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2682A - 디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디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2682A
KR20110112682A KR1020100031935A KR20100031935A KR20110112682A KR 20110112682 A KR20110112682 A KR 20110112682A KR 1020100031935 A KR1020100031935 A KR 1020100031935A KR 20100031935 A KR20100031935 A KR 20100031935A KR 20110112682 A KR20110112682 A KR 20110112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inorganic hybrid
poly
hybrid silica
molecular si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1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4326B1 (ko
Inventor
하창식
수렌드란 파람바다스
박성수
신정훈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31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4326B1/ko
Publication of KR20110112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2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4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4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01B33/113Silicon oxides; Hydrates thereof
    • C01B33/12Silica; Hydrates thereof, e.g. lepidoic silic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1Proline; Derivatives thereof, e.g. captopr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9/00Compounds having molecular sieve and base-exchange properties, e.g. crystalline zeolites; Their preparation; After-treatment, e.g. ion-exchange or dealumi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7/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Table
    • C07F7/02Silicon compounds
    • C07F7/0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 C07F7/0803Compounds with Si-C or Si-Si linkages
    • C07F7/081Compounds with Si-C or Si-Si linkages comprising at least one atom selected from the elements N, O, halogen, S, Se or Te
    • C07F7/0812Compounds with Si-C or Si-Si linkages comprising at least one atom selected from the elements N, O, halogen, S, Se or Te comprising a heterocycl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2Surface area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6Pore diame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ilicates, Zeolites, And Molecular Sieves (AREA)

Abstract

구조형성 주형과, 선도물질로 피페라진으로부터 제조된 디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전구체를 세공벽 형성 물질로 이용한 반응물의 솔-젤 반응과 자기조립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디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 및 그 제조방법{Diurea-containing Periodic Mesoporous Organosilica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전구체를 새로이 합성하고, 이 새로운 전구체를 사용하여 졸-겔 반응과 자기조립 방법을 통해 세공벽에 디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피페라진을 이용하여 디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실란 전구체를 새로이 합성하고, 이와 함께 주형으로 삼원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세공벽에 디우레아를 포함하는 큰 표면적, 나노미터 크기의 세공과 규칙적인 세공 배열을 가지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를 단일 반응용기 내에서 합성하는 기술에 관련하며, 이 물질의 약물 전달체로서의 능력을 제시한다.
중간세공 분자체는 친수성과 소수성 부분을 가지는 단분자나 고분자 계면활성제가 수용액 상에서 자기조립하는 현상을 이용하고 세공벽을 이루는 물질로 실리카를 기본으로 하는 무기물을 이용하여 제조한다.
Asefa et al., Melde et al. 그리고 Inagaki et al. 의 세 그룹은 단분자 계면활성제를 주형으로 하고 무기물로 실리카 전구체 내에 유기물이 가교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여 강 염기성 조건하에서 중간세공벽 내에 유기그룹이 포함되어 있는 중간세공 분자체를 합성하였다.
(참조문헌: (a) Inagaki, S.; Guan, S.; Fukushima, Y.; Ohsuna, T.; Terasaki, O. J. Am . Chem . Soc . 1999, 121, 9611., (b) Melde, B. J.; Holland, B. T.; Blanford, C. F.; Stein, A. Chem . Mater . 1999, 11, 3302., (c) Asefa, T.; MacLachian, M.J.; Coombs, N.; Ozin, G. A. Nature 1999, 402, 867.)
이후, 많은 연구자에 의해 여러 가지 유기물이 가교되어 있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전구체(메탄, 에탄, 부탄, 에틸렌, 아세틸렌, 사이오펜, 바이사이오펜, 페닐, 바이페닐 그리고 그것들의 유도체가 가교된 트리 알콕시 실란)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세공구조(입방체, 육방체, 웜 구조)와 세공크기(2 ~ 5㎚)를 가지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를 합성하였다.
(참조문헌: (a) Lu, Y.; Fan, H.; Doke, N.; Loy, D. A.; Assink, R. A.; LaVan, D. A.; Brinker, C. J. J. Am . Chem . Soc . 2000, 122, 5258., (b) Dag,; Yoshina-Ishii, C.; Asefa, T.; MacLachlan, M. J.; Grondey, H.' Coombs, N.; Ozin, G. A. Adv . Funct . Mater . 2001, 11, 213., (c) Landskron, K.; Hatton, B. D.; Perovic D. D.; Ozin, G. A. Science 2003, 302, 266., (d) Kapoor, M. P.; Inagaki, S. Bull . Chem . Soc . Jpn . 2006, 79, 1463.)
