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4068A - 비타민 복합체,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타민 복합체,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4068A
KR20110114068A KR1020100033492A KR20100033492A KR20110114068A KR 20110114068 A KR20110114068 A KR 20110114068A KR 1020100033492 A KR1020100033492 A KR 1020100033492A KR 20100033492 A KR20100033492 A KR 20100033492A KR 20110114068 A KR20110114068 A KR 20110114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tamin
soluble
complex
fa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3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8120B1 (ko
Inventor
박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산
Priority to KR1020100033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8120B1/ko
Publication of KR20110114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4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83Matrix 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91Micel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1Vitamin A; Derivatives thereof, e.g. ester of vitamin A acid, ester of retinol, retinol, reti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타민 복합체,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피부 미용에 사용되는 지용성 비타민 유도체와 수용성 비타민은 물성으로 인해 동시에 사용하기 어려우며, 취급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비타민 복합체는 지용성 비타민 유도체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상기 지용성 비타민을 마이크로 미셀화하고, 상기 마이크로 미셀을 비타민 C와 같은 수용성 비타민 코팅에 사용함으로서, 지용성 비타민 유도체와 수용성 비타민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형태의 비타민 복합체는 지용성 비타민이 갖는 피부세포의 재생효과와 대표적인 수용성 비타민인 비타민 C의 미백효과를 피부에 동시에 나타낼 수 있어, 미용과 관련된 분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비타민 복합체,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Vitamin complex, preparation methods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reof}
본 발명은 비타민 복합체,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이 높아지고 평균수명이 높아지면서, 젊고 아름다워 지려는 욕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다양한 상품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현대에 들어서 피부 주름의 개선뿐만 아니라, 미백에 대한 요구도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피부 주름의 원인이 되는 활성산소는 크게 두 가지 부류로 나누어지는데 그 중 하나는 외적인 요인으로 환경오염에 의한 여러 종류의 질소산화물과 산소 산화물 형태인 이산화질소, 오존, 자외선 등이 있으며, 내적인 요인으로는 생체 내에서 활성산소가 생성되는데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방어기작이 존재하지만,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세포가 손상되고 결과적으로 노화가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이유로 특히 피부에서 일어나는 산화적 스트레스를 억제하고자 많은 연구가 진행됐으며 억제효과가 있는 물질로 알려진 비타민 A(레티놀), 비타민 C(아스코르브산), 비타민 E(토코페롤)등의 비타민류와 각종 동식물에서 추출한 플라보노이드 등이 있으며 현재 화장료 등에 응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비타민 A는 피부세포에 존재하는 세포 핵 가운데 DNA로 하여금 RNA를 발현시켜 세포분화를 촉진하고, 동물의 세포 사이에 섬유상 고체로 존재하는 경단백질인 콜라겐과 탄성섬유로 구성된 엘라스틴 등의 생합성을 촉진해 주름을 감소시키고 피부 탄력을 증대시키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비타민 C는 타이로신 또는 페닐알라닌 등의 대사작용에도 중요한 구실을 하고 있고, 타이로신으로부터 생성되는 흑갈색 색소인 멜라닌의 형성이 비타민 C에 의해 억제될 수 있다고 잘 알려져 있다.
비타민 E는 생체 내에서 생식기능 및 근기능 유지, 항산화 기능에 관여하며, 부족하면 생식기능저하, 무정자, 유산, 불임증, 빈혈, 근육위축 현상이 일어난다. 다른 지용성 비타민에 비해 상대적으로 독성이 낮아 과잉증은 잘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지용성 비타민(비타민 A 및 비타민 E)과 수용성 비타민(비타민 C)은 매우 불안정하여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그래서 그 중에서 상기 지용성 비타민의 경우에는 당업계에서 레티닐 팔미테이트(비타민 A 유도체), 토코페롤 아세테이트(비타민 E 유도체) 등과 같은 비타민 유도체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지용성 비타민, 수용성 비타민 및 이들 비타민들의 유도체는 산화되기 쉽기 때문에, 본래의 물성을 상실하여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런 단점을 보완 하고자 다중 유화(Multiple Emulsion), 비수유화(Non-Aqua Emulsion), 액정시스템(Liquid Crystal System), 사이클로덱스트린 에 의한 포집하는 등의 경시에 따른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해왔다.
