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8508A - 익스팬션 조인트 - Google Patents

익스팬션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8508A
KR20110118508A KR1020100038145A KR20100038145A KR20110118508A KR 20110118508 A KR20110118508 A KR 20110118508A KR 1020100038145 A KR1020100038145 A KR 1020100038145A KR 20100038145 A KR20100038145 A KR 20100038145A KR 20110118508 A KR20110118508 A KR 20110118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bellows
pipe
flange
coup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8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0808B1 (ko
Inventor
정구증
Original Assignee
(주)삼성플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성플렉스 filed Critical (주)삼성플렉스
Priority to KR1020100038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0808B1/ko
Publication of KR20110118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8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0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0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 F16L27/107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the ends of the pipe being interconnected by a flexible sleeve
    • F16L27/11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the ends of the pipe being interconnected by a flexible sleeve the sleeve having the form of a bellows with multiple corrug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 F16L27/0804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the fluid passing axially from one joint element to another
    • F16L27/080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the fluid passing axially from one joint element to another the joint elements extending coaxially for some distance from their point of sepa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 F16L27/1012Flanged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익스팬션 조인트는 인접하는 배관의 단부와 각각 결합하는 제 1, 2 결합부와, 제 1 결합부와 제 2 결합부를 상호 연결하는 벨로우즈와, 벨로우즈의 양단부를 제 1 결합부와 제 2 결합부에 각각 고정하는 벨로우즈고정부와, 벨로우즈의 열팽창에 따른 제 1 결합부와 제 2 결합부 사이의 간격 변동을 방지하는 위치고정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익스팬션 조인트는 벨로우즈를 설치함으로써 배관을 지나는 유체의 온도 또는 주위의 온도에 따른 열팽창에 대해 신축성이 향상되며, 벨로우즈고정부를 설치함으로써 열팽창에 의해 벨로우즈가 플랜지에서 분리되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워터자켓을 제 1, 2 프레임과 제 1, 2 연장파이프 사이의 결합부에서 이격되게 설치함으로써 워터자켓의 파손에 따른 냉각수의 내부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익스팬션 조인트를 유니트화 함으로써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익스팬션 조인트{Expansion joint}
본 발명은 익스팬션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배관의 온도 변화로 인한 관의 신축에 따른 배관의 파손 방지를 위해 신축성이 있는 벨로우즈가 설치된 익스팬션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광로, 발전소, 석유화학, 냉동, 야금, 원자력, 공조시스템, 항공, 건설, 자동차, 수처리, 소각로 등의 많은 분야에 설치되는 관로는 관로를 지나는 유체의 온도 또는 주위의 온도에 따라 열팽창 되는데, 이 열팽창량을 흡수하기 위하여 관로에 신축 이음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신축이음장치의 일 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307307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신축 이음장치는 내면고무와 외면고무 사이에 제 1 내지 4포집고무가 45도 결방향을 갖도록 부착되고 제 1, 2 포집고무는 단부가 절개되지 않은 상태에서 와이어링을 감싼다. 이러한 신축 이음관은 와이어링이 제 1, 2 포집고무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내압과 외압에 충분히 견딜 수 없다.
등록 실용신안 제 0224032호에는 신축 이음관의 다른 예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신축이음관은 중앙에 통공이 형성된 외통체와,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외통체의 적어도 일측 통공에 결합된 내통체와, 내통체의 외주면과 내통체의 내벽면 사이에 설치되는 신축부재와, 외통체의 내벽이 내통체의 외주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는 링 형상의 윤활부재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신축 이음관은 내통체와 외통체가 상호 슬라이딩 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고압의 관로에 적용이 어렵다.
