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6395A -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6395A
KR20110116395A KR1020100035782A KR20100035782A KR20110116395A KR 20110116395 A KR20110116395 A KR 20110116395A KR 1020100035782 A KR1020100035782 A KR 1020100035782A KR 20100035782 A KR20100035782 A KR 20100035782A KR 20110116395 A KR20110116395 A KR 20110116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bicycle
rear wheel
roller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5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4984B1 (ko
Inventor
전기만
정종택
황동석
Original Assignee
전기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기만 filed Critical 전기만
Priority to KR1020100035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4984B1/ko
Publication of KR20110116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6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4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4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1/0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 B62H1/02Articulated stands, e.g. in the shape of hinged arms
    • B62H1/04Substantially U-shaped stands for embracing the rear whe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1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cycling, i.e. arrangements on or for real bicycles
    • A63B2069/168Force transfer through the rim of the wheel

Abstract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는 전륜 및 후륜을 포함하는 자전거를 서포트 하기 위한 서포트 플레이트 및 상기 후륜의 회전축을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자전거 고정 유닛을 포함하는 자전거 서포트 유닛;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며 상기 후륜과 직접 접촉된 제1 롤러,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 상에 상기 제1 롤러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후륜과 직접 접촉된 제2 롤러를 포함하는 롤러 유닛; 상기 제1 롤러의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2 롤러의 상기 제2 회전축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 되어 상기 후륜의 회전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후륜을 구동하는 사용자의 운동 부하를 조절하기 위한 가감속 모터; 및 내리막길 모드, 오르막길 모드, 좌우 경사 모드, 회전 모드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들을 발생시켜 상기 가감속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HEALTH MACHINE BY USING BICYCLE}
본 발명은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도로 영상과 연동하여 자전거가 기울어지도록 자전거의 자세를 변경 및 자전거의 후륜에 가해지는 부하를 조절함으로써 실내에 배치된 자전거로 실외에서 자전거를 타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운동 효율을 향상시킨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자전거를 이용한 많은 운동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실내에서 자전거를 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고정식 자전거의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고정식 자전거의 경우, 사용자가 앉을 수 있게 마련된 안장과 웨이트와 연결된 페달을 포함하기 때문에 실외에서 사용되는 자전거와 고정식 자전거는 외관이 완전히 상이할 뿐만 아니라 고정식 자전거는 실외에서 사용되는 자전거에 비하여 운동 특성 및 기능이 제한되어 쉽게 지루해지고 따라서 운동 효과가 감소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에서 전륜 및 후륜을 갖는 자전거를 매개로 운동을 수행 및 자전거의 부하를 조절하거나 영상과 연동하여 자전거의 전후좌우 기울기를 조절하여 실내에서 실외에서 자전거를 이용하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발생시킴으로써 운동 효율성을 보다 향상시킨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로서,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는 전륜 및 후륜을 포함하는 자전거를 서포트 하기 위한 서포트 플레이트 및 상기 후륜의 회전축을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자전거 고정 유닛을 포함하는 자전거 서포트 유닛;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며 상기 후륜과 직접 접촉된 제1 롤러,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 상에 상기 제1 롤러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후륜과 직접 접촉된 제2 롤러를 포함하는 롤러 유닛; 상기 제1 롤러의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2 롤러의 상기 제2 회전축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 되어 상기 후륜의 회전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후륜을 구동하는 사용자의 운동 부하를 조절하기 위한 가감속 모터; 및 내리막길 모드, 오르막길 모드, 좌우 경사 모드, 회전 모드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들을 발생시켜 상기 가감속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의 상기 가감속 모터는 상기 제2 롤러의 상기 제2 회전축에 결합 된다.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의 상기 제1 롤러는 관성에 의하여 상기 후륜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제2 롤러의 중량보다 큰 중량 및 상기 제2 롤러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의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내리막길 모드, 상기 오르막길 모드, 상기 좌우 경사 모드 및 상기 회전 모드와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 및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자전거의 전방에 배치된 표시장치로 전송하는 비디오 모듈 및 오디오 모듈을 포함한다.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는 상기 전륜과 대응하는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 배치되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 대하여 회전하는 회전 부재를 더 포함한다.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의 상기 자전거 고정 유닛은 상기 전륜의 제1 회전축 및 상기 회전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전륜을 고정하는 제1 브라켓 및 상기 후륜의 제2 회전축 및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제2 브라켓을 포함한다.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는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 및 상기 회전 부재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전륜의 회동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하는 회전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싱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회전 모드와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 및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자전거의 전방에 배치된 표시장치로 전송한다.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는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하면 중 상기 후륜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를 지면에 대하여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회동 장치 및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상기 하면 중 상기 전륜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를 상기 회동 장치를 회전 중심으로 상하 회전시키는 업-다운 유닛을 포함하는 상하 기울기 조절 유닛을 더 포함한다.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는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하면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상기 후륜 및 상기 전륜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를 지면에 대하여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회동 장치 및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를 좌우로 회동 시키기 위하여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 결합된 업-다운 유닛을 포함하는 좌우 기울기 조절 유닛을 더 포함한다.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는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하면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상기 후륜 및 상기 전륜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를 지면에 대하여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1 회동 장치,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를 좌우로 회동 시키기 위하여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 결합된 제1 업-다운 유닛, 상기 제1 회동 장치 및 상기 제1 업-다운 부재들을 고정하는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좌우 기울기 조절 유닛; 및 상기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의 하면 중 상기 후륜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를 지면에 대하여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2 회동 장치 및 상기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의 상기 하면 중 상기 전륜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를 상기 제2 회동 장치를 중심으로 상하 회전시키는 제2 업-다운 유닛을 포함하는 상하 기울기 조절 유닛을 더 포함한다.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의 상기 제1 및 제2 업-다운 유닛들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의 하면에 대하여 각각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 된 부싱 및 상기 부싱에 나사 결합된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한다.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자전거를 타고 거친 노면을 달리는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 부착되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모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에 의하면, 실내에서 전륜 및 후륜을 갖는 자전거를 매개로 운동을 수행 및 자전거의 부하를 조절하거나 영상과 연동하여 자전거의 전후좌우 기울기를 조절하여 실내에서 실외에서 자전거를 이용하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발생시킴으로써 운동 효율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2의 회전 부재 및 회전 감지 센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자전거를 제외한 헬스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에 의한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에 의한 다른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에 의한 또 다른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에 의한 또 다른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2의 회전 부재 및 회전 감지 센서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900)는 자전거 서포트 유닛(100), 롤러 유닛(200), 가감속 모터(300) 및 제어 유닛(400)을 포함한다.
