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5545A - 모니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모니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5545A
KR20110105545A KR1020100024742A KR20100024742A KR20110105545A KR 20110105545 A KR20110105545 A KR 20110105545A KR 1020100024742 A KR1020100024742 A KR 1020100024742A KR 20100024742 A KR20100024742 A KR 20100024742A KR 20110105545 A KR20110105545 A KR 20110105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state
control device
signal
propulsio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4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치락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국방부 장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국방부 장관) filed Critical 대한민국(국방부 장관)
Priority to KR1020100024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5545A/ko
Publication of KR20110105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55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9/00Arrangements of nautical instruments or navigational a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2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propulsion power units being controlled from exterior of engine room, e.g. from navigation bridge; Arrangements of order telegraph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5/00Electrical control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D41/00 - F02D43/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함정의 추진제어장치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복수의 부품 중 어느 하나의 부품의 일단에 연결되어 모의신호를 상기 부품으로 출력하는 신호발생부, 상기 부품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부품에서 출력되는 출력신호와 상기 모의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부품의 상태를 판단하는 상태판단부, 상기 신호발생부 및 상기 상태판단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함으로써, 추진제어장치가 정지 상태일 때에도 추진제어장치에 포함되는 복수의 부품들의 상태를 검사하여 불필요한 유류 소비를 감소할 수 있고 정비 소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니터링 장치{monitoring apparatus}
본 발명은 함정의 추진제어장치에 포함되는 복수의 부품들의 상태를 검사하는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함정은 군용 배(ship)으로서, 그 크기와 용도에 따라 대잠함정, 양륙함정, 상륙함정, 보조함정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함정의 추진제어장치는 함정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복수의 부품(D/E, G/T, R/G, D/G, 복수의 센서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1은 종래 추진제어장치 및 추진제어장치의 상태를 검사하는 검사장비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추진제어장치(10)의 회로 상태, 온도, 압력 등의 상태를 검출하는 계측기들(1, 2, 3)을 추진제어장치(10)에 각각 연결하고, 추진제어장치(10)가 작동중인 상태에서 계측기들(1, 2, 3)을 이용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로 인해, 종래에는 추진제어장치(10)가 작동 중인 상태에서만 추진제어장치(10)의 상태를 검사함으로 불필요한 유류를 소비하거나 정비 소요 시간이 증가로 인력을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추진제어장치가 정지된 상태에서 추진제어장치의 상태를 검사할 수 있는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함정의 추진제어장치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장치가 제공된다. 이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복수의 부품 중 어느 하나의 부품의 일단에 연결되어 모의신호를 상기 부품으로 출력하는 신호발생부, 상기 부품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부품에서 출력되는 출력신호와 상기 모의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부품의 상태를 판단하는 상태판단부, 상기 신호발생부 및 상기 상태판단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추진제어장치가 정지 상태일 때에도 추진제어장치에 포함되는 복수의 부품들의 상태를 검사함으로써, 불필요한 유류 소비를 감소할 수 있고 정비 소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추진제어장치의 부품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신호발생부 및 상태판단부와, 부품의 온도 및 압력을 측정하는 온도검출부 및 압력검출부를 하나의 모니터링 장치로 통합함으로써, 추진제어장치를 점검하는 계측기들의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하며, 정비 작업 시간이 감소하여 정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추진제어장치 및 추진제어장치의 상태를 검사하는 검사장비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추진제어장치 및 추진제어장치의 상태를 검사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도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추진제어장치 및 추진제어장치의 상태를 검사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링 장치(100)와 추진제어장치(200)는 데이터 케이블(300)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추진제어장치(200)는 복수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링 장치(100)에는 데이터 케이블이 연결되는 복수의 단자(110)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 4에서는 복수의 부품 중 하나의 부품(210)을 검사하는 모니터링 장치(100)를 대표하여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모니터링 장치(10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동시에 하나 이상의 부품을 검사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100)는 전원공급부(120), 신호발생부(130), 상태판단부(140), 표시부(150), 온도검출부(160) 및 압력검출부(17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원공급부(120)는 신호발생부(130), 상태판단부(140), 표시부(150), 온도검출부(160) 및 압력검출부(170)에 전원을 공급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추진제어장치(200)의 동작 상태를 검사함으로써, 추진제어장치(200)가 정지된 상태(동작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추진제어장치(200)의 복수의 부품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정지 상태에서도 추진제어장치(200)의 상태를 검사하여 불필요한 유류 소비를 감소할 수 있고 정비 소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신호발생부(130)는 전원공급부(1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데이터 케이블(300)을 통해 연결된 부품(210)의 일단(a)으로 모의신호를 출력한다. 신호발생부(130)의 모의 신호는 전류 또는 전압 형태일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발생부(130)는 모의신호의 세기를 조정하는 다이얼 형태의 신호조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태판단부(140)는 전원공급부(1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데이터 케이블(300)을 통해 부품(210)의 타단(b)과 연결되어 있다. 상태판단부(140)는 부품(210)의 타단(b)에서 출력되는 출력신호와 신호발생부(120)의 모의신호를 비교하여, 부품(210)의 상태를 판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태판단부(140)에는 부품(210)이 정상일 때 부품(210)에 입력되는 신호발생부(120)의 모의신호에 대응하여 부품(210)에서 출력되는 출력신호의 정상 범위가 설정되어 있다. 이와 반대로, 상태판단부(140)에는 부품(210)이 비정상일 때 부품(210)에 입력되는 신호발생부(120)의 모의신호에 대응하여 부품(210)에서 출력되는 출력신호의 비정상 범위가 설정되어 있다.
상태판단부(140)는 부품(210)에 입력되는 모의신호에 대응하여 부품(210)의 출력신호가 정상 범위에 포함되는지 비정상 범위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여, 표시부(150)로 출력한다.
그러면, 표시부(150)는 상태판단부(140)의 판단 결과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표시부(150)는 전원공급부(1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온도검출부(160)는 전원공급부(1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부품(210)의 일단(a) 및 타단(b)에 데이터 케이블(300)을 통해 연결되어 부품(21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압력검출부(170)는 전원공급부(1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부품(210)의 일단(a) 및 타단(b)에 데이터 케이블(300)을 통해 연결되어 부품(210)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온도검출부(160) 및 압력검출부(170)는 표시부(150)와 연결되어, 부품(210)의 온도 및 압력을 표시부(150)로 출력한다. 그러면, 표시부(150)는 부품(210)의 온도 및 압력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모니터링 장치(100)는 부품(210)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신호발생부(130) 및 상태판단부(140)와, 부품(210)의 온도 및 압력을 측정하는 온도검출부(160) 및 압력검출부(170)를 하나의 장치로 통합함으로써, 추진제어장치(200)를 점검하는 계측기들의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하며, 정비 작업 시간이 감소하여 정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모니터링 장치
110: 복수의 단자
120: 전원공급부
130: 신호발생부
140: 상태판단부
150: 표시부
160: 온도검출부
170: 압력검출부
200: 추진제어장치
300: 데이터 케이블

