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5121A - 이미지 형성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의 적용을 위한 이미지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이미지 형성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의 적용을 위한 이미지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5121A
KR20110115121A KR1020117014291A KR20117014291A KR20110115121A KR 20110115121 A KR20110115121 A KR 20110115121A KR 1020117014291 A KR1020117014291 A KR 1020117014291A KR 20117014291 A KR20117014291 A KR 20117014291A KR 20110115121 A KR20110115121 A KR 20110115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recording medium
magne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4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잔도어 에이치 지 요펜
Original Assignee
오세-테크놀로지스 베파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테크놀로지스 베파우 filed Critical 오세-테크놀로지스 베파우
Publication of KR20110115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51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handling means after the developing zone and before the supply, e.g. developer recovering roll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 G03G15/3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in which the powder image is formed directly on the recording material, e.g. by using a liquid ton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 G03G15/3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in which the powder image is formed directly on the recording material, e.g. by using a liquid toner
    • G03G15/34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in which the powder image is formed directly on the recording material, e.g. by using a liquid toner by forming a uniform powder layer and then removing the non-image are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7/00Details of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patterns other than charge patterns
    • G03G2217/0041Process where the image-carrying member is always completely covered by a toner lay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Printers Or Record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And Radiation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지 형성 장치로부터 자기적으로 끌어당길 수 있는 토너 입자를 선택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 이미지 형성 장치는 활성 가능한 제 2 자기장을 제공하기 위해 구성되는 클리닝 자석 시스템을 포함하고, 이 방법은 이미지 형성 장치를 클리닝 모드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 클리닝 모드는 이미지 기록 매체로의 토너 공급을 정지시키는 단계, 자기적으로 끌어당길 수 있는 토너 입자가 현상 구역으로부터 클리닝 자석 시스템을 향해 전달되도록, 제 1 방향에 대향하는 제 2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슬리브를 회전시키는 단계, 그리고 전달되는 자기적으로 끌어당길 수 있는 토너 입자를 현상 요소의 회전 슬리브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제 2 자기장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이미지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미지 형성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의 적용을 위한 이미지 형성 장치{METHOD FOR OPERATING AN IMAGE-FORMING DEVICE AND AN IMAGE FORMING DEVICE FOR APPLICATION OF THE METHOD}
본 발명은 이미지 형성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 이미지 형성 장치는 이미지 기록 매체, 이미지 기록 매체에 토너 입자를 공급하기 위해 배치되는 토너 공급 롤러, 회전 가능한 슬리브 그리고 제 1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내부 고정 자석 시스템을 포함하는 현상 요소 (developing element), 및 활성 가능한 제 2 자기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클리닝 자석 시스템을 포함하고,
이 이미지 형성 장치는 프린팅 모드에서 작동 가능하며,
토너 공급 롤러는 이미지 기록 매체에 토너 입자를 공급하고,
회전 가능한 슬리브는, 과도한 토너를 제거하며 이를 토너 공급 롤러에 다시 전달하면서, 자기적으로 끌어들일 수 있는 토너 입자와 고정 자석 시스템에 의해 발생되는 제 1 자기장 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해 현상 구역에 토너 조립체를 형성하도록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미지 기록 매체는 디지털 이미지 패턴에 따라 이미지 기록 매체 상에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토너 입자를 끌어당김으로써 현상 구역의 이미지 기록 매체에 토너 이미지를 형성한다.
