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4133A - 리클라이너를 구비한 유모차 - Google Patents

리클라이너를 구비한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4133A
KR20110114133A KR1020100033609A KR20100033609A KR20110114133A KR 20110114133 A KR20110114133 A KR 20110114133A KR 1020100033609 A KR1020100033609 A KR 1020100033609A KR 20100033609 A KR20100033609 A KR 20100033609A KR 20110114133 A KR20110114133 A KR 20110114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pulley
recliner
base bar
s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3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형규
박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스템
Priority to KR1020100033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4133A/ko
Publication of KR20110114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41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62Coupling unit between front wheels, rear wheels and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6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the handle bar being parallel to the front leg
    • B62B7/06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the handle bar being parallel to the front leg the handle bar moves in parallel relation during f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18Geared articul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리클라이너(recliner)를 구비한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서, 핸들바와; 상기 핸들바가 슬라이드 삽탈되는 베이스바와; 상기 베이스바에 상대적으로 고정되는 홀더와, 상기 핸들바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정역 회전되는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과 연동하여 정역 회전되는 섹터기어를 구비한 리클라이너; 및 일단부가 상기 섹터기어에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상기 섹터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베이스바에 대하여 선회하는 레그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유모차를 쉽게 접거나 펼치는 작업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리클라이너를 구비한 유모차{STROLLER HAVING RECLINER}
본 발명은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바에 대한 핸들바의 슬라이드 삽탈 시 베이스바와 레그바의 절첩이 가능하도록 한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유모차는 영유아의 이동을 위한 보조 운송수단으로서 사용상의 편의를 위해 가벼워야 하고, 쉽게 접거나 펼 수 있는 등 조작이 간편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나아가, 최근에는 많은 편의사양이 적용된 유모차가 출시되어 필요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다양한 기능의 구현이 가능한 유모차에는 그만큼 많은 수의 조작버튼, 레버 등이 구비되기 마련이어서 오히려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원하는 기능의 구현을 위해 다단계의 조작을 수행해야 함에 따른 번거로움 내지 조작상의 복잡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서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쉽게 접거나 펼치는 작업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유모차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모차에 있어서, 핸들바와; 상기 핸들바가 슬라이드 삽탈되는 베이스바와; 상기 베이스바에 상대적으로 고정되는 홀더와, 상기 핸들바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정역 회전되는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과 연동하여 정역 회전되는 섹터기어를 구비한 리클라이너; 및 일단부가 상기 섹터기어에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상기 섹터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베이스바에 대하여 선회하는 레그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바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 구비된 풀리와 보조풀리 및 상기 풀리와 보조풀리를 연동시키는 전동스트링을 포함하고, 상기 전동스트링은 그 일측이 상기 베이스바에 삽입된 핸들바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바의 슬라이드 운동에 따라 왕복 운동을 함으로써 상기 풀리 및 보조풀리를 회전시키며, 상기 리클라이너의 구동축은 상기 풀리에 축삽되어 이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핸들바는 그 하단부에 상기 전동스트링이 삽입 결합되는 구동핀이 삽입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바는 상기 구동핀의 슬라이드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슬롯과, 상기 풀리 및 보조풀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풀리가이드를 구비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이때, 상기 베이스바는, 상기 가이드슬롯과 상기 복수의 풀리가이드가 일체로서 형성된 가이드로드가 일측에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유모차는, 일측면이 상기 베이스바에 상대적으로 고정되고 타측면에 상기 리클라이너의 홀더가 고정 결합되는 고정브래킷과, 일측면이 상기 리클라이너의 섹터기어가 고정 결합되고 타측면이 상기 레그바의 일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회전브래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풀리는 상기 고정브래킷의 타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리클라이너의 구동축에 축삽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유모차는 상기 베이스바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보조핸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 의하면, 베이스바에 대한 핸들바의 슬라이드 삽탈 시 이와 연동하여 리클라이너가 회전 구동되도록 하여 상기 리클라이너와 함께 레그바가 베이스바에 절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간단한 핸들바의 조작만으로도 유모차를 쉽게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유모차의 주요부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 4, 도 5 및 도 7은 도 2의 유모차 주요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유모차의 일 구성요소를 도시한 부분 결합 사시도,
도 8a 내지 도 8d는 도 1의 유모차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 핸들(111)이 장착된 핸들바(handle bar, 110), 이 핸들바(110)가 슬라이드 삽탈되는 베이스바(base bar, 120), 이 베이스바(120)와 함께 하부 지지구조를 이루는 레그바(leg bar, 140)를 포함한다.