자전거 서포트 유닛(100)은 서포트 플레이트(110) 및 자전거 고정 유닛(120)을 포함한다.
서포트 플레이트(110)는, 예를 들어,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다. 서포트 플레이트(110)는,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서포트 플레이트(110)는 제1 회전축(1a)을 갖는 전륜(1), 제2 회전축(2b)을 갖는 후륜(2), 전륜(1) 및 후륜(2)의 제1 및 제2 회전축(1a,2b)들이 고정되는 프레임(3) 및 전륜(1)을 회전시키는 핸들(4)을 포함하는 자전거(10)를 서포트 한다.
자전거 고정 유닛(120)은 서포트 플레이트(110) 상에 고정된다. 전륜(1)의 제1 회전축(1a) 및 후륜(2)의 제2 회전축(2b)은 각각 자전거 고정 유닛(120)에 의하여 고정된다.
자전거 고정 유닛(120)은 제1 브라켓(122) 및 제2 브라켓(124)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 브라켓(122,124)들은 각각 'L' 자 형상을 갖는다. 이와 다르게, 제1 및 제2 브라켓(122,124)들은 'H' 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1 및 제2 브라켓(122,124)들은 'L'자 또는 'H' 자 형상 이외에 자전거(10)의 전륜(1) 및 후륜(2)을 고정하기에 적합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브라켓(122)의 일측 단부는 서포트 플레이트(110) 상에 고정되고, 제1 브라켓(122)의 상기 일측 단부와 대향 하는 타측 단부는 전륜(1)의 제1 회전축(1a)에 고정된다. 제1 브라켓(122)의 상기 타측 단부에는 전륜(1)의 제1 회전축(1a)을 고정하기 위한 홈 또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브라켓(124)은 제1 브라켓(122)과 이격 되며, 제2 브라켓(124)의 일측 단부는 서포트 플레이트(110) 상에 고정되고, 제2 브라켓(124)의 상기 일측 단부와 대향하는 타측 단부는 후륜(2)의 제2 회전축(2a)에 고정된다. 제2 브라켓(124)의 상기 타측 단부에는 후륜(2)의 제2 회전축(2a)을 고정하기 위한 홈 또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브라켓(122) 및 제2 브라켓(124)은 체결 나사 등에 의하여 서포트 플레이트(11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브라켓(122,124)의 간격은 전륜(1)의 제1 회전축(1a) 및 후륜(2)의 제2 회전축(2a)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여 넓히거나 좁힐 수 있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브라켓(122,124)들을 포함하는 자전거 고정 유닛(120)에 자전거(10)의 전륜(1) 및 후륜(2)이 견고하게 고정됨에 따라, 사용자가 탑승한 자전거(10)는 서포트 플레이트(110)로부터 이탈 또는 분리되지 않는다.
롤러 유닛(200)은 제1 롤러(210) 및 제2 롤러(220)를 포함한다.
제1 롤러(2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롤러(210)는 후륜(2)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1 롤러(210)는 서포트 플레이트(110)의 상면에 고정된 제1 롤러축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제1 롤러(210)는 서포트 플레이트(11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 되도록 배치된다. 제1 롤러(210)는 후륜(2)과 직접 접촉된다.
제2 롤러(22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롤러(220)는 후륜(2)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2 롤러(220)는 서포트 플레이트(110)의 상면에 고정된 제2 롤러축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제2 롤러(220)는 서포트 플레이트(11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 되도록 배치된다. 제2 롤러(220)는 후륜(2)과 직접 접촉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롤러(210) 및 제2 롤러(220)는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롤러(210)는 제1 직경으로 형성되고, 제2 롤러(220)는 제1 직경 보다 작은 제2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롤러(210) 및 제2 롤러(220)는 서로 다른 중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롤러(210)는 제1 중량으로 형성되고, 제2 롤러(220)는 제1 중량보다 가벼운 제2 중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롤러(210,220)들에 의하여 후륜(2)은 서포트 플레이트(11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 된 곳에 배치되며 사용자는 자전거(10)에 탑승하여 페달을 원운동 시킴에 따라 후륜(2)은 제1 및 제2 롤러(210,220)들 상에서 회전되고, 이로 인해 제1 및 제2 롤러(210,220) 역시 후륜(2)과 함께 회전된다.
가감속 모터(300)는 제1 롤러(210) 또는 제2 롤러(220)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가감속 모터(300)는, 예를 들어, 제2 롤러(220)에 결합되어 제2 롤러(220)를 후륜(2)의 회전 방향 또는 후륜(2)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자전거(10)의 후륜(2)의 회전 속도(또는 토크)를 조절함으로써 후륜(2)을 구동하는 사용자의 운동 부하를 조절한다.
