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7906A - 가상 현실 체감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 Google Patents

가상 현실 체감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7906A
KR20110107906A KR1020100027069A KR20100027069A KR20110107906A KR 20110107906 A KR20110107906 A KR 20110107906A KR 1020100027069 A KR1020100027069 A KR 1020100027069A KR 20100027069 A KR20100027069 A KR 20100027069A KR 20110107906 A KR20110107906 A KR 20110107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virtual reality
frame
coil winding
upp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7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식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덕암중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덕암중공업 filed Critical 유한회사 덕암중공업
Priority to KR1020100027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7906A/ko
Publication of KR20110107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79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2Rocking chairs
    • A47C3/025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 A47C3/0257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slidingly movable in the base frame, e.g. by 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2Rocking chairs
    • A47C3/025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 A47C3/0252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connected only by an elastic member positioned between seat and base 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3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02Amusement arrangements with moving substructures
    • A63G31/04Amusement arrangements with moving substructures with jolting substructures

Landscapes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체감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는, 좌판부(10a)와 상기 좌판부(10a)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요판부(10b)로 구성되며 롤러(30)를 수용하는 가이드레일(15)이 형성된 상부프레임(10)과; 제2 수평판(20a)과 상기 제2 수평판(20a)의 후단으로부터 상향으로 형성된 제2 수직판(10b)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프레임(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프레임(10)을 롤러(30)로 지지하는 하부프레임(20)과; 하부프레임(20)의 상부중에서 상기 가이드레일(15)에 상응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프레임(10)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롤러(30)와; 상단이 상기 하부프레임(20)의 하부에 고정되고 하부에 결합구(45)가 구비되며 중간에 볼록한 작동볼(41)이 형성된 작동바(40)와; 상기 결합구(45)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는 링크(L)에 고정되어 코일권선부(60)에 내삽되는 마그네트(50)와; 상기 마그네트(50)를 감싸는 코일이 권선된 코일권선부(60)와; 고정프레임(미도시)에 고정되어 작동볼(41)을 파지하는 파지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상 현실 체감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 A CHAIR FOR VIRTUAL REALITY SENTIMENT APPARATUS }
본 발명은 코일의 전류의 크기를 제어하여 자석의 운동을 컨트롤함으로써 영화관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상 현실 체감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장치는 모니터와 스피커를 장착한 에치엠디(HMD; Head mount display)에 의해 화상 및 음성을 발생시키고 의자를 진동시킴으로써, 즉 컴퓨터에 의해 제어되는 에치엠디 및 의자와 같은 체감장치에 의해 가상 환경에 따른 동적 변화를 재현함으로써 이용자가 가상의 현실을 마치 현실 처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게임장용 등으로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가상현실 장치에서 이용자가 가상적인 환경을 보다 실감있게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용자의 의자를 다채롭게 진동시켜 동적 변화를 생동적으로 재현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종래의 가상 체험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의 경우 상하, 전후의 운동을 실현함에 있어 장치의 구성이 복잡하고 구현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1차적으로 하부프레임의 상하방향 움직임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가지며 또한 2차적으로 상부프레임이 하부프레임을 기초로 전후방으로 운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상하, 전후 방향의 이동/진동 구현이 용이한 가상 현실 체험시스템이 구비된 의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현실 체감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는, 좌판부(10a)와 상기 좌판부(10a)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요판부(10b)로 구성되며 롤러(30)를 수용하는 가이드레일(15)이 형성된 상부프레임(10)과;
제2 수평판(20a)과 상기 제2 수평판(20a)의 후단으로부터 상향으로 형성된 제2 수직판(10b)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프레임(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프레임(10)을 롤러(30)로 지지하는 하부프레임(20)과;
하부프레임(20)의 상부중에서 상기 가이드레일(15)에 상응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프레임(10)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롤러(30)와;
상단이 상기 하부프레임(20)의 하부에 고정되고 하부에 결합구(45)가 구비되며 중간에 볼록한 작동볼(41)이 형성된 작동바(40)와;
상기 결합구(45)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는 링크(L)에 고정되어 코일권선부(60)에 내삽되는 마그네트(50)와;
상기 마그네트(50)를 감싸는 코일이 권선된 코일권선부(60)와;