상기의 신축부재들은 내부에 고압이 작용하는 경우 플랜지와 벨로우즈가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관을 지나는 유체의 온도 또는 주위의 온도에 따른 열팽창에 의한 신축성을 향상시킨 벨로우즈가 설치되며, 열팽창에 의해 벨로우즈가 분리되지 않도록 개선된 벨로우즈 고정부를 갖는 익스팬션 조인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냉각수단의 파손에 따른 냉각수의 내부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개선된 익스팬션 조인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익스팬션 조인트는 인접하는 배관의 단부와 각각 결합하는 제 1, 2 결합부와, 상기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2 결합부를 상호 연결하는 벨로우즈와, 상기 벨로우즈의 양단부를 상기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2 결합부에 각각 고정하는 벨로우즈고정부와, 상기 벨로우즈의 열팽창에 따른 상기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2 결합부 사이의 간격 변동을 방지하는 위치고정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결합부는 배관의 단부와 연결되는 제 1 플랜지와, 상기 제 1 플랜지로부터 배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 1 연장파이프와, 상기 제 1 연장파이프의 외경보다 확장된 외경을 갖으며 상기 제 1 연장파이프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 1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결합부는 배관의 단부와 연결되는 제 2 플랜지와, 상기 제 2 플랜지로부터 배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 2 연장파이프와, 상기 제 2 연장파이프의 외경보다 확장된 외경을 갖으며 상기 제 2 연장파이프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 2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벨로우즈고정부는 상기 제 1, 2 프레임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제 1 환형부재와, 상기 제 1 환형부재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제 2 환형부재와, 상기 제 1 환형부재와 상기 제 2 환형부재 사이에 개재된 벨로우즈 단부를 상기 제 1 환형부재와 상기 제 2 환형부재의 관통공을 통해 결합하는 제 1 결합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제 1, 2 결합부에 각각 고정되는 제 1 홀더 및 제 2 홀더와, 상기 제 1, 2 홀더를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벨로우즈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바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홀더와 상기 결합바의 연결점과 상기 제 2 홀더와 상기 결합바의 연결점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2 결합부 사이의 간격으로 설정한다.
상기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2 결합부는 배관과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제 3 환형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제 3 환형부재의 관통공의 외주면이 배관의 단부와 결합되는 플랜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벨로우즈고정부는 상기 플랜지부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와 인접 설치되는 제 4 환형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제 4 환형부재 사이에 상기 벨로우즈 단부를 접철 개재시켜 제 2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익스팬션 조인트는 인접하는 배관의 단부와 각각 결합하는 제 1, 2 결합부와, 상기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2 결합부를 상호 연결하는 벨로우즈와, 상기 벨로우즈의 양단부를 상기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2 결합부에 각각 고정하는 벨로우즈고정부와, 상기 제 1 결합부 또는 상기 제 2 결합부를 냉각하는 냉각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결합부는 배관의 단부와 연결되는 제 1 플랜지와, 상기 제 1 플랜지로부터 배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 1 연장파이프와, 상기 제 1 연장파이프의 외경보다 확장된 외경을 갖으며 상기 제 1 연장파이프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 1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결합부는 배관의 단부와 연결되는 제 2 플랜지와, 상기 제 2 플랜지로부터 배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 2 연장파이프와, 상기 제 2 연장파이프의 외경보다 확장된 외경을 갖으며 상기 제 2 연장파이프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 2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냉각수단은 상기 제 1, 2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냉각수가 유동하는 냉각수 유동통로를 제공하는 워터자켓과, 상기 워터자켓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공급관과, 상기 워터자켓에서 냉각수를 배출시키는 냉각수배출관을 포함하는 냉각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냉각수 유동통로를 유동하는 냉각수는 상기 제 1, 2 프레임과 상기 제1, 2 연장파이프 사이의 결합부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익스팬션 조인트는 벨로우즈를 설치함으로써 배관을 지나는 유체의 온도 또는 주위의 온도에 따른 열팽창에 대해 신축성이 향상되며, 벨로우즈고정부를 설치함으로써 열팽창에 의해 벨로우즈가 플랜지에서 분리되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워터자켓을 제 1, 2 프레임과 제 1, 2 연장파이프 사이의 결합부에서 이격되게 설치함으로써 워터자켓의 파손에 따른 냉각수의 내부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익스팬션 조인트를 유닛화 함으로써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익스팬션 조인트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익스팬션 조인트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익스팬션 조인트의 일부절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익스팬션 조인트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익스팬션 조인트의 분리사시도,
도 6은 도 4의 익스팬션 조인트의 일부절제 측면도.
