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4576A - 면도기 카트리지 및 이러한 면도기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기계식 면도기 - Google Patents

면도기 카트리지 및 이러한 면도기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기계식 면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4576A
KR20110114576A KR1020117016449A KR20117016449A KR20110114576A KR 20110114576 A KR20110114576 A KR 20110114576A KR 1020117016449 A KR1020117016449 A KR 1020117016449A KR 20117016449 A KR20117016449 A KR 20117016449A KR 20110114576 A KR20110114576 A KR 20110114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support
razor
strip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6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4791B1 (ko
Inventor
스피로스 그라치아스
이오안니스 보지키스
바실레이오스 느타보스
Original Assignee
빅-비올렉스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빅-비올렉스 에스아 filed Critical 빅-비올렉스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110114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4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08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changeable blades
    • B26B21/14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 B26B21/2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08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changeable blades
    • B26B21/14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 B26B21/2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 B26B21/22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with the blades moulded into, or attached to, a changeable unit
    • B26B21/227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with the blades moulded into, or attached to, a changeable unit with blades being resiliently mounted in the changeable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2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 B21B1/3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non-continuous process
    • B21B1/3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non-continuous process in reversing single stand mills, e.g. with intermediate storage reels for accumulating work
    • B21B1/36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non-continuous process in reversing single stand mills, e.g. with intermediate storage reels for accumulating work by cold-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6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cutlery wares; garden tools or the like
    • B21D53/64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cutlery wares; garden tools or the like knives; scissors; cutting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08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changeable blades
    • B26B21/14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68Mounting devices; Manufacture of razors or cartridges
    • B26B21/4075Moun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54Razor-blades
    • B26B21/56Razor-bla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54Razor-blades
    • B26B21/56Razor-bla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B26B21/565Bent razor blades; Razor blades with bent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Knives (AREA)
  • Nonmetal Cutting Device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면도기 카트리지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에 의해 수용되고 평행한 제1면(48)과 제2면(49)을 구비하는 한 개의 지지체(134)로서, 하부(135), 상부(139) 및 상부와 하부의 중간에 있는 절곡부(136)를 포함하는 지지체와, 절단 날(126)과 지지체의 상부의 제2면 상에 고정된 고정부(128)를 포함하는 면도기 블레이드(125)를 포함하되, 지지체의 제2면이 적어도 절곡부에서 연장되는 리세스(179)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면도기 카트리지 및 이러한 면도기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기계식 면도기{RAZOR CARTRIDGE AND MECHANICAL RAZOR COMPRIZING SUCH A CARTRIDGE}
본 발명은 면도기 카트리지 및 이러한 면도기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기계식 면도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다음의 것들을 포함하는 면도기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 하우징.
- 상기 하우징에 의해 수용되고 평행한 제1면과 제2면을 구비하는 적어도 한 개의 지지체로서, 하부, 상부 및 하부와 상부의 중간에 있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지지체.
- 절단 날과 지지체의 상부의 제2면 상에 고정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면도기 블레이드.
국제 특허 공개 공보 WO 2007/147,420호에 만족스러운 것으로 판명된 이러한 면도기 헤드가 이미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면도기의 성능을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은 여전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면도기 헤드에 있어서, 지지체의 제2면이 적어도 절곡부에서 연장되는 리세스(179)를 구비한다.
이러한 특징들을 갖춤으로써, 헤드의 전체 부피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면도기 블레이드를 수용하는 지지체의 상부를 늘리는 것이 가능하다.
어떤 실시예들에서는, 종속 청구항들에서 한정된 하나 이상의 특징을 사용할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 블레이드를 지지체 상에 더 잘 고정시킬 수 있음.
- 지지체의 굽힘 강성이 개선됨.
- 다중 블레이드 면도기 헤드들 용의 제품들 중에서, 또는 제품의 내부에서도 블레이드의 위치가 흩어지는 것이 줄어들고 이에 따라 면도 정밀도가 향상됨.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과 장점은, 비제한적인 예로서 제시되는 실시예들 중 일부 및 첨부 도면에 대한 아래의 설명을 읽음으로써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부품의 제조 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3의 II-II선을 따라 취한, 도 1의 장치의 홈 형성 스테이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단면도이다.
도 3은 교정 스테이션(straightening station)의 스트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장치의 노칭 스테이션(notching station)을 상세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선을 따라 취한, 노칭 장치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장치의 절곡 스테이션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VII-VII선을 따라 취한, 절곡 스테이션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절곡 스테이션의 도 7의 VIII에 의해 지시된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장치의 이송 스테이션(displacement station)과 분리 스테이션을 상세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XI-XI선을 따라 부분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다른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5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XIV-XIV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의 장치의 조립 스테이션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의 장치의 접합 스테이션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의 장치의 절단 스테이션(breaking station) 및 적층 스테이션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전달 스테이션(delivery station)으로부터 배출되는 스트립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홈 형성 스테이션에서 배출되는 스트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노칭 스테이션에서 배출되는 스트립을 도 21의 XX-XX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노칭 스테이션에서 배출되는 스트립의 일부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2는 절곡 스테이션의 스트립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분리 스테이션에서 배출되는 지지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5는 접합 스테이션에서 블레이드가 블레이드 지지부에 대해 조립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6은 절단 스테이션에서 배출되는 블레이드 및 블레이드 지지체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7은 블레이드 및 지지체 조립체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지지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9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지지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0은 면도기 헤드의 일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여러 도면들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들을 지시한다.
도 1에는 블레이드와 블레이드 지지체의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장치(1)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는, 블레이드 지지체 소재를 위한, 도 1에서 직선과 점선으로 표시된 경로(2), 구체적으로는 선형 경로, 더 구체적으로는 직선형 경로를 따라 배치된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다수의 스테이션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장치(1)는 블레이드 지지체 소재의 가늘고 긴 스트립을 전달하는 전달 스테이션(3) 및 경로(2)를 따라 배치된 다음의 순서대로 배치된 다음과 같은 스테이션들을 포함한다.
