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0640A - 모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모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0640A
KR20110110640A KR1020100030087A KR20100030087A KR20110110640A KR 20110110640 A KR20110110640 A KR 20110110640A KR 1020100030087 A KR1020100030087 A KR 1020100030087A KR 20100030087 A KR20100030087 A KR 20100030087A KR 20110110640 A KR20110110640 A KR 20110110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flange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0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8930B1 (ko
Inventor
김세호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0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8930B1/ko
Publication of KR20110110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0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8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8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일면에 플랜지가 형성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플랜지에 배치되고 둘 이상의 고정홀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플랜지에 둘 이상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에 결합되어 모터와 인쇄회로기판 사이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로 구성되어,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조립시 모터와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터 조립체 {MOTOR ASSEMBLY}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이 모터에 조립되는 모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는 로터(Rotor)와 스테이터(Stator)의 상호 작용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직선 운동을 필요로 할 경우 모터의 구동축에 회전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동력 변환부가 구비된다. 그리고, 모터에는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회로부품들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PCB)이 조립된다.
동력 변환부는 모터의 구동축에 기어 물림되는 피니언 기어와, 피니언 기어와 기어 물림되어 직선 이동되는 랙 기어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모터에는 모터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는 플랜지가 구비되고, 이 플랜지에 인쇄회로기판이 조립되며,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에 피니언 기어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모터 조립체는 모터에 구비된 플랜지에 인쇄회로기판을 배치한 후 피니언 기어를 인쇄회로기판에 정렬시킨 후 볼트 등으로 체결하여 고정한다.
하지만, 피니언 기어를 정렬시킬 때 인쇄회로기판과 모터가 서로 고정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인쇄회로기판과 모터의 정렬 위치가 달라지게 되고, 이에 따라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 사이의 축간 거리에 오차가 발생된다. 따라서, 출력축 각도오차가 더욱 커지게 되고 산포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자동차 전조등 시스템의 리플렉터(reflector)를 구동하여 조명 방향을 변경하는데 사용될 경우 정밀 제어를 필요로 하는데, 조립시 오차로 인하여 정확한 구동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모터 조립체를 조립할 때 모터와 인쇄회로기판 사이가 고정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제품 조립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모터가 인쇄회로기판의 정해진 위치에 정확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다른 부품 조립시 모터와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모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모터와 인쇄회로기판 사이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조립이 쉽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모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모터와 인쇄회로기판을 고정시켜 피니언 기어를 압입할 때 기어와 맞물리는 다른 기어들 사이의 축간 거리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모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로서, 모터 조립체는 일면에 플랜지가 형성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플랜지에 배치되고 둘 이상의 고정홀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플랜지에 둘 이상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에 결합되어 모터와 인쇄회로기판 사이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모터 조립체에 따르면, 모터의 플랜지에 고정부재를 형성하여 인쇄회로기판과 모터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모터의 플랜지에 고정부재를 형성하여 인쇄회로기판과 모터가 고정되도록 하여 피니언 기어를 압입할 때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들 사이의 축간 거리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가 구비된 플랜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가 고정된 인쇄회로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와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고정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와 인쇄회로기판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0)와, 이 모터(10)의 일면에 배치되어 모터(10)를 제어하는 각종 회로부품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20)과, 이 인쇄회로기판(20)의 일면에 배치되어 모터(10)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30)를 포함한다.
모터(10)는 모터 케이스(12)와, 이 모터 케이스(12) 내부에 배치되는 스테이터(미도시)와, 스테이터의 내부에 배치되는 로터(미도시)와, 이 로터에 고정되고 모터 케이스(1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축(14)을 포함한다.
동력 전달부(30)는 구동축(14)에 고정된 구동기어(32)와, 이 구동기어(32)와 기어 물림되는 피니언 기어(34)를 포함한다. 피니언 기어(34)는 인쇄회로기판(20)의 하면에 배치되고 한 쌍으로 구성되어 회전축(36)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피니언 기어(34)는 다른 기어와 기어 물림되어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한다.
