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9277A -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의 동작 방법 그리고 매출 집계 시스템 - Google Patents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의 동작 방법 그리고 매출 집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9277A
KR20110119277A KR1020100038893A KR20100038893A KR20110119277A KR 20110119277 A KR20110119277 A KR 20110119277A KR 1020100038893 A KR1020100038893 A KR 1020100038893A KR 20100038893 A KR20100038893 A KR 20100038893A KR 20110119277 A KR20110119277 A KR 20110119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service providing
sales
user terminal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8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경원
Original Assignee
(주)네오위즈게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위즈게임즈 filed Critical (주)네오위즈게임즈
Priority to KR1020100038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9277A/ko
Publication of KR20110119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92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의 동작 방법 그리고 매출 집계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 가능한 서비스의 양이 정해진 기간제 상품을 판매하는 상품 판매부, 기간제 상품을 구입한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서비스 제공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서비스 제공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서비스 제공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제공된 서비스에 대응하여 상기 기간제 상품의 잔여 서비스 양을 조정하는 서비스 제공부, 및 조정된 기간제 상품의 서비스 양에 따라 제공된 서비스에 대응하는 비용을 매출로 집계하는 매출 집계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기간제 상품에 대한 정확한 매출 집계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의 동작 방법 그리고 매출 집계 시스템{Service proving server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erver, and selling totalization system}
본 발명은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의 동작 방법 그리고 매출 집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 가능한 서비스의 양이 정해져 판매되는 기간제 상품에 대한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의 동작 방법 그리고 매출 집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규모와 관계없이 영리를 목적으로 운영되는 업체에서는 자신들이 취급하는 종목에 대한 매출 집계가 반드시 필요하다. 매출 집계가 정확히 이루어져야만, 정확한 이익을 산출할 수 있고, 앞으로의 영업 계획도 수립할 수 있다.
고전적인 형태로 유형의 물품을 사고 파는 업종의 경우에는 물품을 판매한 시점에 매출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되므로, 매출 집계에 큰 어려움이 없다. 하지만, 판매하는 물품이 유형이 아닐 경우 매출 집계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인터넷의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최근에는 온라인 상에서 유형의 물품이 아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업체들이 제공하는 서비스는 그 형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기 때문에, 판매 시점을 기준으로 매출을 집계하는 것이 타당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일 예로, 온라인 상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는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의 양이 정해져 있는 기간제 상품이 판매되고 있다. 기간제 상품이란, 해당 상품을 구입했을 때 사용할 수 있는 금액, 포인트, 온라인 캐쉬 등이 정해져 있는 상품을 의미한다.
이러한 기간제 상품은 해당 상품이 판매된 시점을 매출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경우, 추후 사용자가 실제로 서비스를 이용했을 때 매출이 이중으로 집계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기간제 상품을 판매하는 경우에도 정확하게 매출을 집계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상품별로 사용 가능한 서비스의 양이 다르게 정해져 있는 기간제 상품을 구입한 사용자가 실제로 서비스를 이용한 시점에 해당 상품에 대한 매출을 집계하는 매출 집계 시스템, 매출 집계를 위한 피씨방 서버 및 서비스 제공 서버 그리고 그들의 동작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 가능한 서비스의 양이 정해진 기간제 상품을 판매하는 상품 판매부, 기간제 상품을 구입한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서비스 제공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서비스 제공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서비스 제공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제공된 서비스에 대응하여 상기 기간제 상품의 잔여 서비스 양을 조정하는 서비스 제공부, 및 조정된 기간제 상품의 서비스 양에 따라 제공된 서비스에 대응하는 비용을 매출로 집계하는 매출 집계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은, 사용 가능한 서비스의 양이 정해진 기간제 상품을 판매하는 단계, 기간제 상품을 구입한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서비스 제공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서비스 제공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서비스 제공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제공된 서비스에 대응하여 기간제 상품의 잔여 서비스 양을 조정하는 단계, 및 제공된 서비스에 대응하는 비용을 매출로 집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출 집계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 가능한 서비스의 양이 정해진 기간제 상품을 판매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네트워크를 통해 기간제 상품을 구입하고, 구입한 기간제 상품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피씨방 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장치, 및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복수의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이용한 서비스를 집계하여 주기별 서비스 이용 현황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서비스 이용 현황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피씨방 서버를 포함하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상기 기간제 상품을 사용하여 이용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비용을 매출로 집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의 동작 방법 그리고 매출 집계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기간제 상품을 사용하여 서비스 이용 대금을 실제로 결제한 시점을 기준으로 매출을 집계함으로써, 기간제 상품의 특성을 고려한 정확한 매출 집계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정확한 매출 집계가 가능함으로 인하여, 정확한 이익의 산출이 가능하며, 추후 영업 계획을 수립하는 데에도 매우 효과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출 집계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출 집계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의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씨방 서버의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출 집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출 집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출 집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출 집계 시스템은 서비스 제공 서버(100), 및 복수의 사용자 단말장치(300)를 포함한다. 서비스 제공 서버(100)와 복수의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연결되어 상호 통신이 가능하다. 여기서, 네트워크(200)는 유선 네트워크 및 무선 네트워크를 모두 포함한다.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무료, 혹은 유료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장치(300)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유료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행위가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매출과 연관된다.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장치(300)가 유료의 서비스를 이용할 때마다 해당 서비스에 대한 이용 요금을 수령할 수 있다. 하지만,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가 이용 요금을 미리 지불하고, 추후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일정 서비스 양이 정해져 있는 기간제 상품을 판매하기도 한다.
