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5392A - 전기 디바이스의 작업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 디바이스의 작업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5392A
KR20110105392A KR1020117018602A KR20117018602A KR20110105392A KR 20110105392 A KR20110105392 A KR 20110105392A KR 1020117018602 A KR1020117018602 A KR 1020117018602A KR 20117018602 A KR20117018602 A KR 20117018602A KR 20110105392 A KR20110105392 A KR 20110105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audio
audio signal
unit
st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8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완 케이 릭키 하
신 첸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110105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53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3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ound input device, e.g.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4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the audio stream,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audi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31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 or external card, e.g. to detect processing problems in a handheld device or the failure of an external record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6Power management, e.g. shutting down unused components of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디바이스(10, 30)의 작업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대응하는 시스템(12, 32)을 제공한다. 제 1 디바이스는 제 2 디바이스(11, 31)와 접속된다. 이 방법은: 제 2 디바이스가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제 1 데이터를 이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분석하기 위한 제 1 분석 단계(S20); 제 1 분석 단계의 결과에 기초하여 제 1 디바이스의 작업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단계(S2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제 1 디바이스의 작업 상태는 제 2 디바이스가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제 1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이용하지 않을 때 변경될 수 있고, 그에 의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하드웨어 리소스들 등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디바이스의 작업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WORKING STATUS OF AN ELECTRIC DEVICE}
본 발명은 전기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전기 디바이스의 작업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에는, 점점 더 많은 전기 디바이스들이 사람의 일상 및 일과의 일부가 되었다. 결과적으로, 전기 디바이스들 사이의 데이터 교환들은 매우 일반적이며, 예를 들면, DVD 플레이어는 미디어 데이터를 TV에 제공하고; 셋톱 박스(STB)는 미디어 데이터, 이메일, 이미지들 등과 같은 정보를 TV에 제공하고; 스캐너는 스캐닝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 또는 데이터 분석기에 제공한다.
그러나, 전기 디바이스 교환 데이터 중에서, 디바이스가 그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다른 디바이스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것은 하드웨어 리소스들(예를 들면, 메모리들, 채널들)뿐만 아니라 에너지의 낭비를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 1 디바이스의 작업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기술적 솔루션을 제공하며, 여기서 제 1 디바이스는 제 2 디바이스와 접속된다. 이 방법은, 제 2 디바이스가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제 1 데이터를 이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분석하기 위한 제 1 분석 단계; 제 1 분석 단계의 분석 결과에 따라 제 1 디바이스의 작업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 1 디바이스의 작업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며, 여기서, 제 1 분석 단계의 결과가,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데이터를 이용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는 경우, 상기 제어 단계는:
- 제 1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제 1 데이터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것을 중단하는 단계;
-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데이터를 이용하고 있지 않음을 표시하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 1 디바이스의 작업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이 제공되며, 여기서 제 1 디바이스는 제 2 디바이스와 접속되고, 상기 시스템은: 제 2 디바이스가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제 1 데이터를 이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분석하도록 구성된 제 1 요소; 제 1 요소에 의해 획득된 분석 결과에 따라 제 1 디바이스의 작업 상태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 2 요소 포함한다. 이러한 접속에서, 제 2 요소는 다음의 유닛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 1 요소에 의해 획득된 분석 결과가, 제 2 디바이스가 제 1 데이터를 이용하고 있지 않음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제 1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제 1 데이터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구성된 제 3 유닛;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데이터를 이용하고 있지 않음을 표시하는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 4 유닛.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제 1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중단한 후에, 제 1 디바이스는, 제 2 디바이스가 제 1 데이터를 이용할 필요가 있을 때, 제 1 데이터를 제 2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동작을 재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 1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는, 제 2 디바이스가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제 1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이용하고 있지 않을 때 변경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하드웨어 리소스들을 절감하고 에너지를 절약하도록 상기 제 1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중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의 비제한적인 예시적 실시예들의 기술에 나타날 것이다. 도면들에서, 유사하거나 동일한 참조 부호들은 유사하거나 동일한 기술적 특징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의 작업 상태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디바이스들을 도시한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의 작업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
도 2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의 작업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a에 도시된 단계(S20)의 내부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의 작업 상태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디바이스들을 도시한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의 작업 상태를 제어하는 시스템의 블록도.
도 4b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의 작업 상태를 제어하는 시스템의 블록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의 작업 상태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디바이스들을 도시한다. 상기 도면에서, 제 1 디바이스(10)는 유선 또는 무선 링크를 통해 제 2 디바이스(11)에 접속되고, 이에 제 1 데이터(13)를 제공한다. 시스템(12)은 제 1 디바이스와 일체화되거나, 제 1 디바이스(10)의 작업 상태를 제어하도록 유선 또는 무선 링크를 통해 제 1 디바이스(10)와 통신한다. 도 1에서 제 1 및 제 2 디바이스 사이의 교환을 표현하기 위해 일방 화살표가 이용되었지만, 이것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지 않음을 유념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 2 디바이스(11)는 또한 제 1 디바이스(10)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본 명세서에 언급된 제 1 디바이스는, 예를 들면, STB, DVD 플레이어, CD 플레이어, 라디오, 스캐너, 컴퓨터 등과 같이, 다른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임의 종류의 전기 디바이스일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제 2 디바이스는 상기 언급된 TV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것은 또한, 라우드스피커, 디스플레이, 데이터 처리/저장 디바이스 등과 같이,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전기 디바이스일 수 있다.