-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는 고전적이고, 전달 스테이션에 의한 스트립 소재의 전달 속도를 제어하는 데 사용되고, 아래에서는 더 이상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을 루프 제어 스테이션(4).
- 스트립에 종방향 홈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도 2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홈 형성 스테이션(5).
-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는 고전적이고, 예를 들어 지지체 스트립의 높이와 평행하게 이어지는 평행한 회전축을 갖고, 이 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그리고 스트립의 이동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스트립의 이동 방향을 따라 스트립을 교정하도록 스트립의 면들과 접촉되어 회전되는 2열의 롤러들을 포함하는 스트립 교정 스테이션(6).
- 스트립에 노칭을 행하도록 구성된 노칭 스테이션(도 3과 도 4 참조).
- 스트립을 절곡시키도록 구성된 절곡 스테이션(도 5와 도 6 참조).
- 스트립을 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1 이송 포스트(9a)(도 8 참조)와 개별 지지체들을 경로를 따라 이송시키도록 구성된 제2 이송 포스트(9b)(도 10 참조)를 포함하는 이송 스테이션(도 7 참조).
- 스트립으로부터 개별 지지체들을 분리하도록 구성되고 제1 및 제2 이송 포스트(9a, 9b) 사이에 위치된 분리 스테이션(10)(도 7 참조).
- 지지체에 대응하게 블레이드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블레이드 전달 스테이션(11)(도 11 참조).
- 블레이드를 블레이드 지지체에 조립하도록 구성된 블레이드 조립 스테이션(12)(도 12와 도 13 참조).
- 블레이드와 블레이드 지지체를 함께 단단하게 접합시키도록 구성된 블레이드 대 블레이드 지지체 접합 스테이션(13)(도 14 참조).
- 블레이드의 일부분을 절단하도록 구성된 절단 스테이션(14)(도 15 참조).
- 조립체들의 적층체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조립체 적층 스테이션(15)(도 15 참조).
스테이션들 중 대부분은 보드(16) 상에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각각의 액츄에이터(5', 7', 9a', 10', 9b', 12', 14' 15')에 의해 작동된다. 예들 들어, 스테이션들의 동기화는 모든 이들 액츄에이터들을 서보 모터(18)에 의해 구동되는 공통의 회전 샤프트(17)에 연결하는 것에 의해 보장된다.
또한,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검사 장치(예를 들어 광학 센서 등)들이 특정 스테이션에서의 제조 공정을 제어하도록 스테이션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한 제어기들은 역시 모터(19)의 작동을 제어하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 컴퓨터 등과 같은, 원격 감시 스테이션(19)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접합 스테이션과 같은 일부 스테이션들은 샤프트(17)에 의해 직접 제어될 필요는 없지만, 감시 스테이션(19)에 의해 직접 제어될 수 있다.
전달 스테이션(3)은 예를 들어 회전축(Y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면도기 블레이드 헤드용 블레이드 지지체가 될 소재의 스트립을 전달하는 릴(reel)을 포함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34)은 금속, 특히 스테인레스 강과 같은 강성 소재로 된 길고 평평하고 얇은 부재이다. 스트립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조성(질량 퍼센트)을 갖는 모재(base material)를 냉간 압연하고, 어닐링하고 그리고 적절한 폭으로 슬릿팅(slitted)함으로써 얻어졌다.
C= [0.07; 0.15]
Cr= [17.5; 19.5]
Mn= [5.0; 7.5]
Ni= [6.5; 8.5]
N= [0.20; 0.30]
Si= [0.50; 1.00]
P= [0 ; 0.030]
S= [0; 0.015]
이러한 소재는 약 200HvlKgf 내지 500HvlKgf의 경도와 약 760N/mm2 내지 960N/mm2의 인장 강도를 갖는다. 소재가 기하학적 형상을 갖게 될 때, 그 두께(t)(도 27 참조)는 약 0.27mm(예를 들어 0.22mm 내지 0.32mm, 바람직하게는 0.275mm 내지 0.285mm)이고, 그 높이(h)는 약 2.58mm(예를 들어 2.53mm 내지 2.63mm)이다.
이하, 스트립의 기하학적 구조를 설명하는 데 기준계(X, Y, Z)가 사용된다. X는 스트립의 길이(긴 방향)를 나타내고, Y는 스트립이 가장 작은 방향(두께 방향)을 가리키고, Z는 높이라는 스트립의 제3 방향에 대응된다. 기준계(X, Y, Z)는 스트립에 부착되는 국부 기준계이고, 예를 들어 스트립이 예를 들어 두 스테이션들 사이의 공간(room)에서 회전되면 전역 공간 기준계(global room frame of reference)(미도시)로 전환될 수 있다.
평평하고 얇은 소재로서, 스트립은 상부(39), 하부(35) 및 상부(39)와 하부(35) 사이의 중간부(36)에서 그 높이(방향(Z))를 따라 임의로 분할될 수 있다. 상부(39)는 상측부(46)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하부(35)는 저측부(47)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다. 스트립(34)은 방향(Y)에 대해 대향하는 두 개의 대향 면(48, 49)을 구비하고, 이 대향 면들은 예를 들어 공정의 이 단계에서는 구별되지 않는다.
스트립(34)은 릴의 연속 회전에 의해 그리고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제1 이송 포스트(9a)의 단계적 이동에 의해 전달 스테이션(3) 밖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스트립은 릴(3)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루프 제어 스테이션(4)을 통과한다. 그런 다음, 스트립(34)은 도 2와 도 3에 상세하게 도시된 홈 형성 스테이션(5)을 통과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형성 스테이션(5)에서 스트립(34)은, 스트립의 중간부(36)에 배치되고 축(Z)과 평행한 회전축(Z20, Z21)들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제어되는 홈 형성 롤러(20)와 카운터 롤러(counter roller)(21) 사이에서 종방향(X)을 따라 이동된다. 외면(22)이 스트립의 면(49)을 변형시키지 않으면서 면 상에 단순히 지탱되는 반면, 홈 형성 롤러(20)의 외면(23)은 중간부에 있는 스트립(34)의 면(48)에 홈(50)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홈(50)은 예를 들어 소재를 프레스하는 것에 의해 스트립(34)에 지속적으로 그리고 계속해서 형성된다. 홈은 예를 들어 평면(X-Y)에 대해 대칭인 각진 면(501, 502)들을 갖는 삼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다른 기하학적 구조들도 가능하다. 소재의 슬리팅은 또 다른 선택적인 홈 형성 방법이다.
