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0844A - 재해 정보 전송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재해 정보 전송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0844A
KR20110100844A KR1020100019892A KR20100019892A KR20110100844A KR 20110100844 A KR20110100844 A KR 20110100844A KR 1020100019892 A KR1020100019892 A KR 1020100019892A KR 20100019892 A KR20100019892 A KR 20100019892A KR 20110100844 A KR20110100844 A KR 20110100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l
data
river
information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9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4052B1 (ko
Inventor
이영수
Original Assignee
이영수
(주)유니코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수, (주)유니코이엔지 filed Critical 이영수
Priority to KR1020100019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052B1/ko
Publication of KR20110100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0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지역에서 발생하는 재해 및 사고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지역에서 재해 및 사고 상황이 발생할 경우 해당 지역 부근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재해 및 사고 상황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재해 및 사고 정보 전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재해 정보 전송 장치는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하천의 수위를 측정하여 전송하는 수위 레벨 센서, 수신된 상기 하천의 수위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할 표시 데이터를 산출하는 제어부, 산출한 상기 표시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제어부와 상기 표시부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전지 또는 풍력 발전기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재해 정보 전송 장치 및 시스템{Apparatus and System for Disaster Information transmission}
본 발명은 특정 지역에서 발생하는 재해 및 사고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지역에서 재해 및 사고 상황이 발생할 경우 해당 지역 부근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재해 및 사고 상황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재해 및 사고 정보 전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구 온난화 현상에 의한 기상이변으로 발생하는 재해에 대한 예측이 갈수록 어려워지며 그 피해 또한 급증하고 있으며, 도로망의 발달로 지역간의 이동에 대한 시간 단축과 접근성은 향상되었으나 도로망의 침수와 화재나 차량 충돌과 같은 사고의 발생 빈도와 피해 규모 또한 급증하고 있다.
재해라 함은 크게 자연 재해와 인적 재해로 나뉘어지는데, 자연 재해는 태풍, 홍수, 호우, 폭풍, 해일, 폭설, 가뭄, 전염병 및 지진 등 자연 현상으로 인한 재해를 포함하며, 인적 재해는 화재, 교통사고, 항공 사고, 철도 사고, 구조물의 붕괴 등 인공 설비 또는 사람에 의해 발생하는 재해를 의미한다.
재해와 관련된 정보는 재해 대책 본부, 국토 관리청, 기상청, 홍수 통제소, 가스 안전 공사, 경찰청, 보건 복지부 등에서 수집된다. 이렇게 수집된 정보는 중앙 재해 대책 본부 및 지방 자치 단체의 재해 대책 본부와 같은 경보 발령 기관 및 방송사로 전달되어 재해 상황에 따른 경보가 발령된다. 이와 같은 재해시 긴급 상황을 전달할 수 있는 매체로는 텔레비전과 라디오와 같은 공중파 방송 매체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재해 지역 주민 및 해당 공무원은 방송 매체를 통하여 긴급 상황을 전달받게 된다.
특히, 재해 및 사고의 경우 재해 및 사고의 발생으로 인한 1차적 피해뿐 아니라 후속해서 발생 가능한 2차적 피해가 더욱 심각한 상황을 초래하므로, 재해 및 사고가 발생한 지역으로 접근중인 사람들이 상기 재해 및 사고 발생에 대한 정보를 즉각 파악하여 신속하게 대처함으로써 피해 확산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재해 방지 시스템이 요구된다.
