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5036A -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5036A
KR20110115036A KR1020100034487A KR20100034487A KR20110115036A KR 20110115036 A KR20110115036 A KR 20110115036A KR 1020100034487 A KR1020100034487 A KR 1020100034487A KR 20100034487 A KR20100034487 A KR 20100034487A KR 20110115036 A KR20110115036 A KR 20110115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creen
screen panel
housing
display device
activ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4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9313B1 (ko
Inventor
김운천
이종영
오용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4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9313B1/ko
Priority to US12/825,192 priority patent/US8416208B2/en
Publication of KR20110115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5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9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9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련된 것으로, 제1 면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장된 메인 회로기판, 상기 메인 회로기판과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제1 면에 대향하게 배치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메인 회로기판과 연결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1 면에 배치된 활성영역, 및 상기 활성영역에서 연장되되 상기 하우징의 측면 또는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에 배치된 비활성영역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DISPLAY APPARATUS HAVING TOUCH SCREEN PANEL}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핸드폰, PDA, 네비게이션, 컴퓨터 모니터와 같은 표시장치는 단순한 문자 정보의 표시수단에서 더 나아가 오디오, 동영상, 무선 인터넷 웹 브라우저 등과 같은 더욱 다양하고 복잡한 멀티 미디어 제공 수단으로 그 기능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또한, 표시장치의 내에서 더욱 큰 디스플레이 영역의 구현이 요구되고 있어 터치스크린 패널을 적용한 표시장치가 더욱 각광받고 있다.
최근, 터치스크린 패널은 구조가 심플하며 두께가 얇고, 양산성이 우수한 저항막 방식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널은 조작측이 되는 상부 전극판(일면에 투명전극막이 형성된 상부기판), 고정측이 되는 하부 전극판(일면에 투명전극막이 형성된 하부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판은 스페이서에 의해 소정의 간극을 마련한 상태에서 대향 배치되며, 각 전극판은 X방향과 Y방향으로 전극배선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저항막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널은 상부 전극판 표면을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압박하면, 상부 전극판과 하부 전극판이 접촉하여 전극막 사이에 전위구배가 생기고, 이 전압을 외부로 추출하여 제어기를 통해 X축, Y축 좌표를 계산한다. 이에 따라 압박점을 특정한다.
이러한 터치스크린 패널은 평면상 ITO(Indium Tin Oxide), 산화주석 (SnO2) 및 산화 인듐(In2O3)으로 구성된 균일한 두께의 투명전극막이 형성된 활성영역과 상기 투명전극막과 통전되고 빛이 투과하지 않는 금속물질로 구성되며 X, Y 방향으로 인쇄된 전극배선이 위치하는 비활성영역으로 나뉜다.
종래의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는 터치 스크린 패널이 디스플레이부 상에 위치하고, 터치스크린 패널의 활성영역과 비활성영역이 동일 평면에 위치하는 구조로 표시장치의 전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영역이 좁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외관상 비활성영역을 가리는 별도의 구성(베젤구조)이 요구되었다.
