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8896A - 촉각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촉각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8896A
KR20110098896A KR1020117011390A KR20117011390A KR20110098896A KR 20110098896 A KR20110098896 A KR 20110098896A KR 1020117011390 A KR1020117011390 A KR 1020117011390A KR 20117011390 A KR20117011390 A KR 20117011390A KR 20110098896 A KR20110098896 A KR 20110098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anel
support
touch
motion drive
holding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1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르민 디츠
하인츠 포팔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10098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88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접촉-감지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터치패드(1)를 구비하고, 터치 영역과의 접촉시 제어 신호가 촉발될 수 있으며, 터치패드(1)는 터치패드(1)의 평면에서 구동장치에 의해 소정 리듬으로 움직임 가능하게 구동될 수 있고, 터치패드(1)는 하나 이상의 가요성 연결 요소에 의해 고정 캐리어(6)에 연결되는, 특히 자동차용 촉각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요성 연결 요소 또는 요소들은, 일단부가 캐리어(6)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터치패드(1)에 연결되는 스프링 암(5)이다.

Description

촉각 제어 장치{HAPTIC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터치-감지 영역을 구비한 터치 패널을 포함하고, 터치 영역이 터치된 때 스위칭 신호가 촉발될 수 있으며, 터치 패널은 터치 패널의 평면에서 소정 리듬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모션 드라이브(motion drive)에 의해 작동될 수 있고, 터치 패널은 하나 이상의 가요성 연결 요소에 의해 고정 지지물에 연결되는, 특히 자동차용 촉각 작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위칭 신호를 촉발시키는 역할을 하는 이러한 촉각 작동 장치에서, 터치 영역이 가동된 때, 스위칭 신호가 정확하게 촉발되었다는 정보를 조작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터치 패널의 움직임이 소정 리듬으로 촉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고 오기능의 여지가 없는 구성을 갖는, 전술된 유형의 촉각 작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르면, 가요성 방식으로 편향될 수 있는 유지 암인 가요성 연결 요소(들)로서, 그 일단부가 지지물에 연결되고 그 타단부가 터치 패널에 연결되는 가요성 연결 요소(들)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적은 수의 간단한 구성요소가 불쾌한 소음 발생을 회피시킨다.
따라서, 간단한 실시 형태에서, 유지 암은 금속 스트립일 수 있다.
유지 암이 스프링 암이면, 터치 패널의 지지 요소는 동시에 편향된 터치 패널이 그 중립 위치로 복귀되게 하여, 이중 기능을 충족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유지 암(들)은 터치 패널의 하나 이상의 에지 영역에 배치된다.
유지 암이 터치 패널의 대향 에지 영역들에 배치되면, 이들은 영역의 안정된 유지를 제공하는 평행사변형을 형성한다.
따라서, 특히 큰-표면의 터치 패널의 경우, 그의 안정된 유지를 위해 2개 이상의 유지 암이 터치 패널의 각각의 에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유지 암은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유지 암이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면, 유도된 편향성(deflectability)은 안정된 유지를 돕는 단일 편향 방향으로 제한된다.
따라서, 편향성의 방향은 모션 드라이브의 구동 방향에 대응한다.
따라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터치 패널의 대향 에지 영역들에 배치되는 유지 암의 종방향 측부에 의해, 정평행사변형(regular parallelogram)이 달성되며, 따라서 터치 패널의 평면이 항상 균일하게 편향된다.
터치 패널에 작용하는 드라이브의 힘-경로-특성에 영향을 주기 위해, 유지 암은 지지물로부터 터치 패널을 향해 그 길이에 걸쳐 비-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유지 암은 또한 지지물로부터 터치 패널을 향해 그 길이에 걸쳐 균일한 단면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편향 스트로크의 종료시 모션 드라이브에 의해 제동 효과를 생성하기 위해서, 스프링 암은 지지물로부터 터치 패널을 향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테이퍼지는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안정된 위치설정 및 용이한 장착을 위해서, 지지물 측의 유지 암의 단부는 바람직하게는 지지물에 고정되게 연결되는 베어링 블록 내에 고정되게 클램핑된다.
연결 영역의 가요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지지물 측의 유지 암의 단부는 지지물에 연결되는 굽힘 조인트를 형성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터치 패널 측의 유지 암의 단부는 터치 패널에 연결되는 굽힘 조인트를 형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연결 영역이 과부하되고 터치 패널의 모션 프로파일이 영향받는 것이 회피된다.