상기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는 세공벽 내에 유기 그룹을 포함하고 있어서 순수한 실리카로 세공벽을 이루는 물질과 비교하여 소수성의 성격이 더 강하고, 더 유연한 세공벽을 가진다. 그리고 기능성을 가진 유기 그룹을 가짐으로써 다양한 응용가능성이 있다. 그 응용가능성으로는 반응의 촉매제, 선택적 흡착제, 크로마토그래피, 저유전 물질, 나노크기 물질 제조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참조문헌: (a) Fukuoka, A.; Sakamoto, Y.; Guan, S.; Inagaki, S.; Sugimoto, N.; Fukushima, Y.; Hirahara, K.; Iijima, S.; Ichikawa, M. J. Am . Chem. Soc . 2001, 123, 3373., (b) Burleigh, M. C.; Dai, S.; Hagaman, E. W.; Lin, J. S. Chem . Mater . 2001, 13, 2537., (c) Yang, Q.; Kapoor, M. P.; Inagaki, S. J. Am . Chem . Soc. 2002, 124, 9694., (d) Yamamoto, K.; Nohara, Y.; Tatsumi, T. Chem . Lett . 2001, 648., (e) Kapoor, M. P.; Bhaumik, A.; Inagaki, S.; Kuraoka, K.; Yazawa, T. J. Mater . Chem . 2002, 12, 3078., (f) Bhaumik, A.; Kapoo, M. P.; Inagaki, S. Chem . Commun. 2003, 470., (g) Ying, J. Y.C.; Mehnert, P.; Wong, M.S. Angew . Chem ., Int . Ed . 1999, 38, 56. (h) Davis, M. E. Nature 2002, 417, 813.)
그러나, 단분자의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중간세공 분자체의 세공크기는 5 ㎚ 이하의 값을 가진다. 그러므로, 세공 내에 거대분자의 도입이 어려웠다. 이러한 이유로, Frba et al.은 삼원 공중합체(EO20PO70EO20)를 주형으로 사용하고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전구체를 무기원으로 사용하여 강한 산성 조건 하에서 육방체 구조의 세공 배열과 6.5㎚의 세공 크기를 가지는 중간세공 분자체를 합성하였다. (참조문헌: Muth, O; Schellbach, C.; Frba, M. Chem . Commun. 2001, 2032)
또한, Matos et al.은 다른 삼원 공중합체(EO39BO47EO39)를 구조형성을 위한 주형으로 사용하고 1,2-비스(트리에톡시실릴)에탄 {1,2-(bistriethoxysilyl)- ethane}을 무기원으로 사용하여 강한 산성 조건 하에서 입방체 구조의 세공배열 구조를 가지고 12㎚의 큰 세공 크기를 가지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를 합성하였다. (참조문헌: Matos, J. R.; Kruk, M.; Mercuri, L. P.; Jeroniec, M.; Asefa, T.; Cooms, N.; Ozin, G. A.; Kamiyama, T.; Terasaki, O. Chem . Mater. 2002, 14, 1903.)
하지만, 두 그룹에 의해 합성된 중간세공 분자체는 세공 크기를 확장하는 데는 성공하였지만 세공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지 못하였다.
이후, Guo et al.에 의해 삼원 공중합체{P123 (EO20PO70EO20) 또는 F127 (EO106PO70EO106)}를 구조형성을 위한 주형으로 사용하고 세공벽을 형성하는 무기원으로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1,2-비스(트리에톡시실릴)에탄 {1,2-bis(tri- ethoxysilyl)ethane})]을 사용하고 무기염으로 염화나트륨이나 황산 포타슘을 구조형성 보조제로 사용하여 강한 산성 조건 하에서 육방체 또는 입방체의 매우 규칙적인 세공 배열과 최대 9.8㎚까지의 큰 세공을 가지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를 합성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를 합성하기 위하여 단분자 계면활성제나 공중합체를 구조형성을 위한 주형으로 이용하고 세공벽을 형성하는 무기물 원으로 유기 그룹이 가교되어 있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를 사용하여 강한 염기성 조건이나 강한 산성 조건 하에서 중간세공 분자체를 합성하였다.
