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1090A - 의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1090A
KR20110121090A KR1020100040526A KR20100040526A KR20110121090A KR 20110121090 A KR20110121090 A KR 20110121090A KR 1020100040526 A KR1020100040526 A KR 1020100040526A KR 20100040526 A KR20100040526 A KR 20100040526A KR 20110121090 A KR20110121090 A KR 20110121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unit
filter
cabinet
drain
dra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0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3114B1 (ko
Inventor
김성룡
김동원
김경환
유혜경
김영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00040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114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DE112011101522.4T priority patent/DE112011101522B4/de
Priority to DE112011106122.6T priority patent/DE112011106122B9/de
Priority to DE112011106123.4T priority patent/DE112011106123B9/de
Priority to CN201180019811.0A priority patent/CN102844486B/zh
Priority to DE112011106124.2T priority patent/DE112011106124B9/de
Priority to PCT/KR2011/003208 priority patent/WO2011136609A2/en
Priority to US13/097,934 priority patent/US10081898B2/en
Publication of KR20110121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1090A/ko
Priority to US15/251,970 priority patent/US1017996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114B1/ko
Priority to US16/217,683 priority patent/US11293132B2/en
Priority to US17/683,077 priority patent/US20220290355A1/en
Priority to US17/683,061 priority patent/US20220186423A1/en
Priority to US17/683,037 priority patent/US2022018642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06F29/005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the other separate apparatus being a drying appli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세탁물을 세탁하는 제 1처리부와, 상기 제 1처리부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제 2처리부와, 상기 제 2처리부에 인출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로워와, 상기 드로워에 구비되며,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내측에 수직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및 상기 드로워의 내측모서리와 상기 터브의 외측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를 배출하는 배수펌프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의류 처리장치{cloth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 처리장치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보조 의류처리장치를 추가로 구비하는 의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세탁물을 세제와 기계적 마찰을 이용하여 세탁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는 사용자가 세탁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소정크기의 보조장치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조장치는 세탁기의 상부 또는 하부에 제공될 수 있으며, 다양한 부가적인 기능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보조장치들은 상기 세탁기에 독립적인 장치로서 설계 및 제조된다.
따라서, 이러한 독립적인 보조장치를 세탁기에 설치하는 것은 많은 작업을 요구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조장치가 설치된 세탁기는 좋은 외관을 갖지 못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생산성과 향상된 외관을 갖는 보조 의류처리장치를 구비하는 의류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는 세탁물을 세탁하는 제 1처리부; 상기 제 1처리부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제 2처리부; 상기 제 2처리부에 인출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로워; 상기 드로워에 구비되며,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측에 수직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및 상기 드로워의 내측모서리와 상기 터브의 외측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를 배출하는 배수펌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처리부가 설치되는 제 1캐비닛과, 상기 제 2처리부가 설치되는 제 2캐비닛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처리부가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 1캐비닛과, 상기 제 2처리부가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 2캐비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캐비닛과 상기 제 2캐비닛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펌프는 상기 세탁수를 필터링하고, 상기 드로워의 상측 방향으로 착탈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가 착탈되며, 상기 세탁수를 배수하는 펌프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부는 수직방향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펌프부는 상기 필터부가 삽입되고 필터링된 세탁수가 통과하는 필터결합부와, 상기 필터결합부를 통과한 상기 세탁수를 배출하는 배수챔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부는 일측에 절단면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결합부는 상기 절단면에 대응되는 단턱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결합부와 상기 배수챔버사이에는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에는 상기 배수챔버와 연통되는 광통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챔버는 상기 배수챔버에 체류하는 상기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관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부에는 상기 세탁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펌프부에는 상기 세탁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는 보조 의류처리장치를 추가로 구비하는 의류 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제 2처리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처리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처리부에서 배수펌프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처리부에 설치되는 배수펌프 및 배수필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펌프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펌프의 배수챔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각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에 정의된 각각의 명칭들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 될 수 있다.
먼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의류 처리장치(100)는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110)을 구비하며, 캐비닛(110)은 세탁 대상물을 처리하는 제 1처리부(121)가 형성되는 제 1캐비닛(120)과, 제 1캐비닛(120)에 인접하여 세탁 대상물을 처리하는 제 2처리부(131)가 형성되는 제 2캐비닛(130)을 구비한다.
