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7936A - 칸막이 시스템 높이 조절구조 - Google Patents

칸막이 시스템 높이 조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7936A
KR20110107936A KR1020100027129A KR20100027129A KR20110107936A KR 20110107936 A KR20110107936 A KR 20110107936A KR 1020100027129 A KR1020100027129 A KR 1020100027129A KR 20100027129 A KR20100027129 A KR 20100027129A KR 20110107936 A KR20110107936 A KR 20110107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hole
leveler
base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7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4263B1 (ko
Inventor
이창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울타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울타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울타리
Priority to KR1020100027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4263B1/ko
Publication of KR20110107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7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4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4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5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9Partitions with screw-type jacks
    • E04B2002/7492Partitions with screw-type jacks used in partition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 E04B2002/7494Partitions with screw-type jacks used in partition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the jacks being located at the top or the side of the part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칸막이 시스템 높이조절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칸막이 시스템이 설치되는 장소의 지면과 천정에 각각 상하단이 지지되어 직립 배치된 복수개의 포스트(50)에 복수개의 칸막이 패널(30)이 결합되어 건물의 각 룸을 구성하도록 칸막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50)의 상단부를 지지하도록 천정에 설치되며 하단으로 포스트 지지홈이 형성된 어퍼 프레임(20)과, 상기 어퍼 프레임(20)의 하단부와 마주하는 단부에는 상측과 좌우 양측으로 개구된 결합홈을 기준으로 서로 나란한 끼움편(64)을 가지며 둘레부에는 상기 포스트(50)에 형성된 조절홀(54h)과 만나는 핀삽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포스트(50)의 상단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어퍼 레벨러(6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칸막이 시스템 높이 조절구조{Height adjustment structure for partition wall construction system}
본 발명은 칸막이 시스템 높이 조절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각 룸을 조성하는 칸막이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된 칸막이 시스템 높이 조절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과 같은 실내공간을 구획하여 필요한 룸(room)을 만들고자 하는 경우 칸막이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실내의 각각의 룸 조성용 칸막이는 일정한 높이와 두께 및 너비로 제작되어 필요에 따라 각각의 칸막이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되어 있는데, 기존의 칸막이들의 상호연결은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연결하거나, 다수의 조립부를 연결한 후 이러한 연결부에 고정핀 등을 끼워넣어 조립하는 방식과 같이 여러 가지 방식을 채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칸막이를 설치하는 장소는 실내 층고의 높낮이가 균일한 것이 아니라 위치에 따라 높낮이가 다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칸막이 시스템 자체의 구조는 복잡해지지 않으면서도 칸막이의 높낮이를 실내의 각 층고에 맞추어 균일하게 설치하는 작업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의 각 룸을 조성하는 칸막이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시공할 수 있으며, 나아가, 건물의 층고가 균일하지 않은 경우에도 칸막이의 높낮이를 수월하게 맞추어 설치할 수 있으므로, 시공 장소에 구애를 받는 경우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계된 새로운 칸막이 시스템 높이 조절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칸막이 시스템이 설치되는 장소의 지면과 천정에 각각 상하단이 지지되어 직립 배치된 복수개의 포스트에 복수개의 칸막이 패널이 결합되어 건물의 각 룸을 구성하도록 칸막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의 상단부를 지지하도록 천정에 설치되며 하단으로 포스트 지지홈이 형성된 어퍼 프레임과, 상기 어퍼 프레임의 하단부와 마주하는 단부에는 상측과 좌우 양측으로 개구된 결합홈을 기준으로 서로 나란한 끼움편을 가지며 둘레부에는 상기 포스트에 형성된 조절홀과 만나는 핀삽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포스트의 상단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어퍼 레벨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 시스템 높이 조절구조가 제공된다.
상기 포스트는 아웃터 포스트의 내부에 이너 포스트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아웃터 포스트와 상기 이너 포스트 중에서 어느 하나의 포스트에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조절홀이 구비되고 다른 하나의 포스트에는 상기 조절홀과 만나는 고정 지지홀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 지지홀과 상기 조절홀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고정핀에 의해 상기 아웃터 포스트에서 상기 이너 포스트가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 시스템 높이 조절구조.