하지만, 이런 기술들은 여러 제형에 사용하는 데 한계가 있고, 지용성과 수용성 비타민을 혼합하여 안정화하는 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용성 비타민 유도체과 수용성 비타민을 혼용하여 제조되는 비타민 복합체,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비타민 복합체는, 수용성 비타민이 지용성 비타민 유도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미셀로 코팅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마이크로 미셀은 지용성 비타민 유도체인 레티놀 팔미테이트 또는 토코페릴 아세테이트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포집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성 비타민은 비타민 C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 옥시 에틸렌(15) 스테아릴 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15)올레일 에테르, 소르비탄 모노 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세스퀴 올리에이트 또는 하이드로 게네이티드 케스터오일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합체의 평균 직경은 0.30~0.9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비타민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지용성 비타민 유도체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혼합하여 마이크로 미셀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마이크로 미셀로 수용성 비타민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용성 비타민 유도체는 레티놀 팔미테이트 또는 토코페릴 아세테이트이며, 상기 수용성 비타민은 비타민 C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 옥시 에틸렌(15) 스테아릴 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15)올레일 에테르, 소르비탄 모노 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세스퀴 올리에이트 또는 하이드로 게네이티드 케스터오일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성 비타민을 마이크로 미셀로 코팅하는 방법은, 마이크로 미셀화된 레티놀 팔미테이트 및 토코페릴 아세테이트를 각각 1: 2~4의 비율로 혼합된 마이크로 미셀 혼합물을 수용성 비타민의 전체중량에 1~10 중량% 첨가하여 코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합체의 평균 직경은 0.30~0.9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비타민 복합체를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비타민 복합체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종래의 피부 미용에 사용되는 지용성 비타민 유도체와 수용성 비타민은 물성으로 인해 동시에 사용하기 어려우며, 취급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비타민 복합체는 지용성 비타민 유도체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상기 지용성 비타민을 마이크로 미셀화하고, 상기 마이크로 미셀을 비타민 C와 같은 수용성 비타민 코팅에 사용함으로서, 지용성 비타민 유도체와 수용성 비타민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형태의 비타민 복합체는 지용성 비타민이 갖는 피부세포의 재생효과와 대표적인 수용성 비타민인 비타민 C의 미백효과를 피부에 동시에 나타낼 수 있어, 미용과 관련된 분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 의해 레티닐 팔미테이트 및 토코페릴 아세테이트가 마이크로 미셀화 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비타민 복합체가 정제수 및 리퀴드 파라핀내에서의 형상을 나타내는 현미경 사진이다.
도 3은 레티놀 팔미테이트을 정량 측정한 HPLC 피크이다.
도 4는 레티놀 팔미테이트에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첨가 한 후, 이를 측정한 HPLC 피크이다.
도 5는 마이크로 미셀된 레티놀 팔미테이트 + 마이크로 미셀된 알파 토코페릴 아세테이트를 비타민 C에 첨가후 레티놀 팔미테이트만 정량 측정한 것이다.
도 6은 에센스 제품에 본 발명의 비타민 복합체를 2% 첨가하고, 측정한 HPLC 데이타이다.
도 7은 크림 제품에 본 발명의 비타민 복합체를 2% 첨가하고, 측정한 HPLC 데이타이다.
본 발명자는 지용성 비타민 유도체 및 수용성 비타민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을 연구하던 중, 지용성 비타민 유도체를 마이크로 미셀화 하고, 이를 이용하여 수용성 비타민을 코팅하여 비타민 복합체를 제조하여, 상기 비타민 복합체가 피부에 잘 흡수되며, 비타민의 기능적 효과를 피부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비타민 복합체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비타민 A의 유도체인 레티닐 팔미테이트는 피부에 바르면 “레티닐 팔미테이트 → 레티놀 → 레티노산”으로 전환된다. 생리적으로는 상피층의 단백질 생산을 촉진 시키며 피부탄력성을 증가시킨다. 화장품학적으로 레티닐 팔미테이트(비타민 A 유도체)는 잔주름과 주름의 숫자와 깊이를 줄이고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거칠음을 방지하는데 사용된다.
