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5018A - 차량용 벌브 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용 벌브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5018A
KR20110115018A KR1020100034464A KR20100034464A KR20110115018A KR 20110115018 A KR20110115018 A KR 20110115018A KR 1020100034464 A KR1020100034464 A KR 1020100034464A KR 20100034464 A KR20100034464 A KR 20100034464A KR 20110115018 A KR20110115018 A KR 20110115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bulb
reflector
flange
bulb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4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겸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4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5018A/ko
Publication of KR20110115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50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S41/192Details of lamp holders, terminals or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9Attach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9Attach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벌브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리플렉터에 형성되는 슬리브, 이 슬리브에 형성되는 홀더, 이 홀더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 벌브캡의 일측으로 가장자리가 유격되게 형성되고 슬리브 내측으로 삽입되는 플랜지, 및 이 플랜지의 가장자리에 함몰되어 결합돌기가 삽입된 후 내측에 걸리게 함으로써 리플렉터와 벌브캡을 구속 안내하는 결합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벌브캡을 리플렉터에 일부 삽입 후 회전시킴으로써 상호 결속함에 따라 좁은 공간에서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리플렉터에 고정된 벌브캡을 탄성적으로 지지함에 따라 벌브캡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벌브 조립체{BULB ASSEMBLY OF CAR}
본 발명은 차량용 벌브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벌브캡을 리플렉터에 일부 삽입 후 회전시킴으로써 상호 결속함에 따라 좁은 공간에서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리플렉터에 고정된 벌브캡을 탄성적으로 지지함에 따라 벌브캡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벌브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면에는 헤드램프가 설치되어 야간에 주행을 하게 되는 경우에는 주간에 비해서 가시 거리가 상당히 짧아지는 이유로 차량의 전면 양측으로 설치된 헤드램프를 켜고 주행하게 된다.
특히, 차량의 헤드램프 벌브를 교체하고자 하는 때에는 후드를 손으로 열고 엔진룸 안쪽에 있는 헤드램프 커버를 분리시킨 다음 그 뒤쪽 공간으로 손을 넣은 다음 스프링과 브라켓커버를 열고 나서 벌브를 커넥터로부터 탈거한 후에 새로운 벌브를 끼워 넣고,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브라켓커버를 닫는다.
기존 차량의 벌브는 교체를 위해 스프링과 브라켓커버를 젖히게 되어 있는데, 엔진룸의 공간이 협소하여 스프링과 브라켓커버의 젖힘이 어렵기 때문에 벌브의 교체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리플렉터에 홀더를 결합 후 이 홀더의 일부를 벌브캡의 플랜지에 회전시켜 결합함으로써 간단한 상호 결합을 통해 좁은 공간에서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차량용 벌브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벌브캡을 리플렉터에 일부 삽입하여 회전시킴으로써 결합시 홀더에 픽싱브라켓을 탄성적으로 끼워 벌브캡의 임의적 회전에 따른 분리나 흔들림을 방지하고자 하는 차량용 벌브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벌브 조립체는: 리플렉터, 상기 리플렉터에 형성되고 벌브를 구비한 벌브캡, 및 상기 벌브캡을 상기 리플렉터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리플렉터에 형성되는 슬리브, 상기 슬리브에 형성되는 홀더, 상기 홀더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 상기 벌브캡의 일측으로 가장자리가 유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 내측으로 삽입되는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의 가장자리에 함몰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된 후 내측에 걸리게 함으로써 상기 리플렉터와 상기 벌브캡을 구속 안내하는 결합홈부를 포함한다.
