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7400A - 함께 부착되는 파이프 또는 케이블 리드 관통체의 모듈 - Google Patents

함께 부착되는 파이프 또는 케이블 리드 관통체의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7400A
KR20110107400A KR1020117019732A KR20117019732A KR20110107400A KR 20110107400 A KR20110107400 A KR 20110107400A KR 1020117019732 A KR1020117019732 A KR 1020117019732A KR 20117019732 A KR20117019732 A KR 20117019732A KR 20110107400 A KR20110107400 A KR 20110107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halves
compressible
pip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9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6910B1 (ko
Inventor
옌스 안데르손
맛츠 에릭손
예니 필립센
울프 힐딩손
크리스테르 룽드보그
스테판 밀톤
로니 페테르손
요르겐 아케손
Original Assignee
록스텍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록스텍 아베 filed Critical 록스텍 아베
Publication of KR20110107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7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6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6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22Sealing by weld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27Sealing by means of a joint of the quick-acting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8Sealing by means of axial screws compressing a ring or slee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4Sealing for double-walled or multi-channel pip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18Casings with provisions to reduce aperture leakages in walls, e.g. terminals, connectors,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와이어 또는 파이프를 위한 밀봉체, 리드 관통체 또는 격벽관통체의 모듈(2)에 관한 것이다. 각 모듈(2)은 케이블, 와이어 또는 파이프를 수용하고, 적어도 하나의 압축 유닛(3)과 함께 프레임(1) 내측에 위치된다. 모듈(2)은 각각 내측 상에 한 묶음의 박리가능 시트(7)를 갖는 2개의 모듈 반부(9)들로 형성된다. 시트(7)는 수용될 케이블, 와이어 또는 파이프의 외경에 모듈(2)의 내경을 맞추도록 박리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듈 반부(9)는 하나 이상의 분리 선(10, 11)을 따라 함께 부착되어, 모듈 반부(9)는 모듈 매트(8)를 형성한다. 설치 시, 적절한 개수의 모듈 반부(9)가 모듈 매트(8)로부터 분리된다.

Description

함께 부착되는 파이프 또는 케이블 리드 관통체의 모듈{MODULES OF PIPE OR CABLE LEAD-THROUGHS STICKING TOGETHER}
본 발명은 케이블, 와이어 또는 파이프를 위한 밀봉체(seal), 리드 관통체(lead-through) 또는 격벽관통체(transit)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많은 개수로 함께 부착되는 모듈 반부들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나서, 적절한 개수의 모듈 반부가 설치와 관련하여 분리된다.
종래 기술에서, 케이블, 와이어 또는 파이프를 수용하는 복수의 모듈이 내측에 위치하는 프레임을 갖는 케이블 전이부 등이 존재한다. 모듈은 예를 들어 고무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탄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따라서 압축가능하다. 프레임 내측에서 일반적으로 복수의 모듈은 임의의 종류의 압축 유닛과 함께 하나 이상의 열을 지어 나란히 수용된다. 압축 유닛은, 압축 유닛이 팽창할 때 압축가능 모듈이 케이블, 와이어 또는 파이프 주변에서 압축되는 방식으로 프레임과 모듈 사이에 위치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케이블(cable)"이라는 표현이 주로 사용되지만, 이는 광범위하게 해석되어야 하며,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일반적으로 파이프 또는 와이어도 포함한다는 것을 알 것이다.
상기 종류 모두의 밀봉체 또는 전이부는 분전함, 기술 방호소(technical shelter), 단자함 및 기계와 같은 많은 상이한 환경에서 밀봉을 위해 사용된다. 이들은 자동차, 통신, 발전 및 배전뿐 아니라 해양 및 근해와 같은 상이한 산업 환경에서 사용된다. 밀봉체 또는 전이부는 유체, 가스, 화재, 설치류, 개미(termite), 먼지, 습기 등에 대해 밀봉할 수 있어야 하며, 물, 압축 공기, 유압 유체 및 조리 가스(cooking gas) 또는 적재물 보유를 위한 와이어와 같은 상이한 가스 또는 액체를 위한 전기, 통신, 컴퓨터 등, 파이프를 위한 케이블 또는 와이어를 수용할 수 있다.
