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9355A - 적분구 광도계 및 그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적분구 광도계 및 그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9355A
KR20110099355A KR1020100018320A KR20100018320A KR20110099355A KR 20110099355 A KR20110099355 A KR 20110099355A KR 1020100018320 A KR1020100018320 A KR 1020100018320A KR 20100018320 A KR20100018320 A KR 20100018320A KR 20110099355 A KR20110099355 A KR 20110099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integrating sphere
photometer
auxiliary light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8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6140B1 (ko
Inventor
박성종
이동훈
박승남
Original Assignee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표준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18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6140B1/ko
Publication of KR20110099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9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271Housings; Attachments or accessories for phot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8Arrangements of light sources specially adapted for photometry standard sources, also using luminescent or radioactiv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02Details
    • G01J3/0205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otherwise, e.g. optical manifolds, diffusers, windows
    • G01J3/0254Spectrometers, other than colorimeters, making use of an integrating sphe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8Arrangements of light sources specially adapted for photometry standard sources, also using luminescent or radioactive material
    • G01J2001/086Calibrating drift corr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분구 광도계 및 그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이 적분구 광도계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적분구, 적분구 내부에 광을 조사하고 적분구의 내부면에 밀착하여 배치된 면광원을 관통홀을 통하여 결합하는 면광원 지지부, 적분구 내부 표면에 배치된 광도계, 및 광도계 주위에 배치되어 면광원이 발산하는 광이 상기 광도계에 직접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광막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적분구 광도계 및 그 측정방법{INTEGRATING SPHERE PHOTOMETER AND MEAS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광원의 전광선속(total luminous flux, 단위: lm)을 적분구(integrating sphere)와 광도계(phot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측정하고자 하는 광원의 크기가 크고 광원에서 발산하는 빛이 지향성이 있어 주로 특정한 한 방향으로 빛을 방출하는 광원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는 적분구 광도계에 관한 것이다.
광원의 전광선속이란 상기 광원이 모든 방향으로 방출하는 광선속(luminous flux, 단위:lm)을 모두 더한 양이다. 상기 광원의 조명효율(단위: lm/W)은 입력 전력(단위:W)에 대한 출력 전광선속(단위:lm)의 비율로써 결정한다. 따라서, 정확한 전광선속의 측정은 조명기기의 성능 평가에 매우 중요하다.
