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4205A - 야채 및 과일 자동 세척기 - Google Patents

야채 및 과일 자동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4205A
KR20110114205A KR1020100033713A KR20100033713A KR20110114205A KR 20110114205 A KR20110114205 A KR 20110114205A KR 1020100033713 A KR1020100033713 A KR 1020100033713A KR 20100033713 A KR20100033713 A KR 20100033713A KR 20110114205 A KR20110114205 A KR 20110114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shing
ozone
vortex
vegetab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3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4512B1 (ko
Inventor
이중영
Original Assignee
우먼스월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먼스월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먼스월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3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4512B1/ko
Publication of KR20110114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4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4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4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4Devices for washing vegetab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6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using perforated drums in which the article or material is plac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02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with means for agitating the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존수를 이용하여 물의 와류현상을 통해 야채 또는 과일에 묻어 있는 잔류농약, 흙 및 이물질을 자동으로 세척 및 살균하여 청결한 야채 및 과일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한 야채 및 과일 자동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수용홈을 갖는 몸체를 구성하여 상기 수용홈 내측에서 오존수가 와류현상을 일으켜 야채 및 과일의 세척이 용이하도록 상기 뚜껑 일측에 와류물살패널이 설치되고, 상기 와류물살패널의 와류현상과 함께 오존수가 세척통 중앙으로 모여지도록 상기 세척통의 상부에 세척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몸체의 수용홈에 세척통을 넣은 상태에서 구동부의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오존수의 회전에 의한 와류현상이 발생하고, 와류현상에 의해 와류물살패널에 의해 세척수가 세척통 중앙으로 떨어져 야채 및 과일의 때리는 작용에 의해 세척이 잘 이루어지며, 오존부에서 생성한 오존에 의해 야채 및 과일에 묻어 있는 잔류 농약 및 기생충 등의 제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세척이나 살균 및 탈수를 하나의 일체화된 장치에서 일괄처리할 수 있어 장치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처리되는 야채 및 과일의 세척 처리과정에서 이동시킬 필요가 없어 이동에 따르는 손상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야채 및 과일 자동 세척기{Vegetable and fruit automatic washer}
본 발명은 야채 및 과일 자동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존수를 이용하여 물의 와류현상을 통해 야채 또는 과일에 묻어 있는 잔류농약, 흙 및 이물질을 자동으로 세척 및 살균하여 청결한 야채 및 과일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한 야채 및 과일 자동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의 급수장치로부터 급수되는 물로 과일 또는 야채를 세척하는 경우, 표피가 두껍거나 매끈한 과일 또는 야채를 세척을 할 수 있지만, 표피가 얇거나 요철면을 가진 과일 또는 야채의 경우에는 세척수가 닿지않는 부분에는 세척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원하는 만큼의 세척효과를 거둘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급수관에서 자유 낙하하는 세척수에만 의존함으로써 세척효율을 높일 수 없었고 손으로 비비면서 세척을 하기 때문에 과일 또는 야채 등의 표피를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과일·야채 세척기가 개발되었는데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2004-0036320호에서는 초음파 발생장치를 설치한 과일·야채 세척기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과일·야채 세척기들은 과일·야채를 담기 위한 커다란 수조를 구비하고 있어 그 규모가 크므로 사용장소에 제약이 크며, 구조가 복잡하여 사용방법 역시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규모가 크고 장치가 복잡한 만큼 제품의 단가가 높아 과일·야채 세척기의 뛰어난 효과를 알면서도 일반인들이 구입할 엄두도 내지 못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과일·야채 세척기는 수조에 담긴 세척수의 수위에 관계없이 작동되므로, 세척수가 없거나 수위가 낮을 때 무리하게 가동되어 진동의 충격을 세척기가 고스란히 받아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세척수의 수위가 너무 높아 세척기가 가동이 되어도 세척효율이 떨어지는데도 가동되어 전기가 낭비되는 문제점이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잔류 농약, 이물질 등을 세척하기 좋은 물로 오존수를 꼽을 수 있다.
