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7593A - 한글 입력 방법 및 그를 위한 통신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한글 입력 방법 및 그를 위한 통신 단말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97593A KR20110097593A KR1020100092333A KR20100092333A KR20110097593A KR 20110097593 A KR20110097593 A KR 20110097593A KR 1020100092333 A KR1020100092333 A KR 1020100092333A KR 20100092333 A KR20100092333 A KR 20100092333A KR 20110097593 A KR20110097593 A KR 2011009759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sonant
- key
- input
- vowel
- activat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한글의 자음, 모음을 보다 손쉽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입력 방법 및 그를 위한 통신 단말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하면, 한글 입력 모드에서 자음키를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자음키를 통해 입력된 자음과 초성인지정보 - 이때 초성인지정보는, 입력되는 자음을 단말기가 초성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자음 입력후 사용자가 추가적으로 입력하는 정보임 - 를 바탕으로 해당 자음이 초성인지를 확인하여, 입력된 자음이 초성인 경우 제1 키 전환하여 모음키를 활성화시키며, 활성화된 모음키를 통해 중성이 입력되면 제2 키 전환하여 자음키를 활성화시킨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하면, 한글 입력 모드에서 자음키를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자음키를 통해 입력된 자음을 초성으로 인지하고 제1 키 전환하여 모음키를 활성화시키며, 활성화된 모음키를 통해 입력된 모음과 음절구성정보 - 이때 음절구성정보는, 현재 입력되는 음절 및 다음에 입력될 음절에 대한 한글 구성 정보로서, 모음 입력후 사용자가 추가적으로 입력하는 정보임 - 를 확인하여, 음절구성정보에 의거하여 활성화된 모음키를 유지하거나 제2 키 전환하여 자음키를 활성화시킨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한글 입력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글의 자음, 모음을 보다 손쉽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입력 방법 및 그를 위한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시스템의 성능이 점점 더 복잡해지고 상향 평준화되면서 이제는 기능 경쟁보다는 사용성에 대한 문제가 더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이에 동일한 성능을 가진 시스템을 사용함에 있어서 어떤 방식의 입력장치가 더 효율적인가 하는 문제와 함께 동일한 입력장치에 있어서도 어떤 인터페이스가 더 사용성이 높은가 하는 문제 또한 발생하였다. 그 중 이슈가 되고 있는 것이 바로 터치스크린(Touchscreen) 방식이다. 터치스크린 방식은 기존의 입력장치 중 가장 직접적인 방식으로, 사용자는 자신의 손가락으로 직접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으로 디스플레이 상의 메뉴나 아이콘을 선택하여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최근들어 터치스크린 휴대폰들이 속속 출시되고, 휴대폰 뿐만 아니라 MP3 플레이어나 TV 리모콘, GPS까지 다양한 분야의 제품들이 터치스크린 기술을 채용하여 새로운 UI(User Interface)와 디자인을 선보이고 있다. 소프트키(Softkey)는 기존의 하드키(Hardkey)와는 달리 고정된 물리적인 구조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특정 프로그램이나 시스템 운영체계에 의해 지원되는 것으로, 최근 터치스크린의 기술 발달과 더불어 각광을 받고 있다. 이처럼 핸드폰을 비롯하여 많은 기기들이 터치스크린 방식을 채택하게 되면서 터치스크린의 발전과 더불어 그 속에서 입력을 담당하는 소프트키의 활용도 또한 높아지게 되었다. 이러한 소프트키 입력 방식은 기존의 하드키 입력 방식과는 다소 달라 양손을 사용하여 각 손가락마다 정해진 위치의 키를 누른 것에 반해 한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 등을 통해 하나씩 선택하는 방식을 보이게 된다. 따라서 입력 방식의 차이에 따라 다른 인터페이스를 지원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대부분의 장치에서는 기존의 하드키 입력 방식을 그대로 따르고 있다.
소프트키는 하드키와는 달리 표준이 정해지지 않아 그 학습성 및 대중성에 의한 적용의 제한이 적으며 또한 물리적인 구조를 가지지 않기 때문에 그 구성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최적의 키 배열을 구성한다면 보다 좋은 사용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종래의 하드키에 의한 한글 자음 입력 방법은, 초성이나 종성에 쌍자음(예컨대 'ㄲ', 'ㄸ', 'ㅃ', 'ㅆ', 'ㅉ')이 있는 경우에 입력해야 하는 음소의 개수가 늘어나 한글 자음을 입력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또한, 종성에 복자음(예컨대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이 있는 경우에 자음의 조합으로 인해 입력해야 하는 음소의 개수가 늘어나 한글 자음을 입력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또한 하드키를 통한 천지인(예컨대 'ㆍ', 'ㅡ', 'ㅣ') 방식에 의한 한글 모음 입력 방법은, 모음의 조합으로 인해 입력해야 하는 음소의 개수가 늘어나 한글 모음을 입력하는데 많이 시간이 소요되었다. 다른 예로, 하드키를 통한 한글 모음 입력 방법은 중성(모음)에 기본 단모음(예컨대 'ㅏ', 'ㅓ', 'ㅗ', 'ㅜ', 'ㅡ', 'ㅣ')이나 기본 이중모음(예컨대 'ㅑ', 'ㅕ', 'ㅛ', 'ㅠ')이 아닌, "ㅐ", "ㅔ"와 같은 단모음, 또는 "ㅒ", "ㅖ"와 같은 이중모음인 경우, 또는 복모음(예컨대 'ㅘ', 'ㅙ', 'ㅚ', 'ㅝ', 'ㅞ', 'ㅟ', 'ㅢ')인 경우 모음의 조합으로 인해 입력해야 하는 음소의 개수가 늘어나 한글 모음을 입력하는데 많이 시간이 소요되었다.
