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9446A - 선체의 고소작업용 작업대구조 - Google Patents

선체의 고소작업용 작업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9446A
KR20110099446A KR1020100018472A KR20100018472A KR20110099446A KR 20110099446 A KR20110099446 A KR 20110099446A KR 1020100018472 A KR1020100018472 A KR 1020100018472A KR 20100018472 A KR20100018472 A KR 20100018472A KR 20110099446 A KR20110099446 A KR 20110099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work
work platform
guide rail
wal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8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2148B1 (ko
Inventor
김의준
장종근
정명식
곽현호
김주열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8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2148B1/ko
Publication of KR20110099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9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2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2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3/30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suspended by flexible supporting elements, e.g. cables
    • E04G3/305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suspended by flexible supporting elements, e.g. cables specially adapted for tanks, silos or similar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5Stagings, or scaffolding, i.e. constructions providing temporary working platforms on slipways, in building or repair docks, or inside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5Stagings, or scaffolding, i.e. constructions providing temporary working platforms on slipways, in building or repair docks, or inside hulls
    • B63C2005/027Stages, platforms, or seats suspended adjacent ship hulls on cables, chains, or the like, e.g. boatswain's chai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체의 고소작업용 작업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선체(5)의 벽면에 작업대(10)를 설치하여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선체의 고소작업용 작업대구조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10)는 선체(5)의 벽면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선체의 벽면에 횡 방향 전체에 걸쳐 연장되는 길다란 가이드레일을 설치하고 이 가이드레일 상에서 단일 작업대가 슬라이딩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작업대만 가지고도 선체의 횡 방향에 대해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기본적으로 단일 작업대에 의한 시설물 설치비용이 대폭 절감되고, 또한, 선체 벽면에 대한 작업대 등의 시설물 설치가 최소화되어 미관상으로도 말끔함은 물론 낙하 사고에 따른 안전사고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선체의 고소작업용 작업대구조{Working plate structure for high place work of ship body}
본 발명은 선체의 고소작업용 작업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체의 벽면에 횡 방향 전체에 걸쳐 연장되는 길다란 가이드레일을 설치하고 이 가이드레일 상에서 단일 작업대가 슬라이딩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작업대만 가지고도 선체의 횡 방향에 대해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기본적으로 단일 작업대에 의한 시설물 설치비용이 대폭 절감되고, 또한, 선체 벽면에 대한 작업대 등의 시설물 설치가 최소화되어 미관상으로도 말끔함은 물론 낙하 사고에 따른 안전사고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선체의 고소작업용 작업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조선이나 화물 운반선 등의 선박은 대형 구조물인 관계로 이러한 선박 제조시 특히 선체 벽면에 대한 작업을 수행할 경우에 그 높이가 상당히 높으므로 반드시 고소작업용 작업대를 설치하여 작업을 수행하여야 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고소작업용 작업대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종래 기술의 고소작업용 작업대(3)는 선체(5)의 해당 벽면에 고정되어 있는 연결브래킷(7)을 통해 지면과 평행하게 설치되고 그 외측 단부에는 안전대(9)가 직립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종래 기술의 작업대(3)는 선체(5)의 작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해당 벽면에 대해 각각 고정 설치되는 방식으로, 선체(5)의 전체 벽면에 상당히 많은 수의 작업대(3)가 빼곡히 설치되는 복잡한 외형을 이루고 작업자가 각각의 해당 작업대(3)로 이동하면서 작업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고소작업용 작업대는 작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선체의 해당 벽면에 각각 고정식으로 설치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선체의 벽면 전체에 대해 작업을 수행할 경우 복수의 작업대가 필요하게 되어 기본적으로 설치 비용상의 부담이 크게 되고, 또한, 선체 벽면에 복수의 작업대들이 난잡하게 설치되어 있어 미관상으로도 보기가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복수의 작업대 설치에 따른 낙하 사고의 위험도 높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선체의 벽면에 횡 방향 전체에 걸쳐 연장되는 길다란 가이드레일을 설치하고 이 가이드레일 상에서 단일 작업대가 슬라이딩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작업대만 가지고도 선체의 횡 방향에 대해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기본적으로 단일 작업대에 의한 시설물 설치비용이 대폭 절감되고, 또한, 선체 벽면에 대한 작업대 등의 시설물 설치가 최소화되어 미관상으로도 말끔함은 물론 낙하 사고에 따른 안전사고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선체의 고소작업용 작업대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선체의 고소작업용 작업대구조는 선체의 벽면에 작업대를 설치하여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선체의 고소작업용 작업대구조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는 선체의 벽면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체의 고소작업용 작업대구조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선체의 벽면에 가이드레일을 설치하고 이 가이드레일 상에서 작업대가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체의 고소작업용 작업대구조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선체의 벽면에 횡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구조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체의 고소작업용 