홈 형성 스테이션(5)으로부터 배출되는 스트립의 기하학적 구조가 도 19에 평면(Y-Z) 상의 단면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액츄에이터(5')는 홈 형성 스테이션(5)의 움직임, 특히 롤러(20)의 축(Z20)을 중심으로 한 회전을 제어한다.
그런 다음 스트립은 경로(2)를 따라 앞에서 설명한 교정 스테이션(6)으로 이동된 다음, 도 4에 도시된 노칭 스테이션(7)으로 이동된다. 액츄에이터(7')는 노칭 장치(24)가 스트립(34)을 통해 정해진 리듬으로 노치를 생성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 리듬은 장래의 개별 블레이드 지지체(134)가 스트립의 두 개의 연속된 노치(51)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선택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칭 장치(24)는 스트립의 면(48, 49)들 중 한 면(예를 들어 면(48))과 마주보는 단부(25')를 갖는 원통형 좌부(25)와 액츄에이터(7')에 의해 작동되는 전후 이동으로 방향(Y7)을 따라 좌부(25)에 대해 활주 가능한 피스톤(26)을 포함할 것이다. 피스톤(26)은 노칭 헤드(26')에 노칭부(27)를 포함하는데, 이 노칭부는 노칭부가 위치되는 스트립(34)을 천공하도록 구성된다. 도 20과 도 21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노치(51)는 두 면(48, 49) 사이에서 스트립(34)의 두께부를 통과하여 연장된다. 노치는 상측부(46)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지만 저측부(47)까지 도달하지는 않는다. 또한, 노치(51)는 상측부(46)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짧은 상측부(52)와 축(X)을 따라서 짧은 부분(52)보다 길고 짧은 상측부(52)로부터 하방으로 스트립(34)의 중간부(36)까지 연장되는 긴 저측부(53)를 포함할 것이다.
그런 다음, 스트립은 도 6 내지 도 8에 상세하게 도시된 절곡 스테이션(8)으로 이동된다. 절곡 스테이션(8)은 스트립(34)의 하부(35)를 수용하는 슬롯(29)(도 8 참조)을 포함하는 고정 수용부(28)를 포함한다. 스트립의 중간부(36)와 상부(39)는 슬롯(29) 외부로 돌출된다.
절곡 스테이션(8)은 액츄에이터(8') 상에 회전축(X8)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절곡 공구(30)를 더 포함한다. 액츄에이터(8')는 절곡 공구(30)를 중립 위치(미도시)와 도 7에 도시된 절곡 위치 사이에서 회전축(X8)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도록 축(X8')을 중심으로 지지부(79)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절곡 공구(30)의 축(X) 방향(도 7의 평면에 대해 횡방향) 길이는 대략 이격된 두 노치(51) 간의 간격이다. 절곡 공구(30)는 두 개의 연속된 노치(51) 사이에서 축(X)을 중심으로 스트립을 절곡하도록 스트립(34)을 누르는 절곡면(31)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절곡이 홈(50)을 구비한 스트립의 면(48)이 스트립의 내면이 되고 외면(49)이 외면이 되도록 행해진다. 그러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는, 절곡이 홈(50)이 스트립의 외면에 있도록 행해질 수 있다. 절곡은 주로 스트립(34)의 중간부(36)에서 행해지고, 이에 따라 하부(35)가 실질적으로 평평한 상태로 남게 되고 상부(39)도 역시 실질적으로 평평한 상태로 남게 되고 하부에 대해 약 60도 내지 76도(약 68도)의 각도로 각이 지게 된다. 절곡에 의해 형성된 스트립의 부분이 도 2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2에는 스트립(34)의 일 부분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부분은 축(X)을 따라 종방향으로 세 개의 부분으로 분할될 수 있다. 부분적으로만 도시된 좌측부(341)는 아직 절곡 스테이션으로 진입하지 않은 장래의 블레이드 지지체에 해당된다. 중앙부(342)는, 절곡 스테이션의 절곡 작용을 받은 직후의, 절곡 스테이션에 위치된 장래의 개별 블레이드 지지체이다. 우측부(343)는 절곡 스테이션에서 최근에 배출된 장래의 개별 블레이드 지지체이다.
변형 실시예에서는, 절곡 공구(30)가 수용부(28)에 대해 전후로 병진 이동될 수 있다.
또 다른 기준계가 절곡 스테이션 이후의 장치의 기하학적 구조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종방향(X)은 위와 동일하게 유지된다. 방향(U) 또는 "깊이" 방향은 방향(X)으로 절곡된 스트립(34)의 상부(39)의 상면(73)을 규정한다. 방향(V)은 평면(X-U)에 대한 법선 방향이다. 따라서, 이 단계에서, 노치(51)도 역시 절곡되어, 노치(71)의 최하측부는 스트립의 하부(35)의 평면(X-Z)에 남아 있는 반면 부분(52)의 전체를 포함한 노치(51)의 최상측부는 상부(39)의 평면(X-U)에 위치된다. 종방향 홈(50)은 이 단계에서 거의 닫히게 되고, 두 각진 면(501, 502)은 절곡 후에 서로 마주보게 된다.
