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6579A - 지능형 네트워크 전환 장치를 위한 장애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능형 네트워크 전환 장치를 위한 장애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6579A
KR20110106579A KR1020100025691A KR20100025691A KR20110106579A KR 20110106579 A KR20110106579 A KR 20110106579A KR 1020100025691 A KR1020100025691 A KR 1020100025691A KR 20100025691 A KR20100025691 A KR 20100025691A KR 20110106579 A KR20110106579 A KR 20110106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terminal
bypass
remote controller
switch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5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9170B1 (ko
Inventor
김종모
황건순
손기명
Original Assignee
(주)이월리서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월리서치 filed Critical (주)이월리서치
Priority to KR1020100025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9170B1/ko
Publication of KR20110106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6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9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9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1/0659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isolating or reconfiguring faulty entities
    • H04L41/0661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isolating or reconfiguring faulty entities by reconfiguring faulty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4Processing captured monitoring data, e.g. for logfile gen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능형 네트워크 전환 장치를 위한 장애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수 또는 복수개의 바이패스 카드에 바이패스 기능을 포함하는 서버나 네트워크 장비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 프로세서가 무선으로 연결되게 함으로써, 관리자와 원격조정자가 각각 관리자 단말기와 원격조정자 단말기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바이패스 상태를 파악할 수가 있어 원격지까지 가지 않고서도 사용자 단말기를 조정을 할 수 있고, 무선 프로세서로부터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무선으로 전달받아 모니터링한 후 사용자 단말기에 이상 장애가 발생할 때, 컴퓨터 운영체계(OS: operating system)가 죽은 상태가 아닌 경우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기에서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네트워크로 접근하여 강제 모드로 바이패스 강제 끄기를 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를 강제로 꺼야하는 상황이 발생할 때, 원격조정자 단말기에서 관리서버를 통해 원격에서 접근이 가능한 경우, 원격지에서 원격조정자 단말기로부터 리셋신호를 하드웨어적으로 발생시켜서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강제로 리부팅함으로써, 원격지에서도 사용자 단말기의 모니터링 및 액션이 가능하고, 관리자 단말기 또는 관리서버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한 후 각각 전자메일, 메신저, SMS 중에서 단수 또는 복수로 원격조정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줌으로써, 원격조정자 단말기에서 사용자 단말기를 원격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능형 네트워크 전환 장치를 위한 장애 관리 시스템{System for fault management for intelligent network switching apparatus}
본 발명은 단수 또는 복수개의 바이패스 카드에 바이패스 기능을 포함하는 서버나 네트워크 장비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 프로세서가 무선으로 연결되게 함으로써, 관리자와 원격조정자가 각각 관리자 단말기와 원격조정자 단말기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바이패스 상태를 파악할 수가 있어 원격지까지 가지 않고서도 사용자 단말기를 조정을 할 수 있고, 무선 프로세서로부터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무선으로 전달받아 모니터링한 후 사용자 단말기에 이상 장애가 발생할 때, 컴퓨터 운영체계(OS: operating system)가 죽은 상태가 아닌 경우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기에서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네트워크로 접근하여 강제 모드로 바이패스 강제 끄기를 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를 강제로 꺼야하는 상황이 발생할 때, 원격조정자 단말기에서 관리서버를 통해 원격에서 접근이 가능한 경우, 원격지에서 원격조정자 단말기로부터 리셋신호를 하드웨어적으로 