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3841A - 커튼 월 층간 방화재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커튼 월 층간 방화재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3841A
KR20110113841A KR1020100033148A KR20100033148A KR20110113841A KR 20110113841 A KR20110113841 A KR 20110113841A KR 1020100033148 A KR1020100033148 A KR 1020100033148A KR 20100033148 A KR20100033148 A KR 20100033148A KR 20110113841 A KR20110113841 A KR 20110113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building
filling
insulation
expa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3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4060B1 (ko
Inventor
노상언
Original Assignee
(주)세이프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이프코리아 filed Critical (주)세이프코리아
Priority to KR1020100033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4060B1/ko
Publication of KR20110113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3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4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4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04B2/967Details of the cross-section of the mullions or transo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2Fire or heat protection feature
    • Y10S428/921Fire or flameproof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튼 월 층간 방화재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열재와 접하는 충전재료의 한 면에 팽창재료를 잘라서 붙이거나 코팅함으로써, 팽창재료의 팽창특성으로 인하여 화재에 의해 단열재가 녹거나 타서 생기는 공간을 메워주어 화염과 유독가스의 이동 및 확산을 저지할 수 있고, 패널과 건물바닥에 철판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시공이 간단하여 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며, 건물바닥과 패널인 건물의 외벽 사이의 공간에 탄성을 갖는 충전재료를 압축하여 채워 넣음으로써, 건물바닥과 외벽 사이의 내진과 풍압을 흡수할 수 있고, 접착제 또는 코팅제를 건물바닥과 충전재료 및 단열재에 이르기까지 접착하거나 칠해서 충전재료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고정할 수 있으며, 건물바닥과 패널인 건물의 외벽 사이의 공간에 탄성을 갖는 충전재료에 팽창특성을 부여하여 채워 넣음으로써, 팽창재료의 팽창특성으로 인하여 화재에 의해 단열재가 녹거나 타서 생기는 공간을 메워주어 화염과 유독가스의 이동 및 확산을 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커튼 월 층간 방화재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Structure of fireproofing between floors in curtain wall and construct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커튼 월 단열재와 접하는 충전재료의 한 면에 팽창재료를 잘라서 붙이거나 코팅함으로써, 팽창재료의 팽창특성으로 인하여 화재에 의해 단열재가 녹거나 타서 생기는 공간을 메워주어 화염과 유독가스의 이동 및 확산을 저지할 수 있고, 패널과 건물바닥에 철판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시공이 간단하여 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며, 건물바닥과 패널인 건물의 외벽 사이의 공간에 탄성을 갖는 충전재료를 압축하여 채워 넣음으로써, 건물바닥과 외벽 사이의 내진과 풍압을 흡수할 수 있고, 접착제 또는 코팅제를 건물바닥과 충전재료 및 단열재에 이르기까지 접착하거나 칠해서 충전재료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고정할 수 있으며, 건물바닥과 패널인 건물의 외벽 사이의 공간에 탄성을 갖는 충전재료에 팽창특성을 부여하여 채워 넣음으로써, 팽창재료의 팽창특성으로 인하여 화재에 의해 단열재가 녹거나 타서 생기는 공간을 메워주어 화염과 유독가스의 이동 및 확산을 저지할 수 있는 커튼 월 층간 방화재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건축 관련 법규(예, 법 제40조, 건축법 시행령 제2조, 국토해양부 고시 제2008-154호 내화구조의 인정 및 관리기준 등)에는 건축물의 용도에 따라서 일정한 내화구조의 성능기준을 명시하여 건축물의 벽면, 바닥면 등에 대해서는 일정시간 이상 화염(1,016℃ 이상)에 견딜 수 있는 구조를 요구하고 있다.
실제 건축물에 화재 발생시 연기 및 화염이 인접실로 급속히 퍼지는 것을 방지하여 피해를 국지화 내지는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로 건축공사에서 관통부 밀폐는 중요하다. 이에 관통부를 해당 내화구조의 성능에 맞게 밀폐시켜 주는 공사를 하는데, 이를 내화충전공사라고 하며, 내화충전구조를 국가가 시험·증명해 주고 관리하는 '인정제도'를 유지하고 한다. 관통부를 법정 내화충전구조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내열성시험에 합격해야 하며, 인정기관에서 소정의 내열성시험을 거쳐서 내화성능 등급을 부여받게 된다.