터치 패널의 편향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서, 유지 암은 이들이 정지부에 맞대어져 지탱될 때까지 중립 위치로부터 편향될 수 있다.
편향 움직임의 종단을 감쇠시키기 위해, 정지부는 탄성 감쇠 요소를 구비할 수 있다.
정지부는 지지물과 터치 패널 사이에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지지 표면일 수 있다.
따라서, 지지 표면이 스프링 암을 향해 융기된(bulged) 방식으로 연장되면, 유지 암은 편향된 때 점차적으로 지지 표면에 맞대어져 지탱되며, 이는 편향 움직임의 증가된 제동을 유발하고, 따라서 강한 충격이 회피된다.
따라서, 지지 표면은 그 융기되는 정도가 변하는 융기된 부분을 구비할 수 있어, 이에 의해 제동 경로가 결정될 수 있다. 특히, 비-선형 작동이 선형 모션 시퀀스를 형성하는 대응하는 융기된 부분에 의해, 예를 들어 힘 특성의 이차적으로 상승하는 곡선과 같은 것을 갖는 모션 드라이브에 의해서 또한 보상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모션 드라이브는 움직임 방향으로 선형으로 작동되는 모션 드라이브이다.
모션 드라이브는 예를 들어 자기 모션 드라이브 또는 압전 모션 드라이브와 같은 전기기계 모션 드라이브일 수 있다.
이는 사람의 손에 의해 쉽게 파지될 수 있는, 3G 이상에 이르는 터치 패널의 가속이 달성될 수 있어 유리하다.
그러나, 예를 들어 공압식 모션 드라이브와 같은 임의의 다른 모션 드라이브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작은 공간에 복수의 터치 영역을 형성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터치 패널은, 터치 패널에 걸쳐 분포되고 서로에 독립적으로 가동될 수 있는 복수의 터치-감지 영역을 구비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터치 영역은 조작자에 의해 쉽게 위치되게 하기 위해 매트릭스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간단한 실시 형태에서, 터치 영역은 압전 및/또는 용량성 및/또는 저항성 터치 영역일 수 있다.
촉각 구분을 위해서, 터치 패널이 움직일 수 있도록 작동될 수 있는 상이한 터치 영역과 다양한 특정 리듬이 관련될 수 있다.
시각적으로 검출되는 능력을 터치 영역에 간단한 방식으로 배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터치 패널은 적어도 터치 영역의 영역에서 투명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지지물에 고정되게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터치 패널과 지지물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액정 디스플레이(LCD)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또는 진공 형광 디스플레이(VFD)와 같은 광전 디스플레이 장치인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작은 구성 체적 및 선택적으로 융통성 있는 제어성(controllability)이 달성된다.
따라서, 관련 터치 영역의 스위칭 기능과 관련될 수 있는 영숫자 문자 및/또는 심볼이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습기 및 먼지와 같은 환경 효과에 의해 유발되는 작동 에러를 피하기 위해서, 지지물과 터치 패널은, 적어도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그 디스플레이 평면이 내부에 배치되고 터치 패널의 평면에서 또는 터치 패널에 평행한 평면에서 서로에 대해 움직일 수 있도록 밀봉 장치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밀폐 하우징의 두 하우징 부품을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가시도에 대한 감손이 하우징에 의해 회피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 및 지지물의 하우징 부품은 터치 패널의 평면에서 또는 터치 패널에 평행한 하나 이상의 평면에서 서로 인접할 수 있으며, 밀봉 장치는 터치 패널 및 지지물의 인접 영역들 사이에 배치된다.
상대 운동성을 위해서, 이 경우에 밀봉 장치는 터치 패널 및 지지물의 인접 영역들에 연결되는 탄성 밀봉 요소일 수 있다.
상대 운동성을 위해서, 이 경우에 밀봉 장치는 예를 들어 터치 패널 및 지지물의 인접 영역들에 연결되는 다이아프램과 같은 탄성 밀봉 요소일 수 있다.
