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9374A - 야생 물새용 둥지 - Google Patents

야생 물새용 둥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9374A
KR20110109374A KR1020100029074A KR20100029074A KR20110109374A KR 20110109374 A KR20110109374 A KR 20110109374A KR 1020100029074 A KR1020100029074 A KR 1020100029074A KR 20100029074 A KR20100029074 A KR 20100029074A KR 20110109374 A KR20110109374 A KR 20110109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st
waterfowl
height
pillar
wi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9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0710B1 (ko
Inventor
이상돈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29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0710B1/ko
Publication of KR20110109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9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0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0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14Nest-boxes, e.g. for singing bir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9/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poultry or other birds
    • A01K39/01Feeding devices, e.g. chainfee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새용 둥지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강이나 호수의 수변지역에 설치하는 인공 물새둥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야생 물새용 둥지는 수변지역의 지면에 박아 세워지는 기둥(1), 상기 기둥(1)의 상단에 고정되는 평상(2), 그리고 상기 평상의 상부에 고정되는 둥지(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평상(2) 위의 둥지 옆에는 모이를 담아두는 모이그릇(4)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기둥(1)은 지면에 박히는 부분으로서 속이 빈 파이프로 제작되는 하부기둥(11), 상기 하부기둥(11)의 구멍에 삽입되어 신장 또는 수축하는 것으로서 파이프 또는 봉으로 제작되는 상부기둥(12)으로 구성하여 높이를 조정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야생 물새용 둥지는 지면에서 상당한 높이에 있도록 설치되어 야간에 새들이 둥지에서 쉴 동안 야생 육식동물의 공격을 받지 않는다. 특히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야생 물새용 둥지를 구성하면, 기둥의 높이를 사람이 작업하기에 편한 높이로 낮추어 모이를 놓아두는 등의 작업을 한 후, 둥지의 높이를 새들이 안전한 높이로 원상복구할 수 있다.