또한, 유모차(100)는 핸들바(110)가 베이스바(120)에 삽탈 시 레그바(140)가 베이스바(120)를 기준으로 선회하도록 하는 리클라이너(130)를 포함한다.
핸들바(110)는 버튼(112)의 누름 조작으로 베이스바(120)에 대한 록(lock)이 해제되면, 수동으로 아래측의 베이스바(120)에 슬라이드 삽입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베이스바(120)는 그 자체로 프론트 레그(front leg)를 이루어 하단부에 휠파트(wheel part, 101)가 장착된다.
2개의 베이스바(120) 간에는 연결 파이프(103)로 연결 고정된다.
레그바(140)는 그 자체가 리어 레그(rear leg)를 이루며 하단부에 휠파트(102)가 장착된다.
2개의 레그바(140) 간에도 연결 파이프(104)로 연결되어 상호간 고정된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레그바(140)의 상단 삽입구(141)로는 시트 파트(seat part)가 삽입 설치된다.
한편, 유모차(100)는 베이스바(12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보조핸들(150)을 더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4는 핸들바(110), 베이스바(120) 및 리클라이너(130)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부분 결합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바(120)의 상단부에는 커플러(121)가 체결 고정되어 있으며, 이 커플러(121)에는 'ㄱ'자 형상의 고정브래킷(161)의 일측면이 체결된다.
상기 체결된 고정브래킷(161)의 일측면 상에는 다시 상기한 보조핸들(150)이 체결 고정된다.
고정브래킷(161)의 타측면으로는 다수의 관통홀(161a)을 통해 리클라이너(130)의 좌측면에 해당하는 홀더(도 7의 131)가 삽입 결합되어 고정된다.
한편, 리클라이너(130)의 우측면에 해당하는 섹터기어(133)는 회전브래킷(162)에 삽입 결합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이 회전브래킷(162)의 하단부(162a)는 연결브래킷(163)의 상단부에 면접하여 일체로 결합하고, 이 연결브래킷(163)은 다시 그 하단부가 레그바(140)에 고정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 관계에서는 리클라이너(130)의 홀더(도 7의 131)가 베이스바(120)에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리클라이너(130)의 구동축(132)이 회전 구동될 경우에는 이와 연동하여 섹터기어(133)가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섹터기어(133)에 상대적으로 고정된 관계에 있는 레그바(140)는 상기 구동축(132)을 중심으로 선회함으로써 베이스바(120)에 접히거나 이로부터 벌어지는 운동을 하게 된다.
리클라이너(130)의 자체 작동에 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리클라이너(130)의 구동축(132)은 고정브래킷(161)을 관통하여 그 반대편에 위치하는 풀리(122)에 축삽되어 이와 일체로 회전한다.
풀리(122)는 전동(傳動)스트링(string, 124)에 감겨 이 전동스트링(124)의 왕복회전에 따라 일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전동스트링(124)은 그 일측이 핸들바(110)의 하단부에 삽입 설치되는 구동핀(113, 도 5 참조)에 삽입 결합되므로, 상기 핸들바(110)의 베이스바(120)에 대한 슬라이드 삽탈에 따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베이스바(120)의 일측으로는 가이드로드(guide rod, 125)가 설치된다.