또한, 표시장치는 단말기 케이스의 측면에 수개의 버튼을 별도로 구성하여 표시장치에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별도의 버튼을 구성하기 위해 표시장치는 복잡한 구성을 갖게 되었고, 표시장치의 디자인에 제한을 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터치스크린 패널의 활성영역이 표시장치의 전면에 배치되고 비활성영역은 표시장치의 측면 또는 밑면에 배치되어, 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확장되고, 표시장치의 측면 또는 밑면에 위치하는 버튼을 대체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련된 것으로, 제1 면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장된 메인 회로기판, 상기 메인 회로기판과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제1 면에 대향하게 배치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메인 회로기판과 연결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1 면에 배치된 활성영역, 및 상기 활성영역에서 연장되되 상기 하우징의 측면 또는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에 배치된 비활성영역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비활성영역은 상기 측면의 내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측면 또는 상기 제2 면에 형성된 제1 가이드 슬릿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활성영역은 상기 제1 면에서 상기 측면의 외면까지 연장되고, 상기 비활성영역은 상기 제1 가이드 슬릿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활성영역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측면의 외면에서 상기 제2 면의 외면까지 연장되고, 상기 비활성영역은 상기 제2 면에 형성된 상기 제1 가이드 슬릿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측면 또는 상기 제2 면에 형성된 제2 가이드 슬릿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은 상기 비활성영역에서 연장되며 돌출되게 형성된 접속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활성영역은 상기 제1 면에서 상기 측면의 외면까지 연장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제2 가이드 슬릿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활성영역은 상기 측면의 외면에서 상기 제2 면의 외면까지 연장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제2 면에 형성된 상기 제2 가이드 슬릿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측면 또는 상기 제2 면에 형성된 제2 가이드 슬릿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활성영역은 상기 제1 면에서 상기 측면의 외면까지 연장되며,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은 상기 비활성영역에 형성된 접속부와 연결되는 FPCB를 더 포함하고, 상기 FPCB는 상기 제2 가이드 슬릿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활성영역은 상기 측면의 외면에서 상기 제2 면의 외면까지 연장되고, 상기 FPCB는 상기 제2 면에 형성된 상기 제2 가이드 슬릿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활성영역이 표시장치의 전면에 배치되어 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고, 종래의 표시장치에 구성된 베젤구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 패널의 활성영역이 비활성영역은 표시장치의 측면 또는 후면에 배치됨으로써, 표시장치의 측면 또는 후면에 위치하는 버튼을 생략할 수 있어 표시장치의 구성이 단순해지고 디자인적 자유도가 상승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포함된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채용될 수 있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터치스크린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4은 도 1에 도시된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X-X'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는 도 5에 도시된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X-X'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포함된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채용될 수 있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터치스크린 패널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X-X'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이하, 표시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는 사용자에게 화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터치스크린 패널(100)이 배치되고, 전면에 베젤구조가 생략되었다. 이는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의 하우징(200)에 터치스크린 패널(100)이 배치될 때 전극배선이 형성되는 비활성영역이 활성영역과 동일한 평면(디스플레이 영역)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는 사용자에게 화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넓혀준다. 또한 종래의 표시장치에 구성되었던 베젤구조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 제조공정이 단순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이러한 효과는 터치스크린 패널(100)과 하우징(200)의 구조 및 형상에 연관되는데,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검토한다. 다만, 도 1에는 표시장치(10)의 일 예로 휴대폰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고, 표시장치는 PDA, 네비게이션, 컴퓨터 모니터와 같이 사용자에게 화상을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표시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터치스크린 패널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터치스크린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것 일뿐, 본 발명에 적용되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구조 및 형상은 표시장치의 하우징 구조와 함께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는 아날로그 저항막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널(100)을 도시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아날로그 저항막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널(100)은 기본적으로 상부기판(110)과 이에 대향되게 설치된 하부기판(120)을 포함한다.
상부기판(110)의 하면(하부기판(120)과 대향되는 대향면)에는 ITO(Indium Tin Oxide), 산화주석 (SnO2), 산화 인듐(In2O3), 전도성 고분자 피막 등으로 이루어지는 균일한 두께의 상부 투명전극막(111)이 패터닝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투명전극막(111)과 통전되도록 금속(예를 들면 은, 구리)으로 구성된 상부 전극배선(112-1, 112-2)이 X 방향으로 인쇄되어 있다.
전기적 부도체로 형성된 스페이서(130)에 의해 분리된 하부기판(120)의 대향면에는 마찬가지로 하부 투명전극막(121)이 패터닝되어 있고, 상기 하부 투명전극막(121)과 통전되도록 하부 전극배선(122-1, 122-2)이 Y 방향으로 인쇄되어 있다.
이때, 평면상 투명전극막(111, 121)이 형성된 영역을 활성영역(R1)이라고 하며, 전극배선(112, 122)이 형성된 영역을 비활성영역(R2)이라 한다. 활성영역(R1)은 투명한 전도성 물질로 구성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부에서 생성된 화상이 이 영역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되고, 비활성영역(R2)은 금속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화상이 통과하지 못한다. 따라서, 표시장치(10)의 전면에 배치된 활성영역(R1)과 비활성영역(R2)의 비율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이 결정된다.