상기 포스트를 구성하는 상기 이너 포스트의 상단부에 어퍼 레벨러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어퍼 레벨러의 둘레부 중에서 상기 이너 포스트의 상기 조절홀과 마주하는 면에는 핀삽입홀이 구비되고, 상기 어퍼 레벨러의 상부 위치에는 천정에 지지되는 어퍼 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어퍼 프레임은 상기 어퍼 레벨러의 상기 전후 끼움편 사이에 끼워지는 한 쌍의 중간 지지편과, 상기 중간 지지편의 전후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어퍼 레벨러의 상기 끼움편이 삽입되는 채널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외측 지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스트에 상하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와 패널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어퍼 레벨러의 둘레부에 패널 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포스트의 상기 패널 결합홀에 칸막이 패널 내측면의 결합부재를 끼워서 설치하고, 상기 포스트의 패널 결합홀과 상기 어퍼 레벨러의 상기 패널 결합홀에 각각 최상판 칸막이 패널 내측면 상하부의 결합부재를 각각 끼워서 설치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는 상부에 포스트 안착부가 형성된 단면 채널 형상의 로워 베이스와, 하부에 포스트 지지홈이 형성된 바아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로워 베이스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어퍼 베이스로 구성되며, 상기 로워 베이스와 상기 어퍼 베이스 사이에는 레벨러가 개재되고, 상기 레벨러는 상기 로워 베이스의 바닥면에 하단부가 지지되어 설치되며 상면에는 볼트공이 형성된 레벨링 블록과, 상기 레벨링 블록의 상기 볼트공에 나사식으로 결합된 승강 볼트와, 상기 승강 볼트에 구비되어 상기 어퍼 베이스의 내부 상면에 접촉되는 레벨링 와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퍼 베이스는 상기 레벨링 블록의 상단부에 마주하는 위치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레벨링 블록의 상단부에는 드라이버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칸막이 시스템 높이 조절구조는 칸막이 설치 장소에 직립 설치되는 포스트의 상단부를 지지하도록 천정에 설치되며 하단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어퍼 프레임과, 이러한 어퍼 프레임의 하단부와 마주하는 단부에 상측과 좌우 양측으로 개구된 결합홈을 기준으로 서로 나란한 끼움편을 가지며 둘레부에는 포스트에 형성된 조절홀과 만나는 핀삽입홀이 형성되어 포스트의 상단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어퍼 레벨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건물 실내의 층고가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경우에 어퍼 레벨러를 포스트의 상단부에서 승강시켜서 높낮이를 맞출 수 있으므로, 칸막이 시스템 자체의 구조는 복잡해지지 않으면서도 칸막이의 높낮이를 실내의 각 층고에 맞추어 균일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건물의 층고가 균일하지 않은 경우 대응하여 칸막이의 높낮이를 수월하게 맞추어 설치할 수 있는 관계로 시공 장소에 구애를 받는 경우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칸막이 패널 장착을 위한 포스트가 아웃터 포스트에 이너 포스트가 인출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이러한 이너 포스트를 아웃터 포스트에 대해 상대 슬라이드시켜서 포스트의 높낮이를 맞춤으로써, 실내의 층고 높이에 더욱 간편하게 맞추어 칸막이 시스템을 설치가능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포스트를 지지하는 베이스에 레벨러를 더 구비함으로써, 칸막이 시스템 설치시 하부의 레벨을 균일하게 맞출 수 있으므로, 칸막이 시스템 설치 작업이 더욱더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칸막이 시스템 높이조절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칸막이 시스템 높이조절 구조를 측면에서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의 높이조절 구조에서 레벨러 부분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높이조절 구조에서 레벨러와 베이스의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2의 높이조절 구조에서 베이스에 포스트의 하부측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2의 높이조절 구조에서 베이스에 포스트의 하부측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칸막이 시스템 높이조절 구조를 구성하는 포스트와 어퍼 레벨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주요부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주요부가 천정에 고정된 어퍼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칸막이 시스템 높이조절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칸막이 시스템 높이조절 구조를 측면에서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의 높이조절 구조에서 레벨러 부분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높이조절 구조에서 레벨러와 베이스의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2의 높이조절 구조에서 베이스에 포스트의 하부측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2의 높이조절 구조에서 베이스에 포스트의 하부측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칸막이 시스템 높이조절 구조를 구성하는 포스트와 