSS[2]로 연속해서 판독되고, 그 직후의 깊이 맵 데이터블록(D4)의 판독이 2번째의 점프 JLR2에 의해서 스킵된다. 또, 다음의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R4)과 그 직후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4)이 4번째의 3D 익스텐트 EXTSS[3]로 연속해서 판독된다.
도 2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2D 재생모드에서는 2D 재생전용블록 L32D은 판독되나, 3D 재생전용블록 L3SS의 판독은 스킵된다. 반대로, L/R모드에서는 2D 재생전용블록 L32D의 판독은 스킵되나, 3D 재생전용블록 L3SS은 판독된다. 그러나, 양쪽의 데이터블록(L32D, L3SS)는 비트 단위로 일치하고 있으므로, 어느 재생모드에서도 재생되는 레프트 뷰 비디오 프레임은 동일하다. 이와 같이, 배치 1에서는 롱 점프(JLY)의 전후로 2D 재생모드에서의 재생경로(2201)와 L/R모드에서의 재생경로(2202)가 분리되어 있다. 깊이모드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배치 1의 이점]
도 23은 어느 BD-ROM 디스크의 층 경계의 전후에 인터리브 배치로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블록 군과 그에 대한 각 재생 모드에서의 재생경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도 21에 도시된 배치 1과 마찬가지로, 제 1 기록 층에는 깊이 맵 데이터블록 군…, D1, D2,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 군…, R1, R2 및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군…, L1, L2가 인터리브 배치로 기록되고, 제 1의 3D 익스텐트 블록(2301)을 구성하고 있다. 한편, 제 2 기록 층에는 깊이 맵 데이터블록 군 D3, …,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 군 R3, … 및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군 L3, …가 인터리브 배치로 기록되고, 제 2의 3D 익스텐트 블록(2302)을 구성하고 있다. 각 3D 익스텐트 블록(2301, 2302)의 인터리브 배치는 도 21에 도시된 것(2101, 2102)과 동일하다. 또, 제 1의 3D 익스텐트 블록(2301)의 후단에 위치하는 세 개의 데이터블록 D2, R2, L2와 제 2의 3D 익스텐션 블록(2302)의 선단에 위치하는 세 개의 데이터블록 D3, R3, L3의 사이에서는 각 스트림 데이터의 내용이 연속하고 있다.
도 23에 도시된 데이터블록 군은 도 21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층 경계(LB)의 전후에 2D 재생전용블록 L32D과 3D 재생전용블록 L3SS의 쌍을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하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2D 재생모드에서의 재생경로(2310)와 L/R모드에서의 재생경로(2311)가 롱 점프(JLY)의 직전에 분리되는 일 없이 모두 동일한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2)을 통과한다.
도 23에 도시된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L1-L3는 모두 파일 2D의 하나의 익스텐트 EXT2D[0]-EXT2D[2]로서 액세스 가능하다. 한편, 인접하는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과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의 각 쌍 R1+L1, R2+L2, R3+L3는 파일 SS의 3D 익스텐트 EXTSS[0], EXTSS[1], EXTSS[2]로서 액세스 가능하다. 어느 3D 익스텐트 EXTSS[0], EXTSS[1], EXTSS[2]도 각각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L1, L2, L3를 파일 2D(541)와 공유한다.
2D 재생모드의 재생장치(102)는 파일 2D를 재생한다. 따라서, 2D 재생모드에서의 재생경로(2310)가 나타내는 것과 같이, 먼저 제 1의 3D 익스텐트 블록(2301) 내의 최후에서 두 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1)이 최초의 2D 익스텐트 EXT2D[0]로 판독되고, 그 직후의 깊이 맵 데이터블록(D2)과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R2)의 판독이 최초의 점프 J2D1에 의해서 스킵된다. 다음에, 제 1의 3D 익스텐트 블록(2301) 내의 최후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2)이 두 번째의 2D 익스텐트 EXT2D[1]로 판독된다. 그 직후의 층 경계(LB)에서는 롱 점프(JLY)가 생기고, 포커스 점프의 실행과 동시에 제 2의 3D 익스텐트 블록(2302)의 선단에 위치하는 2개의 데이터블록 D3, R3의 판독이 스킵된다. 계속해서, 제 2의 3D 익스텐트 블록(2302) 내의 선두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3)이 3번째의 2D 익스텐트 EXT2D[2]로 판독된다.
L/R모드의 재생장치(102)는 파일 SS를 재생한다. 따라서, L/R모드에서의 재생경로(2311)가 나타내는 것과 같이, 먼저 선두의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 R1와 그 직후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L1의 쌍 R1+L1가 최초의 3D 익스텐트 EXTSS[0]로 연속해서 판독되고, 그 직후의 깊이 맵 데이터블록(D2)의 판독이 최초의 점프 JLR1에 의해서 스킵된다. 다음에, 두 번째의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 R2와 그 직후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L2가 두 번째의 3D 익스텐트 EXTSS[1]로 연속해서 판독된다. 그 직후에 롱 점프(JLY)가 생기고, 포커스 점프의 실행과 동시에 제 2의 3D 익스텐트 블록(2302) 내의 선두의 깊이 맵 데이터블록 D3의 판독이 스킵된다. 계속해서, 제 2의 3D 익스텐트 블록(2302) 내의 선두의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R3)과 그 직후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3)이 3번째의 3D 익스텐트 EXTSS[2]로 연속해서 판독된다.
상기와 같이, 도 23에 도시된 데이터블록 군에서는 도 21에 도시된 것과 달리, 2D 재생모드에서의 재생경로(2310)와 L/R모드에서의 재생경로(2311)가 모두 롱 점프(JLY)의 직전에 동일한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L2를 통과한다. 여기서, 롱 점프(JLY)의 기간 중, BD-ROM 드라이브(121)는 판독처리를 정지하지만, 시스템 타깃 디코더는 리드 버퍼에 축적된 스트림 데이터의 복호처리를 속행한다. 따라서, 재생장치(102)에 롱 점프(JLY)의 전후로 영상을 심리스 재생시키려면 롱 점프(JLY)의 기간 중에서의 버퍼 언더 플로를 방지해야 한다.
L/R모드에서는 제 1의 3D 익스텐트 블록(2301)이 복호되는 동안에 리드 버퍼에 일정량의 데이터가 축적된다. 이 일정량의 데이터를 「버퍼 여유량」이라고 한다(그 상세는 후술한다). 롱 점프(JLY)의 기간 중에서는 그 직전에 판독된 3D 익스텐트 EXTSS[1], 즉,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R2)과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2)에 더하여 그 버퍼 여유량의 데이터가 복호된다. 따라서, L/R모드에서 버퍼 언더플로(underflow)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버퍼 여유량이 충분히 크면 좋다. 한편, 각 데이터블록 R2, L2의 사이즈는 롱 점프(JLY)의 직전까지 버퍼 여유량을 유지할 수 있는 값 Smin2, Smin1이면 좋다. 그러나, 2D 재생모드에서 버퍼 언더플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2D 익스텐트 EXT2D[1], 즉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2)의 사이즈 Sext2D[1]이 다음의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2D 익스텐트 EXT2D[1]의 판독개시부터 롱 점프(JLY)의 완료까지의 사이에 리드 버퍼에서 시스템 타깃 디코더에 보내지는 데이터량 이상이다. 이 조건을 만족하는 사이즈 Sext2D[1]은 도 23에 도시된 것과 같이, L/R모드에서의 심리스 재생에 필요 최소한의 사이즈 Smin1보다 일반적으로 크다. 따라서, L/R모드의 재생장치(102) 내에 확보되어야 할 리드 버퍼의 용량은 L/R모드에서의 심리스 재생에 필요 최소한의 값보다 크지 않으면 안 된다. 또,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R2)은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2)과 익스텐트 ATC 시간이 동일하지 않으면 안 된다. 따라서,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R2)의 사이즈 Sext2[1]은 L/R모드에서의 심리스 재생에 필요 최소한의 값 Smin2보다 일반적으로 크다. 그러므로, L/R모드의 재생장치(102) 내에 확보되어야 할 리드 버퍼의 용량은 L/R모드에서의 심리스 재생에 필요 최소한의 값보다 더욱 크지 않으면 안 된다. 이상의 결과, 도 23에 도시된 배치에서는 L/R모드의 재생장치(102) 내에 확보되어야 할 리드 버퍼의 용량을 더 삭감하기 어렵다.
이에 대하여, 도 22에 도시된 배치 1에서는 상기와 같이 롱 점프(JLY)의 전후로 2D 재생모드에서의 재생경로(2201)와 L/R모드에서의 재생경로(2202)가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도 23에 도시된 배치와는 달리, 층 경계(LB)의 직전에 위치하는 2D 익스텐트 EXT2D[1]의 사이즈 Sext2D[1]와 그 직전의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R2)의 사이즈 Sext2[1]이 이하와 같이 따로따로 결정 가능하다.
먼저, 2D 익스텐트 EXT2D[1]의 사이즈 Sext2D[1]은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2)의 사이즈 Sext1[1]과 2D 재생전용블록 L32D의 사이즈 S2D의 합 Sext1[1]+S2D과 같다. 따라서, 2D 재생모드에서의 심리스 재생의 실현에는 그 합 Sext1[1]+S2D가 2D 익스텐트 EXT2D[1]의 판독개시부터 롱 점프(JLY)의 완료까지의 사이에 리드 버퍼에서 시스템 타깃 디코더에 보내지는 데이터량 이상이면 좋다. 한편, 층 경계(LB)의 직전에 위치하는 3D 익스텐트 EXTSS[1]에 속하는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R2)과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2)의 각 사이즈 Sext2[1], Sext1[1]은 롱 점프(JLY)의 직전까지 버퍼 여유량을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값이면 좋다. 여기서, 2D 익스텐트 EXT2D[1] 중, 3D 익스텐트 EXTSS[1]와 공유되는 것은 앞쪽에 위치하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2)만이다. 따라서, 2D 재생전용블록 L32D의 사이즈 S2D를 적절히 확대함으로써 2D 익스텐트 EXT2D[1]의 사이즈 Sext2D[1]=Sext1[1]+S2D를 일정하게 유지한 채로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2)의 사이즈 Sext1[1]을 더 작게 제한할 수 있다. 이에 수반하여,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R2)의 사이즈 Sext2[1]도 더 작게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3D 재생전용블록 L3SS은 2D 재생전용블록 L32D의 복제 데이터이므로 2D 재생전용블록 L32D의 사이즈 S2D의 확대는 3D 재생전용블록 L3SS의 직전에 위치하는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R3)의 사이즈를 확대시킨다. 그러나, 그 사이즈는 도 23에 도시된 층 경계(LB)의 직전에 위치하는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R3)의 사이즈보다는 충분히 작게 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L/R모드의 재생장치(102) 내에 확보되어야 할 리드 버퍼의 용량을 L/R모드에서의 심리스 재생에 필요 최소한의 값에 더 접근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 1에서는 각 데이터블록을 롱 점프 중에서의 영상의 심리스 재생이 2D 재생모드와 L/R모드의 양쪽에서 실현 가능한 사이즈로 설계하는 것이 재생장치(102) 내에 확보되어야 할 리드 버퍼의 용량을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한 채로 가능하다. 또, 2D 재생모드와 L/R모드에서 판독대상의 데이터블록을 변경하는 것, 특히 2D 재생전용블록 L32D과 3D 재생전용블록 L3SS 간의 전환이 재생대상의 AV 스트림 파일을 파일 2D와 파일 SS 사이에서 전환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배치 2]
도 24는 BD-ROM 디스크(101)의 층 경계의 전후에 기록된 데이터블록 군의 물리적인 배치의 제 2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들 데이터블록 군은 도 6에 도시된 메인 TS, 제 1 서브 TS 및 제 2 서브 TS에 속한다. 이하, 이 배치를 「배치 2」라고 한다. 도 24를 도 21과 비교하면, 배치 2는 배치 1과는 제 2의 3D 익스텐트 블록(2402)의 선단에 2개의 3D 재생전용블록 L3SS, L4SS가 설치되고 있는 점에서 다르다. 그 외의 특징에 대해서는 배치 2는 배치 1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에 대해서는 배치 1에 대한 설명을 원용한다.
층 경계(LB)의 직전에 위치하는 2D 재생전용블록 (L3+L4)2D은 제 2의 3D 익스텐트 블록(2402) 내의 3D 재생전용블록의 쌍 L3SS, L4SS와 비트 단위로 일치한다. 즉, 2D 재생전용블록 (L3+L4)2D와 3D 재생전용블록의 쌍 L3SS, L4SS의 일방은 타방의 복제 데이터이다.
도 24에 도시된 각 데이터블록은 3D 재생전용블록 L3SS, L4SS을 제외하고, 파일 2D 또는 파일 DEP의 어느 하나의 익스텐트로서 액세스 가능하다. 예를 들어, 파일 2D(541)의 파일 엔트리(2410)에서는 할당 기술자 #1이 제 1의 3D 익스텐트 블록(2401) 내의 최후에서 두 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1)의 사이즈와 그 선단의 LBN를 나타낸다. 따라서, 그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1)은 파일 2D(541)의 하나의 2D 익스텐트 EXT2D[0]로서 액세스 가능하다. 할당 기술자 #2가 제 1의 3D 익스텐트 블록(2401) 내의 최후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2)과 그 직후의 2D 재생전용블록 (L3+L4)2D의 쌍 L2+(L3+L4)2D를 단일한 익스텐트로 간주하고, 그 사이즈와 그 선단의 LBN를 나타낸다. 따라서, 그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의 쌍 L2+(L3+L4)2D는 파일 2D(541)의 하나의 2D 익스텐트 EXT2D[1]로서 액세스 가능하다. 또, 할당 기술자 #3이 제 2의 3D 익스텐트 블록(2402) 내의 3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5)의 사이즈와 그 선단의 LBN를 나타낸다. 따라서, 그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5)은 다른 하나의 2D 익스텐트 EXT2D[2]로서 액세스 가능하다.
제 1 파일 SS(544A)의 파일 엔트리(2420)에서는 할당 기술자 #1,#2,#3,#4,#5가 인접하는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과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의 쌍 R1+L1, R2+L2, R3+L3SS, R4+L4SS, R5+L5를 각각 하나의 익스텐트로 간주하고, 각 사이즈와 그 선단의 LBN를 나타낸다. 따라서, 인접하는 데이터블록의 각 쌍 R1+L1, …, R5+L5는 제 1 파일 SS(544A)의 3D 익스텐트 EXTSS[0], EXTSS[1], EXTSS[2], EXTSS[3], EXTSS[4]로서 액세스 가능하다. 2D 재생전용블록 (L3+L4)2D은 파일 2D(541)의 익스텐트 EXT2D[1]의 일부로만 액세스 가능하고, 각 3D 재생전용블록 L3SS, L4SS는 3D 익스텐트 EXTSS[2], EXTSS[3]의 일부로만 액세스 가능하다.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데이터블록 군에 대한 2D 재생모드에서의 재생경로(2501)와 L/R모드에서의 재생경로(2502)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또, 깊이모드에서의 재생경로는 도 16에 도시된 것으로부터 당업자에게는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다.
재생장치(102)는 2D 재생모드에서는 파일 2D(541)를 재생한다. 따라서, 2D 재생모드에서의 재생경로(2501)가 나타내는 것과 같이, 먼저 제 1의 3D 익스텐트 블록(2401) 내의 최후에서 두 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1)이 최초의 2D 익스텐트 EXT2D[0]로 판독되고, 그 직후의 깊이 맵 데이터블록(D2)과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R2)의 판독이 최초의 점프(J2D1)에 의해서 스킵된다. 다음에, 제 1의 3D 익스텐트 블록(2401) 내의 최후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2)과 그 직후의 2D 재생전용블록 (L3+L4)2D의 쌍 L2+(L3+L4)2D가 두 번째의 2D 익스텐트 EXT2D[1]로 연속해서 판독된다. 그 직후의 층 경계(LB)에서는 롱 점프(JLY)가 생기고, 포커스 점프의 실행과 동시에 제 2의 3D 익스텐트 블록(2402)의 선단에 위치하는 8개의 데이터블록 D3, R3, L3SS, D4, R4, L4SS, D5, R5의 판독이 스킵된다. 계속해서, 제 2의 3D 익스텐트 블록(2402) 내의 3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5)이 3번째의 2D 익스텐트 EXT2D[2]로 판독된다.
재생장치(102)는 L/R모드에서는 제 1 파일 SS(544A)를 재생한다. 따라서, L/R모드에서의 재생경로(2502)가 나타내는 것과 같이, 먼저 선두의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R1)과 그 직후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1)의 쌍 R1+L1가 최초의 3D 익스텐트 EXTSS[0]로 연속해서 판독되고, 그 직후의 깊이 맵 데이터블록(D2)의 판독이 최초의 점프(JLR1)에 의해 스킵된다. 다음에, 두 번째의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R2)과 그 직후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2)이 두 번째의 3D 익스텐트 EXTSS[1]로 연속해서 판독된다. 그 직후에 롱 점프(JLY)가 생기고, 포커스 점프의 실행과 동시에 2D 재생전용블록 (L3+L4)2D과 제 2의 3D 익스텐트 블록(2402) 내의 선두의 깊이 맵 데이터블록(D3)의 판독이 스킵된다. 다음에, 제 2의 3D 익스텐트 블록(2402) 내의 선두의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R3)과 그 직후의 3D 재생전용블록 L3SS이 3번째의 3D 익스텐트 EXTSS[2]로 연속해서 판독되고, 그 직후의 깊이 맵 데이터블록(D4)의 판독이 두 번째의 점프(JLR2)에 의해서 스킵된다. 마찬가지로, 다음의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R4)과 그 직후의 3D 재생전용블록 L4SS이 4번째의 3D 익스텐트 EXTSS[3]로 연속해서 판독되고, 그 직후의 깊이 맵 데이터블록(D5)의 판독이 3번째의 점프(JLR3)에 의해서 스킵된다. 또, 다음의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R5)과 그 직후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5)이 다섯 번째의 3D 익스텐트 EXTSS[4]로 연속해서 판독된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D 재생모드에서는 2D 재생전용블록 (L3+L4)2D는 판독되나, 3D 재생전용블록 L3SS, L4SS의 판독든은 스킵된다. 반대로 L/R모드에서는 2D 재생전용블록 (L3+L4)2D의 판독은 스킵되지만 3D 재생전용블록 L3SS, L4SS는 판독된다. 그러나, 2D 재생전용블록 (L3+L4)2D와 3D 재생전용블록의 쌍 L3SS, L4SS는 비트단위로 일치하고 있으므로, 어느 재생모드에서도 재생되는 레프트 뷰 비디오 프레임은 동일하다. 이와 같이, 배치 2에서는 롱 점프(JLY)의 전후로 2D 재생모드에서의 재생경로(2501)와 L/R모드에서의 재생경로(2502)가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층 경계(LB)의 직전에 위치하는 2D 익스텐트 EXT2D[1]의 사이즈 Sext2D[1]와 그 직전의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R2)의 사이즈 Sext2[1]이 이하와 같이 따로따로 결정 가능하다. 또, 깊이모드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먼저, 2D 익스텐트 EXT2D[1]의 사이즈 Sext2D[1]은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2)의 사이즈 Sext1[1]와 2D 재생전용블록 (L3+L4)2D의 사이즈 S2D의 합 Sext1[1]+S2D와 같다. 따라서, 2D 재생모드에서의 심리스 재생의 실현에는 그 합 Sext1[1]+S2D가 2D 익스텐트 EXT2D[1]의 판독개시부터 롱 점프(JLY)의 완료까지의 사이에 리드 버퍼에서 시스템 타깃 디코더에 보내지는 데이터량 이상이면 좋다. 한편, 층 경계(LB)의 직전에 위치하는 3D 익스텐트 EXTSS[1]에 속하는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R2)과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2)의 각 사이즈 Sext2[1], Sext1[1]은 롱 점프(JLY)의 직전까지 버퍼 여유량을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값이면 좋다. 여기서, 2D 재생전용블록 (L3+L4)2D의 사이즈 S2D의 적절한 확대에 의해 2D 익스텐트 EXT2D[1]의 사이즈 Sext2D[1]=Sext1[1]+S2D를 일정하게 유지한 채로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2)의 사이즈 Sext1[1]을 더 작게 제한할 수 있다. 이에 수반하여,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R2)의 사이즈 Sext2[1]도 더 작게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3D 재생전용블록의 쌍 L3SS, L4SS는 2D 재생전용블록 (L3+L4)2D의 복제 데이터이므로, 2D 재생전용블록 (L3+L4)2D의 사이즈 S2D의 확대는 각 3D 재생전용블록 L3SS, L4SS의 직전에 위치하는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 R3, R4의 사이즈를 확대시킨다. 그러나, 하나의 2D 재생전용블록 (L3+L4)2D에 대하여 3D 재생전용블록은 두 개 L3SS, L4SS로 분할되어 있으므로, 각 사이즈는 도 23에 도시된 층 경계(LB)의 직전에 위치하는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R3)의 사이즈보다는 충분히 작게 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L/R모드의 재생장치(102) 내에 확보되어야 할 리드 버퍼의 용량은 L/R모드에서의 심리스 재생에 필요 최소한의 값까지 더욱 삭감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배치 2에서는 각 데이터블록을 롱 점프 중에서의 영상의 심리스 재생이 2D 재생모드와 L/R모드의 양쪽에서 실현 가능한 사이즈에 설계하는 것이 재생장치(102)의 디코더 내에 확보되어야 할 버퍼 용량을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한 채로 가능하다. 또, 2D 재생모드와 L/R모드에서 판독대상의 데이터블록을 변경하는 것, 특히 2D 재생전용블록 (L3+L4)2D와 3D 재생전용블록의 쌍(L3SS, L4SS) 간의 전환이 재생대상의 AV 스트림 파일을 파일 2D와 파일 SS 사이에서 전환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실현 가능하다. 또, 깊이모드에서도 동일하다.
배치 2에서는 2D 재생전용블록 (L3+L4)2D의 복제 데이터가 2개의 3D 재생전용블록 L3SS, L4SS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 외에, 복제 데이터가 3개 이상의 3D 재생전용블록으로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배치 3]
도 26은 BD-ROM 디스크(101)의 층 경계의 전후에 기록된 데이터블록 군의 물리적인 배치의 제 3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들 데이터블록 군은 도 6에 도시된 메인 TS, 제 1 서브 TS 및 제 2 서브 TS에 속한다. 이하, 이 배치를 「배치 3」이라고 한다. 도 26을 도 24과 비교하면, 배치 3은 배치 2와는 2D 재생전용블록 (L2+L3)2D가 단독으로 하나의 2D 익스텐트 EXT2D[1]로서 액세스 가능한 점에서 다르다. 그 외의 특징에 대해서는 배치 3은 배치 2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에 대한 설명은 배치 2에 대한 설명을 원용한다.
층 경계(LB)의 직전에 위치하는 2D 재생전용블록 (L2+L3)2D는 제 2의 3D 익스텐트 블록(2602) 내의 3D 재생전용블록의 쌍(L2SS, L3SS)과 비트 단위로 일치한다. 즉, 2D 재생전용블록 (L2+L3)2D와 3D 재생전용블록의 쌍(L2SS, L3SS)의 일방은 타방의 복제 데이터이다.
도 26에 도시된 각 데이터블록은 3D 재생전용블록 L2SS, L3SS을 제외하고, 파일 2D 또는 파일 DEP의 어느 하나의 익스텐트로서 액세스 가능하다. 예를 들어, 파일 2D(541)의 파일 엔트리(2610)에서는 할당 기술자 #1은 제 1의 3D 익스텐트 블록(2401) 내의 최후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1)의 사이즈와 그 선단의 LBN를 나타낸다. 따라서, 그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1)은 하나의 2D 익스텐트 EXT2D[0]로서 액세스 가능하다. 할당 기술자 #2는 2D 재생전용블록 (L2+L3)2D를 단일의 익스텐트로 간주하고, 그 사이즈와 그 선단의 LBN를 나타낸다. 따라서, 2D 재생전용블록 (L2+L3)2D는 다음의 2D 익스텐트 EXT2D[1]로서 액세스 가능하다. 할당 기술자 #3은 제 2의 3D 익스텐트 블록(2602) 내의 3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4)의 사이즈와 그 선단의 LBN를 나타낸다. 따라서, 그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4)은 3번째의 2D 익스텐트 EXT2D[2]로서 액세스 가능하다.
제 1 파일 SS(544A)의 파일 엔트리(2620)에서는 할당 기술자 #1,#2,#3,#4가 인접하는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과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의 쌍 R1+L1, R2+L2SS, R3+L3SS, R4+L4를 각각 하나의 익스텐트로 간주하고, 각 사이즈와 그 선단의 LBN을 나타낸다. 따라서, 인접하는 데이터블록의 각 쌍 R1+L1, …, R4+L4는 제 1 파일 SS(544A)의 3D 익스텐트 EXTSS[0], EXTSS[1], EXTSS[2], EXTSS[3]으로서 액세스 가능하다. 2D 재생전용블록 (L2+L3)2D는 파일 2D(541)의 하나의 익스텐트 EXT2D[1]로만 액세스 가능하고, 각 3D 재생전용블록 L2SS, L3SS은 3D 익스텐트 EXTSS[1], EXTSS[2]의 일부로서만 액세스 가능하다.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데이터블록 군에 대한 2D 재생모드에서의 재생경로(2701)와 L/R모드에서의 재생경로(2702)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또, 깊이모드에서의 재생경로는 도 16에 도시된 것으로부터 당업자에게는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다.
재생장치(102)는 2D 재생모드에서는 파일 2D(541)를 재생한다. 따라서, 2D 재생모드에서의 재생경로(2701)가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제 1의 3D 익스텐트 블록(2601) 내의 최후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1)이 최초의 2D 익스텐트 EXT2D[0]으로 판독된다. 다음에, 그 직후의 2D 재생전용블록 (L2+L3)2D가 두 번째의 2D 익스텐트 EXT2D[1]으로 연속해서 판독된다. 그 직후의 층 경계(LB)에서는 롱 점프(JLY)가 생기고, 포커스 점프의 실행과 동시에 제 2의 3D 익스텐트 블록(2602)의 선단에 위치하는 8개의 데이터블록 D2, R2, L2SS, D3, R3, L3SS, D4, R4의 판독이 스킵된다. 계속해서, 제 2의 3D 익스텐트 블록(2602) 내의 3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4)이 3번째의 2D 익스텐트 EXT2D[2]로 판독된다.
재생장치(102)는 L/R모드에서는 제 1 파일 SS(544A)을 재생한다. 따라서, L/R모드에서의 재생경로(2702)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선두의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R1)과 그 직후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1)의 쌍 R1+L1가 최초의 3D 익스텐트 EXTSS[0]으로 연속해서 판독된다. 그 직후에 롱 점프(JLY)가 생기고, 포커스 점프의 실행과 동시에 2D 재생전용블록 (L2+L3)2D와 제 2의 3D 익스텐트 블록(2602) 내의 선두의 깊이 맵 데이터블록(D3)의 판독이 스킵된다. 다음에, 제 2의 3D 익스텐트 블록(2602) 내의 선두의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R2)과 그 직후의 3D 재생전용블록 L2SS이 두 번째의 3D 익스텐트 EXTSS[1]으로 연속해서 판독되고, 그 직후의 깊이 맵 데이터블록(D3)의 판독이 최초의 점프(JLR1)에 의해서 스킵된다. 마찬가지로, 다음의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R3)과 그 직후의 3D 재생전용블록 L3SS이 3번째의 3D 익스텐트 EXTSS[2]로 연속해서 판독되고, 그 직후의 깊이 맵 데이터블록(D4)의 판독이 두 번째의 점프(JLR2)에 의해서 스킵된다. 또, 다음의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R4)과 그 직후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4)이 4번째의 3D 익스텐트 EXTSS[3]으로 연속해서 판독된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D 재생모드에서는 2D 재생전용블록 (L2+L3)2D는 판독되나, 3D 재생전용블록 L2SS, L3SS의 판독은 스킵된다. 반대로 L/R모드에서는 2D 재생전용블록 (L2+L3)2D의 판독은 스킵되나, 3D 재생전용블록 L2SS, L3SS은 판독된다. 그러나, 2D 재생전용블록 (L2+L3)2D와 3D 재생전용블록의 쌍 L2SS, L3SS는 비트 단위로 일치하고 있으므로 어느 재생모드에서도 재생되는 레프트 뷰 비디오 프레임은 동일하다. 이와 같이, 배치 3에서는 롱 점프(JLY)의 전후로 2D 재생모드에서의 재생경로(2701)와 L/R모드에서의 재생경로(2702)가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층 경계(LB)의 직전에 위치하는 2D 익스텐트 EXT2D[1]의 사이즈 Sext2D[1]와 그 직전의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R2)의 사이즈 Sext2[1]가 이하와 같이 따로따로 결정 가능하다. 또, 깊이모드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먼저, 층 경계(LB)의 직전에 연속하는 두 개의 2D 익스텐트 EXT2D[0], EXT2D[1]의 사이즈의 합 Sext2D[0]+Sext2D[1]은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1)의 사이즈 Sext2D[0]와 2D 재생전용블록 (L2+L3)2D의 사이즈 S2D의 합 Sext1[1]+S2D와 같다. 따라서, 2D 재생모드에서의 심리스 재생의 실현에는 그 합 Sext1[1]+S2D가 2D 익스텐트 EXT2D[1]의 판독개시부터 롱 점프(JLY)의 완료까지의 사이에 리드 버퍼에서 시스템 타깃 디코더에 보내지는 데이터량 이상이면 좋다. 한편, 층 경계(LB)의 직전에 위치하는 3D 익스텐트 EXTSS[0]에 속하는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R1)의 사이즈 Sext2[0]와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1)의 각 사이즈 Sext2[0], Sext2D[0]은 롱 점프(JLY)의 직전까지 버퍼 여유량을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값이면 좋다. 여기서, 2D 재생전용블록 (L2+L3)2D의 사이즈 S2D의 적절한 확대에 의해 2D 익스텐트의 쌍 EXT2D[0], EXT2D[1]의 사이즈의 합 Sext2D[0]+Sext2D[1]을 일정하게 유지한 채로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1)의 사이즈 Sext2D[0]을 더 작게 제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R1)의 사이즈 Sext2[0]도 더 작게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3D 재생전용블록의 쌍 L2SS, L3SS는 2D 재생전용블록 (L2+L3)2D의 복제 데이터이므로, 2D 재생전용블록 (L2+L3)2D의 사이즈 S2D의 확대는 각 3D 재생전용블록 L2SS, L3SS의 직전에 위치하는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 R2, R3의 사이즈를 확대시킨다. 그러나, 하나의 2D 재생전용블록 (L2+L3)2D에 대하여 3D 재생전용블록은 두 개 L2SS, L3SS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각 사이즈는 도 23에 도시된 층 경계(LB)의 직전에 위치하는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R3)의 사이즈보다는 충분히 작게 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L/R모드의 재생장치(102) 내에 확보되어야 할 리드 버퍼의 용량은 L/R모드에서의 심리스 재생에 필요 최소한의 값까지 더욱 삭감 가능하다.
이와 같이, 배치 3에서는 각 데이터블록을 롱 점프 중에서의 영상의 심리스 재생이 2D 재생모드와 L/R모드의 양쪽에서 실현 가능한 사이즈로 설계하는 것이 재생장치(102) 내에 확보되어야 할 리드 버퍼의 용량을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한 채로 가능하다. 또, 2D 재생모드와 L/R모드에서 판독대상의 데이터블록을 변경하는 것, 특히 2D 재생전용블록 (L2+L3)2D와 3D 재생전용블록의 쌍 L2SS, L3SS 간의 전환이 재생대상의 AV 스트림 파일을 파일 2D와 파일 SS의 사이에서 전환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실현 가능하다. 또, 깊이모드스에서도 동일하다.
배치 3에서는 2D 재생전용블록 (L2+L3)2D의 복제 데이터가 2개의 3D 재생전용블록 L2SS, L3SS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 외에, 복제 데이터가 도 1과 같이 한 개의 3D 재생전용블록으로 설치되어도 좋고, 또는 3개 이상의 3D 재생전용블록으로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 배치 1-3과는 달리 2D 재생전용블록은 파일 2D의 2개 이상의 익스텐트로서 액세스 가능해도 좋다. 또, 각 데이터블록은 2종류 이상의 파일 2D 또는 파일 SS의 익스텐트로서 액세스 가능해도 좋다.
≪L/R모드에만 대응하는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의 배치≫
3D 영상의 재생에 L/R모드만이 이용될 때, 상기의 배치 1-3에서 깊이 맵 데이터블록이 제거되어도 좋다. 도 28 (a)는, 도 21에 도시된 배치 1로부터 깊이 맵 데이터블록을 제거한 것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러한 데이터블록 군은 도 6에 도시된 메인 TS와 제 1 서브 TS에 속한다. 도 28 (a)를 참조하면, 층 경계(LB)의 앞에 위치하는 제 1의 3D 익스텐트 블록(2801)에서는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 군…, R1, R2 및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군…, L1, L2가 인터리브 배치로 기록되어 있다. 한편, 층 경계(LB)의 뒤에 위치하는 제 2의 3D 익스텐트 블록(2802)에서는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 군, R3, R4, … 및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군 L3SS, L4, …가 인터리브 배치로 기록되어 있다. 또, 제 1의 3D 익스텐트 블록(2801)의 후단(L2)과 층 경계(LB)의 사이에 2D 재생전용블록 L32D이 배치되고, 제 2의 3D 익스텐트 블록(2802)의 선단에는 3D 재생전용블록 L3SS이 배치되어 있다. 이들 데이터블록(L32D, L3SS)의 일방은 타방의 복제 데이터이며, 비트 단위로 일치한다.
각 3D 익스텐트 블록(2801, 2802)의 인터리브 배치에서는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과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이 그 순으로 교호로 나열된다. 또, 2개의 연속하는 데이터블록 Rn, Ln(n=…, 1, 2, 3, 4, …) 사이에서는 익스텐트 ATC 시간이 동일하다. 제 1의 3D 익스텐트 블록(2801)의 후단에 위치하는 두 개의 데이터블록 R2, L2와 제 2의 3D 익스텐트 블록(2802)의 선단에 위치하는 두 개의 데이터블록 R3, L3SS의 사이에서 각 스트림 데이터의 내용이 연속하고 있다.
도 28 (a)에 도시된 각 데이터블록은 3D 재생전용블록 L3SS을 제외하고, 파일 2D 또는 파일 DEP의 어느 하나의 익스텐트로서 액세스 가능하다. 예를 들어, 파일 2D의 파일 엔트리(2810)에서는 할당 기술자 #1은 제 1의 3D 익스텐트 블록(2801) 내의 최후에서 두 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1)의 사이즈와 그 선단의 LBN를 나타낸다. 따라서, 그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1)은 하나의 2D 익스텐트 EXT2D[0]으로서 액세스 가능하다. 할당 기술자 #2는 그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의 쌍 L2+L32D를 단일의 익스텐트로 간주하고, 그 사이즈와 그 선단의 LBN를 나타낸다. 따라서, 그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의 쌍 L2+L32D는 두 번째의 2D 익스텐트 EXT2D[1]으로서 액세스 가능하다. 할당 기술자 #3은 제 2의 3D 익스텐트 블록(2802) 내의 두 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4)의 사이즈와 그 첨단의 LBN를 나타낸다. 따라서, 그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4)은 3번째의 2D 익스텐트 EXT2D[2]로서 액세스 가능하다.
도 28 (a)에 도시된 데이터블록 군에 대해서도 AV 스트림 파일의 크로스 링크는 도 16과 동일하게 실현된다. 특히, 각 3D 익스텐트 블록(2801, 2802)에서는 깊이 맵 데이터블록이 제거되어 있으므로 익스텐트 ATC 시간이 동일한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과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의 쌍이 두 개 이상, 연속해서 배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 이들 둘 이상의 쌍이 하나의 3D 익스텐트로 액세스 되어도 좋다. 도 28 (a)를 참조하면, 파일 SS의 파일 엔트리(2820)에서는 할당 기술자 #1는 제 1의 3D 익스텐트 블록(2801) 중, 네 개의 연속하는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과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R1, L1, R2, L2)을 하나의 익스텐트로 간주하고, 이들 전체의 사이즈와 선단의 LBN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들 데이터블록(R1, L1, R2, L2)은 하나의 3D 익스텐트 EXTSS[0]으로서 액세스 가능하다. 할당 기술자 #2는 제 2의 3D 익스텐트 블록(2802) 중, 네 개의 연속하는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과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R3, L3SS, R4, L4)을 하나의 익스텐트로 간주하고, 이들 전체의 사이즈와 선단의 LBN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들 데이터블록 R3, L3SS, R4, L4는 다음의 3D 익스텐트EXTSS[1]으로서 액세스 가능하다. 여기서, 3D 익스텐트 EXTSS[0], EXTSS[1]은 각각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L1, L2, L4를 2D 익스텐트 EXT2D[0], EXT2D[1], EXT2D[2]와 공유한다. 한편, 2D 재생전용블록 L32D은 층 경계(LB)의 직전에 위치하는 2D 익스텐트 EXT2D[1]의 일부로만 액세스 가능하다. 또, 3D 재생전용블록 L3SS은 층 경계(LB)의 직후의 3D 익스텐트 EXTSS[1]의 일부로만 액세스 가능하다.
도 28 (b)는 도 28 (a)에 도시된 데이터블록 군에 대한 2D 재생 모드에서의 재생경로(2803)와 L/R모드에서의 재생경로(2804)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재생장치(102)는 2D 재생모드에서는 파일 2D를 재생한다. 따라서, 2D 재생모드에서의 재생경로(2803)가 나타내는 것과 같이, 먼저 제 1의 3D 익스텐트 블록(2801) 내의 최후에서 두 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1)이 최초의 2D 익스텐트 EXT2D[0]으로 판독되고 ,그 직후의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R2)의 판독이 최초의 점프(J2D1)에 의해서 스킵된다. 다음에, 제 1의 3D 익스텐트 블록(2801) 내의 최후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2)과 그 직후의 2D 재생전용블록 L32D의 쌍 L2+L32D이 두 번째의 2D 익스텐트 EXT2D[1]으로 연속해서 판독된다. 그 직후의 층 경계(LB)에서는 롱 점프(JLY)가 생기고, 포커스 점프의 실행과 동시에 제 2의 3D 익스텐트 블록(2802)의 선단에 위치하는 3개의 데이터블록 R3, L3SS, R4의 판독이 스킵된다. 계속해서, 제 2의 3D 익스텐트 블록(2802) 내의 두 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4)이 3번째의 2D 익스텐트 EXT2D[2]로 판독된다.
재생장치(102)는 L/R모드에서는 파일 SS를 재생한다. 따라서, L/R모드에서의 재생경로(2804)가 나타내는 것과 같이, 먼저 제 1의 3D 익스텐트 블록(2801) 내의 데이터블록 군(R1, L1, R2, L2)이 최초의 3D 익스텐트 EXTSS[0]으로 연속해서 판독된다. 그 직후에 롱 점프(JLY)가 생기고, 포커스 점프의 실행과 동시에 2D 재생전용블록 L32D의 판독이 스킵된다. 계속해서, 제 2의 3D 익스텐트 블록(2802) 내의 데이터블록 군(R3, L3SS, R4, L4)이 다음의 3D 익스텐트 EXTSS[1]로 연속해서 판독된다.
도 28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2D 재생모드에서는 2D 재생전용블록 L32D은 판독되나, 3D 재생전용블록 L3SS의 판독은 스킵된다. 반대로, L/R모드에서는 2D 재생전용블록 L32D의 판독은 스킵되나, 3D 재생전용블록 L3SS은 판독된다. 그러나, 양쪽의 데이터블록 L32D, L3SS은 비트 단위로 일치하고 있으므로, 어느 하나의 재생모드에서도 재생되는 레프트 뷰 비디오 프레임은 동일하다. 이와 같이, 배치 1에서는 L/R모드에만 대응 가능한 경우에서도 롱 점프(JLY)의 전후로 2D 재생 모드에서의 재생경로(2801)와 L/R모드에서의 재생경로(2802)가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2D 재생전용블록 L32D의 사이즈 S2D를 적절히 확대함으로써 2D 익스텐트 EXT2D[1]의 사이즈 Sext2D[1]=Sext1[1]+S2D를 일정하게 유지한 채로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2)의 사이즈 Sext1[1]을 더 작게 제한할 수 있다. 이에 수반하여,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R2)의 사이즈 Sext2[1]도 더 작게 제한할 수 있다. 그 결과, L/R모드의 재생장치(102) 내에 확보되어야 할 리드 버퍼의 용량을 L/R모드에서의 심리스 재생에 필요 최소한의 값에 더 접근시킬 수 있다. 다른 배치 2, 3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이와 같이, 배치 1-3이 L/R모드에만 대응 가능한 것이어도 각 데이터블록을 롱 점프 중에서의 영상의 심리스 재생이 2D 재생모드와 L/R모드의 양쪽에서 실현 가능한 사이즈로 설계하는 것이 재생장치(102) 내에 확보되어야 할 리드 버퍼의 용량을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한 채로 가능하다. 또, 2D 재생모드와 L/R모드에서 판독대상의 데이터블록을 변경하는 것, 특히 2D 재생전용블록 L32D과 3D 재생전용블록 L3SS 간의 전환이 재생 대상의 AV 스트림 파일을 파일 2D와 파일 SS 사이에서 전환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실현 가능하다.
≪AV 스트림 파일에 포함되는 그 외의 TS 패킷≫
AV 스트림 파일에 포함되는 TS 패킷의 종류에는 도 6, 7에 도시된 엘리멘터리 스트림에서 변환된 것 외에도, PAT(Program Association Table), PMT(Program Map Table) 및 PCR(Program Clock Reference)가 있다. PCR, PMT 및 PAT는 유럽 디지털 방송규격에 의해 정해진 것이며, 본래는 하나의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퍼셜 트랜스포트 스트림(partial transport stream)을 규정하는 역할을 갖는다. PCR, PMT 및 PAT를 이용함으로써 AV 스트림 파일도 그 퍼셜 트랜스포트 스트림과 동일하게 규정된다. 구체적으로는, PAT는 동일한 AV 스트림 파일에 포함되는 PMT의 PID를 나타낸다. PAT 자신의 PID는 0이다. PMT는 동일한 AV 스트림 파일에 포함되는 영상·음성·자막 등을 나타내는 각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PID와 그 속성정보를 포함한다. PMT는 그 AV 스트림 파일에 관한 각종 디스크립터(descriptor)(기술자라고도 한다)를 포함한다. 디스크립터에는 특히, 그 AV 스트림 파일의 카피의 허가/금지를 나타내는 카피 컨트롤 정보가 포함된다. PCR은 자신에게 할당된 ATS에 대응시켜야 할 STC(System Time Clock)의 값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STC는 디코더 내에서 PTS 및 DTS의 기준으로 이용되는 클록이다. 디코더는 PCR를 이용하여 ATC에 STC를 동기하게 한다.
