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1003A - Safety evaluation method for soil shearing work - Google Patents

Safety evaluation method for soil shearing 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1003A
KR20110121003A KR1020100040394A KR20100040394A KR20110121003A KR 20110121003 A KR20110121003 A KR 20110121003A KR 1020100040394 A KR1020100040394 A KR 1020100040394A KR 20100040394 A KR20100040394 A KR 20100040394A KR 20110121003 A KR20110121003 A KR 20110121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displacement
collapse
management
trend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03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32640B1 (en
Inventor
남승훈
유권상
이석철
나호준
이완규
Original Assignee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표준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40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2640B1/en
Publication of KR20110121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10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6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CCOMPUTATIONAL CHEMISTRY; CHEMOINFORMATICS; COMPUTATIONAL MATERIALS SCIENCE
    • G16C20/00Chemoinformatics, i.e.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f physicochemical or structural data of chemical particles, elements, compounds or mixtures
    • G16C20/70Machine learning, data mining or chemometric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evaluating safety on a retaining wall work field is provided to perform an accurate evaluation through the correction of a management standard value in which a safety coefficient and a damage weight index are applied. CONSTITUTION: The horizontal displacement data of a retaining wall is collected in a construction field. The horizontal displacement management standard value of the retaining wall is calculated from the horizontal displacement data. The axial force data of a support and the horizontal displacement data of the retaining wall are obtained. A level of collapse risk is calculated from the tendency according to correlation of the horizontal displacement and axial displacement. The index of a collapse weight is calculated from the calculated level of the collapse risk. Through comparing the horizontal displacement data and modified horizontal displacement management value, a collapse risk is calculated.

Description

흙막이 공사현장의 붕괴 안전성 평가 방법{Safety evaluation method for soil shearing work}Safety evaluation method for soil shearing work

본 발명은 흙막이 공사현장의 붕괴 안전성 평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흙막이 공사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붕괴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공사현장에 설치된 다양한 계측기들로부터 흙막이벽이나 지반, 각종 구조물 등의 현장에 대한 정보를 취득한 뒤 취득한 계측 정보로부터 공사현장의 붕괴 안전성을 평가하고 붕괴 징후를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붕괴 안전성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evaluating the collapse safety of the construction site, and more specifically, to prevent collapse accidents that may occur at the construction site in the construction site from the various measuring instruments installed in the construction site walls, ground, various structures, etc. It is about the collapse safety evaluation method that can evaluate the collapse safety of the construction site and accurately predict the signs of collapse from the measurement information obtained after obtain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site.

일반적으로 흙막이 공사는 건설공사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작업으로서, 대부분의 건설공사에서 지반 굴착 과정을 포함하는 흙막이 공사가 포함된다. 흙막이 공사를 위한 지하 굴착 공법을 결정함에 있어서는 안전성과 경제성을 근간으로 구조물의 시공을 위한 지반 특성, 주변 현황, 예상 공기 및 공사비 등을 세밀히 고려하여 현장에 가장 적합한 공법을 선정하게 된다.In general, the earthquake construction is the most basic work in the construction work, most of the construction work includes the earthquake construction including the ground excavation process. In deciding the underground excavation method for the earthquake construction, the most suitable construction method is selected by considering the ground characteristics, surrounding conditions, expected air, and construction cost for the construction of the structure on the basis of safety and economic feasibility.

굴착 및 흙막이 공법으로는 굴착면의 형상에 따라 사면 개착 공법과 흙막이벽체를 이용한 개착 공법으로 대별되며, 사면 개착 공법은 흙막이벽체를 사용하지 않고 사면 경사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는 상태로 굴착하는 공법이고, 흙막이벽체 공법은 사면 개착 공법의 적용이 어려운 경우에 적용되는 것으로 H-파일+흙막이판(토류판), CIP(Cast-In Placed Pile), SCW(Soil Cement Wall), 널말뚝(sheet pile), 지하연속벽(Diaphragm Wall, D/W) 등이 있다.As the excavation and clogging metho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excavation surface, it is roughly classified into a slope attachment method and an attachment method using an earth wall. The slope attachment method is a method for excavating a state in which a slope slope can be secured without using an earth wall. The soil wall construction method is applied when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slope attachment method. H-pile + soil plate (earth plate), CIP (Cast-In Placed Pile), SCW (Soil Cement Wall), sheet pile, Diaphragm Wall (D / W).

또한 굴착에 따른 대표적인 흙막이 지지 방법으로는 스트러트와 어스앵커로 대별되며, 이 밖에 소일 네일링(soil nailing) 공법이나 레이커(raker) 지지 방식에 의한 굴착이 있다. 어스앵커 대신 락 볼트(rock bolt)가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흙막이벽체를 지하연속벽으로 시공할 경우에는 슬래브에 의해 벽체를 지지하며, 상부에서 하부로 구조물을 완성하는 역타(top-down)의 적용도 가능하다.In addition, as a typical soil support method according to the excavation is divided into struts and earth anchors, in addition, there is excavation by the Soil nailing method or raker (raker) support method. Rock bolts are sometimes used instead of earth anchors. In addition, when constructing a continuous wall as an underground continuous wall to support the wall by the slab,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a top-down to complete the structure from the top to the bottom.

한편, 옹벽, 흙막이벽체, 널말뚝 벽체, 지중 공동구 등의 지중 구조물은 모두 원지반 또는 성토지반의 압력을 지지하는 구조물이다. 이때 흙의 압력을 토압(지반 내부에서 생기는 응력과, 흙과 구조물의 접촉물 사이에서 생기는 모든 힘을 의미함)이라 하며, 상기한 지중 구조물의 설계를 위해서는 토압의 크기나 방향을 결정하여야 한다. On the other hand, underground structures such as retaining walls, retaining walls, board pile walls, underground hollow spheres are all structures that support the pressure of the original or fill soil. At this time, the pressure of the soil is called earth pressure (meaning the stress generated inside the ground, and all forces generated between the contact between the soil and the structure), and the size or direction of the earth pressure should be determined for the design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그러므로 토압에 대한 이론이 오래전부터 연구되어 왔으며, 그 대표적인 것으로는 Coulomb와 Rankine의 토압 이론이 있다. 또한 이를 근간으로 하여 많은 토압 이론들이 연구 및 제시되어 지중 구조물의 설계 및 지하 공간 개발에 활용되고 있다. Therefore, the theory of earth pressure has been studied for a long time, and the representative ones are the earth pressure theory of Coulomb and Rankine. Based on this, many earth pressure theories have been studied and presented and used for the design of underground structures and the development of underground spaces.

토압에서 주동토압(active earth pressure, Pa)은 옹벽이 뒤채움 흙의 압력에 의해 전방으로 전도하려는 경우에 작용하는 토압이고, 수동토압(passive earth pressure, Pp)은 벽체가 외력을 받아서 뒤채움 흙쪽으로 눌려 뒤채움 흙이 파괴가 일어날 때의 토압이며, 정지토압(earth pressure at rest, P0)은 흙막이 구조물에 항복을 일으키지 않고 수평방향 변위가 발생하지 않는 상태의 토압으로 구분된다. In earth pressure, active earth pressure (P a ) is the earth pressure acting when the retaining wall tries to conduct forward by the backfill soil pressure, and passive earth pressure (P p ) is the earth pressure Earth pressure at rest (P 0 ) is divided into earth pressure without causing yield to earth block structure and no horizontal displacement.

그리고, 대부분의 지반 굴착에 있어서는 그 규모나 심도에 따라 크기의 차이는 있으나 반드시 주변 지반의 거동과 침하를 유발하게 된다. 지반 거동이나 침하는 지반 조건과 지하수 변화 등에 의해 가장 큰 영향을 받지만 그 외에도 흙막이 구조물의 종류 및 강성, 시공방법, 시공기술의 수준, 주변 지형 지세 및 여건 등의 복합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And, in most ground excavation, although there is a difference in size depending on the size and depth of the ground excavation will necessarily cause the behavior and settlement of the surrounding ground. Ground behavior and settlement are most affected by ground conditions and groundwater changes, but they are also affected by complex types of masonry structure, stiffness, construction method, construction technology level, surrounding topography and conditions.

흙막이 공사시 발생할 수 있는 침하의 경우로는 굴착 전 공정에 의한 침하, 본 굴착에 의한 침하, 지보 해체에 의한 침하 등을 들 수 있으며, 굴착 전 공정은 지하 터파기 공사시 필요한 제반 여건 등을 준비하는 공정으로, 많이 쓰이는 지보재의 종류는 크게 스트러트(strut)와 앵커(earth anchor)를 들 수 있다.In the case of settlement that can occur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earthquake, it can be settled by the pre-excavation process, by the main excavation, or by the dismantling of the support. In the process of using, the most widely used types of support materials are struts and earth anchors.

스트러트 지보의 경우 스트러트 거치를 위한 중간말뚝의 설치가 필요한데, 중간말뚝의 설치를 위해서는 미리 오거(auger)로 천공을 하고 이 구멍에 중간말뚝을 삽입한 뒤 진공해머로 소요 깊이까지 말뚝을 타입하는 바, 천공작업과 진동해머의 작업으로 인해 인접 지반에 영향을 미쳐 침하가 유발된다. 또한 공사를 위해서 매우 큰 중량의 중장비가 현장 내에 있게 되므로 상재하중으로 인해서도 침하가 발생한다.In the case of strut jibo, it is necessary to install the intermediate pile for mounting the strut. To install the intermediate pile, drill the auger in advance with an auger, insert the intermediate pile into this hole, and type the pile to the required depth with a vacuum hammer. In addition, the drilling and vibration hammer work affects the adjacent ground, causing settlement. In addition, because heavy heavy equipment is placed on site for the construction, settlement occurs due to the floor load.

토류벽 형식이 지중연속벽(D/W, slurry wall)인 경우 건물의 외벽을 미리 설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전에 많은 작업이 필요한데, 정확한 트렌치 굴착을 위해서 안내벽(guide wall)을 설치하고 굴착을 진행하게 되며, 이때 공벽이 허물어지지 않도록 굴착한 곳에 슬러리를 넣고 소요의 심도까지 굴착을 하고, 굴착 후에 미리 제작된 철근을 넣고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이때에도 비록 공벽에 슬러리가 있지만 굴착으로 인해 인접 지반의 응력 이완으로 변위가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며, 굴착과 슬러리 보급을 위한 장비들로 인해 인접 지반에 침하가 발생하게 된다.If the earth wall type is a continuous wall (D / W, slurry wall), since the exterior wall of the building is installed in advance, a lot of work is required in advance.For accurate trench excavation, a guide wall is installed and the excavation proceeds. In this case, the slurry is put in the excavated place so that the hollow wall is not torn down, the excavation is carried out to the required depth, and after the excavation, the pre-manufactured steel is put and concrete is poured. At this time, although there is a slurry in the hollow wall, displacement inevitably occurs due to the stress relaxation of the adjacent ground due to the excavation, and settlement occurs in the adjacent ground due to the equipment for excavation and slurry replenishment.

토류벽의 형식이 CIP인 경우에는 천공, 케이싱 삽입, 철근 및 강재 삽입, 콘크리트 타설 등의 공정이 필요한데, 각각의 경우에서 상당한 진동과 상재하중이 발생하게 된다. When the earth wall is CIP, processes such as perforation, casing insertion, rebar and steel insertion, and concrete placement are required. In each case, considerable vibration and load are generated.

엄지 말뚝과 토류판으로 토류벽을 형성할 때에는 중간말뚝의 설치와 동일하게 H-말뚝(H-파일)의 삽입이 필요하게 되며, 이로 인해 인접 지반에 침하가 유발된다. 토류벽과 지보재 설치를 위한 준비작업 이외에도 사전에 지반 보강을 위한 작업이 필요한 경우가 있는데, 지반보강작업은 지하수위가 높아 차수가 필요한 경우나 토류벽의 강성을 높여주기 위해 주로 행하여지며, 이때 천공작업과 고압, 저압의 보강재 삽입 과정 등을 동반하게 되어 인접 지반의 교란과 침하가 이루어지게 된다.When forming the earth wall with the thumb pile and the earth plate, it is necessary to insert the H-pile (H-pile) in the same way as the installation of the intermediate pile, which causes settlement in the adjacent ground. In addition to the preparation work for the installation of earth walls and supporting materials, there are cases in which work for reinforcing the ground is necessary in advance. Ground reinforcement works are usually performed to increase the stiffness of the earth walls or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earth walls. Accompanying the high pressure, low pressure reinforcement insertion process, the disturbance and settlement of the adjacent ground is made.

본 굴착에 의한 침하는 굴착에 의한 침하를 고려할 때 가장 많은 변위를 일으키는 공정이며, 굴착이 진행됨에 따라 구속의 역할을 하고 있던 흙이 제거되면서 인접 지반의 응력이 이완 및 재분포하게 되어 지반의 움직임이 유발된다. 또한 지하수위가 높은 지반 상태에서 굴착이 진행될 때 차수성이 떨어지는 토류벽이나 지보로 앵커를 시공하는 경우에는 현장 내로 지하수의 유입을 피할 수 없게 되는데, 이로 인해 인접 지반의 지하수위의 저하가 발생하여 유효응력의 증가를 유발시키고, 이로 인해 추가로 지반 침하를 일으키게 된다.Settlement by this excavation is the process that causes the most displacement when considering settlement by excavation, and as the excavation progresses, the soil which acts as a restraint is removed, and the stress of adjacent ground is relaxed and redistributed, so the movement of ground This is caused. In addition, when an anchor is constructed with earth walls or supports with poor water quality when excavation proceeds in the ground state with high groundwater level, inflow of groundwater into the site cannot be avoided, which causes the groundwater level of the adjacent ground to fall. It causes an increase in stress, which causes additional ground subsidence.

아울러, 임시 목적으로 설치된 지보는 실제 구조물의 축조 또는 보다 많은 공간의 확보를 위해서 지하구조물을 축조하면서 해체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공정에서 기존의 지보 역할을 대신할 구조물이 축조되기 전까지는 지보가 없는 상태가 되므로, 지보 해체 후 해체된 지보를 대신하는 지하층의 외벽이나 지하 바닥 슬래브가 설치되기 전까지는 지보 공백으로 인한 지반 변위의 발생은 피할 수 없게 된다.In addition, the jibo installed for temporary purposes is generally dismantled while constructing the underground structure in order to build the actual structure or to secure more space, which is not supported until the structure to replace the existing support role is constructed in this process. Since the state is dismantled, the ground displacement due to the support gap is inevitable until the outer wall of the basement or the basement floor slab is installed to replace the disassembled support.

또한 지보를 해체하면서 실제 구조물의 위치와 지보의 위치가 겹치기 때문에 과도한 지보 해체를 피할 수 없는 경우가 있으며, 이는 해체할 지보의 위치가 실제 구조물의 시공에 방해가 되어 공사를 진행하기 어려운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에 행하여지는 과도한 지보 해체는 큰 지반 변위를 초래한다. In addition, the dismantling of the jibo, because the position of the actual structure overlaps with the position of the jibo can not be avoided excessive disassembly, which is the case that the position of the jibo to be dismantled interferes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actual structure, making it difficult to proceed with construction. Excessive support dismantling in this case results in large ground displacements.

그리고, 흙막이 공사 중 굴착이 진행되면서 지반의 움직임을 구속하기 위한 지보가 설치되고 나면, 지반의 움직임이 구속될 때 발생하는 아치 효과에 의해 중간 위치에 큰 변위가 유발되고, 이러한 특징들로 인해 토압이 일반적인 토압 분포, 즉 정지토압, 주동토압, 수동토압과는 다른 모습을 보이게 되는데,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And, after the earthquake is installed during the excavation construction and the support for restraining the movement of the ground is installed, a large displacement is caused at the intermediate position by the arch effect generated when the movement of the ground is restrained. This general earth pressure distribution, that is, static earth pressure, main earth pressure, and manual earth pressur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또한 흙막이벽체 거동의 영향 인자 및 해석에 대한 연구가 있어 왔으며, 예컨대 벽체의 강성에 따른 지반 및 흙막이벽체의 거동 현상, 스트러트의 선행 하중에 따른 흙막이벽체의 거동 현상, 단계별 굴착에 따른 흙막이벽체의 거동 현상 등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In addition, there have been studies on the influence factors and analysis of the wall behavior, for example, the behavior of ground and wall walls according to the rigidity of the wall, the behavior of the wall wall according to the preceding load of the struts, and the behavior of the wall wall according to the excavation step by step. Various studies on the phenomenon have been conducted.

