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3343A - 곡률을 고려한 좌굴강도 평가 방법 - Google Patents
곡률을 고려한 좌굴강도 평가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113343A KR20110113343A KR1020100032686A KR20100032686A KR20110113343A KR 20110113343 A KR20110113343 A KR 20110113343A KR 1020100032686 A KR1020100032686 A KR 1020100032686A KR 20100032686 A KR20100032686 A KR 20100032686A KR 20110113343 A KR20110113343 A KR 2011011334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ckling
- stress
- curvature
- buckling strength
- curv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2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e.g. determining profil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58—Kind of property studied
- G01N2203/006—Crack, flaws, fracture or rupture
- G01N2203/0067—Fracture or ruptur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6—Specifications of the specimen
- G01N2203/0262—Shape of the specimen
- G01N2203/0278—Thin specimens
- G01N2203/0282—Two dimensional, e.g. tapes, webs, sheets, strips, disks or membra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곡률을 고려한 좌굴강도 평가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굴강도 평가 방법은 곡판의 휨 각도값인 곡률과 곡판의 설계인자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설계인자를 이용하여 상기 곡판의 탄성좌굴응력과 세장비를 연산하는 단계와, 상기 곡률과 상기 세장비를 이용하여 곡률 영향에 따른 좌굴강도 증가분을 연산하는 단계와, 상기 탄성좌굴응력과 상기 좌굴강도 증가분을 이용하여 곡판좌굴응력을 연산하는 단계와, 산출된 상기 곡판좌굴응력으로부터 상기 곡판의 안전성을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곡률을 고려한 좌굴강도 평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중을 받을 수 있는 재료 또는 부재에 적용 될 수 있는 곡률을 고려한 좌굴강도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체 재료 또는 부재는 하중을 받아 휘거나 비틀리는 변형을 일으키는 등과 같이 하중에 대응하는 역학적 거동을 가진다.
예컨대, 원통형 실린더는 과도한 압축하중을 받을 경우 압축하중에 의해 직접적으로 파괴되기 보다는 축방향으로 굽어지거나 쳐지는 좌굴(buckling) 상태가 될 수 있다.
압축하중을 받는 원통형 실린더의 좌굴강도의 전통적인 계산 방법은 주지의 압축 좌굴강도 계산 수식을 활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곡패널의 좌굴강도 계산은 각국의 좌굴강도 관련 규준(design codes)(규준: 모범이 되는 표준)에 정의된 수식을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선체의 경우에는 각각의 선급, 예컨대 미국선급(ABS), 노르웨이선급(DnV), 영국선급(Lloyd), 일본선급(NK) 등에서 제공하는 좌굴강도 전용 수식의 이용에 따라 각각의 좌굴강도가 계산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식은 이론치로서 실험값과 상당한 차이를 보일 수 있다.
예컨대, 종래 기술의 좌굴강도를 연구하는 연구자들은 원통형 실린더의 압축좌굴에 관련하여 다양한 실험 및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수식을 수정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결함 함수 등 다양한 이유에 의해, 이론치와 실험값의 결과에서 상당한 차이를 좁히지 못하였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선급의 좌굴강도 계산, 즉 도 1a에 도시된 끝단이 고정된 원통형 실린더에 대한 좌굴응력은 하기의 [수학식 1]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여기서, t는 패널두께, E는 탄성계수, R은 반지름, υ는 푸아송비이고, 곡패널의 재질이 철재일 경우 υ는 0.3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좌굴강도 계산방법은 패널폭에 대해서 고려하지 않고 반지름(R)만을 고려함에 따라, 유한한 폭을 가진 판에서 압축하중이 작용할 때의 정확한 압축좌굴응력 값을 계산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즉,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패널에 대해 선급 기준을 이용한 결과값(1)은 유한요소법에 의한 비교예(2)보다 아주 낮게 나타나고 있고, 양자간에 상당히 큰 차이점을 보이고 있어 계산 정확도가 매우 떨어지는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b의 그래프 세로축은 압축좌굴응력을 항복응력으로 나누어 무차원화시킨 최종강도에 해당하고, 그래프 가로축은 세장비에 해당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좌굴강도 계산방법은 원통형 실린더 구조물을 이용한 것으로서, 그 구조물에서는 원주와 길이가 같기 