상기 홀더는, 상기 슬리브에 지지되게 형성되는 고정바디, 상기 슬리브의 테두리에 접하도록 상측에 형성되는 리브, 및 상기 고정바디의 하측 내부에 탄성적으로 연장되어 상기 슬리브의 외측 하부에 걸려 상기 고정바디를 고정하는 탄성후크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바디는 상기 슬리브의 내측으로 삽입되게 탄성적으로 탄성바디를 연장하고, 상기 슬리브는 내측에 가이드홀부를 함몰하며, 상기 플랜지는 테두리에 끼움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끼움홈부는 상기 벌브캡의 회전시 상기 탄성바디에 탄성적으로 끼움됨으로써 상기 벌브캡의 임의적 분리를 방지하는 픽싱브라켓을 안착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픽싱브라켓은, 상기 가이드홀부에 수용되어 왕복 이동되는 이송바디, 상기 이송바디에서 연장되어 상기 끼움홈부에 수용되어 상기 벌브캡과 동일 궤적을 따라 이동 안내되도록 구속되는 구속바디, 및 상기 구속바디에서 연장되어 상기 이송바디와 상기 구속바디의 이동시 상기 탄성바디의 내측에 탄성적으로 수용되는 탄성수용바디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바디는 상기 가이드홀부에 끼워진 상기 픽싱브라켓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기 위해 걸림돌부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리브는 상기 플랜지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기 위해 지지턱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벌브 조립체는 종래 기술과 달리 리플렉터에 홀더를 결합 후 이 홀더의 일부를 벌브캡의 플랜지에 회전시켜 결합함으로써 간단한 상호 결합을 통해 좁은 공간에서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벌브캡을 리플렉터에 일부 삽입하여 회전시킴으로써 결합시 홀더에 픽싱브라켓을 탄성적으로 끼워 벌브캡의 임의적 회전에 따른 분리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벌브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벌브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벌브 조립체를 다른 각도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벌브 조립체의 리플렉터 조립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벌브 조립체의 리플렉터 저면 조립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벌브 조립체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벌브 조립체의 조립 과정을 보이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벌브 조립체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벌브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벌브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벌브 조립체를 다른 각도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벌브 조립체의 리플렉터 조립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벌브 조립체의 리플렉터 저면 조립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벌브 조립체의 요부 확대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벌브 조립체의 조립 과정을 보이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벌브 조립체는 리플렉터(10), 벌브캡(20) 및 결합부(100)를 포함한다.
리플렉터(10)는 벌브(22)의 둘레를 에워싸도록 형성되어 빛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벌브(22)는 외부 전원 공급시 빛을 발하게 된다.
이때, 리플렉터(10)는 후측에서 전측 방향으로 벌브(22)를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공(12)을 형성한다.
물론, 리플렉터(1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벌브캡(20)은 리플렉터(10)에 형성되고, 벌브(22)를 구비한다.
더욱 상세히, 벌브캡(20)은 전측에 벌브(22)를 형성하여 이 벌브(22)를 리플렉터(10)의 삽입공(12)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된다.
아울러, 벌브캡(20)은 다양한 방식에 의해 벌브(22)를 고정한다.
물론, 벌브캡(20)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변경 가능하다.
특히, 벌브캡(20)은 간단한 방식으로 리플렉터(10)의 후측에 구속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벌브캡(20)은 결합부(100)에 의해 리플렉터(10)의 후측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결합부(100)는 슬리브(110), 홀더(120), 결합돌기(130), 플랜지(140) 및 결합홈부(150)를 포함한다.
슬리브(110)는 리플렉터(10)의 후측에 형성되어 홀더(120)를 지지하고, 벌브캡(20)의 일부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슬리브(110)는 평면상 원형 궤적 또는 다각형 궤적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편의상, 원형 궤적을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아울러, 슬리브(110)는 임의의 궤적을 따라 비연속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연속되게 형성되어 수용되는 벌브캡(20)의 일부를 보호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슬리브(110)는 삽입공(12)을 기준으로 일정한 거리를 따라 리플렉터(10)의 후측에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슬리브(110)의 높이나 두께는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홀더(120)는 슬리브(110)에 형성되어 벌브캡(20)을 리플렉터(10)에 결속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홀더(120)는 슬리브(110)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홀더(120)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홀더(120)는 슬리브(110)에 용이하게 장착되고, 견고하게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도 4 및 도 5에서처럼, 홀더(120)는 고정바디(122), 리브(124) 및 탄성후크(126)를 포함한다.
고정바디(122)는 슬리브(110)에 지지되게 형성된다. 즉, 고정바디(122)는 슬리브(110)의 외측 둘레면을 따라 접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리브(124)는 고정바디(122)의 상측 테두리에 형성되어 슬리브(110)의 상측 테두리에 접하게 형성된다.