이미지 형성 방법 (즉, 프린팅 모드에서 수행되는 방법) 과 프린팅 모드에서 작동 가능한 이미지 형성 장치는 특히 유럽 특허 제 0718721 호에 설명되어 있다. 이 특허에서, 이미지 기록 매체의 표면의 이미지 형성 구역에 형성되는 토너 파우더 이미지가 중간 매체를 통하여, 백지 (plain paper) 와 같은 수용 재료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전사되고 이에 고정된다. 이미지 기록 매체는 그 후 다음의 이미지 기록 사이클을 위해 다시 사용된다. 이미지 형성 방법 (즉 프린팅 모드에서 수행되는 방법) 과 프린팅 모드에서 작동 가능한 이미지 형성 장치는 도 1, 도 2 및 도 3 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공지된 이미지 형성 장치의 단점은 프린팅 모드에서 굵은 토너 입자가 현상 구역에 형성되는 토너 조립체에 포획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굵은 토너 입자는, 현상 요소의 고정 자석 시스템에 의해 토너 입자에 가해지는 자기력이 전압이 가해진 (energized) 이미지 형성 전극에 의해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전기력과 동일하거나 더 클 수 있도록, 토너 파우더의 평균 입자 크기보다 더 큰 크기를 갖는 토너 입자이다. 이러한 토너 입자는 또한 "프린트 가능하지않은" 토너 입자로 나타내는데, 이는 이러한 입자가 현상 요소의 고정 자석 시스템의 자기장으로부터 벗어날 수 없기 때문이다. 굵은 토너 입자는 따라서 토너 조립체에 축적될 것이고 이는 결과적으로는 이미지 기록 매체의 회전 방향으로 이미지 기록 매체 상에 "흰줄 마크" (즉 토너가 프린트되지 않은 이미지 기록 매체상의 영역) 를 유도하며 따라서 열악한 프린트 품질을 유도할 것이다.
토너 제조 공정은 굵은 토너 입자가 토너 파우더에 내재적으로 존재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굵은 토너 입자는 더 작은 토너 입자의 응집에 의해 또한 형성될 수 있다.
굵은 토너 입자는 토너 공급 롤러로부터 이미지 기록 매체로의 토너 공급을 중지하고 현상 구역의 토너 조립체가 완전하게 분해될 때까지 토너 입자가 토너 공급 롤러로 다시 전달될 수 있도록 제 1 방향으로 현상 요소의 슬리브를 회전시킴으로써 공지된 이미지 형성 장치로부터 클리닝될 수 있다.
이러한 클리닝 방법의 단점은 "프린트 가능하지 않은" 굵은 토너 입자가 토너 공급 롤러로 다시 전달된다는 것이다. 굵은 토너 입자가 이미지 형성 장치로부터 영구적으로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입자는 이미지 형성 장치에 축적될 것이고 결과적으로는 "흰줄 마크" 를 다시 유도할 것이다. 이미지 형성 장치의 굵은 토너 입자의 농도의 증가에 의해, "흰줄 마크" 의 발생 빈도는 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미지 형성 장치로부터 자기적으로 끌어당길 수 있는 토너 입자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전문에 따른 방법에 의해 달성되며, 이미지 형성 장치는 활성 가능한 제 2 자기장을 제공하기 위해 구성되는 클리닝 자석 시스템을 포함하고, 이 방법은 이미지 형성 장치를 클리닝 모드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클리닝 모드는 :
- 이미지 기록 매체로의 토너 공급을 정지시키는 단계;
- 자기적으로 끌어당길 수 있는 토너 입자가 현상 구역으로부터 클리닝 자석 시스템을 향해 전달되도록, 제 1 방향에 대향하는 제 2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슬리브를 회전시키는 단계; 그리고
- 전달된 자기적으로 끌어당길 수 있는 토너 입자를 현상 요소의 회전하는 슬리브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상기 제 2 자기장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토너 입자는, 제거된 토너 입자가 토너 수집통에 수집되도록 클리닝 자석 시스템을 비활성화시킴으로써 이미지 형성 장치로부터 영구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회전 가능한 슬리브는 제 2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슬리브를 회전시키기 전에 미리 정해진 양의 시간 동안 제 1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러한 실시형태의 이점은 현상 구역의 토너 조립체에 여전히 존재하는 제 1 프린트 가능한 토너 입자 (즉 보통 크기의 토너 입자) 가 토너 공급 롤러로 다시 전달될 수 있다는 것이다. 현상 슬리브의 고정 자석 시스템과 굵은 토너 입자 사이의 자기적 상호 작용은 고정 자석 시스템과 보통 크기의 토너 입자 사이의 자기적 상호작용보다 더 강하다. 이러한 더 강한 상호작용에 의해, 굵은 토너 입자는 더 긴 시간 동안 토너 조립체에 포획될 것이다. 결과적으로는, 굵은 토너 입자는 또한 토너 공급 롤러로 다시 전달될 것이다. 