통상적으로, 상기 전광선속의 측정은 측각광도계(gonio-photometer)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출력 광선속(output luminous flux)의 공간분포를 각도 별로 분해하여 측정한 후, 상기 전광선속은 상기 출력 광선속을 수학적으로 적분하여 구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전광선속의 측정은 적분구 광도계(integrating sphere photometer)를 사용하여 출력 광선속을 공간적으로 평균한 후 신호를 읽는 방법으로 구해질 수 있다. 상기 적분구 광도계는 구성이 간단하고 측정시간이 짧다. 표준 램프와 측정 대상 광원이 동일한 종류일 경우에는, 상기 적분구 광도계는 단순 비교측정을 통하여 손쉽게 높은 정확도의 상기 전광선속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실무에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표준램프와 측정대상 광원의 형태, 출력 분광분포, 출력 공간분포 등이 다를 경우, 상기 적분구 광도계는 보정 과정을 추가하여야만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상기 보정 과정은 흡수오차 보정, 분광불일치 보정, 공간불일치 보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준램프는 상기 적분구 광도계에서 비교측정을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표준 램프는 통상적으로 백열전구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표준램프와 모양이나 크기에 큰 차이가 없는 측정 대상 광원에 대한 상기 보정 과정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하지만, 상기 측정 대상 광원이 대면적 면광원인 경우, 상기 적분구 광도계를 이용한 상기 전광선속의 측정은 자기가림효과(self screening effect)에 의하여 적용하기 어렵다. 자기가림효과는 측정하려는 면광원을 적분구 내부에 설치했을 때, 표면반사율이 낮은 면광원이 적분구 내에서 빛이 재분배되는 경로를 가리게 되어 결과적으로 전광선속이 과소평가되는 효과를 말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적분구광도계를 이용한 전광선속 측정 시, 측정하려는 광원의 면적이 클 경우 발생하는 자기가림효과(self screening effect)에 의한 오차를 최소화한 적분구 광도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적분구광도계를 이용한 전광선속 측정 시, 측정하려는 광원의 면적이 클 경우 발생하는 자기가림효과(self screening effect)에 의한 오차를 최소화한 적분구 광도계의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분구 광도계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적분구, 상기 적분구 내부에 광을 조사하고 상기 적분구의 내부면에 밀착하여 배치된 면광원을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결합하는 면광원 지지부, 상기 적분구 내부 표면에 배치된 광도계, 및 상기 광도계 주위에 배치되어 상기 면광원이 발산하는 광이 상기 광도계에 직접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광막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분구 광도계의 측정 방법은 광도계 및 상기 광도계 주위에 배치되어 상기 면광원이 발산하는 광이 상기 광도계에 직접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광막를 적분구의 내부 표면에 장착하는 단계, 면광원을 상기 면광원 지지부에 장착하고 상기 면광원 지지부를 상기 적분구의 관통홀에 장착하는 단계, 및 보조 광원 및 상기 보조 광원부 주위에 배치되어 상기 보조 광원부가 발산하는 광이 상기 면광원에 직접 도달하는 것을 차단하는 상기 보조 광원 차광막을 상기 적분구 내부 표면에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분구 광도계의 측정 방법은 광도계 및 상기 광도계 주위에 배치되어 상기 면광원이 발산하는 광이 상기 광도계에 직접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광막를 적분구의 내부 표면에 장착하는 단계, 면광원을 상기 면광원 지지부에 장착하고 상기 면광원 지지부를 상기 적분구의 관통홀에 장착하는 단계, 및 보조 광원부을 관통홀의 중심축 상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분구 광도계는 면광원의 전광 선속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적분구 광도계는 상기 적분구의 내부면에 밀착되게 배치되어 자기가림효과에 의한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분구 광도계를 설명하는 단면도들이다.
도 2a 및 도 2b 는 도 1a의 적분구 광도계를 x 축 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들이다.
도 3은 도 1a의 면광원 지지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분구 광도계를 설명하는 단면도들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분구 광도계를 설명하는 단면도들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적분구 광도계를 설명하는 단면도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되어진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분구 광도계를 설명하는 단면도들이다.
도 2a 및 도 2b 는 도 1a의 적분구 광도계를 x 축 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들이다.
도 3은 도 1a의 면광원 지지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적분구 광도계는 관통홀(101)을 포함하는 적분구(100), 상기 적분구(100) 내부에 광을 조사하고 상기 적분구(100)의 내부면에 밀착하여 배치된 면광원(130)을 상기 관통홀(101)을 통하여 결합하는 면광원 지지부(120), 상기 적분구(100) 내부 표면에 배치된 광도계(110), 및 상기 광도계(110) 주위에 배치되어 상기 면광원(130)이 발산하는 광이 상기 광도계(110)에 직접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광막(112)을 포함한다.