단일 케이블 등을 수용하는 모듈은 내측에 한 묶음(pack)의 박리가능 층 또는 시트를 갖는다. 층 또는 시트는 상기 부분의 내경이 상기 부분 내에 수용된 케이블의 외경에 맞춰질 때까지 박리된다. 시트들은 함께 지지하기(stay) 위해 서로에 대해 충분히 강하게 접착되고, 동시에 시트가 적층체(stack)로부터 하나 하나(one-by-one) 또는 복수의 시트가 함께 박리될 수 있게 충분히 느슨하게 접착된다.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층을 포함하는 상이한 부분들의 정확한 형상과 형태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예를 들어, 층의 묶음은 원형이 아닌 다른 단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모듈 반부를 설치할 때뿐 아니라 수송과 저장 동안에도 취급하기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상이한 프레임, 즉, 상이한 치수의 프레임에 모듈을 맞출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모듈 반부의 생산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축가능 모듈은 케이블 입구나 파이프 관통부 내에 위치된다. 하나 이상의 압축가능 모듈 각각은 케이블이나 파이프 관통부를 둘러싸며, 압축가능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압축 유닛과 함께 프레임 내에 위치된다. 압축가능 모듈은 각각 케이블 또는 파이프를 수용하는 홈을 갖는 베이스 부분을 포함하는, 2개의 모듈 반부로 형성된다. 층의 적층체를 형성하는 복수의 박리가능 층이 홈 내에 수용된다. 설치 전에 2개 이상의 모듈 반부는 하나 이상의 분리 선을 따라 함께 부착된다.
설치 시에 함께 부착된 모듈 반부들의 나머지로부터 적절한 개수의 모듈 반부가 분리된다. 분리된 모듈 반부들은 그들이 여전히 함께 부착된 방식으로 분리될 수 있다.
함께 부착된 모듈 반부는 일종의 모듈 매트(mat)를 형성한다고 할 수 있다. 모듈 반부가 모듈 매트의 형태로 생산되면, 예를 들어, 몇몇 모듈이 동시에 생산되는 경우, 생산 공정이 간소화된다. 설치 시에 함께 부착될 모듈 반부의 정확한 길이와 모듈 반부의 개수는 설치 시 그 순간에 결정된다. 따라서, 사용될 모듈의 크기와 개수에 관한 결정이 설치 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취급이 간소화되고, 더 많은 설치 융통성을 제공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할 때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장점이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로서 이하에 더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케이블 또는 파이프 전이부의 일 예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이부에 사용될 수 있는 모듈 반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 매트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제1 방향으로 절곡된 도 3의 모듈 매트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제2 방향으로 절곡된 도 3의 모듈 매트의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설치 시 모듈 반부의 가능한 배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케이블 및/또는 파이프를 위한 밀봉체 또는 전이부의 통상적인 형태가 도 1에 나타난다. 이는 벽 또는 임의의 다른 형태의 파티션 내에 수용된 외부 프레임(1)을 갖는다. 프레임(1) 내측에는 복수의 모듈(2)이 배열되어 단일 케이블 또는 파이프 각각을 수용한다. 또한, 압축 유닛(3)은 프레임(1) 내측에 수용된다. 모듈(2)은 지지 플레이트(stay plate: 4)에 의해 분리되며, 지지 플레이트(4)는 모듈(2)을 프레임(1) 내측에 안전하게 위치시키도록 배열된다. 모듈(2)은 밀봉체 또는 전이부의 압축가능 부분이다. 각 모듈(2)은 케이블 또는 파이프가 수용될 때 제거되는 중앙 블라인드(central blind: 5)를 갖는다.
프레임을 포함하는 다른 시스템은 본 출원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고 "밀봉 시스템(Sealing System)"으로 명명된 동시에 출원된 출원에 설명된다. 이 출원은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서 포함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밀봉체, 리드 관통체 또는 격벽관통체는, 본 출원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고 "파이프 또는 케이블 리드 관통체의 윤활(Lubrication of a Pipe or Cable Lead-Through)"로 명명된 동시에 출원된 출원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윤활을 위한 수단을 구비한다. 이 출원은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서 포함된다.
도 2에서 모듈 반부가 도시되며, 이는 도 1의 모듈(2)와 대응된다. 모듈 반부는 반원통형(semi cylindrical) 홈을 일 측부에 갖는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베이스 부분(6)을 갖는다. 베이스 부분(6)의 반원통형 홈 내측에, 복수의 박리가능 시트 또는 층(7)이 수용된다. 사용에 있어서 2개의 모듈 반부는 홈들이 서로 대면하도록 함께 놓여진다. 따라서, 형성된 모듈은 중앙 원통형 개방부를 가질 것이며, 개방부 내에 케이블 또는 파이프가 수용된다. 케이블 또는 파이프가 수용될 때, 모듈의 원통형 개방부의 내경이 수용될 케이블 또는 파이프의 외경에 맞춰지도록 적절한 개수의 층(7)이 베이스 부분(6)으로부터 각각 박리된다. 따라서, 모듈(2)이 케이블 또는 파이프를 수용할 때, 블라인드(5)가 먼저 제거되고, 그리고 나서 복수의 층(7)이 박리된다. 모든 파이프 및/또는 케이블이 모듈(2) 각각에 위치되면, 압축 유닛(3)이 활성화된다. 압축 유닛(3)의 기능은 프레임(1) 내측에서 팽창하는 것이다. 압축 유닛이 팽창함에 따라 고무와 같은 압축가능 재료로 만들어진 모듈(2)을 압축할 것이다. 모듈(2)은 일 방향으로 압축되고 타 방향으로 팽창되어, 프레임(1)과 케이블에 대해 모듈(2)을 가압한다.
