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1389A - 진공청소기용 필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용 필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1389A
KR20110121389A KR1020100040964A KR20100040964A KR20110121389A KR 20110121389 A KR20110121389 A KR 20110121389A KR 1020100040964 A KR1020100040964 A KR 1020100040964A KR 20100040964 A KR20100040964 A KR 20100040964A KR 20110121389 A KR20110121389 A KR 20110121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shaft
vacuum cleaner
gear
shaf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0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정균
김기만
백석봉
김동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0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1389A/ko
Publication of KR20110121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13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47L9/127Dry filters tube- or sleeve-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진공청소기용 필터장치는, 베이스와, 베이스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는 제1 및 제2필터축과, 제1 및 제2필터축 사이를 가로막아 통과하는 공기를 여과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제1필터축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2필터축에 고정되며, 상기 제1필터축 및 제2필터축 중의 적어도 한 곳에 일부가 감겨 있는 필터와, 베이스의 상면에 제1 및 제2필터축 사이에 설치되며, 필터가 절곡되도록 하는 적어도 한 개의 안내리브, 및 제1필터축 및 제2필터축 중 적어도 한 개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필터감기부재;를 포함하며, 필터감기부재를 동작시키면, 필터가 이동하여 제1 및 제2필터축 중 필터감기부재에 의해 회전하는 필터축에 감기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용 필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Filtering apparatus usable with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청소기용 필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공기와 오물을 흡입하는 흡입력을 발생하는 흡입모터인 팬 모터의 바로 앞에 설치되며, 오물수거장치에서 배출된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필터는 진공청소기 본체의 크기에 따라 그 크기가 제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진공청소기 본체의 크기를 작게 만들면 필터의 크기도 작게 만들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필터의 크기가 작아지면, 필터가 흡입된 먼지에 의해 쉽게 막히게 된다. 필터가 막히게 되면,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이 감소하고, 소음이 증가하며, 흡입 모터에 과부하가 걸려 진공청소기의 수명 또한 짧아지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진공청소기를 사용하여 청소를 한 후에는 자주 필터를 청소하여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필터의 청소 간격이나 교체 간격이 길어 필터를 자주 청소하거나 교체할 필요가 없는 진공청소기용 필터에 대한 필요성이 매우 크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필터의 청소 간격 및/또는 교체 간격이 긴 진공청소기용 필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는 제1 및 제2필터축; 상기 제1 및 제2필터축 사이를 가로막아 통과하는 공기를 여과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제1필터축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2필터축에 고정되며, 상기 제1필터축 및 제2필터축 중의 적어도 한 곳에 일부가 감겨 있는 필터;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상기 제1 및 제2필터축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필터가 절곡되도록 하는 적어도 한 개의 안내리브; 및 상기 제1필터축 및 제2필터축 중 적어도 한 개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필터감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감기부재를 동작시키면, 상기 필터가 이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필터축 중 상기 필터감기부재에 의해 회전하는 필터축에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필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필터축의 외측에는 각각 중공의 제1 및 제2하우징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터감기부재는, 상기 제1필터축 또는 제2필터축의 하단에 설치되는 제1기어; 및 상기 제1기어와 맞물리는 제2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필터축 또는 제2필터축의 하단에는 축 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제1기어의 상면에는 상기 축 기어에 맞물리는 돌출기어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감기부재는 사용자가 손으로 돌릴 수 있도록 형성된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에서 제거된 오물이 쌓이는 상기 필터의 일측에는 상기 오물을 제거할 수 있는 필터청소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청소부재는 상기 제1필터축 및 제2필터축 각각의 가까이에 1개씩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의 목적은, 진공청소기의 본체;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며 흡입력을 발생하는 흡입모터; 상기 본체의 내측에 상기 흡입모터의 앞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력에 의해 흡입되는 오물을 분리하여 수거하는 오물수거장치; 및 상기 흡입모터와 오물수거장치의 사이에 설치되며, 청구항 1항 내지 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진공청소기용 필터장치;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때, 진공청소기는 상기 흡입모터와 상기 필터장치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필터가 막히는 것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필터장치에 의하면, 