일반적으로 건축공사에서 단열재로 사용되고 있는 무기계인 암면(MINERAL WOOL), 유리면(GLASS WOOL), 세라크울(CERAK WOOL) 등과 폴리에스터계통인 스카이비바(SKY VIVA) 등과 같은 보온재료는 널리 알려져 있는 제품으로 내화 충전구조에 중간 재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보온재료 자체는 제품에 따라 난연성, 보온성, 경량성, 가격 등에서는 우수하나, 다른 한편으로는 열화성, 흡수성, 마모성이 크고 분진발생의 우려가 있다. 또한 밀도가 높은 방화용 단열재는 비신축적이기 때문에 방화구획처리용 채움재로 단독 사용하는 데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또한 보온재 자체가 내열성면에서 암면(MINERAL WOOL)은 약 700℃, 유리면(GLASS WOOL)은 500℃ 정도에서 열화현상이 시작되기 때문에, 1,016℃이상 견뎌야 하는 내화충전구조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이에 종래에는 보온재를 중간재로만 사용하여 왔다.
도 1의 (a)는 종래 내화충전공사에서 관통재(12)가 통과하는 바닥면 개구부의 일반적인 공사 형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콘크리트 슬래브(10)의 하면에 철판(20)이 타정 못(21) 등으로 체결되고, 콘크리트 슬래브(10)의 관통부(11)에 암면과 같은 보온재료(30)가 중간 재료로 삽입되며 상부에는 방화폼, 방화실란트와 같은 별도의 방화재료(40)를 충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의 (b)는 종래 내화구조의 또 다른 형태인 칸막이벽 연결 부분 시공 단면도로, 칸막이벽(50)의 연결 구간인 공간부(51)에 백업재(30)가 내측에 삽입되고 외측에 방화 실란트와 같은 별도의 방화재료(40)를 충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시공방법은 작업자가 보온재를 현장에서 직접 가공하여 사용하였기 때문에 이로 인하여 작업자가 암면분진에 노출되는 위험이 있고, 암면 쓰레기와 같은 산업폐기물이 과다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방화재료의 가격이 비쌀 뿐 아니라 시공이 까다롭고 작업 공정수가 많아 전체 공사비가 과다하게 투입되므로, 실제로 건축현장에서는 내화충전공사 자체를 기피하는 현상으로까지 이어지고 있었다. 그리고 흡수성이 좋은 보온재료 위에 방화재료의 도포와 건조를 반복해야 하는 기존의 현장 시공방법은 겨울철 혹은 우천시에 작업이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팽창재료의 팽창특성으로 인하여 화재에 의해 단열재가 녹거나 타서 생기는 공간을 메워주어 화염과 유독가스의 이동 및 확산을 저지할 수 있고, 패널과 건물바닥에 철판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시공이 간단하여 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며, 건물바닥과 패널인 건물의 외벽 사이의 공간에 탄성을 갖는 충전재료를 압축하여 채워 넣어 건물바닥과 외벽 사이의 내진과 풍압을 흡수할 수 있고, 접착제 또는 코팅제를 건물바닥과 충전재료 및 단열재에 이르기까지 접착하거나 칠해서 충전재료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고정할 수 있으며, 건물바닥과 패널인 건물의 외벽 사이의 공간에 탄성을 갖는 충전재료에 팽창특성을 부여하여 채워 넣음으로써, 팽창재료의 팽창특성으로 인하여 화재에 의해 단열재가 녹거나 타서 생기는 공간을 메워주어 화염과 유독가스의 이동 및 확산을 저지할 수 있는 커튼 월 층간 방화재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착상된 것으로서, 단열재와 접하는 충전재료의 한 면에 팽창재료를 잘라서 붙이거나 코팅함으로써, 팽창재료의 팽창특성으로 인하여 화재에 의해 단열재가 녹거나 타서 생기는 공간을 메워주어 화염과 유독가스의 이동 및 확산을 저지할 수 있는 커튼 월 층간 방화재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패널과 건물바닥에 철판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시공이 간단하여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커튼 월 층간 방화재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물바닥과 패널인 건물의 외벽 사이의 공간에 탄성을 갖는 충전재료를 압축하여 채워 넣음으로써, 건물바닥과 외벽 사이의 내진과 풍압을 흡수할 수 있는 커튼 월 층간 방화재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착제 또는 코팅제를 건물바닥과 