상기 오존수(농도 0.03ppm범위)에 과일이나 야채 등의 과채류를 세척하면 완벽한 살균 및 농약 잔여 성분의 제거가 가능하다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유통 과정에 있는 야채의 살균 및 신선도 유지와 농약 잔여 성분을 제거하는데 적합한 처리 장치가 없기 때문에 농가 소득 증대는 물론 국민 보건 증진에 있어 많은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856857호(이하 종래발명이 칭함)에서는 오존수를 이용하여 야채 및 과일을 세척하는 구성이 개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발명은 오존수에 의해 잔류농약은 제거할 수 있으나 야채나 과일에 묻어 있는 이물질이 제거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언급하면 종래발명은 물의 회전에 따른 와류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또한 물의 회전에 의해 뚜껑 내측에 부딪힌 물이 용기 내측으로 떨어질 때 물의 힘이 약하기 때문에 제대로 세척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뚜껑 내측에 와류패널을 설치하여 오존수가 와류현상을 일으켜 야채 및 과일의 세척이 잘되도록 한 야채 및 과일 자동 세척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물을 계속하여 사용함에 따라 용기 내측에 생기는 물때를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한 야채 및 과일 자동 세척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된 상태의 수용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뚜껑과; 상기 수용홈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오존수가 유입 및 배출되는 통공이 형성된 세척통과; 상기 몸체 내측에 상기 세척통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수용홈에 커플링이 설치된 구동부와; 상기 수용홈으로 물의 유입 및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 설치되는 급/배수부와; 상기 수용홈의 내측으로 오존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오존부와; 상기 구동부, 급/배수부, 오존부 및 컨트롤부에서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수용홈에 설치된 세척통을 회전시키고, 야채 및 과일을 세척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부와; 상기 몸체에서 뚜껑의 개폐를 제어하는 록킹장치와; 상기 수용홈 내측에서 음이온을 발생하는 음이온발생기로 구성된 야채 및 과일 자동 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 내측에서 오존수가 와류현상을 일으켜 야채 및 과일의 세척이 용이하도록 상기 뚜껑 일측에 와류물살패널이 설치되고, 상기 와류물살패널의 와류현상과 함께 오존수가 세척통 중앙으로 모여지도록 상기 세척통의 상부에 세척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 및 과일 자동 세척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물살와류패널은 원형의 베이스패널이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패널의 일측에 제1격벽과 제2격벽이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제1격벽과 제2격벽 사이에는 물살이 와류될 수 있도록 와류물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필터를 고정하는 고정돌기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는 패킹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 및 과일 자동 세척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세척돌기는 세척통의 상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좁게 형성되어 오존수가 세척통의 내측으로 모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 및 과일 자동 세척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와류물살돌기는 물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어슷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 및 과일 자동 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몸체의 수용홈에 세척통을 넣은 상태에서 구동부의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오존수의 회전에 의한 와류현상이 발생하고, 와류현상에 의해 와류물살패널에 의해 세척수가 세척통 중앙으로 떨어져 야채 및 과일의 때리는 작용에 의해 세척이 잘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오존부에서 생성한 오존에 의해 야채 및 과일에 묻어 있는 잔류 농약 및 기생충 등의 제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세척이나 살균 및 탈수를 하나의 일체화된 장치에서 일괄처리할 수 있어 장치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처리되는 야채 및 과일의 세척 처리과정에서 이동시킬 필요가 없어 이동에 따르는 손상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세척을 위하여 농산물의 표면에 과도한 외력을 가할 필요가 없어 단단한 표피를 갖는 농산물과 연질의 표면을 갖는 농산물을 폭넓게 처리할 수 있는 범용성을 갖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야채 및 과일 자동 세척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야채 및 과일 자동 세척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야채 및 과일 자동 세척기의 뒷면 구성을 나타낸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야채 및 과일 자동 세척기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야채 및 과일 자동 세척기의 와류물살패널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
도 6a는 본 발명에 의한 야채 및 과일 자동 세척기의 바구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b는 도 5a의 바구니 저부의 구성을 나타낸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야채 및 과일 자동 세척기의 제어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야채 및 과일 자동 세척기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야채 및 과일 자동 세척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야채 및 과일 자동 세척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3은 본 발명에 의한 야채 및 과일 자동 세척기의 뒷면 구성을 나타낸 배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야채 및 과일 자동 세척기의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야채 및 과일 자동 세척기의 바구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야채 및 과일 자동 세척기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몸체(10), 뚜껑(20), 와류물살패널(23), 세척통(30), 구동부(40), 급/배수부(50), 오존부(60), 전원부(70), 컨트롤부(80). 록킹장치(90), 음이온발생기(10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통(30)이 수납될 수 있도록 수용홈(11)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11)의 일측에는 상기 뚜껑(20)이 개폐될 수 있도록 힌지(12)가 설치된다.