특히, 도로망에서 발생하는 교통 혼잡 상황의 경우에는 현장에 도착해서 다시 돌아가거나 혼잡 상황이 종료되는 것을 기다리는 것이 가능하지만 터널 내의 화재, 지하차도의 침수, 도로상에서의 산사태 등과 같은 재해 및 사고 발생 상황에서는 운전자들이 상황판을 확인하지 못하고 상기 재해 및 사고 발생 현장에 도달하는 경우사고차량 또는 재해의 확산에 의해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후속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2-0035025에서는 관광지의 다수 지역에 기상 관측 시스템을 구비하여 상기 지역의 기상상태를 관측한 후 상기 기상상태에 대한 정보를 공원 관리 센터로 전송하게 되면 상기 공원 관리 센터는 개인용단말기, 인터넷 홈페이지, 및 전광판 등으로 상기 정보를 재전송하여 기상 이변으로 인한 재해 및 사고 발생 시에 발생 상황에 따른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은 지역 부근을 지나는 운전자들이 재해 및 사고 발생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수단인 전광판이 고속도로나 특정 지역에 국한되어 위치하므로 재해 및 사고 발생 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파악과 능동적인 대처가 이루어지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재해 발생 시 재해 발생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사람에게 재해 발생 여부를 신속히 통보하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재해 발생 시 재해 발생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사람에게 재해 발생 여부를 다양한 방식으로 통보하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재해 발생 시 재해 발생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사람에게 발생된 재해의 위험도에 따라 상이한 방식으로 통보하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재해 정보 전송 장치는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하천의 수위를 측정하여 전송하는 수위 레벨 센서, 수신된 상기 하천의 수위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할 표시 데이터를 산출하는 제어부, 산출한 상기 표시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제어부와 상기 표시부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전지 또는 풍력 발전기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재해 발생 시 재해 발생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사람에게 재해 발생 여부를 신속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통보한다. 본 발명은 재해 발생 시 재해 발생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사람에게 발생된 재해의 위험도에 따라 상이한 방식으로 통보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발생된 재해로부터 인근에 위치하고 있는 사람은 신속한 이동 및 대처가 가능하므로 추가적인 인명이나 재산상의 피해를 막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하천 주변에 설치되는 신호등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수위레벨 측정부와 신호등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수위레벨 측정부와 신호등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하고 있는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예경보 통합 안내 운영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광판 운영 단말국과 방송 운영 단말국을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천 주변에 설치되는 신호등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의하면, 신호등은 기둥(100), 문자 표시부(102), 정보 표시부(104)와 스피커(10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신호등은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둥(100)은 신호등을 지지하며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를 이용하거나 철재로 구성된다. 기둥(100)의 하단은 지중에 매설되어 지반에 고정되며, 기둥(100)의 상단은 문자 표시부(102)와 연결된다. 도 1에 의하면, 신호등은 두 개의 기둥(102)으로 구성된다.
문자 표시부(102)는 기둥(100)의 상단에 위치하며, '위험',' 주의', '안전'등의 문자를 표시한다. 문자 표시부(102)에 표시되는 문자의 색상은 인근에 위치하고 있는 사람이 신속히 해당 문자를 인지할 수 있도록 고유의 색상을 갖도록 설정한다. 일반적으로 '위험'은 적색으로, '주의'는 황색으로, '안전'은 녹색으로 표시되도록 한다. 물론 도 1은 문자 표시부(102)에 표시되는 문자의 종류를 3가지로 도시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 2가지 또는 4가지 이상의 문자를 가지도록 설계할 수 있다.
정보 표시부(104)는 문자 표시부(102)에 표시되는 문자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표시한다. 일예로 문자 표시부(102)에 표시되는 문자가 '안전'인 경우 정보 표시부(104)는 현재 온도 및 습도 등을 포함한 날씨 정보, 일상생활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문자 표시부(102)에 표시되는 문자가 '위험'인 경우, 정보 표시부(104)는 대피와 관련된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문자 표시부(102)는 대피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 인근에 위치하고 있는 사람에게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점멸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스피커(106)는 인근에 위치하고 있는 사람에게 청각 정보를 제공한다. 스피커(106)는 문자 표시부(102)에 표시되는 정보가 '주의' 나 '위험'인 경우 인근에 위치하고 있는 사람에게 청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경고 방송을 송출한다.