충전재료 및 단열재에 이르기까지 접착하거나 칠해서 충전재료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고정할 수 있는 커튼 월 층간 방화재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물바닥과 패널인 건물의 외벽 사이의 공간에 탄성을 갖는 충전재료에 팽창특성을 부여하여 채워 넣음으로써, 팽창재료의 팽창특성으로 인하여 화재에 의해 단열재가 녹거나 타서 생기는 공간을 메워주어 화염과 유독가스의 이동 및 확산을 저지할 수 있는 커튼 월 층간 방화재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커튼 월 층간 방화재의 구조는 일정한 규격으로 3면 또는 4면을 접어서 단열재를 고정할 수 있도록 성형되어 있고, 건물바닥에 규정된 넓이로 지지금구를 사용하여 고정되는 패널과; 상기 패널 내부에 끼워 넣어져서 단열 역할을 하는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와 접하는 충전재료의 한 면에 붙여져서 화재에 의해 단열재가 녹거나 타서 생기는 공간을 메워주어 화염과 유독가스의 이동 및 확산을 저지하는 팽창재료와; 건물의 층간의 바닥의 역할을 하는 건물바닥과; 상기 건물바닥과 건물의 외벽을 구성하는 패널 사이의 공간에 압축하여 채워져서 건물바닥과 패널 사이의 내진과 풍압을 흡수하는 충전재료와; 상기 건물바닥과 충전재료와 단열재까지 접착하거나 칠해서 충전재료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접착제 또는 코팅제;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커튼 월 층간 방화재의 구조는 일정한 규격으로 3면 또는 4면을 접어서 단열재를 고정할 수 있도록 성형되어 있고, 건물바닥에 규정된 넓이로 지지금구를 사용하여 고정되는 패널과; 상기 패널 내부에 끼워 넣어져서 단열 역할을 하는 단열재와; 건물의 층간의 바닥의 역할을 하는 건물바닥과; 상기 건물바닥과 단열재 또는 건물의 외벽을 구성하는 패널 사이의 공간에 압축 또는 팽창특성을 부여하여 채워져서 건물바닥과 단열재 또는 패널 사이의 내진과 풍압을 흡수하며, 화염과 유독가스의 이동 및 확산을 저지하는 충전재료;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재료는 금속, 알루미늄, 법랑, 화강석 중에서 어느 하나이고, 상기 패널의 형상은 ㄷ 자형, ㅁ 자형, ㄴ 자형, l 자형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의 재료는 유리면(glass wool), 암면( mineral wool), 폴리에스터, 폴리우레탄, 스티로폼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팽창재료는 팽창테이프, 팽창도료, 팽창보드, 팽창패드, 팽창퍼티, 팽창실란트, 팽창컴파운드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료는 암면, 세라믹 울(ceramic wool), 팽창제코팅 암면, 팽창제코팅 유리면, 팽창제코팅 폴리에스터, 팽창제함유 실리콘 RTV foam, 팽창제함유 우레탄 RTV Foam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커튼 월 층간 방화재의 시공방법은 패널을 일정한 규격으로 3면 또는 4면을 접어서 단열재를 고정할 수 있도록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단열재를 규정된 두께로 잘라서 패널에 끼워 넣는 단계와; 상기 패널을 건물바닥에 규정된 넓이로 지지금구를 사용하여 고정하는 단계와; 충전재료를 건물바닥과 패널 사이의 공간에 넣기 위해 규정된 넓이보다 5 내지 30% 정도 넓게 자르는 단계와; 상기 단열재와 접하는 충전재료의 한 면에 팽창재료를 잘라서 붙인 다음 충전재료를 건물바닥과 건물의 외벽을 구성하는 패널 사이의 공간에 압축하여 채워 넣는 단계와; 상기 건물바닥과 충전재료와 단열재에 이르기까지 접착제 또는 코팅제를 사용하여 접착하거나 칠해서 충전재료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커튼 월 층간 방화재의 시공방법은 패널을 일정한 규격으로 3면 또는 4면을 접어서 단열재를 고정할 수 있도록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단열재를 규정된 두께로 잘라서 패널에 끼워 넣는 단계와; 상기 패널을 건물바닥에 규정된 넓이로 지지금구를 사용하여 고정하는 단계와; 충전재료를 건물바닥과 단열재 또는 건물의 외벽을 구성하는 패널 사이의 공간에 압축 또는 팽창특성을 부여하여 채워 넣기 위해 규정된 넓이보다 5 내지 30% 정도 넓게 자르는 단계와; 상기 충전재료를 건물바닥과 단열재 또는 건물의 외벽을 구성하는 패널 사이의 공간에 압축 또는 팽창특성을 부여하여 채워 넣어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를 규정된 두께로 