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8752A - 송신 장치 및 제어 메시지 송신 방법 - Google Patents

송신 장치 및 제어 메시지 송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8752A
KR20110098752A KR1020117014459A KR20117014459A KR20110098752A KR 20110098752 A KR20110098752 A KR 20110098752A KR 1020117014459 A KR1020117014459 A KR 1020117014459A KR 20117014459 A KR20117014459 A KR 20117014459A KR 20110098752 A KR20110098752 A KR 20110098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cast
control message
scheduling information
area
mobil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4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6071B1 (ko
Inventor
레이 후앙
이사무 요시이
코 웨이 치엔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098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8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6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6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7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downlink data flow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수신측에서의 수신 처리를 효율화시킴으로써 수신측의 처리 시간 및 전력 소비를 저감하는 송신 장치 및 제어 메시지 송신 방법. 기지국(100)에 있어서, 메시지 생성부(103)가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고, OFDM 통신부(104)가 제어 메시지를 포함한 프레임을 송신한다. 이 제어 메시지(300)는 유니캐스트 영역(320)과,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영역(310)을 갖고, 유니캐스트 영역(320)에 배치되는 스케쥴링 정보 유닛군에는, 하나의 MS-ID와, 상기 MS-ID에 대응하는 이동국(200)앞으로 송신되는 복수의 정보 요소(IE)와, 상기 복수의 IE의 수 정보인 IE 수 인디케이터로 구성되는 스케쥴링 정보 유닛(330)이 포함된다.

Description

송신 장치 및 제어 메시지 송신 방법{TRANSMISSION EQUIPMENT AND METHOD FOR SENDING CONTROL MESSAGES}
본 발명은 멀티플 액세스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리소스 할당을 위한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 및 제어 메시지 송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은 제 4 세대(즉, 4G 네트워크)를 향해서 진전하고 있다. 4G로의 진전에 의해서, 시스템 요건인 유저수, 유저 대역폭 및 모빌리티의 대폭적인 증진이 기대된다.
이 시스템 요건에 있어서의 증진을 실현하기 위해서, 몇 가지 새로운 기술의 사용이 계획되고 있다. 이들 기술 중 하나로, WiMAX(IEEE 802.16e) 및 3GPP LTE용으로 제안된 무선 기술인,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 액세스(OFDMA)가 있다.
OFDM 통신 방식은 복수의 서브캐리어를 이용해서 송신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송신하는 기술이다. OFDM 통신 방식에서는, 우선 데이터 스트림이, 복수의 병렬 서브스트림으로 분할된다. 이 때, 데이터 레이트는 저감된다. 즉, 병렬 서브스트림에서는, 심볼 시간 길이가 원래의 데이터 스트림보다 증가한다. 그리고, 복수의 병렬 서브스트림은 변조된 후에, 제각각의 서브캐리어로 각각 매핑된다.
상기 심볼 시간 길이의 증가는, 채널 지연 스프레드에 대한 OFDM의 로버스트성을 높인다. 또한, 사이클릭 프리픽스(CP)의 도입은, CP 시간 길이가 채널 지연 스프레드보다 길다면, 심볼간의 간섭을 완전히 배제할 수 있다. 이에 더해서, OFDM 변조는 복잡함을 줄여서 보다 많은 서브캐리어를 가능하게 하는, 효율적인 역고속푸리에 변환(IFFT)을 이용해서 실현 가능하다.
OFDM 통신 시스템에서 리소스는, 시간 도메인에서는 OFDM 심볼에 의해서 규정되고, 주파수 도메인에서는 서브캐리어에 의해서 규정된다. 즉, OFDMA는 복수의 유저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 스트림을 시간 리소스 및 주파수 리소스 상에 매핑함으로써 다중화 전송을 실현하는 멀티플 액세스 방식이다.
종래, OFDM 통신 방식을 이용해서 통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예컨대 비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OFDMA 프레임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는 다운링크(DL)의 프레임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통상, 업링크(UL)에 대응하는 부분도 존재한다.
도 1에 있어서, 프레임에는, 제어 시그널링 정보를 전달하는 MAC 제어 메시지(22)가 포함된다. 제어 시그널링 정보에는, 예컨대, DL 데이터 송신을 위한 스케쥴링 정보, UL 송신을 위한 스케쥴링 그랜트 및 UL 송신에 대한 응답으로서의 ACK/NAK 지시가 포함된다. 통상, 제어 시그널링 정보는, 현 프레임에 대해서만 유효하다. 그러나, 제어 시그널링 정보가 복수의 프레임에 대해 유효한 추가 동작 모드도 있을 수 있다.
MAC 제어 메시지(22)는 기지국(BS)으로부터, BS에 접속한 모든 이동국(MS)으로 브로드캐스트된다. 각 MS는, MAC 제어 메시지(22)를 수신해서 복호한 후에, MAC 제어 메시지(22) 중에서 자신앞으로의 스케쥴링 정보 유닛을 찾아낼 필요가 있다. MAC 제어 메시지(22)는, 통상, 프레임 선두 부근에, 또한 프레임 경계를 기준으로 해서 소정 타이밍에 브로드캐스트된다.
도 1을 참조하면, MAC 제어 메시지(22)는, 복수의 스케쥴링 정보 유닛을 갖고 있다. 여기서, 각 스케쥴링 정보 유닛은 MS-ID를 포함한 정보 요소(IE)로 구성된다. 각 IE는 특정한 MS 또는 복수의 MS를 포함하는 그룹(이하, 간단히 「그룹」이라고 한다)에 대응한다. IE에 포함되는 정보는, 데이터 송신 포맷을 특정하는데 반드시 필요하다. MS(또는 그룹)가 데이터 송신 포맷을 특정하는 것은, 해당 MS(또는 그룹)로 스케쥴된 시스템 리소스를 식별하고 이 대응 리소스를 정확하게 복조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하다. 예컨대, 도 1에 있어서, IE(24, 26, 28, 30)의 내용은 각각 리소스(32, 34, 36, 38)를 정확하게 복조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하다.
여기서, 타겟 MS의 수에 따라, IE는 3가지 종류, 즉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로 나누어진다. 유니캐스트 IE는 단일의 MS에 대응하고, 멀티캐스트 IE는 사전 결정된 수의 MS에 대응하며, 브로드캐스트 IE는 모든 MS에 대응한다.
예컨대, 도 1의 유니캐스트 IE(24)가 MS-ID1를 포함하는 것과 같이, 각 유니캐스트 IE는 어떤 MS를 일의(一意)적으로 식별하는 MS-ID를 포함한다. 하나의 MS가 MAC 제어 메시지(22) 중에, 어떤 MS에 대응하는 유니캐스트 IE가 복수개 포함되는 경우도 있다. 도 1에 있어서도, MS-ID1를 가지는 MS에 대응하는 2개의 IE(24, 30)가 존재하고 있다.
또한, 도 1의 멀티캐스트 IE(26)가 MS-ID2를 포함하고, 브로드캐스트 IE(28)가 MS-ID3를 포함하도록, 브로드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IE도 각각 브로드캐스트 접속 및 멀티캐스트 접속을 일의적으로 식별하는 MS-ID를 포함한다. 한편, MS는, 브로드캐스트 대상의 그룹 및 멀티캐스트 대상의 그룹을, 미리 알고 있다.