작업대구조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일단부가 선체의 벽면에 고정되고 그 타단부가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며 선체의 벽면에 횡 방향을 따라 연속되는 판재 구조의 받침판 상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체의 고소작업용 작업대구조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받침판 상에서 폭 방향으로 일정길이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된 2열 구조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체의 고소작업용 작업대구조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의 저면에 가이드레일을 덮어씌워 이 작업대가 슬라이딩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슬라이더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체의 고소작업용 작업대구조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단부가 폭 방향으로 넓게 형성된 티이자(T) 구조로 되고 이에 대응되는 슬라이더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티이자 구조를 감싸 서로 맞물리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체의 고소작업용 작업대구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이 완료되는 가이드레일의 양단부에 각각 작업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체의 고소작업용 작업대구조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의 외측 단부에 작업자가 외측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대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체의 고소작업용 작업대구조에 있어서, 상기 안전대는 작업대의 폭 방향 양단부에서 상방으로 직립되는 한 쌍의 직립바와, 이 직립바의 상단부와 중앙부를 각각 연결하고 복수의 수평바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체의 고소작업용 작업대구조는 선체의 벽면에 횡 방향 전체에 걸쳐 연장되는 길다란 가이드레일을 설치하고 이 가이드레일 상에서 단일 작업대가 슬라이딩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작업대만 가지고도 선체의 횡 방향에 대해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기본적으로 단일 작업대에 의한 시설물 설치비용이 대폭 절감되고, 또한, 선체 벽면에 대한 작업대 등의 시설물 설치가 최소화되어 미관상으로도 말끔함은 물론 낙하 사고에 따른 안전사고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선체의 고소작업용 작업대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체의 고소작업용 작업대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체의 고소작업용 작업대를 나타낸 개략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체의 고소작업용 작업대구조의 슬라이더와 가이드레일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요부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체의 고소작업용 작업대구조의 가이드레일 단부에 설치된 스톱퍼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을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체의 고소작업용 작업대구조는 선체(5)의 벽면에 작업대(10)를 설치하되, 이 작업대(10)는 선체(5)의 벽면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수단이 마련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이동수단은 선체(5)의 벽면에 가이드레일(20)을 설치하고 이 가이드레일(20) 상에서 작업대(10)가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20)은 선체(5)의 벽면에 횡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되, 그 일단부가 선체(5)의 벽면에 고정되고 그 타단부가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며 선체(5)의 벽면에 횡 방향을 따라 연속되는 판재 구조의 받침판(30) 상에 고정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받침판(30)의 선체(5) 벽면과 고정되는 일단부는 별도의 연결브래킷(32)을 통해 견고히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20)은 받침판(30) 상에서 폭 방향으로 일정길이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된 2열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작업대(10)의 저면에는 가이드레일(20)을 덮어씌워 이 작업대(10)가 슬라이딩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의 슬라이더(11)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레일(20)은 상단부가 폭 방향으로 넓게 형성된 티이자(T) 구조로 되고, 이에 대응되는 슬라이더(11)는 상기 가이드레일(20)의 티이자 구조를 감싸 서로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11)의 슬라이딩이 완료되는 가이드레일(20)의 양단부에는 각각 작업대(1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21)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작업대(10)의 외측 단부에는 작업자가 외측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대(15)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안전대(15)는 작업대(10)의 폭 방향 양단부에서 상방으로 직립되는 한 쌍의 직립바(15a)와, 이 직립바(15a)의 상단부와 중앙부를 각각 연결하고 복수의 수평바(15b)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선체의 고소작업용 작업대구조는 작업이 이루어지는 선체(5)의 해당 벽면 상에 횡 방향 전체에 걸쳐 지면과 평행한 받침판(30)을 배치시킨 후 연결브래킷(32)을 통해 벽면에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받침판(30) 상면에 폭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하여 한 쌍의 가이드레일(20)을 설치한다.
그러고 나서, 상기 가이드레일(20) 상방에 작업대(10)를 설치하되 이 작업대(10) 저면의 슬라이더(11)가 가이드레일(20)을 덮어 씌우는 형상으로 서로가 맞물려 결합되도록 하여 가이드레일(20)과 작업대(10)의 결합을 완성한다.
그리고, 상기 작업대(10)의 외측 단부에는 한 쌍의 직립바(15a)와 수평바(15b)로 이루어진 안전대(15)를 설치하여 작업자가 작업대(10) 외측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가이드레일(20)을 통해 해당 작업 위치로 작업대(10)를 이동시켜 해당 위치에서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작업이 완료되어 다른 위치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시 가이드레일(20)을 통해 작업대(10)를 이동시켜 작업을 재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가이드레일(20)을 통해 작업대(10)를 이동시키다가 가이드레일(20)의 양단부에 다달으면 스톱퍼(21)가 작업대(10)의 진행을 저지하여 외부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안전대(15)는 작업자가 작업 수행 중 작업대(10) 외부로 벗어나 낙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를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주합 적용한 실시예는 물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을 단순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정도의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 : 작업대 5 : 선체
7 : 연결브래킷 9 : 안전대
10 : 작업대 11 : 슬라이더
15 : 안전대 15a : 직립바
15b : 수평바 20 : 가이드레일
21 ; 스톱퍼 30 : 받침판
32 : 연결브래킷

