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8868A - 개폐기/차단기용 조립식 절연하우징 - Google Patents

개폐기/차단기용 조립식 절연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8868A
KR20110108868A KR1020100028311A KR20100028311A KR20110108868A KR 20110108868 A KR20110108868 A KR 20110108868A KR 1020100028311 A KR1020100028311 A KR 1020100028311A KR 20100028311 A KR20100028311 A KR 20100028311A KR 20110108868 A KR20110108868 A KR 20110108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valve
electrode
housing
housing body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8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1683B1 (ko
Inventor
최승현
박진용
Original Assignee
이엔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엔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엔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8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1683B1/ko
Publication of KR20110108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8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1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1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53Cases; Reservoirs, tanks, piping or valves, for arc-extinguishing fluid; Accessories therefor, e.g. safety arrangements, pressure relief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2Housings or protective screens
    • H01H33/66207Specific housing details, e.g. sealing, soldering or bra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4Contacts; Arc-extinguishing means, e.g. arc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4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354Gas-insulated switchgear comprising a vacuum switc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45Details of casing, e.g. gas tightness

Landscapes

  • High-Tension Arc-Extinguishing Switches Without Spraying Mea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폐기 및 차단기에 사용되는 절연하우징으로서, 하우징본체 및 진공밸브가 별도의 몰딩공정을 통해 개별 제작된 후, 조립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은 하우징본체; 상기 하우징본체의 하부로부터 중공부를 통해 삽입 결합되는 진공밸브; 연결도체에 조립된 상태로 일측단이 상기 하우징본체의 1차측전극을 관통하여 진공밸브의 고정전극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볼트; 상기 진공밸브의 하부에 하우징본체 측과 결합되어 진공밸브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된 고정판; 상기 고정판과 진공밸브의 가동전극 간에 전기가 흐를 수 있도록 연결하는 링콘텍터; 상기 링콘텍터 하부에서 고정판과 결합되어 링콘텍터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전극판; 및 상기 전극판의 하부에서 진공밸브의 가동전극을 동작시키기 위해 결합되는 절연로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개폐기/차단기용 조립식 절연하우징{Insulated Housing of Load break Switch and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개폐기 및 차단기에 사용되는 절연하우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본체와 진공밸브를 별도 제작하여 조립하도록 된 개폐기/차단기용 조립식 절연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머(에폭시)를 이용하여 절연하는 전력 개폐기나 차단기에는 진공밸브(차단부)가 내장된 절연하우징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절연하우징은 에폭시 수지절연물과 진공밸브, 변류기, 전압센서를 포함하는 기타부품 모두를 한꺼번에 금형에 넣어 몰딩하는 일체형 제작방식을 따르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일체형 절연하우징은 몰딩 과정에서 진공밸브와 접착되는 에폭시 사이에 전기적 특성 불량이 종종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일체형 몰딩 제작방식을 따르게 되면, 에폭시 수지절연물의 몰딩작업이 완료되어 수지 경화가 이루어진 후에는 절연하우징 내의 진공밸브를 포함한 각종 부품을 회수하거나, 재활용하여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절연하우징의 불량이 발생되는 경우, 이를 전량 폐기할 수 밖에 없었다.