잘라서 패널에 끼워 넣는 단계를 접착제를 사용하여 단열재를 패널에 고정하는 단계로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튼 월 층간 방화재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은 단열재와 접하는 충전재료의 한 면에 팽창재료를 잘라서 붙이거나 코팅함으로써, 팽창재료의 팽창특성으로 인하여 화재에 의해 단열재가 녹거나 타서 생기는 공간을 메워주어 화염과 유독가스의 이동 및 확산을 저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패널과 건물바닥에 철판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시공이 간단하여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건물바닥과 패널인 건물의 외벽 사이의 공간에 탄성을 갖는 충전재료를 압축하여 채워 넣음으로써, 건물바닥과 외벽 사이의 내진과 풍압을 흡수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접착제 또는 코팅제를 건물바닥과 충전재료 및 단열재에 이르기까지 접착하거나 칠해서 충전재료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고정할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건물바닥과 패널인 건물의 외벽 사이의 공간에 탄성을 갖는 충전재료에 팽창특성을 부여하여 채워 넣음으로써, 팽창재료의 팽창특성으로 인하여 화재에 의해 단열재가 녹거나 타서 생기는 공간을 메워주어 화염과 유독가스의 이동 및 확산을 저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내화충전구조의 시공형태를 보인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 월 층간 방화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 월 층간 방화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 월 층간 방화재의 시공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 월 층간 방화재의 시공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인 커튼 월 층간 방화재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 월 층간 방화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 월 층간 방화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 월 층간 방화재는 단열재(10), 패널(20), 건물바닥(30), 팽창재료(40), 충전재료(50), 접착제(또는 코팅제)(60) 등으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커튼 월(Curtain Wall) 층간 방화재의 구조는 일정한 규격으로 3면 또는 4면을 접어서 단열재(1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성형되어 있고, 건물바닥(30)에 규정된 넓이로 지지금구를 사용하여 고정되는 패널(20)과; 상기 패널(20) 내부에 끼워 넣어져서 단열 역할을 하는 단열재(10)와; 상기 단열재(10)와 접하는 충전재료(50)의 한 면에 붙여져서 화재에 의해 단열재(10)가 녹거나 타서 생기는 공간을 메워주어 화염과 유독가스의 이동 및 확산을 저지하는 팽창재료(40)와; 건물의 층간의 바닥의 역할을 하는 건물바닥(30)과; 상기 건물바닥(30)과 건물의 외벽을 구성하는 패널(20) 사이의 공간에 압축하여 채워져서 건물바닥(30)과 패널(20) 사이의 내진과 풍압을 흡수하는 충전재료(50)와; 상기 건물바닥(30)과 충전재료(50)와 단열재(10)까지 접착하거나 칠해서 충전재료(50)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접착제(60); 를 구비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튼 월(Curtain Wall) 층간 방화재의 구조는 일정한 규격으로 3면 또는 4면을 접어서 단열재(1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성형되어 있고, 건물바닥(30)에 규정된 넓이로 지지금구를 사용하여 고정되는 패널(20)과; 상기 패널(20) 내부에 끼워 넣어져서 단열 역할을 하는 단열재(10)와; 건물의 층간의 바닥의 역할을 하는 건물바닥(30)과; 상기 건물바닥(30)과 단열재(10) 또는 건물의 외벽을 구성하는 패널(20) 사이의 공간에 압축 또는 팽창특성을 부여하여 채워져서 건물바닥(30)과 단열재(10) 또는 패널(20) 사이의 내진과 풍압을 흡수하며, 화염과 유독가스의 이동 및 확산을 저지하는 충전재료(50); 를 구비한다.
