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8055A - 재활 훈련 기능을 갖는 목발 - Google Patents

재활 훈련 기능을 갖는 목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8055A
KR20110118055A KR1020100037630A KR20100037630A KR20110118055A KR 20110118055 A KR20110118055 A KR 20110118055A KR 1020100037630 A KR1020100037630 A KR 1020100037630A KR 20100037630 A KR20100037630 A KR 20100037630A KR 20110118055 A KR20110118055 A KR 20110118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ing
male
road surface
angle
fe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7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8853B1 (ko
Inventor
이신희
Original Assignee
이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신희 filed Critical 이신희
Priority to KR1020100037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8853B1/ko
Publication of KR20110118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8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8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8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2Crutches
    • A61H3/0288Ferrules or tip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 A61H1/0262Walking movement; Appliances for aiding disabled persons to wal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2Crutches
    • A61H3/0288Ferrules or tips therefor
    • A61H2003/0294Ferrules or tips therefor comprising a ball-and-socket jo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61H2201/1261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combined with active exercising of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체형이나 보폭에 맞게 노면을 지지하는 노면 지지부의 전후 각도를 조절하는 목발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겨드랑이 지지부 하부의 생크부와 노면지지부를 연결하는 각도 조절수단(10)은 상,하 지지부(11)(11')의 내측으로 각각 원형 돌기(21)의 외주연을 따라 톱니 형태의 기어부(22)를 돌출 형성하는 수 결합구(20)와, 상기 원형 돌기가 삽입되는 삽입공(31)의 내주연을 따라 원형돌기의 기어부가 맞물리게 삽입되는 톱니 형태의 기어부(32)를 형성하는 암 결합구(30)를 대응 구비하여 상호 이탈 방지하도록 고정 결합하도록 간단한 구조에 의해 노면지지부의 전후 각도를 단계별로 조절 가능하므로 사용 편리성, 착용성, 언덕이나 경사로의 사용 안전성을 우수하게 제공함은 물론 특히 환자의 재활 치료를 효과적으로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재활 훈련 기능을 갖는 목발{A CRUTCH}
본 발명은 하반신의 일시적 또는 영구적 장애를 보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목발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체형이나 보폭에 맞게 노면을 지지하는 노면 지지부의 전후 각도를 조절하도록 하되, 상기 노면 지지부의 각도를 원형 톱니 형태의 암수 결합구와 상기 암수 결합구를 고정하는 고정볼트에 의한 간단한 구조에 의해 단계별로 다양한 각도로 조절 가능하고, 조절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시할 수 있어 사용 편리성, 착용성, 언덕이나 경사로의 사용 안전성, 견고성을 우수하게 제공함은 물론 특히 환자의 재활 치료를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재활 훈련 기능을 갖는 목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발은 하반신에 일시적 또는 영구적 장애를 보조하기 위해 사용하는 보행 보조 기구이다.
이와 같은 목발은 주로 사용자의 겨드랑이 부분을 지지하는 겨드랑이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하부로 수직 연장되는 생크부(shank)와, 상기 생크부 중간에 고정되는 그립부 및 상기 생크부 하부로 설치되어 노면을 지지하는 노면 지지부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 목발은 겨드랑이 지지부에서 부터 노면 지지부까지 직선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전진 보행을 위해 목발을 전진 이동할 때 노면 지지부가 노면에 대해 큰 경사각을 이루었다.