도 29는 PMT(2910)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PMT(2910)는PMT 헤더(2901), 디스크립터(2902) 및 스트림 정보(2903)를 포함한다. PMT 헤더(2901)은 PMT(2910)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길이 등을 나타낸다. 각 디스크립터(2902)는 PMT(2910)를 포함하는 AV 스트림 파일의 전체에 관한 디스크립터이다. 상술한 카피 컨트롤 정보는 디스크립터(2902)의 하나에 포함된다. 스트림 정보(2903)는 AV 스트림 파일에 포함되는 각 엘리멘터리 스트림에 관한 정보이며, 한 개씩 다른 엘리멘터리 스트림에 할당되어 있다. 각 스트림 정보(2903)는 스트림 타입(2931), PID(2932) 및 스트림 디스크립터(2933)를 포함한다. 스트림 타입(2931)은 그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압축에 이용된 코덱의 식별정보 등을 포함한다. PID(2932)는 그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PID를 나타낸다. 스트림 디스크립터(2933)는 그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속성정보, 예를 들어 프레임 레이트 및 어스펙트 비를 포함한다.
PCR, PMT 및 PAT를 이용함으로써 재생장치 내의 디코더에 AV 스트림 파일을 유럽 디지털 방송규격에 준거한 퍼셜 트랜스포트 스트림과 동일하게 처리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BD-ROM 디스크(101)용의 재생장치와 유럽 디지털 방송규격에 준거한 단말장치 사이의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다.
≪클립정보파일≫
도 30은 제 1 클립정보파일(01000.clpi), 즉 2D 클립정보파일(531)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디펜던트 뷰 클립정보파일(02000.clpi, 03000.clpi) (532, 533)도 동일한 데이터구조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먼저 클립정보파일 전반에 공통되는 데이터구조를 2D 클립정보파일(531)의 데이터구조를 예로 설명한다. 그 후, 2D 클립정보파일과 디펜던트 뷰 클립정보파일의 데이터구조상의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0을 참조하면, 2D 클립정보파일(531)은 클립정보(3010), 스트림 속성정보(3020), 엔트리 맵(3030) 및 3D 메타데이터(3040)를 포함한다. 3D 메타데이터(3040)는 오프셋 테이블(3041)과 익스텐트 기점(3042)을 포함한다.
클립정보(3010)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레이트(3011), 재생 개시시각(3012) 및 재생 종료시각(3013)을 포함한다. 시스템 레이트(3011)는 파일 2D(01000.m2ts)(541)에 속하는“TS 패킷”이 재생장치(102) 내에서 리드 버퍼로부터 시스템 타깃 디코더에 전송되는 속도의 최고치를 나타낸다. 파일 2D(541)에서는 TS 패킷의 전송속도가 시스템 레이트 이하로 억제되도록 소스 패킷의 ATS의 간격이 설정되어 있다. 재생 개시시각(3012)은 파일 2D(541)의 선두의 VAU의 PTS, 예를 들어 선두의 영상 프레임의 PTS를 나타낸다. 재생 종료시각(3012)은 파일 2D(541)의 후단의 VAU의 PTS에서 소정 양 늦은 STC의 값, 예를 들어 최후의 영상 프레임의 PTS에 1프레임당 재생시간을 더한 값을 나타낸다.
스트림 속성정보(3020)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 2D(541)에 포함되는 각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PID(3021)와 그 속성정보(3022) 사이의 대응 표이다. 속성정보(3022)는 비디오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 PG 스트림 및 IG 스트림의 각각에서 다르다. 예를 들어 프라이머리 비디오 스트림의 PID0x1011에 대응된 속성정보는 그 비디오 스트림의 압축에 이용된 코덱의 종류, 그 비디오 스트림을 구성하는 각 픽처의 해상도, 어스펙트 비 및 프레임 레이트를 포함한다. 한편, 프라이머리 오디오 스트림의 PID0x1101에 대응된 속성정보는 그 오디오 스트림의 압축에 이용된 코덱의 종류, 그 오디오 스트림에 포함되는 채널 수, 언어 및 샘플링 주파수를 포함한다. 속성정보(3022)는 재생장치(102)에 의해 디코더의 초기화에 이용된다.
[엔트리 맵]
도 31 (a)는 엔트리 맵(3030)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1 (a)를 참조하면, 엔트리 맵(3030)은 테이블(3100)을 포함한다. 테이블(3100)은 메인 TS에 다중화된 비디오 스트림과 동일한 수이며, 각 비디오 스트림에 하나씩 할당되어 있다. 도 31 (a)에서는 각 테이블(3100)이 할당 처의 비디오 스트림의 PID로 구별되어 있다. 각 테이블(3100)은 엔트리 맵 헤더(3101)와 엔트리 포인트(3102)를 포함한다. 엔트리 맵 헤더(3101)는 그 테이블(3100)에 대응된 PID와 그 테이블(3100)에 포함되는 엔트리 포인트(3102)의 총 수를 포함한다. 엔트리 포인트 (3102)는 PTS(3103)와 소스 패킷 번호(SPN)(3104)의 쌍을 개별로 다른 엔트리 포인트 ID(EP_ID)(3105)에 대응시킨다. PTS(3103)는 엔트리 맵 헤더(3101)가 나타내는 PID의 비디오 스트림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I 픽처의 PTS와 같다. SPN(3104)는 그 I 픽처가 저장된 소스 패킷 군의 선두의 SPN과 동일하다. 「SPN」은 하나의 AV 스트림 파일에 속하는 소스 패킷 군에 선두에서부터 순서대로 할당된 일련번호를 말한다. SPN는 그 AV 스트림 파일 내에서의 각 소스 패킷의 어드레스로 이용된다. 2D 클립정보파일(531) 내의 엔트리 맵(3030)에서는 SPN는 파일 2D(541)에 속하는 소스 패킷 군, 메인 TS를 구성하는 소스 패킷 군에 할당된 번호를 의미한다. 따라서, 엔트리 포인트(3102)는 파일 2D(541)에 포함되는 I 픽처의 PTS와 어드레스, 즉 SPN와의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낸다.
엔트리 포인트(3102)는 파일 2D(541) 내의 모든 I 픽처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단, I 픽처가 GOP의 선두에 위치하고, 또한 그 I 픽처의 선두를 포함하는 TS 패킷이 2D 익스텐트의 선두에 위치할 때는 그 I 픽처에는 엔트리 포인트(3102)를 설정하지 않으면 안 된다.
도 31 (b)는 파일 2D(541)에 속하는 소스 패킷 군(3110) 중, 엔트리 맵(3030)에 의해서 각 EP_ID(3105)에 대응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1 (c)는 그 소스 패킷 군(3110)과 BD-ROM 디스크(101) 상의 데이터블록 군(3120) 간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재생장치(102)는 파일 2D(541)에서 2D 영상을 재생할 때, 엔트리 맵(3030)을 이용하여 임의의 신을 나타내는 프레임의 PTS에서 그 프레임을 포함하는 소스 패킷의 SPN를 특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재생장치(102)는 재생 개시위치로 특정의 엔트리 포인트의 PTS, 예를 들어 PTS=360000이 지정된 때, 먼저 엔트리 맵(3030)에서 그 PTS에 대응된 SPN=3200을 검색한다. 재생장치(102)는 다음에, 그 SPN과 소스 패킷 한 개당 데이터량 192 바이트의 곱을 섹터 하나당 데이터량 2048바이트로 나누었을 때의 몫 SPN/192×2048을 구한다. 도 8 (b), (c)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그 값은 메인 TS 중, 그 SPN이 할당된 소스 패킷을 포함하는 얼라인드 유닛(aligned unit)보다 앞의 부분이 기록된 섹터의 총 수와 같다. 도 31 (b)에 나타낸 예에서는, 그 값 3200×192/2048=300은 SPN이 0에서 3199까지의 소스 패킷 군(3111)이 기록된 섹터의 총 수와 같다. 재생장치(102)는 계속해서 파일 2D(541)의 파일 엔트리 내의 할당 기술자를 참조하고, 2D 익스텐트 군이 기록된 섹터 군의 선두에서부터 세어서 (상기의 총 수+1)번째의 섹터의 LBN를 특정한다. 도 31 (c)에 도시된 예에서는 2D 익스텐트 EXT2D[0], EXT2D[1], EXT2D[2], …로서 액세스 가능한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L1, L2+L32D, L4, …가 기록된 섹터 군 중, 선두에서부터 세어서 301번째의 섹터의 LBN이 특정된다. 재생장치(102)는 그 LBN를 BD-ROM 드라이브(121)에 지정한다. 이에 의해 그 LBN의 섹터로부터 순서대로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군이 얼라인드 유닛 단위로 판독된다. 재생장치(102)는 최초로 판독된 얼라인드 유닛에서 재생 개시위치의 엔트리 포인트가 나타내는 소스 패킷을 선택하고, I 픽처로 복호한다. 그 이후, 후속하는 픽처는 앞서 복호된 픽처를 이용하여 순차 복호된다. 이렇게 하여, 재생장치(102)는 파일 2D(541)에서 특정의 PTS 이후의 2D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엔트리 맵(3030)은 빨리 감기 재생 및 되감기 재생 등의 특수재생의 효율적인 처리에 유리하다. 예를 들어, 2D 재생모드의 재생장치(102)는, 먼저 엔트리 맵(3030)을 참조하여, 재생 개시위치, 예를 들어 PTS=360000 이후의 PTS를 포함하는 엔트리 포인트, EP_ID=2, 3, …에서 SPN=3200, 4800, …을 차례로 판독한다. 재생장치(102)는 다음에 파일 2D(541)의 파일 엔트리를 이용하여, 각 SPN에 대응하는 섹터의 LBN를 특정한다. 재생장치(102)는 계속해서, 각 LBN를 BD-ROM 드라이브(121)에 지정한다. 이에 의해 각 LBN의 섹터에서 얼라인드 유닛이 판독된다. 재생장치(102)는 각 얼라인드 유닛에서 각 엔트리 포인트가 나타내는 소스 패킷을 선택하여 I 픽처로 복호한다. 이렇게 하여, 재생장치(102)는 2D 익스텐트 군 EXT2D[n] 자체를 해석하는 일 없이 파일 2D(541)로부터 I 픽처를 선택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오프셋 테이블]
도 32 (a)는 오프셋 테이블(3041)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오프셋 테이블(3041)은 3D 재생모드의 재생장치(102)에 의한 크로핑 처리(cropping processing)에 이용되는 정보이다. 「크로핑 처리」란 2D 영상을 나타내는 데이터로부터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를 나타내는 플레인 데이터(plane data)의 쌍을 생성하는 처리를 말한다. 「플레인 데이터」란 화소 데이터의 2차원 배열을 의미하며, 그 배열의 사이즈는 영상 프레임의 해상도와 같다. 한 세트의 화소 데이터는 색 좌표치와 α값(불투명도)의 조합으로 완성된다. 색 좌표치는 RGB치 또는 YCrCb치로 나타낸다. 크로핑 처리의 대상으로는 메인 TS 내의 PG 스트림, IG 스트림 및 세컨더리 비디오 스트림의 각각에서 생성되는 플레인 데이터 및 BD-J 오브젝트에 따라서 생성되는 이미지 플레인 데이터가 포함된다. 크로핑 처리는 플레인 데이터 내에서의 각 화소 데이터의 위치를 수평방향으로 변화시킨다. 따라서, 크로핑 처리에 의해서 얻을 수 있는 플레인 데이터의 쌍에서는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각 표시 위치가 원래의 2D 영상의 표시 위치에서 좌우로 어긋나 있다. 이러한 변위가 시청자에게 양 눈 시차로 해서 지각됨으로써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쌍이 그 시청자에는 하나의 3D 영상으로 보인다.
도 32 (a)를 참조하면, 오프셋 테이블(3041)은 PG 스트림, IG 스트림 및 세컨더리 비디오 스트림의 PID별로 테이블(3210)을 포함한다. 각 테이블(3210)은 PTS(3201)와 오프셋 값(3202)의 대응 표이다. PTS(3201)는 PG 스트림, IG 스트림 및 세컨더리 비디오 스트림에서 생성되는 각 플레인 데이터의 표시 시각을 나타낸다. 오프셋 값(3202)는 크로핑 처리에 의한 각 화소 데이터의 수평방향의 변위량을 부호가 첨부된 화소 수로 나타내는 것이다. 예를 들어, 플러스 부호는 오른쪽 방향의 변위를 나타내고, 마이너스 부호는 그 역이다. 오프셋 값(3202)의 부호는 3D 영상의 깊이가 화면보다 앞쪽인지 안쪽인지에 의해서 정해져 있다. 이하, PTS(3201)와 오프셋 값(3202)의 쌍(3203)을 「오프셋 엔트리」라고 한다.
도 32 (b)는 오프셋 엔트리의 유효구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각 오프셋 엔트리의 유효구간은 STC에 의해 계산되는 시간에서, 그 오프셋 엔트리의 PTS가 나타내는 시각에서부터 다음의 오프셋 엔트리의 PTS가 나타내는 시각까지의 기간이다. 플레인 데이터의 PTS가 어느 오프셋 엔트리의 유효구간에 속할 때, 크로핑 처리에서는 그 플레인 데이터 내의 화소 데이터의 표시 위치가 그 오프셋 엔트리의 오프셋 값만 변화한다. 도 32 (a)에 나타낸 예에서는, 오프셋 엔트리#1의 PTS가 180000이고, 오프셋 엔트리#2의 PTS가 270000이며, 오프셋 엔트리#3의 PTS가 360000이다. 그 경우, 도 32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프셋 엔트리#1의 오프셋 값“+5”는 180000인가들 270000까지의 STC의 범위(3204)에서 유효하고, 오프셋 엔트리#2의 오프셋 값“+3”은 270000에서 360000까지의 STC의 범위(3205)에서 유효하다.
[익스텐트 기점]
도 33 (a)는 익스텐트 기점(3042)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3 (a)를 참조하면, 「익스텐트 기점(Extent_Start_Point)」(3042)는 베이스 뷰 익스텐트 ID(EXT1_ID)(3311)와 SPN(3312)를 포함한다. EXT1_ID(3311)는 제 1 파일 SS(01000.ssif)(544A)에 속하는 각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에 선두에서부터 순서대로 할당된 일련번호이다. SPN(3312)는 각 EXT1_ID(3311)에 하나씩 할당되고, 그 EXT1_ID(3311)에서 식별되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의 선단에 위치하는 소스 패킷의 SPN과 동일하다. 여기서, 그 SPN는 제 1 파일 SS(544A)에 속하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군에 포함되는 각 소스 패킷에 선두에서부터 순서대로 할당된 일련번호가 있다.
도 16에 도시된 인터리브 배치의 데이터블록 군에서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은 파일 2D(01000.m2ts)와 제 1 파일 SS(544A)에 공유된다. 그러나, 도 21, 24, 26에 도시된 배치 1-3에서는 2D 재생전용블록은 파일 2D(541)에만 속하고, 3D 재생전용블록은 제 1 파일 SS(544A)에만 속한다. 따라서, 익스텐트 기점(3042)이 나타내는 SPN(3312)는 파일 2D(541)에 속하는 2D 익스텐트의 선단에 위치하는 소스 패킷의 SPN과는 일반적으로 다르다.
도 33 (b)는 제 2 클립정보파일(02000.clpi), 즉 라이트 뷰 클립정보파일(532)에 포함되는 익스텐트 기점(3320)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3 (b)를 참조하면, 익스텐트 기점(3320)은 라이트 뷰 익스텐트 ID(EXT2_ID)(3321)와 SPN(3322)를 포함한다. EXT2_ID3321는 제 1 파일 SS(544A)에 속하는 각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에 선두에서부터 순서대로 할당된 일련번호이다. SPN(3322)는 각 EXT2_ID(3321)에 하나씩 할당되고, 그 EXT2_ID(3321)에서 식별되는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의 선단에 위치하는 소스 패킷의 SPN과 동일하다. 여기서, 그 SPN는 제 1 파일 SS(544A)에 속하는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 군에 포함되는 각 소스 패킷에 선두로부터 순서대로 할당된 일련번호이다.
도 33 (d)은 제 1 파일 DEP(02000.m2ts)(542)에 속하는 라이트 뷰 익스텐트EXT2[0], EXT2[1], …와, 익스텐트 기점(3320)이 나타내는 SPN(3322)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6, 21, 24, 26의 어느 하나에 도시된 데이터블록 군에서도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은 제 1 파일 DEP(542)와 제 1 파일 SS(544A)에 공유된다. 따라서, 도 33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익스텐트 기점(3320)이 나타내는 각 SPN(3322)는 각 라이트 뷰 익스텐트 EXT2[0], EXT2[1], …의 선단에 위치하는 소스 패킷의 SPN과 동일하다.
2D 클립정보파일(531)의 익스텐트 기점(3042)과 라이트 뷰 클립정보파일(532)의 익스텐트 기점(3320)은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 1 파일 SS(544A)에서 3D 영상이 재생될 때 각 3D 익스텐트에 포함되는 데이터블록의 경계의 검출에 이용된다.
도 33 (e)은 제 1 파일 SS(544A)에 속하는 3D 익스텐트 EXTSS[0], EXTSS[1], …와 BD-ROM 디스크(101) 상의 데이터블록 군(3350) 사이의 대응관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3 (e)을 참조하면, 데이터블록 군(3350)은 도 21에 도시되어 있는 배치 1과 동일하다. 또, 이하의 설명은 인터리브 배치 및 다른 배치 2, 3에서도 동일하게 성립한다. 데이터블록 군(3350)에서는 인접하는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과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의 쌍 R1+L1, R2+L2, R3+L3SS, R4+L4가 각각 3D 익스텐트 EXTSS[0], EXTSS[1], EXTSS[2], EXTSS[3]으로서 액세스 가능하다. 또, n번째의 3D 익스텐트 EXTSS[n](n=0, 1, 2, …)에서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L(n+1)에 포함되는 소스 패킷의 수는 익스텐트 기점(3042)에서 EXT1_ID=n+1, n의 각각에 대응하는 SPN 간의 차 A(n+1)-An와 같다(여기서, A0=0). 한편,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 R(n+1)에 포함되는 소스 패킷의 수는 익스텐트 기점(3320)에서 EXT2_ID=n+1, n의 각각 대응하는 SPN 간의 차 B(n+1)-Bn와 같다(여기서, B0=0).
L/R모드의 재생장치(102)는 제 1 파일 SS(544A)에서 3D 영상을 재생할 때, 각 클립정보파일(531, 532)의 엔트리 맵에 더하여 익스텐트 기점(3042, 3320)을 이용하여 임의의 씬의 라이트 뷰를 나타내는 프레임의 PTS로부터 그 프레임을 포함하는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이 기록된 섹터의 LBN를 특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재생장치(102)는 먼저, 예를 들어 라이트 뷰 클립정보파일(532)의 엔트리 맵에서 그 PTS에 대응된 SPN를 검색한다. 만일, 그 SPN이 나타내는 소스 패킷이 제 1 파일 DEP(542)의 3번째의 라이트 뷰 익스텐트 EXT2[2], 즉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R3)에 포함되는 경우를 상정한다. 재생장치(102)는 다음에 라이트 뷰 클립정보파일(532)의 익스텐트 기점(3320)이 나타내는 SPN(3322) 중에서 목표의 SPN 이하에서 최대의 것“B2”와, 그에 대응하는 EXT2_ID“2”를 검색한다. 재생장치(102)는 계속해서 2D 클립정보파일(531)의 익스텐트 기점(3042)에서 그 EXT2_ID“2”와 동일한 EXT1_ID에 대응하는 SPN(3312)의 값“A2”를 검색한다. 재생장치(102)는 검색된 SPN(3024, 3320)의 값의 합 B2+A2를 구한다. 도 33 (e)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그 합 B2+A2는 3D 익스텐트 군 EXTSS[0], EXTSS[1], …에 포함되는 데이터블록 중, 3번째의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R3)보다 앞에 배치된 것에 포함되는 소스 패킷의 총 수와 같다. 따라서, 그 합 B2+A2와 소스 패킷 하나당 데이터량 192바이트의 곱을 섹터 하나당 데이터량 2048바이트로 나누었을 때의 몫 (B2+A2)×192/2048은 3D 익스텐트 군의 선두에서 3번째의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R3)의 직전까지의 섹터 수와 같다. 이 몫을 이용하여 제 1 파일 SS(544A)의 파일 엔트리 내의 할당 기술자를 거슬러 올라가면, 그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R3)의 선단이 기록된 섹터의 LBN를 특정할 수 있다.
재생장치(102)는 상기와 같이 LBN를 특정한 후, 그 LBN를 BD-ROM 드라이브(121)에 지정한다. 이에 의해 그 LBN의 섹터 이후에 기록된 3D 익스텐트 군, 즉 3번째의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R3) 이후의 3D 익스텐트 군이 얼라인드 유닛 단위로 판독된다.
재생장치(102)는 익스텐트 기점(3042, 3320)을 이용하여 판독된 각 3D 익스텐트에서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과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을 교호로 추출한다. 예를 들어, 도 33 (e)에 도시된 데이터블록 군(3350)에서 3D 익스텐트 군EXTSS[n](n=0, 1, 2, …)가 차례로 판독될 때를 상정한다. 재생장치(102)는 먼저, 최초의 3D 익스텐트 EXTSS[0]의 선두에서 B1개의 소스 패킷을 최초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R1)으로 추출한다. 재생장치(102)는 다음에, B1번째의 소스 패킷과 거기에 계속되는 (A1-1)개의 소스 패킷의 계 A1개의 소스 패킷을 최초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1)으로 추출한다. 재생장치(102)는 계속해서, (B1+A1)번째의 소스 패킷과 거기에 계속되는 (B2-B1-1)개의 소스 패킷의 계 (B2-B1)개의 소스 패킷을 두 번째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R2)으로 추출한다. 재생장치(102)는 (A1+B2)번째의 소스 패킷과 거기에 계속되는 (A2-A1-1)개의 소스 패킷의 계 (A2-A1)개의 소스 패킷을 두 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2)으로 추출한다. 그 이후도 재생장치(102)는 마찬가지로, 판독되는 소스 패킷 수로부터 각 3D 익스텐트 내의 데이터블록간의 경계를 검출하고, 디펜던트 뷰와 베이스 뷰의 각 데이터블록을 교호로 추출한다. 추출된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과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은 병행해서 시스템 타깃 디코더에 인계되어서 복호된다.
이렇게 하여, L/R모드의 재생장치(102)는 제 1 파일 SS(544A)로부터 특정의 PTS 이후의 3D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그 결과, 재생장치(102)는 BD-ROM 드라이브(121)의 제어에 관한 상기의 이점 (A), (B)를 실제로 누릴 수 있다.
≪파일 베이스≫
도 33 (c)는 L/R모드의 재생장치(102)에 의해서 제 1 파일 SS(544A)에서 추출된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L1, L2, …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3 (e)에 도시된 있는 데이터블록 군(3350)은 2D 재생전용블록 L32D과 3D 재생전용블록 L3SS의 양쪽을 포함한다. 그러나, 도 33 (c)에 도시된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군은 파일(2D541)의 2D 익스텐트 군과는 달리 2D 재생전용블록 L32D에 대신하여 3D 재생전용블록 L3SS을 포함한다. 따라서, 익스텐트 기점(3042)이 나타내는 SPN(3312)는 각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의 선단에 위치하는 소스 패킷의 SPN과 동일하다. 도 33 (c)에 도시된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군과 마찬가지로, 익스텐트 기점을 이용하여 하나의 파일 SS로부터 추출되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군을 「파일 베이스」라고 한다. 또, 파일 베이스에 포함되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을 「베이스 뷰 익스텐트」라고 한다. 각 베이스 뷰 익스텐트는 도 33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2D 클립정보파일 내의 익스텐트 기점에 의해서 참조된다.
베이스 뷰 익스텐트는 2D 재생전용블록과 3D 재생전용블록을 제외하고 2D 익스텐트와 실체, 즉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을 공유한다. 또, 서로 대응하는 2D 재생전용블록과 3D 재생전용블록은 비트 단위로 일치한다. 따라서, 파일 베이스는 파일 2D와 동일한 메인 TS를 포함한다. 그러나, 베이스 뷰 익스텐트는 2D 익스텐트와 달리, 어느 파일의 파일 엔트리 내의 할당 기술자에 의해도 참조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베이스 뷰 익스텐트는 클립정보파일 내의 익스텐트 기점을 이용하여 파일 SS 내의 3D 익스텐트에서 추출된다. 이와 같이, 파일 베이스는 도 4에 도시된 본래의 파일과는 달리, 파일 엔트리를 포함하지 않고, 또한 베이스 뷰 익스텐트의 참조에 익스텐트 기점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의미로 파일 베이스는 「가상적 파일」이다. 특히, 파일 베이스는 파일시스템에서는 인식되지 않고, 도 5에 도시된 디렉터리/파일 구조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BD-ROM 디스크(101) 상에 기록된 3D 영상 콘텐츠는 메인 TS에 대한 서브 TS를 한 종류만 포함하는 것이라도 좋다. 도 34는 그 콘텐츠를 포함하는 데이터블록 군의 배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4를 참조하면, 데이터블록 군(3400)은 도 16, 21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n=…, 0, 1, 2, 3, …)와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n]를 한 종류씩 포함한다. 층 경계(LB) 의 앞에는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군…, D[0], D[1]과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군…, B[0], B[1]이 인터리브 배치로 기록되고, 제 1의 3D 익스텐트 블록(3401)을 구성하고 있다. 제 1의 3D 익스텐트 블록(3401)의 후단 B[1]과 층 경계(LB)의 사이에는 2D 재생전용블록 B[2]2D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층 경계(LB)의 뒤에는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군 D[2], D[3], …과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군 B[2]SS, B[3], …가 인터리브 배치로 기록되며, 제 2의 3D 익스텐트 블록(3402)을 구성하고 있다. 제 2의 3D 익스텐트 블록(3402) 내의 선두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2]SS는 3D 재생전용블록이며, 2D 재생전용블록 B[2]2D와 비트 단위로 일치한다.
도 34에는 데이터블록 군(3400)과 파일 2D(3410)의 익스텐트 군 사이의 대응관계도 도시되어 있다. 제 1의 3D 익스텐트 블록(3401) 내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0]은 최후의 것 B[1]을 제외하고, 단독으로 하나의 2D 익스텐트…, EXT2D[0]으로 파일 2D(3410)에 속한다. 제 1의 3D 익스텐트 블록(3401) 내의 최후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1]은 그 직후의 2D 재생전용블록 B[2]2D와의 쌍으로 하나의 2D 익스텐트 EXT2D[1]로 파일 2D(3410)에 속한다. 제 2의 3D 익스텐트 블록 (3402) 내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3], …은 3D 재생전용블록 B[2]SS를 제외하고, 2D 익스텐트 EXT2D[2], …로 파일 2D(3410)에 속한다. 각 2D 익스텐트는 파일 2D(3410)의 파일 엔트리 내의 할당 기술자를 참조 데이터로 이용함으로써 액세스 가능하다.
도 34에는 데이터블록 군(3400)과 파일 DEP(3412)의 익스텐트 군의 사이의 대응관계도 도시되어 있다. 제 1의 3D 익스텐트 블록(3401) 내의 각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0], D[1] 및 제 2의 3D 익스텐트 블록(3402) 내의 각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2], D[3], …은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 …, EXT2[0], EXT2[1], EXT2[2], …로 파일 DEP(3412)에 속한다. 각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는 파일 DEP(3412)의 파일 엔트리 내의 할당 기술자를 참조 데이터로 이용함으로써 액세스 가능하다.
도 34에는 데이터블록 군(3400)과 파일 SS(3420)의 익스텐트 군 사이의 대응관계도 도시되어 있다. 데이터블록 군(3400)은 도 16에 도시된 것과 달리 깊이 맵 데이터블록을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어느 3D 익스텐트 블록(3401, 3402) 내의 인터리브 배치에서도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0], D[1], D[2], D[3], …와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0], B[1], B[2]SS, B[3], …는 교호로 연속하고 있다. 그 경우, 파일 SS(3420)는 익스텐트 ATC 시간이 동일한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과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의 쌍이 두 개 이상 연속하는 부분을 하나의 3D 익스텐트로 포함해도 좋다. 도 34에서는 제 1의 3D 익스텐트 블록(3401) 내의 두 개가 연속하는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과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의 쌍 D[0]+B[0], D[1]+B[1]이 하나의 3D 익스텐트 EXTSS[0]으로 파일 SS(3420)에 속한다. 또, 제 2의 3D 익스텐트 블록(3402) 내의 두 개의 연속하는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과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의 쌍 D[2]+B[2]SS, D[3]+B[3]이 하나의 3D 익스텐트 EXTSS[1]로 파일 SS(3420)에 속한다. 3D 익스텐트 EXTSS[0], EXTSS[1]은 2D 익스텐트 EXT2D[0], EXT2D[1], EXT2D[2], EXT2D[3]과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0], B[1], B[2]SS, B[3]을 공유하고,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 EXT2[0], EXT2[1], EXT2[2], EXT2[3]과는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0], D[1], D[2], D[3]을 공유한다. 각 3D 익스텐트는 파일 SS(3420)의 파일 엔트리 내의 할당 기술자를 참조 데이터로 이용하여 액세스 가능하다.
재생장치(102)는 3D 익스텐트 EXTSS[0], EXTSS[1]을 판독한 후, 파일 2D(3410)와 파일 DEP(3412)의 각각에 대응하는 클립정보파일 내의 익스텐트 기점을 이용하여 각 3D 익스텐트 EXTSS[0], EXTSS[1]로부터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0], B[1], B[2]SS, B[3]을 추출한다. 이들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B[0], B[1], B[2]SS, B[3]은 베이스 뷰 익스텐트 EXT1[0], EXT1[1], EXT1[2], EXT1[3]으로 파일 베이스(3411)에 속한다. 각 베이스 뷰 익스텐트 EXT1[0], EXT1[1], EXT1[2], EXT1[3]은 파일 2D(3410)에 대응하는 2D 클립정보파일 내의 익스텐트 기점에 의해서 참조된다.
이하,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한,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은(2D 재생전용블록을 제외하고) 베이스 뷰 익스텐트와 동일시하고,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은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와 동일시한다.
≪디펜던트 뷰 클립정보파일≫
디펜던트 뷰 클립정보파일은 도 30-33에 도시된 2D 클립정보파일과 데이터구조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디펜던트 뷰 클립정보파일과 2D 클립정보파일 간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하고, 동일한 점에 대해서는 상기의 설명을 원용한다.
디펜던트 뷰 클립정보파일은 2D 클립정보파일과는 다음의 3점 (i), (ii), (iii)에서 다르다: (i) 스트림 속성정보에 조건이 부과되어 있다; (ii) 엔트리 포인트에 조건이 부과되어 있다; (iii) 3D 메타데이터가 오프셋 테이블을 포함하지 않는다.
(i)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과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이 L/R모드의 재생장치(102)에 의해서 3D 영상의 재생에 이용되어야 할 때,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은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을 이용하여 압축되어 있다. 이때,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은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과 비디오 스트림 속성이 동일하게 일치된다. 여기서,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에 관한 비디오 스트림 속성정보는 2D 클립정보파일의 스트림 속성정보(3020) 내에서 PID=0x1011에 대응되어 있다.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에 관한 비디오 스트림 속성정보는 디펜던트 뷰 클립정보파일의 스트림 속성정보 내에서 PID=0x1012 또는 0x1013에 대응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비디오 스트림 속성정보 간에서는 도 30에 도시되어 있는 각 항목, 즉, 코덱, 해상도, 어스펙트 비 및 프레임 레이트가 일치해야 한다. 코덱의 종류가 일치하고 있으면,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과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픽처 간에 부호화에서의 참조관계가 성립하므로, 각 픽처를 복호할 수 있다. 해상도, 어스펙트 비 및 프레임 레이트가 모두 일치하고 있으면, 좌우의 영상의 화면표시를 동기 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이들 영상을 3D 영상으로 시청자에게 위화감을 주는 일 없이 보일 수 있다.
(ii) 디펜던트 뷰 클립정보파일의 엔트리 맵은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에 할당된 테이블을 포함한다. 이 테이블은 도 31 (a)에 도시된 3100과 마찬가지로, 엔트리 맵 헤더와 엔트리 포인트를 포함한다. 엔트리 맵 헤더는 대응하는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PID, 즉 0x1012 또는 0x1013를 나타낸다. 각 엔트리 포인트는 한 쌍의 PTS와 SPN를 하나의 EP_ID에 대응시키고 있다. 각 엔트리 포인트의 PTS는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GOP의 선두의 픽처의 PTS와 같다. 각 엔트리 포인트의 SPN는 동일한 엔트리 포인트에 속하는 PTS가 나타내는 픽처가 저장된 소스 패킷 군의 선두의 SPN과 동일하다. 여기서, SPN는 파일 DEP에 속하는 소스 패킷 군, 즉 서브 TS를 구성하는 소스 패킷 군에 선두에서부터 순서대로 할당된 일련번호를 의미한다. 각 엔트리 포인트의 PTS는 2D 클립정보파일의 엔트리 맵 중,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에 할당된 테이블 내의 엔트리 포인트의 PTS와 일치해야 한다. 즉, 동일한 3D VAU에 포함되는 한 쌍의 픽처의 일방을 포함하는 소스 패킷 군의 선두에 엔트리 포인트가 설정되어 있을 때에는 항상 타방을 포함하는 소스 패킷 군의 선두에도 엔트리 포인트가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도 35는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3510)과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3520)에 설정된 엔트리 포인트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각 비디오 스트림(3510, 3520)에서는 선두에서부터 세어서 동일한 순서의 GOP가 동일한 재생기간의 영상을 나타낸다. 도 35를 참조하면,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3510)에서는 선두에서부터 세어서 홀수 번째에 위치하는 GOP#1, GOP#3, GOP#5의 각 선두에 엔트리 포인트(3501B, 3503B, 3505B)가 설정되어 있다. 또,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3520)에서도 선두에서부터 세어서 홀수 번째에 위치하는 GOP#1, GOP#3, GOP#5의 각 선두에 엔트리 포인트(3501D, 3503D, 3505D)가 설정되어 있다. 그 경우, 재생장치(102)는, 예를 들어 GOP#3에서 3D 영상의 재생을 개시할 때, 대응하는 엔트리 포인트(3503B, 3503D)의 SPN에서 파일 SS 내의 재생 개시위치의 어드레스를 바로 산정할 수 있다. 특히, 엔트리 포인트(3503B, 3503D)가 모두 데이터블록의 선단으로 설정되고 있을 때, 도 33 (e)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엔트리 포인트(3503B, 3503D)의 SPN의 합이 파일 SS의 선두에서부터 재생 개시위치까지의 부분에 포함되는 소스 패킷의 수와 같다. 도 33 (e)의 설명과 같이, 그 소스 패킷의 수에서는 파일 SS 내의 재생 개시위치의 부분이 기록된 섹터의 LBN를 산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3D 영상의 재생에서도 인터럽트 재생 등, 비디오 스트림의 랜덤 액세스를 필요로 하는 처리의 응답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2D 플레이리스트 파일≫
도 36은 2D 플레이리스트 파일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제 1 플레이리스트 파일(00001.mpls)(521)은 이 데이터구조를 갖는다.도 36을 참조하면, 2D 플레이리스트 파일(521)은 메인 패스(3601)와 두 개의 서브 패스(3602, 3603)를 포함한다.
메인 패스(3601)는 플레이 아이템 정보(PI)의 배열이며, 파일 2D(541)의 주요한 재생경로, 즉 재생대상의 부분과 그 재생순서를 규정한다. 각 PI는 고유의 플레이 아이템 ID=#N(N=1, 2, 3, …)로 식별된다. 각 PI#N는 주요한 재생경로의 다른 재생구간을 한 쌍의 PTS로 규정한다. 그 쌍의 일방은 그 재생구간의 개시시각(In-Time)을 나타내고, 타방은 종료시각(Out-Time)을 나타낸다. 또, 메인 패스(3601) 내에서의 PI의 순서는 대응하는 재생구간의 재생경로 내에서의 순서를 나타낸다.
각 서브 패스(3602, 3603)는 서브 플레이 아이템 정보(SUB_PI)의 배열이며, 파일 2D(541)의 주요한 재생경로에 병렬에 부수 가능한 재생경로를 규정한다. 그 재생경로는 메인 패스(3601)가 나타내는 파일 2D(541)의 부분과는 다른 부분, 또는 다른 파일 2D에 다중화된 스트림 데이터의 부분과 그 재생순서를 의미한다. 그 스트림 데이터는 메인 패스(3601)에 따라서 파일 2D(541)에서 재생되는 2D 영상과 동시에 재생되어야 할 다른 2D 영상을 나타낸다. 그 다른 2D 영상은 예를 들어, 픽처 인 픽처 방식에 있어서의 부 영상, 브라우저 화면, 팝업메뉴, 또는 자막을 포함한다. 서브 패스(3602, 3603)에는 2D 플레이리스트 파일(521)로의 등록 순으로 일련번호 「0」, 「1」이 할당되어 있다. 그 일련번호는 서브 패스 ID로 각 서브 패스(3602, 3603)의 식별에 이용된다. 각 서브 패스(3602, 3603)에서는 각 SUB_PI가 고유의 서브 플레이 아이템 ID=#M(M=1, 2, 3, …)으로 식별된다. 각 SUB_PI#M는 재생경로가 다른 재생구간을 한 쌍의 PTS로 규정한다. 그 쌍의 일방은 그 재생구간의 재생 개시시각을 나타내고, 타방은 재생 종료시각을 나타낸다. 또, 각 서브 패스(3602, 3603) 내에서의 SUB_PI의 순서는 대응하는 재생구간의 재생경로 내에서의 순서를 나타낸다.
도 37은 PI#N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7을 참조하면, PI#N는 참조클립정보(3701), 재생 개시시각(In_Time)(3702), 재생 종료시각(Out_Time)(3703), 커넥션 컨디션(3704) 및 스트림 선택 테이블(이하, STN(Stream Number) 테이블이라고 한다)(3705)를 포함한다. 참조클립정보(3701)는 2D 클립정보파일(531)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재생 개시시각(3702)과 재생 종료시각(3703)은 파일 2D(541)의 재생대상 부분의 선단과 후단의 각 PTS를 나타낸다. 커넥션 컨디션(3704)은 재생 개시시각(3702)과 재생 종료시각(3703)에 의해서 규정된 재생구간에서의 영상을 하나 앞의 PI#(N-1)에 의해서 규정된 재생구간에서의 영상에 접속할 때의 조건을 규정한다. STN 테이블(3705)은 재생 개시시각(3702)으로부터 재생 종료시각(3703)까지의 사이에 재생장치(102) 내의 디코더에 의해서 파일 2D(541)에서 선택 가능한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리스트를 나타낸다.
SUB_PI의 데이터구조는 도 37에 도시되어 있는 PI의 데이터구조와 참조클립정보, 재생 개시시각 및 재생 종료시각을 포함하는 점에서 공통된다. 특히 SUB_PI의 재생 개시시각과 재생 종료시각은 PI의 그것들과 동일한 시간 축 상의 값으로 나타낸다. SUB_PI는 「SP 커넥션 컨디션」이라는 필드를 포함한다. SP 커넥션 컨디션은 PI의 커넥션 컨디션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커넥션 컨디션(connection condition)]
커넥션 컨디션(3704)의 값에는 「1」, 「5」, 「6」의 3종류가 있다. 커넥션 컨디션(3704)이 「1」일 때, PI#N에 의해서 규정되는 파일 2D(541)의 부분에서 재생되는 영상은 직전의 PI#(N-1)에 의해서 규정되는 파일 2D(541)의 부분에서 재생되는 영상과는 반드시 심리스로 접속되지 않아도 좋다. 한편, 커넥션 컨디션(3704)이 「5」또는 「6」일 때, 이들 양쪽의 영상이 반드시 심리스로 접속되지 않으면 안 된다.
도 38 (a), (b)는 각각, 커넥션 컨디션(3704)이 「5」, 「6」일 때 접속대상의 두 개의 재생구간(3801, 3802)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여기서, PI#(N-1)는 파일 2D(541)의 제 1 부분(3801)을 규정하고, PI#N는 파일 2D(541)의 제 2 부분(3802)을 규정한다. 도 38 (a)를 참조하면, 커넥션 컨디션(3704)이 「5」일 때, 2개의 PI#(N-1), PI#N 사이에서 STC가 도중 절단되어 있어도 좋다. 즉, 제 1 부분(3801)의 후단의 PTS#1과 제 2 부분(3802)의 선단의 PTS#2는 불연속이라도 좋다. 단, 몇 개의 제약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안 된다. 예를 들어, 제 1 부분(3801)에 이어서 제 2 부분(3802)을 디코더에 공급한 때에도, 그 디코더가 복호 처리를 원활하게 지속할 수 있도록 각 부분(3801, 3802)이 작성되어 있지 않으면 안 된다. 또, 제 1 부분(3801)에 포함되는 오디오 스트림의 최후의 프레임을 제 2 부분(3802)에 포함되는 오디오 스트림의 선두 프레임과 중복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 한편, 도 38 (b)를 참조하면, 커넥션 컨디션(3704)이 「6」일 때, 제 1 부분(3801)과 제 2 부분(3802)은 디코더의 복호처리 때문에 일련의 부분으로 취급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면 안 된다. 즉, 제 1 부분(3801)과 제 2 부분(3802) 사이에서는 STC와 ATC가 모두 연속이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SP 커넥션 컨디션이 「5」 또는 「6」일 때, 인접하는 2개의 SUB_PI에 의해서 규정되는 파일 2D의 부분 사이에서는 STC와 ATC가 모두 연속이어야 한다.
[STN 테이블]
도 37을 다시 참조하면, STN 테이블(3705)은 스트림 등록정보의 배열이다. 「스트림 등록정보」란 재생 개시시각(3702)에서부터 재생 종료시각(3703)까지의 사이에 메인 TS로부터 재생대상으로 해 선택 가능한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개별로 나타내는 정보이다. 스트림 번호(STN)(3706)는 스트림 등록정보에 개별적으로 할당된 일련번호이며, 재생장치(102)에 의해서 각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식별에 이용된다. STN(3706)는 동일한 종류의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사이에서는 선택의 우선순위를 나타낸다. 스트림 등록정보는 스트림 엔트리(3709)와 스트림 속성정보(3710)를 포함한다. 스트림 엔트리(3709)는 스트림 패스정보(3707)와 스트림 식별정보(3708)를 포함한다. 스트림 패스정보(3707)는 선택 대상의 엘리멘터리 스트림이 속하는 파일 2D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스트림 패스정보(3707)가 “메인 패스”를 나타낼 때, 그 파일 2D는 참조클립정보(3701)가 나타내는 2D 클립정보파일에 대응하는 것이다. 한편, 스트림 패스정보(3707)가 “서브 패스 ID=1”을 나타낼 때, 선택대상의 엘리멘터리 스트림이 속하는 파일 2D는 서브 패스 ID=1의 서브 패스에 포함되는 SUB_PI의 참조클립정보가 나타내는 2D 클립정보파일에 대응하는 것이다. 그 SUB_PI가 규정하는 재생 개시시각 또는 재생 종료시각의 어느 하나는 STN 테이블(3705)을 포함하는 PI가 규정하는 재생 개시시각(3702)에서부터 재생 종료시각(3703)까지의 기간에 포함된다. 스트림 식별정보(3708)는 스트림 패스정보(3707)에 의해서 특정되는 파일 2D에 다중화되어 있는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PID를 나타낸다. 이 PID가 나타내는 엘리멘터리 스트림이 재생 개시시각(3702)에서부터 재생 종료시각(3703)까지의 사이에 선택이 가능하다. 스트림 속성정보(3710)는 각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속성정보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오디오 스트림, PG 스트림 및 IG 스트림의 각 속성정보는 언어의 종류를 나타낸다.
