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6855B1 - 코 호흡장치 - Google Patents

코 호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6855B1
KR102316855B1 KR1020210051333A KR20210051333A KR102316855B1 KR 102316855 B1 KR102316855 B1 KR 102316855B1 KR 1020210051333 A KR1020210051333 A KR 1020210051333A KR 20210051333 A KR20210051333 A KR 20210051333A KR 102316855 B1 KR102316855 B1 KR 102316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lation
inhalation
tube
assembled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1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금진
Original Assignee
전금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금진 filed Critical 전금진
Priority to KR1020210051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6855B1/ko
Priority to US18/034,633 priority patent/US20240033543A1/en
Priority to PCT/KR2021/013181 priority patent/WO202222511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6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6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6Nos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0Respiratory apparatus with filt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2Respiratory apparatus with fresh-air ho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2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4Couplings; Supporting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6Mouthpieces; Nose-cli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 호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스크와 함께 착용하여 사용자의 호흡과정을 통해 발생되는 마스크 내의 습기 형성을 방지해 피부 트러블 및 호흡기 질환을 예방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사용자의 코에 착용하는 들숨관(11)의 일측에 날숨관(13)이 분기된 한 쌍의 호흡기관체(10)와;
상기 들숨관(11)의 들숨수용공간(S1)에 조립되어 들숨에서는 공기흡입구(12)가 개방되고, 날숨에서는 공기흡입구(12)가 폐쇄되게 동작하는 들숨용 체크밸브(20)와;
상기 날숨관(13)의 날숨수용공간(S2)에 조립되어 들숨에서는 공기배출구(14)가 폐쇄되고, 날숨에서는 공기배출구(14)가 개방되게 동작하는 날숨용 체크밸브(30)와;
상기 날숨관(13)의 선단부에 조립되어 마스크(M)의 외부로 날숨을 배출하는 배출호스(40)를 포함해 구성된다.

Description

코 호흡장치 {Nose breat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코 호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스크와 함께 착용하여 사용자의 호흡과정을 통해 발생되는 마스크 내의 습기 형성을 방지해 피부 트러블 및 호흡기 질환을 예방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중의 이물질이나 먼지 또는 세균성 박테리아나 바이러스를 차단하기 위한 가장 손쉽고 용이한 방법은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다.
특히, 봄이나 가을철과 같은 환절기에는 황사, 꽃가루 등으로 인한 알레르기나 천식 등과 같은 각종 호흡기 질환의 발병을 방지하기 위해 마스크를 착용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또, 신종 인풀루엔자(H1N1)와 중동 호흡기 증후군(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COVID)와 같이 호흡기를 통해 전염되는 질병들을 예방하기 위하여 마스크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마스크는, 착용자의 코와 입을 커버하는 본체와 마스크를 귀에 걸어서 착용하기 위한 착용밴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마스크는 주로 면이나 섬유 소재를 봉제 및 박음질하여 제조하는 것으로,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호흡하게 되면 착용자의 얼굴과 마스크 사이의 공간은 반복되는 들숨과 날숨의 과정을 통해 내부 습기와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마스크를 장시간 착용하는 경우에는 마스크를 착용한 코와 입 주위의 피부가 습기에 노출되어 피부트러블 및 여러 피부 질환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동절기와 같은 계절적 환경에서는 착용자가 호흡하는 과정에서 마스크의 내,외측 온도 차이에 따라 습기가 증가되고, 심한 경우에는 마스크 내측면에 물방울이 형성되어 착용자가 마스크를 벗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였으며, 날숨 과정에서 따듯한 공기가 코 위쪽의 틈새로 배출되면서 안경에 김 서림이 발생하여 시야를 가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165806호 마스크 (등록일자 2012년 07월 09일)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마스크를 포함해 사용자의 코에 함께 착용하여 사용자의 호흡과정에서 들숨과 날숨의 흐름 역류를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호흡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착용자의 날숨을 외부로 직접 배출하여 마스크 내측을 쾌적하게 유지시켜 마스크를 착용한 사용자의 입 주위 청결을 유지하고 피부질환의 발생을 방지하고, 안경의 김서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이러스 보균자의 경우에도 착용자의 날숨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를 여과하여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바이러스의 확산을 방지해 사회 안전성을 신속히 정상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코에 착용하는 들숨관(11)의 일측에 날숨관(13)이 분기된 한 쌍의 호흡기관체(10)와;
상기 들숨관(11)의 들숨수용공간(S1)에 조립되어 들숨에서는 공기흡입구(12)가 개방되고, 날숨에서는 공기흡입구(12)가 폐쇄되게 동작하는 들숨용 체크밸브(20)와;
상기 날숨관(13)의 날숨수용공간(S2)에 조립되어 들숨에서는 공기배출구(14)가 폐쇄되고, 날숨에서는 공기배출구(14)가 개방되게 동작하는 날숨용 체크밸브(30)와;
상기 날숨관(13)의 선단부에 조립되어 마스크(M)의 외부로 날숨을 배출하는 배출호스(40)를 포함해 구성된다.
