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0527A - 방사선 치료용 다엽 콜리메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방사선 치료용 다엽 콜리메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0527A
KR20110100527A KR1020100019571A KR20100019571A KR20110100527A KR 20110100527 A KR20110100527 A KR 20110100527A KR 1020100019571 A KR1020100019571 A KR 1020100019571A KR 20100019571 A KR20100019571 A KR 20100019571A KR 20110100527 A KR20110100527 A KR 20110100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llimator
coupled
pinion gea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9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2619B1 (ko
Inventor
지영훈
정해조
김금배
최문식
박승우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원자력의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원자력의학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원자력의학원
Priority to KR20100019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2619B1/ko
Priority to PCT/KR2011/001450 priority patent/WO2011108853A2/ko
Priority to US13/582,297 priority patent/US8917816B2/en
Publication of KR20110100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0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2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2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42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with spatial modulation of the radiation beam within the treatment head
    • A61N5/1045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with spatial modulation of the radiation beam within the treatment head using a multi-leaf collimator, e.g. for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or IMRT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KTECHNIQUE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IRRADIATION DEVICES; GAMMA RAY OR X-RAY MICROSCOPES
    • G21K1/00Arrangement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e.g. focusing or moderating
    • G21K1/02Arrangement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e.g. focusing or moderating using diaphragms, collimators
    • G21K1/04Arrangement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e.g. focusing or moderating using diaphragms, collimators using variable diaphragms, shutters, choppers
    • G21K1/046Arrangement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e.g. focusing or moderating using diaphragms, collimators using variable diaphragms, shutters, choppers varying the contour of the field, e.g. multileaf collim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056Rotary to or from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 Y10T74/18088Rack and pinion type
    • Y10T74/18096Shifting ra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치료용 다엽 콜리메이터 장치는, 상하 측에 각각 관통공이 형성된 박스 형태의 프레임(frame); 상기 프레임 내부에 수용되며, 상면에 랙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중심부에 대해 좌우 대칭으로 짝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에 대해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콜리메이터(collimator); 및 상기 콜리메이터에 형성된 랙 기어(rack gear)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피니언 기어(pinion gear)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의 전후 방향과, 상기 프레임의 좌우 방향과, 상기 프레임의 상하 방향으로 각각 이동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모션 구동부(motion driving part);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사선 치료용 다엽 콜리메이터 장치{Multi-leaf collimator device for radiotherapy}
본 발명은 방사선 치료용 다엽 콜리메이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암 환자 또는 동물을 치료하기 위한 방사선 치료장치에 설치되어 치료하고자 하는 목표 부위에만 정확하게 방사선이 조사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방사선 치료용 다엽 콜리메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교육과학기술부의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 [과제고유번호: 20090062218, 과제명: 방사선 치료 내부장기 움직임 추적 의학물리 기술 개발]
복잡해진 사회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많은 스트레스와 불규칙한 식사 등으로 건강을 유지하기 힘들어졌다. 특히, 이런 현대인들은 악성종양 즉, 암에 의한 사망원인 확률이 가장 높다. 사회적으로 암의 발병률 또한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국가적인 대책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암 등의 치료방법도 주요한 관심의 대상이 되며, 특히 방사선 치료법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종양의 성공적 방사선 치료를 위해서는 두 가지 중요한 요소가 필요하다. 첫째, 종양에 조사되는 방사선의 위치가 정확해야 하며, 둘째, 계획된 방사선량과 실제 투여된 방사선량이 일치하여야 한다.
종양에 대한 정확한 방사선 조사를 위해서는 여러 가지 변위 오차를 줄여야 한다. 환자의 인체와 관련하여 생기는 변위 오차에는 크게 3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그 종류는 자세관련 장기움직임 오차, 사이 분획 장기움직임 오차, 내부분획 장기움직임 오차로 분류된다.
자세관련 장기움직임 오차는 환자가 치료받을 때 서 있거나 누워있거나 하는 자세에 따라 내부 장기들의 위치가 변하게 되는 것이다. 자세관련 장기움직임 오차는 치료위치를 계획할 때, 치료할 때와 같은 환자의 자세를 만들어 촬영하고 그에 따라 계획함으로써 그 오차를 줄일 수 있다.