도 9에는 제1 이송 포스트(9a), 분리 스테이션(10) 및 제2 이송 포스트(9b)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1 이송 포스트(9a)는 홈(33)(도 11 참조)을 포함하는 홈 있는 기부(32a)를 포함하는데, 이 홈에 스트립의 하부(35)가 배치되고 홈은 축(X)을 따라 절곡 스테이션(도 8 참조)의 수용부(28)의 슬롯(29)과 정렬된다. 기부(32)는 고정되어 있는 수용 레일(38) 상에서 도 10의 화살표(37)로 표시된 전후 이동으로 축(9a)을 따라 이동된다. 또한, 기부(32)는 방향(Y)을 따라 연장되는 종방향 홀(40)들을 구비한다. 연결 장치(41a)는 종방향 몸체(42)와 기부(32a)의 각각의 홀(40)에서 각각 연장되는 두 개의 측부 암(43)(도 11 참조)을 포함한다. 이 암(43)들 각각은 그 단부에, 스트립의 절곡부의 노치(51)와, 특히 긴 저부(53)와 상보적인 형상의 단부 핀(44)을 구비한다. 연결 장치(41)는 기부(32a) 상에 방향(Y9a)을 따라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고, 단부 핀(안내 장치)(44)이 스트립의 노치(안내부)(51)에서 연장되고 이에 의해 기부(32a)와 스트립(34)을 함께 연결시키는 위치와 단부 핀(44)이 스트립의 노치(51)로부터 제거된 제2 위치 사이에서 액츄에이터에 의해 방향(Y9a)을 따라 전후 이동될 수 있다.
특히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45a)는, 예를 들어 축(W9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 암(9a')에 의해 작동되는, 화살표(55)로 도시된 방향(Y9a)을 따라 전후 이동을 행하도록 구성된 작동 암(54)을 포함한다. 작동 암은 대안적으로 암(43)의 단부가 노치(51)로 진입하도록 종방향 몸체(42)를 누르거나 또한 몸체를 풀어줄 것이다. 작동 암(54)은 방향(X)으로 충분히 길어서, 연결 장치(41a)가 이 장치의 방향(X9a)으로의 이송 행정 전체에 걸쳐 방향(Y)을 따라 필요한 이동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작동 시, 단부 핀(44)은 방향(Y9a)을 따라 스트립(34)의 두 개의 연속된 노치(51)로 이동될 것이다. 그런 다음, 기부(32)가 레일(38)을 따라 방향(X9a)으로 이동되고, 이에 의해 두 개의 연속된 노치 사이의 간격에 상응하는 한번의 행정으로 스트립을 방향(X9a)으로 운반할 것이다. 그러면, 연결 장치(41a)의 암(43)들은 스트립을 기부(32a)로부터 제거하도록 방향(Y9a)을 따라 반대로 이동될 것이고, 기부(32a)는 스트립(34)을 운반하지 않고 반대 방향으로 다시 원래 위치로 이동될 것이다.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은 분리 스테이션(10)으로 이동되는데, 이 분리 스테이션은 스트립의 하부(35)를 수용하는 홈(57)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을 포함하고 레일(38) 상에 고정적으로 장착된 홈이 형성된 기부(56)와, 필요할 때 스트립을 절단하도록 액츄에이터(10')에 의해 작동되는 절단 장치(58)를 포함한다. 스트립의 분리부(59)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치(51)의 저부의 중간부로부터 (방향(Z10)으로) 스트립의 저측부(47)까지 하방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지지체 사이의 점선에 의해 한정된다. 이에 따라 절단 장치(58)는 장치와 동기화되어, 분리부(59)를 절단하는 것에 의해 노치(51)에서 스트립(34)으로부터 개별 지지체(134)를 분리한다. 이러한 절단 작업에 의해 형성된 개별 지지체(134)가 도 24에 도시되어 있다.
도 24에는 개별 지지체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개별 절곡된 지지체(134)는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즉,
- 실질적으로 평평한 하부(135).
- 실질적으로 평평한 상부(139).
절곡된 지지체(134)의 하부(135)는 두 개의 측부(140)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각 측부는 분리 스테이션(10)에서 얻어진 측부 가장자리(141)를 포함한다.
상부는 노칭 스테이션에서 얻어진 측부 가장자리를 포함한다. 절곡된 지지체의 상부(139)는 두 개의 측방향 가장자리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데, 측방향 가장자리는 각각 상부(139)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둥근 모서리를 갖는 측방향 날개로 이루어진 둥근 돌기(142)를 포함한다.
또한, 둥근 압입부(indent)(143)가 둥근 돌기(142)를 하부의 측방향 가장자리(141)로부터 분리시킨다.
따라서 절곡된 지지체의 하부의 측부 가장자리(141)들은 둥근 돌기(142)들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된다.
이 단계에서, 분리 스테이션(10)에서 소재의 스트립(34)으로부터 분리된 개별 지지체(134)는, 제1 이송 포스트(9a)와 비슷한 도 9에 부분적으로 도시된 제2 이송 포스트(9b)(도 12 참조)에 의해 단독으로 처리된다. 따라서 제2 이송 포스트는 개별 지지체의 하부(135)를 수용하는 홈을 구비한, 홈 있는 기부(32a)와 유사한, 홈 있는 기부(32b)와, 제1 이송 포스트에서와 유사한 메커니즘의 연결 장치(41b) 및 액츄에이터(45b)를 포함한다. 또한 제1과 제2 이송 포스트들은 회전축(W9)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공통의 디스크(60)의 작동에 의해 동기화된다.
기부(32b)는 개별 지지체(134)를 방향(X)으로 조립 스테이션(12)으로 이송하고, 조립 스테이션에서 개별 지지체(134)는 그에 상응하는 개별 면도기 블레이드(66)와 조립되는데, 이는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조립 스테이션(12)은 앞에서 설명한 홈들과 유사하게 개별 지지체(134)의 하부(135)를 수용하는 홈을 구비한 홈 있는 기부(61)를 포함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면도기 블레이드(66)는 예를 들어 블레이드들의 적층체를 포함하는 블레이드 전달 스테이션(11)으로부터 공급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부(61)는 평면(U-X)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평한 수용면(61a)을 포함하고 그에 따라 지지체(134)의 상부를 수용한다.
