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8783A - 샤워기 - Google Patents

샤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8783A
KR20110108783A KR1020100028180A KR20100028180A KR20110108783A KR 20110108783 A KR20110108783 A KR 20110108783A KR 1020100028180 A KR1020100028180 A KR 1020100028180A KR 20100028180 A KR20100028180 A KR 20100028180A KR 20110108783 A KR20110108783 A KR 20110108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water
water
main housing
supply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8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9021B1 (ko
Inventor
류학현
김장호
강창연
강유광
Original Assignee
류학현
강창연
강유광
김장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학현, 강창연, 강유광, 김장호 filed Critical 류학현
Priority to KR1020100028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9021B1/ko
Publication of KR20110108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8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9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9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47K3/281Accessories for showers or bathing douches, e.g. cleaning devices for walls or floors of sho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temperature or viscosity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discharged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2001/0418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having temperature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급수가 공급되는 공급호스와 접속된 하우징 내로 유입된 공급수를 다수의 분사공을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된 샤워기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은 공급수가 이동되는 공급수 이동로를 형성하되 공급수 이동로의 일부가 개방되게 형성된 메인 하우징과, 메인 하우징의 개방된 공급수 이동로를 외부에 대해 차폐할 수 있도록 메인 하우징과 접합되되 공급수 이동로를 통해 공급되는 공급수의 온도를 사용자가 접촉에 의해 체감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된 열감지용 접촉패드를 구비한다. 이러한 샤워기에 의하면, 공급수를 직접 피부에 접촉하지 않고서도 하우징에 마련된 열감지용 접촉패드를 통해 공급수의 온도를 체감할 수 있어 고온의 공급수에 의한 화상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초기 공급되는 공급수를 리턴호스를 통해 회수할 수 있어 물의 낭비를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샤워기{shower device}
본 발명은 샤워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시각장애인에게 접촉에 의해 수온을 감지할 수 있도록 된 샤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샤워기는 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공급수를 미세하게 형성된 다수의 분사공을 통해 분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샤워기는 대부분 온수와 냉수를 원하는 비율로 혼합하여 공급할 수 있는 급수관과 연결되어 사용되는데, 원하는 물의 온도로 조절하기 위해서는 샤워기로 물이 공급되게 온수와 냉수를 공급 및 조절할 수 있는 레버를 조작하면서 샤워기를 통해 분사되는 물의 온도를 사용자가 직접 접촉하여 판단한다.
이러한 물온도 조정과정에서 원하는 온도로 물이 조절되기 전까지 샤워기를 통해 물이 배출됨으로써 낭비요인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각장애인의 경우 물의 온도를 판단하기 위해 샤워기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직접 피부에 접촉하는 과정에서 화상을 입을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샤워기의 하우징을 통해 물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샤워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온도 조절과정에서 이송되는 공급수를 회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샤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는 공급수가 공급되는 공급호스와 접속된 하우징 내로 유입된 상기 공급수를 다수의 분사공을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된 샤워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공급수가 이동되는 공급수 이동로를 형성하되 상기 공급수 이동로의 일부가 개방되게 형성된 메인 하우징과; 상기 메인 하우징의 상기 개방된 공급수 이동로를 외부에 대해 차폐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하우징과 접합되되 상기 공급수 이동로를 통해 공급되는 공급수의 온도를 사용자가 접촉에 의해 체감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된 열감지용 접촉패드;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감지용 접촉패드는 실리콘 소재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열감지용 접촉패드의 표면에는 온도에 따라 시각적으로 색이 가변되는 시온안료가 코팅처리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하우징은 상기 공급수 이동로를 통해 유입된 공급수를 상기 분사공과 연통되게 형성된 배출유로와, 상기 배출유로와는 다른 상기 공급수의 이송경로인 리턴유로를 갖게 형성되어 있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공급수 