발생시켜서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강제로 리부팅함으로써, 원격지에서도 사용자 단말기의 모니터링 및 액션이 가능하고, 관리자 단말기 또는 관리서버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한 후 각각 전자메일, 메신저, SMS 중에서 단수 또는 복수로 원격조정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줌으로써, 원격조정자 단말기에서 사용자 단말기를 원격 조정할 수 있는 지능형 네트워크 전환 장치를 위한 장애 관리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바이패스 카드는 네트워크 장비나 서버에 장착되어 네트워크 장비나 서버의 상태를 확인하고 있다가, 네트워크 장비나 서버에 문제가 발생할 때 바이패스 기능을 수행하지만, 네트워크 장비나 서버에 장착되어 있는 바이패스 카드의 바이패스의 전환상태를 원격지에서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컴퓨터, 네트워크 장비, 서버 등에 장애가 발생하여 점검하거나 초기화시킬 때에도 컴퓨터나 네트워크 장비나 서버 등이 있는 위치까지 직접 가서 확인 및 점검을 하고 조치를 취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컴퓨터나 네트워크 장비나 서버에 문제가 발생하여 리부트하는 경우에도 직접 컴퓨터나 네트워크 장비나 서버가 있는 곳까지 가야하고 원격지에서는 전혀 손을 쓸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관리자와 원격조정자가 각각 관리자 단말기와 원격조정자 단말기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바이패스 상태를 파악할 수가 있어 원격지까지 가지 않고서도 사용자 단말기를 조정을 할 수 있고, 무선 프로세서로부터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무선으로 전달받아 모니터링한 후 사용자 단말기에 이상 장애가 발생할 때, 컴퓨터 운영체계(OS)가 죽은 상태가 아닌 경우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기에서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네트워크로 접근하여 강제 모드로 바이패스 강제 끄기를 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를 강제로 꺼야하는 상황이 발생할 때, 원격조정자 단말기에서 관리서버를 통해 원격에서 접근이 가능한 경우, 원격지에서 원격조정자 단말기로부터 리셋신호를 하드웨어적으로 발생시켜서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강제로 리부팅함으로써, 원격지에서도 사용자 단말기의 모니터링 및 액션이 가능하고, 관리자 단말기 또는 관리서버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한 후 각각 전자메일, 메신저, SMS 중에서 단수 또는 복수로 원격조정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줌으로써, 원격조정자 단말기에서 사용자 단말기를 원격 조정할 수 있는 지능형 네트워크 전환 장치를 위한 장애 관리 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착상된 것으로서, 단수 또는 복수개의 바이패스 카드에 바이패스 기능을 포함하는 서버나 네트워크 장비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 프로세서가 무선으로 연결되게 함으로써, 관리자와 원격조정자가 각각 관리자 단말기와 원격조정자 단말기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바이패스 상태를 파악할 수가 있어 원격지까지 가지 않고서도 사용자 단말기를 조정을 할 수 있는 지능형 네트워크 전환 장치를 위한 장애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 프로세서로부터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무선으로 전달받아 모니터링한 후 사용자 단말기에 이상 장애가 발생할 때, 컴퓨터 운영체계(OS: operating system)가 죽은 상태가 아닌 경우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기에서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네트워크로 접근하여 강제 모드로 바이패스 강제 끄기를 할 수 있는 지능형 네트워크 전환 장치를 위한 장애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 단말기를 강제로 꺼야하는 상황이 발생할 때, 원격조정자 단말기에서 관리서버를 통해 원격에서 접근이 가능한 경우, 원격지에서 원격조정자 단말기로부터 리셋신호를 하드웨어적으로 발생시켜서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강제로 리부팅함으로써, 원격지에서도 사용자 단말기의 모니터링 및 액션이 가능한 지능형 네트워크 전환 장치를 위한 장애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관리자 단말기 또는 관리서버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한 후 각각 전자메일, 메신저, SMS 중에서 단수 또는 복수로 원격조정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줌으로써, 원격조정자 단말기에서 사용자 단말기를 원격 조정할 수 있는 지능형 네트워크 전환 장치를 위한 장애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네트워크 전환 장치를 위한 장애 관리 시스템은 단수 또는 복수개의 컴퓨터에 형성되어 인터넷을 접속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갖는 복수개의 바이패스 카드용 코드 연결부와, 상기 복수개의 바이패스 카드용 코드 연결부와 연결되게 하는 기능을 갖는 단수 또는 복수개의 바이패스 카드와, 상기 단수 또는 복수개의 바이패스 카드에 연결되며, 특정한 신호에 따라 데이터가 바이패스되게 하는 기능을 갖는 릴레이부와, 사용자 단말기의 데이터 신호를 처리하여 관리자 단말기 또는 관리서버로 무선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 무선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바이패스 상태정보를 무선 프로세서를 통해 무선으로 