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4381A - 방향 전환이 용이한 슬립 조인트형 3륜 손수레 - Google Patents

방향 전환이 용이한 슬립 조인트형 3륜 손수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4381A
KR20110114381A KR1020100034009A KR20100034009A KR20110114381A KR 20110114381 A KR20110114381 A KR 20110114381A KR 1020100034009 A KR1020100034009 A KR 1020100034009A KR 20100034009 A KR20100034009 A KR 20100034009A KR 20110114381 A KR20110114381 A KR 20110114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rear wheel
loading frame
slip join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4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3971B1 (ko
Inventor
이경숙
김효철
채혜선
박유석
임대섭
김경란
양현숙
허남호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00034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3971B1/ko
Publication of KR20110114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4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3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3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1Ste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three-wheeled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andcar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륜 손수레에 관한 것으로서, 좁은 고랑을 가진 농작물 재배지에서 농작물을 이송하기에 적합하고, 구성과 조작이 간단하여 노약자들의 경우에도 수확한 농작물을 쉽게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으며, 원하는 목적지로 쉽게 농작물 등을 운반할 수 있도록 방향 전환이 용이한 슬립 조인트형 3륜 손수레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장착되는 좌우 한 쌍의 앞바퀴와;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측에 조립되어 화물이 적재되는 적재프레임과; 상기 적재프레임의 후측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설치된 손잡이대와; 상기 적재프레임의 후단부에 뒷바퀴 지지축과 하기 슬립조인트부를 매개로 하여 장착되는 뒷바퀴와; 상기 적재프레임의 후부 좌, 우측에 각각 하방으로 돌출 설치되어, 지면에 접지된 상태로 적재프레임을 지지하는 동시에 브레이크 역할을 수행하는 하부지지대와; 상기 좌, 우측의 하부지지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뒷바퀴가 장착된 뒷바퀴 지지축이 삽입되어 상하 이동되는 슬릿이 형성된 슬립조인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뒷바퀴가 뒷바퀴 지지축에 방향 전환을 위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장착된 슬립 조인트형 3륜 손수레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방향 전환이 용이한 슬립 조인트형 3륜 손수레{Handcart having three wheel}
본 발명은 3륜 손수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농작물 재배지에서 수확한 농작물 등을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는 3륜 손수레에 관한 것이다.
농촌의 소규모 경작지에서 주요한 운반수단으로 외바퀴 손수레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통상의 외바퀴 손수레는 농작물을 적재할 경우에 손수레를 들고 밀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개선한 것으로서, 보조륜을 장착한 손수레는 동력을 사용함으로써 가격이 고가이기 때문에 수입원이 열악한 농촌에는 널리 보급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동력을 내기 위한 구성이 부가되어 좁은 고랑의 경작지에서는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진다.
손수레에 대한 선행기술로는 다음과 같다. 등록실용신안 제338541호(2004.01.05)의 '개량된 외바퀴 손수레'는 일단에 손잡이가 형성된 한 쌍의 주축과, 주축 상단에 고정된 수납체와, 주축 타단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된 외바퀴와, 주축의 중심축 하부에 형성된 다리와, 'e'자로 형성되어 한 쌍의 주축 선단에 각각 볼트체결되는 버팀대와, 주축 상단에서 수납체의 전방측 높이를 올리는 수납체각도조절대와, 수납체와 주축과 다리의 끝단부를 관통하여 일체로 체결시키는 장볼트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외부충격에 의한 수납체의 손상을 방지하고 수납체의 수납량을 많게 하며 적은 공간에 보관시킬 수 있는 손수레이다.
등록실용신안 제283806호(2002.07.18)의 '작물 다량운반기'는 하부 일측에 바퀴가 설치되고 타측에 받침대가 형성된 운반기 본체, 상기 운반기 본체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적재링, 및 상기 적재링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운반기 본체의 상단에 설치된 적재링 높이 조절수단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작업자의 신체조건 또는 작업장의 작업조건에 따라 적재링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고, 작물고랑의 폭에 따라 바퀴를 지지하는 받침대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운반기이다.
등록실용신안 제180905호(2000.02.22)의 '손수레'는 적재함의 하방 지지함체에 양측으로 설치한 브라켓에 수직상으로 핸들을 갖는 작동축을 자체 회동되도록 설치하고 브라켓 사이에 위치되게 조임관을 작동축에 나사결합함과, 상기 조임관에는 지지간을 수평으로 고정, 설치하고, 자체 회동되도록 한 보조륜에 결합관을 연결하여 지지간에 슬라이딩되도록 끼워 체결볼트로 조임하여 고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레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보조륜이 설치된 지지간을 핸들바아 위치에서 좌우로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적재함에 조정핸들바아를 베어링으로 상하 지지하고, 조정핸들바아의 하단에 조인트를 고정, 설치하며, 이 조인트에 상하로 유동되게 힌지 연결한 링크가 지지간의 선단부에 회전되도록 끼워 보조륜을 좌우 위치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의 손수레는 양 보조륜의 폭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좁은 골에서도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배터리를 동력원으로 이동시키는 손수레이다.
