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7580A - 복수 용기에 연결된 복수 포장기를 가진 추출기 - Google Patents

복수 용기에 연결된 복수 포장기를 가진 추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7580A
KR20110107580A KR1020100026788A KR20100026788A KR20110107580A KR 20110107580 A KR20110107580 A KR 20110107580A KR 1020100026788 A KR1020100026788 A KR 1020100026788A KR 20100026788 A KR20100026788 A KR 20100026788A KR 20110107580 A KR20110107580 A KR 20110107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extractor
extraction
extract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6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한래
Original Assignee
노한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한래 filed Critical 노한래
Priority to KR1020100026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7580A/ko
Publication of KR20110107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75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210/00Specific aspects of the packaging machine
    • B65B2210/02Plurality of alternative input or output lines or plurality of alternative packaging units on the same packaging line for improving machine flexi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210/00Specific aspects of the packaging machine
    • B65B2210/04Customised on demand packaging by determining a specific characteristic, e.g. shape or height, of articles or material to be packaged and selecting, creating or adapting a packaging accordingly, e.g. making a carton starting from web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220/00Specific aspects of the packaging operation
    • B65B2220/14Adding more than one type of material or article to the same pack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 Of Fluid Materials To The Packaging Lo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용기에 연결된 복수 포장기를 가진 추출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다수 개의 용기로부터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액상 혼합물이 수용되는 파우치를 서로 다른 형태로 제조할 수 있는 다수 개의 포장기를 가진 추출기에 관한 것이다. 추출기는 복수 개의 추출 용기; 복수 개의 추출 용기 각각에 연결되어 일정량의 추출물을 외부로 공급하는 공급 도관; 복수 개의 추출 용기를 서로 연결하는 이송 도관; 및 각각의 공급 도관으로부터 공급된 추출물을 공급받아 파우치를 제조하는 적어도 2개의 포장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수 용기에 연결된 복수 포장기를 가진 추출기{Extractor with Multiple Automatic Packing Machine Connected to Multiple Containers}
본 발명은 복수 용기에 연결된 복수 포장기를 가진 추출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다수 개의 용기로부터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액상 혼합물이 수용되는 파우치를 서로 다른 형태로 제조할 수 있는 다수 개의 포장기를 가진 추출기에 관한 것이다.
추출기는 약재 또는 과일을 가열하여 유용한 성분을 추출하는 장치를 말하고 파우치는 추출된 성분을 수용하기 위한 포장 용기를 말하고 그리고 성분이 수용된 파우치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장치를 포장기라고 한다. 추출 용기에서 추출된 성분이 연속적으로 포장기로 공급되면 포장기에서 일정량의 내용물이 수용된 파우치가 연속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추출기는 하나의 추출 용기와 그에 결합된 하나의 포장기로 이루어질 수 있고 포장기는 다수 쌍의 롤러를 사용하여 파우치를 제조하는 롤 포장기와 내용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세워진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파우치를 제조하는 스탠딩 포장기로 나누어질 수 있다. 