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8346A - 전력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력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8346A
KR20110098346A KR1020100017918A KR20100017918A KR20110098346A KR 20110098346 A KR20110098346 A KR 20110098346A KR 1020100017918 A KR1020100017918 A KR 1020100017918A KR 20100017918 A KR20100017918 A KR 20100017918A KR 20110098346 A KR20110098346 A KR 20110098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voltage
load
control method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7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7266B1 (ko
Inventor
민병선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7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7266B1/ko
Priority to US12/923,246 priority patent/US8456878B2/en
Publication of KR20110098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8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7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7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2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AC powered loa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2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 H02J2300/24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of photovoltaic origin
    • H02J2300/26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of photovoltaic origin involving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control for photovoltaic sour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8The renewable source being wind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70Hybrid systems, e.g. uninterruptible or back-up power supplies integrating renewable ener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6Power conversion electric or electronic asp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발전 시스템과 계통을 연계하여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저장 시스템으로서, 발전 시스템이 최대 전력을 생산하도록 제어하는 최대 전력점 추종(MPPT) 제어 방법 또는 부하의 부하량의 변동량에 따라서 승압 비율을 조절하는 전압 제어 방법 중 어느 한 제어 방법에 의하여 동작하는 전력 변환부와, 전력 변환부의 출력 전압을 직류 링크 전압으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와, 직류 링크 전압의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DC 링크부와, 직류 링크 전압을 계통의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전력 변환부, DC/DC 컨버터 및 인버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통합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저장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력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Energy storage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전력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환경 파괴, 자원 고갈 등이 문제되면서, 전력을 저장하고, 저장된 전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이와 함께 발전 과정에서 공해를 유발하지 않는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전력 저장 시스템은 이러한 신재생 에너지, 전력을 저장한 배터리, 그리고 기존의 계통 전력을 연계시키는 시스템으로서, 오늘날의 환경 변화에 맞추어 많은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부하량의 변동에 빠르게 반응할 수 있는 전력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발전 시스템과 계통을 연계하여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저장 시스템으로서, 발전 시스템이 최대 전력을 생산하도록 제어하는 최대 전력점 추종(MPPT) 제어 방법 또는 부하의 부하량의 변동량에 따라서 승압 비율을 조절하는 전압 제어 방법 중 어느 한 제어 방법에 의하여 동작하는 전력 변환부와, 전력 변환부의 출력 전압을 직류 링크 전압으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와, 직류 링크 전압의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DC 링크부와, 직류 링크 전압을 계통의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전력 변환부, DC/DC 컨버터 및 인버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통합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저장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전력 변환부는 부하량의 변동량에 따라서 제어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부하의 부하량을 측정하는 전력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전력 변환부는, 부하량의 변동량이 기준 전력량 이상인 경우에 전압 제어 방법으로 동작하고, 부하량의 변동량이 기준 전력량 미만인 경우에 최대 전력점 추종 제어 방법으로 동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전압 제어 방법은 부하량의 변동량에 비례하여 승압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전압 제어 방법으로 전력 변환부의 출력 전압을 목표 전압으로 변경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최대 전력점 추종 제어 방법으로 전력 변환부의 출력 전압을 목표 전압으로 변경하는데 걸리는 시간 이하가 되도록 기준 전력량을 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전력 측정부는,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와, 부하에 공급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를 포함하고, 통합 제어기는 전압 및 전류를 곱하여 부하의 부하량을 계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전력 변환부는, 직류 링크 전압의 변동량이 기준 전압 이상인 경우에 전압 제어 방법으로 동작하고, 직류 링크 전압의 변동량이 기준 전압 미만인 경우에 최대 전력점 추종 제어 방법으로 동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전압 제어 방법은 직류 링크 전압의 변동량에 따라서 승압 비율을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전력 변환부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의 듀티비를 조절하여 승압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발전 시스템과 계통을 연계하여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저장 시스템의 제어방법으로서, 발전 시스템이 최대 전력을 생산하도록 제어하는 최대 전력점 추종(MPPT) 제어 방법 또는 부하의 부하량의 변동량에 따라서 승압 비율을 조절하는 전압 제어 방법 중 어느 한 제어 방법을 결정하는 단계와, 결정한 제어 방법에 따라서 발전 시스템에서 생산한 전력을 직류 링크 전압을 갖는 전력으로 변환하는 단계와, 직류 링크 전압을 갖는 전력을 계통의 교류 전압을 갖는 전력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저장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부하의 부하량의 변동량에 따라서 제어 방법의 결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부하의 부하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부하량의 변동량이 기준 전력량 이상인 경우에 전압 제어 방법을 제어 방법으로 결정하고, 부하량의 변동량이 기준 전력량 미만인 경우에 최대 전력점 추종 제어 방법을 상기 제어 방법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직류 링크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직류 링크 전압의 변동량이 기준 전압 이상인 경우에 전압 제어 방법을 제어 방법으로 결정하고, 직류 링크 전압의 변동량이 기준 전압 미만인 경우에 최대 전력점 추종 제어 방법을 제어 방법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부하량의 변동에 빠르게 반응할 수 있는 전력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저장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전력 변환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따른 전력 저장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부하량 변동에 따른 전력 변환부의 출력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저장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6에 따른 전력 저장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력 저장 시스템 구성의 일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저장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전력 변환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저장 시스템(1)은 발전 시스템(2), 계통(3)과 연계하여 부하(4)에 전력을 공급한다.