비타민 E 유도체인 토코페롤 아세테이트는 안정성 면에서 많이 이용되며, 인체 내 생화학 기전은 아직 완전히 규명되지 않았지만, 항산화제의 역할을 하며, 특히 지용성이 높기 때문에 세포막을 이루는 인지질 중의 불포화 지방산의 산화를 방지하여 세포막과 세포를 보호해주며 비타민E 와 아세테이트가 에스테르 결합으로 아세테이트가 천천히 가수분해되어 일단 피부에 흡수되면 토코페롤로 재생되어 태양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기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순수한 형태의 비타민 C는 공기와 열, 수분 과 빛에 의해 쉽게 파괴되는 단점 이 있다. 더욱이 수용액상에 녹는 성질에 의하여 피부 진피층까지 흡수되는 경피 흡수율이 낮고, 지속적으로 효과를 유지하기가 어렵다.
또한, 상기 비타민들은 각각 친유성과 친수성으로 인해서 서로 혼합되기 힘들어, 이를 동시에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상기 비타민들은 공기 중에 노출될 경우, 쉽게 산화되어 고유 특성이 상실되기 쉬워, 취급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지용성 비타민을 취급하기 쉬운 지용성 비타민 유도체를 사용하고, 상기 지용성 비타민 유도체를 계면활성제와 혼합하여 마이크로 미셀화한다. 상기 마이크로 미셀화된 입자는 내부는 친수성이고, 외부는 친유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므로 상기 마이크로 미셀 화된 입자를 수용성 비타민과 혼합할 경우, 상기 미셀화된 입자는 수용성 비타민 미세입자를 코팅하여 복합체가 형성된다. 상기 형성된 복합체는 피부조직에 전달되고, 친유성 및 친수성 특성을 갖는 인지질로 이루어진 세포는 전달된 복합체를 흡수하여 지용성 비타민 유도체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공기노출에 의해서 수용성 비타민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수용성 비타민을 지용성 비타민 유도체와 함께, 피부 세포에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용성 비타민 유도체는 레티놀 팔미테이트 또는 토코페릴 아세테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용성 비타민은 비타민 C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용성 비타민 유도체를 포집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피부자극이 적어 화장품과 제약분야에서 널리쓰이며 분자중에 이온으로 해리되지 않는 수산기(-OH), 에테르결합(-O-), 산아미드(-CONH), 에스테르(-COOR) 등의 관능기를 갖고 있어 친유기는 이온성계면활성제와 거의 같지만, 친수기인 폴리옥시에틸렌 사슬의 길이, 혹은 수산기의 수에 따라 많은 종류가 합성가능 하므로 지용성 비타민과도 분리되지 않고 적절히 혼합되어 수용성인 비타민 C를 코팅하므로 안정성 면에서 탁월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15)스테아릴 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15)올레일 에테르, 소르비탄 모노 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세스퀴 올리에이트 또는 하이드로 게네이티드 케스터오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 미셀로 코팅된 복합체는 수용성 비타민의 직경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평균 직경이 0.30~0.90 ㎛이 좋다. 상기 복합체의 평균 직경은 피부에 흡수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는 범위이며, 0.30 ㎛ 미만일 경우, 수용성 비타민에 코팅된 지용성 비타민 유사체의 함량이 높아 원하지 않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으며, 0.90 ㎛ 할 경우 입자가 너무 커서 피부조직에 비타민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힘들어 바람직하지 않다.