사이 분획 장기움직임 오차는 내부 장기의 상태에 따른 움직임들로, 방광의 채워짐 정도라든가 직장의 채워짐 정도, 혹은 위의 채워짐 정도에 따라 해당 장기 및 주변 장기들의 위치가 변하게 되어 생기는 것이다. 이와 같은 사이 분획 장기움직임 오차는 치료계획 할 때와 치료할 때 환자의 상태를 같게 만들어 줌으로써 제거할 수 있다.
내부분획 장기움직임 오차는 호흡이나 심장의 박동에 의해 해당 장기 및 주변 장기들의 위치 변화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 오차는 살아있는 사람에게 있어서 생리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으며, 그 움직임이 빈번하고, 특히 호흡에 의한 경우에 그 변동폭이 커서 횡격막을 포함한 호흡 움직임에 영향을 받는 해당장기들에 있어서 위치 변화가 크게 문제된다. 이와 같은 내부분획 장기움직임 오차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호흡에 따른 외부 해부학적 움직임을 추적하여 그에 따른 내부 장기의 특정부분의 위치변화를 반영하여 상기 특정부분에만 방사선이 조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특허 제706758호 및 특허 제740340호와 같은 장치를 고안한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장치를 사용하여 환자의 치료부위에 방사선을 조사할 경우 장기의 위치가 특정한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만 방사선 개폐장치를 개방하기 때문에 실제 치료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환자의 치료부위를 방사선으로 치료를 하는 과정에 있어서 최대한 정상 조직을 보호하기 위해 차폐물을 제작한 후 실제 치료 시 방사선치료기에 차폐물을 부착하여 방사선을 조사한다. 차폐체의 종류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리포위츠 합금(leafowitz metal) 차폐체와 다엽 콜리메이터(MLC, multi-leaf collimator)가 있다. 리포위츠 합금 차폐체는 합금 블록제작에 1~2일의 시간이 필요하지만 다엽 콜리메이터의 경우는 별도의 차폐체 제작시간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다양한 조사면을 합금블록보다 쉽게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상용화된 다엽 콜리메이터의 경우 가격이 고가인 문제점과 다양한 방사선 조사장치와 연동하여 운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치료용 다엽 콜리메이터 장치는 환자의 치료부위에만 연속적이고 정확하게 방사선이 조사될 수 있는 방사선 치료용 다엽 콜리메이터 장치로서 특히 가격이 고가인 종래 장치의 단점을 개선하여 경제적으로 저렴하면서도 효율적인 다엽 콜리메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치료용 다엽 콜리메이터 장치는, 상하 측에 각각 관통공이 형성된 박스 형태의 프레임(frame);
상기 프레임 내부에 수용되며, 상면에 랙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중심부에 대해 좌우 대칭으로 짝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에 대해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콜리메이터(collimator); 및
상기 콜리메이터에 형성된 랙 기어(rack gear)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피니언 기어(pinion gear)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의 전후 방향과, 상기 프레임의 좌우 방향과, 상기 프레임의 상하 방향으로 각각 이동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모션 구동부(motion driving part);를 포함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모션 구동부는,
상기 프레임의 좌우 측에 대칭적으로 한 쌍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션 구동부는,
상기 콜리메이터가 슬라이딩하는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 볼 스크류(ball screw);
상기 볼 스크류의 일단부에 결합된 제1모터(first motor);
상기 볼 스크류에 결합된 볼 너트(ball nut);
상기 볼 너트에 고정된 이동 부재(moving member);
상기 이동 부재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승강 부재(elevation member);
상기 승강 부재의 하단부에 그 승강 부재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피니언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축과 일체로 결합된 풀리(pulley);
상기 승강 부재의 상단부에 고정된 제2모터(second motor); 및
상기 제2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풀리를 연결하는 타이밍 벨트(timing belt);를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 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볼 스크류에 나란하게 배치된 리니어 모션 가이드(linear motion guide)를 더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 부재는 공압(air pressure)에 의해 승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션 구동부는 컴퓨터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치료용 다엽 콜리메이터 장치는 환자의 치료부위의 방사선 조사 영역을 한정하기 위해 설정되는 다엽 콜리메이터를 리니어 모션용 제1모터와 승강 가능한 피니언 기어를 제2모터에 의해 효과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제조 원가를 낮추고 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효율적인 치료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치료용 다엽 콜리메이터 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엽 콜리메이터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다엽 콜리메이터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다엽 콜리메이터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다엽 