즉, 사용자는 제 1캐비닛(120) 및/또는 제 2캐비닛(130) 내부로 세탁대상물을 투입하여 세탁, 건조, 또는 리프레쉬(refreshe)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리프레쉬라 함은 리프레쉬라 함은 세탁대상물을 향해 공기, 열풍, 스팀, 미스트(mist) 또는 수분 등을 제공하여 세탁대상물의 구김 등을 제거하거나, 탈취(deodorizing), 살균(sanitizing), 정전기 방지 또는 세탁대상물을 따스하게 데우는(warming) 과정을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의류, 세탁대상물에는 옷, 의복뿐만 아니라, 신발, 양말, 장갑, 모자 등과 같이 사람이 착용할 수 있는 대상을 포함하며, 세탁대상물을 세탁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 1처리부(12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세탁대상물을 세탁, 즉 세탁, 건조 또는 리프레쉬 하기 위하여 내부에 제 1터브(미도시) 및/또는 제 1드럼(124)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처리부(121)도 내부에 세탁수를 수용하는 제 2터브(133) 및/또는 제 2드럼(134)을 구비할 수 있다(도 2참조). 제 2처리부(121)는 제 1처리부(121)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는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제 1처리부(121)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처리부(121)는 제 1처리부(121)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세탁대상물을 세탁하는 제 1처리부(121)와 함께 제 2처리부(121)를 구비하는 경우에 제 1처리부(121)와 제 2처리부(121)는 서로 동일한 세탁용량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의류 처리장치(100)의 설치공간 등의 제약, 세탁장치의 비용 등을 고려하여 제 1처리부(121) 및 제 2처리부(121) 중에 하나는 다른 하나에 비하여 더 작은 용량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처리부(121)가 제 1처리부(121)에 비하여 세탁용량, 체적, 높이 중에 적어도 하나가 작도록 구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세탁대상물의 양에 따라 적절하게 제 1처리부(121) 및 제 2처리부(121)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세탁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제 1처리부(121)와 제 2처리부(121)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세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기옷, 속옷 등과 같이 따로 구분하여 세탁이 필요하거나, 소량의 세탁 대상물들은 제 2처리부(121)를 이용하여 세탁하고, 그 이외의 세탁 대상물을 제 1처리부(121)에서 세탁할 수 있다.
한편, 제 2처리부(121)가 제 1처리부(121)에 비하여 더 작은 세탁용량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경우에 제 2처리부(121)는 제 1처리부(121)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제 2처리부(121)가 제 1처리부(121)의 하부에 구비되어, 제 1처리부(121)의 높이를 높여서 사용자가 제 1처리부(121)로 세탁대상물을 투입하거나, 또는 제 1처리부(121)에서 세탁대상물을 제거하는 경우에 보다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의류 처리장치(100)가 제 1처리부(121) 및 제 2처리부(121)을 구비하는 경우에 제 1처리부(121)가 설치되는 제 1캐비닛(120)과 제 2처리부(121)가 설치되는 제 2캐비닛(130)은 별개로 각각 제작되어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제작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제 1처리부(121)가 설치되는 제 1캐비닛(120)과, 제 2처리부(121)가 설치되는 제 2캐비닛(130)을 하나의 캐비닛(110)으로 구성하여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즉, 하나의 캐비닛(110)을 공유하며 캐비닛(110) 내부에 제 1처리부(121) 및 제 2처리부(121)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처리부(121)와 제 2처리부(121)를 구분하기 위하여 그 사이에 별도의 격벽(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은 격벽에 의해 캐비닛(110)내의 공간이 제 1캐비닛과 제 2캐비닛(130)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격벽은 소정의 개구부(미도시)를 구비하여 제 1처리부(121)와 제 2처리부(121)가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구부를 통하여 제 1처리부(121)와 제 2처리부(121)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 2처리부(121)에 구비된 구성요소가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제 1처리부(121)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반대로 제 1처리부(121)에 구비된 구성요소가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제 2처리부(121)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제 1처리부(121)와 제 2처리부(121)가 일체로 형성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 1처리부(121)에는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구비되는 제 1도어(125)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도어(125)를 개방하여 제 1처리부(121)에 세탁대상물을 투입할 수 있다.