상기 적분구(100)의 지름은 수십 센치미터 내지 수 미터일 수 있다. 상기 적분구(100)의 내주면 또는 내부면의 반사율(R)은 90 퍼센트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적분구(100)의 내부면은 확산 반사할 수 있다. 상기 적분구(100)의 내부면은 확산 반사할 수 있도록 코딩될 수 있다. 상기 적분구(100)의 내주면은 실질적으로 구면일 수 있다. 상기 적분구(100)는 상기 좌반구(100a) 및 우반구(10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반구(100a)와 우반구(100b)는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적분구(100)는 분리 결합할 수 있는 복수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적분구(100)는 지지대(미도시)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는 프레임(미도시)에 고정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101)은 상기 우반구(100b)의 중심 영역의 표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101)의 직경(d)은 상기 면광원(130)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적분구(100)의 내면은 가시광선 영역에서 반사율이 90 퍼센트 이상인 백색 물질일 수 있다. 상기 적분구(100)는 상기 관통홀의 주위에 배치된 포트(123,por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트(123)는 상기 면광원 지지부(120)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101)은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관통홀(101)의 형상은 원형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면광원(130)은 FPD(flat panel display)일 수 있다. 상기 면광원(130)은 LED(light emitting diode), LCD(liequid crystal display), 및 OLED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면광원(130)은 평면형 광원으로 상술한 광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면광원(130)은 상기 적분구(100)의 내주면 또는 내부면에 밀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기가림효과(self screening effect)는 발생하지 않는다. 만약, 상기 면광원(130)이 상기 적분구(100)의 내부면과 밀착하여 배치되지 않는 경우, 밀착 수단(미도시)이 상기 면광원(130)의 측면들과 상기 적분구(100)의 내부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적분구(100) 내부에서 반사된 빛이 상기 면광원(130)의 측면 또는 배면에 도달하여 측정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면광원 지지부(120)는 상기 면광원(130)을 지지하고 상기 관통홀(101)을 통하여 상기 적분구(1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면광원 지지부(120)의 상기 적분구(100)의 내부면에 노출되는 면은 확산 반사한다. 상기 면광원 지지부(120)는 상기 면광원(120)의 제1 측면과 결합하는 상부 지지부(122a), 상기 면광원(120)의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측면과 결합하는 하부 지지부(122b), 상기 면광면(120)의 제3 측면에 밀착하여 배치되는 좌측 지지부(126a), 상기 면광원(130)의 제3 측면에 대항하는 제4 측면에 밀착하여 배치되는 우측 지지부(126b), 및 상기 상부 지지부(122a) 및 상기 하부 지지부(122b)와 결합하고, 상기 면광원(130)을 지지하는 베이스 기판(1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판(124)은 상기 적분구(100) 외부의 광이 상기 관통홀(101)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면광원 지지부(120)는 상기 포트(123)에 분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면광원 지지부(120)는 상기 면광원(13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 지지부(122a)는 판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상부 지지부(122a)는 상기 면광원(130)과 결합하는 일면에 형성된 턱(127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지지부(122a)는 상기 베이스 기판(124)과 결합하는 타면에 형성된 턱(129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지지부(122a)의 일면은 확산 반사하도록 코팅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지지부(122b)는 판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하부 지지부(122b)는 상기 면광원(130)과 결합하는 일면에 형성된 턱(127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지지부(122b)는 상기 베이스 기판(124)에 결합하는 타면에 형성된 턱(129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지지부(122b)의 일면은 확산 반사도록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지지부(122a)와 상기 하부 지지부(122b)는 상기 면광원(13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좌측 지지부(126a) 및 상기 우측 지지부(126b)는 판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좌측 지지부(126a) 및 상기 우측 지지부(126b)는 상기 면광원(130)이 배치되는 평면과 같은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좌측 지지부(126a)와 상기 우측 지지부(126b)는 상기 면광원(13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좌측 지지부(126a) 및 상기 우측 지지부(126b)의 일면은 확산 반사하도록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좌측 지지부(126a) 및 상기 우측 지지부(126b)의 일면은 상기 적분구의 내부를 바라볼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판(124)은 상부 지지부(122a)의 타면과 결합하는 상부 트렌치(121a) 및 상기 하부 지지부(122b)의 타면과 결합하는 하부 트랜치(12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판(124)은 결합 수단을 통하여 상기 포트(123)와 결합할 수 있다.
다시,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광도계(110)는 광자가 상기 광도계(110)에 도달할 때의 전기 신호가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복사 세기에 비례하는 출력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광도계(110)는 상기 관통홀의 중심점과 같은 경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도계(110)는 상기 적분구(100)에 삽입되어 상기 적분구(100)의 내부면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차광막(112)은 상기 면광원(130)에서 발산하는 광이 직접 상기 광도계(110)에 직접 입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차광막(112)의 반사율은 90 퍼센트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차광막(112)은 상기 광도계(110)와 상기 면광원(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광막(112)은 상기 광도계(110)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광막(110)은 보조 광원부(140)가 발산하는 광이 상기 광도계(110)에 직접 입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조 광원부(140)는 텅스텐 할로켄 램프, 중수소 아크 램프, 글로바, 헬륨-네온 레이저, 레이저 다이오드, 및 백색 LED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광원부(140)는 상기 광도계(110)와 같은 경도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 광원부(140)는 상기 면광원(130)을 중심으로 상기 광도계(110)와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 광원부(140)는 상기 적분구(100)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차광막(112)은 상기 보조 광원부(140)에서 발산하는 광이 상기 광도계(100)에 직접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차광막(142)은 상기 보조 광원부(140)에서 발산하는 광이 직접 상기 면광원(130)에 조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차광막(142)은 상기 보조 광원부(140)와 상기 면광원(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차광막(142)은 상기 보조 광원부(140)와 같은 경도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차광막(142)의 외부면의 반사율은 90 퍼센트 이상일 수 있다.