예를 들어, 가감속 모터(300)가 후륜(2)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제2 롤러(220)가 후륜(2)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어 사용자는 적은 운동 부하로 운동이 가능한 반면, 가감속 모터(300)가 후륜(2)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제2 롤러(220)가 후륜(2)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받게 되어 사용자는 매우 큰 운동 부하로 운동이 가능하다.
즉, 가감속 모터(300)가 후륜(2)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사용자는 마치 내리막길에서 자전거를 타는 것과 유사한 운동 부하를 구현할 수 있고, 가감속 모터(300)가 후륜(2)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사용자는 마치 오르막길에서 자전거를 타는 것과 유사한 운동 부하를 구현할 수 있다.
일반적인 고정식 자전거의 경우 와이어의 장력을 이용하여 운동 부하를 조절하기 때문에 오르막길에서 자전거를 타는 것과 유사한 운동 부하를 구현할 수 있는 반면 내리막길에서 자전거를 타는 것과 유사한 운동 부하를 구현하기는 어렵다.
반면, 본 발명에서는 가감속 모터(300)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킴으로써 후륜(2)에 후륜(2)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력을 부가 또는 후륜(2)에 후륜(2)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부하를 실시간으로 부가할 수 있어 오르막길과 유사한 운동 부하는 물론 고정식 자전거가 구현하기 어려운 내리막길과 유사한 운동 부하 역시 구현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롤러 유닛(200)의 제2 롤러(220)에 가감속 모터(300)를 장착한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제1 롤러(210)에 가감속 모터(300)를 설치 또는 제1 및 제2 롤러(210,220)들에 각각 가감속 모터(300)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제1 롤러(210)의 중량을 제2 롤러(22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무겁게 설계할 경우 제2 롤러(220)가 무부하로 회전할 때 제1 롤러(210)의 관성력에 의하여 후륜(2)을 회전시켜 경사가 낮은 내리막길을 내려가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어 유닛(400)은 내리막길 모드에 대응하는 저부하 모드 신호, 오르막길 모드에 대응하는 고부하 모드 신호를 발생한다. 이외에 제어 유닛(400)은 내리막길 모드, 오르막길 모드가 복합된 복합 모드에 대응하는 복합 모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제어 유닛(400)은 사용자에 의하여 내리막길 모드, 오르막길 모드 및 복합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모드 선택 버튼 또는 모드 선택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내리막길 모드를 선택한 경우, 제어 유닛(400)은 가감속 모터(300)에 저부하 모드 신호를 인가하고, 저부하 모드 신호에 대응하여 가감속 모터(300)와 연결된 제2 롤러(220)는 후륜(2)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어 사용자가 페달을 돌리지 않고도 후륜(2)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는 마치 내리막길을 내려가는 것과 유사한 느낌을 받게 되고 사용자는 작은 운동 부하에 의하여 운동하게 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오르막길 모드를 선택한 경우, 제어 유닛(400)은 가감속 모터(300)에 고부하 모드 신호를 인가하고, 고부하 모드 신호에 대응하여 가감속 모터(300)와 연결된 제2 롤러(220)는 후륜(2)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후륜(2)에는 큰 부하가 인가되어 사용자는 마치 오르막길을 올라가는 것과 유사한 느낌을 받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큰 운동 부하에 의하여 운동하게 된다.
사용자가 복합 모드를 선택한 경우, 제어 유닛(400)은 가감속 모터(300)에 고부하 모드 신호 및 저부하 모드 신호를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인가하여 제2 롤러(220)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킴으로서 사용자가 마치 오르막길 또는 내리막길을 오르거나 내리는 것과 유사한 느낌을 받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큰 운동 효과를 얻게 된다.
한편, 단순히 사용자가 모드 선택에 의하여 자전거(10)의 운동 부하를 조절하여 큰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 및 운동 효과를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표시장치(450)가 이용된다. 표시장치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LCD 텔레비젼 또는 PDP 텔레비젼 등일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제어 유닛(400)은 표시장치(450)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비디오 모듈(410)을 포함하며, 제어 유닛(400)은 표시장치(450)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내리막길 모드, 오르막길 모드 및 복합 모드에 대응하는 동영상 데이터 또는 정지 영상 데이터를 비디오 모듈(410)을 통해 표시장치(450)로 제공한다. 또한, 제어 유닛(400)은 사운드 데이터를 표시장치로 전송하는 오디오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오디오 모듈은 비디오 모듈(410)에 포함될 수 있다.
표시장치(450)에서 내리막길 모드에 대응하는 동영상이 표시될 때, 제어 유닛(400)은 저부하 모드 신호를 가감속 모터(300)에 인가하여 제2 롤러(220)는 후륜(2)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어 사용자는 표시장치(450)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내리막길을 내려가는 느낌으로 운동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제어 유닛(400)이 저부하 모드 신호를 가감속 모터(300)에 인가할 때 제어 유닛(400)은 내리막길 모드에 대응하는 동영상을 표시장치(450)에 인가할 수 있다.
반대로 표시장치(450)에서 오르막길 모드에 대응하는 동영상이 표시될 때, 제어 유닛(400)은 고부하 모드 신호를 가감속 모터(300)에 인가하여 제2 롤러(220)는 후륜(2)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고 사용자는 표시장치(450)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오르막길을 올라가는 느낌으로 운동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제어 유닛(400)이 고부하 모드 신호를 가감속 모터(300)에 인가할 때 제어 유닛(400)은 오르막길 모드에 대응하는 동영상을 표시장치(450)에 인가할 수 있다.