전달받아 모니터링하는 기능과, 상기 모니터링 후 사용자 단말기에 이상 장애가 발생할 때, 컴퓨터 운영체계(OS)가 죽은 상태가 아닌 경우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기에서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네트워크로 접근하여 강제 모드로 바이패스 강제 끄기를 하는 기능을 갖는 관리자 단말기;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무선 프로세서 간의 통신과, 무선 프로세서와 관리자 단말기 간의 통신은 블루투스, 와이파이(WiFi) 중에서 선택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강제로 꺼야하는 상황이 발생할 때, 관리서버를 통해 원격에서 접근이 가능한 경우, 원격지에서 원격조정자 단말기로부터 리셋신호를 하드웨어적으로 발생시켜서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강제로 리부팅하여 원격지에서도 사용자 단말기의 모니터링 및 액션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 원격조정자 단말기; 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 또는 관리서버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정보를 모니터링한 후 각각 전자메일, 메신저, SMS 중에서 단수 또는 복수로 원격조정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기를 원격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원격조정자 단말기; 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와 원격조정자 단말기는 컴퓨터, 휴대폰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서버, 네트워크 장비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네트워크 전환 장치를 위한 장애 관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은 단수 또는 복수개의 바이패스 카드에 바이패스 기능을 포함하는 서버나 네트워크 장비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 프로세서가 무선으로 연결되게 함으로써, 관리자와 원격조정자가 각각 관리자 단말기와 원격조정자 단말기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바이패스 상태를 파악할 수가 있어 원격지까지 가지 않고서도 사용자 단말기를 조정을 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무선 프로세서로부터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무선으로 전달받아 모니터링한 후 사용자 단말기에 이상 장애가 발생할 때, 컴퓨터 운영체계(OS: operating system)가 죽은 상태가 아닌 경우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기에서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네트워크로 접근하여 강제 모드로 바이패스 강제 끄기를 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를 강제로 꺼야하는 상황이 발생할 때, 원격조정자 단말기에서 관리서버를 통해 원격에서 접근이 가능한 경우, 원격지에서 원격조정자 단말기로부터 리셋신호를 하드웨어적으로 발생시켜서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강제로 리부팅함으로써, 원격지에서도 사용자 단말기의 모니터링 및 액션이 가능하다.
넷째, 본 발명은 관리자 단말기 또는 관리서버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한 후 각각 전자메일, 메신저, SMS 중에서 단수 또는 복수로 원격조정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줌으로써, 원격조정자 단말기에서 사용자 단말기를 원격 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네트워크 전환 장치를 위한 장애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인 지능형 네트워크 전환 장치를 위한 장애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네트워크 전환 장치를 위한 장애 관리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네트워크 전환 장치를 위한 장애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능형 네트워크 전환 장치를 위한 장애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 무선 프로세서(140), 관리자 단말기(200), 관리서버(300), 원격조정자 단말기(400) 등을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인 지능형 네트워크 전환 장치를 위한 장애 관리 시스템은 단수 또는 복수개의 컴퓨터에 형성되어 인터넷을 접속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갖는 복수개의 바이패스 카드용 코드 연결부(110)와, 상기 복수개의 바이패스 카드용 코드 연결부와 연결되게 하는 기능을 갖는 단수 또는 복수개의 바이패스 카드(120)와, 상기 단수 또는 복수개의 바이패스 카드에 연결되며, 특정한 신호에 따라 데이터가 바이패스되게 하는 기능을 갖는 릴레이부(130)와, 사용자 단말기의 데이터 신호를 처리하여 관리자 단말기 또는 관리서버로 무선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 무선 프로세서(140)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바이패스 상태정보를 무선 프로세서를 통해 무선으로 전달받아 모니터링하는 기능과, 상기 모니터링 후 사용자 단말기에 이상 장애가 발생할 때, 컴퓨터 운영체계(OS)가 죽은 상태가 아닌 경우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기에서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네트워크로 접근하여 강제 모드로 바이패스 강제 끄기를 하는 기능을 갖는 관리자 단말기(200); 를 구비한다.