또, 상기 호흡기관체(10)는, 들숨관(11)의 선단에 사용자에 코 내벽면에 밀착되는 연질의 실리콘삽입부재(16)가 조립되어 달성한다.
또한, 상기 들숨용 체크밸브(20)는, 들숨수용공간(S1)을 따라 이동하는 구형상의 들숨체크볼(21)과; 상기 들숨관(11)의 내측에 구비된 고정돌출턱(15)에 지지되어, 들숨체크볼(21)의 내측 이동을 단속하고, 복수개의 들숨통기홀(23a)을 통해 공기는 이동는 들숨메시판(23)과; 상기 들숨관(11)의 선단부에 조립되면서 들숨관(11)의 내경면에 들숨볼걸림턱(22a)을 위치시켜 들숨체크볼(21)의 선단측 이동을 단속하는 들숨볼차단링(22)을 포함해 구성된다.
또, 상기 날숨용 체크밸브(30)는, 날숨수용공간(S2)을 따라 이동하는 구형상의 날숨체크볼(31)과; 상기 날숨관(13)의 내측에 구비된 고정돌출턱(15)에 지지되어 날숨체크볼(31)의 내측 이동을 단속하는 날숨볼차단링(32)과; 상기 날숨관(13)의 선단부에 조립되어 날숨체크볼(31)의 선단측 이동을 단속하며, 복수개의 날숨통기홀(33a)을 통해 공기는 이동되는 날숨메시판(33)을 포함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호흡기관체(10)는, 양측에 개구된 관끼움구(19a)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관연결부재(19)에 들숨관(11)의 외경면이 각각 끼워져 조립되게 구성한다.
또, 상기 배출호스(40)는, 내부에 흡착필터(70)가 수납되고, 착용자의 후방 머리둘레 또는 목에 지지되는 정화장치(50)에 연결되어 배출호스(4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 내 유해물질을 여과시켜 배출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정화장치(50)는, 관체형상을 갖고 양측에 호스연결구(61)가 구비된 필터관(60)과, 상기 필터관(60)의 내측에 삽입되어, 필터관(60)의 형상을 지지하는 나선지지체(65)와, 원통형상을 갖고 내부에 길이방향의 중앙토출로(71)가 구비되어, 상기 필터관(60)의 호스연결구(61)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여과하여 중앙토출로(71)를 통해 이동시키는 흡착필터(70)와; 상기 필터관(60)의 양측 단부에 각각 조립되면서, 흡착필터(70)의 위치를 고정하고, 중앙토출로(71)와 연통되는 공기토출구(81)가 구비된 필터캡(80)을 포함해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마스크를 포함해 사용자의 코에 함께 착용하여 사용자는 마스크로 여과된 공기를 흡입하고, 마스크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여, 마스크 내측 공간을 쾌적하게 유지시키고, 마스크를 착용한 사용자의 입 주위 청결을 유지하고 피부질환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안경의 김서림을 방지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또, 사용자의 코에 장착되어 호흡과정에서 들숨과 날숨의 흐름 역류를 방지함으로써 안정적인 호흡이 가능하며,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제품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코 호흡장치에 정화장치를 연결하여 바이러스 보균자의 경우에도 날숨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여과시켜 배출함으로써, 바이러스의 재확산을 방지해 사회 안전성을 신속히 정상화시키고, 사용자의 목에 착용한 상태에서 이동이나 야외활동이 가능하므로 휴대가 편리해 제품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코 호흡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코 호흡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인 코 호흡장치의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코 호흡장치의 들숨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코 호흡장치의 날숨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구성인 정화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구성인 정화장치의 평단면도.