회전 가능한 슬리브는, 단지 보통 크기의 토너 입자를 토너 공급 롤러에 다시 전달하기에 충분히 길고 그리고 굵은 토너 입자가 토너 공급 롤러에 다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히 짧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제 1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은, 토너 조립체의 굵은 토너 입자의 제 1 농축 그리고 그 후 이러한 방법의 그 이후의 단계에서 제거함으로써 이미지 형성 장치의 현상 요소로부터 굵은 토너 입자의 선택적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 2 자기장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영구 자석을 회전 가능한 슬리브 근처에 위치시킴으로써 발생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 2 자기장은 전자기 활성 가능한 자석 시스템을 활성화시킴으로써 발생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미지 형성 장치의 다른 양태에 관한 것이며, 이미지 형성 장치는 이미지 기록 매체, 이미지 기록 매체에 토너 입자를 공급하기 위해 배치되는 토너 공급 롤러, 회전 가능한 슬리브 그리고 제 1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내부 고정 자석 시스템을 포함하는 현상 요소, 활성 가능한 제 2 자기장을 제공하기 위해 구성되는 클리닝 자석 시스템 그리고 토너 공급을 중단하고 회전 가능한 슬리브를 제 2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클리닝 자석 시스템을 활성시키도록, 이미지 형성 장치를 클리닝 모드로 스위치하기 위해 구성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실시형태에서 활성 가능한 클리닝 자석 시스템은 이동 가능한 영구 클리닝 자석이고, 이는 예컨대 영구 클리닝 자석이 배치되는 롤러를 포함한다. 이동 가능한 영구 클리닝 자석 시스템은, 예컨대 롤러를 아이들 (idle) 위치에서 활성 위치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아이들 위치로부터 활성 위치로 영구 클리닝 자석을 이동시킴으로써 활성화될 수 있다. 아이들 위치에서 자석 시스템은 영구 클리닝 자석의 자기장이 프린팅 공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배치된다. 활성 위치에서, 토너 입자는 영구 클리닝 자석의 자기장의 영향 하에 수집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클리닝 자석 시스템은 전자석이고 이는 전자석에 전압이 가해짐으로써 활성화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활성 가능한 클리닝 자석 시스템 및 현상 요소는 이들이 솔리드 벽에 의해 분리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특별한 배치는 클리닝 자석 시스템이 토너가 없이 남아있게 되고 클리닝될 필요가 없다는 이점을 갖는다. 폐기되는 토너는 프레임 내측에 남아있고 작업자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이미지 형성 장치는 토너 수집통을 포함한다. 토너 수집기 통은 이미지 형성 장치를 유지하는 프레임의 벽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수집기 통의 존재는 폐기되는 토너가 이미지 형성 공정에 재유입되는 것을 금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과 이하의 설명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따른 이미지 형성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낸 장치에 사용되는 이미지 기록 매체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프린팅 모드의 도 1 의 이미지 형성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이미지 형성 구역의 토너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클리닝 모드의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형성 장치의 레이아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에 나타낸 이미지 형성 장치에는 이미지 기록 매체 (15) 가 제공되며 이는 도 2 를 참조하여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이미지 기록 매체 (15) 는 이미지 형성 스테이션 (16) 을 통과하고 그의 표면에는, US 특허 제 3 946 402 호에 설명되는 것과 같이 구성되는 수단 (20) 에 의해 약 105 Ωm 의 비저항 (resistivity) 의 토너 파우더의 균일한 층이 제공된다.