본 발명에 따른 익스팬션 조인트는 배관과 배관을 사이에 연결되어 배관의 온도변화로 인한 관의 신축에 따른 배관의 파손방지를 위해 벨로우즈가 설치된 것으로 제 1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보였다.
도면을 참고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익스팬션 조인트(100)는 인접하는 배관의 단부와 각각 결합하는 제 1, 2 결합부(10, 20)와, 제 1 결합부(10)와 2 결합부(20)를 상호 연결하는 벨로우즈(30)와, 벨로우즈(30)의 양단부를 제 1 결합부(10)와 제 2 결합부(20)에 각각 고정하는 벨로우즈고정부(40)와, 벨로우즈(30)의 열팽창에 따른 제 1 결합부(10)와 제 2 결합부(20) 사이의 간격 변동을 방지하기 위한 위치고정부(50)를 구비한다.
제 1 결합부(10)는 배관의 단부와 연결되는 제 1 플랜지(12)와, 제 1 플랜지(12)로부터 배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 1 연장파이프(14)와, 제 1 연장파이프(14)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 1 프레임(16)을 구비한다.
제 1 플랜지(12)는 배관과 연통되는 관통공(11)이 형성된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플랜지(12)와 연결될 배관과 나사결합 되도록 다수개의 관통공(13)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연장파이프(14)는 제 1 플랜지(12)의 내주면과 크기와 대응되게 형성된 내경을 갖으며 제 1 플렌지(12)에서 배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제 1 프레임(16)은 제 1 연장파이프(14)의 외경보다 확장된 외경을 갖으며 제 1 연장파이프(14)가 설치되는 위치에 제 1 연장파이프(14)와 연통되도록 제 1 연장파이프의 내경과 대응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결합부(20)는 배관의 단부와 연결되는 제 2 플랜지와(22), 제 2 플랜지(22)로부터 배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 2 연장파이프(24)와, 제 2 연장파이프(24)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 2 프레임(26)을 구비한다.
제 2 플랜지(22)는 배관과 연통되는 관통공(21)이 형성된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 2 플랜지(22)와 연결될 배관과 나사결합 되도록 다수개의 관통공(23)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플랜지(22)는 제 1 플랜지(12)보다 확장된 외경을 갖는다. 여기서 제 2 플랜지(22)의 크기와 모양은 도시된 예와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제 2 연장파이프(24)는 제 2 플랜지(22)의 내주면과 크기와 대응되게 형성된 내경을 갖으며 제 2 플랜지(22)에서 배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제 2 프레임(26)은 제 2 연장파이프(24)의 외경보다 확장된 외경을 갖으며 제 2 연장파이프(24)가 설치되는 위치에 제 2 연장파이프(24)와 연통되도록 제 2 연장파이프(24)의 내경과 대응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결합부(20)는 익스팬션 조인트(100)를 냉각하는 냉각수단(60)이 설치되어 있다. 냉각수단(60)은 냉각수의 유동통로를 제공하는 워터자켓(62)과, 워터자켓(62)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공급관(64)과, 워터자켓(62)에서 냉각수를 배출시키는 냉각수배출관(66)을 구비한다.