또한 특허출원 제2009-3329호(2009.01.15)는 본 발명자가 발명하여 특허 출원한 것으로서, 종래의 외바퀴 손수레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한 '슬립 조인트형의 3륜 손수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슬립 조인트형의 3륜 손수레는 3륜 지지상태와 받침대에 의한 고정상태 사이에서 쉽게 전환이 가능하고, 종래의 외바퀴 손수레가 가지는 방향 전환의 장점을 그대로 가지면서, 3륜을 이용해 이동이 가능하여 종래의 외바퀴 손수레와 같이 들고 밀어야 하는 단점을 보완한 것으로서, 2배 이상의 농작물을 적재하면서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의 손수레는 구성이 매우 복잡하면서도 조작이 쉽지 않다. 이에 구성이 간단하면서 노약자들의 경우에도 수확한 농작물을 쉽게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는 3륜 손수레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또한 원하는 목적지로 쉽게 농작물 등을 운반할 수 있도록 방향 전환이 용이한 3륜 손수레가 요구되고 있다. 상기 슬립 조인트형 3륜 손수레의 경우에도 방향 전환을 위해서는 뒷바퀴를 들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이에 노약자들의 경우 농작물이 적재된 상태에서 방향 전환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좁은 고랑을 가진 농작물 재배지에서 농작물을 이송하기에 적합한 3륜 손수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구성과 조작이 간단하여 노약자들의 경우에도 수확한 농작물을 쉽게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고, 또한 원하는 목적지로 쉽게 농작물 등을 운반할 수 있도록 방향 전환이 용이한 3륜 손수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장착되는 좌우 한 쌍의 앞바퀴와;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측에 조립되어 화물이 적재되는 적재프레임과; 상기 적재프레임의 후측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손잡이대와; 상기 적재프레임의 후단부에 뒷바퀴 지지축과 하기 슬립조인트부를 매개로 하여 장착되는 뒷바퀴와; 상기 적재프레임의 후부 좌, 우측에 각각 하방으로 돌출 설치되고 지면에 접지된 경우 적재프레임을 지지하는 동시에 브레이크 역할을 수행하는 하부지지대와; 상기 좌, 우측의 하부지지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뒷바퀴가 장착된 뒷바퀴 지지축이 삽입되어 상하 이동되는 슬릿이 형성된 슬립조인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뒷바퀴가 뒷바퀴 지지축에 방향 전환을 위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이 용이한 슬립 조인트형 3륜 손수레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뒷바퀴 지지축이 슬릿 하단의 록킹부에 고정될 때 상기 앞바퀴 및 뒷바퀴에 의해 지지 및 이동 가능한 3륜 지지상태가 되고, 뒷바퀴 지지축이 록킹부로부터 슬릿을 따라 상방 이동한 상태일 때 상기 하부지지대가 접지되는 고정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적재프레임의 후단부가 베이스프레임의 후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베이스프레임과의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적재프레임이 충격흡수 및 완충을 위해 탄력적으로 회전 및 유동될 수 있게 상기 힌지 결합부에는 스프링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슬립 조인트형 3륜 손수레에 의하면, 3륜을 이용해 이동이 가능하므로 종래의 외바퀴 손수레와 같이 들고 밀어야 하는 단점이 보완되며, 더욱 많은 양의 농작물을 적재하면서도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구성이 간단하면서 간단한 조작에 의해 3륜 지지상태와 받침대에 의한 고정상태의 전환이 가능하여 정지와 이동이 자유롭고, 좌우 균형을 유지하기가 용이하여 노약자들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뒷바퀴의 방향 전환이 가능하여 원하는 목적지로 쉽게 농작물 등을 운반할 수 있고, 프레임에 충격흡수 및 완충을 위한 구성을 적용하여 화물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립 조인트형의 3륜 손수레의 사시도로서, 도 1 및 도 2는 평면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횡지지대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후면도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의 조작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특허출원 제2009-3329호(2009.01.15)에 개시된 슬립 조인트형 3륜 손수레를 개량한 발명으로서, 좁은 고랑에서 농작물 등의 화물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고, 특히 농작물 등의 화물을 적재한 상태에서도 더욱 쉽게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촌에서 사용하고 있는 외바퀴 손수레는 바퀴가 1개이기 때문에 균형을 잡기가 어렵고, 또한 화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무거운 손수레를 위로 들고 밀어야 하는 단점을 가진다(1개의 바퀴만이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 구르도록 함). 따라서, 화물을 많이 적재할 수 없을 뿐 아니라 농촌의 노약자들에게는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손수레는 한 쌍의 앞바퀴와 방향 전환이 가능한 뒷바퀴를 가지며, 운반 이동시에는 손수레를 위로 들지 않고 3륜의 바퀴를 사용하여 밀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크게 힘들이지 않고 많은 화물(농작물 등)을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고, 3륜 지지상태에서 효율적으로 운반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3륜 손수레에서는, 운반 이동시에는 3륜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운반이 가능하면서도, 농작물을 적재할 시에는 뒷바퀴의 축이 슬립조인트부의 슬릿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여 적재프레임 후측의 좌우 양측 하부에 설치된 하부지지대가 지면에 닿도록 하고, 이로써 상기 하부지지대가 적재프레임을 지면에서 지지하는 동시에 브레이크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지지대에 의해 손수레가 지면에서 움직이지 않고 안정적인 정지상태로 균형을 유지할 수 있고, 이에 안전하게 농작물을 적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3륜 손수레는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3륜 지지상태(운반 이동시 3륜이 지면에서 구르면서 이동이 가능함)와 하부지지대에 의한 고정상태(화물 적재시 하부지지대가 지면에 고정되면서 손수레의 정지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됨) 사이에서 쉽게 전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첨부한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립 조인트형의 3륜 손수레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는 평면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저면 사시도이다.
또한 첨부한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횡지지대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후면도이다.
또한 첨부한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의 조작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손수레(100) 이동시의 3륜 지지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앞바퀴(120)와 뒷바퀴(150)에 의해 손수레(100) 전체가 지지되어 이동될 수 있으며, 이때는 하부지지대(160)가 지면으로부터 완전히 들어 올려진 상태가 된다. 도 8은 손수레(100)가 정지상태로 유지되는 고정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농작물 등의 화물 적재시 브레이크 역할을 하는 하부지지대(160)가 지면에 접지되어 손수레(100) 전체가 하부지지대(160)에 의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 상태가 된다.
