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8407A - 목재 벽체구조물 - Google Patents

목재 벽체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8407A
KR20110118407A KR1020100037989A KR20100037989A KR20110118407A KR 20110118407 A KR20110118407 A KR 20110118407A KR 1020100037989 A KR1020100037989 A KR 1020100037989A KR 20100037989 A KR20100037989 A KR 20100037989A KR 20110118407 A KR20110118407 A KR 20110118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support
wall structure
vertic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7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훈
Original Assignee
그린환경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환경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그린환경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7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8407A/ko
Publication of KR20110118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84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70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 E04B2/701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with integrated supporting and obturation function
    • E04B2/705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with integrated supporting and obturation function with longitudinal horizontal elements placed between colum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10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목재 벽체구조물이 개시된다. 수평 방향으로 벽체를 각각 지지하는 상부지지목 및 하부지지목; 상부지지목 및 하부지지목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의 수직지지목; 복수의 수직지지목 사이에 적층되는 복수의 목재블럭; 및 복수의 목재블럭의 상측과 상부지지목 사이에 개재되는 마감부를 포함하며, 마감부는 상부지지목과 복수의 목재블럭의 상측 사이에 개재되는 상부판재 및 하부판재와; 상부판재 및 하부판재의 양측에 각각 개재되는 수직판재를 포함하는 목재 벽체구조물은, 그 조립이 용이하여 개인도 손쉽게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목재 벽체구조물 {Wood Wall Structure}
본 발명은 목재 벽체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로그하우스는 지면의 사방으로 종 방향의 체결홈을 형성한 기둥을 입설 고정한 후, 이 기둥의 체결홈 사이에 목재블럭을 순차적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적층함으로써,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가옥을 말한다.
기존의 로그하우스는 그 설치의 편리함으로 인해, 공사 기간이 짧은 장점이 있으나, 각각의 자재의 무게로 인해 여전히 개인이 설치하는 것에는 많은 무리가 따랐다.
더구나, 로그하우스의 벽체를 형성하기 위해, 목재블럭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이후에, 최 상단의 목재블럭과 기둥의 상단을 가로지르는 수평지지대 간의 마무리 구조를 처리하는 과정은, 개인이 처리하기 어려운 부분으로 로그하우스에 DIY(do it yourself) 방식을 도입하는데 걸림돌이 되었다.
본 발명은 조립성이 향상된 목재 벽체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평 방향으로 벽체를 각각 지지하는 상부지지목 및 하부지지목; 상부지지목 및 하부지지목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의 수직지지목; 복수의 수직지지목 사이에 적층되는 복수의 목재블럭; 및 복수의 목재블럭의 상측과 상부지지목 사이에 개재되는 마감부를 포함하며, 마감부는 상부지지목과 복수의 목재블럭의 상측 사이에 개재되는 상부판재 및 하부판재와; 상부판재 및 하부판재의 양측에 각각 개재되는 수직판재를 포함하는 목재 벽체구조물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부판재의 양측에는 끼움홈이 형성되며,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도록 수직판재의 상측에는 끼움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수직판재의 하단은 수평판재의 상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목재 벽체구조물은 양단이 목재블럭과 수직지지대에 각각 끼움 결합되는 연결목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수직지지목의 일측에는 연결목이 끼움 결합되도록 상하로 연장되는 끼움홈이 형성되며, 수직지지목의 끼움홈의 상단에는 연결목이 삽입되는 확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목재 벽체 구조물은 수직지지목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부지지목 및 하부지지목과 결합되는 중심지지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목재블록의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목재블럭의 상면에는 삽입돌기가 형성되며, 목재블럭의 하면에는 인접한 목재블럭의 삽입돌기가 수용되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그 조립이 용이하여 개인도 손쉽게 목재 벽체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재 벽체구조물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재 벽체구조물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재 벽체구조물의 수직지지목을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재 벽체구조물의 수직지지목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재 벽체구조물의 목재블럭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재 벽체구조물의 목재블럭을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재 벽체구조물의 연결목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재 벽체구조물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재 벽체구조물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평면도.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재 벽체구조물의 마감부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재 벽체구조물의 마감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재 벽체구조물을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벽체구조물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재 벽체구조물(1000)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재 벽체구조물(1000)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재 벽체구조물(1000)은, 상부지지목(110), 하부지지목(120), 수직지지목(200), 중심지지목(210), 목재블럭(300), 연결목(400) 및 마감부(500)를 포함함으로써, 조립성이 향상되어 개인도 손쉽게 조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목재 벽체구조물(1000)은, 예를 들어 로그하우스(log house)와 같은 건축물의 벽체를 이루는 부분일 수 있다. 목재 벽체구조물(1000)은, 그 뼈대를 이루는 상부지지목(110), 하부지지목(120), 수직지지목(200)과 함께, 벽면을 형성하는 목재블럭(300)과 마감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목재 벽체 구조물을 조립하는 순서에 있어서도, 상술한 뼈대를 이루는 부분이 먼저 설치된 다음, 목재블럭(300)과 마감부(500)를 적층하여 벽면을 형성하는 순으로 진행될 수 있다.