여기서, 각 IE는 개별적인 할당 리소스 영역에 대응하고 있다. 즉, 예컨대 할당 리소스 영역의 단위 스케일이 결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1 할당 리소스 영역 및 제 2 할당 리소스 영역의 목적지 이동국이 같아도, 제 1 할당 리소스 영역 및 제 2 할당 리소스 영역 각각에 대해서 IE가 준비된다. 또한, 이러한 케이스는 이하의 경우에도 일어날 수 있다. 예컨대, 제 1 할당 리소스 영역과 제 2 할당 리소스 영역이 불연속인 경우이다. 또한, 제 1 할당 리소스 영역과 제 2 할당 리소스 영역에 적용되는 서비스가 다른 경우, 예컨대, 한쪽에서는 전화 서비스가 적용되고, 다른쪽에서는 데이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가 적용되는 경우이다. 또한, 제 1 할당 리소스 영역과 제 2 할당 리소스 영역에 적용되는 설정 조건이 다른 경우, 예컨대,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가 다른 경우이다. 또한, 제 1 할당 리소스 영역과 제 2 할당 리소스 영역으로 송신되는 데이터의 재송 회수가 다른 경우이다.
도 2는 DL에서의 IE의 전형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DL에서의 IE에는, 데이터를 어떻게 처리할지를 MS에 통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DL 스케쥴링 정보 유닛이 포함된다. 도 2에 있어서, IE에는, 프레임 중에 리소스를 할당한 MS 또는 그룹을 식별하는 MS-ID(42)가 포함된다. 또한, IE에는, 리소스에 관계된 정보로서는, 할당된 특정한 리소스(예컨대, 시간, 주파수, 공간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의 지시(즉, 리소스 할당 정보(44))와 그 할당이 유효한 기간(46)이 포함된다. 또한, IE에는, 데이터 송신 포맷에 관계된 정보로서는, 컨텐츠가 지시된 특정한 MIMO 방식에 의존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MIMO 데이터(48), 할당된 리소스에 사용되는 변조 방식 정보(50), 페이로드 크기 정보(52) 및 현재 송신이 요구하는 하이브리드 ARQ 프로세스를 나타내기 위한 HARQ 정보(54)가 포함된다.
이상과 같이 해서, MS 또는 그룹은 MAC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IE를 복호하고, 그 복호 결과에 기초해서 자신에게 할당된 리소스를 특정할 수 있다.
비 특허 문헌 1 : IEEE Std 802.16e-2005
그런데, MAC 제어 메시지 내의 각 IE가 나열되는 순서는 임의이며, 또한 MS-ID가 공통인 복수의 IE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MS는 자신의 MS-ID에 대응한 리소스를 찾아내기 위해서, MAC 제어 메시지(22) 내의 모든 IE를 체크할 필요가 있다. 그 결과, MS의 처리 시간과 전력 소비가 증가해 버리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신측에서의 수신 처리를 효율화시킴으로써 수신측의 처리 시간 및 전력 소비를 저감하는 송신 장치 및 제어 메시지 송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송신 장치는, 멀티플 액세스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리소스 할당을 위한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로서, 상기 제어 메시지를 구성하는 구성 수단과, 상기 구성된 제어 메시지를 포함한 프레임을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 메시지는, 목적지가 하나의 이동국인 유니캐스트의 스케쥴링 정보 유닛을 배치하는 유니캐스트 영역과, 목적지가 2개 이상의 이동국인 비 유니캐스트의 스케쥴링 정보 유닛을 배치하는 비 유니캐스트 영역을 갖고, 상기 유니캐스트 영역에 배치되는 스케쥴링 정보 유닛군에는, 이동국의 식별 정보인 하나의 MS-ID와, 상기 MS-ID에 대응하는 이동국앞으로 송신되는 복수의 정보 요소(IE)와, 상기 복수의 IE의 수 정보로 구성되는 스케쥴링 정보 유닛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제어 메시지 송신 방법은, 멀티플 액세스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리소스 할당을 위한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는 제어 메시지 송신 방법으로서, 상기 제어 메시지를 구성하는 구성 단계와, 상기 구성된 제어 메시지를 포함한 프레임을 송신하는 송신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 메시지는, 목적지가 하나의 이동국인 유니캐스트의 스케쥴링 정보 유닛을 배치하는 유니캐스트 영역과, 목적지가 2개 이상의 이동국인 비 유니캐스트의 스케쥴링 정보 유닛을 배치하는 비 유니캐스트 영역을 갖고, 상기 유니캐스트 영역에 배치되는 스케쥴링 정보 유닛군에는, 이동국의 식별 정보인 하나의 MS-ID와 상기 MS-ID에 대응하는 이동국앞으로 송신되는 복수의 정보 요소(IE)와 상기 복수의 IE의 수 정보로 구성되는 스케쥴링 정보 유닛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신측에서의 수신 처리를 효율화시킴으로써 수신측의 처리 시간 및 전력 소비를 저감하는 송신 장치 및 제어 메시지 송신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OFDM 프레임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다운링크에 있어서의 정보 요소(IE)의 전형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이동국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제어 메시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제어 메시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제어 메시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제어 메시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전제가 되는 시스템의 설명을 돕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제어 메시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제어 메시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의 전제가 되는 시스템의 설명을 돕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의 전제가 되는 시스템의 설명을 돕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의 전제가 되는 시스템의 설명을 돕기 위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제어 메시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메시지 처리부에서의 처리의 설명을 돕기 위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따른 제어 메시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메시지 처리부에서의 처리의 설명을 돕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중복되기 때문에 생략한다.
(실시예 1)
[기지국의 구성]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기지국(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있어서, 기지국(100)은 제어부(101)와, 스케쥴러(102)와, 메시지 생성부(103)와, OFDM 통신부(104)와, 메시지 처리부(105)를 갖는다. 여기서는, 제어부(101), 스케쥴러(102), 메시지 생성부(103) 및 메시지 처리부(105)는, MAC 층을 처리하고, OFDM 통신부(104)는 물리층을 처리한다.
제어부(101)는, MAC 프로토콜에 따른 처리를 제어한다.
스케쥴러(102)는, 제어부(101)에 의한 제어에 기초해서, 통신 상대인, 이동국(200) 또는 복수의 이동국(200)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 대해서, 리소스를 할당한다. 스케쥴러(102)는, 이동국(200) 또는 그룹에 할당된 식별 정보인 MS-ID, 리소스 할당 정보 및 캐스트 식별 정보(즉,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의 식별 정보) 등을 메시지 생성부(103)에 출력한다.
메시지 생성부(103)는, 스케쥴러(102)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해서, 다운링크로 송신되는 제어 메시지를 생성한다. 제어 메시지에는, 제어 시그널링 정보가 포함된다. 제어 시그널링 정보는, 예컨대 다운링크 데이터 통신에 관한 스케쥴링 정보 및 업링크 데이터 통신에 관한 스케쥴링 정보이다. 또한, 메시지 생성부(103)는, 스케쥴링 정보 유닛에 대응하는 리소스에 상기 스케쥴링 정보 유닛과 관련되는 MS-ID 앞으로의 송신 데이터를 매핑한다. 구체적으로는, 스케쥴링 정보 유닛에는 MS-ID 및 리소스 할당 정보가 포함되기 때문에, 이 리소스 할당 정보에 대응하는 리소스에 이 MS-ID 앞으로의 송신 데이터를 매핑한다. 이와 같이 제어 메시지에 포함되는 스케쥴링 정보 유닛과 송신 데이터가 대응지어져 있기 때문에, 수신측에서는, 제어 메시지 내의 정보에 의존해서 자신앞으로의 데이터를 수신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메시지 생성부(103)에서 생성되는 제어 메시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이후에 자세하게 설명한다.
OFDM 통신부(104)는 OFDM 변조 및 OFDM 복조를 행한다. OFDM 통신부(104)는 메시지 생성부(103)에서 생성된 제어 메시지를 포함한 프레임을 송신한다.