워터자켓(62)은 냉각수의 유동통로를 유동하는 냉각수가 제 2 프레임(26)과 제 2 연장파이프(24) 사이의 결합부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유동통로를 따라 유동하는 냉각수에 의해 제 2 프레임(26) 냉각된다. 워터자켓(62)이 제 2 프레임(26)과 제 2 연장파이프(24) 사이의 결합부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됨으로써 유체에 의한 제 2 결합부(20)의 신축에 따른 제 2 프레임(26)과 워터자켓(62)의 결합부가 파손되더라도 냉각수가 익스팬션 조인트(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워터자켓(62)은 도시된 예와는 다르게 제 1 프레임(16)에 설치될 수도 있다. 냉각수공급관(64)은 워터자켓(62)에 설치되어 워터자켓(62) 내부로 냉각수를 공급한다. 냉각수배출관(62)은 냉각수공급관(64)과 인접하게 설치되어 워터자켓(62)의 내부를 유동한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벨로우즈(30)는 제 1 결합부(10)와 제 2 결합부(20)를 상호 연결하여 제 1 결합부(10)와 제 2 결합부(20)가 상호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벨로우즈(30)는 패브릭 소재로 형성되며, 제 1 패브릭부재(32)와 제 1 패브릭부재(32)의 외부에 설치되어 제 1 패브릭부재(32)를 감싸는 제 2 패브릭부재(34)로 이루어져 있다.
제 1 패브릭부재(32)의 내부에는 제 1 패브릭부재(32)의 내면을 지지하여 제 1 패브릭부재(32)의 형태를 잡아주도록 다수개의 제 1 이너링(36)이 설치되어 있고, 제 2 패브릭부재(34)의 내부에는 제 1 이너링(36)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되 제 1 이너링(36)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 2 패브릭부재(34)의 내면을 지지하여 제 2 패브릭부재(34)의 형태를 잡아주도록 다수개의 제 2 이너링(38)이 설치되어 있다. 제 1 패브릭부재(32)와 제 2 패브릭부재(34)의 양단부에는 다수개의 관통공(33, 35)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패브릭부재(32)와 제 2 패브릭부재(34)는 고열을 차단할 수 있도록 패브릭 소재를 적층 및 접합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패브릭부재(32)는 삼성플렉스에서 제조한 제조명 SAMPLEX SWM 024, SAMPLEX CWI 86020, SAMPLEX CWI 86020 SAMPLEX SBF 86010, SAMPLEX CWI 50020, SAMPLEX CWI 50020, SAMPLEX GWI 45016, SAMPLEX CWI 50020, SAMPLEX CWI 50020, SAMPLEX CWI 50020, SAMPLEX CWI 50020 소재를 차례로 적층하여 접합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 2 패브릭부재(34)는 SAMPLEX ASC 32005, SAMPLEX ASC 32005 소재를 차례로 적층하여 접합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벨로우즈고정부(40)는 벨로우즈(30)의 양단부를 제 1 결합부(10)와 제 2 결합부(20)에 각각 고정하는 것으로, 제 1, 2 프레임(16, 26)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제 1 환형부재와(42a, 42b), 제 1 환형부재(42a, 42b)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제 2 환형부재(46a, 46b)와, 제 1 환형부재(42a, 42b)와 제 2 환형부재(46a, 46b) 사이에 개재된 벨로우즈(30) 단부를 고정하는 제 1 결합수단(48)을 구비한다.
제 1 환형부재(42a, 42b)는 제 1 프레임(16)과 제 2 프레임(26)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제 1 프레임(16)에 설치된 제 1 환형부재(42a)는 제 1 플랜지(12)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고 제 2 프레임(26)에 설치된 제 1 환형부재(42b)는 제 2 플랜지(22)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다. 제 1 환형부재(42a, 42b)는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관통공(43a, 43b)이 형성되되 제 1 환형부재(42a, 42b)에 형성된 관통공(43a, 43b)은 제 1, 2 패브릭부재(32, 34)에 형성된 관통공(33, 35)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환형부재(46a, 46b)는 제 1 환형부재(42a, 42b)를 감싸는 상태로 설치된 벨로우즈(30)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제 1, 2 패브릭부재(32, 34)에 형성된 관통공(33, 35)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개의 관통공(45a, 45b)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결합수단(48)은 제 1 환형부재(42a)와 제 1, 2 패브릭부재(32, 34)와 제 2 환형부재(46a)의 관통공(43a, 33, 35, 46a)을 통해 결합하는 것으로 관통공(43a, 33, 35, 46a)에 끼워지는 볼트(47)와, 볼트(47)와 결합하는 너트(49)를 구비한다.