이러한 강산이나 강염기의 부가는 결론적으로 시료 제조과정에서 산, 염기의 폐액을 생산하게 된다. 이러한 폐액은 환경적으로 강, 하천 등의 물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합성시 유발되는 산 증기에 의해 대기와 인체에도 치명적이다.
따라서, Zhai et al.에 의해 중간세공 분자체 합성시 산이나 염기를 부가하지 않는 환경친화적인 합성법을 확립하였다. (참조문헌: Zhaia, S. -R; Park, S. S.; Park, M.; Habib Ullaha, M.; Ha, C. -S. Microporous Mesoporous Mater. 2008, 113, 47)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유기 그룹이 가교된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가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는 유기 그룹으로 인해 열적으로 불안정하다.
그래서 Luo et al., Gao et al., 그리고 Seo et al. 등의 그룹에서 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를 연구하였다. 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는 쉽게 생산할 수 있고, 220℃ 이상에서도 열적으로 안정하다. 또한 우레아 그룹으로 인해 전도성이 향상되었으며, 많은 양의 염을 수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참조문헌: (a) Luo, Y.; Yang, P.; Lin, J. Microporous Mesoporous Mater. 2008, 111, 194., (b) Gao, L.; Wei, F.; Zhou, Y.; Fan, X. X.; Wang, Y; Zhu, J. H. Chem . Asian J. 2009, 4, 587., (c) Seo, Y. -K.; Park, S. -B.; Park, D. H. J. Solid State Chem . 2006, 179, 1285., (d) Goubert-Renaudin, S.; Schneider, R.; Walcarius, A. Tetrahedron Lett . 2007, 48, 2113., (e) Moreau, J. J. E.; Pichon, B. P.; Wong Chi Man, M.; Bied, C.; Pritzkow, H.; Bantignies, J. -L.; Dieudonn, P.; Sauvajol, J. -L. Angew. Chem . Int . Ed . 2004, 43, 203., (f) Li, J.; Qi, T.; Wang, L.; Zhou, Y.; Liu, C.; Zhang, Y. Microporous Mesoporous Mater. 2007, 103, 184.)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우레아를 포함한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전구체를 이용하여 제조된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구조형성 주형과, 선도물질로 피페라진으로부터 제조된 디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전구체를 세공벽 형성 물질로 이용한 반응물의 솔-젤 반응과 자기조립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조형성 주형으로, 삼원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폴리(에틸렌 옥사이드), poly(ethylene oxide)-block- poly(propylene oxide)-block- poly(ethylene oxide)) 또는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폴리(에틸렌 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poly(propylene oxide)-block-poly (ethylene oxide)-block -poly(propylene oxide)}나, 이원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폴리(스타이렌), poly(ethylene oxide)-block- poly(styrene), 폴리(4-비닐피리딘)폴리(스타이렌), poly(4-vinylpyridine) poly- styrene}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의 세공의 크기는 20Å 내지 100Å이며, 더욱 바람직하게, 40Å 내지 80Å이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의 표면적은 100m2g-1 내지 2000m2g-1이며, 더욱 바람직하게, 300m2g-1 내지 1000m2g-1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삼원 공중합체 또는 이원 공중합체의 구조형성 주형을 증류수와 염삼의 혼합물에 용해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에 디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전구체와 테트라에톡시실란(TEOS)을 첨가하여 교반하는 단계; 고온고압 하에서 일정시간 처리하는 단계; 및 결과물을 필터링하고 세척한 후 진공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디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전구체는, 피페라진을 아세트니트릴에 용해하고, 질소 분위기에서 3-isocyanatopropyltriethoxysilane을 첨가하여 혼합물을 생성하고, 상기 혼합물을 질소분위기에서 교반하고 용매를 증발시킨 후, 결과물을 무수 헥산으로 반복 세척하여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의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에 약물을 흡착시킨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의 약물 전달체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약물은 캠토프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의하면, 쉽게 생산할 수 있고, 220℃ 이상에서도 열적으로 안정한 새로운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포함된 디우레아 그룹으로 인해 전도성이 향상되며, 많은 양의 염을 수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디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전구체 제조과정의 개략도이다.
도 2 본 발명의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 제조과정의 간단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디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전구체의 수소 핵자기공명 분광스펙트럼으로 전구체가 잘 합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디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전구체의 탄소 핵자기공명분광 스펙트럼으로 전구체가 잘 합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디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중실리카 전구체의 적외선 분광 스펙트럼이다.