즉, 사용자의 몸무게를 지지하는 목발의 노면 지지부가 노면에 대해 큰 경사각을 이루기 때문에 사용 불편함은 물론 경사진 언덕이나 계단 등에서 미끄럼 사고의 위험을 갖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방지하고자 목발의 하부 노면 지지부를 경사지게 형성하여 노면에 대한 경사각을 줄이도록 하는 개량형 목발이 다수의 형태로 개시된 바 있는데, 특히 특허등록 제10-936398호에서는 생크부와 노면 지지부 사이로 각도 조절유닛을 구비하되, 상기 각도 조절유닛은 생크부의 말단에 연결되고 볼베어링, 스프링, 렌지볼트로 구성되는 스토퍼돌기 요소를 갖는 제1유닛과, 상기 노면 지지부에 연결되고 스토퍼돌기 요소가 선회를 통해 안착되는 복수의 스토퍼 연속 홈을 갖고 상기 제1유닛에 상대 선회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유닛으로 구성하되, 상기 제1,2유닛은 피벗용 고정홀과 호형 가이드홈, 피벗용 고정홀과 고정홀을 대응 형성하여 각각 나사 체결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즉, 상기 복수의 나사를 풀어 상기 스토퍼돌기 요소의 볼 베어링이 스토퍼 연속 홈에 차례로 삽입되는 형태로 노면 지지부의 각도를 조절하며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목발의 각도 조절유닛은 구조가 복잡하고 다수의 부품을 사용하는 문제와, 이로 인해 각도 조절을 위해 복수의 나사를 풀고 체결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스토퍼돌기 요소의 볼 베어링이 스토퍼 연속 홈에 삽입되는 범위 내에서 한정적으로 각도 조절되는 한계, 즉 다양한 각도의 조절이나 완전 절첩이 곤란한 문제와, 단순히 복수 나사 체결에 의해 고정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하중이 집중되어 상기 복수 나사가 풀릴 경우에 노면 지지부의 경사 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되고, 이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체형이나 보폭에 맞게 노면을 지지하는 목발 하부의 노면 지지부 전후 각도를 조절하도록 하되, 상기 하부 지지부의 각도를 간단한 구조에 의해 단계별로 다양한 각도로 조절 가능하므로 사용 편리성, 착용성, 언덕이나 경사로의 사용 안전성을 우수하게 제공함은 물론 특히 환자의 재활 치료를 효과적으로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노면 지지부의 각도 조절 상태에서 사용자의 하중에도 견고한 상태로 유지 가능하므로 견고성, 사용 안전성을 더욱 극대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부에 겨등랑이를 삽입 지지하는 겨드랑이 지지부와, 상기 겨드랑이 지지부 하부로 수직 설치되는 생크부와 상기 생크부 하부에 설치되어 노면을 지지하는 노면 지지부로 구성하되, 상기 노면 지지부는 상,하 지지부로 구분 형성하여 각도 조절수단에 의해 전후 각도 조절하도록 구성함에 있어, 상기 각도 조절수단은 상,하 지지부의 내측으로 각각 원형 돌기의 외주연을 따라 톱니 형태의 기어부를 돌출 형성하는 수 결합구와, 상기 원형 돌기가 삽입되는 삽입공의 내주연을 따라 원형돌기의 기어부가 맞물리게 삽입되는 톱니 형태의 기어부를 형성하는 암 결합구를 대응 구비하여 상호 이탈 방지하도록 고정 결합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 상기 암,수 결합구는 수 결합구 중앙의 나사공으로 고정볼트의 나사를 나사 결합하여 암,수 결합구를 상호 가압 고정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하반신의 일시적 또는 영구적 장애를 보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목발로서, 사용자의 체형이나 보폭에 맞게 노면을 지지하는 노면 지지부의 전후 각도를 조절하도록 하되, 상기 노면 지지부의 각도를 원형 톱니 형태의 암수 결합구와 상기 암수 결합구를 고정하는 고정볼트에 의한 간단한 구조에 의해 단계별로 다양한 각도로 조절 가능하고, 조절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시할 수 있어 사용 편리성, 착용성, 언덕이나 경사로의 사용 안전성, 견고성을 우수하게 제공함은 물론 특히 환자의 재활 치료를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도.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의 목발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겨드랑이를 삽입 지지하는 겨드랑이 지지부(2)와, 상기 겨드랑이 지지부 하부로 수직 설치되는 생크부(3)와 상기 생크부 하부에 설치되어 노면을 지지하는 노면 지지부(5)로 구성하되, 상기 노면 지지부는 상,하 지지부로 구분 형성하여 각도 조절수단(10)에 의해 전후 각도 조절하도록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수단(10)은 상,하 지지부(11)(11')의 내측으로 각각 원형 돌기(21)의 외주연을 따라 톱니 형태의 기어부(22)를 돌출 형성하는 수 결합구(20)와, 상기 원형 돌기가 삽입되는 삽입공(31)의 내주연을 따라 원형돌기의 기어부가 맞물리게 삽입되는 톱니 형태의 기어부(32)를 형성하는 암 결합구(30)를 대응 구비하여 상호 이탈 방지하도록 고정 결합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암,수 결합구(20)(30)의 기어부(22)(32)는 톱니 간격으로 전,후 각도 조절 및 하부 지지부가 상부로 절첩 위치까지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암,수 결합구(20)(30)는 수 결합구 중앙의 나사공(25)으로 고정볼트(40)의 나사부(45)를 나사 결합하여 암,수 결합구를 상호 가압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볼트(40)의 내측 플랜지(42)는 암 결합구(30)의 삽입공(31)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하여야 암,수 결합구(20)(30)가 상호 이탈 방지되게 가압 고정된다.