이는, 자원을 낭비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것은 물론, 또한, 많은 양의 산업 폐기물을 발생시켜 환경오염의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일체형 절연하우징은 불량률(약10~30%)이 높고, 그로 인하여 재료비(에폭시원료, 진공밸브, 전극, 변류기, 전압센서 등)는 물론, 제조공정(금형에 부품을 조립하는 공정, 에폭시수지를 주입하는 공정, 가열공정, 경화공정, 금형의 탈형공정, 검사공정 등)에서의 시간적 경제적 손실이 발생되어 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이와 같은 종래의 일체형 절연하우징은 금형 내부에 고가의 진공밸브를 장착하고, 고온(약200℃)으로 예열 한 다음, 고온 용융된 상태의 에폭시 수지 절연물을 금형에 주입시켜 몰딩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진공밸브의 열적변형으로 인한 불량 또는 특성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상기 진공밸브는 구리(Cu)전극과 세라믹, 플라스틱 등이 진공로 내에서 접합된 관계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를 금형에 넣고 또 다시 고온으로 가열할 경우, 접합부위가 녹아서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은 진공밸브의 표면에 유약이 도포된 상태여서 에폭시 수지와의 몰딩시 접촉면에 미세한 틈이 생기는 계면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절연과 지지의 목적을 갖는 하우징 본체와 전기 차단의 목적을 갖는 진공밸브를 별도의 다른 절연재료를 이용하여 각각 몰딩 제작한 다음 조립하도록 된 조립식 절연하우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립식 절연하우징을 제공함으로써, 제조공정을 단순화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부품 불량 발생시 하우징본체와 진공밸브를 분리시켜 불량부품만을 교체한 후, 다시 조립하여 재사용함으로써, 부품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금형 작업시 금형 내부에 취부하는 부품의 수를 최소화시켜 금형 공정시간을 단축시켜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개폐기 및 차단기에 사용되는 절연하우징으로서, 하우징본체 및 진공밸브가 별도의 몰딩공정을 통해 개별 제작된 후,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차단기용 조립식 절연하우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본체; 상기 하우징본체의 하부로부터 중공부를 통해 삽입 결합되는 진공밸브; 연결도체에 조립된 상태로 일측단이 상기 하우징본체의 1차측전극을 관통하여 진공밸브의 고정전극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볼트; 상기 진공밸브의 하부에 하우징본체 측과 결합되어 진공밸브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된 고정판; 상기 고정판과 진공밸브의 가동전극 간에 전기가 흐를 수 있도록 연결하는 링콘텍터; 상기 링콘텍터 하부에서 고정판과 결합되어 링콘텍터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전극판; 및 상기 전극판의 하부에서 진공밸브의 가동전극을 동작시키기 위해 결합되는 절연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차단기용 조립식 절연하우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본체의 1차측 전극의 홈부에 방수용 O링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의 외경에 나사탭이 형성되고, 통전가이드 내면에 형성된 나사탭과 상호 나선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링콘텍터는 진공밸브의 동작시 흔들림이 방지되도록, 그 둘레에 여러 개의 접점편이 상호 마주보도록 설치되되, 마주보는 접점편 사이에는 스프링을 삽입시켜 접압력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공밸브의 가동전극-링콘텍터-고정판-통전가이드-2차측전극 순으로 통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본체는 에폭시 수지절연물을 이용해 몰딩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본체는 내부 중심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의 상측 공간에 콘 형상의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본체는 1차측전극, 2차측전극, 전계완화용 커버, 변류기, 전압센서, 통전가이드가 일체로 몰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1차측전극은 하우징본체의 최상단부에 설치되고, 2차측전극은 하우징본체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연장부에 설치되며, 전계완화용 커버는 1차측전극의 하부에 설치되고, 변류기 및 전압센서는 하우징본체의 수평연장부의 2차측전극 둘레에 설치되며, 통전 가이드는 하우징본체의 중공부 중간지점에 2차측전극과 용접 또는 주물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공밸브는 세라믹 재질의 절연통 내부에 진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연통의 상측 방향에서 고정전극이 설치되며, 절연통의 하측 방향에서 상기 고정전극과 접지 및 단락이 가능하도록 된 가동전극이 설치되고, 상기 절연통의 표면에 고무절연층이 몰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무절연층은 루버 또는 실리콘 또는 고무합성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하우징본체와 진공밸브를 분리하여 별도로 몰딩 작업한 다음 상호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개별 부품에 대한 몰딩작업이 편리하고, 몰딩작업 중 불량이 거의 발생되지 않아 불량률이 감소되고, 불량률 감소로 인한 제품의 신뢰도 향상에 기여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단품 제작된 하우징본체와 진공밸브를 단순 조립시켜 제품을 완성하기 때문에 부품관리가 편리하고,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불량이 발생하였을 경우 하우징 본체를 분리시켜 불량 부품만을 교체하고 나머지 부품은 그대로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재료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폐기물 처리비용의 절감은 물론 환경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절연하우징의 전체구조를 도시한 분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절연하우징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조립단면도 및 요부확대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절연하우징의 하우징본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절연하우징의 진공밸브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절연하우징은 크게 하우징본체(100)와, 진공밸브(2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하우징본체(100)는, 에폭시 수지절연물을 이용해 몰딩 제작되는데, 상기 하우징본체(100)는 내부 중심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중공부(111)를 형성하고 있다.