표시장치(450)에서 복합 모드에 대응하는 동영상이 표시될 때, 제어 유닛(400)은 표시장치(450)에 표시되는 영상이 오르막길일 경우, 영상에 대응하여 가감속 모터(300)에 고부하 모드 신호를 인가하고 표시장치(450)에서 표시되는 영상이 내리막길인 경우, 영상에 대응하여 가감속 모터(300)에 저부하 모드 신호를 이가하여 사용자의 운동 부하를 변경시킨다.
한편, 표시장치(450) 및 제어 유닛(400)을 이용할 경우, 사용자가 자전거(10)를 이용하여 곡선 도로를 따라 주행하는 회전 모드를 추가할 수 있다. 회전 모드를 구현하기 위해서 서포트 플레이트(110)는 자전거(10)의 전륜(1)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하는 회전 부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부재(130)는,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서포트 플레이트(110)에는 원판 형상을 갖는 회전 부재(130)를 수납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부재(130)는 서포트 플레이트(110)에 형성된 홈 내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서포트 플레이트(110) 상에 회전 부재(130)가 배치될 경우, 전륜(1)을 고정하는 자전거 고정 유닛(120)의 제1 브라켓(122)은 서포트 플레이트(110) 대신 회전 부재(130) 상에 고정된다.
또한, 회전 부재(130)가 서포트 플레이트(110)에 대하여 회전된 각도, 즉, 사용자가 핸들을 조작하여 전륜(1)이 고정된 회전 부재(130)가 서포트 플레이트(110)에 대하여 회전된 각도를 전기적 신호로 검출하기 위하여 회전 부재(130) 및 서포트 플레이트(110)에는 회전 감지 센서(140)가 설치된다.
회전 감지 센서(140)는 제1 센서(142) 및 제2 센서(144)들을 포함한다.
제1 센서(142)는 회전 부재(130) 상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회전 부재(130) 상에는 하나의 제1 센서(142)가 배치된다. 제2 센서(144)는 회전 부재(130)와 인접한 서포트 플레이트(110)에 배치되며, 제2 센서(144)는 복수개가 서포트 플레이트(110)에 원형으로 배열되며, 복수개의 제2 센서(144)들 및 상기 제1 센서(142)는 각각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제1 센서(142)가 제2 센서(144)들 중 어느 하나와 정렬되어 제2 센서(144)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센싱 신호가 출력될 경우, 제어 유닛(400)은 회전 감지 센서(140)로부터 출력된 상기 센싱 신호에 따라서 비디오 모듈(410)을 통해 표시장치(450)의 화면에 센싱 신호와 대응하는 곡률을 갖는 곡선 도로를 동영상으로 표시 및 오디오 모듈로부터 사운드 데이터를 표시장치(450)로부터 출력하여 사용자가 곡선 도로를 주행하는 느낌을 받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센서(142) 및 제2 센서(144)의 위치는 상호 뒤바뀔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자전거를 제외한 헬스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는 좌우 기울기 조절 장치, 상하 기울기 조절 장치 및 케이스를 제외하면 앞서 도 1 및 도 2를 통해 설명한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900)는 자전거 서포트 유닛(100), 롤러 유닛(200), 가감속 모터(300) 및 제어 유닛(400), 좌우 기울기 조절 유닛(600) 및 상하 기울기 조절 유닛(700) 및 케이스(160)를 포함한다.
케이스(160)는 측면판(162) 및 바닥판(164)를 포함하는 상면이 개구된 박스 형상을 갖는다.
제어 유닛(400)은 가감속 모터(300), 좌우 기울기 조절 유닛(600) 및 상하 기울기 조절 유닛(700) 및 표시장치(4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 유닛(400)은 오르막길에 대응하는 고부하 모드 신호, 내리막길에 대응하는 저부하 모드 신호, 좌우 경사길에 대응하는 좌우 경사 모드 신호 및 곡선길에 대응하는 회전 모드 신호를 각각 발생시킨다.
좌우 기울기 조절 유닛(600)은 제1 업-다운 유닛(610) 및 제1 회동 장치(650) 및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110a)를 포함한다.
제1 회동 장치(650)는 자전거 서포트 유닛(100)의 서포트 플레이트(110)의 하면 상에 2 개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회동 장치(650)는 서포트 플레이트(110)의 하면 중 자전거(10)의 전륜(1) 및 자전거(10)의 후륜(2)과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된다. 따라서, 제1 회동 장치(650)에 의하여 서포트 플레이트(110)는 좌우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게 된다.
각 제1 회동 장치(650)는 제1 회동 부재(620), 제2 회동 부재(630) 및 제1 회동핀(640)을 포함한다.
제1 회동 부재(620)는 관통홀을 포함하며, 서포트 플레이트(110)의 하면의 전륜(1) 및 후륜(2)과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된다.
제2 회동 부재(630)는 관통홀을 포함하며, 제1 회동 부재(620)는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110a)의 상면 상에 배치된다.
제1 회동핀(640)은 제1 회동 부재(620) 및 제2 회동 부재(630)가 회동 될 수 있도록 제1 회동 부재(620)의 관통홀 및 제2 회동 부재(630)의 관통홀에 삽입된다.
제1 업-다운 유닛(610)은 서포트 플레이트(110) 및 서포트 플레이트(110)와 마주하는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110a) 사이에 개재된다. 제1 업-다운 유닛(610)은 서포트 플레이트(110) 및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110a)의 에지에 배치된다.
제1 업-다운 유닛(610)은 제1 힌지 부재(612), 제1 부싱 부재(614), 제1 스크류 부재(616) 및 제1 모터(618)를 포함한다.
제1 힌지 부재(612)는 서포트 플레이트(110)의 하면에 힌지 결합되며, 제1 부싱 부재(614)는 제1 힌지 부재(612)에 결합 된다. 제1 부싱 부재(614)는 원통 형상을 갖고, 내측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다.