고정프레임(미도시)에 고정되어 작동볼(41)을 파지하는 파지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 해결되고, 1차적으로 하부프레임의 상하방향 움직임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가지며 또한 2차적으로 상부프레임이 하부프레임을 기초로 전후방으로 운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상하, 전후 방향의 이동/진동 구현이 용이한 가상 현실 체험시스템이 구비된 의자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체감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체감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의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 구조를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체감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체감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측면도(좌판이 당겨진 상태).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체감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에 있어서 마그네트와 코일권선부 단면도.
이하에서 가상 현실 체감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체감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체감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의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 구조를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체감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체감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측면도(좌판이 당겨진 상태)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체감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에 있어서 마그네트와 코일권선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체감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는 상부프레임(10)과 하부프레임(20)과 복수개의 롤러(30)와 작동바(40)와 마그네트(50)와 파지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10)은 좌판부(10a)와 좌판부(10a)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요판부(10b)로 구성되며 롤러(30)를 수용하는 가이드레일(15)이 형성된다. 가이드 레일(15)은 좌판부(10a)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5a)과 요판부(10b)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15b)로 구성된다.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20)은 제2 수평판(20a)과 상기 제2 수평판(20a)의 후단으로부터 상향으로 형성된 제2 수직판(10b)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프레임(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프레임(10)을 롤러(30)로 지지한다. 하부프레임(20)에 있어서 제2 수평판(20a)과 제2 수직판(10b)은 상대운동하지 않고 서로 고정된다.
복수개의 롤러(30)는 하부프레임(20)의 상부중에서 상기 가이드레일(15)에 상응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프레임(10)을 지지한다. 작동바(40)는 상단이 상기 하부프레임(20)의 하부에 고정되고 하부에 결합구(45)가 구비되며 중간에 볼록한 작동볼(41)이 형성된다.
마그네트(50)는 결합구(45)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는 링크(L)에 고정되어 코일권선부(60)에 내삽된다. 코일권선부(60)는 마그네트(50)를 감싸는 코일이 권선된다. 파지부(70)는 고정프레임(미도시)에 고정되어 작동볼(41)을 파지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체감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는 하부프레임(20)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프레임(10)의 좌판부(10a)를 전후진시키는 전후진수단(100)을 더 구비한다.
여기서, 전후진수단(100)은 상기 하부프레임(20)의 후방에 제2 핀(P2)으로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는 중공의 제2 코일권선부(130)와, 상부프레임(10)의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제1 핀(P1)으로 체결되는 제2링크(110)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코일권선부(130)로 내삽되는 제2 마그네트(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체감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에 있어서, 롤러(30)는 상기 제2 수평판(20a)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좌판부(10a)의 전방을 지지하는 2개의 좌판용 롤러(30a)와, 제2 수직판(10b)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요판부(10b)의 후방으로 지지하는 2개의 요판용 롤러(30b)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체감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수평판(20a)의 전방 하부에 전방측 승강수단(200)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측 승강수단(200)은 제2 수평판(20a)의 전방 하부를 제3 핀(P3)으로 지지하는 제3 링크(210)와, 상기 제3 링크(210)의 하부에 형성된 제3 마그네트(220)와, 제3 마그네트(220)가 내삽되는 제3 코일권선부(23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체감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에 있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트(50)와 코일권선부(60)의 지지면(60a) 사이에 탄성부재(S)가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진수단(100)에 있어서 제2 마그네트(120)의 하부와 제2 코일권선부(130)의 저면 사이에 제2 탄성체(S2)가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체감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의 작용애 대하여 설명한다. 전후진수단(100)은 하부프레임(20)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부프레임(10)을 전후방의 변위 또는 진동을 발생시킨다. 또한 전후진수단(100)의 길이가 짧아지면 요판부(10b)의 경사도는 커지고 반대로 전후진수단(100)의 길이가 길어지면 요판부(10b)는 뒤로 누워지게 량이 많아진다.
하부프레임(20)의 전, 후 방향 변위 또는 진동은 마그네트(50)가 코일권선부(60)를 왕복함으로써 발생하고 일실시예와 같이 각각 마그네트(50)와 코일권선부(60)가 3쌍으로 구성된 경우 제어부(미도시)가 각각의 코일권선부(60)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적합한 하부프레임(20)의 동작을 이끌어낸다. 코일권선부(60)에 전류를 가하여 마그네트(50) 사이의 운동을 전기전자적 원리에 의해 제어하는 공지의 기술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으로 본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됐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것으로 본 발명과 균등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부호는 단순히 발명의 이해를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 권리범위의 해석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함을 밝히며 기재된 도면부호에 의해 권리범위가 좁게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 상부프레임 10a : 좌판부
10b : 요판부 15 : 가이드레일
20 : 하부프레임 20a : 제2 수평판
20b : 제2 수직판 30 : 롤러
30a : 좌판용 롤러 30b : 요판용 롤러
40 : 작동바 41 : 작동볼
45 : 결합구 50 : 마그네트
60 : 코일권선부 60a : 코일권선부 지지면
70 : 파지부
100 : 전후진수단 120 : 제2 마그네트
130 : 제2 코일권선부
200 : 전방측 승강수단 210 : 제3 링크
220 : 제3 마그네트 230 : 제3 코일권선부
P1 : 제1 핀 P2 : 제2 핀
P3 : 제3 핀 S : 탄성부재

Claims (5)