기간제 상품은 온라인 상에서 특정 서비스를 이용하고, 그 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지불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상품별로 사용 가능한 서비스의 양이 정해져 있다. 사용자는 기간제 상품을 구입할 때 해당 기간제 상품에 대한 비용을 지불하지만, 추후 일부 혹은 전체에 대하여 환불을 받을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서 기간제 상품을 판매한 시점에 해당 금액을 매출로 집계하는 것은 정확한 매출 집계에 해당하지 않을 수 있다.
기간제 상품은 종류에 따라 정량제 상품, 및 정액제 상품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정량제 상품은 사용 가능한 서비스의 양이 패킷 단위, 혹은 아이템 수와 같은 형태로 정해져 있는 상품이고, 정액제 상품은 사용 가능한 서비스의 양이 금액, 혹은 포인트와 같은 형태로 정해져 있는 상품이다.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기간제 상품을 판매한 이후, 사용자 단말장치(300)에서 소정 서비스를 이용하여 그 이용 요금으로 기간제 상품의 일부 혹은 전체를 사용하면, 이 시점에 사용한 금액을 매출로 집계한다.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접속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무료 혹은 유료의 서비스를 이용한다.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유료의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자신이 이용하는 서비스에 해당하는 비용을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지불하여야 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기구입해 둔 기간제 상품을 사용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복수 개이다. 도 1에서는 3대의 사용자 단말장치(300a 내지 300c)를 도시하였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그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한 매출 집계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장치(300)가 가정과 같은 개별적인 장소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접속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것으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장치(300)가 서비스를 이용한 시점에 해당 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매출로 집계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출 집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장치(300)들이 피씨방 내에 설치된 것일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1과 유사한 구성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도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표기하였으며,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출 집계 시스템은 서비스 제공 서버(100), 복수의 사용자 단말장치(300), 피씨방 서버(400), 및 타임 서버(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하나의 피씨방 내에 설치되어 있는 단말장치들에 해당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피씨방만을 도시하였으나, 실제로는 복수의 피씨방이 존재한다.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무료 혹은 유료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유료의 서비스에 대한 이용 요금을 지불하는데 사용되는 기간제 상품을 판매한다.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피씨방 서버(400)로부터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서비스 이용 현황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서비스 이용 현황 정보를 이용하여 매출을 집계한다. 이때,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장치(300) 혹은 피씨방 별로 매출을 집계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복수 개이며, 네트워크(200)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접속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무료 혹은 유료의 서비스를 이용하고, 이용한 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지불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서비스 이용에 대한 비용을 기구입한 기간제 상품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하여 지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사용자 단말장치(300)가 도 1에 도시한 사용자 단말장치(300)와 다른 점은, 도 1에 도시한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각각이 개별적인 장소에 설치된 것인 반면, 도 2에 도시한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하나의 피씨방 내에 설치된 것이라는 점이다.
피씨방 서버(400)는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피씨방 내의 사용자 단말장치(300a 내지 300c)가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접속하여 이용한 서비스를 집계하고, 집계 결과를 이용하여 주기별 서비스 이용 현황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서비스 이용 현황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송신한다.