다음은 본 발명의 비타민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비타민 복합체는,
지용성 비타민 유도체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혼합하여 마이크로 미셀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마이크로 미셀로 수용성 비타민을 코팅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지용성 비타민 유도체는 세포에 무해한 유도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비타민 A의 유도체인 레티놀 팔미테이트, 비타민 E의 유도체인 토코페릴 아세테이트가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용성 비타민 유도체를 포집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피부자극이 적어 화장품과 제약분야에서 널리쓰이며 분자중에 이온으로 해리되지 않는 수산기(-OH), 에테르결합(-O-), 산아미드(-CONH), 에스테르(-COOR) 등의 관능기를 갖고 있어 친유기는 이온성계면활성제와 거의 같지만, 친수기인 폴리옥시에틸렌 사슬의 길이, 혹은 수산기의 수에 따라 많은 종류가 합성가능 하므로 지용성 비타민과도 분리되지 않고 적절히 혼합되어 수용성인 비타민 C를 코팅하므로 안정성 면에서 탁월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15)스테아릴 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15)올레일 에테르, 소르비탄 모노 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세스퀴 올리에이트 또는 하이드로 게네이티드 케스터오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지용성 비타민 유도체인 레티놀 팔미테이트 및 토코페릴 아세테이트는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피부 노화를 예방 및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용성 비타민인 비타민 C는 미백효과가 있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이 지용성 비타민 유도체와 수용성 비타민을 조합하여 사용하기 위하여, 먼저 지용성 비타민 유도체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마이크로 미셀화한 후, 이를 이용하여 수용성 비타민을 코팅하여 비타민 복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 미셀화한 지용성 비타민 유도체인 레티놀 팔미테이트 및 토코페릴 아세테이트를 1: 2~4의 비율로 하여 수용성 비타민의 전체중량에 1~10 중량% 첨가하고 혼합하여 수용성 비타민을 코팅할 수 있다. 각각의 마이크로 미셀은 상기 기재된 범위와 같이 혼합하여 처리할 수도 있으며, 각각 별도로 처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비타민 복합체의 구조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계면활성제에 의해 마이크로 미셀화된 레티놀 팔미테이트 및 토코페릴 아세테이트는 마이크로 사이즈의 작은 입자의 형태로서 내부 물질은 계면활성제이고, 외부 껍질은 각각 레티놀 팔미테이트 및 토코페릴 아세테이트이다. 또한, 상기 계면활성제의 친수성기가 마이크로 미셀활된 구조 외부로 일부분이 노출되어 있는 형태를 이루고 있다. 상기 마이크로 미셀들을 수용성 비타민인 비타민 C와 혼합하면 상기 마이크로 미셀의 외부 부분에 존재하는 친수성 부분이 수용성 비타민인 비타민 C의 표면에 결합하여, 결과적으로 마이크로 미셀이 코팅된 비타민 복합체가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타민 복합체는 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E 등의 피부 미용에 효과적인 비타민을 함께 내포하고 있어,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된다.
상기 비타민 복합체의 이용에 대해서 하기에서 상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의 비타민 복합체를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비타민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제조되는 화장품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유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이 있으며,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유연화장수가 있다.
적합한 화장품의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품은 본 발명의 비타민 복합체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비타민 복합체의 제조 1
레티놀 팔미테이트 3 g 및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3 g을 각각 비온성 계면활성제인 폴리 옥시 에틸렌(15) 스테아릴 에테르 0.3 g과 혼합하였다. 이를 실온에서 1,200rpm으로 5분간 교반하여, 레티놀 팔미테이트 마이크로 미셀과 알파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마이크로 미셀을 제조하였다.
상기 레티놀 팔미테이트 마이크로 미셀과 알파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마이크로 미셀을 1:2으로 혼합하여 마이크로 미셀 혼합물 9 g을 제조하고, 이를 분말형태의 비타민 C 100 g과 혼합하여 마이크로 미셀로 코팅된 비타민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비타민 복합체의 제조 2
레티놀 팔미테이트 3 g을 비온성 계면활성제인 폴리 옥시 에틸렌(15) 스테아릴 에테르 0.3 g과 혼합하였다. 이를 실온에서 1,200rpm으로 5분간 교반하여, 레티놀 팔미테이트 마이크로 미셀을 제조하였다.
상기 레티놀 팔미테이트 마이크로 미셀 3 g을 분말형태의 비타민 C 100 g과 혼합하여 마이크로 미셀로 코팅된 비타민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비타민 복합체의 제조 3
알파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3 g을 비온성 계면활성제인 폴리 옥시 에틸렌(15) 스테아릴 에테르 0.3 g과 혼합하였다. 이를 실온에서 1,200rpm으로 5분간 교반하여, 알파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마이크로 미셀을 제조하였다.
상기 알파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마이크로 미셀 6 g을 분말형태의 비타민 C 100 g과 혼합하여 마이크로 미셀로 코팅된 비타민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2 및 3으로 제조된 비타민 복합체는 지용성 비타민이 포집된 마이크로 미셀로 잘 코팅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하기 실험예에서는 대표물질로 상기 실시예 1을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예 1: HPLC 분석
상기 실시예 1의 비타민 복합체 코팅에 사용되는 레티놀 팔미테이트 마이크로 미셀, 알파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마이크로 미셀 및 비타민 복합체에 대해서 HPLC 실험을 진행하여, 그 결과를 하기 도 3~7에 나타내었다.