상기 커튼 월 층간 방화재의 구조를 구성하는 각 기술적 수단들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커튼 월(Curtain Wall)은 건물이 부담해야 하는 하중을 부담하지 않고 다만 외벽을 구성하여 외벽으로써의 역할만을 할 수 있는 구조로서, 비내력 외주벽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적용되는 커튼 월은 알루미늄으로 구조체를 구성하고 유리로 마감하는 구조가 가장 일반적이다. 그러나 요즈음은 STEEL TRUSS로 구조를 형성하고 마감재로 석재 등을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상기 패널(20)은 일정한 규격으로 3면 또는 4면을 접어서 단열재(1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성형되어 있는 것이며, 건물바닥(30)에 규정된 넓이로 지지금구를 사용하여 고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패널(20)의 재료는 금속, 알루미늄, 법랑, 화강석과 같은 것이다. 또한 상기 패널(20)의 형상은 ㄷ 자형이 가장 바람직하나, ㅁ 자형, ㄴ 자형, l 자형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단열재(10)는 상기 패널(20) 내부에 끼워 넣어져서 단열 역할을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단열재(10)의 재료는 유리면(glass wool), 암면(mineral wool), 폴리에스터, 폴리우레탄, 스티로폼과 같은 것이다.
상기 팽창재료(40)는 상기 단열재(10)와 접하는 충전재료(50)의 한 면에 붙여져서 화재에 의해 단열재(10)가 녹거나 타서 생기는 공간을 메워주어 화염과 유독가스의 이동 및 확산을 저지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팽창재료(40)는 팽창테이프, 팽창도료, 팽창보드, 팽창패드, 팽창퍼티, 팽창실란트, 팽창컴파운드와 같은 것이다.
상기 건물바닥(30)은 건물의 층간의 바닥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건물바닥(30)의 재료는 콘크리트이다. 상기 건물바닥(30)에 규정된 넓이로 패널(20)을 지지금구를 사용하여 고정한다.
상기 충전재료(50)는 상기 건물바닥(30)과 단열재(10) 또는 건물의 외벽을 구성하는 패널(20) 사이의 공간에 압축 또는 팽창특성을 부여하여 채워져서 건물바닥(30)과 단열재(10) 또는 패널(20) 사이의 내진과 풍압을 흡수하며, 화염과 유독가스의 이동 및 확산을 저지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충전재료(50)는 암면, 세라믹 울(ceramic wool), 팽창제코팅 암면, 팽창제코팅 유리면, 팽창제코팅 폴리에스터, 팽창제함유 실리콘 RTV foam, 팽창제함유 우레탄 RTV Foam과 같은 것이다. 또한 상기 충전재료(50)는 규정된 넓이보다 5 내지 30% 정도 넓게 자른다.
상기 접착제(60)는 상기 건물바닥(30)과 충전재료(50)와 단열재(10)까지 접착하거나 칠해서 충전재료(50)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접착제(60)는 코팅제(60)로 대체가 가능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 월 층간 방화재의 시공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 월 층간 방화재의 시공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튼 월 층간 방화재의 시공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는, 패널(20)을 일정한 규격으로 3면 또는 4면을 접어서 단열재(1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성형한다. 여기서, 상기 패널(20)의 재료는 금속, 알루미늄, 법랑, 화강석과 같은 것이다. 또한 상기 패널(20)의 형상은 ㄷ 자형이 가장 바람직하나, ㅁ 자형, ㄴ 자형, l 자형도 가능할 것이다.
둘째로는, 규정된 두께의 단열재(10)를 잘라서 패널(20)에 끼워 넣는다. 이때, 접착제(60)를 사용하여 단열재(10)를 패널(20)에 고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단열재(10)의 재료는 유리면(glass wool), 암면(mineral wool), 폴리에스터, 폴리우레탄, 스티로폼과 같은 것이다.
셋째로는, 건물바닥(30)에 규정된 넓이로 패널(20)을 지지금구를 사용하여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건물바닥(30)의 재료는 콘크리트이다.
넷째로는, 충전재료(50)를 건물바닥(30)과 패널(20) 사이의 공간에 넣기 위해 규정된 넓이보다 5 내지 30% 정도 넓게 자른다. 여기서, 상기 충전재료(50)는 암면, 세라믹 울(ceramic wool), 팽창제코팅 암면, 팽창제코팅 유리면, 팽창제코팅 폴리에스터, 팽창제함유 실리콘 RTV foam, 팽창제함유 우레탄 RTV Foam과 같은 것이다.
