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4176B1 - 재활용 수지에 의한 절연부싱을 갖는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 - Google Patents

재활용 수지에 의한 절연부싱을 갖는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4176B1
KR101664176B1 KR1020140110742A KR20140110742A KR101664176B1 KR 101664176 B1 KR101664176 B1 KR 101664176B1 KR 1020140110742 A KR1020140110742 A KR 1020140110742A KR 20140110742 A KR20140110742 A KR 20140110742A KR 101664176 B1 KR101664176 B1 KR 101664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ing
press
conductor
vacuum valve
insulating b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0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4205A (ko
Inventor
이성세
임병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맥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맥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맥이엔지
Priority to KR1020140110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4176B1/ko
Publication of KR20160024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4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33/06Insulating body insertable between contacts

Landscapes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활용 수지에 의한 절연부싱을 갖는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에 관한 것으로서, 재활용이 가능한 수지로 절연부싱을 성형함과 함께 권선형 변류기와 유도전압을 검출하는 장치는 인서트 처리하되, 자동 개폐의 주요 부품인 상부도체와 하부도체 및 진공밸브 등은 절연부싱 내에 압입하여 조립함으로써 기존 일체 성형시 발생하는 불량을 없애거나 최소화시킬 수 있고 폐기물을 줄일 수 있으며, 자동 개폐의 주요 부품인 상부도체와 하부도체 및 진공밸브를 압입하여 조립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므로 절연부싱 내에 상부도체와 하부도체 및 진공밸브를 압입 조립시 조립 용이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절연부싱은 재활용 가능하고 내후성 및 내열성의 특성을 발휘할 수 있고 사용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재활용 수지에 의한 절연부싱을 갖는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재활용 수지에 의한 절연부싱을 갖는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AUTO SECTION SWITCH WITH INSULATION BUSHING BY RECYCLABLE RESIN}
본 발명은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절연체로 사용된 절연유나 가스 또는 재활용이 불가능한 절연재료를 사용하지 않고 재활용이 가능한 수지로 절연부싱을 성형함과 함께 권선형 변류기와 유도전압을 검출하는 장치를 인서트 처리하되, 자동 개폐의 주요 부품인 상부도체와 하부도체 및 진공밸브 등은 절연부싱 내에 압입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 일체 성형시 발생하는 불량을 없애거나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폐기물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며 내후성 및 내열성의 특성 발휘를 통해 사용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재활용 수지에 의한 절연부싱을 갖는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배전반은 변전소를 통해 공급되는 고압 전력을 상용 전원으로 감압하여 수용가로 공급하는 설비이다.
이러한 수배전반은 변전소를 통해 각 수용가로 공급되는 고압의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수전설비를 비롯하여 변전소로부터 공급된 고압의 전력을 상용 전원으로 감압하기 위한 변전설비와, 감압된 전기를 수용가 내 각부의 전기장치로 공급하기 위한 배전설비, 스위치장치 및 기타 안전장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수배전설비를 보여주는 계통도로서, 3상 4선식 다중접지방식이 사용된 22.9kV 배전선로의 4,000kVA 이하 특별고압 간이 수배전설비의 계통도이다.
이러한 3상 4선식 다중접지 방식이 주로 사용되는 수배전설비 계통에서는 지락 사고시 발생되는 지락전류가 단락전류와 같이 대단히 클 수가 있는데, 이와 같은 지락 사고시 변전소의 차단기와 배전선로에 설치된 리클로저(Recloser)와 협조하여 고장 구간만을 신속하게 차단 또는 개방하여줌으로써 사고 구간을 자동 분리하여 사고의 파급 확대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ASS : Auto Section Switch)가 수배전설비 계통상에 설치된다.
즉, 상기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는 선로 보호 장치로서, 수용가의 수전설비인 변압기(Transformer)와 계기용 변압변류기(MOF : Metering Out Fit) 등을 보호할 수 있는 장치이다.