도 3은 로쉬사 에서 화장품 원료로 판매 중인 레티놀 팔미테이트를 HPLC로 정량 측정분석한 것이다(940,000IU).
도 4는 레티놀 팔미테이트에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첨가 한 후, HPLC로 정량 측정분석한 것이다(860,000IU).
도 5는 마이크로 미셀화된 레티놀 팔미테이트와 마이크로 미셀화된 알파 토코페릴 아세테이트(3%:6%)를 비타민 C에 첨가 후, 레티놀 팔미테이트만 HPLC로 정량 측정분석한 것이다(31,820 IU).
도 6은 화장료 조성물 중 에센스에 본 발명의 비타민 복합체를 2% 첨가 한 후, 레티놀 팔미테이트만 HPLC로 정량 측정분석한 것이다(617.3 IU).
도 7은 화장료 조성물 중 크림에 본 발명의 비타민 복합체를 2% 첨가 한 후, 레티놀 팔미테이트만 HPLC로 정량 측정분석한 것이다(642.7 IU)
실험예 2: 피부 안정성 실험
상기 비타민 C를 레티닐 팔미테이트 마이크로 미셀과 알파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마이크로 미셀로 코팅하여 제조된 비타민 복합체를 사용하여 피부 안전성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피부 안전성 실험은 건강한 대학생(건국대 응용 생화학) 남, 여 30명의 팔 안쪽에 실시예 1의 비타민 복합체를 함유한 패치 테스트용 반창고를 사용해 24시간 패치 실험을 실시하였다. 관찰은 4개의 반창고를 4시간마다 제거해 가면서 피부에 나타나는 홍반 이상 반응을 관찰하고, 홍반이 나타난 경우를 양성이라 하였다.
상기 안전성 실험결과, 지용성 비타민 유도체로 코팅된 본 발명의 비타민 복합체는 평균 자극정도가 0으로 피검자 전원에서 자극을 보이지 않았다. 이로 보아, 본 발명의 비타민 복합체는 피부에 자극이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비타민 복합체의 티로시나제 저해활성 측정
티로시나제 (Tyrosinase; monophenol monooxygenase, E.C.1.14.18.1, Sigma, USA) 저해 활성 측정은 티로시나제의 작용 결과 생성되는 도파퀴논을 비색법에 의해 측정하는 마사모토 등 (Masamoto Y et al., Planta Med., 40(4), pp361-365, 1980)의 방법을 일부 변형하여 실험하였다.
100 mM 인산나트륨완충액 (sodium phosphate buffer, pH 6.8) 0.6 ㎖과 버섯유래의 티로시나제(mushroom tyrosinase, 40 unit, Sigma, USA) 15 ㎕와 디메틸설폭사이드 (Dimethylsulfoxide)로 20 mg/㎖ 농도가 되도록 녹인 실시예 1의 비타민 복합체를 최종 농도가 50, 150, 450 μg/㎖이 되도록 첨가하고 최종 0.86 ㎖이 되도록 증류수로 보정하였다. 상기 혼합액을 실온에서 5분간 방치한 다음 기질로서 3.4 mM 디페닐알라닌 (DOPA, L-3,4-dihydroxyphenylalanine) 0.14 ㎖을 첨가한 후 분광광도계 (spectrophotometer; U-3000, Hitachi, Japan)로 475 nm에서 반응액 중 생성된 도파퀴논 (Dopaquinone)의 변화량을 실온에서 10분간 측정 (time scanning)하고, 시료용액 대신 용제를 첨가한 대조구의 흡광도와 비교하여 비타민 복합체의 농도별로 시간에 따른 도파가 도파퀴논으로의 변환 억제활성을 대조군과 비교하여 티로시나제 저해율(inhibition rate, %)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비타민 복합체(μg/㎖)

티로시나제 저해활성(%)

50

14.3

150

33.2

450

43.1
실험 결과, 상기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타민 복합체을 50 μg/㎖ 첨가시 14.3 %, 150 μg/㎖ 첨가시 33.2 %, 450 μg/㎖ 첨가시 43.1 %로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을 나타내는 바(IC50 = 0.53 ㎎/㎖), 상기 결과로부터 비타민 복합체의 탁월한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비타민 복합체는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에 의해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실험예 4: 비타민 복합체의 피부 주름 개선 효과 측정
본 발명의 비타민 복합체의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진행하였다.