  1. 좌판부(10a)와 상기 좌판부(10a)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요판부(10b)로 구성되며 롤러(30)를 수용하는 가이드레일(15)이 형성된 상부프레임(10)과;
    제2 수평판(20a)과 상기 제2 수평판(20a)의 후단으로부터 상향으로 형성된 제2 수직판(10b)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프레임(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프레임(10)을 롤러(30)로 지지하는 하부프레임(20)과;
    하부프레임(20)의 상부중에서 상기 가이드레일(15)에 상응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프레임(10)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롤러(30)와;
    상단이 상기 하부프레임(20)의 하부에 고정되고 하부에 결합구(45)가 구비되며 중간에 볼록한 작동볼(41)이 형성된 작동바(40)와;
    상기 결합구(45)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는 링크(L)에 고정되어 코일권선부(60)에 내삽되는 마그네트(50)와;
    상기 마그네트(50)를 감싸는 코일이 권선된 코일권선부(60)와;
    고정프레임(미도시)에 고정되어 작동볼(41)을 파지하는 파지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체감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20)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프레임(10)의 좌판부(10a)를 전후진시키는 전후진수단(100)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전후진수단(100)은 상기 하부프레임(20)의 후방에 제2 핀(P2)으로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는 중공의 제2 코일권선부(130)와,
    상기 상부프레임(10)의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제1 핀(P1)으로 체결되는 제2링크(110)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코일권선부(130)로 내삽되는 제2 마그네트(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체감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30)는 상기 제2 수평판(20a)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좌판부(10a)의 전방을 지지하는 2개의 좌판용 롤러(30a)와,
    상기 제2 수직판(10b)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요판부(10b)의 후방으로 지지하는 2개의 요판용 롤러(30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체감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평판(20a)의 전방 하부에 전방측 승강수단(20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전방측 승강수단(200)은 제2 수평판(20a)의 전방 하부를 제3 핀(P3)으로 지지하는 제3 링크(210)와, 상기 제3 링크(210)의 하부에 형성된 제3 마그네트(220)와,
    상기 제3 마그네트(220)가 내삽되는 제3 코일권선부(2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체감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50)와 코일권선부(60)의 지지면(60a) 사이에 탄성부재(S)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체감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KR1020100027069A 2010-03-26 2010-03-26 가상 현실 체감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KR201101079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069A KR20110107906A (ko) 2010-03-26 2010-03-26 가상 현실 체감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069A KR20110107906A (ko) 2010-03-26 2010-03-26 가상 현실 체감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7906A true KR20110107906A (ko) 2011-10-05

Family

ID=45025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7069A KR20110107906A (ko) 2010-03-26 2010-03-26 가상 현실 체감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790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27601A (zh) * 2019-11-13 2020-02-21 上海海秦花文化传播有限公司 一种基于人体动力学的vr虚拟培训设备
CN112791384A (zh) * 2021-01-12 2021-05-14 北京易世纪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式vr体感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27601A (zh) * 2019-11-13 2020-02-21 上海海秦花文化传播有限公司 一种基于人体动力学的vr虚拟培训设备
CN112791384A (zh) * 2021-01-12 2021-05-14 北京易世纪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式vr体感装置
CN112791384B (zh) * 2021-01-12 2024-01-30 北京易世纪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式vr体感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56779B2 (en) Exercise device with gliding footlink pivot guide
KR101093799B1 (ko) 가상 현실에 대응 동작하는 자전거 운동기구
US20100167883A1 (en) Exercise device with adaptive curved track motion
JP2007520320A5 (ko)
CN101322672A (zh) 可倾式双电机的人体振动产生装置
JPH11290555A (ja) 揺動装置及び体感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JP6403384B2 (ja) 支持フレーム及びこれを備えたディスプレイ装置
KR102426565B1 (ko) 무선 스피커 의자
KR101429104B1 (ko) 가상현실 체감용 의자의 지지구조
KR20110107906A (ko) 가상 현실 체감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JP2014226441A (ja) 訓練装置
CN205457365U (zh) 一种文化体验场馆的动感观影座椅
KR101404114B1 (ko) 음향진동 체감의자의 마운팅장치
KR20180044006A (ko) 입체진동체감형 의자, 의자 번들,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KR20140090052A (ko) 지지프레임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텔레비전
CN104106947B (zh) 一种应用于摇椅的震动器
KR101677953B1 (ko) 특수효과 체감형 모션발판이 구비된 모션체어
CN205965048U (zh) 一种站立式飞行影院
CN110196641B (zh) 一种带3d扫描装置的可连续工作的虚拟现实显示系统
KR20120001348U (ko) 가상현실 체감용 시뮬레이터
KR101487711B1 (ko) 4d 액션 시스템
JP2002169459A (ja) 免震構造体験装置
CN211534787U (zh) 主操作台及其脚踏机构、连接机构
KR102328405B1 (ko) 날으는 체감이 증대된 4d vr시뮬레이터
KR102352425B1 (ko)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