상기 수용홈(11)의 내측에는 물이 급수 또는 배수될 수 있도록 하기에서 설명할 급/배수구(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 배면에는 물을 급수할 수 있도록 급수관(14)이 구성되고, 상기 급수관(13)의 일측에는 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배수관(15)이 설치된다.
상기 급수관(13)은 상기 급/배수구(13)와 연결되어 수용홈(11) 내측으로 물의 유입을 원활토록 한다.
또한 배수관(14)은 상기 수용홈(11)에서 세척한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급/배수구(13)와 연결된다.
상기 뚜껑은(20)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 상부에서 힌지(12)를 축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뚜껑(20) 일측 둘레에는 야채 및 과일을 세척할 시에 오존수가 몸체(10)와 뚜껑(20) 사이에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밀패킹(21)이 설치된다.
그리고 뚜껑(20)의 내측 중앙에는 고정돌기(22a)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22a)에는 필터(22)가 설치되며, 상기 필터(22)는 물에 포함되어 있는 세균 등을 필터링 하여 더욱 깨끗한 물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필터(22)가 설치된 고정돌기(22a)에는 착/탈 가능하게 물살와류패널(23)이 설치되고, 상기 물살와류패널(23)은 원형의 베이스패널(23a)이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패널(23a)의 일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제1격벽(23b)과 제2격벽(23c)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격벽(23b)과 제2격벽(23c) 사이에는 물살이 와류되어 수용홈의 중앙부분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와류물살돌기(23ㅇ)가 형성된다.
상기 물살와류패널(23)의 중앙에는 상기 필터(22)를 고정하고 있는 고정돌기(22a)에 결합 될 수 있도록 구멍(23e)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23e)에는 결합패킹(23f)이 설치되어 그 고정을 견고히 한다.
상기 세척통(30)은 상기 수용홈(11)에 안착 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둘레에는 오존수의 유입 및 배출이 원활하도록 다수의 통공(31)이 형성된다.
그리고 세척통(30)이 회전할 때 같이 회전되는 오존수가 수용홈(11) 벽면을 따라 상승한 오존수가 세척통(30) 안쪽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세척돌기(32)가 세척통(30)의 상부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세척통(30) 상부에는 수용홈(11)에서 쉽게 꺼낼 수 있도록 손잡이(33)가 형성된다.
상기 세척통(30)의 하부에는 구동부(40)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결합홈(34)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34)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결합공(35)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35)은 추후 설명할 커플링(43)과 결합 된다.
상기 구동부(40)는 몸체(10) 내측에 통상의 구동모터(41)(미도시)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41)의 회전력을 세척통(30)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동모터(41)에서 수용홈(11) 중앙으로 회전축(42)이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42)에는 세척통(30)의 결합홈(34)에 결합되는 커플링(43)이 설치되고, 커플링(43)에는 다수의 커플링돌기(43a)가 설치되어 상기 세척통(30)의 결합공(35)과 결합 된다.
