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1374A - 시선 추적 안경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리모트 컨트롤러 - Google Patents

시선 추적 안경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리모트 컨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1374A
KR20110101374A KR1020100020337A KR20100020337A KR20110101374A KR 20110101374 A KR20110101374 A KR 20110101374A KR 1020100020337 A KR1020100020337 A KR 1020100020337A KR 20100020337 A KR20100020337 A KR 20100020337A KR 20110101374 A KR20110101374 A KR 20110101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d
wireless
image
controller
comma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0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수
Original Assignee
이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수 filed Critical 이강수
Priority to KR1020100020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1374A/ko
Publication of KR20110101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13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K9/46
    • G06K9/5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Abstract

본 발명품은 현재 마케팅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시선 추적 안경에 무선 통신 장치, 움직임 감지 센서, 제품 분별 지표(Object Marker)를 추가하여 시선을 통해 여러 가지 제품(컴퓨터, 텔레비젼, 전등 스위치 등)을 무선 조작(Remote Control) 가능하게 하여주는 장비로 유비쿼터스(ubiquitous) 시대에 다용도로 쓰일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Description

시선 추적 안경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리모트 컨트롤러 {Ubiquitous Remote Controller using Eye-tracking Glasses}
본 발명은 무선 리모트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 이전의 손을 이용한 마우스, 터치패드, 키보드, TV 리모컨 등과는 다르게 사람의 눈의 시선을 추적하여 활용함으로써 보다 직관적이고 편리해진 "시선 추적 안경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리모트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2010년 02월 08일 SBS 경제안테나에 나온 뉴스 "유통업체들, 지갑여는 마케팅 과학"을 보면, 안경에 달린 카메라 2대가 정면의 화면(1)과 동공의 움직임(2)을 체크해 녹화하고, 사람의 시선이 어디를 향하고 있는지 분석하는 화면이 나온다. 사람의 동공 위치와 정면 화면을 분석함으로써 사람의 정면에서 어느 부분을 보고 있는지 판단해 내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이 실제 마케팅에 사용되고 있고, 본 발명은 이러한 시선 추적 안경에 무선 통신장치와 동작 감지 센서(혹은 클릭 장치), 사물 분별장치(Object Marker)를 추가하여 사람의 시선을 이용한 리모트 컨트롤러를 발명하였다.