콜리메이터 장치 중 모션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모션 구동부에 의해 콜리메이터를 이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다엽 콜리메이터 장치에서 방사선 치료부위를 특정하도록 콜리메이터가 설정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방사선 치료용 다엽 콜리메이터 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엽 콜리메이터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다엽 콜리메이터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다엽 콜리메이터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다엽 콜리메이터 장치 중 모션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모션 구동부에 의해 콜리메이터를 이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콜리메이터 장치에서 방사선 치료부위를 특정하도록 콜리메이터가 설정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사선 치료용 다엽 콜리메이터 장치는(10, 이하 "콜리메이터 장치"라 함)는 환자의 치료 예정 부위에 치료용 방사선을 조사하는 장치인 방사선 조사장치에 장착하여 환자의 치료하고자 하는 부위에만 방사선이 조사되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콜리메이터 장치(10)는 프레임(20)과, 콜리메이터(23)와, 모션 구동부(3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프레임(20)은 방사선 조사장치(미도시)에 상대 고정된다. 상기 프레임(20)은 복수의 판재를 결합하여 제조되었다. 상기 프레임(20)은 탄소강이나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 프레임(20)의 재질은 금속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프레임(20)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박스 형태이다. 상기 프레임(20)은 상하 측에 각각 관통공(22)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관통공(22)은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22)은 방사선 조사장치에서 조사되는 방사선이 조사되어 투과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상기 콜리메이터(23)는 상기 프레임(20)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상기 콜리메이터(23)는 상기 프레임(2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콜리메이터(23)는 다수 배치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콜리메이터(23)들은 상기 프레임(20)의 중심부에 대해 좌우 대칭으로 짝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콜리메이터(23) 각각의 상면에는 랙 기어(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콜리메이터(23)는 방사선을 차폐할 수 있는 재료인 탄소강이나 텅스텐 합금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콜리메이터(23)는 그 형상이 판 형태이기 때문에 차폐엽(shield leaf) 이라고도 불린다.
상기 모션 구동부(30)는 상기 콜리메이터(23)를 원하는 형태로 이동시켜서 방사선 조사장치에서 조사되는 방사선의 조사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구동부이다.
상기 모션 구동부(30)는 상기 프레임(20)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모션 구동부(30)는 상기 프레임(20)의 좌우 측에 대칭적으로 한 쌍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모션 구동부(30)는 상기 콜리메이터(23)에 형성된 랙 기어(24)(rack gear)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피니언 기어(42)(pinion gear)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피니언 기어(42)는 상기 콜리메이터(23)를 상기 프레임(20)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특정한 형태의 조사 영역을 설정한다. 상기 피니언 기어(42)는 상기 모션 구동부(30)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20)의 전후 방향(X)과, 상기 프레임(20)의 좌우 방향(Y)과, 상기 프레임의 상하 방향(Z)으로 각각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모션 구동부(30)는 볼 스크류(32)와, 제1모터(34)와, 볼 너트(35)와, 이동 부재(36)와, 리니어 모션 가이드(38)와, 승강 부재(40)와, 피니언 기어(42)와, 풀리(44)와, 제2모터(46)와, 타이밍 벨트(48)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볼 스크류(32)는 상기 콜리메이터(23)가 슬라이딩하는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 스크류(32)는 상기 프레임(20)의 전후 방향(X)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볼 스크류(32)의 일단부는 제1모터(34)의 출력축에 결합 되어 있다. 상기 볼 스크류(32)의 타단부는 상기 프레임(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모터(34)가 회전하면 상기 볼 스크류(32)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모터(34)는 상기 프레임(20)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1모터(34)는 정밀도가 양호한 서보 모터(servo motor)나,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볼 너트(35)는 상기 볼 스크류(32)에 결합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볼 스크류(32)와 상기 볼 너트(35)는 상호 결합하여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볼 너트(35)에는 이동 부재(36)가 결합 되어 있다. 상기 이동 부재(36)는 상기 볼 너트(35)에 고정되어 그 볼 너트(35)와 일체로 이동한다.