따라서, 제 1 데이터는 임의 형태의 데이터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STB에 의해 TV에 제공된 오디오/비디오 정보를 포함한 AV(Audio Video) 콘텐트, 순수 오디오 콘텐트, 순수 비디오 콘텐트, 이메일들, 이미지들, 또는 DVD 플레이어에 의해 TV에 제공된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콘텐트, 또는 컴퓨터에 의해 디스플레이나 라우드스피커에 출력된 데이터, 스캐너에 의해 데이터 처리/저장 디바이스에 제공된 스캐닝된 데이터 등이다. 이러한 것은 제 2 데이터에 적용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의 작업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 1 디바이스(10)는 제 1 데이터(13)를 제 2 디바이스(11)에 제공한다. 이 방법은: 제 2 디바이스(11)가 제 1 디바이스(10)에 의해 제공된 제 1 데이터(13)를 이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분석하기 위한 제 1 분석 단계(S20); 제어 단계(S21)를 포함하며, 제어 단계에서, 시스템(12)은 제 1 분석 단계의 결과에 기초하여 제 1 디바이스(10)의 작업 상태를 제어한다.
제 1 실시예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일반성을 잃지 않고, 제 1 디바이스(10)의 예로서 스캐너가 이용되었으며, 이 실시예에서 스캐너(10)로 나타낼 것이고; 제 2 디바이스(11)의 예로서 컴퓨터 등과 같은 데이터 분석 디바이스가 이용되었으며, 이 실시예에서 컴퓨터(11)로 나타낼 것이다. 시스템(12)은 스캐너(10)에 일체화된다. 스캐너(10)는 이미지, 텍스트 또는 본체 사인들의 파라미터들과 같은 특정 스캐닝 대상을 스캐닝하고, 제 1 데이터(13)인 스캐닝된 데이터를 컴퓨터(11)인 제 2 디바이스에 제공한다. 이 실시예에서, 스캐너(10)에 의해 제공된 제 1 데이터(13)는 스캐닝된 데이터(13)로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제 1 분석 단계(S20)는 이러한 방식으로 구현된다:
컴퓨터(11)는 스캐너(10)에 의해 제공된 스캐닝된 데이터(13)를 이용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스캐너(10) 내부에 일체화된 시스템(12)에 주기적으로 보고한다.
컴퓨터(11)로부터의 보고에 기초하여, 시스템(12)은 제 1 분석 단계(S20)의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제 1 분석 단계(S20) 후에, 상이한 환경들에서의 방법의 후속 처리가 도 2b에 도시된 상세한 흐름을 참조하여 이후 기술될 것이다.
상기에 나타낸 상이한 환경들 중 첫 번째:
컴퓨터(11)는 스캐너(10)에 의해 제공된 스캐닝된 데이터(13)를 이용하지 않는다. 이러한 환경과 관련하여, 컴퓨터(11)는 모든 스캐닝된 데이터에 대해 저장, 계산 처리들 등을 수행하는 것을 중단하거나; 또는 스캐너(10)로부터 스캐닝된 데이터(13)를 처리하는 것을 중단하거나; 또는 컴퓨터(11)를 셧다운하도록 이에 지시하는 명령을 외부 소스로부터 수신할 가능성이 있다. 또는 내부 프로그램들의 규칙들에 따라, 컴퓨터(11)는 스캐너(10)로부터 스캐닝된 데이터(13)를 처리하는 것을 중단해야 한다. 따라서, 컴퓨터(11)는 스캐너(10)에 의해 제공된 스캐닝된 데이터(13)를 이용하고 있지 않는다는 것을 시스템(12)에 보고한다.
그 후에, 시스템(12)은 중단 단계(S210) 및 생성 단계(S211)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한다. 중단 단계(S210)는 스캐너(10)가 스캐닝된 데이터(13)를 컴퓨터(11)에 제공하는 것을 중단하기 위한 것이고, 생성 단계(S211)는 컴퓨터(11)가 스캐닝된 데이터(13)를 이용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스캐너(10)가 스캐닝된 데이터(13)를 컴퓨터(11)를 포함하는 복수의 컴퓨터들에 제공하는 경우에, 중단 단계(S210)는 스캐너(10)가 컴퓨터(11)에 접속된 포트를 폐쇄하는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어서, 스캐닝된 데이터(13)가 필요한 다른 컴퓨터들에 대한 저장 및 계산 처리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감소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특히 컴퓨터(11)에만 스캐너(10)에 의해 스캐닝된 데이터(13)가 제공될 때, 중단 단계(S210)는: 시스템(12)은 스캐너(10)를 셧다운하거나, 대기 상태에 진입하도록 스캐너(10)를 제어하는 단계(이 단계는 간략화를 위해 도면들에 도시되지 않는다)를 더 포함한다. 이것은 스캐닝된 데이터(13)를 제공하기 위해 바로 중단하는 것보다 전력 소비를 더 많이 감소하게 한다.