위치고정부(50)는 벨로우즈(30)의 열팽창에 따른 제 1 결합부(10)와 제 2 결합부(20) 사이의 간격 변동을 방지하는 것으로, 제 1, 2 결합부(10, 20)에 각각 고정되는 제 1, 2 홀더(52, 56)와, 제 1, 2 홀더(52, 56)를 상호 연결하는 결합바(58)를 구비한다. 위치고정부(50)는 제 1, 2 결합부(10, 20)에 설치되되 상호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4개 설치되어 있다.
제 1, 2 홀더(52, 56)는 제 1, 2 결합부(10, 20)의 제 2 환형부재(46a, 46b) 상에 각각 설치되도록 제 1 결합공(53)이 마련된 지지부(51)와, 지지부(51)에서 상방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며 결합바(58)가 설치되는 제 2 결합공(54)이 마련된 연장부(55)를 구비한다. 제 1, 2 홀더(52, 56)는 제 1 결합공(53)이 제 2 환형부재(46a, 46b)의 관통공(45a, 45b)과 대응되게 위치하도록 설치하며 제 1 결합수단(48)의 볼트(47)와 너트(49)에 의해 설치된다.
결합바(58)는 벨로우즈(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제 1 홀더(52)의 제 2 결합공(54)에서 제 2 홀더(56)의 제 2 결합공(54)까지 관통되게 설치되며 제 1 홀더(52)와 제 2 홀더(56)의 양측에 너트(57)를 설치하여 고정한다. 제 1, 2 홀더(52, 56)의 제 2 결합공(54)에 끼워져 설치되 제 1 홀더(52)와 결합바(58)의 연결점과 제 2 홀더(56)와 결합바(58)의 연결점 사이의 거리가 제 1 결합부(10)와 제 2 결합부(20) 사이의 간격을 설정하도록 되어있다.
여기서 위치고정부(50)의 설치 개수는 증감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예와는 다르게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익스팬션 조인트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익스팬션 조인트의 분리사시도, 도 6은 도 4의 익스팬션 조인트의 일부절제 측면도를 나타내보였다.
제 1 결합부(210)와 제 2 결합부(220)는 배관과 연통되는 관통공(212)이 형성되는 제 3 환형부재(214)로 형성되어 있고, 제 3 환형부재(214)의 관통공(212)의 외주면이 배관의 단부와 결합되는 플랜지부(216)로 이루어져 있다. 플랜지부(216)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관통공(215)이 형성되어 있다.
벨로우즈(230)는 패브릭 소재로 형성된 제 3 패브릭부재(232)로 이루어져 있다.
제 3 패브릭부재(232)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신축부(234)와, 신축부(234)의 양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신축부(234)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 1 신축연장부(236)와, 제 1 신축연장부(236)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신축연장부(238)로 이루어져 있다. 제 3 패브릭부재(232)의 신축부(234)와 제 1 신축연장부(236)가 이루는 실질적인 단면의 형상은 오메가(Ω)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제 1 신축연장부(236)는 결합되는 배관과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다. 제 3 패브릭부재(232)의 제 2 신축연장부(238)에는 플랜지부(216)에 형성된 관통공(215)과 대응되는 다수개의 관통공(239)이 형성되어 있다. 제 3 패브릭부재(232)는 고열을 차단할 수 있도록 패브릭 소재를 적층 및 접합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 3 패브릭부재(232)는 삼성플렉스에서 제조한 제조명 SAMPLEX SWM 024, SAMPLEX CWI 86020, SAMPLEX SBF 86010, SAMPLEX CWI 86020, SAMPLEX CWI 86020, SAMPLEX GWI 45016, SAMPLEX CWI 86020, SAMPLEX PTS 025, SAMPLEX CFF 86030, SAMPLEX GWI 45016, SAMPLEX ASC 32005, SAMPLEX CWI 50020 소재를 차례로 적층하여 접합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벨로우즈고정부(240)는 플랜지부(216)와 인접 설치되는 제 4 환형부재(242)와, 플랜지부(216)와 제 4 환형부재(242) 사이에 벨로우즈(230) 단부를 접철 개재시키는 제 2 결합수단(246)을 구비한다.