구성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슬립 조인트형 3륜 손수레(100)는, 베이스프레임(1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 장착되어 지면에 접지되는 좌우 한 쌍의 앞바퀴(12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상측에 조립되어 농작물 등의 화물이 적재되는 적재프레임(130)과, 상기 적재프레임(130)의 후측에 상방으로 설치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된 손잡이대(140)와, 상기 적재프레임(130)의 후단부에 뒷바퀴 지지축(153)과 슬립조인트부(161)를 매개로 하여 장착되는 뒷바퀴(150)와, 상기 적재프레임(130)의 후부 좌, 우측에서 각각 하방으로 돌출 설치되어 상기 뒷바퀴 지지축(153)이 슬립조인트부(161)에서 상방으로 이동한 상태일 때 지면에 접지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동시에 브레이크 역할을 수행하는 하부지지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적재프레임(130)은 원형이나 각형 등의 단면형상을 갖는 파이프나 관, 봉 등의 부재를 일체로 연결하여 구성되며, 예시한 바와 같이 사각의 단면형상을 갖는 길이부재가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일체 고정됨으로써 제작될 수 있고, 전체적인 형상으로는 4각 프레임의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손잡이대(140)는 적재프레임(130)의 후단에 일체로 설치되는 것으로,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두 개의 손잡이봉(141)을 적재프레임(130)의 후단에서 상방 및 후방으로 연장되게 설치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각 손잡이봉(141)의 후단부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게 되는 부분인 손잡이(142)가 구비된다.
이때, 좌우 양측의 손잡이봉(141)에는 보강부재(143)들이 설치될 수 있고, 또한 두 손잡이봉(141)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횡방향 연결부재(144)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좌우 양측의 손잡이봉(141)에는 'ㄷ' 자형의 길이부재로 형성되어 횡방향으로 조립되는 횡지지대(147)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횡지지대(147)는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손잡이(142)를 양손으로 작은 상태에서 필요시 신체부위, 예컨대 배나 가슴 등을 이용하여 횡지지대(147)를 앞으로 밀면서 손수레(100)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손과 몸을 동시에 사용하여 손수레(100)를 밀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손잡이(142)를 잡은 상태로 배 등의 신체부위를 사용해 횡지지대(147)를 앞으로 밀면서 이동시키면, 사용자가 손잡이(142)만을 손으로 잡고 미는 것에 비해 편리하게 손수레(10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횡지지대(147)는 손잡이대(140)에서 전후 위치 및 높이가 조절될 수 있게 설치되며, 이를 위해 손잡이대(140)의 좌우 양측 손잡이봉(141)에 각각 고정용 축관(145)을 고정 설치하고, 좌우 양측의 각 고정용 축관(145) 내부로 횡지지대(147)의 단부를 끼워 조립한다.
이때, 좌우 고정용 축관(145)에 끼워지는 횡지지대(147)의 양단부에는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체결홀(147a)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결국, 횡지지대(147)의 좌우 양단부를 각 고정용 축관(145) 내부에 끼운 상태에서, 횡지지대(147)의 전후 위치를 조정한 뒤, 고정용 축관(145)의 체결홀(145a)과 횡지지대(147) 단부의 선택된 체결홀(147a)에 볼트(146)를 끼워 체결하면, 조정된 전후 위치에서 횡지지대(147)가 완전히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후 횡지지대(147)의 전후 위치를 다시 조정하기 위해서는 볼트(146)를 풀어 빼내고, 이어 횡지지대(147)의 양단부를 고정용 축관(145)에서 밀어넣거나 빼내는 방식으로 전후 위치를 조정한 뒤, 다시 볼트(146)를 횡지지대(147) 단부의 또 다른 체결홀(147a)과 고정용 축관(145)의 체결홀(145a)에 끼워 체결함으로써 횡지지대(147)의 전후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용 축관(145)과 횡지지대(147)는 후방 및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손잡이대(140) 및 고정용 축관(145)에서 횡지지대(147)의 전후 위치를 조정하게 되면, 횡지지대의 높이가 조절되고, 결국 사용자의 신체높이에 맞추어 횡지지대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적재프레임(130)에 일체로 설치되는 하부지지대(16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적재프레임(130)의 후부에서 역삼각형 구조로 하방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프레임(110)은 좌우 한 쌍의 앞바퀴(120)가 장착되는 프레임으로서, 전체적인 형상으로는 4각 프레임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좌우 한 쌍의 앞바퀴(120)는 베이스프레임(110) 전측의 체결단(111)에 앞바퀴 축(121)이 조립됨으로써 장착되는데, 앞바퀴 축(121)이 베이스프레임(110)의 체결단(111)에 조립된 상태에서 앞바퀴(120)가 앞바퀴 축(121)의 양단에서 회전되면서 지면을 구르게 된다.
그리고, 베이스프레임(110)의 상측으로 적재프레임(130)이 조립되는데, 적재프레임(130)이 베이스프레임(110)에서 탄력적으로 상하 유동될 수 있도록 조립되어 지면으로부터 베이스프레임(110)을 통해 적재프레임(130)에 전해지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3륜 손수레(100)에서 화물이 적재되는 적재프레임(130)이 충격흡수 및 완충 기능을 가지도록 조립되는 것으로, 충격흡수 및 완충 작용을 위해 한 쌍의 앞바퀴(120)에 의해 지면에 지지되는 베이스프레임(110)에 대하여 적재프레임(130)이 상하로 유동될 수 있게 조립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적재프레임(130)의 후단부가 베이스프레임(110)의 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이에 베이스프레임(110)과의 힌지 결합부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적재프레임(130)이 소정의 유격 범위 내에서 회전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적재프레임(130)의 후단부 하측에 좌우 횡방향으로 수평 배치되게 설치된 축부재(131)의 외측으로 베이스프레임(110)의 후단부에 좌우 횡방향으로 수평 배치되게 설치된 축관(112)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조립된다.