그리고 몸체(10)의 수용홈(11)에 세척통(30)이 안착 된 상태에서 야채 및 과일 등을 세척하기 위하여 물이 공급되는 급/배수부(50)가 몸체(10)에 설치된다.
상기 급/배수부(50)는 상기 세척통(30)이 설치되는 수용홈(11)으로 물을 공급할 있도록 급배수펌프(51)(미도시)가 몸체(10)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급배수펌프(51)는 야채 및 과일 등을 세척하는 장치에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 및 도면도시는 생략한다.
상기 급배수펌프(51)는 몸체(10) 배면에 설치된 급수관(14)를 통해 물이 유입을 조절하는 급수밸브(52)와 연결되고, 상기 세척통(30)에서 세척이 완료되어 오존수가 배출되면, 이를 조절하는 배수밸브(53)와 연결되어 급수 및 배수를 조절한다.
상기 급수밸브(52)와 배수밸브(53) 또한 상기 급배수펌프(51)와 동일하게 야채 및 과일 등을 세척하는 장치에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몸체(10)의 수용홈(11)에 세척통(30)이 안착 된 상태에서 야채 또는 과일 등을 세척할 시에 잔류한 농약을 제거하기 위하여 오존부(60)가 구성된다.
상기 오존부(60)는 오존을 발생하는 오존발생기(61)와, 오존발생기(61)에서 공급되는 오존을 몸체(10)의 수용홈(11) 내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오존펌프(62)가 설치되며, 상기 오존펌프(62)는 상기 오존발생기(61)와 수용홈(11)의 오존토출구(63)와 각각 연결되어 수용홈(11) 내측으로 오존을 공급한다.
상기 구동부(40), 급/배수부(50), 오존부(60) 및 컨틀롤부(8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70)가 구성된다.
상기 전원부(70)는 퓨즈(71), 보호회로(72)로 구성되며, 상기 퓨즈(71)는 입력되는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본 발명의 자동세척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구성되고, 상기 퓨즈(71)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에서 과전류, 과전압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회로(72)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부(70)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통해 본 발명의 자동세척기를 컨트롤하는 컨트롤부(80)가 구성되고, 상기 컨트롤부(80)는 버튼부(81)와, 버튼부(81)를 통해 컨트롤되는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82)로 이루어져 상기 몸체(10) 전면에 설치된다.
상기 버튼부(81)는 전원버튼(81a), 메뉴설정버튼(81b), 시간설정버튼(81c), 시작/정지버튼(81d)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버튼(81a)은 전원을 구동부(40), 급/배수부(50), 오존부(60)로 전원을 공급하며, 또한 전원버튼을 한번 누르면, 전원이 인가되고, 다시 누르면 전원이 차단된다.
상기 메뉴설정버튼(81b)은 각종 메뉴를 설정하는 것으로, 메뉴설정버튼(81b)을 누름을 통해 메뉴가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82)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시간설정버튼(81c)은 메뉴 설정에 따른 시간을 설정하여 세척, 탈수 등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시작/정지버튼(81d)은 메뉴설정버튼(81b)과 시간설정버튼(81)에서 설정한 메뉴대로 자동세척기가 시작 및 정지한다.
그리고 상기 버튼부(81)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에 따라 구동부(40), 급/배수부(50), 오존부(60), 전원부(70)를 제어하거나 컨트롤부(80)의 제어신호를 인가받는 자동세척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83)이 구성된다.
상기 마이컴(83)은 야채 및 과일의 세척하기 위한 기능 및 세척한 야채 및 과일 등의 물기를 제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자동 세척기를 통해 제어하고, 상기 마이컴(83)에는 수용홈(11) 내측에 유입되는 오존수의 압력을 체크하여 물의 양을 판단하는 수압체크센서(84)가 설치된다.