또한 흙막이벽체의 수평변위 발생 요인으로 흙막이벽체의 휨 강성, 버팀대의 변형 및 스트러트의 강성, 버팀대의 시간적 지체, 흙막이벽체의 근입 깊이, 스트러트의 선행 하중 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In addition,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flexural stiffness of the wall, the deformation and strut stiffness of the wall, the temporal delay of the wall, the indentation depth of the wall and the preceding load of the strut.

한편, 흙막이 공사에서는 구조물의 기초, 도로, 지하철, 지하도, 상하수도, 전력선, 가스관 및 택지 조성 등을 위한 지반 굴착 등 그 공사량이 많을 뿐만 아니라 변화의 예측이 어려운 보이지 않는 땅속을 굴착하기 때문에 토사 붕괴, 낙석, 지하매설물 붕괴 및 건설기계의 추락 등으로 인해 많은 산업재해가 발생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earthquake construction, the earth and sand collapse, because the excavation of the foundation, road, subway, underground, water and sewage, power line, gas pipelines and groun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ground, excavates invisible ground, which is difficult to predict change. Many industrial accidents are caused by falling rocks, underground buried materials and falling construction equipment.

특히, 도심지역에서의 흙막이 공사는 상하수도, 가스관에 의한 붕괴 및 폭발로 많은 인명과 경제적 손실을 가져올 수 있으며, 공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력 및 통신의 두절은 도시의 기능과 경제활동까지 마비시키는 바, 이러한 사고가 커다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된 바 있다. In particular, earthquake construction in urban areas can cause many lives and economic losses due to collapse and explosion by water and sewage and gas pipelines. This kind of thinking has become a big social problem.

대형 건물이 근접한 지역에서의 지하 흙막이 공사는 설계시의 작은 오류 하나가 시공시의 커다란 인적, 물적 피해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설계에서부터 시공에 이르기까지 세심한 주의와 고급의 기술을 필요로 한다.Underground block construction in the vicinity of a large building requires careful attention and advanced technology from design to construction because a small error in design can cause great human and material damage during construction.

지하 흙막이 공사시 안전시공을 위한 현장 계측은 인접 구조물 및 흙막이 공사에 있어서 위험을 예측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시공에 비해 별로 중요하지 않게 여겨져 왔지만 현시대에서는 도심지에서의 모든 공사가 지하굴착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계측이 반드시 수반될 필요가 있다.On-site measurement for safety construction in underground masonry construction is the best way to predict hazards in adjacent structures and masonry construction. Although it has been considered insignificant compared to construction, in the present age, all construction work in urban centers is carried out by underground excavation, so measurement must be accompanied.

그러나, 계측에 대한 충분한 지식과 경험이 없다면 계측기의 오류를 발견하거나 사용자의 사용 미숙으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를 예방할 수 없고, 기술자로서의 신뢰를 잃을뿐더러 대형사고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However, without sufficient knowledge and experience in the measurement can not prevent the damage caused by the error of the instrument or inexperienced use of the user, can lose the trust as a technician and can cause a major accident.

따라서, 흙막이 공사현장의 붕괴를 사전에 효과적으로 감지하기 위해서는 흙막이 공사현장의 공법별 특성을 명확히 이해해야 하고, 또한 이에 적합한 계측기를 최적의 위치에 설치하여 다양한 분석항목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기술이 필요하다.Therefore, in order to effectively detect the collapse of the construction site in advance, it is necessary to clearly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nstruction method of the construction site, and also need a technique for comprehensively analyzing various analysis items by installing a suitable measuring instrument at an optimal location.

흙막이 공사현장에서 굴착시 발생하는 붕괴사고는 붕괴 징후 발생 후 급작스럽게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는 특성이 있으며, 붕괴 징후를 감지하였다고 하더라도 적절한 시점에서의 공사 중지 및 대피가 이루어지지 못해 붕괴에 따른 피해가 더욱 커진 사례가 종종 보고되고 있다.Disintegration accidents that occur during excavation at the construction site of the earthquake are characterized by the sudden occurrence of signs of collapse, and even if the signs of collapse are detected, the damage caused by the collapse is more severe because the construction is not stopped and evacuated at the appropriate time. Larger cases are often reported.

개착식 흙막이 공사에서 굴착이 진행됨에 따라 각 공사 단계별 배면토의 자중에 의한 토압, 수압, 인접 구조물의 상재하중 등에 의한 하중 및 외력과 지지 조건 등 다양한 조건들이 가설 흙막이 구조물의 안정에 영향을 주게 된다.As excavation proceeds in the construction of the detachable earthquake, various conditions such as load, external force, and support conditions due to earth pressure, hydraulic pressure, and load loading of adjacent structures in each construction phase affect the stability of the temporary earthquake structure.

특히, 작용 토압은 시공시 벽면의 변위에 수반하여 재분포하게 되고 시공방법 및 지지상태에 의해 수시로 변하므로, 토질 조건, 지하수 및 주위상황 등을 고려하는 동시에 시공 중 계측 관리를 통해 토압 분포의 변화에 주의를 기울임으로써 안정성을 확보하고 인접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In particular, the working earth pressure is redistributed with the displacement of the wall during construction and changes from time to time depending on the construction method and the support stat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ensuring stability and minimizing the impact on adjacent structures.

흙막이 공사에 의한 사고를 예방하려면 지반에 대한 충분한 사전 조사를 실시하여 굴착방법과 굴착시기를 정하고, 작업 중에는 신뢰성 있는 계측 시스템의 적용을 통한 지속적인 안정성 검토 및 안전 점검을 실시하여 위험을 사전에 제거해야 한다. 또한 만약의 사고 발생에 대한 준비와 훈련을 통해 피해를 극소화시키는 노력도 필요하다.In order to prevent accidents due to the construction of the earthquake,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ufficient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the ground to determine the excavation method and excavation time, and during the work, carry out continuous safety review and safety check by applying a reliable measurement system to eliminate the risk in advance. do. There is also a need to minimize damage through preparation and training in case of accidents.

그러나, 구조물과 기초 지반의 거동을 예측하고 안정성을 판단하는 것은 기술자로서 수행하여야 할 주요 과업이지만 현실적으로 그 문제를 만족스럽게 해결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이것은 계획, 설계, 시공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여러 가지의 불확실성 요소(unknown factor)가 산재해 있기 때문이며, 이에 구조물과 지반의 거동은 설계시의 예측과는 상이할 것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구조물이 파괴되는 상황까지 도달할 수 있다. However, predicting the behavior of structures and foundations and determining the stability are the main tasks to be performed by the technician, but in reality it is not easy to solve the problem satisfactorily. This is due to the scattering of many unknown factors throughout the planning, design and construction process, so that the behavior of the structure and the ground will be different from the design expectations, and in some cases the structure will be destroyed. Can be reached.

구조 및 지반에 관한 설계 및 시공에서의 불확실성은 세부적으로 재료, 부재 및 구조, 지반 등의 강도에 관한 불확실성, 하중, 외력의 불규칙적인 변화 및 흙의 자중 등의 하중에 관한 불확실성, 설계 계산에 관한 불확실성으로 구분될 수 있다. Uncertainty in design and construction of structures and grounds is related in detail to uncertainty in terms of strength of materials, members and structures, grounds, uncertainty about loads, irregular changes in external forces, and the weight of soil, and design calculations. Can be distinguished by uncertainty.

이러한 불확실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시공시 관측을 통해 새로운 정보를 입수하여 향후 거동을 다른 방식으로 예측하거나, 당초 예측할 때 사용한 매개변수 값을 수정하여 다시 예측하고 안전을 확인하면서 공사를 진척시키는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매개변수에 관한 정보를 새로운 정보에 의해 업데이트(update)하여 정보화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안도 필요하다. 이는 정확한 현장 계측을 전제로 하며, 계측 정보의 효율적 이용 및 계측 정보를 이용한 정확한 진단을 전제로 한다. In order to overcome such uncertainty, it is necessary to obtain new information through observations during construction to predict future behavior in different ways, or to modify the parameter values used in the initial prediction, to re-predict and to check the safety, and to proceed with construction. . 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for updating the information on the parameter with new information (information construction) to enable construction. This presupposes accurate on-site measurement, and presupposes efficient use of the measurement information and accurate diagnosis using the measurement information.

그러나, 종래에는 현장 계측에 있어서 계측의 목적이나 계측의 종류, 계측기의 선정방법 및 과정, 설치방법, 설치위치, 수량, 설치구조, 계측기의 보수 및 유지관리 등 계측과 관련된 기술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으나, 계측기로부터 얻어지는 정보를 어떻게 활용해야 현장의 정확한 안전진단 결과를 얻을 수 있는지, 또한 안전진단 결과를 반영하여 어떠한 관리가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부재한 실정이다.However, in the field measurement, the techniques related to measurement, such as the purpose of measurement, the type of measurement, the method and method of selecting the instrument, the installation method, the installation location, the quantity, the installation structure, the maintenance and maintenance of the instrument, are well known. However, there is no accurate information on how to use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measuring instrument to obtain accurate safety diagnosis results on the site, and what management should be reflected to reflect the safety diagnosis results.

특히, 종래에는 계측 결과를 기술자에 의해 기 도출된 관리기준치와 단순 비교하는 것만으로 공사현장의 안정성을 평가하고 붕괴를 예측하는 수준이어서, 정확한 예측 및 진단 결과를 얻기 어렵고, 붕괴 등 안전사고의 철저한 예방 및 효과적인 공사 관리를 시행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기존의 관리기준치에 대해서 실제 현장 기술자들의 신뢰도는 낮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In particular, it is a level that evaluates the stability of a construction site and predicts collapse by simply comparing the measurement result with the management standard value derived by the technician, and thus it is difficult to obtain accurate predictions and diagnosis results, and thoroughly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preventive and effective construction management. It is known that the reliability of actual field technicians is low for the existing management standard value.

또한 계측 결과를 기초로 한 공사현장의 관리에 있어서도 기술자의 단순 경험을 통한 비효율적인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많은 경험과 숙련된 고급 인력의 부족으로 인해 안전진단의 결과에 따른 효과적인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붕괴 등의 사고 위험성을 항시 안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In addition, in the management of construction sites based on measurement results, inefficient management through simple experiences of technicians is being carried out. It is true that it is not done properly and always carries the risk of accidents such as collaps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계측기로부터 얻어지는 정보를 활용하여 현장의 정확한 안전진단 결과를 얻을 수 있는 흙막이 공사현장의 붕괴 안전성 평가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evaluating the collapse safety of the earthquake construction site that can obtain accurate safety diagnosis results on site by using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measuring instrument.

특히, 본 발명은 많은 경험과 숙련된 고급 인력 없이도 정확한 안정성 평가가 수행될 수 있고, 높은 신뢰도 수준의 결과 도출로 붕괴 등 안전사고의 철저한 예방 및 효과적인 공사 관리를 시행할 수 있도록 하는 흙막이 공사현장의 붕괴 안전성 평가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without a lot of experience and skilled manpower, accurate stability assessment, high reliability level results in the construction of masonry construction site to enable thorough prevention of safety accidents such as collapse and effective construction management The objective is to provide a method for evaluating collapse safety.

또한 계측된 데이터를 여러 공사현장에서 유용한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안전진단의 결과에 따른 효과적인 관리를 통해 붕괴 등의 사고 위험성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붕괴 안전성 평가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aim is to provide a method for evaluating collapse safety that can be used as useful data at various construction sites and to prevent accident risks such as collapse through effective manage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afety diagnosi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 타 공사현장에서 지중경사계에 의해 계측된 흙막이벽의 수평변위 데이터를 수집 및 축적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축적된 흙막이벽의 수평변위 데이터로부터 흙막이 공법별로 흙막이벽의 수평변위 관리기준치를 산정하는 단계와;a) collecting and accumulating the horizontal displacement data of the retaining wall measured by the underground slope meter at another construction site and making a database, and calculating the horizontal displacement management standard value of th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retaining method from the accumulated horizontal displacement data; ;

b) 붕괴 안전성 평가 대상이 되는 해당 공사현장에서 각 굴착 단계마다 지중경사계에 의해 계측되는 흙막이벽의 수평변위 데이터와 축력계에 의해 계측되는 지보재의 축력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와;b) acquiring the horizontal displacement data of the retaining wall measured by the ground slope system and the axial force data of the support material measured by the axial system at each excavation stage at the construction site to be subjected to the collapse safety evaluation;

c) 상기 해당 공사현장에서 취득된 상기 수평변위 데이터와 축력 데이터의 상관관계를 실시간으로 분석하되, 수평변위와 축력의 상관관계에 따른 경향으로부터 붕괴위험도를 나타내는 붕괴위험등급을 실시간 산정하는 단계와;c) analyzing a correlation between the horizontal displacement data and the axial force data acquired at the corresponding construction site in real time, and calculating a collapse risk level indicating a collapse risk from a trend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orizontal displacement and the axial force;

d) 산정된 붕괴위험등급으로부터 붕괴가중지수 β를 산정하는 단계와;d) estimating the collapse weighting index β from the estimated collapse risk rating;

e) 상기 붕괴가중지수 β를 사용하여 a) 단계에서 산정된 해당 흙막이 공법의 수평변위 관리기준치를 수정하는 단계와;e) using the collapse weighting index β to modify the horizontal displacement management standard value of the soil barrier method calculated in step a);

f) 상기 b) 단계에서 계측된 수평변위 데이터를 상기 e) 단계의 수정된 수평변위 관리치와 비교하여 붕괴 안전성을 판정하는 단계;f) determining collapse safety by comparing the horizontal displacement data measured in step b) with the modified horizontal displacement management value of step e);

를 포함하는 흙막이 공사현장의 붕괴 안전성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
Provides a method for evaluating the collapse safety of the construction site including a.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 공사현장의 붕괴 안전성 평가 방법에 의하면, 안전계수와 붕괴가중지수를 적용한 관리기준치의 수정을 통해 보다 정확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 보다 안정적으로 붕괴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method for evaluating the collapse safety of the earthquake construction si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evaluate the management standard value by applying the safety factor and the decay weighting index, while more effectively preventing the collapse risk. have.

또한 계측기로부터 얻어지는 정보를 활용하여 현장의 정확한 안전진단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많은 경험과 숙련된 고급 인력 없이도 정확한 안정성 평가가 수행될 수 있고, 높은 신뢰도 수준의 결과 도출로 붕괴 등 안전사고의 철저한 예방 및 효과적인 공사 관리를 시행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by using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instrument, accurate safety diagnosis results can be obtained on-site, accurate safety assessment can be performed without many experiences and highly skilled personnel, and thorough prevention of safety accidents such as collapse by obtaining high reliability results And effective construction management.

