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4278A - 민들레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용 및 항산화 조성물 - Google Patents

민들레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용 및 항산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4278A
KR20110114278A KR1020100033838A KR20100033838A KR20110114278A KR 20110114278 A KR20110114278 A KR 20110114278A KR 1020100033838 A KR1020100033838 A KR 1020100033838A KR 20100033838 A KR20100033838 A KR 20100033838A KR 20110114278 A KR20110114278 A KR 20110114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ndelion
extract
group
plasma
obe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3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문
이선구
Original Assignee
강원도 양구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도 양구군 filed Critical 강원도 양구군
Priority to KR1020100033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4278A/ko
Publication of KR20110114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427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8Taraxacum (dandel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iabetes (AREA)
  • Obesit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민들레에 추출용매로 물을 이용하여 초음파 추출하고, 이로부터 수득한 추출물을 pH가 6~8로 되도록 조정함으로써 제조한 민들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 및 민들레에 추출용매로 물을 첨가하여 추출하고, 이로부터 수득한 추출물을 pH가 6~8가 되도록 조정함으로써 제조한 민들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실질적이고 유효한 비만 억제 및 항산화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민들레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용 및 항산화 조성물{Antiobesitic and antioxidative composition containing the extract of Taraxacum platycarpum}
본 발명은 민들레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용 및 항산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만이란 과잉 체중 상태가 아닌 신체에 과다한 체지방이 축적된 상태를 의미하며, 신체활동과 성장에 필요한 에너지보다 칼로리 섭취가 초과하여 잉여에너지가 중성지방의 형태로 지방조직에 과잉 축적되었을 때 유발된다.
전체 체중에서 차지하는 체지방의 비율이 남자인 경우 25%, 여자인 경우 30% 이상 일 때를 비만으로 보고 있으며, 아울러 체중(kg)을 신장의 제곱(m2)으로 나눈 값으로 산출되는 체질량 지수(BMI: body mass index)가 30 이상인 경우도 비만으로 간주하고 있다.
비만은 지방조직에 의한 복부 압박으로 인하여 변비와 소화불량, 위장장애 등을 일으키고, 당뇨, 고혈압, 동맥경화, 심장병, 암 등의 성인병과 그 합병증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신체에 대한 불평, 불안, 인격장애, 우울증 등의 정신적인 병까지 유발하기 때문에 만병의 근원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비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 합성 화합물을 이용한 비만 억제용 조성물(그 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1999-0036207)들이 개발되었으나, 합성 화합물이라는 이유로 일반 소비자에게 거부감뿐만 아니라 복용시 불쾌감을 주는 경우가 많았다.
천연물 소재를 이용한 항비만 관련 조성물(그 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0009208,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0019395)들이 개발되었지만, 효능에 대한 검증이 불충분하여 실질적으로 비만 억제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 의구심이 많은 게 현실이다.
한편, 인간을 포함한 모든 호기성 생물체는 산소를 이용한 에너지 대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활성산소에 대하여 근본적으로 자기방어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인간의 경우, 조직의 방어 능력을 초월한 활성산소의 생성은 관절염, 순환기장애뿐만 아니라, 노화촉진, 치매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질환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Halliwell et al., Drugs, 42, p569-605, 1991; Fukuzawa et al.,J. Act. oxyg. Free Rad, 1, pp 55-70, 1990).
생체막 구성성분인 인지질의 불포화지방산은 활성산소종과 같은 자유라디칼에 의해 과산화 반응이 개시되고, 연쇄적으로 진행된다. 자유라디칼에 의한 과산화반응은 세포막의 투과성을 항진시킬 뿐 아니라 전반적인 세포독성을 초래하여 노화현상이나 이에 따른 여러 가지 질환의 병리현상을 유도하여 발암과정에도 관여한다.