도 6은 각각 (A) 10%, (B) 20%, (C) 30%, 다른 비율의 디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의 질소 흡-탈착 등온선과 세공 크기 분포도이다.
도 7은 각각 (A) 용매 추출 전, (B) 10%, (C) 20%, (D) 30%의 디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의 적외선 분광 스펙트럼이다.
도 8은 디우레아의 비율이 10%인 디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의 실리카 핵자기공명 분광스펙트럼이다.
도 9는 디우레아의 비율이 30%인 디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의 탄소 핵자기공명 분광스펙트럼이다.
도 10은 디우레아의 비율이 30%인 디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의 열중량 분석곡선이다.
도 11은 각각 (A) 10%, (B) 20%, (C) 30%의 디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12는 디우레아의 비율이 30%인 디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의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라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를 이용한 약물 전달체로서의 응용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를 이용한 캡토프릴 약물의 시간에 따른 방출량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구조형성 주형"은 "구조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주형(template)"을 의미하고, "세공벽 형성물질"은 "미세 다공성 벽을 형성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형성 주형으로 삼원 공중합체나 이원 공중합체를 적용하고, 중간 세공벽을 구성하는 물질로 디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전구체를 이용하여 산이 부가되지 않은 조건에서 반응물들의 자기 조립(self-assembly)에 의해 매우 규칙적이고 일정한 세공 크기를 가지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를 제조한다.
또한, 세공벽 형성물질로서 실리카 원(source), 구체적으로 테트라에톡시실란(TEOS)이 더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전구체는 선도 물질로 피페라진으로부터 제조된 디우레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구조형성 주형으로, 삼원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폴리(에틸렌 옥사이드), poly(ethylene oxide)-block- poly(propylene oxide)-block- poly(ethylene oxide)) 또는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폴리(에틸렌 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poly(propylene oxide)-block-poly (ethylene oxide)-block -poly(propylene oxide)}나, 이원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폴리(스타이렌), poly(ethylene oxide)-block- poly(styrene), 폴리(4-비닐피리딘)폴리(스타이렌), poly(4-vinylpyridine) poly- styrene}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의 세공의 크기는 20Å 내지 100Å이며, 더욱 바람직하게 40Å 내지 80Å이다.
또한, 바람직하게,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의 표면적은 100m2g-1 내지 2000m2g-1이고, 더욱 바람직하게 300m2g-1 내지 1000m2g-1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는 약물 전달체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약물은 캠토프릴일 수 있다.
실시 예 1
디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전구체의 제조
도 1은 유기-무기혼성 실리카 전구체의 제조과정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0.086g의 피페라진(piperazine)을 20㎖의 아세트니트릴에 용해시키고, 질소 분위기에서 0.594g의 3-isocyanatopropyltriethoxysilane을 아주 천천히 첨가하여 혼합물을 생성한다.
이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의 67℃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한다.
다음, 진공을 걸어 용매를 증발시킨 뒤 얻어진 생성물을 무수 헥산으로 반복하여 세척하여 디우레아(diurea)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전구체를 생성한다.
실시 예 2
디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의 제조
도 2 본 발명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 제조과정의 간단한 개략도이다.
1.0g의 삼원 공중합체(PEO20PPO70PEO20)를 33㎖ 증류수와 37% HCL 5㎖의 혼합물에 완전히 용해시킨다.
그 뒤, 디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전구체와 TEOS를 각각 다른 농도로 첨가하여 35℃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고, 테프론 오토클레이브를 사용하여 24시간 동안 100℃에 위치시킨다.
상기 과정으로 얻어진 결과물을 필터하고 증류수로 세척하고, 100℃에서 12시간 동안 진공건조시켜서 디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를 생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디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전구체의 수소 핵자기공명 분광스펙트럼으로 전구체가 잘 합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디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전구체의 탄소 핵자기공명 분광스펙트럼으로 전구체가 잘 합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디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중실리카 전구체의 적외선 분광 스펙트럼이다. 3351㎝-1 N-Hst, 1624㎝-1 C=O, 1546㎝-1 N-Hamid, 1252㎝-1 Si-C, 1443㎝-1 N-C band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각각 (A) 10%, (B) 20%, (C) 30%로 서로 다른 비율의 디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의 질소 흡-탈착 등온선과 세공 크기 분포도이다. 각각 663m2g-1, 430m2g-1, 316m2g-1의 비표면적과 각각 77Å, 62Å, 54Å의 세공 직경을 가진다.