또한 계측된 데이터를 여러 공사현장에서 유용한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안전진단의 결과에 따른 효과적인 관리를 통해 붕괴 등의 사고 위험성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measured data can be used as useful data in various construction sites, and in particular, effective manage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afety diagnosis can prevent accidents such as collapse in advan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성 평가를 수행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경향 1에서 수평변위와 축력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수평변위와 축력이 모두 증가하는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경향 2에서 수평변위와 축력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수평변위는 증가하지만 축력은 감소 혹은 일정한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경향 3에서 수평변위와 축력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수평변위는 감소 혹은 일정하지만 축력은 증가하는 형상의 도면이다.
도 8은 경향 4에서 수평변위와 축력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수평변위와 축력이 모두 감소 혹은 일정한 형상의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5는 최대수평변위량(δhmax)을 굴착심도(H)로 나누어 정규화하여 나타낸 여러 예의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제 계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붕괴가중지수를 이용하는 흙막이 공사현장 안전성 평가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performing a safety assess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rizontal displacement and the axial force in the trend 1.
3 is a view showing a shape in which both the horizontal displacement and the axial force increases.
4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rizontal displacement and the axial force in tendency 2. FIG.
5 is a diagram showing an increase in horizontal displacement but a decrease or constant shape in axial force.
6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rizontal displacement and the axial force in the trend 3.
7 is a view of a shape in which the horizontal displacement is reduced or constant but the axial force is increased.
8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rizontal displacement and the axial force in the trend 4.
9 is a diagram in which both horizontal displacement and axial force are reduced or uniform.
10 to 15 are diagrams of various examples shown by dividing the maximum horizontal displacement amount δ hmax by digging depth H and normalizing them.
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for evaluating the safety of the construction site using the collapse weighting index based on actual measurement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흙막이 공사현장의 붕괴 안전성을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현장 계측 정보로부터 공사현장의 붕괴 안전성을 평가하고 붕괴 징후를 정확히 예측하여 공사현장의 붕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붕괴 안전성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evaluating the collapse safety of the construction site, and to evaluate the collapse safety of the construction site from the site measurement information and to accurately predict the signs of collapse collapse safety evaluation method to effectively prevent the collapse of the construction site It is about.

주지된 바와 같이, 건물 및 인구가 밀집된 도심지역에서의 지반 굴착이나 흙막이 공사 등은 사고시 엄청난 인적, 경제적 피해 외에도 주변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시공의 계획 단계에서부터 설계 및 시공의 단계마다 철저한 점검이 이루어져야 한다.As is well known, ground excavation and earthquake construction in urban areas with high density of buildings and populations have a great impact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s well as enormous human and economic damage in case of accidents. Therefore, a thorough inspection for each stage of design and construction is required. Should be done.

특히, 시공 과정에서 계측 정보를 이용한 공사현장의 정확한 안전성 평가가 수행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흙막이 공사현장의 정확한 붕괴 원인 분석, 공사현장의 붕괴를 사전에 예측하기 위한 계측항목의 설정, 계측항목별로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계측관리기법 등에 대해서 여러 연구자에 의해 연구가 진행되어 보고된 바 있다. In particular, an accurate safety assessment of the construction site should be carried out using the measurement information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For this purpose, an accurate analysis of the cause of the collapse of the construction site, the setting of measurement items to predict the collapse of the construction site in advance, and the safety of each measurement item The research has been reported by several researchers about the measurement management technique to evaluate the results.

또한 여러 연구자에 의해 계측 결과에 기초하여 흙막이 공사현장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다양한 계측관리기법이 제시되었으며, 미리 설정된 관리기준치와 계측 결과값(실측치)을 비교, 검토하여 그 시점에서 공사현장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절대치관리기법과, 이전 단계의 계측 결과값에 의해 예측된 다음 단계의 예측치와 관리기준치를 대비하여 안전성 여부를 판정하는 기법이 있다. In addition, various measurement management techniques have been proposed by various researchers to evaluate the safety of earthquake construction sites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s, and compare and review the pre-set management standard values and measurement results (actual values). There is an absolute value management technique for evaluating and a technique for determining safety against a next stage predicted value and a management standard value predicted by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previous stage.

이에 대해, 본 발명자는 흙막이 공사의 특성 및 흙막이 공사에 적용되는 계측 시스템을 면밀히 분석하고, 또한 붕괴 특성에 따른 최적의 계측기 활용 방법을 분석한 결과, 흙막이 공사현장의 붕괴 징후는 흙막이벽과 축력의 변화로 반영된다는 것을 도출하여, 붕괴를 사전에 감지하기 위한 최적의 계측기로 흙막이벽의 수평변위를 계측하기 위한 지중경사계와, 지보재(스트러트 등)의 축력을 계측하기 위한 축력계의 사용이 타당함을 확인하였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ors have carefull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rthquake construction and the measurement system applied to the earthquake construction, and also analyzed the optimum method of using the instrument according to the collapse characteristics. It is appropriate to use the ground inclinometer to measure the horizontal displacement of the retaining wall and the axial system to measure the axial force of the support material (strut, etc.) as the optimum measuring device to detect the collapse in advance. It was confirmed.

또한 기존의 관리기준치의 수정 보완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관리기준치의 수정 보완을 위해 흙막이 공법별 국내외 계측 자료를 분석하되, 붕괴 징후를 감지함에 있어서 가장 신뢰성 높은 항목인 흙막이벽의 수평변위를 기준으로 하여, 굴착심도에 따른 수평변위 계측 자료를 통계 분석함으로써, 실제 계측 자료를 바탕으로 한 유의수준 L1% 및 L2%(L1>L2)에 해당하는 1, 2차 수평변위 관리기준치를 수정할 수 있는 안전계수 α를 도출하였다.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e necessity of correcting and supplementing the existing management standard value, and to analyze the measurement data at home and abroad by the earthquake method in order to correct the management standard value, based on the horizontal displacement of the wall, which is the most reliable item in detecting signs of collapse By statistically analyzing the horizontal displacement measurement data according to the drilling depth, safety can be corrected for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displacement management standard values corresponding to the significance level L1% and L2% (L1> L2) based on the actual measurement data. Coefficient α was derived.

아울러, 기존의 관리기준치를 사용하여 평가 대상의 흙막이 공사현장에서 계측기의 실측 데이터 간 상관관계를 추가적으로 분석하고, 계측 데이터의 경향을 토대로 붕괴위험도를 정량화하여 관리기준치에 가중치로 적용할 수 있는 붕괴가중지수 β를 도출하였다. In addition, the existing management standard value is used to further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ctual measurement data of the measuring instrument at the construction site of the evaluation target, and the collapse risk is quantified based on the trend of the measured data and applied as a weight to the management standard value. Index β was derived.

특히, 실제 흙막이 공사현장에서 계측한 흙막이벽의 수평변위(지중경사계로 계측함) 및 지보재의 축력 데이터(축력계로 계측함)를 추가적으로 분석하여, 붕괴 징후를 사전에 직접적으로 예측할 때 활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계측항목인 수평변위와 축력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further analyze the horizontal displacement (measured by underground slope) and the axial force data (measured by the accelerometer) of the earthquake wall measured at the actual construction site to effectively predict the collapse signs in advance. A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orizontal displacement and the axial force.

또한 수평변위와 축력의 계측 결과 경향을 4가지로 구분하여 계측 경향별 붕괴위험지수를 4가지로 구분하여 도출하고, 이를 가중치의 개념으로 관리기준치에 적용하여 붕괴위험 상황에 대해 미연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는 관리기법을 도출하였다. In addition, the measurement results of horizontal displacement and axial force a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and the decay risk indexes for each measurement trend a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A management technique was derived.

우선,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성 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First, 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performing a safety assess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흙막이 공사현장의 붕괴 안전성 평가 시스템은, 흙막이 공사현장의 현장상태나 흙막이벽이나 지반, 각종 구조물 등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계측하기 위해 설치된 다수의 계측기(11)를 포함하는 계측 시스템(10)과, 상기 각 계측기(11)에 의해 취득되는 계측 데이터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송수신부(14)와, 상기 송수신부(14)를 통해 전송되는 각 계측기의 계측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21)에 저장하고 상기 계측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해당 공사현장에 대해 붕괴 안전성 평가를 수행하는 감시 컴퓨터(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the collapse safety evaluation system of the masonry construction site, a measurement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measuring instruments 11 installed to measure in real time the state of the site of the masonry construction site, the state of the wall, ground, various structures, etc. (10), 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4 for transmitting wirelessly or wired measurement data obtained by the respective measurement units 11, and measurement data of each measurement unit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4 in a database ( 21) and a monitoring computer 20 for performing a collapse safety assessment on the construction site based on the measured data.

상기한 구성에서, 계측 시스템(10)은 흙막이벽체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다수의 계측기로 구성될 수 있는데, 통상 흙막이벽체의 붕괴 감지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계측기로는 지중경사계, 지하수위계, 층별침하계, 스트러트 응력계, 스트러트 축력계, 띠장 응력계, 간극수압계, 지표수압계, 지표침하계, 토압계 등이 있으며, 흙막이벽의 붕괴 감지 관점에서 각 계측기별 용도는 아래와 같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measurement system 1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measuring instruments for detecting the state of the wall, the measuring instrument that is usually used for the detection of the collapse of the wall, such as underground slope meter, groundwater level meter, floor settler , Strut stress gauge, strut axial force gauge, band stress gauge, pore water pressure gauge, surface water pressure gauge, surface sedimentation system, earth pressure gauge, and so on.

- 지중경사계 : 흙막이벽의 변형 감시-Underground Gradient: Deformation monitoring of earth wall

- 지하수위계 : 지하수위 상승에 의한 토압 증가 환경 감시-Groundwater Level Monitor: Earth pressure increase environment monitoring by groundwater level rise

- 층별침하계 : 흙막이벽의 지층별 침하 환경 감시-Floor settling system: Monitoring of settlement surface by layer of earth wall

- 스트러트 응력계 : 지보재가 감당하는 응력 감시-Strut stress gauge: monitors the stress of supporting material

- 스트러트 축력계 : 흙막이벽으로부터 지보재에 전달되는 외력 감시-Strut Aximeter: External force monitoring transmitted from the retaining wall to the support

- 띠장 응력계 : 흙막이벽으로부터 띠장에 전달되는 응력 감시-Band stress gauge: monitoring the stress transmitted from the earth wall to the band

- 간극수압계 : 지반의 유효응력 변화 감시-Pore water pressure gauge: Change of effective stress of ground

- 지표침하계 : 지표면의 침하 감시Surface subsidence: Surface subsidence monitoring

- 토압계 : 지반의 압력상태 감시-Earth pressure gauge: Ground pressure monitoring

또한 송수신부(14)는 계측기로부터 실시간 계측되는 데이터를 감시 컴퓨터(20)에 전송하기 위한 구성부로서, 통상의 상용 통신모듈이 될 수 있으며, 예컨대 무선랜(WLAN) 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이 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ansceiver 14 is a component for transmitting the data measured in real time from the measuring instrument to the monitoring computer 20, may be a normal commercial communication module, for example, a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wireless LAN (WLAN) communication Can be.

감시 컴퓨터(20)는 각 계측기로부터 송수신부(14)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환산 및 보정하여 사용 가능한 계측 데이터로 수집하고, 수집된 계측 데이터를 적용된 공법을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21)에 저장하며, 또한 수집된 계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공사현장의 안전성 평가를 수행하는 구성부이다. The monitoring computer 20 converts and receives data received from each measuring instrument through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14 into collected measurement data, and stores the collected measurement data in the database 21 by classifying the applied method. It is a component that performs safety evaluation of construction site in real time using collected measurement data.

물론, 감시 컴퓨터(20)는 계측 데이터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수신 또는 송신(하기 통합 감시 서버 또는 타 공사현장의 감시 컴퓨터로 송신)하기 위한 자체 송수신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감시 컴퓨터(20)의 송수신부는 공지된 상용 통신모듈이 될 수 있으며, 예컨대 무선랜(WLAN) 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이 될 수 있다. Of course, the monitoring computer 20 is provided with its own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not shown) for receiving or transmitting measurement data wirelessly or by wire (transmitted to an integrated monitoring server or a monitoring computer at another construction site).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of the monitoring computer 20 may be a known commercial communication module, for example, may be a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wireless LAN (WLAN) communication.

상기 감시 컴퓨터(20)는 송수신부(14)로부터 수신되는 수평변위 및 축력 등의 데이터를 붕괴 안전성 평가에 사용 가능한 데이터로 가공한 뒤 데이터베이스(21)에 저장하는 동시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계측 데이터(수평변위 및 축력)의 경향 분석, 붕괴위험등급 산정, 붕괴가중지수 산정, 공법별 관리기준치 산정(관리기준치 수정), 계측 데이터와 관리기준치의 비교, 위험 경보 등의 단계를 거치는 안전성 평가를 수행하게 된다. The monitoring computer 20 processes data such as horizontal displacement and axial force received from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4 into data usable for the collapse safety evaluation, and stores the data in the database 21. Safety assessment through the analysis of trends of horizontal displacement and axial force, calculation of collapse risk level, calculation of collapse weighting index, calculation of management standard value (correction of management standard value) by each method, comparison of measured data and management standard value, risk alarm, etc. do.

또한 감시 컴퓨터(20)는 경보 시스템(22)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때 경보 시스템(22)은 감시 컴퓨터(20)로부터 안전성 평가 결과에 따라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위험 경보를 발생시켜 출력함으로써 외부에 위험 상황을 경고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monitoring computer 20 may be connected to the alarm system 22, in which the alarm system 22 generates a danger alarm by a signal output from the monitoring computer 20 according to the safety evaluation result and outputs the danger alarm. You will be alerted.

이와 함께 감시 컴퓨터(20)는 타 공사현장의 감시 컴퓨터(40)로부터 타 공사현장의 계측 데이터를 전송받는 통합 감시 서버(30)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해당 공사현장의 계측 데이터를 통합 감시 서버(30)에 전송하거나, 통합 감시 서버(30)로부터 타 공사현장의 계측 데이터를 수신받게 된다. 이때 감시 컴퓨터(20)는 통합 감시 서버(30)로부터 수신되는 타 공사현장의 계측 데이터를 공법별로 데이터베이스(21)에 저장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monitoring computer 20 may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integrated monitoring server 30 that receives the measurement data of the other construction site from the monitoring computer 40 of the other construction site, and monitors the measurement data of the construction site. Transmission to the server 30, or receives the measurement data of the other construction site from the integrated monitoring server (30). At this time, the monitoring computer 20 stores the measurement data of the other construction site received from the integrated monitoring server 30 in the database 21 for each construction method.

또한 감시 컴퓨터(20)는 타 공사현장의 감시 컴퓨터(40)와 직접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이때 타 공사현장의 계측 데이터를 직접 수신받아 해당 공법을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21)에 저장하게 되고, 타 공사현장에서 전송된 계측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데이터베이스(21)에 축적하여 활용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monitoring computer 2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monitoring computer 40 of the other construction site, and at this time to receive the measurement data of the other construction site directly to separate the corresponding method and stored in the database 21, The measurement data transmitted from other construction sites is continuously accumulated and utilized in the database 21.

이하, 감시 컴퓨터에서 수행되는 붕괴 안전성 평가 과정에 대해 상술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collapse safety evaluation process performed in the monitoring compu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 따른 붕괴 안전성 평가 과정은, a) 타 공사현장에서 지중경사계에 의해 계측된 흙막이벽의 수평변위 데이터를 수집 및 축적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축적된 흙막이벽의 수평변위 데이터로부터 흙막이 공법별로 흙막이벽의 수평변위 관리기준치를 산정하는 단계와; b) 붕괴 안전성 평가 대상이 되는 해당 공사현장에서 각 굴착 단계마다 지중경사계에 의해 계측되는 흙막이벽의 수평변위 데이터와 축력계에 의해 계측되는 지보재의 축력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와; c) 상기 해당 공사현장에서 취득된 상기 수평변위 데이터와 축력 데이터의 상관관계를 실시간으로 분석하되, 수평변위와 축력의 상관관계에 따른 경향으로부터 붕괴위험도를 나타내는 붕괴위험등급을 실시간 산정하는 단계와; d) 실시간 산정된 붕괴위험등급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붕괴가중지수를 산정하는 단계와; e) 상기 붕괴가중지수 β를 사용하여 a) 단계에서 산정된 해당 흙막이 공법의 수평변위 관리기준치를 수정하는 단계와; f) 상기 b) 단계에서 계측된 수평변위 데이터를 상기 e) 단계의 수정된 수평변위 관리치와 비교하여 붕괴 안전성을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ocess of evaluating the collapse safe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llecting and accumulating the horizontal displacement data of the earthquake wall measured by the ground slope system at another construction site and making a database, and storing the earthquake wall by the earthquake method from the accumulated horizontal displacement data of the earthquake wall. Calculating a horizontal displacement management reference value of the; b) acquiring the horizontal displacement data of the retaining wall measured by the ground slope system and the axial force data of the support material measured by the axial system at each excavation stage at the construction site to be subjected to the collapse safety evaluation; c) analyzing a correlation between the horizontal displacement data and the axial force data acquired at the corresponding construction site in real time, and calculating a collapse risk level indicating a collapse risk from a trend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orizontal displacement and the axial force; d) calculating a predetermined collapse weighting index from the real-time calculated collapse risk rating; e) using the collapse weighting index β to modify the horizontal displacement management standard value of the soil barrier method calculated in step a); and f) comparing the horizontal displacement data measured in step b) with the modified horizontal displacement management value of step e) to determine the collapse safety.