어퍼 레벨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주요부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주요부가 천정에 고정된 어퍼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칸막이 시스템이 설치되는 장소의 지면과 천정에 각각 상하단이 지지되어 직립 배치된 복수개의 포스트(50)에 복수개의 칸막이 패널(30)이 결합되어 건물의 각 룸을 구성하도록 된 칸막이 시스템에 있어서, 포스트(50)의 상단부를 지지하도록 천정에 설치되며 하단으로 포스트 지지홈가 형성된 어퍼 프레임(20)과, 이 어퍼 프레임(20)의 하단부와 마주하는 단부에는 상측과 좌우 양측으로 개구된 결합홈을 기준으로 서로 나란한 끼움편(64)을 가지며 둘레부에는 포스트(50)에 형성된 조절홀(54h)과 만나는 핀삽입홀이 형성되어 포스트(50)의 상단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어퍼 레벨러(60)를 포함하는 칸막이 시스템 높이 조절구조이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72는 포스트(50) 사이에 설치된 지지 프레임, 부호 74는 포스트(50)(50)에 지지된 세로 바아, 부호 75는 지지 프레임(72)에 지지된 가로 바아, 부호 76은 세로 바아(74)와 가로 바아(75)를 연결하는 코너부재, 부호 77은 글라스이다. 부호 56은 도 15에 도시된 칸막이 패널(30) 배면의 걸림부재를 끼우는 패널 결합홀이고, 부호 56a는 대경홀, 부호 56b는 소경홀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칸막이 시스템 높이조절 구조는 포스트(5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베이스(10)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러한 베이스(10)는 로워 베이스(100)와 어퍼 베이스(110)로 구성된다. 로워 베이스(100)는 바닥부(102)의 전후단에 측벽(104)이 구비된 단면 채널 형상의 바아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로워 베이스(100)는 금속 재질로 구성된다. 또한, 어퍼 베이스(110)는 상면부(112)의 전후단에 측벽(114)이 구비된 단면 채널 형상의 바아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어퍼 베이스(110)의 상면부(112)는 중앙부에 하부가 개구된 단면 채널 형상의 상향 돌출부(116)가 구비되며, 이러한 상향 돌출부(116)는 어퍼 베이스(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이다. 또한, 어퍼 베이스(110) 상면부(112)의 상향 돌출부(116)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116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장공(116a)은 상향 돌출부(116)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어퍼 베이스(110)는 로워 베이스(100)에 수용되어, 어퍼 베이스(110)의 상면부(112)는 로워 베이스(100)의 바닥부(102)와 나란하고, 어퍼 베이스(110)의 전후 측벽(114)은 로워 베이스(100)의 전후 측벽(104)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상기 로워 베이스(100)와 어퍼 베이스(110) 사이에는 레벨러(40)가 구비된다. 이 레벨러(40)는 로워 베이스(100)의 바닥면에 하단부가 지지되어 설치되며 상면에는 볼트공(42a)이 형성된 레벨링 블록(42)과, 이 레벨링 블록(42)의 볼트공(42a)에 나사식으로 결합된 승강 볼트(44)와, 이 승강 볼트(44)에 구비되어 어퍼 베이스(110)의 내부 상면에 접촉되는 레벨링 와셔(46)로 구성된다. 레벨링 와셔(46)는 하측부의 보조 와셔(44a)와 승강 볼트(44) 상단의 헤드(44b) 사이에 개재되어 보조 와셔(44a)와 승강 볼트(44)의 헤드(44b) 사이에서 공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보조 와셔(44a)는 승강 볼트(44)의 둘레부에 고정된 것이다. 또한, 승강 볼트(44)의 헤드(44b)에는 어퍼 베이스(110)의 장공(116a)과 마주하는 드라이버 삽입홈(44c)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의 미설명 부호 44d는 레벨링 블록(42)의 볼트공(42a) 주변의 하측에 일체로 구비된 버어(44d)로서, 이러한 버어(44d)의 내주면에도 볼트공(42a)과 이어지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승강 볼트(44) 외주면의 나사부가 어퍼 베이스(110)의 볼트공(42a) 내주면의 나사부와 버어(44d) 내주면의 나사부에 동시에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승강 볼트(44)가 지지되는 부분의 강도를 버어(44d)에 의해 보다 높여주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베이스(10)와 마주하도록 천정에는 어퍼 프레임(20)이 설치된다. 이러한 어퍼 프레임(20)은 하부에 포스트 지지홈이 구비된 바아 형상으로 구성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어퍼 프레임(20)은 일단부측에서 볼 때 후술할 어퍼 레벨러(60)의 전후 끼움편(64) 사이에 끼워지는 한 쌍의 중간 지지편(22)과, 이러한 중간 지지편(22)의 전후 위치에 구비되어 어퍼 레벨러(60)의 끼움편(64)이 삽입되는 채널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외측 지지편(28)을 갖도록 구성되어 하부에 아래로 개구된 포스트 지지홈이 구비된 바아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어퍼 프레임(20)은 한 쌍의 중간 지지편(22)의 상단부에 수평부(24)가 구비되고, 중간 지지편(22)의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에는 중간 수평부(23)가 구비되고, 상기 중간 지지편(22)의 상단부 양측단에 이어진 수평부(24)의 끝단에는 대략 원호형의 회동 지지부(26)가 일체로 구비되며, 이러한 수평부(24) 끝단의 원호형 회동 지지부(26)에는 외측 지지편(28) 상단부의 단면 원형의 회동 결합부(27)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어퍼 프레임(20)이 두 개의 중간 지지편(22)과 두 개의 외측 지지편(28)에 의해 하부로 개구된 포스트 