상기 리니어 모션 가이드(38)는 상기 볼 스크류(32)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리니어 모션 가이드(38)에는 상기 이동 부재(36)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리니어 모션 가이드(38)는 상기 이동 부재(36)의 직선 운동을 더욱 정확하게 유도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승강 부재(40)는 상기 이동 부재(3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승강 부재(40)는 상기 이동 부재(36)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승강 부재(40)는 공압에 의해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승강 부재(40)를 공압에 의해 승강 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므로 상세한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승강 부재(40)의 하단부에는 피니언 기어(4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피니언 기어(42)는 상기 승강 부재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피니언 기어(42)는 상기 승강 부재(40)의 하단부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피니언 기어(42)의 회전축에는 풀리(44)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풀리(44)는 상기 피니언 기어(42)의 회전축과 일체로 결합되어 그 피니언 기어(42)를 회전시키는 구동원과 연결을 원활하게 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제2모터(46)는 상기 승강 부재(40)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2모터(46)의 회전축과 상기 풀리(44)는 타이밍 벨트(48)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모터(46)의 회전축이 회전하면 상기 타이밍 벨트(48)를 통해 상기 풀리(44)가 회전하고 그 풀리(44)와 일체로 상기 피니언 기어(42)가 회전한다. 상기 제2모터(46)는 정밀도가 양호한 서보 모터(servo motor)나,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모터(34)와 상기 제2모터(46) 및 상기 승강 부재(40)의 운동은 컴퓨터(미도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모션 구동부(30)는 컴퓨터에 의해 제어가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콜리메이터 장치(10)는 치료 부위의 형상에 필요한 데이터를 컴퓨터의 키보드와 같은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제어가 가능하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방사선 치료용 다엽 콜리메이터 장치(10)의 작용을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방사선 조사 형상을 설정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서술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치료용 다엽 콜리메이터 장치(10)의 콜리메이터(23)는 상기 프레임(20)의 중심부에 모두 모아진 상태로부터 서술을 시작하기로 한다. 초기 조건에서는 방사선이 상기 콜리메이터(23)에 의해 모두 차폐되므로 방사선이 환자의 치료부위에 조사되지 않는다.
이제 치료하고자 하는 환자의 치료부위에 방사선은 정확하게 조사하고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상기 콜리메이터 장치(10)를 설정(setting)하는 과정을 서술하기로 한다. 상기 콜리메이터 장치(1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람은 컴퓨터의 입력장치를 통하여 설정하고자 하는 형태의 콜리메이터(23)의 배치 형태를 입력한다. 컴퓨터에 입력되는 조건은 그래픽 형상일 수도 있으며, 수치 조건일 수도 있다. 조건이 컴퓨터에 입력되면, 그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CPU)에서 상기 콜리메이터 장치(10)의 모션 구동부(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만들어 낸다. 그리고, 상기 컴퓨터로부터 상기 모션 구동부(30)의 구동신호가 전달된다. 상기 모션 구동부(30)는 상기 제1모터(34)를 구동함으로써 상기 이동 부재(36)를 X 방향으로 이동시켜 위치를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모션 구동부(30)는 공압을 이용하여 상기 승강 부재(40)를 상기 프레임의 상하 방향(Z)으로 승강시켜서 상기 피니언 기어(42)와 상기 랙 기어(24)를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모션 구동부(30)는 상기 제2모터(46)를 구동함으로써 상기 풀리(44)를 회전시킨다. 