이미지 기록 매체 (15) 의 파우더를 갖는 표면은 이미지 형성 구역 (18) 으로 이송되고 이 구역은 자기 롤러 (17) 가 매체 (15) 의 표면으로부터 단거리에 놓이고 회전 가능한 전기 전도성 슬리브와 슬리브 내측에 놓이는 고정 자석 시스템을 포함한다. 고정 자석 시스템은 예컨대 2 개의 자석의 같은 극 사이에 클램프되는 강자성 칼날을 포함하고 EP 0 304 983 에 설명된 것과 같이 구성된다. 고정 자석 시스템의 다른 타입은 EP 0 718 721 에 설명되고 틈 (gap) 에 의해 분리되는 2 개의 대향적으로 자성을 갖는 영역을 포함한다. 동반 (companion) 전극으로서 작용하는 자석 롤러 슬리브 및 이미지 기록 매체 (15) 의 하나 이상의 이미지 형성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파우더 이미지가 이미지 기록 매체에 형성된다. 압력을 가함으로써 이러한 파우더 이미지는 가열된 고무 코팅된 롤러 (19) 에 전사된다. 종이의 시트가 롤러 (16) 에 의해 공급 스택 (25) 으로부터 취해지고 벨트 (27) 및 롤러 (28 및 29) 를 통하여 가열 스테이션 (30) 으로 이송된다. 가열 스테이션은 가열된 롤러 (32) 주위에 놓이는 벨트 (31) 를 포함한다. 종이 시트는 벨트 (31) 와의 접촉에 의해 가열된다. 따라서 가열되는 종이의 시트는 이제 롤러 (19) 와 압력 롤러 (35) 사이를 지나가고, 롤러 (19) 상의 연화된 파우더 이미지는 종이의 시트에 완전히 전사된다. 롤러 (19) 와 벨트 (31) 의 온도는 종이의 시트에 이미지를 융합 (fuse) 시키도록 서로 적응된다. 이미지가 제공되는 종이의 시트는 컨베이어 롤러 (36) 를 통하여 수집 트레이 (37) 로 이송된다. 유닛 (40) 은 원본의 광학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전자 회로를 포함하고, 이 전기 신호는 슬라이딩 접촉이 제공되는 와이어 (41) 를 통하여 그리고 이미지 기록 매체 (15) 의 측벽에 형성되는 전도성 트랙 (42) 을 통하여, 트랙 (42) 에 연결되는 제어 요소 (3) (도 2 참조) 에 전송된다. 정보는 요소 (3) 의 집적 회로의 시프트 레지스터 (shift register) 에 연속적으로 라인 별로 (line by line) 전송된다. 시프트 레지스터가 하나의 라인의 정보에 따라 완전히 가득찬다면, 이 정보는 출력 레지스터에 설정되고 전극 (6, 5) (도 2 참조) 은 신호에 의존하는 드라이버를 통하여 전압이 가해지거나 또는 전압이 가해지지 않는다. 이러한 라인이 프린트되는 동안, 다음 라인의 정보가 시프트 레지스터에 전송된다. 유닛 (40) 은 또한 이미지 형성 장치의 다양한 기능을 제어, 조절 및 감시하기 위한 공지된 제어 전자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 또는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로부터 비롯되는 전기 신호는 유닛 (40) 에서 제어 요소 (3) 로 전송되는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도 1 의 이미지 형성 장치에서 사용되는 이미지 기록 매체 (15) 는 도 2 에 개략적인 단면으로 나타나 있다. 도 2 에 나타낸 이미지 기록 매체 (15) 는 실린더 (2) 를 포함하고 그 안에 놓이는 축선방향으로 뻗어있는 제어 요소 (3) 를 포함하며 이 제어 요소는 이후에 설명되는 구조를 갖는다. 실린더 (2) 는 절연층 (4) 으로 커버되고, 그 위에 이미지 형성 전극 (5) 이 놓이고 실린더 (2) 의 주변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실질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에 나란한 무한 트랙의 형태로 뻗어있다. 각각의 이미지 형성 전극 (5) 은 제어 요소 (3) 의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제어 전극 (6) 에 전도성으로 연결된다. 제어 요소 (3) 의 제어 전극 (6) 의 개수는 이미지 형성 전극 (5) 의 개수와 동일하고, 이러한 개수는 이미지 기록 요소 (1) 에 형성되는 이미지의 품질을 결정한다. 전극의 밀도가 더 클 수록, 이미지 품질은 더 양호해진다. 대표적으로는, 전극 (5) 의 개수는 밀리미터 당 16 이고, 전극 (5) 은 40 ㎛ 의 폭을 갖고 상호 전극 거리는 약 20 ㎛ 이다. 이미지 형성 전극 (5) 을 제어 전극 (6) 에 전도성으로 연결하는 다른 방법이 예컨대 이미지 형성 전극 (5) 의 밀도를 제어 전극 (6) 의 밀도보다 더 높게 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이미지 품질 (라인 분해능) 을 개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미지 형성 전극 (5) 의 패턴은 대략 0.8 마이크로미터 두께의 산화 실리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평탄한 유전체 정상층 (7) 으로 커버된다.