결국, 축관(112) 내부로 축부재(131)가 삽입되어 결합된 구조에 의해, 축부재(131)가 축관(112)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적재프레임(130)의 후단부가 베이스프레임(110)의 후단부에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적재프레임(130)의 후단부와 베이스프레임(110)의 후단부가 힌지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적재프레임(130)을 지지하는 상기 축부재(131)가 좌우 양측의 하부지지대(160)를 좌우 횡방향으로 수평 연결하는 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축부재(131)의 외측으로 베이스프레임(110)의 축관(112)이 끼워져 조립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적재프레임(130)의 회전중심은 베이스프레임(110)과의 결합부인 축부재(131)가 되며, 실제 화물이 적재프레임(130) 상측에 올려지게 되면, 화물의 중량에 의해 전체적으로 하방으로 내려앉도록 적재프레임(130)이 베이스프레임(110)과의 결합부인 축부재(131)를 중심으로 살짝 회전되는 동시에, 베이스프레임(110) 역시 후단부가 내려앉도록 앞바퀴 축(121)을 중심으로 살짝 회전되게 된다.
이때, 적재프레임(130)과 베이스프레임(110)의 후단부 결합 구성인 축관(112)과 축부재(131)가 하방으로 살짝 내려오는 동시에 축부재(131)가 축관(112) 내부에서 회전되고, 또한 적재프레임(130)이 전체적으로 화물의 중량에 의해 하방으로 내려앉는 형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적재프레임(130)이 베이스프레임(110)으로부터 전해지는 충격을 최대한 흡수하도록 하여 화물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고, 또한 두 프레임 간의 효과적인 완충 작용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적재프레임(130)이 베이스프레임(110)에 대해 탄력적으로 회전될 수 있게 결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적재프레임(130)의 후단부와 베이스프레임(110)의 후단부 사이에는 적재프레임(130)이 탄력적으로 유동 및 회전될 수 있도록 해주는 스프링부재가 개재되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스프링부재로는 축관(112)에서 축부재(131)를 탄력적으로 회전시키는 코일스프링(114)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코일스프링(114)은 적재프레임(130)의 축부재(131) 외주 상에 장착되되, 그 일단은 베이스프레임(110)에 축관(112)과 나란하게 설치된 스프링지지부재(113)에, 타단은 적재프레임(130)의 후단부, 보다 명확히는 하부지지대(160)에 축부재(131)와 나란하게 설치된 스프링지지부재(132)에 걸리도록 지지시켜, 적재프레임(130)이 하방으로 회전될 때 압축될 수 있게 장착된다.
결국, 적재프레임(130)이 하방으로 회전될 때 코일스프링(114)은 양단이 양측의 스프링지지부재(113,132)에 의해 눌리면서 압축되고, 이 상태에서 코일스프링(114)의 탄성복원력은 적재프레임(130)을 상방으로 복원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에 적재프레임(130) 위로 화물이 적재되면 그 중량에 의해 적재프레임이 하방으로 내려앉으면서 코일스프링(114)은 양단이 스프링지지부재(113,132)에 의해 눌리어 약간 압축된 상태가 되나, 이후 손수레(100) 이동 중 지면으로부터 베이스프레임(110)에 충격이 가해질 때 적재프레임(130)이 탄력적으로 상하 유동되면서 충격흡수 및 완충이 이루어지는바, 화물에 가해지는 충격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적재프레임(130)이 탄력적으로 상하 유동될 수 있게 구성함에 있어서, 충격흡수 및 완충 작용을 위해 상기 코일스프링(114)에 의해 적재프레임(130)이 축부재(131)를 중심으로 탄력적으로 회전되는 동안, 적재프레임(130)의 과도한 상방 움직임을 제한할 필요가 있는바, 적재프레임(130)의 전단부와 베이스프레임(110)의 전단부 사이에는 적재프레임(130)의 상방 움직임을 일정 유격 범위 내로 제한하기 위한 와이어부재(134)가 연결된다.
상기 와이어부재(134)는 적재프레임(130)에 하방 돌출되게 설치된 와이어결합부(133)와 베이스프레임(110) 전단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바, 상기 적재프레임(130)이 와이어부재(134)의 길이에 의해 설정되는 유격 범위 내에서만 상하 유동할 수 있게 되며, 적재프레임(130)이 상기 유격 범위 내에서 최대로 상방 회전된 상태, 즉 최대 상승한 상태에서는 와이어부재(134)가 팽팽해진 상태로 적재프레임(130)의 상방 움직임을 구속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손수레(100)는 앞바퀴(120) 2개, 뒷바퀴(150) 1개가 장착되는 3륜 손수레(100)로서, 뒷바퀴(150)는 적재프레임(130)의 후단부, 보다 명확히는 적재프레임(130)의 후단부에 설치된 하부지지대(160)에 뒷바퀴 지지축(153)과 슬립조인트부(161)를 매개로 하여 장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좌우 양측의 각 하부지지대(160)에 후방으로 판상의 슬립조인트부(161)가 일체로 고정 설치되고, 좌측과 우측의 각 슬립조인트부(161)에 형성된 슬릿(162)에 뒷바퀴 지지축(153)이 삽입되어 조립된다.
