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6591A - 광디스크드라이브 - Google Patents

광디스크드라이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6591A
KR20110106591A KR1020100025714A KR20100025714A KR20110106591A KR 20110106591 A KR20110106591 A KR 20110106591A KR 1020100025714 A KR1020100025714 A KR 1020100025714A KR 20100025714 A KR20100025714 A KR 20100025714A KR 20110106591 A KR20110106591 A KR 20110106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ase
optical
optical pickup
flow
optical di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5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Priority to KR1020100025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6591A/ko
Priority to EP11002259A priority patent/EP2369592A2/en
Priority to US13/053,980 priority patent/US20110239236A1/en
Priority to CN2011100769570A priority patent/CN102201246A/zh
Publication of KR20110106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65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4Reducing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e.g. temperature change, moisture, dust
    • G11B33/1406Reducing the influence of the temperature
    • G11B33/144Reducing the influence of the temperature by detection, control, regulation of the temperatur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Optical Head (AREA)

Abstract

광디스크드라이브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광디스크드라이브는, 광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광픽업유닛을 포함하는 광픽업베이스; 및 광픽업베이스를 수용하는 메인베이스를 포함하며, 메인베이스는, 메인베이스에서 돌출되어 광디스크의 회전으로 인하여 발생한 공기의 흐름을 광픽업유닛으로 유도하는 유도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디스크의 회전으로 발생한 공기의 흐름을 광픽업유닛으로 유도하여 광픽업유닛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디스크드라이브{OPTICAL DISC DRIVE}
본 발명은 광디스크드라이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광디스크의 회전으로 발생한 공기의 흐름을 광픽업유닛으로 유도하여 광픽업유닛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광디스크드라이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디스크드라이브(Optical Disc Drive, ODD)는 씨디(CD), 디브이디(DVD), 비디(BD)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광디스크에 레이저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또는 독출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광디스크는 대용량임에도 불구하고 휴대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과거에는 1회만 기록이 가능하였으나, 최근에는 반복하여 재기록할 수 있는 광디스크가 사용되고 있어 편의성이 점차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광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독출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는,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독출하기 위하여, 트레이(tray)에 올리는 방식 등으로 광디스크를 내부에 수용한다. 광디스크드라이브에 수용된 광디스크는, 스핀들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광디스크가 회전하면, 제어신호에 의하여 광 픽업이 광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이동하며 광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정보를 독출한다.
본 발명은 광디스크의 회전으로 발생한 공기의 흐름을 광픽업유닛으로 유도하여 광픽업유닛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광디스크드라이브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디스크드라이브는, 광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광픽업유닛을 포함하는 광픽업베이스; 및 상기 광픽업베이스를 수용하는 메인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베이스는, 상기 메인베이스에서 돌출되어 상기 광디스크의 회전으로 인하여 발생한 공기의 흐름을 상기 광픽업유닛으로 유도하는 유도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베이스는, 상기 메인베이스의 두께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광디스크의 회전면을 포함하는 상측부와, 상기 광픽업베이스가 위치하는 하측부로 구분되며, 상기 유도리브는, 상기 하측부의 일측에 마련되되, 상기 공기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각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도리브는, 상기 메인베이스의 전후방향에 대하여, 상기 광디스크 