홈 있는 기부(61)는 또한 방향(V)으로 연장되고 블레이드 위치 결정 핀(63)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홀(63)들을 포함한다. 블레이드 위치 결정 핀(62)들은 작동 기구(12')에 의해 도 14에 화살표(64)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V12)을 따라 전후 이동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기구(12')는 핀 작동 장치(82)를 작동시키도록 축(W1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작동 암(81)을 포함하고, 핀 작동 장치는 이송축(T12)을 따라 전후 이동으로 기부(61)에 대해 활주 가능하며 블레이드 위치 결정 핀의 상보면(84)과 맞물려서 블레이드 위치 결정 핀(63)을 축(V12)을 따라 이동시키는 연결면(83)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 위치 결정 핀(63)은 또한 상하 이동 중에 축(V12)을 중심으로 한 캠 운동으로 회전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 전달 스테이션(11)은, 예를 들어 진공을 이용하여, 전달 스테이션으로부터 면도기 블레이드(66)를 집어서 홈 있는 기부(61) 상에 놓는 픽앤플레이스(pick-and-place) 장치(65)를 포함한다. 비록 어떤 도면에도 도시되지 않았지만, 진공은 블레이드 위치 결정 핀(63)들을 수용하는 홀(62)들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홀들을 통해 홈 있는 기부(61)에도 제공되어 블레이드(66)를 제자리에 유지시킬 수 있다.
다시 도 13을 참조하면, 개별 블레이드(66)는 전방 가장자리(68)를 포함하는 전방 헤드부(67)와 후방 손잡이부(69)를 포함한다. 후방부는 평행한 상부면(69a)과 하부면(69b)을 구비한다. 하부면(69b)은 기부(61)의 수용면(61a) 상에 놓인다. 후방부(69)는 예를 들어 블레이드(66)의 두 측방향부 상에 위치되는 두 개의 위치 결정 홀(70)을 구비한다. 위치 결정 홀(70)들의 기하학적 형상은 블레이드 위치 결정 핀(63)들의 기하학적 형상과 상보적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시, 개별 지지체(134)를 수용하는 블레이드(61)의 홈(71)의 위치와 블레이드 위치 결정 핀(63)의 위치가 비교적 정확하게 알려져 있다는 점에 의해 블레이드(66)는 개별 블레이드 지지체(134)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된다. 블레이드(66)는 블레이드의 위치 결정 홀(70)들을 블레이드 위치 결정 핀(63)들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그 전방부(67)가 지지체의 플랫폼부의 상면 상에 정확하게 위치된다. 블레이드의 전방부(67)의 하면(228)은 지지체(134)의 상부의 상면 상에 놓이는 고정부를 제공한다.
이 단계에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와 블레이드 지지체는 면도기 블레이드와 개별 면도기 블레이드 지지체(134)를 영구적으로 함께 접합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접합 스테이션(13)에 위치된다. 예를 들어, 레이저(72)가 접합 스테이션(13)에서 레이저 아래에 놓인 면도기 블레이드와 개별 블레이드 지지체(134)를 스폿 레이저 용접으로 조립하는 데 사용된다.
이 단계의 블레이드(66)와 블레이드 지지체(134)의 조립체(80)를 도 25에서 횡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블레이드(66)는 하면(228)과 상면(227)을 포함하는 전방부(67)를 구비하고, 상기 하면과 상면은 후방부에서는 실질적으로 평평하고, 절단 날(226)로 수렴되게 테이퍼지게 형성된다(각면(231, 232)들을 포함함). 블레이드의 하면(228)은 개별 지지체(134)의 상부(139)의 상면(73)과 접촉되고 스폿 용접(74)에 의해 고정된다. 각면들은 지지체의 가장자리(146)를 지나서 연장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블레이드(66)와 개별 지지체(134)의 조립체(80)는 다음의 개별 지지체가 제2 이송 포스트(9b)에 의해 접합 스테이션(13)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방향(X)을 따라 다음의 절단 스테이션(14)으로 밀려간다.
절단 스테이션(14)은 개별 지지체(134)와 블레이드(66)의 전방부(67)에 상당히 일치하는 절단 블레이드(125)로 구성된 절단 부재(124)를 방출하도록 블레이드(66)의 후방부(69)를 절단한다. 따라서 절단 스테이션(14)은, 블레이드(66)의 후방부(69)를 조립체로부터 절단해내도록 액츄에이터(14')의 작동에 의해 축(X14)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는 절단 공구(76)를 포함한다. 흡인 장치(77)가 마련되어 후방부(69)들을 흡인하여 폐기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절단 부재(124)가 도 26과 도 27에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절단 부재는 하부(135)와, 내부면에 종방향 노치를 포함하는 중간부(미도시)에서 하부에 대해 절곡된 상부(139)를 구비한 개별 지지체(134)를 포함한다. 절단 부재는 면도기 블레이드(125)를 더 포함한다. 블레이드(125)는 평평한 부분에서 두께가 약 0.1mm(예를 들면 0.04mm 내지 0.11mm, 바람직하게는 0.09mm)이고, 절단 날(126)로부터 반대쪽 후방 가장자리까지의 축(U) 방향의 길이가 약 1.3mm(예를 들어 1.1mm 내지 1.5mm)이다. 블레이드 지지체의 상부(139)의 상면과 접촉되는 블레이드의 부분은 축(U) 방향의 길이가 약 0.9mm ㅁ 0.15mm이다. 이렇게 해서, 블레이드가 지지체 상에 양호하게 유지되는 것이 보장된다. 절단 날(126)은 지지체의 전방 가장자리(146)로부터 적어도 0.35mm 떨어져 있고, 이에 따라 지지체가 이웃한 면도기 블레이드들의 면도 성능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블레이드의 상부면(127)과 하부면(128)은 각각 두 개의 평행한 주면(129, 130)과 절단 날(126)을 향해 테이퍼진 두 개의 테이퍼면(131, 132)을 포함한다.