[2D 플레이리스트 파일에 따른 2D 영상의 재생]
도 39는 2D 플레이리스트 파일(00001.mpls)(521)이 나타내는 PTS와, 파일 2D(01000.m2ts)(541)에서 재생되는 부분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9를 참조하면, 2D 플레이리스트 파일(521)의 메인 패스(3601)에서는 PI#1은 재생 개시시각(IN1)를 나타내는 PTS#1과 재생 종료시각(OUT1)을 나타내는 PTS#2를 규정한다. PI#1의 참조클립정보(3701)는 2D 클립정보파일(01000.clpi)(531)을 나타낸다. 재생장치(102)는 2D 플레이리스트 파일(521)에 따라서 2D 영상을 재생할 때, 먼저 PI#1에서 PTS#1,#2를 판독한다. 재생장치(102)는 다음에, 2D 클립정보파일(531)의 엔트리 맵을 참조하여 PTS#1,#2에 대응하는 파일 2D(541) 내의 SPN#1,#2를 검색한다. 재생장치(102)는 계속해서, SPN#1,#2에서 각각에 대응하는 섹터 수를 산정한다. 재생장치(102)는 이들 섹터 수와 파일 2D(541)의 파일 엔트리 내의 할당 기술자를 이용하여, 재생대상의 2D 익스텐트 군 EXT2D[0], …, EXT2D[n]가 기록된 섹터 군 P1의 선단의 LBN#1과 후단의 LBN#2을 특정한다. 섹터 수의 산정과 LBN의 특정은 도 31의(b), (c)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재생장치(102)는 최후에 LBN#1에서 LBN#2까지의 범위를 BD-ROM 드라이브(121)에 지정한다. 이에 의해 그 범위의 섹터 군 P1에서 2D 익스텐트 군 EXT2D[0], …, EXT2D[n]에 속하는 소스 패킷 군이 판독된다. 마찬가지로 PI#2가 나타내는 PTS#3,#4의 쌍은 먼저 2D 클립정보파일(531)의 엔트리 맵을 이용하여 SPN#3,#4의 쌍으로 변환된다. 다음에, 파일 2D(541)의 파일 엔트리 내의 할당 기술자를 이용하여, SPN#3,#4의 쌍이 LBN#3,#4의 쌍으로 변환된다. 또, LBN#3에서 LBN#4까지의 범위의 섹터 군 P2에서 2D 익스텐트 군에 속하는 소스 패킷 군이 판독된다. PI#3이 나타내는 PTS#5,#6의 쌍에서 SPN#5,#6의 쌍으로의 변환, SPN#5,#6의 쌍에서 LBN#5,#6의 쌍으로의 변환 및 LBN#5에서 LBN#6까지의 범위의 섹터 군 P3로부터의 소스 패킷 군의 판독도 마찬가지이다. 이렇게 하여, 재생장치(102)는 2D 플레이리스트 파일(521)의 메인 패스(3601)에 따라서 파일 2D(541)에서 2D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2D 플레이리스트 파일(521)은 엔트리 마크(3901)를 포함해도 좋다. 엔트리 마크(3901)는 메인 패스(3601) 중, 실제로 재생이 개시되어야 할 시점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39에 나타낸 바와 같이, PI#1에 대하여 복수의 엔트리 마크(3901)가 설정되어도 좋다. 엔트리 마크(3901)는 특히 첫머리 검색 재생에서 재생 개시 위치의 검색에 이용된다. 예를 들어 2D 플레이리스트 파일(521)이 영화 타이틀의 재생경로를 규정할 때, 엔트리 마크(3901)는 각 챕터의 선두에 부여된다. 이에 의해 재생장치(102)는 그 영화 타이틀을 챕터마다 재생할 수 있다.
≪3D 플레이리스트 파일≫
도 40은 3D 플레이리스트 파일(4000)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제 2 플레이리스트 파일(00002.mpls)(522)과 제 2 플레이리스트 파일(00003.mpls)(523)은 모두 이 3D 플레이리스트 파일과 동일한 데이터구조를 갖는다. 도 40을 참조하면, 3D 플레이리스트 파일(4000)은 메인 패스(4001), 서브 패스(4002) 및 확장 데이터(4003)를 포함한다.
메인 패스(4001)는 도 6 (a)에 도시된 메인 TS의 재생경로를 규정한다. 따라서, 메인 패스(4001)는 도 36에 도시되어 있는 2D 플레이리스트 파일의 메인 패스(3601)와 같다. 2D 재생모드의 재생장치(102)는 3D 플레이리스트 파일(4000)의 메인 패스(4001)에 따라서 파일 2D(541)로부터 2D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서브 패스(4002)는 도 6의 (b), (c)에 도시된 서브 TS의 재생경로, 즉 제 1 파일 DEP(542) 또는 제 2 파일 DEP(543)의 어느 하나의 재생경로를 규정한다. 서브 패스(4002)의 데이터구조는 도 36에 도시된 2D 플레이리스트 파일의 서브 패스(3602, 3603)의 데이터구조와 같다. 따라서, 그 동일한 데이터구조의 상세, 특히 SUB_PI의 데이터구조의 상세에 대한 설명은 도 36을 이용한 설명을 원용한다.
서브 패스(4002)의 SUB_PI#N(N=1, 2, 3, …)는 메인 패스(4001)의 PI#N과 일 대 일로 대응한다. 또, 각 SUB_PI#N이 규정하는 재생 개시시각과 재생 종료시각과는 각각, 대응하는 PI#N이 규정하는 재생 개시시각과 재생 종료시각과 같다. 서브 패스(4002)는 서브 패스타입(4021)을 더 포함한다. 「서브 패스타입」은 일반적으로 메인 패스와 서브 패스의 사이에서 재생처리가 동기해야할지 여부를 나타낸다. 3D 플레이리스트 파일(4000)은 특히 서브 패스타입(4021)이 3D 재생모드의 종류, 즉 서브 패스(4002)에 따라서 재생되어야 할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종류를 나타낸다. 도 40에서는 서브 패스타입(4021)은 그 값이 「3D L/R」이므로 3D 재생모드가 L/R모드일 것, 즉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이 재생대상임을 나타낸다. 한편, 서브 패스타입(4021)은 그 값이 「3D 뎁스」일 때는 3D 재생모드가 깊이모드일 것, 즉 깊이 맵 스트림이 재생대상임을 나타낸다. 3D 재생모드의 재생장치(102)는 서브 패스타입(4021)의 값이 「3D L/R」또는 「3D 뎁스」임을 검출한 때, 메인 패스(4001)에 따른 재생처리와 서브 패스(4002)에 따른 재생처리를 동기시킨다.
확장 데이터(4003)는 3D 재생모드의 재생장치(102)에 의해서만 해석되는 부분이며, 2D 재생모드의 재생장치(102)에는 무시된다. 확장 데이터(4003)는 특히, 확장 스트림 선택 테이블(4030)을 포함한다. 「확장 스트림 선택 테이불(STN_table_SS)」(이하, STN 테이블 SS라고 한다.)은 3D 재생모드에서 메인 패스(4001) 내의 각 PI가 나타내는 STN 테이블에 추가되어야 할 스트림 등록정보의 배열이다. 이 스트림 등록정보는 서브 TS에서 재생대상으로 선택 가능한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나타낸다.
도 41은 STN 테이블 SS(4030)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1을 참조하면, STN 테이블 SS(4030)는 스트림 등록정보 열(4101, 4102, 4103, …)을 포함한다. 스트림 등록정보 열(4101, 4102, 4103, …)은 메인 패스(4001) 내의 PI#1,#2,#3, …에 개별로 대응하고, 3D 재생모드의 재생장치(102)에 의해서 대응하는 PI 내의 STN 테이블에 포함되는 스트림 등록정보 열과 조합되어서 이용된다. 각 PI에 대한 스트림 등록정보 열(4101)은 팝업 기간의 오프셋(Fixed_offset_during_Popup)(4111),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스트림 등록정보 열(4112), PG 스트림의 스트림 등록정보 열(4113) 및 IG 스트림 의 스트림 등록정보 열(4114)을 포함한다.
팝업 기간의 오프셋(4111)은 IG 스트림에서 팝업메뉴가 재생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3D 재생모드의 재생장치(102)는 그 오프셋(4111)의 값에 따라서 비디오 플레인과 PG 플레인의 표시모드(presentation mode)를 바꾼다. 여기서, 비디오 플레인의 표시모드에는 베이스 뷰(B) - 디펜던트 뷰(D) 표시모드와 B-B 표시모드의 2종류가 있으며, PG 플레인과 IG 플레인의 각 표시모드에는 2 플레인 모드, 1 플레인+오프셋 모드 및 1 플레인+제로 오프셋 모드의 3종류가 있다. 예를 들어 팝업 기간의 오프셋(4111)의 값이“0”일 때, IG 스트림에서는 팝업메뉴가 재생되지 않는다. 이때, 비디오 플레인의 표시모드로 B-D 표시모드가 선택되고, PG 플레인의 표시모드로 2 플레인 모드 또는 1 플레인+오프셋 모드가 선택된다. 한편, 팝업 기간의 오프셋 4111의 값이“1”일 때, IG 스트림에서 팝업메뉴가 재생된다. 이때, 비디오 플레인의 표시모드로 B-B 표시모드가 선택되고, PG 플레인의 표시모드로 1 플레인+제로 오프셋 모드가 선택된다.
「B-D 표시모드」에서는 재생장치(102)가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비디오 스트림에서 복호된 플레인 데이터를 교호로 출력한다. 따라서, 표시장치(103)의 화면에는 비디오 플레인이 나타내는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프레임이 교호로 표시되므로 시청자에게는 이들이 3D 영상으로 보인다. 「B-B 표시모드」에서는 재생장치(102)가 동작모드를 3D 재생모드로 유지한 채로(특히, 프레임 레이트를 3D 재생시의 값, 예를 들어, 48프레임/초로 유지한 채로),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에서 복호된 플레인 데이터만을 프레임당 2회씩 출력한다. 따라서, 표시장치(103)의 화면에는 비디오 플레인에 대해서는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어느 하나의 프레임 밖에 표시되지 않으므로 시청자에게는 이들이 2D 영상으로밖에 안 보인다.
「2 플레인 모드」에서는 서브 TS가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그래픽스 스트림을 모두 포함할 때, 재생장치(102)가 각 그래픽 스트림에서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그래픽스 플레인 데이터를 복호하여 교호로 출력한다. 「1 플레인+오프셋 모드」에서는 재생장치(102)가 크로핑 처리에 의해, 메인 TS 내의 그래픽스 스트림에서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플레인 데이터의 쌍을 생성하여 교호로 출력한다. 어느 모드에서도 표시장치(103)의 화면에는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PG 플레인이 교호로 표시되므로 시청자에게는 그것들이 3D 영상으로 보인다. 「1 플레인+제로 오프셋 모드」에서는 재생장치(102)가 동작모드를 3D 재생모드로 유지한 채로 크로핑 처리를 일시적으로 정지시키고, 메인 TS 내의 그래픽스 스트림에서 복호된 플레인 데이터를 프레임당 2회씩 출력한다. 따라서, 표시장치(103)의 화면에는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어느 하나의 PG 플레인 밖에 표시되지 않으므로 시청자에게는 이들이 2D 영상으로밖에 안 보인다.
3D 재생모드의 재생장치(102)는 PI 마다 팝업 기간의 오프셋(4111)을 참조하여, IG 스트림에서 팝업메뉴가 재생될 때에는 B-B 표시모드와 1 플레인+제로 오프셋 모드를 선택한다. 이에 의해 팝업메뉴가 표시되는 동안, 다른 3D 영상이 일시적으로 2D 영상으로 변경되므로 팝업메뉴의 시인성 및 조작성이 향상한다.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스트림 등록정보 열(4112), PG 스트림의 스트림 등록정보 열(4113) 및 IG 스트림의 스트림 등록정보 열(4114)은 각각, 서브 TS에서 재생대상으로 선택 가능한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 PG 스트림 및 IG 스트림을 나타내는 스트림 등록정보를 포함한다. 이들 스트림 등록정보 열(4112, 4113, 4114)은 각각, 대응하는 PI 내의 STN 테이블에 포함되는 스트림 등록정보 열 중,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 PG 스트림 및 IG 스트림을 나타내는 것과 조합되어서 이용된다. 3D 재생모드의 재생장치(102)는 STN 테이블 내의 어느 하나의 스트림 등록정보를 판독할 때, 그 스트림 등록정보에 조합된 STN 테이불 SS 내의 스트림 등록정보 열도 자동으로 판독된다. 이에 의해 재생장치(102)는 2D 재생모드를 단지 3D 재생모드로 전환할 때, 설정이 완료된 STN 및 언어 등의 스트림 속성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42 (a)는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스트림 등록정보 열(4112)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2 (a)를 참조하면, 이 스트림 등록정보 열(4112)은 일반적으로 복수의 스트림 등록정보(SS_dependet_view_block)(4201)를 포함한다. 이들은 대응하는 PI 내의 스트림 등록정보 중,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을 나타내는 것과 동일한 수이다. 각 스트림 등록정보(4201)는 STN(4211), 스트림 엔트리(4212) 및 스트림 속성정보(4213)를 포함한다. STN(4211)은 스트림 등록정보(4201)에 개별로 할당된 일련번호이며, 대응하는 PI 내의 조합대상의 스트림 등록정보의 STN과 동일하다. 스트림 엔트리(4212)는 서브 패스 ID 참조정보(ref_to_Subpath_id)(4221), 스트림 파일 참조정보(ref_to_subClip_entry_id)(4222) 및 PID(ref_to_stream_PID_subclip)(4223)을 포함한다. 서브 패스 ID 참조정보(4221)는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재생경로를 규정하는 서브 패스의 서브 패스 ID를 나타낸다. 스트림 파일 참조정보(4222)는 그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이 저장된 파일 DEP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PID(4223)는 그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PID이다. 스트림 속성정보(4213)는 그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속성, 예를 들어 프레임 레이트, 해상도 및 비디오 포맷을 포함한다. 특히 이들은 대응하는 PI 내의 조합대상의 스트림 등록정보가 나타내는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과 공통이다.
도 42 (b)는 PG 스트림의 스트림 등록정보 열(4113)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2 (b)를 참조하면, 이 스트림 등록정보 열(4113)은 일반적으로 복수의 스트림 등록정보(4231)를 포함한다. 이들은 대응하는 PI 내의 스트림 등록정보 중, PG 스트림을 나타내는 것과 동일한 수이다. 각 스트림 등록정보(4231)는 STN(4241), 입체 시 플래그(is_SS_PG)(4242), 베이스 뷰 스트림 엔트리(stream_entry_for_base_view)(4243), 디펜던트 뷰 스트림 엔트리(stream_entry_for_depentdent_view)(4244) 및 스트림 속성정보(4245)를 포함한다. STN(4241)는 스트림 등록정보(4231)에 개별로 할당된 일련번호이며, 대응하는 PI 내의 조합대상의 스트림 등록정보의 STN과 동일하다. 입체 시 플래그(4242)는 BD-ROM 디스크(101)에 베이스 뷰와 디펜던트 뷰, 예를 들어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PG 스트림이 양쪽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입체 시 플래그(4242)가 온일 때, 서브 TS에 양쪽의 PG 스트림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베이스 뷰 스트림 엔트리(4243), 디펜던트 뷰 스트림 엔트리(4244) 및 스트림 속성정보(4245)의 어느 하나의 필드도 재생장치에 의해서 판독된다. 입체 시 플래그(4242)가 오프일 때, 이들 필드(4243-4245)는 모두 재생장치에 무시된다. 베이스 뷰 스트림 엔트리(4243)와 디펜던트 뷰 스트림 엔트리(4244)는 모두 서브 패스 ID 참조정보, 스트림 파일 참조정보 및 PID를 포함한다. 서브 패스 ID 참조정보는 베이스 뷰와 디펜던트 뷰의 각 PG 스트림의 재생경로를 규정하는 서브 패스의 서브 패스 ID를 나타낸다. 스트림 파일참조정보는 각 PG 스트림이 저장된 파일 DEP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PID는 각 PG 스트림의 PID이다. 스트림 속성정보(4245)는 각 PG 스트림의 속성, 예를 들어 언어의 종류를 포함한다.
도 42 (c)는 IG 스트림의 스트림 등록정보 열(4114)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2 (c)를 참조하면, 이 스트림 등록정보 열(4114)은 일반적으로 복수의 스트림 등록정보(4251)를 포함한다. 이들은 대응하는 PI 내의 스트림 등록정보 중 IG 스트림을 나타내는 것과 동일한 수이다. 각 스트림 등록정보(4251)는 STN(4261), 입체 시 플래그(is_SS_IG)(4262), 베이스 뷰 스트림 엔트리(4263), 디펜던트 뷰 스트림 엔트리(4264) 및 스트림 속성정보(4265)를 포함한다. STN(4261)는 스트림 등록정보(4251)에 개별로 할당된 일련번호이며, 대응하는 PI 내의 조합대상의 스트림 등록정보의 STN과 동일하다. 입체 시 플래그(4262)는 BD-ROM 디스크(101)에 베이스 뷰와 디펜덴트 뷰, 예를 들어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IG 스트림이 양쪽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입체 시 플래그(4262)가 온일 때, 서브 TS에 양쪽의 IG 스트림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베이스 뷰 스트림 엔트리(4263), 디펜던트 뷰 스트림 엔트리(4264) 및 스트림 속성정보(4265)의 어느 하나의 필드도 재생장치에 의해서 판독된다. 입체 시 플래그(4262)가 오프일 때, 이들 필드(4263-4265)는 모두 재생장치에 무시된다. 베이스 뷰 스트림 엔트리(4263)와 디펜던트 뷰 스트림 엔트리(4264)는 모두 서브 패스 ID 참조정보, 스트림 파일 참조정보 및 PID를 포함한다. 서브 패스 ID 참조정보는 베이스 뷰와 디펜던트 뷰의 각 IG 스트림의 재생경로를 규정하는 서브 패스의 서브 패스 ID를 나타낸다. 스트림 파일 참조정보는 각 IG 스트림이 저장된 파일 DEP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PID는 각 IG 스트림의 PID이다. 스트림 속성정보(4265)는 각 IG 스트림의 속성, 예를 들어 언어의 종류를 포함한다.
[3D 플레이리스트 파일에 따른 3D 영상의 재생]
도 43은 3D 플레이리스트 파일(00002.mpls)(522)가 나타내는 PTS와, 제 1 파일 SS(01000.ssif)에서 재생되는 부분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3을 참조하면, 3D 플레이리스트 파일(522)의 메인 패스(4301)에서는 PI#1은 재생 개시시각(IN1)을 나타내는 PTS#1과 재생 종료시각(OUT1)을 나타내는 PTS#2를 규정한다. PI#1의 참조 클립정보는 2D 클립정보파일(01000.clpi)(531)을 나타낸다. 한편, 서브 패스타입이 「3D L/R」를 나타내는 서브 패스(4302)에서는 SUB_PI#1이 PI#1과 동일한 PTS#1,#2를 규정한다. SUB_PI#1의 참조클립정보는 라이트 뷰 클립정보파일(02000.clpi)(532)을 나타낸다.
재생장치(102)는 3D 플레이리스트 파일(522)에 따라서 3D 영상을 재생할 때, 먼저 PI#1과 SUB_PI#1에서 PTS#1,#2를 판독한다. 재생장치(102)는 다음에, 2D 클립정보파일(531)의 엔트리 맵을 참조하여, PTS#1,#2에 대응하는 파일 2D(541)내의 SPN#1,#2를 검색한다. 이에 병행하여, 재생장치(102)는 라이트 뷰 클립정보일(532)의 엔트리 맵을 참조하여, PTS#1,#2에 대응하는 제 1 파일 DEP(542) 내의 SPN#11,#12를 검색한다. 재생장치(102)는 계속해서, 도 33 (e)의 설명과 같이 각 클립정보파일(531, 532)의 익스텐트 기점(3042, 3320)을 이용하여 SPN#1,#11에서 제 1 파일 SS(544A)의 선두에서부터 재생 개시 위치까지의 소스 패킷 수 SPN#21을 산정한다. 재생장치(102)는 마찬가지로, SPN#2,#12에서 제 1 파일 SS(544A)의 선두에서부터 재생 종료위치까지의 소스 패킷 수 SPN#22를 산정한다. 재생장치(102)는 SPN#21,#22의 각각 대응하는 섹터 수를 더 산정한다. 재생장치(102)는 계속해서, 이들 섹터 수와 제 1 파일 SS(544A)의 파일 엔트리 내의 할당 기술자를 이용하여, 재생대상의 3D 익스텐트 군 EXTSS[0], …, EXTSS[n]가 기록된 섹터 군 P11의 선단의 LBN#1과 후단의 LBN#2를 특정한다. 섹터 수의 산정과 LBN의 특정은 도 33 (e)의 설명과 동일하다. 재생장치(102)는 최후에 LBN#1에서부터 LBN#2까지의 범위를 BD-ROM 드라이브(121)에 지정한다. 이에 의해 그 범위의 섹터 군 P11에서 3D 익스텐트 군 EXTSS[0], …, EXTSS[n]에 속하는 소스 패킷 군이 판독된다. 마찬가지로, PI#2과 SUB_PI#2가 나타내는 PTS#3,#4의 쌍은, 먼저 클립정보파일(531, 532)의 각 엔트리 맵을 이용하여 SPN#3,#4의 쌍과 SPN#13,#14의 쌍으로 변환된다. 다음에, SPN#3,#13에서는 제 1 파일 SS(544A)의 선두에서부터 재생 개시위치까지의 소스 패킷 수 SPN#23이 산정되고, SPN#4,#14에서는 제 1 파일 SS(544A)의 선두에서부터 재생 종료위치까지의 소스 패킷 수 SPN#24가 산정된다. 계속해서, 제 1 파일 SS(544A1)의 파일 엔트리 내의 할당 기술자를 이용하여, SPN#23,#24의 쌍이 LBN#3,#4의 쌍으로 변환된다. 또, LBN#3에서부터 LBN#4까지의 범위의 섹터 군 P12에서 3D 익스텐트 군에 속하는 소스 패킷 군이 판독된다.
상기의 판독처리와 병행하여 재생장치(102)는, 도 33 (e)의 설명과 같이 각 클립정보파일(531, 532)의 익스텐트 기점(3042, 3320)을 이용하여 각 3D 익스텐트에서 베이스 뷰 익스텐트를 추출하고, 남은 라이트 뷰 익스텐트와 병행해서 복호한다. 이렇게 하여, 재생장치(102)는 3D 플레이리스트 파일(522)에 따라서 제 1 파일 SS(544A)에서 3D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인덱스 테이블≫
도 44는 도 5에 도시된 인덱스 파일(index.bdmv)(511) 내의 인덱스 테이블(4410)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4를 참조하면, 인덱스 테이블(4410)은 「퍼스트 플레이」(4401), 「탑 메뉴」(4402) 및 「타이틀 k」(44303)(k=1, 2, …, n:n는 1 이상의 정수)라고 하는 항목을 포함한다. 각 항목에는 무비 오브젝트 MVO-2D, MVO-3D, …, 또는 BDJ 오브젝트 BDJO-2D, BDJO-3D, …중 어느 하나가 대응되어 있다. 사용자의 조작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서 타이틀 또는 메뉴가 호출될 때마다 재생장치(102)의 제어부는 인덱스 테이블(4410)이 대응하는 항목을 참조한다. 제어부는 그 항목에 대응되어 있는 오브젝트를 BD-ROM 디스크(101)로부터 호출하고, 이에 따라서 여러가지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항목 「퍼스트 플레이」(4401)에는 디스크(101)가 BD-ROM 드라이브(121)에 삽입된 때에 호출되어야 할 오브젝트가 지정되어 있다. 항목 「톱 메뉴」(4402)에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조작으로 「메뉴로 돌아가라」는 커멘드가 입력된 때에 표시장치(103)에 메뉴를 표시시키기 위한 오브젝트가 지정되어 있다. 항목 「타이틀 k」(4403)에는 디스크(101) 상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타이틀이 개별로 할당되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재생대상의 타이틀이 지정된 때, 그 타이틀이 할당되어 있는 항목「타이틀 k」에는 그 타이틀에 대응하는 AV 스트림 파일에서 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오브젝트가 지정되어 있다.
도 44에 나타낸 예에서는 항목 「타이틀 1」과 항목 「타이틀 2」이 2D 영상의 타이틀에 할당되어 있다. 항목 「타이틀 1」에 대응된 무비 오브젝트(MVO-2D)는 2D 플레이리스트 파일(00001.mpls)(521)을 이용한 2D 영상의 재생처리에 관한 명령 군을 포함한다. 재생장치(102)에 의해서 항목 「타이틀 1」이 참조된 때, 그 무비 오브젝트(MVO-2D)에 따라서 2D 플레이리스트 파일(521)이 디스크(101)로부터 판독되고, 거기에 규정된 재생경로에 따라서 2D 영상의 재생처리가 실행된다. 항목 「타이틀 2」에 대응되어 있는 BD-J 오브젝트(BDJO-2D)는 2D 플레이리스트 파일(521)을 이용한 2D 영상의 재생처리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관리테이블을 포함한다. 재생장치(102)에 의해서 항목 「타이톨 2」가 참조된 때, 그 BD-J 오브젝트(BDJO-2D) 내의 애플리케이션 관리테이블에 따라서 JAR 파일(561)에서 Java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호출되어서 실행된다. 이에 의해 2D 플레이리스트 파일(521)이 디스크(101)로부터 판독되고, 거기에 규정된 재생경로에 따라서 2D 영상의 재생처리가 실행된다.
도 44에 나타낸 있는 예에서는 항목 「타이틀 3」과 항목 「타이틀 4」가 3D 영상의 타이틀에 더 할당되어 있다. 항목 「타이틀 3」에 대응되어 있는 무비 오브젝트(MVO-3D)는 2D 플레이리스트 파일(521)을 이용한 2D 영상의 재생처리에 관한 명령 군에 더하여 3D 플레이리스트 파일(00002.mpls)(522), (00003.mpls)(523)의 어느 하나를 이용한 3D 영상의 재생처리에 관한 명령 군을 포함한다. 항목 「타이틀 4」에 대응되어 있는 BD-J 오브젝트(BDJO-3D)에서는 애플리케이션 관리테이블이 2D 플레이리스트 파일(521)을 이용한 2D 영상의 재생처리에 관한 Java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더하여 3D 플레이리스트 파일(522, 523)의 어느 하나를 이용한 3D 영상의 재생처리에 관한 Java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규정한다.
재생장치(102)에 의해서 항목 「타이틀 3」이 참조된 때, 무비 오브젝트(MVO-3D)에 따라서, 먼저 다음의 4 종류의 판별처리가 이루어진다:(1) 재생장치(102) 자신이 3D 영상의 재생에 대응하고 있는가 여부, (2) 사용자가 3D 영상의 재생을 선택하고 있는가 여부, (3) 표시장치(103)가 3D 영상의 재생에 대응하고 있는가 여부 및 (4) 재생장치(102)의 3D 영상 재생모드가 L/R모드와 깊이모드의 어느 하나인지. 다음에 그러한 판별결과에 따라서 어느 하나의 플레이리스트 파일(521-523)이 재생대상으로 선택된다. 재생장치(102)에 의해서 항목 「타이틀 4」가 참조된 때, BD-J 오브젝트(BDJO-3D) 내의 애플리케이션 관리테이블에 따라서 JAR 파일(561)로부터 Java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호출되어서 실행된다. 이에 의해 먼저 상기의 판별처리가 이루어지고, 다음에 그 판별결과에 따른 플레이리스트 파일의 선택이 이루어진다.
[3D 영상 타이틀의 선택시의 플레이리스트 파일의 선택]
도 45는 3D 영상의 타이틀이 선택된 때에 이루어지는 재생대상의 플레이리스트 파일의 선택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44에 도시된 인덱스 테이블(4410)에서는 항목 「타이틀 3」이 참조된 때에는 무비 오브젝트(MVO-3D)에 따라서 그 선택처리가 실행되고, 항목 「타이틀 4」가 참조된 때에는 BD-J 오브젝트(BDJO-3D)에 규정된 Java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따라서 그 선택처리가 실행된다.
여기서, 그 선택 처리의 전제로 재생장치(102)가 제 1 플래그와 제 2 플래그를 포함할 때를 상정한다. 제 1 플래그가“0”일 때에는 재생장치(102)는 2D 영상의 재생에만 대응 가능하고, “1”일 때에는 3D 영상의 재생에도 대응 가능하다. 제 2 플래그가“0”일 때에는 재생장치(102)는 L/R모드이고, “1”일 때에는 깊이모드이다.
스텝 S4501에서는 재생장치(102)는 제 1 플래그의 값을 체크한다. 그 값이 0일 때, 처리는 스텝 S4505에 진행한다. 그 값이 1일 때, 처리는 스텝 S4502에 진행한다.
스텝 S4502에서는 재생장치(102)는 표시장치(103)에 메뉴를 표시시키고, 사용자에게 2D 영상과 3D 영상의 어느 하나의 재생을 선택하게 한다. 사용자가 리모컨(105) 등을 조작하여 2D 영상의 재생을 선택한 때, 처리는 스텝 S4505로 진행하고, 3D 영상의 재생을 선택한 때, 처리는 스텝 S4503로 진행한다.
스텝 S4503에서는 재생장치(102)는 표시장치(103)가 3D 영상의 재생에 대응하고 있는가를 체크한다. 구체적으로는, 재생장치(102)는 HDMI 케이블(122)을 통해서 표시장치(103)와의 사이에서 CEC 메시지를 교환하고, 표시장치(103)가 3D 영상의 재생에 대응하고 있는가 여부를 표시장치(103)에 문의한다. 표시장치(103)가 3D 영상의 재생에 대응하고 있을 때, 처리는 스텝 S4504로 진행한다. 표시장치(103)가 3D 영상의 재생에 대응하고 있지 않을 때, 처리는 스텝 S4505로 진행한다.
스텝 S4504에서는 재생장치(102)는 제 2 플래그의 값을 체크한다. 그 값이 0일 때, 처리는 스텝 S4506로 진행한다. 그 값이 1일 때 처리는 스텝 S4507로 진행한다.
스텝 S4505에서는 재생장치(102)는 2D 플레이리스트 파일(521)을 재생대상으로 선택한다. 또, 그때, 재생장치(102)는 표시장치(103)에 3D 영상의 재생이 선택되지 않은 이유를 표시시켜도 좋다.
스텝 S4506에서는 재생장치(102)는 L/R모드용의 3D 플레이리스트 파일(522)을 재생대상으로 선택한다.
스텝 S4507에서는 재생장치(102)는 깊이모드용의 3D 플레이리스트 파일(523)을 재생대상으로 선택한다.
<2D 재생장치의 구성>
2D 재생모드의 재생장치(102)는 BD-ROM 디스크(101)에서 2D 영상 콘텐츠를 재생할 때, 2D 재생장치로 동작한다. 도 46은 2D 재생장치(4600)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46을 참조하면, 2D 재생장치(4600)는 BD-ROM 드라이브(4601), 재생부(4600A) 및 제어부(4600B)를 포함한다. 재생부(4600A)는 리드 버퍼(4602), 시스템 타깃 디코더(4603) 및 플레인 가산부(4610)를 포함한다. 제어부(4600B)는 동적 시나리오 메모리(4604), 정적 시나리오 메모리(4605), 프로그램 실행부(4606), 재생 제어부(4607), 플레이어 변수 기억부(4608) 및 사용자 이벤트 처리부(4609)를 포함한다. 재생부(4600A)와 제어부(4600B)는 서로 다른 집적회로에 실장되어 있다. 그 외에, 양쪽이 단일한 집적회로에 통합되어 있어도 좋다.
BD-ROM 드라이브(4601)는 내부에 BD-ROM 디스크(101)가 삽입된 때, 그 디스크(101)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그 반사광의 변화를 검출한다. 또, 그 반사광의 광량의 변화로부터 디스크(101)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한다. 구체적으로는, BD-ROM 드라이브(4601)는 광 픽업, 광학 헤드를 구비하고 있다. 그 광학 헤드는 반도체 레이저, 콜리메이터 렌즈(collimate lens), 빔 스플리터, 대물렌즈, 집광렌즈 및 광 검출기를 포함한다. 반도체 레이저로부터 출사된 광 빔은 콜리메이터 렌즈, 빔 스플리터 및 대물렌즈를 순서대로 통과하여 디스크(101)의 기록 층에 모아진다. 모아진 광 빔은 그 기록 층에서 반사/회절된다. 그 반사/회절 광은 대물렌즈, 빔 스플리터 및 집광렌즈를 통과하여 광 검출기에 모아진다. 광 검출기는 그 집광량에 따른 레벨의 재생신호를 생성한다. 또, 그 재생 신호로부터 데이터가 복조된다.
BD-ROM 드라이브(4601)는 재생 제어부(4607)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BD-ROM 디스크(101)에서 데이터를 판독한다. 그 데이터 중, 파일 2D의 익스텐트, 즉 2D 익스텐트는 리드 버퍼(4602)에 전송되고, 동적 시나리오 정보는 동적 시나리오 메모리(4604)에 전송되며, 정적 시나리오 정보는 정적 시나리오 메모리(4605)에 전송된다. 「동적 시나리오 정보」는 인덱스 파일, 무비 오브젝트 파일 및 BD-J 오브젝트 파일을 포함한다. 「정적 시나리오 정보」는 2D 플레이리스트 파일과 2D 클립정보파일을 포함한다.
리드 버퍼(4602), 동적 시나리오 메모리(4604) 및 정적 시나리오 메모리(4605)는 모두 버퍼 메모리이다. 리드 버퍼(4602)로는 재생부(4600A) 내의 메모리 소자가 이용되고, 동적 시나리오 메모리(4604) 및 정적 시나리오 메모리(4605)로는 제어부(4600B) 내의 메모리 소자가 이용된다. 그 외에, 이들 버퍼 메모리(4602, 4604, 4605)로 단일의 메모리 소자가 다른 영역이 이용되어도 좋다. 리드 버퍼(4602)는 2D 익스텐트를 저장하고, 동적 시나리오 메모리(4604)는 동적 시나리오 정보를 저장하며, 정적 시나리오 메모리(4605)는 정적 시나리오 정보를 저장한다.
시스템 타깃 디코더(4603)는 리드 버퍼(4602)에서 2D 익스텐트를 소스 패킷 단위로 판독하여 다중분리 처리를 실시하고, 분리된 각 엘리멘터리 스트림에 대하여 복호처리를 실시한다. 여기서, 각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복호에 필요한 정보, 예를 들어 코덱의 종류 및 스트림의 속성은 미리 재생 제어부(4607)로부터 시스템 타깃 디코더(4603)에 전송되어 있다. 시스템 타깃 디코더(4603)는 복호 후의 프라이머리 비디오 스트림, 세칸더리 비디오 스트림, IG 스트림 및 PG 스트림을 각각, VAU별로 주 영상 플레인 데이터, 부 영상 플레인 데이터, IG 플레인 데이터 및 PG 플레인 데이터로 송출한다. 한편, 시스템 타깃 디코더(4603)는 복호 후의 프라이머리 오디오 스트림과 세컨더리 오디오 스트림을 믹싱하여 표시장치(103)의 내장 스피커(103A) 등의 음성 출력장치에 송출한다. 그 외에, 시스템 타깃 디코더(4603)는 프로그램 실행부(4606)로부터 그래픽스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 그래픽스 데이터는 GUI용의 메뉴 등의 그래픽스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것이며, JPEG 또는 PNG 등의 래스터 데이터(raster data)로 표현되어 있다. 시스템 타깃 디코더(4603)는 그 그 래픽스 데이터를 처리하여 이미지 플레인 데이터로 송출한다. 또, 시스템 타깃 디코더(4603)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사용자 이벤트 처리부(4609)는 리모컨(105) 또는 재생장치(102)의 프런트 패널을 통해서 사용자의 조작을 검출하고, 그 조작의 종류에 따라서 프로그램 실행부(4606) 또는 재생 제어부(4607)에 처리를 의뢰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리모컨(105)의 버튼을 눌러서 팝업메뉴의 표시를 지시한 때, 사용자 이벤트 처리부(4609)는 그 눌림을 검출하여 그 버튼을 식별한다. 사용자 이벤트 처리부(4609)는 프로그램 실행부(4606)에 그 버튼에 대응하는 커멘드의 실행, 즉 팝업메뉴의 표시 처리를 의뢰한다. 한편, 예를 들어 사용자가 리모컨(105)의 빨리 감기 또는 되감기 버튼을 눌렀을 때, 사용자 이벤트 처리부(4609)는 그 눌림을 검출하여 그 버튼을 식별한다. 사용자 이벤트 처리부(4609)는 재생 제어부(4607)에 현재 재생 중인 플레이 스트림의 빨리 감기 또는 되감기 처리를 의뢰한다.
재생 제어부(4607)는 2D 익스텐트 및 인덱스 파일 등, 각종 데이터를 BD-ROM 디스크(101)에서 리드 버퍼(4602), 동적 시나리오 메모리(4604) 및 정적 시나리오 메모리(4605)에 전송하는 처리를 제어한다. 그 제어에는 도 5에 도시된 디렉터리/파일 구조를 관리하는 파일시스템이 이용된다. 즉, 재생 제어부(4607)는 파일 오픈용의 시스템 콜을 이용하여, BD-ROM 드라이브(4601)에 각종 파일을 각 버퍼 메모리(4602, 4604, 4605)에 전송시킨다. 그리고, 파일 오픈은 다음의 일련의 처리를 말한다. 먼저, 시스템 콜에 의해서 파일시스템에 검색 대상의 파일명이 부여되고,그 파일명이 디렉터리/파일 구조에서 검색된다. 그 검색에 성공한 때, 재생 제어부(4607) 내의 메모리에는 먼저, 전송 대상의 파일의 파일 엔트리가 전송되고, 그 메모리 내에 FCB(File Control Block)가 생성된다. 그 후, 전송 대상의 파일의 파일 핸들이 파일시스템에서 재생 제어부(4607)에 통지한다. 이후, 재생 제어부(4607)는 그 파일 핸들을 BD-ROM 드라이브(4601)에 제시함으로써 BD-ROM 드라이브(4601)에 그 전송 대상의 파일을 BD-ROM 디스크(101)에서 각 버퍼 메모리(4602, 4604, 4605)에 전송시킬 수 있다.
재생 제어부(4607)는 BD-ROM 드라이브(4601)와 시스템 타깃 디코더(4603)를 제어하여 파일 2D로부터 영상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복호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재생 제어부(4607)는 먼저, 프로그램 실행부(4606)로부터의 명령, 또는 사용자 이벤트 처리부(4609)로부터의 의뢰에 따라서 정적 시나리오 메모리(4605)에서 2D 플레이리스트 파일을 판독하고 그 내용을 해석한다. 재생 제어부(4607)는 다음에, 그 해석된 내용, 특히 재생경로에 따라서 BD-ROM 드라이브(4601)와 시스템 타깃 디코더(4603)에 재생대상의 파일 2D를 지정하고, 그 판독처리 및 복호처리를 지시한다. 이와 같은 플레이리스트 파일에 의거한 재생처리를 「플레이리스트 재생」이라고 한다. 그 외에, 재생 제어부(4607)는 정적 시나리오 정보를 이용하여 플레이어 변수 기억부(4608)에 각종 플레이어 변수를 설정한다. 재생 제어부(4607)는 이들 플레이어 변수를 참조하여, 시스템 타깃 디코더(4603)에 복호대상의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더 지정하고, 또한, 각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복호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플레이어 변수 기억부(4608)는 플레이어 변수를 기억하기 위한 레지스터 군이다. 플레이어 변수의 종류에는 시스템 파라미터(SPRM)와 범용의 파라미터(GPRM)가 있다. SPRM는 재생장치(102)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47은 SPRM의 일람표이다. 각 SPRM에는 일련번호(4701)가 할당되고, 각 일련번호(4701)에 변수치(4702)가 개별로 대응되어 있다. 주된 SPRM의 내용은 이하와 같다. 여기서, 괄호 내의 숫자는 일련번호(4701)를 나타낸다.
SPRM(0) : 언어코드
SPRM(1) : 프라이머리 오디오 스트림 번호
SPRM(2) : 자막 스트림 번호
SPRM(3) : 앵글 번호
SPRM(4) : 타이틀번호
SPRM(5) : 챕터 번호
SPRM(6) : 프로그램 번호
SPRM(7) : 셀 번호
SPRM(8) : 선택 키 정보
SPRM(9) : 내비게이션 타이머
SPRM(10) : 재생 시각 정보
SPRM(11) : 가라오케용 믹싱 모드
SPRM(12) : 시청제한용 나라정보
SPRM(13) : 시청제한 레벨(paraental level)
SPRM(14) : 플레이어 설정치(비디오)
SPRM(15) : 플레이어 설정치(오디오)
SPRM(16) : 오디오 스트림용 언어코드
SPRM(17) : 오디오 스트림용 언어코드(확장)
SPRM(18) : 자막 스트림용 언어코드
SPRM(19) : 자막 스트림용 언어코드(확장)
SPRM(20) : 플레이어 리젼 코드
SPRM(21) : 세컨더리 비디오 스트림 번호
SPRM(22) : 세컨더리 오디오 스트림 번호
SPRM(23) : 재생상태
SPRM(24) : 예비
SPRM(25) : 예비
SPRM(26) : 예비
SPRM(27) : 예비
SPRM(28) : 예비
SPRM(29) : 예비
SPRM(30) : 예비
SPRM(31) : 예비
SPRM(10)는 복호처리 중의 픽처의 PTS를 나타내고, 그 픽처가 복호되어서 주 영상 플레인 메모리에 기록될 때마다 갱신된다. 따라서, SPRM(10)를 참조하면, 현재의 재생시점을 알 수 있다.
PRM(16)의 오디오 스트림용 언어코드 및 SPRM(18)의 자막 스트림용 언어코드는 재생장치(102)의 디폴트의 언어코드를 나타낸다. 이들은 재생장치(102)의 OSD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변경시킬 수도 있고, 프로그램 실행부(4606)를 통해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변경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PRM(16)가 「영어」를 나타내고 있을 때, 재생 제어부(4607)는 플레이리스트 재생처리에서, 먼저 PI 내의 STN 테이블에서 「영어」의 언어코드를 포함하는 스트림 엔트리를 검색한다. 재생 제어부(4607)는 다음에, 그 스트림 엔트리의 스트림 식별정보에서 PID를 추출하여 시스템 타깃 디코더(4603)에 인계한다. 이에 의해 그 PID의 오디오 스트림이 시스템 타깃 디코더(4603)에 의해서 선택되어 복호된다. 이러한 처리는 무비 오브젝트 파일 또는 BD-J 오브젝트 파일을 이용하여 재생 제어부(4607)에 실행시킬 수 있다.