도 1은 문자 표시부(102)를 이용하여 '위험', '주의', '안전'등의 정보를 제공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신호등은 적색등, 황색등, 녹색등을 포함하며, 현재 상태가'위험'인 경우에는 적색등을 점등하며, 현재 상태가'주의'인 경우에는 황색등을 점등하며, 현재 상태가'안전'인 경우에는 녹색등을 점등한다. 또한, 신호등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적색등의 점등이 필요한 경우, 적색등을 점멸하는 방식으로 사람들에게 시각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하천에 설치된 수위레벨 측정부와 신호등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하천에 설치된 수위레벨 측정부와 신호등의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수위레벨 측정부(200)는 수위레벨 센서(202)와 통신부(204)를 포함한다. 물론 수위레벨 측정부(200)는 수위레벨 센서(202)와 통신부(204) 이외에 다른 구성이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수위레벨 센서(202)는 하천 수위를 실시간으로 센싱한다. 수위레벨 센서(202)는 센싱한 하천 수위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204)로 전달한다. 수위레벨 센서(202)는 설정에 따라 일정시간 간격으로 하천 수위를 센싱할 수 있다. 즉, 수위레벨 센서(202)는 10분 또는 20분 간격으로 하천 수위를 센싱하거나, 시간대 또는 계절에 따라 달리 하천 수위를 센싱할 수 있다.
통신부(204)는 수위레벨 센서(202)로부터 전달받은 하천 수위에 대한 정보를 신호등(210)의 통신부(212)로 전달한다.
신호등(210)은 통신부(212), 제어부(216), 태양전지(214), 배터리(218), 표시부(220) 등을 포함하며,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즉, 신호등(210)은 '안전', '주의', '위험' 등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등(210)의 통신부(212)는 수위레벨 측정부(200)의 통신부(204)로부터 전달받은 하천 수위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216)로 전달한다.
제어부(216)는 통신부(212)로부터 전달받은 하천 수위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한 결과에 따라 표시부(220)에 표시될 정보를 산출한다. 즉, 제어부(216)는 전달받은 하천 수위에 대한 정보가 제1설정치 미만이면 하천의 안전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하고, '안전'과 관련된 정보를 산출한다. 제어부(216)는 전달받은 하천 수위에 대한 정보가 제1설정치 이상이며 동시에 제2설정치 미만이면 하천의 안전에 주의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주의'와 관련된 정보를 산출한다. 제어부(216)는 전달받은 하천 수위에 대한 정보가 제2설정치 이상이면 하천이 위험하다고 판단하고, '위험'과 관련된 정보를 산출한다.
부가하여 제어부(216)는 실시간 또는 일정시간 간격으로 전달받은 하천 수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하천 수위가 올라가고 있는 중인 지, 내려가고 있는 중인 지를 판단한다.
태양전지(214)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신호등(210)에서 사용하는 전력을 생산한다. 도 2는 태양전지(214)를 이용하여 신호등(210)에서 사용하는 전력을 생산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신호등(210)은 풍력을 이용하는 풍력 발전기를 이용하여 신호등에서 사용할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풍력 발전기는 바람에 따라 풍력 발전기의 날개의 위치가 회전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호등(210)은 풍력 발전기와 태양전지(214)를 동시에 사용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배터리(218)는 신호등(210)에서 사용할 전력이 부족할 경우를 대비하여 전력을 저장하고 있다. 태양 전지(214)에서 생산되는 전력 중 일부는 신호등(210)을 구동하는데 사용되며, 남는 전력은 비상상태를 대비하기 위해 배터리(218)에 충전할 수 있다.