필터가 절곡 되어 형성되므로 평판으로 된 종래의 필터에 비해 공기를 여과하는 면적이 넓게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의한 필터보다 필터가 막히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게 되므로 청소 간격 및 교체 간격이 길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필터장치에 의하면, 롤(roll) 형태로 감긴 필터를 풀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감긴 필터를 모두 다 사용할 때까지는 필터를 교체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의한 필터보다 교체 간격이 2 배 이상 30-40배 이상으로 늘어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필터장치가 설치된 진공청소기의 부분 절단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필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진공청소기용 필터장치의 제1필터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진공청소기용 필터장치에서 베이스와 제1 및 제2하우징의 연결부를 나타내 보인 부분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진공청소기용 필터장치를 선 5-5에서 절단하여 나타낸 부분 단면 사시도;
도 6은 도 2의 진공청소기용 필터장치에서 제1필터축과 제1기어의 연결관계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7은 안내리브가 한 개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필터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필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필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필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필터장치가 설치된 진공청소기의 부분 절단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필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필터장치(1)는 진공청소기 본체(101)에 설치된다. 진공청소기 본체(101)는 통상적으로 모터실(110)과 집진실(120)로 구획되며, 모터실(110)과 집진실(120) 사이에는 모터실(110)과 집진실(120)을 연통하는 구멍(미도시)이 형성된다. 모터실(110)에는 오물과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모터(111)가 설치된다. 흡입모터(111)로는 팬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집진실(120)에는 흡입모터(111)에 의해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와 같은 오물을 분리하여 수거하는 오물수거장치(121)가 설치된다. 오물수거장치(121)의 일단에는 피청소면의 오물을 흡입하는 흡입노즐(미도시)과 연장관(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다. 오물수거장치(121)로는 사이클론 집진장치, 먼지봉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는 오물수거장치(121)로 사이클론 집진장치가 사용된 경우를 나타낸다. 진공청소기용 필터장치(1)는 집진실(120)에서 모터실(110)로 이동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와 같은 미세 오물을 여과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즉, 필터장치(1)는 모터실(110)의 흡입모터(111)와 집진실(120)의 오물수거장치(121)의 사이에 설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필터장치(1)는, 베이스(10), 제1 및 제2필터축(20,30), 필터(40), 복수 개의 안내리브(50), 필터감기부재(6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0)는 진공청소기용 필터장치(1)의 기초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제1 및 제2필터축(20,30)의 회전을 지지한다. 따라서, 베이스(10)에는 제1 및 제2필터축(20,30)이 설치되는 제1 및 제2지지구멍(11,12)이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10)는 필터장치(1)를 진공청소기 본체(101)에 고정하는 역할을 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제1 및 제2필터축(20,30)은 베이스(10)의 상면에 수직하게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필터축(20)은 필터(40)가 감기는 봉 형상의 축부(21)와, 축부(21)의 일단에 설치되며 축부(21)가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22)와, 지지부(22)의 하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축 기어(23)를 포함한다. 축 기어(23)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 치가 축부(21)와 동일한 방향, 즉 베이스(10)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축 기어(23)의 높이는 베이스(10)의 두께보다 작은 치수로 형성될 수 있다. 축부(21), 지지부(22), 및 축 기어(23)는 모두 동일 축 상으로 형성되며, 지지부(22)는 얇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필터축(30)은 제1필터축(20)과 동일하게 형성된 축부(31)와 지지부(32)를 포함한다. 그러나, 제2필터축(30)은 제1필터축(20)의 축 기어(23)를 포함하지 않는다. 제2필터축(30)은 축 기어(23) 대신에 축 기어(23)와 유사한 높이를 갖는 링 형상의 돌출부(33)(도 4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돌출부(33)가 베이스(10)의 제2지지구멍(12)에 삽입되어 제2필터축(30)이 베이스(10)에 수직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및 제2필터축(20.30)의 외측에는 선택적으로 제1 및 제2하우징(25,35)을 설치할 수 있다. 제1 및 제2하우징(25,35)은 베이스(10)의 상면에 고정된다. 제1 및 제2하우징(25,35)은 베이스(10)와 별개로 제작하여 베이스(10)에 접착제 등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는 제1 및 제2하우징(25,35)을 베이스(10)와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제1 및 제2하우징(25,35)은 제1 및 제2필터축(20,30)에 감긴 필터(40)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제1 및 제2하우징(25,35)은 제1 및 제2필터축(20,30)에 감긴 필터(40)를 감쌀 수 있는 크기를 갖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하우징(25,35)의 측면에는 필터(40)가 들어오고 나갈 수 있는 슬릿(slit) 형상의 개구부(26,36)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하우징(25,35)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었으나, 제1 및 제2하우징(25,35)의 형상이 원통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당연하다.