또한, 산화적 스트레스와 관련된 질환인 아토피성 질환, 고혈압, 심근경색, 동맥경화, 류머티스, 백내장, 파킨슨씨병 등의 여러 가지 만성질환의 진행에도 많은 영향을 주며(DeSouza LC et al., Bioorg. Med. Cehm. Lett., 14, pp5859-5861, 2004), 면역계 기능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Pike J et al., Int. J. Vitam. Nutr. Res., 65, pp117-120, 1995).
활성산소종의 발생 억제 및 제거를 위한 항산화 물질의 개발은 현재까지 많이 이루어져 왔고, 지금까지 알려진 천연 항산화 물질로는 토코페롤 (tocopherol)류, 플라보노이드 (flavonoid)류, 고시폴(gossypol), 세사몰 (sesamol), 오리자놀 (oryzanol) 및 비타민 C 등을 들 수 있다(Huson B et al., Food Chem., 19, pp537-541, 1987 ; Frankel, E.N. Food Chem., 57, p51, 1996 ; Giese J, Food Technol., 5, pp73-81, 1996 ; Pszcczola DE, Food Tech., 55, pp51-59, 2001).
하지만, 항산화 소재 원료의 공급 원활화, 대체 물질의 개발로 말미암은 적정한 가격의 유지 및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 요구 충족의 측면에서 추가적인 천연 항산화 물질의 개발이 꾸준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실질적인 비만 억제 효과 및 항산화 효과를 발휘하는 새로운 천연 소재를 발굴하고, 이를 비만 억제용 조성물 및 항산화 조성물로 개발하여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민들레에 추출용매로 물을 첨가하여 초음파 추출하고, 이로부터 수득한 추출물을 pH가 6~8이 되도록 조정함으로써 제조한 민들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민들레를 추출용매로 물을 첨가하여 추출하고, 이로부터 수득한 추출물을 pH가 6~8이 되도록 조정함으로써 제조한 민들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민들레(Taraxacum platycarpum)는 한국·중국·일본에 분포하는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들판에서 볕이 잘 드는 곳에서 자란다. 민들레 잎에는 비타민 A가 14,000 I.U./100g 함유되어 있고, 그 외 비타민 E, 비타민 C 등도 풍부하며, 칼륨, 칼슘, 철 등의 무기질성분과 고미성분의 글라이코사이드류 또한 풍부하다. 민들레 뿌리에는 주요 고미물질인 타라삭신, 이뉼린이 풍부하고, 카로티노이드 성분인 타라사씬, 트리터펜 성분인 타락솔, 타라사스테롤 등이 존재하며, 다른 국화과 약용식물에 비해 단백질 함량이 높고, 아미노산 조성과 함량도 우수하다. 특히, 쌀에 부족하기 쉬운 라이신, 류신 등의 필수아미노산이 풍부하여 쌀을 주식으로 하는 우리 식생활에 이용될 때 영양적 효과가 높을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한방에서는 꽃피기 전의 식물체를 포공영(蒲公英)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열로 인한 종창·유방염·인후염·맹장염·복막염·급성간염·황달에 효과가 있으며, 열로 인해 소변을 못 보는 증세에도 사용한다. 민간에서는 젖을 빨리 분비하게 하는 약제로도 사용한다.
