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5919A - 인터리브 방식의 pfc 플라이백 컨버터 - Google Patents

인터리브 방식의 pfc 플라이백 컨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5919A
KR20110105919A KR1020100025049A KR20100025049A KR20110105919A KR 20110105919 A KR20110105919 A KR 20110105919A KR 1020100025049 A KR1020100025049 A KR 1020100025049A KR 20100025049 A KR20100025049 A KR 20100025049A KR 20110105919 A KR20110105919 A KR 20110105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fc
voltage
transformer
converter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5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1106B1 (ko
Inventor
이현행
임민수
박정오
Original Assignee
유양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양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양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5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1106B1/ko
Publication of KR20110105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5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1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1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02M3/158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with a plurality of power processing stages connected in parallel
    • H02M3/158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with a plurality of power processing stages connected in parallel switched with a phase shift, i.e. interleav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43Converters switched with a phase shift, i.e. interleav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02M1/4208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 H02M1/4225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using a non-isolated boost conver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10Efficient use of energy, e.g. using compressed air or pressurized fluid as energy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Rect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리브 방식의 PFC 플라이백 컨버터에 관한 것으로,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전원입력부와; 상기 전원입력부의 전력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형성된 PFC(Power.Factor.Correction) 컨버터 제어부와; 상기 PFC컨버터제어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로 인해 활성화되는 트랜스포머(T1, T2)와; 상기 PFC컨버터제어부로부터 검출된 전류 파형으로 인해 상기 트랜스포머(T1, T2)를 선택적으로 도통 또는 단락(ON/OFF)시키는 스위치(Q1, Q2)와, 상기 스위치(Q1, Q2)가 도통됨에 따라 동작되는 트랜스포머(T1, T2)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정류시키는 다이오드(D1,D2)와; 상기 다이오드(D1,D2)에 의해 정류된 직류를 다시 교류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인버터 컨트롤러을 포함함으로서,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여 경부하일 경우에는 단일 스위칭구동을 하며, 중부하일 경우에는 180°의 위상차를 가지고 스위치 Q1과 Q2는 서로 교번으로 온오프 동작을 하여, 트랜스포머, 스위칭소자, 다이오드류 등에 흐르는 전류를 1/2로 감소시켜 각각의 소자에 발열을 줄임으로서, 제어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소자선택에 있어서 용이한 인터리브 방식의 PFC 플라이백 컨버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터리브 방식의 PFC 플라이백 컨버터{Interleaved PFC Flyback Converter}
본 발명은 인터리브 방식의 PFC 플라이백 컨버터에 관한 것으로,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전원입력부와; 상기 전원입력부의 전력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형성된 PFC(Power.Factor.Correction) 컨버터 제어부와; 상기 PFC컨버터제어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로 인해 활성화되는 트랜스포머(T1, T2)와; 상기 PFC컨버터제어부로부터 검출된 전류 파형으로 인해 상기 트랜스포머(T1, T2)를 선택적으로 도통 또는 단락(ON/OFF)시키는 스위치(Q1, Q2)와, 상기 스위치(Q1, Q2)가 도통됨에 따라 동작되는 트랜스포머(T1, T2)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정류시키는 다이오드(D1,D2)와; 상기 다이오드(D1,D2)에 의해 정류된 직류를 다시 교류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인버터 컨트롤러를 포함함으로서,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여 경부하일 경우에는 단일 스위칭구동을 하며, 중부하일 경우에는 180°의 위상차를 가지고 스위치 Q1과 Q2는 서로 교번으로 온오프 동작을 하여, 트랜스포머, 스위칭소자, 다이오드류 등에 흐르는 전류를 1/2로 감소시켜 각각의 소자에 발열을 줄임으로서, 제어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소자선택에 있어서 용이한 인터리브 방식의 PFC 플라이백 컨버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Interleaved PFC는 그 출력전압이 AC를 정류하여 쓰게 되었을 경우에 단일 스테이지에서 380~400Vdc 이상을 출력하게 되는 부스트 컨버터 형식이다.