여기서, 상기 e) 단계에서 수정된 수평변위 관리기준치는 상기 a) 단계에서 산정된 수평변위 관리기준치와 상기 d) 단계에서 산정된 붕괴가중지수 β에 의해 구해진다.Here, the horizontal displacement management reference value modified in step e) is obtained by the horizontal displacement management reference value calculated in step a) and the collapse weighting index β calculated in step d).

먼저, 본 발명자는 계속된 연구를 통해 상기한 계측기 중 흙막이 공사현장의 붕괴 안전성 평가를 위한 중요 계측기가 지중경사계와 축력계가 될 수 있음을 도출하였다. 상기 지중경사계는 벽체의 변형(수평변위)을 측정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축력계는 지보재의 축력을 측정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다. 이들 계측기는 흙막이벽의 거동을 직접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계측기가 되며, 흙막이 공사현장에서 붕괴 징후는 지중경사계와 축력계를 통해 직접 나타남을 확인하였다.First, the present inventors have derived through the continued research that the important instruments for evaluating the collapse safety of the construction site of the above-mentioned measuring instrument can be a ground slope and an axial force meter. The underground inclinometer is installed to measure the deformation (horizontal displacement) of the wall, and the axial system is installed to measure the axial force of the support. These instruments are the most effective instruments to directly grasp the behavior of the retaining wall,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signs of collapse in the retaining construction site are shown directly by the underground slope and the axial force meter.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흙막이 공사에 적용되는 대표적인 공법으로는 H-파일+토류판, CIP, SCW, 널말뚝, 지하연속벽, 슬러리 월(slurry wall)을 들 수 있고, 이들 공법에서는 흙막이 공법의 특성상 흙막이벽의 구성에 차이가 존재할 뿐 모든 공법에서 스트러트, 즉 지보재가 사용되고 있다. 지보재는 흙막이벽의 변형을 제어하기 위한 필수 부재이며, 따라서 흙막이 공법과 관계없이 흙막이를 구성하는 공통된 주요 부재는 흙막이벽과 지보재가 된다. In more detail, representative methods applied to the earthquake construction include H-pile + earth plate, CIP, SCW, board pile, underground continuous wall, and slurry wall. In these methods, the earthquake wall i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rthquake process.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composition of the struts, that is, struts, or support materials, are used in all construction methods. The support material is an essential member for controlling the deformation of the retaining wall, and thus, the common main members constituting the retaining wall regardless of the retaining method are the retaining wall and the retaining material.

이때 지중경사계와 축력계는 지보재의 파괴 및 흙막이벽의 붕괴를 감시하기 위한 계측기로서 가장 기초적인 지반 계측기이며, 붕괴 징후는 반드시 지중경사계와 축력계로 감지될 수 있어 이들의 사용은 필요하다. 변위 및 그에 기인한 외력의 증가는 변형률에 비해 더욱 정확하게 정량적인 구조물의 거동 평가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지중경사 및 지보재의 축력을 계측하기 위한 계측기가 변형률을 측정하기 위한 계측기보다 상대적으로 계측결과가 정확할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구조물의 거동 특성을 반영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ground inclinometer and the axial system are the most basic ground measuring instruments to monitor the destruction of the support materials and the collapse of the retaining wall, and the signs of collapse can be detected by the ground inclinometer and the axial system. The displacement and the resulting increase in external force allow for a more accurate quantitative assessment of the behavior of the structure compared to the strain. In addition, the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axial force of the ground slope and the support material is relatively accurate than the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strain, and can reflect the overall behavior of the structure.

따라서, 흙막이 공사현장에서 지중경사계와 하중계를 사용한 지보재 축력계를 조합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센서에서의 응답이 상호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계측 결과 역시 동시에 유기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다. 또한 흙막이 공사현장의 사고는 지보재의 파괴 및 흙막이벽의 붕괴로 인해 발생하며, 이러한 지보재의 파괴 및 흙막이벽의 붕괴를 직접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계측기가 바로 지중경사계와 축력계이다.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install the ground slope meter and the load bearing axial system using the load gauge at the construction site. Since the response from each sensor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the measurement results can be analyzed at the same time. Have In addition, the accident at the construction site of the earthquake construction site is caused by the destruction of the support material and the collapse of the retaining wall, and the measuring instruments that can directly monitor the destruction of the support material and the collapse of the retaining wall are the underground inclinometer and the axial system.

물론 공사현장의 붕괴 징후를 사전에 예측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다양한 계측기의 계측 결과를 모두 종합하여 통합 분석을 수행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고 바람직하지만, 흙막이 공사현장의 현실을 고려할 때 모든 현장에 다양한 계측기를 적절하게 배치할 수 없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Of course, in order to predict the signs of collapse of the construction site in advance, it is most accurate and desirable to perform the integrated analysis by combining all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various measuring instruments described above, but considering the reality of the construction site, various measuring instruments are appropriate for all sites. It is a well-known fact that it cannot be arranged.

흙막이 공사현장에서의 붕괴사고는 흙막이벽과 지보재의 붕괴에서 시작하며, 이는 지중경사계와 축력계를 통해 계측이 가능한 바, 계측의 중요도를 감안할 때 실제 현장에서 가장 중요한 계측항목인 지중경사, 즉 흙막이벽의 수평변위와 지보재의 축력은 반드시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붕괴사고는 반드시 흙막이벽의 붕괴에 의해 발생하므로 이를 직접적으로 감시하는 지중경사계를 가장 중요한 분석 계측항목으로 선정하는 것이 타당하다.The collapse accident at the construction site starts with the collapse of the retaining wall and the support material, which can be measured by the underground inclinometer and the axial force meter, and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the measurement, the ground slope, that is, the earthquake, It is desirable to measure the horizontal displacement of the wall and the axial force of the support. In particular, since the collapse accident is necessarily caused by the collapse of the retaining wall, it is reasonable to select the underground slope meter as the most important analysis measurement item.

다만, 추가적인 계측기의 사용이 가능한 경우, 그 계측 결과는 붕괴 감지 관점에서 지중경사와 축력의 증가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간접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스트러트 응력계와 띠장 응력계 등은 직접적으로 붕괴를 감시하는 계측기로 분류할 수 있지만, 응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진동현식 변형률계는 다양한 외부 환경적 요인에 따라 계측 결과값이 변동 가능하여 그 신뢰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흙막이 공사현장의 붕괴사고를 예측하는데 변형률계를 주된 계측기로 활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지중경사계와 축력계의 계측 결과 분석에서 보조 자료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if additional instruments are available, the results can be used as indirect data to analyze the factors that increase ground slope and axial force from the point of view of collapse detection. The strut stress gauge and the band stress gauge can be categorized as the instruments that directly monitor the collapse.However, the vibration strain gauges commonly used to measure stress can vary the measurement results according to various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Because of its relatively low reliability, it is not advisable to use the strain gauge as the main measuring instrument to predict collapse accidents at the construction site, and it is desirable to use it as an auxiliary data when analyzing the measurement results of underground inclinometers and axial meters.

상기한 지중경사계(12)는 통상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흙막이벽(1)의 배면 지중이나 절개지 사면 등에 설치가 가능하고, 상기 축력계(13)로는 단계별 굴착에 따른 지보재, 즉 스트러트 축력의 변화상태를 계측할 수 있게 스트러트(2)와 잭(jack) 사이에 하중계를 부착하여 축력을 측정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3 참조). 지중경사계(12) 및 축력계(13) 외에 추가적인 계측기를 사용하는 경우 지중경사계 및 축력계와 마찬가지로 각 계측기는 통상의 현장 계측에 준하여 설치방법과 위치를 선정하여 설치한다. The underground slope system 12 can be installed on the back ground or incision slope of the earth wall 1 as in the usual case, and the axial meter 13 shows the state of change of the support material, that is, the strut axial force according to the stepwise excavation. It is possible to attach a load gauge between the strut 2 and the jack so that the measurement can be made so that the axial force can be measured (see FIG. 3). In the case of using additional measuring instruments in addition to the underground inclinometer 12 and the accelerometer 13, each measuring instrument is installed by selecting the installation method and lo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field measurement as in the case of the inclinometer and the accelerometer.

전술한 바와 같이, 흙막이 공사현장의 붕괴 예측은 지중경사계를 이용하여 계측된 흙막이벽의 수평변위와 축력계를 이용하여 계측된 지보재(스트러트)의 축력으로 평가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는 다수의 공사현장에서 실제 계측된 수평변위와 축력 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수평변위와 축력의 실측치를 분석하여 지중경사계와 축력계의 데이터 간에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흙막이벽의 수평변위는 이를 지지하고 있는 지보재의 축력의 증가로 나타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t is most effective to estimate the collapse of the earthquake construction site by the horizontal displacement of the earthquake wall measured using the ground slope system and the axial force of the strut measured using the axial system.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analyzed the horizontal displacement and axial force data actually measured at a number of construction sites, and analyzed the actual displacement values of the horizontal displacement and axial force, and confirmed that there is a close correlation between the data of the ground slope system and the axial force system. In other words, the horizontal displacement of the retaining wall appears as an increase in the axial force of the support material supporting it.

그러나, 현장 및 지반 특성에 따라 수평변위의 증가가 바로 지보재의 축력의 증가로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일반적이지 않은 경우 흙막이 공사현장의 붕괴 징후를 판단함에 있어서 지중경사계와 축력계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종합 분석하여 붕괴위험도를 주의 깊게 평가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흙막이 공사현장의 정확한 붕괴 예측을 위해서는 지중경사계와 축력계의 데이터 경향에 따라 붕괴위험도를 재평가하는 방법을 적용한다.However, depending on the site and the ground characteristics, the increase in the horizontal displacement often does not appear as an increase in the axial force of the support. In such unusual cases, the risk of collapse should be carefully assessed by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data from the ground slope and axial force meters in determining signs of collapse at the construction site.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curately predict the collapse of the earthen construction site, a method of reassessing the collapse risk according to the data trend of the underground slope system and the axial system is applied.

우선, 수평변위와 축력과의 데이터 경향을 다음과 같이 4가지의 경우로 구분하며, 이러한 4가지의 데이터 경향은 기본적으로 수평변위 증가는 축력의 증가를 수반한다는 것에 근거하고 있고, 따라서 데이터 경향은 수평변위와 출력의 증가 패턴에서 경향이 변경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한다.First, the data trends between horizontal displacement and axial force are divided into four cases as follows. These four data trends are basically based on the fact that the increase in horizontal displacement entails an increase in axial force. It is based on the point at which the trend changes in the pattern of horizontal displacement and increase in output.

경향 1 : 수평변위와 축력이 모두 증가하는 경우Trend 1: When both horizontal displacement and axial force increase

경향 2 : 수평변위는 증가하지만 출력은 감소 혹은 일정한 경우Trend 2: When the horizontal displacement increases but the output decreases or is constant

경향 3 : 수평변위는 감소 혹은 일정하지만 축력은 증가하는 경우Trend 3: The horizontal displacement decreases or is constant but the axial force increases

경향 4 : 수평변위와 축력이 모두 감소 혹은 일정한 경우Trend 4: When both horizontal displacement and axial force are reduced or constant

위의 4가지 경향에 대해 보다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The above four trend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경향 1Trend 1

도 2는 경향 1에서 수평변위와 축력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수평변위와 축력이 모두 증가하는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부호 1은 흙막이벽을, 도면부호 2는 지보재, 즉 스트러트를 나타낸다. 또한 도면부호 12는 지중에 설치된 지중경사계를, 도면부호 13은 스트러트에 설치된 축력계를 나타낸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horizontal displacement and axial force in Trend 1, and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hape in which both horizontal displacement and axial force increase. Reference numeral 1 denotes an earth wall, and reference numeral 2 denotes a support member, that is, a strut. Reference numeral 12 denotes an underground inclinometer installed in the ground, and reference numeral 13 denotes an axial system installed in the strut.

수평변위와 축력이 모두 증가하는 경우인 경향 1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흙막이벽(1)에서 발생한 변위로 인해 흙막이벽을 지지하는 지보재(2)가 부담하는 하중이 증가하는 경우로, 가장 일반적인 수평변위와 축력의 데이터 상관관계에 해당한다. 도 3과 같이 지하수위 상승 혹은 배면 지반의 상재하중 증가 등의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흙막이벽에 작용하는 주동토압이 증가하게 되나, 적절한 시기에 지보재를 설치하지 못하였거나 시공 측면에서의 문제로 인해 흙막이벽의 강성 저하 등으로 벽체의 수평변위가 발생하면, 수평변위 발생 위치와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지보재는 변위가 발생하기 전보다 많은 하중을 부담하게 된다. 따라서, 지보재가 부담하는 하중을 측정하는 축력계(13)에서의 데이터가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계측 경향은 수평변위 발생에 따라 일반적인 현상으로 계측 데이터의 신뢰도를 평가하는데도 지표가 되는 경향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경향으로 수평변위 및 축력이 관리기준치 이하로 발생하고 있을 경우에는 지극히 정상적인 데이터가 계측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기준치 범위 내에서 수평변위와 축력이 모두 증가하는 경향인 경우 해당 흙막이 공사현장의 붕괴위험도를 본 발명에서는 2(Ⅱ)등급으로 설정한다.
Trend 1, which is a case where both the horizontal displacement and the axial force increases, is the case in which the load on the support member 2 supporting the retaining wall increases due to the displacement generated in the retaining wall 1, as shown in FIG. Corresponds to the data correlation between horizontal displacement and axial force. As shown in Figure 3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rising groundwater level or increase in the load of the back ground, the main earth pressure is increased to act on the retaining wall, the earth retaining wall was not installed at the appropriate time or due to problems in the construction side When the horizontal displacement of the wall occurs due to a decrease in the rigidity, the support material install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horizontal displacement occurrence position bears more load than before the displacement occurs. Therefore, it appears that the data in the axial force meter 13 which measures the load which the support material bears increases. This measurement tendency is a general phenomenon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horizontal displacement, and can be said to be an index for evaluating the reliability of measurement data. If the horizontal displacement and the axial force are below the management standard due to this tendency, it can be estimated that extremely normal data are being measured.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orizontal displacement and the axial force tend to increase within the management standard value, the risk of collapse of the construction site is set to 2 (II) in the present invention.

경향 2Trend 2

도 4는 경향 2에서 수평변위와 축력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수평변위는 증가하지만 축력은 감소 혹은 일정한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4 is a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rizontal displacement and the axial force in the trend 2, Figure 5 is a view showing the horizontal displacement increases but the axial force is reduced or constant shape.