본 발명의 비만 억제용 조성물은 민들레에 추출용매로 물을 첨가하여 초음파 추출하고, 이로부터 수득한 추출물을 pH가 6~8이 되도록 조정함으로써 제조한 민들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이하 '민들레 초음파 물 추출물'이라 칭함)을 함유하는데, 하기 본 발명의 실험예로부터 민들레 초음파 물 추출물 처리군이 대조군(민들레 초음파 물 추출물 무 처리군)에 비해 혈장 내 트리글리세라이드, 글루코스 및 유리 지방산을 감소시키고, 혈장 내 총 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면서 HDL-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간장 내 총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라이드도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본 발명의 항산화 조성물은 민들레에 추출용매로 물을 첨가하여 추출하고, 이로부터 수득한 추출물을 pH가 6~8이 되도록 조정함으로써 제조한 민들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이하 '민들레 물 추출물'이라 칭함)으로 함유하는데, 하기 본 발명의 실험예로부터 대조군(민들레 물 추출물 무 처리군)에 비해 혈장 및 간장 내 TBARS(thiobarbituric acid reacting substances) 농도를 감소시키고, 혈장 내 GSH-Px(glutathione peroxidase), 간장 내 SOD(Superoxide Dismutase) 및 간장 내 카타라제(catalase)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만 억제용 조성물은 혈장 내 트리글리세라이드, 글루코스 및 유리 지방산, 총 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고, HDL-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며, 간장 내 총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라이드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유효한 비만 억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항산화 조성물은 혈장 및 간장 내 TBARS(thiobarbituric acid reacting substances) 농도를 낮추고, GSH-Px(glutathione peroxidase), 간장 내 SOD(Superoxide Dismutase) 및 간장 내 카타라제(catalase)활성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유효한 항산화 효과를 발휘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하기 실시예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실시예 : 민들레 추출물 제조
민들레에 추출용매로 물을 첨가하고 초음파 추출을 통해 추출물을 수득한 후, 이를 pH 7이 되도록 조정함으로써 민들레 추출물(S7)을 제조하였다.
한편, 민들레에 추출용매로 물을 첨가하여 추출하고, 수득된 추출물의 pH를 7이 되도록 조정하여 민들레 추출물(N7)을 수득하였다.
또한, 민들레에 추출용매로 물을 첨가하여 추출하고, 수득된 추출물을 pH가 11이 되도록 조정하여 민들레 추출물(N11)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 본 발명 민들레 추출물의 항비만 항산화능 측정
평균체중이 195.71±5.38 g의 Sprague-Dawely계 수컷 40두에 고지방식이를 8주간 급여한 후, 체중이 390 g 이상인 35두를 선발하여 7개 처리군 즉 대조군(생리식염수 100 mg/kg 처리군), S7-1군(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S7 100 mg/kg 처리군), S7-2군(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S7 200 mg/kg 처리군), N7-1군(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N7 100 mg/kg 처리군), N7-2군(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N7 200 mg/kg 처리군), N11-1군(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N11 100 mg/kg 처리군) 및 N11-2군(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N11 200 mg/kg 처리군)으로 나누고, 평균체중이 유사하게 각 처리 군당 5두 씩 임의 배치했다.
비만을 유도한 후, 시험기간 4주 동안 각 처리군들의 식이 급여는 전 처리군 동일하게 기본식이를 급여하였으며, 급여량은 각 처리군 간 섭취량의 차이가 5% 이내가 되도록 균등 급여하였다. 물은 자유 급여하였다.
하기의 모든 실험결과는 SPSS package를 이용하여 'one-way ANOVA'검정을 수행하였으며, 각 처리군 간의 유의성 검정은 'Duncan's multiple range test' 에 의해 P<0.05 수준에서 실시했다.
(1) 체중 변화 측정
상기 각 처리군 별 체중은 시험 개시 시와 시험 종료 시에 측정하였다.
처리군 비만 유도 후, 실험개시 시(g) 실험 종료 시(g)
대조군 405.40±5.32NS 389.40±8.96d
S7-1 405.20±8.44NS 383.80±5.97bc
S7-2 401.20±6.98NS 372.40±7.33a
N7-1 400.80±4.32NS 382.20±6.22bc
N7-2 407.60±5.13NS 381.40±5.03abc
N11-1 404.40±8.04NS 381.60±7.89abc
N11-2 403.20±7.56NS 377.40±4.51ab
NS:유의적인 차이가 없음 (P>0.05).
abc: 동일한 컬럼에서 다른 문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 (P<0.05).
측정결과(표 1), 실험 개시 시점의 체중은 각 처리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실험 종료 시점의 체중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모든 처리군에서 낮게 나타났고, 특히 S7-2군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2) 혈장 및 간장 TBARS 측정
채혈을 위해 실험종료 12시간 전에 식이를 중단하고 절식한 상태에서 심장천자법에 의해 채혈, 공시하였다.