이하, 상기 적분구 광도계의 측정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측정 방법은 광도계 및 상기 광도계 주위에 배치되어 상기 면광원에서 발산하는 광이 상기 광도계에 직접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광막를 적분구의 내부 표면에 장착한다.
이어서, 상기 면광원을 상기 면광원 지지부에 장착하고 상기 면광원 지지부를 상기 적분구의 관통홀에 장착한다. 상기 면광원 지지부는 상기 적분구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면광원은 상기 적분구의 내주면에 밀착하여 배치된다.
이어서, 보조 광원 및 상기 보조 광원부 주위에 배치되어 상기 보조 광원부가 발산하는 광이 상기 면광원에 직접 도달하는 것을 차단하는 상기 보조 광원 차광막을 상기 적분구 내부 표면에 장착한다.
이어서, 상기 보조 광원부를 점등하고 상기 광도계를 이용하여 전류(y1)를 측정한다. 상기 보조 광원부의 전광선속(F1)은 이미 알고 있다.
이어서, 상기 보조 광원부를 소등하고 상기 면광원을 점등하여 상기 광도계를 이용하여 전류(y2)를 측정한다. 상기 면광원의 전광 선속(F2)인 경우, 상기 면광원의 전광선속(F2)은 F1(y2/y1)으로 주어질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분구 광도계를 설명하는 단면도들이다. 도 1a 및 도 1b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분구 광도계를 설명하는 단면도들이다.
도 4a, 도 4b,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적분구 광도계는 관통홀(101)을 포함하는 적분구(100), 상기 적분구(100) 내부에 광을 조사하고 상기 적분구(100)의 내부면에 밀착하여 배치된 면광원(130)을 상기 관통홀(101)을 통하여 결합하는 면광원 지지부(120), 상기 적분구(100) 내부 표면에 배치된 광도계(110), 및 상기 광도계(110) 주위에 배치되어 상기 면광원(130)이 발산하는 광이 상기 광도계(110)에 직접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광막(112)을 포함한다.
보조 광원부(150) 상기 관통홀의 중심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 광원부는 상기 면광원의 중심축이 연장되어 상기 적분구에 도달하는 접점을 향하여 지향성을 가지고 조사할 수 있다. 상기 보조 광원부(150)는 지지봉(151)에 의하여 상기 적분구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지지봉은 상기 보조 광원부(15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 라인(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광원부(150)는 상기 적분구의 중심 영역 또는 상기 적분구의 중심과 상기 면광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 광원부(150)는 보조 광원(152), 및 상기 보조 광원(152)을 지지하는 보조 광원 지지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광원 지지부(154)의 일면에 상기 보조 광원(152)이 장착되고, 상기 보조 광원 지지부(154)의 타면은 확산 반사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 광원부(150)의 상기 면광원을 바라보는 면은 확산 반사할 수 있다. 상기 보조 광원부(150)가 발산하는 광은 상기 광도계(110)에 직접 도달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보조 광원부(150)의 지향각은 180도 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 광원부는 상기 광도계의 우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적분구 광도계의 측정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측정 방법은 광도계 및 상기 광도계 주위에 배치되어 상기 면광원에서 발산하는 광이 상기 광도계에 직접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광막를 적분구의 내부 표면에 장착한다.
이어서, 상기 면광원을 상기 면광원 지지부에 장착하고 상기 면광원 지지부를 상기 적분구의 관통홀에 장착한다. 상기 면광원 지지부는 상기 적분구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면광원은 상기 적분구의 내주면에 밀착하여 배치된다.