모듈의 다른 실시예, 본 출원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고 "압축을 표시하는 부분을 갖는 파이프 또는 케이블 리드 관통체(A Pipe or Cable Lead-Through having a Part Indicating Compression)", "파이프 또는 케이블 리드 관통체의 편심 부분(Eccentric Part of a Pipe or Cable Lead-Through)", "양 측부 상에 홈을 갖는 파이프 또는 케이블 리드 관통체의 모듈(A Module of a Pipe or Cable Lead-Through having Grooves on Opposite Sides)", "파이프 또는 케이블 리드 관통체 블록(Pipe or Cable Lead- Through Blocks)", "모듈화된 모듈을 갖는 파이프 또는 케이블 리드 관통체(A Pipe or Cable Lead-Through having Modularized Modules)", "관통가능 모듈을 갖는 파이프 또는 케이블 리드 관통체(A Pipe or Cable Lead-Through having Penetrateable Modules)" 및 "치수결정 기능을 갖는 파이프 또는 케이블 리드 관통체(A Pipe or Cable Lead-Through having Modules with a Dimensioning Function)"로 명명된 동시에 출원된 출원들에서 제시된다. 이러한 출원들은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서 포함된다.
시트는 많은 상이한 방식으로 상이한 특징부를 갖게 배열될 수 있으며, 이들은 본 출원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고 "상호연결된 층을 갖는 파이프 또는 케이블 리드 관통체(A Pipe or Cable Lead-Through having Interconnected Layers)", "상이한 두께의 층을 갖는 파이프 또는 케이블 리드 관통체(A Pipe or Cable Lead-Through having Layers of Different Thickness)", "파이프 또는 케이블 리드 관통체의 층들 사이의 밀착(Cohering Between Layers of a Pipe or Cable Lead-Through)" 및 "파이프 또는 케이블 리드 관통체의 층의 식별(Identification of Layers of a Pipe or Cable Lead-Through)"로 명명된 동시에 출원된 출원들에 반영된다. 이러한 출원은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서 포함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복수의 모듈 반부(9)로 형성된 모듈 매트(8)의 일 예시가 도시된다. 각 모듈 반부(9)는 도 2에 도시된 모듈 반부와 대응된다. 모듈 매트(8)의 모듈 반부(9)는 종방향 및 횡방향 분리 선(10, 11)을 따라 함께 놓여진다. 이 설명에서 사용되는 종방향 및 횡방향이란, 도 3에 표시된 바와 같이 L은 종방향을 의미하고 T는 횡방향을 의미한다. 분리 선(10, 11)은 모듈 반부(9)의 하부 에지에 위치된다.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분리 선(10, 11)은 일반적으로 절취되어(perforate), 모듈 반부(9)는 일반적으로 손으로 분리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절취선이 없으며, 모듈 반부는 칼이나 다른 적합한 공구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분리 선(10, 11)의 재료는 모듈 반부(9)가 절취선이 없더라도 손으로 분리될 수 있을 정도로 얇다.
일 실시예에서 분리 선(10, 11)은 모듈 반부(9)와 함께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모듈 반부(9)는 접착제에 의해 또는 용접에 의해 하부 에지에서 서로 연결된다. 또한, 모듈 반부(9)를 접착제에 의해 캐리어에 접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분리 선(10, 11)은 접착제에 의해, 또는 용접에 의해, 또는 캐리어에 의해 모듈 반부(9)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모듈 매트의 가능한 캐리어는 RFI 차폐를 제공하는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화재 방지를 위해 캐리어 내에 발포성 재료(intumescing material)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캐리어는 모듈에 교착되거나(glued) 모듈의 소형 리세스 내에 클램핑되는 타이(tie) 또는 나사로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3개의 모듈의 열이 프레임 내에 위치되고자 한다면, 3개의 모듈 반부(9)는 3개의 모듈 반부가 여전히 함께 놓여진 형태로 모듈 매트(8)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나서 3개의 모듈 반부(9)는 하나의 유닛으로서 프레임 내로 삽입될 수 있다.