추출용기와 포장기가 하나만이 결합된 경우 서로 다른 종류의 원료로부터 유효 성분을 추출하는 경우 추출용기가 세척이 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추출용기와 포장기를 연결하는 공급관이 세척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다른 문제로 포장기가 하나인 경우 다른 형태의 파우치로 제조되어야 할 경우 다른 추출기가 사용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아울러 하나의 추출용기에 하나의 포장기가 연결된 추출기의 경우 포장기가 고장이 나면 수리가 될 때까지 파우치의 생산이 중단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 개의 추출용기와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종류의 포장기가 결합된 복수 용기에 연결된 포장기를 가진 추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추출기는 복수 개의 추출 용기; 복수 개의 추출 용기 각각에 연결되어 일정량의 추출물을 외부로 공급하는 공급 도관; 복수 개의 추출 용기를 서로 연결하는 이송 도관; 및 각각의 공급 도관으로부터 공급된 추출물을 공급받아 파우치를 제조하는 적어도 2개의 포장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복수 개의 추출 용기는 2개 내지 5개가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2개의 포장기는 서로 다른 종류의 포장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공급도관에 설치되는 압력조절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송도관에 연결된 이송조절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기는 서로 다른 종류의 원료로부터 유효 성분을 추출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의 파우치를 제조할 수 있어 내용물의 용도에 맞는 형태의 포장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기는 다른 종류의 약액 추출 및 포장을 위하여 별도의 추출 및 포장기가 설치될 필요가 없도록 하여 공간 효율성이 향상되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추출기는 어느 하나의 포장기가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다른 포장기를 이용할 수 있어 포장기의 고장 여부에 관계없이 파우치가 제조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 용기에 연결된 복수 포장기를 가진 추출기에 대한 실시 예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1b 내지 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기의 다른 실시 예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공급도관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추출기(10)는 복수 개의 추출 용기(11a, 11b), 각각의 추출 용기(11a, 11b)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12a, 12b), 각각의 추출 용기(11a, 11b)로부터 공급되는 내용물을 수용하여 파우치를 제조하는 복수 개의 포장기(13a, 13b), 각각의 추출 용기(11a, 11b)와 각각의 포장기(13a,13b)를 서로 연결시키는 공급 도관(14a,14b), 복수 개의 추출 용기(11a, 11b)에 수용된 내용물의 이송을 위한 이송 도관(15)을 포함한다. 추출 용기(11a, 11b)는 거치대(B)의 위쪽에 설치될 수 있고 포장기(13a, 13b)는 거치대(B)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각각의 포장기(13a, 13b)는 컨트롤러(C1, C2)에 의하여 작동이 제어되고 포장기(13a, 13b)로부터 제조된 파우치는 배출구(L1, L2)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추출 용기(11a, 11b) 또는 포장기(13a, 13b)는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형태가 될 수 있고 그리고 포장기(13a, 13b)의 작동은 포장기(13a, 13b)의 형태에 따라 적절하게 제어 장치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추출 용기(11a, 11b)는 스테인리스와 같은 소재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유리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추출 용기(11a, 11b)의 내부에 설치되는 히터(12a, 12b)는 추출 과정에서 약재 또는 과일의 가열을 위한 것으로 다양한 형태의 발열 장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2a, 12b)는 니크롬선과 같은 선형 저항 발열체, 금속 또는 탄소 분말을 이용하는 면상 발열체, 할로겐램프와 같은 전자파를 이용하는 적외선 또는 근적외선 발열체, 금속의 와전류를 이용하는 유도가열 또는 나노카본히터와 같이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형태가 될 수 있다.
포장기(13a, 13b)는 폴리에틸렌 필름과 같은 합성수지 필름을 공급하는 롤, 롤로부터 공급된 합성수지 필름의 양쪽 측면을 접착하는 양면 접착 롤러, 상하 부분을 접착하는 상하 접착 롤러 및 상하 접착 면을 절단하는 절단 롤러로 이루어진 롤 포장기가 되거나 또는 내용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는 스탠딩 파우치(standing pouch)를 제조할 수 있는 스탠딩 포장기가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이 분야에서 공지되거나 또는 향후 개발되는 임의의 형태의 포장기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용기(11a, 11b) 각각에 각각 하나의 포장기(13a, 13b)가 연결되고 포장기(13a, 13b)는 동일하거나 또는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포장기(13a, 13b)가 모두 롤 포장기가 되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용기(11a)에 연결된 포장기(13a)가 롤 포장기라면 다른 하나의 용기(11b)에 연결된 포장기(13b)는 스탠딩 포장기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추출기(10)는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종류의 포장기를 포함하고 이로 인하여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형태의 파우치가 제조될 수 있도록 한다.