특히, 비활성영역(R2) 중에서 상부 전극배선(112-1, 112-2)과 하부 전극배선(122-1, 122-2)의 말단이 상부기판(110)과 하부기판(120)의 임의의 모서리에서 집결되도록 배치된 영역을 접속부(140)라고 명명한다. 이러한, 접속부(140)는 FPCB와 같은 연결구조에 의해 메인 회로기판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접속부(140)는 비활성영역(R2)에서 연장되되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는 4선식 저항막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널을 도시하고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널 역시 적용될 수 있다.
디지털 저항막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널은 투명 저항막이 복수로 분리되게 패터닝된 형상이다. 예를 들면, 바 형상의 저항막이 복수로 배열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전극배선의 수가 더 많이 요구되고 비활성영역은 더욱 확대된다.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널 역시 X, Y 투명 전극패턴이 복수로 형성되기 때문에 많은 수의 전극배선이 요구되고 비활성영역도 확대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X-X'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설명한다.
표시장치(10)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면이 개방된 하우징(200),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된 메인 회로기판(300), 디스플레이부(400), 및 하우징(200)의 개방된 일면에 장착된 터치스크린 패널(100)을 포함한다.
하우징(200)은 내부에 장착된 전자부품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일면이 개방된 형상을 갖는다. 하우징(200)은 일체의 형상을 가지거나, 수개의 프레임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개방된 일면(210: 제 1면)에 후술하는 터치스크린 패널(100)이 위치하여 하우징(200)과 함께 폐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하우징(200)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전자부품 외에 카메라부, 마이크부 등이 더 내장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100)은 디스플레이부(400) 상부에 위치하고, 하우징(200)의 개방된 제1 면(210)과 측면(220)에 배치된다.
이때, 터치스크린 패널(100)은 활성영역(R1)이 제1 면(210)에 배치되고, 비활성영역(R2)은 하우징(200)의 측면(220) 또는 제1 면(210)에 대향하는 제2 면(230: 하우징의 밑면)에 배치된다.
즉, 활성영역(R1)이 하우징의 밑면(230)에 평행하고, 비활성영역(R2)은 상기 활성영역(R1)에서 연장되되 굴곡되어 하우징의 측면(220) 또는 밑면(230)에 배치된다. 비활성영역(R2)이 하우징의 측면(220)에 위치하는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100)은 1번 굴곡되고, 밑면(230)에 위치하는 경우 2번 굴곡된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터치스크린 패널(100)의 활성영역(R1)이 개방된 제1 면(210)에 배치되고, 활성영역(R1)에서 연장된 비활성영역(R2)은 하우징 측면(22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표시장치(10)의 전면에 디스플레이 영역이 제공될 수 있고, 베젤구조가 생략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활성영역(R1)이 굴곡되어 하우징 측면(220)의 내측에 활성영역(R1)과 비활성영역(R2)이 모두 배치되어 있으나, 비활성영역(R2) 만이 하우징 측면(220)의 내측에 위치될 수도 있다.
한편, 비활성영역(R2)은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 패널(100)의 4 모서리에 형성되는데,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활성영역(R1)만이 하우징(200)의 개방된 제1 면에 배치되고, 비활성영역(R2)은 모두 하우징 측면(220)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3 모서리, 대향하는 2 모서리에 형성된 비활성영역(R2)만이 측면(22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종래의 표시장치는 4 모서리의 비활성영역이 모두 활성영역과 동일평면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이 축소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비활성영역이 활성영역과 동일평면에 위치하지 않아 디스플레이 영역이 확장된다.
메인 회로기판(300)은 하우징(200)에 내장되어 전원공급부(500)와 연결되며, 방송수신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등 다양한 전자소자를 실장하고, 이러한 전자소자에 의해 디스플레이부(400) 및 터치스크린 패널(100)이 제어된다.
디스플레이부(400)는 하우징(200)의 개방된 제1 면을 향하도록 내장되어 사용자에게 화상을 제공한다. 디스플레이부(400)는 LCD, OLED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소자가 채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X-X'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이하, 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1)는 터치스크린 패널(100-1)의 활성영역(R1)이 하우징(200-1) 측면(220-1)의 외면까지 연장되고, 비활성영역(R2)은 하우징(200-1)에 형성된 가이드 슬릿에 삽입된다.