다섯째로는, 단열재(10)와 접하는 충전재료(50)의 한 면에 팽창재료(40)를 잘라서 붙인 다음 충전재료(50)를 건물바닥(30)과 건물의 외벽을 구성하는 패널(20) 사이의 공간에 압축하여 채워 넣는다. 여기서, 상기 팽창재료(40)는 팽창테이프, 팽창도료, 팽창보드, 팽창패드, 팽창퍼티, 팽창실란트, 팽창컴파운드와 같은 것이다.
여섯째로는, 접착제(60) 또는 코팅제(60)를 건물바닥(30)과 충전재료(50) 및 단열재(10)에 이르기까지 접착하거나 칠해서 충전재료(50)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고정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튼 월 층간 방화재의 시공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는, 패널(20)을 일정한 규격으로 3면 또는 4면을 접어서 단열재(1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성형한다. 여기서, 상기 패널(20)의 재료는 금속, 알루미늄, 법랑, 화강석과 같은 것이다. 또한 상기 패널(20)의 형상은 ㄷ 자형이 가장 바람직하나, ㅁ 자형, ㄴ 자형, l 자형도 가능할 것이다.
둘째로는, 규정된 두께의 단열재(10)를 잘라서 패널(20)에 끼워 넣는다. 이때, 접착제(60)를 사용하여 단열재(10)를 패널(20)에 고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단열재(10)의 재료는 유리면(glass wool), 암면(mineral wool), 폴리에스터, 폴리우레탄, 스티로폼과 같은 것이다.
셋째로는, 건물바닥(30)에 규정된 넓이로 패널(20)을 지지금구를 사용하여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건물바닥(30)의 재료는 콘크리트이다.
넷째로는, 충전재료(50)를 건물바닥(30)과 단열재(10) 또는 건물의 외벽을 구성하는 패널(20) 사이의 공간에 압축 또는 팽창특성을 부여하여 채워 넣기 위해 규정된 넓이보다 5 내지 30% 정도 넓게 자른다. 여기서, 상기 충전재료(50)는 암면, 세라믹 울(ceramic wool), 팽창제코팅 암면, 팽창제코팅 유리면, 팽창제코팅 폴리에스터, 팽창제함유 실리콘 RTV foam, 팽창제함유 우레탄 RTV Foam과 같은 것이다. 또한 상기 충전재료(50)는 규정된 넓이보다 5 내지 30% 정도 넓게 자른다.
다섯째로는, 상기 충전재료(50)를 건물바닥(30)과 단열재(10) 또는 건물의 외벽을 구성하는 패널(20) 사이의 공간에 압축 또는 팽창특성을 부여하여 채워 넣어 고정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 단열재 20: 패널
30: 건물바닥 40: 팽창재료
50: 충전재료 60: 접착제(또는 코팅제)

Claims (9)

  1. 커튼 월 층간 방화재의 구조에 있어서,
    일정한 규격으로 3면 또는 4면을 접어서 단열재를 고정할 수 있도록 성형되어 있고, 건물바닥에 규정된 넓이로 지지금구를 사용하여 고정되는 패널과;
    상기 패널 내부에 끼워 넣어져서 단열 역할을 하는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와 접하는 충전재료의 한 면에 붙여져서 화재에 의해 단열재가 녹거나 타서 생기는 공간을 메워주어 화염과 유독가스의 이동 및 확산을 저지하는 팽창재료와;
    건물의 층간의 바닥의 역할을 하는 건물바닥과;
    상기 건물바닥과 건물의 외벽을 구성하는 패널 사이의 공간에 압축하여 채워져서 건물바닥과 패널 사이의 내진과 풍압을 흡수하는 충전재료와;
    상기 건물바닥과 충전재료와 단열재까지 접착하거나 칠해서 충전재료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접착제 또는 코팅제;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월 층간 방화재의 구조.