모션 프로파일에 영향을 주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특히 예를 들어 자동차에서 일어나는 바와 같이 주위 온도의 넓은 변동의 경우에, 탄성 밀봉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그 강성(rigidity)이 -40℃ 내지 +110℃의 온도 범위에서 적어도 대략 일정한 재료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서, 밀봉 요소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실질적으로 모션 프로파일에 영향을 주는 것을 회피하는 밀봉 장치의 다른 구성에서, 하나 이상의 미로(labyrinth)를 포함하고 밀폐된 환형 경로를 형성하는 래버린스 시일(labyrinth seal)이 서로 평행한 터치 패널 및 지지물의 인접 평면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터치 패널이 지지물에 대해 모션 드라이브에 의해 움직일 수 있는 것보다, 터치 패널의 평면에 평행한 평면에서, 더욱 큰 유극을 갖고서 래버린스 시일의 돌출부가 래버린스 시일의 홈 내로 돌출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경우에 환형 경로는 직사각형 특성을 가지며, 직사각형의 직선은 반경부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하고 오기능의 여지가 없는 구성을 갖는, 전술된 유형의 촉각 작동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가 도면에 도시되고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작동 장치의 제1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아래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작동 장치의 세부사항을 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작동 장치의 확대 상세도이다.
도 4는 작동 장치의 제2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아래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작동 장치의 아래에서 본 제2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따른 작동 장치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에 따른 작동 장치를 확대하여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작동 장치는 터치 패널(1)을 구비하고, 이 터치 패널의 상부 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복수의 투명한 터치-감지 영역을 구비한 투명 필름(2)이 제공된다.
터치 영역은 터치된 때, 가동되도록 장치로 전송될 수 있는 스위칭 신호가 촉발되게 하는 용량성 터치 영역일 수 있다.
터치 패널(1)은 직사각형 프레임(3)을 구비하고, 이 프레임의 내부 영역은 필름(2)이 적용되는 투명 플레이트(4)에 의해 밀봉된다.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2개의 스프링 암(5)이 각각의 경우에 그 일단부가 프레임(3)의 짧은 측부 상에 위치되는 상태로 서로로부터 거리를 두고 배치되며, 상기 스프링 암은 필름(2)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터치 패널(1)의 면으로부터 직각으로 돌출된다.
스프링 암(5)은 그 종방향 측부가 프레임(3)의 짧은 측부에 평행한 상태로 연장되고, 그 제2 단부에 의해 지지물(6)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스프링 암(5)의 제2 단부는 지지물(6)의 베어링 블록(7) 내에 고정되게 클램핑된다.
도 4 내지 도 7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지지물(6)은 탭(8)을 구비하고, 이 탭의 자유 단부는 스프링 암(5)의 자유 단부에 연결된다.
베어링 블록(7) 및 탭(8)은 지지물(6)의 중심을 향하는 각각의 스프링 암(5)의 측부 상에 배치되고, 스프링 암(5)을 향하는 그 측부 지지 표면(9) 상에, 지지물(6)과 터치 패널(1) 사이의 거리의 일부에 걸쳐 연장되는 융기된 부분을 구비한다.
베어링 블록(7) 및/또는 탭(8) 상의 스프링 암(5)의 고정점으로부터 시작하여, 지지 표면(9)은 지지물(6)의 중앙 영역을 향해 그 타단부 방향으로 움직인다.
결과적으로, 스프림 암(5)에 의해 지탱되어 지지물(6)에 연결되는 터치 패널(1)이 그 종방향 연장 방향으로 지지물(6)에 대해 편향될 수 있다.
따라서, 스프림 암(5)은 평행사변형을 형성하며, 따라서 터치 패널(1)의 종방향 연장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의 편향이 불가능하다.
자기 모션 드라이브(10)가 또한 지지물(6) 상에 배치되고, 상기 자기 모션 드라이브는 터치 영역이 터치되어 스위칭 신호가 촉발된 때 터치 패널(1)을 편향시키기 위해 터치 패널(1)에 연결된 전기자(11)에 작용한다.
이 편향은 0.2 mm 내지 0.5 mm로 교번하는 경로에 걸쳐 일어나고, 별개의 리듬이 각각의 터치 영역에 배정되며, 여기에서 터치 영역이 터치된 때, 터치 패널(1)은 자기 모션 드라이브(10)에 의해 진동 방식으로 작동된다.