상기 뒷바퀴 지지축(153)은 양단부가 좌, 우측 슬립조인트부(161)의 슬릿(162)에 삽입된 상태에서 좌우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축으로서, 중앙부에는 하측으로 뒷바퀴(15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보다 상세히는, 뒷바퀴(150)가 뒷바퀴 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뒷바퀴 축은 휠베이스(152)에 조립되고, 뒷바퀴(150)가 장착된 상기 휠베이스(152)는 뒷바퀴 지지축(153)의 중앙부에 고정 설치된 고정부재(154)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결국, 이러한 조립 구조에 의해 뒷바퀴(150)가 뒷바퀴 지지축(153)에서 회전될 수 있으며, 특히 뒷바퀴(150)가 지면에 접지된 상태에서 방향 전환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는바, 이동 중 손수레(100)의 방향 전환이 용이해지므로 원하는 목적지로 손쉽게 손수레(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뒷바퀴 지지축이 결립되는 슬립조인트부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슬립조인트부(161)는 좌, 우측의 각 하부지지대(160)에 후방으로 고정 설치되는 판상의 부재로서, 좌측과 우측의 두 슬립조인트부(161)가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상기 좌우 양측의 두 슬립조인트부(161)에는 각각 동일 형상의 슬릿(162)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데, 양측 슬립조인트부(161)의 슬릿(162)에 뒷바퀴 지지축(153)이 끼워짐으로써 뒷바퀴 지지축(153) 및 뒷바퀴(150)는 슬립조인트부(161)에서 슬릿(16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뒷바퀴 지지축(153)이 슬릿(162)의 하단부에 록킹된 상태(슬릿을 따르는 뒷바퀴 지지축의 이동이 록킹된 상태)에서 뒷바퀴(150)가 손수레(100) 이동 중 지면을 구르게 된다.
좌측 및 우측의 각 슬립조인트부(161)에서 슬릿(162)은 해당 슬립조인트부(161)에서 상하로 길게 형성된 축이동부(163)와, 상기 축이동부(163)의 하단 지점부터 다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록킹부(164)로 구성되며, 전체적인 형상이 'J' 자 형상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록킹부(164)는 뒷바퀴 지지축(153)이 끼워져 록킹되는 부분으로, 뒷바퀴 지지축(153)이 슬릿(162)의 축이동부(163)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한 뒤 그 하단 지점을 지나 록킹부(164)로 삽입되면, 뒷바퀴 지지축(153)이 록킹부(164)에서 상방으로 걸리는 록킹이 이루어지고, 이때는 뒷바퀴(150)가 지면에 접지된 상태로 좌우 슬립조인트부(161), 좌우 하부지지대(160), 적재프레임(130)의 후부가 위로 들어 올려진 상태가 된다.
이에 앞바퀴(120)와 뒷바퀴(150)가 접지된 상태로 브레이크 역할을 하는 좌우 하부지지대(160)가 지면으로부터 떨어진 상태가 되어 손수레(100)는 앞바퀴(120)와 뒷바퀴(150)의 구름에 의해 전후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반면, 뒷바퀴 지지축(153)이 슬릿(162)의 록킹부(164)에서 빠져나와 축이동부(163)에 위치하게 되면, 뒷바퀴(150)가 지면에 접지된 상태로 뒷바퀴 지지축(153)이 축이동부(163)를 따라 상방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즉, 뒷바퀴 지지축(153)이 축이동부(163)를 따라 자유로이 상방 이동할 수 있게 되면서, 사용자가 손잡이대(140)를 위로 들어올리지 않는 한, 적재프레임(130) 및 손잡이대(140) 등이 지면에 접지된 뒷바퀴(150)에 의해 지지되지 않고 아래로 내려앉을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적재프레임(130) 및 손잡이대(140)가 아래로 내려앉게 되면, 좌우 하부지지대(160)가 지면에 닿으면서 손수레(100)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게 되는바, 좌우 하부지지대(160)가 브레이크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손수레(100)에서는 뒷바퀴(150)가 회전뿐만 아니라 슬립조인트부(161)에서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여, 뒷바퀴 지지축(153)이 슬릿(162)의 축이동부(163) 및 록킹부(164) 중 어느 한쪽에 위치됨에 따라, 3륜 지지상태(바퀴 구름에 의해 이동 가능한 상태)와 고정상태(하부지지대의 브레이킹 작용으로 지면에 고정된 상태) 사이의 전환이 가능하다.
상기 3륜 지지상태는 뒷바퀴 지지축(153)이 록킹부(164)에 걸리어 적재프레임(130) 후부가 위로 들어 올려진 상태로서, 좌, 우측의 하부지지대(160)가 지면과 떨어진 상태가 되어 손수레(100)의 하중이 앞바퀴(120)와 뒷바퀴(150)에 의해서만 지지되고, 이에 상기 바퀴들의 회전에 의해 손수레(100)가 전후로 이동될 수 있는 상태이다(도 7 참조).
반면, 고정상태는 뒷바퀴 지지축(153)이 록킹부(164)에서 빠져나와 축이동부(163)에 위치하는 상태로서, 뒷바퀴 지지축(153)이 축이동부(163) 상측 지점으로 이동되면서 적재프레임(130) 후부가 내려앉은 상태이며, 이 상태에서는 하부지지대(160)가 지면에 접지된 상태로 브레이크 역할을 하여, 손수레(100)의 전후 이동이 구속되고, 손수레(100)가 안정적으로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도 8 참조).