한편, 종래의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ASS)는 절연유 또는 SF6 가스를 사용하는 구조로 제조되고 설치되어왔는데, 도 2는 종래 절연유를 사용하는 유형의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20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종래 SF6 가스를 사용하는 유형의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3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도면에서와 같이, 절연유를 사용하는 유형의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200)는 인입부싱(201)과 인출부싱(202), 개폐부(203), 절연유(205)가 내부에 충진되는 외함(20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전기는 인입부싱(201)을 시작으로 개폐부(203)를 지나 인출부싱(202)을 통과하는데, 선로 고장이나 사고 발생시 개폐부(203)에서 선로를 차단하게 되며, 절연유는 개폐부(203)의 절연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도면에서와 같이, 종래 SF6 가스를 사용하는 유형의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300)는 이 역시 인입부싱(301)과 개폐부(302) 및 인출부싱(302)을 포함하되 개폐부(302)의 절연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SF6 가스(303)가 외함(305) 내부에 충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전기는 인입부싱(301)을 시작으로 개폐부(302)를 지나 인출부싱(304)을 통과하게 된다.
하지만, 절연체로 절연유 또는 SF6 가스를 사용하는 종래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는 큰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고, 주기적인 유지보수가 필요하며, 운용비용이 많이 소요되므로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절연유의 유출과 폐기에 따른 문제점이 있으며, SF6 가스도 매우 강력한 온실가스로 규제대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절연유 또는 SF6 가스를 사용하지 않고 고체 절연을 활용하는 기술이 제안 및 개시되고 있는데, 국내등록특허 제10-1092528호에서는 전자식 계기용 변압변류기를 진공밸브와 일체로 몰딩 형성한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를 개시하되 메인도체와, 상기 메인도체의 말단에 연결되는 진공밸브와, 상기 진공밸브의 고정축과, 상기 메인도체의 외주면에 소정간격을 두고 환형으로 형성된 전자식 변류기와, 상기 전자식 변류기에 연결되는 변류기 케이블과, 상기 메인도체의 단부에 연결되는 전자식 변압기와, 상기 전자식 변압기에 연결되는 변압기 케이블이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폴리머 하우징으로 형성되는 개폐기를 포함하는 계기용 변압변류기가 내장된 폴리머 절연형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에 관한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폴리머 하우징은 에폭시나 실리콘을 사용하여 사출 성형하게 되는데, 이는 열경화성 수지로서 사출 성형 후에는 재활용이 불가능한 절연재료이다.
이렇듯, 재활용이 불가능한 열경화성 절연재료를 사용하고,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함에 있어서는 제조과정에서 열에 의해 진공밸브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사출 성형시 형성되는 성형압력에 의해 메인도체가 이탈됨은 물론 조립 틈새로 절연재료가 침투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성형 후 냉각 처리시 각 부품의 비열 차이에 의하여 메인도체나 진공밸브 등의 부품이 폴리머 하우징과 밀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재활용이 불가능한 열경화성 절연재료로 이루어지는 폴리머 하우징의 내부에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배치되는 전자식 변류기와 전자식 변압기 등은 내부의 저항으로 인하여 지속적으로 열이 발생하는데, 이로 인해 폴리머 하우징의 성능 및 수명이 짧아지고 불량발생의 요인이 되며, 불량발생으로 인한 폐기 처분 시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폴리머 하우징과 메인도체, 진공밸브 등의 부품 모두를 함께 폐기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비경제적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92528호 (2011.12.05.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 등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의 절연체로 사용된 절연유나 가스 또는 재활용이 불가능한 절연재료를 사용하지 않고 재활용이 가능한 수지로 절연부싱을 성형함과 함께 권선형 변류기와 정전유도전압을 검출하는 장치는 인서트 처리하되, 자동 개폐의 주요 부품인 상부도체와 하부도체 및 진공밸브 등은 절연부싱 내에 압입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 일체 성형에 따라 발생하는 불량을 없애거나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폐기물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며 사용 부품의 재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재활용 수지에 의한 