하부지지목(120)은 수평 방향으로 벽체를 지지할 수 있는 부분으로, 로그하우스의 바닥부에 설치될 수 있다. 하부지지목(120)의 상면의 양측에는 고정홈(1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홈(122)에는 후술할 중심지지목(210)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부지지목(110) 또한 수평 방향으로 벽체를 지지할 수 있는 부분으로, 벽체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상부지지목(110)의 하면의 양측에도 고정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홈(122)에는 후술할 중심지지목(210)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수직지지목(200)은 상부지지목(110)과 하부지지목(120) 사이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수직 방향으로 벽체를 지지할 수 있다. 수직지지목(200)의 길이 방향의 중심에는 관통홀(20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관통홀(202)에 중심지지목(210)이 삽입될 수 있다.
중심지지목(210)은 수직지지목(200)의 관통홀(202)에 삽입되며, 그 양단은 상부지지목(110) 및 하부지지목(120)의 고정홈(122)에 삽입됨으로써, 상부지지목(110), 하부지지목(120) 및 수직지지목(200)의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중심지지목(210)을 이용한 이러한 결합구조는, 예를 들어 못과 같은 체결구의 이용을 생략시킬 수 있어, 목재 벽체구조물(1000)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개인도 손쉽게 벽체구조물을 조립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재 벽체구조물(1000)의 수직지지목(200)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재 벽체구조물(1000)의 수직지지목(200)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지지목(200)의 일측에는 끼움홈(204)이 형성될 수 있다.
끼움홈(204)은 수직지지목(200)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그 단면은 양 측면이 저면을 향해 경사지는 사다리꼴의 일부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끼움홈(204)의 상단에는 확장부(206)가 형성될 수 있다. 확장부(206)는 후술할 연결목(400)이 확장부(206)의 전방에서 삽입 가능하도록 그 단면의 일 측면이 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재 벽체구조물(1000)의 목재블럭(300)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재 벽체구조물(1000)의 목재블럭(300)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재블럭(300)은 수직지지목(200) 사이에 적층되어 벽면을 형성할 수 있다.
목재블럭(300)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전면은 볼록하게 굴곡질 수 있다. 목재블럭(300)의 양측에는 끼움홈(320)이 형성되어, 후술할 연결목(400)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목재블럭(300)의 상측에는 삽입돌기(312)가 형성되며, 그 하측에는 삽입홈(314)이 형성될 수 있다. 목재블럭(300)이 이러한 구조는, 목재블럭(300)을 적층하였을 때, 삽입돌기가(312) 삽입홈(314)에 삽입되는 구조를 형성하여, 목재블럭(300)의 적층 구조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목재블럭(300)의 내부에는 그 양측을 관통하는 중공부(302)가 형성될 수 있다. 중공부(302)는 목재 벽체구조물(1000)의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목재 벽체구조물(1000)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목재블럭(300)의 이러한 구조는 목재블럭(300)의 중량을 감소시켜. 목재 벽체구조물(1000)의 조립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개인도 손쉽게 로그하우스를 조립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재 벽체구조물(1000)의 연결목(40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목(400)은 바디(410), 제1 돌기(412) 및 제2 돌기(414)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목(400)은 목재블럭(300)과 수직지지목(200) 간의 결합구조를 형성하는 부분으로, 목재블럭(300)과 수직지지목(200)의 끼움홈(320, 206)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디(41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디(410)의 전방에는 양측으로 돌출되는 제1 돌기(412)가 형성될 수 있다. 바디(410)의 후방에는 양측으로 돌출되는 제2 돌기(414)가 형성될 수 있다.