지지홈을 갖는 구조를 취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어퍼 프레임(20)은 상기 중간 지지편(22)과 중간 수평부(23) 및 수평부(24)가 일체화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어퍼 프레임(20)은 수평부(24)의 양끝단 회동 지지부(26)에 두 개의 외측 지지편(28) 상단부의 원형 회동 결합부(27)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외측 지지편(28)이 바깥 방향으로 회동 개방될 수 있는 회동 중심부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외측 지지편(28)을 회동 중심부를 바깥으로 회동시켜 들어줄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어퍼 프레임(20)의 외측 지지편(28)을 위로 열어줄 수 있는데, 이러한 외측 지지편(28)을 열어주면 어퍼 프레임(20) 내부에 최상단 칸막이 패널(30)을 결합하는 작업이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어퍼 프레임(20) 내부에 배선을 위한 다수의 전선을 수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전선을 어퍼 프레임(20)의 내부에 수납하여 배설할 때에도 외측 지지편(28)을 열어주면 작업이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어퍼 프레임(20)의 중간 지지편(22)은 하단부에 서로 마주하는 좁혀지는 결합 가이드면(64a)이 더 형성되어 있다. 이때, 어퍼 프레임(20)의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의 높이는 50mm 이상 60mm 범위이다. 적어도 50mm 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어퍼 프레임(20)도 길게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것보다는 베이스(10)의 길이와 동일한 적절한 길이로 나누어져 천정에 연속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래야 지면에 어퍼 프레임(20)도 천정에 설치하기가 보다 용이하다.
상기 베이스(10)와 어퍼 프레임(20)에 하단부와 상단부가 지지되는 포스트(50)가 직립 설치된다. 이러한 포스트(50)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단면 사각의 아웃터 포스트(52)와, 이러한 아웃터 포스트(52)의 중공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며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된 이너 포스트(54)를 갖는 구조이다.
상기 아웃터 포스트(52)는 네 면 중에서 전후면에는 칸막이 패널(30) 장착을 위한 패널 결합홀(56)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포스트(50)의 패널 결합홀(56)은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대경홀(64a)과, 이 대경홀(64a)에 연통되어 하측에 배치된 소경홀(64b)로 구성되어, 이러한 패널 결합홀(56)이 대략 땅콩홀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아웃터 포스트(52)는 전후면의 가운데에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슬릿(5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아웃터 포스트(52)의 좌우 양측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후술할 고정핀을 끼우기 위한 핀홀(52h)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아웃터 포스트(52)는 핀홀(52h)과는 별도로 좌우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슬릿(52s)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복수개의 슬릿(52s) 중에서 최상측의 슬릿(52s)은 아웃터 포스트(52)의 상단부에서 시작하여 아래로 소정 길이 연장된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다른 슬릿(52s)은 아웃터 포스트(52)의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이루고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아웃터 포스트(52)의 하단부에는 상측으로 오목한 결합홈(54g)을 기준으로 전후 위치에 결합 풋트(54f)가 구비되어 있으며, 아웃터 포스트(52)의 가운데 오목한 결합홈(54g)은 상기 베이스(10)를 구성하는 어퍼 베이스(110)의 상향 돌출부(116) 부분에 끼워지고, 전후 결합 풋트(54f)는 어퍼 베이스(110)의 상향 돌출부(116) 전후 위치의 오목 안착부에 끼워져서, 아웃터 포스트(52)의 하단부가 전후로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이너 포스트(54)는 좌우 방향으로 길이가 더 긴 대략 단면 직사각의 코어 관체(54a)와, 이러한 코어 관체(54a)의 둘레부에 일체화되어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스페이서(54b)를 갖는 단면 구조를 이루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단면 직사각의 코어 관체(54a)에 네 방향으로 네 개의 스페이서(54b)가 구비되어 복수개의 스페이서(54b)가 풍차식으로 배치된 구조를 이루고 있는데, 이러한 스페이서(54b)의 끝단이 아웃터 포스트(52)의 네 모서리부 안쪽면에 접촉되어 코어 관체(54a)의 외측면과 아웃터 포스트(52)의 내측면 사이에 공간부가 확보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또한, 이너 포스트(54)는 좌우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조절홀(54h)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이너 포스트(54)의 코어 관체(54a)의 좌우 양측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조절홀(54h)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각각의 조절홀(54h)은 이너 포스트(54)를 인출 작동시킴에 따라 아웃터 포스트(52)의 핀홀(52h)과 