절연부싱을 갖는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절연부싱을 성형함에 있어서는 자동 개폐의 주요 부품인 상부도체와 하부도체 및 진공밸브를 압입하여 조립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고 절연부싱 내에 상부도체와 하부도체 및 진공밸브를 압입하여 조립함에 따라 밀착성 및 조립성 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압입 부품을 개별적으로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경제성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한 재활용 수지에 의한 절연부싱을 갖는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자동 개폐의 주요 부품인 상부도체와 하부도체 및 진공밸브를 절연부싱 내에 압입 조립시 조립 용이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며, 절연부싱에 대해서는 재활용 가능하고 내후성 및 내열성의 특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재활용 수지에 의한 절연부싱을 갖는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수지에 의한 절연부싱을 갖는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는, 진공밸브가 내재되는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의 진공밸브를 개방하거나 투입시키기 위한 조작부를 포함하는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절연부싱을 포함하는 구성이되; 상기 절연부싱은 재활용이 가능하고 내후성 및 내열성을 강화한 열가소성 수지로 사출 성형되는 삼방(3-way) 몸체의 성형체로 구비되며, 상기 성형체의 내부에는 전기의 인입을 위한 상부도체의 압입 조립과 고장구간 자동 개폐에 사용되는 진공밸브의 압입 조립 및 전기의 인출을 위한 하부도체의 압입 조립이 가능하도록 삼방(3-way) 연통 구조로 압입조립중공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절연부싱에는 권선형 변류기 및 이에 연결되는 변류기 케이블과, 정전유도전압검출기 및 이에 연결되는 검출기 케이블이 내재되며; 이들은 절연부싱의 사출 성형시 성형체에 인서트되어 일체로 구비되게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절연부싱은, ABS수지 100~120중량부에 대하여 내후성 강화 내열수지 25~100중량부가 혼합된 내후성 강화 열가소성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후성 강화 내열수지는 아크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레이트(ASA)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절연부싱의 압입조립중공에는 하부도체가 압입 조립되는 바로 위쪽 구간에 경사면을 형성시킴으로써 수직상태로 위아래에 배치되게 압입 조립하기 위한 상부도체와 진공밸브의 압입 조립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절연부싱의 압입조립중공 내에 압입 조립되고, 절연부싱의 상측부에 수직 배치되는 상부도체; 상기 절연부싱의 압입조립중공 내에 압입 조립되고, 절연부싱의 측부에 수평 배치되는 하부도체; 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상부도체와 하부도체 각각에는 외면에 홈부를 형성시켜 패킹 처리함에 의해 습기 침투를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진공밸브는, 상기 절연부싱의 압입조립중공 내에 압입 조립되는 것으로서, 절연부싱에 압입 조립되는 상부도체의 하측에 수직 배치되게 하되 상부도체와는 스위칭 상태에 따라 면접촉에 의해 도전되게 하고, 절연부싱에 압입 조립되는 하부도체와는 접속도체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진공밸브는, 상기 절연부싱의 압입조립중공 내에 압입 조립시 외면을 패킹 처리함에 의해 기밀에 의한 절연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절연체로 사용되는 절연유나 가스 또는 재활용이 불가능한 절연재료를 사용하지 않으며 재활용이 가능하고 내후성 등의 특성을 갖는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절연부싱의 성형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면서 개폐기의 사용 중 불량발생 시 압입 조립했던 구성요소인 상부도체와 하부도체 및 진공밸브 등의 부품을 절연부싱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폐기물의 발생을 극히 최소할 수 있으며, 특히 절연부싱은 폐기 처리하지 않고 재활용할 수 있어 종래에 비해 폐기물의 발생을 크게 감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고장구간 자동개폐기에 비해 폐기물 처리비용과 불량으로 발생되는 손실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고,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으며, 절연부싱의 제작이 용이하므로 제조원가 또한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절연부싱 내에 상부도체와 하부도체 및 진공밸브를 압입하여 조립함에 따라 밀착성 및 조립성을 높일 수 있으며, 압입 부품을 개별적으로 교체 사용할 수 있는 등 설비 운용에 경제성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내후성 및 내열성 등의 특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절연부싱을 제작함에 따라 하여 사용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22.9kV 배전선로의 4,000kVA 이하 특별고압 간이 수배전설비의 계통도.
