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9675A - 마스크 - Google Patents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9675A
KR20110109675A KR1020100029500A KR20100029500A KR20110109675A KR 20110109675 A KR20110109675 A KR 20110109675A KR 1020100029500 A KR1020100029500 A KR 1020100029500A KR 20100029500 A KR20100029500 A KR 20100029500A KR 20110109675 A KR20110109675 A KR 20110109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air
nose
outside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9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5806B1 (ko
Inventor
조기형
Original Assignee
조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기형 filed Critical 조기형
Priority to KR1020100029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5806B1/ko
Publication of KR20110109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9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1D13/113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a vertical fold or wel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6Nos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2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흡시 공기에 함유된 유해물질의 흡입을 방지하기 위한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인체의 안면을 덮을 수 있으면서 인체의 안면과 이격되는 호흡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 메인바디와, 메인바디 내에 장착되어 인체의 코를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된 코착용부와, 코착용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메인 바디의 호흡공간 내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된 흡입관과, 코착용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되 메인 바디 외부까지 연장되어 착용자의 코로부터 배출되는 날숨을 메인바디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된 배출관과, 메인바디를 인체에 착용할 수 있도록 된 착용부재와, 호흡공간으로부터 코착용부 방향으로만 공기의 흡입이 가능하게 흡입관에 설치된 제1체크밸브와, 날숨만 메인바디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관에 설치된 제2체크밸브를 구비한다. 이러한 마스크에 의하면, 호흡시 들숨상태에서 외부로부터 내피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 날순상태에서 배출되는 공기 상호간이 섞이지 않음으로써 여과된 신선한 공기의 흡입이 가능하고, 농약과 같이 비산되는 유해액의 투입율을 억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유해물질의 흡입율을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마스크{mask}
본 발명은 호흡시 유해물질의 흡입을 억제하기 위해 착용되는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편안한 호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마스크는 유해물질의 호흡기 내로의 진입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용환경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한 구조가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유해물질 여과용 천을 주 소재로한 마스크의 경우 마스크의 천이 호흡기에 밀착되어 호흡이 불편하고 유해물질의 투과가 쉽게 이루어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호흡공간을 더욱 확보하기 위해 합성수지로 캡형태로 형성된 외피 내에 필터용 부직포와 같은 내피가 융착된 구조의 마스크가 있으나, 이 역시 착용자가 호흡시 외피 상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을 통해 내피 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흡입하며, 날숨 또한 마스크 내로 배출되기 때문에 흡입공기와 배출공기가 상호 혼합됨으로써 마스크의 호흡공간 내에서의 산소농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날숨의 마스크 외부로의 배출이 원할하지 않아 호흡을 원할하게 유지하기 힘든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흡입용 공기와 날숨이 섞이지 않으면서도 원할한 호흡이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 구조가 간단한 마스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호흡시 공기에 함유된 유해물질의 흡입을 방지하기 위한 마스크에 있어서, 인체의 안면을 덮을 수 있으면서 인체의 안면과 이격되는 호흡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 내에 장착되어 인체의 코를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된 코착용부와; 상기 코착용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 바디의 호흡공간 내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된 흡입관과; 상기 코착용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메인 바디 외부까지 연장되어 착용자의 코로부터 배출되는 날숨을 상기 메인바디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된 배출관과; 상기 메인바디를 인체에 착용할 수 있도록 된 착용부재와; 상기 호흡공간으로부터 상기 코착용부 방향으로만 공기의 흡입이 가능하게 상기 흡입관에 설치된 제1체크밸브와; 외부로부터 공기의 흡입은 차단되고 착용자의 코로부터 배출되는 날숨이 상기 메인바디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관에 설치된 제2체크밸브;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바디는 인체의 안면부분과 밀착되며 상기 호흡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형성되되 외부공기가 흡입될 수 있는 흡입공이 형성된 외피체와; 상기 외피체 내에 결합되며 공기에 함유된 유해물질을 여과할 수 있는 소재로 된 내피체;를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바디는 방수가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어 인체의 턱 하부까지 연장될 수 있게 형성된 방수판과; 상기 방수판 내측에 결합되되 공기에 함유된 유해물질을 여과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되 가장자리 라인을 따라 조임줄이 구속상태로 이동될 수 있는 조임로가 형성되어 상기 조임줄의 조임여부에 따라 인체의 턱하부까지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된 내피체;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피체는 하부가 상기 상부판과 분리가능하게 상부가 상기 방수판과 접합되며 상기 방수판과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주름지게 형성된 주름부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에 의하면, 호흡시 들숨상태에서 외부로부터 내피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 날순상태에서 배출되는 공기 상호간이 섞이지 않음으로써 여과된 신선한 공기의 흡입이 가능하고, 농약과 같이 비산되는 유해액의 투입율을 억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유해물질의 흡입율을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흡입관에 설치된 제1체크밸브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배출관에 설치된 제2체크밸브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마스크의 착용상태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마스크(100)는 메인바디(110), 코착용부(130), 흡입관(140), 배출관(150) 및 결속끈(181)을 구비한다.
