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4808A - 실을 이용한 포장용 망지 및 이의 제조방법과 장치 - Google Patents

실을 이용한 포장용 망지 및 이의 제조방법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4808A
KR20110104808A KR1020100023922A KR20100023922A KR20110104808A KR 20110104808 A KR20110104808 A KR 20110104808A KR 1020100023922 A KR1020100023922 A KR 1020100023922A KR 20100023922 A KR20100023922 A KR 20100023922A KR 20110104808 A KR20110104808 A KR 20110104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s
yarn
resin
rollers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3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4948B1 (ko
Inventor
정석구
Original Assignee
(주)대양인터내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양인터내셔날 filed Critical (주)대양인터내셔날
Priority to KR1020100023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4948B1/ko
Publication of KR20110104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4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4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4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4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 B29C70/5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e.g. prepregs, sheet moulding compounds [SMC] or cross moulding compounds [XMC]
    • B29C70/504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e.g. prepregs, sheet moulding compounds [SMC] or cross moulding compounds [XMC] using rollers or pressure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5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e.g. feeding or storage of prepregs or SMC after impregnation or during ageing
    • B29C70/546Measures for feeding or distributing the matrix material in the reinforcing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8/00Producing nets or the like, e.g. meshes, latt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얇고 탄력이 있어 고품격의 포장재로서 사용될 수 있고, 원료가 적게 들어 제작단가를 낮출 수 있는 실을 이용한 포장용 망지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망지는 다수의 원사를 공급하는 단계; 공급된 원사에 수지를 함침시키는 단계; 수지가 함침된 원사를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된 원사들을 원하는 무늬로 배열하는 단계; 배열된 원사들을 1차 가열 압착하는 단계; 및 1차 가열 압착된 원사를 다시 2차 가열 압착하는 단계;를 거쳐 완성된다.

Description

실을 이용한 포장용 망지 및 이의 제조방법과 장치{A packing sheet for decora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포장용 망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얇고 탄력있게 제작하여 포장의 편리성과 품격을 높일 수 있는 실을 이용한 포장용 망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꽃이나 꽃바구니를 포장할 수 있는 포장재들은 부직포 또는 망사조직으로 된 직물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포장재들은 성형구조물의 특성상 자연스럽고 부드러우며 고급스러운 느낌보다는 인조적이고 딱딱한 느낌을 주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꽃이나 꽃바구니를 포장, 장식하게 되면 오히려 포장재의 인조적이고 부자연스러움 때문에 포장효과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64020호(2007.10.08. 공고)
2. 일본국 공개특허 평13-140159호(2001.05.22. 공개)
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57599호(2009.06.08. 공개)
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선행특허들은 모두 압출기에서 망지의 원료가 되는 용융액을 하측으로 흘려주면서 하측에서는 이를 받아 용융액이 굳기 전에 망 형태로 성형한 후, 압착롤러로 눌러서 완성되는 것이다.
망지 형태를 성형하기 위해서는 바람을 불어서 부정형으로 성형하기도 하고, 압출기를 흔들어서 부정형으로 성형하기도 하여 얻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제작된 포장용 망지는 용융액을 사용하기 때문에 두툼하게 성형되어 볼륨감이 좋은 반면, 너무 풍성하거나 망지 자체에 탄력이 없어 잘 휘어짐으로 인해 포장후에 지저분해지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얇고 탄력있는 망지를 성형하기 위해 실의 외부에 수지를 묻혀 가열 압착시킨 포장용 망지 및 이의 제조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다수의 원사를 공급하는 단계;
공급된 원사에 수지를 함침시키는 단계;
수지가 함침된 원사를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된 원사들을 원하는 무늬로 배열하는 단계; 및
배열된 원사들을 가열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을 이용한 포장용 망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망지는,
수지가 함침되어 건조된 원사를 특정 무늬를 갖도록 서로 겹쳐지면서 연속되게 배열하여 가열 압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을 이용한 포장용 망지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망지의 제조장치는,
수지가 담긴 수조속을 다수의 원사들이 통과되는 수지함침부;
수지가 함침된 원사들이 통과되어 건조되는 건조부;
건조된 원사들을 죄어 낙하시키면서 전,후,좌,우 흔들어주는 배열기;
배열기에서 낙하되는 원사들을 컨베이어의 밸트가 받아 수평이동시키는 받침부; 및
받침부를 지나온 밸트를 가열된 드럼에 배열된 원사들이 끼이도록 팽팽하게 휘감아 통과시키는 가열압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을 이용한 포장용 망지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배열기는 서로 직교하도록 수평운동하는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부플레이트에는 적어도 두줄 이상의 배열롤러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배열롤러들의 사이에는 다수의 죔롤러를 끼워 원사들이 배열롤러와 죔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낙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부플레이트 및 하부플레이트에는 두 개의 링크 타단이 결합되고, 각 링크들의 일단은 배열모터에 장착된 캠판에 결합되어 2차원적 수평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또한, 상부플레이트에는 진동자가 장착되어 원사들이 붙는 것을 방지하고 원사들이 아래로 쭉 펴지도록 유도한다.