경향 2는 도 4와 같이 수평변위와 축력이 모두 증가하다가 어느 순간 수평변위는 관리기준치까지 계속 증가하지만 축력은 오히려 감소 혹은 일정한 경우이다. 이러한 경향 2는 흙막이벽(1)의 강성이 부족하거나 과도한 변위로 인해 흙막이벽의 변위가 전이되는 현상으로 인해 발생한다. 이러한 아칭(arching) 현상은 흙막이벽(1)의 변위가 발생한 부분에서 흙막이벽이 구조적으로 기능을 상실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매우 중요한 붕괴 징후로 판단할 수 있다. 도 5의 평면도에서 알 수 있듯이 변위가 발생한 흙막이벽(1)에서 더 이상 변위를 감당하지 못하고 주변 벽체로 변위가 이전되는 현상이며, 이 경우 매우 위험한 현장상황이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실측 데이터를 기준으로 분석할 때 굴착 공정에 따라 관리기준치와 비교하여 매우 작은 수평변위 및 축력이 발생하고 있는 시점에 변위 증가에 따라 축력이 다소 감소 혹은 일정한 경향 2의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붕괴 징후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단순 시점의 데이터만을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굴착 단계별로 계측 데이터를 누가적으로 경향 분석을 실시하여야 한다. 즉, 관리기준치와 어느 정도 유사한 값까지 수평변위와 축력이 증가하다가 어느 시점부터 수평변위는 계속 증가하는데 축력은 감소 혹은 일정한 값을 유지하는 데이터 경향이 일정 기간 나타나는 경우에는 일단 즉시 공사를 중단하고, 해당 위치에서의 벽체 변형 형상과 지보재의 변형 유무 등을 확인한다. 또한 이러한 경향이 발생한 시점에서의 변위 및 축력 데이터가 관리기준치보다 더 작은 값이라도 수평변위가 계속적으로 증가하는데 출력이 감소 혹은 일정한 경향이 일정 기간 더 계속된다면, 구조물의 점검 및 지하수위계, 지표침하계, 변형률계 등 다양한 계측기의 데이터에 대해서 정밀 분석을 실시하여 공사 중지, 보강대책 및 설계변경 실시 여부 등을 판단한다. 이와 같이 벽체 기능 상실에 따른 수평변위 증가와 축력계 하중 감소 경향은 붕괴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은 위험한 경우이므로, 본 발명에서 경향 2의 경우 흙막이 공사현장의 붕괴위험도를 수평변위를 기준으로 평가함에 있어서 위험등급이 가장 높은 1(Ⅰ)등급으로 설정한다.
Trend 2 is a case where both the horizontal displacement and the axial force increases as shown in FIG. 4, but at one point the horizontal displacement continues to increase until the management reference value, but the axial force decreases or is constant. This tendency 2 occurs due to the phenomenon that the displacement of the retaining wall transitions due to insufficient rigidity or excessive displacement of the retaining wall 1. This arching phenomenon is caused by the structural failure of the retaining wall in the part where the displacement of the retaining wall 1 occurs, and can be judged as a very important sign of collapse. As can be seen in the plan view of FIG. 5, the displacement of the retaining wall 1 can no longer handle the displacement and the displacement is transferred to the surrounding wall. In this cas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scene situation is very dangerous. On the other hand, when analyzing based on the measured data, the axial force may decrease or become constant tendency 2 as the displacement increases at the time when a very small horizontal displacement and axial force are generated according to the excav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excavation process. Therefore, in order to determine the signs of collapse, not only the data of a simple time point should be analyzed, but also the trend analysis of the measurement data should be carried out in the excavation stage. In other words, if the horizontal displacement and axial force increase to a value similar to the management standard value and the horizontal displacement continues to increase from a certain point, but the axial force decreases or maintains a constant value, there is a tren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Check the wall deformation shape and support material deformation at the location. Also, even if the displacement and axial force data at the time when this tendency occurs is smaller than the control standard value, the horizontal displacement continues to increase, but if the output decreases or if the constant tendency continue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structure inspection, groundwater level and ground subsidence And analyze the data of various measuring instruments such as strain gauges to determine whether to stop construction, reinforcement measures and design changes. As such, the tendency of increasing horizontal displacement and decreasing axial force load due to wall function loss is a dangerous case in which collapse is very likely.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case of tendency 2, the risk of collapse of the construction site is evaluated based on the horizontal displacement. The risk level is set to the highest class 1 (Ⅰ).

경향 3Trend 3

도 6은 경향 3에서 수평변위와 축력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수평변위는 감소 혹은 일정하지만 축력은 증가하는 형상의 도면이다. 6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rizontal displacement and the axial force in the trend 3, Figure 7 is a view of a shape in which the horizontal displacement is reduced or constant but the axial force increases.

도 6과 같이 수평변위는 감소 혹은 일정하지만 축력이 증가하는 경우는 실제 현장에서는 드문 경향으로, 수동토압 발생 혹은 도 7과 같이 지중경사계(12)와 흙막이벽(1) 사이의 지반 압밀에 의한 현상인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도 7에서와 같이 지중경사계(12)는 일반적으로 흙막이벽(1) 배면 1m 이내 지중에 수직방향을 따라 매설하여 설치하며, 설치된 지중경사계(12)로부터 획득되는 데이터는 원칙적으로 흙막이벽 배면 지반의 변형이지만, 흙막이 공사 계측에서의 지중경사계(12)의 데이터는 흙막이벽(1)과 경사계(12) 사이의 간격을 일반적으로 무시하고 지중경사계(12)의 데이터를 흙막이벽(1)의 변형이라 간주하여 평가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흙막이벽(1)과 지중경사계(12) 사이의 지반조건이 양호하고 조밀한 경우에는 하나의 강성체로 가정한 일반적인 평가방법으로 흙막이벽의 변위를 평가하여도 실제 변위와 지중경사계의 변위가 매우 근사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흙막이벽과 지중경사계 사이의 지반조건이 불량하지 않고 조밀하지 않은 경우에는 지중경사계에서 감지된 변형이 흙막이벽의 변형으로 바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도 7에서와 같이 흙막이벽(1)과 지중경사계(12) 사이의 지반에서 압밀 현상과 유사한 형태로 지중경사계의 변형을 지반에서 일부 흡수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흙막이벽(1)의 변형으로 나타나지 않는 반면 지보재(2)가 부담하는 하중으로는 나타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향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더라도 수평변위와 축력의 관리기준치 범위 내에서 발생하는 경우 붕괴에 대한 직접적인 징후로 판단하기보다는 수평변위의 감소 원인을 지표침하계, 지하수위계 등과 같은 다양한 계측기를 활용하여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수평변위와 축력의 관리기준치와 비교하여 일반적인 계측 관리를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경향 3의 경우를 흙막이 공사현장의 붕괴위험도를 수평변위를 기준으로 평가함에 있어서 위험등급 3(Ⅲ)등급으로 설정한다.
As shown in FIG. 6, the horizontal displacement decreases or is constant, but the increase in the axial force is a rare tendency in the actual site. The phenomenon caused by manual earth pressure or ground consolidation between the ground slope system 12 and the soil wall 1 as shown in FIG. It can be evaluated as being. As shown in FIG. 7, the ground slope system 12 is generally installed in the ground within 1m of the earth wall 1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data obtained from the installed ground slope system 12 is, in principle, of the ground wall of the earth wall. Although it is a variation, the data of the ground slope system 12 in the measurement of the wall construction generally ignores the gap between the wall 1 and the inclinometer 12, and the data of the ground slope system 12 is called the deformation of the barrier wall 1. Will be evaluated. In this case, when the soil condition between the retaining wall (1) and the ground slope system (12) is good and dense, the actual displacement and the displacement of the ground slope system will not change even if the displacement of the retaining wall is evaluated by a general evaluation method that assumes one rigid body. It looks very nice. However, if the ground condition between the retaining wall and the ground slope system is not poor and not dense, the deformation detected in the ground slope system may not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deformation of the retaining wall.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7, in the ground between the retaining wall 1 and the ground slope system 12, a phenomenon in which the deformation of the ground slope system is partially absorbed in the ground occurs, which is the retaining wall 1. While not appearing as a deformation of the support material (2) may appear as a load to bear. Even if this tendency occurs continuously, if it occurs within the horizontal displacement and axial force control ranges, the cause of horizontal displacement reduction is determined by using various instruments such as surface subsidence and groundwater level, rather than being a direct indication of collapse. It is important to carry out general measurement control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values of horizontal displacement and axial force.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of tendency 3 is set to risk class 3 (III) in evaluating the collapse risk of the construction site based on the horizontal displacement.

경향 4Trend 4

도 8은 경향 4에서 수평변위와 축력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수평변위와 축력이 모두 감소 혹은 일정한 형상의 도면이다. FIG. 8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rizontal displacement and the axial force in the trend 4, and FIG. 9 is a diagram in which both the horizontal displacement and the axial force are reduced or uniform.

도 8과 같이 수평변위와 축력이 모두 감소 혹은 일정한 경우의 경향 4는 굴착 공정에 따라 지보재(2)의 설치 개수 증가에 따른 흙막이벽(1)의 강성도 확보, 지하수위 하강으로 인한 주동토압 감소, 수동토압 발생, 흙막이벽 보강으로 인한 강성 증가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흙막이벽에 변위를 발생시키는 요인이 작아졌을 때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수평변위와 축력이 일정한 경우에는 해당 시점에서 흙막이벽(1)과 지보재(2)에 작용하는 일정한 토압 및 하중을 흙막이벽과 지보재가 적절하게 부담하고 있는 상황이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9와 같이 수동토압이 크게 발생한 경우 수평변위와 축력이 갑자기 모두 감소하는 경향이 관측될 수 있지만 이러한 경우는 많지 않으며, 이 경우에도 관리기준치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수평변위와 축력이 모두 증가하는 경향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계측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수평변위와 축력이 증가하다 감소 혹은 일정한 경우로 돌아서는 경향은 수평변위가 음(-)의 값, 축력이 인장으로 돌아서지 않는다면, 계측 관리 측면에서는 토압의 증가로 흙막이벽 및 지보재가 부담하는 하중이 감소한 경우이므로 붕괴 가능성이 가장 적은 경우로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경향 4의 경우 흙막이 공사현장의 붕괴위험도를 수평변위를 기준으로 평가함에 있어서 붕괴 가능성이 가장 낮은 위험등급 4(Ⅳ)등급으로 설정한다. As shown in FIG. 8, the trend 4 when both the horizontal displacement and the axial force decreases or is constant is to secure the stiffness of the retaining wall 1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installations of the supporting members 2 according to the excavation process, and to reduce the main earth pressure due to the lowering of the groundwater level. It can occur when the factors causing displacement on the retaining wall are reduced due to various causes such as manual earth pressure and increased rigidity due to the reinforcement of the retaining wall. In addition, when the horizontal displacement and the axial force is constant,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retaining wall and the supporting material bear appropriate constant earth pressure and load acting on the retaining wall 1 and the supporting material 2 at that time. On the other hand, when the manual earth pressure is large, as shown in FIG. 9, both the horizontal displacement and the axial force may suddenly decrease, but such cases are not many, and even in this case, the horizontal displacement and the axial force do not exceed the management standard value. Measurement management can b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all trends 1 increase. In other words, the horizontal displacement and the axial force increase or decrease, or the tendency to return to a constant case, if the horizontal displacement does not turn to a negative value and the axial force does not turn to tension, the earthquake wall and support material are burdened by the increase of earth pressure in terms of measurement management. This is the case that the load is reduced, so it can be evaluated as the case with the least possibility of collapse.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the trend 4, the risk of collapse is set to the risk level 4 (IV) class having the lowest possibility of collapse in evaluating the collapse risk of the construction site based on the horizontal displacement.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수평변위 데이터와 축력 데이터의 상관관계에 따라 계측 경향을 상기와 같이 4가지로 구분하여 설정하고, 각 계측 경향별로 붕괴위험등급을 설정한 뒤, 해당 공사현장에서 현재 취득되는 수평변위 데이터와 축력 데이터의 상관관계가 상기 4가지 계측 경향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함을 판정하여 붕괴위험등급을 산정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asurement trend is divided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orizontal displacement data and the axial force data, the collapse risk level is set for each measurement trend, and then the horizontal level currently acquired at the construction site. By determining whethe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splacement data and the axial force data corresponds to any one of the four measurement trends, the collapse risk level is calculated.

또한 상기와 같이 설정된 4가지의 계측 경향 중 경향 2는 붕괴위험도가 가장 높은 붕괴위험등급 1등급으로, 경향 1은 경향 2에 비해 붕괴위험도가 낮은 붕괴위험등급 2등급으로, 경향 3은 경향 1에 비해 붕괴위험도가 낮은 붕괴위험등급 3등급으로, 경향 4는 붕괴위험도가 가장 낮은 붕괴위험등급 4등급으로 설정하게 된다.Of the four measurement trends set out above, trend 2 is the highest risk of decay risk class 1, trend 1 is the decay risk level 2, which is lower than trend 2, and trend 3 is in trend 1. The risk of collapse is set to Grade 3, which has a lower risk of collapse, and Trend 4 is set to Grade 4, which has the lowest risk of collapse.

하기 표 1은 계측 데이터 경향에 따른 붕괴위험등급(Ⅰ ~ Ⅳ)을 나타낸 것이다.Table 1 below shows the collapse risk class (Ⅰ ~ Ⅳ)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data trend.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한편, 본 발명에서는 흙막이 공사현장의 실측 데이터를 통계 분석하여 흙막이 공법별로 현재 일률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기존의 관리기준치 1/200을 보다 현실성 있게 수정하여 적용한다. 관리기준치는 계측기별로 각각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지만 흙막이 공사현장에 적용되는 계측기 중 가장 신뢰성 있고 붕괴 징후를 가장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지중경사계의 경우에는 축력계와 데이터 간의 높은 상관관계로 인해 계측 데이터의 경향을 함께 평가한다. 수평변위와 축력의 계측 경향을 전술한 바와 같이 4가지로 설정하고, 이에 따른 붕괴위험등급을 표 1의 4가지로 설정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statistical analysis of the actual measurement data of the construction site of the earthquake construction method to apply the current management standard value 1/200, which is uniformly applied by the earthquake method more realistically. Although the control standard is set and managed for each instrument, the underground slope system that can detect the most reliable and most effective signs of collapse among the earthquake construction sites is the trend of measurement data due to the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accelerometer and the data. Evaluate together. The four measurement trends of horizontal displacement and axial force are set to four as described above, and the collapse risk classes according to the above are set to four.

그리고, 표 1에서와 같이 위험등급 1(Ⅰ)에 해당하는 경향 2의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 실제 계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정된 관리기준치를 적용함에 있어서, 보다 일반적인 계측 경향인 붕괴위험도 2(Ⅱ)등급보다 붕괴 가능성이 높은 경우이므로, 가중지수 β를 도입하여 관리기준치를 상대적으로 낮추어 적용함으로써 흙막이벽의 붕괴를 사전에 미리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일반적인 경향을 벗어나 붕괴위험도가 높은 경향 2의 경우를 붕괴위험등급을 1등급으로 적용하고, 이와 더불어 1등급에 대한 미리 설정된 가중지수 β를 적용하여 보다 안정적인 관리기준치를 적용하는 것이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trend 2 corresponding to the risk class 1 (Ⅰ) as shown in Table 1,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pplying the control standard modified based on the actual measurement data, the more general measurement trend is collapse risk 2 (II). Since it is more likely to collapse than the grade, the weighting index β is introduced to lower the management standard so that the collapse of the retaining wall can be detected in advance. In other words, in case of tendency 2, which has a high risk of decay from the general tendency, the decay risk level is applied as the first level, and a more stable management standard value is applied by applying the preset weighting index β for the first level.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서 붕괴가중지수 β는 안전율의 개념으로서 관리기준치에 다음의 식(1)과 같이 적용하게 된다.In conclus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lapse weighting index β is applied to the management standard value as the concept of safety factor as shown in the following equation (1).

수평변위 관리기준치×β = 최종 붕괴위험 관리기준치 (1) Horizontal Displacement Management Standard × β = Final Collapse Risk Management Standard (1)

여기서, 수평변위 관리기준치(상기 a) 단계에서 산정되는 수평변위 관리기준치로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1차 관리기준치와 2차 관리기준치로 구분됨)는 국내외 실측 자료들에 근거하여 수평변위 관리기준치를 정규분포의 함수로 통계 분석하여 분석자료의 유의수준 L1% 및 L2%, 예컨대 유의수준 5%(1차 관리기준치) 및 1%(2차 관리기준치)에 근거한 관리기준치이다. Here, the horizontal displacement management reference value (the horizontal displacement management reference value calculated in step a), which is divided into a primary management reference value and a secondary management reference value as described below), is based on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measurement data. Statistical analysis as a function of the distribution, the control standard value based on the significance level L1% and L2%, for example, the significance level 5% (primary management baseline) and 1% (secondary management baseline).