미설명 부호 90은 록킹장치인 것으로, 전기밥솥 등과 같이 뚜껑을 개폐하는 기기들에서 사용하는 통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당업자라면 누구나가 쉽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야채 및 과일 자동 세척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몸체(10) 내측에 형성된 수용홈(11)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몸체(10) 배면에 설치된 급수관(1)에 통상의 물공급 호스(미도시)를 연결한다.
물공급 호스를 연결한 상태에서 통상의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몸체(10) 배면에 설치되어 있는 전원선(미부호)을 콘센트(미도시)에 연결하여 전원의 공급을 유도한다.
상기와 같이 전원선, 물공급 호스를 연결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세척통(30)에 야채 또는 과일을 각각 넣거나 또는 이들을 함께 넣은 상태에서 몸체(10)의 수용홈(11)에 안착시킨다.
상기 세척통(30)을 수용홈(11)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뚜껑(20)을 덮는데, 이때 몸체(10)에 설치된 록킹장치(90)에 의해 뚜껑(20)은 자동 세척기가 가동중일 때 오픈되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뚜껑(20)을 닫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몸체(10) 전면에 설치된 컨트롤부(80)의 전원버튼(81a)을 눌러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
상기 전원버튼(81a)을 누른 후 메뉴설정버튼(81b)과 시간설정버튼(81c)을 조작하여 메뉴와 시간을 설정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메뉴버튼(81b)과 시간설정버튼(81c)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시작/정지버튼(81d)을 누르면 표준으로 설정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의해 표준 모드를 수행한다.
사용자가 컨트롤러부(80)의 시작/정지버튼(81d)을 누르면 급수관(14)를 통해 유입되는 물은 급수밸브(52)를 통해 급배수펌프(51)로 인가되어 수용홈(11)에 형성된 급/배수구(13)를 통해 수용홈(11)으로 물을 공급한다.
상기 수용홈(11)으로 유입되는 물은 수압체크센서(84)에 의해 적정량의 물이 수용홈(11)으로 유입되도록 마이컴(83)에 신호를 인가하고, 인가된 신호를 통해 마이컴(83)에서는 물의 유입 및 차단을 급수밸브(52)를 통해 제어하여 물의 공급이 완료되면 급수를 정지한다.
상기 수용홈 내측으로 물의 공급이 완료되면 마이콤(83)에서는 오존부(60)에 제어 신호를 인가해 오존발생기(61)에서 오존을 생성하여 오존펌프(62)에 통해 오존토출구(63)로 토출시켜 수용홈(11) 내측에 오존을 공급한다.
상기와 같이 오존을 공급함과 동시에 마이컴(83)에서는 구동부(40)의 구동모터(41)에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되도록 하고, 구동되는 구동모터(41)의 회전력이 회전축(42)을 통해 커플링(43)으로 전달하여 세척통(30)을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세척통(30)은 커플링(43)에 형성된 커플링돌기(43a)에 결합공(35)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았을 때에는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회전하면서 야채 및 과일 등을 세척한다.
상기와 같이 구동모터(41)에 의해 세척통(30)이 회전하면서 수용홈(11) 내측에 담아져 있는 야채, 과일 등을 세척함과 동시에 야채, 과일 등을 세척하는 오존수가 따라서 회전한다.