한편, 제 2처리부(121)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세탁을 위한 각종 요소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성요소는 사용자의 편의성, 추후 유지보수 등을 위하여 외부에서 접근이 용이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처리부(121)는 슬라이딩 가능한 드로워(132)를 구비할 수 있다. 드로워(132)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자는 드로워(132)를 잡아당겨 용이하게 제 2처리부(121)의 내부로 접근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 2처리부의 구조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제 2처리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처리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처리부(131)는 제 2캐비닛(130)의 내측 및 외측으로 인입축이 가능한 드로워(132)가 마련되며, 드로워(132)의 내부에는 세탁수가 저장되는 제 2터브(133)와, 제 2터브(133)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세탁대상물의 세탁을 수행하는 제 2드럼(134)을 구비한다. 제 2터브(133)의 상부에는 제 2터브(133)를 개폐하기 위한 제 2도어(135)가 마련된다(도 1참조).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처리부(121)가 드로워(132)에 의해 형성될 경우에는 세탁대상물의 투입이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투입되는 탑로딩 타입(top loading type)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드로워(132)를 인출한 후 제 2드럼(134)에 용이하게 세탁대상물을 투입하거나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제 2터브(133)의 하부에는 제 2터브(133)를 관통하는 회전축(136)이 마련된다. 회전축(136)의 상부에는 제 2터브(133)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 2드럼(134)이 회전축(136)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도록 결합된다. 제 2터브(133)의 하부에는 회전축(136)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137)가 설치된다.
한편 제 2터브(133)는 별도의 서스펜션(미도시)에 의해 드로워(132)의 내측에 탄성 지지되어 설치된다. 제 2드럼(134)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어 제 2터브(133)로 전달되는 진동은 서스펜션에 의해 완충 및 감소된다.
또한, 이러한 제 2처리부(131)에는 세탁대상물의 처리를 위하여 세탁수의 공급이 필요하다. 제 2처리부(131)로의 세탁수 공급은 제 1처리부(121)로 공급된 세탁수에서 분기되어 공급되거나, 별도의 공급원(예를 들어 수전 등, 미도시)에서 제 2처리부(131)로 직접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제 2처리부(131)에는 세탁 대상물을 처리한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펌프(200)가 필요하다. 제 2처리부(131)에서 배수되는 세탁수는 별도의 배수관(미도시)을 통해 배수되며, 세탁수의 원활한 배수를 위하여 별도의 배수펌프(200)가 마련된다.
한편 제 2처리부(131)의 경우 드로워(132)라는 일정 공간안에 설치되어야 되는 관계로 상술한 바와 같은 서스펜션, 급수장치, 배수펌프(200)의 설치위치가 매우 한정적이다. 따라서 사각 형태의 드로워(132)와 드로워(132)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 2터브(133) 사이의 잉여공간(구체적으로는 드로워(132)의 내측 모서리 부분)에 서스펜션, 급수장치, 배수장치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배수펌프(2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로워(132)의 전방측 일측 모서리 부분에 설치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배수펌프(200)의 경우 세탁수의 배수를 수행함과 동시에 세탁수와 같이 배수되는 찌꺼기를 필터링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와 같은 제 2처리부(131)의 경우 좁을 설치공간과 설치 위치에 의해 새로운 구조의 배수펌프(200)가 요구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펌프(200)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처리부에서 배수펌프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처리부에 설치되는 배수펌프 및 배수필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펌프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펌프의 배수챔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펌프는 드로워(132)의 전방 일측 모서리에 설치된다. 이러한 배수펌프(200)는 필터부(210)와 펌프부(220)로 구비되며, 펌프부(220)는 드로워(132)의 내측에 설치되며, 필터부(210)는 드로워(132)의 상측 수직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필터부(210)가 드로워(132)의 상측 수직방향으로 착탈되도록 구성되는 이유는 드로워(132)의 내측에 설치되는 펌프부(220)의 설치공간이 매우 협소하기 때문이다. 즉, 필터부(210)를 드로워(132)의 전방향 또는 측방향으로 착탈되도록 할 경우 필터부(210)의 필터링 면적이 축소되어 원활한 필터링이 어렵기 때문이다. 하지만 필터부(210)의 필터링 효과가 충분하다면 드로워(132)의 전방향 또는 측방향으로 착탈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 5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펌프의 필터부(210)와 펌프부(220)는 수직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마련된다.
여기서 필터부(210)는 중공이 형성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세탁수가 유입되는 유입공(211)이 형성되고, 유입공(211)를 제외한 외주면에는 세탁수를 필터링하기 위한 다수이 필터공(212)이 형성된다. 그리고, 필터부(210)의 상부에는 필터부(210)를 펌프부(220)에서 분리하기 위한 손잡이(213)가 마련된다. 한편, 필터부(210)의 몸통에는 필터부(210)의 삽입방향을 제한하기 위하여 일측에 평면형태의 절단면(214)이 형성된다.