또한 붕괴가중지수 β는 본 발명에서 새로이 도입되는 것으로, 수평변위와 축력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도출된 계측 경향에 따라 붕괴위험등급을 정한 뒤 각 붕괴위험등급에 대하여 안전율 개념의 적용을 위해 미리 설정하는 지수로서, 붕괴위험등급이 2등급 이하이면 β는 1.0이고, 붕괴위험등급이 1등급이면 1.0 이하의 값을 적용한다. 최종 붕괴위험 관리기준치는 본 발명에서 흙막이 공사현장의 붕괴 안전성 여부를 판정하는데 사용하게 되는 최종 수정된 관리기준치이다.In addition, the decay weighting index β is newly introduced 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deciding the decay risk level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trend derived from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horizontal displacement and the axial force, and setting it in advance for the application of the safety factor concept to each decay risk level. If the decay risk level is less than 2, β is 1.0, and if the decay risk level is 1, the value below 1.0 is applied. The final collapse risk management standard value is the final revised management standard valu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o determine the safety of collapse of the construction site.

상기 식(1)에서 수평변위 관리기준치는 실제 계측 데이터를 사용한 통계 분석을 통해 현장 공법에 맞게 수정된 관리기준치로서, 흙막이 공법에 상관없이 일률적으로 적용되고 있던 기존의 수평변위 관리기준치 1/200을 수정하여 대표적인 흙막이 공법별로 관리기준치를 각각 구분한 것이다. 이때 국내 다수의 현장 계측 데이터에 근거한 통계 분석을 실시하여 이에 근거한 안전계수 α(1 미만 값)를 도입하며, 이에 식(1)의 최종 붕괴위험 관리기준치를 기존 수평변위 관리기준치 1/200과 통계 분석을 통한 안전계수 α, 계측 데이터 경향 및 위험등급에 따른 붕괴가중지수 β를 이용하여 나타내면 다음의 식(2)가 된다.In the equation (1), the horizontal displacement management standard value is a management standard value modified for the site construction metho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using actual measurement data. By modifying the standard management method, the management standard values are classified by each. In this case, statistical analysis based on a large number of domestic field measurement data is carried out, and the safety factor α (less than 1) based on this is introduced. Using the safety factor α, the trend of measurement data, and the collapse weighting index β according to the risk level, the following equation (2) is obtained.

기존 수평변위 관리기준치 1/200×α×β = 최종 붕괴위험 관리기준치 (2)Original horizontal displacement management standard value 1/200 × α × β = final collapse risk management standard value (2)

각 공법별 1차, 2차 안전계수 α가 반영된 1차, 2차 수평변위 관리기준치(1/200 = 0.5%이므로 0.5×α), 즉 식(1)에서의 수평변위 관리가중치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displacement management reference values reflecting the first and second safety coefficients α by each construction method (0.5 × α because 1/150 = 0.5%), that is, the horizontal displacement management weights in Equation (1) The explanation is as follows.

본 발명자는 다수의 국내 흙막이 공사현장에서 측정된 흙막이벽의 수평변위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정하고 그것이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하여 흙막이벽의 수평변위에 대한 관리기준치 항목을 1차와 2차로 구분, 산정하였다. 이러한 정규분포의 모집단에 대해 t 분포를 이용하여 5% 및 1% 유의수준으로 단측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신뢰구간의 5% 상한선을 1차 관리기준치(= 0.5×1차 안전계수 α), 신뢰구간의 1% 상한선을 2차 관리기준치(= 0.5×1차 안전계수 α)로 설정하였다. 여기서, 1차 관리기준치란 안전에는 이상이 없으나 주의 시공이 요구되는 기준이고, 2차 관리기준치는 주의 시공의 정도를 초과하여 위험상태를 뜻하는 기준을 의미한다. 도 10 내지 도 15는 각 시공 단계에서 안전성 판단의 기준이 되는 관리기준치를 5% 및 1%의 유의수준으로 단측검정한 결과에 대해 최대수평변위량(δhmax)을 굴착심도(H)로 나누어 정규화하여 나타낸 예이다.The present inventors calculated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horizontal wall displacements measured at a large number of domestic brick wall construction sites and assuming that it follows the normal distribution. Calculated. A single-sided test was performed at the 5% and 1% significance level using the t distribution for the population of these normal distributions.The 5% upper limit of the confidence interval was defined as the primary management reference value (= 0.5 × 1st safety factor α) and the confidence interval. The upper limit of 1% of was set as the secondary management reference value (= 0.5 × 1st safety factor α). Here, the primary management reference value is a standard that requires no attention to safety but requires construction, and the second management reference value means a criterion that indicates a dangerous state in excess of the degree of construction of the attention. 10 to 15 are normalized by dividing the maximum horizontal displacement (δ hmax ) by the digging depth (H) for the results of one-sided test of the control reference value, which is the standard of safety judgment at each construction stage, to a significance level of 5% and 1%. This is an example shown.

관리기준치 설정을 위한 현장 계측 결과 중 흙막이벽의 최대수평변위(δhmax)를 굴착심도(H)로 나누어 정규화시킨 뒤 도 10 내지 도 15와 같이 분석한 결과, H-파일+토류판 벽체의 경우 1차, 2차 관리기준치가 되는 δhmax/H 값은 0.31 ~ 0.41%의 범위를 나타내고 있으며, SCW 벽체에서는 0.22 ~ 0.30%를 보이고 있다. 또한 CIP 벽체의 경우 0.21 ~ 0.28%를 나타내고 있고, 슬러리 월은 0.23 ~ 0.36%를 보이고 있으며, 전반적으로는 0.22 ~ 0.28%의 범위 내에서 변화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The maximum horizontal displacement (δ hmax ) of the retaining wall was normalized by digging depth (H) and then analyzed as shown in FIGS. 10 to 15, and H-pile + earth plate wall 1 The value of δ hmax / H, which is the secondary and secondary management reference value, is in the range of 0.31 to 0.41%, and 0.22 to 0.30% in the SCW wall. In addition, the CIP wall shows 0.21 to 0.28%, the slurry month shows 0.23 to 0.36%, and the overall trend is within the range of 0.22 to 0.28%.

하기 표 2는 흙막이벽에 따른 수평변위에 대한 관리기준치(δhmax/H)의 예를 나타낸 것으로, 1차 관리기준치는 0.21 ~ 0.31% 범위 내에서, 2차 관리기준치는 0.28 ~ 0.41%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음을 볼 수 있다.Table 2 below shows an example of the management reference value (δ hmax / H) for the horizontal displacement according to the retaining wall, the primary management reference value is within the range of 0.21 ~ 0.31%, the secondary management reference value is within the range of 0.28 ~ 0.41% You can see that it can be set in.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최대수평변위의 정규화 값 δhmax/H가 1차 관리기준치인 0.21 ~ 0.31%를 초과하여 변위가 발생한 경우 흙막이 구조체 및 인접 지반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2차 관리기준치인 0.28 ~ 0.41%를 초과할 경우에는 지반 침하, 인접 도로 및 건물의 균열 등 문제점이 나타나므로 중점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If the displacement occurs because the normalized value δ hmax / H of the maximum horizontal displacement exceeds 0.21 ~ 0.31% of the primary management standard, it may affect the structure and adjacent ground, and exceeds 0.28 ~ 0.41% of the secondary management standard. If you do, problems such as ground subsidence, cracks in neighboring roads and buildings appear, so intensive management is required.

표 2에 나타낸 흙막이벽의 종류별 수평변위 관리기준치는 0.21 ~ 0.41%의 범위로서, 이는 일반적으로 실제 현장에서 적용하고 있는 관리기준치의 범위보다는 보다 정밀한 범위에서 현재 시행하고 있는 각 공법별로 흙막이 공사현장의 붕괴를 감지할 수 있으며, 특히 흙막이벽의 종류에 따라 관리기준치를 달리 적용함으로써 기존 일괄적으로 적용되던 관리기준치에 비해 실제 현상을 보다 충실하게 반영할 수 있다.The horizontal displacement management standard for each type of retaining wall shown in Table 2 is in the range of 0.21 to 0.41%, which is generally more precise than the control standard applied in the actual site. Disintegration can be detected, and in particular, by applying different management standard values according to the type of retaining wall, the actual phenomenon can be more faithfully reflected than the existing management standard values.

종래에 실제 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수직거리에 대한 수평거리비의 관리기준치는 통상 1차 관리기준치가 1/500, 2차 관리기준치가 1/200이며, 이를 δhmax/H와 동일한 백분율로 표현하면 1차 관리기준치인 1/500은 0.2%, 2차 관리기준치인 1/200은 0.5%가 된다. Conventionally, the management standard of the horizontal distance ratio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stance generally used in actual sites is 1/500 of the primary management standard and 1/200 of the secondary management standard, which is the same percentage as δ hmax / H. In other words, the 1/500 primary management standard value is 0.2% and the 0.500 second management standard value is 0.5%.

여기서, 통상적인 절대치관리기법의 경우, 계측 결과값을 1차 관리기준치와 비교하여 그 이하인 경우 다음 단계의 굴착 및 현장 계측을 또다시 시행하고, 계측 결과값이 1차 관리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주의 시공(계측 빈도를 높여 감시 체제 강화)을 하게 된다. 이어 2차 관리기준치와 비교하여 그 이하인 경우 다음 단계의 굴착 및 현장 계측을 시행하지만, 2차 관리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공사 중지, 보강 대책 및 설계 변경을 실시하게 된다. Here,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absolute value management technique, the measurement result value is compared with the primary management reference value, and if it is less than that, the excavation and field measurement of the next step are performed again, and the measurement result value exceeds the primary management reference value. Construction (increasing the frequency of measurement, strengthening the monitoring system). The next level of excavation and field measurement are carried out in comparison with the 2nd management standard value, but if it exceeds the 2nd management standard value, construction suspension, reinforcement measures, and design changes are carried out.

하기 표 3은 붕괴가중지수를 설정한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붕괴위험등급에 따른 붕괴가중지수를 1(Ⅰ)등급인 경우에 한해서만 1.0보다 작은 값인 0.8이 적용된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1.0보다 작은 0.8의 붕괴가중지수(β)가 안전계수(α)가 반영된 관리기준치에 곱해지면, 다른 경향에서 적용되는 관리기준치의 80%에 해당하는 값을 통해 붕괴 안전성을 평가하기 때문에, 수평변위가 증가하면서 축력은 감소 혹은 일정하게 유지되는 최악의 공사현장 조건에 대해서는 보다 안정적인 기준에서 붕괴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게 된다. 붕괴위험등급 2 ~ 4(Ⅱ ~ Ⅳ)까지는 붕괴가중지수 β가 1.0으로 적용되고, 이에 수평변위에 대한 관리기준치가 각 공법별 안전계수 α가 반영된 수정된 관리기준치(식(1)의 수평변위 관리기준치) 그대로 적용되어, 안전계수가 반영된 관리기준치가 계측값과 비교된다. 이 경우도 식(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리기준치가 실제 계측 데이터를 사용한 통계 분석을 통해 현장 공법에 맞게 수정된 관리기준치(각 공법별로 안전계수 반영)이므로 자체적으로 붕괴 안전율이 도입된 값이다. Table 3 shows an example of setting the decay weighting index, and it can be seen that 0.8, which is a value smaller than 1.0, is applied only when the decay weighting index according to the decay risk level is 1 (Ⅰ). Here, if the collapse weighting index (β) of 0.8 less than 1.0 is multiplied by the control standard value reflected by the safety factor (α), the collapse safety is evaluated through a value corresponding to 80% of the control standard value applied in other trends. As the horizontal displacement increases, the collapse safety can be assessed on a more stable basis for the worst construction conditions where the axial force decreases or remains constant. The decay weighting index β is applied as 1.0 to the decay risk levels 2 to 4 (Ⅱ to Ⅳ), and the management standard for horizontal displacement is a modified management standard value reflecting the safety coefficient α for each construction method (horizontal displacement of equation (1)). The management standard value is applied as it is, and the management standard value reflecting the safety factor is compared with the measured value. In this case, as shown in Equation (2), since the control standard value is modified by the site analysis method through the statistical analysis using the actual measurement data (reflecting the safety factor for each method), it is a value to introduce the collapse safety factor by itself.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이와 같이 하여, 붕괴가중지수를 고려한 흙막이 공사현장의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는 관리기준치를 하기 표 4 및 표 5로 정리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management standard values for evaluating the safety of the construction site considering the collapse weighting index can be summarized in Table 4 and Table 5 below.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표 4에서 알 수 있듯이 흙막이 공법과 상관없이 일률적으로 적용하던 1/200의 수평변위관리기준을 개선하여 대표적인 흙막이 공법별로 관리기준치를 각각 구분하여 설정하게 된다. 최종 적용되는 관리기준치는 국내 다수의 현장 계측 데이터에 근거한 통계 분석을 실시하여 이에 근거한 안전계수 α가 반영된 것이며, 특히 이 안전계수 α와 더불어 붕괴위험등급에 따른 붕괴가중지수 β가 추가로 반영된 것이다. 즉, 안전계수 α가 반영된 관리기준치(1/200 = 0.5%이므로 0.5×α임, 표 4의 1차, 2차 관리기준치임)에 붕괴위험등급에 따른 붕괴가중지수 β가 추가로 반영된 것으로, 여기서 붕괴가중지수 β는 수평변위와 출력과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도출된 계측 경향을 토대로 붕괴위험등급을 산정하여 그로부터 구해지는 것이다.As can be seen from Table 4, the 1/200 horizontal displacement management standard, which was applied uniformly regardless of the earthquake method, was improved to set the management standard values separately for each typical earthquake method. The final management standard is based on the statistical analysis based on a large number of field measurement data in Korea and reflects the safety factor α based on this. In particular, the safety factor α and the collapse weighting index β according to the collapse risk level are additionally reflected. That is, the decay weighting index β according to the decay risk level is additionally reflected in the management standard value reflecting the safety factor α (1/200 = 0.5%, which is 0.5 × α, which is the primary and secondary management standard values in Table 4). Here, the collapse weighting index β is calculated from the collapse risk class based on the measurement trend derived from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horizontal displacement and the output.