회전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상측부와 하측부의 경계에는, 상기 경계를 따라 상기 메인베이스의 전후방향으로 상기 광디스크의 회전면과 실질적으로 나란하도록 보강리브가 마련되며, 상기 보강리브에는, 상기 상측부의 공기의 흐름이 상기 하측부로 연속될 수 있도록 상기 보강리브를 관통하는 유도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디스크드라이브는, 광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광픽업유닛을 포함하는 광픽업베이스; 및 상기 광픽업베이스를 수용하는 메인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베이스는, 상기 광디스크의 회전으로 인하여 상기 메인베이스의 내측 외주를 따라 발생한 공기 흐름의 방향이 상기 메인베이스의 중심측인 상기 광픽업유닛을 향하도록 상기 공기 흐름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유도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베이스는, 상기 광디스크의 회전면과 실질적으로 나란하도록 보강리브가 마련되며, 상기 보강리브에는, 상기 보강리브의 일측에서 발생한 상기 공기 흐름을 상기 보강리브의 타측으로 유도하도록, 상기 보강리브를 관통하는 유도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베이스는, 상기 공기 흐름이, 상기 보강리브의 일측에서 발생하여, 상기 유도통공을 통과한 후 상기 보강리브의 타측에 마련된 상기 유도리브에 간섭되는 유로를 형성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드라이브는, 광디스크의 회전으로 발생한 공기의 흐름을 광픽업유닛으로 유도하여 광픽업유닛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디스크드라이브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 메인베이스를 하측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메인베이스의 공기유동을 상측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 메인베이스의 공기유동을 하측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 메인베이스의 단면도에 공기의 유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 메인베이스에서의 공기유동을 실험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디스크드라이브의 분해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디스크드라이브(1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20)과, 하우징(20)의 전면에 결합되는 베젤(30)과, 광디스크(D)를 수용하여 광디스크드라이브(10) 내외로 출입하는 트레이(40)와, 트레이(40)수용하는 메인베이스(50)와, 메인베이스(50)에 수용되는 광픽업베이스(6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0, housing)은 광디스크드라이브(10)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비넷(cabinet)이다. 내부에 수용된 각종 기구장치 및 전자장치를 보호하기 위하여 하우징(20)은 일정한 강성이 요구된다. 또한, 하우징(20)은 성형이 용이한 재질이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와 같은 요구조건을 충족하기 위하여, 캐비넷(20)은 금속재질 또는 강도가 강화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으로 성형될 수 있다. 한편, 광디스크(D)가 내부에서 고속으로 회전하므로, 광디스크(D)에는 유체역학적인 힘이 작용할 수 있다. 즉, 고속으로 회전하는 광디스크(D)에서 발생된 공기 유동에 의하여 광디스크(D)를 정위치에서 상, 하, 좌, 우측으로 유동토록 하는 힘이 발생할 수 있다. 광디스크(D)를 유동시키는 이와 같은 힘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하우징(20)에는 요철부(25)가 형성될 수 있다. 요철부(25)는 하우징(20)의 표면에 주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주름 형태의 요철부(25)가 마련되면, 광디스크(D)의 회전으로 인한 공기 유동이 적절히 억제될 수 있다.
베젤(30)은 광디스크드라이브(10)의 전면(前面)을 형성할 수 있다. 광디스크드라이브(10)의 다른 면은 개인용 컴퓨터(PC)나 게임기 등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어 일반적인 사용환경 하에서는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광디스크드라이브(10)의 전면에 위치한 베젤(30)은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부분이다.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베젤(30)의 전면(31)은 제품의 외관을 형상하게 되므로 각종 가공 또는 장식을 부가할 수 있다. 또한 전면(31)에는 광디스크드라이브(10)의 작동상태를 알려주는 램프(33) 및 광디스크드라이브(10)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35)이 마련될 수도 있다. 베젤(30)에는 개구(37)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37)를 통과하며 트레이(40)가 전후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개구(37)의 크기 및 형상은 트레이(40)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개구(37)에는 베젤도어(미도시)가 마련되어, 개구(37)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트레이(40)는 평행이동하며 광디스크드라이브(10)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후방으로 이동하며 하우징(20) 내부로 인입되거나, 전방으로 이동하며 하우징(20) 외부로 인출된다. 트레이(40)에는 광디스크(D)가 안착되며, 트레이(40)에 안착되어 하우징(20) 내부로 인입된 광디스크(D)는 스핀들모터유닛(80)에 척킹(chucking)되어 회전한다. 트레이(40)는 광디스크(D)를 수납하는 광디스크안착부(43)와, 광디스크안착부(43)의 전면에 마련된 트레이도어(45)를 포함할 수 있다.