때문에 반지름 또는 곡률의 변화에 따른 좌굴강도의 변화가 미비하여 계산결과에 영향이 적으나, 임의의 원주, 즉 패널폭을 갖는 곡패널에서 반지름을 이용하여 좌굴강도를 평가 할 경우, 패널폭 변화에 따른 좌굴강도 변화가 매우 크기 때문에, 결국 좌굴강도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는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곡판의 휨 각도값인 곡률을 이용하여 곡판좌굴응력을 정의함에 따라, 좌굴강도 설계 측면에서 용이하게 좌굴강도 설계 작업을 수행하면서 패널폭 변화에 따른 좌굴강도 변화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곡률을 고려한 좌굴강도 평가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기에 상세히 설명할 곡판의 휨 각도값인 곡률과 곡판의 설계인자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설계인자를 이용하여 상기 곡판의 탄성좌굴응력과 세장비를 연산하는 단계와, 상기 곡률과 상기 세장비를 이용하여 곡률 영향에 따른 좌굴강도 증가분을 연산하는 단계와, 상기 탄성좌굴응력과 상기 좌굴강도 증가분을 이용하여 곡판좌굴응력을 연산하는 단계와, 산출된 상기 곡판좌굴응력으로부터 상기 곡판의 안전성을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좌굴강도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좌굴강도 평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좌굴강도 평가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구현되어 있으며, 상기 좌굴강도 평가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곡판의 휨 각도값인 곡률과 곡판의 설계인자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설계인자를 이용하여 상기 곡판의 탄성좌굴응력과 세장비를 연산하는 단계와, 상기 곡률과 상기 세장비를 이용하여 곡률 영향에 따른 좌굴강도 증가분을 연산하는 단계와, 상기 탄성좌굴응력과 상기 좌굴강도 증가분을 이용하여 곡판좌굴응력을 연산하는 단계와, 산출된 상기 곡판좌굴응력으로부터 상기 곡판의 안전성을 예측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률을 고려한 좌굴강도 평가 방법은 곡판의 좌굴강도 설계 및 평가시에 곡률의 효과를 합리적으로 반영함에 따라, 좌굴강도 설계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폭 변화에 따른 좌굴강도 변화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률을 고려한 좌굴강도 평가 방법은 곡판의 폭 변화를 고려하여 곡판좌굴응력의 값을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률을 고려한 좌굴강도 평가 방법은 소성 수정식을 적용하여 소성수정좌굴응력을 더 구한 다음 곡판좌굴응력과 소성수정좌굴응력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더욱 정확하게 곡판의 좌굴강도에 대한 안전성을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좌굴강도 계산용 곡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선급 기준을 이용한 결과값과 유한요소법에 의한 비교예를 보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곡률을 고려한 좌굴강도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평가 방법에 사용된 곡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평가 방법의 최종강도와 유한요소법의 최종강도간 비교 그래프이다.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선급 기준을 이용한 결과값과 유한요소법에 의한 비교예를 보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곡률을 고려한 좌굴강도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평가 방법에 사용된 곡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평가 방법의 최종강도와 유한요소법의 최종강도간 비교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률을 고려한 좌굴강도 평가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률을 고려한 좌굴강도 평가 방법에 대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률을 고려한 좌굴강도 평가 방법은 선체의 구조물 또는 어떠한 기계 구조물에서 곡률을 고려하여 좌굴강도가 해당 구조물에 작용하는지 계산 및 체크할 수 있다.
이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굴강도 평가 방법은 곡판의 휨 각도값인 곡률과 곡판의 설계인자를 획득하는 단계(S110)와, 설계인자를 이용하여 곡판의 탄성좌굴응력과 세장비(slenderness ratio)를 연산하는 단계(S120)와, 곡률과 세장비를 이용하여 곡률 영향에 따른 좌굴강도 증가분을 연산하는 단계(S130)와, 상기 탄성좌굴응력과 상기 좌굴강도 증가분을 이용하여 곡판좌굴응력을 연산하는 단계(S140)와, 곡판좌굴응력을 이용하여 곡판에 대한 좌굴강도를 예측하는 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와 도 3을 병행 참조하면, 본 발명의 첫 번째 단계(S110)에서는 휨 각도값인 곡률(θ)과, 설계인자인 폭(b), 두께(t), 탄성계수, 재질에 따른 푸아송비 등을 곡판(10)의 형상 및 기계적 성질 데이터표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곡률(θ)은 전통적으로 반지름(Radius)으로 정의되지 않고 각도(degree)로 정의된 것이다.