최근에 제조되는 표시장치는 공간적 활용을 위해 표시장치의 측면에 별도의 버튼(예를 들면, 볼륨 버튼)을 장착한다. 별도의 버튼을 구성하면 표시장치의 내부구성이 복잡해지고, 디자인에 제한을 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활성영역(R1)을 하우징의 측면(220-1)의 외면까지 연장하여 소정의 영역을 다수의 버튼영역(B)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100-1), 하우징(200-1)의 구조 및 형상을 설명한다.
하우징(200-1)은 측면(220-1)에 형성된 제1 가이드 슬릿(240)을 더 포함하고, 터치스크린 패널(100-1)의 활성영역(R1)은 하우징의 개방된 제1 면(210-1), 제1 면에서 연장된 측면(220-1)의 외면까지 배치되고, 터치스크린 패널(100-1)의 비활성영역(R2)은 제1 가이드 슬릿(240)에 삽입된다.
이때, 제1 가이드 슬릿(240)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우징(200-1)의 3 측면에 형성되거나, 대향하는 2 측면 또는 4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이는 터치스크린 패널(100-1)의 형상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하우징(200-1)은 측면(220-1)의 외면에서 터치스크린 패널(100-1)이 결합할 때, 터치스크린 패널(100-1)이 외부에 돌출되지 않고 하우징(200-1)과 함께 평평한 외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단차진 형상(250: 단차부)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터치스크린 패널(100-1)은 제1 면(210-1)에 활성영역(R1)이 배치될 뿐만 아니라, 이에 연장되되 굴곡되어 측면(220-1)의 외면에도 배치된다. 이렇게 하우징 측면(220-1)의 외면에 배치된 영역이 버튼영역(B)으로 활용된다. 이때, 터치스크린 패널(100-1)은 하우징의 측면(220-1)에 접착되어 하우징(200-1)과 결합된다.
그리고, 하우징 측면(220-1)의 외면에 배치된 활성영역(R1)에서 연장되고, 한번 더 굴곡된 터치스크린(100-1)의 비활성영역(R2)은 하우징 측면(220-1)에 형성된 제1 가이드 슬릿(240)에 삽입된다. 그에 따라 하우징의 측면(220-1)에 비활성영역(R2)이 배치되지 않고, 베젤구조는 불필요해진다. 또한, 비활성영역(R2)에 형성된 접속부(140)가 하우징(200-1)의 내부에 삽입되므로 메인 회로기판과 터치스크린 패널(100-1)의 연결이 용이하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2)는 터치스크린(100-2)의 활성영역(R1)이 하우징 측면(220-2)의 외면에서 하우징 밑면(230-2: 제2 면)의 외면까지 연장되고, 비활성영역(R2)은 제2 면(230-2)에 형성된 제1 가이드 슬릿(240)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2)는 측면에 형성된 활성영역(R1)의 면적이 증가하여 디자인적 자유도가 상승하고, 하우징(200-2)과 접착하는 접착면이 증가하여 터치스크린 패널(100-2)과 하우징(200-2)의 결합력이 증가한다.
또한, 별도의 구성을 증가하지 않고, 하우징 밑면(230-2: 제2 면)에도 버튼영역(B)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장치를 휴대폰으로 상정하는 경우, 최근 휴대폰의 뒷면에 카메라가 장착되고 휴대폰의 전면에 형성된 작동버튼을 사용하여 동작시키는데, 셀프카메라로 사용하는 경우 전면에 형성된 작동버튼을 누를 때 카메라의 초점이 흔들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2)를 휴대폰에 적용시키면, 별도의 구성없이 휴대폰의 뒷면에도 버튼영역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본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2)는 터치스크린 패널(100-2)의 활성영역(R1)이 증가하여 표시장치(10-2)의 디자인적 자유도가 상승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3)는 하우징(200-3)의 측면(220-3) 또는 하우징 밑면(230-3: 제2 면)에 형성된 제2 가이드 슬릿(240')을 더 포함한다. 제2 가이드 슬릿(240')은 하우징의 측면(220-3) 중 어느 하나 또는 하우징의 밑면에 형성될 수 있고, 상술한 제1 가이드 슬릿(240)보다 그 길이가 매우 짧다. 제2 가이드 슬릿(240')의 길이는 후술하는 접속부(140)의 너비에 대응한다.