재생 제어부(4607)는 재생처리 중, 재생상태의 변화에 따라 플레이어 변수를 갱신한다. 재생 제어부(4607)는 특히, SPRM(1), SPRM(2), SPRM(21) 및 SPRM(22)를 갱신한다. 이들은 순서대로 처리 중의 오디오 스트림, 자막 스트림, 세컨더리 비디오 스트림 및 세컨더리 오디오 스트림의 각 STN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실행부(4606)에 의해서 SPRM(1)가 변경된 때를 상정한다. 재생 제어부(4607)는 그때, 먼저 현시점에서 재생처리 중의 PI 내의 STN 테이블에서 변경 후의 SPRM(1)가 나타내는 STN를 포함하는 스트림 엔트리를 검색한다. 재생 제어부(4607)는 다음에, 그 스트림 엔트리 내의 스트림 식별정보로부터 PID를 추출하여 시스템 타깃 디코더(4603)에 인계준다. 이에 의해 그 PID의 오디오 스트림이 시스템 타깃 디코더(4603)에 의해서 선택되어 복호된다. 이렇게 하여, 재생대상의 오디오 스트림이 전환된다. 마찬가지로 재생대상의 자막 및 세컨더리 비디오 스트림을 전환할 수도 있다.
프로그램 실행부(4606)는 프로세서이며, 무비 오브젝트 파일 및 BD-J 오브젝트 파일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프로그램 실행부(4606)는 각 프로그램에 따라서, 특히 다음과 같은 제어를 한다:(1) 재생 제어부(4607)에 대하여 플레이리스트 재생처리를 명령한다;(2) 메뉴용 또는 게임용의 그래픽스 데이터를 PNG 또는 JPEG의 래스터 데이터로 생성하고, 그것을 시스템 타깃 디코더(4603)에 전송하여 다른 영상데이터에 합성시킨다. 이러한 제어의 구체적인 내용은 프로그램의 설계를 통해서 비교적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제어내용은 BD-ROM 디스크(101)의 편집공정 중, 무비 오브젝트 파일 및 BD-J 오브젝트 파일의 프로그래밍 공정에 의해서 정해진다.
플레인 가산부(4610)는 시스템 타깃 디코더(4603)에서 주 영상 플레인 데이터, 부 영상 플레인 데이터, IG 플레인 데이터, PG 플레인 데이터 및 이미지 플레인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들을 서로 중첩해서 하나의 영상 프레임 또는 필드로 합성한다. 합성 후의 영상데이터는 표시장치(103)에 송출되고, 그 화면에 표시된다.
≪시스템 타깃 디코더≫
도 48은 시스템 타깃 디코더(4603)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48을 참조하면, 시스템 타깃 디코더(4603)는 소스 디 패킷다이저(4810), ATC 카운터(4820), 제 1의 27MHz 클록(4830), PID 필터(4840), STC 카운터(STC1)(4850), 제 2의 27MHz 클록 (4860), 주 영상 디코더(4870), 부 영상 디코더(4871), PG 디코더(4872), IG 디코더(4873), 주 음성 디코더(4874), 부 음성 디코더(4875), 이미지 프로세서(4880), 주 영상 플레인 메모리(4890), 부 영상 플레인 메모리(4891), PG 플레인 메모리(4892), IG 플레인 메모리(4893), 이미지 플레인 메모리(4894) 및 음성 믹서(4895)를 포함한다.
소스 디 패킷다이저(4810)는 리드 버퍼(4602)로부터 소스 패킷을 판독하고, 그 중에서 TS 패킷을 인출하여 PID 필터(4840)에 송출한다. 소스 디 패킷다이저(4810)는 그 송출의 시각을 각 소스 패킷의 ATS에 따라서 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소스 디 패킷다이저(4810)는 먼저 ATC 카운터(4820)가 생성하는 ATC의 값을 감시한다. 여기서, ATC의 값은 ATC 카운터(4820)에 의해 제 1의 27MHz 클록(4830)의 클록 호의 펄스에 따라서 증가된다. 소스 디 패킷다이저(4810)는 다음에, ATC의 값이 소스 패킷의 ATS와 일치하는 순간, 그 소스 패킷에서 인출된 TS 패킷을 PID 필터(4840)에 전송한다. 이와 같은 송출 시각의 조정에 의해, 소스 디 패킷다이저(4810)로부터 PID 필터(4840)로의 TS 패킷의 평균 전송속도(RTS)는 도 31에 도시된 2D 클립정보파일이 나타내는 시스템 레이트(3111)를 넘지 않는다.
PID 필터(4840)는 먼저, 소스 디 패킷다이저(4810)로부터 송출된 TS 패킷이 포함하는 PID를 감시한다. 그 PID가 재생 제어부(4807)로부터 미리 지정된 PID에 일치한 때, PID 필터(4840)는 그 TS 패킷을 선택하고, 그 PID가 나타내는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복호에 적합한 디코더(4870-4875)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PID가 0x1011일 때, 그 TS패킷은 주 영상 디코더(4870)에 전송된다. 한편, PID가 0x1 B00-0x1B1F, 0x1100-0x111F, 0x1A00-0x1A1F, 0x1200-0x121F 및 0x1400-0x141F의 각 범위에 속할 때, TS 패킷은 각각, 부 영상 디코더(4871), 주 음성 디코더(4874), 부 음성 디코더(4875), PG 디코더(4872) 및 IG 디코더(4873)에 전송된다.
PID 필터(4840)는 각 TS 패킷의 PID를 이용하여 그 TS 패킷 중에서 PCR를 검출한다. PID 필터(4840)는 그때, STC 카운터(4850)의 값을 소정치로 설정한다. 여기서, STC 카운터(4850)의 값은 제 2의 27MHz 클록(4860)의 클록신호의 펄스에 따라서 증가된다. 또, STC 카운터(4850)에 설정되어야 할 값은 미리, 재생 제어부(4807)로부터 PID 필터(4840)에 지시되어 있다. 각 디코더(4870-4875)는 STC 카운터(4850)의 값을 STC로 이용한다. 즉, PID 필터(4840)로부터 송출된 TS 패킷에 대한 복호처리의 시기를 그 TS 패킷에 포함되는 PTS 또는 DTS가 나타내는 시각에 따라서 조절한다.
주 영상 디코더(4870)는 도 4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랜스포트 스트림 버퍼(TB:Transport Stream Buffer)(4801), 다중화 버퍼(MB:Multiplexing Buffer)(4802), 엘리멘터리 스트림 버퍼(EB:Elementary Stream Buffer)(4803), 압축 영상 디코더(DEC)(4804) 및 복호 픽처 버퍼(DPB:Decoded Picture Buffer)(4805)를 포함한다. TB(4801), MB(4802), EB(4803) 및 DPB(4805)는 모두 버퍼 메모리이며, 각각 주 영상 디코더(4870)에 내장된 메모리 소자의 한 영역을 이용한다. 그 외에,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다른 메모리 소자로 분리되어 있어도 좋다. TB(4801)는 PID 필터(4840)에서 수신된 TS패킷을 그대로 축적한다. MB(4802)는 TB(4801)에 축적된 TS 패킷에서 복원된 PES 패킷을 축적한다. 또, TB(4801)에서 MB(4802)에 TS 패킷이 전송된 때, 그 TS 패킷에서 TS 헤더가 제거된다. EB(4803)는 PES 패킷에서 부호화된 된 VAU를 추출하여 저장한다. 그 VAU에는 압축 픽처, 즉, I 픽처, B 픽처 및 P 픽처가 저장되어 있다. 또, MB(4802)에서EB(4803)에 디코더가 전송될 때, 그 PES 패킷에서 PES 헤더가 제거된다. DEC(4804)는 EB(4803) 내의 각 VAU에서 픽처를 원래의 TS 패킷에 포함되는 DTS가 나타내는 시각으로 복호한다. DEC(4804)는 그 외에, 도 14에 도시된 복호스위치정보(1401)를 이용하여 각 VAU로부터 픽처를 그 DTS에 관계없이 순차 복호하여도 좋다. DEC(4804)는 각 VAU 내에 저장된 압축 픽처의 압축 부호화방식, 예를 들어 MPEG-2, MPEG-4 AVC 및 VC1, 그리고 스트림 속성에 따라서 복호방법을 전환한다. DEC(4804)는 복호 후의 픽처, 즉 프레임 또는 픽처를 DPB(4805)에 전송한다. DPB(4805)는 복호 후의 픽처를 일시적으로 유지한다. DEC(4804)는 P 픽처 및 B 픽처를 복호할 때, DPB(4805)에 유지되어 있는 복호 후의 픽처를 참조한다. DPB(4805)는 유지하고 있는 각 픽처를 원래의 TS 패킷에 포함되는 PTS가 나타내는 시각으로 주 영상 플레인 메모리(4890)에 기록한다.
부 영상 디코더(4871)는 주 영상 디코더(4870)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한다. 부 영상 디코더(4871)는 먼저, PID 필터(4840)에서 수신된 세컨더리 비디오 스트림의 TS 패킷을 비 압축의 픽처로 복호한다. 부 영상 디코더(4871)는 다음에, 그 TS 패킷에 포함되는 PTS가 나타내는 시각에 비 압축의 픽처를 부 영상 플레인 메모리(4891)에 기록한다.
PG 디코더(4872)는 PID 필터(4840)로부터 수신된 TS 패킷을 비 압축의 그래픽스 데이터로 복호하고, 그 TS 패킷에 포함되는 PTS가 나타내는 시각에 PG 플레인메모리(4892)에 기록한다.
IG 디코더(4873)는 PID 필터(4840)로부터 수신된 TS 패킷을 비 압축의 그래픽스 데이터로 복호하고, 그 TS 패킷에 포함되는 PTS가 나타내는 시각에 IG 플레인메모리(4893)에 기록한다.
주 음성 디코더(4874)는 먼저, PID 필터(4840)로부터 수신된 TS 패킷을 내장의 버퍼에 저장한다. 주 음성 디코더(4874)는 다음에, 그 버퍼 내의 각 TS 패킷에서 TS 헤더와 PES 헤더를 제거하고, 남은 데이터를 비 압축의 LPCM 음성 데이터로 복호한다. 주 음성 디코더(4874)는 그 음성 데이터를 원래의 TS 패킷에 포함되는 PTS가 나타내는 시각에 음성 믹서(4895)에 송출한다. 주 음성 디코더(4874)는 TS 패킷에 포함되는 프라이머리 오디오 스트림의 압축 부호화방식, 예를 들어 AC-3 또는 DTS 및 스트림 속성에 따라서 압축 음성 데이터의 복호방법을 전환한다.
부 음성 디코더(4875)는 주 음성 디코더(4874)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한다. 부 음성 디코더(4875)는 먼저, PID 필터(4840)에서 수신된 세컨더리 오디오 스트림의 TS 패킷을 비 압축의 LPCM 음성 데이터로 복호한다. 부 음성 디코더(4875)는 다음에, 그 TS 패킷에 포함되는 PTS가 나타내는 시각에 비 압축의 LPCM 음성 데이터를 음성 믹서(4895)에 송출한다. 부 음성 디코더(4875)는 TS 패킷에 포함되는 세컨더리 오디오 스트림의 압축 부호화방식, 예를 들어 돌비 디지털 플러스, DTS-HDLBR 및 스트림 속성에 따라서 압축 음성 데이터의 복호 방법을 전환한다.
음성 믹서(4895)는 주 음성 디코더(4874)와 부 음성 디코더(4875)의 각각에서 비 압축의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들을 이용하여 믹싱(소리의 중첩)을 한다. 음성 믹서(4895)는 그 믹싱으로 얻어진 합성 음을 표시장치(103)의 내장 스피커(103A) 등에 송출한다.
이미지 프로세서(4880)는 프로그램 실행부(4806)에서 그래픽스 데이터, 즉 PNG 또는 JPEG의 래스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미지 프로세서(4880)는 그때, 그 그래픽스 데이터에 대한 렌더링 처리를 실시하고 이미지 플레인 메모리(4894)에 기록한다.
<3D 재생장치의 구성>
3D 재생모드의 재생장치(102)는 BD-ROM 디스크(101)에서 3D 영상 콘텐츠를 재생할 때, 3D 재생장치로 동작한다. 그 구성의 기본부분은 도 46-48에 도시된 2D 재생장치의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2D 재생장치의 구성에서의 확장 부분 및 변경 부분에 대하여 설명하고, 기본 부분의 상세에 대한 설명은 상기의 2D 재생장치에 대한 설명을 원용한다. 또, 2D 플레이리스트 파일에 따른 2D 영상의 재생처리, 즉 2D 플레이리스트 재생처리에 이용되는 구성은 2D 재생장치의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그 상세에 대한 설명도 상기의 2D 재생장치에 대한 설명을 원용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3D 플레이리스트 파일에 따른 3D 영상의 재생처리, 즉 3D 플레이리스트 재생처리를 상정한다.
도 49는 3D 재생장치(4900)의 기능 블록도이다. 3D 재생장치(4900)는 BD-ROM 드라이브(4901), 재생부(4900A) 및 제어부(4900B)를 포함한다. 재생부(4900A)는 스위치(4911), 제 1 리드 버퍼(4921), 제 2 리드 버퍼(4922), 시스템 타깃 디코더(4903) 및 플레인 가산부(4910)를 포함한다. 제어부(4900B)는 동적 시나리오 메모리(4904), 정적 시나리오 메모리(4905), 프로그램 실행부(4906), 재생 제어부(4907), 플레이어 변수 기억부(4908) 및 사용자 이벤트 처리부(4909)를 포함한다. 재생부(4900A)와 제어부(4900B)는 서로 다른 집적회로에 실장되어 있다. 그 외에, 양쪽이 단일의 집적회로에 통합되어 있어도 좋다. 특히, 동적 시나리오 메모리(4904), 정적 시나리오 메모리(4905), 프로그램 실행부(4906) 및 사용자 이벤트 처리부(4909)는 도 46에 도시된 2D 재생장치 내의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이들 상세에 대한 설명은 상기의 2D 재생장치에 대한 설명을 원용한다.
BD-ROM 드라이브(4901)는 도 46에 도시된 2D 재생장치 내의 것(4601)과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BD-ROM 드라이브(4901)는 재생 제어부(4907)에서 LBN의 범위가 지시된 때, 그 범위가 나타내는 BD-ROM 디스크(101) 상의 섹터 군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한다. 특히, 파일 SS의 익스텐트, 즉 3D 익스텐트에 속하는 소스 패킷 군은 BD-ROM 드라이브(4901)에서 스위치(4911)에 전송된다. 여기서, 각 3D 익스텐트는 도 19 (d) 및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뷰와 디펜던트 뷰의 데이터블록의 쌍을 하나 이상 포함한다. 이들 데이터블록은 다른 리드 버퍼(4921, 4922)에 병행하게 전송되어야 한다. 따라서, BD-ROM 드라이브(4901)에는 2D 재생장치 내의 BD-ROM 드라이브(4601) 이상의 액세스 스피드가 요구된다.
스위치(4911)는 BD-ROM 드라이브(4901)에서는 3D 익스텐트를 수신한다. 한편, 스위치(4911)는 재생 제어부(4907)에서는 그 3D 익스텐트에 포함되는 각 데이터블록의 경계를 나타내는 정보, 예를 들어 그 3D 익스텐트의 선두에서 각 경계까지의 소스 패킷 수를 수신한다. 여기서, 재생 제어부(4907)는 그 정보를 클립정보파일 내의 익스텐트 기점을 이용하여 생성한다. 스위치(4911)는 그 정보를 이용하여 각 3D 익스텐트에서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을 더 추출하고, 제 1 리드 버퍼(4921)에 송출한다. 한편, 스위치(4911)는 남은 디펜덴트 뷰 데이터블록을 제 2 리드 버퍼(4922)에 송출한다.
제 1 리드 버퍼(4921)와 제 2 리드 버퍼(4922)는 모두 재생부(4900A) 내의 메모리 소자를 이용한 버퍼 메모리이다. 특히, 단일의 메모리 소자 내의 다른 영역이 각 리드 버퍼(4921, 4922)로 이용된다. 그 외에, 다른 메모리 소자가 개별로 각 리드 버퍼(4921, 4922)로 이용되어도 좋다. 제 1 리드 버퍼(4921)는 스위치(4911)에서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을 수신하여 저장한다. 제 2 리드 버퍼(4922)는 스위치(4911)로부터 디펜덴트 뷰 데이터블록을 수신하여 저장한다.
시스템 타깃 디코더(4903)는 먼저, 제 1 리드 버퍼(4921)에 저장된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과 제 2 리드 버퍼(4922)에 저장된 디펜덴트 뷰 데이터블록에서 교호로 소스 패킷을 판독한다. 시스템 타깃 디코더(4903)는 다음에, 다중분리처리에 의해 각 소스 패킷에서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분리하고, 분리된 것 중에서 재생 제어부(4907)에서 지시된 PID가 나타내는 것을 복호한다. 시스템 타깃 디코더(4903)는 계속해서, 복호 후의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그 종류별로 내장된 플레인 메모리에 기록한다.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은 좌영상 플레인 메모리에 기록되고, 디펜덴트 뷰 비디오 스트림은 우영상 플레인 메모리에 기록된다. 한편, 세컨더리 비디오 스트림은 부 영상 플레인 메모리에 기록되고, IG 스트림은 IG 플레인 메모리에 기록되며, PG 스트림은 PG 플레인 메모리에 기록된다. 여기서, 비디오 스트림 이외의 스트림 데이터가 베이스 뷰와 디펜덴트 뷰의 스트림 데이터의 쌍으로 이루어질 때, 대응하는 플레인 메모리는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양쪽의 플레인 데이터에 대하여 개별로 준비된다. 시스템 타깃 디코더(4903)는 그 외에, 프로그램 실행부(4906)로부터의 그래픽스 데이터, 예를 들어 JPEG 또는 PNG 등의 래스터 데이터를 처리하고 이미지 플레인 메모리에 기록한다.
시스템 타깃 디코더(4903)는 좌영상과 우영상의 각 플레인 메모리로부터의 플레인 데이터의 출력을 B-D 표시모드와 B-B 표시모드에 대응시킨다. 재생 제어부(4907)에서 B-D 표시모드가 지시된 때, 시스템 타깃 디코더(4903)는 좌영상과 우영상의 각 플레인 메모리에서 교호로 플레인 데이터를 출력한다. 한편, 재생 제어부(4907)에서 B-B 표시모드가 지시된 때, 시스템 타깃 디코더(4903)는 동작모드를 3D 재생모드로 유지한 채로, 좌영상과 우영상의 어느 하나의 플레인 메모리에서만 플레인 데이터를 프레임당 2회씩 출력한다.
시스템 타깃 디코더(4903)는 그래픽스 플레인 메모리, 즉, PG 플레인 메모리, IG 플레인 메모리 및 이미지 플레인 메모리로부터의 각 그래픽스 플레인 데이터의 출력을 2 플레인 모드, 1 플레인+오프셋모드 및 1 플레인+제로 오프셋모드에 대응시킨다. 재생 제어부(4907)에서 2 플레인 모드가 지시된 때, 시스템 타깃 디코더(4903)는 각 그래픽스 플레인 메모리에서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그래픽스 플레인 데이터를 교호로 출력한다. 재생 제어부(4907)에서 1 플레인+오프셋모드 또는 1 플레인+제로 오프셋 모드가 지시된 때, 시스템 타깃 디코더(4903)는 동작모드를 3D 재생모드로 유지한 채로, 각 그래픽스 플레인 메모리에서 그래픽스 플레인 데이터를 출력한다. 재생 제어부(4907)에서 1 플레인+오프셋모드가 지시된 때는 시스템 타깃 디코더(4903)는 재생 제어부(4907)에 의해서 지정된 오프셋 값을 플레이 가산부(4910)에 인계한다. 여기서, 재생 제어부(4907)는 그 오프셋 값을 클립정보파일 내의 오프셋 테이블에 의거하여 설정한다. 한편, 재생 제어부(4907)에서 1 플레인+제로 오프셋 모드가 지시된 때, 시스템 타깃 디코더(4903)는 오프셋 값로 “0”을 플레인 가산부(4910)에 인계한다.
재생 제어부(4907)는 3D 플레이리스트 재생처리를 프로그램 실행부(4906) 등에서 명해진 때, 먼저, 정적 시나리오 메모리(4905)에 저장된 3D 플레이리스트 파일을 참조한다. 재생 제어부(4907)는 다음에, 3D 플레이리스트 파일에 따라 도 43에 도시된 순서로 판독대상의 3D 익스텐트가 기록된 섹터 군의 LBN의 범위를 BD-ROM 드라이브(4901)에 지시한다. 한편, 재생 제어부(4907)는 정적 시나리오 메모리(4905)에 저장된 클립정보파일 내의 3D 메타데이터를 참조하여, 판독대상의 각 3D 익스텐트에 관한 익스텐트 기점을 검색한다. 재생 제어부(4907)는 그 익스텐트 기점으로부터 각 3D 익스텐트에 포함되는 데이터블록의 경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한다. 그 정보가 재생 제어부(4907)에서 스위치(4911)에 송출된다.
재생 제어부(4907)는 그 외에 3D 플레이리스트 파일 내의 STN 테이블과 STN 테이블 SS를 이용하여 시스템 타깃 디코더(4903)와 플레인 가산부(4910)의 동작조건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재생대상의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PID가 선택되고, 시스템 타깃 디코더(4903)에 인계된다. 또, STN 테이블 SS 중, 팝업 기간의 오프셋(4111)에 따라 각 플레인의 표시모드가 선택되고, 시스템 타깃 디코더(4903)와 플레인 가산부(4910)에 지시된다.
플레이어 변수 기억부(4908)는 2D 재생장치 내의 것과 마찬가지로, 도 47에 도시되어 있는 SPRM를 포함한다. 그러나, 도 47에서는 예비인 SPRM(24)-(32) 중 어느 2개는 도 45에 도시된 제 1 플래그와 제 2 플래그를 개별로 포함한다. 예를 들어, SPRM(24)가 제 1 플래그를 포함하고, SPRM(25)가 제 2 플래그를 포함한다. 이 경우, SPRM(24)가“0”일 때는 재생장치(102)가 2D 영상의 재생에만 대응 가능하고, “1”일 때에는 3D 영상의 재생에도 대응 가능하다. SPRM(25)가 “0”일 때는 재생장치(102)가 L/R모드이고, “1”일 때는 깊이모드이다.
플레인 가산부(4910)는 시스템 타깃 디코더(4903)에서 각종 플레인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것들을 서로 중첩해서 하나의 프레임 또는 필드로 합성한다. 특히 L/R모드에서는 좌영상 플레인 데이터는 레프트 뷰 비디오 플레인을 나타내고, 우영상 플레인 데이터는 라이트 뷰 비디오 플레인을 나타낸다. 따라서, 플레인 가산부(4910)는 좌영상 플레인 데이터에는 다른 플레인 데이터 중, 레프트 뷰를 나타내는 것을 중첩하고, 우영상 플레인 데이터에는 라이트 뷰를 나타내는 것을 중첩한다. 한편, 깊이모드에서는 우영상 플레인 데이터는 좌영상 플레인 데이터가 나타내는 비디오 플레인에 대한 깊이 맵을 나타낸다. 따라서, 플레인 가산부(4910)는 먼저, 양쪽의 영상 플레인 데이터에서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비디 플레인 데이터의 쌍을 생성한다. 그 후, 플레인 가산부(4910)는 L/R모드에서의 합성처리와 동일한 합성처리를 한다.
재생 제어부(4907)에서 부 영상 플레인, PG 플레인, IG 플레인, 또는 이미지 플레인의 표시모드로 1 플레인+오프셋모드 또는 1 플레인+제로 오프셋모드가 지시된 때, 플레이 가산부(4910)는 시스템 타깃 디코더(4903)에서 수신된 플레이 데이터에 대하여 크로핑 처리를 한다. 이에 의해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플레인 데이터의 쌍이 생성된다. 특히 1 플레인+오프셋모드가 지시된 때, 그 크로핑 처리에서는 시스템 타깃 디코더(4903) 또는 프로그램 실행부(4906)에서 지시된 오프셋 값이 이용된다. 한편, 1 플레인+제로 오프셋 모드가 지시된 때, 그 크로핑 처리에서는 오프셋 값이“0”으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동일한 플레인 데이터가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를 나타내는 것으로 반복 출력된다. 그 후, 플레인 가산부(4910)는 L/R모드에서의 합성처리와 동일한 합성처리를 한다. 합성 후의 프레임 또는 필드는 표시장치(103)에 송출되고 그 화면에 표시된다.
≪시스템 타깃 디코더≫
도 50은 시스템 타깃 디코더(4903)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0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는 도 46에 도시된 2D 재생장치의 것(4603)과는 다음의 2점에서 다르다:(1) 리드 버퍼에서 각 디코더로의 입력계통이 이중화되어 있는 점 및, (2) 주 영상 디코더는 3D 재생모드에 대응 가능하고, 부 영상 디코더, PG 디코더 및 IG 디코더는 2 플레인모드에 대응 가능한 점. 즉, 이러한 영상 디코더는 모두 베이스 뷰와 디펜던트 뷰의 각각의 스트림을 교호로 복호 할 수 있는 점. 한편, 주 음성 디코더, 부 음성 디코더, 음성 믹서, 이미지 프로세서 및 각 플레인 메모리는 도 46에 도시된 2D 재생장치의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50에 도시된 구성요소 중, 도 46에 도시된 것과는 다른 것에 대하여 설명하고, 동일한 것의 상세에 대한 설명은 도 46에 대한 설명을 원용한다. 또, 각 영상 디코더는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주 영상 디코더(5015)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고, 다른 영상 디코더의 구조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원용한다.
제 1 소스 디 패킷다이저(5011)는 제 1 리드 버퍼(4921)에서 소스 패킷을 판독하고, 그 중에서 TS 패킷을 인출하여 제 1 PID 필터(5013)에 송출한다. 제 2 소스 디 패킷다이저(5012)는 제 2 리드 버퍼(4922)에서 소스 패킷을 판독하고, 그 중에서 TS 패킷을 인출하고 제 2 PID 필터(5014)에 송출한다. 각 소스 디 패킷다이저(5011, 5012)는 각 TS 패킷의 송출시각을 각 소스 패킷의 ATS에 따라서 조정한다. 그 조정방법은 도 46에 도시되어 있는 소스 디 패킷다이저(4610)에 의한 방법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에 대한 설명은 도 46에 대한 설명을 원용한다. 이와 같은 조절에 의해, 제 1 소스 디 패킷다이저(5011)에서 제 1 PID 필터(5013)로의 TS 패킷의 평균 전송속도(RTS1)는 도 30에 도시된 2D 클립정보파일이 나타내는 시스템 레이트(3011)를 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제 2 소스 디 패킷다이저(5012)에서 제 2 PID 필터(5014)로의 TS 패킷의 평균 전송속도(RTS2)는 디펜던트 뷰 클립정보파일이 나타내는 시스템 레이트를 넘지 않는다.
제 1 PID 필터(5013)는 제 1 소스 디 패킷다이저(5011)에서 TS 패킷을 수신할 때마다 그 PID를 선택대상의 PID와 비교한다. 그 선택대상의 PID는 재생 제어부(4907)에 의해서 미리, 3D 플레이리스트 파일 내의 STN 테이블에 따라서 지정되어 있다. 양쪽의 PID가 일치한 때, 제 1 PID 필터(5013)는 그 TS 패킷을 그 PID에 할당된 디코더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PID가 0x1011일 때, 그 TS 패킷은 주 영상 디코더(5015) 내의 TB(1)(5001)에 전송된다. 그 외에, PID가 0x1B00-0x1B1F, 0x1100-0x111F, 0x1A00-0x1A1F, 0x1200-0x121F 및 0x1400-0x141F의 각 범위에 속할 때, 대응하는 TS 패킷은 부 영상 디코더, 주 음성 디코더, 부 음성 디코더, PG 디코더 및 IG 디코더에 전송된다.
제 2 PID 필터(5014)는 제 2 소스 디 패킷다이저(5012)에서 TS 패킷을 수신할 때마다 그 PID를 선택 대상의 PID와 비교한다. 그 선택대상의 PID는 재생 제어부(4907)에 의해서 미리, 3D 플레이리스트 파일 내의 STN 테이블 SS에 따라서 지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양쪽의 PID가 일치한 때, 제 2 PID 필터(5014)는 그 TS 패킷을 그 PID에 할당된 디코더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PID가 0x1012 또는 0x1013일 때, 그 TS 패킷은 주 영상 디코더(5015) 내의 TB(2)(5008)에 전송된다. 그 외에, PID가 0x1B20-0x1B3F, 0x1220-0x127F 및 0x1420-0x147F의 각 범위에 속할 때, 대응하는 TS 패킷은 각각, 부 영상 디코더, PG 디코더 및 IG 디코더에 전송된다.
주 영상 디코더(5015)는 TB(1)(5001), MB(1)(5002), EB(1)(5003), TB(2)(5008), MB(2)(5009), EB(2)(5010), 버퍼 스위치(5006), DEC(5004), DPB(5005) 및 픽처 스위치(5007)를 포함한다. TB(1)(5001), MB(1)(5002), EB(1)(5003), TB(2)(5008), MB(2)(5009), EB(2)(5010) 및 DPB(5005)는 모두 버퍼메모리이다. 각 버퍼 메모리는 주 영상 디코더(5015)에 내장된 메모리 소자의 한 영역을 이용한다. 그 외에, 이들 버퍼 메모리의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다른 메모리 소자로 분리되어 있어도 좋다.
TB(1)(5001)은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을 포함하는 TS 패킷을 제 1 PID 필터(5013)에서 수신하고 그대로 축적한다. MB(1)(5002)는 TB(1)(5001)에 축적된 TS패킷에서 PES 패킷을 복원하여 축적한다. 그때, 각 TS 패킷에서 TS 헤더가 제거된다. EB(1)(5003)은 MB(1)(5002)에 축적된 PES 패킷에서 부호화된 VAU를 추출하여 축적한다. 그때, 각 PES 패킷에서 PES 헤더가 제거된다.
TB(2)(5008)은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을 포함하는 TS 패킷을 제 2 PID 필터(5014)에서 수신하고 그대로 축적한다. MB(2)(5009)는 TB(2)(5008)에 축적된 TS 패킷에서 PES 패킷을 복원해서 축적한다. 그때, 각 TS 패킷에서 TS 헤더가 제거된다. EB(2)(5010)은 MB(2)(5009)에 축적된 PES 패킷에서 부호화된 VAU를 추출해서 축적한다. 그때, 각 PES 패킷에서 PES 헤더가 제거된다.
버퍼 스위치(5006)는 EB(1)(5003)와 EB(2)(5010)에 각각에 축적된 VAU를 원래의 TS 패킷에 포함되는 DTS가 나타내는 시각에 DEC(5004)에 전송한다. 여기서,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과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 사이에서는 동일한 3D VAU에 속하는 한 쌍의 픽처의 DTS가 동일하다. 따라서, 버퍼 스위치(5006)는 EB(1)(5003)와 EB(2)(5010)에 축적된 DTS가 동일한 한 쌍의 VAU 중, EB(1)(5003)에 축적된 쪽을 먼저 DEC(5004)에 전송한다. 그 외에, 버퍼 스위치(5006)는 도 14에 도시된 그 VAU 내의 복호스위치정보(1401)를 DEC(5004)로부터 회신되어도 좋다. 그 경우, 버퍼 스위치(5006)는 그 복호스위치정보(1401)를 사용하여 다음에 전송될 VAU를 EB(1)(5003)과 EB(2)(5010)의 어느 것에서 전송해야할 것인가를 결정할 수 있다.
DEC(5004)는 버퍼 스위치(5006)로부터 전송된 VAU를 복호한다. 여기서, 그 VAU 내에 저장된 압축 픽처의 부호화방식, 예를 들어 MPEG-2, MPEG-4 AVC 및 VC1 및 스트림 속성에 따라서 DEC(5004)는 복호방법을 전환한다. DEC(5004)는 복호된 비 압축의 픽처, 즉 영상 프레임 또는 필드를 DPB(5005)에 전송한다.
DPB(5005)는 복호된 비 압축의 픽처를 일시적으로 유지한다. DEC(5004)가 P 픽처 및 B 픽처를 복호할 때, DPB(5005)는 DEC(5004)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유지되어 있는 비 압축의 픽처 중에서 참조 픽처를 DEC(5004)에 제공한다.
픽처 스위치(5007)는 DPB(5005)에서 비 압축의 각 픽처를 원래의 TS 패킷에 포함되는 PTS가 나타내는 시각에 좌영상 플레인 메모리(5020)와 우영상 플레인 메모리(5021)의 어느 하나에 기록한다. 여기서,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과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 사이에서는 동일한 3D VAU에 속하는 한 쌍의 픽처의 PTS가 동일하다. 따라서, 픽처 스위치(5007)는 DPB(5005)에 유지된 PTS가 동일한 한 쌍의 픽처 중,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에 속하는 쪽을 먼저 좌영상 플레인 메모리(5020)에 기록하고, 계속해서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에 속하는 것을 우영상 플레인 메모리(5021)에 기록한다.
≪플레인 가산부≫
도 51은 플레인 가산부(4910)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1을 참조하면, 플레인 가산부(4910)는 시차 영상 생성부(5110), 스위치(5120), 네 개의 크로핑 처리부(5131-5134) 및 네 개의 가산부(5141-5144)를 포함한다.
시차 영상 생성부(5110)는 시스템 타깃 디코더(4903)에서 좌영상 플레인 데이터(5101)와 우영상 플레인 데이터(5102)를 수신한다. 재생장치(102)가 L/R모드일 때, 좌영상 플레인 데이터(5101)는 레프트 뷰 비디오 플레인을 나타내고, 우영상 플레인 데이터(5102)는 라이트 뷰 비디오 플레인을 나타낸다. 그때, 시차 영상 생성부(5110)는 각 비디오 플레인 데이터(5101, 5102)를 그대로 스위치(5120)에 송출한다. 한편, 재생장치(102)가 깊이모드일 때, 좌영상 플레인 데이터(5101)는 2D 영상의 비디오 플레인을 나타내고, 우영상 플레인 데이터(5102)는 그 2D 영상에 대한 깊이 맵을 나타낸다. 그때, 시차 영상 생성부(5110) 는, 먼저 그 깊이 맵에서 그 2D 영상의 각부의 양 눈 시차를 계산한다. 시차 영상 생성부(5110)는 다음에, 좌영상 플레인 데이터(5101)를 가공하여, 비디오 플레인에서의 그 2D 영상의 각부의 표시위치를 계산된 양 눈 시차에 따라 좌우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를 나타내는 비디오 플레인의 쌍이 생성된다. 시차 영상 생성부(5110)는 그 비디오 플레인의 쌍을 좌영상과 우영상의 플레인 데이터의 쌍으로 스위치(5120)에 송출한다.
스위치(5120)는 재생 제어부(4907)에서 B-D 표시모드가 지시된 때, PTS가 동일한 좌영상 플레인 데이터(5101)와 우영상 플레인 데이터(5102)를 그 순으로 제 1 가산부(5141)에 송출한다. 스위치(5120)는 재생 제어부(4907)에서 B-B 표시모드가 지시된 때, PTS가 동일한 좌영상 플레인 데이터(5101)와 우영상 플레인 데이터(5102)의 일방을 프레임당 충분해 2회씩 제 1 가산부(5141)에 송출하고, 타방을 파기한다.
각 크로핑 처리부(5131-5134)는 시차 영상 생성부(5110)와 스위치(5120)의 쌍과 동일한 구성을 포함한다. 2 플레인 모드에서는 이러한 구성이 이용된다. 특히 재생장치(102)가 깊이모드일 때, 시스템 타깃 디코더(4903)로부터의 플레인 데이터는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플레인 데이터의 쌍으로 변환된다. 재생 제어부(4907)에서 B-D 표시모드가 지시된 때,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플레인 데이터가 교호로 각 가산부(5141-5144)에 송출된다. 한편, 재생 제어부(4907)에서 B-B 표시모드가 지시된 때,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플레인 데이터의 일방이 프레임당 2회씩 각 가산부(5141-5144)에 송출되고, 타방은 파기된다.
1 플레인+오프셋모드에서는 제 1 크로핑 처리부(5131)는 시스템 타깃 디코더(4903)에서 오프셋 값(5151)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부 영상 플레인 데이터(5103)에 대하여 크로핑 처리를 한다. 이에 의해 그 부 영상 플레인 데이터(5103)는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를 나타내는 한 쌍의 부 영상 플레인 데이터로 변환되어서 교호로 송출된다. 한편, 1 플레인+제로 오프셋모드에서는 그 부 영상 플레인 데이터(5103)가 2회 반복해서 송출된다.
1 플레인+오프셋모드에서는 제 2 크로핑 처리부(5132)는 시스템 타깃 디코더(4903)에서 오프셋 값(5151)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PG 플레인 데이터(5104)에 대하여 크로핑 처리를 한다. 이에 의해 그 PG 플레인 데이터(5104)는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를 나타내는 한 쌍의 PG 플레인 데이터로 변환되어서 교호로 송출된다. 한편, 1 플레인+제로 오프셋모드에서는 그 PG 플레인 데이터(5104)가 2회 반복해서 송출된다.
1 플레인+오프셋모드에서는 제 3 크로핑 처리부(5133)는 시스템 타깃 디코더(4903)에서 오프셋 값(5151)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IG 플레인 데이터(5105)에 대하여 크로핑 처리를 한다. 이에 의해 그 IG 플레인 데이터(5105)는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를 나타내는 한 쌍의 IG 플레인 데이터로 변환되어서 교호로 송출된다. 한편, 1 플레인+제로 오프셋모드에서는 그 IG 플레인 데이터(5105)가 2회 반복해서 송출된다.
도 52 (a), (b)는 제 2 크로핑 처리부(5132)에 의한 크로핑 처리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2 (a), (b)에서는 각각, PG 플레인 데이터(5104)에서 레프트 뷰 PG 플레인 데이터(5204L)와 라이트 뷰 PG 플레인 데이터(5204R)의 쌍이 다음과 같이 생성된다. 제 2 크로핑 처리부(5132)는 먼저, 오프셋 값(5151) 중에서 PG 플레인에 할당된 것을 검색한다. 제 2 크로핑 처리부(5132)는 다음에, 그 오프셋 값에 따라서 PG 플레인 데이터(5104)가 나타내는 그래픽스 영상의 표시위치에 대한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각 표시위치를 좌 또는 우로 변화시킨다. 그 결과,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PG 플레인 데이터의 쌍이 얻어진다. 또, 1 플레인+제로 오프셋모드에서는 오프셋 값이 “0”이므로, 원래의 PG 플레인 데이터가 그대로 유지된다. 제 1 크로핑 처리부(5131)는 부 영상 플레인 데이터(5103)에 대하여 동일한 크로핑 처리를 하고, 제 3 크로핑 처리부(5133)는 IG 플레인 데이터(5105)에 대하여 동일한 크로핑 처리를 한다.
도 52 (a)를 참조하면, 3D 영상의 깊이가 화면보다 앞임을 오프셋 값의 부호가 나타낼 때, 제 2 크로핑 처리부(5132)는 먼저, PG 플레인 데이터(5104) 내의 각 화소 데이터의 위치를 원래의 위치에서 오프셋 값에 동일한 화소 수(5201L)만큼 우측으로 변화시킨다. 3D 영상의 깊이가 화면보다 안쪽임을 오프셋 값의 부호가 나타낼 때에는 좌측으로 변화시킨다. 제 2 크로핑 처리부(5132)는 다음에, PG 플레인 데이터(5104)의 범위에서 우(또는 좌)로 돌출되어 있는 화소 데이터 군(5202L)을 제거한다. 이렇게 하여, 남은 화소 데이터 군(5204L)이 레프트 뷰 PG 플레인 데이터로 출력된다.
도 52 (b)를 참조하면, 3D 영상의 깊이가 화면보다 앞임을 오프셋 값의 부호가 나타낼 때, 제 2 크로핑 처리부(5132)는 먼저, PG 플레인 데이터(5104) 내의 각 화소 데이터의 위치를 원래의 위치에서 오프셋 값에 동일한 화소 수(5201R)만큼 좌측으로 변화시킨다. 3D 영상의 깊이가 화면보다 안쪽임을 오프셋 방향이 나타낼 때는 우측으로 변화시킨다. 제 2 크로핑 처리부(5132)는 다음에, PG 플레인 데이터(5104)의 범위에서 좌(또는 우)로 돌출되어 있는 화소 데이터 군(5202R)을 제거한다. 이렇게 하여, 남은 화소 데이터 군(5204R)이 라이트 뷰 PG 플레인 데이터로 출력된다.
도 53 (a), (b), (c)는 각각, 도 52에 도시되어 있는 크로핑 처리에 의해서 생성된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PG 플레인 및 그것들로부터 시청자에게 지각되는 3D 영상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3 (a)를 참조하면, 레프트 뷰 PG 플레인(5301L)은 화면(5302)의 범위에서 오프셋 값(5201L) 만큼 우측으로 변위하고 있다. 그 결과, 레프트 뷰 PG 플레인(5301L) 내의 자막의 2D 영상(5303)은 원래의 위치보다 오프셋 값(5201L)만큼 우측으로 변위해서 보인다. 도 53 (b)를 참조하면, 라이트 뷰 PG 플레인(5301R)은 반대로 화면(5302)의 범위에서 오프셋 값(5201R)만큼 좌측으로 변위하고 있다. 그 결과, 라이트 뷰 PG 플레인(5301R) 내의 자막의 2D 영상(5303)은 원래의 위치보다 오프셋 값(5201R)만큼 좌측으로 변위해서 보인다. 이들 PG 플레인(5301L, 5301R)을 화면(5302)에 교호로 표시할 때, 도 53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청자(5304)에게는 자막의 3D 영상(5305)이 화면(5302)보다 앞에 보인다. 그때의 3D 영상(5305)과 화면(5302) 사이의 거리는 오프셋 값(5201L, 5201R)에 의해서 조절 가능하다. PG 플레인 데이터(5104) 내의 각 화소 데이터의 위치를 도 52 (a), (b)에 나타내는 방향과는 반대로 변화시켰을 때는 시청자(5304)에게는 자막의 3D 영상(5305)이 화면(5302)보다도 안쪽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1 플레인+오프셋모드에서는 크로핑 처리를 이용하여 하나의 플레인 데이터에서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플레인 데이터의 쌍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하나의 플레인 데이터에서도 시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평면적인 이미지에 대해 깊이감을 부여할 수 있다. 특히 시청자에게 그 평면적인 이미지를 화면에서 부상(浮上)하거나 화면의 후방에 있듯이 보이게 할 수 있다. 또, 1 플레인+제로 오프셋모드에서는 오프셋 값이 “0”이므로 평면적인 이미지가 그대로 유지된다.
도 51을 다시 참조하면, 이미지 플레인 데이터(5106)는 프로그램 실행부(4906)에서 시스템 타깃 디코더(4903)에 전송된 그래픽스 데이터가 시스템 타깃 디코더(4903)에 의해서 복호된 것이다. 이 그래픽스 데이터는 JPEG 또는 PNG 등의 래스터 데이터이며, 메뉴 등의 GUI용 그래픽스 부품을 나타낸다. 제 4 크로핑 처리부(5134)는 이미지 플레인 데이터(5106)에 대한 크로핑 처리를 다른 크로핑 처리부(5131-5133)와 동일하게 실시한다. 단, 제 4 크로핑 처리부(5134)는 다른 크로핑 처리부(5131-5133)와 달리 오프셋 값을 시스템 타깃 디코더(4903)가 아니라 프로그램 API(5152)에서 수신한다. 여기서, 프로그램 API(5152)는 프로그램 실행부(4906)에 의해서 실행된다. 이에 의해 그래픽스 데이터가 나타내는 이미지의 깊이에 상당하는 오프셋 값이 산출되어서 제 4 크로핑 처리부(5134)에 인계된다.