이 외에도, 절곡된 지지체의 상부(139)는, 상부(139)와 블레이드의 대응하는 측방향 단부(133)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둥근 모서리를 갖는 측방향 날개로 이루어진 둥근 돌기(142)를 각각 포함하는 두 개의 측방향 가장자리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블레이드 지지체를 형성하는 시트 금속으로부터 절개된 둥근 압입부(143)는 둥근 돌기(142)를 하부의 측방향 가장자리(141)로부터 분리시킨다.
절곡된 지지체의 하부의 측부 가장자리(141)는 블레이드의 측방향 단부(133)들과 둥근 돌기(142)들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렇게 형성된 절단 부재(124)들은 적층 스테이션(15)(도 17 참조)으로 이송되고, 면도기 헤드의 제조를 위한 면도기 헤드 조립 공정에서의 사용을 위해 베이요넷(bayonet)(78)에 적층된다.
이러한 장치의 변형 실시예에서는, 분리 스테이션(10)이 접합 스테이션(13) 위에 마련되거나 또는 절단 스테이션(14) 뒤 적층 스테이션(15) 앞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의 변형 실시예에서는,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이 장치의 나머지 부분과 일렬로 배치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공정의 제1 부분은 도 1의 전달 스테이션(3)과 같은 전달 스테이션에 의해 전달되는 스트립 상에서 행해질 수 있고, 권취 스테이션으로 다시 권취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부분적으로 형성된 스트립을 구비한 릴이 제조 공정의 다른 단계들을 행하기 위한 제2 장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홈 형성 단계의 경우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블레이드 지지체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 지지체(134)가 중간 절곡부(36)의 외부면(49) 상에 리세스(recess)(179)를 포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앞에서 설명한 지지체와 다르다. 이 리세스는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리세스는 내부면(48)에 형성된 홈(50)에 더하여 마련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홈(50)도 없을 수 있다. 리세스(179)는 예를 들어 홈 형성 스테이션(6)에서, 홈의 형성과 동시에 또는 축(X)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들로 소재를 슬리팅하거나 프레스하는 것에 의해 스트립의 다른 측부(49) 상에 홈(51)과 유사한 홈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도 29에는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 지지체(134)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부가 지지체의 상부(139)와 지지체의 하부(135) 사이에서 힌지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중간 절곡부(136)에서 내면(48)은 약 0.2mm의 곡률 반경을 갖고 외면(49)은 약 0.38mm의 곡률 반경을 갖는다. 힌지는 도 28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홈 형성 스테이션에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면(49) 상의 리세스는 U형상의 단면을 갖고, 기부(180)를 구비하는데, 기부의 각 단부로부터 지지체의 상부(139)와 하부(135)의 외면(49)에 각각 연결되는 날개(181a, 1891b)가 연장된다. 오목한 기부를 갖는 유사한 기하학적 형상(280, 281a, 281b)을 내면에서 볼 수 있다.
도 30에는 안전 면도기(습식 면도기라고도 함), 즉 블레이드들이 모터에 의해서 블레이드 유닛에 대해 구동되지 않는 면도기용 블레이드 유닛(105)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한 면도기는 일반적으로 근단부와 블레이드 유닛(105)과 면도 헤드를 지탱하는 말단부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를 포함한다. 종방향(L)은 곡선이거나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직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 유닛(105)은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절단 부재(124)를 구비한 상면과 연결 기구에 의해 손잡이의 말단부에 연결된 하면을 포함한다. 연결 기구는 예를 들어 블레이드 유닛(105)이 종방향(L)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선회축에 대해 선회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연결 기구는 블레이드 유닛의 교환을 위한 목적으로 블레이드 유닛을 선택적으로 방출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연결 기구의 특정한 일례가 국제 특허 공개 공보 WO-A-2006/027018호에 기재되어 있는데, 그 전체 내용을 원용에 의해 본 명세서 내에 포함시킨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 유닛(105)은 합성 소재, 즉 열가소성 소재(예를 들어, 폴리스티렌 또는 ABS) 또는 탄성 중합체 소재로만 만들어진 프레임(11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프레임(110)은 플라스틱 연결 기구에 의해 손잡이에 연결된 플랫폼 부재(111)를 포함하며, 다음의 것들을 구비한다.
- 선회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드(112).
- 면도 방향으로 가이드의 후방에 위치된 블레이드 수용 구역(113).
- 선회 축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면도 방향으로 블레이드 수용 구역(113)의 후방에 위치된 캡 부(114).
- 가드(112)와 캡 부(114)의 측방향 단부들과 함께 결합되는 두 개의 측부(115).
도면들에 도시된 예에서, 가드(112)는 선회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다수의 핀(117)을 형성하는 탄성 중합체 층(116)에 의해 덮인다.
또한, 이 특정의 예에서, 플랫폼 부재(111)의 저측부는 연결 기구에 속하고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한 국제 특허 공개 공보 WO-A-2006/027018호에 기재된 것일 수 있는 두 개의 쉘 베어링(118)을 포함한다.
프레임(110)은 플라스틱 커버(119)를 더 포함한다. 커버(119)는 대체로 U 형상을 가지며, 플랫폼의 캡 부(114)를 부분적으로 덮는 캡 부(120)와 플랫폼의 두 개의 측부 부재들을 덮는 두 개의 측부 부재(121)를 구비한다.
커버(119)의 캡 부(120)는 상방으로 배향되고 면도 중에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되는 윤활 스트립(1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윤활 스트립은 예를 들어 커버의 나머지 부분과 함께 이중 사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27을 참조하면, 적어도 한 개의 절단 부재(124)가 플랫폼의 블레이드 수용 구역(113)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블레이드 수용 구역(113)은 여러 개의 절단 부재(124),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개의 절단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절단 부재(124)는 절단 날(126)이 면도 방향으로 전방으로 배향된 블레이드(125)를 포함한다. 각 블레이드(125)는 면도를 할 피부를 향해 배향되는 상면(127)과 손잡이를 향해 배향되는 하면(128)을 포함한다.