터치 패널(1)의 각각의 편향의 경우, 프레임(3)의 하나의 짧은 측부 상의 스프링 암(5)은 점차적으로, 그에 배정된 지지 표면(9)의 융기된 부분에 맞대어져 지탱되며, 따라서 편향의 종료시 스프링 암(5)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그와 관련된 지지 표면(9)에 맞대어져 지탱된다.
따라서, 자기 모션 드라이브(10)가 작동정지된 때, 스프링 암(5)의 스프링 힘에 의해 되돌아가는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2개의 다른 스프링 암(5)이 그와 관련된 지지 표면(9)에 맞대어져 지탱된다.
이러한 진동 리듬은 터치 영역을 터치하는 조작자에 의해 촉각적으로 검출 및 식별될 수 있다.
특정 리듬을 식별함으로써, 스위칭 신호가 촉발되었다는 정보와 어느 터치 영역이 가동되었는지에 관한 정보가 촉각적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조작자는 조작자에 의해 가동될 터치 영역이 실제로 터치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초기에 터치 패널(1) 상의 가동될 각각의 터치 영역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필름(2)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터치 패널(1) 측에서, 액정 디스플레이(12)가 지지물(6) 상에 배치되고, 도시된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의 문자 및/또는 심볼을 조작자가 터치 패널(1)의 투명 플레이트(4)를 통해 볼 수 있다.
따라서, 모든 터치 영역 후방에 그에 배정된 문자 및/또는 심볼이 배치된다.
도 4 내지 도 7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지지물과 터치 패널(1)은 밀폐된 하우징의 두 하우징 부품을 형성한다.
따라서, 터치 패널(1)은, 플레이트(4)에 대향된 측에서 개방되고 그 개방 영역에서 플레이트(4)에 평행한 주연부 밀봉 영역(13)을 구비하는 박스로서 구성된다.
플레이트형 방식으로 구성된 지지물(6)의 평탄한 밀봉 영역(14)은 이 밀봉 영역(13)에 평행한 평면에서 그에 맞대어져 지탱된다.
개방 영역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환형 경로를 형성하는 2개의 연속 주연부 홈(15)이 터치 패널(1)의 밀봉 영역(13) 상에 형성되고, 이 홈 내로 지지물(6)의 밀봉 영역(14)의 대응하는 연속 주연부 돌출부가 돌출된다.
래버린스 시일을 형성하는, 홈(15) 및 돌출부(16)로 구성되는 환형 경로는 직사각형 특성을 가지며, 직사각형의 직선은 반경부(17)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지지물(6)에 대한 터치 패널(1)의 방해받지 않는 편향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홈(15)은 터치 패널(1)이 편향된 때 돌출부(16)가 홈 벽에 맞대어져 지탱되지 않도록 하는 폭을 갖는다.
1: 터치 패널 2: 투명 필름
3: 프레임 4: 투명 플레이트
5: 스프링 암 6: 지지물
7: 베어링 블록 8: 탭
9: 지지 표면 10: 자기 모션 드라이브
11: 전기자 12: 액정 디스플레이
13: 주연부 밀봉 영역 14: 평탄한 밀봉 영역
15: 홈 16: 돌출부
17: 반경부

Claims (38)

  1. 적어도 하나의 터치-감지 영역을 구비한 터치 패널을 포함하고, 터치 영역이 터치된 때 스위칭 신호가 촉발될 수 있으며, 터치 패널은 터치 패널의 평면에서 소정 리듬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모션 드라이브에 의해 작동될 수 있고, 터치 패널은 하나 이상의 가요성 연결 요소에 의해 고정 지지물에 연결되는, 특히 자동차용 촉각 작동 장치에 있어서,
    가요성 연결 요소(들)는, 그 일단부가 지지물(6)에 연결되고 그 타단부가 터치 패널(1)에 연결되는, 가요성 방식으로 편향될 수 있는 유지 암(유지 암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각 작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유지 암은 금속 스트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3.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지 암은 스프링 암(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스프링 암(들)(5)은 터치 패널의 하나 이상의 에지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스프링 암(5)은 터치 패널(1)의 대향 에지 영역들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스프링 암(5)이 터치 패널(1)의 각각의 에지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7.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지 암은 원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지 암(5)은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터치 패널(1)의 대향 에지 영역들에 배치되는 유지 암(5)의 종방향 측부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10.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지 암은 지지물로부터 터치 패널을 향해 그 길이에 걸쳐 비-균일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11. 제10항에 있어서,
    유지 암은 지지물로부터 터치 패널을 향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테이퍼지는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12.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물 측의 유지 암(5)의 단부는 지지물(6)에 고정되게 연결되는 베어링 블록(7) 내에 고정되게 클램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13.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물 측의 유지 암(5)의 단부는 지지물(6)에 연결되는 굽힘 조인트를 형성하고, 그리고/또는 터치 패널 측의 유지 암(5)의 단부는 터치 패널(1)에 연결되는 굽힘 조인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14.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지 암(5)은 이들이 정지부에 맞대어져 지탱될 때까지 중립 위치로부터 편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15. 제14항에 있어서,