위에서 뒷바퀴 지지축(153)이 슬릿(162)의 축이동부(163)에 위치할 때, 뒷바퀴 지지축(153)이 슬릿(162)의 축이동부(163)를 따라 자유로이 승강할 수 있음(뒷바퀴 및 뒷바퀴 지지축이 슬립조인트부에서 승강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적재프레임(130)에 대하여 뒷바퀴 지지축(153)이 상대적으로 이동됨을 말하는 것으로, 실제 뒷바퀴(150)가 지면으로부터 위로 들어 올려지는 것은 아니며, 뒷바퀴(150)가 자중에 의해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 적재프레임(130) 후부가 지면에 대해 위로 들리거나 내려앉으면서 뒷바퀴 지지축(153) 및 뒷바퀴(150)가 슬릿(162)의 상측 위치 또는 하측 위치로 상대 이동됨을 말하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162)의 형상은 사용자가 손수레(100)의 손잡이(142)를 잡고 적재프레임(130) 후부를 들어 올려준 다음 손잡이(142)에 전방 또는 후방으로 살짝 힘을 가해주는 것에 의해 3륜 지지상태와 고정상태 사이의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특히, 적재프레임(130)을 들어올린 상태로 사용자가 손잡이(142)를 잡고 전방 또는 후방으로 살짝 힘을 가해주기만 하면 3륜 지지상태와 고정상태의 전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작은 힘만으로 쉽게 전환 조작이 가능하고, 노약자들도 손잡이(142)를 들어 올려주는 동작으로 쉽게 조작 및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지면이 고르지 못한 농작물 재배지나 울퉁불퉁한 도로 등에서 3륜을 이용해 손수레(100)를 이동시킬 때, 특히 뒷바퀴(150)가 울퉁불퉁한 지면을 구르면서 적재프레임(130)이 흔들릴 수 있고, 이때 순간적으로 뒷바퀴 지지축(153)이 슬릿(162) 하단의 록킹부(164)에서 빠져나와 록킹이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슬릿(162) 하단의 록킹부(164)에서 뒷바퀴 지지축(153)이 빠져나오지 않도록 뒷바퀴 지지축(153)을 잡아주어 쉽게 록킹이 해제되지 않도록 해주는 록킹유지기구가 설치된다.
상기 록킹유지기구는 뒷바퀴 지지축(153)을 상측의 손잡이대(140)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뒷바퀴 지지축(153)의 중앙부 상면에 상하로 길게 배치되는 록킹축(155)을 설치하고, 록킹축(155)의 상부를 손잡이대(140)에 필요에 따라 체결 고정할 수 있는 체결기구를 설치한다.
상기 체결기구는 손잡이대(140)의 횡방향 연결부재(144) 중앙부에 고정 설치되어 록킹축(155)이 삽입, 통과하도록 된 축삽입부(148)와, 상기 축삽입부(148)와 록킹축(155)을 체결하는 체결핀(149)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핀(149)은 축삽입부(148)와 록킹축(155)의 체결홀에 끼워져 축삽입부(148)와 록킹축(155)을 서로 고정하게 된다.
결국, 뒷바퀴 지지축(153)이 슬립조인트부(161)의 록킹부(164)에 걸리도록 3륜 지지상태로의 전환이 이루어진 뒤 체결핀(149)을 삽입하여 축삽입부(148)와 록킹축(155)을 고정하게 되면, 슬립조인트부(161)의 록킹부(164)에 삽입된 상태로 뒷바퀴 지지축(153)을 고정할 수 있고, 이에 울퉁불퉁한 지면을 장거리 이동하더라도 뒷바퀴 지지축(153)이 록킹부(164)에서 이탈되지 않고 확실한 록킹상태로 유지될 수 있어 안정적으로 화물을 운반할 수 있게 된다.
전환 조작을 설명하면, 우선, 뒷바퀴 지지축(153)이 슬릿(162)의 축이동부(163)에 위치한 상태(고정상태)에서, 하부지지대(160)가 지면으로부터 떨어지도록, 그리고 뒷바퀴 지지축(153)이 축이동부(163) 하단까지 이동되도록, 사용자가 손수레(100)의 손잡이(142)를 잡고 적재프레임(130) 후부를 위로 들어 올려준다.
이때, 뒷바퀴(150)가 자중에 의해 지면에 닿은 상태이지만, 하부지지대(160)에 설치된 슬립조인트부(161)를 포함하여 적재프레임(130) 후부가 위로 들어 올려지므로, 뒷바퀴 지지축(153)이 축이동부(163)를 따라 하단까지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은 손잡이(142)를 후방으로 살짝 당겨주면, 적재프레임(130), 하부지지대(160), 슬립조인트부(161)가 후방으로 살짝 움직이면서 뒷바퀴 지지축(153)이 쉽게 록킹부(164)로 넘어가게 된다.
이 순간에서 손잡이(142)를 위로 올려주고 있던 힘을 빼주어 적재프레임(130) 후부를 아래로 내려놓게 되면, 뒷바퀴 지지축(153)이 록킹부(164)에 완전히 삽입되면서 뒷바퀴 지지축(153) 상에 슬립조인트부(161)가 위로 올려진 상태로 지지되게 된다.
결국, 뒷바퀴 지지축(153)이 록킹부(164)에서 상방으로 걸리어 록킹된 상태가 되며, 이후에는 뒷바퀴 지지축(153)이 록킹부(164)에 록킹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적재프레임(130) 후부가 아래로 내려오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록킹부(164)를 통해 슬립조인트부(161)가 뒷바퀴 지지축(153) 상에서 지지되는 상태가 되면, 적재프레임(130) 후부를 포함하여 손잡이대(140) 및 슬립조인트부(161)가 위로 들린 상태가 되어 하부지지대(160)가 지면에 접지되지 않게 되며, 이로써 앞바퀴(120)와 뒷바퀴(150)에 의해서만 하중이 지지된 상태로 손수레(100)의 전후 이동이 가능해진다(3륜 지지상태).