또한, 배열롤러가 세줄 이상일때에는 죔롤러들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지그재그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망지는 얇고 탄력이 있어, 고품격의 포장재로서 사용될 수 있는 잇점이 있고, 원료가 적게 들어가 제작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망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망지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원지공급 및 수지함침공정을 보인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3의 수지함침공정을 측면에서 본 개략도이고,
도 5는 도 2의 건조공정 이후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은 도 5의 배열기를 위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며, 그리고
도 7은 도 5의 배열기가 작동되는 모습을 보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망지 및 이의 제조방법과 장치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망지는 다수의 원사를 준비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원사는 천연섬유사나 합성섬유사 등과 같은 모든 실들이 사용될 수 있고, 원활한 망지의 제작을 위해 수가닥 내지 수십가닥이 한번에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준비된 원사는 수지에 함침된다.
수지는 원사에 접착성능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수지용액이 담겨진 수조에 원사들을 통과시켜 배출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이렇게 수지가 함침된 원사들은 건조실을 통과시켜 원사에 뭍은 수지를 건조시켜준다.
건조된 원사들은 배열기로 접속되고, 배열기에서는 원하는 무늬를 갖도록 전,후,좌,우 흔들어주면서 하측의 컨베이어밸트위에 쌓이게 된다.
컨베이어밸트위에 올려진 원사들은 밸트가 이동함에 따라 연속적으로 웹형상을 띄게 되고, 이 밸트는 원사들을 위에 올린채 이동하면서 가열과 압착을 하게 된다.
밸트는 첫 번째로, 밸트위에 살짝 올려진 원사들을 가열 압착하여 모양을 갖춘 원사들이 흐트러지지 않게 눌러준다.
다시 밸트는 두 번째로, 가열 압착된 원사들에 재차 가열 압착하여 원사들이 서로 용융되면서 늘어 붙도록 하여 완성된 포장용 망지를 배출하게 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제조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망지의 제조장치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텐드(11)에 다수의 실타래(12)가 거치되는 원사공급부(10)를 구비한다.
그리고 원사공급부(10)에 이웃에는 수지함침부(20)가 설치되는데, 이 수지함침부(20)에는 수조(21)가 구비된다.
이때, 수조(21)의 내부에는 수지용액(22)이 담겨지고, 수지용액(22)속에는 함침롤러(23)가 내장되어 원사(1a)들이 함침롤러(23)를 돌아가면서 수지(22)가 원사(1a)에 함침되게 된다. 여기에서, 원사(1a)들이 함침롤러(23)에 걸쳐지게 하기 위해 수조(21)의 앞뒤에는 연결롤러(24)가 구비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렇게 수지가 함침된 원사(1b)들은 수지함침부(20) 아래의 공급롤러(25)에 의해 1열로 거치되고, 이 원사(1b)들은 건조부(30)로 진입된다.
건조부(30)는 1열로된 원사들이 통과되도록 덕트 형상을 갖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열풍 등과 같은 각종 건조방법에 의해 원사에 뭍은 수지를 건조시키게 된다.
건조된 원사(1c)들은 아래로 연장되어 배열기에 진입된다.