상기 본 발명인 지능형 네트워크 전환 장치를 위한 장애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술적 수단들의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단수 또는 복수개의 컴퓨터에 형성되어 인터넷을 접속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갖는 복수개의 바이패스 카드용 코드 연결부(110)와, 상기 복수개의 바이패스 카드용 코드 연결부와 연결되게 하는 기능을 갖는 단수 또는 복수개의 바이패스 카드(120)와, 상기 단수 또는 복수개의 바이패스 카드에 연결되며, 특정한 신호에 따라 데이터가 바이패스되게 하는 기능을 갖는 릴레이부(130)와, 사용자 단말기의 데이터 신호를 처리하여 관리자 단말기 또는 관리서버로 무선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 무선 프로세서(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릴레이부(130)에서는 예를 들어, 만일 Watchdog timer를 60sec로 정해놓을 경우, 60sec가 지나도 신호를 발생하지 않으면 바이패스되게 하고, 그렇지 않으면 바이패스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 상기 데이터는 바이패스 카드에서 특정한 신호에 따라 바이패스되는 데이터는 물론 바이패스되는 상태정보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관리자 단말기(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바이패스 상태정보를 무선 프로세서를 통해 무선으로 전달받아 모니터링하는 기능과, 상기 모니터링 후 사용자 단말기에 이상 장애가 발생할 때, 컴퓨터 운영체계(OS)가 죽은 상태가 아닌 경우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기에서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네트워크로 접근하여 강제 모드로 바이패스 강제 끄기를 하는 기능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와 무선 프로세서(140) 간의 통신과, 무선 프로세서(140)와 관리자 단말기(200) 간의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중에서 선택되어지는 것이다.
상기 블루투스(Bluetooth)는 1994년 에릭슨이 최초로 개발한 개인 근거리 무선 통신(PANs)을 위한 산업 표준으로서, 나중에 블루투스 SIG에 의해 정식화되었고, 1999년 5월 20일 공식적으로 발표된 바 있다. IEEE 802.15.1 규격을 사용하는 블루투스는 PANs(Personal Area Networks)의 산업 표준이다. 블루투스는 다양한 기기들이 안전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전 세계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무선 주파수를 이용해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하는데, 블루투스라는 이름은 10세기의 덴마크 왕 헤럴드 블루투스에서 유래했는데, 대립국면에 있는 파벌들과 협상하는데 있어서 특히 유명했다. 다시 말해, 다른 장치들끼리 통신할 수 있게 하는 이 기술에 적합한 이름이다.
블루투스는 ISM 대역인 2.45GHz를 사용한다. 버전 1.1과 1.2의 경우 속도가 초당 723.1 킬로비트에 달하며, 버전 2.0의 경우 EDR(Enhanced Data Rate)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를 통해 초당 2.1 메가비트의 속도를 낼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는 유선 USB를 대체하는 개념이며, 와이파이(Wi-Fi)는 이더넷(Ethernet)을 대체하는 개념이다. 암호화에는 SAFER(Secure And Fast Encryption Routine)+을 사용한다. 장치끼리 믿음직한 연결을 성립하려면 키워드를 이용한 페어링(pairng)이 이루어지는데, 이 과정이 없는 경우도 있다.