이 상태에서 체결핀(149)을 꽂아 뒷바퀴 지지축(153)에 연결된 록킹축(155)을 손잡이대(140)의 축삽입부(148)에 체결하게 되면, 뒷바퀴 지지축(153)이 슬립조인트부(161)의 록킹부(164)에 안정적으로 록킹되어 확실한 3륜 지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3륜 지지상태에서 다시 고정상태로 전환하고자 하면, 체결핀(149)을 뽑아준 뒤, 뒷바퀴 지지축(153)이 록킹부(164) 하단으로 내려오도록 사용자가 손수레(100)의 손잡이(142)를 잡고 적재프레임(130) 후부를 살짝 들어주게 된다. 이때, 뒷바퀴(150)가 자중에 의해 지면에 닿은 상태이지만, 슬립조인트부(161)가 들어 올려지므로 뒷바퀴 지지축(153)이 록킹부(164) 하단까지 이동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142)를 잡고 전방으로 살짝 힘을 주면서 손잡이(142)를 내려놓게 되면, 뒷바퀴 지지축(153)이 쉽게 축이동부(163)로 넘어가며, 뒷바퀴 지지축(153)이 축이동부(163)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되면서 하부지지대(160)가 지면에 닿게 된다.
이렇게 하부지지대(160)가 지면에 닿아 정지된 상태에서 손수레(100) 위에 농작물 등을 적재하게 되며, 이때 하부지지대(160)가 지면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손수레(100)는 전후 움직임 없이 안정적으로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정지상태에서는 손수레(100)의 자중 및 화물의 중량이 앞바퀴(120)와 하부지지대(160)에 의해 지지될 뿐, 뒷바퀴(150)는 하중을 지지하지 못하며, 손수레(100)가 하부지지대(160)에 의해 좌우 균형이 유지된 상태에서 안전하게 화물을 손수레(100)에 적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축삽입부(도 5에서 도면부호 148임)와 록킹축(155) 간에는 약간의 유격이 존재하도록 구성되는 바, 이에 도 8과 같이 정지상태로 전환될 때 뒷바퀴 지지축(153)과 일체로 움직이는 록킹축(155)이 축삽입부(148)에서 약간 움직일 수 있게 한다(체결핀은 뽑힌 상태임).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3륜 손수레의 구성 및 작동상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며,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3륜을 이용해 이동이 가능하므로 종래의 외바퀴 손수레와 같이 들고 밀어야 하는 단점이 보완될 수 있고, 더욱 많은 양의 화물을 적재하면서도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구성이 간단하면서 간단한 조작에 의해 3륜 지지상태와 하부지지대에 의한 고정상태의 전환이 가능하여 노약자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뒷바퀴에 의해 방향 전환이 가능하여 곡선도로나 S자 형 도로, 굽은 도로에서도 쉽게 목적지로 이동이 가능하며, 프레임에 충격흡수 및 완충을 위한 구성을 적용하여 화물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손수레 110 : 베이스프레임
111 : 체결단 112 : 축관
113 : 스프링지지부재 114 : 코일스프링
120 : 앞바퀴 121 : 앞바퀴 축
130 : 적재프레임 131 : 축부재
132 : 스프링지지부재 133 : 와이어결합부
134 : 와이어부재 140 : 손잡이대
141 : 손잡이봉 142 : 손잡이
143 : 보강부재 144 : 횡방향 연결부재
145 : 고정용 축관 145a : 체결홀
146 : 볼트 147 : 횡지지대
147a : 체결홀 148 : 축삽입부
149 : 체결핀 150 : 뒷바퀴
152 : 휠베이스 153 : 뒷바퀴 지지축
154 : 고정부재 155 : 록킹축
160 : 하부지지대 161 : 슬립조인트부
162 : 슬릿 163 : 축이동부
164 : 록킹부

Claims (13)

  1. 베이스프레임(1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 장착되는 좌우 한 쌍의 앞바퀴(12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10) 상측에 조립되어 화물이 적재되는 적재프레임(130)과; 상기 적재프레임(130)의 후측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손잡이대(140)와; 상기 적재프레임(130)의 후단부에 뒷바퀴 지지축(153)과 하기 슬립조인트부(161)를 매개로 하여 장착되는 뒷바퀴(150)와; 상기 적재프레임(130)의 후부 좌, 우측에 각각 하방으로 돌출 설치되고 지면에 접지된 경우 적재프레임(130)을 지지하는 동시에 브레이크 역할을 수행하는 하부지지대(160)와; 상기 좌, 우측의 하부지지대(160)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뒷바퀴(150)가 장착된 뒷바퀴 지지축(153)이 삽입되어 상하 이동되는 슬릿(162)이 형성된 슬립조인트부(16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뒷바퀴(150)가 뒷바퀴 지지축(153)에 방향 전환을 위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이 용이한 슬립 조인트형 3륜 손수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뒷바퀴 지지축(153)이 슬릿(162) 하단의 록킹부(164)에 고정될 때 상기 앞바퀴(120) 및 뒷바퀴(150)에 의해 지지 및 이동 가능한 3륜 지지상태가 되고, 뒷바퀴 지지축(153)이 록킹부(164)로부터 슬릿(162)을 따라 상방 이동한 상태일 때 상기 하부지지대(160)가 접지되는 고정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이 용이한 슬립 조인트형 3륜 손수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재프레임(130)의 후단부가 베이스프레임(110)의 후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베이스프레임(110)과의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적재프레임(130)이 충격흡수 및 완충을 위해 탄력적으로 회전 및 유동될 수 있게 상기 힌지 결합부에는 스프링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이 용이한 슬립 조인트형 3륜 손수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힌지 결합을 위해 적재프레임(130)의 후단부에 설치된 축부재(131)에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후단부에 설치된 축관(112)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스프링부재가 축관(112)에서 축부재(131)를 탄력적으로 회전시키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이 용이한 슬립 조인트형 3륜 손수레.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축부재(131) 외주 상에 장착되되, 그 일단은 베이스프레임(110)의 스프링지지부재(113)에, 타단은 적재프레임(130)의 스프링지지부재(132)에 지지되어, 적재프레임(130)이 하방으로 회전될 때 압축되고, 그 탄성복원력이 적재프레임(130)을 상방으로 복원 회전시키는 코일스프링(1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이 용이한 슬립 조인트형 3륜 손수레.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적재프레임(130)의 축부재(131)와 스프링지지부재(132)는 좌, 우측의 하부지지대(160)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이 용이한 슬립 조인트형 3륜 손수레.