발전 시스템(2)은 에너지원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시스템이다. 발전 시스템(2)은 생산한 전력을 전력 저장 시스템(1)에 공급한다. 발전 시스템(2)은 태양광 발전 시스템, 풍력 발전 시스템, 조력 발전 시스템 등일 수 있으며, 그 밖에 태양열이나 지열 등의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 시스템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태양 전지는, 각 가정 또는 공장 등에 설치하기 용이하여, 각 가정에 분산된 전력 저장 시스템(1)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발전 시스템(2)은 다수의 발전모듈을 병렬로 구비하여 발전모듈별로 전력을 생산함으로써 대용량 에너지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계통(3)은 발전소, 변전소, 송전선 등을 구비한다. 계통(3)은 정상 상태인 경우, 전력 저장 시스템(1) 또는 부하(4)로 전력을 공급하고, 전력 저장 시스템(1)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입력받는다. 계통(3)이 비정상 상태인 경우, 계통(3)으로부터 전력 저장 시스템(1) 또는 부하(4)로의 전력 공급은 중단되고, 전력 저장 시스템(1)으로부터 계통(3)으로의 전력 공급 또한 중단된다.
부하(4)는 발전 시스템(2)으로부터 생산된 전력, 배터리(40)에 저장된 전력, 또는 계통(3)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소비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가정, 공장 등일 수 있다.
전력 저장 시스템(1)은 발전 시스템(2)에서 발전한 전력을 배터리(40)에 저장하고, 발전한 전력을 계통(3)으로 보낼 수 있다. 또한 전력 저장 시스템(1)은 배터리(40)에 저장된 전력을 계통(3)으로 전달하거나, 계통(3)에서 공급된 전력을 배터리(4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저장 시스템(1)은 이상 상황, 예를 들면 계통(3)의 정전 발생 시에는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 동작을 수행하여 부하(4)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계통(3)이 정상인 상태에서도 발전 시스템(2)이 발전한 전력이나 배터리(40)에 저장되어 있는 전력을 부하(4)로 공급할 수 있다.
전력 저장 시스템(1)은 전력 변환부(10), DC/DC 컨버터(11), DC 링크부(20), 양방향 인버터(30), 배터리(40),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이하 'BMS'라 한다)(41), 양방향 컨버터(50), 제1 스위치(60), 제2 스위치(61), 전력 측정부(70) 및 통합 제어기(80)를 포함한다.
전력 변환부(10)는 발전 시스템(2)과 DC/DC 컨버터(11) 사이에 연결되며, 발전 시스템(2)에서 생산한 전력을 DC/DC 컨버터(11)로 전달한다. 전력 변환부(10)는 통합 제어기(80)로부터의 제어에 의하여 최대 전력점 추종(Maximum Power Point Tracking, 이하 'MPPT'라 한다) 제어 모드 또는 전압 제어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 의하여 동작할 수 있다.
MPPT 제어 모드란 태양광 발전 시스템 등의 발전 시스템(2)에서 생산하는 전력을 최대로 얻을 수 있는 동작 방법을 말한다. 예를 들어 태양광 발전의 경우,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구성하는 태양전지는 일사량, 기온, 부하 등의 외부 조건에 의하여 전압-전류(I-V) 특성 곡선 및 전력-전압(P-V) 특성 곡선이 비선형적으로 변한다. 이때, 태양전지가 최대 전력을 생산하도록 주어진 외부 조건에 대해 전력의 최대 출력점을 추종하여야 하며, 이를 MPPT 제어라고 한다.
전압 제어 모드란 전력 변환부(10)에서 외부의 특정 조건에 따라서 발전 시스템(2)에서 생산된 전력의 출력 전압을 승압하는 비율을 조절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외부의 특정 조건은 부하(4)에서 소비되는 전력량의 변동량, 즉 부하량의 변동량에 따라서 승압 비율을 조절하여 전압 제어 모드를 수행한다.