본 발명인 코 호흡장치는, 마스크와 함께 착용하여 사용자의 호흡과정을 통해 발생되는 마스크 내의 습기 형성을 방지해 피부 트러블 및 호흡기 질환을 예방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코 호흡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코 호흡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크게 사용자의 코에 끼워 호흡하는 호흡기관체(10)에 들숨용 체크밸브(20)와 날숨용 체크밸브(30)가 조립되며, 상기 호흡기관체(10)의 날숨관(13)에 배출호스(40)가 연결되어 마스크(M) 외부로 인출되어 날숨에 포함된 습기를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상기 호흡기관체(10)는, 파이프 형상을 갖고 사용자의 코에 착용되는 들숨관(11)의 일측에 날숨관(13)이 분기된 'y' 형상을 갖고, 좌우 콧구멍에 각각 끼워지게 한 쌍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호흡기관체(10)는, 양측에 개구된 관끼움구(19a)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관연결부재(19)에 들숨관(11)의 외경면이 각각 끼워져 조립되게 구성하는데, 실시예로서 한 쌍의 호흡기관체(10)를 인접시킨 다음에 관연결부재(19)를 이용해 들숨관(11)의 상측과 하측을 관끼움구(19a)에 끼워 고정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들숨관(11)은 사용자의 마스크(M)와 코 사이에 위치하여 호흡이 용이할 수 있도록 직선형을 갖도록 하고, 날숨관(13)은 마스크(M)의 외부로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들숨관(11)에서 분기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호흡기관체(10)는, 들숨관(11)의 선단에 사용자에 코 내벽면에 밀착되는 연질의 실리콘삽입부재(16)가 조립되는데, 도면 상 하측을 들숨관(11)의 선단 외경에 끼워 기밀되게 조립하고, 도면 상 상측의 코끼움구(16a)는 보다 작은 직경을 갖게 형성하여 공기의 흡입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 실리콘삽입부재(16)는 어느 하나의 형상에 한정하지 않으며,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들숨관(11)과 날숨관(13)의 내경에는 공기흡입구(12) 및 공기배출구(14)의 선단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돌출턱(15)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출턱(15)과 각 선단 사이에 들숨용 체크밸브(20)가 조립되는 들숨수용공간(S1)과 날숨용 체크밸브(30)가 조립되는 날숨수용공간(S2)이 구비되도록 한다.
즉, 상기 들숨용 체크밸브(20)는, 들숨관(11)의 들숨수용공간(S1)에 조립되어 들숨에서는 공기흡입구(12)가 개방되고, 날숨에서는 공기흡입구(12)가 폐쇄되게 동작하고, 날숨용 체크밸브(30)는, 날숨관(13)의 날숨수용공간(S2)에 조립되어 들숨에서는 공기배출구(14)가 폐쇄되고, 날숨에서는 공기배출구(14)가 개방되게 동작한다.