이동로를 상기 배출유로와 상기 리턴유로에 대해 선택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게 상기 메인하우징에 설치된 유로전환스위치부;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하우징은 상기 리턴유로를 통해 이송되는 공급수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탱크로 상기 공급수를 이송하기 위한 회수관과 접속될 수 있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에 의하면, 공급수를 직접 피부에 접촉하지 않고서도 하우징에 마련된 열감지용 접촉패드를 통해 공급수의 온도를 체감할 수 있어 고온의 공급수에 의한 화상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초기 공급되는 공급수를 리턴호스를 통해 회수할 수 있어 물의 낭비를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샤워기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샤워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샤워기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샤워기(100)는 온수와 냉수를 선택적으로 혼합하여 공급수를 공급할 수 있는 수도꼭지(200)와 공급호스(170)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샤워기(100)는 하우징(110), 공급호스(170), 리턴호스(180)를 구비한다.
하우징(110)은 공급호스(17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급수를 리턴호스(180) 통해 회수시키거나, 다수의 분사공(142)을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10)은 공급호스(17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급수의 온도를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체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우징(110)은 메인 하우징(120)과 열감지용 접촉패드(130)로 되어 있다.
메인 하우징(120)은 하단에 공급호스(170)와 리턴호스(180)를 각각 체결할 수 있게 나사선이 형성되고 상호 분리된 제1 및 제2결합단(121)(125)이 형성되어 있다.
메인하우징(120)은 제1결합단(121)을 통해 결합된 공급호스(17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급수가 이동되는 공급수 이동로(122)를 형성하되 후술되는 열감지용 접촉패드(130)에 의해 차폐되게 결합될 수 있게 공급수 이동로(122)의 일부가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다.
메인 하우징(120)은 공급수 이동로(122)를 통해 유입된 공급수를 분사공(142)과 연통되게 형성된 배출유로(126)와, 배출유로(126)와는 다른 공급수의 이송경로로서 제2결합단(125)으로 이어지는 리턴유로(124)를 갖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배출유로(126)와 리턴유로(124)는 후술되는 버튼(152)의 조작에 의해 공급수 이동로(122)와 선택적으로 연통 및 차폐될 수 있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리턴유로(124)와 제2결합단(125) 사이에는 리턴호스(180)로부터 리턴유로(124)로의 역류를 억제하고, 리턴호스(180)방향으로만 공급수가 회수될 수 있게 체크밸브가 설치된다.
참조부호 230은 공급수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탱크(230)로서 공급수를 이송하기 위한 회수관인 리턴호스(180)를 통해 이송되는 공급수를 담수한다.
여기서, 회수탱크(230)에 저장된 물은 보일러의 급수관과 접속되는 방식 등 사용대상관과 접속될 수 있다.
열감지용 접촉패드(130)는 메인 하우징(120)의 개방된 공급수 이동로를 외부에 대해 차폐할 수 있도록 메인 하우징(120)과 접합되되 공급수 이동로(122)를 통해 공급되는 공급수의 온도를 사용자가 접촉에 의해 공급수의 온도와 거의 같은 온도로 체감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열감지용 접촉패드(130)는 접촉되는 공급수의 외부로의 온도 전달효율이 높은 실리콘 소재로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시각적으로도 공급수의 온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열감지용 접촉패드(130)의 표면에는 온도에 따라 시각적으로 색이 가변되는 시온안료가 코팅처리된 온도표시층(132)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온도표시층(132)은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로전환 스위치부(150)는 메인 하우징(120)의 외측면에 노출되게 설치된 버튼(152)의 하방으로 조작 유무에 따라 공급수 이동로(122)를 배출유로(126)와 리턴유로(124)에 대해 선택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유로 전환스위치부(150)는 버튼(152), 개폐판(154) 및 스프링(156)으로 되어 있다.
개폐판(154)은 버튼(152)으로부터 메인 하우징(120) 내로 연장된 연결봉의 종단에 결합되어 공급수 이송로(122)와 배출유로(126) 사이에서 승하강 되면서 공급수 이동로를 배출유로(126)와 리턴유로(124)에 대해 선택적으로 차폐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스프링(156)은 개폐판(154)이 배출유로(126)를 폐쇄하는 방향에 위치되게 버튼(152)을 탄성바이어스 시킬 수 있도록 버튼(152) 하부에 장착되어 있다.
참조부호 158은 버튼(152)의 이탈을 억제하기 위한 스톱퍼이다.
이러한 샤워기(100)는 시각장애인이 사용시 먼저, 온수와 냉수가 혼합되어 공급되도록 수도꼭지(200)의 레버(202)를 조작한 다음, 메인 하우징(120)의 열감지용 접촉패드(130)를 사용자의 손이 접촉되게 하여 공급수의 온도를 체감에 의해 판단하면서, 원하는 온도가 되도록 레버(20)를 조작하는 과정을 거친다음 원하는 온도에 도달하면, 버튼(152)을 하방으로 조작하여 샤워하면된다.
이 과정에서 버튼(152)을 조작하기 이전에 공급되는 공급수는 회수탱크(230)로 회수됨으로써 공급수를 원하는 온도로 조절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던 물의 낭비요인이 발생되지 않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메인 하우징(120) 내에 리턴유로(124)를 갖는 구조를 통해 설명되었으나, 리턴유로(124)가 폐쇄된 구조에 시각 장애인용으로 열감지용 접촉패드(130)만 갖는 구조로 된 것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10: 하우징 120: 메인 하우징
130: 열감지용 접촉패드