이러한 전력 변환부(10)는 컨버터의 일종으로서, 인덕터(11), 다이오드,(12), 커패시터(13), 스위칭 소자(14) 및 스위칭 제어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 제어부(15)는 스위칭 소자(14)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스위칭 제어부(15)는 MPPT 제어 모드의 경우, 발전 시스템(2)이 최대 전력을 출력하는 조건이 되도록 MPPT 알고리즘에 따라서 스위칭 소자(14)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전압 및 전류값을 결정한다. 반면에, 스위칭 제어부(15)는 전압 제어 모드의 경우, 통합 제어기(80)로부터 듀티비(Duty ratio)를 수신하고, 수신한 듀티비에 맞추어 스위칭 소자(14)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승압 비율을 조절한다.
스위칭 소자(14)는 스위칭 제어부(15)에 의한 온/오프 제어에 의하여 발전 시스템(2)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및 전류의 크기를 제어한다.
인덕터(11), 다이오드(12), 커패시터(13)는 스위칭 소자(14)의 동작에 따라서 발전 시스템(2)으로부터 출력된 전압 및 전류 값이 일정한 크기가 되도록 한다.
DC/DC 컨버터(11)는 전력 변환부(10)에서 출력된 전력의 출력 전압이 직류 링크 전압(Vlink)이 되도록 변압한다.
DC 링크부(20)는 제1 노드(N1)와 양방향 인버터(30) 사이에 연결되어 제1 노드(N1)의 직류 링크 전압(Vlink)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발전 시스템(2) 또는 계통(3)의 순시 전압 강하, 부하(4)에서 피크 부하 발생 등으로 인하여 제1 노드(N1)에서의 전압 레벨이 불안정해질 수 있다. 그러나 제1 노드(N1)의 전압은 양방향 인버터(30) 및 양방향 컨버터(50)의 안정적인 동작을 위하여 일정하게 유지될 필요가 있다. DC 링크부(20)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전해 커패시터(Electrolytic Capacitor), 고압용 필름 커패시터(Polymer Capacitor), 고압 대전류용 적층 칩 커패시터(Multi Layer Ceramic Capacitor, MLCC) 등의 커패시터가 사용될 수 있다.
양방향 인버터(30)는 DC 링크부(20)와 제1 스위치(60) 사이에 연결되는 전력 변환기이다. 양방향 인버터(30)는 발전 시스템(2) 또는 배터리(40)로부터 출력된 직류 링크 전압(Vlink)을 계통(3)의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또한 양방향 인버터(30)는 계통(3)의 전력을 배터리(40)에 저장하기 위하여, 계통(3)의 교류 전압을 정류하여 직류 링크 전압(Vlink)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양방향 인버터(30)는 계통(3)으로 출력되는 교류 전압으로부터 고조파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무효 전력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양방향 인버터(30)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전압의 위상과 계통(3)의 교류 전압의 위상을 동기화시키기 위한 위상 동기 루프(PLL: Phase Locked Loop)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양방향 인버터(30)는 전압 변동 범위 제한, 역률 개선, 직류 성분 제거, 과도현상(transient phenomena) 보호 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배터리(40)는 발전 시스템(2)에서 생산된 전력 또는 계통(3)의 전력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부하(4) 또는 계통(3)에 저장하고 있는 전력을 공급한다. 배터리(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배터리 셀은 복수의 베어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40)는 다양한 종류의 배터리 셀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니켈-카드뮴 전지(nikel-cadmium battery), 납 축전지, 니켈-수소 전지(NiMH: nickel metal hydride battery), 리튬-이온 전지(lithium ion battery), 리튬 폴리머 전지(lithium polymer battery) 등일 수 있다. 배터리(40)는 전력 저장 시스템(1)에서 요구되는 전력 용량, 설계 조건 등에 따라서 그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하(4)의 소비 전력이 큰 경우에는 복수의 배터리(40)를 구비할 수 있으며, 부하(4)의 소비 전력이 작은 경우에는 하나의 배터리(40)만을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BMS(41)는 배터리(40)에 연결되며, 통합 제어기(80)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40)의 충전 및 방전 동작을 제어한다. BMS(41)는 배터리(40)를 보호하기 위하여, 과충전 보호 기능, 과방전 보호 기능, 과전류 보호 기능, 과전압 보호 기능, 과열 보호 기능, 셀 밸런싱(cell balancing)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BMS(41)는 배터리(40)의 전압, 전류, 온도, 잔여 전력량, 수명, 충전 상태 등을 모니터링하고, 관련 정보를 통합 제어기(8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BMS(41)가 배터리(40)와 분리되어 구비되어 있지만, BMS(41)와 배터리(40)가 일체로 된 배터리 팩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양방향 컨버터(50)는 배터리(40)로부터 출력된 전력의 전압을 양방향 인버터(30)에서 요구하는 전압 레벨 즉, 직류 링크 전압(Vlink)으로 DC-DC 변환한다. 또한 양방향 컨버터(50)는 제1 노드(N1)를 통해서 유입되는 충전 전력을 배터리(40)에서 요구하는 전압 레벨로 DC-DC 변환한다. 여기서, 충전 전력은 예를 들어 발전 시스템(2)에서 생산된 전력 또는 계통(3)으로부터 양방향 인버터(30)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력이다.