또한, 상기 암,수 결합구(20)(30)에 대응 형성되는 기어부의 기어 크기에 따라 단계별도 조절되는 정도를 달리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기어부를 조밀하게 할 수도록 많은 단계로 조절되나 지지강도가 저하될 수 있는 우려를 갖기 때문에 사용자의 체중이나 기타 사항을 고려하여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미설명부호로서, 50은 그립부, 60은 노면지지부의 높낮이를 사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상하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부를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체형이나 보폭에 맞게 목발 하부의 노면 지지부(5)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즉, 상,하 지지부(11)(11')의 내측을 상호 고정하는 고정볼트(40)의 나사부(45)를 풀어 분리한다.
이 상태에서 상 지지부(11) 하단의 수 결합구(20)에 원형돌기(21) 외주연으로 형성된 톱니 형태의 기어부(22)에서 하 지지부(11') 상단의 암 결합구(30)의 삽입공(31) 내주연으로 형성된 톱니 형태의 기어부(42)를 수평 분리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하 지지부(11')를 원하는 각도로 회전 조절한 후 다시 하 지지부(11')의 암 결합구(30)를 상 지지부(11)의 수 결합구(20)에 맞물리게 상호 조립한다.
이때, 상기 암,수 결합구(20)(30)는 원형돌기(21)가 삽입공(31)에 삽입되면서 상기 원형돌기의 외주연으로 형성된 톱니 형태의 기어부(22)가 삽입공의 내주연으로 형성된 톱니 형태의 기어부(42)에 상호 맞물리게 결합되는 것이다.
즉, 상기 암,수 결합구(20)(30)의 기어부(22)(42)에 형성된 톱니 간격 만큼 등분된 각도로 상,하 지지부(11)(11')의 전후로 각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하 지지부(11)(11')의 암,수 결합구(20)(30)를 다시 결합한 후에는 상기 고정볼트(40)의 나사부(45)를 수 결합구 중앙의 나사공(25)에 나사 결합하여 암,수 결합구를 상호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체중이 목발에 지지되어도 상기 상,하 지지부의 암,수 결합구(20)(30)는 원형 형태의 기어가 맞물린 상태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하부 지지부의 각도 조절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체형 등에 따라 노면 지지부(5)의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면과의 경사각을 최소화하여 사용 편리함은 물론 경사진 언덕이나 계단 등에서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목발을 좁은 공간에서 휴대 및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방법에서 노면 지지부의 상,하 지지부(11)(11')를 분리하여 하 지지부(11')가 상부로 향하도록 수직 절첩하여 길이를 최소화하는 형태로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암,수 결합구(20)(30)의 원형돌기와 상기 원형돌기(21)가 삽입되는 삽입공(31)이 원형의 톱니 형태로 맞물리기 때문에 사용자의 체형이나 보폭에 맞게 노면 지지부(5)의 상,하 지지부(11)(11')의 각도를 정밀 조절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재활 훈련 기능으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환자의 재활 상태에 따라 상기 노면 지지부(5)의 상,하 지지부(11)(11') 각도를 점차 미세하게 조절하면서 환자의 느끼지 못하는 사이에 보폭을 늘이므로 재활 효과를 더욱 섬세하면서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발은 단순히 하반신의 일시적 또는 영구적 장애를 보조하기 위한 기본 적인 용도 이외에 사용자의 체형이나 보폭에 더욱 정밀하게 맞추어 사용하도록 함은 물론 이로 인해 재활 훈련 용도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노면 지지부(5)의 각도 조절이 단일의 고정볼트(40)를 풀어주는 것에 의해 간단하게 이루어져 사용 편리성 또한 우수하게 되는 것이다.