각 블레이드(125)는 두 개의 측방향 단부(133) 사이에서 선회축과 평행하게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각 블레이드(125)는 각각의 절곡된 지지체(134)에 의해 지탱된다. 절곡된 지지체(134)는 다음의 것들을 포함한다.
- 실질적으로 평평한 하부(135)(예를 들어 면도 면과 실질적으로 직교함).
- 블레이드(125)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상부(139).
상부(139)와 블레이드(125)의 면도 면에 대한 각도(α)는 대략 22°일 수 있다.
절곡된 지지체(134)의 하부(135)는 두 개의 측방향부(140) 사이에서 선회축과 평행하게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절단 부재(134)는, 플랫폼(111)과 단일 부재로 성형되고 서로를 향해서 그리고 플랫폼의 양 측부 부재(115)들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탄성 핑거(144)에 의해 지탱된다.
또한,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된 지지체의 단부(140)들은 플랫폼의 각 측부 부재(115)의 내면에 마련된 수직 슬롯(145)(즉, 면도면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슬롯)들에서 활주 가능하게 안내된다.
블레이드 부재(124)들은 탄성 암(144)에 의해 받침 위치(rest position)를 향해서 탄성적으로 편향된다. 이 받침 위치에서는, 블레이드들의 상면(127)들이, 블레이드들의 각 측방향 단부에서 커버의 각 측부 부재(121)의 저면에 마련된 블레이드들의 상면에 대응하는 상부 정지부를 지탱하고, 측부 부재(121)는 슬롯(145)(미도시)들을 덮는다.
그러므로, 블레이드 부재(124)들의 받침 위치가 잘 정해지고, 이에 따라 면도를 높은 정밀도로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4)

  1. - 하우징(110)과,
    - 상기 하우징에 의해 수용되고 평행한 제1면(48)과 제2면(49)을 구비하는 적어도 한 개의 지지체(134)로서, 하부(135), 상부(139) 및 상부와 하부의 중간에 있는 절곡부(136)를 포함하는 지지체와,
    - 절단 날(126)과 지지체의 상부의 제2면 상에 고정된 고정부(128)를 포함하는 면도기 블레이드(125)를 포함하는 면도기 카트리지에 있어서,
    지지체의 제2면이 적어도 절곡부에서 연장되는 리세스(179)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절단 날(126)이 종방향(X)을 따라 연장되고, 리세스(179)는 종방향을 따라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3. 제2항에 있어서,
    절곡부가 제1과 제2 측방향 측부(141)들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리세스는 제1 측방향 측부로부터 제2 측방향 측부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4.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지지체의 절곡부의 제1면은 리세스(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5. 제4항에 있어서,
    절단 날이 종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제1면의 리세스(50)는 종방향을 따라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6. 제5항에 있어서,
    절곡부가 제1과 제2 측방향 측부들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면의 리세스(50)는 제1 측방향 측부로부터 제2 측방향 측부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7.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절단 날이 종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리세스(50; 179)가 종방향에 대해 횡으로 볼 때 오목한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세스(50; 179)가, 종방향에 대해 횡으로 볼 때, 기부(180; 280)를 구비하는 U형 단면을 갖되, 기부의 각 단부로부터 각각의 날개(181, 181b; 281a, 281b)가 연장되고, 기부는 종방향에 대해 횡으로 볼 때 오목한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9.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지지체(134)가 상기 하우징에 제1 자유도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10.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지지체(134)는 최대 두께가 0.22mm 내지 0.3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11.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면도기 블레이드(125)는 최대 두께가 0.04mm 내지 0.11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12.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면도기 블레이드가 절단 날로부터 후방 가장자리까지 깊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지지체의 상부의 제2면은 깊이 방향을 따라 0.75mm 내지 1.0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13.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네 개의 지지체와 각 지지체 상에 고정된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14. 손잡이와,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청구항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기계식 면도기.
KR1020117016449A 2008-12-19 2008-12-19 면도기 카트리지 및 이러한 면도기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기계식 면도기 KR1015347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08/067989 WO2010069388A1 (en) 2008-12-19 2008-12-19 Razor cartridge and mechanical razor comprising such a cartrid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4576A true KR20110114576A (ko) 2011-10-19
KR101534791B1 KR101534791B1 (ko) 2015-07-07

Family

ID=41210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6449A KR101534791B1 (ko) 2008-12-19 2008-12-19 면도기 카트리지 및 이러한 면도기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기계식 면도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156174B2 (ko)
EP (1) EP2376261B1 (ko)
JP (1) JP5815409B2 (ko)
KR (1) KR101534791B1 (ko)
CN (1) CN102300683B (ko)
BR (1) BRPI0823367B1 (ko)
CA (1) CA2745350C (ko)
MX (1) MX338630B (ko)
WO (1) WO20100693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11104B2 (en) * 2006-04-10 2011-09-06 The Gillette Company Cutting members for shaving razors
US8336212B2 (en) * 2006-06-20 2012-12-25 Bic-Violex Sa Razor blade unit
US7823272B2 (en) * 2006-11-14 2010-11-02 The Gillette Company Systems for producing assemblies
PL2307188T5 (pl) * 2008-07-18 2019-02-28 Bic-Violex S.A. Proces wytwarzania bezpiecznego wkładu do maszynki do golenia oraz bezpieczny wkład do maszynki do golenia
KR20100091622A (ko) * 2009-02-11 2010-08-19 주식회사 도루코 일체형 카트리지
CN102421572B (zh) * 2009-04-15 2015-10-14 比克-维尔莱克 剃须刀刀架和包括该刀架的机械剃须刀