제 1 가산부(5141)는 먼저, 스위치(5120)에서는 비디오 플레인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 1 크로핑 처리부(5131)에서는 부 영상 플레인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 1 가산부(5141)는 다음에, 비디오 플레인 데이터와 부 영상 플레인 데이터를 1세트씩 중첩해서 제 2 가산부(5142)에 인계한다. 제 2 가산부(5142)는 제 2 크로핑 처리부 (5132)에서 PG 플레인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 1 가산부(5141)로부터의 플레인 데이터에 중첩해서 제 3 가산부(5143)에 인계한다. 제 3 가산부(5143)는 제 3 크로핑 처리부(5133)에서 IG 플레인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 2 가산부(5142)로부터의 플레인 데이터에 중첩해서 제 4 가산부(5144)에 인계한다. 제 4 가산부(5144)는 제 4 크로핑 처리부(5134)에서 이미지 플레인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 3 가산부(5143)로부터의 플레인 데이터에 중첩해서 표시장치(103)에 송출한다. 그 결과, 도 51에 화살표(5100)로 나타내는 순서로 좌영상 플레인 데이터(5101) 또는 우영상 플레인 데이터(5102), 부 영상 플레인 데이터(5103), PG 플레인 데이터(5104), IG 플레인 데이터(5105) 및 이미지 플레인 데이터(5106)는 중첩된다. 이들 합성처리에 의해, 각 플레인 데이터가 나타내는 영상은 표시장치(103)의 화면상에 좌영상 플레인 또는 우영상 플레인, 부 영상 플레인, IG 플레인, PG 플레인 및 이미지 플레인의 순으로 중첩되도록 표시된다.
플레인 가산부(4910)는 상기의 처리 외에 네 개의 가산부(5141-5144)에 의해서 합성된 플레인 데이터의 출력 형식을 표시장치(103) 등, 그 데이터의 출력처의 장치에 의한 3D 영상의 표시방식에 맞춰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출력처의 장치가 경시분리방식(經時分離方式)을 이용할 때, 플레인 가산부(4910)는 합성 후의 플레인 데이터를 하나의 영상 프레임 또는 필드로 송출한다. 한편, 출력처의 장치가 렌티큘러 렌즈(lenticular lens)를 이용할 때, 플레인 가산부(4910)는 내장된 버퍼 메모리를 이용하여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플레인 데이터의 쌍을 하나의 영상 프레임 또는 필드로 합성하여 송출한다. 구체적으로는, 플레인 가산부(4910)는 먼저 합성된 레프트 뷰 플레인 데이터를 일단, 그 버퍼 메모리에 저장해서 보유한다. 플레인 가산부(4910)는 계속해서, 라이트 뷰 플레인 데이터를 합성하고, 버퍼 메모리에 보유된 레프트 뷰 플레인 데이터와 또 합성한다. 그 합성에서는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각 플레인 데이터가 종 방향으로 가늘고 긴 종이형상의 소 영역으로 분할되고, 각 소 영역이 하나의 프레임 또는 필드 중에 횡 방향으로 교호로 나열되어서 하나의 프레임 또는 필드로 재구성된다. 이렇게 하여,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플레인 데이터의 쌍이 하나의 영상 프레임 또는 필드로 합성된다. 플레인 가산부(4910)는 그 합성 후의 영상 프레임 또는 필드를 출력처의 장치에 송출한다.
<영상의 심리스 재생을 위해서 데이터블록의 사이즈가 만족해야 할 조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BD-ROM 디스크(101)에서는 도 16,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과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이 하나씩 교호로 배치되어 인터리브 배치를 형성하고 있다. 또, 층 경계 등, 롱 점프가 필요한 개소에서는 도 21-29, 3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과 그 복제 데이터가 2D 재생전용블록과 3D 재생전용블록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데이터블록의 배치는 상기의 설명과 같이, 2D 영상과 3D 영상의 어느 심리스 재생에도 유리하다. 이러한 심리스 재생을 더 확실하게 실현하기 위해서는, 각 데이터블록의 사이즈는 재생장치(102)의 성능에 의거하는 조건을 만족하면 좋다. 이하, 이러한 조건에 대하여 설명한다.
≪2D 재생모드의 성능에 의거한 조건≫
도 54는 2D 재생모드의 재생장치(102) 내의 재생처리 계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4를 참조하면, 그 재생처리 계통은 도 46에 도시된 요소 중, BD-ROM 드라이브(4601), 리드 버퍼(4602) 및 시스템 타깃 디코더(4603)를 포함한다. BD-ROM 드라이브(4601)는 BD-ROM 디스크(101)에서 2D 익스텐트를 판독하고, 판독속도 Rud-2D로 리드 버퍼(4602)에 전송한다. 시스템 타깃 디코더(4603)는 리드 버퍼(4602) 내에 축적된 각 2D 익스텐트에서 소스 패킷을 평균 전송속도 Rext2D로 판독하고, 영상데이터 VD와 음성 데이터 AD로 복호한다.
평균 전송속도 Rext2D는 도 37에 도시된 소스 디 패킷다이저(3711)에서 PID 필터(3713)로의 TS 패킷의 평균 전송속도 RTS의 192/188배와 같고, 일반적으로 2D 익스텐트 마다 다르다. 평균 전송속도 Rext2D의 최대치 Rmax2D는 파일 2D에 대한 시스템 레이트의 192/188배와 같다. 여기서, 그 시스템 레이트는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D 클립정보파일에 규정되어 있다. 또, 상기의 계수 192/188은 소스 패킷과 TS 패킷 간의 바이트 수의 비와 같다. 평균 전송속도 Rext2D는 통상 비트/초로 나타내고, 구체적으로는 비트 단위로 나타낸 2D 익스텐트의 사이즈를 익스텐트 ATC 시간으로 나누었을 때의 값과 같다. 「비트 단위로 나타낸 익스텐트의 사이즈」는 그 익스텐트 내의 소스 패킷 수와 소스 패킷 하나당 바이트 수(=192바이트)의 곱의 8배와 같다.
판독속도 Rud -2D는 통상 비트/초로 나타내고, 평균 전송속도 Rext2D의 최고치 Rmax2D보다 높은 값, 예를 들어 54Mbps로 설정된다:Rud -2D>Rmax2D. 이에 의해 BD-ROM 드라이브(4601)가 BD-ROM 디스크(101)에서 하나의 2D 익스텐트를 판독하고 있는 동안, 시스템 타깃 디코더(4603)의 복호처리에 수반하는 리드 버퍼(4602)의 언더플로가 방지된다.
도 55 (a)는 2D 익스텐트의 재생처리 중, 리드 버퍼(4602)에 축적되는 데이터량 DA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5 (b)는 이들 2D 익스텐트를 포함하는 3D 익스텐트 블록(5510)과 2D 재생모드에서의 재생경로(5520)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5 (b)를 참조하면, 3D 익스텐트 블록(5510)은 인터리브 배치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군과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재생경로(5520)에 따라 각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0, L1, …)이 하나의 2D 익스텐트 EXT2D[0], EXT2D[1], …로 BD-ROM 디스크(101)에서 리드 버퍼(4602)에 판독된다. 먼저, 선두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0), 즉 2D 익스텐트 EXT2D[0]의 판독기간 PR2D[0]에서는 도 55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축적 데이터량 DA는 판독속도 Rud -2D와 평균 전송속도 Rext2D[0]의 사이의 차 Rud -2D-Rext2D[0]와 동일한 속도로 증가한다.
선두의 2D 익스텐트 EXT2D[0]의 후단이 판독된 때에 최초의 점프 J2D[0]가 생긴다. 그 점프기간 PJ2D[0]에서는 후속하는 두 개의 데이터블록(D1, R1)의 판독이 스킵되므로 BD-ROM 디스크(101)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이 정지한다. 따라서, 최초의 점프기간 PJ2D[0]에서는 도 55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적 데이터량 DA는 평균 전송속도 Rext2D[0]로 감소한다.
여기서, 다음의 경우를 상정한다:최초의 판독기간 PR2D[0]에 리드 버퍼(4602)에 축적된 데이터량, 즉 선두의 2D 익스텐트 EXT2D[0]의 사이즈 Sext2D[0]가 그 판독기간 PR2D[0]에서 최초의 점프기간 PJ2D[0]에 걸쳐서 리드 버퍼(4602)에서 시스템 타깃 디코더(4603)에 전송되는 데이터량과 같다. 그 경우, 도 55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축적 데이터량 DA는 최초의 점프기간 PJ2D[0]의 종료시, 최초의 판독기간 PR2D[0]의 개시시에서의 값을 밑돌지 않는다.
최초의 점프 J2D[0]에 이어서 다음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1), 즉, 2D 익스텐트 EXT2D[1]의 판독이 개시된다. 그 판독기간 PR2D[1]에서는 도 55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적 데이터량 DA는 데이터 전송속도의 차 Rud -2D-Rext2D[1]와 동일한 속도로 다시 증가한다.
실제로는 BD-ROM 드라이브(4601)는 판독/전송동작을 도 55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는 아니고 단속적으로 행한다. 이에 의해 각 2D 익스텐트의 판독기간 PR2D[0], PR2D[1], …에 축적 데이터량 DA가 리드 버퍼(4602)의 용량을 넘지 않도록, 즉 리드 버퍼(4602)가 오버플로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도 55 (a)의 그래프는 실제로는 계단형상인 증감을 직선적인 증감으로 근사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2D 재생모드에서는 재생경로(5520)에 따라서 2D 익스텐트 Ln=EXT2D[n](n=0, 1, 2, …)의 판독과, 한 쌍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Dn, Rn)의 기록영역을 넘는 점프 J2D[n]가 교호로 반복된다. 이에 수반하여, 리드 버퍼(4602)의 축적 데이터량 DA는 판독기간 PR2D[n]에서는 속도 Rud -2D-Rext2D[n]으로 증가하고, 점프기간 PJ2D[n]에서는 속도 Rext2D[n]로 감소한다. 따라서, 이러한 2D 익스텐트 EXT2D[n]에서 2D 영상을 심리스로 재생하려면 이하의 조건[1],[2]가 만족되면 좋다.
[1]각 점프기간 PJ2D[n]에서 리드 버퍼(4602)로부터 시스템 타깃 디코더(4603)로의 데이터 공급을 유지하여, 그 디코더(4603)의 연속적인 출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도 55 (a)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각 판독기간 PR2D[n]에 리드 버퍼(4602)에 축적되는 데이터량, 즉 각 2D 익스텐트 EXT2D[n]의 사이즈 Sext2D[n]가 그 판독기간 PR2D[n]에서 다음의 점프기간 PJ2D[n]에 걸쳐서 리드 버퍼(4602)에서 시스템 타깃 디코더(4603)로 전송되는 데이터량과 동일하면, 그 점프기간 PJ2D[n]의 도중에 축적 데이터량 DA가 그 판독기간 PR2D[n]의 직전의 값까지 되돌아가는 일은 없다. 특히, 리드 버퍼(4602)는 언더플로가 발생하지 않는다. 여기서, 판독기간 PR2D[n]의 길이는 2D 익스텐트 EXT2D[n]의 사이즈 Sext2D[n]를 판독속도 Rud -2D로 나눈 값 Sext2D[n]/Rud -2D와 같다. 따라서, 각 2D 익스텐트 EXT2D[n]의 사이즈 Sext2D[n]는 다음의 식(1)을 만족하면 좋다:
Figure pct00001
식 (1)에서는 점프시간 Tjump -2D[n]는 점프기간 PJ2D[n]의 길이이며, 초 단위로 나타낸다. 한편, 판독속도 Rud -2D와 평균 전송속도 Rext2D는 모두 비트/초로 나타낸다. 따라서, 식 (1)에서는 평균 전송속도 Rext2D를 수 「8」로 나누고, 2D 익스텐트의 사이즈 Sext2D[n]의 단위를 비트에서 바이트로 변환하고 있다. 즉, 2D 익스텐트의 사이즈 Sext2D[n]는 바이트 단위로 표시된다. 함수 CEIL()는 괄호 내의 수치의 소수점 이하의 끝수를 올리는 조작을 의미한다.
[2]리드 버퍼(4602)의 용량은 유한함으로 점프시간 Tjump -2D[n]의 최대치는 제한된다. 즉, 점프기간 PJ2D[n]의 직전에 축적 데이터량 DA가 리드 버퍼(4602)의 용량에 가득해도 점프시간 Tjump -2D[n]가 지나치게 길면, 점프기간 PJ2D[n] 중에 축적 데이터량 DA가 0에 달하고, 리드 버퍼(4602)의 언더플로가 생길 위험성이 있다. 이하, BD-ROM 디스크(101)에서 리드 버퍼(4602)로의 데이터 공급이 도중에 절단되어 있는 상태에서 축적 데이터량 DA가 리드 버퍼(4602)의 최대 용량에서 0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 즉, 심리스 재생을 보증할 수 있는 점프시간 Tjump -2D의 최대치를 「최대 점프시간」이라고 한다.
광 디스크의 규격에서는 통상, 점프거리와 최대 점프시간 사이의 관계가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액세스 스피드 등에서 정해져 있다. 도 56은 BD-ROM 디스크에 관한 점프거리 Sjump와 최대 점프시간 Tjump 사이의 대응표의 일례이다. 도 56에서는 점프거리 Sjump는 섹터 단위로 나타내고, 최대 점프시간 Tjump는 m초 단위로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1섹터=2048바이트로 한다. 도 56을 참조하면, 점프거리 Sjump가 0섹터, 1-10000섹터, 10001-20000섹터, 20001-40000섹터, 40001섹터-1/10 스트로크 및 1/10 스트로크 이상의 각 범위에 속할 때, 최대 점프시간 Tjump는 각각, 50m초, 250m초, 300m초, 350m초, 700m초 및 1400m초이다.
점프거리 Sjump가 0섹터와 같을 때의 최대 점프시간을 특히 「제로 섹터 천이 시간 Tjump -0」라고 한다. 「제로 섹터 천이」란 두 개의 연속하는 데이터블록 간에서의 광 픽업의 이동을 말한다. 제로 섹터 천이기간에서는 광 픽업은 판독동작을 일단 정지하고 대기한다. 제로 섹터 천이시간은 BD-ROM 디스크(101)의 회전에 의한 광 픽업의 위치의 이동시간 외에 오류정정처리에 수반하는 오버헤드를 포함해도 좋다. 「오류정정처리에 수반하는 오버헤드」는 두 개의 연속하는 데이터블록 간의 경계가 ECC 블록간의 경계와 일치하고 있지 않을 때, 그 ECC 블록을 이용한 오류정정처리가 2회 이루어지는 것에 기인하는 여분의 시간을 말한다. 오류정정처리에는 하나의 ECC 블록의 전체가 필요하다. 따라서, 하나의 ECC 블록이 두 개의 연속하는 데이터블록에 공유되어 있을 때, 어느 데이터블록의 판독처리에서도 그 ECC 블록의 전체가 판독되어 오류정정처리에 이용된다. 그 결과, 이러한 데이터블록을 하나 판독할 때마다 그 데이터블록 외에 최대 32섹터의 여분의 데이터가 판독된다. 오류정정처리에 수반하는 오버헤드는 그 여분의 데이터의 판독시간의 합계, 즉 32[섹터]× 2048[바이트]×8[비트/바이트]×2[회]/판독속도 Rud -2D로 평가된다. 또, 각 데이터블록을 ECC 블록단위로 구성함으로써 오류정정처리에 수반하는 오버헤드를 제로 섹터 천이시간에서 제외해도 좋다.
BD-ROM 디스크(101)가 다층 디스크일 때, 층 전환을 수반하는 롱 점프에서는 도 56에 규정된 최대 점프시간 Tjump에 더하여, 포커스 점프 등, 그 기록 층의 전환조작에 특정한 시간, 예를 들어 350m초가 더 필요하다. 이하, 이 시간을 「층 전환시간」이라고 한다.
이상으로부터, 식 (1)에 대입되어야 할 점프시간 Tjump -2D[n]는 두 개의 파라미터 TJ[n], TL[n]의 합으로 정해진다:Tjump -2D[n]=TJ[n]+TL[n]. 제 1 파라미터 TJ[n]는 BD-ROM 디스크의 규격에 의해서 점프거리별로 규정된 최대 점프시간을 나타낸다. 제 1 파라미터 TJ[n]는 예를 들어 도 56의 표에서, n번째의 2D 익스텐트 EXT2D[n]의 후단에서 (n+1)번째의 2D 익스텐트 EXT2D[n+1]의 선단까지의 섹터 수, 즉 점프거리에 대응하는 최대 점프시간과 같다. 제 2 파라미터 TL[n]는 n번째의 2D 익스텐트 EXT2D[n]와 (n+1)번째의 2D 익스텐트 EXT2D[n+1] 사이에 층 경계(LB)가 있을 때는 층 전환 시간, 예를 들어 350m초를 나타내고, 층 경계(LB)가 없을 때는 0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점프시간 Tjump -2D[n]의 최대치가 700m초로 제한될 때, 두 개의 2D 익스텐트 EXT2D[n], EXT2D[n+1]간의 점프거리는 이들 2D 익스텐트 간에 층 경계가 없을 때에는 1/10스트로크(= 약 1.2GB)까지 허용되며, 층 경계가 있을 때는 40000섹터(= 약 78.1 MB)까지 허용된다.
≪3D 재생모드에 의거한 조건≫
도 57은 3D 재생모드의 재생장치(102) 내의 재생처리 계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7을 참조하면, 그 재생처리 계통은 도 49에 도시된 요소 중, BD-ROM 드라이브(4901), 스위치(4911), 제 1 리드 버퍼(4921), 제 2 리드 버퍼(4922) 및 시스템 타깃 디코더(4903)를 포함한다. BD-ROM 드라이브(4901)는 BD-ROM 디스크(101)에서 3D 익스텐트를 판독하고, 판독속도 Rud -3D로 스위치(4911)에 전송한다.스위치(4911)는 각 3D 익스텐트에서 베이스 뷰 익스텐트를 추출하고,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와 분리한다. 베이스 뷰 익스텐트는 제 1 리드 버퍼(4921)에 저장되고,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는 제 2 리드 버퍼(4922)에 저장된다. 제 2 리드 버퍼(4922) 내의 축적 데이터는 L/R모드에서는 라이트 뷰 익스텐트이고, 깊이모드에서는 깊이 맵 익스텐트이다. 시스템 타깃 디코더(4903)는 제 1 리드 버퍼(4921) 내에 축적된 각 베이스 뷰 익스텐트에서 소스 패킷을 제 1 평균 전송속도 Rext1로 판독한다. L/R모드의 시스템 타깃 디코더(4903)는 제 2 리드 버퍼(4922) 내에 축적된 각 라이트 뷰 익스텐트에서 소스 패킷을 제 2 평균 전송속도 Rext2로 판독한다. 깊이모드의 시스템 타깃 디코더(4903)는 제 2 리드 버퍼(4922) 내에 축적된 각 깊이 맵 익스텐트에서 소스 패킷을 제 3 평균 전송속도 Rext3로 판독한다. 시스템 타깃 디코더(4903)는 판독된 베이스 뷰 익스텐트와 디펜덴트 뷰 익스텐트의 쌍을 영상데이터 VD와 음성 데이터 AD로 복호한다.
제 1 평균 전송속도 Rext1를 「베이스 뷰 전송속도」라고 한다.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는 도 50에 도시된 제 1 소스 디 패킷다이저(5011)에서 제 1 PID 필터(5013)로의 TS 패킷의 평균 전송속도 RTS1의 192/188배와 같고, 일반적으로 베이스 뷰 익스텐트 마다 다르다.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의 최고치 Rmax1는 파일 2D에 대한 시스템 레이트의 192/188배와 같다. 그 시스템 레이트는 2D 클립정보파일에 규정되어 있다.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는 통상 비트/초로 나타내고, 구체적으로는 비트 단위로 나타낸 베이스 뷰 익스텐트의 사이즈를 익스텐트 ATC 시간으로 나누었을 때의 값과 같다. 익스텐트 ATC 시간은 베이스 뷰 익스텐트 내의 소스 패킷에 부여된 ATS의 범위를 나타낸다. 따라서, 익스텐트 ATC 시간은 그 베이스 뷰 익스텐트 내의 소스 패킷을 모두 제 1 리드 버퍼(4921)에서 시스템 타깃 디코더(4903)에 전송하는데 필요로 하는 시간과 같다.
제 2 평균 전송속도 Rext2를 「라이트 뷰 전송속도」라 하고, 제 3 평균 전송속도 Rext3를 「깊이 맵 전송속도」라고 한다. 어느 전송속도 Rext2, Rext3도 제 2 소스 디 패킷다이저(5012)에서 제 2 PID 필터(5014)로의 TS 패킷의 평균 전송속도 RTS2의 192/188배와 같고, 일반적으로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마다 다르다. 라이트 뷰 전송속도 Rext2의 최고치 Rmax2는 제 1 파일 DEP에 대한 시스템 레이트의 192/188배와 같고, 깊이 맵 전송속도 Rext3의 최고치 Rmax3는 제 2 파일 DEP에 대한 시스템 레이트의 192/188배와 같다. 각 시스템 레이트는 라이트 뷰 클립정보파일과 깊이 맵 클립정보파일에 규정되어 있다. 각 전송속도 Rext2, Rext3는 통상 비트/초로 나타내고, 구체적으로는 비트 단위로 나타낸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의 사이즈를 익스텐트 ATC 시간으로 나누었을 때의 값과 같다. 익스텐트 ATC 시간은 각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 내의 소스 패킷에 부여된 ATS의 범위를 나타낸다. 따라서, 익스텐트 ATC 시간은 그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 내의 소스 패킷을 모두 제 2 리드 버퍼(4922)에서 시스템 타깃 디코더(4903)에 전송하는데 필요로 하는 시간과 같다.
판독속도 Rud -3D는 통상 비트/초로 나타내고, 제 1-3 평균 전송속도 Rext1- Rext3의 어느 최고치 Rmax1-Rmax3보다 높은값, 예를 들어 72Mbps로 설정한다:Rud -3D>Rmax1, Rud-3D>Rmax2, Rud -3D>Rmax3. 이에 의해 BD-ROM 드라이브(4901)에 의해서 BD-ROM 디스크(101)에서 하나의 3D 익스텐트를 판독하고 있는 동안, 시스템 타깃 디코더(4903)의 복호처리에 수반하는 각 리드 버퍼(4921, 4922)의 언더플로가 방지된다.
[L/R모드]
도 58 (a), (b)는 L/R모드에서의 3D 익스텐트 블록의 재생처리 중, 각 리드 버퍼(4921, 4922)에 축적되는 데이터량 DA1, DA2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8 (c)는 그 3D 익스텐트 블록(5810)과 L/R모드에서의 재생경로(5820)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8 (c)를 참조하면, 3D 익스텐트 블록(5810)은 인터리브 배치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군과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재생경로(5820)에 따라서 인접하는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Rk)과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k)의 각 쌍(k=0, 1, 2, …)이 하나의 3D 익스텐트 EXTSS[k]로 판독된다.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n-1)개의 3D 익스텐트가 이미 판독되고, 또한 정수 n이 1보다 충분히 큰 경우를 상정한다. 이러한 경우, 양 리드 버퍼(4921, 4922)의 축적 데이터량 DA1, DA2는 이미 각각의 하한치 UL1, UL2 이상으로 유지되어 있다. 이러한 하한치 UL1, UL2를 「버퍼 여유량」이라고 한다. 버퍼 여유량 UL1, UL2를 확보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58 (c)를 참조하면, 제 (2n-1) 판독기간 PRR[n]에 n번째의 라이트 뷰 익스텐트(Rn)가 BD-ROM 디스크(101)에서 제 2 리드 버퍼(4922)에 판독된다. 제 (2n-1) 판독기간 PRR[n]에서는 도 58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리드 버퍼(4922)의 축적 데이터량(DA2)은 판독속도 Rud -3D와 라이트 뷰 전송속도 Rext2[n] 사이의 차 Rud -3D-Rext2[n]와 같은 속도로 증가한다. 한편, 도 58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리드 버퍼(4921)의 축적 데이터량 DA1는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n-1]로 감소한다.
n번째의 라이트 뷰 익스텐트(Rn)의 후단이 판독된 때, n번째의 제로 섹터 천이 J0[n]가 생긴다. 제 n 제로 섹터 천이기간 PJ0[n]에서는 BD-ROM 디스크(101)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이 정지한다. 따라서, 제 1 리드 버퍼(4921)의 축적 데이터량 DA1는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n-1]로 계속 감소하고. 제 2 리드 버퍼(4922)의 축적 데이터량 DA2는 라이트 뷰 전송속도 Rext2[n]로 감소한다.
제 n 제로 섹터 천이기간 PJ0[n]의 종료시점에서 제 2n 판독기간 PRL[n]가 개시된다. 제 2n 판독기간 PRL[n]에서는 n번째의 베이스 뷰 익스텐트(Ln)가 BD-ROM 디스크(101)에서 제 1 리드 버퍼(4921)에 판독된다. 따라서, 도 58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리드 버퍼(4921)의 축적 데이터량 DA1는 판독속도 Rud -3D와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n] 사이의 차 Rud -3D-Rext1[n]와 같은 속도로 증가한다. 한편, 도 58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리드 버퍼(4922)의 축적 데이터량 DA2는 라이트 뷰 전송 속도 Rext2[n]로 계속 감소한다.
n번째의 베이스 뷰 익스텐트(Ln)의 후단이 판독된 때, n번째의 점프 JLR[n]가 생긴다. 제 n 점프기간 PJLR[n]에서는 (n+1)번째의 깊이 맵 익스텐트 D(n+1)의 판독이 스킵되므로 BD-ROM 디스크(101)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이 정지한다. 따라서, 제 n 점프기간 PJLR[n]에서는 도 58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리드 버퍼(4921)의 축적 데이터량 DA1는 베이스 뷰 전송 속도 Rext1[n]로 감소한다. 한편, 도 58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리드 버퍼(4922)의 축적 데이터량 DA2는 라이트 뷰 전송 속도 Rext2[n]로 계속 감소한다.
여기서, 다음의 경우를 상정한다:제 (2n-1) 판독기간 PRR[n]에 제 2 리드 버퍼(4922)에 축적되는 데이터량, 즉 n번째의 라이트 뷰 익스텐트(Rn)의 사이즈 Sext2[n]는 적어도 제 (2n-1) 판독기간 PRR[n]에서 제 n 점프기간 PJLR[n]에 걸쳐서 제 2 리드 버퍼(4922)에서 시스템 타깃 디코더(4903)에 전송되는 데이터량과 같다. 이러한 경우, 점프기간 PJLR[n]의 종료시, 도 58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리드 버퍼(4922)의 축적 데이터량 DA2가 제 2 버퍼 여유량 UL2를 밑돌지 않는다.
제 n 점프기간 PJLR[n]의 종료시점에서 제 (2n+1) 판독기간 PRR[n+1]이 개시된다. 제 (2n+1) 판독기간 PRR[n+1]에서는 (n+1)번째의 라이트 뷰 익스텐트 R(n+1)가 BD-ROM 디스크(101)에서 제 2 리드 버퍼(4922)에 판독된다. 따라서, 도 58 (b)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제 2 리드 버퍼(4922)의 축적 데이터량 DA2는 판독속도 Rud-3D와 라이트 뷰 전송속도 Rext2[n+1] 사이의 차 Rud -3D-Rext2[n+1]과 같은 속도로 증가한다. 한편, 도 58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리드 버퍼(4921)의 축적 데이터량 DA1는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n]로 계속 감소한다.
(n+1)번째의 라이트 뷰 익스텐트 R(n+1)의 후단이 판독될 때, (n+1)번째의 제로 섹터 천이 J0[n+1]이 생긴다. 제 (n+1) 제로 섹터 천이기간 PJ0[n+1]에서는 BD-ROM 디스크(101)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이 정지한다. 따라서, 제 1 리드 버퍼(4921)의 축적 데이터량 DA1는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n]로 계속 감소하고, 제 2 리드 버퍼(4922)의 축적 데이터량 DA2는 라이트 뷰 전송속도 Rext2[n+1]로 감소한다.
여기서, 다음의 경우를 상정한다:제 2n 판독기간 PRL[n]에 제 1 리드 버퍼(4921)에 축적되는 데이터량, 즉 n번째의 베이스 뷰 익스텐트(Ln)의 사이즈 Sext1[n]는 적어도 제 2n 판독기간 PRL[n]에서 제 (n+1) 제로 섹터 천이기간 PJ0[n+1]에 걸쳐서 제 1 리드 버퍼(4921)에서 시스템 타깃 디코더(4903)에 전송되는 데이터량과 같다. 그 경우, 제 (n+1) 제로 섹터 천이기간 PJ0[n+1]의 종료시, 도 58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리드 버퍼(4921)의 축적 데이터량 DA1이 제 1 버퍼 여유량 UL1를 밑돌지 않는다.
3D 익스텐트 EXTSS[n]=Rn+Ln, EXTSS[n+1]=R(n+1)+L(n+1), …에서 이들 사이의 점프에 관계없이 3D 영상을 심리스로 재생하려면 상기와 동일한 축적 데이터량 DA1, DA2의 변화가 반복되면 좋다. 거기에는, 이하의 조건[3],[4],[5]가 만족되면 좋다.
[3]n번째의 베이스 뷰 익스텐트(Ln)의 사이즈 Sext1[n]는 적어도 제 2n 판독기간 PRL[n]에서 제 (n+1) 제로 섹터 천이기간 PJ0[n+1]에 걸쳐서 제 1 리드 버퍼(4921)에서 시스템 타깃 디코더(4903)에 전송되는 데이터량과 같다. 여기서, 제 2n 판독기간 PRL[n]의 길이는 n번째의 베이스 뷰 익스텐트(Ln)의 사이즈 Sext1[n]를 판독하고, 속도 Rud -3D로 나눈 값 Sext1[n]/Rud -3D과 같다. 제 (2n+1) 판독기간 PRR[n+1]의 길이는 (n+1)번째의 라이트 뷰 익스텐트 R(n+1)의 사이즈 Sext2[n+1]을 판독 속도 Rud -3D로 나눈 값 Sext2[n+1]/Rud -3D과 같다. 따라서, n번째의 베이스 뷰 익스텐트(Ln)의 사이즈 Sext1[n]는 다음의 식(2)을 만족하면 좋다:
Figure pct00002
[4]n번째의 라이트 뷰 익스텐트(Rn)의 사이즈 Sext2[n]는 적어도 제 (2n-1) 판독기간 PRR[n]에서 제 n 점프기간 PJLR[n]에 걸쳐서 제 2 리드 버퍼(4922)에서 시스템 타깃 디코더(4903)에 전송되는 데이터량과 같다. 여기서, 제(2n-1) 판독기간 PRR[n]의 길이는 n번째의 라이트 뷰 익스텐트(Rn)의 사이즈 Sext2[n]를 판독속도 Rud -3D로 나눈 값 Sext2[n]/Rud -3D와 같다. 따라서, n번째의 라이트 뷰 익스텐트(Rn)의 사이즈 Sext2[n]는 다음의 식(3)을 만족하면 좋다:
Figure pct00003
[5]식 (2), (3)에 대입되어야 할 점프시간 Tjump -3D[n]는 식 (1)에 대입되어야 할 점프시간 Tjump -2D[n]와 달리 제 1 파라미터 TJ[n]만으로 정해진다:Tjump -3D[n]=TJ[n]. 제 1 파라미터 TJ[n]는 예를 들어 도 56의 표에서 n번째의 베이스 뷰 익스텐트(Ln)의 후단에서 (n+1)번째의 라이트 뷰 익스텐트 R(n+1)의 선단까지의 섹터 수, 즉 점프거리에 대응하는 최대 점프시간과 같다.
[깊이모드]
도 59 (a), (b)는 깊이모드에서의 3D 익스텐트 블록 재생처리 중, 각 리드 버퍼(4921, 4922)에 축적되는 데이터량 DA1, DA2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9 (c)는 그 3D 익스텐트 블록(5910)과 깊이모드에서의 재생경로(5920)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9 (c)를 참조하면, 3D 익스텐트 블록(5910)은 도 58 (c)에 도시된 3D 익스텐트 블록(5810)과 동일한 인터리브 배치의 데이터블록 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재생경로(5920)에 따라 깊이 맵 데이터블록(Dk)과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Dk)이 각각, 하나의 익스텐트로서 판독된다(k=0, 1, 2, …). 도 58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n-1)개의 3D 익스텐트가 이미 판독되고, 또한 정수 n가 1보다 충분히 큰 경우를 상정한다. 그 경우, 양 리드 버퍼(4921, 4922)의 축적 데이터량 DA1, DA2는 이미 각각의 버퍼 여유량 UL1, UL2 이상으로 유지되고 있다.
도 59 (c)를 참조하면, 제 (2n-1) 판독기간 PRD[n]에 n번째의 깊이 맵 익스텐트(Dn)가 BD-ROM 디스크(101)에서 제 2 리드 버퍼(4922)에 판독된다. 제 (2n-1) 판독기간 PRD[n]에서는 도 59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리드 버퍼(4922)의 축적 데이터량 DA2는 판독속도 Rud -3D와 깊이 맵 전송속도 Rext3[n] 사이의 차 Rud -3D-Rext3[n]과 같은 속도로 증가한다. 한편, 도 59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리드 버퍼(4921)의 축적 데이터량 DA1는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n1]로 감소한다.
n번째의 깊이 맵 익스텐트 Dn의 후단이 판독된 때, n회째의 점프 JLD[n]가 생긴다. 제 n 점프기간 PJLD[n]에서는 n번째의 라이트 뷰 익스텐트(Rn)의 판독이 스킵되므로 BD-ROM 디스크(101)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이 정지한다. 따라서, 제 n 점프기간 PJLD[n]에서는 도 59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리드 버퍼(4921)의 축적 데이터량 DA1는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n1]로 계속 감소한다. 한편, 도 59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리드 버퍼(4922)의 축적 데이터량 DA2는 깊이 맵 전송속도 Rext3[n]로 감소한다.
제 n 점프기간 PJLD[n]의 종료시점에서 제 2n 판독기간 PRL[n]가 개시된다. 제 2n 판독기간 PRL[n]에서는 n번째의 베이스 뷰 익스텐트(Ln)가 BD-ROM 디스크(101)에서 제 1 리드 버퍼(4921)에 판독된다. 따라서, 도 59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리드 버퍼(4921)의 축적 데이터량 DA1는 판독속도 Rud -3D와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n] 사이의 차 Rud -3D-Rext1[n]와 같은 속도로 증가한다. 한편, 도 59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리드 버퍼(4922)의 축적 데이터량 DA2는 깊이 맵 전송속도 Rext3[n]로 계속 감소한다.
n번째의 베이스 뷰 익스텐트(Ln)의 후단이 판독된 때, n회째의 제로 섹터 천이 J0[n]가 생긴다. 제 n 제로 섹터 천이기간 PJ0[n]에서는 BD-ROM 디스크(101)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이 정지한다. 따라서, 제 1 리드 버퍼(4921)의 축적 데이터량 DA1는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n]로 감소하고, 제 2 리드 버퍼(4922)의 축적 데이터량 DA2는 깊이 맵 전송속도 Rext3[n]로 계속 감소한다.
여기서, 다음의 경우를 상정한다:제 (2n-1) 판독기간 PRD[n]에 제 2 리드 버퍼(4922)에 축적되는 데이터량, 즉 n번째의 깊이 맵 익스텐트 Dn의 사이즈 Sext3[n]는 적어도 제 (2n-1) 판독기간 PRD[n]에서 제 n 제로 섹터 천이기간 PJ0[n]에 걸쳐서 제 2 리드 버퍼(4922)에서 시스템 타깃 디코더(4903)에 전송되는 데이터량과 같다. 그 경우, 제 n 제로 섹터 천이기간 PJ0[n]의 종료시, 도 59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리드 버퍼(4922)의 축적 데이터량 DA2가 제 2 버퍼 여유량 UL2를 밑돌지 않는다.
제 n 제로 섹터 천이기간 PJ0[n]의 종료시점에서 제 (2n+1) 판독기간 PRD[n+1]이 개시된다. 제 (2n+1) 판독기간 PRD[n+1]에서는 (n+1)번째의 깊이 맵 익스텐트 D(n+1)가 BD-ROM 디스크(101)에서 제 2 리드 버퍼(4922)에 판독된다. 따라서, 도 59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리드 버퍼(4921)의 축적 데이터량 DA1는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n]로 계속 감소한다. 한편, 도 59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리드 버퍼(4922)의 축적 데이터량 DA2는 속도 Rud -3D-Rext3[n+1]로 증가한다.
(n+1)번째의 깊이 맵 익스텐트 D(n+1)의 후단이 판독된 때, (n+1)회째의 점프 JLD[n+1]이 생긴다. 제 (n+1) 점프기간 PJLD[n+1]에서는 (n+1)번째의 라이트 뷰 익스텐트 R(n+1)의 판독이 스킵되므로 BD-ROM 디스크(101)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이 정지한다. 따라서, 제 (n+1) 점프기간 PJLD[n+1]에서는 제 1 리드 버퍼(4921)의 축적 데이터량 DA1는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n]로 계속 감소하고, 제 2 리드 버퍼(4922)의 축적 데이터량 DA2는 깊이 맵 전송속도 Rext3[n+1]로 감소한다.
제 (n+1) 점프기간 PJLD[n+1]의 종료시점에서 제 (2n+2) 판독기간 PRL[n+1]이 개시된다. 제 (2n+2) 판독기간 PRL[n+1]에서는 (n+1)번째의 베이스 뷰 익스텐트 L(n+1)가 BD-ROM 디스크(101)에서 제 1 리드 버퍼(4921)에 판독된다. 따라서, 도 59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리드 버퍼(4921)의 축적 데이터량 DA1는 속도 Rud -3D-Rext1[n+1]으로 증가한다. 한편, 도 59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리드 버퍼(4922)의 축적 데이터량 DA2는 깊이 맵 전송속도 Rext3[n+1]으로 계속 감소한다.
여기서, 다음의 경우를 상정한다:제 2n 판독기간 PRL[n]에 제 1 리드 버퍼(4921)에 축적되는 데이터량, 즉 n번째의 베이스 뷰 익스텐트(Ln)의 사이즈 Sext1[n]는 적어도 제 2n 판독기간 PRL[n]에서 제 (n+1) 점프기간 PJLD[n+1]에 걸쳐서 제 1 리드 버퍼(4921)에서 시스템 타깃 디코더(4903)에 전송되는 데이터량과 같다. 그 경우, 제 (n+1) 점프기간 PJLD[n+1]의 종료시, 도 59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리드 버퍼(4921)의 축적 데이터량 DA1가 제 1 버퍼 여유량 UL1를 밑돌지 않는다.
깊이 맵 익스텐트 Dn, D(n+1), …와 베이스 뷰 익스텐트 Ln, L(n+1), …에서, 이들 사이의 점프에 관계없이 3D 영상을 심리스로 재생하려면, 상기와 동일한 축적 데이터량 DA1, DA2의 변화가 반복되면 좋다. 거기에는, 이하의 조건[6],[7],[8]이 만족되면 좋다.
[6]n번째의 베이스 뷰 익스텐트(Ln)의 사이즈 Sext1[n]는 적어도 제 2n 판독기간 PRL[n]에서 제 (n+1) 점프기간 PJLD[n+1]에 걸쳐서 제 1 리드 버퍼(4921)에서 시스템 타깃 디코더(4903)에 전송되는 데이터량과 같다. 여기서, 제 2n 판독기간 PRL[n]의 길이는 n번째의 베이스 뷰 익스텐트(Ln)의 사이즈 Sext1[n]를 판독속도 Rud -3D로 나눈 값 Sext1[n]/Rud -3D와 같다. 제 (2n+1) 판독기간 PRD[n+1]의 길이는 (n+1)번째의 깊이 맵 익스텐트 D(n+1)의 사이즈 Sext3[n+1]을 판독속도 Rud -3D로 나눈 값 Sext3[n+1]/Rud -3D와 같다. 따라서, n번째의 베이스 뷰 익스텐트(Ln)의 사이즈 Sext1[n]는 다음의 식(4)을 만족하면 좋다:
Figure pct00004
[7]n번째의 깊이 맵 익스텐트(Dn)의 사이즈 Sext3[n]는 적어도 제 (2n-1) 판독기간 PRD[n]에서 제 n 제로 섹터 천이기간 PJ0[n]에 걸쳐서 제 2 리드 버퍼(4922)에서 시스템 타깃 디코더(4903)에 전송되는 데이터량과 같다. 여기서, 제 (2n-1) 판독기간 PRD[n]의 길이는 n번째의 깊이 맵 익스텐트(Dn)의 사이즈 Sext3[n]를 판독속도 Rud -3D로 나눈 값 Sext3[n]/Rud -3D와 같다. 따라서, n번째의 깊이 맵 익스텐트(Dn)의 사이즈 Sext3[n]는 다음의 식(5)을 만족하면 좋다:
Figure pct00005
[8]식 (4), (5)에 대입되어야 할 점프시간 Tjump -3D[n]는, 예를 들어 도 56의 표에서 n번째의 깊이 맵 익스텐트(Dn)의 후단에서 n번째의 베이스 뷰 익스텐트(Ln)의 선단까지의 섹터 수, 즉 점프거리에 대응하는 최대 점프시간과 같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데이터블록 군의 배치에서는 익스텐트 ATC 시간이 동일한 깊이 맵 익스텐트(Dn)와 베이스 뷰 익스텐트(Ln)의 쌍이 사이에 층 경계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일은 없다.
제로 섹터 천이시간 Tjump -0[n]는 n번째의 베이스 뷰 익스텐트 Ln와 (n+1)번째의 깊이 맵 익스텐트 D(n+1) 사이에 있어서의 층 경계(LB)의 유무에 관계없이 실제의 제로 섹터 천이에 필요한 시간만으로 평가된 규정치와 같다.
이상의 결과, 인터리브 배치의 데이터블록 군에서 2D 영상의 심리스 재생, 3D 영상의 L/R모드에서의 심리스 재생 및 3D 영상의 깊이모드에서의 심리스 재생의 모두를 실현 가능하게 하려면, 각 데이터블록의 사이즈는 상기의 식(1)-(5)를 모두 만족하도록 설계되면 좋다. 특히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의 사이즈는 식 (1), (3) 및 (5)의 각 우변 중에서 최대의 것 이상이면 좋다. 이하, 식(1)-(5)를 모두 만족하는 데이터블록의 사이즈의 하한치를 「최소 익스텐트 사이즈」라고 한다.
<리드 버퍼의 여유량>
도 58, 59의 각 (a), (b)에 도시된 각 리드 버퍼(4921, 4922)의 축적 데이터량 DA1, DA2의 하한치 UL1, UL2는 각각의 버퍼 여유량을 나타낸다. 「버퍼 여유량」은 하나의 3D 익스텐트 블록, 즉 인터리브 배치의 일련의 데이터블록 군의 판독기간 중, 각 리드 버퍼에 유지되어야 할 축적 데이터량의 하한치를 말한다. 스트림 데이터의 판독 중에 판독대상의 기록 층이 전환될 때, 또는 다른 파일의 판독처리가 할당될 때, 다른 3D 익스텐트 블록 간에 롱 점프가 생긴다. 여기서, 상기의 다른 파일은 도 5에 도시된 AV 스트림 파일 이외의 파일, 예를 들어 무비 오브젝트 파일(512), BDJ 오브젝트 파일(551) 및 JAR 파일(561)을 포함한다. 롱 점프는 식 (2)-(5)의 도출로 고려된 하나의 3D 익스텐트 블록 내에서 발생하는 점프보다 길다. 또, 다른 파일의 판독처리의 할당에 기인하는 롱 점프에서는 그 발생시기가 일정하기 않으며, 특히 하나의 데이터블록의 판독 도중에도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식 (2)-(5)에 롱 점프의 최대 점프시간을 대입하여 최소 익스텐트 사이즈를 설정하는 것보다도 버퍼 여유량을 롱 점프 중에서의 각 리드 버퍼의 언더플로를 방지할 수 있는 양으로 유지해 두는 것이 유리하다.