Description

야생 물새용 둥지{High Bed Nest for Waterfowl}
본 발명은 물새용 둥지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강이나 호수의 수변지역에 설치하는 인공 물새둥지에 관한 것이다.
인류문명이 발전하면서 도로, 택지 등 각종 개발사업이 진행되고, 이에 따라 야생동물의 서식지가 해마다 줄어들고 자연생태계가 파괴되고 있다. 자연생태계가 파괴되면 사람도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힘들 것이라는 각성으로서 자연생태계를 보전하기 위한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다.
최근 각종 개발사업이 진행되면서 우리나라의 주요 철새인 오리, 기러기 등의 야생 물새의 서식지가 날로 줄어들고 있으며, 이들 야생 물새들이 둥지를 만들 수 있는 수변(水邊) 지역은 빠른 속도로 줄어들고 있고, 그에 따라 우리나라를 찾아오는 야생 물새들의 개체수가 줄어들고 있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자연생태계 보전작업의 일환으로 인공적으로 만든 둥지를 야생 물새에게 제공하는 연구가 관심을 끌고 있다.
인공적으로 만든 야생조류의 둥지로는 제비집이나 비둘기집에서 보다시피 인간의 생활근거지 또는 그 근처에 인공적으로 만든 둥지가 있고, 나무 위에 상자형 둥지를 만들어 설치하는 경우는 있으나, 오리, 기러기 등의 야생 물새들을 위한 둥지는 고안된 바가 없다.
최근 본 발명자는 물에 띄워 설치하는 수상 인공물새둥지를 발명하여 특허출원을 한 바가 있다. 이 수상 인공물새둥지는 물에 뜨는 뗏목 위에 새둥지를 형성하고, 뗏목이 떠내려가지 않게 앵커로 바닥에 고정한 수상 물새둥지이다.
상기와 같은 수상 인공물새둥지는 개당 제작비가 많이 소요되고, 물 위에 떠 있으므로 관리가 어렵다. 특히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물새들은 대부분 월동을 위하여 겨울에 날아오는 철새들인바, 겨울에 강 또는 호수가 얼어 관리를 위하여 사람이 둥지에 접근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자연보전의 일환으로 야생 물새를 위한 인공 물새 둥지를 대량으로 제작하여 관리가 용이한 수변지역에 설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수변지역에는 들고양이, 너구리 등 야생 육식동물들이 출몰하여, 야간에 둥지에서 쉬고 있는 새들을 위협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일어나므로, 새들이 야생 육식동물의 공격을 받지 않는 안전한 둥지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야생 물새용 둥지는 수변지역의 지면에 박아 세워지는 기둥(1), 상기 기둥(1)의 상단에 고정되는 평상(2), 그리고 상기 평상의 상부에 고정되는 둥지(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평상(2) 위의 둥지 옆에는 모이를 담아두는 모이그릇(4)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기둥(1)은 일정한 길이의 말뚝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으나, 높이를 조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기둥(1)은 지면에 박히는 부분으로서 속이 빈 파이프로 제작되는 하부기둥(11), 상기 하부기둥(11)의 구멍에 삽입되어 신장 또는 수축하는 것으로서 파이프 또는 봉으로 제작되는 상부기둥(12)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야생 물새용 둥지는 지면에서 상당한 높이에 있도록 설치되어 야간에 새들이 둥지에서 쉴 동안 야생 육식동물의 공격을 받지 않는다.
특히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야생 물새용 둥지를 구성하면, 기둥의 높이를 사람이 작업하기에 편한 높이로 낮추어 모이를 놓아두는 등의 작업을 하고, 작업을 마친 후에는 둥지의 높이를 새들이 안전한 높이로 원상복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야생 물새용 둥지의 하나의 실시예이다.
도 2는 야생 물새용 둥지의 다른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야생 물새용 둥지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변지역의 지면에 밖아 세워지는 기둥(1), 상기 기둥(1)의 상단에 고정되는 평상(2), 그리고 상기 평상의 상부에 고정되는 둥지(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평상(2) 위의 둥지 옆에는 모이를 담아두는 모이그릇(4)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기둥(1)은 일정한 길이의 말뚝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으나,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높이를 조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기둥(1)은 지면에 박히는 부분으로서 속이 빈 파이프로 제작되는 하부기둥(11), 상기 하부기둥(11)의 구멍에 삽입되어 신장 또는 수축하는 것으로서 파이프 또는 봉으로 제작되는 상부기둥(12)으로 구성할 수 있다.
기둥(1)의 길이를 조정하는 수단으로는 다양한 방법을 채택할 수 있으나, 상기 하부기둥(11)에는 하나의 핀구멍(111)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기둥(12)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핀구멍(121)을 다수 개 형성하고, 상기 하부기둥(11)과 상부기둥(12)을 연결하는 연결핀(13)으로 구성하는 것이 간편하고 경제적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기둥(1)은, 상부기둥(12)을 적절한 길이로 신장하여 하부기둥(11)과 상부기둥(12)의 핀구멍들(111, 121)들을 일치시키고, 연결핀(13)으로 일치된 핀구멍(111, 121)에 관통시켜 삽입하는 방법으로 기둥(1)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기둥의 높이는 야생 육식 동물들로부터 물새가 피해를 입지 않을 높이로 하면 되는데, 지상에서 2 내지 3m 정도의 높이이면 적당하다.
평상(2)은 상기 기둥(1)의 상단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야생 물새가 앉고 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한다. 평상은 합판, 플라스틱판 등의 판재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으나,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목재를 수평으로 배열하여 평면을 이루도록 제작하면 물새들에게 거부감을 덜 줄 수 있어서 좋다.
둥지(3)는 상기 평상(2)의 상부에 놓이는데, 용기형태의 둥지몸체(31) 내부에 검불(32)을 충분한 두께로 깔아서 제작한다. 둥지몸체(31)로는 폐플라스틱 용기 또는 폐타이어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검불(32)은 물새들에게 친숙한 갈대 또는 부들 등의 수변 식물을 건조시켜 만든 검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둥지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붕이 있는 돔형 둥지(3-1)로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돔형 둥지(3-1)는 플라스틱망 또는 철망으로 제작한 반구 형상의 돔(Dome) 한쪽을 잘라내어 물새가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를 형성하고, 이 돔의 거물눈에 검불을 촘촘히 꽂아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거물망으로 제작한 돔의 내부에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로 제작한 천장을 추가로 설치하여 보온기능을 높일 수 있고, 천장의 내부에는 부직포를 부착하여 보온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평상(2)의 상부에는 모이그릇(4)을 더 구비하여, 물새들에게 모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야생 물새용 둥지를 지면에서 상당한 높이에 있도록 설치하면 아간에 새들이 둥지에서 쉴 동안 야생 육식동물의 공격을 받지 않는다. 특히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야생 물새용 둥지를 구성하면, 기둥의 높이를 사람이 작업하기에 편한 높이로 낮추어 모이를 놓아두는 등의 작업을 하고, 작업을 한 후에는 둥지의 높이를 새들이 안전한 높이로 원상복구할 수 있다.
1 : 기둥, 2 : 평상, 3, 3-1 : 둥지, 4 : 모이그릇,
11 : 하부기둥, 12 : 상부기둥, 13 : 연결핀, 111 : 핀구멍, 121 : 핀구멍,
31 : 둥지몸체, 32 : 검불.

