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8773A - 삽입 반부와 조합으로 사용하기 위한 층, 및 삽입 반부 - Google Patents

삽입 반부와 조합으로 사용하기 위한 층, 및 삽입 반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8773A
KR20110118773A KR1020117016584A KR20117016584A KR20110118773A KR 20110118773 A KR20110118773 A KR 20110118773A KR 1020117016584 A KR1020117016584 A KR 1020117016584A KR 20117016584 A KR20117016584 A KR 20117016584A KR 20110118773 A KR20110118773 A KR 20110118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indexing means
halves
layers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6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9495B1 (ko
Inventor
벵 요한슨
보 비르게루드
Original Assignee
엠씨티 브라트베르그 악티에볼라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26900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1011877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엠씨티 브라트베르그 악티에볼라그 filed Critical 엠씨티 브라트베르그 악티에볼라그
Publication of KR20110118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8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9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9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13Sealing means for cable in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8Sealing by means of axial screws compressing a ring or slee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4Sealing for double-walled or multi-channel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Gasket Seal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Insul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층(20)이 기다란 원호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제1 단부(21) 및 제2 단부(22)를 가지고 있는, 프레임 내의 케이블, 와이어 또는 튜브 주위에 밀봉을 제공하기 위해 삽입 반부(10)와 조합으로 사용하기 위한 층(2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층(20)에, 상기 층(20)의 상기 제1 단부(21) 및/또는 상기 제2 단부(22)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색인 수단(30)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삽입 반부와 조합으로 사용하기 위한 층, 및 삽입 반부{LAYER FOR USE IN COMBINATION WITH AN INSERT HALF, AND INSERT HALF}
본 발명은, 기다란 원호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내의 케이블, 와이어 또는 튜브 주위에 밀봉을 제공하기 위해 삽입 반부와 조합으로 사용하기 위한 층, 및 상기 층을 포함하는 삽입 반부에 관한 것이다.
여러 기술 분야, 예를 들면 상선, 해양 플랫폼(offshore platform), 및 건물과 같이 매우 중요한 내용물을 가진 구조물은 화재, 폭발, 누수 등에 관한 높은 안전 요건을 필요로 한다. 화재나 누수 등의 경우에 불이나 물이 종종 선박, 플랫폼, 또는 건물 내의 와이어, 케이블 또는 파이프를 따라 확산된다. 케이블, 와이어 또는 파이프가 선박, 플랫폼, 또는 건물 내의 분리벽을 통해 설치된 경우에, 불이나 물이 확산되는 것을 정지 또는 지연시킬 수 있도록 각각의 케이블, 와이어 또는 파이프가 신뢰성 있게 밀봉되어야 한다.
케이블, 와이어 또는 파이프가 통과하는 분리벽의 영역을 밀봉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해결방안 중 하나는 분리벽 내의 개구에 설치되는 사각형 프레임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프레임은, 프레임에 예상되는 하중 및 요구되는 안전 수준에 따라 강철,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강으로 이루어지고, 벽의 재료 및 크기에 따라 스크루, 볼트 또는 용접으로 분리벽에 고정된다. 분리벽을 통과하는 모든 케이블, 와이어 또는 파이프는 프레임을 통해 안내되고, 프레임 내의 개구를 밀봉하기 위해, 삽입 블럭이 프레임을 통과하는 각각의 케이블, 와이어 또는 파이프 주위에 위치된다. 삽입 블럭은 2개의 블럭 반부로 구성되고, 블럭 반부 각각에는 블럭의 일측면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반원형 홈이 구비되어, 2개의 블럭 반부가 서로 대향하는 블럭 반부의 각각의 홈에 의해 결합될 때 원형 개구가 형성된다.