CCD-986sk 세포를 5 ×105 세포/㎖의 밀도로 12 웰 플레이트 (Corning, USA)에 배지와 함께 넣고 37℃, 5% CO2 배양기에서 24 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실시예 1의 비타민 복합체를 1 ㎍/㎖의 농도로 가하는 것을 실험군으로 하고, 증류수만 처리한 것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이를 24시간 후 항-PIP 항체가 코팅된(anti-PIP antibody-coated) 96웰 플레이트에 항체-POD가 결합된 용액(antibody-POD conjugate sol'n) 100 ㎕를 넣고 배지 중에 유리된 샘플과 표준액 20 ㎕를 첨가하고 알루미늄 호일로 차광시킨 후 3시간 동안 37 ℃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제거하고 PBS로 4회 세척 후 말끔히 제거하고 기질용액 100 ㎕를 첨가한 후 실온에서 15분간 둔 후, H2SO4 100 ㎕를 첨가하여 가볍게 흔든 후 450 nm에서 측정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제1형 프로콜라겐(type Ⅰ procollagen) 생합성에 대해서 본 발명의 비타민 복합체가 대조군에 비하여 134.2% 높은 콜라겐 합성율을 보였다.
이로 보아, 본 발명의 비타민 복합체는 콜라겐 합성을 증가시켜, 피부 주름을 개선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비타민 복합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제조예 1: 에센스의 제조
에틸 알코올 4.00 중량%
메틸 파라벤 0.10 중량%
향 0.10 중량%
수소처리된 캐스터 오일 0.60 중량%
DL-α-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02 중량%
글리세린 5.00 중량%
1,3-부틸렌 글리콜 3.00 중량%
하이드록시 에틸 셀룰로오스 0.20 중량%
잔탄검 0.40 중량%
E.D.T.A-2Na 0.02 중량%
피쉬-콜라겐 4.00 중량%
본 발명의 비타민 복합체 0.5-2.0 중량%
증류수 잔량
제조예 2: 영양 크림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리포 2.00 중량%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1.00 중량%
폴리소르베이트 60 1.50 중량%
스테아릭산 1.00 중량%
스테아릴 알코올 2.00 중량%
스쿠알렌 6.00 중량%
세틸 옥타노에이트 2.00 중량%
쉐어 버터 1.00 중량%
메틸 폴리실록산 0.50 중량%
에틸 파라벤 0.10 중량%
글리세린 5.00 중량%
1,3-부틸렌 글리콜 3.00 중량%
EDTA-2Na 0.02 중량%
메틸 파라벤 0.20 중량%
본 발명의 비타민 복합체 0.5-2.0 중량%
증류수 잔량
제조예 3: 미백용 팩
폴리비닐알코올 15.0 중량%
카르복시메틸셀룰로이스나트륨 0.3 중량%
농글리세린 3.0 중량%
알란토인 0.1 중량%
에틸렌디아민테트라초산디나트륨 0.01 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 1.0 중량%
에탄올 6.0 중량%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15 중량%
타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05 중량%
디엘판테놀 0.1 중량%
폴리옥시에틸렌(12)노닐페닐에테르 0.5 중량%
본 발명의 비타민 복합체 45.0 중량%
향료 미량
정제수 잔량
제조예 4: 클렌징폼 조성물
스테아린산 6.5 중량%
미리스틴산 28.0 중량%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3.0 중량%
프로필렌 글리콜 5.0 중량%
농글리세린 10.0 중량%
수산화나트륨 7.0 중량%
에틸렌디아민테트라초산나트륨 0.1 중량%
본 발명의 비타민 복합체 15.0 중량%
향료 미량
정제수 잔량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12)

  1. 수용성 비타민이 지용성 비타민 유도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미셀로 코팅되어 이루어진 비타민 복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미셀은 지용성 비타민 유도체인 레티놀 팔미테이트 또는 토코페릴 아세테이트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포집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비타민은 비타민 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 옥시 에틸렌(15) 스테아릴 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15)올레일 에테르, 소르비탄 모노 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세스퀴 올리에이트 및 하이드로 게네이티드 케스터오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의 평균 직경은 0.30~0.9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
  6. 지용성 비타민 유도체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혼합하여 마이크로 미셀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마이크로 미셀로 수용성 비타민을 코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 복합체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용성 비타민 유도체는 레티놀 팔미테이트 또는 토코페릴 아세테이트이며, 상기 수용성 비타민은 비타민 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 옥시 에틸렌(15) 스테아릴 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15)올레일 에테르, 소르비탄 모노 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세스퀴 올리에이트 및 하이드로 게네이티드 케스터오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의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비타민을 마이크로 미셀로 코팅하는 방법은, 마이크로 미셀화된 레티놀 팔미테이트 및 토코페릴 아세테이트를 각각 1: 2~4의 비율로 혼합된 마이크로 미셀 혼합물을 수용성 비타민의 전체중량에 1~10 중량% 첨가하여 코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의 제조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의 평균 직경은 0.30~0.9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체의 제조방법.