컴퓨터(11)가 스캐너(10)에 의해 제공된 스캐닝된 데이터(13)를 이용하지 않는 시간 기간 동안, 스캐너(10)가 대상을 스캐닝하는 것을 중단하지 않는 경우, 더 많은 스캐닝된 데이터가 생성될 것이다. 스캐닝된 데이터가 저장되지 않는 경우, 스캐너(10)는 컴퓨터(11)가 다시 스캐닝된 데이터(13)를 필요로 할 때 이미 스캐닝된 대상(들)을 다시 스캐닝해야 할 것이다; 이것은 시간 소모적이고 비경제적이다. 따라서, 스캐너가 스캐닝된 데이터(13)를 컴퓨터(11)에 제공하는 것을 중단한 후에, 스캐너(10)가 여전히 스캐닝 동작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 제어 단계(S21)는: 스캐너(10)에 의해 후속 획득된 스캐닝된 데이터(13)를 스캐너(10) 외부 또는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략화를 위해, 중단 단계는 도 2b에 도시되지 않는다.
이 실시예에서, 생성 단계(S211)에서 생성된, 컴퓨터(11)가 스캐닝된 데이터(13)를 이용하지 않음을 표시하기 위한 정보는 다목적이다. 예를 들면, 이것은 스캐너(10) 및/또는 컴퓨터(11)의 로그로서 단순히 저장될 수 있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라우드스피커 등과 같이 컴퓨터(11)의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디바이스들을 통해 가시적 또는 가청적(audible) 방식으로 컴퓨터(11)의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중단 단계(S210) 후에,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은 컴퓨터(11)가 스캐닝된 데이터(13)를 이용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 2 분석 단계(S22), 및 제 2 분석 단계(S22)의 결과가, 컴퓨터(11)가 스캐닝된 데이터(13)를 이용할 필요가 있다고 표시할 때, 스캐닝된 데이터(13)를 컴퓨터(11)에 제공하는 것을 스캐너(10)가 재개하게 하기 위한 재개 단계(S23)를 더 포함한다.
이 실시예의 컴퓨터(11)가 스캐닝된 데이터(13)를 이용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식별 및 보고할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12)은 제 2 분석 단계(S22)를 이행하기 위해 컴퓨터(11)로부터의 보고에 의존할 수 있다.
컴퓨터(11)로부터의 보고가, 컴퓨터(11)가 스캐닝된 데이터(13)를 이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보여줄 때, 이 방법은 단계(S23)에 진입한다. 이 단계에서, 시스템(12)은 스캐닝된 데이터(13)를 컴퓨터(11)에 제공하는 것을 재개하도록 스캐너(10)를 제어한다.
상이한 환경들 중 두 번째:
제 1 실시예의 제 1 환경은, 제 1 분석 단계(S20)의 결과가, 컴퓨터(11)가 스캐너(10)에 의해 제공된 스캐닝된 데이터(13)를 이용하고 있지 않음을 표시하는 경우에, 주로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나, 제 1 실시예의 제 2 환경에서는, 컴퓨터(11)가 저장, 비교 등을 위해 스캐너(10)에 의해 제공되는 스캐닝된 데이터(13)를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컴퓨터(11)는 스캐닝된 데이터(13)를 이용하고 있다는 것을 시스템(12)에 보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컴퓨터(11)는 스캐닝된 데이터(13)를 이용하고 있다는 것을 암시하는 보고를 하지 않는다. 이것은 컴퓨터(11)와 시스템 사이의 협정에 의존한다. 협정은 미리 설정하여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스캐너(10)는 스캐닝된 데이터(13)를 컴퓨터(11)에 제공하는 것을 유지할 것이다.
제 2 실시예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도 3을 참조하고 도 2a 내지 도 2c와 연관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 3에서, 제 1 디바이스는 STB(30)이고, 제 2 디바이스는 TV(31)이다. STB(30)는 오디오/비디오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TV(31)와 접속된다. STB(30)는 예를 들면, 전용 서버로부터 TV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된다. 시스템(32)은 STB(30)에 일체화되거나, STB(30)로부터 분리되고,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후자를 제어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일반성을 잃지 않고, 시스템(32)은 예의 방식으로 STB(30)에 일체화된다.
특정 시간 순간에, STB(30)는 제 1 데이터(33)를 TV(31)에 제공한다. 제 1 데이터(33)는 예를 들면 AV(Audio 및 Video) 콘텐트, 이미지들, 글자들, 가청 데이터 등이며, 이것은 집에서 떨어진 가족 구성원에 의해 가족 구성원의 셀 폰을 이용하여 전술된 전용 서버로 전송된 다음, 서버에 의해 STB(30)로 전송된다. 이후, 일반성을 잃지 않고,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AV 콘텐트는 예로서 취해지며, AV 콘텐트(33)로 나타낸다.
제 1 분석 단계(S20)는 시스템(32)이, TV(31)가 STB(30)에 의해 제공된 AV 콘텐트(33)를 플레이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분석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상세한 내부 흐름은 도 2c에 도시된다.
제 1 분석 단계(S20)는 하기에 주어진 바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수집 단계(S200): 시스템(32)은 TV(31)에 의해 출력된 오디오 신호(34)를 수집한다.
비교 단계(S201): 시스템(32)은, TV(31)가 AV 콘텐트(33)를 플레이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분석하도록, STB(30)에 의해 제공된 AV 콘텐트(33)의 오디오 신호와 수집된 오디오 신호(34)를 비교한다.
선택적으로, 수집 단계(S200)는 마이크로폰(300)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폰(300)은 시스템(32)과 함께 STB(30)에 일체화된다.
