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0815A - 공작기계용 지그 - Google Patents

공작기계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0815A
KR20110100815A KR1020100019842A KR20100019842A KR20110100815A KR 20110100815 A KR20110100815 A KR 20110100815A KR 1020100019842 A KR1020100019842 A KR 1020100019842A KR 20100019842 A KR20100019842 A KR 20100019842A KR 20110100815 A KR20110100815 A KR 20110100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machine tool
workpiece
sliding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9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9425B1 (ko
Inventor
정상식
Original Assignee
정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상식 filed Critical 정상식
Priority to KR1020100019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9425B1/ko
Publication of KR20110100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0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9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9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5/00Accessories or auxiliary equipment for turning-machines
    • B23B25/06Measuring, gauging, or adjusting equipment on turning-machines for setting-on, feeding, 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cutting tools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5/00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 B23Q15/20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before or after the tool acts upon the workpiece
    • B23Q15/22Control or regulation of position of tool or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작기계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일측이 공작 기계에 장착되는 제 1지그(10)와, 일측이 수평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지그(10)의 타측에 결합되고, 타측이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제 2지그(20)와, 원기둥형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제 2지그(20)의 경사면에 결합되며, 타측에 피가공물(M)이 장착되는 제 3지그(30)와, 상기 제 1지그(10)와 상기 제 2지그(20)가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슬라이딩 구동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용 지그는, 피가공물(M)의 가공 위치 수정이 간단하고, 지그의 체결 구조가 간단하여 공작기계의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피가공물(M)의 경사면 가공 작업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공작기계용 지그{JIG FOR MACHINE TOOL}
본 발명은 공작기계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작기계에서 피가공물의 일측에 경사면을 가공하기 위한 공작기계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기계용 지그는, 절삭, 연삭 등과 같이 절삭 칩(chip)을 내면서 금속 등의 재료를 가공하여 필요한 모양을 만들어 내는 공작기계에 있어서, 피가공물을 가공하기 위한 정확한 위치에 고정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피가공물의 일측에 경사면을 가공하기 위해서, 피가공물을 경사진 지그에 장착하여 회전시키고, 회전하는 피가공물의 일측에 공구를 접촉시켜 피가공물을 절삭하였다,
따라서, 피가공물의 길이에 따라 피가공물의 회전반경이 달라지므로, 피가공물의 회전반경과, 고정된 공구의 위치를 일치시키는 작업이 선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피가공물의 회전반경과, 고정된 공구의 위치를 일치시키기 위해서는, 피가공물을 고정한 지그를 분리하고, 수정위치에 재체결을 해야하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다수의 지그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지그가 별도로 필요하기 때문에, 공작기계의 부피가 커지고,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그의 분리작업 없이 지그의 위치수정이 가능한 공작기계용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체결 구조가 간단한 공작기계용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인 공작기계용 지그는, 원기둥형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공작 기계에 장착되는 제 1지그와, 일측이 수평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지그의 타측에 결합되고, 타측이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제 2지그와, 원기둥형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제 2지그의 경사면에 결합되며, 타측에 피가공물이 장착되는 제 3지그와, 상기 제 1지그와 상기 제 2지그가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슬라이딩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딩 구동부는, 상기 제 1지그의 내측에 구비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에 체결되어, 상기 스크류의 회전시 직선 이동하는 이동블록과, 상기 이동블록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2지그와 체결되는 이동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딩 구동부는, 상기 이동블록의 이동방향과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딩턱과, 상기 슬라이딩턱과 대응되도록 요입되어 형성되는 슬라이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지그와 상기 제 2지그가 접하는 면 중 어느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딩턱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용 지그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공작기계 내측에 구비된 지그 안착부에 고정되는 제 1지그와, 상기 제 1지그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는 제 2지그가 구비되어, 지그의 분리작업 없이 상기 제 2지그를 슬라이딩시켜 지그의 위치수정이 가능해, 작업효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 1지그, 제 2지그 그리고 제 3지그를 결합시에, 각 지그를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연결지그가 필요없이, 각 지그가 직접 체결되도록 구성하여, 공작기계의 부피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른 공작기계 제작 비용의 절감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용 지그의 체결 구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용 지그의 구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용 지그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용 지그를 이용한 피가공물의 가공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용 지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공작기계용 지그는, 원기둥형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공작 기계에 장착되는 제 1지그(10)와, 일측이 수평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지그(10)의 타측에 결합되고, 타측이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제 2지그(20)와, 원기둥형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제 2지그(20)의 경사면에 결합되며, 타측에 피가공물(M)이 장착되는 제 3지그(30)와, 상기 제 1지그(10)와 상기 제 2지그(20)가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슬라이딩 구동부(40) 등으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인 공작기계용 지그에는 제 1지그(10)가 마련된다.