메시지 처리부(105)는, 이동국(200)으로부터 송신된 업링크 메시지를 해석 처리하고, 그 결과를 제어부(101)에 출력한다.
[이동국의 구성]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이동국(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에 있어서, 이동국(200)은 제어부(201)와, 메시지 생성부(202)와, OFDM 통신부(203)와, 메시지 처리부(204)를 갖는다. 여기서는, 제어부(201), 메시지 생성부(202) 및 메시지 처리부(204)는 MAC 층을 처리하고, OFDM 통신부(203)는 물리층을 처리한다.
제어부(201)는 MAC 프로토콜에 따른 처리를 제어한다.
메시지 생성부(202)는, 제어부(201)에 의한 제어에 기초해서, 업링크로 송신되는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 메시지에는 제어 정보 또는 송신 데이터가 포함된다.
OFDM 통신부(203)는 OFDM 변조 및 OFDM 복조를 행한다.
메시지 처리부(204)는, 제어부(201)에 의한 제어에 기초해서, 기지국(100)으로부터 송신된 다운링크 메시지를 해석 처리하고, 그 결과를 제어부(201)에 출력한다. 즉, 메시지 처리부(204)에서는, 예컨대 다운링크 데이터 통신에 관한 스케쥴링 정보 유닛, 및 업링크 데이터 통신에 관한 스케쥴링 정보 유닛이 추출되어, 제어부(201)로 출력된다.
[제어 메시지의 구성]
상기한 바와 같이, 메시지 생성부(103)는 다운링크로 송신되는 제어 메시지를 생성한다. 도 5는 실시예 1에 따른 제어 메시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있어서, 제어 메시지(300)는,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존(310)과, 유니캐스트존(320)으로 나누어진다.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존(310) 및 유니캐스트존(320)은 각각 연속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존(310)에는, 이 제어 메시지가 송신되는 프레임에 있어서의, 멀티캐스트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 및 브로드캐스트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 전체가 포함된다. 즉,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존(310)에는, 멀티캐스트 IE 및 브로드캐스트 IE 전체가 포함된다.
한편, 유니캐스트존(320)에는, 이 제어 메시지가 송신되는 프레임에 있어서의 유니캐스트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가 모두 포함된다.
유니캐스트존(320)은 각 이동국(200)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 유닛(330)을 갖는다. 각 스케쥴링 정보 유닛(330)은 하나의 MS-ID용 영역(332), IE 수 인디케이터용 영역(334) 및 IE용 영역(336)을 포함한다. IE 수 인디케이터는, 그 스케쥴링 정보 유닛(330)에 포함되는 IE의 수를 나타낸다.
여기서, 멀티캐스트 IE 및 브로드캐스트 IE에 관해서는, 각 IE에 MS-ID가 포함된다. 이 IE의 포맷을, 이하, 「제 1 포맷」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한편, MS-ID는 유니캐스트 IE에는 포함되지 않고, 각 이동국 할당 영역(330)의 선두에 하나만 놓인다. 이 IE의 포맷을, 이하, 「제 2 포맷」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유니캐스트존(320)에서는, 하나의 MS-ID에 대해 복수의 유니캐스트 IE가 하나의 IE용 영역(336)으로 모여서 배치되어서 스케쥴링 정보 유닛(330)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자신앞으로의 스케쥴링 정보 유닛(330)을 찾아내면, 다른 영역에 자신앞으로의 유니캐스트 IE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수신측의 이동국(200)은 자신앞으로의 스케쥴링 정보 유닛(330)을 찾아낸 단계에, 이동국 할당 영역의 탐색 처리를 종료할 수 있다. 이로써, 제어 메시지의 전체를 탐색할 필요가 있는 종래에 비해서, 스케쥴링 정보 유닛의 탐색 처리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이로써, 이동국(200)의 소비 전력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MS-ID는, 유니캐스트 IE에는 포함되지 않고, 각 스케쥴링 정보 유닛(330)에서의 선두 영역에 하나만 놓인다. 이로써, 스케쥴링 정보 유닛(330) 내에 복수의 IE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각 유니캐스트 IE에 MS-ID가 포함되던 종래에 비해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서는, 유니캐스트존이 IE의 수에 따른 복수의 부분존으로 분할된다. 실시예 2에 따른 기지국 및 이동국의 구성은 실시예 1에 따른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과 마찬가지다.
메시지 생성부(103)는, 다운링크로 송신되는 제어 메시지를 생성한다. 도 6은 실시예 2에 따른 제어 메시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있어서, 제어 메시지(400)는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존(410)과, 유니캐스트존(420)으로 나누어진다.
또한, 도 6에 있어서, 유니캐스트존(420)은 2개의 부분존, 즉 제 1 유니캐스트존(420a)과 제 2 유니캐스트존(420b)으로 나누어져 있다.
제 1 유니캐스트존(420a)에는, 제어 메시지(400)가 송신되는 프레임에 있어서, 하나의 유니캐스트 IE의 목적지로 되어 있는 이동국(200)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 유닛이 포함된다. 제 1 유니캐스트존(420a)에 매핑되는 유니캐스트 IE에는, MS-ID가 포함된다(도 6에 있어서의 유니캐스트 IE(422, 424) 참조). 즉, 제 1 유니캐스트존(420a)에서는 제 1 포맷이 채용된다.
한편, 제 2 유니캐스트존(420b)에는, 제어 메시지(400)가 송신되는 프레임에 있어서, 복수의 유니캐스트 IE의 목적지로 되어 있는 이동국(200)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 유닛이 포함된다. 제 2 유니캐스트존(420b)에 매핑되는 유니캐스트 IE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MS-ID는 포함되지 않고, MS-ID는 각 스케쥴링 정보 유닛(330)의 선두 영역에 하나만 놓인다. 즉, 제 2 유니캐스트존(420b)에서는 제 2 포맷이 채용된다.
이상과 같이, 분명히 IE를 하나밖에 갖지 않는 스케쥴링 정보 유닛만을 매핑하는 제 1 유니캐스트존(420a)을 마련함으로써, 이 영역에서는 IE 수 인디케이터가 불필요하게 된다. 이로써,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존(410)은 제 1 유니캐스트존(420a)과 제 2 유니캐스트존(420b) 사이에 마련된다. 즉,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존(410)은 제 1 유니캐스트존(420a)과 제 2 유니캐스트존(420b)의 경계를 형성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수신측의 이동국(200)은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존(410)을 지표로 해서, 제 1 유니캐스트존(420a)의 종료 및 제 2 유니캐스트존(420b)의 시작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존(410)에 더해서, 사전 결정된 MS-ID에 대한 특수 용도의 IE(예컨대, 범위 지정 IE)를 포함하는 존을 마련하고, 이것을 유니캐스트존의 종료 신호로서 사용해도 된다.
또한, 제 1 유니캐스트존(420a)과 제 2 유니캐스트존(420b)의 순서는, 반대로, 제 2 유니캐스트존(420b)가 앞이고 제 1 유니캐스트존(420a)가 뒤여도 된다. 단, 그 순서는 미리 정해져 있을 필요가 있다.
(실시예 3)
실시예 3에서도,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유니캐스트존이 IE의 수에 따른 복수의 부분존으로 분할된다. 실시예 3에 따른 기지국 및 이동국의 구성은 실시예 1에 따른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과 마찬가지다.
메시지 생성부(103)는, 다운링크로 송신되는 제어 메시지를 생성한다. 도 7은 실시예 3에 따른 제어 메시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있어서, 제어 메시지(500)는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존(510)과, 유니캐스트존(520)으로 나누어진다.