표시부(220)는 정보 표시부와 문자 표시부를 포함하며, 제어부(216)에서 전송된 내용을 표시한다. 정보 표시부와 문자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도 1에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하천 인근에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는 수위레벨측정부로부터 전달받아 분석한 하천 수위가 설정된 제1임계치를 초과하거나, 제2임계치 미만인 경우 카메라의 구동을 지시한다. 즉, 카메라는 평상시에는 구동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다가,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하천이 위험 상황을 촬영한다. 카메라는 촬영한 영상을 설정된 장치(일 예로 후술할 정보 통제소 종합운영센터, 수위예정보 예정 단말국)로 전송하거나, 신호등의 표시부의 일정 공간에 표시되도록 신호등으로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카메라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구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수위레벨 측정부와 신호등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하고 있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수위레벨 측정부와 신호등에서 수행되는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S300단계에서 수위레벨 센서는 하천의 수위를 센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위레벨 센서는 실시간 또는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하천의 수위를 센싱한다. 일반적으로 수위레벨 센서는 여름철에는 센싱 주기를 짧게 설정하며, 겨울철에는 센싱 주기를 길게 설정할 수 있다.
S302단계에서 수위레벨 센서에서 센싱된 결과 데이터는 통신부를 이용하여 신호등으로 전달된다.
S304단계에서 신호등의 제어부는 수신된 센싱 결과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응되는 표시 데이터를 산출한다. 센싱 결과 데이터와 이에 대응되는 표시 데이터는 신호등 내에 구성되어 있는 저장부에 기 저장될 수 있다.
S306단계에서 제어부는 산출된 표시 데이터의 레벨이 설정된 레벨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설정된 레벨은 '주의'또는 '위험'과 관련된 레벨이다. 즉, 제어부는 표시부에 표시되는 데이터가 '주의'또는 '위험'과 관련된 데이터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는 표시부에 표시되는 데이터가 '주의'또는 '위험'과 관련된 데이터이면 S310단계로 이동하고, '주의'또는 '위험'과 관련된 데이터가 아닌 경우 즉 '안전'과 관련된 데이터이면 S308단계로 이동한다.
S308단계에서 표시부는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산출된 표시 데이터인 '안전'을 표시한다. S310단계에서 표시부는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산출된 표시 데이터인 '주의'또는 '위험'을 표시하고, 스피커는 경고음을 송출(방송)한다.
즉, 본 발명은 표시부에 표시되는 데이터가 '주의' 또는 '위험'인 경우에는 표시부에 표시함과 동시에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방송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인근에 위치하고 있는 사람에게 효과적으로 위험을 알릴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예경보 통합 안내 운영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예경보 통합 안내 운영 시스템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4에 의하면, 예경보 통합 안내 운영 시스템은 경보 통제소 종합 운영센터(MTE), 수위 예경보 운영 단말국(RTE), 전광판 운영 단말국(RTE1), 방송운영 단말국(RTE2)를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예경보 통합 안내 운영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각 구성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경보 통제소 종합 운영센터(400)는 수위 예경보 운영 단말국(402)으로부터 하천의 수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하천의 수위 정보를 이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생성한다. 경보 통제소 종합 운영센터(400)는 하천의 수위가 설정된 수위 이상인 경우 방송국으로 이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거나, 도심지 전광판에 이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또는 경보 통제소 종합 운영센터(400)는 휴대 단말로 문자 메시지 또는 방송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하천에 설치된 CCTV를 조작하여 상세한 화면을 수신한다.
수위 예경보 운영 단말국(402)은 원격 경보 운영 단말기와 스피커 등을 포함하며, 필요한 경우 태양전지 등을 이용하여 필요한 전력을 생산한다. 원격 경보 운영 단말기는 수위 예경보 운영 단말국을 제어한다.
수위 예경보 운영 단말국(402)은 전광판 운영 단말국(404) 또는 방송 운영 단말국(406)으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전광판 운영 단말국(404) 또는 방송 운영 단말국(406)으로 필요한 정보를 송신한다. 수위 예경보 운영 단말국(402)은 경보 통제소 종합운영 센터(400)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경보 통제소 종합운영 센터(400)로 필요한 정보를 송신한다.