상기 [수학식 2]에서, π는 파이, E는 탄성계수, υ는 푸아송비, k는 경계조건(곡판의 테두리 4개의 변을 단순 지지하는 조건)에 대한 계수, b는 폭, t는 두께로서 정의될 수 있다.
탄성좌굴응력()은 수 많은 실험과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검증이 완료된 평판의 좌굴강도 계산시에 사용될 수 있는 오일러 좌굴 공식(Euler Buckling Formula)을 적용하여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두 번째 단계(S120)에서는 세장비(β)(slenderness ratio)를 하기의 [수학식 3]을 이용하여 연산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3]에서, β 는 세장비, b는 폭, t는 두께, 는 항복응력, E는 탄성계수로서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세장비(β)는 곡판(10)의 폭과, 두께(t)와 같은 재료 특성을 좌굴강도에 결부시키기 위한 설계변수로 이해될 수 있다.
세 번째 단계(S130)에서, 곡률 영향에 따른 좌굴강도 증가분()은 곡판(10)의 하중 변형율 성분과 곡률(θ)과 세장비(β)와 곡률 감쇄계수()를 고려한 하기의 [수학식 4]를 통해 산출될 수 있다.
하중 변형율 성분은 푸아송비(υ)를 이용하는 상기 [수학식 4]의 첫 번째 항목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재료의 수축 발생을 곡판(10)의 좌굴강도에 결부시키기 위한 첫 번째 설계변수로 이해될 수 있다.
좌굴강도 증가분()은 상기 [수학식 4]의 두 번째, 세 번째 항목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세장비(β)와 곡률(θ)의 영향을 곡판(10)의 좌굴강도, 즉 하기의 곡판좌굴응력()에 결부시키기 위한 두 번째와 세 번째 설계변수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곡률 감쇄계수()는 상기 [수학식 4]의 네 번째 항목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실험을 통해 색인 데이터 표로서 정리될 수 있는 경험치로서, 역시 곡판(10)의 좌굴강도에 결부되는 네 번째 설계변수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런 곡률 감쇄계수()는 곡률(θ)에 대응하도록 0.1 ~ 1.0 사이에서 선택될 수 있다. 곡률 감쇄계수()가 0.1 ~ 1.0의 범위 내에서 선택되는 경우에 곡판좌굴응력()의 비선형 성분이 보정될 수 있고,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곡판좌굴응력()은 곡판(10)에서 유한한 폭(b)과 두께(t)를 고려하여 좌굴강도를 정의할 때, 좌굴강도 증가분()에 의한 곡률 효과를 상기 좌굴강도에 결부시켜 반영함에 따라, 결국 폭(b) 변화에 따른 좌굴강도를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곡판(10)의 좌굴 안전 기준치란 하중(예: 압축하중)에 의해 곡판(10)에서 좌굴이 일어나지 않을 정도의 설계기준치 또는 구조물 안전 협회 또는 선급의 권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곡판좌굴응력()이 항복응력()의 50% 이상인 경우에도 정확한 좌굴강도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하기의 [수학식 6]과 같은 소성 수정식을 적용하여 소성수정좌굴응력()을 구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50%는 실험적인 임계점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50%에서부터 급격히 수렴도가 떨어지는 산란(scatter) 상태가 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소성 수정식은 존슨오스텐펠드(Johnson-Ostenfeld)의 좌굴강도 소성 수정식일 수 있다.
좌굴강도를 예측할 때, 만일 곡판좌굴응력()이 항복응력()의 50% 미만일 경우, 곡판좌굴응력()은 곡판(10)의 좌굴강도 안전성 비교 판단용 수치로서 채택될 수 있고, 좌굴 안전 기준치와의 비교 판단에 사용될 수 있다.
반면, 곡판좌굴응력()이 항복응력()의 50% 이상일 경우, 소성수정좌굴응력()은 곡판(10)의 좌굴강도 안전성 비교 판단용 수치로서 채택되어 좌굴 안전 기준치와의 비교 판단에 사용될 수 있다.