제어 요소 (3) 는 공지된 방식으로 전기 전도성 금속층 (구리와 같은) 이 제공되는 지지부 (10) 를 포함하며, 금속층은 공지된 방식으로 전도성 트랙 패턴 (12) 으로 변환된다. 트랙 패턴 (12) 은, 한편 제어 요소 (3) 의 다양한 전자 구성 요소 (13) 사이의 전도성 연결, 그리고 다른 한편 각각의 경우 하나의 이미지 형성 전극 (5) 에 각각 전도성으로 연결되는 제어 전극 (6) 으로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제어 요소 (3) 는 또한 그 자체가 공지된 방식 (예컨대 글루잉 (gluing)) 으로 지지부 (10) 에 연결되는 커버 (14) 를 포함하여 박스 형상의 제어 요소 (3) 가 형성되고, 전자 구성 요소가 그 안에 에워싸인다.
전자 구성 요소 (13) 는 시리즈-인 패러렐-아웃 (series-in parallel-out) 시프트 레지스터, 출력 레지스터, 그리고 25 ~ 50 볼트의 전압으로 이에 연결되는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다수의 공지된 집적 회로 (IC's) 를 포함한다. 각각의 제어 전극 (6) 은 집적 회로 중 하나의 드라이버에 연결된다.
도 3 은 프린팅 모드의 도 1 의 이미지 형성 장치의 일부의 개략적인 도면을 나타낸다. 프린팅 모드에서, 토너 공급 롤러 (20), 이미지 기록 매체 (15) 및 현상 요소 (17) 의 슬리브 (17') 는 각각 화살표 (A, B 및 C) 로 나타낸 것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미지 기록 매체와 공급 롤러 (20) 사이에 전압 (51) 을 인가함으로써, 토너의 층이 이미지 기록 매체 (56) 에 공급된다. 이미지 기록 매체 (15) 의 파우더를 갖는 표면은 그 후 이미지 형성 구역 (18) 으로 이송되며 여기서 자기 롤러 (17) 가 매체 (15) 의 표면으로부터 단거리에 놓이고 회전 가능한 전기 전도성 슬리브 (17') 그리고 이전에 설명된 것과 같이 슬리브 내측에 놓이는 고정 자석 시스템 (52) 을 포함한다.
프린팅 모드에서 토너 조립체는 도 4 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이미지 형성 구역 (18) 에 형성된다. 명확함을 위해 어떠한 토너 입자는 흰색 원으로 나타내었다. 이러한 입자는 사실 검정색 원으로 나타낸 토너 입자와 동일하다. 이미지 기록 매체 (15) 의 하나 이상의 이미지 형성 전극 (5) 과 동반 전극으로서 작용하는 자기 롤러 슬리브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토너 입자는 이미지 기록 매체를 향하는 전기력과 현상 요소의 슬리브를 향하는 자기력을 경험하고, 자기력은 고정 자석 시스템 (52) 에 의해 유도된다. 대표적으로는 25 ㎛ 보다 더 작은 보통 크기의 토너 입자 (예컨대, 도면 부호 60 으로 나타낸 도 4 의 입자) 에 대하여, 전기력 (61) 은 자기력 (62) 을 초과하고, 이는 토너 입자가 프린트되는, 즉, 이미지 기록 매체에 의해 끌어당겨지는 것을 야기한다. 이미지 형성 전극에 존재하는 즉 전압이 가해지지 않은 (즉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토너 입자는 단지 고정 자석 시스템에 의해 유도되는 자기력을 경험하고 이미지 기록 매체로부터 클리닝되고 토너 공급 유닛 (20) 으로 다시 전달된다 (도 3 및 도 4 에서 도면 부호 57 로 나타낸 토너 입자). 파우더 이미지가 이미지 패턴에 따라 이미지 기록 매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 의 55 참조).