제1 스크류 부재(616)는 수나사부가 형성된 원통 형상을 갖고, 제1 스크류 부재(616)는 제1 부싱 부재(614)에 나사 체결된다. 제1 스크류 부재(616)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하여 제1 부싱 부재(614)는 제1 스크류 부재(616)에 대하여 상승 또는 하강한다.
제1 모터(618)는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110a) 상에 고정되며 제1 모터(618)의 회전축은 제1 스크류 부재(616)의 단부에 결합 된다. 제1 모터(618)의 회전에 의하여 제1 스크류 부재(616)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 된다.
제1 업-다운 유닛(610)의 제1 부싱 부재(614)가 제1 모터(618) 및 제1 스크류 부재(616)에 의하여 변위를 발생 시킬 경우, 서포트 플레이트(110)는 제1 회동 부재(620)에 의하여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서포트 플레이트(110)에 고정된 자전거(10) 역시 서포트 플레이트(110)의 기울어짐에 의하여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상하 기울기 조절 유닛(700)은 제2 업-다운 유닛(710) 및 제2 회동 장치(750)를 포함한다.
제2 회동 장치(750)는 케이스(160)의 바닥판(164) 상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2 회동 장치(750)는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110a)의 하면 중 자전거(10)의 후륜(2)의 양쪽에 2 개가 배치된다. 따라서, 제2 회동 장치(750)에 의하여 좌우 기울기 조절 유닛(600)이 장착된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110a) 및 자전거(10)가 장착된 서포트 플레이트(110)는 상하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게 된다.
제2 회동 장치(750)는 제1 회동 부재(720), 제2 회동 부재(730) 및 제2 회동핀(740)을 포함한다.
제1 회동 부재(720)는 관통홀을 포함하며,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110a)의 하면의 후륜(2)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제2 회동 부재(730)는 관통홀을 포함하며, 제2 회동 부재(730)는 케이스(160)의 바닥판(164)의 상면 상에 배치된다.
제2 회동핀(740)은 제1 회동 부재(720) 및 제2 회동 부재(730)가 회동될 수 있도록 제1 회동 부재(720)의 관통홀 및 제2 회동 부재(730)의 관통홀에 삽입된다.
제2 업-다운 유닛(710)은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110a) 및 케이스(160)의 바닥판(164) 사이에 개재된다. 제2 업-다운 유닛(710)은 자전거(10)의 전륜(1)과 대응하는 위치에 1 개가 배치될 수 있다.
각 제2 업-다운 유닛(710)은 제2 힌지 부재(712), 제2 부싱 부재(714), 제2 스크류 부재(716) 및 제2 모터(718)를 포함한다.
제2 힌지 부재(712)는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110a)의 하면에 힌지 결합되며, 제2 부싱 부재(714)는 제2 힌지 부재(712)에 결합 된다. 제2 부싱 부재(714)는 원통 형상을 갖고, 내측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다.
제2 스크류 부재(716)는 수나사부가 형성된 원통 형상을 갖고, 제2 스크류 부재(716)는 제2 부싱 부재(714)에 나사 체결된다. 제2 스크류 부재(716)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하여 제2 부싱 부재(714)는 제2 스크류 부재(716)에 대하여 상승 또는 하강한다.
제2 모터(718)는 케이스(160)의 바닥판(164) 상에 고정되며 제2 모터(718)의 회전축은 제2 스크류 부재(716)의 단부에 결합 된다. 제2 모터(718)의 회전에 의하여 제2 스크류 부재(716)는 회전된다.
제2 업-다운 유닛(710)의 제2 부싱 부재(714)가 제2 모터(718) 및 제2 스크류 부재(716)에 의하여 변위가 발생 될 경우,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110a)는 제2 회동 부재(750)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고, 이로 인해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110a)와 결합된 서포트 플레이트(110)에 고정된 자전거(10) 역시 서포트 플레이트(110)와 함께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한편, 좌우 기울기 조절 유닛(600)의 제1 모터(618) 및 상하 기울기 조절 유닛(700)의 제2 모터(718)는 각각 모터 제어 유닛(800)의 제어에 의하여 작동되며, 모터 제어 유닛(800)는 제어 유닛(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어 유닛(400)은 가감속 모터(300) 및 표시장치(450)와도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도 4에는 예를 들어,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900)에 좌우 기울기 조절 유닛(600) 및 상하 기울기 조절 유닛(700)이 함께 형성된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이와 다르게,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900)는 좌우 기울기 조절 유닛(600) 및 상하 기울기 조절 유닛(700) 중 어느 하나만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에 의한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 유닛(400)으로부터 고부하 모드 신호가 발생 될 경우, 제어 유닛(400)의 비디오 모듈(410) 및 오디오 모듈과 연결된 표시장치(450)로는 고부하 모드 신호와 대응하는 오르막길 영상 표시 및 사운드가 출력되고, 제어 유닛(400)으로부터 발생된 고부하 모드 신호는 가감속 모터(300) 및 모터 콘트롤 모듈(800)로도 함께 인가된다.
제어 유닛(400)으로부터 발생 된 고부하 모드 신호에 의하여 모터 콘트롤 모듈(800)은 상하 기울기 조절 유닛(700)에 포함된 제2 업-다운 유닛(710)의 제2 모터(718)로 인가되고, 제2 모터(718)는 정회전 된다. 제2 모터(718)의 정회전에 의하여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110a)는 제2 회동 장치(750)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된다.