모터 케이스(12)에는 인쇄회로기판(20)에 안착되는 플랜지(40)가 일체로 형성되며, 플랜지(40)의 중앙측에 구동축(14)이 배치된다. 그리고, 구동모터(10)의 일측에는 전원 연결을 위한 전원 연결단자(16)가 설치된다.
플랜지(4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 형태이고 모터 케이스(12)를 일부분을 이루며, 그 중앙에는 구동축(14)이 통과하는 축 삽입홀(52)이 형성되고, 모터 조립체를 최종적으로 조립할 때 볼트 체결되는 한 쌍의 볼트 체결홀(54)이 형성된다.
그리고, 플랜지(40)의 측면에는 인쇄회로기판(20)과 모터(10) 사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50)가 일체로 형성된다.
고정부재(50)는 플랜지(40)의 가장자리에서 일체로 연장되는 로드부(42)와, 이 로드부(42)의 끝부분에서 직각으로 연장되어 인쇄회로기판(20)의 표면에 걸림되는 걸림부(44)로 구성된다. 그리고, 고정부재(50)가 형성되는 플랜지(40)의 가장자리에는 고정부재 성형홈(46)이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부재(50)는 둘 이상으로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플랜지의 네 부위에 형성되는 4 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재(50)는 플랜지(40)를 제조할 때 일체로 성형된다. 즉, 고정부재(50)는 플랜지(40)의 가장자리에 플랜지와 같이 제조된 후 로드부(42)를 절곡시키면 플랜지(40)에서 수직으로 세워지게 배치된다.
인쇄회로기판(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0) 및 모터 조립체 전체를 제어하는 각종 회로부품들이 실장되고, 모터(10)의 구동축(14)이 통과하는 관통홀(24)이 형성되며, 고정부재(50)가 삽입되는 고정홀(22)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고정홀(22)은 걸림부(44)가 통과할 수 있도록 걸림부(44)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고 걸림부(44)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홀(22)은 걸림부(44)가 통과한 후 걸림부(44)를 회전시키면 걸림부(44)가 인쇄회로기판(20)의 표면에 걸림되도록 장홈 형태, 슬롯 형태 또는 직사각형 형태 등으로 형성된다.
걸림부(44)는 고정홀(22)을 통과한 후 비틀어서 인쇄회로기판(20)의 표면에 걸림되도록 한다. 이때, 걸림부(44)를 비틀게 되면 로드부(42)에 비틀림 발생된다. 따라서, 로드부(42)는 비틀림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진다. 일 예로, 로드부(42)는 그 단면이 사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조립공정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모터(10)의 플랜지(40)를 인쇄회로기판(20)의 상면에 배치하면 플랜지(40)에 형성된 고정부재(50)가 인쇄회로기판(20)에 형성된 고정홀(22)을 통과한다. 그리고, 고정부재(50)의 걸림부(44)를 비틀면 걸림부(44)가 인쇄회로기판(20)의 표면에 걸림된다.
모터(10)와 인쇄회로기판(20) 사이가 고정부재(50)에 의해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이후 조립 공정에서 다른 부품을 조립할 때 모터(10)와 인쇄회로기판(20) 사이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모터(10)와 인쇄회로기판(20)의 조립이 끝나면 피니언 기어(34)를 압입하여 고정시키는데, 이때 피니언 기어(34)와 맞물리는 다른 기어들 사이의 축간 거리의 오차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출력축 각도오차 및 산포를 줄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에 형성된 고정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50)는 플랜지(40)에 고정부재 형태를 만든 후 고정부재(50)를 절곡시키면 플랜지(40)의 표면에 고정부재(50)가 수직으로 세워지게 된다.
즉, 고정부재(50)의 로드부(42)가 플랜지(40)에 연결된 상태로 되고, 로드부(42)의 측면 및 걸림부(44)가 플랜지(40)를 절개하여 형성한 후 고정부재(50)를 플랜지(40)에서 절곡시키면 플랜지(40)에 고정부재(50)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배치된다. 이때, 플랜지(40)에는 절개홈(60)이 형성된다.