도 5를 참고하면, 배열기(40)는 여러 가닥의 원사(1c)들을 수용하여 전,후,좌,우 흔들어 주면서 원하는 무늬로 배열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배열기(40)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로 직교되도록 2차원적으로 움직이는 상부플레이트(41)와 하부플레이트(42)를 구비하고, 이 상부플레이트(41)와 하부플레이트(42)를 한번에 움직여주는 캠판(44)과 링크(45)로 구성된다.
즉, 상부플레이트(41)의 어느 일측 중앙부와 하부플레이트(42)의 가장자리부를 각각 링크(45)들의 일단에 결합시킨 후, 이 각각의 링크(45)들의 일단을 하나의 캠판(44)에 결합시킴으로써, 배열모터(43)에 장착된 캠판(44)이 회전함에 따라 상부플레이트(41) 및 하부플레이트(42)가 X축방향이나 Y축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부플레이트(41)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원사(1c)들을 죄어서 아래로 낙하시키는 수단이 설치된다.
도 5 및 도 7을 참고하면, 상부플레이트(41)에는 수직하게 내려오는 원사(1c)들을 직각 방향으로 수평하게 가이드해주는 가이드롤(47)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는 적어도 두줄 이상의 배열롤러(48)와, 이 배열롤러(48)의 사이에 놓여지는 죔롤러(49)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배열롤러(48)는 금속으로 제작되고, 죔롤러(49)는 고무재로 제작되어 마찰에 의해 원사(1c)들을 아래로 내리게 된다.
가이드롤(47)은 원사(1c)의 가닥수만큼 구비하게 되고, 죔롤러(49) 역시 원사의 가닥수만큼 구비하게 된다.
이때, 배열롤러(48)를 세줄로 구비하고, 죔롤러(49)를 그 사이에 두줄로 놓되, 각 줄의 죔롤러(49)들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놓으면 여러 가닥의 원사들을 한번에 공급하여도 충분히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의 망지 무늬는 지나가는 컨베이어밸트위에 원형을 그리는 원사가 낙하되므로 연속된 코일형태로 되나, 링크의 길이와 회전속도를 달리하면 원호의 크기나 타원형의 무늬로도 가능해진다. 또는, 상부나 하부플레이트중 어느 하나를 고정시켜서도 무늬를 형성할 수 있게 되는 등 배열모터(43)의 회전속도, 캠판(44)의 모양, 링크(45)의 길이, 상부플레이트(41) 및 하부플레이트(42)의 이동, 컨베이어밸트의 이동속도 등을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죔롤러(49)는 배열롤러(48)의 사이에 놓여지기만 하여도 이탈되지 않고 원사를 죄면서 회전하게 되는데, 마찰의 불균형등으로 인해 죔롤러(49)가 옆으로 이동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플레이트(41)의 상측에는 고정바아가 설치되고, 이 고정바아에 죔롤러(49)의 좌우측을 한정하도록 스토퍼(50)를 장착하여 사용된다.
또한, 각 배열롤러(48)들의 하부에는 죔롤러(49)와의 사이에서 하측으로 낙하되지 않고 롤러에 붙어 달려오는 원사들을 제거하기 위해 리무버(도시되지 않음)가 막대 형상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부플레이트(41)의 어느 일측 상부면상에는 원사들이 롤러에 붙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하측으로 잘 펴지도록 진동자(46)를 장착하여 상부플레이트(41)를 흔들어 줄 수도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배열롤러(48)는 상부플레이트(41)의 타측에 고정 설치된 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체인결합으로 모두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 배열롤러(48)들의 사이에 끼인 죔롤러(49)들은 모두 배열롤러(48)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다음으로 배열된 원사(1d)들을 받아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의 밸트(100)가 배열기(40)의 아래쪽에 구비된다.
컨베이어 밸트(100)는 배열기(40) 아래쪽의 받침부(110)와, 제1가열압착부(120)와, 제2가열압착부(140)로 구성된다.
먼저, 받침부(110)는 낙하되는 원사(1d)들을 밸트(100)가 받아서 수평이동시키는 구간이다. 이러한 구간을 지나게 되면, 회전되는 커다란 제1드럼(121)이 구비되어 이 제1드럼(121)을 원사들이 올려진채로 밸트(100)가 휘감아서 지나치게 된다. 이때, 제1드럼(121)은 내부가 가열되어 고온을 유지하게 되고, 밸트(100)의 팽팽한 장력에 의해 배열된 원사들은 1차적으로 가열 압착된다. 제1드럼(121)의 가열은 스팀이나, 전기 또는 온수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드럼의 온도는 80℃이하의 중저온이면 족하다.