만나게 되며, 이러한 아웃터 포스트(52)의 핀홀(52h)과 이너 포스트(54)의 조절홀(54h)에 동시에 고정핀(5)을 끼움으로써, 아웃터 포스트(52)에 대해 이너 포스트(54)가 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7에서와 같이, 고정핀(5)은 선단부에 헤드가 구비되며 기단부에는 상하부와 끝단으로 연통된 핀회동홀이 형성된 제1핀부(5a)와, 이러한 제1핀부(5a)의 핀회동홀에 힌지부(5b)를 중심으로 상하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핀부(5c)를 갖는 구조로서, 이러한 고정핀(5)의 제2핀부(5c)를 아웃터 포스트(52)의 핀홀(52h)과 이너 포스트(54)의 조절홀(54h)에 동시에 끼우고 제1핀부(5a)를 아래로 눌러주면, 제2핀부(5c)가 힌지부(5b)를 중심으로 직립 방향으로 펼쳐지고, 이러한 직립 방향으로 펼쳐진 제2핀부(5c)가 이너 포스트(54) 내측면에 걸려지므로, 고정핀(5)이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기 이너 포스트(54)는 상단부의 어퍼 레벨러(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어퍼 레벨러(60)는 아웃터 포스트(52)의 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단면 사각 형상의 결합 바디부(62)와, 이러한 결합 바디부(62)의 상부 위치에 상단부와 좌우 양측으로 개구된 삽입홈을 기준으로 서로 나란한 끼움편(64)을 갖는 형상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어퍼 레벨러(60)의 둘레부 중에서 이너 포스트(54)의 조절홀(54h)과 마주하는 면에는 핀삽입홀이 구비된다. 그리고, 어퍼 레벨러(60)의 핀삽입홀과 이너 포스트(54)의 조절홀(54h)에는 스톱핑 고정구(65)가 결합되어 어퍼 레벨러(60)가 이너 포스트(54)에 대해 상대적인 높이를 조절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어퍼 레벨러(60)의 핀삽입홀의 내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스톱핑 고정구(65)의 외주면에도 나사부가 형성되어, 스톱핑 고정구(65)가 이너 포스트(54)의 조절홀(54h)에 끼워짐과 동시에 어퍼 레벨러(60)의 핀삽입홀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스톱핑 고정구(65)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스톱핑 고정구(65)의 헤드에는 랜치홈이 형성되어, 스톱핑 고정구(65)의 랜치홈에 육각 랜치를 끼워서 돌려주도록 함으로써 스톱핑 고정구(65)의 회전 조작을 보다 수월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퍼 레벨러(60)의 서로 나란한 한 쌍의 끼움편(64)은 서로 마주하는 단부에 하측으로 갈수록 거리가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결합 가이드면(64a)을 갖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어퍼 레벨러(60)의 전후면에는 아웃터 포스트(52)의 패널 결합홀(56)과 동일한 땅콩홀 형상의 패널 결합홀(56)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어퍼 레벨러(60)는 한 쌍의 끼움편(64)과 인접된 전후면에 패널 결합홀(5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이러한 어퍼 레벨러(60)의 패널 결합홀(56)은 아웃더 포스트(52)의 패널 결합홀(56)과 상하 동일 선상에 배치된다.
상기 어퍼 레벨러(60)의 서로 나란한 끼움편(64) 사이에 어퍼 프레임(20)의 한 쌍의 중간 지지편(22)이 끼워짐으로써, 포스트(50)의 상단부가 어퍼 프레임(20)에 전후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한편, 어퍼 레벨러(60)의 상측 일부는 어퍼 프레임(20)의 전후 외측 지지편(28) 내부로 수용된다. 다시 말해, 어퍼 레벨러(60)의 상측 일부가 어퍼 프레임(20)의 안쪽으로 들어가는 구조를 이루게 되며, 어퍼 레벨러(60)의 전후면과 어퍼 프레임(20)의 내측(구체적으로, 전후 외측 지지편(28)의 내측)과의 사이에 후술할 최상단의 칸막이 패널(30)의 상측 일부가 들어갈 공간이 확보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사무실 등의 실내 공간을 각 룸(room)을 구획하기 위해 칸막이 시스템을 설치할 때에 칸막이 시스템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이용되는데, 칸막이 시스템을 설치하고, 본 발명의 높이조절 기구를 이용하여 높낮이를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칸막이 시스템 설치 장소의 지면에 먹매김이나 이에 상응하는 표식을 한 후에 나사못이나 앵커와 같은 고정구를 사용하여 베이스(10)의 로워 베이스(100)(경량 강제 밑막이)를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이때, 로워 베이스(100)는 적절한 길이로 분할되도록 제작되므로, 필요한 길이에 맞추어 손쉽게 지면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지면에 설치된 로워 베이스(100)의 내부에 레벨러(40)를 어퍼 베이스(110)에 형성된 장공(116a)(수평조절기 홀)을 참조하여 대략 500mm 간격으로 설치한다. 이때, 레벨러(40)는 상면에 볼트공(42a)이 형성된 레벨링 블록(42)과, 이 레벨링 블록(42)의 볼트공(42a)에 나사식으로 결합된 승강 볼트(44)와, 이 승강 볼트(44)에 구비되어 어퍼 베이스(110)의 내부 상면에 접촉되는 레벨링 와셔(46)로 구성되는데, 어퍼 베이스(110)의 장공(116a)(드라이버를 삽입하기 위한 홀)과 만나도록 로워 베이스(100)에 설치된다. 이때, 레벨러(40)의 레벨링 블록(42)은 볼트나 나사못 등의 적절한 고정구에 의해 로워 베이스(10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와 마주하도록 천정에 어퍼 프레임(20)을 설치한다. 어퍼 프레임(20)을 앵커볼트나 나사못 등의 체결구를 이용하여 천정 슬라브 또는 천정 마감판에 고정 설치한다. 이때, 어퍼 프레임(20)도 적절한 길이로 분할되도록 제작되므로, 필요한 길이에 맞추어 손쉽게 천정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시공도에 맞추어 포스트(50)(경량 강재 파이프)를 어퍼 프레임(20)(경량 강재 윗막이)과 베이스(10)(경량 강재 밑막이) 사이에 끼워넣는다.