상기 제 1지그(10)는, 원기둥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지그(10)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공작기계 내부에 구비된 지그 안착부(50)에 장착되어, 지그 안착부(50)와 아래에서 설명할 제 2지그(2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지그(20)는, 일측이 수평으로 형성되고, 타측이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지그(20)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상기 제 1지그(10)에 결합되어, 상기 제 1지그(10)와 아래에서 설명할 제 3지그(3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 2지그(20)는, 상기 제 1지그(10)와 제 3지그(30) 사이에 구비되어, 제 3지그(30)가 기울어져 장착되도록 한다. 즉,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에서 설명할 제 3지그(30)의 일측에 장착되는 피가공물(M)이 일정한 기울기로 기울어져 장착되게 된다.
상기 제 3지그(30)는, 원기둥형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피가공물(M)이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3지그(30)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상기 제 2지그(20)에 결합되어, 피가공물(M)과 상기 제 2지그(2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 3지그(30)의 일측에는 피가공물을 장착하기 위한 고정홀(32)과, 고정바(34), 고정바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36)가 더 구비된다.
상기 고정홀(32)은, 상기 제 3지그(30)의 일측에 원기둥형으로 요입되어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고정홀(32)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지그(30)의 상부 중앙에, 원기둥형으로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홀(32)은, 원기둥형의 피가공물(M)의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피가공물(M)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바(34)는, 상기 고정홀(32)의 외측에서 상기 제 3지그(30)의 외측으로 향하는 바(bar) 형상으로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고정바(34)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홀(32)의 외측에서 상기 제 3지그(30)의 외측으로 향하는 방사형으로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 고정바(34)는, 상기 고정홀(32)에 삽입된 피가공물(M)이 가공 작업시에, 상기 고정홀(32) 내에서 헛돌지 않도록 회전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조작부(36)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3지그(30)의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조작부(36)는, 상기 고정바(34)의 고정범위를 조작하는데 이용된다.
한편, 상기 제 3지그는, 상기 고정바(34)가 상기 제 3지그(3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고정홀(32) 없이, 피가공물(M)을 고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원 발명인 공작기계용 지그에는, 슬라이딩 구동부(40)가 마련된다. 상기 슬라이딩 구동부(40)는, 상기 제 1지그(10)와 상기 제 2지그(20)를 슬라이딩 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슬라이딩 구동부(40)는, 상기 제 1지그(10)의 내측에 구비되는 스크류(42)와, 상기 스크류(42)에 체결되어, 상기 스크류(42)의 회전시 직선 이동하는 이동블록(44)과, 상기 이동블록(44)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2지그(20)와 체결되는 이동축(46)으로 구성된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류(42)는, 상기 제 1지그(10)의 내측에 전후로 길게 형성된 스크류홈(48)에 전후 방향으로 구비된다. 상기 스크류(42)는, 회전함으로써 아래에서 설명할 이동블록(44)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스크류(42)의 일측에는, 상기 제 1지그(10)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스크류헤드(42a)가 구비된다. 상기 스크류헤드(42a)는, 상기 스크류(42)의 회전을 조작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이동블록(44)은, 상기 스크류(42)와 대응되는 볼트(미도시)를 구비하고, 상기 볼트(미도시)로써 상기 스크류(42)에 체결된다. 상기 볼트(미도시)는 상기 이동블록(44)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블록(44)은, 상기 스크류(42)에 체결되어, 상기 스크류(42)의 회전시, 상기 스크류(42)의 길이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한다.