또한, 도 7에 있어서, 유니캐스트존(520)은 3개의 부분존, 즉 제 1 유니캐스트존(520a)과 제 2 유니캐스트존(520b)과 제 3 유니캐스트존(520c)으로 나누어져 있다.
제 1 유니캐스트존(520a)에는, 실시예 2에서 설명한 제 1 유니캐스트존(420a)과 마찬가지로, 제어 메시지(500)가 송신되는 프레임에 있어서, 하나의 유니캐스트 IE의 목적지로 되어 있는 이동국(200)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 유닛이 포함된다.
제 2 유니캐스트존(520b)에는, 제어 메시지(500)가 송신되는 프레임에 있어서, 2개의 유니캐스트 IE의 목적지로 되어 있는 이동국(200)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 유닛이 포함된다. 제 2 유니캐스트존(520b)는, 각 이동국(200)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 유닛(530)을 갖는다. 스케쥴링 정보 유닛(530)은 스케쥴링 정보 유닛(330)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MS-ID용 영역(532) 및 IE용 영역(534)을 포함한다. 단, 스케쥴링 정보 유닛(330)과 달리, 스케쥴링 정보 유닛(530)은 IE 수 인디케이터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것은 제 1 유니캐스트존(520a)과 마찬가지로, 제 2 유니캐스트존(520b) 자체에 IE 수 정보가 결부되어 있기 때문에, IE 수 인디케이터를 포함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로써,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 3 유니캐스트존(520c)에는, 제어 메시지(500)가 송신되는 프레임에 있어서, 3개 이상의 유니캐스트 IE의 목적지로 되어 있는 이동국(200)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 유닛이 포함된다.
이와 같이 3개의 유니캐스트존이 설정되기 때문에, 수신측의 이동국(200)이 자신앞으로의 MS-ID를 탐색하는 영역을 더 좁게 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이동국(200)의 처리 시간 및 소비 전력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존(510)은 제 1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존(510a)과 제 2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존(510b)으로 나누어진다. 제 1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존(510a) 및 제 2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존(510b)은 제 1 유니캐스트존(520a)과 제 2 유니캐스트존(520b)의 사이 및 제 2 유니캐스트존(520b)과 제 3 유니캐스트존(520c)의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수신측의 이동국(200)은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존(510)을 지표로 해서, 유니캐스트존(520)의 종료 및 시작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 1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존(510a) 및 제 2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존(510b)에 더해서, 사전 결정된 MS-ID에 대한 특수 용도의 IE(예컨대, 범위 지정 IE)를 포함하는 존을 마련하고, 이것을 유니캐스트존의 종료 신호로서 사용해도 된다.
또한, 제 1 유니캐스트존(520a)과 제 2 유니캐스트존(520b)과 제 3 유니캐스트존(520c)의 순서는, 바뀌어도 된다. 단, 그 순서는, 미리 정해져 있을 필요가 있다.
(실시예 4)
실시예 4에서는, 실시예 2 및 실시예 3과 달리,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존이, 멀티캐스트존과 브로드캐스트존으로 나누어진다.
메시지 생성부(103)는 다운링크로 송신되는 제어 메시지를 생성한다. 도 8은 실시예 4에 따른 제어 메시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있어서, 제어 메시지(600)는 브로드캐스트존(610)과, 멀티캐스트존(620)과, 유니캐스트존(420)으로 나누어진다.
브로드캐스트존(610)은 제어 메시지(600)에서 선두에 놓인다. 이렇게 함으로써, 예컨대 IEEE 802.16e와 같이 브로드캐스트의 스케쥴링 정보를 제어 메시지에 있어서의 선두 영역에 둘 것을 요구하는 프로토콜에도 적합한 메시지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유니캐스트존(420a)과 제 2 유니캐스트존(420b) 사이에는, 멀티캐스트존(620)이 마련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수신측의 이동국(200)은 멀티캐스트존(620)을 지표로 해서, 제 1 유니캐스트존(420a)의 종료 및 제 2 유니캐스트존(420b)의 시작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브로드캐스트과 멀티캐스트의 혼재 영역은 마련되지 않고, 각각이 존으로서 독립된 브로드캐스트존(610) 및 멀티캐스트존(620)이 마련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수신측의 이동국(200)에 있어서의 존 탐색 처리의 부하가 경감된다. 즉, 예컨대 어드레스 표기가 IPv4에 준하는 경우에는, 브로드캐스트의 IP 어드레스는, 뒤의 8비트가 모두 1이 되고, 멀티캐스트의 IP 어드레스는, 앞의 4비트가 1110이 된다. 따라서, 브로드캐스트와 멀티캐스트가 혼재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동국(200)은 앞의 4비트 및 뒤의 8비트를 보고나서야 브로드캐스트와 멀티캐스트를 구별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와 같이, 브로드캐스트존과 멀티캐스트존이 분리되고, 그 순서가 결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우선, 최초로 나타나는 존의 IP 어드레스의 특징점에 착안해서 탐색해서, 발견된 후에, 탐색하는 특징점을 다른 한쪽 것으로 바꿈으로써, 이동국(200)의 존 탐색 처리의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실시예 5)
실시예 2 내지 4에서는, 제 1 유니캐스트존과 제 2 유니캐스트존 사이에 비 유니캐스트존을 배치함으로써, 수신측의 이동국이 비 유니캐스트존을 지표로 해서, 제 1 유니캐스트존의 종료 및 제 2 유니캐스트존의 시작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2 내지 4의 구성과는 상이한 제어 메시지가 사용되는 것이 전제로 되어 있다.
[전제가 되는 종래 시스템]
이 시스템에서는, 배경 기술에서 설명한 시스템과 달리, MS-ID를 명시적으로는 통지하지 않고, 각 IE에 포함되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에 대해 MS-ID에 곱함으로써 CRC를 마스킹하는 경우가 있다. 수신측의 이동국은, IE를 복호하여, CRC 부분에 대해 자신의 MS-ID를 이용해서 배타적 논리합 연산한다. 그 결과, CRC가 OK가 되는 IE를 자기앞으로의 IE이라고 판정하고, 이 IE를 이용해서 데이터 수신을 행한다. 이 때, 이동국은 자기앞으로의 IE를 찾기 위해서, 모든 IE의 복호를 시도하게 된다.
또한, 이 시스템에서는, IE를 이동국에 통지하기 위해서, 리소스 크기 및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각각이 복수 준비된다. 예컨대, 리소스 크기에는, 2 종류(1 MLRU(MAP Logical Resource Unit) 또는 2 MLRU)가 준비되고, MCS에도 2 종류(QPSK 1/2 또는 QPSK 1/8)가 준비된다. 그리고, IE에 대해서 적용되는, 리소스 크기 및 MCS의 조합은 목적지 이동국마다, 또는 전파로 상황에 따라, 변경된다.
또한, 상기한 예의 경우, 리소스 크기 및 MCS의 조합이 4 종류 있기 때문에, 제어 메시지에 있어서, IE가 4그룹으로 정리되어 포함됨과 아울러, 그룹마다의 IE 수 등도 포함된다(도 9 참조, 단, 도 9에서는 N 종류 그룹이 있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어 메시지의 수신측인 이동국은 자기앞으로의 IE를 찾기 위한 시행 복호 횟수를 삭감할 수 있다.
그러나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IE는 user specific MAP이라는 영역에 배치되는 한편, 그룹마다의 IE 수는 Non-user specific MAP이라는 영역에 배치된다. 따라서, 이 Non-user specific MAP이 마련됨으로써, 이 시스템에서는, 배경 기술에서 설명한 시스템에 비해서, 오버헤드가 증가하고, 전체 스루풋이 감소한다는 문제가 있다.
