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0539A - 냉동, 냉장고용 지붕판넬틀 및 이를 이용한 지붕판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냉동, 냉장고용 지붕판넬틀 및 이를 이용한 지붕판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0539A
KR20110120539A KR1020100039991A KR20100039991A KR20110120539A KR 20110120539 A KR20110120539 A KR 20110120539A KR 1020100039991 A KR1020100039991 A KR 1020100039991A KR 20100039991 A KR20100039991 A KR 20100039991A KR 20110120539 A KR20110120539 A KR 20110120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oof panel
coupling
refrigerator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9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5795B1 (ko
Inventor
이형근
Original Assignee
(주)삼성판넬플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성판넬플랜트 filed Critical (주)삼성판넬플랜트
Priority to KR1020100039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5795B1/ko
Publication of KR20110120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0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5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5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3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an assembly of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3/00Stationary devices, e.g. cold-roo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4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moulding, e.g. moulding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2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 F25D2201/126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of cellular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10Insulation, e.g. vacuum or aerogel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냉동, 냉장고용 지붕판넬틀 및 이를 이용한 지붕판넬 제조방법은, 냉동, 냉장고용 지붕판넬의 양측에 형성되어 내부로 단열재가 발포됨으로써 냉동, 냉장고용 벽체판넬과 결합이 이루어지는 냉동, 냉장고용 지붕판넬을 제조하는 지붕판넬틀에 있어서, 지붕판넬의 단부 하측에서 위치되어, 지붕판넬의 하측에 오목한 형태의 결합부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부가 형성되고 상기 성형부의 양단부로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지붕판넬이 완성되면 지붕판넬에서 분리되는 결합틀과, 지붕판넬의 단부측에 수직으로 형성되되, 하부로 상기 결합틀 일측의 돌출부를 수용하는 결합틀인입부가 형성되고 상부로는 지붕판넬의 전면을 형성되는 전면판이 수용될 수 있는 전면판인입부가 형성되는 마감재틀과, 상기 결합틀 타측의 돌출부를 수용하는 결합틀인입부가 형성되며 마감재틀에 수용된 전면판과 대향되는 후면판을 수용할 수 있는 후면판인입부가 형성되는 후면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결합틀에 마감재틀 및 후면틀이 각각 결합되어 지붕판넬의 양측에 형성되기 때문에, 지붕판넬의 제조가 용이하면서도 결합틀에 형성된 성형부로 하여금 지붕판넬에 결합부가 형성되어 따로 결합부를 성형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이 필요치 않으면서도 벽체판넬과의 결합이 용이하여 냉동, 냉장고의 설치가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지붕판넬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냉동, 냉장고용 지붕판넬틀 및 이를 이용한 지붕판넬 제조방법{Roof panel cast for refrigera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oof panel}