이때, 상기 중공부(111)는 진공밸브(200)가 하우징본체(100)의 하부로부터 삽입되는 통로를 제공하고 있는데, 상기 중공부(111)의 상측 공간에 콘 형상의 경사면(113)을 형성함으로써, 진공밸브(200)가 쐐기 결합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본체(100)는 외면은 물론 내면에 다수의 외부주름층(112) 및 내부주름층(115)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외부주름층(112)과 내부주름층(115)은 하우징본체(100) 표면적을 넓혀, 절연거리를 늘려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본체(100) 내부에는 몰딩작업시 1차측전극(120), 2차측전극(130), 전계완화용 커버(140), 변류기(150), 전압센서(160), 통전가이드(170)가 금형 내에 일체로 삽입되어 몰딩된다.
상기 1차측전극(120)은 하우징본체(100)의 최상단부에 설치되고 있고, 2차측전극(130)은 하우징본체(100)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에 설치되고 있다.
이때, 상기 1차측전극(120) 및 2차측전극(130)은 통전이 가능한 도체를 사용해 제작되는데, AL 또는 Cu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계완화용 커버(140)가 1차측전극(120)의 하부에 설치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변류기(150) 및 전압센서(160)는 하우징본체(100)의 수평연장부에 설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변류기(150) 및 전압센서(160)는 절연하우징의 사용용도에 따라서 그 모양이나 크기가 다르게 제작될 수 있고, 때에 따라서는 하우징본체(100)의 몰딩시 제외되고 별도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통전 가이드(170)가 하우징본체(100)의 중공부(111) 중간지점에 설치되고 있다. 이와 같은 통전 가이드(170)는 2차측전극(130)과 용접 또는 주물로 일체 제작됨으로써, 진공밸브(200)와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상기 진공밸브(200)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진공밸브(200)는 세라믹 재질의 절연통(210) 내부에 진공부(250)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절연통(210)의 상측 방향에서 고정전극(220)이 설치되고 있고, 절연통(210)의 하측 방향에서 상기 고정전극(220)과 접지 및 단락이 가능하도록 된 가동전극(230)이 설치되고 있고, 상기 절연통(210)의 표면이 고무절연층(240)으로 몰딩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고무절연층(240)은 신축성이 좋고 접착성이 뛰어난 루버(Rubber) 또는 실리콘(Silicon) 또는 고무합성수지(EPDM)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해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무절연층(240)은 하우징본체(100)의 중공부(111)에 형성된 경사면(113)에 대응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무절연층(240)은 하우징본체(100)의 중공부(111)의 경사면(113) 내경 치수보다 크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진공밸브(200)의 결합과정에서 고무절연층(240)이 압축되어 밀착력이 더욱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무절연층(240)은 진공밸브(200)와 하우징본체(100) 사이의 접지력을 좋게하는 역할과 더불어 하우징본체(100)와 진공밸브(200)와의 접촉시 충격을 완충하는 역할도 함께 수행하게 된다.