혈장 TBARS의 정량을 위해 EDTA처리 혈액으로부터 혈장을 분리하고, 37℃에서 120분간 배양 후 'Buege와 Aust의 방법'에 의해 혈장 TBARS를 정량하였다.
간장 내 TBARS 정량은 'Ohkawa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처리군 혈장 TBARS(nmoles MDA/ml) 간장 TBARS(nmoles MDA/g)
대조군 26.00±3.53c 19.60±1.67b
S7-1 25.00±2.92bc 18.80±2.17b
S7-2 21.40±2.61ab 19.20±1.48b
N7-1 24.20±2.12bc 18.60±1.52b
N7-2 19.20±1.30a 12.80±1.48a
N11-1 22.00±2.39ab 19.80±1.64b
N11-2 22.20±8.57ab 18.80±1.48b
abc: 동일한 컬럼에서 다른 문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 (P<0.05).
측정결과(표 2), 대조군에 비해 모든 처리군에서 혈장 TBARS 및 간장 TBARS가 모두 낮게 나타났는데, 특히 N7-2(N7 200 mg/kg 투여군)군의 혈장 및 간장 TBARS농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N7(민들레 물 추출물)이 산화물질의 축적을 저해하는 항산화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었다.
(3) 항산화계 효소 활성치 측정
혈장 내 GSH-Px(glutathione peroxidase) 활성측정은 'Levander'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간장 내 SOD(Superoxide Dismutase) 측정은 'Flohe 등(26)'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간장 내 카타라제(catalase)활성 측정은 'Johnsson과 Hkan Borg'의 방법에 준해 수행하였다.
처리군 GSH-Px(nmoles/mg protein) SOD(unit/mg protein) CAT(μmoles(H2O2)/min/mg protein)
대조군 120.60±1.67a 14.80±3.35ab 43.80±5.76a
S7-1 140.40±10.64bc 14.20±2.28a 44.20±4.87a
S7-2 159.90±8.83c 15.00±2.92ab 58.80±8.70b
N7-1 135.60±9.53ab 15.20±2.39ab 56.80±6.50b
N7-2 191.40±18.41d 18.40±2.41b 88.20±7.39c
N11-1 154.20±10.57c 14.20±1.92a 44.20±7.29a
N11-2 158.80±18.70c 15.28±2.76ab 56.40±7.73b
abc: 동일한 컬럼에서 다른 문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 (P<0.05).
측정결과(표 3), 대조군에 비해 처리군의 GSH-Px, SOD 및 CAT의 활성치는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특히 N7-2(N7 200mg/kg 투여군)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N7(민들레 물 추출물)이 항산화계 효소활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었다.
(4) 혈장 내 트리글리세라이드 ( triglyceride , TG ) 및 글루코스 ( glucose ) 및 유리지방산( free fatty acid , FFA ) 측정
혈장 내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TG), 글루코스(glucose) 농도는 혈액자동분석기 (Boehringer Manheim, 독일)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혈장 내 유리지방산(FFA) 함량은 'V-NEFA kit(일수제약, 일본)'를 이용한 효소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처리군 혈장 TG(mg/dl) 혈장 글루코스(mg/dl) 혈장 FFA(μEq)
대조군 228.60±19.17c 225.20±23.34c 922.00±32.48c
S7-1 209.40±12.21bc 196.80±16.71a 821.00±42.88b
S7-2 159.80±17.77a 195.00±19.69a 678.60±34.25a
N7-1 214.80±7.73bc 194.80±18.36a 813.40±15.44b
N7-2 195.60±11.52b 195.80±15.93a 806.60±46.53b
N11-1 215.40±14.47bc 200.80±17.94ab 797.80±35.67b
N11-2 203.20±12.52b 204.00±17.28ab 805.80±24.07b
abc:동일한 컬럼에서 다른 문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 (P<0.05).