복수 용기(11a, 11b)로부터 추출된 성분은 공급 도관(14a, 14b)을 통하여 포장기(13a, 13b)로 전달되어 파우치에 수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공급 도관(14a, 14b)에 개폐 밸브가 설치되거나 또는 공급 도관(14a, 14b)에 감지 센서가 부착될 수 있다. 개폐 밸브는 수동 방식 또는 자동 방식과 같이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형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감지 센서는 파우치의 용량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공급 도관(14a, 14b)의 끝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이송 도관(15)은 복수 용기(11a, 11b)를 서로 연결하여 어느 하나의 용기(11a 또는 11b)의 내용물이 다른 하나의 용기(11b 또는 11a)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송 도관(15)은 복수 용기(11a, 11b)를 직접적으로 서로 연결하는 형태가 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공급 도관(14a, 14b)을 서로 연결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복수 용기(11a, 11b)를 서로 연결하는 형태는 각각의 용기(11a, 11b) 아래쪽 부분에 관통 홀을 형성하여 이송 도관(15)을 설치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공급 도관(14a, 14b)을 서로 연결시키는 방법은 공급 도관(14a, 14b)에 각각 T자관과 같은 연결구를 설치하고 이송 도관(15)으로 연결구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 어느 하나의 공급 도관(14a 또는 14b)으로 공급된 추출물이 다른 공급 도관(14b 또는 14a)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송 도관(15)으로 추출물을 이송시키는 방법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용기(11a, 11b)의 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마찬가지로 포장기(13a, 13b)의 수도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고 반드시 용기(11a, 11b)의 수와 동일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포장기(13a, 13b)의 종류도 제한되지 않으며 복수의 포장기(13a, 13b)는 동일한 형태의 파우치를 제조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형태의 파우치를 제조할 수 있다.
아래에서 다수 개의 용기 및 다수 개의 포장기를 가진 다른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b, 1c 및 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기의 다른 실시 예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추출 용기 및 포장기는 모두 블록으로 표시되고 거치대 또는 컨트롤러와 같이 공지된 장치는 생략이 된다. 블록으로 표시된 장치는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형태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그리고 생략된 장치는 편의에 따라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의미하고 이와 같은 형상 또는 설치 여부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다.
도 1b는 세 개의 추출 용기(11a, 11b, 11c)가 2개의 포장기(13a, 13b)에 공급 도관(14a, 14b, 14c)을 통하여 추출물을 공급하고 그리고 각각의 포장기(13a, 13b)에서 파우치가 제조되는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하나의 추출 용기(11a)는 공급 도관(14a)을 통하여 제1 포장기(13a)에 추출물을 공급하고 다른 2개의 추출 용기(11b, 11c)는 각각의 공급 도관(14b, 14c)과 연결된 공통 도관(16)을 통하여 제2 포장기(13b)에 추출물을 공급한다. 이송 도관(15)은 2개의 포장기(13a, 13b)를 서로 연결하여 임의의 추출 용기(11b, 11b, 11c)로부터 배출된 추출물을 임의의 포장기(13a, 13b)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포장기(13a, 13b)는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파우치를 제조할 수 있는 포장기가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2개의 포장기(13a, 13b)가 모두 롤 포장기가 되거나 어느 하나의 포장기(13a)가 롤 포장기가 되고 다른 하나의 포장기(13b)가 스탠딩 포장기가 될 수 있다. 각각의 공급 도관(14b, 14c)의 적절한 위치에 개폐밸브(V)가 설치될 수 있다. 개패밸브(V)는 수동으로 조작이 되거나 또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같이 전자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개폐밸브(V)의 설치 방법은 아래의 실시 예의 설명에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c는 4개의 추출 용기(11a, 11b, 11c, 11d)로부터 공급되는 추출물을 2개의 포장기로부터 파우치를 제조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c를 참조하면, 4개의 추출 용기(11a, 11b, 11c, 11d)의 추출물은 각각의 공급 도관(14a, 14b)을 경유하여 제1 공통 도관(16a)과 제2 공통 도관(16b)으로 이송되어 제1 포장기(13a)와 제2 포장기(13b)로 공급될 수 있다. 제1 공통 도관(16a)과 제2 공통 도관(16b)은 이송 도관(15)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위에서 이미 설명을 한 것처럼, 임의의 추출 용기(11a, 11b, 11c, 11d)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은 임의의 포장기(13a, 13b)로 공급될 수 있다. 제시된 실시 예는 2개의 추출 용기(11a와 11b 또는 11c와 11d)가 한 조가 된 형태를 개시하고 있지만 필요에 따라 3개의 추출 용기(11a, 11b, 11c)와 1개의 추출 용기(11d)가 각각 한 조를 이루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도 1b와 관련하여 제시된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포장기(13a, 13b)는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형태가 될 수 있다.