바디(410)의 전방과 제1 돌기(412)는 목재블럭(300)의 끼움홈(320)에 끼움 결합되며, 바디(410)의 후방과 제2 돌기(414)는 수직지지목(200)의 끼움홈(204)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연결목(400)은 목재블럭(300)과 수직지지목(200) 간에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재 벽체구조물(1000)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재 벽체구조물(1000)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재 벽체구조물(1000)을 형성하기 위해, 먼저, 하부지지목(120), 수직지지목(200), 중심지지목(210) 및 상부지지목(110)을 조립한 다음, 목재블럭(300)을 수직지지목(200) 사이에 적층할 수 있다.
목재블럭(300)은 삽입돌기(312)가 상측을 이루도록 수직지지목(200) 사이에 적층할 수 있으며, 목재블럭(300)을 수직지지목(200) 사이에 개재시킨 다음, 연결목(400)을 목재블럭(300)과 수직지지목(200)의 끼움홈(320, 206)에 끼움 결합시켜, 목재블럭(300)을 수직지지목(200) 사이에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재블럭(300)의 적층이 완료되며, 목재블럭(300)의 최 상측과 상부지지목(110) 사이에 마감부(500)를 개재시켜, 목재 벽체구조물(1000)의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재 벽체구조물(1000)의 마감부(500)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재 벽체구조물(1000)의 마감부(50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부(500)는 상부판재(510), 하부판재(520) 및 수직판재(5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판재(520)는 목재블럭(300)과 길이 방향으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판형의 부재를 말할 수 있으며, 최 상단의 목재블럭(3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판재(510) 또한, 목재블럭(300)과 길이 방향으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판형의 부재일 수 있으며, 상부지지목(110)의 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판재(510)의 상면에는 삽입홈(514)이 형성되며, 삽입홈(514)에는 상부지지목(110)의 저면이 삽입될 수 있다. 상부판재(510)의 양측에는 끼움홈(512)이 형성될 수 있다. 끼움홈(512)은 상부판재(510)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직판재(530)는 상부판재(510)와 하부판재(520)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을 지지할 수 있다. 수직판재(530)의 상측에는 측면을 향해 돌출되는 끼움돌기(532)가 형성될 수 있다.
끼움돌기(532)는 수직판재(530)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직판재(530)의 끼움돌기(532)는 상부판재(510)의 끼움홈(512)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수직판재(530)와 상부판재(510) 간에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수직판재(530)의 하단은 하부판재(520)의 상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재 벽체구조물(1000)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판재(520)를 최 상단의 목재블럭(300) 상에 배치하고, 상부판재(510)를 상부지지목(110)의 저면에 배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수직판재(530)를 상부판재(510)와 하부판재(520)의 사이에 삽입하여, 수직판재(530)의 끼움돌기(532)를 상부판재(510)의 끼움홈(512)에 끼움 결합하고, 수직판재(530)의 하단이 하부판재(520)의 상면에 의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마감부(500)의 조립을 완료할 수 있다.