본 발명은 단열을 요하는 냉동, 냉장고의 지붕판넬을 제조하는 지붕판넬틀 및 이를 이용한 지붕판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붕판넬의 양측에 형성되어 지붕판넬의 외형을 이루는 전, 후면판이 고정되되, 벽체판넬과 결합되는 지붕판넬을 제조할 수 있는 지붕판넬틀을 구성하여 벽체판넬과의 결합이 용이한 지붕판넬이 제조되어 냉동, 냉장고의 설치가 편리해지면서도 냉동, 냉장고의 구조를 견고하게 하는 냉동, 냉장고용 지붕판넬틀 및 이를 이용한 지붕판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냉동, 냉장고를 이루는 판넬의 외형을 살펴보면 내부에 일정한 두께의 단열재 즉 우레탄이 발포되고, 그 양면에 금속재 평판으로 이루어진 전, 후면판이 부착되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냉동, 냉장고용 판넬들을 연속적으로 결합하여 냉동, 냉장고용 판넬을 형성함으로써, 단열을 요하는 냉장 및 냉동, 냉장고의 벽면 및 지붕을 이루는 용도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냉동, 냉장고용 판넬 간의 연결에 있어서, 종래에는 단순히 냉동, 냉장고용 판넬의 일측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측면으로 마주하는 냉동, 냉장고용 판넬에는 결합홈부를 형성하여 돌출부를 결합홈부에 끼워 넣어서 서로 밀착한 다음 실리콘 코킹작업을 통해 이음 함으로써 결합될 수 있도록 하였는데, 이는 결합 작업시 공정과 많은 시간을 요하게 되며, 특히 상기 이음부가 정교하지 못함으로 틈새가 발생되어 단열의 효율을 저하시키고, 에너지의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판넬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실리콘 및 기타접합재료를 통해 전, 후면판을 단열층에 부착하고, 판넬의 결합을 도모하는 돌출부 및 결합홈부를 따로 성형하는 등의 작업상 번거로운 공정이 발생되어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왔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붕판넬의 양측에 형성되어 지붕판넬의 외형을 이루는 전, 후면판이 고정되되, 벽체판넬과 결합되는 지붕판넬을 제조할 수 있는 지붕판넬틀을 구성하여 벽체판넬과의 결합이 용이한 지붕판넬이 제조되어 냉동, 냉장고의 설치가 편리해지면서도 냉동, 냉장고의 구조를 견고하게 하는 냉동, 냉장고용 지붕판넬틀 및 이를 이용한 지붕판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냉동, 냉장고용 지붕판넬틀 및 이를 이용한 지붕판넬 제조방법은, 냉동, 냉장고용 지붕판넬의 양측에 형성되어 내부로 단열재가 발포됨으로써 냉동, 냉장고용 벽체판넬과 결합이 이루어지는 냉동, 냉장고용 지붕판넬을 제조하는 지붕판넬틀에 있어서, 지붕판넬의 단부 하측에서 위치되어, 지붕판넬의 하측에 오목한 형태의 결합부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부가 형성되고 상기 성형부의 양단부로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지붕판넬이 완성되면 지붕판넬에서 분리되는 결합틀과, 지붕판넬의 단부측에 수직으로 형성되되, 하부로 상기 결합틀 일측의 돌출부를 수용하는 결합틀인입부가 형성되고 상부로는 지붕판넬의 전면을 형성되는 전면판이 수용될 수 있는 전면판인입부가 형성되는 마감재틀과, 상기 결합틀 타측의 돌출부를 수용하는 결합틀인입부가 형성되며 마감재틀에 수용된 전면판과 대향되는 후면판을 수용할 수 있는 후면판인입부가 형성되는 후면틀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마감재틀은 마감재틀의 내측으로 돌출되되, 돌출되는 단부가 절곡되어 지붕판넬틀에 발포되는 단열재를 고정하여 단열재와 분리됨을 방지하는 분리방지구가 형성된다.
또한 결합틀의 양측에 형성된 돌출부가 마감재틀의 결합틀인입부와 후면틀의 결합틀인입부에 각각 인입되어 결합되는 지붕판넬틀이 양측으로 이격되는 지붕판넬틀결합단계와, 상기 지붕판넬틀이 양측으로 이격되면 전면판의 삽입부를 양측에 이격된 마감재틀의 전면판인입부에 각각 삽입함과 동시에 후면판의 삽입부를 양측에 이격된 후면틀의 후면판인입부에 각각 삽입하여 지붕판넬의 외형이 완성되는 지붕판넬외형단계와, 외형이 완성된 지붕판넬의 내부로 단열재를 발포하여 단열층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단열층은 양측 하부로 결합틀의 성형부로 인해 오목한 형태의 결합부가 형성되며 양측으로 마감재틀의 분리방지구에 걸림되도록 형성되는 단열재발포단계와, 상기 단열층이 형성되면 결합틀을 분리하는 결합틀분리단계와, 상기 결합틀이 분리된 지붕판넬 내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지붕판넬의 홈에 걸이체 및 체결고리체를 인입 구성하는 걸이체 및 체결고리체 형성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동, 냉장고용 지붕판넬틀은 결합틀에 마감재틀 및 후면틀이 각각 결합되어 지붕판넬의 양측에 형성되기 때문에, 지붕판넬의 제조가 용이하면서도 결합틀에 형성된 성형부로 하여금 지붕판넬에 결합부가 형성되어 따로 결합부를 성형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이 필요치 않으면서도 벽체판넬과의 결합이 용이하여 냉동, 냉장고의 