가이드로드(125)에는 상기한 핸들바(110)의 구동핀(113)이 삽입되어 이를 상하로 안내하는 가이드슬롯(125a)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풀리(12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풀리가이드(125b)가 돌출 형성된다.
물론, 베이스바(120)에는 상기한 핸들바(110)의 구동핀(113)이 돌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슬롯(120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풀리(122), 가이드로드(125) 등의 구성이 결합된 베이스바(120)의 형상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타난다.
풀리(122)와 보조풀리(123)는 가이드로드(125)의 상하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또한 전동스트링(124)에 의해 동시에 감겨 서로 연동한다.
전동스트링(124)은 보조적으로 아이들러(idler, 126)에 의해 가이드된다.
풀리(122)의 축공(122a)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리클라이너(130)의 구동축(132)이 축삽된다.
리클라이너(130)의 내부 구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 리클라이너(130)는 기본적으로 홀더(131)가 고정된 상태에서 그 구동축(132)을 회전 구동시키면 이에 따라 섹터기어(133)가 회전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해, 상기 홀더(131) 측에는 내치(131a)가 형성되고, 구동축(132)과 일체로 회전하는 캠축(134)이 마련되며, 이 캠축(134)의 회전에 따라 상기 내치(131a)에 맞물려 회전하는 제1기어(135) 및 이 제1기어(135)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2기어(136)가 구비된다.
섹터기어(133)는 상기 제2기어(136)에 맞물려 회전하게 되며, 이를 위해 그 내주면에도 내치(도면 미도시)가 형성된다.
홀더(131)의 내치(131a)와 섹터기어(133)의 내치(도면 미도시)는 서로 다른 개수의 치(teeth)를 가지게 되므로, 홀더(131)에 대한 섹터기어(133)의 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리클라이너(130)는 이상의 구성요소들을 수용 및 지지하기 위한 하우징(137)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적용되는 리클라이너(130)와 같은 종류의 것을 통상적으로 다이얼 리클라이너(dial recliner)라고 하는 바, 이러한 다이얼 리클라이너는 미국 공개특허 제2003/0178875호 "SEAT VERTICAL POSITION ADJUSTING DEVICE"(공개일: 2003.09.25.) 등에 개시된 바 있으며, 특히 본 실시예와 동일한 리클라이너(130)는 한국 특허출원 제2010-0021755호 "다이얼 리클라이너"(출원일: 2010.03.11.)에 그대로 개시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는 이의 구체적인 작동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유모차(100)는 도 8a 내지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된다.
즉, 도 8a의 펼친 상태의 유모차(100)에서 핸들바(110)를 아래의 베이스바(120)에 삽입 슬라이드시키기 시작하면, 구동핀(113)의 하강에 따라 전동스트링(도 6의 124), 풀리(도 6의 122) 및 리클라이너(130)로 이어지는 연동 관계의 회전을 통해 레그바(140)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선회하여 점차 베이스바(120)에 접근하게 된다.
도 8c는 핸들바(110)의 하강 완료 시점으로서 레그바(140)가 베이스바(120) 측으로 완전히 접힌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완전히 접혀진 유모차(100)는,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워서 보관될 수 있으며, 적은 공간만을 차지하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유모차(100)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에 의해 정하여진다.