그 후에, 이 방법은 비교 단계(S201)에 진입한다. 시스템(32)은 STB(30)에 의해 제공된 AV 콘텐트(33)의 오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34)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의 신뢰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수집된 오디오 신호(34)는 더 높은 주파수를 가진 부분을 제거하기 위해 예를 들면 안티-에일리어싱(anti-aliasing)을 위해 먼저 필터링될 수 있어서, 샘플링 동안의 에일리어싱이 회피될 수 있다.
필터링 후의 신호는 또한 샘플링 및 양자화, 즉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될 것이며, 여기서 디지털화된 오디오 신호가 획득된다.
아날로그 신호에 대해 수행된 샘플링 및 양자화가 잡음을 도입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디지털화된 오디오 신호를 획득한 후에, 그에 대해 잡음을 제거하도록(또는 적어도 최소화하도록) 다른 필터링 처리가 수행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에도, 상기 잡음은 샘플링 및 양자화 처리 동안 도입된 잡음에 제한되지 않고, 이것은 또한 마이크로폰(300)에 의해 수집된 환경 잡음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사용자가 TV(31)에 의해 플레이된 AV 콘텐트를 즐기고 있을 때, 사용자의 개인적 선호에 따라 TV(31)의 출력 볼륨을 올리거나 내리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수집된 오디오 신호(34)와 AV 콘텐트(33)의 오리지널 오디오 신호 사이의 진폭의 차를 유발한다.
따라서, 상술된 비교 전에, 상술된 수집되고 최종적으로 디지털화된 오디오 신호의 진폭이 조정되어, 나중의 비교가 용이해지도록 진폭의 오리지널 신호와 매칭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비교 단계(S201)는 공중의 음향파들의 전파 시간을 고려한다. 따라서, STB(30)에 의해 T0에서 제공된 AV 콘텐트(33)의 오디오 신호는 (T0+T)까지 마이크로폰(300)에 의해 수집되지 않을 것이고, T는 대략적으로, 음향파가 TV(31)의 라우드스피커(310)로부터 마이크로폰(300)으로 이동하기 위해 걸리는 시간이다.
오리지널 오디오 신호와 디지털화된 오디오 신호(34)를 비교하는 많은 방법들이 있으며, 그중 하나는 교차-상관을 계산하는 것이고, fj는 디지털화된 오디오 신호(34)를 나타내고, gi는 AV 콘텐트(33)의 오리지널 오디오 신호(디지털화된 후)를 나타낸다. 교차-상관 함수는 하기의 [수학식 1]에 의해 주어진다:
Figure pct00001
따라서, 변수로서 i를 이용하여, 이 교차-상관 함수 포인트를 간격 내의 포인트로 곱하고, 획득된 값을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함으로써, 수집된 오디오 신호(34)와 오리지널 오디오 신호 사이의 상관이 조정될 수 있어서, TV(31)가 STB(30)에 의해 제공된 AV 콘텐트(33)를 플레이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분석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교차-상관 함수에 의한 계산이 이 비교를 행하는 방법만이 아님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면, [수학식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 평균 제곱 에러를 이용해서도 또한 실현될 수 있다:
Figure pct00002
상기 수학식에서, σ2 및 τ는 STB(30)에 미리 설정된 파라미터들이다. TV(31)가 N개의 샘플링 포인트들에서 계산하고 이 합을 우측상의 τ과 비교함으로써 STB(30)에 의해 제공된 AV 콘텐트(33)를 플레이하고 있는지 여부가 분석될 수 있다.
지금까지, 제 1 분석 단계(S20)의 분석 결과가 획득되었다.
TV(31)가 STB(30)에 의해 제공된 AV 콘텐트(33)를 여전히 플레이하고 있는 경우, STB(30)의 작업 상태를 조정하는 것은 불필요하다. 시스템(32)은 지연없이 다시 제 1 분석 단계(S20)를 실행할 수 있거나, 미리 규정된 시간 지속구간(예를 들면, 수초 내지 수십초) 후에 만료된다. 더 이상 불필요한 세부사항들은 여기에서 제공되지 않을 것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TV(31)가 STB(30)에 의해 제공된 AV 콘텐트(33)를 플레이하고 있지 않는 경우, 상기 중단 단계(S210) 및 상기 생성 단계(S211) 중 적어도 하나가 실행될 것이다.
TV(31)가 AV 콘텐트(33)를 플레이하고 있지 않고, AV 콘텐트(33)가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중단 단계(S210)에서, 시스템(32)은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 또는 둘다를 제공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STB(30)를 제어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생성 단계(S211)에서, STB(30)는 TV(31)가 AV 콘텐트(33)를 플레이하고 있지 않다고 표시하는 정보를 생성한다. 정보는 TV 프로그램을 즐기고 있는 사용자가 원격 제어기 등에 의해 STB(30)를 셧다운하도록 촉구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정보는 또한 통계를 위해 AV 콘텐트(33)의 제공자에게 보고될 수 있다.
중단 단계(S210)는 TV(31)에 AV 콘텐트(33)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가 STV(30)의 원격 제어기 상의 '중단(STOP)' 키를 누르는 경우와 유사한 중단에 의한 것; STB(30)의 전력을 차단하는 것; 또는 STB(30)를 대기 상태로 스위칭하는 것과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그 외에도, 전력을 차단하거나 대기상태로 스위칭하는 것은 에너지를 절감하도록 돕는다.