설치가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지붕판넬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마감재틀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분리방지구가 형성되기 때문에, 지붕판넬틀에 발포되는 단열층과 고정되어 견고한 구조의 지붕판넬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지붕판넬틀에 전면판과 후면판이 끼움시키고 단열재를 발포함에 의해 지붕판넬이 제조되기 때문에, 지붕판넬의 제조가 용이하여 생산성이 배가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지붕판넬틀에 의해 제조되는 지붕판넬틀은 결합부 및 걸이체, 체결고리체로 인해 벽체판넬과 상호 결합되기 때문에, 냉동, 냉장고의 구조를 견고히 함과 동시에 지붕패널 및 벽체판넬간의 결합이 간단하여 냉동, 냉장고를 신속하며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어 시간과 인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지붕판넬틀이 결합된 냉동, 냉장고용 지붕판넬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냉동, 냉장고용 지붕판넬틀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냉동, 냉장고용 지붕판넬틀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냉동, 냉장고용 지붕판넬틀에 의해 제조된 지붕판넬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a), (b), (c)는 본 발명에 의한 지붕판넬틀에 의해 제조된 지붕판넬이 벽체판넬에 결합되는 바람직한 실시의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6(a), (b)는 본 발명에 의한 걸이체 및 체결고리체에 의해 지붕판넬 및 벽체판넬이 결합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상호연결되는 지붕판넬의 가장자리에 지붕판넬틀이 형성되어 벽체판넬과 결합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지붕판넬틀이 결합된 냉동, 냉장고용 지붕판넬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냉동, 냉장고용 지붕판넬틀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냉동, 냉장고용 지붕판넬틀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로서, 도 1,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냉동, 냉장고용 지붕판넬(1)은 내부로 단열재가 발포되며 냉동, 냉장고용 벽체판넬(p)과 결합되어 냉동, 냉장고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붕판넬(1)과 결합되는 벽체판넬(p)은 지붕판넬(1)과 결합될 수 있도록 상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지붕판넬(1)을 제조하기 위한 지붕판넬틀에 관한 것으로 결합틀(10), 마감재틀(20), 후면틀(30)로 이루어져 지붕판넬(1)의 양측에 이격 구성되어 내부로 단열재로 이루어지는 단열층(60)이 형성되고 전면판(40) 및 후면판(50)을 각각 고정시킴으로써 지붕판넬(1)을 제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틀(10)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단열재가 발포되어 형성되는 지붕판넬(1)의 단부 하측에서 벽체판넬(p)과 결합될 수 있도록 지붕판넬(1)에 오목한 형태의 결합부(3)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부(13)가 돌출 구성되고 상기 성형부(13)의 양단부로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5)가 형성되어 후술되는 마감재틀(20), 후면틀(30)과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마감재틀(20)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지붕판넬(1)의 단부측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지붕판넬(1)의 양측단부에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직으로 형성된 마감재틀(20)의 하부로 상기 결합틀(10) 일측의 돌출부(15)를 수용하여 결합틀(10)과 결합을 도모하는 결합틀인입부(23)가 형성되고 상부로는 지붕판넬(1)의 전면에 형성되는 전면판(40)이 수용될 수 있는 전면판인입부(25)가 형성되어 전면판(40)과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후면틀(30)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결합틀(10) 타측의 돌출부(15)를 수용하는 결합틀인입부(33)가 형성되며 마감재틀(20)에 수용된 전면판(40)과 대향되는 후면판(50)을 수용할 수 있는 후면판인입부(35)가 