Claims (5)

  1. 복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함정의 추진제어장치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품 중 어느 하나의 부품의 일단에 연결되어 모의신호를 상기 부품으로 출력하는 신호발생부,
    상기 부품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부품에서 출력되는 출력신호와 상기 모의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부품의 상태를 판단하는 상태판단부, 및
    상기 신호발생부 및 상기 상태판단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발생부는 상기 부품으로 전류 또는 전압 형태의 모의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모의신호의 세기를 조정하는 신호조정기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판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상태판단부의 판단결과를 운전자에게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모니터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품에 연결되어 상기 부품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검출부, 및
    상기 복수의 부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품에 연결되어 상기 부품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모니터링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온도검출기 및 상기 압력검출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모니터링 장치.
KR1020100024742A 2010-03-19 2010-03-19 모니터링 장치 KR201101055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742A KR20110105545A (ko) 2010-03-19 2010-03-19 모니터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742A KR20110105545A (ko) 2010-03-19 2010-03-19 모니터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545A true KR20110105545A (ko) 2011-09-27

Family

ID=44955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4742A KR20110105545A (ko) 2010-03-19 2010-03-19 모니터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55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901B1 (ko) * 2020-04-22 2021-01-15 주식회사 성진테크윈 전향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901B1 (ko) * 2020-04-22 2021-01-15 주식회사 성진테크윈 전향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1852B2 (en) Electronic screw and screw torque sensing device
US8442181B2 (en) Apparatus for inspecting and testing startup range neutron monitoring system
KR101323727B1 (ko) 원전 비상디젤발전기 엔진제어시스템 제어모듈에 대한 정적 측정 및 동적 진단 장치
KR101722394B1 (ko) 풍동시험용 내장형 밸런스 점검 장치
KR20110105545A (ko) 모니터링 장치
US8174275B2 (en) Storage battery inspecting system
KR102148087B1 (ko) 선박용 pcb 및 scr 열화 진단시스템
RU2413272C1 (ru) Способ неразрушающего контроля, диагностики и ремонта радиоэлектронной аппаратуры
JP6391899B1 (ja) 電磁継電器診断装置
JP2011123725A (ja) 計算機回路及び障害検査方法
KR101569145B1 (ko) 전력설비 감시 장치
US20090160456A1 (en) Device for inspecting soldering spots in a storage battery
KR101282341B1 (ko) 대상체 온도 측정용 다채널 온도센서 검사 장치
US11614476B2 (en) Electrical utility multifunctional device
KR101237405B1 (ko) Tft―lcd 모듈의 화질검사장치
KR20200029782A (ko) 항공장비의 벤치테스트 시스템
KR101072540B1 (ko) 통합항해 시스템의 데이터 표시 검사방법
KR101003783B1 (ko) 통합항해 시스템의 항해 디지털 입력장치 검사방법
KR101382037B1 (ko) 모니터 장치의 진단 처리 방법 및 모니터 장치
JP2009277008A (ja) インタフェース検査装置およびインタフェース検査方法
JP2010127798A (ja) ノイズ検出装置
KR100951447B1 (ko) 방사선 감시설비의 시험장치
KR100483493B1 (ko) 웨이퍼 번인 시스템의 메인 테스트 장치
KR101578917B1 (ko) 순간단락 검사 장치 및 그의 검사 방법
KR100271104B1 (ko) 반도체식 논리회로 기판 검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