터치스크린 패널(100-3)은 비활성영역(R2)에서 연장되며 돌출되게 형성된 접속부(14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접속부(140)는 터치스크린 패널(100-3)의 상부 전극배선, 하부 전극배선의 말단이 집결된 영역으로 비활성영역(R2)의 임의의 지점에서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비활성영역(R2)에서 돌출되고, 굴곡되어 제2 가이드 슬릿(240')에 삽입된다. 하우징(200-3) 내부로 삽입된 접속부(140)는 FPCB(미도시)에 의해 메인 회로기판에 연결된다.
이러한 표시장치(10-3)는 하우징(200-3)의 외면에 배치된 터치스크린 패널(100-3)과 내부에 장착된 메인 회로기판을 연결할 때 가이드 슬릿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어, 표시장치(10-3)가 견고해지고 이 물질이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10-3) 또한, 제2 가이드 슬릿(240')이 하우징의 밑면(제2 면)에 형성될 수 있고, 터치스크린 패널(100-3)의 형상도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4)의 하우징(200-4)은 도 9과 같이 측면(220-4) 또는 밑면(제2 면)에 형성된 제2 가이드 슬릿(240")을 더 포함하고, 터치스크린 패널(100-4)은 도 5 내지 도 8과 같이 활성영역(R1)이 개방된 제1 면에서 측면(220-4)의 외면 또는 밑면(제2 면)까지 연장된다.
이때, 터치스크린 패널(100-4)과 메인 회로기판(300)은 FPCB(600)에 의해 연결되는데, 비활성영역(R2)에 형성된 접속부에 FPCB(600)의 일단이 연결되고, 제2 가이드 슬릿(240")에 FPCB(600)가 삽입되고, FPCB(600)의 타단에서 메인 회로기판과 연결된다.
이러한 표시장치(10-4)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2 가이드 슬릿(240')보다 길이 또는 폭을 더 짧게 형성할 수 있으며, FPCB(600)가 플렉시블하기 때문에 제2 가이드 슬릿(240")에 삽입하기 용이하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표시장치 100 : 터치스크린 패널
110 : 상부기판 111 : 상부 투명전극막
112-1, 112-2 : 상부 전극배선 120 : 하부기판
121 : 하부 투명전극막 122-1, 122-2 : 하부 전극배선
130 : 스페이서 140 : 접속부
200 : 하우징 210 : 하우징의 상면(제1 면)
220 : 하우징의 측면 230 : 하우징의 밑면(제2 면)
240 : 제1 가이드 슬릿 240', 240" : 제2 가이드 슬릿
250 : 단차부 300 : 메인 회로기판
400 : 디스플레이부 500 : 전원공급부
600 : FPCB B : 버튼영역
R1 : 활성영역 R2 : 비활성영역

Claims (8)

  1. 제1 면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장된 메인 회로기판;
    상기 메인 회로기판과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제1 면에 대향하게 배치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메인 회로기판과 연결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1 면에 배치된 활성영역, 및 상기 활성영역에서 연장되되 상기 하우징의 측면 또는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에 배치된 비활성영역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영역은 상기 측면의 내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측면 또는 상기 제2 면에 형성된 제1 가이드 슬릿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활성영역은 상기 제1 면에서 상기 측면의 외면까지 연장되고, 상기 비활성영역은 상기 제1 가이드 슬릿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활성영역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측면의 외면에서 상기 제2 면의 외면까지 연장되고, 상기 비활성영역은 상기 제2 면에 형성된 상기 제1 가이드 슬릿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측면 또는 상기 제2 면에 형성된 제2 가이드 슬릿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은 상기 비활성영역에서 연장되며 돌출되게 형성된 접속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활성영역은 상기 제1 면에서 상기 측면의 외면까지 연장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제2 가이드 슬릿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활성영역은 상기 측면의 외면에서 상기 제2 면의 외면까지 연장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제2 면에 형성된 상기 제2 가이드 슬릿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측면 또는 상기 제2 면에 형성된 제2 가이드 슬릿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활성영역은 상기 제1 면에서 상기 측면의 외면까지 연장되며,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은 상기 비활성영역에 형성된 접속부와 연결되는 FPCB를 더 포함하고,
    상기 FPCB는 상기 제2 가이드 슬릿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활성영역은 상기 측면의 외면에서 상기 제2 면의 외면까지 연장되고, 상기 FPCB는 상기 제2 면에 형성된 상기 제2 가이드 슬릿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0100034487A 2010-04-14 2010-04-14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109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487A KR101109313B1 (ko) 2010-04-14 2010-04-14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US12/825,192 US8416208B2 (en) 2010-04-14 2010-06-28 Display apparatus having touch screen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487A KR101109313B1 (ko) 2010-04-14 2010-04-14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036A true KR20110115036A (ko) 2011-10-20