도 2는 종래 절연유를 사용하는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 가스를 사용하는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수지에 의한 절연부싱을 갖는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수지에 의한 절연부싱을 갖는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에 있어 개폐부를 나타낸 상세도.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수지에 의한 절연부싱을 갖는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100)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부(101)와 조작부(102)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개폐부(101)는 재활용이 가능하고 내후성 및 내열성을 강화한 열가소성 수지로 사출 성형되는 플라스틱성형체인 절연부싱(110)과, 상기 절연부싱(110) 내에 압입되어 조립되는 상부도체(120)와 하부도체(130) 및 진공밸브(140), 및 상기 절연부싱(110) 내에 삽입 배치 및 연결되는 접속도체(150)와 절연로드(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절연부싱(110)의 사출 성형시 플라스틱성형체에 인서트되어 일체로 구비되는 권선형 변류기(172) 및 이에 연결되는 변류기 케이블(174)과, 정전유도전압검출기(182) 및 이에 연결되는 검출기 케이블(184)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102)는 개폐부(101)의 하측에 구비되는데, 상기 절연로드(160)를 통하여 진공밸브(140)를 가동함으로써 개폐부(101)에 전기의 개방 또는 투입을 조작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때, 상기 조작부(102)에 의한 전기의 개방 또는 투입은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으며, 조작부(102)에는 절연로드(160)에 연결되는 기계기구 또는 자기력을 이용한 전기기구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기계기구 또는 전기기구를 통하여 절연로드(160)를 밀어내고 당겨 승강시킴으로써 진공밸브(140)를 동작되게 할 수 있고, 즉 진공밸브(140)와 상부도체(120)와의 도전 접촉을 조작하여 개폐부(101)에 전기의 개방 또는 투입을 조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폐부(101)의 외형몸체가 되는 절연부싱(110)은 하나의 몸체 내에서 전기의 인입과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고 조작부(102)와의 연결 구성을 위해 삼방(3-way) 몸체(때론, T자형 몸체라 할 수 있다.)로 구비된다.
상기 절연부싱(110)은 재활용이 가능하고 내후성 및 내열성을 강화한 열가소성 수지로 사출 성형되는 삼방(3-way) 몸체의 플라스틱성형체로서, 상기 플라스틱성형체의 내부에 전기의 인입을 위한 상부도체(120)의 압입 조립과 고장구간 자동 개폐에 사용되는 진공밸브(140)의 압입 조립 및 전기의 인출을 위한 하부도체(130)의 압입 조립이 가능하도록 삼방(3-way) 몸체 내에 삼방(3-way) 연통 구조로 압입조립중공(111)이 형성된다.
상기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되는 절연부싱(110)에는 권선형 변류기(172) 및 이에 연결되는 변류기 케이블(174)과, 정전유도전압검출기(182) 및 이에 연결되는 검출기 케이블(184)을 사출 성형시 인서트시켜 일체로 구비되게 한다.
이때, 상기 절연부싱(110)은 ABS수지 100~120중량부에 대하여 내후성 강화 내열수지 25~100중량부가 혼합된 내후성 강화 열가소성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재활용 가능 및 내후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후성 강화 내열수지로는 아크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레이트(ASA; Acrylonitrile Styrene Acrylate)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삭제
여기서, 상기 ABS수지는 재활용이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로서, 가격이 저렴하고 쉽게 구입할 수 있으며, 성형성과 가공성은 물론 내충격성 및 치수안정성이 우수하고 전기절연성과 내열성 및 내후성의 특성을 발휘되게 할 수 있다.