따라서, 서포트 플레이트(110) 상에 고정된 자전거(10)의 전륜(1)은 후륜(2)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이로 인해 자전거(10)에 탑승한 사용자는 마치 오르막길을 오르는 느낌을 받게 된다.
또한, 제어 유닛(400)으로부터 발생 된 고부하 모드 신호를 인가받은 가감속 모터(300)는 자전거(10)의 후륜(2)의 회전과 반대방향 힘(또는 토크)을 후륜(2)에 인가하여 사용자의 운동 부하를 증가시킨다.
또한, 표시장치(450)에서는 오르막길과 대응하는 영상이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실외에서 자전거(10)를 이용해 오르막길을 오르는 운동 효과를 얻게 된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에 의한 다른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 유닛(400)으로부터 저부하 모드 신호가 발생 될 경우, 제어 유닛(400)의 비디오 모듈(410) 및 오디오 모듈과 연결된 표시장치(450)로는 저부하 모드 신호와 대응하는 내리막길 영상이 표시 및 사운드가 출력되고, 제어 유닛(400)으로부터 발생된 저부하 모드 신호는 가감속 모터(300) 및 모터 콘트롤 모듈(800)로도 함께 인가된다.
제어 유닛(400)으로부터 발생 된 저부하 모드 신호에 의하여 모터 콘트롤 모듈(800)은 제어 유닛(400)으로부터 발생 된 저부하 모드 신호는 상하 기울기 조절 유닛(700)에 포함된 제2 업-다운 유닛(710)의 제2 모터(718)로 인가되고, 제2 모터(718)는 역회전하여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110a)는 제2 회동 장치(750)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된다.
따라서, 서포트 플레이트(110) 상에 고정된 자전거(10)의 전륜(1)은 후륜(2) 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고 이로 인해 자전거(10)에 탑승한 사용자는 마치 내리막길을 내려가는 느낌을 받게 된다.
또한, 제어 유닛(400)으로부터 발생된 저부하 모드 신호를 인가받은 가감속 모터(300)는 자전거(10)의 후륜(2)의 회전과 동일한 방향의 힘(또는 토크)을 후륜(2)에 인가하여 사용자의 운동 부하를 감소시킨다.
또한, 표시장치(450)에서는 내리막길과 대응하는 영상이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실외에서 자전거(10)를 이용해 내리막길을 내려가는 느낌으로 운동을 하게 된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에 의한 또 다른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 유닛(400)으로부터 좌측 기울기 모드 신호가 발생 될 경우, 제어 유닛(400)의 비디오 모듈(410) 및 오디오 모듈과 연결된 표시장치(450)로는 좌측 기울기 모드 신호와 대응하는 영상이 표시 및 사운드가 출력되고, 제어 유닛(400)으로부터 발생된 좌측 기울기 모드 신호는 가감속 모터(300) 및 모터 콘트롤 모듈(800)로도 함께 인가된다.
제어 유닛(400)으로부터 발생 된 좌측 기울기 모드 신호에 의하여 모터 콘트롤 모듈(800)은 좌우 기울기 조절 유닛(600)에 포함된 제1 업-다운 유닛(610)의 제1 모터(618)로 인가되고, 제1 모터(618)는 정회전 된다. 제1 모터(618)의 정회전에 의하여 서포트 플레이트(110)는 제1 회동 장치(650)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좌측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된다.
따라서, 서포트 플레이트(110) 상에 고정된 자전거(10)는 좌측으로 기울어지고 이로 인해 자전거(10)에 탑승한 사용자는 마치 좌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자전거를 타게 된다.
또한, 표시장치(450)에서는 좌측으로 경사진 도로와 대응하는 영상이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실외에서 자전거(10)를 이용해 좌측으로 경사진 도로를 주행하는 느낌으로 운동을 하게 된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에 의한 또 다른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 유닛(400)으로부터 우측 기울기 모드 신호가 발생 될 경우, 제어 유닛(400)의 비디오 모듈(410) 및 오디오 모듈과 연결된 표시장치(450)로는 우측 기울기 모드 신호와 대응하는 영상이 표시 및 사운드가 출력되고, 제어 유닛(400)으로부터 발생된 우측 기울기 모드 신호는 가감속 모터(300) 및 모터 콘트롤 모듈(800)로도 함께 인가된다.
제어 유닛(400)으로부터 발생 된 우측 기울기 모드 신호에 의하여 모터 콘트롤 모듈(800)은 좌우 기울기 조절 유닛(600)에 포함된 제1 업-다운 유닛(610)의 제1 모터(618)로 인가되고, 제1 모터(618)는 역회전 된다. 제1 모터(618)의 역회전에 의하여 서포트 플레이트(110)는 제1 회동 장치(650)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우측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된다.
따라서, 서포트 플레이트(110) 상에 고정된 자전거(10)는 우측으로 기울어지고 이로 인해 자전거(10)에 탑승한 사용자는 마치 우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자전거를 타게 된다.
또한, 표시장치(450)에서는 우측으로 경사진 도로와 대응하는 영상이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실외에서 자전거(10)를 이용해 우측으로 경사진 도로를 주행하는 느낌으로 운동을 하게 된다.
도 2, 도 7,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자전거(10)에 탑승한 상태에서 핸들을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회전시킬 경우, 도 2에 도시된 회전 감지 센서(140)로부터 센싱 신호가 발생 되고, 제어 유닛(400)은 센싱 신호에 대응하는 회전 모드 신호를 비디오 모듈(410) 및 오디오 모듈로 인가하고 비디오 모듈(410) 및 오디오 모듈은 회전 모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 예를 들어, 곡선 도로 영상 데이터를 표시장치(450)로 인가하여 표시장치(450)에서는 곡선 도로 영상이 표시 및 사운드가 출력된다.