상기 들숨용 체크밸브(20)는 들숨수용공간(S1)을 따라 이동하는 구(球)형상의 들숨체크볼(21)과, 상기 들숨관(11)의 내측에 구비된 고정돌출턱(15)에 지지되어 들숨체크볼(21)의 내측 이동을 단속하면서 복수개의 들숨통기홀(23a)을 통해 공기의 이동은 가능한 들숨메시판(23)과, 상기 들숨관(11)의 공기흡입구(12) 선단에 조립되면서 들숨관(11)의 내경면에 들숨볼걸림턱(22a)을 위치시켜 들숨체크볼(21)이 공기흡입구(12)를 통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단속하는 들숨볼차단링(22)을 포함해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들숨메시판(23)은 원통형상을 갖고 외경면이 들숨관(11)의 내경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연속되는 들숨체크볼(21)의 충격에도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들숨볼차단링(22)은 중앙에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보다 작은 통기구멍(미부호)을 형성하면서 들숨관(11) 내경면에 들숨볼걸림턱(22a)이 기밀되게 고정되는데, 상기 통기구멍의 둘레에 들숨체크볼(21)의 외경에 대응하는 곡면홈을 형성시켜 들숨체크볼(21)이 선 또는 면접촉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날숨용 체크밸브(30)는, 날숨수용공간(S2)을 따라 이동하는 구(球)형상의 날숨체크볼(31)과, 상기 날숨관(13)의 내측에 구비된 고정돌출턱(15)에 지지되어 날숨체크볼(31)의 내측 이동을 단속하는 날숨볼차단링(32)과, 상기 날숨관(13)의 공기배출구(14) 선단에 조립되어 날숨체크볼(31)이 공기배출구(14)를 통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단속하며, 복수개의 날숨통기홀(33a)을 통해 공기의 이동이 가능한 날숨메시판(33)을 포함해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날숨볼차단링(32)은 중앙에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보다 작은 통기구멍(미부호)을 형성하면서 외경면이 날숨관(13)의 내경면에 삽입되어 고정돌출턱(15)에 지지되는데, 상기 통기구멍의 둘레에 날숨체크볼(31)의 외경에 대응하는 곡면홈을 형성시켜 날숨체크볼(31)이 선 또는 면접촉되게 한다.
또, 날숨메시판(33)은 원통형상을 갖고 공기배출구(14)의 선단에 고정되어 날숨수용공간(S2)을 이동하는 들숨체크볼(21)의 연속되는 충격에도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날숨관(13)의 공기배출구(14)에는 플렉시블한 연질의 배출호스(40)가 더 조립되어 사용자가 착용한 마스크(M)의 외부로 인출된 배출호스(40)를 통해 날숨을 배출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코 호흡장치(100)의 작동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동작에서는, 도 4에서와 같이 들숨체크볼(21)이 들숨메시판(23)으로 이동하고, 날숨체크볼(31)은 날숨볼차단링(32)에 안착되게 이동하여, 공기배출구(14)가 폐쇄된 상태에서 공기흡입구(12)를 통해 공급된 공기를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다.
또, 공기를 배출하는 동작에서는 도 5에서와 같이 날숨체크볼(31)이 날숨메시판(33)으로 이동하고, 들숨체크볼(21)은 들숨볼차단링(22)에 안착되게 이동하여 공기흡입구(12)가 폐쇄된 상태에서 공기배출구(14)와 연결된 배출호스(40)를 통해 마스크(M)의 외부로 ㄱ공기를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바이러스 보균자인 상태에서는 상기 배출호스(4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 내에 포함된 바이러스 등의 유해물질을 여과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정화장치(50)가 연결되도록 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상기 정화장치(50)는 한 쌍의 배출호스(40)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후두부 또는 목에 걸쳐지는 넥밴드형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정화장치(50)의 형상은 도 6 및 도 7 에 나타난 형상에 한정하지 않으며,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사용자의 목에 걸쳐질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정화장치(50)는, 크게 호스연결구(61)와 연결되는 필터관(60)과, 상기 필터관(60)의 내부에 구비되어 필터관의 변형되는 형상을 지지하는 나선지지체(65)와 배출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흡착필터(70)와, 상기 필터관(60)의 측면에 조립되어 흡착필터(70)를 고정하는 필터캡(80)으로 구성된다.
상기 필터관(60)은, 연질의 재질을 갖고 관체형상으로 성형되며, 양측에 호흡기관체(10)의 배출호스(40)와 연결되는 호스연결구(61)가 구비되는데, 상기 호스연결구(61)에 배출호스(40)가 억지끼움방식으로 조립되거나 단부에 암,수 커플링이 각각 구비되어 착탈시키도록 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 나선지지체(65)는 코일형상을 갖고 상기 필터관(60)의 내측에 삽입되어 필터관(60)을 사용자의 후두부 및 목 둘레에 거치시키도록 변형시키는 경우에 상기 필터관(60)의 변형된 형상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필터관(60)과 함께 사출 성형되거나 독립적으로 조립해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흡착필터(70)는, 원통형상을 갖고 내부에 길이방향의 중앙토출로(71)가 구비되어 상기 나선지지체(65)의 내측 중앙으로 조립함으로서, 상기 필터관(60)의 호스연결구(6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필터재에 유해물질이 흡착되면서 여과된 다음에 중앙토출로(71)를 통해 이동되게 한다.