Claims (3)

  1. 지면에 박아 세워지는 기둥(1);
    상기 기둥(1)의 상단에 고정되는 평상(2);
    그리고, 상기 평상의 상부에 고정되는 둥지(3);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둥지가 지면과 위의 일정한 높이에 설치되는, 야생 물새용 둥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1)은,
    지면에 박히는 부분으로서 속이 빈 파이프에 핀구멍(111)을 형성하여 제작되는 하부기둥(11), 상기 하부기둥(11)의 구멍에 삽입되어 신장 또는 수축하는 것으로서 파이프 또는 봉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핀구멍(121)을 다수 개 형성하여 제작되는 상부기둥(12), 그리고 상기 하부기둥(11)과 상부기둥(12)의 겹쳐진 핀구멍(111, 121)을 관통하여 삽입하여 기둥(1)의 길이를 고정하는 연결핀(1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기둥의 높이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 물새용 둥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둥지(3)는,
    용기형태의 둥지몸체(31) 내부에 검불(32)을 충분한 두께로 깔아서 제작한 둥지(3)이거나;
    또는 플라스틱망 또는 철망으로 제작한 돔(Dome)의 한쪽을 잘라내어 물새가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를 형성하고, 이 돔의 거물눈에 검불을 촘촘히 꽂아 제작한 둥지;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 물새용 둥지.
KR1020100029074A 2010-03-31 2010-03-31 야생 물새용 둥지 KR101210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074A KR101210710B1 (ko) 2010-03-31 2010-03-31 야생 물새용 둥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074A KR101210710B1 (ko) 2010-03-31 2010-03-31 야생 물새용 둥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374A true KR20110109374A (ko) 2011-10-06
KR101210710B1 KR101210710B1 (ko) 2012-12-10

Family

ID=45026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9074A KR101210710B1 (ko) 2010-03-31 2010-03-31 야생 물새용 둥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071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71855U1 (ru) * 2016-10-17 2017-06-19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Ом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 Ф.М. Достоевского" Гнездовая платформа для пеликанов
CN110326553A (zh) * 2019-08-01 2019-10-15 中国科学院东北地理与农业生态研究所 一种双柱式禽类永久招引巢体及其安装方法
CN110326552A (zh) * 2019-08-01 2019-10-15 中国科学院东北地理与农业生态研究所 一种单柱式禽类永久招引巢体及安装方法
GB2597572A (en) * 2020-05-29 2022-02-02 Brome Bird Care Inc Connect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6334B1 (ko) * 2015-07-17 2016-02-22 주식회사 대성그린테크 서식지 조성시스템에 활용되는 야생동물먹이대
CN108077109A (zh) * 2017-12-30 2018-05-29 郑州赫恩电子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园林户外人工鸟窝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5277A (en) * 1987-03-05 1988-08-23 Bailey Robert A Telescopic pole system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71855U1 (ru) * 2016-10-17 2017-06-19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Ом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 Ф.М. Достоевского" Гнездовая платформа для пеликанов
CN110326553A (zh) * 2019-08-01 2019-10-15 中国科学院东北地理与农业生态研究所 一种双柱式禽类永久招引巢体及其安装方法
CN110326552A (zh) * 2019-08-01 2019-10-15 中国科学院东北地理与农业生态研究所 一种单柱式禽类永久招引巢体及安装方法
CN110326553B (zh) * 2019-08-01 2024-04-16 中国科学院东北地理与农业生态研究所 一种双柱式禽类永久招引巢体及其安装方法
GB2597572A (en) * 2020-05-29 2022-02-02 Brome Bird Care Inc Connec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0710B1 (ko) 2012-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0710B1 (ko) 야생 물새용 둥지
EP2925597B1 (en) A shark barrier
KR101683036B1 (ko) 북방산개구리 자연복원 서식처 조형 구조
KR200386996Y1 (ko) 간벌목재를 이용한 인공어초
KR100705230B1 (ko) 어족보호용 부유식 어류산란서식 장치
KR102030965B1 (ko) 해삼의 유집과 중간육성 및 어패류 산란조성을 위한 수중복합 양식장치
KR101110422B1 (ko) 수상 인공물새둥지
US10779515B1 (en) Anchor device
KR101400497B1 (ko) 파군형 다층 해삼인공어초
US20140205381A1 (en) Aquatic wildlife deterrent
RU2687595C1 (ru) Установка донного выращивания объектов марикультуры в полувольных условиях
CN107010178A (zh) 一种可随水面上下浮动的人工鸟岛
KR100262796B1 (ko) 인공 어초를 이용한 해양 목장의 조성방법
JP3989904B2 (ja) 淡水魚用の魚礁及び魚礁の設置方法
CN206641199U (zh) 一种可随水面上下浮动的人工鸟岛
KR101185719B1 (ko) 어류양육장을 포함한 수달서식시설
KR20170006474A (ko) 토종물고기 보호용 인공어초
RU2360410C1 (ru) Аквариум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ыб
KR20150090989A (ko) 해삼 대량생산을 위한 양식용 인공어초
JP3875195B2 (ja) アオリイカ産卵礁
EP3912463A1 (en) Underwater device for submersible artificial fish habitat and use thereof
RU171855U1 (ru) Гнездовая платформа для пеликанов
RU219940U1 (ru) Рифовая чаша
RU2768036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нерестилищ для закладки икринок осетровых рыб
Fazili Nesting Ecology of Mallard (Anas platyrhynchos) in Haigam Wetland Kashm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