형성되어 결합틀(10) 및 후면판(50)과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전면판(40)과 후면판(50)의 양측으로는 절곡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마감재틀(20)과 후면틀(30)의 전면판인입부(25)와 후면판인입부(35)는 상기 전면판(40)과 후면판(50)의 절곡된 양측이 삽입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면판인입부(25)와 후면판인입부(35)의 일측으로 전면판(40)과 후면판(50)의 일부가 접지될 수 있도록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판넬틀을 이용하여 지붕판넬(1)의 제조가 완료되면 도 5(a),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판넬(1)에 형성된 결합틀(10)은 분리하여 결합틀(10)의 성형부(13)로 하여금 지붕판넬(1)의 양측 하부는 벽체판넬(p)과 결합되기 위한 오목한 형태의 결합부(3)가 형성되며 마감재틀(20)과 후면틀(30)은 지붕판넬(1)에 고정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마감재틀(20)은 마감재틀(20)의 내측으로 돌출되되, 돌출되는 단부가 절곡되는 분리방지구(27)가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분리방지구(27)로 하여금 지붕판넬틀에 단열재가 발포되어 형성되는 단열층(60)을 고정하여 단열층(60)과 마감재틀(20)의 분리를 방지하여 견고한 구조의 지붕판넬(1)을 형성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지붕판넬(1)이 완성되면 도 6(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판넬(1) 간의 결착 또는 지붕판넬(1)과 벽체판넬(p) 간의 결착을 위해 지붕판넬(1) 내부로 상호 걸림되는 걸이체(70) 및 체결고리체(80)가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걸이체(70)는 내부가 중공되는 수용체(71) 및 상기 수용체(71)의 내부로 돌출되는 걸림구(73)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체결고리체(80)는 내부가 중공되는 수용체(81) 및 상기 수용체(81) 내에서 회전에 의해 걸림구(73)를 선택적으로 걸림할 수 있도록 선단이 고리형태로 구성되는 고리구(83)가 구성되며 상기 고리구(83)의 후측으로는 고리구(83)와 일체화되며 수직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지붕판넬(1) 표면으로 돌출되되, 연장되는 단부로 홈이 형성되는 연장부(85)로 이루어진다.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연장부(85)의 홈에 끼워 고리구(83)를 회전시켜 고리구(83)가 걸림구(73)에 걸림되어 결착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지붕판넬(1)의 일측으로 걸이체(70)가 구성되면 타측으로는 체결고리체(80)를 구성하여 지붕판넬(1)간의 결착을 도모하며 지붕판넬(1)에 걸이체(70)와 체결고리체(80) 중 어느 하나를 구성하면 지붕판넬(1)과 결합되는 벽체판넬(p)은 지붕판넬(1)과 대응되는 걸이체(70)와 체결고리체(80) 중 어느 하나를 구성하여 지붕판넬(1)과 벽체판넬(p)의 결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지붕판넬은 지붕판넬틀결합단계 - 지붕판넬외형단계 - 단열재발포단계 - 결합틀분리단계 - 걸이체 및 체결고리체 형성단계를 거쳐 제조된다.
지붕판넬틀결합단계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틀(10), 마감재틀(20), 후면틀(30)이 상호 결합되는 단계로 결합틀(10)의 양측에 형성된 돌출부(15)가 마감재틀(20)의 결합틀인입부(23)와 후면틀(30)의 결합틀인입부(33)에 각각 인입되어 지붕판넬틀이 결합되고 상기 결합된 지붕판넬틀을 지붕판넬(1)의 길이에 맞춰 양측으로 이격되는 단계이다.
지붕판넬외형단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판넬틀에 전면판(40), 후면판(50)을 형성하는 단계로 상기 지붕판넬틀결합단계에서 결합된 지붕판넬틀이 양측으로 이격되면 전면판(40)의 절곡된 단부를 양측에 이격된 마감재틀(20)의 전면판인입부(25)에 각각 삽입함과 동시에 후면판(50)의 절곡된 단부를 양측에 이격된 후면틀(30)의 후면판인입부(35)에 각각 삽입하여 지붕판넬(1)의 외형이 완성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다.
단열재발포단계는 외형이 완성된 지붕판넬(1)의 내부로 단열재를 발포하여 단열층(60)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단열층(60)은 양측 하부로 결합틀(10)의 성형부(13)로 인해 오목한 형태의 결합부(3)가 형성되며 양측으로 마감재틀(20)의 분리방지구(27)에 걸림되게 형성하는 단계이다.
결합틀분리단계는 지붕판넬(1) 내에서 단열층(60)이 형성되면 결합틀(10)을 분리하여 지붕판넬(1)의 양단하부측으로 결합틀(10)의 성형부(13)에 의해 형성된 결합부(3)가 형성되는 단계이다.