상기 진공밸브(200)는 세라믹 재질의 절연통(210) 내부를 고도의 진공상태로 형성함으로써, 짧은 거리에서 대전류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개폐기 및 차단기에서 가장 중요한 부품이다. 이와 같은 진공밸브(200)는 외부 충격이나 무리한 동작을 하게 되면 진공상태가 파괴될 위험이 있어, 하우징본체(100)와 진공밸브(200)와의 접촉시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진공밸브(200)는 고무절연층(240)의 몰딩시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쉽게 교체할 수 있어 고가의 진공밸브(200)를 폐기시키지 않고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 도2,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진공밸브(200)의 구조는 일 예를 도시하는 것일 뿐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조립식 절연하우징을 조립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하우징본체(100) 내부에 2차 몰딩된 진공밸브(200)를 삽입한다. 이때 양부재 간의 조립마찰력을 최소화하는 한편, 접촉면 사이에 미세한 공기층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진공밸브(200)의 표면에 절연그리스를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진공밸브(200)의 삽입이 완료되면, 하우징본체(100)의 1차측 전극(120)의 홈부에 방수용 O링(370)을 조립한다.
상기 O링(370)의 조립이 완료되고 나면, 연결도체(380)에 조립된 고정볼트(310)의 끝단이 하우징본체(100)의 1차측전극(120)을 관통하여 진공밸브(200)의 고정전극(220)에 나사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나사결합과정에서 진공밸브(200)가 하우징본체(100)의 경사면(113)에 완전 밀착 고정된다.
상기 진공밸브(200)의 고정이 완료되고 나면, 진공밸브(200)의 하부에 고정판(320)을 조립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판(320)의 외경에는 나사탭(321)이 형성되어 있어서, 통전가이드(170)내면에 형성된 나사탭(171)과 상호 나선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고정판(320)은 진공밸브(200) 하단에 닿아서 멈출 때까지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판(320)은 전기를 통전할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되는데, 알루미늄(AL) 또는 구리(CU)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320)의 조립이 완료되고 나면, 진공밸브(200)의 동작시 흔들림을 방지하고, 진공밸브 가동전극(230)과 고정판(320) 간에 전기가 흐를 수 있도록 연결하는 링콘텍터(330)가 조립된다.
상기 링콘텍터(330)는 그 둘레에 여러 개의 접점편(331)이 상호 마주보도록 설치되는데, 마주보는 접점편(331) 사이에는 스프링(332)을 삽입시켜 접압력을 갖도록 하고있다.
도면을 통해 도시되고 있는 링콘텍터(330)의 구조 및 형상은 널지 주지된 구조를 일 예로 도시한 것일 뿐 이와 같은 구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링콘텍터(330)의 조립이 완료되고 나면, 링콘텍터(32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전극판(340)이 고정볼트(350)를 이용하여 링콘텍터 하부에서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전극판(340)은 진공밸브(200)를 통해서 흐르는 전기를 2차측 전극(130)으로 흐르게 하는데 추가적인 도움을 주는 역할도 함께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전극판(340)은 전류 통전가이드 전극(170)과 일정한 접촉력을 가지고 맞닿아 전기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데, 이와 같은 전극판(340)은 조립시 밖으로 벌어지고자 하는 탄성을 갖도록 제작함으로써, 접지면적을 늘려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전극판(340)은 고정판(320)와 통전가이드(170) 사이의 접촉관계가 630A의 통전능력이 충분할 경우에는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전극판(350)의 조립이 완료되고 나면, 진공밸브(200)의 가동전극(230)을 동작시키기 위한 절연로드(360)가 조립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조립식 절연하우징은 하우징본체(100)와 진공밸브(200)를 분리하여 별도로 몰딩 작업한 다음 상호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개별 부품에 대한 몰딩작업이 편리하고, 몰딩작업 중 불량이 거의 발생되지 않아 불량률이 감소되고, 불량률 감소로 인한 제품의 신뢰도 향상에 기여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단품 제작된 하우징본체(100)와 진공밸브(200)를 단순 조립시켜 제품을 완성하기 때문에 부품관리가 편리하고,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불량이 발생하였을 경우 하우징본체(100)를 분리시켜 불량 부품만을 교체하고 나머지 부품은 그대로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재료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폐기물 처리비용의 절감은 물론 환경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100: 하우징본체 111: 중공부
112: 외부주름층 113: 경사면
115: 내부주름층 120: 1차측 전극
130: 2차측 전극 140: 전계완화용 커버
150: 변류기 160: 전압센서
170: 통전 가이드 200: 진공밸브
210: 절연통 220: 고정전극
230: 가동전극 240: 루버
250: 진공부 310: 고정나사
320: 고정판 330: 링콘텍터
340: 전극판 350: 전극판 고정볼트
360: 절연로드 370: O링
380: 연결도체

Claims (11)

  1. 개폐기 및 차단기에 사용되는 절연하우징으로서,
    하우징본체(100) 및 진공밸브(200)가 별도의 몰딩공정을 통해 개별 제작된 후,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차단기용 조립식 절연하우징.