[실시예 5에 따른 기지국 및 이동국의 구성]
실시예 5에 따른 기지국 및 이동국의 기본 구성은 실시예 1에 따른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과 마찬가지다.
메시지 생성부(103)는, 다운링크로 송신되는 제어 메시지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메시지 생성부(103)는, 우선 IE 타입에 기초해서, IE를 그룹화한다. IE 타입은 예컨대, 리소스 크기 및 MCS의 조합이다. 그리고, 메시지 생성부(103)는, 배치 영역을 그룹별로 분리하여 IE를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다. 또한, 메시지 생성부(103)는, 임의의 그룹의 배치 영역 내에서는, 유니캐스트 IE의 배치 영역과 비 유니캐스트 IE의 배치 영역을 분리하여 IE를 배치한다.
[제어 메시지의 구성]
도 10은 실시예 5에 따른 제어 메시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서는, IE가 그룹 1(G1), …, 그룹 N(GN)의 순서로 나열되어서 제어 메시지 내에 포함된다. 또한, 임의의 그룹의 배치 영역 내에는 유니캐스트 IE, 브로드캐스트 IE(비 유니캐스트의 1종)의 순서로 IE가 배치되어 있다. 즉, 임의의 그룹에 있어서 유니캐스트 IE가 하나의 서브그룹(SG)을 구성하고, 비 브로드캐스트가 다른 서브그룹을 구성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 메시지는 IE 타입에 따른 그룹마다 IE 배치 영역을 갖는다. 각 그룹의 IE 배치 영역에서는, 유니캐스트 IE의 배치 영역과 비 유니캐스트 IE의 배치 영역이, 분리됨과 아울러, 일정한 순서로 나열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 1 그룹의 유니캐스트 IE의 배치 영역과 제 2 그룹의 유니캐스트 IE의 배치 영역 사이에는, 제 1 그룹 또는 제 2 그룹의 비 유니캐스트 IE의 배치 영역이 마련된다. 이 때문에, 수신측의 이동국은 비 유니캐스트 IE의 배치 영역을 지표로 해서, 제 1 그룹의 유니캐스트 IE의 배치 영역의 종료 및 제 2 그룹의 유니캐스트 IE의 배치 영역의 시작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제어 메시지의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한 종래 시스템과 달리, Non-user specific MAP을 마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오버헤드를 삭감할 수 있다.
(실시예 6)
실시예 5에서는, 각 그룹에 비 유니캐스트 IE가 포함되는 것을 전제로 했다. 이에 비해서, 실시예 6은 비 유니캐스트 IE를 포함하지 않는 그룹이 존재하는 경우의 제어 메시지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6에 따른 기지국 및 이동국의 기본 구성은 실시예 5와 마찬가지다.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메시지 생성부(103)는 다운링크로 송신되는 제어 메시지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메시지 생성부(103)는, 우선 IE 타입에 기초해서, IE를 그룹화한다. 그리고, 메시지 생성부(103)는, 배치 영역을 그룹별로 분리해서 IE를 제어 메시지에 포함한다. 그리고, 메시지 생성부(103)는, 임의의 그룹의 배치 영역 내에서는, 유니캐스트 IE의 배치 영역과 비 유니캐스트 IE의 배치 영역을 분리하여, IE를 배치한다.
또한, 메시지 생성부(103)는, 비 유니캐스트 IE를 포함하지 않는 그룹의 유니캐스트 IE의 수에 관한 정보를 Non-user specific MAP에 배치한다. 또한, 메시지 생성부(103)는 비 유니캐스트 IE를 포함하지 않는 그룹에 관한 정보도 Non-user specific MAP에 배치한다. 이 그룹에 관한 정보는, 예컨대 비트맵 형식으로 표시된다.
도 11은 실시예 6에 따른 제어 메시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는, N이 4인 경우의 제어 메시지의 구성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 있어서, G2 및 G4는 비 유니캐스트 IE를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Non-user specific MAP에는, 비 유니캐스트 IE를 포함하지 않는 그룹에 관한 정보가 배치된다. 여기서는, 임의의 그룹에 있어서의 비 유니캐스트의 유무를 비트값 1, 0으로 나타낸다. 따라서, 여기서는 4 그룹 있기 때문에, 비트맵은 4개의 구성 비트를 갖는다. 비트맵에 있어서의 k번째의 구성 비트를 그룹 k에 대응시키는 경우, G2 및 G4에 비 유니캐스트 IE가 포함될 때에는, 비트맵은 0101의 비트열로 구성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비 유니캐스트 IE를 포함하지 않는 그룹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수신측의 이동국은 각 그룹의 배치 영역의 선두 및 말미를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다. 또한, Non-user specific MAP에는, 비 유니캐스트 IE를 포함하지 않는 그룹의 IE 수에 관한 정보만이 포함되기 때문에, 실시예 5에서 설명한 종래 시스템에 비해서 오버헤드를 삭감할 수 있다. 실시예 5에서 설명한 종래 시스템에 비해서, 비 유니캐스트 IE를 포함하지 않는 그룹에 관한 정보를 새롭게 배치할 필요가 있지만, 많아도 그룹수와 같은 수의 비트수이기 때문에, 오버헤드의 증가에 대한 영향은 작다.
(실시예 7)
본 실시예에서는, 기지국이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해서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를 전제로 한다.
[전제가 되는 종래 시스템]
이 시스템에서는, 예컨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지국은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해서 신호를 송신한다. 이 복수의 캐리어에는, 주 캐리어인 Primary Carrier와 종속 캐리어인 Secondary Carrier가 포함된다. 그리고, 모든 제어 메시지는 Primary Carrier로 송신된다. 그리고, Primary Carrier용 제어 메시지는 Basic assignment IE로서 통지되는 한편, Secondary Carrier용 제어 메시지는 MC assignment IE로서 통지된다. Basic assignment IE와 MC assignment IE는 하나의 세트로서, Primary Carrier로 송신된다.
이렇게 해서, Primary Carrier에서는, Single Carrier용 IE와 Multicarrier용 IE가 모두 송신된다. 이 때,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Single Carrier용 IE 및 Multicarrier용 IE는 랜덤하게 송신된다. 따라서, 이러한 제어 메시지의 구성에 따르면, 자신 기기 앞으로의 신호가 Single Carrier로 송신되는 이동국이어도, 모든 IE를 복호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수신측인 이동국의 부하를 경감시키기 위해서, 예컨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어 메시지의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생각된다. 즉, Non-user specific MAP이라는 영역 이외의 user specific MAP이라는 영역에서, Single Carrier용 IE의 배치 영역과 비 Single Carrier용 IE의 배치 영역을 분리해서 배치한다. 한편, Non-user specific MAP에는, 각각의 IE 수 등이 배치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자신 기기 앞으로의 신호가 Single Carrier로 송신되는 이동국은 Single Carrier의 IE만의 복호를 행하면 되기 때문에, 자신 기기 앞으로의 IE를 찾는 시행 회수를 삭감할 수 있다.
그러나, Non-user specific MAP이 마련됨으로써, 이 시스템에서는, 배경 기술에서 설명한 시스템에 비해 오버헤드가 증가하여, 전체 스루풋이 감소된다는 문제가 있다.
[실시예 7에 따른 기지국 및 이동국의 구성]
실시예 7에 따른 기지국 및 이동국의 기본 구성은 실시예 1에 따른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과 마찬가지다.