걸이체 및 체결고리체 형성단계는 상기 지붕판넬(1) 내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걸이체(70) 및 체결고리체(80)를 인입 구성하여 지붕판넬(1)의 제조가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 지붕판넬이 완성되면 도 6(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지붕판넬(1)을 걸이체(70) 및 체결고리체(80)로 상호 연결하여 냉동, 냉장고의 지붕을 형성하고 형성된 냉동, 냉장고의 지붕을 벽체판넬(p)에 안착하여 벽체판넬(p)에 돌출된 부위에 지붕판넬(1)의 결합부(3)를 안착하고 걸이체(70) 및 체결고리체(80)로 하여금 상호 결합하여 지붕판넬(1) 및 벽체판넬(p)의 설치작업이 완료되어 냉동, 냉장고의 구조를 견고히 함과 동시에 지붕패널(1) 및 벽체판넬(p)간의 결합이 간단하여 냉동, 냉장고를 신속하며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어 시간과 인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붕판넬(1)이 상호연결될 때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지붕판넬(1)의 단부측에는 지붕판넬틀이 더 구성된 채로 단열재가 발포되어 벽체판넬(p)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1 : 지붕판넬 3 : 결합부
10 : 결합틀 13 : 성형부
15 : 돌출부 20 : 마감재틀
23 : 결합틀인입부 25 : 전면판인입부
27 : 분리방지구 30 : 후면틀
33 : 결합틀인입부 35 : 후면판인입부
40 : 전면판 50 : 후면판
60 : 단열층 70 : 걸이체
71 : 수용체 73 : 걸림구
80 : 체결고리체 81 : 수용체
83 : 고리구 85 : 연장부

Claims (3)

  1. 냉동, 냉장고용 지붕판넬(1)의 양측에 형성되어 내부로 단열재가 발포됨으로써 냉동, 냉장고용 벽체판넬(p)과 결합이 이루어지는 냉동, 냉장고용 지붕판넬(1)의 제조를 도모하는 지붕판넬틀에 있어서,
    지붕판넬(1)의 단부 하측에 위치되어, 지붕판넬(1)의 하측에 오목한 형태의 결합부(3)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부(13)가 형성되고 상기 성형부(13)의 양단부로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5)가 형성되어 지붕판넬(1)이 완성되면 지붕판넬(1)에서 분리되는 결합틀(10)과,
    지붕판넬(1)의 단부측에 수직으로 형성되되, 하부로 상기 결합틀(10) 일측의 돌출부(15)를 수용하는 결합틀인입부(23)가 형성되고 상부로는 지붕판넬(1)의 전면을 형성되는 전면판(40)이 수용될 수 있는 전면판인입부(25)가 형성되는 마감재틀(20)과,
    상기 결합틀(10) 타측의 돌출부(15)를 수용하는 결합틀인입부(33)가 형성되며 마감재틀(20)에 수용된 전면판(40)과 대향되는 후면판(50)을 수용할 수 있는 후면판인입부(35)가 형성되는 후면틀(30)로 이루어지는 냉동, 냉장고용 지붕판넬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틀(20)은 내측으로 돌출되되, 돌출되는 단부가 절곡되어 지붕판넬틀에 단열재가 발포되어 형성되는 단열층(60)을 고정하여 단열층(60)와 분리됨을 방지하는 분리방지구(27)가 형성되는 냉동, 냉장고용 지붕판넬틀.