프레임을 밀봉하기 위해서 프레임 내의 케이블, 와이어 또는 파이프 각각이 삽입 블럭 내에 장착되고 프레임 내에 팩킹된다. 블럭은 프레임 내의 층들 내에서 나란히 팩킹되고, 블럭의 외부 크기는 소정수의 블럭을 프레임 내에 장착시키도록 선택된다. 층들은, 블럭을 프레임 내의 의도한 위치에 유지하는 금속 플레이트에 의해 분리된다. 프레임은, 압력 인가 디바이스가 프레임의 상부에 도입되기 전에, 삽입 블럭에 의해 거의 완전히 채워진다. 모든 블럭, 플레이트, 및 압력 인가 디바이스가 프레임 내의 올바른 위치에 있을 때, 압력 인가 디바이스가 구동되고, 압력은 프레임 내의 블럭에 인가된다. 압력은 탄성 블럭을 약간 변형시키고, 프레임 내의 나머지 공간을 밀봉시킨다. 삽입 블럭의 사각형 단면은, 케이블, 와이어 또는 파이프의 실질적으로 원형인 단면 주위에 밀봉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그것은 매우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각각의 케이블, 와이어 또는 파이프 주위에 신뢰성 있는 밀봉을 제공하기 위해, 홈의 반경은 케이블, 와이어 또는 파이프의 외경과 거의 정확하게 대응되어야 한다. 이것을 달성하기 위해, 여러 가지 사이즈의 개구를 가진 복수의 블럭이 사용될 수 있거나, 예를 들면 EP 0 429 916 B1에 기술된 형태의 삽입 블럭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삽입 블럭은, 블럭 내의 개구 내에 장착되는 복수의 얇은 층이 구비되는 원형 개구를 가진다. 개구로부터 하나 이상의 층을 제거함으로써 개구의 반경이 특정 케이블, 와이어 또는 파이프에 맞게 조절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조절식 삽입 블럭은 한 가지 단점이 있다. 원하는 수준으로 프레임 내의 개구를 밀봉하기 위해서는 삽입 블럭 내의 개구와 케이블, 와이어 또는 파이프의 외면 사이에서의 피팅(fitting)이 단단해야 하고, 또 정확히 올바른 개수의 층이 개구에서 제거되지 않으면, 필요한 밀봉을 달성할 수 없다.
따라서, 프레임을 통해 안내되는 케이블, 와이어 또는 파이프의 부적절한 밀봉의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가요성 삽입 블럭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임을 통해 안내되는 케이블, 와이어 또는 파이프의 부적절한 밀봉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가요성 삽입 블럭을 제공하는 것이다.
독립 청구항 제1항 및 제5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감소시키는 가요성 삽입 반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층을 삽입 반부 내에 제거 가능하게 배치함으로써 달성된다. 프레임 내의 케이블, 와이어 또는 튜브 주위에 밀봉을 제공하기 위해 삽입 반부와 조합으로 사용하기 위한 층 각각은, 기다란 원호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상기 층의 상기 제1 단부 및/또는 상기 제2 단부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색인 수단(indexing means)을 포함한다.
색인 수단은, 특정 케이블, 와이어 또는 튜브의 크기에 대해 가능한 가장 양호한 밀봉을 달성하기 위해 제거되어야 하는 층의 수에 대해 작업자에게 지침을 제공한다. 이것은 큰 이점인데, 그것은, 밀봉을 필요로 하는 케이블, 와이어 또는 튜브 주위에 삽입 반부를 장착하는 동안에, 작업자가 삽입 반부의 홈에서 올바른 수의 층을 제거하지 못하는 위험성이 현저히 감소되기 때문이다. 너무 많거나 너무 적은 층이 제거되면, 필요한 밀봉이 달성되지 못할 수 있으며, 그것은 예를 들면 화재 또는 폭발의 경우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이점은 또한 설치물에 대한 미래의 검사를 편리하게 하는 것인데, 그것은 삽입 반부가 프레임 내에 팩킹된 후에 색인 수단이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중요한 이점인데, 그것은, 이러한 종류의 안전 설치물은 설치물의 필요한 안전 레벨을 확보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검사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들 검사를 더욱 정확하게 하고, 이들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층에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에서 상기 색인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삽입 반부를 특정 케이블, 와이어 또는 튜브의 크기에 적응시키는 것을 편리하게 하는데, 그것은, 삽입 반부를 어느 방향에서 보는가에 상관 없이 색인 수단이 용이하게 식별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색인 수단은 상기 층의 상기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색인 수단을 상기 층의 상기 단부로부터 연장되게 함으로써, 색인 수단의 사이즈가 증가될 수 있고, 따라서, 설치를 수행하는 작업자에 의해 더욱 용이하게 검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색인 수단은 상기 층의 상기 단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색인 수단이 삽입 반부의 단부면 밖으로 소정 거리 연장되게 하지 않고도 반경 방향으로의 색인 수단의 사이즈를 증가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 내의 케이블, 와이어 또는 튜브 주위에 밀봉을 제공하기 위해 유사한 삽입 반부와 조합으로 사용하기 위한 삽입 반부에 관한 것이다. 상기 삽입 반부는,