측정결과(표 4), 대조군에 비해 모든 처리군에서 혈장 내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유리지방산, 글루코스의 농도가 낮게 나타났는데, 특히 S7-2(S7 200mg/kg 처리군)에서 혈장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유리지방산이 낮게 나타났다.
(5) 혈장 내 총 콜레스테롤( total cholesterol , TC ), LDL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측정
혈장 내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TC), LDL-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은 혈액자동분석기(Boehringer Manheim, 독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처리군 혈장 TC(mg/dl) 혈장 LDL-콜레스테롤(mg/dl) 혈장 HDL-콜레스테롤(mg/dl)
대조군 209.60±10.12c 27.80±3.96d 12.80±1.79a
S7-1 187.20±9.36b 21.80±3.83c 12.60±1.82a
S7-2 134.40±19.61a 17.20±3.19a 18.00±2.24b
N7-1 197.60±11.80bc 21.20±2.39bc 12.40±1.67a
N7-2 188.00±10.60b 18.60±2.61bc 13.60±2.07a
N11-1 203.00±12.43bc 21.80±2.39c 13.00±2.35a
N11-2 194.60±10.90bc 19.60±1.67bc 12.80±2.49a
abc: 동일한 컬럼에서 다른 문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 (P<0.05).
측정결과(표 5), 혈장 내 총 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은 모든 처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낮게 나타났고, HDL-콜레스테롤은 대조군에 비해 처리군에서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특히 S7-2(S7 200mg/kg 투여군) 처리군에서 혈장 총 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6) 간장 내 총 콜레스테롤( total cholesterol , TC ) 및 트리글리세라이드( triglyceride , TG ) 측정
간장 내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TC) 및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TG) 양은 정량용 'kit(Wako Co., 일본)'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처리군 간장 TC(mg/g) 간장 TG(mg/g)
대조군 22.80±3.03NS 25.00±2.12c
S7-1 19.00±1.58NS 21.80±2.17b
S7-2 14.20±1.64NS 15.20±1.79a
N7-1 20.80±1.48NS 21.20±1.92b
N7-2 22.20±2.05NS 19.80±2.28b
N11-1 20.80±3.27NS 21.00±1.87b
N11-2 24.40±2.58NS 20.60±1.82b
NS: 유의적인 차이가 없음 (P>0.05).
abc: 동일한 컬럼에서 다른 문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P<0.05).
측정 결과(표 6), 간장 내 총 콜레스테롤에 대해서 대조군과 처리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간장 내 트리글리세라이드에 대해서는 대조군에 비해 모든 처리군이 낮게 나타났고, 특히 S7-2(S7 200 mg/kg 투여군) 처리군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7) GOT (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 및 GPT(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활성치 측정
GOT(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및 GPT(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활성치는 혈액자동분석기 (Boehringer Manheim, 독일)에 의해 측정하였다.
처리군 GOT(karmen unit) GPT(karmen unit)
대조군 43.40±3.78c 42.40±4.34b
S7-1 38.80±3.56abc 36.00±4.00a
S7-2 40.40±2.30bc 38.40±3.58ab
N7-1 39.40±3.36abc 35.40±4.36a
N7-2 34.80±3.96a 34.40±4.36a
N11-1 41.20±3.35c 36.00±3.54a
N11-2 35.00±5.92ab 34.60±3.36a
abc: 동일한 컬럼에서 다른 문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P<0.05).
측정결과(표 7), GOT 및 GPT의 활성치는 처리군들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간장 기능에 이상을 가져올 수준의 높은 수치는 아닌 것으로 판단되었다.

Claims (2)

  1. 민들레에 추출용매로 물을 첨가하여 초음파 추출하고, 이로부터 수득한 추출물을 pH가 6~8이 되도록 조정함으로써 제조한 민들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
  2. 민들레에 추출용매로 물을 첨가하여 추출하고, 이로부터 수득한 추출물을 pH가 6~8이 되도록 조정함으로써 제조한 민들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조성물.