그리고, 필터캡(80)은, 상기 필터관(60)의 양측 단부에 각각 조립되는데, 중앙에 중앙토출로(71)와 연통되는 공기토출구(81)가 구비되는데 필터관(60)을 마주하는 내측방향으로 단턱지게 형성하여 흡착필터(70)의 중앙토출로(71)에 끼워지도록 한다.
또, 상기 필터캡(80)의 둘레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결속돌기(82)가 돌출 형성되어, 마주하는 필터관(60)의 단부에 구비된 결속홈에 끼워져 조립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필터캡(80)의 공기토출구(81)와 결속돌기(82)의 사이에 필터캡(80) 및 나선지지체(65)가 끼워져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정화장치(50)의 굽힘 및 흔들림에도 내부에 수용된 흡착필터의 유동을 방지하고, 상기 공기토출구(81)를 통해 사용자의 여과된 뱉은 공기를 배출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0. 호흡기관체 11. 들숨관
13. 날숨관 15. 고정돌출턱
16. 실리콘삽입부재 19. 관연결부재
20. 들숨용 체크밸브 30. 날숨용 체크밸브
40. 배출호스 50. 정화장치
60. 필터관 61. 호스연결구
65. 나선지지체 70. 흡착필터
80. 필터캡 100. 코 호흡장치

Claims (7)

  1. 사용자의 코에 착용하는 들숨관(11)의 일측에 날숨관(13)이 분기된 한 쌍의 호흡기관체(10)와;
    상기 들숨관(11)의 들숨수용공간(S1)에 조립되어 들숨에서는 공기흡입구(12)가 개방되고, 날숨에서는 공기흡입구(12)가 폐쇄되게 동작하는 들숨용 체크밸브(20)와;
    상기 날숨관(13)의 날숨수용공간(S2)에 조립되어 들숨에서는 공기배출구(14)가 폐쇄되고, 날숨에서는 공기배출구(14)가 개방되게 동작하는 날숨용 체크밸브(30)와;
    상기 날숨관(13)의 선단부에 조립되어 마스크(M)의 외부로 날숨을 배출하는 배출호스(40)를 포함해 구성되되;
    상기 들숨용 체크밸브(20)는,
    들숨수용공간(S1)을 따라 이동하는 구형상의 들숨체크볼(21)과;
    상기 들숨관(11)의 내측에 구비된 고정돌출턱(15)에 지지되어, 들숨체크볼(21)의 내측 이동을 단속하고, 복수개의 들숨통기홀(23a)을 통해 공기는 이동되는 들숨메시판(23)과;
    상기 들숨관(11)의 선단부에 조립되면서 들숨관(11)의 내경면에 들숨볼걸림턱(22a)을 위치시켜 들숨체크볼(21)의 선단측 이동을 단속하는 들숨볼차단링(22)을 포함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호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기관체(10)는,
    들숨관(11)의 선단에 사용자에 코 내벽면에 밀착되는 연질의 실리콘삽입부재(16)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호흡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날숨용 체크밸브(30)는,
    날숨수용공간(S2)을 따라 이동하는 구형상의 날숨체크볼(31)과;
    상기 날숨관(13)의 내측에 구비된 고정돌출턱(15)에 지지되어 날숨체크볼(31)의 내측 이동을 단속하는 날숨볼차단링(32)과;
    상기 날숨관(13)의 선단부에 조립되어 날숨체크볼(31)의 선단측 이동을 단속하며, 복수개의 날숨통기홀(33a)을 통해 공기는 이동되는 날숨메시판(33)을 포함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호흡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기관체(10)는,
    양측에 개구된 관끼움구(19a)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관연결부재(19)에 들숨관(11)의 외경면이 각각 끼워져 조립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호흡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호스(40)는,
    내부에 흡착필터(70)가 수납되고, 착용자의 후방 머리둘레 또는 목에 지지되는 정화장치(50)에 연결되어 배출호스(4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 내 유해물질을 여과시켜 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호흡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장치(50)는,
    관체형상을 갖고 양측에 호스연결구(61)가 구비된 필터관(60)과,
    상기 필터관(60)의 내측에 삽입되어, 필터관(60)의 형상을 지지하는 나선지지체(65)와,
    원통형상을 갖고 내부에 길이방향의 중앙토출로(71)가 구비되어, 상기 필터관(60)의 호스연결구(61)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여과하여 중앙토출로(71)를 통해 이동시키는 흡착필터(70)와;
    상기 필터관(60)의 양측 단부에 각각 조립되면서, 흡착필터(70)의 위치를 고정하고, 중앙토출로(71)와 연통되는 공기토출구(81)가 구비된 필터캡(80)을 포함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호흡장치.