또한, 탄성후크(126)는 고정바디(122)의 하측 내부에 탄성적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리브(124)가 슬리브(110)의 상측에 걸리고 나서, 고정바디(122)가 슬리브(110)의 외측면에 접하며 지지되고, 탄성후크(126)는 슬리브(110)의 하측 하부에 탄성적으로 걸리게 된다.
결과적으로, 홀더(120)는 슬리브(110)의 외측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탄성후크(126)는 슬리브(110)의 다양한 위치에 탄성적으로 벌어지며 걸리게 됨에 따라, 슬리브(11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특히, 고정바디(122)가 비교적 넓게 형성되는 이유는 리브(124)와 탄성후크(126)를 다수 개로 형성하거나 크기를 증가시켜 슬리브(110)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결합부(100)의 구성으로서 결합돌기(130)는 홀더(120)에 형성된다.
더욱 상세히, 도 6에서처럼, 결합돌기(130)는 홀더(120)의 상측 특히 리브(124)에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플랜지(140)는 벌브캡(20)의 전측에 형성된다.
이때, 플랜지(140)는 벌브캡(20)과 중심끼리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플랜지(140)는 벌브캡(20)의 일측으로 가장자리가 유격되게 형성된다.
아울러, 플랜지(140)는 슬리브(110) 내측으로 삽입되어 홀더(120)와 결속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플랜지(14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벌브캡(20)에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홈부(150)는 플랜지(140)의 가장자리에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홈부(150)는 결합돌기(130)를 삽입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결합돌기(130)는 결합홈부(150)를 통해 플랜지(140)와 벌브캡(2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 후, 작업자가 벌브캡(20)을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결합돌기(130)는 결합홈부(150)와 일직선상에 위치하지 않게 되어 플랜지(140) 하측에 접하여 걸리게 된다.
이로 인해, 벌브캡(20)은 리플렉터(10)에 구속되어 임의적으로 분리되지 않게 된다.
물론, 작업자는 벌브캡(20)을 타측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결합돌기(130)는 결합홈부(150)와 일직선상에 위치한 상태가 되고, 이로 인해, 결합돌기(130)는 결합홈부(150)로부터 이탈 가능하게 된다.
한편, 결합돌기(130)는 플랜지(140)의 후측에 접한 상태에서 벌브캡(20)과 함께 임의적으로 회전되지 않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고정바디(122)는 탄성바디(123)를 연장 형성한다.
즉, 탄성바디(123)는 일측이 고정바디(122)에서 연장 형성되고, 타측이 자유단으로 형성된다.
특히, 탄성바디(123)는 슬리브(1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연장된다.
그래서, 슬리브(110)는 탄성바디(123)를 삽입하기 위해 연통홀(125)을 통공한다.
아울러, 슬리브(110)는 내측에 가이드홀부(210)를 형성한다.
이때, 가이드홀부(210)는 홀더(120)의 고정바디(122)에 대응되는 슬리브(110)의 둘레면에 내외측 연통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픽싱브라켓(200)은 가이드홀부(210)에 삽입되어 고정바디(122)에 지지됨에 따라 슬리브(110)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고, 가이드홀부(210)를 따라 이동된다.
또한, 끼움홈부(220)는 플랜지(140)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픽싱브라켓(200)의 다른 일부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픽싱브라켓(200)은 슬리브(110)의 가이드홀부(210) 내측에 장착되고, 슬리브(110) 내부로 삽입되는 플랜지(140)의 끼움홈부(220)에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벌브캡(2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픽싱브라켓(200)은 플랜지(140)에 구속된 채 동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탄성바디(123)와 슬리브(110) 사이에 탄성적으로 끼워지게 된다.
특히, 픽싱브라켓(200)은 이송바디(202), 구속바디(204) 및 탄성수용바디(206)를 포함한다.
이송바디(202)는 가이드홀부(210)에 수용되어 플랜지(140)의 회전시 가이드홀부(210)를 따라 이송 안내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구속바디(204)는 이송바디(202)에서 연장되어 플랜지(140)의 끼움홈부(220)에 끼워짐으로써 플랜지(140)에 직접적으로 구속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구속바디(204)는 벌브캡(20)과 동일 궤적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또한, 탄성수용바디(206)는 구속바디(204)에서 연장 형성된다.