구체적으로, 포스트(50)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단면 사각의 아웃터 포스트(50)와, 이러한 아웃터 포스트(50)의 중공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며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된 이너 포스트(50)를 가지며, 이너 포스트(50)의 상단부에는 어퍼 레벨러(60)가 구비된 구조이므로, 아웃터 포스트(50)의 하부측을 베이스(10) 내부에 삽입하되 아웃터 포스트(50) 하단부의 오목한 결합홈은 상기 베이스(10)를 구성하는 어퍼 베이스(110)의 상향 돌출부(116) 부분에 끼우고, 오목한 결합홈(54g) 전후 위치에 귑된 전후방 결합 풋트(54f)는 어퍼 베이스(110)의 상향 돌출부(116) 전후 위치에 형성된 오목 안착부에 끼움으로써, 아웃터 포스트(50)의 하단부가 전후로 유동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베이스(10)에 결합한다.
한편, 상기 이너 포스트(50) 상단부의 어퍼 레벨러(60)는 가운데의 결합홈을 기준으로 서로 나란한 전후 끼움편(64)을 갖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어퍼 프레임(20)의 한 쌍의 나란한 중간 지지편(22)을 어퍼 레벨러(60)의 전후 끼움편(64) 사이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어퍼 레벨러(60)의 상부측 일부는 어퍼 프레임(20)의 한 쌍의 외측 지지편(28) 내부로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어퍼 레벨러(60)가 어퍼 프레임(20)에 수용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복수개의 포스트(50) 상하단부를 어퍼 프레임(20)과 베이스(10)에 지지하여 서로 나란하게 직립 설치한 다음에는 레벨러(40)를 작동시켜 수평을 맞춘다. 즉, 레벨러(40)가 베이스(10)의 로워 베이스(100)와 어퍼 베이스(110) 사이에 개재되어 배치됨과 동시에 어퍼 베이스(110) 상면의 장공(116a)에는 승강 볼트(44)가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어서, 어퍼 베이스(110)의 장공(116a)을 통하여 드라이버를 삽입하고, 승강 볼트(44)의 헤드(44b)에 형성된 드라이버 삽입홈(44c)에 드라이버를 맞추어 돌려주면, 승강 볼트(44)와 어퍼 베이스(110)가 승강되고, 어퍼 베이스(110)가 승강됨에 따라 포스트(50)가 승강되면서 수평 레벨을 균일하게 맞출 수 있게 된다.