제 4 환형부재(242)는 플랜지부(216)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며 벨로우즈(230)의 제 2 신축연장부(238)에 형성된 관통공(239)과 대응되는 다수개의 관통공(243)이 형성되어 있다. 제 4 환형부재(242)에는 벨로우즈(230)의 제 1 신축연장부(236)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55)가 마련되어 있다. 지지부재(255)는 제 4 환형부재(242)의 내주면에서 벨로우즈(230)를 향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제 2 결합수단(246)은 플랜지부(216)와 벨로우즈(230)의 제 2 신축연장부(238)와 제 4 환형부재(242)의 관통공(243)을 통해 결합되는 것으로 관통공(243)에 끼워지는 볼트(246)를 구비한다. 볼트(246)는 제 4 환형부재(242)의 관통공(243)에서부터 플랜지부(216)의 관통공(215)으로 끼워지며 플랜지부(216)와 용접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제 2 결합수단(246)은 너트를 더 구비하여 볼트와 너트가 결합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위치고정부(250)는 제 4 환형부재(242)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제 3, 4 홀더(252, 254)와, 제 3, 4 홀더(252, 254)를 상호 연결하는 결합바(256)를 구비한다. 위치고정부(50)는 제 제 4 환형부재(242)에 설치되되 상호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4개 설치되어 있다.
제 3, 4 홀더(252, 254)는 제 4 환형부재(242)의 측면에서 상방으로 수직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 결합바(256)가 설치될 수 있도록 제 3 관통공(253)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바(256)는 벨로우즈(2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제 3 홀더(252)의 제 3 결합공(253)에서 제 4 홀더(254)의 제 3 결합공(253)까지 관통되게 설치되며 제 3 홀더(252)와 제 4 홀더(254)의 양측에 너트(257)를 설치하여 고정한다. 제 3, 4 홀더(252, 254)의 제 3 결합공(253)에 끼워져 설치되 제 3 홀더(252)와 결합바(256)의 연결점과 제 4 홀더(56)와 결합바(256)의 연결점 사이의 거리가 제 1 결합부(210)와 제 2 결합부(220) 사이의 간격을 설정하도록 되어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익스팬션 조인트는 벨로우즈를 설치함으로써 배관을 지나는 유체의 온도 또는 주위의 온도에 따른 열팽창에 대해 신축성이 향상되며, 벨로우즈고정부를 설치함으로써 열팽창에 의해 벨로우즈가 플랜지에서 분리되지 않으며, 워터자켓을 제 1, 2 프레임과 제 1, 2 연장파이프 사이의 결합부에서 이격되게 설치함으로써 워터자켓의 파손에 따른 냉각수의 내부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익스팬션 조인트를 유니트화 함으로써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다.