광디스크안착부(43)는 트레이(40)의 중앙부에 광디스크(D)의 형상과 유사한 원형으로 단차(段差)가 형성된 부분이다. 단차가 형성된 광디스크안착부(32)가 마련됨으로 인하여, 광디스크안착부(43)에 올려진 광디스크(D)가 트레이(40)의 이동 중에 유동하지 않게 된다. 광디스크안착부(43)에는 복수개의 통공(47)이 형성될 수 있다. 통공(47)은 광디스크(D)가 스핀들모터유닛(80)에 척킹되어 고속으로 회전할 때, 공기의 유동 및 소음을 감소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다.
메인베이스(50)는 광디스크드라이브(10)의 각종 부속을 수용하는 부분이다. 메인베이스(50)에는 각종 부속이 결합하기 위하여 각종 보스(boss) 내지는 홀(hall)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각종 보스 내지는 홀은, 광디스크드라이브(10)의 작동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음 및 공기유동을 감소하는 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각종 보스 내지는 홀이 마련된 다소 복잡한 형상으로 인하여, 메인베이스(50)는 플라스틱을 사출성형하는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메인베이스(50)의 전단측에는 트레이로딩부(53)가 마련될 수 있다.
트레이로딩부(53)는 로딩모터(미도시)에서 발생한 힘을 전달하는 기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트레이로딩부(53)를 통하여 전달된 회전력은, 트레이(40)의 하측면에 마련된 래크기어(rack gear, 미도시)로 전달되어 트레이(40)가 전후방향으로 로딩 및 언로딩 될 수 있다.
광픽업베이스(60)는 메인베이스(50)에 수용될 수 있다. 광픽업베이스(60)는 광픽업유닛(70)과 스핀들모터유닛(80)을 포함할 수 있다. 광픽업베이스(60)는 체결부재(63)를 통하여 광픽업베이스(60)에 고정될 수 있다. 광픽업베이스(60)에는 샤프트(65a, 65b)가 마련될 수 있다. 광픽업유닛(70)은 샤프트(65a, 65b)에 의하여 유도되어 광픽업베이스(60)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광픽업유닛(70)은 실질적으로 광디스크(D)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광디스크(D)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는 부분이다. 데이터의 기록 및 독출은 광픽업유닛(70)의 광픽업(73)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데이터의 기록 및 독출은, 광픽업(73)을 통하여 레이져(laser)가 광디스크(D)로 조사되거나 조사된 레이져가 반사되어 되돌아오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핀들모터유닛(80)은 스핀들모터(미도시)에서 발생한 회전력을 광디스크(D)로 전달하여 회전시킨다. 광디스크(D)가 트레이(40)에 안착된 후 로딩되면, 스핀들모터유닛(80)에 광디스크(D)가 척킹(chucking)될 수 있다. 광디스크(D)가 스핀들모터유닛(80)에 척킹되면, 광디스크(D)는 트레이(4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다.
도 2는 도 1 메인베이스를 하측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베이스(50)에는 유도리브(55)와, 유도통공(57)이 마련될 수 있다.