아울러, 탄성수용바디(206)는 이송바디(202)와 구속바디(204)의 이동시 탄성바디(123)의 내측 즉, 탄성바디(123)와 슬리브(110) 사이에 탄성적으로 수용되거나 이탈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이송바디(202), 구속바디(204) 및 탄성수용바디(206)는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여기서, 탄성바디(123)는 탄성수용바디(206)의 임의적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굴곡지게 형성되는 등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탄성바디(123)는 탄성수용바디(206)를 내측에 단계적으로 수용함으로써 탄성수용바디(206)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연속되는 굴곡부(127)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픽싱브라켓(200)이 회전되면서, 탄성수용바디(206)가 탄성바디(123)를 슬리브(110)의 내측으로 밀게됨에 따라, 홀더(120)는 슬리브(110)를 플랜지(140) 방향으로 당기게 된다.
그래서, 벌브캡(20)은 슬리브(110)에 삽입된 상태로 임의적으로 회전되지 않게 되고, 흔들리지 않게 된다.
또한, 고정바디(122)는 가이드홀부(210)에 끼워진 픽싱브라켓(20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기 위해 걸림돌부(232)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히, 가이드홀부(210)는 양측으로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픽싱브라켓(200)은 양측으로 노출되도록 가이드홀부(210)에 장착된다.
그리고, 픽싱브라켓(200)의 이송바디(202)는 홀더(120)의 고정바디(122) 내측에 지지된다.
아울러, 픽싱브라켓(200)의 이송바디(202)는 플랜지(140)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 고정바디(122)는 내측에 걸림돌부(232)를 형성함으로써 이송바디(202)의 이송 거리를 제한하게 된다.
물론, 걸림돌부(23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고정바디(122)에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슬리브(110)는 플랜지(140)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기 위해 지지턱(234)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슬리브(110)는 내측면에 지지턱(234)을 돌출 형성한다. 이 지지턱(234)은 슬리브(11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플랜지(140)의 상측과 접하게 된다.
그래서, 지지턱(234)은 플랜지(140)의 삽입 정도를 제한하며, 플랜지(14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결과적으로, 도 7에서처럼, 사용자는 벌브캡(20)의 플랜지(140)를 리플렉터(10)의 슬리브(110) 내측으로 삽입한다.
그러면, 홀더(120)의 결합돌기(130)는 플랜지(140)의 결합홈부(150)를 통해 플랜지(140)와 벌브캡(20)의 하측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벌브캡(20)을 돌리게 되면, 결합돌기(130)는 플랜지(140)의 하측면에 접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픽싱브라켓(200)은 플랜지(140)의 끼움홈부(220)에 구속된 채 가이드홀부(210)를 따라 일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탄성수용바디(206)는 탄성바디(123)와 슬리브(110) 사이에 탄성적으로 끼이게 된다.
그래서, 벌브캡(20)은 임의적으로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리플렉터(10)와 자연적으로 분리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탄성수용바디(206)가 탄성바디(123) 내측에 탄성적으로 수용됨에 따라 벌브캡(20)은 견고하게 고정되어 흔들리지 않게 된다.