도 60은 L/R모드에서의 재생처리 중에 발생하는 롱 점프 JLY, JBDJ1, JBDJ2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0을 참조하면, 층 경계(LB)의 앞에 위치하는 제 1 기록 층에는 제 1의 3D 익스텐트 블록(6001)이 배치되고, 그 후단(L3)과 층 경계(LB)의 사이에는 2D 재생전용블록 L42D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층 경계(LB)의 뒤에 위치하는 제 2 기록 층에는 제 2의 3D 익스텐트 블록(6002)이 배치되어 있다. 또, 어느 3D 익스텐트 블록(6001, 6002)에서도 떨어진 영역에 BD-J 오브젝트 파일(6003)이 기록되어 있다. 제 1의 3D 익스텐트 블록(6001)에서 제 2의 3D 익스텐트 블록(6002)으로의 재생처리에서는 층 전환에 수반하는 롱 점프 JLY가 생긴다. 한편, 제 1의 3D 익스텐트 블록(6001)의 판독 중에 BD-J 오브젝트 파일(6003)의 판독처리가 할당될 때, 한 쌍의 롱 점프 JBDJ1, JBDJ2가 생긴다. 각 롱 점프 JLY, JBDJ에 대하여 필요한 버퍼 여유량 UL1, UL2는 이하와 같이 계산된다.
층 전환에 수반하는 롱 점프 JLY의 최대 점프시간 Tjump - LY는 도 56의 표에서 제 1 롱 점프 JLY의 점프거리에 대응하는 최대 점프시간과 층 전환시간의 합과 같다. 그 점프거리는 제 1의 3D 익스텐트 블록(6001) 내의 최후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3)의 후단과, 제 2의 3D 익스텐트 블록(6002) 내의 선두의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R4)의 선단 사이의 섹터 수와 같다. 한편,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는 최고치 Rmax1를 넘지 않는다. 따라서, 그 롱 점프 JLY의 기간에 제 1 리드 버퍼(4921)에서 소비되는 데이터량은 베이스 뷰 전송속도의 최고치 Rmax1와 최대 점프시간 Tjump - LY의 곱을 넘지 않는다. 그 곱의 값이 제 1 버퍼 여유량 UL1로 결정된다. 즉, 제 1 버퍼 여유량 UL1는 다음의 식(6)으로 계산된다:
Figure pct00006
예를 들어, 점프거리가 40000 섹터일 때, 도 56의 표에 의하면 최대 점프시간 Tjump - LY는 층 전환시간 350m초를 포함해서 700m초이다. 따라서, 파일 2D에 대한 시스템 레이트가 48Mbps일 때, 제 1 버퍼 여유량 UL1는 (48 Mbps×192/188)×0.7초= 약 4.09 MB와 같다.
마찬가지로, 롱 점프 JLY의 기간에 제 2 리드 버퍼(4922)에서 소비되는 데이터량의 최대치, 즉 라이트 뷰 전송속도의 최대치 Rmax2와 최대 점프시간 Tjump - LY의 곱이 제 2 버퍼 여유량 UL2로 결정된다. 즉, 제 2 버퍼 여유량 UL2는 다음의 식(7)으로 계산된다:
Figure pct00007
예를 들어, 점프거리가 40000 섹터이고, 즉 최대 점프기간 Tjump - LY가 700m초이며, 제 1 파일 DEP에 대한 시스템 레이트가 16Mbps일 때, 제 2 버퍼 여유량 UL2는 (16Mbps×192/188)×0.7초= 약 1.36 MB와 같다.
도 60을 다시 참조하면, 제 1의 3D 익스텐트 블록(6001)의 판독기간에 BD-J 오브젝트 파일(6003)의 판독처리의 할당이 생겼을 때, 최초의 롱 점프 JBDJ1가 생긴다. 이에 의해 판독대상의 위치가 제 2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2)의 기록영역에서 BD-J 오브젝트 파일(6003)의 기록영역으로 이동한다. 그 점프시간 TBDJ는 일정치, 예를 들어 900m초로 미리 규정되어 있다. 다음에, BD-J 오브젝트 파일(6003)이 판독된다. 그 판독에 필요로 하는 시간은 그 파일(6003)에 속하는 익스텐트의 사이즈 SBDJ의 8배를 판독속도 Rud -3D로 나눈 값 8×SBDJ[n]/Rud -3D와 같다(통상, 익스텐트의 사이즈 SBDJ는 바이트 단위로 나타내고, 판독속도 Rud -3D는 비트/초에 나타내므로 8배가 필요하다). 계속해서, 2번째의 롱 점프 JBDJ2가 생긴다. 이에 의해 판독대상의 위치가 BD-J 오브젝트 파일(6003)의 기록영역에서 제 2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2)의 기록영역으로 되돌아간다. 그 점프시간 TBDJ는 최초의 점프시간, 예를 들어 900m초로 동일하다. 합계 2회의 롱 점프 JBDJ1, JBDJ2와 BD-J 오브젝트 파일(6003)의 판독이 이루어지는 동안, 제 1 리드 버퍼(4921)에는 데이터가 판독되지 않는다. 따라서, 그 기간에 제 1 리드 버퍼(4921)에서 소비되는 데이터량의 최대치가 제 1 버퍼 여유량 UL1로 결정된다. 즉, 제 1 버퍼 여유량 UL1는 다음의 식(8)으로 계산된다:
Figure pct00008
마찬가지로, 2회의 롱 점프 JBDJ1, JBDJ2와 BD-J 오브젝트 파일(6003)의 판독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제 2 리드 버퍼(4922)에서 소비되는 데이터량의 최대치가 제 2 버퍼 여유량 UL2로 결정된다. 즉, 제 2 버퍼 여유량 UL2는 다음의 식(9)으로 계산된다:
Figure pct00009
제 1 버퍼 여유량 UL1는 식 (6), (8)의 우변에서 나타내는 값 중 큰 쪽으로 설정된다. 제 2 버퍼 여유량 UL2는 식 (7), (9)의 우변에서 나타내는 값 중 큰 쪽으로 설정된다.
<리드 버퍼의 최소 용량>
도 58, 59의 각 (c)에 도시된 일련의 3D 익스텐트 블록에서의 재생처리에 대해서는 각 리드 버퍼(4921, 4922)에 필요한 용량의 최소치는 이하와 같이 계산된다.
3D 재생모드에서 n번째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Ln(n=0, 1, 2, …)를 판독할 때, 제 1 리드 버퍼(4921)에 필요한 용량 RB1[n]는 도 58, 59의 각 (a)에 나타낸 그래프의 피크 중, 가장 높은값 이상이면 좋다. 여기서, 판독대상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의 사이즈 Sext1가 일정하면,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가 최고치 Rmax1과 같은 때 피크치는 가장 높다. 따라서, 그 용량 RB1[n]는 L/R모드와 깊이모드의 어느 하나가 다음의 식(10)을 만족하면 좋다:
Figure pct00010
L/R모드에서 n번째의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Rn)을 판독할 때, 제 2 리드 버퍼(4922)에 필요한 용량 RB2LR[n]는 도 58 (b)에 도시된 그래프의 피크 중, 가장 높은값 이상이면 좋다. 여기서, 판독대상의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의 사이즈 Sext2가 일정하면, 라이트 뷰 전송속도 Rext2가 최고치 Rmax2와 동일할 때 피크치는 가장 높다. 따라서, 그 용량 RB2LR[n]는 다음의 식(11)을 만족하면 좋다:
Figure pct00011
여기서,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은 모두 인터럽트 재생에 의해서 최초로 판독될 가능성을 가진다. 그 경우, 최초로 판독되는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의 전체가 제 2 리드 버퍼(4922)에 저장될 때까지 시스템 타깃 디코더(4903)는 제 2 리드 버퍼(4922)에서 데이터를 판독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 2 리드 버퍼(4922)의 용량 RB2LR[n]은 제 1 리드 버퍼(4921) 용량 RB1[n]과 달리 「적어도 n번째의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Rn)의 사이즈 Sext2[n]보다 크다」는 조건을 더 만족한다.
마찬가지로, 깊이모드에서 n번째의 깊이 맵 데이터블록(Dn)을 판독할 때 필요한 제 2 리드 버퍼(4922)의 용량 RB2LD[n]는 다음의 식(12)을 만족하면 좋다:
Figure pct00012
<층 경계 전후에서의 재생경로의 분리의 효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BD-ROM 디스크(101)에서는 층 경계의 전후의 데이터블록 군이 도 22, 25, 27의 각각에 도시된 배치 1, 2, 3의 어느 하나로 기록되어 있다. 이에 의해 층 전환의 전후에서는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의 특정부분이 2D 재생모드에서는 2D 재생전용블록 Ln2D에서 재생되고, 3D 재생모드에서는 3D 재생전용블록 LnSS에서 재생된다. 그 경우, 도 23에 도시된 배치와는 달리 그 특정부분을 저장한 2D 익스텐트의 사이즈 Sext2D는 베이스 뷰 익스텐트의 사이즈 Sext1와 2D 재생전용블록 Ln2D의 사이즈의 합과 같다. 식 (1)은 그 합 Sext2D에 의해서 만족되면 좋은 반면 식 (2)-(5)는 2D 재생전용블록 Ln2D 이외의 데이터블록의 사이즈에 의해서 만족되면 좋다. 따라서, 2D 재생전용블록 Ln2D의 사이즈의 조절에 의해서 2D 익스텐트의 전체의 사이즈 Sext2D가 식 (1)을 만족하는 것과는 실질상 독립적으로, 식 (2)-(5)를 만족하는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의 사이즈 Sext2, Sext3의 하한치, 즉 최소 익스텐트 사이즈가 더 축소 가능하다. 따라서, 식 (11), (12)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제 2 리드 버퍼(4922)의 최소 용량 RB2LR, RB2LD가 식 (1)과는 실질상 독립적으로 더 삭감 가능하다.
<3D 익스텐트 블록 내의 익스텐트 ATC 시간>
3D 익스텐트 블록, 즉, 인터리브 배치의 데이터블록 군에서는 인접하는 데이터블록 Dn, Rn, Ln(n=0, 1, 2, …)이 모두 동일한 익스텐트 ATC 시간을 가진다.다시 말하면, 각 데이터블록의 선두의 소스 패킷에서 다음의 데이터블록의 선두의 소스 패킷까지의 ATS의 차가 동일하다. 단, 그 차의 계산에서는 ATS에 랩 어라운드가 발생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그 경우, ATC에 의해 측정되는 동일한 시간 내에 제 1 소스 디 패킷다이저(5011)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n) 내의 모든 소스 패킷에서 TS 패킷을 인출하여 PID 필터(5013)에 송출하고, 제 2 소스 디 패킷다이저(5012)는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n 또는 Rn 내의 모든 소스 패킷에서 TS 패킷을 인출하여 제 2 PID 필터(5014)에 송출한다. 따라서, 특히 인터럽트 재생시, 주 영상 디코더(5015)는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과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 사이에 TS 패킷의 복호처리를 용이하게 동기 시킬 수 있다.
<익스텐트 ATC 시간을 이용한 익스텐트 사이즈의 조건식>
식 (2)-(5)에서는 베이스 뷰 익스텐트와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의 각 사이즈가 그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익스텐트의 사이즈로 제한된다. 그러나, 편집공정에서의 이용이라고 하는 관점에서는 각 익스텐트의 사이즈에 대한 조건이 다른 익스텐트의 사이즈에는 의존하지 않는 형태로 표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식 (2)-(5)는 이하와 같이, 익스텐트 ATC 시간을 이용한 조건식으로 다시 표현된다.
상기와 같이, 인접하는 세 개의 익스텐트 Dn, Rn, Ln(n=0, 1, 2, …)는 모두 동일한 익스텐트 ATC 시간 Text[n]를 가진다. 이러한 익스텐트 ATC 시간의 최소치를 최소 익스텐트 ATC 시간 minText로 하고, 최대치를 최대 익스텐트 ATC 시간 maxText로 한다:minText≤Text[n]≤maxText. 그 경우, n번째의 각 익스텐트 EXT1[n], EXT2[n], EXT3[n]의 사이즈 Sext1[n], Sext2[n], Sext3[n]는 다음의 식(13), (14), (15)의 범위로 제한된다: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Figure pct00015
계속해서, 최대 익스텐트 ATC 시간 maxText와 최소 익스텐트 ATC 시간 minText사이의 차를 일정치 Tm으로 한다:maxText=minText+Tm. 이 경우, 최소 익스텐트 ATC 시간 minText는 최소 익스텐트 사이즈, 즉 식 (2)-(5)의 각 우변을 이용하여 이하와 같이 산정된다.
n번째의 베이스 뷰 익스텐트의 사이즈가 최소 익스텐트 사이즈와 동일할 때, 식 (2), (13)에서 최소 익스텐트 ATC 시간 minText는 다음의 식(16)을 만족한다:
Figure pct00016
(n+1) 번째의 라이트 뷰 익스텐트의 사이즈 Sext2[n+1]은 라이트 뷰 전송속도 Rext2의 최고치 Rmax2와 최대 익스텐트 ATC 시간 maxText의 곱까지 허용된다:Sext2[n+1]≤Rmax2×maxText=Rmax2×(minText+Tm). 또,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n]는 최고치 Rmax1를 넘지 않는다:Rext1[n]≤Rmax1. 최소 익스텐트 ATC 시간 minText는 식(16)의 우변의 상한이어야 하므로 다음의 식(17)을 만족해야 한다:
Figure pct00017
식 (2)에 대신하여 식 (4)을과 마찬가지로 변형하면, 최소 익스텐트 ATC 시간 minText는 다음의 식(18)을 더 만족해야 한다:
Figure pct00018
한편, n번째의 베이스 뷰 익스텐트의 사이즈가 최소 익스텐트 사이즈와 동일할 때, 그 익스텐트 ATC 시간 Text[n]가 최소 익스텐트 ATC 시간 minText와 같다. n번째의 라이트 뷰 익스텐트는 n번째의 베이스 뷰 익스텐트와 익스텐트 ATC 시간이 공통이므로 식 (3), (14)에서 최소 익스텐트 ATC 시간 minText는 다음의 식(19)을 만족한다:
Figure pct00019
라이트 뷰 전송 속도 Rext2[n]는 최고치 Rmax2를 넘지 않고, 베이스 뷰 전송 속도 Rext1[n]는 최고치 Rmax1를 넘지 않는다:Rext2[n]≤Rmax2, Rext1[n]≤Rmax1. 최소 익스텐트 ATC 시간 minText는 식(19)의 우변의 상한이어야 하므로 다음의 식(20)을 만족해야 한다:
Figure pct00020
식(3)에 대신하여 식(5)을 이용하면 동일하게 해서 최소 익스텐트 ATC 시간 minText가 다음의 식(21)을 만족해야 한다:
Figure pct00021
이상의 결과, 최소 익스텐트 ATC 시간 minText는, 식(17), (18), (20), (21)의 각 우변 중에서의 최대치로 정의된다. 여기서, 제로 섹터 천이시간 Tjump -0, 점프시간 Tjump -3D 및 익스텐트 ATC 시간의 변동폭 Tm는 미리 일정하게 제한할 수 있다.특히, 후술하는 변형 예(F)와 마찬가지로, 최대 점프거리 MAX_EXTJUMP3D를 이용하여 점프시간 Tjump -3D를 평가해도 좋다. 이에 의해 최소 익스텐트 ATC 시간 minText는 실질상 평균 전송시간의 최대치 Rmax 등의 정수만으로 결정 가능하다. 따라서, 식 (13)-(15)로 나타낸 익스텐트 사이즈에 대한 조건은 편집공정에서의 이용에 유리하다.
<버퍼 여유량의 확보>
각 버퍼 여유량 UL1, UL2는 이하에 설명하는 것과 같이 확보된다. 먼저, 각 데이터블록의 설계에서는 「익스텐트 ATC 시간 Text가 최소 익스텐트 ATC 시간 minText 이상이다」는 조건이 부과된다. 여기서, 최소 익스텐트 ATC 시간 minText는 식 (17), (18), (20), (2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평균 전송속도 Rext1, Rext2, Rext3이 각각의 최고치 Rmax1, Rmax2, Rmax3과 같은 경우에서의 값이다. 그러나, 실제의 평균 전송속도 Rext1, Rext2, Rext3는 각각의 최고치 Rmax1, Rmax2, Rmax3보다 일반적으로 낮다. 따라서, 실제의 데이터블록의 사이즈 Rext1×Text, Rext2×Text, Rext3×Text는 상기의 조건하에서 상정되는 값 Rmax1×Text, Rmax2×Text, Rmax3×Text보다 일반적으로 작다. 그러므로, 각 데이터블록의 판독개시부터 익스텐트 ATC 시간 Text가 경과하기 전에 다음의 데이터블록의 판독이 개시된다. 즉, 각 리드 버퍼(4921, 4922)의 축적 데이터량 DA1, DA2는 실제로는 도 58, 59 (a), (b)에 나타내는 것과는 일반적으로 달리, 판독개시시의 값까지 돌아오기 전에 다시 증가한다. 이렇게 하여, 각 축적 데이터량 DA1, DA2는 베이스 뷰와 디펜던트 뷰의 데이터블록의 쌍이 하나 판독될 때마다 소정량씩 증가한다. 그 결과, 어느 정도의 수의 데이터블록이 각 리드 버퍼(4921, 4922)에 연속해서 판독됨으로써 각 버퍼 여유량 UL1, UL2가 확보된다.
도 61 (a)는 3D 익스텐트 블록(6110)과 L/R모드에서의 재생경로(6120) 사이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1 (a)를 참조하면, 3D 익스텐트 블록(6110)은 인터리브 배치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군 Lk와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군 Dk, Rk(k=0, 1, 2, …)로 구성되어 있다. 재생경로(6120)에 따라 인접하는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Rk)과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Lk)의 각 쌍이 하나의 3D 익스텐트, 즉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와 베이스 뷰 익스텐트의 쌍으로 판독된다. 베이스 뷰 익스텐트(Lk)의 익스텐트 사이즈 Sext1[k]는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k]와 익스텐트 ATC 시간 Text[k]의 곱과 같다:Sext1[k]=Rext1[k]×Text[k]. 이 익스텐트 사이즈 Sext1[k]는 베이스 뷰 전송속도의 최고치 Rmax1와 익스텐트 ATC 시간 Text[k]의 곱보다 일반적으로 작다:Sext1[k]<Rmax1×Text[k].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 Dk, Rk의 익스텐트 사이즈 Sext3[k], Sext2[k]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그림 61 (b)는 3D 익스텐트 블록(6110)이 L/R모드에서의 재생경로(6120)에 따라서 판독될 때의 제 1 리드 버퍼(4921)의 축적 데이터량 DA1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가는 실선의 그래프는 평균 전송속도 Rext1[k], Rext2[k], Rext3[k]가 각각의 최고치 Rmax1, Rmax2, Rmax3과 같은 경우에서의 변화를 나타낸다. 한편, 굵은 실선의 그래프는 선두의 베이스 뷰 익스텐트(L0)의 전송속도 Rext1[0]이 최고치 Rmax1보다 낮은 경우에서의 변화를 나타낸다. 또, 설명의 편의상,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k], Rext3[k]는 각각의 최고치 Rmax2, Rmax3와 같은 경우를 상정한다. 그 경우,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의 사이즈 Rext2[k]×Text[k], Rext3[k]×Text[k]는 상정 가능한 최대치 Rmax2×Text[k], Rmax3×Text[k]와 같다.
도 61 (b)를 참조하면, 가는 실선의 그래프에서는 선두의 베이스 뷰 익스텐트(L0)의 판독개시부터 익스텐트 ATC 시간 Text[0]이 경과한 때, 다음의 베이스 뷰 익스텐트(L1)의 판독이 개시된다. 따라서, 그때의 축적 데이터량 DA1는 판독개시시의 값 DM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한편, 굵은 실선의 그래프에서는 선두의 베이스 뷰 익스텐트(L0)의 전체가 BD-ROM 디스크(101)에서 제 1 리드 버퍼(4921)에 판독하려면 시간 Sext1[0]/Rud -3D가 필요하다. 그 시간은 가는 실선의 그래프에서의 시간 Rmax1×Text[0]/Rud -3D보다 시간 ΔTb만큼 짧다:ΔTb=Sext1[0]/Rud -3D-Rmax1×Text[0]/Rud -3D=(Rext1[0]-Rmax1)×Text[0]/Rud -3D. 따라서, 굵은 실선의 그래프에서는 가는 실선의 그래프보다 축적 데이터량 DA1가 시간ΔTb만큼 빨리 피크에 달한다. 한편, 각 디펜던트 뷰 익스텐트 D1, R1의 사이즈 Sext2[1], Sext3[1]은 양쪽의 그래프에서 공통의 값 Rmax2×Text[1], Rmax3×Text[1]이다. 따라서, 축적 데이터량 DA1의 피크에서 다음의 베이스 뷰 익스텐트(L1)의 판독개시까지의 시간ΔT는 양쪽의 그래프에서 공통이다. 그 결과, 굵은 실선의 그래프에서는 가는 실선의 그래프에서와는 달리, 선두의 베이스 뷰 익스텐트(L0)의 판독개시부터 익스텐트 ATC 시간 Text가 경과하는 것보다도 시간 ΔTb만큼 빠르게 다음의 베이스 뷰 익스텐트(L1)의 판독이 개시된다. 그러므로, 그 시점에서의 축적 데이터량 DA1의 값 DM11는 선두의 베이스 뷰 익스텐트(L0)의 판독개시시의 값 DM10보다 증분(增分) DM1[0]만큼 증가한다. 도 61 (b)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이 증분 DM1[0]은 축적 데이터량 DA1의 실제의 감소속도 Rext1[0]와 시간ΔTb의 곱과 같다:DM1[0]=Rext1[0]×ΔTb=Rext1[0]×(Rext1[0]-Rmax1)×Text[0]/Rud -3D.
도 61 (c)는 도 61 (b)에 도시된 변화를 제 1 리드 버퍼(4921)의 축적 데이터량 DA1가 나타낼 때의 제 2 리드 버퍼(4922)의 축적 데이터량 DA2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가는 실선의 그래프는 평균 전송속도 Rext1[k], Rext2[k], Rext3[k]가 각각의 최고치 Rmax1, Rmax2, Rmax3과 같은 경우에서의 변화를 나타낸다. 한편, 굵은 실선의 그래프는 선두의 베이스 뷰 익스텐트(L0)의 전송속도 Rext1[0]이 최고치 Rmax1보다 낮은 경우에서의 변화를 나타낸다. 또, 설명의 편의상,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k], Rext3[k]는 각각의 최고치 Rmax2, Rmax3와 같은 경우를 상정한다.
도 61 (c)를 참조하면, 가는 실선의 그래프에서는 선두의 라이트 뷰 익스텐트(R0)의 판독개시부터 익스텐트 ATC 시간 Text[0]이 경과한 때, 다음의 라이트 뷰 익스텐트(R1)의 판독이 개시된다. 따라서, 그때의 축적 데이터량 DA2는 판독 개시시의 값 DM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한편, 굵은 실선의 그래프에서는 가는 실선의 그래프보다 시간ΔTb만큼 빠르게 선두의 베이스 뷰 익스텐트(L0)의 전체가 BD-ROM 디스크(101)에서 제 1 리드 버퍼(4921)에 판독된다. 따라서, 굵은 실선의 그래프에서는 가는 실선의 그래프보다 시간ΔTb만큼 빠르게, 즉 선두의 라이트 뷰 익스텐트(R0)의 판독개시부터 익스텐트 ATC 시간 Text가 경과하는 것보다도 시간ΔTb만큼 앞에 다음의 라이트 뷰 익스텐트(R1)의 판독이 개시된다. 그러므로, 그 시점에서의 축적 데이터량 DA2의 값 DM21는 선두의 라이트 뷰 익스텐트(R0)의 판독 개시시의 값 DM20보다 증분 DM2[0]만큼 증가한다. 도 61 (c)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이 증분 DM2[0]은 축적 데이터량 DA2의 실제의 감소속도 Rext2[0]와 시간ΔTb의 곱과 같다:DM2[0]=Rext2[0]×ΔTb=Rext2[0]×(Rext1[0]-Rmax1)×Text[0]/Rud -3D.
도 61에서는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k], Rext3[k]는 각각의 최고치 Rmax2, Rmax3과 같은 경우가 상정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k], Rext3[k]도 일반적으로 각각의 최고치 Rmax2, Rmax3보다 낮다. 그 경우, 도 61 (c)의 그래프에서는 도 61 (b)의 그래프와 마찬가지로, 축적 데이터량 DA2가 시간ΔTd만큼 피크에 빨리 도달한다:ΔTd=Sext2[0]/Rud3D-Rmax2×Text[0]/Rud -3D=(Rext2[0]-Rmax2)×Text[0]/Rud -3D. 한편, 도 61 (b)의 그래프에서는 축적 데이터량 DA1의 피크에서 다음의 베이스 뷰 익스텐트(L1)의 판독개시까지의 시간ΔT가 같은 시간ΔTd만큼 단축된다. 이것들을 고려한 경우, 베이스 뷰 익스텐트(Lk)와 라이트 뷰 익스텐트(Rk)의 쌍이 하나 처리될 때마다 각 리드 버퍼의 축적 데이터량 DA1, DA2는 다음의 식 (22), (23)으로 나타내는 증분 DM1[k], DM2[k]만큼 증가한다:
Figure pct00022
Figure pct00023
L/R모드에서는 각 3D 익스텐트 EXTSS[k]에서 베이스 뷰 익스텐트(Lk)와 라이트 뷰 익스텐트(Rk)가 각 리드 버퍼(4921, 4922)에 판독될 때마다 각 축적 데이터량 DA1, DA2는 증분 DM1[k], DM2[k]씩 증가한다. 깊이모드에서도 마찬가지로 베이스 뷰 익스텐트(Lk)와 깊이 맵 익스텐트(Dk)가 각 리드 버퍼(4921, 4922)에 판독될 때마다 각 축적 데이터량 DA1, DA2는 증분 DM3[k], DM4[k]씩 증가한다. 여기서, 증분 DM3[k], DM4[k]는 다음의 식(24), (25)으로 나타낸다:
Figure pct00024
Figure pct00025
따라서, 3D 익스텐트 블록(6110) 전체에서의 익스텐트 ATC 시간의 합계 Tsum=Text[0]+Text[1]+Text[2]+…가 다음의 식(26)을 만족할 때, 그 3D 익스텐트 블록(6110)의 전체의 판독에 의해서 각 리드 버퍼(4921, 4922)에 버퍼 여유량 UL1, UL2를 확보할 수 있다:
Figure pct00026
여기서, 다음의 근사가 이용되고 있다:3D 익스텐트 블록(6110)의 전체에서 베이스 뷰 전송속도 Rext1[k]가 평균치 Rext1 - av와 같고, 디펜던트 뷰 전송속도 Rext2[k], Rext3[k]가 평균치 Rext2 - av, Rext3 - av와 같다.
또, 일련의 3D 익스텐트 블록의 판독기간에서는 롱 점프가 발생하지 않는 한,각 리드 버퍼의 축적 데이터량 DA1, DA2는 계속 증가한다. 따라서, 각 축적 데이터량 DA1, DA2가 소정의 임계치를 넘은 경우, 재생장치(102)는 BD-ROM 드라이브(4901)에 판독/전송동작을 단속시킨다. 이에 의해 판독속도 Rud -3D가 저하하므로, 각 축적 데이터량 DA1, DA2의 증가가 억제된다. 이렇게 하여, 각 리드 버퍼(4921, 4922)의 오버플로를 회피할 수 있다.
<변형예>
(A) 본 발명의 실시 예 1은 기록매체에 3D 영상을 저장할 때의 익스텐트의 배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기록매체에 고 프레임 레이트의 영상을 저장할 때에 이용되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고 프레임 레이트의 영상을 홀수 번째의 프레임 군과 짝수 번째의 프레임 군으로 나누고, 각각을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과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으로 간주하여 상기의 실시 예 1에 의한 익스텐트의 배치로 기록매체에 기록하면 좋다. 통상의 프레임 레이트에서의 영상 재생만이 가능한 재생장치는 그 기록매체에서는 홀수 번째의 프레임 군의 영상을 재생하면 좋다. 한편, 고 프레임 레이트에서의 영상 재생이 가능한 재생장치는 홀수 번째의 프레임 군만의 영상과 양쪽의 프레임 군의 영상을 선택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고 프레임 레이트의 영상이 저장된 기록매체에 통상의 프레임 레이트에서의 영상재생만이 가능한 재생장치에 대한 호환성을 확보시킬 수 있다.
(B)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서는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이 레프트 뷰를 나타내고,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이 라이트 뷰를 나타낸다. 역으로,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이 라이트 뷰를 나타내고,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이 레프트 뷰를 나타내고 있다
(C) 도 32 (a)에 도시되어 있는 오프셋 테이블(3141)은 PID별로 오프셋 엔트리(3304)의 테이블(3310)을 포함한다. 오프셋 테이블은 그 외에, 플레인별로 오프셋 엔트리의 테이블을 포함해도 좋다. 그 경우, 3D 재생장치에 의한 오프셋 테이블의 해석처리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 플레인의 합성처리에 관한 3D 재생장치의 성능에 맞춰서 오프셋 엔트리의 유효 구간의 길이로, 예를 들면 1초간이라는 하한이 설정되어도 좋다.
(D) 도 40에 도시되어 있는 3D 플레이리스트 파일은 서브 TS의 재생경로를 나타내는 서브 패스를 하나 포함한다. 그 외에, 3D 플레이리스트 파일이 다른 서브 TS의 재생경로를 나타내는 서브 패스를 복수 포함해도 좋다. 예를 들어, 일방의 서브 패스의 서브 패스타입이 「3D L/R」이고, 타방의 서브패스의 서브 패스타입이 「3D 뎁스」라도 좋다. 그 3D 플레이리스트 파일에 따라서 3D 영상이 재생될 때, 재생 대상의 서브패스가 이들 2종류의 서브 패스 사이에서 전환됨으로써 재생장치(102)를 L/R모드와 깊이모드 사이에서 용이하게 전환시킬 수 있다. 특히 그 전환처리는 3D 플레이리스트 파일 그 자체를 전환하는 처리보다 신속하게 실현 가능하다.
3D 플레이리스트 파일은 서브 패스타입이 동일한 서브 패스를 복수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예를 들어, 동일한 씬에 대한 양 눈 시차가 다른 3D 영상이 공통의 레프트 뷰에 대한 라이트 뷰의 차로 표현될 때, 다른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마다 다른 파일 DEP가 BD-ROM 디스크(101)에 기록된다. 한편, 3D 플레이리스트 파일은 서브 패스타입이 「3D L/R」인 서브 패스를 복수 포함한다. 이러한 서브 패스는 다른 파일 DEP의 재생경로를 개별적으로 규정한다. 그 외에, 하나의 파일 2D에 대하여 깊이 맵 스트림이 2종류 이상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3D 플레이리스트 파일은 서브 패스타입이 「3D 뎁스」인 서브 패스를 복수 포함한다. 이러한 서브 패스는 각 깊이 맵 스트림을 포함하는 파일 DEP의 재생경로를 개별적으로 규정한다. 이와 같은 3D 플레이리스트 파일에 따라서 3D 영상이 재생될 때, 재생대상의 서브 패스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신속하게 전환되므로 3D 영상을 실질적으로 도중에 중단시키는 일 없이 그 양 눈 시차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에게 원하는 양 눈 시차의 3D 영상을 용이하게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E) 리드 버퍼에서 시스템 타깃 리코더로의 데이터의 평균 전송속도 Rext의 평가에서 익스텐트 ATC 시간이 정확하게 계산되는 것을 목적으로, 각 익스텐트의 사이즈가 소스 패킷 길이의 어느 일정 배수로 일치되어도 좋다. 또, 어느 하나의 익스텐트가 그 배수보다 많은 소스 패킷을 포함할 때, 그 배수를 넘는 소스 패킷 수와 소스 패킷 하나당 전송시간(=188×8/시스템 레이트)의 곱을 그 배수에 상당하는 익스텐트 ATC 시간에 더한 값이 그 익스텐트의 익스텐트 ATC 시간으로 간주되어도 좋다. 그 외에, 익스텐트 ATC 시간은 하나의 익스텐트의 선두의 소스 패킷의 ATS로부터 동일한 익스텐트의 최후의 소스 패킷의 ATS까지의 시간간격으로 소스 패킷 하나당 전송시간을 더한 값으로 정의되어도 좋다. 이 경우, 익스텐트 ATC 시간의 계산에는 다음의 익스텐트의 참조가 필요 없으므로 그 계산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익스텐트 ATC 시간의 계산에서는 ATS에 랩 어라운드가 발생하는 것을 고려하지 않으면 안 된다.
(F) 인터리브 배치의 데이터블록 군 중에는 예를 들어 BD-J 오브젝트 파일 등, 다른 파일에 속하는 익스텐트가 배치되어도 좋다. 도 62 (a)는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만을 포함하는 인터리브 배치의 데이터블록 군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2 (b)는 다른 파일에 속하는 익스텐트를 포함하는 인터리브 배치의 데이터블록 군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2 (a)를 참조하면, 데이터블록 군(6201)은 깊이 맵 데이터블록 D1, D2, D3,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 R1, R2, R3,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L1, L2, L3를 교호로 포함한다. L/R모드에서의 재생경로(6202)에서는 인접하는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과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의 쌍 R1+L1, R2+L2, R3+L3가 차례로 판독된다. 각 쌍에서는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과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사이에 제로 섹터 천이 J0가 생긴다. 또, 각 깊이 맵 데이터블록 D1, D2, D3의 판독이 점프 JLR에 의해서 스킵된다. 깊이모드에서의 재생경로(6203)에서는 깊이 맵 데이터블록 D1, D2, D3와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L1, L2, L3가 교호로 판독된다. 인접하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과 깊이 맵 데이터블록의 사이에는 제로 섹터 천이 J0가 생긴다. 또, 각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 R1, R2, R3의 판독이 점프 JLD에 의해서 스킵된다.
한편, 도 62 (b)를 참조하면, 도 62 (a)과 동일한 데이터블록 군(6204) 중에 다른 파일에 속하는 익스텐트 A1, A2가 삽입되어 있다. 그 다른 파일은, 예를 들어 무비 오브젝트 파일, BD-J 오브젝트 파일 및 JAR 파일 중 어느 하나라도 좋다. 그 익스텐트 A1, A2는 모두, 도 62 (a)에서는 인접하고 있던 깊이 맵 데이터블록과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이 경우, L/R모드에서의 재생경로(6205)에서는 도 62 (a)에 도시된 재생경로(6202)보다 점프 JLR의 거리가 길다. 그러나, 그 익스텐트 A1, A2를 어느 하나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의 옆에 삽입하는 경우와 달리, 제로 섹터 천이 J0를 통상의 점프로 변경하지 않아도 좋다. 깊이모드에서의 재생경로(6206)에서도 동일하다. 여기서, 도 56의 표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최대 점프시간은 일반적으로 점프거리를 변경할 때보다 제로 섹터 천이를 통상의 점프로 변경할 때가 크게 증가한다. 따라서, 식 (2)-(5)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최소 익스텐트 사이즈는 일반적으로 점프거리를 변경할 때보다 제로 섹터 천이를 통상의 점프로 변경할 때가 크게 증가한다. 따라서, 인터리브 배치의 데이터블록 군(6201) 중에 익스텐트 A1, A2를 삽입할 때는 도 62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깊이 맵 데이터블록과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의 사이에 삽입한다. 이에 의해 그 삽입에 수반하는 최소 익스텐트 사이즈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리드 버퍼의 최소 용량의 증대를 회피할 수 있다.
도 62 (b)에 도시된 배치에서는 각 익스텐트 A1, A2의 섹터 단위에서의 사이즈 G1, G2가 최대 점프거리 MAX_EXTJUMP3D 이하로 제한되어도 좋다:G1≤MAX_EXTJUMP3D, G2≤MAX_EXTJUMP3D. 그 최대 점프거리 MAX_EXTJUMP3D는 데이터블록군(6204) 내에서 발생하는 점프 JLR, JLD 중에서 최대의 점프거리를 섹터 단위로 나타낸다. 그 제한하에서는 식 (2)-(5)의 우변에 대입되어야 할 최대 점프시간이 증대하기 어려우므로 최소 익스텐트 사이즈가 증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익스텐트 A1, A2의 삽입에 수반하는 리드 버퍼의 최소 용량의 증대를 회피할 수 있다.
그 외에, 각 익스텐트 A1, A2의 사이즈 G1, G2와 그에 인접하는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2, R2, D3, R3의 사이즈 Sext3[2], Sext2[2], Sext3[3], Sext2[3]의 합이 최대 점프거리 MAX_EXTJUMP3D 이하로 제한되어 있어도 좋다
CEIL(Sext3[2]/2048)+G1≤MAX_EXTJUMP3D,
CEIL(Sext2[2]/2048)+G1≤MAX_EXTJUMP3D,
CEIL(Sext3[3]/2048)+G2≤MAX_EXTJUMP3D,
CEIL(Sext2[3]/2048)+G2≤MAX_EXTJUMP3D.
이러한 식에서는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의 바이트 단위에서의 사이즈를 1 섹터당 바이트 수 2048로 나눔으로써 각 사이즈의 단위를 바이트로에서 섹터 수로 변환하고 있다. 이러한 조건식이 만족되는 한, 식 (2)-(5)의 우변에 대입되어야 할 최대 점프시간은 일정치를 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최대 점프거리 MAX_EXTJUMP3D를 40000 섹터로 고정한 경우, 도 56의 표에서 최대 점프시간은 350m초를 넘지 않는다. 따라서, 최소 익스텐트 사이즈는 일정치를 넘지 않는다. 이렇게 하여, 익스텐트 A1, A2의 삽입에 수반하는 리드 버퍼의 최소 용량의 증대를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상기의 제한과는 별도로, 각 익스텐트 A1, A2의 사이즈 G1, G2와 그에 인접하는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 D2, R2, D3, R3의 사이즈 Sext3[2], Sext2[2], Sext3[3], Sext2[3]의 합이 그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의 사이즈에 대한 최대 점프거리 MAX_JUMP(·) 이하로 제한되어도 좋다:
CEIL(Sext3[2]/2048)+G1≤MAX_JUMP(Sext3[2]),
CEIL(Sext2[2]/2048)+G1≤MAX_JUMP(Sext2[2]),
CEIL(Sext3[3]/2048)+G2≤MAX_JUMP(Sext3[3]),
CEIL(Sext2[3]/2048)+G2≤MAX_JUMP(Sext2[3]).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의 사이즈에 대한 최대 점프거리 MAX_JUMP(·)란, 그 사이즈를 섹터 수로 나타냈을 때, 도 56의 표에서 그 섹터 수와 동일한 최대 점프시간에 대응하는 섹터 수 중에서의 최대치를 말한다. 예를 들어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의 사이즈가 5000 섹터일 때, 도 56의 표에서 5000 섹터는 최대 점프시간 250m초에 대응하는 범위 1-10000 섹터에 속한다. 따라서, 최대 점프거리 MAX_JUMP(5000×2048바이트)는 그 범위의 최대치 10000 섹터이다. 상기의 조건식이 만족되는 한, 식 (2)-(5)의 우변에 대입되어야 할 최대 점프시간은 변경되지 않으므로 최소 익스텐트 사이즈는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익스텐트 A1, A2의 삽입에 수반하는 리드 버퍼의 최소 용량의 증대를 더욱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실시 예 2》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 2로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의한 기록매체의 기록장치 및 기록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 기록장치는 이른바 편집장치로 불리는 것이다. 편집장치는 통상, 반포용의 영화 콘텐츠의 제작 스튜디오에 설치되고, 편집 스택에 의해서 사용된다. 기록장치는 편집 스택의 조작에 따라, 먼저 영화 콘텐츠를 MPEG 규격에 따른 압축 부호화방식의 디지털 스트림, 즉 AV 스트림 파일로 변환한다. 기록장치는 다음에 시나리오를 생성한다. 시나리오는 영화 콘텐츠에 포함되는 각 타이틀의 재생방법을 규정한 정보이며, 구체적으로는 상기의 동적 시나리오 정보 및 정적 시나리오 정보를 포함한다. 기록장치는 계속해서, 상기의 디지털 스트림 및 시나리오로부터 BD-ROM 디스크용의 볼륨 이미지 또는 업 데이트 키트(update kit)를 생성한다. 기록장치는 최후에 실시 예 1에 의한 익스텐트의 배치를 이용하여 볼륨 이미지를 기록매체에 기록한다.
도 63은 그 기록장치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3을 참조하면, 그 기록장치는 비디오 인코더(6301), 소재 제작부(6302), 시나리오 생성부(6303), BD 프로그램 제작부(6304), 다중화 처리부(6305), 포맷 처리부(6306) 및 데이터 베이스부(6307)를 포함한다.
데이터 베이스부(6307)는 기록장치에 내장된 불휘발성 기억장치이며, 특히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이다. 데이터 베이스부(6307)는 그 외에 기록장치에 외부에 부착된 HDD라도 좋고, 기록장치에 내장되거나 또는 외부에 부착된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라도 좋다.
비디오 인코더(6301)는 비 압축의 비트 맵 데이터 등의 영상데이터를 편집 스택에서 접수하고, 그것을 MPEG-4 AVC 또는 MPEG-2 등의 압축 부호화방식으로 압축한다. 이에 의해 주 영상의 데이터는 프라이머리 비디오 스트림으로 변환되고, 부 영상의 데이터는 세컨더리 비디오 스트림으로 변환된다. 특히 3D 영상의 데이터는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과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으로 변환된다. 비디오 인코더(630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프트 뷰 비디오 스트림을 그 자신의 픽처 간에서의 예측부호화에 의해서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으로 변환하고,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을 그 자신의 픽처만이 아니라,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의 픽처 간의 예측부호화에 의해서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또,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이 베이스 뷰 비디오 스트림으로 변환되어도 좋다. 또, 레프트 뷰 비디오 스트림이 디펜던트 뷰 비디오 스트림으로 변환되어도 좋다. 변환 후의 각 비디오 스트림(6311)은 데이터 베이스부(6307)에 보존된다.
비디오 인코더(6301)는 이 픽처 간 예측부호화의 처리과정에서 좌영상과 우영상 사이에서의 각 이미지의 모션 벡터(motion vector)를 검출하고, 이것에서 3D 영상 내의 각 이미지의 깊이정보를 산출한다. 산출된 각 이미지의 깊이정보는 프레임 깊이정보(6310)에 정리되고, 데이터 베이스부(6307)에 보존된다.