유도리브(55)는 메인베이스(50)의 하측부 길이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베이스(50) 두께방향의 중단에는 보강리브(51)가 마련될 수 있다. 보강리브(51)는 메인베이스(50)의 일측에 광디스크(도 3의 D) 평면과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보강리브(51)가 마련됨으로 인하여, 메인베이스(50)의 뒤틀림이 방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보강리브(51)가 메인베이스(50)의 중단에 마련됨으로 인하여, 메인베이스(50)는 두께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측부(도 3의 52)와 하측부(54)로 구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준에 따르면, 로딩된 광디스크(도 3의 D)는 상측부(도 3의 52)에 위치하며, 유도리브(55)는 하측부(54)에 위치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유도리브(55)가 위치한 하측부(54)의 인근에는 광픽업유닛(도 1의 70)이 자리하게 될 수 있다. 즉, 광픽업유닛(도 1의 70)이 대기상태에 있거나, 광디스크(D)의 외주측 데이터에 억세스를 하는 경우에 광픽업유닛(도 1의 70)의 광픽업(도 1의 73)이 유도리브의 근방에 위치하게 된다. 광픽업(도 1의 73)은 레이저가 조사되는 동작 과정에서 과열될 수 있다. 광픽업(도 1의 73)에서 발생된 열이 효과적으로 분산되지 않으면, 광픽업(도 1의 73)의 부품 중 하나인 프리즘(prism)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즉, 프리즘이 일정한 온도 이상이 되면, 광픽업(도 1의 73)의 기록 또는 재생 성능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유도리브(55)는 광디스크(도 3의 D)가 회전하며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을 광광픽업(도 1의 73)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광디스크(도 3의 D)가 시계방향(도 3의 R)으로 회전하면, 광디스크(도 3의 D)의 회전방향인 시계방향(도 3의 R)으로의 자연스럽게 공기흐름이 발생하게 된다. 공기의 흐름이 강하게 발생하면, 소음 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통상적으로는, 공기의 흐름은 이를 완화 또는 제거하는 방향에 대한 해결책이 제시됨이 일방적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디스크드라이브(도 1의 10)에서는,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광픽업(도 1의 73)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광디스크(도 3의 D)가 회전하기 시작하면, 메인베이스(50) 내측의 외주방향으로 따라서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게 된다.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면, 유도리브(55)에 의하여 공기 흐름의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즉, 메인베이스(50)의 내측방향으로 회전하던 공기가, 공기의 흐름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각방향으로 배치된 유도리브(55)에 의하여 간섭되면서 광픽업(도 1의 73)의 방향으로 전환될 수 있다. 광픽업(도 1의 73) 방향으로 전환된 공기는, 광픽업(도 1의 73)이 일정한 온도 이상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광픽업(도 1의 73)을 향하여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광픽업(도 1의 73)이 냉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유도리브(55)에 의하여 광픽업(도 1의 73)의 온도가 일정한 범위내로 안정되면, 광픽업(도 1의 73)이 온도상승으로 인하여 오작동 되는 경우를 미연예 방지할 수 있다. 유도리브(55)의 상류측에는 유도통공(57)이 마련될 수 있다.
유도통공(57)은 공기의 흐름이 보강리브(51)를 향하도록 할 수 있다. 광디스크(도 3의 D)는 보강리브(51)의 상측에서 회전하게 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즉, 메인베이스(50)의 상하방향(Z)을 기준으로 할 때, 광디스크(도 3의 D)가 상대적으로 메인베이스(50)의 상측에서 회전하게 됨을 의미한다. 광디스크(도 3의 D)가 메인베이스(50)의 상측인 상측부(도 3의 52)에서 회전하므로, 메인베이스(50)의 하측부(54)에 마련된 유도리브(55)로 공기의 흐름이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보강리브(51)의 상하방향(Z)으로 형성된 유도통공(57)은, 메인베이스(50)의 상측에 형성된 공기의 흐름이 메인베이스(50)의 하측을 향하여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도 1 메인베이스의 공기유동을 상측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디스크드라이브(도 1의 10)에서의 공기의 유동은 메인베이스(50)의 상측부(52) 공간에서 회전하는 광디스크(D)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다.
광디스크(D)는 시계방향(R)으로 회전할 수 있다. 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할 때, 유도리브(55)는 광디스크(D)의 회전방향(R)에 대하여 상류측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메인베이스(50)의 전후방향(Y)를 기준으로 할 때, 공기가 흐르는 방향은 광디스크(D)의 회전방향(R)과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할 때, 전후방향(Y)의 좌측부분을 광디스크(D) 회전방향(R)의 상류측이라 할 수 있고, 전후방향(Y)의 우측부분을 광디스크(D) 회전방향(R)의 하류측이라고 할 수 있다.