  2. 커튼 월 층간 방화재의 구조에 있어서,
    일정한 규격으로 3면 또는 4면을 접어서 단열재를 고정할 수 있도록 성형되어 있고, 건물바닥에 규정된 넓이로 지지금구를 사용하여 고정되는 패널과;
    상기 패널 내부에 끼워 넣어져서 단열 역할을 하는 단열재와;
    건물의 층간의 바닥의 역할을 하는 건물바닥과;
    상기 건물바닥과 단열재 또는 건물의 외벽을 구성하는 패널 사이의 공간에 압축 또는 팽창특성을 부여하여 채워져서 건물바닥과 단열재 또는 패널 사이의 내진과 풍압을 흡수하며, 화염과 유독가스의 이동 및 확산을 저지하는 충전재료;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월 층간 방화재의 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재료는 금속, 알루미늄, 법랑, 화강석 중에서 어느 하나이고, 상기 패널의 형상은 ㄷ 자형, ㅁ 자형, ㄴ 자형, l 자형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월 층간 방화재의 구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의 재료는 유리면(glass wool), 암면(mineral wool), 폴리에스터, 폴리우레탄, 스티로폼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월 층간 방화재의 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재료는 팽창테이프, 팽창도료, 팽창보드, 팽창패드, 팽창퍼티, 팽창실란트, 팽창컴파운드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월 층간 방화재의 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료는 암면, 세라믹 울(ceramic wool), 팽창제코팅 암면, 팽창제코팅 유리면, 팽창제코팅 폴리에스터, 팽창제함유 실리콘 RTV foam, 팽창제함유 우레탄 RTV Foam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월 층간 방화재의 구조.
  7. 커튼 월 층간 방화재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패널을 일정한 규격으로 3면 또는 4면을 접어서 단열재를 고정할 수 있도록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단열재를 규정된 두께로 잘라서 패널에 끼워 넣는 단계와;
    상기 패널을 건물바닥에 규정된 넓이로 지지금구를 사용하여 고정하는 단계와;
    충전재료를 건물바닥과 패널 사이의 공간에 넣기 위해 규정된 넓이보다 5 내지 30% 정도 넓게 자르는 단계와;
    상기 단열재와 접하는 충전재료의 한 면에 팽창재료를 잘라서 붙인 다음 충전재료를 건물바닥과 건물의 외벽을 구성하는 패널 사이의 공간에 압축하여 채워 넣는 단계와;
    상기 건물바닥과 충전재료와 단열재에 이르기까지 접착제 또는 코팅제를 사용하여 접착하거나 칠해서 충전재료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월 층간 방화재의 시공방법.
  8. 커튼 월 층간 방화재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패널을 일정한 규격으로 3면 또는 4면을 접어서 단열재를 고정할 수 있도록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단열재를 규정된 두께로 잘라서 패널에 끼워 넣는 단계와;
    상기 패널을 건물바닥에 규정된 넓이로 지지금구를 사용하여 고정하는 단계와;
    충전재료를 건물바닥과 단열재 또는 건물의 외벽을 구성하는 패널 사이의 공간에 압축 또는 팽창특성을 부여하여 채워 넣기 위해 규정된 넓이보다 5 내지 30% 정도 넓게 자르는 단계와;
    상기 충전재료를 건물바닥과 단열재 또는 건물의 외벽을 구성하는 패널 사이의 공간에 압축 또는 팽창특성을 부여하여 채워 넣어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월 층간 방화재의 시공방법.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를 규정된 두께로 잘라서 패널에 끼워 넣는 단계를 접착제를 사용하여 단열재를 패널에 고정하는 단계로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월 층간 방화재의 시공방법.