도 4의 그래프에는 본 발명의 평가 방법을 적용하여 좌굴강도를 예측한 결과가 표시되어 있다. 그래프 가로축 및 세로축의 수치는 곡판좌굴응력 또는 소성수정좌굴응력을 항복응력으로 나누어 무차원화시킨 좌굴강도를 의미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평가 방법에 따른 좌굴강도는 곡률 효과를 반영한 결과로서, 도 4 의 그래프 가로축을 기준으로, 각각의 시편에 대응한 삼각형 점과 같은 제1표식(20)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시편은 도 3에 도시된 곡판(10)의 형상에 따른 길이(a) 3000㎜와, 폭(b) 1000㎜를 가질 수 있되, 10 ~ 35㎜ 중에서 5㎜씩 증가된 두께(t)를 갖도록 총 6개로 준비될 수 있다.
각 시편은 탄성계수 205.8 GPa, 항복응력 352.8 MPa, 푸아송비 0.3, 곡률(θ) 45°, 감쇄계수 0.4를 가질 수 있다.
비교예로서 유한요소법에 의한 좌굴강도는 상기 시편과 동일한 물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된 것으로서, 도 4의 그래프 세로축을 기준으로, 점선과 같은 제2표식(30)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평가 방법에 따른 좌굴강도는 유한요소법에 의한 좌굴강도와 거의 완벽하게 일치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고, 이를 통해 본 발명의 평가 방법의 정확성이 입증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률을 고려하는 좌굴강도 평가 방법을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좌굴강도 평가 방법을 수행하는 좌굴강도 평가장치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좌굴강도 평가 방법의 각 단계(예를 들어, 도 2의 각 단계), 또는 그 단계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장치/모듈/구성이 구비될 수 있고, 그 장치/모듈/구성을 포함하는 장치가 본 실시예에 따른 좌굴강도 평가 방법을 수행하는 좌굴강도 평가 장치가 될 수 있다. 즉, 하드웨어 또는 장치의 그 명칭에 관계없이 그 안에 포함되는 구성의 기능이 상술한 본 실시예에 따른 좌굴강도 평가 방법을 수행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굴강도 평가 장치임을 분명히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굴강도 평가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매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곡판 20 : 제1표식
30 : 제2표식
30 : 제2표식
Claims (8)
- 곡판의 휨 각도값인 곡률과 곡판의 설계인자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설계인자를 이용하여 상기 곡판의 탄성좌굴응력과 세장비를 연산하는 단계와,
상기 곡률과 상기 세장비를 이용하여 곡률 영향에 따른 좌굴강도 증가분을 연산하는 단계와,
상기 탄성좌굴응력과 상기 좌굴강도 증가분을 이용하여 곡판좌굴응력을 연산하는 단계와,
산출된 상기 곡판좌굴응력으로부터 상기 곡판의 안전성을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곡률을 고려한 좌굴강도 평가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판좌굴응력이 항복응력의 50% 이상인 경우 소성 수정식을 적용하여 소성수정좌굴응력을 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곡률을 고려한 좌굴강도 평가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곡판에 대한 좌굴강도를 예측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곡판좌굴응력이 항복응력의 50% 이상일 경우, 상기 소성수정좌굴응력이 상기 곡판의 좌굴강도 안전성 비교 판단용 수치로서 채택되어 좌굴 안전 기준치와의 비교 판단에 사용되는 곡률을 고려한 좌굴강도 평가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판에 대한 좌굴강도를 예측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곡판좌굴응력이 항복응력의 50% 미만일 경우, 상기 곡판좌굴응력이 상기 곡판의 좌굴강도 안전성 비교 판단용 수치로서 채택되어 좌굴 안전 기준치와의 비교 판단에 사용되는 곡률을 고려한 좌굴강도 평가 방법.