광디스크(D)가 시계방향(E)으로 회전하면, 이로 인하여 제 1유동(F1)이 발생할 수 있다. 제 1유동(F1)은 메인베이스(50) 내측의 벽면을 따라서 회전하는 공기의 흐름일 수 있다. 즉, 제 1유동(F1)은 광디스크(D)의 회전방향과 같은 시계방향(R)으로 메인배이스(50) 내측을 회전하는 공기의 흐름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 1유동(F1)을 이루며 상측부(52)에서 이동하던 공기 중 일부는 유도통공(57)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2유동(F2)을 형성할 수 있다.
제 2유동(F2)은 제 1유동(F1) 중 일부가 유도통공(57)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이다. 유도통공(57)을 통과하므로 공기의 흐름은 상측부(52)에서 하측부(도 2의 54)로 향하게 된다. 유도통공(57)을 통과하며 이동한 제 2유동(F2)은, 유도리브(55)에 의하여 간섭되며 제 3유동(F3)을 형성할 수 있다.
제 3유동(F3)은 유도리브(55)와 충돌하며 진행방향이 변형된 제 2유동(F2)이다. 공기는 제 3유동(F3)을 이루며, 메인메이스(50)의 중심측을 향할 수 있다. 메인베이스(50)의 중심측에는 광픽업(도 1의 73)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 3유동(F3)에 의하여 광픽업(도 1의 73)의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도 4는 도 1 메인베이스의 공기유동을 하측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디스크(도 3의 D)에서 발생한 공기의 흐름은, 유도통공(57) 및 유도리브(55)에 유도되며 제 1, 2, 3유동(F1, F2, F3)을 이루게 될 수 있다. 제 3유동(F3)은 메인베이스(50)의 중심측을 향하는 공기의 흐름을 이루어 광픽업(도 1의 73)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5는 도 2 메인베이스의 단면도에 공기의 유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베이스(50)는 광디스크(도 3의 D)에 의하여 발생된 공기의 흐름을 광픽업(73)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즉, 광픽업(73) 방향으로 유도통공(도 4의 57)을 통과한 제 3유동(F3)이 향하도록 함으로써, 광픽업(73)의 온도가 일정한 범위 내에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도 2 메인베이스에서의 공기유동을 실험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베이스(50) 내부에 공기의 유동이 발생하고 있음을 실험적으로 알 수 있다. 메인베이스(50) 내부의 색은 그 위치에서의 공기 유동속도를 의미한다. 즉, 파란색에 가까우면 유속이 0.0에 가까우며, 빨간색에 가까우면 유속이 3.0에 가까워짐을 의미한다.
도 6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리브(도 6(b)의 55)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픽업(73) 부분을 나타내는 제 1영역(A1)이 파란색 또는 이에 가까운 색으로 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유도리브(도 6(b)의 55)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광픽업(73) 부분에 공기의 유동이 거의 없음을 의미한다. 광픽업(73) 부분에 유속이 극히 낮거나 유속이 없음으로 인하여, 광픽업(73)에서 발생한 열의 발산이 제한적일 수 있다. 따라서 광픽업(73)의 기능이 온도 조건에 의하여 제한될 수 있다.