토너 공급부에 존재하는 굵은 토너 입자 (예컨대 도 4 에서 도면 부호 65 로 나타낸 입자) 는 이미지 형성 공정을 방해할 수 있다. 이러한 입자는 토너의 생산 공정에 의해 토너 공급부에 내재적으로 존재할 수 있거나 또는 토너 입자를 더 적게 응집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입자는 결과적으로,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은 방법으로 보통 토너 입자와 유사하게 토너 조립체에 이르게 된다. 하지만, 이때 굵은 입자가 위치되는 동반 전극과 이미지 형성 전극 사이에 전압이 인가될 때, 굵은 입자가 프린트될 수 없도록, 굵은 입자에 가해지는 자기력과 전기력 사이에 균형이 존재할 수 있다. 현상 요소의 고정 자석 시스템과 굵은 토너 입자 사이의 강한 자기 상호 작용에 의해, 이러한 입자는 토너 공급부로 돌아가 슬리브 (17') 의 회전에 의해 또한 제거되지 않는다. 따라서, 일단 굵은 토너 입자가 이미지 형성 구역 (18) 의 토너 조립체에 유입되면, 이러한 입자는 포획되고 전달 방향으로 프린트 상에 흰줄 마크를 야기한다.
이러한 굵은 토너 입자는 이미지 형성 장치로부터, 특히 이미지 형성 구역 (18) 으로부터 제거될 필요가 있다. 도 5 는 클리닝 모드의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형성 장치의 레이아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러한 특별한 실시형태에서 클리닝 자석 (71) 을 포함하는 롤러 (70) 는 이미지 형성 장치의 프레임의 외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특별한 배치에 대한 대안으로서, 그 외에 이동 가능한 영구 자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대안은 클리닝 모드에서 전압이 가해지는 전자석 시스템을 포함한다. 프레임 (72) 은 토너 폐기물통 (73) 이 형성되도록 형상을 갖게 된다.
클리닝 모드는 이하의 단계와 관련된다 :
- 이미지 기록 매체 (15) 와 공급 롤러 (20) 사이의 전압 (51) 을 차단함으로써 이미지 기록 매체로의 토너 공급을 정지시키는 단계.
- 선택적으로 보통 크기의 토너 입자가, 토너 공급 롤러에 그리고 결과적으로는 토너 공급부에 다시 전달되도록 현상 요소 (17) 의 슬리브 (17') 가 화살표 (C) 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단계.
- 클리닝 자석 시스템이,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도 5 의 영구 자석의 솔리드 이미지 (solid image) 및 이중 화살표 (E) 로 나타낸 것과 같이 자석을 클리닝 위치에 놓음으로써 활성화되는 단계.
- 현상 요소의 슬리브의 회전 방향이, 토너 조립체의 남아있는 토너 입자가 자기 토너 공급 롤러에 의해 포획되지 않으면서 클리닝 자석을 향해 전달되도록 화살표 (D) 로 타나낸 것과 같이 역전되는 단계. 토너 입자가 클리닝 자석의 자기장의 영향 하에 들어올 때 이러한 입자는 현상 슬리브로부터, 토너 입자가 수집되는 이미지 형성 장치의 프레임 벽을 향해 점프될 것이다.
- 마지막으로 클리닝 자석 시스템이,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도 5 의 자석의 고스트 이미지 (ghost image) (71') 및 이중 화살표 (E) 에 의해 나타낸 것과 같이 자석을 그의 아이들 위치로 다시 놓음으로써 비활성되는 단계. 폐기되는 토너 입자는 폐기물통에 낙하된다.