상기 이동축(46)은, 상기 이동블록(44)의 일측에 형성되는 돌기로 형성된다. 즉,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블록(44)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이동축(46)은, 상기 제 1지그(10)와 상기 제 2지그(20)의 결합시에, 상기 제 2지그(20)에 형성된 삽입홈(22)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블록(44)의 이동과 함께 상기 제 2지그(20)를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구동부(40)에는, 상기 이동블록(44)의 이동방향과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딩턱(72)과, 상기 슬라이딩턱(72)과 대응되도록 요입되어 형성되는 슬라이딩홈(74)이 더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딩턱(72)과 상기 슬라이딩홈(74)은, 상기 제 1지그(10)와 상기 제 2지그(20)가 접하는 면 중 어느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딩턱(72)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슬라이딩홈(74)이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슬라이딩턱(72)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지그(10)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홈(74)은 상기 제 2지그(2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슬라이딩턱(72)이 상기 제 2지그(20)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홈(74)이 상기 제 1지그(10)의 상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슬라이딩턱(72)은, 상측으로 돌출된 '┌┐'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홈(74)은, 상기 슬라이딩턱(7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턱(72)과 상기 슬라이딩홈(74)은 대응되게 결합되어, 상기 제 1지그와 상기 제 2지그가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되도록하는 가이드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턱(72)과 상기 슬라이딩홈(74)은, 상기 제 1지그(10)와 상기 제 2지그(20)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하고, 상기 제 2지그(20)의 슬라이딩을 더욱 안정적으로 하기 위하여, 양측이 테이퍼(taper)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턱(72)은, 상부로 갈수록 너비가 넓어지는 '
Figure pat00001
' 형상으로 돌출되고, 상기 슬라이딩홈(74)은, 상기 슬라이딩턱(7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요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작용을 살펴본다.
먼저, 제 1지그(10)의 내측에 스크류(42)가 삽입되고, 상기 스크류(42)에는 이동블록(44)이 볼트(미도시) 체결된다. 이때, 상기 스크류(42)의 일측에 구비된 스크류헤드(42a)는, 상기 제 1지그(10)의 일측으로 돌출된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지그(10)의 우측에는 제 2지그(20)가 결합된다. 즉, 상기 제 1지그와 상기 제 2지그에 형성된 슬라이팅턱(72)과 슬라이딩홈(74)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이동축(46)은, 상기 제 2지그(20)에 형성된 삽입홈(22)에 체결된다.
상기 제 2지그(20)이 우측에는 제 3지그(30)가 결합된다. 즉, 상기 제 2지그(20)의 우측 경사면에, 상기 제 3지그(30)의 좌측면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 3지그(30)의 우측의 고정홀(32)에 피가공물(M)의 일부가 삽입되고, 조작부(36)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고정바(34)가 상기 고정홀(32)의 중앙부로 이동한다.
상기 고정홀(32)이 이동하면, 상기 피가공물(M)이 상기 제 3지그(30)의 우측에 고정되게 된다. 이때, 상기 피가공물(M)은 제 2지그(20)의 경사면으로 인해, 기울어져서 고정된다.
상기 피가공물(M)의 모서리에 상기 피가공물(M)을 가공하기 위한 공구(62)를 접하고, 상기 지그를 회전시키면, 상기 피가공물(M)의 회전 반경이 상기 공구(62)의 고정위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가공물(M)의 회전 반경이 상기 공구(62)의 고정위치를 벗어날 경우, 제 1지그의 일측에 구비된 스크류헤드(42a)를 조작하여 제 2지그를 슬라이딩시킨다. 즉, 상기 제 2지그(20)가 슬라이딩되어, a위치에서 b위치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피가공물(M)의 회전 반경이 상기 공구(62)의 고정위치에 일치하게 된다.