한편, 펌프부(220)는 필터부(21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필터결합부(221)와, 필터결합부(221)와 연통되는 배수챔버(241)와, 배수챔버(241)에 마련되어 펌핑동력을 발생하는 펌프(242)를 구비한다.
여기서, 필터결합부(221)는 필터부(210)가 상방에서 삽입되도록 상방이 개방되고 중공이 형성되는 원기둥 형태로 마련된다. 이러한 필터결합부(221)의 내측면에는 필터부(210)에 형성된 절단면(214)에 대응되는 단턱면(222)이 형성된다. 이에 단턱면(222)의 형상과, 단턱면(222)에 대응되는 절단면(214)의 형상에 의해 필터결합부(221)에 삽입되는 필터부(210)의 삽입방향이 결정된다.
이러한 필터결합부(221)는 필터부(210)보다 다소 넓은 공간을 형성한다. 이에 필터부(210)의 유입구로 유입되어 필터부(210) 내부에서 필터부(210)의 필터공(212)을 통과하는 세탁수가 이동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한편, 필터결합부(221)의 하부에는 세탁수가 유입되도록 필터부(210)의 유입공(211)에 대응되는 위치로 세탁수 유입구(223)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세탁수 유입구(223)는 필터부(210)에 형성된 유입공(211)에 밀착되어 유입구(223)로 유입되는 세탁수가 유입공(211)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필터결합부(221)의 하부에는 필터결합부(221)에서 소정 공간 확장되는 세탁수 체류공간(224)이 형성된다. 세탁수 체류공간(224)의 하부에는 필터부(210)에 의해 필터링된 세탁수가 이동되는 배수유로(225)가 형성된다. 이러한 배수유로(225)는 후술할 배수챔버(241)의 하부 중앙(구체적으로는 후술할 펌프(242)의 임펠러(243) 중앙)으로 세탁수의 이동경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배수챔버(241)는 필터결합부(221) 일측에 위치하며 필터결합부(221)의 하부에서 연장되는 배수유로(225)의 상부에 위치한다. 이러한 배수챔버(241)는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한 펌프(242)가 설치되며, 펌프(242)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임펠러(243)가 배수챔버(241)의 내부에 위치한다.
또한 배수챔버(241)의 일측에는 임펠러(243)의 회전에 의해 세탁수가 배출되는 세탁수 배출구(244)이 형성된다. 또한, 세탁수 배출구(244)의 타측에는 배수펌프(200)의 유지 보수시 배수챔버(241)에 잔류하는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관(245)이 추가로 형성되며, 배수관(245)의 경우 평상시에는 별도의 캡(미도시)에 의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배수챔버(241)의 구조에서 배수펌프(200)가 고속으로 작동될 경우 임펠러(243)의 회전에 의해 배수챔버(241) 내부의 압력이 변화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즉, 임펠러(243)에 의해 세탁수가 배출되는 측의 압력은 높아지고, 임펠러(243)의 흡입에 의해 세탁수가 유입되는 측의 압력은 낮아지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임펠러(243)의 흡입력에 의해 압력이 급격히 낮아지는 경우 낮아지는 압력에 의해 세탁수에서 기포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배수챔버(241) 내에서의 기포 발생은 임펠러(243)의 작동에 영향을 주어 배수 작동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을 수 있으며, 또한 임펠러(243)의 회전시 기포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세탁수 체류공간(224)과 배수챔버(241) 사이에는 세탁수 체류공간(224)과 배수챔버(241)의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231)이 존재한다. 이러한 격벽(231)에는 배수유로(225)와 별도로 세탁수 체류공간(224)과 배수챔버(241)를 연통시키는 관통홀(232)이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홀(232)은 임펠러(243)의 회전에 의해 배수챔버(241)의 압력이 낮아질 경우 세탁수 체류공간(224)의 세탁수를 배수챔버(241)로 유입시켜 배수챔버(241)의 압력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임펠러(243) 회전에 따라 배수챔버(241)의 압력이 낮아져 기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펌프의 원활한 작동을 유지할 수 있다.