제1 스위치(60) 및 제2 스위치(61)는 양방향 인버터(30)와 계통(3)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며, 통합 제어기(80)의 제어에 따라서 온/오프 동작을 수행하여 발전 시스템(2)과 계통(3) 사이의 전류의 흐름을 제어한다. 제1 스위치(60)와 제2 스위치(61)는 발전 시스템(2), 계통(3), 및 배터리(40)의 상태에 따라서 온/오프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하(4)에서 요구되는 전력량이 큰 경우, 제1 스위치(60) 및 제2 스위치(61)를 모두 온 상태로 하여 발전 시스템(2), 계통(3)의 전력이 모두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발전 시스템(2) 및 계통(3)으로부터의 전력만으로는 부하(4)에서 요구하는 전력량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에는 배터리(40)에 저장된 전력이 공급될 수도 있다. 반면에, 계통(3)에서 정전이 발생한 경우, 제2 스위치(61)를 오프 상태로 하고 제1 스위치(60)를 온 상태로 한다. 이로 인하여 발전 시스템(2) 또는 배터리(40)로부터의 전력을 부하(4)에 공급할 수 있으며, 부하(4)로 공급되는 전력이 계통(3) 측으로 흘러들어가 계통(3)의 전력선 등에서 작업하는 인부가 감전되는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전력 측정부(70)는 부하(4)에서의 소비 전력량, 즉 부하량을 측정한다. 전력 측정부(70)는 부하량 측정을 위하여 부하(4)에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71)와 부하(4)로 공급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72)를 포함한다. 각각 측정된 전압값과 전류값은 통합 제어기(80)로 전송된다.
통합 제어기(80)는 발전 시스템(2), 계통(3), 배터리(40), 및 부하(4)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고,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서 전력 변환부(10), DC/DC 컨버터(11), 양방향 인버터(30), BMS(41), 양방향 컨버터(50), 제1 스위치(60) 및 제2 스위치(61)를 제어한다.
통합 제어기(80)는 전력 측정부(70)에서 측정한 전압값 및 전류값을 수신하고, 전압값 및 전류값을 곱하여 부하(4)의 부하량을 계산한다. 또한, 전력 측정부(70)는 부하(4)의 전압값 및 전류값을 연속적으로 측정하므로, 통합 제어기(80)는 시간에 따른 부하량의 변동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통합 제어기(80)는 부하량의 변동량에 따라서 전력 변환부(10)의 동작 방법을 MPPT 제어 모드에 의할 것인지 전압 제어 모드에 의할 것인지를 결정하며, 전압 제어 모드에 의할 경우, 부하량의 변동량에 따라서 승압 비율을 조절한다.
<전력 변환기의 제어 모드 결정 방법의 일 실시예>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따른 전력 저장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발전 시스템(2)에서 전력 생산이 있는 경우, 전력 저장 시스템(1)은 초기 구동시 또는 부하량의 변동이 적을 때 MPPT 제어 방법으로 전력 변환을 수행한다(S10). MPPT 제어 방법에 의하여 전력 변환부(10)가 동작하므로 최대 전력점을 추종하도록 발전 시스템(2)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압값 및 전류값을 서서히 변화시킨다.
그리고 전력 측정부(70)에서는 부하(4)에 인가되는 전압값과 부하(4)로 공급되는 전류값을 실시간으로 측정한다(S11, S12).
측정된 전압값 및 전류값은 통합 제어기(80)로 전송되고, 통합 제어기(80)는 이들 전압값 및 전류값을 곱하여 부하량을 계산하고(S13), 연속적 또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부하량을 반복하여 계산하여 부하량의 변동량(ΔPL)을 계산한다(S14).
통합 제어기(80) 또는 전력 변환부(10)는 계산된 부하량의 변동량(ΔPL)은 기준 전력량(Pref)과 비교하며(S15), 부하량의 변동량(ΔPL)이 기준 전력량(Pref) 이상인 경우에는 전력 변환부(10)의 동작 모드를 전압 제어 모드로 변환한다(S16). 반면에 부하량의 변동량(ΔPL)이 기준 전력량(Pref) 미만인 경우에는 MPPT 제어 모드를 유지한다.
여기서 기준 전력량(Pref)에 대하여 살펴본다.