선택적으로, 중단 단계(210) 후에, 제어 단계(S21)는 저장 단계(도면들에 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하고, 저장 단계는 제 1 데이터가 미디어 웹사이트의 흐름 데이터 또는 방송 데이터인 환경들에 주로 응용 가능하다. 그 경우, 시스템(32) 자체는 AV 콘텐트(33)를 저장하거나, STB(30)가 저장 처리를 행하도록 제어한다. 이것은 많은 환경들에서, 특히 STV(30)에 의해 TV(31)에 제공된 제 1 데이터가 STB(30)에 국부적으로 저장되어 있지 않지만, 제 3자로부터 발생되고, STB(30)에 의해 단순히 전송될 때, STB(30)는 TV(31)에 제공된 제 1 데이터를 백업하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AV 콘텐트(33)의 제공자는 캡처된 AV 콘텐트(33)를 서버를 통해 STB(30)에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STB(30)는 TV(31)에 AV 콘텐트(33)를 제공하는 것을 중단하고, 바람직하게, STB(30)는 AV 콘텐트(33)의 제공이 중단되는 시간 간격 내에 AV 콘텐트(33)를 저장한다. 사용자가 TV(31)를 STB(30)에 의해 서빙된 채널로 다시 스위칭할 때 저장된 데이터의 자동 재생이 수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사용자는 인간-기계 인터페이스를 통해 촉구될 수 있고, 재생은 사용자에 의한 명령 입력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STB(30)가 AV 콘텐트(33)를 TV(31)에 제공하는 것을 중단한 후에, 바람직하게,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은 하기에 주어진 바와 같은 단계들을 더 포함한다: TV(31)가 제 1 데이터, 즉 AV 콘텐트(33)를 이용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분석하기 위한 제 2 분석 단계(S22); 및 제 2 분석 단계의 결과가 제 1 디바이스, 즉 STB(30)로 하여금 AV 콘텐트(33)를 TV(31)에 제공하는 동작을 재개하게 하기 위해 AV 콘텐트(33)를 이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인 경우에 이용되는 재개 단계(S23).
이 실시예에서, TV(31)가 STB(30)에 의해 제공된 AV 콘텐트(33)를 이용(플레이)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분석하기 위해 제 2 분석 단계(S22)의 결과는 TV(31)에 의해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고 추가적인 비교를 수행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상기 제 2 분석 단계(S22)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제 2 데이터를 제공하는 부단계(도면들에 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한다. 이것은 구체적으로, 시스템(32)이 STB(30)에 표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정보에 기초하여, STB(30)는 그 후에 제 2 디바이스, 즉 TV(31)에 제 2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 2 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 2 분석 단계(S22)에서, TV(31)가 제 2 데이터를 이용(플레이)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분석된다. TV(31)가 제 2 데이터를 이용하고 있는 경우, 이 방법은 단계(S23)에 진입하며, 여기서 STB(30)가 AV 콘텐트(33)를 TV(31)에 제공하는 것이 재개되게 된다.
제 2 데이터는 분석에 전용되는 오디오 데이터일 수 있고 AV 콘텐트(33)와 관련이 없다; 또는 AV 콘텐트(33)의 오디오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중단 단계(S201)에서, STB(30)만이 AV 콘텐트(33)의 비디오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중단하고 제 2 데이터로서 오디오 데이터를 계속 제공한다.
제 2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제 2 데이터가 STB(30)에 의해 서빙된 채널로 다시 돌아가는 즉시 TV(31)에 의해 수신될 수 있고, 후속적으로 라우드스피커(310)에 의해 플레이되고, 최종적으로, 제 2 분석 단계(S22)를 실행하도록, 마이크로폰(300)에 의해 수집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른 제 2 분석 단계(S22)는 제 2 데이터를 제공하는 상술된 것 외에도 부단계들을 포함하며, 상기 부단계들은: 제 2 디바이스, 즉 TV(31)에 의해 출력된 오디오 신호(도면들에 도시되지 않음)를 수집하는 단계; TV(31)가 제 2 데이터(도면들에 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플레이)하고 있지 않는지의 여부를 분석하도록, TV(31)에 의해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제 1 디바이스, 즉 STB(30)에 의해 제공된 제 2 데이터의 오디오 신호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2 분석 단계(S22)의 수집 단계가 상술된 것(S2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제 2 분석 단계(S22)의 비교 단계가 상술된 것(S20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불필요한 세부사항들은 이와 관련하여 더 이상 제공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단락들에서, 디지털화된 오디오 신호들이 제 1 및 제 2 분석 단계들에서 직접 비교되는 실시예들이 기술된다. 이후, 오디오 핑거 프린트들이 제 1 및 제 2 분석 단계들에서 비교되는 실시예가 기술될 것이다. 제 1 및 제 2 분석 단계들은 동일한 원리를 공유하며, 제 1 분석 단계만이 이후 예로서 취해진다.