이상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200; 익스팬션 조인트 10, 210; 제 1 결합부
20, 220; 제 2 결합부 30, 230; 벨로우즈
40, 240; 벨로우즈고정부 50, 250; 위치고정부
60; 워터자켓

Claims (5)

  1. 인접하는 배관의 단부와 각각 결합하는 제 1, 2 결합부와;
    상기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2 결합부를 상호 연결하는 벨로우즈와;
    상기 벨로우즈의 양단부를 상기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2 결합부에 각각 고정하는 벨로우즈고정부와;
    상기 벨로우즈의 열팽창에 따른 상기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2 결합부 사이의 간격 변동을 방지하는 위치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스팬션 조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는 배관의 단부와 연결되는 제 1 플랜지와, 상기 제 1 플랜지로부터 배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 1 연장파이프와, 상기 제 1 연장파이프의 외경보다 확장된 외경을 갖으며 상기 제 1 연장파이프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 1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결합부는 배관의 단부와 연결되는 제 2 플랜지와, 상기 제 2 플랜지로부터 배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 2 연장파이프와, 상기 제 2 연장파이프의 외경보다 확장된 외경을 갖으며 상기 제 2 연장파이프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 2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벨로우즈고정부는 상기 제 1, 2 프레임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제 1 환형부재와, 상기 제 1 환형부재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제 2 환형부재와, 상기 제 1 환형부재와 상기 제 2 환형부재 사이에 개재된 벨로우즈 단부를 상기 제 1 환형부재와 상기 제 2 환형부재의 관통공을 통해 결합하는 제 1 결합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스팬션 조인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제 1, 2 결합부에 각각 고정되는 제 1 홀더 및 제 2 홀더와, 상기 제 1, 2 홀더를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벨로우즈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바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홀더와 상기 결합바의 연결점과 상기 제 2 홀더와 상기 결합바의 연결점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2 결합부 사이의 간격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스팬션 조인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2 결합부는 배관과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제 3 환형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제 3 환형부재의 관통공의 외주면이 배관의 단부와 결합되는 플랜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벨로우즈고정부는 상기 플랜지부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와 인접 설치되는 제 4 환형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제 4 환형부재 사이에 상기 벨로우즈 단부를 접철 개재시켜 제 2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스팬션 조인트.
  5. 인접하는 배관의 단부와 각각 결합하는 제 1, 2 결합부와;
    상기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2 결합부를 상호 연결하는 벨로우즈와;
    상기 벨로우즈의 양단부를 상기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2 결합부에 각각 고정하는 벨로우즈고정부와;
    상기 제 1 결합부 또는 상기 제 2 결합부를 냉각하는 냉각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결합부는 배관의 단부와 연결되는 제 1 플랜지와, 상기 제 1 플랜지로부터 배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 1 연장파이프와, 상기 제 1 연장파이프의 외경보다 확장된 외경을 갖으며 상기 제 1 연장파이프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 1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결합부는 배관의 단부와 연결되는 제 2 플랜지와, 상기 제 2 플랜지로부터 배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 2 연장파이프와, 상기 제 2 연장파이프의 외경보다 확장된 외경을 갖으며 상기 제 2 연장파이프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 2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냉각수단은 상기 제 1, 2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냉각수가 유동하는 냉각수 유동통로를 제공하는 워터자켓과, 상기 워터자켓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공급관과, 상기 워터자켓에서 냉각수를 배출시키는 냉각수배출관을 포함하는 냉각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냉각수 유동통로를 유동하는 냉각수는 상기 제 1, 2 프레임과 상기 제1, 2 연장파이프 사이의 결합부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스팬션 조인트.