메인바디(110)는 외부 공기에 함유된 유해물질의 흡입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외부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메인바디(110)는 인체의 안면을 밀착되게 덮을 수 있으면서 착용상태에서 안면으로부터 이격되는 호흡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캡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메인바디(110)는 외피체(112)와 내피체(114)를 구비한다.
외피체(112)는 가장자리 부분이 인체의 안면부분과 밀착되며 착용상태에서도 호흡공간(116)을 형성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되 외부공기가 흡입될 수 있는 흡입공(118)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외피체(112)는 흡입공(118)이 착용자의 콧구멍과 대향되는 저면에만 형성된다.
외피체(112)는 합성수지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내피체(114)는 외피체(112) 내에 접합되어 결합되며 공기에 함유된 유해물질을 여과할 수 있는 소재로 되어 있다.
내피체(114)는 부직포와 같은 천소재, 또는 다공성 소재로 되어 호흡이 가능한 공지된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피체(114)는 상호 다른 이종의 소재가 다수 적층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코착용부(130)는 메인바디(110)의 내피체(114) 내에 장착되어 인체의 코를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코착용부(130)의 형상을 구분하면, 코가 삽입되어 감쌀수 있게 삼각홈을 갖는 형태로 형성된 코수용부분(132)과, 코수용부분(132)의 가장자리에서 외측으로 확장되어 안면에 밀착될 수 있게 형성된 밀착부분(134)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코 착용부(130)에서 코수용부분(132)의 바닥면(133)에는 코수용부분(132)의 삼감홈 내부와 연통될 수 있게 후술되는 흡입관(140)과 배출관(150)이 하방으로 연장되게 결합되어 있다.
코착용부(130)는 실리콘 소재 또는 그 밖의 착용이 용이하면서도 형상이 유지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코착용부(130)는 메인바디(110)의 호흡공간(116) 내에 위치되도록 메인바디(110) 내에서 메이바디(110)와 결합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코착용부(130)는 결합끈(138)을 통해 메인바디(110)의 외피체(112)에 결합된 구조가 적용되었고, 도시된 예와 다르게 부분적으로 메인바디(110)와 일체로 형성되어 결합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흡입관(140)은 코착용부(130)의 바닥면(133)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메인 바디(110)의 호흡공간(116) 내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배출관(150)은 코착용부(130)의 바닥면(133)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되 메인 바디(110) 외부까지 연장되어 착용자의 코로부터 배출되는 날숨을 메인바디(110)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흡입관(140)에는 메인바디(110)의 호흡공간(116)으로부터 코착용부(130) 방향으로만 공기의 흡입이 가능하게 제1체크밸브(142)가 설치되어 있고, 그 구조의 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제1체크밸브(142)는 흡입관(140) 내에 유로가 좁아지게 중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턱(141)의 상면에 일단이 접합되고 타단은 유동가능하게 결합된 구조가 적용되었다.
한편, 배출관(150)에도 외부로부터 배출관(150)내로의 공기의 흡입은 차단되고 착용자의 코로부터 배출되는 날숨이 메인바디(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제2체크밸브(152)가 설치되어 있고, 그 구조의 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제2체크밸브(152)는 배출관(150) 내에 유로가 좁아지게 중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턱(151)의 저면에 일단이 접합되고 타단은 유동가능하게 결합된 구조가 적용되었다.
참조부호 181은 메인바디(110)를 인체에 착용할 수 있도록 결합된 착용부재로서 적용된 결속 끈이다.