  2. 하우징본체(100);
    상기 하우징본체(100)의 하부로부터 중공부(111)를 통해 삽입 결합되는 진공밸브(200);
    연결도체(380)에 조립된 상태로 일측단이 상기 하우징본체(100)의 1차측전극(120)을 관통하여 진공밸브(200)의 고정전극(220)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볼트(310);
    상기 진공밸브(200)의 하부에 하우징본체(100) 측과 결합되어 진공밸브(20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된 고정판(320);
    상기 고정판(320)과 진공밸브(200)의 가동전극(230) 간에 전기가 흐를 수 있도록 연결하는 링콘텍터(330);
    상기 링콘텍터(330) 하부에서 고정판(320)과 결합되어 링콘텍터(33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전극판(340); 및
    상기 전극판(350)의 하부에서 진공밸브(200)의 가동전극(230)을 동작시키기 위해 결합되는 절연로드(3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차단기용 조립식 절연하우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본체(100)의 1차측 전극(120)의 홈부에 방수용 O링(37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차단기용 조립식 절연하우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320)의 외경에 나사탭(321)이 형성되고, 통전가이드(170)내면에 형성된 나사탭(171)과 상호 나선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차단기용 조립식 절연하우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콘텍터(330)는 진공밸브(200)의 동작시 흔들림이 방지되도록, 그 둘레에 여러 개의 접점편(331)이 상호 마주보도록 설치하되, 마주보는 접점편(331) 사이에는 스프링(332)을 삽입시켜 접압력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차단기용 조립식 절연하우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밸브(200)의 가동전극(230)-링콘텍터(330)-고정판(320)-통전가이드(170)-2차측전극(130)으로 통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차단기용 조립식 절연하우징.
  7. 제1항,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본체(100)는 내부 중심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중공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111)의 상측 공간에 콘 형상의 경사면(11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차단기용 조립식 절연하우징.
  8. 제1항,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본체(100)는 1차측전극(120), 2차측전극(130), 전계완화용 커버(140), 변류기(150), 전압센서(160), 통전가이드(170)가 일체로 몰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차단기용 조립식 절연하우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1차측전극(120)은 하우징본체(100)의 최상단부에 설치되고, 2차측전극(130)은 하우징본체(100)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연장부에 설치되며, 전계완화용 커버(140)는 1차측전극(120)의 하부에 설치되고, 변류기(150) 및 전압센서(160)는 하우징본체(100)의 수평연장부의 2차측전극(130) 둘레에 설치되며, 통전 가이드(170)는 하우징본체(100)의 중공부(111) 중간지점에 2차측전극(130)과 용접 또는 주물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차단기용 조립식 절연하우징.
  10. 제1항, 2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밸브(200)는 세라믹 재질의 절연통(210) 내부에 진공부(250)가 형성되고, 상기 절연통(210)의 상측 방향에서 고정전극(220)이 설치되며, 절연통(210)의 하측 방향에서 상기 고정전극(220)과 접지 및 단락이 가능하도록 된 가동전극(230)이 설치되고, 상기 절연통(210)의 표면에 고무절연층(240)이 몰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차단기용 조립식 절연하우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절연층(240)은 루버(Rubber) 또는 실리콘(Silicon) 또는 고무합성수지(EPDM)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차단기용 조립식 절연하우징.