또한 Wi-Fi(와이파이)는 전파나 적외선 전송 방식을 이용하는 근거리 통신망으로서, 보통 ‘무선 랜’이라고 한다. 무선 랜을 하이파이 오디오처럼 편리하게 쓸 수 있다는 뜻에서 ‘와이파이(wi-fi)‘라는 별칭으로 쓰이게 되었으며, 홈 네트워킹, 휴대전화, 비디오 게임 등에 쓰이는 유명한 무선 기술의 이름이다. 와이파이의 주된 목적은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 매체, 스트림에 무선 접근을 사용하여 복잡함을 보이지 않게 하는 것이고, 정보를 더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하며, 호환성, 장치와의 공존을 보장하고, 케이블과 선을 제거한 기술이다.
또한 원격조정자 단말기(4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를 강제로 꺼야하는 상황이 발생할 때, 관리서버(300)를 통해 원격에서 접근이 가능한 경우, 원격지에서 원격조정자 단말기(400)로부터 리셋신호를 하드웨어적으로 발생시켜서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강제로 리부팅하여 원격지에서도 사용자 단말기(100)의 모니터링 및 액션을 행하는 기능을 갖으며, 상기 관리자 단말기(200) 또는 관리서버(300)에서 사용자 단말기(100)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한 후 각각 전자메일, 메신저, SMS 중에서 단수 또는 복수개로 원격조정자 단말기(400)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기를 원격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300)와 원격조정자 단말기(400)는 컴퓨터, 휴대폰 중에서 어느 하나이고,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는 서버, 네트워크 장비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각종 단말기에 사용되는 백업시스템은 물론 전자기기 관련 이중화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하며, 각종 관제시스템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기 110: 바이패스카드용 코드 연결부
120: 바이패스 카드 130: 릴레이부
140: 무선 프로세서 200: 관리자 단말기
300: 관리서버 400: 원격조정자 단말기

Claims (6)

  1. 지능형 네트워크 전환 장치를 위한 장애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단수 또는 복수개의 컴퓨터에 형성되어 인터넷을 접속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갖는 복수개의 바이패스 카드용 코드 연결부와, 상기 복수개의 바이패스 카드용 코드 연결부와 연결되게 하는 기능을 갖는 단수 또는 복수개의 바이패스 카드와, 상기 단수 또는 복수개의 바이패스 카드에 연결되며, 특정한 신호에 따라 데이터가 바이패스되게 하는 기능을 갖는 릴레이부와, 사용자 단말기의 데이터 신호를 처리하여 관리자 단말기 또는 관리서버로 무선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 무선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바이패스 상태정보를 무선 프로세서를 통해 무선으로 전달받아 모니터링하는 기능과, 상기 모니터링 후 사용자 단말기에 이상 장애가 발생할 때, 컴퓨터 운영체계(OS)가 죽은 상태가 아닌 경우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기에서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네트워크로 접근하여 강제 모드로 바이패스 강제 끄기를 하는 기능을 갖는 관리자 단말기;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네트워크 전환 장치를 위한 장애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무선 프로세서 간의 통신과, 무선 프로세서와 관리자 단말기 간의 통신은 블루투스, 와이파이(WiFi) 중에서 선택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네트워크 전환 장치를 위한 장애 관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강제로 꺼야하는 상황이 발생할 때, 관리서버를 통해 원격에서 접근이 가능한 경우, 원격지에서 원격조정자 단말기로부터 리셋신호를 하드웨어적으로 발생시켜서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강제로 리부팅하여 원격지에서도 사용자 단말기의 모니터링 및 액션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 원격조정자 단말기; 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네트워크 전환 장치를 위한 장애 관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 또는 관리서버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정보를 모니터링한 후 각각 전자메일, 메신저, SMS 중에서 단수 또는 복수개로 원격조정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기를 원격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원격조정자 단말기; 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네트워크 전환 장치를 위한 장애 관리 시스템.
  5. 제 1항, 제 3항, 제 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와 원격조정자 단말기는 컴퓨터, 휴대폰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네트워크 전환 장치를 위한 장애 관리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서버, 네트워크 장비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네트워크 전환 장치를 위한 장애 관리 시스템.