현재의 디지털 입력 장치들(마우스, 터치패드, 키보드, TV 리모컨)은 대부분 손을 이용하여 조작한다. 이러한 입력 장치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손을 움직여야 하며, 직관적으로 사용하기에 불편하고, 조작에 익숙해 지려면 시간이 어느 정도 필요하게 된다. 이에 시선 추적 안경을 이용하여 직관적이고 조작이 편하며 다양한 곳에 쓰일 수 있는 다기능 리모트 컨트롤러를 발명하였다.
시선 추적 안경을 이용하여 사람의 시선이 어디를 향해 있는지 분석이 가능하고, 모니터나 전등 스위치 등 조작이 필요한 곳에 적외선 등이나 디지털 시그널 발생기(digital signal emitter)를 두어 시선이 어느 제품을 향해 있는지 판단한다. 안경에 무선 통신장치를 장착하여 조작하고자 하는 물체를 바라본 뒤, 무선 장치를 클릭(혹은 안경에 움직임 감지센서를 달아 안경을 움직임에 따라 적절한 데이터를 송신)하면 시선이 향한 제품이 명령을 전달받아 사용자가 원하는 작동을 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컴퓨터에서는 마우스와 같이 쓸 수 있고(시선이 마우스 포인터가 되고, 클릭버튼만 따로 눌러주거나, 움직임 감지센서를 이용. 드레그, 앞으로&뒤로 기능도 사용 가능.), 전등 스위치(스위치를 바라보고 클릭하거나 전등을 바라보고 클릭하면 전등이 켜짐.), TV 리모컨(화면 위아래를 보고 클릭하면 채널이동, 양옆을 보고 클릭하면 음량조절)으로도 활용 가능하다. 그야말로 유비쿼터스 시대에 가장 필요한 제품이라고 생각된다.
[도 1]: 시선 추적 안경을 이용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개략도.
[도 2]: 특수한 색을 이용한 제품 분별 지표(Object Marker).
[도 3]: 특수한 문양을 이용한 제품 분별 지표(Object Marker).
[도 4]: 명령어 역할을 할 수 있는 좌우 움직임 및 회전 움직임.
시선 추적 안경은 현재 마케팅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고, 문제없이 잘 작동되고 있다. 이 안경에 무선 통신 장치(무선 마우스에 쓰이는 통신장비를 이용)와 정면 카메라가 어떤 제품인지를 구분해 줄 수 있게 해주는 Object Marker(특수한 색 혹은 문양을 입혀서 구분할 수도 있고, 적외선, 자외선 등 눈에 보이지 않지만 카메라는 인식 가능한 빛을 이용하는 방법, Digital Signal Emitter를 달아 구분하는 방법 등이 있다.)를 설치하여 시선 추적 안경은 마우스 포인터의 역할을 무선 통신 장치는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Object Marker는 어느 제품을 조작하려는지를 구분가능하게 하여 시선만으로 여러 가지 전자제품을 조작할 수 있게 해준다.
일 예로 본 발명품을 컴퓨터의 마우스와 같은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면, [도 2]와 같이 컴퓨터 모니터를 응시하고 있을 것이다. 본 발명품 [도 1]에 달린 정면 카메라가 화면을 찍고, 왼쪽 상단부(노란색 Marker)와 오른쪽 하단부(초록색 Marker)를 기준으로 시선이 어디를 향해 있는지 동공 촬영을 통해 확인한다. 이를 통해 (노락색, 초록색 Marker가 화면 경계를 알려주므로) 모니터 화면상에서 시선이 어디 머물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고, 따라서 시선이 마우스 포인터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의 클릭 버튼을 이용해 마우스의 클릭, 더블클릭 기능을 재현할 수 있고, 움직임 감지 센서 혹은 정면 카메라의 이미지 분석을 통해 [도 4]와 같은 움직임을 감지하여 드레그, 앞으로&뒤로 등의 기능도 본 발명품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두 번째 예로 본 발명품을 [도 3]에 있는 전등의 리모컨으로서 쓰고 싶다면, 본 발명품에서 사용되는 시선 추적 안경이 [도 3]에 있는 전등 스위치 혹은 전등 옆에 있는 문양에 사람의 시선이 가 있다는 것을 판단하고, 정면 카메라의 화면에서 시선 부분의 이미지를 분석하여(이미지 분석은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 컴퓨터로 이미지를 보내 분석할 수 있다.) 거실에 있는 형광등을 바라보고 있다는 것을 판단, 클릭으로 신호를 보내면 형광등 스위치가 그 신호를 받아 불을 켜게 된다.
현재의 마우스, 터치패드, 전등 리모컨, TV 리모컨 등을 대체할 수 있다.
부호 없음.

Claims (5)