상기 풀리(44)가 회전하면 상기 피니언 기어(42)가 회전하면서 그 피니언 기어(42)에 결합된 랙 기어(24)에 의해 다수의 콜리메이터(23)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프레임(20)의 좌우 방향(Y)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콜리메이터(23)의 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승강 부재(40)가 상승하여 상기 피니언 기어(42)가 상기 랙 기어(24)와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제1모터(34)가 구동되어 다른 콜리메이터(23) 위치로 상기 피니언 기어(42)가 이동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순차적으로 반복함으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사서 조사 부위의 형상을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2개의 모션 구동부(30)가 각각 양측에 설치된 콜리메이터(23)들을 순차적으로 이동시켜서 설정하고자 하는 형태로 상기 콜리메이터(23)를 이동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모션 구동부(30)에 의해 상기 프레임(20) 내부에 수용된 다수의 콜리메이터(23)를 상기 랙 기어(24)와 피니언 기어(42)의 결합을 통해 순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효과적으로 상기 콜리메이터 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콜리메이터 장치(10)는 종래에 수작업으로 상기 콜리메이터(23)를 제어하는 경우에 비하여 장치 사용자의 방사선 피폭의 위험성이 감소되며 정밀한 콜리메이터(23) 배치의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장치 중에는 각각의 콜리메이터 마다 구동수단을 별도로 마련하여 제어하는 것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콜리메이터 장치(10)는 이와 같은 종래의 장치에 비하여 제조 원가가 현저하게 저렴하므로 가격에 의해 범용적으로 사용하지 못하였던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콜리메이터 장치(10)는 환자의 치료비 부담을 경감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10 : 방사선 치료용 다엽 콜리메이터 장치 20 : 프레임
22 : 관통공 23 : 콜리메이터
24 : 랙 기어 30 : 모션 구동부
32 : 볼 스크류 34 : 제1모터
35 : 볼 너트 36 : 이동 부재
38 : 리니어 모션 가이드 40 : 승강 부재
42 : 피니언 기어 44 : 풀리
46 : 제2모터 48 : 타이밍 벨트
X : 전후 방향 Y : 좌우 방향
Z : 상하 방향

Claims (6)

  1. 상하 측에 각각 관통공이 형성된 박스 형태의 프레임(frame);
    상기 프레임 내부에 수용되며, 상면에 랙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중심부에 대해 좌우 대칭으로 짝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에 대해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콜리메이터(collimator); 및
    상기 콜리메이터에 형성된 랙 기어(rack gear)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피니언 기어(pinion gear)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의 전후 방향과, 상기 프레임의 좌우 방향과, 상기 프레임의 상하 방향으로 각각 이동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모션 구동부(motion driving part);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치료용 다엽 콜리메이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구동부는,
    상기 프레임의 좌우 측에 대칭적으로 한 쌍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치료용 다엽 콜리메이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구동부는,
    상기 콜리메이터가 슬라이딩하는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 볼 스크류(ball screw);
    상기 볼 스크류의 일단부에 결합된 제1모터(first motor);
    상기 볼 스크류에 결합된 볼 너트(ball nut);
    상기 볼 너트에 고정된 이동 부재(moving member);
    상기 이동 부재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승강 부재(elevation member);
    상기 승강 부재의 하단부에 그 승강 부재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피니언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축과 일체로 결합된 풀리(pulley);
    상기 승강 부재의 상단부에 고정된 제2모터(second motor); 및
    상기 제2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풀리를 연결하는 타이밍 벨트(timing belt);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치료용 다엽 콜리메이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볼 스크류에 나란하게 배치된 리니어 모션 가이드(linear motion guide)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치료용 다엽 콜리메이터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부재는 공압(air pressure)에 의해 승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치료용 다엽 콜리메이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구동부는 컴퓨터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치료용 다엽 콜리메이터 장치.