도 7은 각각 (A) 용매 추출 전, (B) 10%, (C) 20%, (D) 30%의 디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의 적외선 분광 스펙트럼이다. 3351㎝-1 N-Hst, 1619㎝-1 C=O, 1549㎝-1 N-Hamid, 1258㎝-1 Si-C, 1443㎝-1 N-C band를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디우레아의 비율이 10%인 디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의 실리카 핵자기공명 분광스펙트럼이다. T2와 T3 공명은 각각 C-Si(OSi)2(OH)와 C-Si(OSi)3을 나타내며, 이는 세공벽에 유기 실리카가 도입되었음을 의미한다.
도 9는 디우레아의 비율이 30%인 디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의 탄소 핵자기공명 분광스펙트럼이다. 디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가 잘 합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10은 디우레아의 비율이 30%인 디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의 열중량 분석곡선이다. 7% 이하의 무게 변화는 물리/화학적으로 흡착된 물과 에탄올의 증발에 기인한 것이며, 200℃와 300℃ 사이의 작은 무게 변화는 제거되지 못한 계면활성제인 삼원 공중합체의 제거에 의한 것이다.
도 11은 각각 (A) 10%, (B) 20%, (C) 30%의 디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10% 디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의 입자 크기는 1.5㎛, 20%는 3.25㎛임을 알 수 있으며, 그 이상의 함량에서는 입자가 구형이 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2는 디우레아의 비율이 30%인 디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의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이다. 2-D 육방정계 구조의 균일한 채널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라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를 이용한 약물 전달체로서의 응용에 대한 개략도이다.
약물이 흡착된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를 투석막 내부에 위치시켜 투석막 외부로 약물이 방출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를 이용한 캡토프릴 약물의 시간에 따른 방출량을 나타낸다. 디우레아의 함량이 적을수록 약물방출 능력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과 변형을 가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과 변형은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구조형성 주형과, 선도물질로 피페라진으로부터 제조된 디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전구체를 세공벽 형성 물질로 이용한 반응물의 솔-젤 반응과 자기조립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조형성 주형으로, 삼원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폴리(에틸렌 옥사이드), poly(ethylene oxide)-block- poly(propylene oxide)-block- poly(ethylene oxide)) 또는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폴리(에틸렌 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poly(propylene oxide)-block-poly (ethylene oxide)-block -poly(propylene oxide)}나, 이원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폴리(스타이렌), poly(ethylene oxide)-block- poly(styrene), 폴리(4-비닐피리딘)폴리(스타이렌), poly(4-vinylpyridine) poly- styrene} 중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의 세공의 크기는 20Å 내지 100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의 세공의 크기는 40Å 내지 80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의 표면적은 100m2g-1 내지 2000m2g-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의 표면적은 300m2g-1 내지 1000m2g-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
  7. 삼원 공중합체 또는 이원 공중합체의 구조형성 주형을 증류수와 염삼의 혼합물에 용해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에 디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전구체와 테트라에톡시실란(TEOS)을 첨가하여 교반하는 단계;
    고온고압 하에서 일정시간 처리하는 단계; 및
    결과물을 필터링하고 세척한 후 진공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의 제조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디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전구체는, 피페라진을 아세트니트릴에 용해하고, 질소 분위기에서 3-isocyanatopropyltriethoxysilane을 첨가하여 혼합물을 생성하고, 상기 혼합물을 질소분위기에서 교반하고 용매를 증발시킨 후, 결과물을 무수 헥산으로 반복 세척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의 제조방법.
  9. 청구항 1 내지 6 중의 어느 한 항의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에 약물을 흡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 약물 전달체.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약물은 캠토프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 약물 전달체.