이러한 마스크(100)는 도 2를 통해서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흡입시에는 메인바디(110)로부터 호흡공간내로 여과되어 진입된 공기를 흡입관(140)을 통해 흡입하고, 배출시에는 코착용부(130)로부터 배출관(150)을 통해 메인바디(110)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날숨이 호흡공간(116) 내의 여과공기와 혼합되지 않고, 배출관(150)을 통해 원할하게 배출될 수 있어 호흡이 용이한 장점을 제공한다.
한편, 메인바디(110)의 외부에서 메인바디(110) 내로 인입되는 공기 내의 유해물질 유입을 더욱 줄일 수 있는 다른 실시 예의 구조가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예와 동일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마스크(200)의 메인바디는 방수판(212), 내피체(214)를 구비한다.
방수판(212)은 방수가 가능한 소재 예를 들면 비닐소재로 형성되어 인체의 턱 하부까지 연장될 수 있는 크기로 적용된다.
내피체(214)는 상단 부분만 방수판(212)의 상부 내측에 접합되고 하부는 방수판(212)과 비접합되게 되어 있다.
내피체(214)는 앞서 공기에 함유된 유해물질을 여과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된다.
또한 내피체(21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시 인체의 턱하부까지 감쌀 수 있도록 크기로 형성되고, 가장자리 라인을 따라 삽입된 조임줄(219)이 구속상태로 이동될 수 있는 조임로(218)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조임로(218)는 내피체(214)로 적용하고자 하는 천소재에 봉제에 의한 박음질을 하여 형성하면 된다.
한편 내피체(214)는 방수판(212)과 분리가능한 하부 영역이 방수판(212)과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여 외부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방수판(212)과 대향되는 부분 중 적어도 일부가 주름지게 처리된 주름부(214a)를 갖게 형성된다.
이러한 마스크(200)는 농약살포시 이용하게 되면 액상으로 비산되는 농약이 방수판(212)에 의해 하방으로 낙하하게되고, 방수판(212) 내의 턱 밑 하부영역상의 내피체(214)를 거쳐 여과된 공기를 흡입할 수 있어 농약과 같은 유해물질의 흡입이 더욱 억제될 수 있다.
110: 메인 바디 130: 코착용부
140: 흡입관 150: 배출관

Claims (4)

  1. 호흡시 공기에 함유된 유해물질의 흡입을 방지하기 위한 마스크에 있어서,
    인체의 안면을 덮을 수 있으면서 인체의 안면과 이격되는 호흡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 내에 장착되어 인체의 코를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된 코착용부와;
    상기 코착용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 바디의 호흡공간 내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된 흡입관과;
    상기 코착용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메인 바디 외부까지 연장되어 착용자의 코로부터 배출되는 날숨을 상기 메인바디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된 배출관과;
    상기 메인바디를 인체에 착용할 수 있도록 된 착용부재와;
    상기 호흡공간으로부터 상기 코착용부 방향으로만 공기의 흡입이 가능하게 상기 흡입관에 설치된 제1체크밸브와;
    외부로부터 공기의 흡입은 차단되고 착용자의 코로부터 배출되는 날숨이 상기 메인바디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관에 설치된 제2체크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는
    인체의 안면부분과 밀착되며 상기 호흡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형성되되 외부공기가 흡입될 수 있는 흡입공이 형성된 외피체와;
    상기 외피체 내에 결합되며 공기에 함유된 유해물질을 여과할 수 있는 소재로 된 내피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는
    방수가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어 인체의 턱 하부까지 연장될 수 있게 형성된 방수판과;
    상기 방수판 내측에 결합되되 공기에 함유된 유해물질을 여과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되 가장자리 라인을 따라 조임줄이 구속상태로 이동될 수 있는 조임로가 형성되어 상기 조임줄의 조임여부에 따라 인체의 턱하부까지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된 내피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체는 하부가 상기 상부판과 분리가능하게 상부가 상기 방수판과 접합되며 상기 방수판과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주름지게 형성된 주름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KR1020100029500A 2010-03-31 2010-03-31 마스크 KR101165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500A KR101165806B1 (ko) 2010-03-31 2010-03-31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500A KR101165806B1 (ko) 2010-03-31 2010-03-31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675A true KR20110109675A (ko) 2011-10-06