    정지부는 지지물(6)과 터치 패널(1) 사이에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지지 표면(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16. 제15항에 있어서,
    지지 표면(9)은 유지 암(5)을 향해 융기된 방식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17. 제16항에 있어서,
    지지 표면(9)은 그 융기되는 정도가 변하는 융기된 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18.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션 드라이브는 움직임 방향으로 선형으로 작동되는 모션 드라이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19. 제18항에 있어서,
    모션 드라이브는 전기기계 모션 드라이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20. 제19항에 있어서,
    모션 드라이브는 자기 모션 드라이브(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21. 제19항에 있어서,
    모션 드라이브는 압전 모션 드라이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22. 제18항에 있어서,
    모션 드라이브는 공압식 모션 드라이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23.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치 패널(1)은, 터치 패널(1)에 걸쳐 분포되고 서로에 독립적으로 가동될 수 있는 복수의 터치-감지 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24. 제23항에 있어서,
    터치 영역은 매트릭스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터치 영역은 압전 및/또는 용량성 및/또는 저항성 터치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26. 제23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치 패널(1)이 움직일 수 있도록 작동될 수 있는 상이한 터치 영역과 다양한 특정 리듬이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27.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치 패널(1)은 적어도 터치 영역의 영역에서 투명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지지물(6)에 고정되게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터치 패널(1)과 지지물(6)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28. 제27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전 디스플레이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29. 제28항에 있어서,
    광전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LED)(12)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또는 진공 형광 디스플레이(VF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30. 제27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관련 터치 영역의 스위칭 기능과 관련될 수 있는 영숫자 문자 및/또는 심볼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표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31.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물(6)과 터치 패널(1)은, 적어도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그 디스플레이 평면이 내부에 배치되고 터치 패널의 평면에서 또는 터치 패널(1)에 평행한 평면에서 서로에 대해 움직일 수 있도록 밀봉 장치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밀폐 하우징의 두 하우징 부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32. 제31항에 있어서,
    터치 패널(1) 및 지지물(6)의 하우징 부품은 터치 패널의 평면에서 또는 터치 패널(1)에 평행한 하나 이상의 평면에서 서로 인접하며, 밀봉 장치는 터치 패널(1) 및 지지물(6)의 인접 영역들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33. 제32항에 있어서,
    밀봉 장치는 터치 패널 및 지지물의 인접 영역들에 연결되는 탄성 밀봉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34. 제33항에 있어서,
    탄성 밀봉 요소는 다이아프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35. 제33항 또는 제34항에 있어서,
    탄성 밀봉 요소는 그 강성이 -40℃ 내지 +110℃의 온도 범위에서 적어도 대략 일정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36. 제35항에 있어서,
    밀봉 요소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37. 제3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미로를 포함하고 밀폐된 환형 경로를 형성하는 래버린스 시일이 서로 평행한 터치 패널(1) 및 지지물(6)의 인접 평면들 사이에 배치되고, 터치 패널(1)이 지지물(6)에 대해 모션 드라이브에 의해 움직일 수 있는 것보다, 터치 패널(1)의 평면에 평행한 평면에서, 더욱 큰 유극을 갖고서 래버린스 시일의 돌출부(16)가 래버린스 시일의 홈(15) 내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38. 제37항에 있어서,
    환형 경로는 직사각형 특성을 가지며, 직사각형의 직선은 반경부(17)에 의해 함께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KR1020117011390A 2008-11-21 2009-10-23 촉각 제어 장치 KR201100988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58566.1 2008-11-21
DE102008058566A DE102008058566A1 (de) 2008-11-21 2008-11-21 Haptische Bedieneinricht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8896A true KR20110098896A (ko) 2011-09-02