- 제1 단부면, 상기 제1 단부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2 단부면, 및 상기 제1 단부면과 상기 제2 단부면 사이에서 연장되고 있는 하나 이상의 측면을 포함하는 삽입 몸체, 및
- 상기 측면에서 상기 제1 단부면으로부터 상기 제2 단부면으로 연장되어 있는 반원형 홈
을 포함하며,
상술한 복수의 층은, 상기 홈의 반경을 변경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반원형 홈 내에 제거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삽입 반부는 가요성이 매우 높은 삽입 반부를 제공하며, 그러한 삽입 반부는 유사한 삽입 반부와 조합으로 사용될 때, 프레임을 통해 안내되는 케이블, 와이어 또는 튜브의 부적절한 밀봉의 위험성을 감소시키는데, 그것은, 삽입 반부가 복수의 다른 케이블, 와이어 또는 튜브의 직경에 용이하게 적응될 수 있고, 홈 내에 제거 가능하게 배치된 각각의 층의 색인 수단이, 가장 양호한 밀봉을 달성하기 위해 제거되어야 하는 층의 수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삽입 반부의 일실시예에서, 여러 가지 다른 상기 층의 상기 색인 수단은, 여러 가지 다른 상기 층에 관련된 상기 색인 수단이 상기 홈의 둘레부 주위에 나란히 위치되도록, 상기 층의 상기 둘레부 주위에서 여러 다른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삽입 반부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삽입 반부는 8개의 층을 포함한다. 제거 가능한 상기 층의 단부에서의 상기 색인 수단의 폭은 상기 층의 원주의 1/8 이하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삽입 반부는, 홈의 직경을 위한 조절 범위에 관한 필요한 신축성을 제공하며, 색인 수단이 서로 중첩되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검출되는 것을 확실하게 한다.
삽입 반부의 일실시예에서, 여러 가지 다른 상기 층의 상기 색인 수단은 여러 가지 다른 색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층의 구별 및 선택을 더욱 편리하게 한다.
삽입 반부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색인 수단, 및 상기 색인 수단이 속하는 상기 층은 동일 한 색을 가지고 있다. 전체 층과 색인 수단에 다른 색을 사용함으로써, 여러 가지 다른 층의 구별 및 선택이 더욱 편리하게 된다.
삽입 반부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색인 수단 각각은, 상기 삽입 반부의 상기 단부면 중 하나 또는 모두에, 볼 수 있고 느낄 수 있는 여러 가지 다른 표지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다른 층을 서로 구별하기 쉽게 하며, 빛이 전혀 없는 경우에는, 설치를 수행하는 작업자가 다른 층에 대한 표지를 느낄 수 있다.
삽입 반부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삽입 몸체는 실질적으로 입방체 또는 반원통형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삽입 반부의 형상은, 케이블, 와이어 또는 튜브 주위에 유사한 삽입 몸체와 조합되어 사용될 때, 입방형 또는 원통형 형상을 형성한다. 입방 형상은 사각형 프레임에 사용될 때 이점을 가지는데, 그것은 입방 형상이 프레임 내에 용이하게 팩킹될 수 있기 때문이며, 원통형 형상은 원형 프레임에 사용된다.
청구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도시한다.
도 1은, 홈 내에 제거 가능하게 배치되는 층을 가진 삽입 반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층 및 식별 수단을 도시하는, 도 1의 삽입 반부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층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삽입 반부(10)가 도시되어 있다. 삽입 반부는, 실질적으로 입방형인 형상을 가진 삽입 몸체(11)를 가진다. 삽입 몸체(11)는, 도시되지 않은 케이블, 와이어 또는 파이프 주위에 장착되었을 때 제2 삽입 반부의 유사한 표면과 접촉될, 제1 단부면(12), 제2 단부면(13), 3개의 외면(14), 및 2개의 면(15)을 포함한다. 2개의 접촉면(15)은, 삽입 반부의 중심에 위치되고 제1 단부면(12)으로부터 제2 단부면(13)으로 연장되는 반원형 홈(16)의 양쪽 면을 따라, 제1 단부면(12)으로부터 제2 단부면(13)으로 연장된다.