상기 오존수는 수용홈(11) 내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수용홈(11)의 상방향으로 상승하는데, 이때 세척통(3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세척돌기(32)에 의해 오존수가 상기 뚜껑(20)의 일측에 설치된 와류물살패널(23) 쪽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뚜껑(20)의 저부에 설치된 와류물살패널(23)에 형성된 제1격벽(23a), 제2격벽(23b) 및 와류물살돌기(23c)에 오존수가 부딪혀 세척통(30) 중앙쪽으로 떨어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오존수는 와류되는 현상에 의해 야채 및 과일의 세척이 잘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자동세척기를 정면에서 볼 때 오존수는 몸체(10) 내측에서 회전하면서 상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와류물살패널(23)에 부딪혀 세척통(30) 중앙으로 떨어지게 되므로 오존수의 흐름은 하방에서 상방향으로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회전하는 형상을 띠면서 야채 및 과일을 세척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40)의 구동모터(41)는 일정시간 동안 정 회전한 후 다시 일정 시간 동안 역회전을 반복적으로 행하므로 야채 및 과일의 세척이 더욱 깔끔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수용홈(11)으로 공급되는 오존은 야채나 과일의 표면에 묻어 있는 잔여 농약에 작용하여 농약의 산화분해를 가속화시키는 동시에 물 융해와 물줄기의 충격으로 잔여농약을 제거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세척이 완료되면, 컨틀롤부(80)의 마이컴(83)에서 배수밸브(53)를 오픈하여 수용홈(11)에 담아진 오존수를 급/배수구(13)를 통해 몸체(10)에 설치된 배수관(15)으로 배출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야채 및 과일을 세척하는 동안 뚜껑(20) 일측에 설치된 수밀패킹(21)에 의해 오존수가 몸체(10)와 뚜껑(20) 사이에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세척이 완료된 상태에서 몸체(10) 내부를 청소하는 경우, 상기 수용홈(11)이 매끄럽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청소가 원활하고, 와류물살패널(23)이 뚜껑(20)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이를 분리하여 제1격벽(23a), 제2격벽(23b) 및 와류물살돌기(23c) 사이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몸체 11: 수용홈
12: 힌지 13: 급/배수구
14: 급수관 15: 배구관
20: 뚜껑 21: 수밀패킹
22: 필터 22a: 고정돌기
23: 와류물살패널 23a: 베이스패널
23b: 제1격벽 23c: 제2격벽
23d: 와류물살돌기 23e: 구멍
23f: 결합패킹 30: 세척통
31: 통공 32: 세척돌기
33: 손잡이 34: 결합홈
35: 결합공 40: 구동부
41: 구동모터 42: 회전축
43: 커플링 43a: 커플링돌기
50: 급/배수부 51: 급배수펌프
52: 급수밸브 53: 배수밸브
60: 오존부 61: 오존발생기
62: 오존펌프 63: 오존토출구
70: 전원부 71: 휴즈
72: 보호회로 80: 컨트롤부
81: 버튼부 82: 디스플레이
83: 마이컴 84: 수압체크센서
90: 록킹장치

Claims (4)

  1. 상부가 개방된 상태의 수용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뚜껑과; 상기 수용홈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오존수가 유입 및 배출되는 통공이 형성된 세척통과; 상기 몸체 내측에 상기 세척통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수용홈에 커플링이 설치된 구동부와; 상기 수용홈으로 물의 유입 및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 설치되는 급/배수부와; 상기 수용홈의 내측으로 오존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오존부와; 상기 구동부, 급/배수부, 오존부 및 컨트롤부에서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수용홈에 설치된 세척통을 회전시키고, 야채 및 과일을 세척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부와; 상기 몸체에서 뚜껑의 개폐를 제어하는 록킹장치와; 상기 수용홈 내측에서 음이온을 발생하는 음이온발생기로 구성된 야채 및 과일 자동 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 내측에서 오존수가 와류현상을 일으켜 야채 및 과일의 세척이 용이하도록 상기 뚜껑 일측에 와류물살패널이 설치되고,
    상기 와류물살패널의 와류현상과 함께 오존수가 세척통 중앙으로 모여지도록 상기 세척통의 상부에 세척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 및 과일 자동 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살와류패널은 원형의 베이스패널이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패널의 일측에 제1격벽과 제2격벽이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제1격벽과 제2격벽 사이에는 물살이 와류될 수 있도록 와류물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필터를 고정하는 고정돌기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는 패킹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 및 과일 자동 세척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돌기는 세척통의 상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좁게 형성되어 오존수가 세척통의 내측으로 모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 및 과일 자동 세척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물살돌기는 물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어슷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 및 과일 자동 세척기.