도 1d는 5개의 추출 용기(11a, 11b, 11c, 11d, 11e)의 추출물이 2개의 포장기(13a, 13b)로 공급되는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d를 참조하면, 3개의 추출 용기(11a, 11b, 11c)와 2개의 추출 용기(11d, 11e)가 각각 한 조를 이루고 그리고 각각의 추출 용기(11a, 11b, 11c, 11d, 11e)에 연결된 공급 도관(14a, 14b, 14c, 14d, 14e)은 제1 공통 도관(16a) 또는 제2 공통 도관(16b)에 연결되어 어느 하나의 포장기(13a, 13b)에 추출물이 공급될 수 있다. 제1 공통 도관(16a)과 제2 공통 도관(16b)은 이송 도관(15)에 의하여 서로 연결이 될 수 있다. 포장기(13a, 13b)는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형태가 될 수 있다. 제시된 실시 예는 3개의 추출 용기(11a, 11b, 11c)와 2개의 추출 용기(11d, 11e)가 각각 하나의 조를 이루는 형태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지만 4개의 추출 용기(11a, 11b, 11c, 11d)와 하나의 추출 용기(11e)가 각각 하나의 조를 이룰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d에서 2 내지 5개의 추출 용기가 2개의 포장기에 추출물을 공급하는 실시 예가 제시되어 있지만 추출 용기 또는 포장기의 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포장기는 롤 포장기 또는 스탠딩 포장기 뿐 아니라 이 분야에서 공지되거나 향후 개발되는 임의의 형태의 포장기가 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다.
도 1d에서 각각의 추출 용기(11a, 11b, 11c, 11d, 11e)의 추출물은 공통 도관(16a, 16b)을 경유하여 포장기(13a, 13b)로 공급될 수 있다. 공통 도관(16a, 16b)이 사용되는 경우 각각의 추출 용기(11a, 11b, 11c 또는 11d, 11e)에서 서로 다른 종류의 재료가 사용되는 경우 잔여 추출물이 혼합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통 도관(16a, 16b)이 사용되지 않는 공급도관(14a, 14b, 14c 또는 14d, 14e)이 직접 포장기(13a 또는 13b)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포장기(13a, 13b)에 가까운 부분의 공급도관(14a, 14b, 14c 또는 14d, 14e)은 결합 도관에 의하여 함께 밀봉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만약 각각의 공급도관(14a, 14b, 14c 또는 14d, 14e)이 직접 포장기(13a 또는 13b)로 연결이 된다면 이송 도관(15)의 연결 방식이 위에서 설명한 방식과 달라질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 이송 도관(15)은 각각의 공급도관(14a, 14b, 14c 또는 14d, 14e)에 분리 가능한 형태가 결합되도록 만들어질 수 있고 그리고 각각의 공급도관(14a, 14b, 14c 또는 14d, 14e)으로부터 서로 다른 포장기(13b 또는 13a)에 이르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만약 어느 하나의 공급도관(예를 들어 14a)로부터 추출물이 공급되고 관련된 포장기(13a)에 고장이 발생한다면, 이송도관(15)은 공급도관(14a)에 직접 연결되어 작동 가능한 포장기(13b)에 이르도록 형성되어 작동 가능한 포장기(13b)로 추출 용기(11a)의 추출물을 공급하여 파우치가 제조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형태의 결합은 도 1b 및 도 1d와 관련하여 설명된 실시 예에 대하여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어느 하나의 추출 용기(11a, 11b, 11c, 11d, 11e)로부터 어느 하나의 포장기(13a, 13b)로 추출물을 공급하는 방식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 1a 내지 도 1d에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에서 2개의 공급 도관 또는 2개의 공통 도관을 연결시키는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의 (가)는 3개의 공급도관(14a, 14b, 14c)이 공통도관(16)에 연결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각각의 공급도관(14a, 14b, 14c)은 각각의 추출 용기에 연결된다. 각각의 공급도관(14a, 14b, 14c)을 통하여 공급되는 추출물은 공통도관(16)을 경유하여 포장기로 전달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공급도관(14a)로부터 공급되는 추출물이 다른 공급도관(14b 또는 14c)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공통도관(16)으로 유도되도록 하기 위하여 공통도관(16)에 압력조절수단(21)이 설치될 수 있다. 압력조절수단(21)은 예를 들어 직동식 감압밸브 또는 파이로트식 감압밸브와 같은 감압밸브가 되거나 또는 압력조절기가 될 수 있다. 