삽입 반부(10)는, 분리벽에 설치되는 프레임을 통해 안내되어야 하는 케이블, 와이어 또는 튜브를 위한 것이다. 케이블, 와이어 또는 튜브는, 케이블, 와이어 또는 튜브가 2개의 삽입 반부(10) 내의 홈(16)에 포함되도록 유사한 삽입 반부가 제1 삽입 반부(10)에 대해 반대쪽에 위치되기 전에, 1개의 삽입 반부(10) 내의 홈(16) 내에 위치된다. 2개의 삽입 반부는 케이블, 와이어 또는 튜브 주위에 장착되었을 때 삽입 블럭이라고 지칭된다. 삽입 블럭은, 분리벽 내에 설치되는 프레임 내에서 다른 삽입 블럭과 함께 팩킹된다.
케이블, 와이어 또는 튜브 주위의 필요한 밀봉을 확보하기 위해, 삽입 반부(10)의 홈(16)과, 삽입 블럭을 관통하는 케이블, 와이어 또는 튜브의 외면 사이에 꼭끼는 피팅이 있는 것이 중요하다. 삽입 반부(10)에, 홈(16)의 반경을 특정 케이블, 와이어 또는 튜브 직경에 적응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해 홈(16) 내에 제거 가능하게 배치되는 8개의 별개의 층(20)이 구비된다.
층(20)은 삽입 반부(10)의 홈(16)에 장착되기 위해 기다란 원호와 같은 형상을 가진다. 각각의 층(20)은, 인접 층(20)에 대응하거나, 층이 홈(16) 바로 옆에 위치되면 삽입 반부 내의 홈(16)에 대응하도록, 특정한 소정 반경을 가진다. 층의 반경은, 삽입 반부 내의 인접 층들과 홈 사이의 필요한 꼭끼는 피팅을 확보하기 위해 상부층을 향해 감소된다.
도 3에, 단일 층(20)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8개의 층은 모두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원호와 같은 형상을 가진 기다란 층 몸체(21), 제1 단부(22), 및 제2 단부(23)를 포함한다.
층의 두께는, 삽입 반부가 사용되는 필요한 케이블, 와이어 또는 튜브의 직경을 충족시키도록 선택된다. 예를 들면, 필요한 직경 차가 1mm이면, 각각의 층은 0.5mm의 층 두께를 가지며, 필요한 직경 차가 2mm이면, 층 두께는 1mm이다. 도시된 삽입 반부는 8개의 다른 층을 포함하지만, 층의 수는 삽입 반부 및 삽입 블럭을 위한 조절 가능한 범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 변경될 수 있다.
각각의 층에, 층(20)의 양쪽 단부(22, 23)에 위치되는 색인 수단(30)이 구비된다. 색인 수단은, 층(20)의 각각의 단부(22, 23)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외향 연장되고, 색인 수단의 외부 단부를 향해 약간 증가하는 폭을 가진 작은 탭의 형상을 가진다. 색인 수단의 사이즈는, 케이블, 와이어 또는 튜브의 어떤 특정 직경 또는 반경에 층이 사용되어야 하는 지를 나타내는 숫자 또는 부호를 프린트하거나 형성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프레임 내에 삽입 블럭을 설치하는 작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검출되기에 충분히 커야 한다. 도 2에, 가능한 표지의 예로서 숫자가 표시되는 색인 수단 중 하나가 도시되어 있다. 다른 대안은, 여러 가지 다른 색을 가진 다른 색인 수단을 제공하고, 한 가지 색이 특정 케이블, 와이어 또는 튜브의 직경 또는 반경에 대응하게 하는 것이다. 층을 구별하기 위해 여러 가지 다른 색이 사용되면, 바람직하게 전체 층은 여러 가지 층의 구별을 더욱 편리하게 하기 위해 색인 수단과 동일한 색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들 2개의 대안은 물론 결합될 수 있다.