메시지 생성부(103)는, 다운링크로 송신되는 제어 메시지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메시지 생성부(103)는, 우선 IE 타입에 기초해서 IE를 그룹화한다. 여기서는 IE 타입은 Single Carrier 또는 Multicarrier의 종별 및 유니캐스트 IE 또는 비 유니캐스트 IE의 종별의 조합이다. 그리고, 메시지 생성부(103)는 배치 영역을 그룹별로 분리하여 IE를 제어 메시지에 포함한다. 또한, 메시지 생성부(103)는 종별이 Single Carrier인 그룹의 배치 영역 내에서는, 유니캐스트 IE의 배치 영역과 비 유니캐스트 IE의 배치 영역을 분리하여 IE를 배치한다.
[제어 메시지의 구성]
도 15는 실시예 7에 따른 제어 메시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에서는, IE가 Single Carrier의 그룹, Multicarrier의 그룹의 순서로 나열되어 제어 메시지 내에 포함된다. 또한, Single Carrier 그룹의 배치 영역 내에서는, 유니캐스트 IE, 브로드캐스트 IE(비 유니캐스트의 1종)의 순서로 IE가 배치되어 있다. 즉, Single Carrier 그룹에 있어서, 유니캐스트 IE가 하나의 서브그룹(SG)을 구성하고, 비 유니캐스트 IE가 다른 서브그룹을 구성한다. 여기서, IE에는, Basic assignment IE와 non-basic assignment IE 양쪽이 포함된다. Basic assignment IE는, 통상 데이터 채널용 Information element이다. Non-basic assignment IE는, Group 단위의 Information element, Group 단위의 Information element의 구성 요소를 통지하는 IE, 또는 Persistent allocation 등 통상 데이터 채널 이외의 IE이다.
[이동국에서의 수신 처리]
상술한 구성을 갖는 제어 메시지는, 기지국(100)으로부터 송신되고, 이동국(200)에서 수신된다.
도 16은 메시지 처리부(204)에 있어서의 처리의 설명을 돕기 위한 도면이다.
스텝 S1001에서는, 메시지 처리부(204)는 제어 메시지의 IE마다 CRC를 체크한다.
스텝 S1002에 있어서, 브로드캐스트용 식별 정보에 의해서 CRC를 디마스킹한 결과, CRC가 OK라고 판정되는 경우(예)에는, 이 때의 IE를 싱글 캐리어이고 또한 브로드캐스트인 IE의 그룹이 배치되는 영역(즉, 도 15의 SG2)의 선두로서 검출한다(스텝 S1003). CRC가 NG라고 판정되는 경우(아니오)에는, 스텝 S1001의 처리가 반복된다.
스텝 S1004에서는, 후속 IE의 CRC를 더 체크한다.
스텝 S1005에서, 브로드캐스트용 식별 정보에 의해서 CRC를 디마스킹한 결과, CRC가 NG라고 판정되는 경우(아니오)에는, 이 때의 IE를 멀티캐리어인 IE의 그룹이 배치되는 영역의 선두로서 검출한다(스텝 S1007).
CRC가 OK라고 판정되는 경우(스텝 S1005:예)에는, 체크 대상의 IE가 멀티캐리어 할당 IE(MC assignment IE)인지 판정한다(스텝 S1006).
멀티캐리어 할당 IE라고 판정되는 경우(스텝 S1006:예)에는, 이 때의 IE를 멀티캐리어인 IE의 그룹이 배치되는 영역의 선두로서 검출한다(스텝 S1007). 멀티캐리어 할당 IE가 아니라고 판정되는 경우(스텝 S1006:아니오)에는, 스텝 S1004의 처리가 반복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 메시지는, IE 타입에 따른 그룹별로 IE 배치 영역을 갖는다. 각 그룹의 IE 배치 영역에서는, 유니캐스트 IE의 배치 영역과 비 유니캐스트 IE의 배치 영역이 분리됨과 아울러, 일정한 순서로 나열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Single Carrier의 그룹의 유니캐스트 IE의 배치 영역과 Multicarrier의 그룹의 유니캐스트 IE의 배치 영역 사이에는, Single Carrier의 그룹의 비 유니캐스트 IE의 배치 영역이 마련된다. 이 때문에, 수신측의 이동국은 비 유니캐스트 IE의 배치 영역을 지표로 해서, Single Carrier의 그룹의 유니캐스트 IE의 배치 영역의 종료 및 Multicarrier의 그룹의 유니캐스트 IE의 배치 영역의 시작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제어 메시지의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술한 종래 시스템과 달리, Non-user specific MAP을 마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오버헤드를 삭감할 수 있다.
(실시예 8)
실시예 7에서는, 이동국은 Multicarrier의 그룹의 최초의 "Basic assignment IE"를 검출함으로써 Single Carrier의 그룹과 Multicarrier의 그룹의 경계를 인식했다. Multicarrier의 그룹의 최초의 "Basic assignment IE"를 검출할 때에 사용되는 기준으로서는, 검출 대상 IE가 브로드캐스트 IE인지 여부 및, 멀티캐리어 할당 IE 인지가 사용되었다. 이 「멀티캐리어 할당 IE 인지」라고 하는 기준은 Multicarrier의 그룹의 선두에 배치되는 Basic assignment IE도 브로드캐스트인 경우에 유용하다.
이에 비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Single Carrier의 그룹의 배치 영역에서, Multicarrier의 그룹의 배치 영역 직전에는, Non-basic assignment IE이고 또한 브로드캐스트인 IE를 할당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Non-basic assignment IE로부터 basic assignment IE로 전환되는 것」을, Multicarrier의 그룹의 최초의 "Basic assignment IE"를 검출할 때에 사용되는 기준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8에 따른 기지국 및 이동국의 구성]
실시예 8에 따른 기지국 및 이동국의 기본 구성은 실시예 1에 따른 기지국(100) 및 이동국(200)과 마찬가지다.
메시지 생성부(103)는 다운링크로 송신되는 제어 메시지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메시지 생성부(103)는, 우선 IE 타입에 기초해서 IE를 그룹화한다. 여기서는, IE 타입은 Single Carrier 또는 Multicarrier의 종별, 유니캐스트 IE 또는 비 유니캐스트 IE의 종별 및 Basic assignment 또는 Non-basic assignment의 종별의 조합이다. 그리고, 메시지 생성부(103)는 배치 영역을 그룹별로 분리하여, IE를 제어 메시지에 포함한다. 또한, 메시지 생성부(103)는, 종별이 Single Carrier인 그룹의 배치 영역 내에서는, Non-basic assignment이고 또한 비 유니캐스트인 IE의 배치 영역과 이외의 배치 영역을 분리해서, IE를 배치한다.
[제어 메시지의 구성]
도 17은 실시예 8에 따른 제어 메시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에서는, IE가 Single Carrier의 그룹, Multicarrier의 그룹의 순서로 나열되어, 제어 메시지 내에 포함된다. 또한, Single Carrier 그룹의 배치 영역내에서는, Basic assignment의 IE(유니캐스트 및 비 유니캐스트를 포함한다), Non-basic assignment이고 또한 유니캐스트인 IE, Non-basic assignment이고 또한 브로드캐스트인 IE의 순서로, IE가 배치되어 있다. 즉, Single Carrier 그룹에 있어서, Non-basic assignment이고 또한 비 유니캐스트인 IE가, Multicarrier 그룹의 직전에 배치되는 서브그룹을 구성한다. 또한, 상술한, 임의의 세트에서, IE는 Basic assignment, Non-basic assignment의 순서로 나열된다. 즉, 종별이 Multicarrier인 그룹의 배치 영역의 선두에는, 메시지 생성부(103)에 의해서, Basic assignment IE가 배치된다.