도 64 (a), (b)는 3D 영상의 한 씬의 표시에 이용되는 좌영상 픽처와 우영상 픽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c)는 비디오 인코더(6301)에 의해서 이들 픽처로부터 산출된 깊이정보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비디오 인코더(6301)는 먼저, 좌우의 픽처 간의 용장성을 이용하여 각 픽처를 압축한다. 이때, 비디오 인코더(6301)는 압축 전의 좌우의 픽처를 8×8 또는 16×16의 화소 매트릭스별로, 즉 매크로 블록(macroblock)별로 비교하여 양 픽처 간에서의 각 이미지의 모션 벡터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64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좌영상 픽처(6401)와 우영상 픽처(6402)는 각각, 매크로 블록(6403)의 매트릭스로 분할된다. 다음에, 양 픽처(6401, 6402) 간에 이미지 데이터가 매크로 블록(6403)별로 비교되고, 그 결과로부터 각 이미지의 모션 벡터가 검출된다. 예를 들어 「집」의 이미지(6404)를 나타내는 영역은 양 픽처(6401, 6402) 간에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러한 영역에서는 모션 벡터가 검출되지 않는다. 한편, 「구(球)」의 이미지(6405)를 나타내는 영역은 양 픽처(6401, 6402) 간에 실질적으로 다르다. 따라서, 이들 영역에서는 「구」의 이미지(6405)의 변위를 나타내는 모션 벡터가 검출된다.
비디오 인코더(6301)는 다음에, 검출된 모션 벡터를 각 픽처(6401, 6402)의 압축에 이용하는 한편, 각 이미지 데이터(6404, 6405)가 나타내는 영상의 양 눈 시차의 계산에도 이용한다. 이렇게 얻어진 양 눈 시차로부터 비디오 인코더(6301)는 「집」및 「구」의 이미지(6404, 6405) 등, 각 이미지의 「깊이」를 산출한다. 각 이미지의 깊이를 나타내는 정보는, 예를 들어 도 64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픽처(6401, 6402)의 매크로 블록의 매트릭스와 동일한 사이즈의 매트릭스(6406)에 정리된다. 도 63에 도시된 프레임 깊이정보(6310)는 이 매트릭스(6406)를 포함한다. 이 매트릭스(6406) 내의 블록(6407)은 각 픽처(6401, 6402) 내의 매크로 블록(6403)과 1 대 1로 대응한다. 각 블록(6407)은 대응하는 매크로 블록(6403)이 나타내는 이미지의 깊이를, 예를 들어 8비트의 심도로 나타낸다. 도 64에 도시된 예에서, 「구」의 이미지(6405)의 깊이가 매트릭스(6406)의 영역(6408) 내의 각 블록에 기록된다. 그 영역(6408)은 그 이미지(6405)를 나타내는 각 픽처(6401, 6402) 내의 영역의 전체에 대응한다.
도 63을 다시 참조하면, 소재 제작부(6302)는 비디오 스트림 이외의 엘리멘터리 스트림, 예를 들어, 오디오 스트림(6312), PG 스트림(6313) 및 IG 스트림(6314)을 작성해서 데이터 베이스부(6307)에 보간직한다. 예를 들어, 소재 제작부(6302)는 편집 스택에서 비 압축의 LPCM 음성 데이터를 접수하고, 그것을 AC-3 등의 압축 부호화방식으로 부호화하여 오디오 스트림(6312)으로 변환한다. 소재 제작부(6302)는 그 외에, 편집 스택으로부터 자막 정보파일을 접수하고, 그에 따라서 PG 스트림(6313)을 작성한다. 자막 정보파일은 자막을 나타내는 이미지 데이터, 그 자막의 표시시기 및 그 자막에 더해져야 할 페이드인/페이드아웃 등의 시각 효과를 규정한다. 소재 제작부(6302)는 편집 스택으로부터 비트 맵 데이터와 메뉴 파일을 더 접수하고, 그에 따라서 IG 스트림(6314)을 작성한다. 비트 맵 데이터는 메뉴의 이미지를 나타낸다. 메뉴 파일은 그 메뉴에 배치되는 각 버튼의 상태의 천이 및 각 버튼에 더해져야 할 시각 효과를 규정한다.
시나리오 생성부(6303)는 편집 스택에서 GUI 경유로 접수된 지시에 따라서 BD-ROM 시나리오 데이터(6315)를 작성하고, 데이터 베이스부(6307)에 보존한다. BD-ROM 시나리오 데이터(6315)는 데이터 베이스부(6307)에 보존된 각 엘리멘터리 스트림(6311-6314)의 재생방법을 규정한다. BD-ROM 시나리오 데이터(6315)는 도 5에 도시된 파일 군 중, 인덱스 파일(511), 무비 오브젝트 파일(512) 및 플레이리스트 파일(521-523)을 포함한다. 시나리오 생성부(6303)는 파라미터 파일(6316)을 작성하여 다중화 처리부(6305)에 송출한다. 파라미터 파일(6316)은 데이터 베이스부(6307)에 보존된 엘리멘터리 스트림(6311-6314) 중에서 메인 TS와 서브 TS의 각각으로 다중화되어야 할 스트림 데이터를 규정한다.
BD 프로그램 제작부(6304)는 편집 스택에 대하여 BD-J 오브젝트 및 Java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프로그래밍 환경을 제공한다. BD 프로그램 제작부(6304)는 GUI를 통해서 사용자로부터의 요구를 접수하고, 그 요구에 따라서 각 프로그램의 소스코드를 작성한다. BD 프로그램 제작부(6304)는 BD-J 오브젝트로부터 BD-J 오브젝트 파일(551)을 작성하고, Java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JAR 파일(561)로 압축한다. 이러한 파일(551, 561)은 포맷 처리부(6306)에 송출된다.
여기서, BD-J 오브젝트가 다음과 같이 프로그래밍 되는 경우를 상정한다:BD-J 오브젝트는 도 46, 49에 도시된 프로그램 실행부(4606, 4906)에 GUI용의 그래픽스 데이터를 시스템 타깃 디코더(4603, 4903)에 송출시킨다. BD-J 오브젝트는 시스템 타깃 디코더(4603, 4903)에 그 그래픽스 데이터를 이미지 플레인 데이터로 처리시킨다. 그 경우, BD 프로그램 제작부(6304)는 데이터 베이스부(6307)에 보존된 프레임 깊이정보(6310)를 이용하여 BD-J 오브젝트에 이미지 플레인 데이터에 대한 오프셋 정보를 설정해도 좋다.
다중화 처리부(6305)는 파라미터 파일(6316)에 따라서 데이터 베이스부(6307)에 보존되어 있는 각 엘리멘터리 스트림(6311-6314)을 MPEG2-TS 형식의 스트림 파일로 다중화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엘리멘터리 스트림(6311-6314)이 소스 패킷 열로 변환되고, 각 열의 소스 패킷이 일렬로 정리되어서 하나의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를 구성한다. 이렇게 하여, 메인 TS와 서브 TS가 작성된다.
그 처리와 병행하여, 다중화 처리부(6305)는 2D 클립정보파일과 디펜던트 뷰클립정보파일을 이하의 순서로 작성한다. 먼저, 파일 2D와 파일 DEP의 각각에 대하여, 도 32에 도시된 엔트리 맵(3130)이 생성된다. 다음에, 각 파일의 엔트리 맵을 이용하여 도 33에 도시된 익스텐트 기점의 일람표(3310)가 작성된다. 계속해서, 메인 TS와 서브 TS의 각각에 다중화되어야 할 각 엘리멘터리 스트림으로부터 도 31에 도시된 스트림 속성정보가 추출된다. 또,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트리 맵, 3D 메타데이터 및 스트림 속성정보의 조합이 클립정보에 대응된다.
포맷 처리부(6306)는 데이터 베이스부(6307)에 보존된 BD-ROM 시나리오 데이터(6315), BD 프로그램 제작부(6304)에 의해서 제작된 BD-J 오브젝트 파일 등의 프로그램 파일 군 및 다중화 처리부(6305)에 의해서 생성된 다중화 스트림 데이터와 클립정보파일에서 도 5에 도시된 디렉토리 구조의 BD-ROM 디스크 이미지(6320)를 작성한다. 그 디렉토리 구조에서는 파일시스템으로 UDF가 이용된다.
포맷 처리부(6306)는 파일 2D, 파일 DEP 및 파일 SS의 각 파일 엔트리를 작성할 때, 2D 클립정보파일과 디펜던트 뷰 클립정보파일의 각각에 포함되는 엔트리 맵과 3D 메타데이터를 참조한다. 이에 의해 각 엔트리 포인트와 각 익스텐트 기점의 SPN가 각 할당 기술자의 작성에 이용된다. 특히,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인터리브 배치가 표현되듯이 할당 기술자가 작성된다. 이에 의해 각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은 파일 SS와 파일 2D에 공유되고, 각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은 파일 SS와 파일 DEP에 공유된다. 한편, 롱 점프의 필요한 개소에서는 도 21, 24, 26에 도시된 배치 1-3 중 어느 하나가 표현되도록 할당 기술자가 작성된다. 특히,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의 일부는 2D 재생전용블록으로 파일 2D 내의 할당 기술자에 의해서만 참조되고, 그 일부의 복제 데이터가 3D 재생전용블록으로 파일 SS의 할당 기술자에 의해서만 참조된다. 또, 베이스 뷰와 디펜던트 뷰의 익스텐트의 각 사이즈가 식 (1)-(5)를 만족하도록 설계되고, 이에 의거하여 각 할당 기술자가 나타낼 논리 어드레스의 값이 결정된다.
포맷 처리부(6306)는 그 외에, 데이터 베이스부(6307)에 보존된 프레임 깊이정보(6310)를 이용하여, 도 32 (a)에 도시된 오프셋 테이블을 세컨더리 비디오 스트림(6311), PG 스트림(6313) 및 IG 스트림(6314)의 각각에 대하여 작성한다. 포맷 처리부(6306)는 오프셋 테이블을 2D 클립정보파일의 3D 메타데이터 내에 저장한다. 여기서, 각 스트림이 나타내는 3D 영상이 다른 스트림이 나타내는 3D 영상과 동일한 시야 방향으로 중첩되서 표시되지 않도록 좌우의 각 영상 프레임 내에서의 이미지 데이터의 배치가 자동으로 조정된다. 또, 각 스트림이 나타내는 3D 영상의 깊이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각 영상 프레임에 대한 오프셋 값이 자동으로 조정된다.
포맷 처리부(6306)에 의해서 생성된 BD-ROM 디스크 이미지(6320)는 그 후, BD-ROM 프레스용 데이터로 변환된다. 또, 이 데이터는 BD-ROM 디스크의 원반에 기록된다. 이 원반이 프레스 공정에 이용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의한 BD-ROM 디스크(101)의 대량생산이 실현 가능하게 된다.
《실시 예 3》
도 65는 본 발명의 실시 예 3에 의한 집적회로(3)의 기능 블럭도이다. 도 65를 참조하면, 집적회로(3)는 실시 예 1에 의한 재생장치(102)에 실장된다. 여기서, 재생장치(102)는 집적회로(3) 외에 매체 인터페이스(IF)부(1), 메모리부(2) 및 출력단자(10)를 포함한다.
매체 IF부(1)는 외부의 매체 ME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판독해서 집적회로(3)에 전송한다. 그 데이터는 특히, 실시 예 1에 의한 BD-ROM 디스크(101)상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매체 ME의 종류는 광 디스크 및 하드디스크 등의 디스크 기록매체, SD 카드 및 USB 메모리 등의 반도체 메모리, CATV 등의 방송파 및 이더넷(ethernet)(등록상표), 무선 LAN 및 무선 공중회선 등의 네트워크를 포함한다.매체 IF부(1)는 매체 ME의 종류에 맞춰서 디스크 드라이브, 카드 IF, CAN 튜너, Si튜너 및 네트워크 IF를 포함한다.
메모리부(2)는 매체 IF부(1)에 의해서 매체 ME로부터 수신되거나 또는 판독된 데이터 및 집적회로(3)에 의해서 처리되고 있는 도중의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메모리부(2)로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및 DDRx SDRAM(Double-Date-Rate x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x=1, 2, 3, …) 등이 이용된다. 메모리부(2)는 단일의 메모리 소자이다. 그 외에, 메모리부(2)는 복수의 메모리 소자를 포함해도 좋다.
집적회로(3)는 시스템 LSI이며, 매체 IF부(1)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에 대하여 영상 및 음성처리를 한다. 도 65를 참조하면, 집적회로(3)는 주 제어부(6), 스트림 처리부(5), 신호 처리부(7), 메모리 제어부(9) 및 AV 출력부(8)를 포함한다.
주 제어부(6)는 프로세서 코어와 프로그램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 코어는 타이머 기능과 할당기능을 갖는다. 프로그램 메모리는 OS 등의 기본적인 소프트웨어를 저장한다. 프로세서 코어는 프로그램 메모리 등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집적회로(3)의 전체의 제어를 실시한다.
스트림 처리부(5)는 주 제어부(6)의 제어하에 매체 ME로부터 매체 IF부(1)를 경유하여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스트림 처리부(5)는 그 수신된 데이터를 집적회로(3) 내의 데이터 버스를 통해서 메모리부(2)에 저장한다. 스트림 처리부(5)는 그 외에,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영상계 데이터와 음성계 데이터를 분리한다. 여기서, 상술한 것과 같이, 매체 ME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는 실시 예 1에 의한 구조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그 경우, 「영상계 데이터」는 프라이머리 비디오 스트림, 세컨더리 비디오 스트림, PG 스트림 및 IG 스트림을 포함한다. 「음성계 데이터」는 프라이머리 오디오 스트림과 세컨더리 오디오 스트림을 포함한다. 실시 예 1에 의한 구조의 데이터에서는 특히, 베이스 뷰 스트림과 디펜던트 뷰 스트림이 각각, 복수의 익스텐트로 분할되고, 그것들이 교호로 배치되어 있다. 스트림 처리부(5)는 그 데이터를 수신한 때, 주 제어부(6)의 제어에 따라 그 데이터로부터 베이스 뷰 스트림을 추출하여 메모리부(2) 내의 제 1 영역에 저장하고, 디펜던트 뷰 스트림을 추출하여 메모리부(2) 내의 제 2 영역에 저장한다. 여기서, 메모리부(2) 내의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은 단일의 메모리 소자의 영역을 논리적으로 분할한 것이다. 그 외에, 각 영역이 물리적으로 다른 메모리 소자에 포함되어도 좋다.
스트림 처리부(5)에 의해서 분리된 영상계 데이터와 음성계 데이터는 각각 부호화에 의해서 압축되어 있다. 영상계 데이터의 부호화방식의 종류는 MPEG-2, MPEG-4 AVC, MPEG4-MVC 및 SMPTE VC-1 등을 포함한다. 음성계 데이터의 부호화방식의 종류는 돌비 AC-3, Dolby Digital Plus, MLP, DTS, DTS-HD 및 리니어 PCM 등을 포함한다. 신호 처리부(7)는 주 제어부(6)의 제어하에 영상계 데이터와 음성계 데이터를 각각의 부호화방식에 적절한 방법으로 복호한다. 신호 처리부(7)는 예를 들어 도 50에 도시된 각종 디코더에 상당한다.
메모리 제어부(9)는 집적회로(3) 내의 각 기능 블록(5-8)에서 메모리부(2)로의 액세스를 조정한다.
AV 출력부(8)는 주 제어부(6)의 제어하에 신호 처리부(7)에 의해서 복호된 영상계 데이터와 음성계 데이터를 각각, 적절한 형식으로 가공하여 개별의 출력단자(10)를 통해서 표시장치(103)와 그 내장 스피커에 출력한다. 그 가공의 종류는 영상계 데이터의 중첩처리, 각 데이터의 포맷 변환 및 음성계 데이터의 믹싱 등을 포함한다.
도 66은 스트림 처리부(5)의 대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럭도이다. 도 66을 참조하면, 스트림 처리부(5)는 디바이스 스트림 IF부(51), 다중 분리부(52) 및 전환부(53)를 구비한다.
디바이스 스트림 IF부(51)는 매체 IF부(1)와 집적회로(3) 내의 다른 기능 블록(6-9)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을 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매체 ME가 광 디스크 또는 하드디스크일 때, 디바이스 스트림 IF부(51)는 SATA(Serial 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ATAPI(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Packet Interface), 또는 PATA(Parallel 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을 포함한다. 매체 ME가 SD 카드 및 USB 메모리 등의 반도체 메모리일 때, 디바이스 스트림 IF부(51)는 카드 IF를 포함한다. 매체 ME가 CATV 등의 방송파일 때, 디바이스 스트림 IF부(51)는 튜너 IF를 포함한다. 매체 ME가 이더넷(등록상표), 무선 LAN 및 무선 공중회선 등의 네트워크일 때, 디바이스 스트림 IF부(51)는 네트워크 IF를 포함한다. 여기서, 매체 ME의 종류에 따라서는 디바이스 스트림 IF부(51)가 매체 IF부(1)에 대신하여 그 기능의 일부를 실현시켜도 좋다. 역으로, 매체 IF부(1)가 집적회로(3)에 내장되어 있는 경우, 디바이스 스트림 IF부(51)는 생략되어도 좋다.
다중 분리부(52)는 매체 ME에서 메모리부(2)에 전송된 데이터를 메모리 제어부(9)로부터 수신하고, 그 데이터에서 영상계 데이터와 음성계 데이터를 분리한다. 여기서, 실시 예 1에 의한 구조의 데이터에 포함되는 각 익스텐트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 PG 스트림 및 IG 스트림 등의 소스 패킷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 디펜던트 뷰 스트림은 오디오 스트림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다중 분리부(52)는 각 소스 패킷에서 PID를 판독하고, 그 PID에 따라서 소스 패킷 군을 영상계의 TS 패킷 VTS와 음성계의 TS 패킷 ATS로 분별한다. 분별된 TS 패킷 VTS, ATS는 직접 또는 일단 메모리부(2)에 저장된 후, 신호 처리부(7)에 전송된다. 다중 분리부(52)는 예를 들어 도 50에 도시된 소스 디 패킷다이저(5011, 5012) 및 PID 필터(5013, 5014)에 상당한다.
전환부(53)는 디바이스 스트림 IF부(51)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서 그 출력 처를 전환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스트림 IF부(51)가 베이스 뷰 스트림을 수신한 때에는 그 스트림의 저장 처를 메모리부(2)의 제 1 영역으로 전환한다. 한편, 디바이스 스트림 IF부(51)가 디펜던트 뷰 스트림을 수신한 때에는 그 스트림의 저장 처를 메모리부(2)의 제 2 영역으로 전환한다.
전환부(53)는 예를 들어 DMAC(Direct Memory Access Controller)이다. 도 67은 그 경우에서의 전환부(53)의 주변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DMAC(53)는 주 제어부(6)의 제어하에 디바이스 스트림 IF부(51)에 의해서 수신된 데이터와, 그 데이터의 저장 처의 어드레스를 메모리 제어부(9)에 대하여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디바이스 스트림 IF부(51)가 베이스 뷰 스트림(BS)을 수신한 때, DMAC(53)는 베이스 뷰 스트림(BS)과 함께 어드레스 1 (AD1)을 송신한다. 여기서, 어드레스 1 (AD1)은 메모리부(2) 내의 제 1 저장영역(21)의 선두 어드레스(AD1)를 나타낸다.한편, 디바이스 스트림 IF부(51)가 디펜던트 뷰 스트림(DS)을 수신한 때, DMAC(53)은 디펜던트 뷰 스트림(DS)과 함께 어드레스 2 (AD2)를 송신한다. 여기서, 어드레스(AD2)는 메모리부(2) 내의 제 2 저장영역(22)의 선두 어드레스(AD2)를 나타낸다. 이렇게 하여, DMAC(53)는 디바이스 스트림 IF부(51)에 의해서 수신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서 그 출력 처, 특히 메모리부(2) 내로의 저장 처를 전환한다. 메모리 제어부(9)는 DMAC(53)에서 수신된 스트림 BS, DS를 그것과 함께 수신된 어드레스 AD1, AD2가 나타내는 메모리부(2) 내의 영역(21, 22)에 저장한다.
주 제어부(6)는 전환부(53)에 의한 저장 처의 전환의 제어에 클립정보파일 내의 익스텐트 기점을 이용한다..여기서, 그 클립정보파일은 각 스트림 BS, DS보다 먼저 수신되고, 메모리부(2)에 저장되어 있다. 특히, 주 제어부(6)는 파일 베이스를 이용하여 디바이스 스트림 IF부(51)에 의해서 수신된 데이터가 베이스 뷰 스트림임을 인식한다. 한편, 주 제어부(6)는 파일 DEP를 이용하여 디바이스 스트림 IF부(51)에 의해서 수신된 데이터가 디펜던트 뷰 스트림임을 인식한다. 주 제어부(6)는 그 인식된 결과에 따라 전환부(53)에 제어신호 CS를 보내고, 데이터의 저장처를 전환시킨다. 또, 전환부(53)는 주 제어부(6)와는 다른 전용의 제어회로에 의해서 제어되어도 좋다.
스트림 처리부(5)는 도 66에 도시된 기능블록(51, 52, 53) 외에 암호 엔진부, 시큐어 관리부 및 다이렉트 메모리 액세스용의 컨트롤러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암호 엔진부는 디바이스 스트림 IF부(51)에 의해서 수신된 암호화 데이터 및 키 데이터 등을 복호한다. 시큐어 관리부는 비밀키를 보유하고, 이를 이용하여 매체 ME와 재생장치(102) 사이에서 기기인증 프로토콜 등의 실행제어를 한다.
상기의 예에서는 매체 ME에서 수신된 데이터가 메모리부(2)에 저장될 때, 그 데이터가 베이스 뷰 스트림(BS)과 디펜던트 뷰 스트림(DS)의 어느 것인지에 의해 그 저장 처가 전환된다. 그 외에, 매체 ME에서 수신된 데이터가 그 종류에 관계없이 일단 메모리부(2) 내의 동일한 영역에 저장되고, 그 후, 메모리부(2)에서 다중 분리부(52)에 전송될 때, 베이스 뷰 스트림(BS)과 디펜던트 뷰 스트림(DS)으로 구분되어도 좋다.
도 68은 AV 출력부(8)의 대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68을 참조하면, AV 출력부(8)는 화상 중첩부(81), 비디오 출력 포맷 변환부(82) 및 오디오· 비디오 출력 IF부(83)를 구비한다.
화상 중첩부(81)는 신호 처리부(7)에 의해서 복호된 영상계 데이터 VP, PG, IG를 서로 중첩한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중첩부(81)는 먼저, 비디오 출력 포맷 변환부(82)에서는 처리 후의 레프트 뷰 또는 라이트 뷰의 비디오 플레인 데이터(VP)를 수신하고, 신호 처리부(7)에서는 복호 후의 PG 플레인 데이터(PG)와 IG 플레인 데이터(IG)를 수신한다. 화상 중첩부(81)는 다음에, 비디오 플레인 데이터(VP)에 PG 플레인 데이터(PG)와 IG 플레인 데이터(IG)를 픽처 단위로 중첩한다. 화상 중첩부(81)는 예를 들어 도 50, 51에 도시된 플레인 가산부(4910)에 상당한다.
비디오 출력 포맷 변환부(82)는 신호 처리부(7)에서는 복호 후의 비디오 플레인 데이터(VP)를 수신하고, 화상 중첩부(81)에서는 중첩 후의 영상계 데이터 VP/PG/IG를 수신한다. 비디오 출력 포맷 변환부(82)는 이들 영상계 데이터 VP, VP/PG/IG에 대하여 여러 가지의 처리를 필요에 따라서 실시한다. 그 처리의 종류에는 리사이즈 처리(resizing), IP 변환처리, 노이즈 축소처리(noise reduction) 및 프레임 레이트 변환처리가 포함된다. 리사이즈 처리는 영상의 사이즈를 확대/축소하는 처리이다. IP 변환처리는 프로그래시브 방식(progressive)과 인터레이스 방식(interlaced) 사이에서 주사방식을 변환하는 처리이다. 노이즈 축소처리는 영상으로부터 노이즈를 제거하는 처리이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처리는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하는 처리이다. 비디오 출력 포맷 변환부(82)는 처리 후의 비디오 플레인 데이터(VP)를 화상 중첩부(81)에 송출하거나, 또는 처리 후의 영상계 데이터(VS)를 오디오·비디오 출력 IF부(83)에 송출한다.
오디오·비디오 출력 IF부(83)는 비디오 출력 포맷 변환부(82)에서는 영상계 데이터(VS)를 수신하고, 신호 처리부(7)에서는 복호 후의 음성계 데이터(AS)를 수신한다. 오디오·비디오 출력 IF부(83)는 수신된 데이터 VS, AS에 대하여 데이터 송신형식에 맞춘 부호화 등의 처리를 한다. 여기서, 후술하는 것과 같이, 오디오·비디오 출력 IF부(83)의 일부는 집적회로(3)의 외부에 구비되어도 좋다.
도 69는 AV 출력부(8)를 포함하는 재생장치(102)의 데이터 출력에 관한 부분의 상세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9를 참조하면, 오디오·비디오 출력 IF부(83)는 아날로그·비디오 출력 IF부(83a), 디지털 비디오·오디오 출력 IF부(83b) 및 아날로그 오디오 출력 IF부(83c)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집적회로(3) 및 재생장치(102)는 이하에 설명하는 것과 같이, 복수 종류의 영상계 데이터와 음성계 데이터의 데이터 송신방식으로 대응 가능하다.
아날로그 비디오 출력 IF부(83a)는 비디오 출력 포맷 변환부(82)에서 영상계 데이터(VS)를 수신하고, 그 데이터(VS)를 아날로그 영상 신호형식의 데이터(VD)로 변환/부호화하여 출력한다. 아날로그 비디오 출력 IF부(83a)는, 예를 들어, NTSC, PAL 및 SECAM의 어느 하나의 방식에 대응한 콤퍼지트 비디오 인코더(composite video encoder), S영상신호(Y/C분리)용 인코더, 컴포넌트 영상 신호용 인코더 및 D/A 컨버터(DAC) 등을 포함한다.
디지털 비디오·오디오 출력 IF부(83b)는 신호 처리부(7)에서는 복호 후의 음성계 데이터(AS)를 수신하고, 비디오 출력 포맷 변환부(82)에서는 영상계 데이터(VS)를 수신한다. 디지털 비디오·오디오 출력 IF부(83b)는 이들 데이터 AS, VS를 일체화하여 암호화한다. 그 후, 디지털 비디오·오디오 출력 IF부(83b)는 암호화 데이터(SVA)를 데이터 송신 규격에 맞춰서 부호화하여 출력한다. 디지털 비디오·오디오 출력 IF부(83b)는 예를 들어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등에 상당한다.
아날로그 오디오 출력 IF부(83c)는 신호 처리부(7)에서 복호 후의 음성계 데이터(AS)를 수신하고, D/A변환에 의해서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AD)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아날로그 오디오 출력 IF부(83c)는 예를 들어 오디오 DAC에 상당한다.
상기의 영상계 데이터 및 음성계 데이터의 송신형식은 표시장치(103)/스피커(103A)가 구비하는 데이터 수신장치/데이터 입력 단자의 종류에 맞추어서 전환 가능하고, 또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도 전환 가능하다. 또, 재생장치(102)는 동일한 콘텐츠의 데이터를 단일의 송신형식만이 아니라 복수의 송신형식으로 병행해서 송신 가능하다.
AV 출력부(8)는 도 68, 69에 도시된 기능 블록(81, 82, 83) 외에 그래픽스 엔진부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그래픽스 엔진부는 신호 처리부(7)에 의해서 복호된 데이터에 대하여 필터처리, 화면 합성처리, 곡선 묘화처리 및 3D 표시처리 등의 그래픽스 처리를 한다.
집적회로(3)는 도 65, 66, 68, 69에 도시된 각 기능블록을 내장한다. 그러나, 이것은 필수가 아니고 일부의 기능블록이 집적회로(3)에 외부에 부착되어 있어도 좋다. 또, 도 65에 도시된 구성과는 달리 메모리부(2)가 집적회로(3)에 내장되어 있어도 좋다. 또, 주 제어부(6)와 신호 처리부(7)는 완전하게 분리된 기능 블록이 아니어도 좋고, 예를 들어 주 제어부(6)가 신호 처리부(7)의 처리의 일부를 실시해도 좋다.
집적회로(3) 내의 기능 블록간을 접속하는 제어 버스 및 데이터 버스의 토폴로지(topology)는 각 기능 블록의 처리의 순서 및 내용에 맞춰서 선택되면 좋다. 도 70은 집적회로(3) 내의 제어 버스 및 데이터 버스의 토폴로지의 예 (a), (b)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0(a)를 참조하면, 제어 버스(11)와 데이터 버스(12)는 모두, 각 기능블록(5-9)을 다른 모든 기능블록에 직결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 외에, 도 7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버스(13)는 각 기능블록(5-8)을 메모리 제어부(9)에만 직결시키도록 배치되어도 좋다. 그 경우, 각 기능블록(5-8)은 메모리 제부(9), 메모리부(2)를 통해서 데이터를 다른 기능블록에 전송한다.
집적회로(3)는 단일의 칩에 실장된 LSI에 대신하여 멀티 칩 모듈이어도 좋다. 그 경우, 집적회로(3)를 구성하는 복수의 칩은 하나의 패키지로 밀봉되어 있으므로 집적회로(3)는 외관상, 단일의 LSI이다. 집적회로(3)는 그 외에,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리컨피규러블 프로세서를 이용해서 구성되어도 좋다. FPGA는 제조 후에 프로그램 가능한 LSI이다. 리컨피규러블 프로세서는 내부의 회로 셀간의 접속 및 각 회로 셀의 설정을 재구성 가능한 LSI이다.
<집적회로(3)를 이용한 재생장치(102)의 재생처리>
도 71은 집적회로(3)를 이용한 재생장치(102)에 의한 재생처리의 플로차트이다. 그 재생처리는 광 디스크가 디스크 드라이버에 삽입되는 등, 매체 IF부(1)가 매체 ME에 데이터 수신 가능하게 접속된 때에 개시된다. 그 재생처리에서는 재생장치(102)는 매체 ME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복호한다. 그 후, 재생장치(102)는 복호 후의 데이터를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로 출력한다.
스텝 S1:매체 IF부(1)가 매체 ME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판독해서 스트림 처리부(5)에 전송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2로 진행된다.
스텝 S2:스트림 처리부(5)는 스텝 S1에서 수신되거나, 또는 판독된 데이터를 영상계 데이터와 음성계 데이터로 분리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3로 진행된다.
스텝 S3:신호 처리부(7)는 스텝 S2에서 스트림 처리부(5)에 의해서 분리된 각 데이터를 그 부호화방식에 적합한 방법으로 복호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4로 진행된다.
스텝 S4:AV 출력부(8)는 스텝 S3에서 신호 처리부(7)에 의해서 복호된 영상계 데이터에 대하여 중첩처리를 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5로 진행된다.
스텝 S5:AV 출력부(8)는 스텝 S2-4에서 처리된 영상계 데이터 및 음성계 데이터를 출력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6으로 진행된다.
스텝 S6:주 제어부(6)가 재생처리를 속행해야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매체 IF부(1)에 의해서 매체 ME에서 새롭게 수신되어야 하거나, 또는 판독되어야 할 데이터가 남아 있는 등의 경우는 스텝 S1에서 처리가 반복된다. 한편, 광 디스크가 디스크 드라이버에서 인출되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재생정지가 지시되는 등에 의해서 매체 IF부(1)가 매체 ME로부터의 데이터 수신 또는 판독을 종료시킨 때, 처리는 종료한다.
도 72는 도 71에 도시된 각 스텝 S1-6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72에 도시된 각 스텝 S101-110는 주 제어부(6)의 제어하에서 이루어진다. 스텝 S101는 주로 스텝 S1의 상세에 상당하고, 스텝 S102-104는 주로 스텝 S2의 상세에 상당하며, 스텝 S105는 주로 스텝 S3의 상세에 상당하고, 스텝 S106-108은 주로 스텝 S4의 상세에 상당하며, 스텝 S109, S110는 주로 스텝 S5의 상세에 상당한다.
스텝 S101:디바이스 스트림 IF부(51)는 매체 IF부(1)를 통해서 매체 ME로부터 재생 대상의 데이터보다 먼저 그 데이터의 재생에 필요한 데이터, 예를 들어 플레이리스트 파일 및 클립정보파일을 수신하거나 또는 판독한다. 디바이스 스트림 IF부(51)는 메모리 제어부(9)를 통해서 그 데이터를 메모리부(2)에 더 저장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102로 진행된다.
스텝 S102:주 제어부(6)는 클립정보파일에 포함되는 스트림 속성정보로부터 매체 ME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의 부호화방식을 식별한다. 주 제어부(6)는 식별된 부호화방식에 대응하는 복호처리를 실행할 수 있도록 신호 처리부(7)의 초기화를 실시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103로 진행된다.
스텝 S103:디바이스 스트림 IF부(51)는 매체 IF부(1)를 통해서 매체 ME로부터 재생대상의 영상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판독한다. 특히, 이러한 데이터는 익스텐트 단위로 수신되거나 또는 판독된다. 디바이스 스트림 IF부(51)는 이러한 데이터를 전환부(53)와 메모리 제어부(9)를 경유하여 메모리부(2)에 저장한다. 특히, 베이스 뷰 스트림이 수신되거나 또는 판독된 때, 주 제어부(6)는 전환부(53)를 제어하여 그 스트림의 저장 처를 메모리부(2) 내의 제 1 영역으로 전환시킨다. 한편, 디펜던트 뷰 스트림이 수신되거나 또는 판독된 때, 주 제어부(6)는 전환부(53)를 제어하여 그 스트림의 저장 처를 메모리부(2) 내의 제 2 영역으로 전환시킨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104로 진행된다.
스텝 S104:메모리부(2)에 저장된 스트림은 스트림 처리부(5) 내의 다중 분리부(52)에 전송된다. 다중 분리부(52)는 먼저, 그 스트림을 구성하는 각 소스 패킷에서 PID를 판독한다. 다중 분리부(52)는 다음에, 그 PID에 따라서 그 소스 패킷에 포함되는 TS 패킷이 영상계 데이터와 음성계 데이터의 어느 것인지를 식별한다.다중 분리부(52)는 식별 결과에 따라서 각 TS패킷을 신호 처리부(7) 내의 대응하는 디코더에 전송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105로 진행된다.
스텝 S105:신호 처리부(7) 내에서는 각 디코더가 전송된 TS 패킷을 적절한 방법으로 복호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106로 진행된다.
스텝 S106:신호 처리부(7)에서 복호된 레프트 뷰 비디오 스트림 및 라이트 뷰 비디오 스트림의 각 픽처가 비디오 출력 포맷 변환부(82)에 보내진다. 비디오 출력 포맷 변환부(82)는 이러한 픽처를 표시장치(103)의 해상도에 맞춰서 리사이즈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107로 진행된다.
스텝 S107:화상 중첩부(81)는 스텝 S106에서 리사이즈된 픽처로 이루어지는 비디오 플레인 데이터를 비디오 출력 포맷 변환부(82)에서 수신한다. 한편, 화상 중첩부(81)는 신호 처리부(7)로부터 복호 후의 PG 플레인 데이터와 IG 플레인 데이터를 수신한다. 화상 중첩부(81)는 이들 플레인 데이터를 중첩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108로 진행된다.
스텝 S108:비디오 출력 포맷 변환부(82)는 스텝 S107에서 중첩된 플레인 데이터를 화상 중첩부(81)에서 수신한다. 비디오 출력 포맷 변환부(82)는 그 플레인 데이터에 대하여 IP 변환을 실시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109로 진행된다.
스텝 S109:오디오·비디오 출력 IF부(83)는 비디오 출력 포맷 변환부(82)에서는 스텝 S108에서 IP 변환을 수신한 영상계 데이터를 수신하고, 신호 처리부(7)에서는 복호 후의 음성계 데이터를 수신한다. 오디오·비디오 출력 IF부(83)는 이들 데이터에 대하여 표시장치(103)/스피커(103A)에 의한 데이터 출력방식, 또는 각각으로의 데이터 송신방식에 따라서 부호화 처리 및 D/A 변환 등을 실시한다. 이에 의해 영상계 데이터와 음성계 데이터는 각각 아날로그 출력형식 또는 디지털 출력형식으로 변환된다. 예를 들어, 아날로그 출력형식의 영상계 데이터에는 콤퍼지트(cmposite) 영상신호, S영상신호 및 컴포넌트 영상신호 등이 포함된다. 또, 디지털 출력형식의 영상계 데이터/음성계 데이터에는 HDMI 등이 포함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110로 진행된다.
스텝 S110:오디오·비디오 출력 IF부(83)는 스텝 S109에서 처리된 영상계 데이터 및 음성계 데이터를 표시장치(103)/스피커(103A)에 송신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6로 진행된다. 또, 스텝 S6에 대해서는 상기의 설명을 원용한다.
상기의 각 스텝에서는 데이터가 처리될 때마다, 그 결과가 메모리부(2)에 일시적으로 저장되어도 좋다. 또, 스텝 S106 및 S108에서의 비디오 출력 포맷 변환부(82)에 의한 리사이즈 처리 및 IP 변환처리는 필요에 따라서 생략되어도 좋다. 또, 이러한 처리에 더하거나 또는 이러한 처리에 대신하여 노이즈 축소처리 및 프레임 레이트 변환처리 등, 다른 처리가 이루어져도 좋다. 또, 가능한 것에 대해서는 처리순서가 변경되어도 좋다.
<보충>
≪3D 영상의 재생방법의 원리≫
3D 영상의 재생방법은 홀로그래피(holography) 기술을 이용하는 방법과 시차 영상을 이용하는 방법의 2개로 대별된다.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하는 방법의 특징은 현실의 입체적인 물체에서 인간의 시각에 부여되는 광학적인 정보와 거의 완전히 동일한 정보를 시청자의 시각에 부여함으로써 그 시청자에게 영상 중의 물체를 입체적으로 보이게 하는 점에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을 동화상 표시에 이용하는 기술은 이론상 확립되어 있다. 그러나, 그 동화상 표시에 필요한 방대한 연산을 실시간으로 처리 가능한 컴퓨터 및 1mm 당 수천 개라고 하는 초고해상도의 표시장치는 모두 현재의 기술에서는 아직 실현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이 방법을 상업용으로 실용화하는 목표는 현시점에서는 거의 확립되어 있지 않다.
「시차 영상」은 하나의 씬을 보는 시청자의 각 눈에 비치는 2D 영상의 쌍, 즉,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의 쌍을 말한다. 시차 영상을 이용하는 방법의 특징은 하나의 씬의 레프트 뷰와 라이트 뷰를 시청자의 각 눈에만 보이도록 재생함으로써 그 시청자에게 그 씬을 입체적으로 보이게 하는 점에 있다.
도 73 (a)-(c)는 시차 영상을 이용하는 방법에 의한 3D 영상(입체 시 영상)의 재생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73 (a)는 시청자(6501)가 얼굴의 정면에 놓인 입방체(6502)를 보고 있는 광경의 상면도이다. 도 73 (b), (c)는 각각, 그때에 시청자(6501)의 왼쪽 눈(6501L), 오른쪽 눈(6501R)에 보이는 입방체(6502)의 외관을 2D 영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3 (b), (c)를 비교하면 명백한 바와 같이, 각 눈에 보이는 입방체(6502)의 외관은 조금 다르다. 이 외관의 차, 즉 양 눈 시차로부터 시청자(6501)는 입방체(6502)를 입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시차 영상을 이용하는 방법에서는, 먼저 하나의 씬, 예를 들어 도 73 (a)에 도시된 입방체(6502)에 대하여 시점이 다른 좌우의 2D 영상, 예를 들어 도 73 (b)에 도시된 입방체(6502)의 레프트 뷰 및 도 73 (c)에 도시된 그 라이트 뷰를 준비한다. 여기서, 각 시점의 위치는 시청자(6501)의 양 눈 시차에서 결정된다. 다음에, 각 2D 영상을 시청자(6501)의 각각의 눈에만 보이도록 재생한다. 이에 의해 시청자(6501)에게는 화면에 재생되는 그 씬, 즉, 입방체(6502)의 영상이 입체적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시차 영상을 이용하는 방법은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하는 방법과는 달리 단지 두 개의 시점에서 보이는 2D 영상을 준비하는 것만으로도 좋은 점에서 유리하다.
시차 영상을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그것을 구체화하기 위한 방식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좌우의 2D 영상을 시청자의 각각의 눈에 어떻게 보이게 하는가 하는 관점에서 경시분리방식, 렌티큘러 렌즈를 이용하는 방식 및 2색 분리방식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계시 분리방식에서는 화면에 좌우의 2D 영상을 일정시간씩 교호로 표시한다. 한편, 시청자에게 셔터안경을 통해서 화면을 관찰시킨다. 여기서, 셔터안경은 각 렌즈가 예를 들어 액정패널로 형성되어 있다. 각 렌즈는 화면상의 2D 영상의 전환에 동기하여 교호로 광을 그 전체에서 동일하게 투과시키거나 또는 차단한다. 즉, 각 렌즈는 시청자의 눈을 주기적으로 덮는 셔터로 기능한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화면상에 좌영상이 표시되는 기간에서는 셔터안경은 좌측의 렌즈에는 광을 투과시키고, 우측의 렌즈에는 광을 차단시킨다. 역으로, 화면상에 우영상이 표시되어 있는 기간에서는 셔터안경은 우측의 렌즈에는 광을 투과시키고, 좌측의 렌즈에는 광을 차단시킨다. 이에 의해 시청자의 눈에는 좌우의 영상의 잔상이 중첩되어서 하나의 3D 영상으로 보인다.
경시분리방식에서는 상기와 같이 좌우의 영상을 일정 주기로 교호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2D 영상의 재생에서 1초당 24매의 영상 프레임이 표시될 때, 3D 영상의 재생에서는 좌우의 영상을 맞춰서 1초당 48매의 영상 프레임이 표시된다. 따라서, 이 방식에는 화면의 재기록을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는 표시장치가 매우 적합하다.
렌티큘러 렌즈를 이용하는 방식에서는 좌우의 각 영상 프레임을 종 방향으로 가늘고 긴 종이형상의 소 영역으로 분할하고, 하나의 화면 안에 좌우의 영상 프레임의 각 소 영역을 횡 방향으로 교호로 나열해서 동시에 표시한다. 여기서, 화면의 표면은 렌티큘러 렌즈로 덮여 있다. 렌티큘러 렌즈는 가늘고 긴 볼록렌즈를 복수 평행하게 나열하여 한 장의 시트형상으로 한 것이다. 각 볼록렌즈는 화면의 표면을 종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렌티큘러 렌즈를 통해서 상기 좌우의 영상 프레임을 시청자에게 보이게 할 때, 좌영상 프레임의 표시 영역으로부터의 광은 시청자의 왼쪽 눈에만 결상하고, 우영상 프레임의 표시 영역으로부터의 광은 오른쪽 눈에만 결상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좌우의 눈에 비치는 영상 간에서의 양 눈 시차에 의해 시청자에게는 3D 영상이 보인다. 또, 이 방식에서는 렌티큘러 렌즈에 대신하여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액정소자 등의 다른 광학 부품이 이용되어도 좋다. 그 외에, 예를 들어 좌영상 프레임의 표시 영역에는 종 편광의 필터를 설치하고, 우영상 프레임의 표시 영역에는 횡 편광의 필터를 설치해도 좋다. 이때, 시청자에게는 편광 안경을 통해서 화면을 보게 한다. 여기서, 그 편광 안경에서는 좌측의 렌즈에 종 편광 필터가 설치되고, 또한 우측의 렌즈에 횡 편광 필터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좌우의 영상이 시청자의 각각의 눈에만 보이므로 시청자에게 3D 영상을 보이게 할 수 있다.