압력조절수단(21)은 공통도관(16)의 아래쪽의 압력을 낮추는 것에 의하여 추출물이 공통도관(16)에 쉽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b의 (나)는 2개의 공통도관(16a, 16b) 사이에 이송도관(15)을 통하여 추출물을 전달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어느 하나의 공급도관(14a)을 통하여 공급되는 추출물은 이송도관(15)을 경유하여 다른 공급도관(14b)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제시된 실시 예는 공급도관(14a, 14b) 사이의 추출물의 공급에 관한 것이지만 동일한 방식이 공통 도관(16a, 16b) 사이의 추출물 전달을 위하여 적용될 수 있다. 공급 도관(14a, 14b)과 이송도관(15)은 T형 연결관(23)에 의하여 서로 연결이 될 수 있고 T형 연결관(23)의 내부에 개폐 조절 밸브(24)가 설치될 수 있다. 개폐 조절 밸브(24)는 예를 들어 3방향 솔레노이드 밸브와 같은 것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각각의 공급 도관(14a, 14b)의 아래쪽에 차단밸브(25)가 설치되어 이송 도관(15)을 통하여 추출물이 전달되는 경우 어느 하나의 공급 도관(14a)이 닫히도록 하고 다른 하나의 공급 도관(14b)은 열리도록 한다. 예를 들어 차단밸브(25)는 체크밸브가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송 도관(15)의 중간 부분에 이송 조절 수단(22)이 설치될 수 있다. 이송 조절 수단(22)은 감압 밸브와 같음 압력 조절 수단이 되거나 또는 기어 펌프, 순환 펌프, 튜브 펌프 또는 압력 펌프와 같이 강제 순환 장치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송 조절 수단은 개폐 조절 밸브(24) 또는 차단 밸브(25)와 함께 작동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송 조절 수단에 의하여 하나의 공급도관(14a)의 추출물이 다른 공급도관(14b)으로 이송될 필요가 있다면 개폐 조절 밸브(24)는 하나의 공급도관(14a)의 아래쪽으로 전달을 차단시키면서 이와 동시에 이송 도관(15) 방향의 흐름을 개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송도관(15)을 통한 흐름이 차단될 필요가 있다면 이송 조절 수단(22)의 작동을 중지시키면서 이와 동시에 개폐 조절 밸브(24)를 공급도관(14a)의 방향에 대하여 개방하고 그리고 차단 밸브(25)가 개방 형태가 되도록 조정될 수 있다.
도 2b의 (가) 및 (나)에 제시된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공통도관(16) 또는 이송도관(15)에 대한 추출물의 흐름 조절을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추출기의 작동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d를 참조하면, 다섯 개의 추출 용기(11a, 11b, 11c, 11d, 11e) 각각에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원료가 수용되어 추출물이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추출 용기(11a)는 과일 즙을 위하여 사용되고, 다른 하나의 추출 용기(11b)는 양파 즙의 추출을 위하여, 또 다른 하나의 추출 용기(11c)는 한약의 추출을 위하여, 또 하나의 추출 용기(11d)는 홍삼 액의 추출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포장기(13a, 13b)는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형태의 포장기가 될 수 있다. 만약 사용 과정에서 하나의 포장기(13a)에서 고장이 발생하여 파우치가 제조될 수 없다면 추출 용기(13a, 13b, 13c)의 추출물은 이송도관(15)을 통하여 다른 포장기(13b)로 공급될 수 있다. 포장기(13a, 13b)의 제어는 각각의 컨트롤러(도 1참조)에 의하여 이루어지거나 또는 하나의 컨트롤러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하나의 포장기(13a)가 롤 포장기가 되고 다른 하나의 포장기(13b)는 스탠딩 포장기가 될 수 있다. 하나의 추출 용기(13a)의 추출물이 롤 파우치에 수용되지만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스탠딩 파우치에 수용되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추출 용기(13a)의 추출물은 공급도관(14a)과 이송도관(15)을 경유하여 다른 하나의 포장기(13b)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추출기는 서로 다른 원료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추출물이 파우치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어는 하나의 포장기에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즉시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추출기는 필요에 따라 동일한 추출물이 서로 다른 종류의 파우치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면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a, 11b, 11c, 11d, 11e: 추출 용기 12: 히터