종래에는 전력 변환부(10)는 MPPT 제어 모드에 의하여만 동작하였다. MPPT 제어 모드의 경우 발전 시스템(2)으로부터 최대 전력을 추출할 수 있으므로 전력 생산 효율이 좋기 때문이다. 그러나 MPPT 알고리즘은 목표 전력량 또는 목표 전력량에 해당하는 전압값에 도달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 MPPT 알고리즘은 현재 측정한 전력을 이전에 측정한 전력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서 출력하는 전류값 및 전압값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며, 이러한 동작을 반복하여 최대 전력점을 추종하는 것이다. 그런데 최대 전력점 근처에서 미세한 제어를 하기 위하여는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전압 및 전류의 크기를 작게 하여야 한다. 따라서 부하(4)의 부하량에 급격한 변동이 발생한 경우에는 부하(4)에 의하여 요구되는 전력량을 출력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된다. 예를 들어, MPPT 알고리즘의 한 번의 루프에 의하여 변경할 수 있는 전력량이 5kWh이고 부하(4)에서의 부하량 변동량이 100kWh인 경우 총 20회의 연산을 수행하여야 한다.
반면에 전압 제어 모드에 의하는 경우, 승압 비율을 계산하고, 계산한 승압 비율로 곧장 전압을 목표 전압으로 승압하기 때문에 많은 연산이 필요하지 않다. 즉, 부하량의 변동량을 계산하고, 계산한 부하량의 변동량에 비례하도록 승압 비율을 결정하면, 결정된 승압 비율로부터 듀티비를 계산할 수 있게 된다. 도 2와 같은 컨버터에서 승압 비율은 1-D:1이 되며(D는 스위칭 소자(14)의 듀티비) 부하량의 변동량이 클수록 D의 값을 1에 가깝게 하여 승압 비율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듀티비 D를 0.5로 하면 승압 비율이 0.5:1이 되어 입력 전압에 비하여 출력 전압이 두배가 되며, 듀티비 D를 0.9로 하면 승압 비율이 0.1:1이 되어 입력 전압에 비하여 출력 전압이 10배가 된다. 즉, 듀티비 계산에 필요한 연산 시간만으로 부하의 부하량 변동에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기준 전력량 Pref는 전압 제어 모드에 의하여 부하(4)에서 요구하는 전력을 공급하는데 까지 걸리는 시간(목표 전압으로 변경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MPPT 제어 모드에 의하여 부하(4)에서 요구하는 전력을 공급하는데 까지 걸리는 시간(목표 전압으로 변경하는데 걸리는 시간) 이하가 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한편,동작 모드를 전압 제어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전압 제어 모드에 의하여 전력 변환부(10)를 동작시켜 목표 전압이 출력되는지를 판단하고(S17), 목표 전압을 출력할 때까지 전력 변환을 계속하여 수행한다. 그리고 전력 변환부(10)가 목표 전압을 출력하게 되면, 즉 부하의 부하량 변동에 대처하게 되면 발전 시스템(2)에서 전력이 생산되는지를 판단한다(S18). 발전 시스템(2)에서 계속 전력이 생산되고 있으면, 다시 MPPT 제어 모드로 돌아가 최대 전력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 반면에, 더 이상 발전 시스템(2)에서 전력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전력 변환의 동작을 종료한다.
이하, 전압 제어 모드에 의한 동작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통합 제어기(80)는 S14 단계에서 계산한 부하량 변동량을 사용하여 출력하고자 하는 목표 전압을 계산한다(S161). 그리고 계산한 목표 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승압 비율을 계산하고(S162), 계산한 승압 비율을 달성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의 듀티비를 계산한다(S163). 그리고 계산한 듀티비에 따라서 스위칭 소자(14)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발전 시스템(2)으로부터의 출력 전압을 승압한다(S164).
도 5는 부하량 변동에 따른 전력 변환부의 출력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첫 번째 그래프는 시간에 따른 부하량의 변동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두 번째 그래프는 MPPT 제어 모드에 의하여 동작할 경우 시간에 따른 전력 변환부(10)의 출력 전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세 번째 그래프는 전압 제어 모드에 의하여 동작할 경우 시간에 따른 전력 변환부(10)의 출력 전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각 그래프는 가로축이 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이 전력을 나타낸다.
첫 번째 그래프를 살펴보면 t1에서 부하량이 급격히 증가한다. 증가한 부하량은 Pb-Pa이며, 이 값이 기준 전력량인 Pref보다 크다고 가정한다.
두 번째 그래프를 살펴보면, 전력 변환부(10)가 t1 이후에도 계속해서 MPPT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t2에서야 부하(4)에서 요구하는 전력을 공급한다.
반면에 세 번째 그래프를 살펴보면, 전력 변환부(10)가 t1 이후에는 전압 제어 모드로 변환하게 되며, t2보다 앞선 시점인 t3에서 부하(4)에서 요구하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력 저장 시스템(1)에서는 부하량의 변동량에 따라서 MPPT 제어 모드와 전압 제어 모드를 적절히 선택하여 동작함으로 인하여 부하의 변동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전력 저장 시스템 구성의 다른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저장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저장 시스템(1)에서는 도 1의 전력 저장 시스템(1)과 유사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므로 차이점에 대하여만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저장 시스템(1)은 직류 링크 전압 측정부(90)를 포함한다. 직류 링크 전압 측정부(90)는 직류 링크 전압(Vlink) 값을 측정하는 부분으로, 직류 링크 전압(Vlink)의 변동으로부터 부하(4)의 부하량을 예측할 수 있게 된다. 직류 링크 전압(Vlink)의 전압값은 매우 크므로, 직류 링크 전압 측정부(90)는 전류 분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측정한 직류 링크 전압(Vlink) 값은 통합 제어기(80)로 전송된다.