Family

ID=41508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1390A KR20110098896A (ko) 2008-11-21 2009-10-23 촉각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54227B2 (ko)
EP (1) EP2359218B1 (ko)
KR (1) KR20110098896A (ko)
CN (1) CN102216875B (ko)
DE (1) DE102008058566A1 (ko)
WO (1) WO20100577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4713A1 (ja) * 2009-08-31 2011-03-03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振動機能付きタッチパネルの実装構造
FR2968786B1 (fr) * 2010-12-13 2012-12-14 Delphi Tech Inc Dispositif de commande haptique comportant un joint d'etancheite
US11820215B2 (en) * 2019-11-04 2023-11-21 Hyundai Mobi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vehicle
CN211604072U (zh) * 2020-04-09 2020-09-29 南昌欧菲生物识别技术有限公司 振动模组及电子装置
DE102021103823A1 (de) 2021-02-18 2022-08-18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Bedieneingabevorrichtung und Lenkeingabe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29228B1 (fr) * 1988-03-25 1993-05-28 Sfena Terminal de communication a composition variable
US5702779A (en) * 1995-07-17 1997-12-30 Webasto Sunroofs Inc Plastic panel assembly for use in a vehicle
US6822635B2 (en) * 2000-01-19 2004-11-23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interface for laptop computers and other portable devices
DE20110769U1 (de) 2000-08-12 2001-11-08 Kostal Leopold Gmbh & Co Kg Berührungssensitive Dateneingabeeinrichtung
JP2003344086A (ja) * 2002-05-28 2003-12-03 Pioneer Electronic Corp タッチパネル装置及び自動車用表示入力装置
DE102005038161A1 (de) * 2004-12-30 2006-07-13 Volkswagen Ag Eingabevorrichtung
EP1834229A2 (de) * 2004-12-30 2007-09-19 Volkswagon AG Eingabe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ieb derselben
DE102005011633A1 (de) * 2005-03-14 2006-09-21 Siemens Ag Berührungsempfindlicher Bildschirm mit haptischer Rückmeldung
JP4604902B2 (ja) 2005-07-29 2011-01-05 ソニー株式会社 入出力装置及び入出力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DE102006047893A1 (de) 2005-12-01 2007-06-06 Volkswagen Ag Eingabe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US8144036B2 (en) * 2007-02-08 2012-03-27 Lear Corporation Switch system
US20090174672A1 (en) * 2008-01-03 2009-07-09 Schmidt Robert M Haptic actuator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haptic actuat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59218A1 (de) 2011-08-24
WO2010057741A1 (de) 2010-05-27
CN102216875A (zh) 2011-10-12
DE102008058566A1 (de) 2010-05-27
US9454227B2 (en) 2016-09-27
US20110221703A1 (en) 2011-09-15
EP2359218B1 (de) 2018-08-15
CN102216875B (zh) 2014-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88528A (ko) 촉각 작동 장치
US9592735B2 (en) Operating device for a vehicle component
JP2017524189A (ja) 電気機器用操作ユニット
KR20110098896A (ko) 촉각 제어 장치
US20150054756A1 (en) Touch panel support structure
WO2011013588A1 (ja) 操作装置
CN110417396B (zh) 薄膜层结构中具有力传感器阵列的输入装置
CN103250221A (zh) 开关操作面板
EP3570143B1 (en) Responsive force generator and vehicle-mounted display device including responsive force generator
KR20210005262A (ko) 자동차용 조작장치
US20220153137A1 (en) Input assembly with active haptic feedback and backlit display region
WO2019123773A1 (ja) 入力装置
US9915973B2 (en) Unit frame for touch panel and touch panel unit
CN109863571B (zh) 按键及电子装置
EP3835855B1 (en) Display device
US9464922B2 (en) Capacitive sensor for detecting a relative movement of two adjacent bodies
US20220100275A1 (en) Operating device for a vehicle
US10802602B2 (en) Input device with overlapping key structure
CN112840296A (zh) 用于机动车的操作装置
CN112540692A (zh) 触控操作装置
US11400867B2 (en) Operation apparatus
CN112542333B (zh) 触控操作装置
CN112543714A (zh) 操纵装置
CN111670424A (zh) 具有包括柔性膜的至少一个透明键的外围设备
JP2022164198A (ja) 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