표 4의 경우 붕괴위험등급 2 ~ 4등급에 해당하는 것이나, 표 5는 붕괴가중지수 0.8을 적용한 붕괴위험등급 1등급의 관리기준치를 나타낸 것으로, 붕괴위험 가능성이 높은 계측 경향 2의 붕괴위험등급 1등급의 경우 흙막이벽의 종류에 따라 수평변위의 관리기준치가 0.17 ~ 0.33%의 범위가 됨을 알 수 있다.In the case of Table 4, it corresponds to the collapse risk class 2 to 4, but Table 5 shows the management standard value of the collapse risk class 1 applied to the collapse weighting index of 0.8. In the case of the grade, it can be seen that the management standard value of the horizontal displacement ranges from 0.17 to 0.33%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retaining wall.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위험등급 1등급에 해당하는 계측 경향이 일정 기간 지속적으로 나타날 경우 붕괴가중지수 0.8을 적용하여 안전계수가 반영된 수정 관리기준치의 80%에 해당하는 관리기준치를 적용하며, 이로써 흙막이 공사현장에서의 붕괴 징후에 대한 실제 현상을 보다 정확히 반영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easurement trend corresponding to the risk level 1 level is continuously display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the management standard value corresponding to 80% of the modified management standard value reflecting the safety factor is applied by applying the collapse weighting index 0.8, thereby constructing the earthquake construction.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reflect the actual phenomena of signs of collapse on sit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 공사현장의 붕괴 안전성 평가 방법은 절대치관리기법에 근거하여 계측 데이터를 관리기준치와 절대 비교하여 안전성을 평가하는 종래의 안전성 평가 방법을 개선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으로, 실제 현장 계측 데이터의 데이터베이스화를 통한 분석방법론적인 관점에서 연구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안전계수 α 및 붕괴가중지수 β는 계속된 계측 데이터의 데이터베이스화를 통해 언제든지 더욱 타당한 수치로 수정 보완이 가능하며, 따라서 안전계수 및 붕괴가중지수가 적용된 관리기준치 역시 변경이 가능하다. 즉, 흙막이 공사현장의 붕괴를 사전에 보다 효과적으로 사전 감지 및 예측하기 위하여 실제 붕괴 현장을 포함한 흙막이 공사현장의 계측 데이터가 지속적으로 축적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된다면 더욱 정확한 붕괴 안전성 평가 기준이 도출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collapse safety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conventional safety evaluation method for evaluating the safety by comparing the measured data with the management reference value based on the absolute value management method, the actual site measurement It is studied in terms of analysis methodology through database of data. Therefore, the safety coefficient α and the decay weighting index β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and supplemented to a more reasonable value at any time through the continuous database of measurement data. Therefore, the management criteria to which the safety coefficient and the decay weighting index are applied are also changed. It is possible. That is, more accurate collapse safety evaluation criteria can be derived if the measurement data of the construction site including the actual collapse site is continuously accumulated and databased in order to detect and predict the collapse of the construction site more effectively in advance.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붕괴 안전성 평가를 위하여 안전계수 α와 붕괴가중지수 β의 산정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흙막이 공사현장에 구축된 계측 시스템을 통해 붕괴위험도를 예측하기 위한 가장 신뢰성 높은 수평변위 및 축력의 데이터를 취득하고, 이 중 수평변위 데이터를 굴착심도에 따라 정리하여 데이터의 통계 분석을 실시한다. 통계 분석은 데이터의 분포 및 표본 수에 따라 최적의 통계 분석을 선정해야 하는데, 이때 충분한 데이터 표본 수가 얻어지는 데는 다수의 공사현장에서 현장 계측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장기간 계측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축적되기 전에는 t 분포의 확률밀도 함수를 산정하여 유의수준 5%에 해당하는 굴착심도에 따른 최대수평변위량(δhmax)의 비를 1차 관리기준치로, 유의수준 1%에 해당하는 굴착심도에 따른 최대수평변위량(δhmax)의 비를 2차 관리기준치로 설정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각 흙막이 공법별로 1, 2차 관리기준치를 설정하게 되며, 설정된 1, 2차 관리기준치로부터 공법에 상관없이 일률적으로 적용하던 기존의 1/200(0.5%)의 관리기준치와 상기 1, 2차 관리기준치의 비에 해당하는 1, 2차 안전계수 α를 각각 도출할 수 있게 된다. 이와는 별도로 평가 대상이 되는 해당 공사현장에서는 지중경사계와 축력계에 의해 계측된 수평변위와 축력의 데이터 경향을 분석한 뒤 붕괴위험등급을 판정하고, 이때 각 붕괴위험등급에 따라 미리 설정된 붕괴가중지수 β를 구하게 된다. 이어 상기 1, 2차 관리기준치(또는 기존 관리기준치 0.5%×α)와 붕괴가중지수 β를 이용하여 최종 흙막이 공법별 수평변위 관리기준치를 재산정하게 되며, 결국 재산정된 최종 수평변위 관리기준치를 해당 공사현장에서 계측되는 수평변위 데이터와 비교하여 붕괴 안전성을 평가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계측 데이터의 경향이, 수평변위는 증가하지만 축력은 감소하거나 일정한 경향으로 변화되어 지속되는 붕괴위험등급 1등급의 경우에만 붕괴가중지수 β를 적용할 수 있다.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alculating the safety coefficient α and the collapse weighting index β for evaluating the collapse safe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most reliable horizontal displacement and axial force data for predicting the collapse risk is obtained through the measurement system built on the earthquake construction site, and the horizontal displacement data is arranged according to the excavation depth to analyze the data statistically. Is carried out. Statistical analysis should select an optimal statistical analysis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data and the number of samples.In this case, since a large number of data samples must be carried out on-site measurement at many construction sites, the distribution of t before long-term measurement data is accumulated in a database is accumulated. Calculate the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of and the ratio of the maximum horizontal displacement (δ hmax ) to the excavation depth corresponding to the significance level of 5% is the primary management reference value, and the maximum horizontal displacement according to the excavation depth corresponding to the significance level of 1% (δ). hmax ) is set as the secondary management reference value. In this way, the 1st and 2nd management standard values are set for each mud-block method, and from the established 1st and 2nd management standard values, the management standard value of 1/200 (0.5%) and 1, 2, which were applied uniformly regardless of the method, It is possible to derive the first and second safety coefficients α corresponding to the ratios of the secondary management standard value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relevant construction site, which is to be evaluated separately, analyzes the data trends of horizontal displacement and axial force measured by the underground inclinometer and the axial force, and then determines the collapse risk rating. Will be obtained. Subsequently, the first and second management standard values (or the existing management standard value 0.5% × α) and the decay weighting index β are used to re-define the horizontal displacement management standard values for each final mudstone method. The collapse safety is evaluated by comparing it with the horizontal displacement data measured at the construction sit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lapse weighting index β can be applied only to the case of the collapse risk class 1, which tends to increase the horizontal displacement but decreases the axial force or changes to a constant trend.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제 계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붕괴가중지수를 이용하는 흙막이 공사현장 안전성 평가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장에서 계측기의 데이터는 데이터 환산 및 보정을 통해 수평변위 및 축력에 해당하는 단위로 취득될 수 있으며, 계측된 데이터를 관리기준치와 비교하여 붕괴 안전성을 평가하게 된다. 1차 관리기준치가 산정되고 나면, 계측된 데이터를 1차 관리기준치와 비교하여, 계측된 데이터가 1차 관리기준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계측 결과를 출력하고 다음 단계 굴착에 따라 계속 현장 계측 관리를 수행한다. 그러나, 계측 데이터가 1차 관리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주의 시공이 필요한 상황이며, 이 경우 계측 빈도를 증가시켜 초기 계측보다 정밀하고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계측 관리를 실시한다. 또한 지속적으로 수평변위 및 축력의 계측 경향을 분석하여 붕괴위험등급을 산정하고, 만약 등급 변경이 발생한 경우라면 붕괴가중지수 α를 변경하여 계측 결과에 따라 적절한 관리기준치를 수정, 적용하게 된다. 즉, 1차 관리기준치와 계측 데이터의 비교 시점부터 2차 관리기준치와 계측 데이터의 비교 시점까지 계측 경향이 바뀔 수 있기 때문에 그에 따른 관리기준치의 변동도 능동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시스템이 구축되는 것이다.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for evaluating the safety of the construction site using the collapse weighting index based on actual measurement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data of the instrument in the field can be obtained in units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displacement and axial force through data conversion and correction, and the measured data is compared with the control reference value to evaluate the collapse safety. Once the primary control baseline is calculated, the measured data is compared with the primary control baseline, and if the measured data do not exceed the primary control baseline, the measurement results are output and the field measurement management is continued according to the next excavation. To perform. However, when the measurement data exceeds the primary management standard value, careful construction is required, and in this case, the measurement frequency is increased, and measurement management is performed with greater attention and precision than the initial measurement. Also, by analyzing the measurement trend of horizontal displacement and axial force continuously, the collapse risk level is calculated. If the grade change occurs, the collapse weighting index α is changed and the appropriate management standard value is modified and applied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result. That is, since the measurement tendency may change from the time point at which the primary control reference value and the measurement data are compared to the time point at which the secondary control reference value and the measurement data are compared, the system is constructed to actively reflect the change in the management reference value accordingly.

계측 데이터가 2차 관리기준치를 초과한 경우에는 즉시 시스템 점검 및 관리를 수행해야 한다. 2차 관리기준치의 초과는 공사장 붕괴위험성과 직결되기 때문에 계측 시스템에 대한 전체적인 건전성을 평가해야 한다. 계측 데이터를 획득한 시스템에 이상이 없는 것이 확인된 후에는 구조물에 실제 대변위가 발생하였을 수도 있으므로 안전점검을 수행하고, 이상 발생 확인시 정밀 안전진단을 통해 공사 진행 여부, 보강 여부 등과 같은 안전조치 방안을 강구한다.If the measured data exceed the secondary management threshold, the system should be checked and managed immediately. Since the excess of the second management standard is directly related to the risk of collapse of the construction site, the overall soundness of the measurement system should be evaluated. After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no abnormality in the system from which the measurement data has been acquired, a real displacement may have occurred in the structure. Therefore, safety check is performed. Find a room.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서는 관리기준치의 보수정 보완을 위해 흙막이 공법별 국내외 계측 자료를 분석하되, 붕괴 징후를 감지함에 있어서 가장 신뢰성 높은 항목인 흙막이벽의 수평변위를 기준으로 하여, 굴착심도에 따른 수평변위 계측 자료를 통계 분석함으로써, 실제 계측 자료를 바탕으로 한 유의수준 5% 및 1%에 해당하는 1, 2차 수평변위 관리기준치를 수정한다. In this wa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measurement data for each earthquake method is analyzed to complement the maintenance standard, but based on the horizontal displacement of the earthquake wall, which is the most reliable item in detecting signs of collapse, By statistically analyzing the horizontal displacement measurement data,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displacement management referenc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5% and 1% significance level based on the actual measurement data are corrected.

1차 관리기준치와 2차 관리기준치는 타 공사현장에서 지속적으로 수집되는 흙막이벽의 수평변위 데이터가 축적 및 데이터베이스화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갱신될 수 있다.The primary management standard value and the secondary management standard value can be continuously updated as the horizontal displacement data of the retaining wall continuously collected at other construction sites is accumulated and databased.

또한 수정된 수평변위 관리기준치와 실제 수평변위 계측 결과의 직접적인 비교에 앞서, 대상의 흙막이 공사현장에서 계측된 수평변위와 축력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계측 데이터의 경향에 따른 붕괴위험등급을 설정하고, 안전율 개념의 붕괴가중지수를 붕괴위험등급에 따라 상기 수정된 수평변위 관리기준치에 추가로 반영하여 최종의 수평변위 관리기준치를 산정한다.In addition, prior to the direct comparison between the modified horizontal displacement management standard value and the actual horizontal displacement measurement resul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orizontal displacement measured at the construction site and the axial force is analyzed and the collapse risk level is set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measurement data. The final horizontal displacement management standard is calculated by additionally reflecting the collapse weighting index of the safety factor concept to the revised horizontal displacement management standard according to the collapse risk level.

또한 상기와 같이 산정된 최종의 수평변위 관리기준치를 실시간 계측되는 흙막이 공사현장의 수평변위와 비교하여 붕괴 안전성 평가를 실시하며, 붕괴 위험상황으로 판정시 경보 시스템(도 1에서 도면부호 22임)을 통해 위험을 경보하는 등 후속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final horizontal displacement management standard value calculated as described above is compared with the horizontal displacement of the earthquake construction site, which is measured in real time, and the collapse safety evaluation is carried out. Follow-up actions such as warning of danger.

이와 더불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평가 방법을 활용하면서 국내 흙막이 공사현장의 계측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활용하는 경우, 계측 데이터의 실시간 반영 및 관리기준치의 적절한 수정을 통하여 현장 상황과 공법에 맞는 보다 정확한 붕괴 예측 및 감시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utilizing the evalu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ile continuously using the measurement data of the domestic earthquake construction site as a database, through the real-time reflection of the measurement data and appropriate modification of the management standard value, Accurate collapse prediction and monitoring can be performed.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 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Modified forms are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흙막이벽 2 : 지보재(스트러트)
10 : 계측 시스템 11 : 계측기
12 : 지중경사계 13 : 축력계
14 : 송수신부 20 : 감시 컴퓨터
21 : 데이터베이스 22 : 경보 시스템
30 : 통합 감시 서버
1: retaining wall 2: support material (strut)
10 measuring system 11: measuring instrument
12: ground slope system 13: axial meter
14: transceiver 20: monitoring computer
21: Database 22: Alarm System
30: integrated monitoring server

Claims (13)