KR1020100033148A 2010-04-12 2010-04-12 커튼 월 층간 방화재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164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148A KR101164060B1 (ko) 2010-04-12 2010-04-12 커튼 월 층간 방화재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148A KR101164060B1 (ko) 2010-04-12 2010-04-12 커튼 월 층간 방화재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841A true KR20110113841A (ko) 2011-10-19
KR101164060B1 KR101164060B1 (ko) 2012-07-12

Family

ID=45029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3148A KR101164060B1 (ko) 2010-04-12 2010-04-12 커튼 월 층간 방화재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406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64939A (zh) * 2012-10-25 2013-01-09 成都市第六建筑工程公司 一种自保温搪瓷钢板幕墙安装方法
KR101880666B1 (ko) * 2017-07-17 2018-07-20 주식회사 고진케이우드 기밀성 향상된 한옥
US10138629B2 (en) 2015-02-13 2018-11-27 Hilti Aktiengesellschaft Facade assembly, building structure, and method for mounting the facade assembly
KR20200060817A (ko) * 2018-11-23 2020-06-02 (주)엔비텍이앤씨 화재 확산 방지구조 및 시공방법
KR102214518B1 (ko) * 2019-08-09 2021-02-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외벽 시스템의 단열 향상 및 화재확산 방지용 발포패드 및 그 시공 방법
KR102214504B1 (ko) * 2019-08-09 2021-02-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외벽 시스템의 단열 향상 및 화재확산 방지 장치
KR102214516B1 (ko) * 2019-08-09 2021-02-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단열 향상 및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외벽 시스템의 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530B1 (ko) 2022-11-15 2023-08-04 전남수 층간방화 커튼월 선형조인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20108B2 (ja) 2000-08-09 2009-08-2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壁構造
KR100437375B1 (ko) 2001-01-31 2004-06-25 주식회사 힘센에스코 통기구조를 가지는 고층건축물 커튼월의 차단벽용 단열·내화 유니트패널
JP2003213814A (ja) 2002-01-25 2003-07-30 Tokyo Pairon Hanbai:Kk 耐火層間材及び層間間隙の閉塞構造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64939A (zh) * 2012-10-25 2013-01-09 成都市第六建筑工程公司 一种自保温搪瓷钢板幕墙安装方法
CN102864939B (zh) * 2012-10-25 2014-09-03 成都市第六建筑工程公司 一种自保温搪瓷钢板幕墙安装方法
US10138629B2 (en) 2015-02-13 2018-11-27 Hilti Aktiengesellschaft Facade assembly, building structure, and method for mounting the facade assembly
US10519653B2 (en) 2015-02-13 2019-12-31 Hilti Akteingesellschaft Facade assembly, building structure, and method for mounting the facade assembly
KR101880666B1 (ko) * 2017-07-17 2018-07-20 주식회사 고진케이우드 기밀성 향상된 한옥
KR20200060817A (ko) * 2018-11-23 2020-06-02 (주)엔비텍이앤씨 화재 확산 방지구조 및 시공방법
KR102214518B1 (ko) * 2019-08-09 2021-02-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외벽 시스템의 단열 향상 및 화재확산 방지용 발포패드 및 그 시공 방법
KR102214504B1 (ko) * 2019-08-09 2021-02-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외벽 시스템의 단열 향상 및 화재확산 방지 장치
KR102214516B1 (ko) * 2019-08-09 2021-02-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단열 향상 및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외벽 시스템의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4060B1 (ko) 201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4060B1 (ko) 커튼 월 층간 방화재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
US10982435B2 (en) Joint-sealing element and sealing arrangement with such a joint-sealing element
US10174499B1 (en) Acoustical sound proofing material for architectural retrofit application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ame
US8397864B2 (en) Acoustical sound proofing material with improved fire resistance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ame
US8365495B1 (en) Fire and water resistant expansion joint system
US11970855B2 (en) Process for assembling a fire- , smoke- , sound- and/or water-proof system within a dynamic curtain wall façade
KR100735576B1 (ko) 보강재가 포함된 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패널 시공 방법
KR101335243B1 (ko) 열교 방지와 고기밀성을 가지는 건식 벽체의 시공 방법
KR20120139936A (ko) 커튼 월 층간 방화재와 그 시공방법
JP2008240355A (ja) 柱または梁と耐火間仕切壁との取り合い構造及び方法
KR102083790B1 (ko) 단열 및 방열 기능을 갖는 방화문
JPWO2020036228A1 (ja) 間仕切用パネル、間仕切壁および部屋構造
JP2011026953A (ja) 防火区画壁
CN102454351A (zh) 一种防爆防火门
JP4162616B2 (ja) 不燃性パネル
JP2017210807A (ja) 鉄骨柱の合成被覆耐火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WO2009006716A1 (en) Constructive arrangement applied to a modular structural panel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RU216049U1 (ru) Изолирующий моноблок для стыков панельных стеновых конструкций
CN103307012B (zh) 具防火功能的排烟风机
KR20220001795U (ko) 건축물의 커튼월 내화 충전 구조
KR101458667B1 (ko) 폴리에틸렌글리콜 중합수지를 이용한 하니콤보드
GB2376479A (en) Acoustic insulation and fireproofing for steel beams
CN213509078U (zh) 一种轻钢龙骨隔墙与凹槽屋顶连接结构
CN109555235B (zh) 一种防火吸隔声板
CN103307724B (zh) 具防火功能的风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