KR1020100038145A 2010-04-23 2010-04-23 익스팬션 조인트 KR101170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145A KR101170808B1 (ko) 2010-04-23 2010-04-23 익스팬션 조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145A KR101170808B1 (ko) 2010-04-23 2010-04-23 익스팬션 조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508A true KR20110118508A (ko) 2011-10-31
KR101170808B1 KR101170808B1 (ko) 2012-08-02

Family

ID=45032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8145A KR101170808B1 (ko) 2010-04-23 2010-04-23 익스팬션 조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080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247B1 (ko) * 2017-02-16 2018-07-11 주식회사 메이크순 가변 기능을 갖는 그루브 조인트
CN108758134A (zh) * 2017-11-29 2018-11-06 浙江安可环保科技有限公司 可伸缩连接阀和包括该可伸缩连接阀的活性炭吸附设备
CN115076494A (zh) * 2022-05-16 2022-09-20 刘晨 一种双流向外压式补偿器及其实施方法
KR20220165856A (ko) 2021-06-08 2022-12-16 서경카로라이즈공업주식회사 익스팬션 조인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862B1 (ko) 2013-02-22 2014-10-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파이프 고정용 타이로드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배관체 설치방법
CN103307401B (zh) * 2013-07-04 2016-03-16 德阳市瑞祥机械厂 双层水冷膨胀节
KR20230090260A (ko) 2021-12-14 2023-06-21 (주)삼성플렉스 냉각자켓부를 구비하는 벨로우즈 유닛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1124A (ja) 1999-07-09 2001-01-26 Kankyo Kensetsu Engineering:Kk 高温用エキスパンション
KR200197257Y1 (ko) 2000-04-06 2000-09-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타이로드 신축관
KR200346571Y1 (ko) 2003-12-30 2004-04-0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응력집중을 방지하기 위한 익스팬션 조인트의 이음부 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247B1 (ko) * 2017-02-16 2018-07-11 주식회사 메이크순 가변 기능을 갖는 그루브 조인트
CN108758134A (zh) * 2017-11-29 2018-11-06 浙江安可环保科技有限公司 可伸缩连接阀和包括该可伸缩连接阀的活性炭吸附设备
KR20220165856A (ko) 2021-06-08 2022-12-16 서경카로라이즈공업주식회사 익스팬션 조인트
CN115076494A (zh) * 2022-05-16 2022-09-20 刘晨 一种双流向外压式补偿器及其实施方法
CN115076494B (zh) * 2022-05-16 2023-10-31 江苏远通波纹管有限公司 一种双流向外压式补偿器及其实施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0808B1 (ko) 201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0808B1 (ko) 익스팬션 조인트
CN103527266B (zh) 用于燃气涡轮的排气区段的扩散器及燃气涡轮
US20050199227A1 (en) Exhaust heat exchanger in particular for motor vehicles
KR20110042844A (ko) 너트자리와 제어봉결합판이 구비된 일체형 플랜지를 이용한 신축이음장치
EP3505740B1 (en) Rail-mounted fire detection system
KR101391341B1 (ko) 익스펜션 조인트의 타이로드
JP6224230B2 (ja) パイプ接続構造、二元燃料エンジンの高圧流体ラインシステム、二元燃料エンジン、およびテンションナットの使用法
RU2646166C1 (ru) Трубный узел для трубопровода для газообразной среды
CN101910772A (zh) 用于冷却冷却剂的装置
CN106247401A (zh) 用于涡轮机中部件的阻尼装置和组装所述阻尼装置的方法
US5358284A (en) High temperature non-metallic expansion joint
JPS6161037B2 (ko)
US10240508B2 (en) Decoupler for flexible connection of exhaust pipes
KR100783799B1 (ko) 신축 이음장치
US20160076396A1 (en) Turbine Exhaust Cylinder / Turbine Exhaust Manifold Bolted Stiffening Ribs
JP4070613B2 (ja) 金属製伸縮管継手
KR100582607B1 (ko) 가스 터어빈 팽창 조인트용 가요성 시일
CN211501979U (zh) 一种by压盖松套限位补偿伸缩接头
CN205013923U (zh) 用于热流体管道的连接结构
WO2015144229A1 (en) Flexible conduit tube and a connecting device for use in exhaust systems
KR200344488Y1 (ko) 벨로우즈형 신축동관 연결구조
JP4343156B2 (ja) 減温管
KR20230090260A (ko) 냉각자켓부를 구비하는 벨로우즈 유닛
JP6100739B2 (ja) 可撓継手の止水カバー
KR20140096558A (ko) 냉각유로를 가지는 고온 고압용 벨로우즈형 유연배관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