그러므로 강압된 전압을 쓰게 될 경우에는 추가로 DC to DC stage가 필요로 하게 되며 공진형, 벅타입, 포워드타입, 플라이백타입의 회로등이 사용되어야 한다. 이렇게 추가된 회로에 인해서 단가가 늘어나고 사이즈가 커지며 효율이 감소하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 스위칭 방식과 달리 2-Phase 병렬구동을 하므로 기존 방식에 비해 트랜스포머, 스위칭 소자, 다이오드류 등에 흐르는 전류를 1/2로 감소 시켜 각각의 소자에 발열을 줄여 제어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소자선택에 있어서 용이한 인터리브 방식의 PFC 플라이백 컨버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출력컨덴서에 충전되는 리플전류를 줄여 커패시터의 스트레스가 감소되어 출력 커패시터용량을 줄일 수 있는 인터리브 방식의 PFC 플라이백 컨버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논평판형광램프용 전자식 제어장치로서 중요한 트랜스포머, EMI 필터 등 각 소자의 크기를 줄여 슬림한 형태의 제어장치의 설계가 가능한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인터리브 방식의 PFC 플라이백 컨버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출력측에 단락시 기존방식에서는 인버터의 동작만을 멈추고 컨버터의 동작을 최소의 듀티(Duty)로 동작하던 방식을 본 발명에서는 입력단의 컨버터의 동작을 멈춰 출력측 단락시 대기 전력을 최소화하여 에너지 절감을 이루어내며,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인터리브 방식의 PFC 플라이백 컨버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인터리브 방식의 PFC 플라이백 컨버터는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전원입력부(10)와; 상기 전원입력부의 전력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형성된 PFC(Power.Factor.Correction) 컨버터 제어부(20)와; 상기 PFC컨버터제어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로 인해 활성화되는 트랜스포머 (30) (T1, T2)와; 상기 PFC컨버터제어부로부터 검출된 전류 파형으로 인해 상기 트랜스포머(30)(T1, T2)를 선택적으로 도통 또는 단락(ON/OFF)시키는 스위치(40)(Q1, Q2)와, 상기 스위치(40)(Q1, Q2)가 도통됨에 따라 동작되는 트랜스포머(30)(T1, T2)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정류시키는 다이오드(50)(D1,D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트랜스포머(T1,T2)가 활성되면 2차측 보조권선으로 제어부에서 영전압을 검출하게 되며 전류 검출저항으로 동작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입력 전압파형과 전류의 파형의 위상을 동조시켜 역률개선을 수행함과 동시에 병렬 연결된 스위치(Q1)과 또 다른 스위치(Q2)가 180도 위상 반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위치가 동작됨과 동시에 트랜스포머는 인덕터로 활용하며, 스위치가 on 되면 변압기의 자화 인덕턴스가 충전되고, 스위치가 off 되면 자화 인덕턴스의 전류가 변압기 2 차 측으로 넘어가면서 출력전압을 만들어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과 결합관계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인터리브 방식의 PFC 플라이백 컨버터는 단일 스위칭 방식과 달리 2-Phase 병렬구동을 하므로 기존 방식에 비해 트랜스포머, 스위칭 소자, 다이오드류 등에 흐르는 전류를 1/2로 감소 시켜 각각의 소자에 발열을 줄여 제어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소자선택에 있어서 용이한 효과를 지닌다.
본 발명의 인터리브 방식의 PFC 플라이백 컨버터는 출력컨덴서에 충전되는 리플전류를 줄여 커패시터의 스트레스가 감소되어 출력 커패시터용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터리브 방식의 PFC 플라이백 컨버터는 제논평판형광램프용 전자식 제어장치로서 중요한 트랜스포머, EMI 필터 등 각 소자의 크기를 줄여 슬림한 형태의 제어장치의 설계가 가능한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터리브 방식의 PFC 플라이백 컨버터는 출력측에 단락시 기존방식에서는 인버터의 동작만을 멈추고 컨버터의 동작을 최소의 듀티(Duty)로 동작하던 방식을 본 발명에서는 입력단의 컨버터의 동작을 멈춰 출력측 단락시 대기 전력을 최소화하여 에너지 절감을 이루어내며,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도1 내지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리브 방식의 PFC 플라이백 컨버터에 관한 회로 구성도
본 발명은 스튜디오 조명과 같은 특수 조명에 삽입되는 컨버터에 관한 것으로,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여 경부하일 경우에는 단일 스위칭구동을 하며, 중부하일 경우에는 180°의 위상차를 가지고 스위치 Q1과 Q2는 서로 교번으로 온오프 동작을 하여, 프랜스포머, 스위칭소자, 다이오드류 등에 흐르는 전류를 1/2로 감소시켜 각각의 소자에 발열을 줄임으로서, 제어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소자선택에 있어서 용이한 인터리브 방식의 PFC 플라이백 컨버터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특히 이하에 기술될 구성, 방법 기타의 실시예는 실시에 필요한 설명을 위한 것 일뿐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이 아니다.