제1가열압착부(120)를 통과한 밸트(100)는 다시 제2가열압착부(140)를 통과하면서 1차가열압착된 원사(1e)를 눌러주어 완성된다. 즉, 제2가열압착부(140)는 제1가열압착부(120)와 마찬가지로 가열된 제2드럼(141)을 원사(1e)가 올려진 밸트(100)가 휘감아 돌아나가면서 가열 및 압착된다. 이때, 제2드럼(141)의 온도는 제1드럼(121)보다 더 높은 중고온(80℃이상)이 압착에 좋다.
마지막으로 제2가열압착부(140)를 통과한 밸트(100)는 마감롤러(145)에 의해 최초의 받침부(110)로 이동하게 되고, 완성된 포장용 망지(1f)만이 따로 배출되어 얻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제1가열압착부(120) 및 제2가열압착부(140)의 제1드럼(121) 및 제2드럼(141)은 각각 두 개씩을 구비하여 두 개의 제1드럼(121) 및 제2드럼(141)을 통과하면서 더 세게 가열 압착되게 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제조방법 및 장치에 의해 얻어지는 포장용 망지의 구조를 상세히 살펴보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지가 함침되어 건조된 원사들이 서로 특정 무늬를 갖도록 겹쳐진 상태에서 가열가압하여 딱딱하게 굳혀서 된 것이다.
이러한 포장용 망지는 실의 두께가 그대로 적용되기 때문에 얇게 성형할 수 있고, 탄력이 있어 고품격을 추구할 수 있고, 제작단가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원사 10 : 원사공급부
20 : 수지함침부 21 : 수조
30 : 건조부 40 : 배열기
41 : 상부플레이트 42 : 하부플레이트
44 : 캠판 45 : 링크
46 : 진동자 47 : 가이드롤러
48 : 배열롤러 49 : 죔롤러
50 : 스토퍼 100 : 밸트
110 : 받침부 120 : 제1가열압착부
121 : 제1드럼 140 : 제2가열압착부
141 : 제2드럼 145 : 마감롤러

Claims (7)

  1. 다수의 원사(1a)를 공급하는 단계;
    공급된 원사(1a)에 수지(22)를 함침시키는 단계;
    수지(22)가 함침된 원사(1b)를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된 원사(1c)들을 원하는 무늬로 배열하는 단계;
    배열된 원사(1d)들을 1차 가열 압착하는 단계; 및
    1차 가열 압착된 원사(1e)를 2차 가열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을 이용한 포장용 망지의 제조방법.
  2. 포장용으로 사용되는 망지에 있어서,
    수지가 함침되어 건조된 원사를 특정 무늬를 갖도록 서로 겹쳐지면서 연속되게 배열하여 두 번에 걸쳐 가열 압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을 이용한 포장용 망지.
  3. 수지(22)가 담긴 수조(21)속을 다수의 원사(1a)들이 통과되는 수지함침부(20);
    수지(22)가 함침된 원사(1b)들이 통과되어 건조되는 건조부(30);
    건조된 원사(1c)들을 죄어 낙하시키면서 전,후,좌,우 흔들어주는 배열기(40);
    상기 배열기(40)에서 낙하되는 원사(1c)들을 컨베이어의 밸트(100)가 받아 수평이동시키는 받침부(110);
    상기 받침부(110)를 지나온 밸트(100)를 가열된 제1드럼(121)에 상기 배열된 원사(1d)들이 끼이도록 팽팽하게 휘감아 통과시키는 제1가열압착부(120); 및
    상기 제1가열압착부(120)를 통과한 원사(1e)들을 다시 가열된 제2드럼(141)에 끼이도록 팽팽하게 휘감는 제2가열압착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을 이용한 포장용 망지의 제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기(40)는 서로 직교하도록 수평운동하는 상부플레이트(41)와 하부플레이트(42)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41)에는 적어도 두줄 이상의 배열롤러(48)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배열롤러(48)들의 사이에는 다수의 죔롤러(49)를 끼워 상기 원사(1c)들이 상기 배열롤러(48)와 죔롤러(49) 사이를 통과하면서 낙하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을 이용한 포장용 망지의 제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41) 및 하부플레이트(42)에는 두 개의 링크(45) 타단이 결합되고, 각 링크(45)들의 일단은 배열모터(43)에 장착된 캠판(44)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을 이용한 포장용 망지의 제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41)에는 진동자(46)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을 이용한 포장용 망지의 제조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롤러(48)가 세줄 이상일때에는 상기 죔롤러(49)들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지그재그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을 이용한 포장용 망지의 제조장치.