다음으로, 공작기계를 작동시키면, 상기 회전하는 피가공물(M)을 가공하기 위한 공구(62)가 다수개 구비된 공구부(60)가 미리 설정된 순서대로 작동하여, 상기 피가공물(M)을 가공한다. 그러면, 도 4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피가공물(M)의 일측을 경사지게 가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 제 1지그 20 : 제 2지그
30 : 제 3지그 32 : 삼입홈
34 : 고정바 40 : 구동부
42 : 스크류 44 : 이동블록
46 : 이동축 48 : 스크류홈
50 : 지그 안착부 60 : 공구부
62 : 공구 72 : 스라이딩턱
74 : 슬라이딩홈 M : 피가공물

Claims (3)

  1. 원기둥형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공작 기계에 장착되는 제 1지그(10)와;
    일측이 수평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지그(10)의 타측에 결합되고, 타측이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제 2지그(20)와;
    원기둥형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제 2지그(20)의 경사면에 결합되며, 타측에 피가공물(M)이 장착되는 제 3지그(30)와;
    상기 제 1지그(10)와 상기 제 2지그(20)가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슬라이딩 구동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지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구동부(40)는,
    상기 제 1지그(10)의 내측에 구비되는 스크류(42)와;
    상기 스크류(42)에 체결되어, 상기 스크류(42)의 회전시 직선 이동하는 이동블록(44)과;
    상기 이동블록(44)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2지그(20)와 체결되는 이동축(4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지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구동부(40)는,
    상기 이동블록(44)의 이동방향과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딩턱(72)과;
    상기 슬라이딩턱(72)과 대응되도록 요입되어 형성되는 슬라이딩홈(74);을 포함하고,
    상기 제 1지그(10)와 상기 제 2지그(20)가 접하는 면 중 어느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딩턱(72)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슬라이딩홈(7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지그.
KR1020100019842A 2010-03-05 2010-03-05 공작기계용 지그 KR101159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842A KR101159425B1 (ko) 2010-03-05 2010-03-05 공작기계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842A KR101159425B1 (ko) 2010-03-05 2010-03-05 공작기계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815A true KR20110100815A (ko) 2011-09-15
KR101159425B1 KR101159425B1 (ko) 2012-07-03

Family

ID=44953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9842A KR101159425B1 (ko) 2010-03-05 2010-03-05 공작기계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94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2172B1 (ko) 2019-06-24 2021-07-14 (주)대성하이텍 개량된 피치 보정구조를 갖는 다축 공작기계용 지그장치
KR102115339B1 (ko) 2019-08-28 2020-05-26 장우진 절삭가공물 집합체 고정지그
KR102190807B1 (ko) 2019-08-28 2020-12-14 장우진 절삭가공물 고정지그
KR102568883B1 (ko) 2021-08-10 2023-08-21 (주)대성하이텍 독립 피치 조절구조를 갖는 다축 가공형 머시닝 센터
KR102590760B1 (ko) 2023-01-25 2023-10-17 박영석 공작기계용 다기능 지그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3398B1 (ja) * 1998-04-21 1999-06-28 豊 櫻井 旋盤用治具
KR200219163Y1 (ko) 2000-11-16 2001-04-02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공작대의 가변형 공작물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9425B1 (ko) 2012-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9425B1 (ko) 공작기계용 지그
KR101624099B1 (ko) 압축기의 편심샤프트 오일그루브 가공용 지그어셈블리
CN110733003B (zh) 工具壳体及其制造方法
JP2006102887A (ja) ワーククランプ装置
KR20100000137U (ko) 절단기 나이프 가공용 지그
KR101534441B1 (ko) 버 제거장치
US8434972B2 (en) Broaching tool, in particular keyway broaching tool
US10300622B2 (en) Bearing device
EP3520955A1 (en) Machine tool bed and machine tool
KR200445443Y1 (ko) 면취용 툴
US6453565B1 (en) Universal blade adapter
KR100655319B1 (ko) 축이송 리니어 모션 가이드
KR101526790B1 (ko) 디버링 공구
KR101487544B1 (ko) 연마 가공을 위한 소재 고정지그
CN102528161A (zh) 通用锯条夹头
JP2012250292A (ja) 工作機械
JP5295728B2 (ja) 加工工具取付具
JP2017001123A (ja) 機械加工装置及び機械加工方法
JP2006035380A (ja) 工作機械用固定治具
KR20160086237A (ko) 백 카운터 보링 가공용 공구
KR100899214B1 (ko) 마그네틱 블럭
KR101940367B1 (ko) 공구 홀더
KR20120003069A (ko) 밀링 커터의 체결 구조
CN208991899U (zh) 一种用于汽车锥齿轮加工的治具
CN216759098U (zh) Cnc机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