  1. 유무선 조작기(Wire or Wireless Controller)에 있어서,
    시선 추적 안경을 이용하여 정면 사진과 동공 사진을 찍어 유무선 통신장비를 통해 컴퓨터에 이 정보를 보낸 뒤,
    정면 카메라에 찍힌 화면상의 어느 부분을 사용자가 보고 있는지 판단하고,
    그 부분의 이미지 혹은 전체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어느 제품을 어떻게 조작하기를 원하는지 판단하여,
    해당 제품에 유무선 통신장비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명령을 하달하는 유무선 조작기(wire or wireless(remote) controller).
  2. 이미지를 분석하여 명령을 내리는 유무선 조작기(Wire or Wireless Controller)에 있어서,
    [도 2]와 같이 두 지표를 기준으로 시선 혹은 포인터(카메라, 유무선 통신장비가 장착된 막대기를 이용하여 본 발명품과 비슷한 식의 컨트롤러를 만들 수 있음.)가 어디를 향해 있는지 판단하고,
    두 지표를 기준으로 하는 좌표 상에서 어느 위치에 시선 혹은 포인터가 있는지 계산하여 명령을 내리는 유무선 조작기.
  3. 이미지를 분석하여 명령을 내리는 유무선 조작기(Wire or Wireless Controller)에 있어서,
    [도 2]와 같이 특별한 색상을 이용하여 제품 구별을 가능하게 하는 지표.
  4. 이미지를 분석하여 명령을 내리는 유무선 조작기(Wire or Wireless Controller)에 있어서,
    [도 3]과 같이 특별한 문양(바코드와 비슷)을 이용하여 제품 구별을 가능하게 하는 지표.
  5. 이미지를 분석하여 명령을 내리는 유무선 조작기(Wire or Wireless Controller)에 있어서,
    적외선, 혹은 자외선 빛을 이용하여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카메라를 통하면 제품 구별을 가능하게 하는 지표.
KR1020100020337A 2010-03-08 2010-03-08 시선 추적 안경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리모트 컨트롤러 KR201101013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337A KR20110101374A (ko) 2010-03-08 2010-03-08 시선 추적 안경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리모트 컨트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337A KR20110101374A (ko) 2010-03-08 2010-03-08 시선 추적 안경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리모트 컨트롤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374A true KR20110101374A (ko) 2011-09-16

Family

ID=44953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0337A KR20110101374A (ko) 2010-03-08 2010-03-08 시선 추적 안경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리모트 컨트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137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219B1 (ko) * 2011-10-13 2013-04-24 상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시선 추적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장치
KR20150041233A (ko) 2013-10-07 2015-04-1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게이즈 제스처를 이용한 스마트 안경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방법
WO2016003100A1 (en) * 2014-06-30 2016-01-07 Alticast Corporation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d displaying device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219B1 (ko) * 2011-10-13 2013-04-24 상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시선 추적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장치
KR20150041233A (ko) 2013-10-07 2015-04-1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게이즈 제스처를 이용한 스마트 안경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방법
WO2016003100A1 (en) * 2014-06-30 2016-01-07 Alticast Corporation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d displaying device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8400B2 (en) Controll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180307396A1 (en) Operation control device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US20140247216A1 (en) Trigger and control method and system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operation command and laser emission device
US8555171B2 (en) Portable virtual human-machine interaction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101963840B (zh) 用于远程、虚拟屏幕输入的系统和方法
CN106774868B (zh) 一种无线演示装置
WO2009147758A1 (ja) 画像認識装置および操作判定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6233229B (zh) 利用以摄像机为中心的虚拟触控的远程操作装置及方法
CN104777927B (zh) 影像式触控装置及其控制方法
TW20052541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ght input device
JP2009523335A (ja) 対話型入力システム
JP4839432B2 (ja) 瞳孔位置検出によるポインティング装置及び方法
TWI476639B (zh) 鍵盤裝置及電子裝置
KR20110101374A (ko) 시선 추적 안경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리모트 컨트롤러
WO2015030482A1 (ko) 웨어러블 디스플레이용 입력장치
JP2005063225A (ja) 自己画像表示を用いたインタフェース方法、装置、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2016024718A (ja) ウェアラブル入力装置及びウェアラブル入力方法
CN113434048B (zh) 多功能输入设备及其工作模式切换方法、切换装置
CN103713387A (zh) 电子设备和采集方法
US201701685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cal tracking
KR20170074555A (ko) 웨어러블형 증강현실 멀티입력을 통한 it 기기 제어장치
KR20180000515A (ko) 손가락 모션 감지를 통한 마우스 기능 구현 시스템
CN110888529B (zh) 虚拟现实场景控制方法、虚拟现实设备及其控制装置
CN102253763B (zh) 无线交互系统和方法
JP2000029619A (ja) コンピュ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