a) 타 공사현장에서 지중경사계에 의해 계측된 흙막이벽의 수평변위 데이터를 수집 및 축적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축적된 흙막이벽의 수평변위 데이터로부터 흙막이 공법별로 흙막이벽의 수평변위 관리기준치를 산정하는 단계와;
b) 붕괴 안전성 평가 대상이 되는 해당 공사현장에서 각 굴착 단계마다 지중경사계에 의해 계측되는 흙막이벽의 수평변위 데이터와 축력계에 의해 계측되는 지보재의 축력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와;
c) 상기 해당 공사현장에서 취득된 상기 수평변위 데이터와 축력 데이터의 상관관계를 실시간으로 분석하되, 수평변위와 축력의 상관관계에 따른 경향으로부터 붕괴위험도를 나타내는 붕괴위험등급을 실시간 산정하는 단계와;
d) 산정된 붕괴위험등급으로부터 붕괴가중지수 β를 산정하는 단계와;
e) 상기 붕괴가중지수 β를 사용하여 a) 단계에서 산정된 해당 흙막이 공법의 수평변위 관리기준치를 수정하는 단계와;
f) 상기 b) 단계에서 계측된 수평변위 데이터를 상기 e) 단계의 수정된 수평변위 관리치와 비교하여 붕괴 안전성을 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흙막이 공사현장의 붕괴 안전성 평가 방법.
a) collecting and accumulating the horizontal displacement data of the retaining wall measured by the underground slope meter at another construction site and making a database, and calculating the horizontal displacement management standard value of th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retaining method from the accumulated horizontal displacement data; ;
b) acquiring the horizontal displacement data of the retaining wall measured by the ground slope system and the axial force data of the support material measured by the axial system at each excavation stage at the construction site to be subjected to the collapse safety evaluation;
c) analyzing a correlation between the horizontal displacement data and the axial force data acquired at the corresponding construction site in real time, and calculating a collapse risk level indicating a collapse risk from a trend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orizontal displacement and the axial force;
d) estimating the collapse weighting index β from the estimated collapse risk rating;
e) using the collapse weighting index β to modify the horizontal displacement management standard value of the soil barrier method calculated in step a);
f) determining collapse safety by comparing the horizontal displacement data measured in step b) with the modified horizontal displacement management value of step e);
Collapse safety evaluation method of earthquake construction site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수정된 수평변위 관리기준치는 상기 a) 단계에서 산정된 수평변위 관리기준치와 상기 d) 단계에서 산정된 붕괴가중지수 β에 의해 하기 식(E1)과 같이 구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공사현장의 붕괴 안전성 평가 방법.
E1 : a) 단계의 수평변위 관리기준치 × 붕괴가중지수 β = 수정된 수평변위 관리기준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rizontal displacement management reference value modified in the step e) is obtained by the horizontal displacement management reference value calculated in the step a) and the collapse weighting index β calculated in the step d) as shown in the following formula (E1). Method for evaluating the collapse safety at the construction site.
E1: Horizontal displacement management standard of step a) × collapse weighting index β = revised horizontal displacement management standard
청구항 1에 있어서,
수평변위 데이터와 축력 데이터의 상관관계에 따라 계측 경향을 하기 A와 같이 구분하여 설정하고, 각 계측 경향별로 붕괴위험등급을 설정한 뒤, 상기 c) 단계에서 취득된 수평변위 데이터와 축력 데이터의 상관관계가 하기 A의 계측 경향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함을 판정하여 붕괴위험등급을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공사현장의 붕괴 안전성 평가 방법.
A) 경향 1 : 수평변위와 축력이 모두 증가하는 경우
경향 2 : 수평변위는 증가하지만 출력은 감소 혹은 일정한 경우
경향 3 : 수평변위는 감소 혹은 일정하지만 축력은 증가하는 경우
경향 4 : 수평변위와 축력이 모두 감소 혹은 일정한 경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orizontal displacement data and the axial force data, the measurement tendency is divided and set as shown in the following A, the collapse risk level is set for each measurement tendency,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orizontal displacement data and the axial force data acquired in step c) A method for evaluating the collapse safety of a masonry construction site comprising determining the collapse risk level by determining that the relationship corresponds to any one of the following measurement trends.
A) Trend 1: When both horizontal displacement and axial force increase
Trend 2: When the horizontal displacement increases but the output decreases or is constant
Trend 3: The horizontal displacement decreases or is constant but the axial force increases
Trend 4: When both horizontal displacement and axial force are reduced or constant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A의 계측 경향 중 경향 2는 붕괴위험도가 가장 높은 붕괴위험등급 1등급으로, 경향 1은 경향 2에 비해 붕괴위험도가 낮은 붕괴위험등급 2등급으로, 경향 3은 경향 1에 비해 붕괴위험도가 낮은 붕괴위험등급 3등급으로, 경향 4는 붕괴위험도가 가장 낮은 붕괴위험등급 4등급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공사현장의 붕괴 안전성 평가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f the measured trends of A, trend 2 is the highest risk of collapse risk class 1, trend 1 is the collapse risk class 2, which has a lower risk of collapse than trend 2, and trend 3 is the risk of collapse compared to trend 1. Low Collapse Hazard Level 3, Trend 4 sets the Collapse Risk Level 4 with the lowest risk of collapse.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각 계측 경향 및 붕괴위험등급에 따라 붕괴가중지수를 미리 설정한 뒤, d) 단계에서 산정된 붕괴위험등급에 해당하는 붕괴가중지수를 산정하되, 상기 경향 2의 붕괴위험등급의 경우 붕괴가중지수를 1 미만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공사현장의 붕괴 안전성 평가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After deciding the decay weighting index in accordance with each measurement trend and decay risk class, calculate the decay weighting index corresponding to the decay risk rating calculated in step d). Disintegration safety evaluation method of earthquake construction site characterized by setting to less than on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경향 2의 붕괴위험등급의 경우 붕괴가중지수를 0.8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공사현장의 붕괴 안전성 평가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In the case of the decay risk level of the trend 2, the decay weighting index is set to 0.8,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struction site safety evaluation of decay.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각 계측 경향 및 붕괴위험등급에 따라 붕괴가중지수를 미리 설정한 뒤, d) 단계에서 산정된 붕괴위험등급에 해당하는 붕괴가중지수를 산정하되, 상기 경향 1, 경향 3, 경향 4의 붕괴위험등급의 경우 붕괴가중지수를 1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공사현장의 붕괴 안전성 평가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After setting the decay weighting index in advance according to each measurement trend and decay risk class, calculate the decay weighting index corresponding to the decay risk rating calculated in step d), and the decay risk level of trend 1, trend 3, and trend 4. In the case of the decay weighting index, the decay safety evaluation method of the construction site, characterized in that set to 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수평변위 관리기준치는 타 공사현장에서 흙막이 공법별로 구분하여 수집한 흙막이벽의 수평변위 데이터를 통계 분석하여 각 흙막이 공법별로 1차 관리기준치와 2차 관리기준치를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공사현장의 붕괴 안전성 평가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rizontal displacement management standard of step a) is characterized by calculating the primary and secondary management standard values for each mud method by statistically analyzing the horizontal displacement data of the mud wall collected by dividing method in other construction sites. Method of evaluating the decay safety of the construction sit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수평변위 관리기준치는 타 공사현장에서 흙막이 공법별로 구분하여 수집한 흙막이벽의 수평변위 데이터에 대하여 정규분포의 모집단에 대해 L1% 및 L2%(여기서, L1>L2)의 유의수준으로 단측검정을 실시하되, 단측검정한 결과에 대해 최대수평변위량(δhmax)을 굴착심도(H)로 나누어 정규화하고, 유의수준 L1%의 상한선에 해당하는 굴착심도에 따른 최대수평변위량의 비를 1차 관리기준치로, 유의수준 L2%의 상한선에 해당하는 굴착심도에 따른 최대수평변위량의 비를 2차 관리기준치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벽 공사현장의 붕괴 안전성 평가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level of horizontal displacement management in step a) is the significance level of L1% and L2% (here, L1> L2) for the population of the normal distribution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splacement data of the retaining wall collected by dividing method in other construction sites. One-sided test is performed, but the maximum horizontal displacement (δ hmax ) is normalized by digging depth (H) for the one-sided test, and the ratio of the maximum horizontal displacement according to the excavation depth corresponding to the upper limit of the significance level L1% is determined. A method of evaluating the collapse safety of a construction site of a brick wall, characterized by setting the ratio of the maximum horizontal displacement according to the excavation depth corresponding to the upper limit of the significance level L2% as the primary management reference valu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수평변위 관리기준치는 타 공사현장에서 흙막이 공법별로 구분하여 수집한 흙막이벽의 수평변위 데이터를 통계 분석하여 각 흙막이 공법별로 하기 식(E2) 및 식(E3)에 해당하는 1차 관리기준치와 2차 관리기준치를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공사현장의 붕괴 안전성 평가 방법.
- E2 : 수평변위 관리기준치 1/200(=0.5%)×1차 안전계수(1 미만 값) = 1차 관리기준치
- E3 : 수평변위 관리기준치 1/200(=0.5%)×2차 안전계수(1 미만 값) = 2차 관리기준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horizontal displacement management standard of step a) is statistically analyzed by analyzing the horizontal displacement data of the retaining wall collected by dividing method at other construction sites, and the first correspon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s (E2) and (E3) A method for evaluating the collapse safety of a masonry construction site characterized by calculating the management standard value and the secondary management standard value.
-E2: Horizontal displacement management standard value 1/200 (= 0.5%) x 1st safety factor (value less than 1) = 1st management standard value
-E3: Horizontal displacement control standard value 1/200 (= 0.5%) x 2nd safety factor (value less than 1) = 2nd management standard value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1차 관리기준치와 2차 관리기준치는 타 공사현장에서 지속적으로 수집되는 흙막이벽의 수평변위 데이터가 축적 및 데이터베이스화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공사현장의 붕괴 안전성 평가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9,
The first management standard value and the second management standard value is continuously updated in accordance with the accumulation and database of the horizontal displacement data of the retaining wall continuously collected at other construction site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llapse safety site evaluation method.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각 흙막이 공법별로 1차 관리기준치와 2차 관리기준치를 산정함으로써 상기 e) 단계 및 f) 단계의 수정된 수평변위 관리기준치가 1차 관리기준치와 2차 관리기준치로 구분 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공사현장의 붕괴 안전성 평가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In the step a), the first horizontal control standard value and the second management standard value are calculated by dividing the primary management standard value and the second management standard value into the first management reference value and the second management reference value by calculating the primary management reference value and the secondary management reference value. A method for evaluating the collapse safety of an earthquake construction site,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에서 해당 공사현장의 계측된 수평변위 데이터가 1차 관리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계측 빈도를 증가시켜 계측 관리를 실시하는 주의 시공을 하고, 2차 관리치를 초과하는 경우 공사현장 내 경보 시스템을 작동시켜 붕괴 위험상황을 경보한 뒤 공사 중지, 보강 대책 및 설계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공사현장의 붕괴 안전성 평가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In the step f), if the measured horizontal displacement data of the construction site exceeds the primary management standard value, the caution construction is performed to increase the measurement frequency, and if the secondary management value is exceeded, an alarm system at the construction site is exceeded. A method for evaluating the collapse safety of a masonry construction site, characterized by determining whether to stop construction, reinforcement measures, and design changes after alarming of a collapse risk situation.



KR1020100040394A 2010-04-30 2010-04-30 Safety evaluation method for soil shearing work KR1011326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394A KR101132640B1 (en) 2010-04-30 2010-04-30 Safety evaluation method for soil shearing 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394A KR101132640B1 (en) 2010-04-30 2010-04-30 Safety evaluation method for soil shearing 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1003A true KR20110121003A (en) 2011-11-07
KR101132640B1 KR101132640B1 (en) 2012-04-02

Family

ID=45391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0394A KR101132640B1 (en) 2010-04-30 2010-04-30 Safety evaluation method for soil shearing 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2640B1 (en)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95682A (en) * 2015-09-24 2015-11-25 上海海事大学 Evaluation method based on bridge waterway ship navigation safety risk evaluation model
KR101595702B1 (en) * 2015-07-07 2016-02-18 오헌영 Soil retaining structure using plate pile with reinforcing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686621B1 (en) * 2015-10-27 2016-12-14 현대건설 주식회사 Evaluation and adjustment method of lateral displacement considering torsional deformation of building
KR101718700B1 (en) * 2015-11-10 2017-03-24 대한민국 Selecting method of criterion factors for keeping or removing erosion control district
KR101865826B1 (en) 2017-05-24 2018-06-0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Intra Prediction Coding Method and Device for Depth Image
KR20190027445A (en) 2017-09-07 2019-03-15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Device of Motion Estimation for Depth Video Coding by curved surface Modeling,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1987247B1 (en) * 2018-10-25 2019-06-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for the ground subsidence by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
KR102017313B1 (en) * 2019-01-16 2019-09-0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Method of Ground Subsidence Risk Rating for Prediction of Collapse According to the Excavation Case
JP2019207231A (en) * 2018-05-25 2019-12-05 丸藤シートパイル株式会社 Radio earth pressure measuring system and radio earth pressure measuring method
KR20200069552A (en) 2018-12-07 2020-06-17 주식회사엔엔에프텍 Integrated safety evaluation system for temporary earth retaining structure and adjacent structure
KR20210003415A (en) * 2019-07-02 2021-01-12 신현테크 주식회사 System for evaluating safety of sheathing work using acceleration sensors, and computer program recorded on record-medium for executing method therefor
KR20210074519A (en) 2019-12-12 2021-06-22 주식회사엔엔에프텍 Safety evaluation system for temporary earth retaining structure based on real time monitoring
CN113720382A (en) * 2021-08-20 2021-11-30 中铁十四局集团大盾构工程有限公司 Dynamic inverse analysis calculation and fusion algorithm based intelligent monitoring system
CN116486572A (en) * 2023-04-17 2023-07-25 广东诚誉工程咨询监理有限公司 Safety risk early warning an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power grid engineering project
CN113720382B (en) * 2021-08-20 2024-05-03 中铁十四局集团大盾构工程有限公司 Calculation and fusion algorithm based on dynamic inverse analysis and intelligent monitoring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93400B (en) * 2013-01-24 2017-04-26 华中科技大学 Adjacent building safety quantitative evaluation method in tunnel construction
CN104978495A (en) * 2015-07-20 2015-10-14 西安科技大学 Miner mental load evaluation method based on brain electrical detection
KR102315382B1 (en) 2016-04-07 2021-10-21 김일 Numerical Analysis Method for Determining the Decompression Size of Preload for Stability of Securing Wall
KR102034868B1 (en) 2018-12-29 2019-10-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Numerical method for the coupled analysus between the ground deformation analysis due to excavation and groundwater flow analysis
KR102051331B1 (en) * 2019-06-27 2020-01-08 안재형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selecting construction method of earth retaining wall
KR102271560B1 (en) 2020-09-23 2021-06-30 정진용 Method for building site safety monitori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3487A (en) * 2002-07-03 2004-01-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utomated Monitoring System for Management of Slop
KR100669070B1 (en) * 2005-05-27 2007-01-15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Wireless telemetry system for monitoring structure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5702B1 (en) * 2015-07-07 2016-02-18 오헌영 Soil retaining structure using plate pile with reinforcing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05095682B (en) * 2015-09-24 2018-08-31 上海海事大学 A kind of evaluation method for security risk evaluations model of being opened the navigation or air flight based on bridge zone waters
CN105095682A (en) * 2015-09-24 2015-11-25 上海海事大学 Evaluation method based on bridge waterway ship navigation safety risk evaluation model
KR101686621B1 (en) * 2015-10-27 2016-12-14 현대건설 주식회사 Evaluation and adjustment method of lateral displacement considering torsional deformation of building
KR101718700B1 (en) * 2015-11-10 2017-03-24 대한민국 Selecting method of criterion factors for keeping or removing erosion control district
KR101865826B1 (en) 2017-05-24 2018-06-0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Intra Prediction Coding Method and Device for Depth Image
KR20190027445A (en) 2017-09-07 2019-03-15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Device of Motion Estimation for Depth Video Coding by curved surface Modeling,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JP7257881B2 (en) 2018-05-25 2023-04-14 丸藤シートパイル株式会社 Wireless earth pressure measurement system and wireless earth pressure measurement method
JP2019207231A (en) * 2018-05-25 2019-12-05 丸藤シートパイル株式会社 Radio earth pressure measuring system and radio earth pressure measuring method
KR101987247B1 (en) * 2018-10-25 2019-06-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for the ground subsidence by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
KR20200069552A (en) 2018-12-07 2020-06-17 주식회사엔엔에프텍 Integrated safety evaluation system for temporary earth retaining structure and adjacent structure
KR102017313B1 (en) * 2019-01-16 2019-09-0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Method of Ground Subsidence Risk Rating for Prediction of Collapse According to the Excavation Case
KR20210003415A (en) * 2019-07-02 2021-01-12 신현테크 주식회사 System for evaluating safety of sheathing work using acceleration sensors, and computer program recorded on record-medium for executing method therefor
KR20210074519A (en) 2019-12-12 2021-06-22 주식회사엔엔에프텍 Safety evaluation system for temporary earth retaining structure based on real time monitoring
CN113720382A (en) * 2021-08-20 2021-11-30 中铁十四局集团大盾构工程有限公司 Dynamic inverse analysis calculation and fusion algorithm based intelligent monitoring system
CN113720382B (en) * 2021-08-20 2024-05-03 中铁十四局集团大盾构工程有限公司 Calculation and fusion algorithm based on dynamic inverse analysis and intelligent monitoring system
CN116486572A (en) * 2023-04-17 2023-07-25 广东诚誉工程咨询监理有限公司 Safety risk early warning an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power grid engineering project
CN116486572B (en) * 2023-04-17 2024-01-12 广东诚誉工程咨询监理有限公司 Safety risk early warning an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power grid engineering proje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2640B1 (en) 2012-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2640B1 (en) Safety evaluation method for soil shearing work
CN104866659A (en) Steel structure integral hoisting method based on BIM
Maher et al. General deformation behavior of deep excavation support systems: A review
Liu et al. Influence of vehicle load mode on the response of an asymmetrically-loaded deep excavation
JP2014037745A (en) Soil foundation specification determination method, soil foundation specification determination system and soil foundation specification determination program
Jasmine Nisha et al. Deep excavation supported by diaphragm wall: A case study
Buranbayeva et al. Numerical analysis and geomonitoring of behaviour of foundation of Abu-Dhabi Plaza in Nur-Sultan
KR102315382B1 (en) Numerical Analysis Method for Determining the Decompression Size of Preload for Stability of Securing Wall
Parker et al. Field performance and analysis of 3-m-diameter induced trench culvert under a 19.4-m soil cover
CN204475302U (en) A kind of civil engineering structure being applicable to deep layer payload oscillation
Pierson Behavior of laterally loaded shafts constructed behind the face of a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block wall
CN204551552U (en) A kind of device being configured at test deep layer load plate test cave
Gue et al. Design and construction considerations for deep excavation
Siemińska-Lewandowska et al. The study of displacements of diaphragm walls built in Warsaw Quaternary soils
Srivastava et al. Stability analyses of 18 m deep excavation using micro piles
Tarawneh et al. Estimated and measured settlements of shallow foundation supporting bridge substructure
Hadjigeorgiou et al. An investigation into the behaviour of shotcrete pillars
Chandrasekaran et al. Effect of deep excavation on piled foundation
Failmezger et al. Owner Involvement—Choosing Risk Factors for Shallow Foundations
Cui et al. Design of Foundation Pit Retaining Structures
Diab et al. Geotechnical Design and Construction Challenges of Samuel de Champlain Bridge in Montreal
Lings et al. Reliability of earth pressure measurements adjacent to a multi-propped diaphragm wall
Ledyaev et al. Three-dimensional modeling of foundation pit structures and surrounding buildings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second scene of the State Academic Mariinsky Theatre in Saint-Petersburg considering stage-by-stage nature of construction process
Jia 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deviation correction technology in building reinforcement
Ene et al. Design, Execution and Monitoring of a Deep Excavation in Buchare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