  11. 제1항 내지 제5항의 비타민 복합체를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5항의 비타민 복합체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00033492A 2010-04-12 2010-04-12 비타민 복합체,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08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492A KR101208120B1 (ko) 2010-04-12 2010-04-12 비타민 복합체,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492A KR101208120B1 (ko) 2010-04-12 2010-04-12 비타민 복합체,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4068A true KR20110114068A (ko) 2011-10-19
KR101208120B1 KR101208120B1 (ko) 2012-12-05

Family

ID=45029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3492A KR101208120B1 (ko) 2010-04-12 2010-04-12 비타민 복합체,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81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7357A (ko) * 2019-05-02 2020-11-11 주식회사비타월드 비타민 복합체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코어-쉘 구조의 복합비타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5836985A (zh) * 2022-03-30 2023-03-24 广东格烯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水溶性视黄醇棕榈酸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7357A (ko) * 2019-05-02 2020-11-11 주식회사비타월드 비타민 복합체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코어-쉘 구조의 복합비타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5836985A (zh) * 2022-03-30 2023-03-24 广东格烯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水溶性视黄醇棕榈酸酯组合物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8120B1 (ko) 201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3209B1 (ko) 파이토케미컬로 표면처리된 금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DE60310731T2 (de) Neue, von noraporphin abgeleitete moleküle
CN108904302A (zh) 一种富勒烯外用组合物
EP1991222B1 (en) Melatonin and immunostimulating substance-based compositions
KR20070081192A (ko) 오리자놀, 미강유 및 인지질이 내포된 리포좀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42311B1 (ko) 텐저레틴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2022511023A (ja) シスツス・モンスペリエンシス(Cistus monspeliensis)の抽出物の新規な化粧品的及び皮膚科学的使用
KR20120068721A (ko) 마돈나 백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JP2019038754A (ja) 皮膚外用剤
JP5329830B2 (ja) Scf分泌抑制剤、及び皮脂分泌抑制剤
WO2015104484A1 (fr) Extrait végétal comprenant des sucrose-esters en tant que principe actif pour son utilisation dans une composition cosmétique, dermatologique ou nutracosmétique
JP3987793B2 (ja) 皮膚外用剤
KR100860605B1 (ko)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 및 니아신아마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60108864A (ko) 서장채국화 추출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08120B1 (ko) 비타민 복합체,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EP3579929B1 (fr) Extraits de la lianemarsdenia cundurango
JP4035481B2 (ja) 皮膚外用剤
JP2004168732A (ja) 活性酸素消去剤、ヒアルロン酸合成促進・分解抑制剤およびアクアポリン合成促進剤
JP2009242310A (ja) インボルクリン産生促進剤、トランスグルタミナーゼ−1産生促進剤、e−カドヘリン産生促進剤、及び毛穴目立ち軽減用皮膚外用剤
KR100681703B1 (ko) 나노리포좀에 의해 안정화된 장뇌삼, 치마버섯 및 황백의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윤택 증진용화장료 조성물
JP2005263655A (ja) 抗酸化剤
EP3052198B1 (fr) Composition huileuse contenant un extrait d'hemerocalle et utilisations
WO1993001795A1 (fr) Compositions pour la pigmentation de la peau ou des cheveux contenant un extrait de marrubium vulgare
KR101322850B1 (ko) 박하잎 추출물, 밀싹 추출물 및 길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공 축소 또는 피지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52122B1 (ko) 실크아미노산과 비타민류를 함유하는 나노베지클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