도1 내지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리브 방식의 PFC 플라이백 컨버터에 관한 회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리브 방식의 PFC 플라이백 컨버터는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전원입력부(10)와;
상기 전원입력부의 전력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형성된 PFC(Power.Factor.Correction) 컨버터 제어부(20)와;
상기 PFC컨버터제어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로 인해 활성화되는 트랜스포머 (30) (T1, T2)와;
상기 PFC컨버터제어부로부터 검출된 전류 파형으로 인해 상기 트랜스포머(30)(T1, T2)를 선택적으로 도통 또는 단락(ON/OFF)시키는 스위치(40)(Q1, Q2)와,
상기 스위치(40)(Q1, Q2)가 도통됨에 따라 동작되는 트랜스포머(30)(T1, T2)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정류시키는 다이오드(50)(D1,D2)와;
상기 다이오드(50)(D1,D2)에 의해 정류된 직류를 다시 교류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인버터컨트롤러(60)을 포함한다.
상기 전원입력부(10)는 브릿지다이오드(11)(BD1)와, 입력컨덴서(12)(C1)를 포함하여 AC INPUT으로 부터 인가되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PFC(Power.Factor.Correction) 컨버터 제어부(20)는 Drive IC가 포함되어 사용하는데, 초기 점등시 컨버터 출력단에 피드백 전압이 없으면 Drive IC는 동작을 하지 않으므로 초기 시동시 정류된 상용전원을 이용하여 순시적으로 피드백 전압을 만들어 Drive IC를 동작시킬수 있도록 한다.
상기 트랜스포머 (30) (T1, T2)는 고주파동작을 하는 Converter를 2-Phase 방식으로 병렬구동을 하므로 PCB 패턴에 있어 고주파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주의하여 설계하고, 상기 트랜스포머 (30) (T1, T2)의 누설 성분으로 인한 불필요한 공진이 발생하여 스위칭 손실 및 파괴에 대한 위험성을 제기하기 위하여 트랜스포머 설계시 누설 성분을 최소로 줄이도록 설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트랜스포머의 인덕턴스는 설계식 1를 따르게 하고,
Figure pat00001
(1)
트랜스모머의 턴 비는 설계식(2)을 따르게 한다.
Figure pat00002
(2)
도1 내지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컨버터 회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브릿지다이오드(BD1)로 정류된 1차 전압을 PFC(Power.Factor.Correction)컨버터의 제어부에서 검출하고 초기 시동을 위해서 제어부로 전원신호가 들어가 제어부에서 최초의 게이트 펄스를 스위치(40)(Q1)이 동작하여 트랜스포머(30)(T1)를 활성화시키게 된다.
상기 트랜스포머(30)(T1)가 활성화되면 1차측 보조권선으로 제어부에서 영전압을 검출하게 되며 전류 검출저항으로 동작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입력 전압파형과 전류의 파형의 위상을 동조시켜 역률개선을 수행함과 동시에 병렬 연결된 스위치(40)(Q1)과 또 다른 스위치(40)(Q2)가 180도 위상 반전함으로서,
위상이 반전된 스위치(40)(Q2)가 동작됨과 동시에 트랜스포머(30)(T2)는 자화인덕턴스 성분을 인덕터로 활용하며, 스위치가 on 되면 변압기의 자화 인덕턴스가 충전되고, 스위치가 off 되면 자화 인덕턴스의 전류가 변압기 2 차 측으로 넘어가면서 출력전압을 만들어 낸다.