2개 이상의 모듈이 종방향으로의 설치가 요구된다면, 그들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여전히 함께 부착된 형태로 모듈 매트(8)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모듈 반부(9)가 함께 붙어있고, 고려해야 할 분리된 부분(loose part)을 더 적게 갖는다는 점에서 설치가 더 쉬워진다. 이는 특히 수평 설치에서 유익할 수 있다.
설치를 위해 하나의 모듈 매트(8)만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모듈 반부(9)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모듈 매트(8)로부터 적절한 개수의 모듈 반부(9)가 모듈 매트(8)의 나머지로부터 분리된다. 필요하다면 상이한 치수의 모듈 반부(9)를 갖는 몇몇의 모듈 매트(8)가 사용된다. 각 모듈 매트(8)에서 모듈 반부(9)는 하나의 동일한 치수를 갖는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모듈 반부(9)를 여전히 함께 부착된 상태로 서로의 상부에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분리 선(10, 11)은 모듈 반부(9)들 사이의 브릿지(bridge)를 형성한다. 설치 시에 2개의 모듈 반부(9)를 서로의 상부에 위치시킴으로써 설치 시에 고려해야 할 분리된 부분이 더 적어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예시의 모듈 반부(9)는 종방향 분리 선(10)에서 또는 횡방향 분리 선(11)에서 함께 부착된다. 도 6 및 도 7에는 하나의 모듈만이 도시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나란히 위치된 몇몇의 모듈의 열 또한 여전히 열들이 함께 부착된 상태로 몇몇의 모듈의 다른 열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모듈의 열들은 상부 및 하부 에지에서 교호적으로 연결되어 전체 모듈 매트가 접혀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전체 접혀진 모듈 매트는 서로의 상부에 위치된 몇몇의 모듈의 열로서 모든 열이 함께 부착된 모듈의 열을 가질 수 있다.

Claims (10)

  1. 각각 케이블 또는 파이프를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압축가능 모듈(2)을 수용하는 케이블 입구 또는 파이프 관통부 내의 압축가능 모듈이며, 압축가능 모듈(2)은 적어도 하나의 압축 유닛(3)과 함께 프레임(1) 내에 위치되고, 압축가능 모듈(2)은 각각 케이블 또는 파이프를 수용하는 홈을 갖는 베이스 부분(6)을 포함하는 2개의 모듈 반부(9)로 형성되고, 홈 내에 층의 적층체를 형성하는 복수의 박리가능 층(7)이 수용되는, 압축가능 모듈에 있어서,
    압축 모듈(2)의 설치 전에 2개 이상의 모듈 반부(9)가 하나 이상의 분리 선(10, 11)을 따라 함께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가능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모듈 반부(9)는 분리 선(10, 11)을 따라 서로로부터 분리되고, 분리 선(10, 11)은 종방향 및/또는 횡방향 연장부를 갖는
    압축가능 모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분리 선(10, 11)은 모듈 반부(9)들의 하부 에지에, 또는, 상부 에지에, 또는, 하부 및 상부 에지에 교번하게 위치되는
    압축가능 모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리 선(10, 11)은 절취되는
    압축가능 모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리 선(10, 11)의 재료는 모듈 반부(9)를 손으로 분리할 수 있게 하는
    압축가능 모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듈 반부(9)는 용접에 의해 또는 접착제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압축가능 모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듈 반부는 접착제에 의해 캐리어에 접착되는
    압축가능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캐리어는 금속 재료 및/또는 발포성(intumescing) 재료를 포함하는
    압축가능 모듈.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듈은 나사 또는 타이(tie)로 형성된 캐리어에 접착되는
    압축가능 모듈.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모듈 반부(9)가 모듈 매트(8)를 형성하는
    압축가능 모듈.