13a, 13b: 포장기 14a, 14b, 14c, 14d, 14e: 공급도관
15: 이송도관 16a, 16b: 공통도관
V: 밸브 21: 압력 조절 수단
22: 이송 조절 수단 23: T자형 연결관
24: 개폐 조절 밸브 25: 차단 밸브

Claims (5)

  1. 복수 개의 추출 용기;
    복수 개의 추출 용기 각각에 연결되어 일정량의 추출물을 외부로 공급하는 공급 도관;
    복수 개의 추출 용기를 서로 연결하는 이송 도관; 및
    각각의 공급 도관으로부터 공급된 추출물을 공급받아 파우치를 제조하는 적어도 2개의 포장기를 포함하는 복수 용기에 연결된 복수 포장기를 가진 추출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 개의 추출 용기는 2개 내지 5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용기에 연결된 복수 포장기를 가진 추출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포장기는 서로 다른 종류의 포장기를 포함하는 복수 용기에 연결된 복수 포장기를 가진 추출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공급도관에 설치되는 압력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복수 용기에 연결된 복수 포장기를 가진 추출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이송도관에 연결된 이송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복수 용기에 연결된 복수 포장기를 가진 추출기.
KR1020100026788A 2010-03-25 2010-03-25 복수 용기에 연결된 복수 포장기를 가진 추출기 KR201101075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788A KR20110107580A (ko) 2010-03-25 2010-03-25 복수 용기에 연결된 복수 포장기를 가진 추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788A KR20110107580A (ko) 2010-03-25 2010-03-25 복수 용기에 연결된 복수 포장기를 가진 추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7580A true KR20110107580A (ko) 2011-10-04

Family

ID=45025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6788A KR20110107580A (ko) 2010-03-25 2010-03-25 복수 용기에 연결된 복수 포장기를 가진 추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758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57284B (zh) 用於製備和分配飲料的設備和方法
EP3079537B1 (de) Milchschäumergerät
EP3079538B1 (de) Milchschäumergerät, getränkezubereitungssystem und getränkezubereitungsmaschine
WO2013064232A1 (de) System zur zubereitung von milch bzw. milchschaum in getränkeautomaten sowie eine erhitzereinheit
CN106714631A (zh) 具有柔性液滴止挡件的饮料制备机器
EP2129613A1 (de) Füllsystem zur drucklosen heissabfüllung
CN103328013B (zh) 集中且时间共享的蒸气消毒系统
WO2016046239A1 (de) Milchschäumergerät, getränkezubereitungssystem und getränkezubereitungsmaschine
JP2021525102A (ja) 顆粒入り液体飲料の調製殺菌装置及び調製方法
CN105595846A (zh) 一种自动模块奶茶机
CN107670058A (zh) 一种具有水顶料及料顶水功能的uht超高温灭菌系统
KR20110107580A (ko) 복수 용기에 연결된 복수 포장기를 가진 추출기
US4559963A (en) System for feeding liquid substances
US11419445B2 (en) Method and machine for preparing beverages
US6823653B1 (en) Sanitary precision polymer film casting and dispersion injection system
CN204344098U (zh) 加液装置
CN205032093U (zh) 一种用于液体的混合换热装置
IT202100018644A1 (it) Macchina per bevande ad infusione
MX2007014418A (es) Llenador giratorio para un producto viscoso.
EP3119503B1 (en) Detergents vending machine
CN208446493U (zh) 豆浆连续煮沸机
CN207614777U (zh) 一种用于饲料生产的配液装置
CN105903218A (zh) 一种栀子提取液连续浓缩设备及其控制方法
CN205198577U (zh) 一种可叠加的换液输液器
CN214747384U (zh) 一种液体饮品加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