또한, 포스트(50)는 아웃터 포스트(50)에 이너 포스트(5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구성을 취하고 있고, 이너 포스트(50)에는 일정 간격(대략 50mm 간격)으로 높이 조절홀(54h)이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아웃터 포스트(50)에는 높이 고정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너 포스트(50)를 설치 장소의 천정 높이에 맞추어 높이를 조절하고, 이너 포스트(50)의 높이 조절홀(54h)과 아웃터 포스트(50)의 높이 고정홀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고정핀을 끼우면 포스트(50)의 상부측 높낮이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이너 포스트(50)의 상단부에는 어퍼 레벨러(60)가 더 구비되어 있어서, 칸막이 패널(30)의 높낮이에 맞추어 어퍼 레벨러(60)를 이너 포스트(50)에 대해 상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보통, 칸막이 패널(30)은 50mm씩 사이즈가 커지므로, 이너 포스트(50)의 높이 조절홀(54h)도 대응하여 50mm씩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어퍼 레벨러(60)를 이너 포스트(50)에 대해 50mm씩 높낮이를 맞추고, 어퍼 레벨러(60)에 형성된 통공과 이너 포스트(50)의 높이 조절홀(54h)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고정핀을 결합하면 어퍼 레벨러(60)의 높낮이도 이너 포스트(50)에 대해 맞출 수 있으므로, 칸막이 패널(30)의 사이즈에 대응하여 높낮이를 손쉽게 맞출 수 있게 된다. 이때, 어퍼 레벨러(60)와 칸막이 패널(30)이 50mm씩 높거나 낮아지는데, 천정에 설치된 어퍼 프레임(20)의 높이는 60mm 정도이므로, 칸막이 패널(30)과 어퍼 레벨러(60)가 50mm식 높아지거나 낮아지더라도 칸막이 패널(30)의 상부측 일부는 필수적으로 어퍼 프레임(20)에 내장되어 은폐되므로, 미관상으로 깔끔하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여 복수개의 포스트(50)를 나란하게 설치하고 본 발명의 높이조절 기구를 이용하여 각 포스트(50)의 높낮이를 칸막이 시스템 설치 장소의 층고 높이에 맞추어 적절하게 조절한 다음에는 상기 포스트(50)에 복수개의 사각판 형상의 금속 칸막이 패널(30)을 지지하여 장착하면 된다.
한편, 상기 로워 베이스(100)는 바닥부(102)의 전후단에 측벽(104)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로워 베이스(100)는 바닥부(102)의 전후단에는 원호형 회동 지지부가 구비되고, 전후단의 측벽(104) 하단부에는 단면 원형의 회동 결합부)가 구비되어, 이러한 측벽(104) 하단부의 회동 결합부가 바닥부(102)의 회동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로워 베이스(100)의 두 개의 전후단 측벽(104)이 바깥 방향으로 회동시켜 열어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로워 베이스(100)의 측벽(104)을 열어서 로워 베이스(100) 내부에 인터넷선이나 전화선 등의 각종 전선을 수납하여 작업하기가 매우 수월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베이스 20. 어퍼 프레임
30. 칸막이 패널 40. 레벨러
50. 포스트 60. 어퍼 레벨러

Claims (6)

  1. 칸막이 시스템이 설치되는 장소의 지면과 천정에 각각 상하단이 지지되어 직립 배치된 복수개의 포스트(50)에 복수개의 칸막이 패널(30)이 결합되어 건물의 각 룸을 구성하도록 칸막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50)의 상단부를 지지하도록 천정에 설치되며 하단으로 포스트 지지홈이 형성된 어퍼 프레임(20)과, 상기 어퍼 프레임(20)의 하단부와 마주하는 단부에는 상측과 좌우 양측으로 개구된 결합홈을 기준으로 서로 나란한 끼움편(64)을 가지며 둘레부에는 상기 포스트(50)에 형성된 조절홀(54h)과 만나는 핀삽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포스트(50)의 상단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어퍼 레벨러(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 시스템 높이 조절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50)는 아웃터 포스트(50)의 내부에 이너 포스트(5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아웃터 포스트(50)와 상기 이너 포스트(50) 중에서 어느 하나의 포스트(50)에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조절홀(54h)이 구비되고 다른 하나의 포스트(50)에는 상기 조절홀(54h)과 만나는 고정 지지홀(52h)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 지지홀(52h)과 상기 조절홀(54h)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고정핀에 의해 상기 아웃터 포스트(50)에서 상기 이너 포스트(50)가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 시스템 높이 조절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50)를 구성하는 상기 이너 포스트(50)의 상단부에 어퍼 레벨러(60)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어퍼 레벨러(60)의 둘레부 중에서 상기 이너 포스트(50)의 상기 조절홀(54h)과 마주하는 면에는 핀삽입홀이 구비되고, 상기 어퍼 레벨러(60)의 상부 위치에는 천정에 지지되는 어퍼 프레임(20)에 구비되며, 상기 어퍼 프레임(20)은 상기 어퍼 레벨러(60)의 상기 전후 끼움편(64) 사이에 끼워지는 한 쌍의 중간 지지편(22)과, 상기 중간 지지편(22)의 전후 위치에 회동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어퍼 레벨러(60)의 상기 끼움편(64)이 삽입되는 채널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외측 지지편(28)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 시스템 높이 조절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50)에 상하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와 패널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어퍼 레벨러(60)의 둘레부에 고정구 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포스트(50)의 상기 패널 결합홀(56)에 칸막이 패널(30) 내측면의 결합부재를 끼워서 설치하고, 상기 포스트(50)의 패널 결합홀(56)과 상기 어퍼 레벨러(60)의 상기 고정구 결합홀에 각각 최상판 칸막이 패널(30) 내측면 상하부의 결합부재를 각각 끼워서 설치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 시스템 높이 조절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는 상부에 포스트 안착부가 형성된 단면 채널 형상의 로워 베이스(100)와, 하부에 포스트 지지홈이 형성된 바아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로워 베이스(100)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어퍼 베이스(110)로 구성되며, 상기 로워 베이스(100)와 상기 어퍼 베이스(110) 사이에는 레벨러(40)가 개재되고, 상기 레벨러(40)는 상기 로워 베이스(100)의 바닥면에 하단부가 지지되어 설치되며 상면에는 볼트공(42a)이 형성된 레벨링 블록(42)과, 상기 레벨링 블록(42)의 상기 볼트공(42a)에 나사식으로 결합된 승강 볼트(44)와, 상기 승강 볼트(44)에 구비되어 상기 어퍼 베이스(110)의 내부 상면에 접촉되는 레벨링 와셔(4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 시스템 높이 조절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베이스(110)는 상기 레벨링 블록(42)의 상단부에 마주하는 위치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116a)이 형성되고, 상기 레벨링 블록(42)의 상단부에는 드라이버 결합홈(44c)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 시스템 높이 조절구조.