여러 가지 다른 층의 색인 수단(30)은 서로 중첩되는 대신에 홈 내에 배치되었을 때 홈의 둘레부 주위에 나란히 위치되도록, 층의 원주를 따라 여러 가지 다른 위치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예에서, 삽입 반부(10)의 단부면에, 홈(16) 주위에 절결부(17)가 구비된다. 홈(16) 내에 제거 가능하게 배치되는 층(20)은 홈(16)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홈(16)과 절결부(17) 사이의 에지에서 종료되어,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색인 수단(30)이, 색인 수단(30)의 반경 방향 길이와 동일한 반경 방향 길이를 가진 절결부(17) 내에 위치된다.
각각의 층(20)에, 층 몸체(21)의 외면에서 여러 가지 다른 위치에 위치되는 원형 돌출부(23), 및 층 몸체(21)의 내면에 있는 원형 리세스(24)가 구비된다. 또한, 유사한 원형 리세스는, 층(20)을 삽입 몸체(11)에 제거 가능하게 배치하기 위해, 삽입 몸체(11)의 홈(16)에 구비된다. 이들 돌출부(23) 및 리세스(24)는, 1개의 층의 원형 돌출부(23)가 인접 층 내의 원형 리세스(24)와 함께 압입끼워맞춤을 발생시키도록, 소정 위치에 위치된다. 이들 압입끼워맞춤은 층이 삽입 반부(10)의 홈(16) 내에 제거 가능하게 배치된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한 가지 현재 바람직한 실시예가 여기에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그에 제한되지 않고,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 포함되는 모든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하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11)

  1. 프레임 내의 케이블, 와이어 또는 튜브 주위에 밀봉을 제공하기 위해 삽입 반부(10)와 조합으로 사용하기 위한 층(20)에 있어서,
    기다란 원호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제1 단부(21),
    제2 단부(22), 및
    상기 제1 단부(21) 및 상기 제2 단부(22)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색인 수단(30)
    을 포함하는, 삽입 반부와 조합으로 사용하기 위한 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색인 수단(30)이 상기 제1 단부(21) 및 상기 제2 단부(22)에 구비되어 있는, 삽입 반부와 조합으로 사용하기 위한 층.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색인 수단(30)은 상기 층(20)의 상기 제1 및 제2 단부(21, 22)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삽입 반부와 조합으로 사용하기 위한 층.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색인 수단(30)은 상기 층(20)의 상기 제1 및 제2 단부(21, 22)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삽입 반부와 조합으로 사용하기 위한 층.
  5. 프레임 내의 케이블, 와이어 또는 튜브 주위에 밀봉을 제공하기 위해 유사한 삽입 반부와 조합으로 사용하기 위한 삽입 반부(10)에 있어서,
    제1 단부면(12), 상기 제1 단부면(12)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2 단부면(13), 및 상기 제1 단부면(12)과 상기 제2 단부면(13) 사이에서 연장되고 있는 하나 이상의 측면(15)을 적어도 포함하는 삽입 몸체(11), 및
    상기 측면(15)에서 상기 제1 단부면(12)으로부터 상기 제2 단부면(13)으로 연장되어 있는 반원형 홈(16)
    을 포함하며,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수의 층(20)이 상기 홈(16)의 반경을 변경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반원형 홈(16) 내에 제거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삽입 반부.
  6. 제5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상기 층(20)의 색인 수단(30)이 층(20)의 둘레부 주위의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되어 서로 다른 층(20)에 관련된 색인 수단(30)이 홈(16)의 둘레부 주위에 나란히 위치되도록 구성된, 삽입 반부.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반부(10)는 8개의 층(20)을 포함하며,
    제거 가능한 층(20)의 단부에서의 색인 수단(30)의 폭은 상기 층(20)의 원주의 1/8 이하인,
    삽입 반부.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층(20)의 색인 수단(30)은 서로 다른 색을 가지고 있는, 삽입 반부.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색인 수단(30), 및 상기 색인 수단(30)이 속하는 층(20)은 동일 한 색을 가지고 있는, 삽입 반부.