상기 내후성 강화 내열수지는 내열성과 더불어 내후성의 특성까지 겸비한 열가소성 수지로서, 아크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레이트(ASA)는 열적/기계적 성질이 거의 ABS수지와 비슷하고 내후성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아크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레이트(ASA)는 내후성 강화와 함께 성형성과 전기절연성, 열안정성 및 화학적 저항성 등의 특성을 발휘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절연부싱(110)은 이와 같이 재활용 가능한 재질을 고려하여 구비함과 더불어 기후변화에 잘 견딜 수 있도록 내후성을 강화한 구성을 갖는 것으로서, 내구연한 즉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부싱(110)의 압입조립중공(111)에는 하부도체(140)가 압입 조립되는 바로 위쪽 구간에 경사면(112)을 형성시킴으로써 절연부싱(110) 측에 수직상태로 위아래에 배치되게 압입하여 조립하기 위한 상부도체(120)와 진공밸브(140)에 대해 압입 조립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상기 절연부싱(110)에 삼방(3-way) 연통 구조로 형성시킨 압입조립중공(111)으로는 상부도체(120)와 진공밸브(140) 및 하부도체(130)가 압입에 의해 조립되어 구비되고, 상기 진공밸브(140)와 하부도체(130)의 전기적인 연결에 사용되는 접속도체(150)가 조립되어 구비되며, 상기 진공밸브(140)의 개폐 가동을 위한 절연로드(160)가 삽입 배치되어 일단이 진공밸브(140)에 연결되고 타단이 조작부(102)에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상부도체(120)는 절연부싱(110) 내 압입조립중공(111)의 수직공간으로 하측방향에서 상측방향을 향하여 압입함으로써 절연부싱(110)의 내부 상측부에 수직 배치상태로 조립되게 하며, 상부도체(120)의 상단에 전기 인입을 위한 인입단자(I)를 접속되게 한다.
상기 하부도체(130)는 절연부싱(110) 내 압입조립중공(111)의 수평공간으로 좌측방향에서 우측방향을 향하여 압입함으로써 절연부싱(110)의 내부 측면부에 수평 배치상태로 조립되게 하며, 하부도체(130)의 좌측단에 전기 인출을 위한 인출단자(O)와 접속되게 한다.
상기 진공밸브(140)는 절연부싱(110) 내 압입조립중공(111)의 수직공간으로 하측방향에서 상측방향을 향하여 압입함으로써 상부도체(120)의 하측에 수직 배치상태로 조립되게 한다.
이때, 상기 진공밸브(140)는 상부도체(120)에 면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고정되는 스위칭 고정접점부(141)와, 상기 스위칭 고정접점부(141)의 아래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고 하단이 절연로드(160)에 연결되어 절연로드(160)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하 가동하도록 구비되며 스위칭 고정접점부(141)와의 접촉시 상부도체(120)에서 하부도체(130) 측으로 전기가 인입 및 인출되게 하는 스위칭 가동접점부(14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진공밸브(140)는 진공 밀봉된 진공밸브몸체 내에 스위칭 고정접점부(141)와 스위칭 가동접점부(142)가 내재되는 구성이며 절연로드(160)를 승강시킴으로써 스위칭 가동접점부(142)의 승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접속도체(150)는 진공밸브(140)의 하단부에 조립되는 링형상의 도체로서, 진공밸브(140) 측에 조립시 진공밸브(140)와 하부도체(130)를 전기적으로 접촉 및 연결시켜준다.
여기서, 상기 접속도체(150)는 진공밸브(140)의 스위칭 가동접점부(142) 측에 조립된다 할 수 있다.
즉, 상기 접속도체(150)는 전기의 인입시 상부도체(120)와 진공밸브(140)를 통해 하부도체(130)로 전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매개체가 되며, 하부도체(130)를 통해 전기가 인출되게 한다.