필터(40)는 제1 및 제2필터축(20,30)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여 통과하는 공기(예를 들면, 오물수거장치(121)에서 배출되어 흡입모터(111)로 이동하는 공기)를 여과하도록 설치된다. 필터(40)는 제1 및 제2필터축(20,30) 사이의 간격보다 긴 길이를 갖고 있어 제1 및 제2필터축(20,30)의 어느 한 쪽에 롤(roll) 형태로 감겨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2필터축(30)에 여분의 필터가 감겨 있다. 필터(40)의 일단은 제1필터축(20)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2필터축(30)에 고정된다. 이때, 필터(40)의 양단은 제1 및 제2필터축(20,30)의 축부(21,31)에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는 필터(40)의 일단에 걸림돌기(미도시)를 만들고 축부(21,31)에는 걸림돌기가 걸리는 걸림부(미도시)를 형성하여 걸림돌기와 걸림부에 의해 필터(40)를 축부(21,31)에 고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필터(40)의 양단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1 및 제2필터축(20,30)의 축부(21,31)에 고정할 수 있다. 필터(40)의 양단이 제1 및 제2필터축(20,3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1필터축(20)이 회전하면 필터(40)가 제2필터축(30)의 축부(31)에서 풀려 제1필터축(20)의 축부(21)에 감기게 된다.
또한, 필터(40)는 제1 및 제2필터축(20,30)의 축부(21,31)에 감길 수 있는 적절한 두께를 가지며 유연한 판상으로 형성되며, 제1필터축(20) 및 제2필터축(30) 중의 적어도 한 곳에 필터(40)의 일부가 롤 형상으로 감겨 있다. 제1 또는 제2필터축(20,30)에 감겨 있는 필터(40)의 길이에 따라 필터장치(1)의 수명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40)의 길이가 길면 길수록 본 발명에 의한 필터장치(1)의 수명이 길어질 수 있다. 필터(40)는 최소한 필터(40)의 교환주기를 2배로 늘릴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필터(40)가 제1 및 제2필터축(20,30) 사이의 거리의 약 2배 정도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필터(40)는 많게는 필터(40)의 교환주기를 30-40배로 늘릴 수 있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공기에서 제거된 먼지와 같은 오물이 쌓이는 필터(40)의 일측에는 오물을 제거할 수 있는 필터청소부재(70, 도 9 참조)가 설치될 수 있다. 필터청소부재(70)는 사용된 필터(40)가 감기는 필터축(20,30) 가까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필터축(20)이 필터(40)를 감는 구동축인 경우에는 필터청소부재(70)는 제1필터축(20) 가까이에 설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설치하면, 감기는 필터(40) 부분에 쌓인 오물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필터(40)를 감는 것이 용이하다. 도 9에는 복수 개의 리브로 형성된 필터청소부재(70)가 제1하우징(25)의 외면에 설치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에는 복수 개의 리브로 형성된 필터청소부재(70)를 나타내고 있으나, 필터청소부재(70)는 솔(brush)과 같은 다른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안내리브(50)는 적어도 한 개가 베이스(10)의 상면에 제1 및 제2필터축(20,30) 사이에 설치되며, 필터(40)가 공기의 이동방향(도 2의 화살표 A 참조)으로 절곡되도록 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필터축(20,30) 사이에 있는 필터(40)는 삼각형의 단면을 갖는 산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안내리브(50)는 제1필터축(20)의 회전에 의해 필터(40)가 이동할 때 필터(4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필터장치(1)는 10개의 안내리브(50)를 사용하여 필터(40)를 절곡시키고 있다. 그러나, 안내리브(5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안내리브(50)는 한 개 이상 필요한 개수만큼 설치할 수 있다. 안내리브(50)의 개수가 많아지면 필터(40)의 여과면적이 넓어질 수 있다. 도 7에는 한 개의 안내리브(50)가 설치된 필터장치(1')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필터(40)가 안내리브(50)에 의해 도 2 및 도 7과 같이 삼각형의 단면 형상으로 절곡되면 제1 및 제2필터축(20,30) 사이에 필터(40)를 평면으로 설치하였을 경우(도 9 참조)에 비해 공기가 통과하는 필터(40)의 단면적이 커진다. 따라서, 필터(40)의 수명이 상대적으로 길어진다. 또한, 안내리브(50)는 베이스(10)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나, 베이스(1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감기부재(60)는 제1필터축(20) 및 제2필터축(30) 중 적어도 한 개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다. 필터감기부재(60)가 제1필터축(20)을 회전시키도록 형성된 경우에는 필터감기부재(60)를 동작시키면 제1필터축(20)이 회전하게 되고, 제1필터축(20)이 회전하면 필터(40)가 이동하여 제1필터축(20)에 감기게 된다. 