100 : 의류 처리장치 110 : 캐비닛
120 : 제 1캐비닛 121 : 제 1처리부
130 : 제 2캐비닛 131 : 제 2처리부
200 : 배수펌프 210 : 필터부
220 : 펌프부 241 : 배수챔버

Claims (10)

  1. 세탁물을 세탁하는 제 1처리부;
    상기 제 1처리부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제 2처리부;
    상기 제 2처리부에 인출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로워
    상기 드로워에 구비되며,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측에 수직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및
    상기 드로워의 내측모서리와 상기 터브의 외측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를 배출하는 배수펌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처리부가 설치되는 제 1캐비닛과, 상기 제 2처리부가 설치되는 제 2캐비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처리부가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 1캐비닛과, 상기 제 2처리부가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 2캐비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캐비닛과 상기 제 2캐비닛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펌프는 상기 세탁수를 필터링하고, 상기 드로워의 상측 방향으로 착탈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가 착탈되며, 상기 세탁수를 배수하는 펌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수직방향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부는 상기 필터부가 삽입되고 필터링된 세탁수가 통과하는 필터결합부와, 상기 필터결합부를 통과한 상기 세탁수를 배출하는 배수챔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일측에 절단면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결합부는 상기 절단면에 대응되는 단턱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결합부와 상기 배수챔버사이에는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에는 상기 배수챔버와 연통되는 광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챔버는 상기 배수챔버에 체류하는 상기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에는 상기 세탁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펌프부에는 상기 세탁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KR1020100040526A 2010-04-30 2010-04-30 의류 처리장치 KR101683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526A KR101683114B1 (ko) 2010-04-30 2010-04-30 의류 처리장치
US13/097,934 US10081898B2 (en) 2010-04-30 2011-04-29 Laundry apparatus
DE112011106123.4T DE112011106123B9 (de) 2010-04-30 2011-04-29 Wäschevorrichtung
CN201180019811.0A CN102844486B (zh) 2010-04-30 2011-04-29 衣物装置
DE112011106124.2T DE112011106124B9 (de) 2010-04-30 2011-04-29 Wäschevorrichtung
PCT/KR2011/003208 WO2011136609A2 (en) 2010-04-30 2011-04-29 Laundry apparatus
DE112011101522.4T DE112011101522B4 (de) 2010-04-30 2011-04-29 Wäschevorrichtung
DE112011106122.6T DE112011106122B9 (de) 2010-04-30 2011-04-29 Wäschevorrichtung
US15/251,970 US10179964B2 (en) 2010-04-30 2016-08-30 Laundry machine
US16/217,683 US11293132B2 (en) 2010-04-30 2018-12-12 Laundry machine
US17/683,077 US20220290355A1 (en) 2010-04-30 2022-02-28 Laundry machine
US17/683,061 US20220186423A1 (en) 2010-04-30 2022-02-28 Laundry machine
US17/683,037 US20220186422A1 (en) 2010-04-30 2022-02-28 Laundry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526A KR101683114B1 (ko) 2010-04-30 2010-04-30 의류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1090A true KR20110121090A (ko) 2011-11-07
KR101683114B1 KR101683114B1 (ko) 2016-12-06

Family

ID=45392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0526A KR101683114B1 (ko) 2010-04-30 2010-04-30 의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311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5054A (ko) * 2006-04-25 2007-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KR20070113432A (ko) * 2006-05-23 2007-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배수케이싱을 구비하는 세탁기
KR20080065762A (ko) * 2007-01-10 2008-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페데스탈 세탁기
KR20090052457A (ko) * 2007-11-21 2009-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5054A (ko) * 2006-04-25 2007-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KR20070113432A (ko) * 2006-05-23 2007-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배수케이싱을 구비하는 세탁기
KR20080065762A (ko) * 2007-01-10 2008-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페데스탈 세탁기
KR20090052457A (ko) * 2007-11-21 2009-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3114B1 (ko) 2016-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322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244839B1 (ko) 의류처리장치
JP6198781B2 (ja) 衣類処理装置
JP6117870B2 (ja) 衣類処理装置
JP2015532842A (ja) 衣類処理装置
KR20090052459A (ko) 의류처리장치
KR20110009918A (ko) 세탁물 처리기기
EP3540113A1 (en) Clothes-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lothes-treatment apparatus
KR20110063062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170016686A (ko) 의류처리장치
KR20150025084A (ko) 의류처리장치
KR20190009620A (ko) 의류처리장치
KR102402082B1 (ko) 의류처리장치
BRPI1002958A2 (pt) armadilha para objeto estranho para uma mÁquina de lavar automÁtica
KR101727910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637367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70086795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110121090A (ko) 의류 처리장치
KR101620445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2316086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10121091A (ko) 의류 처리장치
KR20220049839A (ko) 의류처리장치
KR20110013059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100105198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675729B1 (ko) 세탁물 처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