통합 제어기(80)는 직류 링크 전압 측정부(90)로부터 직류 링크 전압(Vlink) 값을 수신하고, 수신한 직류 링크 전압(Vlink)의 변동량을 계산한다. 또한 통합 제어기(80)는 직류 링크 전압(Vlink)의 변동량에 따라서 전력 변환부(10)의 동작 방법을 MPPT 제어 모드에 의할 것인지 전압 제어 모드에 의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직류 링크 전압(Vlink)은 부하량에 따라서 영향을 받으므로, 상기와 같이 제어 모드를 결정하는 것은 부하량의 변동량에 따라서 제어 모드를 결정하는 것과 유사하게 된다. 그리고 통합 제어기(80)는 전압 제어 모드에 의할 경우, 직류 링크 전압(Vlink)의 변동량에 따라서 전력 변환부(10)에서의 승압 비율을 조절한다.
<전력 변환기의 제어 모드 결정 방법의 일 실시예>
도 7 및 도 8은 도 6에 따른 전력 저장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력 변환기의 제어 모드 결정 방법은 S21~S23 단계에서 직류 링크 전압(Vlink)의 변동량을 측정하고, 직류 링크 전압(Vlink)을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제어 모드를 결정하는 점에서 도 3의 S11~S15 단계와 차이가 있을뿐, 나머지 동작은 동일하다.
또한 전압 제어 모드에서도, 부하량의 변동량 대신 직류 링크 전압(Vlink)의 변동량을 사용하여 목표 전압, 승압 비율, 듀티비 등을 계산하는 점에서 도 4와 상이하며, 나머지 동작은 동일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력 저장 시스템(1)에서는 직류 링크 전압(Vlink)의 변동량에 따라서 MPPT 제어 모드와 전압 제어 모드를 적절히 선택하여 동작함으로 인하여 부하의 변동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언급된 본 실시예 및 그 변형예들에 따른 제어방법을 전력 저장 시스템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라 함은 예컨대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로서 반도체 기록매체(예컨대, Flash memory), 마그네틱 저장매체(예컨대, 롬(ROM), 하드디스크 등)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통합 제어기(80)에 설치된 메모리에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프로세서, 예컨데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통합 제어기(80)에 의해 판독 가능하며,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전력 저장 시스템 2 발전 시스템
3 계통 4 부하
10 전력 변환부 11 DC/DC 컨버터
20 DC 링크부 30 양방향 인버터
40 배터리 41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50 양방향 인버터 60 제1 스위치
61 제2 스위치 70 전력 측정부
80 통합 제어기 90 직류 링크 전압 측정부

Claims (13)

  1. 발전 시스템과 계통을 연계하여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저장 시스템으로서,
    상기 발전 시스템이 최대 전력을 생산하도록 제어하는 최대 전력점 추종(MPPT) 제어 방법 또는 상기 부하의 부하량의 변동량에 따라서 승압 비율을 조절하는 전압 제어 방법 중 어느 한 제어 방법에 의하여 동작하는 전력 변환부;
    상기 전력 변환부의 출력 전압을 직류 링크 전압으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
    상기 직류 링크 전압의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DC 링크부;
    상기 직류 링크 전압을 상기 계통의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인버터; 및
    상기 전력 변환부, 상기 DC/DC 컨버터 및 상기 인버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통합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저장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부는 상기 부하량의 변동량에 따라서 상기 제어 방법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저장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의 부하량을 측정하는 전력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 변환부는,
    상기 부하량의 변동량이 기준 전력량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전압 제어 방법으로 동작하고, 상기 부하량의 변동량이 기준 전력량 미만인 경우에 상기 최대 전력점 추종 제어 방법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저장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어 방법은 상기 부하량의 변동량에 비례하여 상기 승압 비율을 조절하는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저장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어 방법으로 상기 전력 변환부의 출력 전압을 상기 목표 전압으로 변경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상기 최대 전력점 추종 제어 방법으로 상기 전력 변환부의 출력 전압을 목표 전압으로 변경하는데 걸리는 시간 이하가 되도록 상기 기준 전력량을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저장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측정부는,
    상기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 및
    상기 부하에 공급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 제어기는 상기 전압 및 상기 전류를 곱하여 상기 부하의 부하량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저장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부는,
    상기 직류 링크 전압의 변동량이 기준 전압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전압 제어 방법으로 동작하고, 상기 직류 링크 전압의 변동량이 기준 전압 미만인 경우에 상기 최대 전력점 추종 제어 방법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저장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어 방법은 상기 직류 링크 전압의 변동량에 따라서 상기 승압 비율을 조절하는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저장 시스템.