본 발명이 원리들을 설명하기 위한 예로서 오디오 핑거 프린트들을 이용하는 것을 알아야 한다; 비디오 핑거 프린트들과 같은 다른 종류들의 핑거 프린트들이 2개의 데이터 부분들을 비교 및 매칭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핑거 프린트들은, 인지될 수 있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 콘텐트의 관련 양태들로부터 획득된 오디오 또는 비디오 콘텐트의 간단한 개요를 나타낸다(또한 로버스트 해시라고 불림). 핑거 프린트들은, 예를 들면 오디오 또는 비디오 콘텐트에 대해 해시 변환을 수행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따라서, 오디오 또는 비디오 핑거 프린트들은 다수의 비트들을 포함하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매우 제한된 수의 비트들을 가진 핑거 프린트들에 맵핑한다. 달리 말하면, 오디오 또는 비디오 데이터의 핑거 프린트들은 오디오 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표현할 수 있다. 오디오 핑거 프린트들은 오디오 콘텐트를 표현할 수 있다; 비디오 핑거 프린트들은 비디오 콘텐트를 표현할 수 있다. 상이한 포맷이지만 동일한 콘텐트를 가진 2개의 오디오 또는 비디오 콘텐트 조각들이 존재하는 경우, 그들 중 하나의 핑거 프린트들이 다른 것과 매칭될 것이다. 오디오 핑거 프린트들을 획득하고 비교하는 방법들이 많이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세부사항들이 이와 관련하여 더 이상 제공되지 않을 것이다.
핑거 프린트들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시스템 또는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획득될 수 있는 임의의 제 1/제 2 데이터는 오디오 핑거 프린트들에 기초하여 상술된 비교를 실현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이 경우,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가장 통상적인 제 1 데이터는 배경 음악을 가진 슬라이드들의 형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방송 데이터는 STB(30)에 의해 수신되었을 때 핑거 프린트 정보를 운반하고, 시스템(32)은 비교를 위해 저장되도록 STB(30)를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핑거 프린트 정보는 대응하는 방송 콘텐트의 기본 오디오 핑거 프린트들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분석 단계(S20)에서, 무엇보다도, STB(30)에 의해 TV(31)에 제공된 제 1 또는 제 2 데이터의 문자가 식별된다. 비교가 오디오 핑거 프린트들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 경우, 오디오 핑거 프린트들은 비교되는 대상들로서 선택될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오디오 신호 자체는 아날로그 도메인 또는 디지털 도메인에서 비교될 것이다.
그 후에, 시스템(32) 또는 시스템(32)의 제어 하의 STB(30)는 수집된 오디오 신호의 핑거 프린트들을 생성하기 위해 마이크로폰(300)에 의해 수집된 오디오 신호를 이용할 것이다. 오디오 핑거 프린트들을 수집하기 위한 간격은 수초 내지 수십초이다.
그 후에, 생성된 핑거 프린트들은 미리 저장된 핑거 프린트들과 비교될 것이다. 수집된 오디오 신호의 오디오 핑거 프린트들과 미리 저장된 오디오 핑거 프린트들 사이의 유사성이 미리 규정된 조건을 충족할 때, TV(31)가 STB(30)에 의해 제공된 제 1 또는 제 2 데이터를 플레이하고 있음이 확립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 관해 주어진 기술은 주로, 오디오 신호들이 디지털 도메인에서 비교되는 솔루션들에 관해 이야기한다. 제 2 실시예의 변형에 따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은 제 1 및 제 2 분석 단계들에서 직접 처리 및 비교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및 상술된 변형들에서, 판단들은 오디오 신호들에 기초한다; 이것은 기존의 STB, DVD 등과 TV 사이의 채널들이 단방향이기 때문이다. 즉, TV는 STB, DVD에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 그러므로, STB는 TV가 활성 피드백에 따라 이에 의해 제공된 미디어 콘텐트를 플레이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알 수 없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본 발명의 개시내용들에 따라, 하기에 주어진 시나리오들에서 본 발명의 개념을 명확하게 실현할 수 있고, 모든 실현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들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보호 범위내에 있음을 알아야 한다. 환경들은 다음과 같다:
시나리오들 중 하나에서, TV와 STB 사이의 피드백 채널이 존재한다: 이것은 유선 또는 무선이다. 그 피드백 채널에서, TV는 "나는 네가 서비스하는 채널과 다른 채널로 스위칭했다"는 것을 직접 STB에 보고할 수 있다. 따라서, 보고에 기초하여, STB는 상술된 중단 단계(S210) 및 생성 단계(S211)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STB, 즉 제 1 디바이스에 마이크로폰을 통합시키는 것이 본 발명을 실현하는 유일한 방법이 아님을 알 것이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폰은 일반적으로 TV에 정반대되는 원격 제어기 상에서도 또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단락들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디바이스의 작업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기술된다. 이후, 방법에 대응하는 시스템이 기술될 것이며, 시스템의 요소들 및 유닛들의 기능들이 이미 단계들의 형태로 상세히 기술되었기 때문에, 기술은 축약될 것이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이것이 명세에 의해 본 발명의 충분한 개시내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임을 알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의 작업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의 블록도를 각각 도시한다. 시스템(4)은, 제 2 디바이스가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제 1 데이터를 이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분석하도록 구성되는, 즉, 제 1 분석 단계(S20)를 수행하는 제 1 요소(40); 및 제 1 요소(40)의 분석 결과에 따라 제 1 디바이스의 작업 상태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즉 상기 제어 단계(S21)를 수행하는 제 2 요소(41)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요소(40)는 제 1 데이터가 오디오 신호들(예를 들면, 제 2 실시예에서 AV 콘텐트(33))을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수집 단계(S200)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제 1 유닛(400); 및 상기 비교 단계(S201)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제 2 유닛(401)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 2 요소(41)는 제 3 유닛(410) 및 제 4 유닛(41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 3 유닛(410)은 상기 중단 단계(S210)를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제 4 유닛(411)은 상기 생성 유닛(S211)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제 3 유닛(410)은 제 1 디바이스가 제 1 데이터를 제 2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것을 중단하게 하거나, 그 안의 제 1 모듈(4100)에 의해 제 1 디바이스의 전원을 차단한다.