KR101165806B1 KR101165806B1 (ko) 2012-07-16

Family

ID=45391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9500A KR101165806B1 (ko) 2010-03-31 2010-03-31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580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49018A (zh) * 2014-03-28 2014-07-30 党新洲 一种口罩和呼吸器
WO2018199694A1 (ko) * 2017-04-27 2018-11-01 왕종문 마스크
CN109330061A (zh) * 2018-10-24 2019-02-15 张梅 一种医用手术用口罩
CN109701175A (zh) * 2019-02-26 2019-05-03 昆山远山天地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呼吸隔离罩及呼吸辅助系统
KR102272032B1 (ko) * 2020-11-29 2021-07-02 김형준 외기호흡보조기
KR20210002315U (ko) * 2020-04-09 2021-10-19 어메이징썬 주식회사 필터교체형 그물망 마스크
KR102316855B1 (ko) * 2021-04-20 2021-10-22 전금진 코 호흡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825B1 (ko) * 2019-05-16 2021-04-05 김지은 미세먼지 마스크
KR102403788B1 (ko) 2020-06-12 2022-05-27 유남호 체크밸브를 갖는 마스크
KR20220000866U (ko) 2020-10-14 2022-04-21 김풍세 이격부재가 구비된 마스크
KR102278379B1 (ko) * 2020-12-01 2021-07-15 이인복 호흡 가이드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마스크 시스템
KR102620332B1 (ko) 2021-10-07 2024-01-02 최윤섭 밴드형 코 호흡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9464B1 (ko) * 2003-06-13 2005-10-10 유의성 흡배수단 다용도 마스크
KR200426249Y1 (ko) * 2006-06-30 2006-09-12 김영수 휴대용 건강 마스크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49018A (zh) * 2014-03-28 2014-07-30 党新洲 一种口罩和呼吸器
WO2018199694A1 (ko) * 2017-04-27 2018-11-01 왕종문 마스크
CN109330061A (zh) * 2018-10-24 2019-02-15 张梅 一种医用手术用口罩
CN109701175A (zh) * 2019-02-26 2019-05-03 昆山远山天地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呼吸隔离罩及呼吸辅助系统
CN109701175B (zh) * 2019-02-26 2024-02-06 昆山远山天地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呼吸隔离罩及呼吸辅助系统
KR20210002315U (ko) * 2020-04-09 2021-10-19 어메이징썬 주식회사 필터교체형 그물망 마스크
KR102272032B1 (ko) * 2020-11-29 2021-07-02 김형준 외기호흡보조기
KR102316855B1 (ko) * 2021-04-20 2021-10-22 전금진 코 호흡장치
WO2022225111A1 (ko) * 2021-04-20 2022-10-27 전금진 코 호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5806B1 (ko) 2012-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5806B1 (ko) 마스크
KR101254248B1 (ko) 마스크
US11388939B2 (en) Earless filter mask
US20180133524A1 (en) Mask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pollutants
KR101627973B1 (ko) 다용도 마스크
US10449398B2 (en) Earless filter mask
JP2022050697A (ja) 呼気弁を備える折り畳み可能なフェイスピース呼吸マスク
KR101628323B1 (ko) 마스크
TWI552784B (zh) 具過濾匣的鼻罩式呼吸防護具
CA3133167A1 (en) Nasal mask
KR102179117B1 (ko) 호흡용 마스크
KR20210009833A (ko) 코호흡 분리형 마스크
KR20200136936A (ko) 호흡 마스크에 사용하기 위한 라이너 및 유지 부재
KR200492269Y1 (ko) 초미세 여과성능과 마스크 교환 및 교체 사용성이 개선된 고성능 노즈 필터 마스크
CN105105369B (zh) 液体过滤式口罩
CN213077273U (zh) 一种呼吸分离型口罩
JP3230190U (ja) 衛生マスク
CN212383097U (zh) 一种呼入呼出分滤式口罩
CN212369436U (zh) 一种呼入呼出分滤式口罩的呼吸阀体结构
WO2020163064A1 (en) Earless filter mask
RU2807861C1 (ru) Маска защитная
CN212814420U (zh) 一种分滤式口罩
CN215455617U (zh) 一种带有密封装置的口罩
CN211912485U (zh) 防护面罩
KR102075839B1 (ko) 수처리 필터 카트리지를 갖는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