  10.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색인 수단(30)은 상기 삽입 반부(10)의 상기 단부면(12, 13) 중 하나 또는 모두에 여러 표지를 가지고 있는, 삽입 반부.
  11. 제5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몸체(11)는 실질적으로 입방체 또는 반원통형 형상을 가지고 있는, 삽입 반부.
KR1020117016584A 2008-12-19 2008-12-19 삽입 반부와 조합으로 사용하기 위한 층, 및 삽입 반부 KR1015794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SE2008/051543 WO2010071530A1 (en) 2008-12-19 2008-12-19 Layer for use in combination with an insert half, and insert hal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773A true KR20110118773A (ko) 2011-11-01
KR101579495B1 KR101579495B1 (ko) 2015-12-22

Family

ID=42269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6584A KR101579495B1 (ko) 2008-12-19 2008-12-19 삽입 반부와 조합으로 사용하기 위한 층, 및 삽입 반부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10248453A1 (ko)
EP (1) EP2386133B2 (ko)
JP (1) JP5290430B2 (ko)
KR (1) KR101579495B1 (ko)
CN (1) CN102257692B (ko)
AU (1) AU2008365305B2 (ko)
DK (1) DK2386133T4 (ko)
NO (1) NO2386133T3 (ko)
SG (1) SG172260A1 (ko)
WO (1) WO20100715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0950050A1 (sv) 2009-02-04 2010-08-05 Roxtec Ab Identifiering av lager hos en rör- eller kabelgenomföring
SE534991C2 (sv) * 2010-07-14 2012-03-06 Mora Contract Mfg Ab Tätningsmodul för tätning kring en långsträckt ledning
USD715744S1 (en) 2011-03-11 2014-10-21 Roxtec Ab Cable and pipe penetration seal
ITMI20131022A1 (it) * 2013-06-20 2014-12-21 Fi Mo Tec Spa Modulo multidiametro per passanti a parete di sigillatura per cavi, tubazioni ed altri corpi lungiformi in genere
CA2928824A1 (en) * 2013-10-31 2015-05-07 Mct Brattberg Ab Insert block half
SE1451192A1 (sv) * 2014-10-07 2016-03-08 Mct Brattberg Ab Insert block half
CN105071321A (zh) * 2015-08-19 2015-11-18 江苏五信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提高多径电缆密封装置电磁屏蔽效能的方法
SE539904C2 (en) * 2015-12-18 2018-01-09 Roxtec Ab Module of a seal or transition
CA169010S (en) * 2015-12-18 2017-02-22 Roxtec Ab Multi module for flat cables
IT201700074980A1 (it) * 2017-07-04 2019-01-04 Wallmax S R L Modulo passacavi.
CN110601061B (zh) * 2019-09-20 2021-02-19 国网山东省电力公司济南市长清区供电公司 一种gis过墙安全支架
SE2150956A1 (en) * 2021-07-16 2022-12-27 Mct Brattberg Ab Pressure test insert and fr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6364B2 (ko) * 1985-08-24 1991-12-05 Kensetsu Kikaku Konsarutanto Kk
DE20104279U1 (de) * 2001-03-13 2001-07-19 Rabeneick Kunststoff Gmbh Ringdichtung für Wanddurchführungen
KR20040035839A (ko) * 2001-09-21 2004-04-29 록스텍 인터내셔날 아베 케이블 도입부, 파이프 관통부 등을 위한 밀봉체
US20040103600A1 (en) * 2001-10-10 2004-06-03 Firma Roxtec Ingenieur Gmbh Modular bulkhead for sealing passage of cables and pipes in structures of all kind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31316A (en) * 1976-09-06 1978-03-24 Nippon Telegraph & Telephone Fireeproof structure
JPS5994659U (ja) * 1982-12-17 1984-06-27 横河電機株式会社 多層式軸密封栓
US4648607A (en) * 1986-03-04 1987-03-10 Ishikawa Gasket Co. Ltd. Steel laminate gasket with assembly order identification device
DE8913702U1 (ko) * 1989-11-20 1990-02-08 Wolff, Anton, Dipl.-Ing., 3492 Brakel, De