상기 설명된 방법에 의해 굵은 토너 입자는, 이러한 입자가 토너 공급부에 이르게 되지 않고 따라서 토너 공급부의 굵은 입자의 농도가 시간에 따라 증가하지 않도록 이미지 형성 장치로부터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예컨대 탄소, 플루오르 또는 안티몬으로 도핑된 (doped) 산화 주석과 같은 도핑된 금속 산화물, 또는 WO 92/22911 로부터 공지된 것과 같이, 양자화된 폴리아닐린 복합물과 같은 전도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전기 전도성 표면 코팅을 갖는 토너 파우더, 또는 토너 입자의 용적에 걸쳐 분산되는, 예컨대 상기 언급된 양자화된 폴리아닐린 복합물인, 전기 전도성 재료에 의해 그 전도성이 얻어지는 전기 전도성 토너 파우더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토너 파우더가, 예컨대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이 100 g 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용융시키고, 용융물에 캄포설폰산 (특허 출원 WO 92/22911 의 실시예 1 및 3 의 설명에 따라 제조됨) 과 폴리아닐린 에머럴딘 (emeraldine) 의 양자화된 복합물의 11 g 그리고 그 후 33 g 의 자화될 수 있는 안료 (독일, Bayer Ag 에 의해 제조되는 Bayferrox B 318 타입) 를 분산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균질의 용융물이 그 후 고체 덩어리로 냉각되고 연마되며 걸러져서 10 ~ 20 마이크로미터의 입자 크기를 갖는 입자를 얻는다. 이미지 기록 매체 (15) 에 이러한 토너 파우더에 의해 형성되는 파우더 이미지는 압력에 의해 종이의 시트 또는 다른 수용 재료에 전사될 수 있고 그 후, 예컨대 (약한) 마그네트론 복사를 사용하는 가열에 의해 그 위에 고정된다. 물론 그 자체가 공지된 다른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Claims (9)

  1. 이미지 형성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이 이미지 형성 장치는
    - 이미지 기록 매체;
    - 이미지 기록 매체에 토너 입자를 공급하기 위해 배치되는 토너 공급 롤러;
    - 회전 가능한 슬리브 그리고 제 1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내부 고정 자석 시스템을 포함하는 현상 요소; 및
    - 활성 가능한 제 2 자기장을 제공하기 위해 구성되는 클리닝 자석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형성 장치는 프린팅 모드에서 작동 가능하며,
    토너 공급 롤러는 이미지 기록 매체에 토너 입자를 공급하고,
    회전 가능한 슬리브는, 과도한 토너를 제거하며 이를 토너 공급 롤러에 다시 전달하면서, 자기적으로 끌어들일 수 있는 토너 입자와 고정 자석 시스템에 의해 발생되는 제 1 자기장 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해 현상 구역에 토너 조립체를 형성하도록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미지 기록 매체는 디지털 이미지 패턴에 따라 이미지 기록 매체 상에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토너 입자를 끌어당김으로써 현상 구역의 이미지 기록 매체에 토너 이미지를 형성하고,
    이 방법은 이미지 형성 장치를 클리닝 모드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 클리닝 모드는 :
    - 이미지 기록 매체로의 토너 공급을 정지시키는 단계;
    - 자기적으로 끌어당길 수 있는 토너 입자가 현상 구역으로부터 클리닝 자석 시스템을 향해 전달되도록, 제 1 방향에 대향하는 제 2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슬리브를 회전시키는 단계; 그리고
    - 전달된 자기적으로 끌어당길 수 있는 토너 입자를 현상 요소의 회전하는 슬리브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상기 제 2 자기장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형성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능한 슬리브를 제 2 방향으로 회전시키기에 앞서, 이 회전 가능한 슬리브는 미리 정해진 양의 시간 동안 제 1 방향으로 회전되는 이미지 형성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자기장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영구 자석을 회전 가능한 슬리브 근처에 위치시킴으로써 발생되는 이미지 형성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자기장은 전자기 활성 가능한 자석 시스템을 활성화시킴으로써 발생되는 이미지 형성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5. - 이미지 기록 매체;
    - 이미지 기록 매체에 토너 입자를 공급하기 위해 비치되는 토너 공급 롤러;
    - 회전 가능한 슬리브 그리고 제 1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내부 고정 자석 시스템을 포함하는 현상 요소;
    - 활성 가능한 제 2 자기장을 제공하기 위해 구성되는 클리닝 자석 시스템;
    - 그리고 토너 공급을 중단하고 회전 가능한 슬리브를 제 2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클리닝 자석 시스템을 활성시키기 위해, 이미지 형성 장치를 클리닝 모드로 스위치하기 위해 구성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이미지 형성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가능한 클리닝 자석 시스템은 이동 가능한 영구 자석을 포함하는 이미지 형성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가능한 클리닝 자석 시스템은 전자석을 포함하는 이미지 형성 장치.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가능한 클리닝 자석 시스템 및 현상 요소는 이들이 솔리드 벽에 의해 분리되도록 배치되는 이미지 형성 장치.