타임 서버(500)는 피씨방 서버(400)가 기설정된 주기별로 피씨방 내의 사용자 단말장치(300a 내지 300c)가 사용한 서비스를 집계할 수 있도록 시간을 동기화한다. 특정 서버에서 타임 서버(500)와 연동하여 시간을 동기화하는 것은 이미 공지된 사항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 도시한 매출 집계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장치(300)가 피씨방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접속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것으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피씨방 서버(400)로부터 기설정된 주기별로 서비스 이용 현황 정보를 수신하여 이 서비스 이용 현황 정보를 이용하여 매출을 집계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서비스 제공 서버(100), 및 피씨방 서버(400)에 대하여는 후술하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의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상품 판매부(110), 통신부(120), 서비스 제공부(130), 매출 집계부(140), 저장부(150), 및 제1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상품 판매부(110)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상품을 판매한다. 이를 위해, 상품 판매부(110)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상품들에 대하여 선택 가능한 형태의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상품 판매부(110)를 통해 판매되는 상품은 사용자 단말장치(300)가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접속하여 사용 가능한 서비스의 양이 정해진 기간제 상품을 포함한다.
통신부(120)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와 사용자 단말장치(300), 및 피씨방 서버(400)와의 네트워크(200)를 통한 통신을 지원한다. 통신부(120)는 기간제 상품을 구입한 사용자 단말장치(300a 내지 300c 중 어느 하나)로부터 서비스 제공 요청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피씨방 서버(400)로부터 주기별로 서비스 이용 현황 정보를 수신할 수있다.
서비스 제공부(130)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서 제공 가능한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장치(300)가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서비스 제공부(130)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 및 무료 서비스를 포함한다.
서비스 제공부(130)는 통신부(120)를 통해 서비스 제공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서비스 제공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서비스 제공 요청신호를 송신한 사용자 단말장치(300a 내지 300c 중 어느 하나)에게 제공한다.
이때, 서비스 제공 요청신호를 송신한 사용자 단말장치(300a 내지 300c 중 어느 하나)가 해당 서비스에 대한 이용 요금을 기간제 상품으로 지불하고자 하면, 서비스 제공부(130)는 기제공된 서비스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장치(300a 내지 300c 중 어느 하나)가 보유하고 있는 기간제 상품의 잔여 서비스 양을 조정한다.
매출 집계부(140)는 사용자가 기구매한 기간제 상품의 적어도 일부가 사용되었을 경우 사용된 금액만큼을 매출로 집계한다. 매출 집계부(140)의 동작 형태는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첫째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장치(300)가 피씨방과 무관하게 개별적인 장소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접속할 때 매출 집계부(140)의 동작이다. 매출 집계부(140)는 서비스 제공부(130)에서 사용자 단말장치(300)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점에 이 제공된 서비스에 대응하는 비용을 매출로 집계한다. 이 경우, 매출 집계부(140)는 사용자 단말장치(300) 별로 매출을 집계할 수 있다.
둘째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장치(300)가 피씨방에 설치되어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접속할 때 매출 집계부(140)의 동작이다. 매출 집계부(140)는 통신부(120)를 통해 피씨방 서버(400)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 이용 현황 정보를 이용하여 매출을 집계한다. 서비스 이용 현황 정보는 피씨방 식별코드, 해당 피씨방 내의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사용한 서비스의 사용량, 및 서비스의 종류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매출 집계부(140)는 서비스 이용 현황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사용된 서비스의 양과 해당 금액을 집계할 수 있다. 이 경우, 매출 집계부(140)는 사용자 단말장치(300) 별 혹은 피씨방 별로 매출을 집계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기간제 상품은 정량제 상품과 정액제 상품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정량제 상품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양이 정해져 있는 상품이고, 정액제 상품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금액이 정해져 있는 상품이다. 이 경우, 매출 집계부(140)는 정량제 상품 및 정액제 상품별로 각각 매출을 집계할 수도 있다.
저장부(150)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동작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150)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서 판매하는 상품의 목록, 및 제공 가능한 서비스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0)는 복수의 피씨방 서버(400)로부터 수신하는 서비스 이용 현황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60)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즉, 제1 제어부(160)는 상품 판매부(110), 통신부(120), 서비스 제공부(130), 매출 집계부(140), 및 저장부(150) 간의 신호 입출력을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씨방 서버의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씨방 서버(400)는 집계부(410), 정보 생성부(420), 송신부(430), 저장부(440), 및 제2 제어부(450)를 포함한다.