KR1020100031935A 2010-04-07 2010-04-07 디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154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935A KR101154326B1 (ko) 2010-04-07 2010-04-07 디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935A KR101154326B1 (ko) 2010-04-07 2010-04-07 디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682A true KR20110112682A (ko) 2011-10-13
KR101154326B1 KR101154326B1 (ko) 2012-06-13

Family

ID=45028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1935A KR101154326B1 (ko) 2010-04-07 2010-04-07 디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432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58371A (zh) * 2013-07-08 2013-10-23 中南林业科技大学 一种在木材中自组装生成介孔分子筛的方法
KR101383677B1 (ko) * 2012-02-08 2014-04-1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약물전달을 위한 아미독심기가 개질된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메조포러스 물질과 그 제조방법
CN104445270A (zh) * 2014-11-28 2015-03-25 天津神能科技有限公司 一种合成高质子酸含量sapo-34分子筛的方法
WO2015197757A1 (en) * 2014-06-27 2015-12-30 Firmenich Sa Hybrid perfume microcapsule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930B1 (ko) * 2008-02-12 2010-02-1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유기-무기 혼성 중간세공 분자체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677B1 (ko) * 2012-02-08 2014-04-1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약물전달을 위한 아미독심기가 개질된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메조포러스 물질과 그 제조방법
CN103358371A (zh) * 2013-07-08 2013-10-23 中南林业科技大学 一种在木材中自组装生成介孔分子筛的方法
CN103358371B (zh) * 2013-07-08 2016-01-20 中南林业科技大学 一种在木材中自组装生成介孔分子筛的方法
WO2015197757A1 (en) * 2014-06-27 2015-12-30 Firmenich Sa Hybrid perfume microcapsules
JP2017528513A (ja) * 2014-06-27 2017-09-28 フイルメニツヒ ソシエテ アノニムFirmenich Sa ハイブリッド香料マイクロカプセル
US9963661B2 (en) 2014-06-27 2018-05-08 Firmenich Sa Hybrid perfume microcapsules
CN104445270A (zh) * 2014-11-28 2015-03-25 天津神能科技有限公司 一种合成高质子酸含量sapo-34分子筛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4326B1 (ko) 201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offmann et al. Periodic mesoporous organosilicas (PMOs): past, present, and future
US9295982B2 (en) MOF-based hierarchical porous materials and methods for preparation
Karimi et al. Periodic mesoporous organosilicas (PMOs): From synthesis strategies to applications
JP4714931B2 (ja) 非晶質アルミニウムケイ酸塩の製造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り得られた非晶質アルミニウムケイ酸塩、並びにそれを用いた吸着剤
Cui et al. Microfluidic synthesis of uniform single-crystalline MOF microcubes with a hierarchical porous structure
US9777029B2 (en) Process for obtaining metal-organic materials with structure type MIL-101 (Cr) and MIL-101-Cr-MX+
KR101420166B1 (ko) 금속이온의 선택적 흡착을 위한 술폰산 기가 개질된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중간세공 실리카물질 및 그 제조방법
CN107500310B (zh) 高性能纳米多级孔ts-1分子筛、制备方法及其应用
Yang et al. Facile preparation of hollow amino-functionalized organosilica microspheres by a template-free method
Ruiz‐Hitzky et al. Novel organic–inorganic mesophases: self‐templating synthesis and intratubular swelling
Rameli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mesoporous silica nanoparticles using ionic liquids as a template
Hu et al. Surfactant aggregates within deep eutectic solvent-assisted synthesis of hierarchical ZIF-8 with tunable porosity and enhanced catalytic activity
KR101154326B1 (ko) 디우레아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혼성 실리카 중간세공 분자체 및 그 제조방법
US20140206832A1 (en) Poly oligosiloxysilane
KR20050019340A (ko) 나노 세공을 갖는 vsb-5 분자체의 제조방법
Martín-Illán et al. Evolution of covalent organic frameworks: from design to real-world applications
KR100525209B1 (ko) 나노 세공을 갖는 금속 함유 vsb-5 분자체 조성물과이의 제조방법
CN105664860A (zh) MOF型多级孔材料IPD-mesoMOF-12
Yang et al. The synthesis of mesoporous silica film using multi-templates directing and the effects of inorganic acids
Li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rod-like periodic mesoporous organosilica with the 1, 4-diureylenebenzene moieties
KR101062666B1 (ko) 팔라듐 담지 메조다공성 제올라이트
CN100512960C (zh) 一种改性mcm-41/氧化铝复合载体材料的制备方法
KR100941930B1 (ko) 유기-무기 혼성 중간세공 분자체 및 그 제조 방법
CN102530968A (zh) 螺旋联噻吩基氧化硅纳米材料的制备方法
Xu et al. Sulfonic acid catalyst based on silica foam supported copolymer for hydrolysis of cellulo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