JPH0685963U (ja) * 1993-05-26 1994-12-13 日本ラインツ株式会社 積層金属板ガスケット
JPH06337070A (ja) * 1993-05-28 1994-12-06 Taiho Kogyo Co Ltd 積層ガスケット
JP3252066B2 (ja) * 1994-10-24 2002-01-28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膨張黒鉛製パッキン
AU6339396A (en) * 1995-06-19 1997-01-15 Fel-Pro Incorporated Gasket layer identifiers
SE506212C2 (sv) * 1996-03-22 1997-11-24 Lycab Ab Packbitshalva för en kabelgenomföring
FR2775328B1 (fr) * 1998-02-26 2000-04-28 Christian Loth Joint d'etancheite pour bride de tuyauterie
GB0000712D0 (en) * 2000-01-14 2000-03-08 Flexitallic Ltd Gasket
AT410734B (de) * 2000-03-14 2003-07-25 Bst Brandschutztechnik Doepfl Dichtungselement für eine vorrichtung zur brandgesicherten durchführung von leitungen durch in wänden befindliche öffnungen hindurch
US6845984B2 (en) * 2000-11-27 2005-01-25 Michael Doyle Keeper for positioning ring seals
DE10150075A1 (de) * 2001-10-10 2003-04-17 Roxtec Ingenieur Gmbh Modulare Schottung zur dichten Durchführung von Kabeln und Rohrleitungen durch Bauteile aller Art (mit nachweisbarer Dichte)
SE520363C2 (sv) * 2001-12-14 2003-07-01 Roxtec Int Ab Genomföringsanordning för genomföring av långsträckt ledning genom en öppning i en vägg
SE530482C2 (sv) * 2007-05-16 2008-06-17 Roxtec Ab Tätning med brandskyd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6364B2 (ko) * 1985-08-24 1991-12-05 Kensetsu Kikaku Konsarutanto Kk
DE20104279U1 (de) * 2001-03-13 2001-07-19 Rabeneick Kunststoff Gmbh Ringdichtung für Wanddurchführungen
KR20040035839A (ko) * 2001-09-21 2004-04-29 록스텍 인터내셔날 아베 케이블 도입부, 파이프 관통부 등을 위한 밀봉체
US20040103600A1 (en) * 2001-10-10 2004-06-03 Firma Roxtec Ingenieur Gmbh Modular bulkhead for sealing passage of cables and pipes in structures of all ki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86133A4 (en) 2012-10-31
JP2012513002A (ja) 2012-06-07
EP2386133A1 (en) 2011-11-16
WO2010071530A1 (en) 2010-06-24
AU2008365305A1 (en) 2011-07-07
JP5290430B2 (ja) 2013-09-18
AU2008365305B2 (en) 2016-03-24
DK2386133T3 (da) 2014-06-02
US20110248453A1 (en) 2011-10-13
DK2386133T4 (da) 2018-01-29
CN102257692A (zh) 2011-11-23
SG172260A1 (en) 2011-07-28
KR101579495B1 (ko) 2015-12-22
NO2386133T3 (ko) 2014-07-26
EP2386133B2 (en) 2017-12-06
CN102257692B (zh) 2014-06-25
EP2386133B1 (en) 2014-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18773A (ko) 삽입 반부와 조합으로 사용하기 위한 층, 및 삽입 반부
US7631880B2 (en) Seal for a cable entry, pipe penetration or the like
US20160281884A1 (en) Insert block half
RU2697585C2 (ru) Уплот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6940518B2 (ja) インサート半部及び前記インサート半部の2つを含むインサートブロック
KR20160041809A (ko) 인서트 블록 절반부
CN111237549A (zh) 密封系统中的延伸元件
ES2836445T3 (es) Dispositivo de penetración
EP3837744A1 (en) Improvements to cable hang off apparatus
GB1566691A (en) Pipeline for liquid metal
CN111527659B (zh) 插入块和包括所述插入块的密封系统
JP7386712B2 (ja) パイプラインの絶縁ケーシングとその取り付け方法。
KR200321688Y1 (ko) 보온 배관라인의 액상체 누출 위치 확인구조
JP2016211705A (ja) リブ付管用補修材、及びリブ付管の補修方法
FI76650C (fi) Hoegtryckgenomfoeringsanordning.
CZ20033421A3 (cs) Kabelová ucpávk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