상기 절연로드(160)는 절연부싱(110) 내 압입조립중공(111)의 수직공간 하부에 위치되어 수직 배치되는 것으로서, 개폐부(101)의 하측에 구비되는 조작부(102)에서의 조작에 의해 승강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나아가, 상기 상부도체(120)와 하부도체(130) 각각에는 외면에 패킹 처리를 위한 홈부(121)(131)를 형성시킴이 바람직한데, 패킹 처리를 통해 절연부싱(110)의 내부로 습기가 침투되는 것을 차단 및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절연부싱(110)에 진공밸브(140)를 압입 조립시에도 진공밸브(140)의 외면에도 패킹(P)을 삽입 배치함으로써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절연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도체(120)와 진공밸브(140)는 각각 개별로 압입 조립하는 것이 아닌 미리 상부도체와 진공밸브를 결합한 상태에 압입 조립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상기 권선형 변류기(172) 및 이에 연결되는 변류기 케이블(174)은 전기의 인입 및 인출에 따른 교류전류를 측정 및 이를 보고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상기 정전유도전압검출기(182) 및 이에 연결되는 검출기 케이블(184)은 정전유도의 원리를 이용하여 교류전압을 측정 및 보고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며, 상기 정전유도전압검출기(182)는 정전유도의 원리를 이용하여 전압을 검출하므로 개폐기(100) 내에서 발열 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으로서 발열에 의한 제품의 성능 저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수지에 의한 절연부싱을 갖는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100)는 개폐부(101)를 구성함에 있어 재활용이 가능하고 내후성과 내열성 및 성형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여 절연부싱(110)을 사출 성형하되 삼방 연통구조의 압입조립중공을 형성하고, 절연부싱(110) 내에 상부도체(120)와 하부도체(130) 및 진공밸브(140)를 압입 조립하는 구성을 주요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재질 선택에 의해 절연부싱(110)의 성형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면서 개폐기(100)의 사용 중 불량발생 시 압입 조립했던 구성요소인 상부도체(120)와 하부도체(130) 및 진공밸브(140) 등의 부품을 절연부싱(11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불량이 발생되어도 폐기물의 발생을 극히 최소할 수 있으며, 특히 절연부싱(110)은 폐기 처리하지 않고 재활용할 수 있어 종래에 비해 폐기물의 발생을 크게 감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유용함은 종래의 고장구간 자동개폐기에 비해 폐기물 처리비용과 불량으로 발생되는 손실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고,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으며, 절연부싱(110)의 제작이 용이하므로 제조원가 또한 절감할 수 있는 부대효과를 이끌어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 또는 치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1: 개폐부 102: 조작부
110: 절연부싱 111: 압입조립중공
112: 경사면 120: 상부도체
130: 하부도체 140: 진공밸브
141: 스위칭 고정접점부 142: 스위칭 가동접점부
150: 접속도체 160: 절연로드
172: 권선형 변류기 182: 정전유도전압검출기
IT: 인입단자 OT: 인출단자
P: 패킹

Claims (8)

  1. 진공밸브가 구비되는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의 진공밸브를 개방하거나 투입시키기 위한 조작부를 포함하는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재활용이 가능하고 내후성 및 내열성을 강화한 열가소성 수지로 사출 성형되는 삼방(3-way) 몸체의 성형체로 구비되며, 상기 성형체의 내부에는 전기의 인입을 위한 상부도체의 압입 조립과 고장구간 자동 개폐에 사용되는 진공밸브의 압입 조립 및 전기의 인출을 위한 하부도체의 압입 조립이 가능하도록 삼방(3-way) 연통 구조로 압입조립중공을 형성시킨 절연부싱을 포함하는 구성이되;
    상기 절연부싱은,
    내열성 및 내후성의 특성을 발휘하여 사용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ABS수지 100~120중량부에 대하여 내후성 강화 내열수지 25~100중량부가 혼합된 내후성 강화 열가소성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후성 강화 내열수지는 아크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레이트(ASA)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수지에 의한 절연부싱을 갖는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싱에는 권선형 변류기 및 이에 연결되는 변류기 케이블과, 정전유도전압검출기 및 이에 연결되는 검출기 케이블이 내재되며;
    이들은 절연부싱의 사출 성형시 성형체에 인서트되어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수지에 의한 절연부싱을 갖는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싱의 압입조립중공에는 하부도체가 압입 조립되는 바로 위쪽 구간에 경사면을 형성시킴으로써 수직상태로 위아래에 배치되게 압입 조립하기 위한 상부도체와 진공밸브의 압입 조립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수지에 의한 절연부싱을 갖는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절연부싱의 압입조립중공 내에 압입 조립되고, 절연부싱의 상측부에 수직 배치되는 상부도체;