바람직하게, 제 2 요소(41)는, 제 3 유닛이, 제 1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 1 데이터를 제 2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것을 중단하게 하는 경우에, 상기 저장 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제 5 유닛(412)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시스템(4)은 제 3 유닛(410)이 제 1 데이터를 제 2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제 1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경우에, 제 2 디바이스가 제 1 데이터를 이용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분석하도록 구성된, 즉 상기 제 2 분석 단계(S22)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제 3 요소(42); 및 제 3 요소(42)에 의해 획득된 결과가, 제 2 디바이스가 제 1 데이터를 이용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할 때, 제 1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 1 데이터를 제 2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것을 재개하게 하도록 구성된, 즉 상기 단계(S23)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제 4 요소(43)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제 3 요소는 제 2 데이터를 제공하는 상기 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제 6 유닛(420)을 더 포함한다.
또한, 제 3 요소는 제 2 디바이스가 제 2 데이터를 이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분석하도록,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제 2 데이터의 오디오 신호와 비교하도록 구성된, 즉, 상기 제 2 분석 단계에서의 비교 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제 7 유닛(421)을 더 포함한다.
또한, 제 3 요소는, 상기 제 4 요소(43)에 의해 획득된 분석 결과가, 제 2 디바이스가 제 2 데이터를 이용하고 있다는, 즉 제 2 디바이스가 제 1 데이터를 이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인 경우에, 제 1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 1 데이터를 제 2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것을 재개하게 하도록 구성된, 즉 상기 연속 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제 8 유닛(422)을 더 포함한다.
제 7 유닛(421) 및 제 1 유닛(400)의 기능들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제 8 유닛(422) 및 제 2 유닛(401)의 기능들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본 발명을 실제로 구현할 때, 제 7 유닛(421) 및 제 1 유닛(400)이 동일 유닛에 의해 실현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8 유닛(422) 및 제 2 유닛(401) 역시 동일한 유닛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이 방법에 관해 주어진 기술이 상술된 요소들, 유닛들 및 모듈들의 기능들뿐만 아니라 이들 요소들, 유닛들 및 모듈들에 의해 실행된 단계들을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에는 불필요한 세부사항들이 제공되지 않을 것이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제 1 내지 제 4 요소, 제 1 내지 제 8 유닛, 및 제 1 모듈 중 임의의 하나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그 조합에 의해, 예를 들면, 메모리 또는 하드 디스크에 저장된 코드들/명령들 및 처리기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이들 모든 실현 모드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보호 범위 내에 있다.
동일한 처리기가 상이한 명령들/코드들과 함께 동작할 때, 상술된 요소들, 유닛들, 모듈들을 실현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고, 다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은 요소 또는 유닛 또는 모듈을 실현하기 위해 함께 동작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상술되었지만,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Claims (15)

  1. 제 1 디바이스의 작업 상태(working status)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디바이스(10, 30)는 제 2 디바이스(11, 31)와 접속되는, 상기 제 1 디바이스 작업 상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제 1 데이터(13, 33)를 이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분석하기 위한 제 1 분석 단계(S20);
    상기 제 1 분석 단계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작업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단계(S21)를 포함하는, 제 1 디바이스 작업 상태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분석 단계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는 단계(S200);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데이터를 이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분석하도록,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출력된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 1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오디오 데이터와 비교하는 단계(S201)를 포함하는, 제 1 디바이스 작업 상태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석 단계의 결과가,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데이터를 이용하고 있지 않다고 제안하는 경우, 상기 제어 단계는:
    - 상기 제 1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제 1 데이터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것을 중단하는 단계(S210); 또는
    -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데이터를 이용하고 있지 않음을 표시하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21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 1 디바이스 작업 상태 제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단 단계(S210)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전력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 1 디바이스 작업 상태 제어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중단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제 1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 1 디바이스 작업 상태 제어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가 상기 중단 단계를 포함할 때, 상기 방법은: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데이터를 이용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분석하기 위한 제 2 분석 단계(S22); 및
    상기 제 2 분석 단계의 결과가,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데이터를 이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인 경우, 상기 제 1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제 1 데이터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동작을 재개하게 하는 단계(S23)를 더 포함하는, 제 1 디바이스 작업 상태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분석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 2 데이터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제공 단계;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출력된 상기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데이터를 이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분석하도록,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출력된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상기 제 2 데이터의 오디오 신호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디바이스 작업 상태 제어 방법.