이와 같은 필터감기부재(60)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제1필터축(2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동인 경우에는, 미도시 하였지만, 사용자가 손으로 제1필터축(20)을 돌릴 수 있도록 필터감기부재(60)는 핸들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자동인 경우에는 모터(63)를 이용하여 제1필터축(2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필터감기부재(60)를 구성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자동형 필터감기부재(60)는 제1필터축(20)의 하단에 설치되는 제1기어(61)와 제1기어(61)를 회전시키는 모터(6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기어(61)는 제1하우징(25)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며, 제1기어(61)의 상면의 중앙부에는 제1필터축(20)의 하단에서 돌출된 축 기어(23)에 맞물리는 돌출기어(62, 도 6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기어(61)를 베이스(10)의 아래로 제1필터축(20)의 하부에 설치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어(61)의 돌출기어(62)와 제1필터축(20)의 축 기어(23)가 맞물린다. 이때, 도 6은 제1기어(61)의 돌출기어(62)와 제1필터축(20)의 축 기어(23)의 맞물린 상태를 보여 주기 위해 베이스(10)를 투명하게 표시하였다.
모터(63)는 제1기어(61)의 일측에 설치되며, 모터(63)의 축에는 제1기어(61)와 맞물리는 제2기어(64)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63)가 동작하여 모터(63)의 축이 회전하면 제2기어(64)가 회전하고, 제2기어(64)가 회전하면 제2기어(64)와 맞물린 제1기어(61)가 회전한다. 제1기어(61)가 회전하면 제1기어(61)의 돌출기어(62)에 맞물린 축 기어(23)가 회전한다. 축 기어(23)가 회전하면 축 기어(23)와 일체로 형성된 제1필터축(20)이 회전한다. 제1필터축(20)이 회전하면 제1필터축(20)과 제2필터축(30) 사이에 있는 필터(40)가 이동하여 제1필터축(20)의 축부(21)에 감기게 된다. 이때, 제2필터축(30)은 필터(40)의 이동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필터감기부재(60)가 제1필터축(20)에 설치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필터감기부재(60)는 제2필터축(30)에 설치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다른 실시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필터장치(2)는 필터감기부재(60)가 제1 및 제2필터축(20,30) 모두를 구동시키도록 양쪽에 설치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필터축(20)을 구동하는 제1필터감기부재(60)와 제2필터축(30)을 구동하는 제2필터감기부재(60')는 모두 상술한 필터감기부재(60)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필터감기부재(60,60')의 구조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필터감기부재(60,60')로 제1 및 제2필터축(20,30)을 모두 구동할 수 있으면, 필터(40)를 제1 및 제2필터축(20,30) 사이에서 왕복 이동할 수 있으므로, 필터청소부재(70, 도 9 참조)와 연동하여 필터 청소를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필터장치(1)는, 도 1과 같이, 흡입모터(111)의 앞쪽에 설치된 압력센서(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력센서(90)는 제어부(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압력센서(90)가 필터(40)가 막히는 것을 감지하면 제어부(80)가 필터장치(1)의 모터(63)를 구동하여 막힌 필터 부분을 제1필터축(20)에 감고, 새로운 필터 부분이 제1 및 제2필터축(20,30)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다. 또는 압력센서(90)가 필터(40)가 막힌 것을 감지하면, 자동으로 필터장치(1)를 제어하지 않고 사용자에게 필터(40)를 교체하도록 경고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필터장치(1)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압력센서(90) 등에 의해 필터(40)가 막힌 것을 감지하면, 제어부(80)는 필터장치(1)의 모터(63)를 구동시킨다. 모터(63)가 구동되면 모터(63) 축에 설치된 제2기어(64)가 회전한다. 제2기어(64)가 회전하면 맞물린 제1기어(61)가 회전한다. 제1기어(61)가 회전하면, 제1기어(61)의 상면에 형성된 돌출기어(62)가 일체로 회전한다. 돌출기어(62)가 회전하면, 돌출기어(62)와 맞물린 축 기어(23)가 회전하게 된다. 축 기어(23)가 회전하면, 축 기어(23)와 일체로 형성된 제1필터축(20)이 회전하여 필터(40)를 감게 된다. 이때. 제2필터축(30)은 베이스(1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1필터축(20)이 회전하여 오염된 필터(40)의 부분이 제1필터축(20)으로 이동하면, 제2필터축(30)에 감긴 오염되지 않은 필터 부분이 풀리게 된다. 오염되지 않은 필터(40)의 부분이 제1 및 제2필터축(20,30) 사이에 위치하면 제어부(80)는 모터(63)를 정지시킨다.