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적재프레임(130)의 전단부와 베이스프레임(110)의 전단부 사이에는 적재프레임(130)의 상방 움직임을 일정 유격 범위 내로 제한하기 위한 와이어부재(134)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이 용이한 슬립 조인트형 3륜 손수레.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164)에서 뒷바퀴 지지축(153)이 빠져나오지 않도록 뒷바퀴 지지축(153)의 록킹상태를 유지시키는 록킹유지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록킹유지기구는 뒷바퀴 지지축(153)에 상하로 길게 설치되는 록킹축(155)과, 상기 록킹축(155)의 상부를 손잡이대(140)에 고정하는 체결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이 용이한 슬립 조인트형 3륜 손수레.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체결기구는 손잡이대(140)에 고정 설치되어 록킹축(155)이 삽입, 통과하도록 된 축삽입부(148)와, 상기 축삽입부(148)와 록킹축(155)을 체결하는 체결핀(149)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이 용이한 슬립 조인트형 3륜 손수레.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대(140)에서 좌우 양측의 손잡이봉(141)에 사용자가 몸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된 횡지지대(147)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이 용이한 슬립 조인트형 3륜 손수레.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횡지지대(147)는 양단부가 상기 각 손잡이봉(141)에 경사방향으로 설치된 좌우 양측의 고정용 축관(145) 내부로 삽입되어 조립되고, 상기 양단부가 상기 고정용 축관(145)에 볼트(146)로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이 용이한 슬립 조인트형 3륜 손수레.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횡지지대(147)의 양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체결홀(147a)이 형성되고, 횡지지대(147)의 전후 위치 및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체결홀(147a) 중 선택된 체결홀과 고정용 축관(145)의 체결홀(145a)에 볼트(146)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이 용이한 슬립 조인트형 3륜 손수레.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립조인트부(161)에 형성된 슬릿(162)은 뒷바퀴 지지축(153)이 이동하도록 상하로 길게 형성된 축이동부(163)와, 상기 축이동부(163)의 하단 지점부터 다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록킹부(164)로 구성되어 'J' 자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이 용이한 슬립 조인트형 3륜 손수레.
KR1020100034009A 2010-04-13 2010-04-13 방향 전환이 용이한 슬립 조인트형 3륜 손수레 KR101183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009A KR101183971B1 (ko) 2010-04-13 2010-04-13 방향 전환이 용이한 슬립 조인트형 3륜 손수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009A KR101183971B1 (ko) 2010-04-13 2010-04-13 방향 전환이 용이한 슬립 조인트형 3륜 손수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4381A true KR20110114381A (ko) 2011-10-19
KR101183971B1 KR101183971B1 (ko) 2012-09-27

Family

ID=45029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4009A KR101183971B1 (ko) 2010-04-13 2010-04-13 방향 전환이 용이한 슬립 조인트형 3륜 손수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39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61519A (zh) * 2012-09-23 2014-03-26 周德林 一种防盗门运载推车
KR101528707B1 (ko) * 2014-07-25 2015-06-16 송정훈 중량표시부와 가스스프링이 구비된 동력운반차
KR101591415B1 (ko) * 2015-01-07 2016-02-11 김강록 승용차량의 적재물 승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87564B (zh) * 2013-11-05 2016-04-06 程春友 家具搬运车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31874A (en) * 2002-09-04 2007-09-28 Prestar Mfg Sdn Bhd Improved three wheeled wheelbarrow with handle adapt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61519A (zh) * 2012-09-23 2014-03-26 周德林 一种防盗门运载推车
KR101528707B1 (ko) * 2014-07-25 2015-06-16 송정훈 중량표시부와 가스스프링이 구비된 동력운반차
KR101591415B1 (ko) * 2015-01-07 2016-02-11 김강록 승용차량의 적재물 승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3971B1 (ko) 201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1827B2 (en) Collapsible wheeled support or carrier
US6341788B1 (en) Hand truck
US7306244B2 (en) Transportation device having a basket with a movable floor
US10046781B2 (en) Wheelbarrow
KR101183971B1 (ko) 방향 전환이 용이한 슬립 조인트형 3륜 손수레
US20090152826A1 (en) Cargo cart with hitch for wheeled mobility device
AU2018204399A1 (en) Child Transporter
EP1747136A1 (en) Transportation cart primarily for use in an animal barn
US20100201091A1 (en) Single-wheeled and double-wheeled wheelbarrow
KR101096305B1 (ko) 본체의 무게중심 조정기능을 갖는 외바퀴형 손수레
US20200180673A1 (en) Separable Wheel Pack Assembly
WO2012072912A1 (fr) Chariot d'achats
CA2804700C (en) Trolley for transporting loads
KR101107026B1 (ko) 슬립 조인트형의 3륜 손수레
KR20110005670A (ko) 본체의 무게중심 조정기능을 갖는 외바퀴형 손수레
WO2011025009A1 (ja) 手押し型運搬車
KR200459780Y1 (ko) 브로콜리 수확 운반기
EP2895374B1 (en) Shopping trolley with platform for a child
KR20120102526A (ko) 바퀴 접이식 손수레
FR2993235A3 (fr) Scooter equipe d'un sac a dos detachable
JP5849355B1 (ja) 一輪運搬車の補助輪取付構造
KR101185839B1 (ko) 완충수단을 구비한 일륜차
FI82913B (fi) Transportkaerra.
DK178576B1 (en) Lifting System
JP2019083737A (ja) 養蜂巣箱用手押し運搬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