KR1020100033713A 2010-04-13 2010-04-13 야채 및 과일 자동 세척기 KR101154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713A KR101154512B1 (ko) 2010-04-13 2010-04-13 야채 및 과일 자동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713A KR101154512B1 (ko) 2010-04-13 2010-04-13 야채 및 과일 자동 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4205A true KR20110114205A (ko) 2011-10-19
KR101154512B1 KR101154512B1 (ko) 2012-06-13

Family

ID=45029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3713A KR101154512B1 (ko) 2010-04-13 2010-04-13 야채 및 과일 자동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451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96154A1 (en) * 2011-12-22 2014-10-29 Saniers S.L. Disinfecting appliance
KR20150135871A (ko) * 2014-05-26 2015-12-04 김철희 애완동물 세척 장치
CN105995392A (zh) * 2016-06-28 2016-10-12 权凤英 一种农产品深加工清洗消毒烘干一体机
CN108543761A (zh) * 2018-06-15 2018-09-18 佛山市拓鑫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电场净化组件清洗装置
CN115301622A (zh) * 2022-04-14 2022-11-08 诺枫瀛(上海)科技有限公司 一种果蔬清洗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5144A (ja) 2003-12-25 2005-07-14 Hisamitsu Tsukahara 野菜の洗浄殺菌方法及び装置
KR100792231B1 (ko) * 2005-12-09 2008-01-07 (주)대림테크놀로지 농산물 자동세척 및 탈수장치
KR100856857B1 (ko) * 2006-09-04 2008-09-09 주식회사 유니코사이버컴 야채 및 과일 자동 세척기
KR100940293B1 (ko) 2009-07-16 2010-02-05 주식회사 렌즈케어텍 대기압플라즈마 방식의 하드렌즈 표면 세척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96154A1 (en) * 2011-12-22 2014-10-29 Saniers S.L. Disinfecting appliance
EP2796154A4 (en) * 2011-12-22 2015-06-10 Saniers S L DISINFECTION APPARATUS
KR20150135871A (ko) * 2014-05-26 2015-12-04 김철희 애완동물 세척 장치
CN105995392A (zh) * 2016-06-28 2016-10-12 权凤英 一种农产品深加工清洗消毒烘干一体机
CN108543761A (zh) * 2018-06-15 2018-09-18 佛山市拓鑫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电场净化组件清洗装置
CN115301622A (zh) * 2022-04-14 2022-11-08 诺枫瀛(上海)科技有限公司 一种果蔬清洗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4512B1 (ko) 201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3881A (en) Dynamic ultrasonic cleaning and disinfecting device and method
US5927304A (en) Food article washer
KR101154512B1 (ko) 야채 및 과일 자동 세척기
US774839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drying and sanitizing produce
EP1370374B1 (en) Rotative cleaning and sanitizing device
EP1943932B1 (en) Household appliance for sanitizing foods
KR20090052558A (ko) 세척구가 구비된 세척장치
JP2009219472A (ja) 自動洗浄機
KR20120052524A (ko) 공기 방울을 이용한 식품 세척기
KR102359482B1 (ko) 초음파 식기 세척기
US2003007976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ashing and processing food
KR100856857B1 (ko) 야채 및 과일 자동 세척기
US6508257B1 (en) Food washing apparatus with rotary agitator and method for washing food
KR101195524B1 (ko) 야채, 과일 세척기용 압력분산구조
US201302134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infant containers and accessories
JP2020188739A (ja) 作物洗浄機
WO2018078190A1 (es) Lavazapatillas
KR20120001212A (ko) 과일 야채 세척기용 압력조절구조
KR960000240B1 (ko) 야채 세척기
KR100747703B1 (ko) 초음파살균세척기
US20090223543A1 (en) Produce cleaning device
KR100766302B1 (ko) 주방용 세척기
KR200431162Y1 (ko) 야채 및 과일 자동 세척기
KR100649454B1 (ko) 초음파 세척장치
KR200389435Y1 (ko) 수류발생부가 구비된 살균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