물론, 벌브캡(20)이 리플렉터(10)로부터 분리되기 위해서는 상술한 과정을 반대방향으로 작업하면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리플렉터 20: 벌브캡
100: 결합부 110: 슬리브
120: 홀더 122: 고정바디
123: 탄성바디 124: 리브
125: 연통홀 126: 탄성후크
130: 결합돌기 140: 플랜지
150: 결합홈부 200: 픽싱브라켓
202: 이송바디 204: 구속바디
206: 탄성수용바디 210: 가이드홀부
220: 끼움홈부

Claims (6)

  1. 리플렉터;
    상기 리플렉터에 형성되고, 벌브를 구비한 벌브캡; 및
    상기 벌브캡을 상기 리플렉터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리플렉터에 형성되는 슬리브;
    상기 슬리브에 형성되는 홀더;
    상기 홀더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
    상기 벌브캡의 일측으로 가장자리가 유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 내측으로 삽입되는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의 가장자리에 함몰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된 후 내측에 걸리게 함으로써 상기 리플렉터와 상기 벌브캡을 구속 안내하는 결합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벌브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슬리브에 지지되게 형성되는 고정바디;
    상기 슬리브의 테두리에 접하도록 상측에 형성되는 리브; 및
    상기 고정바디의 하측 내부에 탄성적으로 연장되어 상기 슬리브의 외측 하부에 걸려 상기 고정바디를 고정하는 탄성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벌브 조립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디는 상기 슬리브의 내측으로 삽입되게 탄성적으로 탄성바디를 연장하고;
    상기 슬리브는 내측에 가이드홀부를 함몰하며;
    상기 플랜지는 테두리에 끼움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끼움홈부는 상기 벌브캡의 회전시 상기 탄성바디에 탄성적으로 끼움됨으로써 상기 벌브캡의 임의적 분리를 방지하는 픽싱브라켓을 안착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벌브 조립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픽싱브라켓은,
    상기 가이드홀부에 수용되어 왕복 이동되는 이송바디;
    상기 이송바디에서 연장되어 상기 끼움홈부에 수용되어 상기 벌브캡과 동일 궤적을 따라 이동 안내되도록 구속되는 구속바디; 및
    상기 구속바디에서 연장되어 상기 이송바디와 상기 구속바디의 이동시 상기 탄성바디의 내측에 탄성적으로 수용되는 탄성수용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벌브 조립체.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디는 상기 가이드홀부에 끼워진 상기 픽싱브라켓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기 위해 걸림돌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벌브 조립체.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플랜지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기 위해 지지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벌브 조립체.
KR1020100034464A 2010-04-14 2010-04-14 차량용 벌브 조립체 KR201101150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464A KR20110115018A (ko) 2010-04-14 2010-04-14 차량용 벌브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464A KR20110115018A (ko) 2010-04-14 2010-04-14 차량용 벌브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018A true KR20110115018A (ko) 2011-10-20

Family

ID=45029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4464A KR20110115018A (ko) 2010-04-14 2010-04-14 차량용 벌브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501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76375A (zh) * 2015-04-20 2015-07-15 北京长安汽车工程技术研究有限责任公司 汽车及汽车灯具灯泡安装结构
US11396988B2 (en) * 2020-11-16 2022-07-26 Morimoto Lighting, LLC Vehicle LED lamp having a bulb base tensioning spr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76375A (zh) * 2015-04-20 2015-07-15 北京长安汽车工程技术研究有限责任公司 汽车及汽车灯具灯泡安装结构
US11396988B2 (en) * 2020-11-16 2022-07-26 Morimoto Lighting, LLC Vehicle LED lamp having a bulb base tensioning spr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39659B (zh) 致动器
US8251559B2 (en) Projector type vehicle light
US8562062B2 (en) Mechanism to secure cover for opening in bumper
EP2181889B1 (en) Vehicle headlight
US10386566B2 (en) Vehicle cup-holder with illuminating light guide
US8096687B2 (en) Vehicle headlight
JP5645284B1 (ja) ワイパーアーム
JP2011518413A (ja) 車両のための照明装置
KR20110115018A (ko) 차량용 벌브 조립체
KR102103599B1 (ko) 차량용 컵홀더 장치
JP6182345B2 (ja) 車両用ドアミラー
US9261253B2 (en) Vehicle headlamp and projection lens mounting method
CN105365948B (zh) 框架盖结构
KR101722171B1 (ko) 차량용 포인터
CN208735550U (zh) 车辆用灯具
JP6097996B2 (ja) 車両用ドアミラー
JP2011187397A (ja) 車両用灯具のワイヤーハーネス保持構造
JP5859893B2 (ja) 光学ユニット
WO2016080836A1 (en) Light bulb retaining device for a vehicular lamp reflector unit
JP2010009803A (ja) 車輌用前照灯
JP4738433B2 (ja) 車両用前照灯の光源取り付け構造
JP5984596B2 (ja) ソケット及び照明器具
KR20140022605A (ko) 차량용 램프
KR200475265Y1 (ko) 벌브홀더
JP5859892B2 (ja) 光学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