KR1020117019732A 2009-02-04 2010-02-02 함께 부착되는 파이프 또는 케이블 리드 관통체의 모듈 KR1017169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0950046-3 2009-02-04
SE0950046A SE533465C2 (sv) 2009-02-04 2009-02-04 Sammanhängande moduler för rör- eller kabelgenomföringar
PCT/SE2010/050116 WO2010090582A1 (en) 2009-02-04 2010-02-02 Modules of pipe or cable lead-throughs sticking togeth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7400A true KR20110107400A (ko) 2011-09-30
KR101716910B1 KR101716910B1 (ko) 2017-03-15

Family

ID=42542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9732A KR101716910B1 (ko) 2009-02-04 2010-02-02 함께 부착되는 파이프 또는 케이블 리드 관통체의 모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2394084B1 (ko)
KR (1) KR101716910B1 (ko)
CN (1) CN102292587A (ko)
BR (1) BRMU9002611Y1 (ko)
DE (1) DE202010018422U1 (ko)
MY (1) MY154271A (ko)
RU (1) RU117558U1 (ko)
SE (1) SE533465C2 (ko)
WO (1) WO201009058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0121A (ko) * 2014-07-16 2018-04-19 비일리 엔지니어링 비.브이. 다른 직경을 가진 케이블 또는 덕트들을 도관에 고정하기 위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02483B1 (fr) * 2013-02-25 2016-03-11 Daniel Andre Gastel Procede d'obtention d'une cale pelable tridimensionnelle et cale pelable tridimensionnelle ainsi obtenue
US11211779B2 (en) 2017-10-17 2021-12-28 Framatome Cable lead-through assembly, electrical assembly, an electrical cabinet and associated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57749A1 (en) * 2003-12-12 2005-06-23 Roxtec Ab Lead-through means for cables or pipes
WO2005078884A2 (en) * 2004-02-13 2005-08-25 Beele Engineering B.V. System and method for sealing an opening in a wall in which at least one transport device such as a cable, conduit or tube has been fed through
US20090218451A1 (en) * 2006-02-17 2009-09-03 Christer Lundborg Cable Reten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77129B (de) * 1982-05-26 1985-02-11 Doepfl Rudolf Gmbh Einrichtung zur halterung von kabeln in kabeldurchfuehrungen
DE8913702U1 (ko) 1989-11-20 1990-02-08 Wolff, Anton, Dipl.-Ing., 3492 Brakel, De
SE520363C2 (sv) 2001-12-14 2003-07-01 Roxtec Int Ab Genomföringsanordning för genomföring av långsträckt ledning genom en öppning i en väg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57749A1 (en) * 2003-12-12 2005-06-23 Roxtec Ab Lead-through means for cables or pipes
WO2005078884A2 (en) * 2004-02-13 2005-08-25 Beele Engineering B.V. System and method for sealing an opening in a wall in which at least one transport device such as a cable, conduit or tube has been fed through
US20090218451A1 (en) * 2006-02-17 2009-09-03 Christer Lundborg Cable Retention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0121A (ko) * 2014-07-16 2018-04-19 비일리 엔지니어링 비.브이. 다른 직경을 가진 케이블 또는 덕트들을 도관에 고정하기 위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92587A (zh) 2011-12-21
BRMU9002611U2 (pt) 2013-12-17
EP2394084B1 (en) 2017-08-02
EP2394084A1 (en) 2011-12-14
KR101716910B1 (ko) 2017-03-15
DE202010018422U1 (de) 2016-06-27
MY154271A (en) 2015-05-29
BRMU9002611Y1 (pt) 2018-02-06
SE0950046A1 (sv) 2010-08-05
EP2394084A4 (en) 2016-06-29
RU117558U1 (ru) 2012-06-27
WO2010090582A1 (en) 2010-08-12
SE533465C2 (sv) 201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4058B1 (ko) 상이한 두께의 층을 갖는 파이프 또는 케이블 리드 관통체
KR101714801B1 (ko) 파이프 또는 케이블 리드 관통체의 편심 부재
KR200475438Y1 (ko) 교호식 형상을 갖는 파이프 또는 케이블 리드스루의 모듈
EP2394340B2 (en) Sealing system
IL172558A (en) Module and frame for cable entries
KR20110124249A (ko) 파이프 또는 케이블 리드 관통체의 층의 식별
KR20110127162A (ko) 압축 표시 부품을 갖는 파이프 또는 케이블 리드 관통체
KR101716910B1 (ko) 함께 부착되는 파이프 또는 케이블 리드 관통체의 모듈
KR20110126634A (ko) 파이프 또는 케이블 리드 관통체 블록
KR100913858B1 (ko) 케이블 진입부 또는 파이프 관통부용 하나 이상의 탄성 모듈을 포함하는 프레임 및 방법
WO2010090587A1 (en) A pipe or cable lead-through having interconnected layers
US11489324B2 (en) Extension frame
KR20100008059U (ko) 교호식 형상의 층들을 갖는 파이프 또는 케이블 리드스루
CN108370144B (zh) 密封件或穿引件的模块
WO2010090583A1 (en) A module of a pipe or cable lead-through having grooves on opposite si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