[이동국에서의 수신 처리]
상술한 구성을 갖는 제어 메시지는 기지국(100)으로부터 송신되고, 이동국(200)에서 수신된다.
도 18은 메시지 처리부(204)에 있어서의 처리의 설명을 돕기 위한 도면이다.
스텝 S2001에서는, 메시지 처리부(204)는, 제어 메시지의 IE마다 CRC를 체크한다.
스텝 S2002에 있어서, 브로드캐스트용 식별 정보에 의해서 판정 대상 IE의 CRC를 디마스킹한 결과, CRC가 OK라고 판정되고, 또한 판정 대상 IE가 Non-basic assignment라고 판정되는 경우(예)에는, 이 판정 대상 IE를, Non-basic assignment이고 또한 비 유니캐스트인 IE의 그룹이 배치되는 영역(즉, 도 17의 SG2)의 선두로서 검출한다(스텝 S2003). CRC가 NG라고 판정되는 경우(아니오)에는, 스텝 S2001의 처리가 반복된다.
스텝 S2004에서는, 후속의 IE의 CRC를 더 체크한다.
스텝 S2005에 있어서, 브로드캐스트용 식별 정보에 의해서 판정 대상 IE의 CRC를 디마스킹한 결과, CRC가 NG라고 판정되는 경우(아니오)에는, 이 판정 대상 IE를 멀티캐리어인 IE의 그룹이 배치되는 영역의 선두로서 검출한다(스텝 S2007).
CRC가 OK라고 판정되는 경우(스텝 S2005:예)에는, 체크 대상의 IE가 Non-basic assignment인지 판정한다(스텝 S2006).
Non-basic assignment가 아니라고 판정되는 경우(스텝 S2006:아니오)에는, 이 판정 대상 IE를 멀티캐리어인 IE의 그룹이 배치되는 영역의 선두로서 검출한다(스텝 S2007). Non-basic assignment라고 판정되는 경우(스텝 S2006:예)에는, 스텝 S2004의 처리가 반복된다.
(다른 실시예)
(1) 실시예 1 내지 3에 있어서,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존(310),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존(410) 및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존(510)은 멀티캐스트와 브로드캐스트의 혼재 영역이라고 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존(310),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존(410) 및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존(510)은 각각 멀티캐스트존과 브로드캐스트존으로 분리되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수신측의 이동국(200)에 있어서의 존 탐색 처리의 부하가 경감된다.
특히, 실시예 1과 같이,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존(310)의 선두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존(310) 내에서 브로드캐스트존을 선두에 배치함으로써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IEEE 802.16e와 같이 브로드캐스트의 스케쥴링 정보를 제어 메시지에 있어서의 선두 영역에 둘 것을 요구하는 프로토콜에도 적합한 메시지 구조로 할 수 있다.
(2) 실시예 3에 있어서, 유니캐스트존 사이에는, 멀티캐스트과 브로드캐스트의 혼재 영역인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존(510)이 배치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존(510a)의 위치에 브로드캐스트존을 배치하고,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존(510b)의 위치에 멀티캐스트존을 배치해도 된다. 이렇게 해도,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수신측의 이동국(200)에 있어서의 존 탐색 처리의 부하가 경감된다.
(3)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하드웨어로 구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로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의 설명에 이용한 각 기능 블록은 전형적으로는 집적 회로인 LSI로서 실현된다. 이들은 개별적으로 1칩화되어도 되고, 일부 또는 모두를 포함하도록 1칩화되어도 된다. 여기서는, LSI로 했지만, 집적도의 차이에 따라서, IC, 시스템 LSI, 슈퍼 LSI, 울트라 LSI라고 호칭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집적 회로화의 수법은 LSI로 한하는 것이 아니라, 전용 회로 또는 범용 프로세서로 실현할 수도 있다. LSI 제조 후에, 프로그래밍하는 것이 가능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나, LSI 내부의 회로 셀의 접속이나 설정을 재구성 가능한 리컨피규러블·프로세서를 이용할 수도 있다.
나아가, 반도체 기술의 진보 또는 파생하는 다른 기술에 의해 LSI를 대체할 집적 회로화의 기술이 등장하면, 당연히 그 기술을 이용해서 기능 블록의 집적화를 행해도 된다. 바이오 기술의 적용 등이 가능성으로서 있을 수 있다.
2008년 12월 24일 출원된 특원 2008-328294인 일본 특허 출원, 2009년 6월 4일 출원된 특원 2009-135324인 일본 특허 출원 및 2009년 7월 8일 출원된 특원 2009-162071인 일본 특허 출원에 포함되는 명세서, 도면 및 요약서의 개시 내용은 모두 본원에 원용된다.
본 발명의 송신 장치 및 제어 메시지 송신 방법은 수신측에서의 수신 처리를 효율화시킴으로써 수신측의 처리 시간 및 전력 소비를 저감시키는 것으로서 유용하다.

Claims (7)

  1. 멀티플 액세스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리소스 할당을 위한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로서,
    상기 제어 메시지를 구성하는 구성 수단과,
    상기 구성된 제어 메시지를 포함한 프레임을 송신하는 송신 수단
    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 메시지는, 목적지가 하나의 이동국인 유니캐스트의 스케쥴링 정보 유닛을 배치하는 유니캐스트 영역과, 목적지가 2개 이상의 이동국인 비 유니캐스트의 스케쥴링 정보 유닛을 배치하는 비 유니캐스트 영역을 갖고,
    상기 유니캐스트 영역에 배치되는 스케쥴링 정보 유닛군에는, 이동국의 식별 정보인 하나의 MS-ID와, 상기 MS-ID에 대응하는 이동국앞으로 송신되는 복수의 정보 요소(IE)와, 상기 복수의 IE의 수 정보로 구성되는 스케쥴링 정보 유닛이 포함되는
    송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 유니캐스트 영역에는, 목적지 이동국 그룹의 식별 정보인 MS-ID를 포함하는 IE에 의해 구성되는 스케쥴링 정보 유닛이 배치되는 송신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캐스트 영역은 스케쥴링 정보 유닛에 포함되는 IE의 수에 따른 복수의 부분 영역을 갖고,
    상기 IE의 수가 하나인 제 1 부분 영역에 배치되는 스케쥴링 정보 유닛은 상기 비 유니캐스트 영역에 배치되는 스케쥴링 정보 유닛과 같은 구성을 갖는
    송신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 유니캐스트 영역은 상기 제 1 부분 영역과 상기 IE의 수가 복수인 제 2 부분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송신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비 유니캐스트 영역은 멀티캐스트의 스케쥴링 정보 유닛을 배치하는 멀티캐스트 영역과, 브로드캐스트의 스케쥴링 정보 유닛을 배치하는 브로드캐스트 영역을 갖고,
    상기 브로드캐스트 영역은 상기 제어 메시지의 선두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멀티캐스트 영역은 상기 제 1 부분 영역과 상기 제 2 부분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송신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IE의 수가 2개인 부분 영역에 배치되는 스케쥴링 정보 유닛은 상기 IE의 수 정보를 포함하지 않고, 하나의 MS-ID와 2개의 IE로 구성되는 송신 장치.