  9. 제4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부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의 듀티비(Duty Ratio)를 조절하여 상기 승압 비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저장 시스템.
  10. 발전 시스템과 계통을 연계하여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저장 시스템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발전 시스템이 최대 전력을 생산하도록 제어하는 최대 전력점 추종(MPPT) 제어 방법 또는 상기 부하의 부하량의 변동량에 따라서 승압 비율을 조절하는 전압 제어 방법 중 어느 한 제어 방법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한 제어 방법에 따라서 상기 발전 시스템에서 생산한 전력을 직류 링크 전압을 갖는 전력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직류 링크 전압을 갖는 전력을 상기 계통의 교류 전압을 갖는 전력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저장 시스템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의 부하량의 변동량에 따라서 상기 제어 방법의 결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저장 시스템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의 부하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하량의 변동량이 기준 전력량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전압 제어 방법을 상기 제어 방법으로 결정하고, 상기 부하량의 변동량이 기준 전력량 미만인 경우에 상기 최대 전력점 추종 제어 방법을 상기 제어 방법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저장 시스템의 제어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 링크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직류 링크 전압의 변동량이 기준 전압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전압 제어 방법을 상기 제어 방법으로 결정하고, 상기 직류 링크 전압의 변동량이 기준 전압 미만인 경우에 상기 최대 전력점 추종 제어 방법을 상기 제어 방법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저장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100017918A 2010-02-26 2010-02-26 전력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097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7918A KR101097266B1 (ko) 2010-02-26 2010-02-26 전력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2/923,246 US8456878B2 (en) 2010-02-26 2010-09-10 Power storag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7918A KR101097266B1 (ko) 2010-02-26 2010-02-26 전력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8346A true KR20110098346A (ko) 2011-09-01
KR101097266B1 KR101097266B1 (ko) 2011-12-21

Family

ID=44504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7918A KR101097266B1 (ko) 2010-02-26 2010-02-26 전력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56878B2 (ko)
KR (1) KR10109726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1224A (ko) * 2013-07-22 2015-01-3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에너지 관리 시스템
WO2016111545A1 (ko) * 2015-01-07 2016-07-14 주식회사 인진 파력 발전의 출력 평활 제어 시스템
WO2017078416A1 (ko) * 2015-11-04 2017-05-1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전자장치 제어시스템, 전자장치에 대한 제어장치 및 전력제어시스템
KR20170053116A (ko) * 2015-11-04 2017-05-1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전자장치 제어시스템, 전자장치에 대한 제어장치 및 전력제어시스템
KR20200098449A (ko) * 2020-08-06 2020-08-20 대농산업전기(주)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10150176A (ko) * 2020-06-03 2021-12-10 한국전력공사 연료전지와 배터리 간 전력 분배를 수행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시스템, 장치 및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535B1 (ko) * 2010-01-18 2012-06-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력 저장 장치와 그 동작 방법 및 전력 저장 시스템
KR20120080107A (ko) * 2011-01-06 2012-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서 최대 전력 점을 추종하는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JP5311153B2 (ja) * 2011-03-15 2013-10-09 オムロン株式会社 電力制御装置および電力制御方法
JP2012252580A (ja) * 2011-06-03 2012-12-20 Sony Corp 電力制御装置、電力管理装置および電力管理システム
JP5807468B2 (ja) * 2011-09-15 2015-11-10 株式会社リコー ネットワーク装置、電力供給システム、及び電力供給方法
DE102012002185B4 (de) * 2012-02-07 2019-11-07 Sew-Eurodrive Gmbh & Co Kg Energiegewinnungssystem mit Energiespeicher,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Energiegewinnungssystems
US9787170B2 (en) * 2012-02-13 2017-10-1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Power conversion device
JP5600146B2 (ja) * 2012-07-26 2014-10-01 オリジン電気株式会社 分散電源システム及び運転方法
US9190915B2 (en) * 2012-08-08 2015-11-1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ctric-power conversion device
US20140103724A1 (en) * 2012-10-15 2014-04-17 General Electric Company Bidirectional power system, operation method, and controller for operating
KR101433508B1 (ko) * 2013-02-04 2014-08-22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직류링크전압에 대응하는 계통 연계형 인버터 제어 장치
KR20150004035A (ko) * 2013-07-02 2015-0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셀 밸런싱 방법 및 시스템
GB201312621D0 (en) * 2013-07-15 2013-08-28 Univ Plymouth Control arrangement
US9209635B2 (en) 2013-12-02 2015-12-08 Lg Chem, Ltd. Pre-charging system for a capacitor in a voltage inverter for an electric motor
US9214888B2 (en) 2013-12-20 2015-12-15 Lg Chem, Ltd. Pre-charging system for a capacitor in a voltage inverter for an electric motor
JP6151649B2 (ja) * 2014-01-15 2017-06-21 京セラ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及び電力変換方法