KR20100019571A 2010-03-04 2010-03-04 방사선 치료용 다엽 콜리메이터 장치 KR101092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19571A KR101092619B1 (ko) 2010-03-04 2010-03-04 방사선 치료용 다엽 콜리메이터 장치
PCT/KR2011/001450 WO2011108853A2 (ko) 2010-03-04 2011-03-03 방사선 치료용 다엽 콜리메이터 장치
US13/582,297 US8917816B2 (en) 2010-03-04 2011-03-03 Multi-leaf collimator device for radiotherap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19571A KR101092619B1 (ko) 2010-03-04 2010-03-04 방사선 치료용 다엽 콜리메이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527A true KR20110100527A (ko) 2011-09-14
KR101092619B1 KR101092619B1 (ko) 2011-12-13

Family

ID=44542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19571A KR101092619B1 (ko) 2010-03-04 2010-03-04 방사선 치료용 다엽 콜리메이터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917816B2 (ko)
KR (1) KR101092619B1 (ko)
WO (1) WO2011108853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753B1 (ko) * 2012-11-14 2014-08-29 황영신 조사범위 조절수단을 구비하는 콜리메이터장치
KR101500246B1 (ko) * 2013-12-31 2015-03-0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양성자 치료용 다지 콜리메이터
KR101674529B1 (ko) 2015-09-09 2016-11-09 한국원자력의학원 다엽 콜리메이터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8147541A1 (ko) * 2017-02-07 2018-08-16 한국원자력의학원 진단 방사선 기기용 가변형 콜리메이터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86144B (zh) * 2013-01-23 2015-09-09 天津恩赐凯瑞建材有限公司 轻集料挤压成型建筑空心条板空中翻转系统及其翻转工艺
US11511130B2 (en) * 2020-04-15 2022-11-29 Shanghai United Imaging Healthcare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multi-leaf collimator
US11771422B2 (en) * 2020-05-12 2023-10-03 Covidien Lp Active roller assembly for use in articulating staple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6611A (ja) 2000-11-01 2002-05-14 Toshiba Corp 放射線治療装置
JP3779878B2 (ja) * 2001-01-30 2006-05-3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マルチリーフコリメータ
KR100740340B1 (ko) 2006-01-14 2007-07-19 재단법인 한국원자력의학원 방사선 개폐장치
KR100706758B1 (ko) 2006-01-14 2007-04-12 한국원자력연구소 복부 움직임에 따른 내부 장기의 움직임 추적 장치
JP4996450B2 (ja) 2007-12-28 2012-08-08 株式会社東芝 絞り装置及び絞り装置を用いた放射線治療装置
JP2009233279A (ja) * 2008-03-28 2009-10-15 Toshiba Corp 放射線治療装置、及びコリメータ装置
US8938051B2 (en) * 2008-04-21 2015-01-20 Elekta Ab (Publ) Multi-leaf collimator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753B1 (ko) * 2012-11-14 2014-08-29 황영신 조사범위 조절수단을 구비하는 콜리메이터장치
KR101500246B1 (ko) * 2013-12-31 2015-03-0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양성자 치료용 다지 콜리메이터
KR101674529B1 (ko) 2015-09-09 2016-11-09 한국원자력의학원 다엽 콜리메이터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8147541A1 (ko) * 2017-02-07 2018-08-16 한국원자력의학원 진단 방사선 기기용 가변형 콜리메이터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2619B1 (ko) 2011-12-13
WO2011108853A2 (ko) 2011-09-09
WO2011108853A3 (ko) 2012-03-01
US20130000428A1 (en) 2013-01-03
US8917816B2 (en) 2014-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1781B1 (ko) 방사선 치료용 콜리메이터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방사선 치료장치
KR101092619B1 (ko) 방사선 치료용 다엽 콜리메이터 장치
CN111417435B (zh) 放射疗法治疗计划优化工作流程
JP3775993B2 (ja) 放射線治療計画を作成するシステム
JP4984906B2 (ja) 荷電粒子線照射装置
US20220079555A1 (en) Probe holder for ultrasound imaging device
JP4797140B2 (ja) 荷電粒子線照射装置
EP1967228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a radiation therapy treatment system
US20070242801A1 (en) Small Field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Machine
WO2007084365A2 (en) Variable stop collimator
CA3130330A1 (en) Apparatus for precise positioning of brachytherapy template
EP3517173A1 (en) Ultrasound positioning device, system, and method
KR20060065497A (ko) 호흡운동에 따른 움직임 보정기능을 구비한 방사선 치료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206534993U (zh) 一种肿瘤放疗粒子植入辅助自动定位机构
JP5317227B2 (ja) 荷電粒子線照射装置
KR101058193B1 (ko) 비침습적 실시간 종양추적에 의한 방사선 치료 시스템
KR100740340B1 (ko) 방사선 개폐장치
Tate et al. Case report: Treatment of medulloblastoma using a computer-controlled tracking cobalt unit
CN114796897A (zh) 一种呼吸运动同步放射治疗准直器系统及方法
Shiu et al. Comparison of miniature multileaf collimation (MMLC) with circular collimation for stereotactic radiation treatment
KR20200047093A (ko) 환자의 호흡 운동에 기반한 방사선 치료 계획의 평가 장치
Brahme Radiation therapy
CENTRES Proffered papers
XIAO et al. Future Developments II: Dose Painting with Functional Imaging, Online Dose Tracking and Adaptation, IMRT with Robotic Brachytherapy, and Other Nonradiation Modal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