집계부(410)는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피씨방 내의 사용자 단말장치(300a 내지 300c)에서 사용한 서비스를 집계한다. 여기서, 기설정된 주기는 일 단위, 주 단위, 월 단위, 및 년 단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집계부(410)는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서비스를 집계하기 위하여, 타임 서버(500)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정보 생성부(420)는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집계부(410)에서 집계된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이용 현황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정보 생성부(420)에 의해 생성되는 서비스 이용 현황 정보는 피씨방 내의 사용자 단말장치(300a 내지 300c)에서 사용한 서비스의 사용량, 사용한 서비스의 종류, 및 피씨방 식별코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피씨방 식별코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서 복수의 피씨방들 각각에 대하여 고유하게 할당된 ID일 수 있다.
송신부(430)는 피씨방 서버(400)와 서비스 제공 서버(100)와의 통신을 지원한다. 본 실시예에서, 송신부(430)는 정보 생성부(420)에 의해 생성된 서비스 이용 현황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송신할 수 있다.
저장부(440)는 피씨방 서버(400)의 동작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440)는 정보 생성부(420)에 의해 생성된 서비스 이용 현황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 공간의 확보를 위해서는 서비스 이용 현황 정보를 송신부(430)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송신한 이후에는 소정 기간 동안만 보유하고, 그 이후에는 저장부(440)에서 삭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2 제어부(450)는 피씨방 서버(4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즉, 제2 제어부(450)는 집계부(410), 정보 생성부(420), 송신부(430), 저장부(440) 간의 신호 입출력을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출 집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여기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매출 집계 시스템에서 매출을 집계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통상의 웹 페이지를 통해 기간제 상품을 판매하고(S600),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접속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사용하기 위하여 기간제 상품을 구입한다(S610).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 중 원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고(S620), 자신이 이용한 서비스에 대한 이용 요금으로 기구입해 둔 기간제 상품을 사용한다.
사용자 단말장치(300)에서 서비스를 이용한 후 해당 서비스에 대한 이용 요금으로 기간제 상품을 선택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해당 사용자 단말장치(300)에 할당된 기간제 상품의 잔여 서비스 양을 조정한다(S630).
이후,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장치(300)에 제공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비용을 매출로 집계한다(S640). 이때,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일 단위, 주 단위, 월 단위, 및 년 단위 중 어느 하나의 주기로 매출을 집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출 집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여기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매출 집계 시스템에서 매출을 집계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5의 S600 내지 S630 단계는 본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반복된다. 그러므로, 도 5의 S600 내지 S630 단계와 대응하는 S700 내지 S730 단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S700 내지 S730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피씨방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사용자 단말장치(300)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면, 피씨방 서버(400)의 집계부(410)는 기설정된 주기별로 사용자 단말장치(300)가 이용한 서비스를 집계한다(S740).
피씨방 서버(400)의 정보 생성부(420)는 집계부(410)에서 집계한 서비스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제공하기 위한 형태의 서비스 이용 현황 정보를 생성하고(S750), 정보 생성부(420)에 의해 서비스 이용 현황 정보가 생성되면, 송신부(430)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송신한다(S760).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피씨방 서버(400)로부터 서비스 이용 현황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서비스 이용 현황 정보는 매출 집계부(140)에 의해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매출로 집계된다(S770).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기간제 상품의 판매 시점에 판매한 금액을 수령하게 되는데, 이를 매출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추후 기간제 상품의 일부 혹은 전체의 환불이 발생할 경우 문제가 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매출 집계 방법을 이용할 경우, 일부 혹은 전체의 환불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혹은 실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점이 언제인지 알 수 없는 상태인 기간제 상품의 판매에 대하여 정확한 매출의 집계가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서비스 제공 서버 200 : 네트워크
300 : 사용자 단말장치 400 : 피씨방 서버
500 : 타임 서버

Claims (11)

  1. 사용 가능한 서비스의 양이 정해진 기간제 상품을 판매하는 상품 판매부;
    상기 기간제 상품을 구입한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서비스 제공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서비스 제공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서비스 제공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서비스에 대응하여 상기 기간제 상품의 잔여 서비스 양을 조정하는 서비스 제공부; 및
    상기 조정된 기간제 상품의 서비스 양에 따라 제공된 서비스에 대응하는 비용을 매출로 집계하는 매출 집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는 복수 개이며,
    상기 매출 집계부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장치별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제공된 서비스에 대응하는 비용을 상기 매출로 집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간제 상품은 정량제 상품 및 정액제 상품을 포함하며,
    상기 매출 집계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가 상기 서비스를 이용할 때 사용한 상기 기간제 상품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정량제 상품 및 상기 정액제 상품별로 각각 상기 매출을 집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적어도 하나의 피씨방 서버로부터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피씨방 내의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사용한 서비스를 집계하여 생성된 서비스 이용 현황 정보를 더 수신하며,