KR1020210051333A 2021-04-20 2021-04-20 코 호흡장치 KR102316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333A KR102316855B1 (ko) 2021-04-20 2021-04-20 코 호흡장치
US18/034,633 US20240033543A1 (en) 2021-04-20 2021-09-28 Nose breathing device
PCT/KR2021/013181 WO2022225111A1 (ko) 2021-04-20 2021-09-28 코 호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333A KR102316855B1 (ko) 2021-04-20 2021-04-20 코 호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6855B1 true KR102316855B1 (ko) 2021-10-22

Family

ID=78275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1333A KR102316855B1 (ko) 2021-04-20 2021-04-20 코 호흡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033543A1 (ko)
KR (1) KR102316855B1 (ko)
WO (1) WO2022225111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2204Y1 (ko) * 1996-09-25 1999-06-01 마영엽 방진용 코 마스크
KR20110109675A (ko) * 2010-03-31 2011-10-06 조기형 마스크
KR20110009769U (ko) * 2010-04-08 2011-10-14 이병구 소형 코마스크
KR20160089185A (ko) * 2015-01-19 2016-07-27 문지연 성애 방지형 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7455A (ja) * 2007-04-18 2008-11-06 Asahi Organic Chem Ind Co Ltd ボールチェックバルブ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2204Y1 (ko) * 1996-09-25 1999-06-01 마영엽 방진용 코 마스크
KR20110109675A (ko) * 2010-03-31 2011-10-06 조기형 마스크
KR101165806B1 (ko) 2010-03-31 2012-07-16 조기형 마스크
KR20110009769U (ko) * 2010-04-08 2011-10-14 이병구 소형 코마스크
KR20160089185A (ko) * 2015-01-19 2016-07-27 문지연 성애 방지형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33543A1 (en) 2024-02-01
WO2022225111A1 (ko) 2022-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3069B2 (en) Nasal ventilation interface
US6478026B1 (en) Nasal ventilation interface
CA2556016C (en) Sealing nasal cannula
US6776162B2 (en) Ventilation interface for sleep apnea therapy
US9138553B2 (en) Ventilation interface for sleep apnea therapy
US8517022B2 (en) Minimally invasive nasal cannula
US20110083670A1 (en) Breathing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of use
KR101619494B1 (ko) 흡입부 분리형 기능성 마스크
WO1997017034A1 (en) Disposable mask and suction catheter
EP3305354B1 (en) Hollow curved connector with several abutment structures for a respiratory mask
KR100897161B1 (ko) 비강내 삽입형 호흡정화 마스크
KR102316855B1 (ko) 코 호흡장치
CN111713772A (zh) 一种废气单排口罩
US20100170514A1 (en) Air filter for a mask assembly
CN212038647U (zh) 一种可重复使用的双通道口罩
EP1317941B1 (en) Nasal ventilation cannula
EP3643348B1 (en) Nasal pillow mask with combined poka-yoke coupling system and magnetic connecting system
CN206183828U (zh) 鼻罩
KR102620332B1 (ko) 밴드형 코 호흡장치
JP5042789B2 (ja) ガス排出通気孔を有する呼吸マスクおよび呼吸マスクのためのガス排出通気孔アセンブリ
KR102000404B1 (ko) 비강용 정화필터장치
CN212016485U (zh) 一种面罩式呼吸净化及保健装置
EP4249024A1 (en) Minimum contact respiratory nasal mask
JP2007167671A (ja) ガス排出通気孔を有する呼吸マスクおよび呼吸マスクのためのガス排出通気孔アセンブリ
KR200300654Y1 (ko) 비공(鼻孔)삽입식 방진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