    상기 절연부싱의 압입조립중공 내에 압입 조립되고, 절연부싱의 측부에 수평 배치되는 하부도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수지에 의한 절연부싱을 갖는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도체와 하부도체 각각에는 외면에 홈부를 형성시켜 패킹 처리함에 의해 습기 침투를 차단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수지에 의한 절연부싱을 갖는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밸브는,
    상기 절연부싱의 압입조립중공 내에 압입 조립되는 것으로서, 절연부싱에 압입 조립되는 상부도체의 하측에 수직 배치되게 하되 상부도체와는 스위칭 상태에 따라 면접촉에 의해 도전되게 하고, 절연부싱에 압입 조립되는 하부도체와는 접속도체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수지에 의한 절연부싱을 갖는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밸브는,
    상기 절연부싱의 압입조립중공 내에 압입 조립시 외면을 패킹 처리함에 의해 기밀에 의한 절연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수지에 의한 절연부싱을 갖는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
KR1020140110742A 2014-08-25 2014-08-25 재활용 수지에 의한 절연부싱을 갖는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 KR101664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0742A KR101664176B1 (ko) 2014-08-25 2014-08-25 재활용 수지에 의한 절연부싱을 갖는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0742A KR101664176B1 (ko) 2014-08-25 2014-08-25 재활용 수지에 의한 절연부싱을 갖는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205A KR20160024205A (ko) 2016-03-04
KR101664176B1 true KR101664176B1 (ko) 2016-10-07

Family

ID=55535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0742A KR101664176B1 (ko) 2014-08-25 2014-08-25 재활용 수지에 의한 절연부싱을 갖는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417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528B1 (ko) 2010-09-28 2011-12-13 제룡전기 주식회사 계기용 변압변류기가 내장된 폴리머 절연형 고장구간 자동개폐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1594B1 (ko) * 2004-03-15 2006-02-1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고압용 열가소성 부싱 및 이의 제작방법
KR100612433B1 (ko) * 2004-09-14 2006-08-16 동우전기공업(주) 열가소성수지와 난연제를 혼합하여 성형 제조된 옥외용 부싱
KR101393062B1 (ko) * 2012-08-28 2014-05-09 시앤에스 주식회사 개폐기 및 차단기의 몰드콘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528B1 (ko) 2010-09-28 2011-12-13 제룡전기 주식회사 계기용 변압변류기가 내장된 폴리머 절연형 고장구간 자동개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205A (ko) 2016-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15519B (zh) 被封装极单元导体组件和包括该组件的中压电路断续器
US8677609B2 (en) Method for producing a circuit-breaker pole part
US20130092658A1 (en) Modular solid dielectric switchgear
KR100860528B1 (ko) 고전압 부하개폐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091683B1 (ko) 개폐기/차단기용 조립식 절연하우징
KR101051230B1 (ko) 에폭시 몰딩 절연형 지중 배선 선로용 다회로 개폐기 및차단기
RU2344506C1 (ru) Вакуумный выключатель
KR100888541B1 (ko) 에폭시 몰딩 절연형 지중 배선용 개폐기 및 차단기의개폐차단부
KR101664176B1 (ko) 재활용 수지에 의한 절연부싱을 갖는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
CN101425423A (zh) 真空断路器极柱及其制造方法
CN102290730B (zh) 用于高压交流真空开关柜的固体绝缘封闭组件
CN201117546Y (zh) 真空断路器极柱
KR101497068B1 (ko) 지상 및 지중 겸용 에폭시몰딩 절연형 다회로 부하개폐기 및 차단기
KR100960075B1 (ko) 지중 배전 선로용 폴리머 절연 다회로 개폐기
CN103944096A (zh) 一种有零电位表层固封极柱的户外柱上开关平台
KR101874447B1 (ko) 개폐장치가 구비된 접속재
KR101247538B1 (ko) 고체절연 개폐장치
KR101123251B1 (ko) 에폭시몰드 절연 부하개폐기
KR101956856B1 (ko) 개폐기류 폴리머 부싱 구조 및 그것의 제조방법
JP2011160637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KR101036147B1 (ko) 개폐차단기의 개폐차단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개폐차단기
CN201311870Y (zh) 真空断路器
CN104091719A (zh) 户外绝缘开关极柱
CN203966954U (zh) 户外绝缘开关极柱
KR101125816B1 (ko) 배전용 차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