EP2707180B1 (en) * 2011-05-13 2016-12-14 Edgewell Personal Care Brands, LLC Razor blade supports
US9687893B2 (en) * 2013-04-01 2017-06-27 Hitachi Metals, Ltd. Manufacturing method of martensite-based stainless steel for edged tools
US9762676B2 (en) * 2014-09-26 2017-09-12 Intel Corporation Hardware resource access systems and techniques
WO2017103879A1 (en) * 2015-12-17 2017-06-22 Bic Violex S.A. Shaving head
EP3357653B1 (en) 2017-02-03 2021-11-10 BIC-Violex S.A. Blade support, cutting member comprising such a blade support, razor head comprising such a cutting member and mechanical shaving razor comprising such a razor head
EP3663033A1 (en) * 2018-12-06 2020-06-10 BIC-Violex S.A. Laser welded razor blades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6958A (en) 1976-10-15 1979-04-03 Warner-Lambert Company Safety razor
US5010646A (en) * 1990-01-26 1991-04-30 The Gillette Company Shaving system
US5416974A (en) * 1990-03-27 1995-05-23 The Gillette Company Safety razors and blade units therefor
GB9006782D0 (en) * 1990-03-27 1990-05-23 Gillette Co Safety razors and blade units therefor
JPH0468768A (ja) 1990-07-04 1992-03-04 Ricoh Co Ltd デジタル原稿読取装置
US5067238A (en) 1990-09-28 1991-11-26 The Gillette Company Shaving system
US5983499A (en) 1995-06-07 1999-11-16 Andrews; Edward A. Cavity shaving device with curved razor blade strip
GB9320058D0 (en) 1993-09-29 1993-11-17 Gillette Co Savety razors
US5661907A (en) 1996-04-10 1997-09-02 The Gillette Company Razor blade assembly
GB9616402D0 (en) 1996-08-05 1996-09-25 Gillette Co Safety razors
JPH11123458A (ja) * 1997-10-27 1999-05-11 Meiji Natl Ind Co Ltd 金属板の折り曲げ構造
US6629475B1 (en) 2000-07-18 2003-10-07 The Gillette Company Razor blade
WO2004073939A1 (en) * 2003-02-19 2004-09-02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Multiple blade razor cartridge
KR101123162B1 (ko) 2003-06-26 2012-03-19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구부러진 면도기 날과 이러한 면도기 날의 제조
JP2005052850A (ja) * 2003-08-07 2005-03-03 Toyo Kitchen & Living Co Ltd 金属板の曲げ加工方法及び曲げ構造
US7272991B2 (en) * 2004-02-09 2007-09-25 The Gillette Company Shaving razors, and blade subassemblies therefor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20050198837A1 (en) 2004-03-11 2005-09-15 Stephen Rawle Shaving razors with multiple blades
US7669335B2 (en) 2004-03-11 2010-03-02 The Gillette Company Shaving razors and shaving cartridges
US7131202B2 (en) 2004-03-11 2006-11-07 The Gillette Company Cutting members for shaving razors with multiple blades
US7673541B2 (en) 2004-06-03 2010-03-09 The Gillette Company Colored razor blades
PL1802428T3 (pl) * 2004-09-24 2010-01-29 Eveready Battery Inc Urządzenie do golenia wyposażone w oddzielne segmenty wkładu z ostrzami
US7748121B2 (en) 2005-05-06 2010-07-06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Razor blade and support assembly
JP4950507B2 (ja) * 2006-02-14 2012-06-13 株式会社貝印刃物開発センター 剃刀
US8011104B2 (en) 2006-04-10 2011-09-06 The Gillette Company Cutting members for shaving razors
US8499462B2 (en) 2006-04-10 2013-08-06 The Gillette Company Cutting members for shaving razors
US8336212B2 (en) * 2006-06-20 2012-12-25 Bic-Violex Sa Razor blade unit
KR100749925B1 (ko) 2006-06-29 2007-08-16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US8443519B2 (en) 2006-09-15 2013-05-21 The Gillette Company Blade supports for use in shaving systems
US7823272B2 (en) 2006-11-14 2010-11-02 The Gillette Company Systems for producing assemblies
EP2114637A1 (de) 2007-02-01 2009-11-11 Braun GmbH Haarentfernungsgerät
KR20100083161A (ko) * 2007-11-02 2010-07-21 더 질레트 컴퍼니 습식 면도기
AU2009244489B2 (en) 2008-05-05 2015-05-07 Edgewell Personal Care Brands, Llc Razor blade and method of manufacture
AU2009296283A1 (en) 2008-09-29 2010-04-01 The Gillette Company Razor cartridges with perforated blade assemblies
RU2008150012A (ru) 2008-12-10 2010-06-20 Александр Тарасович Володин (RU) Лезвийный блок безопасной бритвы
KR101055684B1 (ko) 2009-02-11 2011-08-09 주식회사 도루코 일체형 면도날 및 이를 이용한 면도기 카트리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00683A (zh) 2011-12-28
US9156174B2 (en) 2015-10-13
BRPI0823367A2 (pt) 2015-06-16
CA2745350A1 (en) 2010-06-24
CN102300683B (zh) 2014-10-22
MX338630B (es) 2016-04-26
EP2376261A1 (en) 2011-10-19
BRPI0823367B1 (pt) 2020-04-07
US20120011725A1 (en) 2012-01-19
EP2376261B1 (en) 2020-04-15
JP2012511973A (ja) 2012-05-31
JP5815409B2 (ja) 2015-11-17
MX2011006662A (es) 2011-08-03
WO2010069388A1 (en) 2010-06-24
CA2745350C (en) 2017-05-30
KR101534791B1 (ko) 2015-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14576A (ko) 면도기 카트리지 및 이러한 면도기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기계식 면도기
JP5521032B2 (ja) 剃刀カートリッジ、及びこのようなカートリッジを備える機械式剃刀
JP6665122B2 (ja) 刃セット、毛切断装置、及び関連する製造方法
JP5972422B2 (ja) 毛切断機器のための刃セット及び当該刃セットの製造のための方法
JP6253791B2 (ja) 刃のセット、ヘアカット機器、及び、関連する製造方法
JP6069811B2 (ja) 刃セット及び毛切断機器
KR101574283B1 (ko) 면도기 헤드 부품의 제조를 위한 방법 및 장치와, 이에 의해 제조된 부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