KR1020100027129A 2010-03-26 2010-03-26 칸막이 시스템 높이 조절구조 KR101194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129A KR101194263B1 (ko) 2010-03-26 2010-03-26 칸막이 시스템 높이 조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129A KR101194263B1 (ko) 2010-03-26 2010-03-26 칸막이 시스템 높이 조절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7936A true KR20110107936A (ko) 2011-10-05
KR101194263B1 KR101194263B1 (ko) 2012-10-29

Family

ID=45025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7129A KR101194263B1 (ko) 2010-03-26 2010-03-26 칸막이 시스템 높이 조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426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02177A (zh) * 2020-05-06 2020-08-07 浙江亚厦装饰股份有限公司 调平基板总成的安装方法
KR20210143992A (ko) * 2020-05-21 2021-11-30 (주)혜덕 내진 구조의 베이스 모듈을 갖는 패널 지지 조립체
CN114658146A (zh) * 2022-04-28 2022-06-24 海太欧林集团有限公司 一种高度可调的高隔间
CN115162575A (zh) * 2022-05-28 2022-10-11 徐仁贵 一种建筑室内装饰装修用可调式结构隔断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427B1 (ko) 2006-02-02 2007-03-3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높이조절형 가동경량 칸막이 벽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02177A (zh) * 2020-05-06 2020-08-07 浙江亚厦装饰股份有限公司 调平基板总成的安装方法
KR20210143992A (ko) * 2020-05-21 2021-11-30 (주)혜덕 내진 구조의 베이스 모듈을 갖는 패널 지지 조립체
CN114658146A (zh) * 2022-04-28 2022-06-24 海太欧林集团有限公司 一种高度可调的高隔间
CN115162575A (zh) * 2022-05-28 2022-10-11 徐仁贵 一种建筑室内装饰装修用可调式结构隔断
CN115162575B (zh) * 2022-05-28 2024-01-05 南通市达欣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建筑室内装饰装修用可调式结构隔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4263B1 (ko) 2012-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1152B2 (en) Sliding door arrangement
KR101194263B1 (ko) 칸막이 시스템 높이 조절구조
MX2015002232A (es) Sistema de pared modular.
KR101136098B1 (ko) 이중마루용 알루미늄 지지장치
KR20130045711A (ko) 실내장식용 커튼월 시공장치
KR102210403B1 (ko) 높이조절부를 구비한 벽체 시스템
KR100990691B1 (ko) 칸막이 시스템
JP5685710B2 (ja) 手摺
KR101452967B1 (ko) 내입형 수평조절구를 갖는 칸막이 시공용 베이스
US6607341B1 (en) Cabinet install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KR101171822B1 (ko) 드롭어셈블리
KR101614728B1 (ko) 패널용 브라켓
KR100917395B1 (ko) 송배전 케이블 설치를 위한 양방향 접이식과 높이 조정이 가능한 전력구 내부 선반장치
KR20090065068A (ko)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벽체
KR200231715Y1 (ko) 건물의 천장판 시공장치
JP2018165459A (ja) 床の施工方法及び建物
JP2020002570A (ja) 建物及び床の施工方法
US20110215064A1 (en) Track assembly for mobile shelving
KR200382122Y1 (ko) 레벨조절가동부재가 구비된 난방배관용 판넬 조립체
KR200415831Y1 (ko) 칸막이용 경량 패널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0740856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
CN210536212U (zh) 一种电缆桥架用托臂及具有该托臂的电缆桥架
KR101171823B1 (ko) 슬라브패널 조립체
KR200493277Y1 (ko) 분합 창호 받침대
KR101197491B1 (ko) 필러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