도 6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리브(55)가 존재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픽업(73) 부분을 나타내는 제 2영역(A2)이 붉은 색으로 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유도리브(55)가 존재함으로 인하여, 공기의 유동이 발생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광픽업(73) 주위에 강한 공기의 유동이 발생함으로 인하여, 광픽업(73)에서 발생한 열이 효과적으로 분산될 수 있다. 따라서 광픽업(73)의 기능이 온도 조건에 의하여 제한되는 현산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유도리브와 유도통공의 위치를 구체적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유도리브와 유도통공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상의 요청에 따라 구체적인 위치는 가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광디스크드라이브 20 : 하우징
30 : 베젤 40 : 트레이
50 : 메인베이스 60 : 광픽업베이스
70 : 광픽업유닛 80 : 스핀들모터유닛

Claims (7)

  1. 광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광픽업유닛을 포함하는 광픽업베이스; 및
    상기 광픽업베이스를 수용하는 메인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베이스는,
    상기 메인베이스에서 돌출되어 상기 광디스크의 회전으로 인하여 발생한 공기의 흐름을 상기 광픽업유닛으로 유도하는 유도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드라이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베이스는, 상기 메인베이스의 두께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광디스크의 회전면을 포함하는 상측부와, 상기 광픽업베이스가 위치하는 하측부로 구분되며,
    상기 유도리브는, 상기 하측부의 일측에 마련되되, 상기 공기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각인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드라이브.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리브는,
    상기 메인베이스의 전후방향에 대하여, 상기 광디스크 회전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드라이브.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부와 하측부의 경계에는, 상기 경계를 따라 상기 메인베이스의 전후방향으로 상기 광디스크의 회전면과 실질적으로 나란하도록 보강리브가 마련되며,
    상기 보강리브에는, 상기 상측부의 공기의 흐름이 상기 하측부로 연속될 수 있도록 상기 보강리브를 관통하는 유도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드라이브.
  5. 광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광픽업유닛을 포함하는 광픽업베이스; 및
    상기 광픽업베이스를 수용하는 메인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베이스는,
    상기 광디스크의 회전으로 인하여 상기 메인베이스의 내측 외주를 따라 발생한 공기 흐름의 방향이 상기 메인베이스의 중심측인 상기 광픽업유닛을 향하도록 상기 공기 흐름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유도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드라이브.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베이스는,
    상기 광디스크의 회전면과 실질적으로 나란하도록 보강리브가 마련되며,
    상기 보강리브에는, 상기 보강리브의 일측에서 발생한 상기 공기 흐름을 상기 보강리브의 타측으로 유도하도록, 상기 보강리브를 관통하는 유도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드라이브.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베이스는,
    상기 공기 흐름이, 상기 보강리브의 일측에서 발생하여, 상기 유도통공을 통과한 후 상기 보강리브의 타측에 마련된 상기 유도리브에 간섭되는 유로를 형성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드라이브.
KR1020100025714A 2010-03-23 2010-03-23 광디스크드라이브 KR2011010659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714A KR20110106591A (ko) 2010-03-23 2010-03-23 광디스크드라이브
EP11002259A EP2369592A2 (en) 2010-03-23 2011-03-18 Optical disc drive
US13/053,980 US20110239236A1 (en) 2010-03-23 2011-03-22 Optical disc drive
CN2011100769570A CN102201246A (zh) 2010-03-23 2011-03-23 光盘驱动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714A KR20110106591A (ko) 2010-03-23 2010-03-23 광디스크드라이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6591A true KR20110106591A (ko) 2011-09-29

Family

ID=44956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5714A KR20110106591A (ko) 2010-03-23 2010-03-23 광디스크드라이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659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228262A (ja) 光ディスク装置
JP4908883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2004227655A (ja) 記録/再生装置におけるローディング機構
JP2008305446A (ja) 光ディスク装置
KR20110106591A (ko) 광디스크드라이브
KR20040021322A (ko) 광 디스크 드라이브
JP2009266261A (ja)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電子機器
EP2369592A2 (en) Optical disc drive
KR20110106042A (ko) 광디스크드라이브
JP4848459B2 (ja) ディスク装置
JP4185905B2 (ja) ディスク駆動装置
KR20100115998A (ko) 광디스크드라이브
JP2006108324A (ja) 電子装置
US20050102690A1 (en) Optical disk drive capable of dissipating heat and proofing against dust
KR20110107465A (ko) 광디스크드라이브
JP4516396B2 (ja) 電子装置
US20070234376A1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KR20110090440A (ko) 광디스크 드라이브
JP2011165250A (ja) 光ディスク装置
JP2010198706A (ja) 光ディスク装置
JP2005196884A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
WO2009084095A1 (ja) ディスク装置
KR20110085351A (ko) 광디스크 드라이브
JP5035092B2 (ja) ディスク装置
JP2009211786A (ja) ディスク装置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