수위 예경보 운영 단말기(402)는 하천의 수위가 설정된 레벨 이상이면 스피커를 이용하여 경고 방송을 송출하며, 경보 통제소 종합운영 센터로 이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전광판 운영 단말국(404)과 방송 운영 단말국(406)에 대한 기능에 대해서는 도 5에서 알아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광판 운영 단말국과 방송 운영 단말국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5를 이용하여 전광판 운영 단말국과 방송 운영 단말국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전광판 운영 단말국(404)은 전광판 운영 단말기(500), 전광판 입출력부(512), LED 전광판(514)을 포함하며, LED 전광판(514)은 문자 표시부(102), 정보 표시부(104), 신호등 표시부(516)를 포함한다. 전광판 운영 단말기(500)는 전광판 운영 단말국(404)을 제어하며, 수위 예경보 운영 단말국(402) 또는 수위 레벨 측정부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수신한다. 전광판 운영 단말기(500)는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여 LED 전광판(514)에 표시할 정보를 추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광판 운영 단말국(404)은 저장부를 이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전광판 운영 단말기(500)는 LED 전광판(514)에 표시할 정보를 전광판 입출력부(512)를 통해 LED 전광판(514)으로 전달한다. 상술한 LED 전광판(514)의 문자 표시부는 '안전', '주의', '위험' 등 중 하나의 문자를 표시한다. 정보 표시부(104)는 문자 표시부(102)에 표시되는 문자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표시한다. 일예로 문자 표시부(102)에 표시되는 문자가 '안전'인 경우 정보 표시부(104)는 현재 온도 및 습도 등을 포함한 날씨 정보, 일상생활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문자 표시부(102)에 표시되는 문자가 '위험'인 경우, 정보 표시부(104)는 대피와 관련된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신호등 표시부(516)는 적색등, 황색등, 녹색등을 포함하며, 현재 상태가'위험'인 경우에는 적색등을 점등하며, 현재 상태가'주의'인 경우에는 황색등을 점등하며, 현재 상태가'안전'인 경우에는 녹색등을 점등한다.
방송 운영 단말국(406)은 방송 운영 단말기(530), 스피커 입출력부(534), 스피커(536)를 포함한다. 방송 운영 단말기(530)는 방송 운영 단말국(406)을 제어하며, 수위 예경보 운영 단말국(402) 또는 수위 레벨 측정부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운영 단말기(530)는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여 스피커(536)로 방송할 정보를 추출한다. 방송 운영 단말국(406)은 저장부를 이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방송 운영 단말기(530)는 스피커(536)로 방송할 정보를 스피커 입출력부(534)를 통해 스피커(536)로 전달한다. 스피커(536)는 방송 운영 단말기(53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방송한다.
본 발명은 하천에 수위에 대한 정보를 필요한 곳으로 통보하는 방안에 대해 기재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수온이나 건조, 화재 등에 정보를 통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2: 문자 표시부 104: 정보 표시부
200: 수위레벨 측정부 202: 수위레벨센서
214:태양전지 216:제어부
400:경보 통제소 종합운영센터 402:수위예경보 운영 단말국
404:전광판 운영 단말국 406: 방송 운영 단말국

Claims (6)

  1.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하천의 수위를 측정하여 전송하는 수위 레벨 센서;
    수신된 상기 하천의 수위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할 표시 데이터를 산출하는 제어부;
    산출한 상기 표시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제어부와 상기 표시부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전지 또는 풍력 발전기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부를 포함하는 재해 정보 전송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수신된 상기 하천의 수위가 제1레벨 이하이면 제1표시 데이터를, 수신된 상기 하천의 수위가 제1레벨 이상이며 제2레벨이하면 제2표시 데이터를, 수신된 상기 하천의 수위가 제2레벨 이상이면 제3표시 데이터를 산출하는 재해 정보 전송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문자 데이터와 신호등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데이터는'안전'과 녹색이며, 상기 제2데이터는 '주의'와 황색이며, 상기 제3데이터는 '위험'과 적색임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 정보 전송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산출된 데이터가 제2 데이터 또는 제3 데이터이면, 경고음을 송출하는 스피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 정보 전송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레벨 센서는 하천의 수위, 유속을 센싱하며, 상기 제어부는 하천의 수위가 올라가는 중인지 내려가는 중인 지 여부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 정보 전송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신한 상기 하천의 수위가 제1임계치 이상이거나, 제2임계치 이하이면 상기 하천 유역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로 구동을 지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 정보 전송 장치.