한편, 제어 유닛(400)은 회전 모드 신호를 모터 콘트롤 모듈(800)로 인가하고 이로 인해 모터 콘트롤 모듈(800)은 자전거(10)가 곡선 도로를 통과할 때 자전거(10)가 기울어지는 효과를 얻도록 하기 위해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기울기 조절 모듈(600)의 제1 업-다운 유닛(610)의 제1 모터(618)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 되어 서포트 플레이트(110)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지고, 이로 인해 사용자는 핸들 조작에 의하여 곡선 도로를 통과할 때 자전거가 기울어지는 느낌으로 운동을 하게 된다.
앞서 설명된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에 따라 전후 기울기 또는 좌우 기울기가 변경되는 것이 도시되었지만, 제어 유닛(400)에서 서로 다른 모드 신호를 순차적으로 모터 콘트롤러(800)로 제공함에 따라 전후 기울기 또는 좌우 기울기를 복합적으로 변경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한편, 서포트 플레이트(110)의 하면에는 서포트 플레이트(110)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 장치(530)가 배치될 수 있다. 진동 발생 장치(530)는 진동 발생 모터일 수 있다. 진동 발생 장치(530)는 자전거(10)의 후륜(2)이 거친 노면을 통과하는 듯한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 유닛(400)에 의하여 오르막길 모드,내리막길 모드만 동작, 좌우 경사 모드만 개별 동작, 회전 모드 개별만 각각 개별적으로 동작 할 수 있으며 상기 각 모드들의 동작은 개별 또는 복합적 연속적으로 동시에 동작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실내에서 전륜 및 후륜을 갖는 자전거를 매개로 운동을 수행 및 자전거의 부하를 조절하거나 영상과 연동하여 자전거의 전후좌우 기울기를 조절하여 실내에서 실외에서 자전거를 이용하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발생시킴으로써 운동 효율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900...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 100...자전거 서포트 유닛
200...롤러 유닛 300...가감속 모터
400...제어 유닛

Claims (12)

  1. 전륜 및 후륜을 포함하는 자전거를 서포트 하기 위한 서포트 플레이트 및 상기 후륜의 회전축을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자전거 고정 유닛을 포함하는 자전거 서포트 유닛;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며 상기 후륜과 직접 접촉된 제1 롤러,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 상에 상기 제1 롤러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후륜과 직접 접촉된 제2 롤러를 포함하는 롤러 유닛;
    상기 제1 롤러의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2 롤러의 상기 제2 회전축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 되어 상기 후륜의 회전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후륜을 구동하는 사용자의 운동 부하를 조절하기 위한 가감속 모터; 및
    내리막길 모드, 오르막길 모드, 좌우 경사 모드, 회전 모드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들을 발생시켜 상기 가감속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감속 모터는 상기 제2 롤러의 상기 제2 회전축에 결합 된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는 관성에 의하여 상기 후륜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제2 롤러의 중량 및 직경보다 가감한 서로 다른 중량 및 직경을 갖는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내리막길 모드, 상기 오르막길 모드, 상기 좌우 경사 모드 및 상기 회전 모드와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 및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자전거의 전방에 배치된 표시장치로 전송하는 비디오 모듈 및 오디오 모듈을 포함하는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과 대응하는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 배치되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 대하여 회전하는 회전 부재를 더 포함하는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 고정 유닛은 상기 전륜의 제1 회전축 및 상기 회전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전륜을 고정하는 제1 브라켓 및 상기 후륜의 제2 회전축 및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제2 브라켓을 포함하는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 및 상기 회전 부재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전륜의 회동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하는 회전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싱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회전 모드와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 및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자전거의 전방에 배치된 표시장치로 전송하는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하면 중 상기 후륜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를 지면에 대하여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회동 장치 및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상기 하면 중 상기 전륜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를 상기 회동 장치를 회전 중심으로 상하 회전시키는 업-다운 유닛을 포함하는 상하 기울기 조절 유닛을 더 포함하는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하면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상기 후륜 및 상기 전륜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를 지면에 대하여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회동 장치 및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를 좌우로 회동 시키기 위하여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 결합된 업-다운 유닛을 포함하는 좌우 기울기 조절 유닛을 더 포함하는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하면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상기 후륜 및 상기 전륜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를 지면에 대하여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1 회동 장치,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를 좌우로 회동 시키기 위하여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 결합된 제1 업-다운 유닛, 상기 제1 회동 장치 및 상기 제1 업-다운 부재들을 고정하는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좌우 기울기 조절 유닛; 및