JP6269106B2 (ja) * 2014-01-29 2018-01-31 株式会社リコー 電子装置
KR101566802B1 (ko) * 2014-02-13 2015-11-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직류 링크부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시스템
US9748768B2 (en) 2014-03-21 2017-08-29 Lg Chem, Ltd. Pre-charging and voltage supply system for a DC-AC inverter
US9413184B2 (en) 2014-03-21 2016-08-09 Lg Chem, Ltd. Pre-charging and voltage supply system for a DC-AC inverter
US9537333B2 (en) 2014-04-22 2017-01-03 Lg Chem, Ltd. Voltage supply system and method for disabling operation of a DC-DC voltage converter
KR101687900B1 (ko) * 2015-03-06 2016-12-20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풍력발전단지에서의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기반한 풍력 발전 변동의 평활화 방법
US9929594B2 (en) * 2015-05-26 2018-03-27 The Aes Corporation Modular energy storage method and system
WO2019067881A1 (en) * 2017-09-29 2019-04-04 The Texas A&M University System INTELLIGENCE OF POWER ELECTRONICS AT THE NETWORK PERIPHERY (PINE)
CN111406352B (zh) * 2017-11-28 2023-11-10 Ls电气株式会社 储能系统
US11594883B2 (en) * 2018-01-23 2023-02-28 Tdk Corporation Direct current power supplying system
CN113746170B (zh) * 2021-09-03 2024-02-09 阳光电源(上海)有限公司 一种储能系统及其离网过载保护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8980A (ja) 1994-09-14 1996-04-02 Nissin Electric Co Ltd 分散電源の単独運転検出装置
JP3352334B2 (ja) * 1996-08-30 2002-12-03 キヤノン株式会社 太陽電池の電力制御装置
JP2004180467A (ja) * 2002-11-29 2004-06-24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系統連系形電源システム
KR20060011337A (ko) 2004-07-30 2006-02-03 (주)썬웨어 전압보상기능을 갖는 계통연계 인버터
US8004113B2 (en) * 2006-10-06 2011-08-23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operating devices with solar power
KR100908156B1 (ko) 2007-04-13 2009-07-16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광 최대전력추적 장치 및 방법
JP4795312B2 (ja) * 2007-07-24 2011-10-19 フジプレアム株式会社 電力貯蔵型太陽光発電システム
US7888919B2 (en) * 2008-03-20 2011-02-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n adaptive high efficiency switching power supply
US8228697B2 (en) * 2009-07-20 2012-07-24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power converter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1224A (ko) * 2013-07-22 2015-01-3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에너지 관리 시스템
US9804212B2 (en) 2013-07-22 2017-10-31 Lsis Co., Ltd. Energy management system
WO2016111545A1 (ko) * 2015-01-07 2016-07-14 주식회사 인진 파력 발전의 출력 평활 제어 시스템
WO2017078416A1 (ko) * 2015-11-04 2017-05-1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전자장치 제어시스템, 전자장치에 대한 제어장치 및 전력제어시스템
KR20170053116A (ko) * 2015-11-04 2017-05-1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전자장치 제어시스템, 전자장치에 대한 제어장치 및 전력제어시스템
KR20210150176A (ko) * 2020-06-03 2021-12-10 한국전력공사 연료전지와 배터리 간 전력 분배를 수행하는 하이브리드 전력 시스템,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200098449A (ko) * 2020-08-06 2020-08-20 대농산업전기(주)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7266B1 (ko) 2011-12-21
US20110210614A1 (en) 2011-09-01
US8456878B2 (en) 2013-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7266B1 (ko) 전력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084215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369692B1 (ko) 전력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5272040B2 (ja) 電力貯蔵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084216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146670B1 (ko)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EP3148037B1 (en) Energy storage system
JP5676767B2 (ja) エネルギー保存システム用の電力変換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156533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097267B1 (ko) 전력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097259B1 (ko) 전력 저장을 위한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173856B1 (ko) 최대 전력점 추종 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한 계통 연계형 전력 저장 시스템의 운전 방법
KR101156536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 제어 방법
KR101097265B1 (ko) 전력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EP2325970A2 (en)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grid-connected energy storage system including the energy management system
KR101698771B1 (ko) 배터리 온도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20130175867A1 (en) Grid-connected power storag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grid-connected power storage system
JP2015109796A (ja) バッテリーシステム及びバッテリーの連結方法
KR101337576B1 (ko) Soc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50106694A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과 그의 구동방법
KR20140058770A (ko) 전력 관리 시스템의 동작 모드 결정 방법 및 시스템
Hong et al. Residential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with 3kWh Li-ion battery p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