보조 광원부는 관통홀의 중심축 상에 배치된다. 상기 보조 광원부는 상기 면광원의 중심축이 연장되어 상기 적분구에 도달하는 접점을 향하여 지향성을 가지고 조사한다. 상기 보조 광원부는 상기 적분구의 중심 영역 또는 상기 적분구의 중심과 상기 면광원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보조 광원부가 발산하는 광은 상기 광도계에 직접 도달하지 않는다.
이어서, 상기 보조 광원부를 점등하고 상기 광도계를 이용하여 전류를 측정한다.
이어서, 상기 보조 광원부를 소등하고 상기 면광원을 점등하여 상기 광도계를 이용하여 전류를 측정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적분구 광도계를 설명하는 단면도들이다. 도 1a 및 도 4a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면광원 지지부(320)는 결합 수단(327) 및 고정 수단(329)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수단(327)은 면광원(130)과 결합하여 상기 면광원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합수단(327)은 진공 장치, 접착제, 기계적 결합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수단(327)은 상기 면광원(130)을 지지하고 상기 관통홀(301)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 수단(329)은 상기 결합 수단(327)과 고정 결합하여 적분구(100)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301)의 크기는 상기 면광원(130)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 관통홀, 100: 적분구, 130: 면광원, 120: 면광원 지지부, 110: 광도계, 112: 차광막

Claims (15)

  1. 관통홀을 포함하는 적분구;
    상기 적분구 내부에 광을 조사하고 상기 적분구의 내부면에 밀착하여 배치된 면광원을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결합하는 면광원 지지부;
    상기 적분구 내부 표면에 배치된 광도계; 및
    상기 광도계 주위에 배치되어 상기 면광원이 발산하는 광이 상기 광도계에 직접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광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분구 광도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분구의 내부면에 배치된 보조 광원부; 및
    상기 보조 광원부 주위에 배치되어 상기 보조 광원부가 발산하는 광이 상기 면광원에 직접 도달하는 것을 차단하는 보조 차광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광막은 상기 보조 광원부의 발산하는 광이 상기 광도계에 직접 도달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분구 광도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광원부는 상기 면광원의 중심축이 연장되어 상기 적분구에 도달하는 접점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분구 광도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면광원 지지부의 상기 적분구 내부에 노출되는 면은 확산 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분구 광도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면광원 지지부는:
    상기 면광원의 제1 측면과 결합하는 상부 지지부;
    상기 면광원의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측면과 결합하는 하부 지지부;
    상기 면광면의 제3 측면에 밀착하여 배치되는 좌측 지지부;
    상기 면광원의 제3 측면에 대항하는 제4 측면에 밀착하여 배치되는 우측 지지부; 및
    상기 상부 지지부 및 상기 하부 지지부와 결합하고, 상기 면광원을 지지하는 베이스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기판은 상기 적분구 외부의 광이 상기 관통홀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분구 광도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중심축 상에 배치되는 보조 광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광원부는 상기 면광원의 중심축이 연장되어 상기 적분구에 도달하는 접점을 향하여 지향성을 가지고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분구 광도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광원부는 상기 적분구의 중심 영역 또는 상기 적분구의 중심과 상기 면광원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분구 광도계.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광원부가 발산하는 광은 상기 광도계에 직접 도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분구 광도계.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광원부의 지향각은 180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분구 광도계.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광원부의 상기 면광원을 바라보는 면은 확산 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분구 광도계.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광원부는:
    보조 광원; 및
    상기 보조 광원을 지지하는 보조 광원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광원 지지부의 일면에 상기 보조 광원이 장착되고, 상기 보조 광원 지지부의 타면은 확산 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분구 광도계.
  12. 광도계 및 상기 광도계 주위에 배치되어 상기 면광원이 발산하는 광이 상기 광도계에 직접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광막를 적분구의 내부 표면에 장착하는 단계;
    면광원을 상기 면광원 지지부에 장착하고 상기 면광원 지지부를 상기 적분구의 관통홀에 장착하는 단계; 및
    보조 광원 및 상기 보조 광원부 주위에 배치되어 상기 보조 광원부가 발산하는 광이 상기 면광원에 직접 도달하는 것을 차단하는 상기 보조 광원 차광막을 상기 적분구 내부 표면에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분구 광도계의 측정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광원부를 점등하고 상기 광도계를 이용하여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조 광원부를 소등하고 상기 면광원을 점등하여 상기 광도계를 이용하여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분구 광도계의 측정 방법.