    상기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의 하면 중 상기 후륜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를 지면에 대하여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2 회동 장치 및 상기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의 상기 하면 중 상기 전륜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를 상기 제2 회동 장치를 중심으로 상하 회전시키는 제2 업-다운 유닛을 포함하는 상하 기울기 조절 유닛을 더 포함하는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업-다운 유닛들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의 하면에 대하여 각각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 된 부싱 및 상기 부싱에 나사 결합된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자전거를 타고 거친 노면을 달리는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 부착되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모터를 더 포함하는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
KR1020100035782A 2010-04-19 2010-04-19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 KR101184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782A KR101184984B1 (ko) 2010-04-19 2010-04-19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782A KR101184984B1 (ko) 2010-04-19 2010-04-19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6395A true KR20110116395A (ko) 2011-10-26
KR101184984B1 KR101184984B1 (ko) 2012-10-02

Family

ID=45030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5782A KR101184984B1 (ko) 2010-04-19 2010-04-19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4984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26322A (zh) * 2015-04-29 2015-08-12 徐峰 一种自行车减速训练装置
CN104826316A (zh) * 2015-04-29 2015-08-12 徐峰 一种二级传动的自行车减速训练装置
KR101643378B1 (ko) * 2015-02-27 2016-07-27 김근우 자전거 운동장치
EP2961494A4 (en) * 2013-02-26 2016-08-10 VirtuRide LLC UNIVERSAL SUPPORT PLATFORM FOR EXERCISE BIKE AND EXERCISE SYSTEM WITH SYNCHRONICITY TO A VIRTUAL REALITY
WO2016137305A1 (ko) * 2015-02-27 2016-09-01 김근우 자전거 운동장치
WO2017150928A3 (ko) * 2016-03-03 2017-10-26 조민수 가상현실 연동형 스마트 사이클링 시뮬레이터 및 스마트 라이딩 시뮬레이터
KR20180054398A (ko) * 2016-11-14 2018-05-24 박준형 비 접촉식 감속 및 가속장치를 구비하는 자전거 트레이너
KR20180100781A (ko) * 2017-03-02 2018-09-12 조민수 가상현실 연동형 스마트 라이딩 시뮬레이터
WO2018190525A1 (ko) * 2017-04-14 2018-10-18 김근우 프론트 포크 고정형 자전거 트레드밀
KR102236610B1 (ko) 2020-02-10 2021-04-06 조종두 업힐과 다운힐 모드 기능을 갖는 실내 운동 자전거
KR20210099779A (ko) 2020-02-05 2021-08-13 조종두 전자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실내 운동 자전거
KR20230117962A (ko) * 2022-02-03 2023-08-10 정환희 훈련보조기능을 갖는 자전거 주행 훈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5639B1 (ko) * 2016-12-09 2018-11-06 조성웅 가상 현실을 이용한 자전거 운동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033B1 (ko) * 2005-04-08 2007-08-21 정영배 자전거를 이용한 실내외용 운동기구
KR100908400B1 (ko) * 2008-11-11 2009-07-20 장준서 영상표시 기능을 갖는 싸이클머신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35199C2 (ru) * 2013-02-26 2017-11-09 ВИРТУРАЙД ЭлЭлСи Универсальная опора платформы для велотренажера и тренажерная система с синхронностью с виртуальной реальностью
EP2961494A4 (en) * 2013-02-26 2016-08-10 VirtuRide LLC UNIVERSAL SUPPORT PLATFORM FOR EXERCISE BIKE AND EXERCISE SYSTEM WITH SYNCHRONICITY TO A VIRTUAL REALITY
CN107427714A (zh) * 2015-02-27 2017-12-01 金勤雨 自行车运动装置
KR101643378B1 (ko) * 2015-02-27 2016-07-27 김근우 자전거 운동장치
WO2016137305A1 (ko) * 2015-02-27 2016-09-01 김근우 자전거 운동장치
CN104826322A (zh) * 2015-04-29 2015-08-12 徐峰 一种自行车减速训练装置
CN104826316A (zh) * 2015-04-29 2015-08-12 徐峰 一种二级传动的自行车减速训练装置
WO2017150928A3 (ko) * 2016-03-03 2017-10-26 조민수 가상현실 연동형 스마트 사이클링 시뮬레이터 및 스마트 라이딩 시뮬레이터
KR20180054398A (ko) * 2016-11-14 2018-05-24 박준형 비 접촉식 감속 및 가속장치를 구비하는 자전거 트레이너
KR20180100781A (ko) * 2017-03-02 2018-09-12 조민수 가상현실 연동형 스마트 라이딩 시뮬레이터
WO2018190525A1 (ko) * 2017-04-14 2018-10-18 김근우 프론트 포크 고정형 자전거 트레드밀
KR20210099779A (ko) 2020-02-05 2021-08-13 조종두 전자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실내 운동 자전거
KR102236610B1 (ko) 2020-02-10 2021-04-06 조종두 업힐과 다운힐 모드 기능을 갖는 실내 운동 자전거
KR20230117962A (ko) * 2022-02-03 2023-08-10 정환희 훈련보조기능을 갖는 자전거 주행 훈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4984B1 (ko) 2012-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4984B1 (ko)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
TWI724767B (zh) 用於互動式腳踏式運動訓練設備的系統及方法
US10004940B2 (en) Exercising bicycle
KR100751033B1 (ko) 자전거를 이용한 실내외용 운동기구
US20020055422A1 (en) Stationary exercise apparatus adaptable for use with video games and including springed tilting features
KR20170033780A (ko) 자전거 시뮬레이터
WO2007055584A1 (en) Indoor exercise cycle with tilt function
WO2011002302A2 (en) Compact indoor training apparatus
KR20170120285A (ko) 가상 현실을 이용한 자전거 주행 시스템
KR101190692B1 (ko) 가변 부하 운동기구
KR101826472B1 (ko) 봅슬레이 가상 체험장치
KR200454698Y1 (ko) 헬스 자전거
KR101254006B1 (ko) 헬스 자전거
KR101915639B1 (ko) 가상 현실을 이용한 자전거 운동 기구
KR101370833B1 (ko) 자전거 시뮬레이션 게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06115340A1 (en) Exercising equipment utilizing a bicycle
KR100908400B1 (ko) 영상표시 기능을 갖는 싸이클머신
JP3702003B2 (ja) 二輪自動車シミュレータ
JP2006289022A (ja) 固定式自転車トレーニング装置
JP3844392B2 (ja) 二輪車のシミュレータ及びゲーム装置
KR101246555B1 (ko) 헬스 자전거
JP4156942B2 (ja) ライディング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KR20120126798A (ko) 레이싱 코너링 시뮬레이션 장치
JPH11319326A (ja) シート傾動装置
KR101248767B1 (ko) 진동 자전거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