출력전압을 얻기 위하여 컨버터는 기본적으로 입력전압의 위상에 전류의 위상을 동조하여 역률 개선을 함과 동시에 강압된 전압을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일 스위칭 방식과 달리 2-Phase 병렬구동을 하므로 트랜스포머, 스위칭 소자, 다이오드류 등에 흐르는 전류를 1/2로 감소시켜 각각의 소자에 발열을 줄여 제어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소자선택에 있어서 용이한 이점이 있으며, 출력컨덴서에 충전되는 리플전류를 줄여 커패시터의 스트레스가 감소됨으로 출력 커패시터용량을 줄일 수 있고, 제논평판형광램프용 전자식 제어장치로서 중요한 트랜스포머, EMI 필터 등 각 소자의 크기를 줄여 슬림한 형태의 제어장치의 설계가 가능하다.
또한, 입력단의 컨버터의 동작을 멈춰 출력측 단락시 대기 전력을 최소화하여 에너지 절감을 이루어내며, 안정성을 증대시켜 미연에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전원입력부 11 : 브릿지다이오드
12 : 입력컨덴서 20 : PFC컨버터제어부
30 : 트랜스포머 40 : 스위치
50 : 다이오드 60 : 인버터컨트롤러

Claims (3)

  1.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전원입력부(10)와;
    상기 전원입력부의 전력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형성된 PFC(Power.Factor.Correction) 컨버터 제어부(20)와;
    상기 PFC컨버터제어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로 인해 활성화되는 트랜스포머 (30) (T1, T2)와;
    상기 PFC컨버터제어부로부터 검출된 전류 파형으로 인해 상기 트랜스포머(30)(T1, T2)를 선택적으로 도통 또는 단락(ON/OFF)시키는 스위치(40)(Q1, Q2)와,
    상기 스위치(40)(Q1, Q2)가 도통됨에 따라 동작되는 트랜스포머(30)(T1, T2)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정류시키는 다이오드(50)(D1,D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리브 방식의 PFC 플라이백 컨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머(T1,T2)가 활성되면 1차측 보조권선으로 제어부에서 영전압을 검출하게 되며 전류 검출저항으로 동작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입력 전압파형과 전류의 파형의 위상을 동조시켜 역률개선을 수행함과 동시에 병렬 연결된 스위치(Q1)과 또 다른 스위치(Q2)가 180도 위상 반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리브 방식의 PFC 플라이백 컨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가 동작됨과 동시에 트랜스포머는 인덕터로 활용하며, 스위치가 on 되면 변압기의 자화 인덕턴스가 충전되고, 스위치가 off 되면 자화 인덕턴스의 전류가 변압기 2 차 측으로 넘어가면서 출력전압을 만들어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리브 방식의 PFC 플라이백 컨버터
KR1020100025049A 2010-03-22 2010-03-22 인터리브 방식의 pfc 플라이백 컨버터 KR101111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049A KR101111106B1 (ko) 2010-03-22 2010-03-22 인터리브 방식의 pfc 플라이백 컨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049A KR101111106B1 (ko) 2010-03-22 2010-03-22 인터리브 방식의 pfc 플라이백 컨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919A true KR20110105919A (ko) 2011-09-28
KR101111106B1 KR101111106B1 (ko) 2012-02-13

Family

ID=44956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5049A KR101111106B1 (ko) 2010-03-22 2010-03-22 인터리브 방식의 pfc 플라이백 컨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110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272B1 (ko) * 2013-01-22 2013-06-26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라이 백 동작을 수행하는 조명장치
US8866455B2 (en) 2012-12-11 2014-10-2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US9077246B2 (en) 2012-12-20 2015-07-07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Flyback converter having auxiliary switch and auxiliary inductor
CN106571666A (zh) * 2015-10-08 2017-04-19 现代自动车株式会社 操作用于环保型车辆的车载充电器的方法和系统
CN107658955A (zh) * 2017-10-31 2018-02-02 厦门马恒达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车载充电机节能省电控制装置及控制方法
KR20190016382A (ko) * 2017-08-08 2019-02-18 주식회사 젬 Led 조명용 컨버터의 역률 개선 장치 및 방법
CN113162393A (zh) * 2021-04-25 2021-07-23 西安领充创享新能源科技有限公司 功率因数校正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3162392A (zh) * 2021-04-25 2021-07-23 西安领充创享新能源科技有限公司 功率因数校正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6595A (en) 1994-02-25 1998-08-18 Astec International Limited Interleaved continuous flyback power converter system
US8537572B2 (en) 2007-09-28 2013-09-17 Enphase Ener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ower conversion using an interleaved flyback converter with automatic balancing