  14. 광도계 및 상기 광도계 주위에 배치되어 상기 면광원이 발산하는 광이 상기 광도계에 직접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광막를 적분구의 내부 표면에 장착하는 단계;
    면광원을 상기 면광원 지지부에 장착하고 상기 면광원 지지부를 상기 적분구의 관통홀에 장착하는 단계; 및
    보조 광원부을 관통홀의 중심축 상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분구 광도계의 측정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광원부를 점등하고 상기 광도계를 이용하여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조 광원부를 소등하고 상기 면광원을 점등하여 상기 광도계를 이용하여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분구 광도계의 측정 방법.
KR1020100018320A 2010-03-02 2010-03-02 적분구 광도계 및 그 측정방법 KR101126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320A KR101126140B1 (ko) 2010-03-02 2010-03-02 적분구 광도계 및 그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320A KR101126140B1 (ko) 2010-03-02 2010-03-02 적분구 광도계 및 그 측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9355A true KR20110099355A (ko) 2011-09-08
KR101126140B1 KR101126140B1 (ko) 2012-04-02

Family

ID=44952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8320A KR101126140B1 (ko) 2010-03-02 2010-03-02 적분구 광도계 및 그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61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91267A (zh) * 2013-01-10 2013-05-08 哈尔滨工业大学 基于二极管激光吸收光谱的积分球等效路径标定装置及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8873B1 (ko) 2021-01-12 2021-08-11 주식회사 엠피아이코리아 대면광원 측정을 위한 적분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5495A (en) 1986-12-12 1988-04-05 General Electric Co. Light source for liquid crystal display panels utilizing internally reflecting light pipes and integrating sphere
KR200304586Y1 (ko) * 2002-11-29 2003-02-19 재단법인 한국조명기술연구소 광속구
US20090090383A1 (en) 2007-10-09 2009-04-09 Alan Ingleso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an integrating sphere
KR100970244B1 (ko) 2008-06-24 2010-07-16 주식회사 신코 적분구 탑재형 분광 광도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91267A (zh) * 2013-01-10 2013-05-08 哈尔滨工业大学 基于二极管激光吸收光谱的积分球等效路径标定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6140B1 (ko) 2012-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1791B1 (ko) 적분구 광도계 및 그 측정 방법
TWI443312B (zh) 用於測定由被測定光源產生之全光束的光束計、以及使用該光束計之全光束的測定方法
KR100978246B1 (ko) 발광소자의 전광선속 측정 장치 및 방법
ES2368839T3 (es) Sistema de iluminación.
JP6154153B2 (ja) 標準光源および測定方法
KR20170131354A (ko) 분광 휘도계의 교정에 사용하는 기준 광원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하는 교정 방법
WO2011152082A1 (ja) ソーラーシミュレーターおよび太陽電池検査装置
US8749774B2 (en) Integrating sphere photometer and measuring method of the same
JP2007033334A (ja) 試料ホルダ
KR101126140B1 (ko) 적분구 광도계 및 그 측정방법
JP2010217109A (ja) 発光素子測定装置
Hanselaer et al. A new integrating sphere design for spectral radiant flux determination of light-emitting diodes
KR101201322B1 (ko) 평판표시장치용 육안 검사장비 및 검사 방법
KR101418816B1 (ko) 배광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KR101151219B1 (ko) 광학장치 및 색도계 보정방법
KR102060893B1 (ko) 전광선속 측정 장치
JP2016540256A (ja) 多数の小型エミッタを具備する大面積高一様性uv供給源
JP2009092481A (ja) 外観検査用照明装置及び外観検査装置
WO2022190369A1 (ja) 光照射ユニット
JP2012221726A (ja) ランプユニットおよびこのランプを備えた光照射装置
JP4708632B2 (ja) 照度標準器
CN108663549B (zh) 一种定位装置及测试系统
WO2013061640A1 (ja) 光源装置、擬似太陽光照射装置および光源装置のメンテナンス方法
KR20130092805A (ko) 광검사장치
JP2023093165A (ja) 紫外線led照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