  3. 제1항 또는 제2항의 지붕판넬틀을 이용한 냉동, 냉장고용 지붕판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결합틀(10)의 양측에 형성된 돌출부(15)가 마감재틀(20)의 결합틀인입부(23)와 후면틀(30)의 결합틀인입부(33)에 각각 인입되어 결합되는 지붕판넬틀이 양측으로 이격되는 지붕판넬틀결합단계와,
    상기 지붕판넬틀이 양측으로 이격되면 전면판(40)의 절곡된 단부를 양측에 이격된 마감재틀(20)의 전면판인입부(25)에 각각 삽입함과 동시에 후면판(50)의 절곡된 단부를 양측에 이격된 후면틀(30)의 후면판인입부(35)에 각각 삽입하여 지붕판넬(1)의 외형이 완성되는 지붕판넬외형단계와,
    외형이 완성된 지붕판넬(1)의 내부로 단열재를 발포하여 단열층(60)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단열층(60)은 양측 하부로 결합틀(10)의 성형부(13)로 인해 오목한 형태의 결합부(3)가 형성되며 양측으로 마감재틀(20)의 분리방지구(27)에 걸림되게 형성하는 단열재발포단계와,
    상기 단열층(60)이 형성되면 결합틀(10)을 분리하는 결합틀분리단계와,
    상기 결합틀(10)이 분리된 지붕판넬(1) 내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지붕판넬(1)의 홈에 걸이체(70) 및 체결고리체(80)를 인입 구성하는 걸이체 및 체결고리체 형성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냉장고용 지붕판넬틀을 이용한 지붕판넬 제조방법.
KR1020100039991A 2010-04-29 2010-04-29 냉동, 냉장고용 지붕판넬틀 및 이를 이용한 지붕판넬 제조방법 KR101145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991A KR101145795B1 (ko) 2010-04-29 2010-04-29 냉동, 냉장고용 지붕판넬틀 및 이를 이용한 지붕판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991A KR101145795B1 (ko) 2010-04-29 2010-04-29 냉동, 냉장고용 지붕판넬틀 및 이를 이용한 지붕판넬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0539A true KR20110120539A (ko) 2011-11-04
KR101145795B1 KR101145795B1 (ko) 2012-05-16

Family

ID=45391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9991A KR101145795B1 (ko) 2010-04-29 2010-04-29 냉동, 냉장고용 지붕판넬틀 및 이를 이용한 지붕판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57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9206A1 (ko) * 2019-02-01 2020-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378B1 (ko) 2013-04-05 2013-12-06 아르네코리아(주) 냉장, 냉동용 조립식 패널의 결합구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97040A (en) 1979-12-29 1981-08-05 Sanko Kinzoku Kogyo Kk Heat insulating board
JP3354039B2 (ja) * 1995-10-19 2002-12-09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プレハブ庫のネジ板付天井パネル
JP3181842B2 (ja) 1996-10-28 2001-07-03 株式会社淀川製鋼所 組立式冷蔵庫
JP3071709B2 (ja) 1997-02-17 2000-07-31 株式会社淀川製鋼所 プレハブ構造の冷蔵庫用箱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9206A1 (ko) * 2019-02-01 2020-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11761699B2 (en) 2019-02-01 2023-09-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5795B1 (ko) 2012-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50628A2 (en)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6889479B2 (en) Building block
US3999820A (en) Refrigeration apparatus enclosure structure
KR100970372B1 (ko) 냉동, 냉장용 후크형 굴곡 우레탄판넬
KR101145795B1 (ko) 냉동, 냉장고용 지붕판넬틀 및 이를 이용한 지붕판넬 제조방법
JP6301587B2 (ja) 断熱パネルの施工構造
US20150225962A1 (en) Interlocking panel system
KR200483553Y1 (ko) 커튼월 결합구조
KR101456675B1 (ko) 단열구조물의 코너연결구
JP2009192108A (ja) 断熱パネル
US20210333042A1 (en) Insulated panel structure
EP2778583B1 (en) A vacuum panel cabinet structure for a refrigerator
JP2001066049A (ja) 冷蔵庫のキャビネ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78231A (ko) 건축용 패널
JP5405182B2 (ja) 壁材留具
KR101709707B1 (ko) 냉동 및 냉장 창고용 칸막이 패널 설치구조
KR101200843B1 (ko) 판넬용 결합아대를 이용한 판넬제조방법 및 그 판넬
KR101200839B1 (ko) 판넬용 결합아대 및 이를 이용한 판넬
KR101791545B1 (ko)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 및 이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
KR200446388Y1 (ko) 조립틀이 구비되는 우레탄 벽체판넬
JP3745585B2 (ja) 冷却貯蔵庫
JPH0230711Y2 (ko)
JP6181398B2 (ja) 断熱パネルの施工構造
JP6968257B2 (ja) 冷蔵庫
KR101941847B1 (ko) 벽체용 단열재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