진공청소기(100)의 필터장치(1)를 제어부(80)가 자동으로 제어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먼지가 쌓여 필터(40)가 막힌 것을 판단하여 필터장치(1)를 동작시킬 수 있다. 즉, 필터(40)가 막혀 진공청소기(100)로 청소가 잘 안 되는 경우, 사용자는 필터장치(1)의 모터(63)를 동작시켜 제1필터축(20)을 회전시킴으로써 막힌 필터 부분을 제1필터축(20)에 감고, 막히지 않은 새로운 필터 부분을 제1 및 제2필터축(20,30) 사이에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필터장치(1)는 제2필터축(30)에 감겨 있는 필터 부분이 모두 막힐 때까지 오물수거장치(121) 등을 분리하여 필터(40)를 교체할 필요가 없으므로 진공청소기(100)의 유지 보수가 편리하다.
또한, 제1 및 제2필터축(20,30) 사이에 안내리브(50)를 사용하여 필터(40)를 절곡시키면, 필터(40)의 여과면적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으로 먼지 등의 오물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행할 수 있는 단순한 구성요소의 치환, 부가, 삭제, 변경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 범위 내에 속하게 된다.
1,1',2,3; 필터장치 10; 베이스
20; 제1필터축 30; 제2필터축
21; 축부 22; 지지부
23; 축기어 25; 하우징
40; 필터 50; 안내리브
60; 필터감기부재 61; 제1기어
62; 돌출기어 63; 모터
64; 제2기어 70; 필터청소부재
80; 제어부 90; 압력센서
100; 진공청소기 111; 흡입모터
121; 오물수거장치

Claims (9)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는 제1 및 제2필터축;
    상기 제1 및 제2필터축 사이를 가로막아 통과하는 공기를 여과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제1필터축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2필터축에 고정되며, 상기 제1필터축 및 제2필터축 중의 적어도 한 곳에 일부가 감겨 있는 필터;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상기 제1 및 제2필터축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필터가 절곡되도록 하는 적어도 한 개의 안내리브; 및
    상기 제1필터축 및 제2필터축 중 적어도 한 개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필터감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감기부재를 동작시키면, 상기 필터가 이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필터축 중 상기 필터감기부재에 의해 회전하는 필터축에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필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필터축의 외측에는 각각 중공의 제1 및 제2하우징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필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감기부재는,
    상기 제1필터축 또는 제2필터축의 하단에 설치되는 제1기어; 및
    상기 제1기어와 맞물리는 제2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필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축 또는 제2필터축의 하단에는 축 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제1기어의 상면에는 상기 축 기어에 맞물리는 돌출기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필터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감기부재는 사용자가 손으로 돌릴 수 있도록 형성된 핸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필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에서 제거된 오물이 쌓이는 상기 필터의 일측에는 상기 오물을 제거할 수 있는 필터청소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필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청소부재는 상기 제1필터축 및 제2필터축 각각의 가까이에 1개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필터장치.