Claims (5)

  1. 공급수가 공급되는 공급호스와 접속된 하우징 내로 유입된 상기 공급수를 다수의 분사공을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된 샤워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공급수가 이동되는 공급수 이동로를 형성하되 상기 공급수 이동로의 일부가 개방되게 형성된 메인 하우징과;
    상기 메인 하우징의 상기 개방된 공급수 이동로를 외부에 대해 차폐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하우징과 접합되되 상기 공급수 이동로를 통해 공급되는 공급수의 온도를 사용자가 접촉에 의해 체감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된 열감지용 접촉패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감지용 접촉패드는 실리콘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감지용 접촉패드의 표면에는 온도에 따라 시각적으로 색이 가변되는 시온안료가 코팅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하우징은 상기 공급수 이동로를 통해 유입된 공급수를 상기 분사공과 연통되게 형성된 배출유로와, 상기 배출유로와는 다른 상기 공급수의 이송경로인 리턴유로를 갖게 형성되어 있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공급수 이동로를 상기 배출유로와 상기 리턴유로에 대해 선택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게 상기 메인하우징에 설치된 유로전환스위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은 상기 리턴유로를 통해 이송되는 공급수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탱크로 상기 공급수를 이송하기 위한 회수관과 접속될 수 있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KR1020100028180A 2010-03-29 2010-03-29 샤워기 KR101199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180A KR101199021B1 (ko) 2010-03-29 2010-03-29 샤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180A KR101199021B1 (ko) 2010-03-29 2010-03-29 샤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783A true KR20110108783A (ko) 2011-10-06
KR101199021B1 KR101199021B1 (ko) 2012-11-08

Family

ID=45026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8180A KR101199021B1 (ko) 2010-03-29 2010-03-29 샤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90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38236A (zh) * 2016-09-28 2016-12-21 福建西河卫浴科技有限公司 一种易触摸切换的花洒及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437B1 (ko) * 2014-09-04 2016-06-24 강유광 샤워기 장치
KR20240014267A (ko) 2022-07-25 2024-02-01 영일실리콘(주) 다양한 색상으로 표현이 가능한 샤워기 호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85440B2 (ja) * 2003-11-11 2008-11-26 株式会社 菊星 シャワーヘッ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38236A (zh) * 2016-09-28 2016-12-21 福建西河卫浴科技有限公司 一种易触摸切换的花洒及控制方法
CN106238236B (zh) * 2016-09-28 2022-11-18 福建西河卫浴科技有限公司 一种易触摸切换的花洒及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9021B1 (ko) 2012-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84069B2 (ja) 自動水栓
TWI565895B (zh) Touch faucet
RU2434687C2 (ru) Сборка регулятора разбрызгивания крана
US6363549B2 (en) Faucet system for sanitary fixtures
EP0843984A1 (en) Bidet
KR101199021B1 (ko) 샤워기
JP4708974B2 (ja) 自動水栓
WO2008041867A3 (en) Fire suppression apparatus incorporated into domestic faucet
ATE305065T1 (de) Wasserhahn mit vakuumschutzschalter
KR20090120226A (ko) 세면대용 절수밸브
TWI553251B (zh) Two - stage Induction Water Supply Device and Method
KR20180001794U (ko) 풋 터치 스위치와 핸드 터치 스위치를 동시에 갖는 전자밸브 개폐 싱크대 수전구
JP4313613B2 (ja) 水栓装置
KR20210046154A (ko) 자동샤워장치
JP2011179292A (ja) 水栓装置
KR200427886Y1 (ko) 비데 조절장치
RU2333411C2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водопроводный смеситель
JP6909992B2 (ja) 水栓装置
US20120085444A1 (en) Switching device for sanitary fittings, in particular showers, bathtubs and the like
KR200384911Y1 (ko) 비데용 급수 커넥터
JP4193209B2 (ja) シャワー装置
US20110214766A1 (en) Faucet diverter device
KR101157213B1 (ko) 수도꼭지 및 수도밸브
KR102016583B1 (ko) 수전 및 건물의 절수형 수전 시스템
KR20090109389A (ko) 샤워기 절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