KR101109313B1 KR101109313B1 (ko) 2012-01-31

Family

ID=44787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4487A KR101109313B1 (ko) 2010-04-14 2010-04-14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16208B2 (ko)
KR (1) KR1011093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4300A (ko) * 2012-03-13 2013-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3033B1 (ko) * 2011-05-13 2017-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0044353B2 (en) * 2011-08-10 2018-08-07 Atmel Corporation Substantially edgeless touch sensor
TWI459274B (zh) * 2011-11-28 2014-11-01 Shih Hua Technology Ltd 觸控模組及其製備方法
US9693452B2 (en) * 2012-06-28 2017-06-27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comprising a conductive path and a method of forming an apparatus with a conductive path
KR20210027553A (ko) 2013-03-07 2021-03-10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TW201512914A (zh) * 2013-09-17 2015-04-01 Wintek Corp 觸控面板與觸控顯示裝置
KR102225944B1 (ko) * 2014-06-27 2021-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70065657A (ko) * 2014-10-14 2017-06-13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컬러 가변 단말
CN105528101A (zh) * 2014-10-21 2016-04-27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立体盖板结构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00870B2 (ja) * 1994-08-22 2003-04-2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およびその組立方法
US7218313B2 (en) * 2003-10-31 2007-05-15 Zeetoo, Inc. Human interface system
JP4747747B2 (ja) * 2005-09-08 2011-08-17 ソニー株式会社 入力装置、そ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US9195329B2 (en) * 2007-05-04 2015-11-24 Blackberry Limited Touch-sensitive device
US8988359B2 (en) * 2007-06-19 2015-03-24 Nokia Corporation Moving buttons
KR100904960B1 (ko) * 2007-11-09 2009-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4300A (ko) * 2012-03-13 2013-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9313B1 (ko) 2012-01-31
US20110254780A1 (en) 2011-10-20
US8416208B2 (en) 2013-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9313B1 (ko)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US11394815B2 (en) Electronic devices with convex displays
JP7335927B2 (ja)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を伴う電子装置
KR102063722B1 (ko) 디스플레이 및 터치 센서 구조체들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들
US9110320B2 (en) Display with bent inactive edge regions
WO2014141893A1 (ja) 電子機器
US8803830B2 (en) Touch panel with conductive layers formed of parallel strips
CN106155403B (zh) 触控元件
WO2016015384A1 (zh) 触控显示面板及显示装置
JP2010009456A (ja) 静電容量型タッチパネル
CN109151122B (zh) 显示屏组件、电子设备及显示屏组件的组装方法
US20150346863A1 (en) Touch panel and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panel
KR20120115935A (ko) 터치 패널 및 이것을 구비한 휴대 단말장치
KR101929812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76298A (ko) 터치 입력 장치
KR101084865B1 (ko) 터치스크린장치
CN110286800A (zh) 指纹显示面板以及电子装置
CN110769099B (zh) 电子设备
KR101822938B1 (ko) 이동 단말기
CN110557704A (zh) 受话器、受话器组件及电子设备
CN108922407B (zh) 显示屏及显示装置
KR10201822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0007797B (zh) 柔性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1007978B (zh) 电子设备
KR101084809B1 (ko) 터치스크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