결국, 목재블럭(300)의 적층 구조를 이용한 목재 벽체구조물(1000)의 최 상단 마감구조를 마감부(500)를 이용하여 손쉽게 조립할 수 있어, 목재 벽체구조물(1000)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구나, 본 실시예의 목재 벽체구조물(1000)은 각각의 구성을 끼움 결합을 통해 조립됨으로써, 조립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어, 개인이 직접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 예 외의 많은 실시 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110: 상부지지목 120: 하부지지목
200: 상부지지목 300: 목재블럭
400: 연결목 500: 마감부
1000: 목재 벽체구조물

Claims (8)

  1. 수평 방향으로 벽체를 각각 지지하는 상부지지목 및 하부지지목;
    상기 상부지지목 및 상기 하부지지목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의 수직지지목;
    복수의 상기 수직지지목 사이에 적층되는 복수의 목재블럭; 및
    복수의 상기 목재블럭의 상측과 상기 상부지지목 사이에 개재되는 마감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감부는
    상기 상부지지목과 복수의 상기 목재블럭의 상측 사이에 개재되는 상부판재 및 하부판재와;
    상기 상부판재 및 상기 하부판재의 양측에 각각 개재되는 수직판재를 포함하는 목재 벽체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재의 양측에는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수직판재의 상측에는 끼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벽체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판재의 하단은 상기 수평판재의 상면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벽체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양단이 상기 목재블럭과 상기 수직지지대에 각각 끼움 결합되는 연결목을 더 포함하는 목재 벽체구조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목의 일측에는 상기 연결목이 끼움 결합되도록 상하로 연장되는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지지목의 상기 끼움홈의 상단에는 상기 연결목이 삽입되는 확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벽체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목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상부지지목 및 상기 하부지지목과 결합되는 중심지지목을 더 포함하는 목재 벽체구조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블록의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벽체구조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블럭의 상면에는 삽입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목재블럭의 하면에는 인접한 상기 목재블럭의 상기 삽입돌기가 수용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벽체구조물.
KR1020100037989A 2010-04-23 2010-04-23 목재 벽체구조물 KR201101184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989A KR20110118407A (ko) 2010-04-23 2010-04-23 목재 벽체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989A KR20110118407A (ko) 2010-04-23 2010-04-23 목재 벽체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407A true KR20110118407A (ko) 2011-10-31

Family

ID=45032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7989A KR20110118407A (ko) 2010-04-23 2010-04-23 목재 벽체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84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35592A (ja) * 2016-08-31 2018-03-08 株式会社竹中工務店 壁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35592A (ja) * 2016-08-31 2018-03-08 株式会社竹中工務店 壁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2241482A (ja) 組立家屋及びその組立方法
US20200048903A1 (en) Set of modular timber hollow bricks with thermal insulation properties
KR101283010B1 (ko) 변형방지가 가능한 목재 데크 및 그 시공방법
KR101393218B1 (ko) 조립식 주택용 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주택의 조립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주택
KR20110118407A (ko) 목재 벽체구조물
KR100681317B1 (ko) 건축용 목조 구조체 및 그 시공공법
JP2020133262A (ja) 木造建築物
US8667751B2 (en) Set of elements for constructing a wooden wall and method for using such elements
KR100900508B1 (ko) 벽체배수판
KR102306772B1 (ko) 상품 전시용 벽 구조체 및 그의 설치 방법
CN211114596U (zh) 一种地板连接卡扣及一种地板系统
KR100734175B1 (ko) 목조주택 및 이 목조주택의 시공방법
JP4861882B2 (ja) 耐力壁
KR101347155B1 (ko) 건축용 목재블록
JP5429549B2 (ja) 曲面壁構造
JP5501725B2 (ja) ユニット式建物
JP5629195B2 (ja) 建物
JP5524519B2 (ja) 外断熱壁構造、これに用いる胴縁および胴縁の製造方法
KR101079822B1 (ko) 건축물용 조립식 바닥재
CA2941521A1 (en) Structural modular panel in building component system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3178079U (ja) フェンス
JP3903302B2 (ja) 室内用の木造の壁構造
JP3128810U (ja) 板材の組立て構造
JP6134500B2 (ja) 耐震構造体およびこの耐震構造体が組み込まれた耐震家屋
WO2012053285A1 (ja) 断熱部材及び断熱パネル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