시차 영상을 이용하는 방법에서는 3D 영상 콘텐츠가 처음부터 좌우의 영상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외에, 2D 영상과 깊이 맵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그 2D 영상은 재생 대상의 3D 영상에서 가상적인 2D 화면으로의 투영을 나타내고, 깊이 맵은 그 2D 화면에 대한 그 3D 영상의 각 부의 깊이를 화소별로 나타낸다. 3D 영상 콘텐츠가 2D 영상과 깊이 맵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을 때, 3D 재생장치 또는 표시장치는 먼저, 이들 조합으로부터 좌우의 영상을 구성하고, 다음에 이들 영상으로부터 상기의 방식의 어느 하나로 3D 영상을 재현한다.
도 74는 2D 영상(6601)과 깊이 맵(6602)의 조합으로부터 레프트 뷰(6603L)와 라이트 뷰(6603R)를 구성하는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4를 참조하면, 2D 영상(6601)에서는 배경(6612) 안에 원판(6611)이 표시되어 있다. 깊이 맵(6602)은 그 2D 영상(6601) 내의 각부의 깊이를 화소마다 나타낸다. 그 깊이 맵(6602)에 의하면, 2D 영상(6601) 중, 원판(6611)의 표시영역(6621)의 깊이가 화면보다 앞이며, 또한, 배경(6612)의 표시영역(6622)의 깊이가 화면보다 안쪽이다. 재생장치(102) 내에서는 시차 영상 생성부(6600)가 먼저, 깊이 맵(6602)이 나타내는 각 부의 깊이에서 2D 영상(6601) 내의 각부의 양 눈 시차를 계산한다. 시차 영상 생성부(6600)는 다음에, 2D 영상(6601) 내의 각부의 표시위치를 계산된 양 눈 시차에 따라서 좌우로 이동시켜서 레프트 뷰(6603L)와 라이트 뷰(6603R)를 구성한다. 도 74에 도시된 예에서는 시차 영상 생성부(6600)는 2D 영상(6601) 내의 원판(6611)의 표시 위치에 대하여, 레프트 뷰(6603L) 내의 원판(6631L)의 표시 위치를 그 양 눈 시차의 절반(S1)만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라이트 뷰(6603R) 내의 원판(6631R)의 표시 위치를 그 양 눈 시차의 절반(S1)만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시청자에게는 원판(6611)이 화면보다 앞으로 보인다. 한편, 시차 영상 생성부(6600)는 2D 영상(6601) 내의 배경(6612)의 표시 위치에 대하여, 레프트 뷰(6603L) 내의 배경(6632L)의 표시 위치를 그 양 눈 시차의 절반(S2)만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라이트 뷰(6603R) 내의 배경(6632R)의 표시 위치를 그 양 눈 시차의 절반(S2)만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시청자에게는 배경(6612)이 화면보다도 안쪽으로 보인다.
시차 영상을 이용하는 방법에 의한 3D 영상의 재생 시스템은 영화관 및 유원지의 어트랙션 등에서 이용되는 것에 대해서는 이미 확립되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 방법은 3D 영상을 재생 가능한 홈시어터 시스템의 실용화에도 유효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시차 영상을 이용하는 방법 중, 계시 분리방식 또는 편광 안경을 이용한 방식을 상정한다. 단, 본 발명은 이러한 방식과는 다른 방식에 대해서도 그것들이 시차 영상을 이용하고 있는 한 적용 가능하다. 이는, 상기의 실시 예의 설명에서부터 당업자에게는 명백하다.
≪방송, 통신회로를 경유한 데이터 배신(配信)≫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의한 기록매체는 광 디스크 외에, 예를 들어 SD 메모리 카드를 포함하는 휴대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 등, 패키지 미디어로 이용가능한 리무버블 미디어 전반을 포함한다. 또, 실시 예 1의 설명에서는 미리 데이터가 기록된 광 디스크, 즉, BD-ROM 또는 DVD-ROM 등의 기존의 판독전용의 광 디스크를 예로 들 수 있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방송에서 또는 네트워크 경유로 배신된 3D 영상의 콘텐츠를 단말장치에 의해서 BD-RE 또는 DVD-RAM 등의 기존의 기록가능한 광 디스크에 기록할 때, 실시 예 1에 의한 익스텐트의 배치가 이용되어도 좋다. 여기서, 그 단말장치는 재생장치에 포함되어 있어도 좋고, 재생장치와는 다른 장치라도 좋다.
≪반도체 메모리 카드의 재생≫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의한 기록매체로 광 디스크에 대신하여 반도체 메모리 카드를 이용한 때의 재생장치의 데이터 판독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재생장치 중, 광 디스크에서 데이터를 판독하는 부분은, 예를 들어 광 디스크 드라이브에 의해서 구성된다. 이에 대하여, 반도체 메모리 카드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부분은 전용의 인터페이스(I/F)로 구성된다. 더 상세하게는, 재생장치에 카드 슬롯이 설치되고, 그 내부에 상기의 I/F가 실장된다. 그 카드 슬롯에 반도체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면, 그 I/F를 통해서 그 반도체 메모리 카드가 재생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반도체 메모리 카드로부터 데이터가 그 I/F를 통해서 재생장치에 판독된다.
≪BD-ROM 디스크 상의 데이터에 대한 저작권 보호기술≫
여기서, 이후의 보충사항의 전제로 BD-ROM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BD-ROM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의 일부가, 예를 들어 저작권의 보호 또는 데이터의 은닉성의 향상의 관점에서 암호화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그 암호화 데이터는 예를 들어, 비디오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 또는 그 외의 스트림을 포함한다. 그 경우, 암호화 데이터는 이하와 같이 해독된다.
재생장치에는 미리, BD-ROM 디스크 상의 암호화 데이터를 해독하기 위한 「키」의 생성에 필요한 데이터의 일부, 즉 디바이스 키가 기억되어 있다. 한편, BD-ROM 디스크에는 그 「키」의 생성에 필요한 데이터의 다른 일부, 즉 MKB(미디어 키 블록)와 그 「키」자체의 암호화 데이터, 즉 암호화 타이틀 키가 기록되어 있다. 디바이스 키, MKB 및 암호화 타이틀 키는 서로 대응되며,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BD-ROM 디스크(101) 상의 BCA(201)에 기록된 특정의 ID, 즉 볼륨 ID에도 대응된다. 디바이스 키, MKB, 암호화 타이틀 키 및 볼륨 ID의 조합이 정당하지 않으면 암호화 데이터의 해독은 할 수 없다. 즉, 이러한 조합이 정당한 경우에만 상기의 「키」, 즉 타이틀 키가 생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디바이스 키, MKB 및 볼륨 ID를 이용하여 암호화 타이틀 키가 복호된다. 이에 의해 타이틀 키를 도출할 수 있을 때에만 그 타이틀 키를 상기의 「키」로 이용하여 암호화 데이터를 해독할 수 있다.
BD-ROM 디스크 상의 암호화 데이터를 재생장치에 의해서 재생하려고 하더라도, 예를 들어 그 BD-ROM 디스크 상의 암호화 타이틀 키, MKB 및 볼륨 ID에 미리 대응된 디바이스 키가 그 재생장치 내에 기억되어 있지 않으면, 그 암호화 데이터를 재생할 수 없다. 왜냐하면, 그 암호화 데이터의 해독에 필요한 키, 즉 타이틀 키는 MKB, 디바이스 키 및 볼륨 ID의 정당한 조합으로 암호화 타이틀 키를 복호하지 않으면 도출할 수 없기 때문이다.
BD-ROM 디스크에 기록되어야 할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먼저, 보호대상의 스트림을 타이틀 키로 암호화하고, BD-ROM 디스크에 기록한다. 다음에, MKB, 디바이스 키 및 볼륨 ID의 조합으로부터 키를 생성하고, 그 키로 상기의 타이틀 키를 암호화하여 암호화 타이틀 키로 변환한다. 또, MKB, 볼륨 ID 및 암호화 타이틀 키를 BD-ROM 디스크에 기록한다. 그 BD-ROM 디스크에서는 상술한 키의 생성에 이용된 디바이스 키를 구비한 재생장치로 밖에 암호화된 비디오 스트림 및/또는 오디오 스트림을 디코더로 복호할 수 없다. 이렇게 하여, BD-ROM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의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BD-ROM 디스크에서의 데이터의 저작권 보호의 구조는 BD-ROM 디스크 이외에도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판독기입 가능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특히 SD 카드등의 휴대성 반도체 메모리 카드에도 적용 가능하다.
≪전자배신을 이용한 기록매체로의 데이터 기록≫
전자배신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의한 재생장치에 3D 영상의 AV 스트림 파일 등의 데이터(이하, 배신 데이터라고 한다.)를 전달하고, 또 그 재생장치에 그 배신 데이터를 반도체 메모리 카드에 기록하게 하는 처리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또, 이하의 동작은 상기의 재생장치에 대신하여 그 처리에 특화한 단말장치에 의해서 행해져도 좋다. 또, 기록 처의 반도체 메모리 카드가 SD 메모리 카드인 경우를 상정한다.
재생장치는 상기와 같이 카드 슬롯을 구비하고 있다. 그 카드 슬롯에는 SD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재생장치는, 먼저 네트워크상의 배신 서버에 배신 데이터의 송신요구를 송출한다. 이때, 재생장치는 SD 메모리 카드로부터 그 식별정보를 판독하고, 그 식별정보를 송신요구와 함께 배신 서버에 송출한다. SD 메모리 카드의 식별정보는, 예를 들어 그 SD 메모리 카드 고유의 식별번호, 더 구체적으로는 그 SD 메모리 카드의 일련번호이다. 이 식별정보는 상술한 볼륨 ID로 이용된다.
배신 서버에는 배신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그 배신 데이터 중, 비디오 스트림 및/또는 오디오 스트림 등, 암호화에 의한 보호가 필요한 데이터는 소정의 타이틀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되고 있다. 그 암호화 데이터는 동일한 타이틀 키로 복호가 가능하다.
배신 서버는 재생장치와 공통의 비밀키로 디바이스 키를 보유하고 있다. 배신 서버는 SD 메모리 카드와 공통의 MKB를 보유하고 있다. 배신 서버는 재생장치에서 배신 데이터의 송신 요구와 SD 메모리 카드의 식별정보를 접수한 때, 먼저, 디바이스 키, MKB 및 그 식별정보로부터 키를 생성하고, 그 키로 타이틀 키를 암호화하여 암호화 타이틀 키를 생성한다.
배신 서버는 다음에 공개키 정보를 생성한다. 그 공개키 정보는 예를 들어, 상술한 MKB, 암호화 타이틀 키, 서명 정보, SD 메모리 카드의 식별번호 및 디바이스 리스트를 포함한다. 서명 정보는, 예를 들어 공개키 정보의 해시값을 포함한다. 디바이스 리스트는 무효로 할 디바이스, 즉 배신 데이터 내의 암호화 데이터를 부정하게 재생할 위험성이 있는 디바이스의 리스트이다.
이 리스트에는, 예를 들어 재생장치의 디바이스 키, 재생장치의 식별번호, 재생장치에 내장된 디코더 등, 각종 부품의 식별번호, 또는 기능(프로그램)이 특정되어 있다.
배신 서버는 배신 데이터와 공개키 정보를 재생장치에 송출한다. 재생장치는, 그것들을 수신하여 카드 슬롯 내의 전용 I/F를 통해서 SD 메모리 카드에 기록한다.
SD 메모리 카드에 기록된 배신 데이터 중, 암호화 데이터는 예를 들어 공개키 정보를 이하와 같이 이용하여 복호된다. 먼저, 공개키 정보의 인증으로 다음의 3종류의 체크 (1)-(3)가 이루어진다. 또, 이것들은 어떠한 순서로 이루어져도 좋다.
(1) 공개키 정보에 포함되는 SD 메모리 카드의 식별정보가 카드 슬롯에 삽입되어 있는 SD 메모리 카드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번호와 일치하는가 여부.
(2) 공개키 정보에서 산출되는 해시값이 서명 정보에 포함되는 해시값과 일치하는가 여부.
(3) 공개키 정보가 나타내는 디바이스 리스트에서 당해 재생장치가 제외되어 있는가 여부. 구체적으로는 디바이스 리스트에서 당해 재생장치의 디바이스 키가 제외되어 있는가 여부.
상술한 체크 (1)-(3)의 어느 하나의 결과가 부정적일 때, 재생장치는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 처리를 중지한다. 역으로, 상술한 체크 (1)-(3)의 모든 결과가 긍정적일 때에는 재생장치는 공개키 정보의 정당성을 인정하고, 디바이스 키, MKB 및 SD 메모리 카드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공개키 정보 내의 암호화 타이틀 키를 타이틀 키로 복호한다. 재생장치는 그 타이틀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 데이터를, 예를 들어 비디오 스트림 및/또는 오디오 스트림으로 복호한다.
이상의 구조에는 다음의 이점이 있다. 전자 배신시에 이미 부정사용의 위험성이 있는 재생장치, 부품 및 기능(프로그램) 등이 알려져 있는 경우, 이들 식별정보가 디바이스 리스트에 열거되어 공개키 정보의 일부로 배신된다. 한편, 배신 데이터를 요구한 재생장치는 반드시 그 디바이스 리스트 내의 식별정보를 그 재생장치 및 그 부품 등의 식별정보와 비교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에 의해 그 재생장치 또는 그 부품 등이 디바이스 리스트에 표시되어 있으면, 비록, SD 메모리 카드의 식별번호, MKB, 암호화 타이틀 키 및 디바이스 키의 구조가 정당하더라도 그 재생장치는 공개 키 정보를 배신 데이터 내의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에는 이용할 수 없다. 이렇게 하여, 배신 데이터의 부정사용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반도체 메모리 카드의 식별정보는 반도체 메모리 카드 내의 기록영역 중, 특히 비닉성(秘匿性)이 높은 기록영역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만일 그 식별정보, 예를 들어 SD 메모리 카드에서는 그 일련번호가 부정하게 개찬된 경우, SD 메모리 카드의 위법 카피가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즉, 그 개찬의 결과, 동일한 식별정보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카드가 복수 존재하게 되면, 상술한 체크(1)에서는 정규품과 위법한 복제품과의 식별을 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반도체 메모리 카드의 식별정보는 비닉성이 높은 기록영역에 기록하여 부정한 개찬으로부터 보호되지 않으면 안 된다.
반도체 메모리 카드 내에 이와 같은 비닉성이 높은 기록영역을 구성하는 수단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먼저, 통상의 데이터용의 기록영역(이하, 제 1 기록영역이라고 한다)에서 전기적으로 분리된 다른 기록영역(이하, 제 2 기록영역이라고 한다)이 설치된다. 다음에, 제 2 기록영역으로의 액세스 전용의 제어회로가 반도체 메모리 카드 내에 설치된다. 이에 의해 제 2 기록영역에는 그 제어회로를 통해서만 액세스가 가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 2 기록영역에는 암호화된 데이터만이 기록되고, 그 암호화 된 데이터를 복호하기 위한 회로가 제어회로 내에 포함된다. 이에 의해 제 2 기록영역 내의 데이터로의 액세스는 그 데이터를 제어회로에 복호 시키지 않으면 불가능하다. 그 외에, 제 2 기록영역 내의 각 데이터의 어드레스를 제어회로에게만 보유시켜도 좋다. 그 경우, 제 2 기록영역 내의 데이터의 어드레스는 제어회로밖에 특정할 수 없다.
반도체 메모리 카드의 식별정보가 제 2 기록영역에 기록된 경우, 재생장치상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전자 배신을 이용하여 배신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취득하여 반도체 메모리 카드에 기록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처리를 한다. 먼저, 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메모리 카드 I/F를 통해서 상기의 제어회로에 대하여 제 2 기록영역에 기록된 반도체 메모리 카드의 식별정보로의 액세스 요구를 발행한다. 제어회로는 그 요구에 따라서, 먼저 제 2 기록영역으로부터 그 식별정보를 판독한다. 제어회로는 다음에 메모리 카드 I/F를 통해서 상기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그 식별정보를 보낸다. 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그 후, 그 식별정보와 함께 배신 데이터의 송신 요구를 배신 서버에 송출한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그 요구에 따라서 배신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공개 키 정보와 배신 데이터를 메모리 카드 I/F를 통해서 반도체 메모리 카드 내의 제 1 기록영역에 더 기록한다.
또, 상기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반도체 메모리 카드 내의 제어회로에 대하여 상기의 액세스 요구를 발행하기 전에 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자체의 개찬(改竄)의 유무를 체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체크에는 예를 들어 X.509에 준거한 디지털 증명서가 이용되어도 좋다. 또, 배신 데이터는 상기와 같이, 반도체 메모리 카드 내의 제 1 기록영역에 기록되면 좋고, 그 배신 데이터로의 액세스는 반도체 메모리 카드 내의 제어회로에 의해서 제어되지 않아도 좋다.
≪실시간 리코딩에의 적용≫
본 발명의 실시 예 2에서는 AV 스트림 파일 및 플레이리스트 파일은 편집 시스템에 있어서의 프리 리코딩 기술에 의해 BD-ROM 디스크에 기록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것을 전제로 하였다. 그러나, AV 스트림 파일 및 플레이리스트 파일은 실시간 리코딩에 의해서 BD-RE 디스크, BD-R 디스크, 하드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카드 등의 기입 가능한 기록매체(이하, BD-RE 디스크 등이라고 한다.)에 기록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되어도 좋다. 이 경우, AV 스트림 파일은 아날로그 입력신호를 기록장치가 실시간으로 복호함으로써 얻어진 트랜스포토 스트림이라도 좋다. 그 외에, 기록장치가 디지털 입력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세분화함으로써 얻어지는 트랜스포토 스트림이라도 좋다.
실시간 리코딩을 실행하는 기록장치는 비디오 인코더, 오디오 인코더, 멀티플렉서 및 소스 패킷다이저를 포함한다. 비디오 인코더는 비디오 신호를 부호화하여 비디오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오디오 인코더는 오디오 신호를 부호화하여 오디오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멀티플렉서는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을 다중화하여 MPEG2-TS 형식의 디지털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소스 패킷다이저는 MPEG2-TS 형식의 디지털 스트림 내의 TS 패킷을 소스 패킷으로 변환한다. 기록장치는 각 소스 패킷을 AV 스트림 파일에 저장하고, BD-RE 디스크 등에 기록한다.
AV 스트림 파일의 기입 처리와 병행하여 기록장치의 제어부(202)는 클립정보파일과 플레이리스트 파일을 메모리 상에서 생성하여 BD-RE 디스크 등에 기록한다.구체적으로는 사용자에 의해서 녹화처리가 요구된 때, 제어부는 먼저, AV 스트림 파일에 맞춰서 클립정보파일을 생성하여 BD-RE 디스크 등에 기록한다. 그 경우, 외부에서 수신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비디오 스트림 내의 하나의 GOP의 선두가 검출될 때마다, 또는 비디오 인코더에 의해서 비디오 스트림 내의 하나의 GOP가 생성될 때마다 제어부는 그 GOP의 선두에 위치하는 I 픽처의 PTS와, 그 GOP의 선두가 저장된 소스 패킷의 SPN를 취득한다. 제어부는 그 PTS와 SPN의 쌍을 하나의 엔트리 포인트로 클립정보파일의 엔트리 맵에 추기(追記)한다. 여기서, 그 엔트리 포인트에는 「is_angle_change 플래그」가 추가된다. is_angle_change 플래그는 그 GOP의 선두가 IDR 픽처일 때에는“온”으로 설정되고, 그 GOP의 선두가 IDR 픽처가 아닐 때에는“오프”로 설정된다. 클립정보파일 내에는 스트림 속성정보가 기록대상의 스트림의 속성에 따라서 설정된다. 이렇게 하여, AV 스트림 파일과 클립정보파일이 BD-RE 디스크 등에 기록된 후, 제어부는 그 클립정보파일 내의 엔트리 맵을 이용하여 플레이리스트 파일을 생성하고, BD-RE 디스크 등에 기록한다.
≪매니지드 카피(managed copy)≫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의한 재생장치는 매니지드 카피에 의해서 BD-ROM 디스크(101) 상의 디지털 스트림을 다른 기록매체에 기록하여도 좋다. 「매니지드 카피」는 BD-ROM 디스크 등의 판독전용 기록매체에서 기록가능한 기록매체에 디지털 스트림, 플레이리스트 파일, 클립정보파일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카피하는 것을 서버와의 통신에 의한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만 허가하기 위한 기술을 말한다. 그 기록가능한 기록매체는 BD-R, BD-RE, DVD-R, DVD-RW 및 DVD-RAM 등의 기록가능한 광 디스크, 하드디스크 및, SD 메모리 카드, 메모리 스틱(등록상표), 컴팩트 플레시(등록상표), 스마트 미디어(등록상표) 및 멀티미디어 카드(등록상표) 등의 휴대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한다. 매니지드 카피는 판독전용 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의 백업 횟수의 제한 및 백업 처리에 대한 과금을 가능하게 한다.
BD-ROM 디스크에서 BD-R 디스크 또는 BD-RE 디스크로의 매니지드 카피가 이루어지는 경우, 양 디스크의 기록용량이 동일할 때에는 카피 원의 디스크에 기록된 비트 스트림이 그대로 차례로 카피되면 좋다.
매니지드 카피가 이종(異種)의 기록매체 간에서 이루어질 때에는 트랜스 코드(trans code)가 필요하다. 「트랜스 코드」란 카피 원의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디지털 스트림을 카피 처의 기록매체의 애플리케이션 포맷에 적합하게 하기 위한 처리를 말한다. 트랜스 코드는 예를 들어, MPEG2-TS 형식에서 MPEG2 프로그램 스트림 형식으로 변환하는 처리 및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의 각각에 할당되어 있는 비트 레이트를 낮게 하여 다시 부호화하는 처리를 포함한다. 트랜스 코드에서는 상술한 실시간 리코딩에 의해서 AV 스트림 파일, 클립정보파일 및 플레이리스트 파일이 생성되지 않으면 안 된다.
≪데이터구조의 기술방법≫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의한 데이터구조 중, 「소정형의 정보가 복수 존재한다」고 하는 반복 구조는 for문에 제어 변수의 초기치와 반복조건을 기술함으로써 정의된다. 또, 「소정의 조건이 성립할 때에 소정의 정보가 정의된다」라고 하는 데이터구조는 if문에 그 조건과, 그 조건의 성립시에 설정되어야 할 변수를 기술함으로써 정의된다. 이와 같이, 실시 예 1에 의한 데이터구조는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에 의해서 기술된다. 따라서, 그 데이터구조는 「구문분석」, 「최적화」,「자원할당」 및 「코드생성」이라는 컴파일러에 의한 번역 과정을 거쳐서 컴퓨터에 의해서 판독가능한 코드로 변환되어서 기록매체에 기록된다.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에서의 기술에 의해 그 데이터구조는 오브젝트 지향 언어에서의 클래스 구조체의 메소드 이외의 부분, 구체적으로는 그 클래스 구조체에서의 배열형의 멤버 변수로 취급되고, 프로그램의 일부를 이룬다. 즉, 그 데이터구조는 프로그램과 실질적으로 동등하다. 따라서, 그 데이터구조는 컴퓨터 관련의 발명으로 보호받아야 한다.
≪재생 프로그램에 의한 플레이리스트 파일, 클립정보파일의 관리≫
플레이리스트 파일과 AV 스트림 파일이 기록매체에 기록될 때, 그 기록매체에는 재생 프로그램이 실행 형식의 파일로 기록된다. 재생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플레이리스트 파일에 따라서 AV 스트림 파일을 재생시킨다. 재생 프로그램은 기록매체에서 컴퓨터 내의 메모리 장치에 로드된 후, 그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된다. 그 로드 처리는 컴파일 처리 또는 링크 처리를 포함한다. 이들 처리에 의해, 재생 프로그램은 메모리 장치 내에서는 복수의 섹션으로 분할된다. 이러한 섹션은 text 섹션, data 섹션, bss 섹션 및 stack 섹션을 포함한다. text 섹션은 재생 프로그램의 코드 열, 변수의 초기치 및 재기록 불가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data 섹션은 초기치를 갖는 변수 및 재기록 가능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data 섹션은 특히, 기록매체 상에 기록되고, 수시로 액세스 되는 파일을 포함한다. bss 섹션은 초기치를 갖지 않는 변수를 포함한다. bss 섹션 내의 데이터는 text 섹션 내의 코드가 나타내는 명령에 따라서 참조된다. 컴파일 처리 또는 링크 처리에서는 컴퓨터 내의 RAM에 bss 섹션용의 영역이 확보된다. stack 섹션은 필요에 따라서 일시적으로 확보되는 메모리 영역이다. 재생 프로그램에 의한 각 처리에서는 로컬 변수가 일시적으로 사용된다. stack 섹션은 이들 로컬 변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의 실행이 개시될 때, bss 섹션 내의 변수는 제로로 초기화되고, stack 섹션에는 필요한 메모리 영역이 확보된다.
플레이리스트 파일 및 클립정보파일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기록매체 상에서는 이미 컴퓨터에 의해서 판독가능한 코드로 변환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파일은 재생 프로그램의 실행시, text 섹션 내의 「재기록 불가의 데이터」, 또는 data 섹션 내의 「수시로 액세스 되는 파일」로 관리된다. 즉, 플레이리스트 파일 및 클립정보파일은 재생 프로그램의 실행시에 그 구성요소 내에 포함된다. 그러므로, 플레이리스트 파일 및 클립정보파일은 재생 프로그램에서 단순한 데이터의 제시를 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입체 시 영상의 재생기술에 관한 것으로, 상기와 같이 기록매체 상에 기록된 인터리브 배치의 데이터블록 군을 파일 SS와 파일 2D 또는 파일 DEP와 공유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명백하게 산업상 이용이 가능하다.
2101 제 1 3D 익스텐트 블록
2102 제 2 3D 익스텐트 블록
2110 파일 2D 의 파일 엔트리
2120 제 1 파일 SS의 파일 엔트리
LB 층 경계
D1, D2, D3, D4 깊이 맵 데이터블록
R1, R2, R3, R4 라이트 뷰 데이터블록
L1, L2, L4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
L32D  2D 재생전용블록
L3SS  3D 재생전용블록
EXT2D[0], EXT2D[1], EXT2D[2] 2D 익스텐트
EXTSS[0], EXTSS[1], EXTSS[2], EXTSS[3] 3D 익스텐트

Claims (9)

  1. 평면 시 영상의 재생에 이용되는 베이스 뷰 스트림(base-view stream) 및 상기 베이스 뷰 스트림과 조합되어서 입체 시 영상의 재생에 이용되는 디펜던트 뷰 스트림(dependent-view stream)이 기록된 기록매체로,
    평면 시 영상의 재생시에 상기 베이스 뷰 스트림을 참조하는 제 1 파일 및 입체 시 영상의 재생시에 상기 베이스 뷰 스트림을 참조하는 제 2 파일이 더 기록된 기록매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입체 시/평면 시 공용영역과, 입체 시 전용영역과, 평면 시 전용영역을 갖고,
    상기 입체 시/평면 시 공용영역은 입체 시 영상의 재생시와 평면 시 영상의 재생시의 양쪽에서 액세스 되는 영역이며,
    상기 입체 시 전용영역은 입체 시 영상의 재생시에 액세스 되는 영역이고,
    상기 평면 시 전용영역은 평면 시 영상의 재생시에 액세스 되는 영역이며,
    상기 베이스 뷰 스트림은 상기 입체 시/평면 시 공용영역과, 상기 입체 시 전용 용역과, 상기 평면 시 전용영역에 걸쳐서 기록되어 있고,
    상기 디펜던트 뷰 스트림은 상기 입체 시/평면 시 공용영역과 상기 입체 시 전용영역에 걸쳐서 기록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파일은 상기 베이스 뷰 스트림 중 상기 입체 시/평면 시 공용영역에 기록된 부분과 상기 평면 시 전용영역에 기록된 부분을 참조하고,
    상기 제 2 파일은 상기 베이스 뷰 스트림 중 상기 입체 시/평면 시 공용영역에 기록된 부분과 상기 입체 시 전용영역에 기록된 부분을 참조하는 기록매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뷰 스트림은 복수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으로 분할되어서 상기 기록매체 상에 배치되고,
    상기 디펜던트 뷰 스트림은 복수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으로 분할되어서 상기 기록매체 상에 배치되며,
    상기 입체 시/평면 시 공용영역은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과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이 교호로 배치되어서 기록된 연속영역이며,
    상기 입체 시 전용영역과 상기 평면 시 전용영역은 모두 상기 입체 시/평면 시 공용영역에 후속하는 연속영역이며,
    상기 입체 시 전용영역으로의 액세스는 입체 시 영상의 재생 중에 발생하는 롱 점프의 직전에 이루어지고,
    상기 입체 시 전용영역에는 상기 입체 시/평면 시 공용영역에 기록된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에 후속하는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과 상기 입체 시/평면 시 공용영역에 기록된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에 후속하는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이 교호로 배치되어서 기록되어 있으며,
    상기 평면 시 전용영역으로의 액세스는 평면 시 영상의 재생 중에 발생하는 롱 점프의 직전에 이루어지고,
    상기 평면 시 전용영역에는 상기 입체 시 전용영역에 기록된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의 복제가 기록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파일은 상기 입체 시/평면 시 공용영역에 기록된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과 상기 평면 시 전용영역에 기록된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을 참조하고,
    상기 제 2 파일은 상기 입체 시/평면 시 공용영역에 기록된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과 상기 입체 시 전용영역에 기록된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을 참조하는 기록매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파일은 상기 입체 시/평면 시 공용영역과 상기 입체 시 전용영역에 기록된 상기 베이스 뷰 스트림에서의 각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의 선두 패킷의 패킷 번호로 구성되는 기록매체.
  5. 평면 시 영상의 재생에 이용되는 베이스 뷰 스트림 및 상기 베이스 뷰 스트림과 조합되어서 입체 시 영상의 재생에 이용되는 디펜던트 뷰 스트림이 기록된 기록매체로,
    상기 베이스 뷰 스트림은 복수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으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 디펜던트 뷰 스트림은 복수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과 상기 복수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은 교호로 상기 기록매체 상에 배치되어 있고,
    평면 시 영상의 재생시에 상기 복수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을 참조하는 제 1 파일 및 입체 시 영상의 재생시에 교호로 배치된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과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을 일련의 데이터로서 참조하는 제 2 파일이 더 기록된 기록매체.
  6. 기록매체로부터 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재생장치로,
    상기 기록매체에는,
    평면 시 영상의 재생에 이용되는 베이스 뷰 스트림과,
    상기 베이스 뷰 스트림과 조합되어서 입체 시 영상의 재생에 이용되는 디펜던트 뷰 스트림과,
    평면 시 영상의 재생시에 상기 베이스 뷰 스트림을 참조하는 제 1 파일과,
    입체 시 영상의 재생시에 상기 베이스 뷰 스트림을 참조하는 제 2 파일이 기록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뷰 스트림은 복수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으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 디펜던트 뷰 스트림은 복수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과 상기 복수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은 교호로 상기 기록매체 상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재생장치는,
    평면 시 영상의 재생시에는 상기 복수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을 상기 기록매체에서 판독하고, 입체 시 영상의 재생시에는 상기 복수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과 상기 복수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이 교호로 배치된 데이터를 상기 기록매체에서 판독하는 판독부와,
    입체 시 영상의 재생시에 상기 판독부에 의해서 판독된 상기 복수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과 상기 복수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이 교호로 배치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베이스 뷰 스트림과 상기 디펜던트 뷰 스트림을 추출하는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에 의해서 추출된 상기 베이스 뷰 스트림을 저장하는 제 1 리드 버퍼와,
    상기 스위치부에 의해서 추출된 상기 디펜던트 뷰 스트림을 저장하는 제 2 리드 버퍼와,
    상기 제 1 리드 버퍼에서 상기 베이스 뷰 스트림을 판독해서 복호하고, 상기 제 2 리드 버퍼에서 상기 디펜던트 뷰 스트림을 판독해서 복호하는 복호부를 구비하고,
    상기 판독부는 평면 시 영상의 재생시에 상기 복수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을 상기 기록매체에서 판독할 때 상기 제 1 파일을 이용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입체 시 영상의 재생시에 상기 판독부에 의해서 판독된 상기 복수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과 상기 복수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이 교호로 배치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베이스 뷰 스트림을 추출할 때에 상기 제 2 파일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7. 기록매체로부터 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재생장치로,
    상기 기록매체에는,
    평면 시 영상의 재생에 이용되는 베이스 뷰 스트림 및 상기 베이스 뷰 스트림과 조합되어서 입체 시 영상의 재생에 이용되는 디펜던트 뷰 스트림이 기록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뷰 스트림은 복수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상기 디펜던트 뷰 스트림은 복수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으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과 상기 복수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은 교호로 상기 기록매체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평면 시 영상의 재생시에 상기 복수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을 참조하는 제 1 파일과,
    입체 시 영상의 재생시에 교호로 배치된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과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을 일련의 데이터로서 참조하는 제 2 파일이 상기 기록매체 상에 더 기록되어 있으며,
    상기 재생장치는,
    평면 시 영상의 재생시에는 상기 복수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을 상기 기록매체에서 판독하고, 입체 시 영상의 재생시에는 상기 복수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과 상기 복수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이 교대로 배치된 데이터를 상기 기록매체에서 판독하는 판독부와,
    입체 시 영상의 재생시에 상기 판독부에 의해서 판독된 상기 복수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과 상기 복수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이 교호로 배치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베이스 뷰 스트림과 상기 디펜던트 뷰 스트림을 추출하는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에 의해서 추출된 상기 베이스 뷰 스트림을 저장하는 제 1 리드 버퍼와,
    상기 스위치부에 의해서 추출된 상기 디펜던트 뷰 스트림을 저장하는 제 2 리드 버퍼와,
    상기 제 1 리드 버퍼에서 상기 베이스 뷰 스트림을 판독하여 복호하고, 상기 제 2 리드 버퍼에서 상기 디펜던트 뷰 스트림을 판독하여 복호하는 복호부를 구비하며,
    상기 판독부는,
    평면 시 영상의 재생시에 상기 복수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을 상기 기록매체에서 판독할 때에 상기 제 1 파일을 이용하고,
    입체 시 영상의 재생시에 상기 복수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과 상기 복수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이 교호로 배치된 데이터를 상기 기록매체에서 판독할 때에 상기 제 2 파일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8. 평면 시 영상의 재생에 이용되는 베이스 뷰 스트림과,
    상기 베이스 뷰 스트림과 조합되어서 입체 시 영상의 재생에 이용되는 디펜던트 뷰 스트림과,
    평면 시 영상의 재생시에 상기 베이스 뷰 스트림을 참조하는 제 1 파일과,
    입체 시 영상의 재생시에 상기 베이스 뷰 스트림을 참조하는 제 2 파일이 기록된 기록매체에서 수신한 데이터에 대하여 영상 및 음성 신호처리를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로,
    상기 베이스 뷰 스트림은 복수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으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 디펜던트 뷰 스트림은 복수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과 상기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이 교호로 상기 기록매체상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과 상기 복수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은 각각 영상계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과 상기 복수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음성계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반도체 집적회로는,
    상기 반도체 집적회로의 제어를 하는 주 제어부와,
    상기 복수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과 상기 복수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이 교호로 배치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반도체 집적회로의 내부 혹은 외부에 설치된 메모리에 일단 저장한 후, 상기 영상계 데이터와 상기 음성계 데이터로 다중 분리하는 스트림 처리부와,
    상기 음성계 데이터와 상기 영상계 데이터를 각각 복호하는 신호 처리부와,
    복호된 상기 영상계 데이터와 상기 음성계 데이터를 출력하는 AV 출력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스트림 처리부는 수신한 상기 데이터의 저장 처를 상기 메모리 내의 제 1 영역과 제 2 영역 사이에서 전환하는 전환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입체 시 영상의 재생시에 상기 주 제어부는 상기 전환부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에 속해 있는 데이터를 상기 제 1 영역에 저장시키고, 상기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에 속해 있는 데이터를 상기 제 2 영역에 저장시키며,
    상기 주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에 속해 있는 데이터를 상기 제 1 영역에 저장하도록 상기 전환부를 제어할 때에는 상기 제 2 파일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9. 평면 시 영상의 재생에 이용되는 베이스 뷰 스트림과,
    상기 베이스 뷰 스트림과 조합되어서 입체 시 영상의 재생에 이용되는 디펜던트 뷰 스트림과,
    평면 시 영상의 재생시에 이용되는 제 1 참조파일과,
    입체 시 영상의 재생시에 이용되는 제 2 참조파일이 기록된 기록매체에서 수신한 데이터에 대하여 영상 및 음성 신호처리를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로,
    상기 베이스 뷰 스트림은 복수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으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 디펜던트 뷰 스트림은 복수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과 상기 복수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이 교호로 상기 기록매체 상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참조파일은 평면 시 영상의 재생시에 상기 복수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을 참조하고,
    상기 제 2 참조파일은 입체 시 영상의 재생시에 교호로 배치된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과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을 일련의 데이터로서 참조하며,
    상기 복수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과 상기 복수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은 각각 영상계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과 상기 복수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음성계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반도체 집적회로는,
    상기 반도체 집적회로의 제어를 하는 주 제어부와,
    상기 복수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과 상기 복수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이 교호로 배치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반도체 집적회로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 메모리에 일단 저장한 후, 상기 영상계 데이터와 상기 음성계 데이터로 다중 분리하는 스트림 처리부와,
    상기 음성계 데이터와 상기 영상계 데이터를 각각 복호하는 신호 처리부와,
    복호된 상기 영상계 데이터와 상기 음성계 데이터를 출력하는 AV 출력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스트림 처리부는 수신한 상기 데이터의 저장 처를 상기 메모리 내의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의 사이에서 전환하는 전환부를 구비하고,
    입체 시 영상의 재생시에 상기 주 제어부는 상기 전환부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베이스 뷰 데이터블록에 속해 있는 데이터를 상기 전환부에 상기 제 1 영역에 저장시키고, 상기 복수의 디펜던트 뷰 데이터블록에 속해 있는 데이터를 상기 제 2 영역에 저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KR1020107016889A 2009-02-04 2010-02-02 기록매체, 재생장치 및 집적회로 KR201101227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24230 2009-02-04
JPJP-P-2009-024230 2009-02-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786A true KR20110122786A (ko) 2011-11-11

Family

ID=42541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6889A KR20110122786A (ko) 2009-02-04 2010-02-02 기록매체, 재생장치 및 집적회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110050847A1 (ko)
EP (1) EP2395771B1 (ko)
JP (3) JP4569935B2 (ko)
KR (1) KR20110122786A (ko)
CN (2) CN102740037A (ko)
BR (1) BRPI1001234A2 (ko)
ES (1) ES2472444T3 (ko)
MX (1) MX2010008146A (ko)
RU (1) RU2521288C2 (ko)
TW (1) TW201037696A (ko)
WO (1) WO20100899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44630A (ja) 2009-04-07 2010-10-28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データ構造
JP5594045B2 (ja) * 2010-10-14 2014-09-24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再生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TWI491244B (zh) * 2010-11-23 2015-07-01 Mstar Semiconductor Inc 調整物件三維深度的方法與裝置、以及偵測物件三維深度的方法與裝置
CN103202028A (zh) * 2011-03-11 2013-07-10 日立民用电子株式会社 记录装置/方法/介质、再现装置/方法
JP2012231370A (ja) * 2011-04-27 2012-11-22 Seiko Epson Corp 3d画像観賞用メガネ、及び、3d画像観賞用メガネの制御方法
US20140078256A1 (en) * 2011-12-28 2014-03-20 Panasonic Corporation Playback device, transmission device, playback method and transmission method
TWI533663B (zh) * 2012-01-17 2016-05-11 晨星半導體股份有限公司 立體影像處理裝置及立體影像處理方法
JP5991036B2 (ja) 2012-06-13 2016-09-1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受光素子および光学装置
TW201528775A (zh) 2014-01-02 2015-07-16 Ind Tech Res Inst 景深圖校正方法及系統
US20150253974A1 (en) 2014-03-07 2015-09-10 Sony Corporation Control of large screen display using wireless portable computer interfacing with display controller
US11062722B2 (en) 2018-01-05 2021-07-13 Summit Wireless Technologies, Inc. Stream adaptation for latency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71090B1 (en) * 1996-02-28 2013-12-11 Panasonic Corporation High-resolution optical disk for recording stereoscopic video, optical disk reproducing device and optical disk recording device
WO1998025413A1 (en) * 1996-12-04 1998-06-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c for high resolution and three-dimensional image recording, optical disc reproducing device, and optical disc recording device
EP1708487B1 (en) * 1997-08-29 2013-05-08 Panason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ding a high-resolution optical video disc
WO2003092303A1 (en) * 2002-04-25 2003-11-06 Sharp Kabushiki Kaisha Multimedia information generation method and multimedia information reproduction device
KR100619008B1 (ko) * 2003-09-23 2006-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앵글 데이터 구조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 그재생방법 및 장치
JP4638784B2 (ja) * 2005-07-19 2011-02-23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画像出力装置及びプログラム
RU2334369C1 (ru) * 2006-11-30 2008-09-20 Борис Иванович Волков Система стереотелевидения
JP4671053B2 (ja) * 2007-01-30 2011-04-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及び画像記録方法
US8471893B2 (en) * 2007-06-26 2013-06-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stereoscopic image bitstream using block interleaved method
JP2009135686A (ja) * 2007-11-29 2009-06-18 Mitsubishi Electric Corp 立体映像記録方法、立体映像記録媒体、立体映像再生方法、立体映像記録装置、立体映像再生装置
EP2605244B1 (en) * 2008-09-17 2015-11-04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Recording medium and playback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0132156A (ru) 2013-03-10
BRPI1001234A2 (pt) 2020-11-17
US20110050847A1 (en) 2011-03-03
CN101953170B (zh) 2012-07-18
ES2472444T3 (es) 2014-07-01
WO2010089994A1 (ja) 2010-08-12
MX2010008146A (es) 2010-09-30
JPWO2010089994A1 (ja) 2012-08-09
EP2395771B1 (en) 2014-05-14
JP2010288297A (ja) 2010-12-24
JP5385217B2 (ja) 2014-01-08
EP2395771A4 (en) 2012-12-12
EP2395771A1 (en) 2011-12-14
CN101953170A (zh) 2011-01-19
TW201037696A (en) 2010-10-16
CN102740037A (zh) 2012-10-17
JP2010273351A (ja) 2010-12-02
RU2521288C2 (ru) 2014-06-27
JP4569935B2 (ja) 2010-10-27
JP5385226B2 (ja) 2014-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90485B2 (ja) 半導体集積回路
TWI395464B (zh) A recording medium, a reproducing apparatus, and an integrated circuit
US8139925B2 (en) Recording medium, playback device, and integrated circuit
WO2010089995A1 (ja) 記録媒体、再生装置、及び集積回路
JP5551654B2 (ja) 半導体集積回路
US8045844B2 (en) Recording medium, playback apparatus, and integrated circuit
JP5385217B2 (ja) 記録媒体、再生装置、及び集積回路
US8861940B2 (en) Recording medium, playback device and integrated circuit
WO2010098134A1 (ja) 記録媒体、再生装置、及び集積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