2: 겨드랑이 지지부 3: 생크부
5: 노면 지지부 10: 각도 조절수단
11,11': 상하 지지부 20: 수 결합구
30: 암결합구 22,32: 기어부
21: 원형 돌기 31: 삽입공
25: 나사공 40: 고정볼트
40: 나사부

Claims (2)

  1. 상부에 겨드랑이를 삽입 지지하는 겨드랑이 지지부(2)와, 상기 겨드랑이 지지부 하부로 수직 설치되는 생크부(3)와 상기 생크부 하부에 설치되어 노면을 지지하는 노면 지지부(5)로 구성하되, 상기 노면 지지부는 상,하 지지부로 구분 형성하여 각도 조절수단(10)에 의해 전후 각도 조절하도록 구성된 목발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수단(10)은 상,하 지지부(11)(11')의 내측으로 각각 원형 돌기(21)의 외주연을 따라 톱니 형태의 기어부(22)를 돌출 형성하는 수 결합구(20)와, 상기 원형 돌기가 삽입되는 삽입공(31)의 내주연을 따라 원형돌기의 기어부가 맞물리게 삽입되는 톱니 형태의 기어부(32)를 형성하는 암 결합구(30)를 대응 구비하여 상호 이탈 방지하도록 고정 결합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훈련 기능을 갖는 목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수 결합구(20)(30)는 수 결합구 중앙의 나사공(25)으로 고정볼트(40)의 나사부(45)를 나사 결합하여 암,수 결합구를 상호 가압 고정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훈련 기능을 갖는 목발.
KR1020100037630A 2010-04-22 2010-04-22 재활 훈련 기능을 갖는 목발 KR101128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630A KR101128853B1 (ko) 2010-04-22 2010-04-22 재활 훈련 기능을 갖는 목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630A KR101128853B1 (ko) 2010-04-22 2010-04-22 재활 훈련 기능을 갖는 목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055A true KR20110118055A (ko) 2011-10-28
KR101128853B1 KR101128853B1 (ko) 2012-03-23

Family

ID=45031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7630A KR101128853B1 (ko) 2010-04-22 2010-04-22 재활 훈련 기능을 갖는 목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885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1941A (ko) * 2014-10-30 2016-05-12 김현일 웨어러블 크러치
KR20210039622A (ko) * 2019-10-02 2021-04-12 김미경 다기능 목발
WO2023133294A1 (en) * 2022-01-06 2023-07-13 iWALKFREE, INC. Foot for hands-free crutch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57139B2 (en) * 2004-02-26 2008-04-15 Bonin Jr Henry K Stair-adjustable crutch
JP2009268655A (ja) * 2008-05-07 2009-11-19 Koichi Inoue 前腕保持具が可傾の杖
KR100936398B1 (ko) * 2008-08-05 2010-01-14 이규민 안전 보행용 보조 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1941A (ko) * 2014-10-30 2016-05-12 김현일 웨어러블 크러치
KR20210039622A (ko) * 2019-10-02 2021-04-12 김미경 다기능 목발
WO2023133294A1 (en) * 2022-01-06 2023-07-13 iWALKFREE, INC. Foot for hands-free cru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8853B1 (ko) 201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9406B2 (en) Wheelchair handlebar adjuster
KR101128853B1 (ko) 재활 훈련 기능을 갖는 목발
CN109966117B (zh) 一种被动式可穿戴助行机器人
US10376437B2 (en) Gait assist apparatus
JP6183793B2 (ja) 点滴スタンド連結具
KR102047096B1 (ko) 탈착가능한 전동장치를 구비하는 휠체어
CN209734859U (zh) 一种骨科护理用的康复锻炼装置
JP7397912B2 (ja) 移動支援用具
KR101499011B1 (ko) 보행 보조 장치
KR200460837Y1 (ko) 책상용 자세 교정대
TWM422965U (en) Walking assistance device capable of adjusting width
KR102238447B1 (ko) 핸들 보조 장치
JP3161833U (ja) 車椅子用補助器具
KR20160049779A (ko) 래치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
CN212369194U (zh) 一种多功能轮椅头枕
CN108992311B (zh) 用于帕金森患者的防抖助行器把手
US20130192651A1 (en) Walking aid
CN111616882A (zh) 一种多功能轮椅头枕
KR101165345B1 (ko) 무릎지지대가 구비된 교구용 책상
KR102395852B1 (ko) 이동기기에 보조동력원으로 사용되는 전동보조기구
CN215459989U (zh) 一种保健按摩棒
KR20100070965A (ko) 안장
KR200390058Y1 (ko) 노약자 및 장애인의 활동 보조차
CN217409250U (zh) 一种单腿助行器
CN217138494U (zh) 一种适用于轮椅坐位的多功能良肢位摆放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