KR1020100028311A 2010-03-30 2010-03-30 개폐기/차단기용 조립식 절연하우징 KR101091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311A KR101091683B1 (ko) 2010-03-30 2010-03-30 개폐기/차단기용 조립식 절연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311A KR101091683B1 (ko) 2010-03-30 2010-03-30 개폐기/차단기용 조립식 절연하우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868A true KR20110108868A (ko) 2011-10-06
KR101091683B1 KR101091683B1 (ko) 2011-12-08

Family

ID=45026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8311A KR101091683B1 (ko) 2010-03-30 2010-03-30 개폐기/차단기용 조립식 절연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168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136B1 (ko) * 2013-04-04 2014-10-07 이엔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용 구동장치
KR101956856B1 (ko) * 2018-07-18 2019-03-12 주식회사 웰코 개폐기류 폴리머 부싱 구조 및 그것의 제조방법
US10614981B2 (en) 2018-05-16 2020-04-07 Lsis Co., Ltd. Pole component assembly for circuit breaker
KR20210037087A (ko) * 2019-09-27 2021-04-06 한광전기공업주식회사 진공절연을 통해 소호 가능한 저압형 진공절체차단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475B1 (ko) 2011-12-07 2013-07-23 이엔테크놀로지 주식회사 개폐기/차단기용 조립식 복합 절연 하우징
KR102150857B1 (ko) * 2020-03-16 2020-09-03 부흥시스템(주) 개폐기의 절연차단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136B1 (ko) * 2013-04-04 2014-10-07 이엔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용 구동장치
US10614981B2 (en) 2018-05-16 2020-04-07 Lsis Co., Ltd. Pole component assembly for circuit breaker
KR101956856B1 (ko) * 2018-07-18 2019-03-12 주식회사 웰코 개폐기류 폴리머 부싱 구조 및 그것의 제조방법
KR20210037087A (ko) * 2019-09-27 2021-04-06 한광전기공업주식회사 진공절연을 통해 소호 가능한 저압형 진공절체차단기
KR20210145109A (ko) * 2019-09-27 2021-12-01 한광전기공업주식회사 진공 절체차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1683B1 (ko) 2011-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1683B1 (ko) 개폐기/차단기용 조립식 절연하우징
US6897396B2 (en) Switch gea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EP2593953B1 (en) Method for producing a circuit-breaker pole part
CA2849012A1 (en) Modular solid dielectric switchgear
US20080207022A1 (en) Medium voltage separable insulated energized break connector
CN201038048Y (zh) 高压真空断路器用装配式绝缘固封极柱
KR100431252B1 (ko) 가공 개폐기 및 변압기용 폴리머 부싱
US7645957B2 (en) Nozzle for a gas-insulated switching device and related switching device
KR102523707B1 (ko) 차단기의 극 부품 조립체
KR101137967B1 (ko) 폴리머 몰드 절연형 부하개폐기
EP3345202B1 (en) Medium voltage switchgear with frame and/or support element
JP2010041859A (ja) 固体絶縁スイッチギヤ
KR101014205B1 (ko) 진공차단기의 크래들
CN109791858B (zh) 高压开关装置和带有高压开关装置的开关设备以及高压开关装置的制造方法
CN112635235A (zh) 一种充气开关柜用固封极柱
KR101283475B1 (ko) 개폐기/차단기용 조립식 복합 절연 하우징
CN103401155B (zh) 熔仓
CN203367769U (zh) 熔仓
CN102881509B (zh) 断路器均压罩
KR101123251B1 (ko) 에폭시몰드 절연 부하개폐기
CN101645592B (zh) 电缆附件用环氧座
KR200290546Y1 (ko) 가공 개폐기 및 변압기용 폴리머 부싱
KR200410883Y1 (ko) 컷 아웃 스위치용 폴리머 애자의 접속금구
KR101664176B1 (ko) 재활용 수지에 의한 절연부싱을 갖는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
CN104269768A (zh) 屏蔽罩及使用该屏蔽罩的固封极柱和固体绝缘环网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