  7. 멀티플 액세스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리소스 할당을 위한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는 제어 메시지 송신 방법으로서,
    상기 제어 메시지를 구성하는 구성 단계와,
    상기 구성된 제어 메시지를 포함한 프레임을 송신하는 송신 단계
    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 메시지는, 목적지가 하나의 이동국인 유니캐스트의 스케쥴링 정보 유닛을 배치하는 유니캐스트 영역과, 목적지가 2개 이상의 이동국인 비 유니캐스트의 스케쥴링 정보 유닛을 배치하는 비 유니캐스트 영역을 갖고,
    상기 유니캐스트 영역에 배치되는 스케쥴링 정보 유닛군에는, 이동국의 식별 정보인 하나의 MS-ID와, 상기 MS-ID에 대응하는 이동국앞으로 송신되는 복수의 정보 요소(IE)와, 상기 복수의 IE의 수 정보로 구성되는 스케쥴링 정보 유닛이 포함되는
    제어 메시지 송신 방법.
KR1020117014459A 2008-12-24 2009-12-22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KR1015960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328294 2008-12-24
JP2008328294 2008-12-24
JP2009135324 2009-06-04
JPJP-P-2009-135324 2009-06-04
JPJP-P-2009-162071 2009-07-08
JP2009162071 2009-07-0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4180A Division KR101638657B1 (ko) 2008-12-24 2009-12-22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8752A true KR20110098752A (ko) 2011-09-01
KR101596071B1 KR101596071B1 (ko) 2016-02-19

Family

ID=4228726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4459A KR101596071B1 (ko) 2008-12-24 2009-12-22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KR1020127004180A KR101638657B1 (ko) 2008-12-24 2009-12-22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4180A KR101638657B1 (ko) 2008-12-24 2009-12-22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10255461A1 (ko)
EP (2) EP3829250B1 (ko)
JP (3) JP5468019B2 (ko)
KR (2) KR101596071B1 (ko)
CN (3) CN102265694B (ko)
AU (1) AU2009332271B2 (ko)
BR (1) BRPI0923640B1 (ko)
RU (1) RU2504125C2 (ko)
SG (2) SG184716A1 (ko)
WO (1) WO20100736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01698B2 (en) * 2011-09-09 2015-04-07 Landis+Gyr Innova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the distribution of point-to-point and broadcast messages in a layered mesh network
US20130142138A1 (en) * 2011-12-05 2013-06-06 Esmael Hejazi Dinan Coordination of Control Channel Transmissions
MY184070A (en) * 2013-05-07 2021-03-17 Ericsson Telefon Ab L M Mobile station, network node, and methods for assigning resource blocks to the mobile station
EP3100427A1 (en) * 2014-01-29 2016-12-07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Transmission/reception of a partial sc-fdm symbol
CN110972304A (zh) * 2018-09-28 2020-04-07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考虑通信系统中资源占用状态的副链路通信方法及其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39812A1 (en) * 2004-10-15 2006-04-20 Nortel Networks Limited Communication resource allocation systems and methods
JP2006352192A (ja) * 2005-06-13 2006-12-28 Mitsubishi Electric Corp 無線通信方法、制御局および移動局
KR20070109069A (ko) * 2006-05-09 2007-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시스템
WO2008151069A1 (en) * 2007-05-30 2008-12-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scheduling information for broadcast and multicast services i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08267B (fi) * 1999-03-16 2001-12-14 Nokia Corp Tietojenvälitysmenetelmä
JP3396644B2 (ja) * 1999-04-30 2003-04-14 株式会社東芝 基地局装置、端末局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制御方法
US7539507B2 (en) * 2003-11-21 2009-05-26 Qualcomm Incorporated Peer-to-peer communications
BRPI0418741B1 (pt) * 2004-04-14 2017-07-04 Telecom Italia S.P.A. Method of distributing information contents received in data packages in the station sub-system based on mobile stations,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and, mobile station for us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7423973B2 (en) * 2004-05-18 2008-09-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hybrid multicast and unicast transmissions in a data network
US8644200B2 (en) * 2004-10-22 2014-02-04 Qualcomm Incorporated Time multiplexing of unicast and multicast signals on a downlink carrier frequenc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941150B2 (en) * 2005-05-19 2011-05-10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allocating media access control layer resour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JP5265524B2 (ja) * 2006-05-02 2013-08-14 アント−アドバンスド ネットワーク テクノロジーズ オイ 多チャンネル・オーディオ又はビデオデータのリアルタイム無線送信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8923321B2 (en) * 2006-07-28 2014-12-30 Motorola Mobility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control channel reception/decoding failure in a wireless VoIP communication system
US8363607B2 (en) * 2006-09-11 2013-01-29 Qualcomm Incorporated VOIP group resource management
US7903540B2 (en) * 2007-08-02 2011-03-08 Alvarion Ltd. Method and device for synchronization in wireless networks
RU2454040C2 (ru) * 2007-10-24 2012-06-20 Нокиа Сименс Нетуоркс Ой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структуры кадра для поддержки различных режимов работы
JP4468433B2 (ja) 2007-11-30 2010-05-26 株式会社東芝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JP2009162071A (ja) 2007-12-28 2009-07-23 Keihin Corp 内燃機関用吸気マニホールド装置
US8331284B2 (en) * 2008-03-03 2012-12-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of assigning traffic resources to one or more access terminal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39812A1 (en) * 2004-10-15 2006-04-20 Nortel Networks Limited Communication resource allocation systems and methods
JP2006352192A (ja) * 2005-06-13 2006-12-28 Mitsubishi Electric Corp 無線通信方法、制御局および移動局
KR20070109069A (ko) * 2006-05-09 2007-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시스템
WO2008151069A1 (en) * 2007-05-30 2008-12-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scheduling information for broadcast and multicast services i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 특허 문헌 1 : IEEE Std 802.16e-200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29250A1 (en) 2021-06-02
CN104202804A (zh) 2014-12-10
JPWO2010073618A1 (ja) 2012-06-07
BRPI0923640A2 (pt) 2020-09-15
JP2015122793A (ja) 2015-07-02
BRPI0923640B1 (pt) 2021-03-23
SG184716A1 (en) 2012-10-30
JP5468019B2 (ja) 2014-04-09
JP5699231B2 (ja) 2015-04-08
KR101596071B1 (ko) 2016-02-19
CN104159317A (zh) 2014-11-19
AU2009332271A2 (en) 2012-02-02
KR20120034802A (ko) 2012-04-12
CN102265694A (zh) 2011-11-30
EP2369888A4 (en) 2014-12-10
AU2009332271B2 (en) 2013-12-19
US20110255461A1 (en) 2011-10-20
JP5856704B2 (ja) 2016-02-10
CN104202804B (zh) 2017-11-28
RU2504125C2 (ru) 2014-01-10
WO2010073618A1 (ja) 2010-07-01
EP2369888B1 (en) 2021-03-10
JP2014068403A (ja) 2014-04-17
AU2009332271A1 (en) 2011-07-14
SG172387A1 (en) 2011-07-28
KR101638657B1 (ko) 2016-07-22
CN104159317B (zh) 2017-11-28
EP2369888A1 (en) 2011-09-28
EP3829250B1 (en) 2023-09-20
RU2011125972A (ru) 2013-03-10
CN102265694B (zh) 2014-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9160B2 (en) Information sending method, information receiv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7948935B2 (en) Base station device, mobile station device,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control information reception method and program
JP4976555B2 (ja) 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JP2020510378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端末のv2x通信方法及び上記方法を利用する端末
JP5856704B2 (ja) 集積回路
KR2008006555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및 수신 방법
US9820219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erminal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JPWO2018084200A1 (ja) 移動通信方法、ユーザ端末及び装置
EP3457786A1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EP3457806A1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WO2018185093A1 (en) Supporting mixed numerologies
CN112291846A (zh) 由用户设备执行的方法以及用户设备
WO2024068394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CN113923629A (zh) 由用户设备执行的方法以及用户设备
CN114258147A (zh) 由用户设备执行的方法以及用户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