  8. 제 1 디바이스의 작업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12, 32, 4)으로서, 상기 제 1 디바이스(10, 30)는 제 2 디바이스(11, 31)와 접속되는, 상기 제 1 디바이스 작업 상태 제어 시스템(12, 32, 4)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제 1 데이터(13, 33)를 이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분석하도록 구성된 제 1 요소(40);
    제 1 분석 단계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작업 상태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 2 요소(41)를 포함하는, 제 1 디바이스 작업 상태 제어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요소(40)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도록 구성된 제 1 유닛(400);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데이터를 이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분석하도록,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출력된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 1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오디오 데이터와 비교하도록(S201) 구성된 제 2 유닛(401)을 포함하는, 제 1 디바이스 작업 상태 제어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요소(41)는:
    상기 제 1 분석 단계의 결과가,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상기 제 1 데이터를 이용하고 있지 않다고 제안하는 경우, 상기 제 1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제 1 데이터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구성된 제 3 유닛(410); 또는
    상기 제 1 분석 단계의 결과가,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상기 제 1 데이터를 이용하고 있지 않다고 제안하는 경우,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데이터를 이용하고 있지 않음을 표시하는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 4 유닛(41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 1 디바이스 작업 상태 제어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유닛은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전력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제 1 모듈(4100)을 더 포함하는, 제 1 디바이스 작업 상태 제어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요소는 상기 제 1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제 5 유닛(412)을 더 포함하는, 제 1 디바이스 작업 상태 제어 시스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데이터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것을 중단한 경우,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데이터를 이용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분석하도록 구성된 제 3 요소(42); 및
    상기 제 3 요소의 결과가,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데이터를 이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인 경우, 상기 제 1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제 1 데이터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동작을 재개하게 하도록 구성된 제 4 요소(43)를 더 포함하는, 제 1 디바이스 작업 상태 제어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요소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 2 데이터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제공하게 하도록 구성된 제 6 유닛(420)으로서, 상기 제 2 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제 6 유닛(420);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출력된 상기 오디오 신호들을 수집하도록 구성된 제 7 유닛(421);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데이터를 이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분석하도록,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출력된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상기 제 2 데이터의 오디오 신호와 비교하도록 구성된 제 8 유닛(422)을 포함하는, 제 1 디바이스 작업 상태 제어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데이터는 상기 제 1 데이터의 오디오 데이터인, 제 1 디바이스 작업 상태 제어 시스템.
KR1020117018602A 2009-01-13 2010-01-11 전기 디바이스의 작업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101053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910003114.0 2009-01-13
CN200910003114 2009-01-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392A true KR20110105392A (ko) 2011-09-26

Family

ID=42060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8602A KR20110105392A (ko) 2009-01-13 2010-01-11 전기 디바이스의 작업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270419A1 (ko)
EP (1) EP2387785A1 (ko)
JP (1) JP2012515461A (ko)
KR (1) KR20110105392A (ko)
CN (1) CN102282615A (ko)
WO (1) WO20100821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8342B1 (ko) 2011-08-10 2018-02-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방송수신장치, 방송신호 관련 연관정보 제공방법 및 서버
CN105916016A (zh) * 2016-04-11 2016-08-31 联想(北京)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53061B2 (ja) * 1998-03-18 2006-12-06 三菱電機株式会社 入出力切換装置
TW200636472A (en) * 2005-04-11 2006-10-16 Sunplus Technology Co Ltd A/V control mechanism and the method thereof
TWI299236B (en) * 2005-12-08 2008-07-21 Princeton Technology Corp Video and audio system capable of saving electric power, pow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saving electric power
JP2008263412A (ja) * 2007-04-12 2008-10-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ンテンツ受信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送信装置
JP2008283469A (ja) * 2007-05-10 2008-11-20 Sharp Corp 中継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8306517A (ja) * 2007-06-08 2008-12-18 Panasonic Corp ターミナ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70419A1 (en) 2011-11-03
JP2012515461A (ja) 2012-07-05
EP2387785A1 (en) 2011-11-23
CN102282615A (zh) 2011-12-14
WO2010082148A1 (en) 201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7945B2 (en) Noise control method and device
KR101954550B1 (ko) 음량조절 방법, 시스템, 디바이스 및 컴퓨터 저장매체
US9412368B2 (en) Display apparatus, interactive system, and respons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11295760B2 (en) Method, apparatus, system and storage medium for implementing a far-field speech function
US10733970B2 (en) Noise control method and device
US9923535B2 (en) Noise control method and device
US20170046124A1 (en) Responding to Human Spoken Audio Based on User Input
WO2016180100A1 (zh) 一种音频处理的性能提升方法及装置
US9854439B2 (en) Device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a user of a voice user interface and selectively managing incoming communications
US2023025298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voiding inadvertently triggering a voice assistant
US7050974B1 (en) Environment adaptation for speech recognition in a speech communication system
CN103607641A (zh) 智能电视中的用户登录方法及装置
KR20110105392A (ko) 전기 디바이스의 작업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07734390B (zh) 直播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1274449B (zh) 视频播放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03680115A (zh) 终端设备的遥控学习方法和装置
CN110224904B (zh) 语音处理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和计算机设备
CN108399918B (zh) 智能设备连接方法、智能设备及终端
US20200177593A1 (en) Generating a custom blacklist for a listening device based on usage
CN106293607B (zh) 自动切换音频输出模式的方法及系统
CN111045641B (zh) 一种电子终端及语音识别方法
CN113593570A (zh) 语音异常诊断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2135197A (zh) 字幕显示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CN111028832B (zh) 麦克风静音模式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11899764B (zh) 音频监控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