KR101414629B1 (ko) * 2007-12-04 2014-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리브 pfc 회로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pfc 회로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66455B2 (en) 2012-12-11 2014-10-2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US9077246B2 (en) 2012-12-20 2015-07-07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Flyback converter having auxiliary switch and auxiliary inductor
KR101279272B1 (ko) * 2013-01-22 2013-06-26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라이 백 동작을 수행하는 조명장치
CN106571666B (zh) * 2015-10-08 2021-09-10 现代自动车株式会社 操作用于环保型车辆的车载充电器的方法和系统
US10195947B2 (en) 2015-10-08 2019-02-05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system of operating on-board charger for eco-friendly vehicle
CN106571666A (zh) * 2015-10-08 2017-04-19 现代自动车株式会社 操作用于环保型车辆的车载充电器的方法和系统
KR20190016382A (ko) * 2017-08-08 2019-02-18 주식회사 젬 Led 조명용 컨버터의 역률 개선 장치 및 방법
CN107658955A (zh) * 2017-10-31 2018-02-02 厦门马恒达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车载充电机节能省电控制装置及控制方法
CN107658955B (zh) * 2017-10-31 2024-05-10 厦门远双科技有限公司 一种车载充电机节能省电控制装置及控制方法
CN113162393A (zh) * 2021-04-25 2021-07-23 西安领充创享新能源科技有限公司 功率因数校正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3162392A (zh) * 2021-04-25 2021-07-23 西安领充创享新能源科技有限公司 功率因数校正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3162393B (zh) * 2021-04-25 2023-12-22 西安领充创享新能源科技有限公司 功率因数校正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3162392B (zh) * 2021-04-25 2023-12-22 西安领充创享新能源科技有限公司 功率因数校正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1106B1 (ko) 2012-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1106B1 (ko) 인터리브 방식의 pfc 플라이백 컨버터
Moon et al. A new control method of interleaved single-stage flyback AC–DC converter for outdoor LED lighting systems
TWI393337B (zh) 雙級交換式電源轉換電路
Zhang et al. A precise passive current balancing method for multioutput LED drivers
EP2131631B1 (en) Electric discharge lamp operating device, lighting equipment and lighting system
Li et al. A novel single-stage high-power-factor AC-to-DC LED driving circuit with leakage inductance energy recycling
Athab et al. A single-switch AC/DC flyback converter using a CCM/DCM quasi-active power factor correction front-end
JP5177816B2 (ja) Ledを駆動する電源装置
Wang et al. A single-stage single-switch LED driver based on class-E converter
JP3187637U (ja) 非絶縁型ドライバ回路を使用した天井灯
Cheng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high-power-factor LED driver with zero-voltage switching-on characteristics
US20150137694A1 (en) Power supply circuit for driving led lamp and power supply method, and primary-side control circuit of flyback transformer
JP2011259560A (ja) 負荷駆動装置及びその周波数制御方法
KR20090055952A (ko) 전력변환장치
Ma et al. A single-stage PFM-APWM hybrid modulated soft-switched converter with low bus voltage for high-power LED lighting applications
US6373725B1 (en) Reconfigurable converter for multiple-level input-line voltages
US7440294B2 (en) Power adapter and power supply system using the same
Li et al. High-power-factor single-stage LCC resonant inverter for liquid crystal display backlight
Lin et al. A high efficiency integrated step-down Cuk and flyback converter for LED power driver
Divya et al. High power factor integrated buck-boost flyback converter driving multiple outputs
Chiu et al. A single‐stage LED lamp driver with low DC bus voltage for general lighting applications
TWI398088B (zh) 單相功率因數修正交流-直流電源轉換器
KR101496819B1 (ko) 싱글 스테이지 포워드-플라이백 컨버터, 전원 공급 장치 및 발광 다이오드 전원 공급 장치
Hao et al. A new high power factor, soft-switched LED driver without electrolytic capacitors
KR100420964B1 (ko) 역률보상 단일단 컨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