100: 유모차 110: 핸들바
113: 구동핀 120: 베이스바
120a: 가이드슬롯 121: 커플러
122: 풀리 123: 보조풀리
124: 전동스트링 125: 가이드로드
125a: 가이드슬롯 125b: 풀리가이드
126: 아이들러 130: 리클라이너
131: 홀더 132: 구동축
133: 섹터기어 134: 캠축
135: 제1기어 136: 제2기어
137: 하우징 140: 레그바
150: 보조핸들 161: 고정브래킷
162: 회전브래킷 163: 연결브래킷

Claims (6)

  1. 유모차에 있어서,
    핸들바와;
    상기 핸들바가 슬라이드 삽탈되는 베이스바와;
    상기 베이스바에 상대적으로 고정되는 홀더와, 상기 핸들바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정역 회전되는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과 연동하여 정역 회전되는 섹터기어를 구비한 리클라이너; 및
    일단부가 상기 섹터기어에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상기 섹터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베이스바에 대하여 선회하는 레그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바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 구비된 풀리와 보조풀리 및 상기 풀리와 보조풀리를 연동시키는 전동스트링을 포함하고,
    상기 전동스트링은 그 일측이 상기 베이스바에 삽입된 핸들바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바의 슬라이드 운동에 따라 왕복 운동을 함으로써 상기 풀리 및 보조풀리를 회전시키며,
    상기 리클라이너의 구동축은 상기 풀리에 축삽되어 이와 일체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바는 그 하단부에 상기 전동스트링이 삽입 결합되는 구동핀이 삽입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바는 상기 구동핀의 슬라이드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슬롯과, 상기 풀리 및 보조풀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풀리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바는, 상기 가이드슬롯과 상기 복수의 풀리가이드가 일체로서 형성된 가이드로드가 일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5. 제1항, 제3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는, 일측면이 상기 베이스바에 상대적으로 고정되고 타측면에 상기 리클라이너의 홀더가 고정 결합되는 고정브래킷과, 일측면이 상기 리클라이너의 섹터기어가 고정 결합되고 타측면이 상기 레그바의 일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회전브래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풀리는 상기 고정브래킷의 타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리클라이너의 구동축에 축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바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보조핸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KR1020100033609A 2010-04-13 2010-04-13 리클라이너를 구비한 유모차 KR201101141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609A KR20110114133A (ko) 2010-04-13 2010-04-13 리클라이너를 구비한 유모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609A KR20110114133A (ko) 2010-04-13 2010-04-13 리클라이너를 구비한 유모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4133A true KR20110114133A (ko) 2011-10-19

Family

ID=45029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3609A KR20110114133A (ko) 2010-04-13 2010-04-13 리클라이너를 구비한 유모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413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01353A1 (en) * 2013-07-05 2015-01-08 The University Of Manchester Pushchair
CN110481619A (zh) * 2018-05-15 2019-11-22 育晋兴业股份有限公司 婴幼儿车手把兼具伸缩与收车的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01353A1 (en) * 2013-07-05 2015-01-08 The University Of Manchester Pushchair
CN110481619A (zh) * 2018-05-15 2019-11-22 育晋兴业股份有限公司 婴幼儿车手把兼具伸缩与收车的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7473B2 (ja) ベビーカーの折り畳み操作装置
US9199658B2 (en) Baby stroller folding mechanism
JP4416881B2 (ja) ベビーカーの折畳み操作装置
US20160192519A1 (en) Display apparatus
US20130076009A1 (en) Foldable stroller frame having three sections joined to and foldable around a common hub structure
EP2502801A1 (en) Baby carriage folded by one hand
EP1847439B1 (en) Foldable stroller
KR100853023B1 (ko) 접이식 자전거
KR20110121213A (ko) 유모차
JP7446749B2 (ja) プレイヤード
KR20110114133A (ko) 리클라이너를 구비한 유모차
JP5020655B2 (ja) ベビーカー
WO2017008411A1 (zh) 一种折叠机构及折叠车
CN209535175U (zh) 一种折叠童车
KR101327296B1 (ko) 유모차의 핸들
JP2007098996A (ja) ベビーカーの手押し杆
JP4261499B2 (ja) 車両用テーブル構造
EP3170719B1 (en) Foldable joint and baby stroller
GB2425284A (en) A collapsible trolley
KR200478024Y1 (ko) 차량용 암레스트 지지장치
JP5551577B2 (ja) 変速操作機構
KR20040058000A (ko) 유모차
JP4474600B2 (ja) 折畳み収納式自動車用シート
CN211252731U (zh) 一种易折叠的婴儿推车
CN111409682A (zh) 车架与婴儿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