- 좌굴강도 평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좌굴강도 평가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구현되어 있으며, 상기 좌굴강도 평가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곡판의 휨 각도값인 곡률과 곡판의 설계인자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설계인자를 이용하여 상기 곡판의 탄성좌굴응력과 세장비를 연산하는 단계와,
상기 곡률과 상기 세장비를 이용하여 곡률 영향에 따른 좌굴강도 증가분을 연산하는 단계와,
상기 탄성좌굴응력과 상기 좌굴강도 증가분을 이용하여 곡판좌굴응력을 연산하는 단계와,
산출된 상기 곡판좌굴응력으로부터 상기 곡판의 안전성을 예측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32686A KR101122562B1 (ko) | 2010-04-09 | 2010-04-09 | 곡률을 고려한 좌굴강도 평가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32686A KR101122562B1 (ko) | 2010-04-09 | 2010-04-09 | 곡률을 고려한 좌굴강도 평가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13343A true KR20110113343A (ko) | 2011-10-17 |
KR101122562B1 KR101122562B1 (ko) | 2012-03-16 |
Family
ID=45028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32686A KR101122562B1 (ko) | 2010-04-09 | 2010-04-09 | 곡률을 고려한 좌굴강도 평가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22562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017678A1 (ko) * | 2018-07-18 | 2020-01-23 | (주)에스에이치팩 | 하이브리드 환봉 및 그 제조방법 |
KR20200014102A (ko) * | 2018-07-31 | 2020-02-10 | (주)에스에이치팩 | 하이브리드 튜브 및 그 제조방법 |
CN113790959A (zh) * | 2021-09-03 | 2021-12-14 | 电子科技大学(深圳)高等研究院 | 金属薄板屈服应力测量工具及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94599B1 (ko) | 2001-04-19 | 2003-08-14 | 학교법인 대양학원 | 강구조물의 비선형 해석방법 |
-
2010
- 2010-04-09 KR KR1020100032686A patent/KR101122562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017678A1 (ko) * | 2018-07-18 | 2020-01-23 | (주)에스에이치팩 | 하이브리드 환봉 및 그 제조방법 |
KR20200009368A (ko) * | 2018-07-18 | 2020-01-30 | (주)에스에이치팩 | 하이브리드 환봉 및 그 제조방법 |
KR20200014102A (ko) * | 2018-07-31 | 2020-02-10 | (주)에스에이치팩 | 하이브리드 튜브 및 그 제조방법 |
CN113790959A (zh) * | 2021-09-03 | 2021-12-14 | 电子科技大学(深圳)高等研究院 | 金属薄板屈服应力测量工具及方法 |
CN113790959B (zh) * | 2021-09-03 | 2023-12-19 | 电子科技大学(深圳)高等研究院 | 金属薄板屈服应力测量工具及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22562B1 (ko) | 2012-03-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874504B2 (en) | Metal sheet bending fracture determin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 |
Hogström et al. | An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y of the effects of length scale and strain state on the necking and fracture behaviours in sheet metals | |
US20130006543A1 (en) | Fracture determination method, fracture determination apparatus,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 |
KR101886556B1 (ko) | 신장 플랜지 균열 예측 방법, 신장 플랜지 균열 예측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 |
JP6176410B2 (ja) | 破断予測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演算処理装置 | |
KR101122562B1 (ko) | 곡률을 고려한 좌굴강도 평가 방법 | |
Marouani et al. | Numerical investigations on sheet metal blanking with high speed deformation | |
Choung | Comparative studies of fracture models for marine structural steels | |
JP5098901B2 (ja) | 材料特性パラメータの算定方法 | |
JP6287665B2 (ja) | 薄鋼板製部材の延性脆性破壊特性の予測方法及び装置、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 |
WO2023229004A1 (ja) | せん断端面の遅れ破壊特性評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自動車部品の製造方法 | |
JP3814226B2 (ja) | 材料データの同定方法、強度予測評価システム、記録媒体、及びプログラム | |
JP4109495B2 (ja) | 材料データの同定方法、成形性予測評価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 |
JP2006337343A (ja) | 結晶性高分子から成る構造体の真応力−対数ひずみ曲線の推定システム | |
Subramanian et al. | Improved noncompact web-slenderness limit for steel I-girders | |
JP7052918B2 (ja) | 鋼材の破断予測方法、破断予測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 |
US12017265B2 (en) | Method for evaluating bending crack, system for evaluating bending cra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ress-formed component | |
Choi et al. | A new model of fatigue crack growth rate considering mean stress effects due to locked-in stress | |
Kilambi et al. | Numerical evaluation of plastic strains in coiled tubing surface flaws for comparison to analytical and emperical models | |
Phongsai et al. | Simplified identification of material parameters for Yoshida-Uemori kinematic hardening model | |
JP7563657B1 (ja) | プレス成形用の金属板の遅れ破壊特性評価方法、プレス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Tang et al. | Anisotropic hardening of MS1180 steel plate: Experimental and analytical modeling | |
Song et al. | Springback after the lateral bending of T-section rails of work-hardening materials | |
JP2024143136A (ja) | 成形性評価装置、成形性評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Arola et al. | Evaluation of bendability of hot-rolled S960 grade steel using optical strain measurements and FE-modell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