KR1020100025691A 2010-03-23 2010-03-23 지능형 네트워크 전환 장치를 위한 장애 관리 시스템 KR101069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691A KR101069170B1 (ko) 2010-03-23 2010-03-23 지능형 네트워크 전환 장치를 위한 장애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691A KR101069170B1 (ko) 2010-03-23 2010-03-23 지능형 네트워크 전환 장치를 위한 장애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6579A true KR20110106579A (ko) 2011-09-29
KR101069170B1 KR101069170B1 (ko) 2011-09-30

Family

ID=44958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5691A KR101069170B1 (ko) 2010-03-23 2010-03-23 지능형 네트워크 전환 장치를 위한 장애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91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7991A1 (ko) * 2015-10-02 2017-04-06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 메시지 서버의 차량관리방법 및 차량 단말의 차량관리방법
CN111858114A (zh) * 2019-04-30 2020-10-30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设备启动异常处理,设备启动控制方法、装置及系统
CN113824787A (zh) * 2021-09-22 2021-12-21 深圳维盟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控制终端重启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2248A (ko) * 2003-04-25 2004-11-03 정평모비컴(주) 전산자원의 원격제어 관리 시스템
KR20060028956A (ko) * 2004-09-30 2006-04-04 주식회사 케이티 댁내 단말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630103B1 (ko) 2005-05-24 200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합 리모트컨트롤 시스템
KR101121537B1 (ko) * 2005-09-29 2012-03-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유무선 통신망을 통한 원격 관리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7991A1 (ko) * 2015-10-02 2017-04-06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 메시지 서버의 차량관리방법 및 차량 단말의 차량관리방법
CN111858114A (zh) * 2019-04-30 2020-10-30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设备启动异常处理,设备启动控制方法、装置及系统
CN113824787A (zh) * 2021-09-22 2021-12-21 深圳维盟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控制终端重启的方法
CN113824787B (zh) * 2021-09-22 2024-03-29 深圳维盟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控制终端重启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9170B1 (ko) 201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3353B2 (en) Wireless automotive interface device
CN108512870B (zh) 接入物联网平台的方法、物联网平台和物联网设备
CN106161163B (zh) 一种高集成度的多媒体智能家庭网关、管理系统及电视盒
JP2010527473A (ja) センサネットワークのノードの作用を動的に構成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5745869A (zh) 用于区域性网络/家庭网络的安全网关
US9369229B2 (en) Communications device
JP2016524422A (ja) コンフィギュレーション接続装置
CN113194550B (zh) 数据通道的构建方法、服务器及数据集群系统
JP4490499B2 (ja) 通信端末、中継機器、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0324193A (zh) 一种终端升级管理方法及装置
KR101069170B1 (ko) 지능형 네트워크 전환 장치를 위한 장애 관리 시스템
WO2017101762A1 (zh) 一种协商模式处理方法及智能网络设备
WO2015180265A1 (zh) 多链路保护倒换的方法及装置
CN111737084A (zh) 信息的监控方法、装置、智能设备、计算机设备和介质
KR101601680B1 (ko) 클라우드 컴퓨팅 방법, 이를 수행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US9686325B2 (en) Client terminal's tethering function is selectively turn on or off based on network connection
CN111225192A (zh) 一种双模式视频采集传输方法及传输系统
CN102801903A (zh) 一种具有射频网关功能的网络摄像机
CN203206281U (zh) 源代码保护机和源代码保护系统
US10419484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security devices within secure networks
JP5847064B2 (ja) 簡易型監視制御装置
US10127786B1 (en) Internet protocol monitor security apparatus and methods
CN112751706A (zh) 一种目标数据的传输方法和装置
EP2868040B1 (en) A device and a method at the device for configuring a wireless interface
JP5893226B2 (ja) データ伝送方法、マルチメディアアクセスポイント及びマルチメディアクライア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