KR1020100023922A 2010-03-17 2010-03-17 실을 이용한 포장용 망지 및 이의 제조방법과 장치 KR101164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3922A KR101164948B1 (ko) 2010-03-17 2010-03-17 실을 이용한 포장용 망지 및 이의 제조방법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3922A KR101164948B1 (ko) 2010-03-17 2010-03-17 실을 이용한 포장용 망지 및 이의 제조방법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4808A true KR20110104808A (ko) 2011-09-23
KR101164948B1 KR101164948B1 (ko) 2012-07-11

Family

ID=44955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3922A KR101164948B1 (ko) 2010-03-17 2010-03-17 실을 이용한 포장용 망지 및 이의 제조방법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494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299B1 (ko) * 2012-08-03 2014-03-28 은성미 망 포장지의 제조장치
KR200473737Y1 (ko) * 2014-04-16 2014-07-23 문윤영 불규칙 망사형 꽃 포장지 제조장치
KR101522364B1 (ko) * 2013-12-24 2015-06-01 김종식 불규칙 자유 패턴식 포장용 망지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7983B1 (ko) * 2017-09-19 2019-03-14 코리아마니또 주식회사 꽃포장 망사지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1659A (ja) * 1997-08-18 1999-03-05 Masao Horiguchi 模様シートの製法
KR100647471B1 (ko) 2004-12-23 2006-11-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복합 스터드의 생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복합스터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299B1 (ko) * 2012-08-03 2014-03-28 은성미 망 포장지의 제조장치
KR101522364B1 (ko) * 2013-12-24 2015-06-01 김종식 불규칙 자유 패턴식 포장용 망지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
KR200473737Y1 (ko) * 2014-04-16 2014-07-23 문윤영 불규칙 망사형 꽃 포장지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4948B1 (ko) 201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4948B1 (ko) 실을 이용한 포장용 망지 및 이의 제조방법과 장치
KR100694366B1 (ko) 부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과 장치
US4080232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king textile sheet structures
JP2009538261A (ja) マンドレルの周りで織物を固化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101315945B1 (ko) 연속식 스트랜드 매트의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한 제조방법
TWI655081B (zh) 一種極薄熱塑性纖維補強複合材料成型設備及其製程
NO124605B (ko)
US2101905A (en) Pile fabric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US2598000A (en) Multiple stage tow drying
JP2738650B2 (ja) 布帛の地詰め方法と装置
EP0153060B1 (en) Manufacture of flexible sheet material
DK2857577T3 (en) Apparatus for rolling laundry items
WO2013053332A1 (zh) 冷转移印花机的预缩装置
KR200415612Y1 (ko) 반짝이 원단 제조장치
NO159349B (no) Fremgangsmaate ved fremstilling av stoepeformer og/eller -kjerner.
TWM563957U (zh) 一種極薄熱塑性纖維補強複合材料成型設備
KR101858130B1 (ko) 불규칙망사형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US4239719A (en) Method for continuous production of corrugated sheets
SE448987B (sv) Metod och apparat for forformning av en dyna
KR100950191B1 (ko) 장식용 포장재의 제조장치
JPH0123154B2 (ko)
KR200473737Y1 (ko) 불규칙 망사형 꽃 포장지 제조장치
JP2005314850A (ja) シームレスベルトの作製方法及び装置
KR101589981B1 (ko) 꽃 포장용 망지 제조장치
KR20070121151A (ko) 테이프와 벨벳 겸용 열가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