Claims (10)

  1. 선체(5)의 벽면에 작업대(10)를 설치하여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선체의 고소작업용 작업대구조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10)는 선체(5)의 벽면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의 고소작업용 작업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선체(5)의 벽면에 가이드레일(20)을 설치하고 이 가이드레일(20) 상에서 작업대(10)가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의 고소작업용 작업대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20)은 선체(5)의 벽면에 횡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의 고소작업용 작업대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20)은 일단부가 선체(5)의 벽면에 고정되고 그 타단부가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며 선체(5)의 벽면에 횡 방향을 따라 연속되는 판재 구조의 받침판(30) 상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의 고소작업용 작업대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20)은 받침판(30) 상에서 폭 방향으로 일정길이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된 2열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의 고소작업용 작업대구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10)의 저면에 가이드레일(20)을 덮어씌워 이 작업대(10)가 슬라이딩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슬라이더(11)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의 고소작업용 작업대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20)은 상단부가 폭 방향으로 넓게 형성된 티이자(T) 구조로 되고 이에 대응되는 슬라이더(11)는 상기 가이드레일(20)의 티이자 구조를 감싸 서로 맞물리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의 고소작업용 작업대구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11)의 슬라이딩이 완료되는 가이드레일(20)의 양단부에 각각 작업대(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21)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의 고소작업용 작업대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10)의 외측 단부에 작업자가 외측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대(15)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의 고소작업용 작업대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대(15)는 작업대(10)의 폭 방향 양단부에서 상방으로 직립되는 한 쌍의 직립바(15a)와, 이 직립바(15a)의 상단부와 중앙부를 각각 연결하고 복수의 수평바(15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의 고소작업용 작업대구조.

KR1020100018472A 2010-03-02 2010-03-02 선체의 고소작업용 작업대구조 KR101172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472A KR101172148B1 (ko) 2010-03-02 2010-03-02 선체의 고소작업용 작업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472A KR101172148B1 (ko) 2010-03-02 2010-03-02 선체의 고소작업용 작업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9446A true KR20110099446A (ko) 2011-09-08
KR101172148B1 KR101172148B1 (ko) 2012-08-07

Family

ID=44952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8472A KR101172148B1 (ko) 2010-03-02 2010-03-02 선체의 고소작업용 작업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21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5882B1 (ko) 2022-10-07 2023-12-22 대한민국 선체 측면 하강 작업용 자석 부착 발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218Y1 (ko) * 2006-05-03 2006-07-25 주식회사 운영 청소 케이지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2148B1 (ko) 2012-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25953B2 (en) Article storage facility
CN206445427U (zh) “工”型柔性夹具库
CN202780300U (zh) 车顶焊接工装
WO2009028299A1 (ja) 台車利用の搬送装置
KR101259458B1 (ko) 앵커 체인 스토퍼의 위치 조절 구조체
CA2913900C (fr) Plateforme de nacelle elevatrice et nacelle elevatrice equipee d'une telle plateforme
CN104626042B (zh) 吸顶灯安装托撑装置
US9309053B2 (en) Conveyor system and associated product carrier
KR101172148B1 (ko) 선체의 고소작업용 작업대구조
KR101825615B1 (ko) 레그 작업용 플랫폼
CN204588640U (zh) 桥式作业平台
CN104150397B (zh) 一种升降架
JP5682491B2 (ja) 組立作業用コンベア装置
KR20180047118A (ko) 모형선 이동대차 및 이를 이용한 모형선 보관설비
US20130340654A1 (en) Furniture element de mobilier comprenant un plateau articule de surface variable
KR20130034496A (ko) 이동식 작업대의 유동방지 클램프
CN202266183U (zh) 可伸缩的梯子
CN203322659U (zh) 一种调节定位装置
WO2020239941A8 (en) Device for the transportation of goods and persons
KR20140004140U (ko) 화물차량용 화물 고정장치
WO2014096358A3 (en) Support for a training simulator device
JP3181185U (ja) 脚立
CN104843281B (zh) 一种内材可移动的托盘箱
CN203666932U (zh) 登船平台连接装置
CN206854815U (zh) 数控切割机割枪随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