KR1020100019892A 2010-03-05 2010-03-05 재해 정보 전송 장치 및 시스템 KR101204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892A KR101204052B1 (ko) 2010-03-05 2010-03-05 재해 정보 전송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892A KR101204052B1 (ko) 2010-03-05 2010-03-05 재해 정보 전송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844A true KR20110100844A (ko) 2011-09-15
KR101204052B1 KR101204052B1 (ko) 2012-11-27

Family

ID=44953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9892A KR101204052B1 (ko) 2010-03-05 2010-03-05 재해 정보 전송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40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5580A (ko) 2015-02-27 2016-09-07 주식회사 에스비아이에스 폭풍 해일 모델 검증 자동화 시스템
CN109410525A (zh) * 2018-10-16 2019-03-01 南京工业大学 一种基于配电网的城市社区洪涝监测装置
KR20220109008A (ko) * 2021-01-28 2022-08-04 현진아이씨티 주식회사 Cctv 네트워크를 이용한 침수 감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6525A (ja) 2001-02-28 2002-09-11 Sangaku Renkei Kiko Kyushu:Kk 河川洪水の予測システム
JP2005121615A (ja) 2003-10-20 2005-05-12 Toshiba Corp 観測局装置、監視局装置及び河川管理システム
KR200340197Y1 (ko) 2003-11-10 2004-01-31 김종국 다목적 자동방송장치
JP2008293056A (ja) 2007-05-22 2008-12-04 Shinko Electric Co Ltd 災害事前検知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5580A (ko) 2015-02-27 2016-09-07 주식회사 에스비아이에스 폭풍 해일 모델 검증 자동화 시스템
CN109410525A (zh) * 2018-10-16 2019-03-01 南京工业大学 一种基于配电网的城市社区洪涝监测装置
KR20220109008A (ko) * 2021-01-28 2022-08-04 현진아이씨티 주식회사 Cctv 네트워크를 이용한 침수 감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4052B1 (ko) 2012-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41521B (zh) 环境安全监测与逃生导引系统及警示逃生方法
US20180050693A1 (en) Wrong way vehicle detection and control system
KR101288025B1 (ko) 재난 알림 전광판
KR100755207B1 (ko) 도로변 재난 감시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0074013A1 (ja) 車載用電子機器
JP2016057719A (ja) 路面用サイン
CN110807911A (zh) 物联感知交通警示系统及方法
KR101204052B1 (ko) 재해 정보 전송 장치 및 시스템
KR101223094B1 (ko) 도로 안전운전표시기 관제시스템
US9805596B2 (en) Wrong way indication beacon and related methods
JP2016081442A (ja) 災害時誘導装置
JP3523231B2 (ja) 水災害に対する避難誘導システム
CN114241809A (zh) 一种智能生命安全防护系统及方法
US10109192B2 (en) Wrong way indication beacon and related methods
KR102138711B1 (ko) 재난 대피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6277384A (ja) 災害伝達装置
KR100406187B1 (ko) 도로 통제 시스템
JP6528301B2 (ja) 避難誘導システム
KR20040090044A (ko) 자동기상관측을 통한 재난 경보 및 생활정보 제공 시스템
JP2013083130A (ja) 総合災害対応避難誘導標識柱
CN205140430U (zh) 城市地名导向标识装置和城市地名导向标识系统
CN113506412A (zh) 一种动态更新逃生路线的火灾疏散系统
KR101806717B1 (ko) 안전 폴을 포함하는 안전 시스템
JP2010223879A (ja) 車載用電子機器
JP2005189917A (ja) 情報提供システムと案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