  9.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토너 수집통을 포함하는 이미지 형성 장치.
KR1020117014291A 2008-12-23 2009-12-17 이미지 형성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의 적용을 위한 이미지 형성 장치 KR201101151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172801 2008-12-23
EP08172801.6 2008-12-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121A true KR20110115121A (ko) 2011-10-20

Family

ID=40627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4291A KR20110115121A (ko) 2008-12-23 2009-12-17 이미지 형성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의 적용을 위한 이미지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35459B2 (ko)
EP (1) EP2382511B1 (ko)
JP (1) JP5379865B2 (ko)
KR (1) KR20110115121A (ko)
CN (1) CN102265225B (ko)
WO (1) WO20100726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28449B2 (ja) 2014-06-26 2019-06-12 株式会社リコー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602A (en) * 1888-12-18 Wire-cloth lathing
US3946402A (en) * 1974-05-28 1976-03-23 Minnesota Mining & Manufacturing Company Toner applicator for electrographic recording system
JPH0244304Y2 (ko) * 1980-08-30 1990-11-26
JPS57165865A (en) * 1981-04-06 1982-10-13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Developing device of electrostatic charge image
KR970004165B1 (ko) 1987-08-25 1997-03-25 오세-네델란드 비.브이 인쇄장치
JPH03141379A (ja) * 1989-10-27 1991-06-17 Mita Ind Co Ltd 現像装置
ATE195197T1 (de) 1991-06-12 2000-08-15 Uniax Corp Anwendbare formen von elektrisch leitfähigen polyanilinen und davon hergestellte leitfähige produkte
NL9402196A (nl) * 1994-12-23 1996-08-01 Oce Nederland Bv Werkwijze voor het registreren van beelden, alsmede een beeldvormingsinrichting voor toepassing van de werkwijze.
JPH09329967A (ja) * 1995-11-27 1997-12-22 Fuji Xerox Co Ltd 現像装置
DE10152892A1 (de) * 2001-10-26 2003-05-08 Oce Printing System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inigung von Trägerelementen in Druckern oder Kopierern unter Anwendung von Magnetfeldern
KR100786278B1 (ko) * 2005-12-16 2007-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형성장치
JP5012254B2 (ja) * 2007-06-26 2012-08-2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79865B2 (ja) 2013-12-25
CN102265225A (zh) 2011-11-30
EP2382511B1 (en) 2012-11-28
US8335459B2 (en) 2012-12-18
CN102265225B (zh) 2014-06-04
JP2012513618A (ja) 2012-06-14
WO2010072646A1 (en) 2010-07-01
US20110236050A1 (en) 2011-09-29
EP2382511A1 (en) 201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68848B2 (ja) 静電式プリンタ用画像形成素子及び情報プリント装置
US4704621A (en) Printing device
US4884188A (en) Magnetic roller means with stationary magnetic knife blade for use in printing devices
US8335459B2 (en) Method for operating an image-forming device and an image forming device for application of the method
EP0546631B1 (en) Printing device
US542221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toner image
EP0573096B1 (en) Image-forming device
US6040847A (en) Method of recording images and an image-forming device for application of the method
JP2009252812A (ja) 導電性粒子によるパターン生成方法及び装置
JP3929891B2 (ja) 画像形成装置
JPH085814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5302955A (ja) 画像形成装置
JP3399717B2 (ja) 画像形成装置
JPH1086432A (ja) 画像形成装置
JPH04173176A (ja) インクシート再生装置
JPS61179767A (ja) 画像記録装置
JPH02196669A (ja) 静電記録装置
JPH10264435A (ja) 画像形成装置
JPH0740578A (ja) 画像形成装置
JPH0371886A (ja) 画像形成装置
JPH07125301A (ja) 画像形成装置
JPH08337000A (ja) 画像形成装置
JPS6346486A (ja) 磁気記録式プリンタ
JPH0747707A (ja) 画像形成装置
JPH05107846A (ja) 画像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