  8. 진공청소기의 본체;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며 흡입력을 발생하는 흡입모터;
    상기 본체의 내측에 상기 흡입모터의 앞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력에 의해 흡입되는 오물을 분리하여 수거하는 오물수거장치; 및
    상기 흡입모터와 오물수거장치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청구항 1항 내지 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진공청소기용 필터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모터와 상기 필터장치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필터가 막히는 것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KR1020100040964A 2010-04-30 2010-04-30 진공청소기용 필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KR201101213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964A KR20110121389A (ko) 2010-04-30 2010-04-30 진공청소기용 필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964A KR20110121389A (ko) 2010-04-30 2010-04-30 진공청소기용 필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1389A true KR20110121389A (ko) 2011-11-07

Family

ID=45392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0964A KR20110121389A (ko) 2010-04-30 2010-04-30 진공청소기용 필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138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07183A (en) * 2012-10-18 2014-04-23 Bissell Homecare Inc Vacuum cleaner with filter cartridge
GB2539923A (en) * 2015-07-01 2017-01-04 Dyson Technology Ltd A separating apparatus
GB2539933A (en) * 2015-07-01 2017-01-04 Dyson Technology Ltd A separating apparatus
CN108024676A (zh) * 2015-07-01 2018-05-11 戴森技术有限公司 分离装置
US10953359B2 (en) 2015-07-01 2021-03-23 Dyson Technology Limited Separating apparatus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25116B (en) * 2012-10-18 2017-05-03 Bissell Homecare Inc Vacuum cleaner with filter cartridge
US8991003B2 (en) 2012-10-18 2015-03-31 Bissell Homecare, Inc. Vacuum cleaner with filter cartridge
GB2507183A (en) * 2012-10-18 2014-04-23 Bissell Homecare Inc Vacuum cleaner with filter cartridge
GB2507183B (en) * 2012-10-18 2015-09-16 Bissell Homecare Inc Vacuum cleaner with filter cartridge
AU2013231206B2 (en) * 2012-10-18 2017-07-06 Bissell Inc. Vacuum cleaner with filter cartridge
CN103767629A (zh) * 2012-10-18 2014-05-07 碧洁家庭护理有限公司 真空吸尘器
CN103767629B (zh) * 2012-10-18 2017-12-08 碧洁家庭护理有限公司 真空吸尘器
GB2525116A (en) * 2012-10-18 2015-10-14 Bissell Homecare Inc Vacuum cleaner with filter cartridge
GB2539923A (en) * 2015-07-01 2017-01-04 Dyson Technology Ltd A separating apparatus
GB2539933B (en) * 2015-07-01 2017-10-11 Dyson Technology Ltd A separating apparatus
WO2017001839A1 (en) * 2015-07-01 2017-01-05 Dyson Technology Limited A separating apparatus
GB2539923B (en) * 2015-07-01 2017-10-11 Dyson Technology Ltd A separating apparatus
GB2539933A (en) * 2015-07-01 2017-01-04 Dyson Technology Ltd A separating apparatus
CN108024676A (zh) * 2015-07-01 2018-05-11 戴森技术有限公司 分离装置
US20180192841A1 (en) * 2015-07-01 2018-07-12 Dyson Technology Limited Separating apparatus
US10842332B2 (en) 2015-07-01 2020-11-24 Dyson Technology Limited Separating apparatus
US10953359B2 (en) 2015-07-01 2021-03-23 Dyson Technology Limited Separat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57725B2 (ja) 空気調和機
JP4333816B2 (ja) 電気掃除機
KR100445802B1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EP1629761B1 (en) Dust collection unit for vacuum cleaner
RU2276962C1 (ru) Фильт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ылесоса
JP4791281B2 (ja) フィルタ用清掃装置
KR20110121389A (ko) 진공청소기용 필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KR101876224B1 (ko) 공기정화유닛
KR101667716B1 (ko) 로봇청소기
JP5760059B2 (ja) 真空掃除機
JP5537696B2 (ja) 電気掃除機
EP3219239B1 (en) Filtering assembly used for dust cleaner and dust cleaner having same
KR101012943B1 (ko) 실내 구석 청소가 가능한 흡입 장치
JP4592440B2 (ja) モップの塵除去装置
JP2006289235A (ja) 空気清浄機
KR20110116864A (ko) 공기조화기
JP4252927B2 (ja) 電気掃除機
KR101480799B1 (ko) 로봇청소기의 필터 자동교환장치
JP2009011616A (ja) 電気掃除機
KR101748719B1 (ko) 집진기 내장형 레이저마킹기
WO2018159475A1 (ja) フィルター清掃装置及び空気調和機
CN103908195A (zh) 真空吸尘器及其过滤装置的清理方法
CN220376951U (zh) 过滤组件和具有其的支撑结构、衣物处理设备
CN217855280U (zh) 一种市政工程降尘装置
KR20110047597A (ko)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