이 경우 고정부재(50)는 플랜지(40)의 재료가 사용되기 때문에 별도로 고정부재를 만들기 위한 재료가 불필요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모터 12: 모터 케이스
14: 구동축 20: 인쇄회로기판
22: 고정홀 40: 플랜지
42: 로드부 44: 걸림부
50: 고정부재

Claims (8)

  1. 일면에 플랜지가 형성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플랜지에 배치되고 둘 이상의 고정홀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플랜지에 둘 이상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에 결합되어 모터와 인쇄회로기판 사이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모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모터 구동축이 배치되고, 모터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되는 모터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홀에 삽입하고 인쇄회로기판에 비틀어 고정하는 모터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플랜지의 측면에 일체로 연결되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의 끝부분에 직각으로 방향으로 연결되어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에 걸림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모터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은 상기 걸림부가 통과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슬롯 형태로 형성되는 모터 조립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고정홀을 통과하여 인쇄회로기판의 하면에 걸림되는 모터 조립체.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는 비틀림이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갖고 그 단면이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모터 조립체.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플랜지를 절개하여 형성되는 모터 조립체.
KR1020100030087A 2010-04-01 2010-04-01 모터 조립체 KR101708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0087A KR101708930B1 (ko) 2010-04-01 2010-04-01 모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0087A KR101708930B1 (ko) 2010-04-01 2010-04-01 모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0640A true KR20110110640A (ko) 2011-10-07
KR101708930B1 KR101708930B1 (ko) 2017-02-21

Family

ID=45027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0087A KR101708930B1 (ko) 2010-04-01 2010-04-01 모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893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4617U (ko) * 1996-05-09 1997-12-11 인쇄회로기판 고정구조물
KR20020034606A (ko) * 2000-11-02 2002-05-09 송재인 스핀들 모터의 스테이터 어셈블리
JP2004032916A (ja) * 2002-06-26 2004-01-29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基板一体型ブラシレスモー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4617U (ko) * 1996-05-09 1997-12-11 인쇄회로기판 고정구조물
KR20020034606A (ko) * 2000-11-02 2002-05-09 송재인 스핀들 모터의 스테이터 어셈블리
JP2004032916A (ja) * 2002-06-26 2004-01-29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基板一体型ブラシレスモ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8930B1 (ko) 201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3700B2 (en) Drive unit for actuator drive including an electric motor and actuator drive
EP2500575B2 (de) Heizungsumwälzpumpe
EP1171680B1 (de) Motorgehäuse und poltopf, insbesondere für fensterheber- oder schiebedachmotoren
US20130313929A1 (en) Control device and rotating electric machine integral with control device
EP3510692A1 (de) ANTRIEBSVORRICHTUNG FÜR EINEN FENSTERHEBER, MIT EINEM AUßENLÄUFERMOTOR
KR101398073B1 (ko) 액츄에이터 어셈블리
EP3703230B1 (en) Linear motor for sliding door
CN106969109A (zh) 一种拆装方便的致动器
KR20110110640A (ko) 모터 조립체
JP4916458B2 (ja) ギヤードモータ
CN206785963U (zh) 一种拆装方便的致动器
CN101369756B (zh) 电机固定结构和电机组件
WO2018125562A2 (en) Axial flux motor for a conveyor
JP2007035933A (ja) 回路部品の実装構造
CN101741173A (zh) 步进致动器
WO2018088136A1 (ja) 車両用ワイヤ式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装置
KR101912173B1 (ko) 기어샤프트와 기어박스 하우징 결합구조
KR101523189B1 (ko) 스텝 액츄에이터
CN114763827A (zh) 线性致动器及线性致动器组装方法
KR101403493B1 (ko) 직렬 연결이 가능한 모터
KR101404735B1 (ko) 엑츄에이터
KR200424727Y1 (ko) 감속기케이스
JP3185116U (ja) 成形機のスクリュ締結機構
KR101612627B1 (ko) 엑추에이터 하우징 구조체
CN220544804U (zh) 一种可快速拆装的货道电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