KR1020100033838A 2010-04-13 2010-04-13 민들레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용 및 항산화 조성물 KR201101142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838A KR20110114278A (ko) 2010-04-13 2010-04-13 민들레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용 및 항산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838A KR20110114278A (ko) 2010-04-13 2010-04-13 민들레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용 및 항산화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4278A true KR20110114278A (ko) 2011-10-19

Family

ID=45029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3838A KR20110114278A (ko) 2010-04-13 2010-04-13 민들레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용 및 항산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427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0040A (ko) * 2018-11-22 2020-05-2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포공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 분해용 조성물
KR20200120549A (ko) 2019-04-12 2020-10-21 이연제약주식회사 용쑥 및 서양민들레를 포함하는 체중 또는 체지방 감소용 경구용 조성물
WO2023239222A1 (ko) * 2022-06-10 2023-12-14 (주)보인바이오컨버젼스 포공영 및 인동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0040A (ko) * 2018-11-22 2020-05-2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포공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 분해용 조성물
KR20200120549A (ko) 2019-04-12 2020-10-21 이연제약주식회사 용쑥 및 서양민들레를 포함하는 체중 또는 체지방 감소용 경구용 조성물
WO2023239222A1 (ko) * 2022-06-10 2023-12-14 (주)보인바이오컨버젼스 포공영 및 인동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04805A1 (en) Compositions of Hoodia Gordonii and Pinolenic Acid Derivatives
US20210220422A1 (en) Dietary supplement compositions and methods
Mekkara nikarthil Sudhakaran et al. A review on nutritional composition, antinutritional components and health benefits of green gram (Vigna radiata (L.) Wilczek)
JP2007535576A (ja) 迅速な体重減少を促進し、カロリーを燃焼させ、熱発生を増大させ、エネルギー代謝を補助し、且つ/または食欲を抑制する栄養組成物
WO2006023646A1 (en) Nutritional supplement for body fat reduction
JP2023510235A (ja) 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組成物
KR101425466B1 (ko) 발효 청미래덩굴 잎,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1280300B1 (ko) 인삼씨오일을 주로 하는 건강보조식품
Shareena et al. Traversing through half a century research timeline on Ginkgo biloba, in transforming a botanical rarity into an active functional food ingredient
Jeon et al. Effects of pine needle extract on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and obesity in high-fat diet fed rats
KR20150055876A (ko) 체지방 감소 또는 체중 감소를 위한 조성물
Chen et al. Procyanidin B2: A promising multi-functional food-derived pigment for human diseases
EP2891496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COMPLEX EXTRACT OF CRATAEGI FRUCTUS and CITRI PERICARPIUM AS AN ACTIVE INGREDIENT FOR TREATING OR PREVENTING OBESITY OR LIPID-RELATED METABOLIC DISEASES
KR102519649B1 (ko) 캠퍼롤 및 에피카테킨 갈레이드를 포함하는 홍경천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114278A (ko) 민들레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용 및 항산화 조성물
KR101177380B1 (ko) 옥수수염 추출물, 표고버섯 추출물, 청고추 추출물 및 팥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WO2005053723A1 (en)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cucurbitaceae family plant or the purified extract isolated therefrom having anti-adipogenic and anti-obesity activity
KR102003755B1 (ko) 간세포 보호 효과 및 골 밀도 증가 효과를 갖는 쿠메스테롤 함유 발아발효콩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US20220095663A1 (en) Complex mushroom mycelium composition having liver function-improving activit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WO2009091121A2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s of lysimachia clethroide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s
KR20170015844A (ko) 멀꿀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콜성 간 손상에 대한 간 보호 기능을 갖는 약학적 조성물
US20050069593A1 (en) Nutritional supplement containing 7-Keto-DHEA and conjugated linoleic acid
KR20120022085A (ko) 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고지혈증, 동맥경화, 지방간, 당뇨 또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제형
JP2011195533A (ja) 線維芽細胞増殖促進剤および抗老化剤
KR20110115861A (ko) 비만억제용 발아현미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