    상기 매출 집계부는, 상기 수신된 서비스 이용 현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씨방 별로 상기 매출을 집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출 집계부는, 상기 제공된 서비스에 대응하는 비용을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매출을 집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6. 사용 가능한 서비스의 양이 정해진 기간제 상품을 판매하는 단계;
    상기 기간제 상품을 구입한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서비스 제공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서비스 제공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서비스에 대응하여 상기 기간제 상품의 잔여 서비스 양을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된 서비스에 대응하는 비용을 매출로 집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는 복수 개이며,
    상기 집계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장치별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제공된 서비스에 대응하는 비용을 상기 매출로 집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간제 상품은 정량제 상품 및 정액제 상품을 포함하며,
    상기 집계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가 상기 서비스를 이용할 때 사용한 상기 기간제 상품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정량제 상품 및 상기 정액제 상품별로 각각 상기 매출을 집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피씨방 서버로부터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피씨방 내의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사용한 서비스를 집계하여 생성된 서비스 이용 현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집계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서비스 이용 현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씨방 별로 상기 매출을 집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집계하는 단계는, 상기 제공된 서비스에 대응하는 비용을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매출을 집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
  11.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 가능한 서비스의 양이 정해진 기간제 상품을 판매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기간제 상품을 구입하고, 상기 구입한 기간제 상품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피씨방 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장치; 및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이용한 서비스를 집계하여 상기 주기별 서비스 이용 현황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서비스 이용 현황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피씨방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상기 기간제 상품을 사용하여 상기 이용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비용을 매출로 집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출 집계 시스템.
KR1020100038893A 2010-04-27 2010-04-27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의 동작 방법 그리고 매출 집계 시스템 KR201101192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893A KR20110119277A (ko) 2010-04-27 2010-04-27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의 동작 방법 그리고 매출 집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893A KR20110119277A (ko) 2010-04-27 2010-04-27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의 동작 방법 그리고 매출 집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9277A true KR20110119277A (ko) 2011-11-02

Family

ID=45390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8893A KR20110119277A (ko) 2010-04-27 2010-04-27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의 동작 방법 그리고 매출 집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927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24579B2 (ja) 据置電力販売方法、仮想電気事業体、および電力取得方法
US101089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rketing sponsored energy services
KR20090001831A (ko) 지역 광고 기반의 전자상거래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80065410A (ko) 스마트 그리드 기반의 발전측 전력 거래 장치 및 소비측 전력 거래 장치
KR101446980B1 (ko) 상품 교차 판매 방법 및 시스템
CN105117926A (zh) 智能装置及其实现人数统计的方法
JP6791742B2 (ja) 情報処理装置
KR101584790B1 (ko) Pc방 통합 결제 시스템
JP2017059059A (ja) ポイント還元率出力装置、ポイント還元率出力方法およびポイント還元率出力プログラム
KR20140108478A (ko) 자동판매기 모니터링시스템
KR20110119277A (ko)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의 동작 방법 그리고 매출 집계 시스템
KR20200015031A (ko) 상품 제공 방법, 상품 제공 서버 및 사용자 단말
KR20200005092A (ko) 코인의 가치 평가를 이용한 코인 교환 시스템 및 방법
JP3883498B2 (ja) インバランス電力取引支援システム
KR20160041471A (ko) 고객 성향을 이용한 광고 및 포인트 보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JP2004062805A (ja) 電力メータリングサービスシステム並びにメータリングサービスセンタ及びメータリング方法
KR102218800B1 (ko) 광고 트래픽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2321491B1 (ko) 전력 충전/판매 장치 및 방법
JP6464065B2 (ja) 統計情報出力装置及び統計情報出力方法
KR20210056565A (ko) 온라인 판매를 위한 금융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210081607A (ko) 콘텐츠 제공에 따른 온오프라인 연계 보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76666A (ko) 블록체인 기반 배달-보상 서비스 시스템 및 블록체인 기반 배달-보상 서비스 방법
JP6146532B2 (ja) 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60035521A (ko) 상호 광고 기반 저비용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32277A (ko) 키워드 코드와 동영상을 이용한 물품 판매정보 중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622

Effective date: 20120904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622

Effective date: 2013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