이처럼 음소의 개수가 늘어나 입력시간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통상 하나의 음소(자음 또는 모음)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0.5~1초 정도의 지연시간이 필요함), 의도적으로 한글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않는 경우(쌍자음, 복자음, 이중모음, 복모음 등에 있어서 한글 표현 훼손)도 종종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글의 음절에 대해 보다 손쉽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입력 방법 및 그를 위한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한글의 자음, 모음을 보다 손쉽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입력 방법 및 그를 위한 통신 단말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하면, 한글 입력 모드에서 자음키를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자음키를 통해 입력된 자음과 초성인지정보 - 이때 초성인지정보는, 입력되는 자음을 단말기가 초성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자음 입력후 사용자가 추가적으로 입력하는 정보임 - 를 바탕으로 해당 자음이 초성인지를 확인하여, 입력된 자음이 초성인 경우 제1 키 전환하여 모음키를 활성화시키며, 활성화된 모음키를 통해 중성이 입력되면 제2 키 전환하여 자음키를 활성화시킨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하면, 한글 입력 모드에서 자음키를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자음키를 통해 입력된 자음을 초성으로 인지하고 제1 키 전환하여 모음키를 활성화시키며, 활성화된 모음키를 통해 입력된 모음과 음절구성정보 - 이때 음절구성정보는, 현재 입력되는 음절 및 다음에 입력될 음절에 대한 한글 구성 정보로서, 모음 입력후 사용자가 추가적으로 입력하는 정보임 - 를 확인하여, 음절구성정보에 의거하여 활성화된 모음키를 유지하거나 제2 키 전환하여 자음키를 활성화시킨다.
여기서, 제1 키 전환은 초성 입력 확인시 활성화된 자음키를 비활성화시키고 비활성 상태의 모음키를 활성화시키며, 제2 키 전환은 중성 입력 확인시 활성화된 모음키를 비활성화시키고 비활성 상태의 자음키를 활성화시키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 모음키의 구조는, 한글 입력 모드에서, 8개의 단모음('ㅏ', 'ㅓ', 'ㅗ', 'ㅜ', 'ㅡ', 'ㅣ', 'ㅐ', 'ㅔ'), 6개의 이중모음('ㅑ', 'ㅕ', 'ㅛ', 'ㅠ', 'ㅒ', 'ㅖ'), 7개의 복모음('ㅘ', 'ㅙ', 'ㅚ', 'ㅝ', 'ㅞ', 'ㅟ', 'ㅢ')을 포함하는 총 21개의 중성 모음을 모음의 조합없이 하나의 음소로 간주하여 표현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글 음소의 입력 횟수를 줄여 한글의 입력 시간을 단축시키고, 모든 한글 음절을 쉽고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전체 한글 입력 방식에 대한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2a 내지 도2j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자음 소프트키를 도시한 도면.
도3a 내지 도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모음 소프트키를 도시한 도면.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자음 및 모음 통합 소프트키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하드키를 도시한 도면.
도2a 내지 도2j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자음 소프트키를 도시한 도면.
도3a 내지 도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모음 소프트키를 도시한 도면.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자음 및 모음 통합 소프트키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하드키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부(30)는 통신 단말기에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특히 터치스크린부(20)에 한글의 자음 소프트키(도2a 내지 도2j) 또는 모음 소프트키(도3a 내지 도3c), 또는 자음 및 모음 통합 소프트키(도4a 또는 도4b)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해당하는 문자(한글의 자음 및 모음)를 터치함에 따라 입력 결과를 표시부(40)에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키패드(10)에 표시된 문자(한글의 자음 및 모음)를 사용자가 누름에 따라 입력 결과를 표시부(40)에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키패드(10)는 예컨대 휴대폰에서 통화를 위한 숫자와 특수문자 또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 개의 키버튼으로 구성된다. 또한 이와 함께 입력된 문자를 저장하고, 수정하거나 불러들이는 기능버튼과 일반버튼이 더 구비되며 사용자의 지시를 제어부(30)에 전송하는 매개체의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터치스크린부(20)에서 입력하는 문자 입력을 키패드(10)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고, 키패드(10)에서 입력하는 문자 입력을 터치스크린부(20)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적용 대상은 키패드(10)만을 구비한 단말기, 또는 터치스크린부(20)만을 구비한 단말기, 또는 키패드(10) 및 터치스크린부(20) 둘 다를 구비한 단말기일 수 있다.
터치스크린부(20)는 객체지향적 문자 정보 입력수단으로, 사용자가 손이나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필기구 등을 이용하여 패널 상면의 문자(자음, 모음)에 소정 압력을 가하면, 이에 해당하는 문자 인식에 필요한 데이터, 즉 터치스크린 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30)로 전달하고, 제어부(30)는 인가되는 터치스크린 데이터에 대응되는 문자 코드 데이터를 메모리부(50)에서 추출하고 문자 코드 데이터들을 조합하여 표시부(40)에 표시한다. 문자 입력을 위한 터치스크린부(20)의 소프트키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터치스크린부(20)를 통한 문자 인식 및 조합 방식은 공지의 기술을 준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메모리부(50)는 제어부(30)에 의해 처리된 기능을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 사용자의 편리성과 기본적인 여러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예컨대 램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또는 플래쉬 메모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며,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프로그램이나 키패드(10) 또는 터치스크린부(2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동작 프로그램 등이 저장된다. 특히, 메모리부(50)는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입력 처리되는 문자 정보를 기본적으로 저장하는 것으로, 미리 등록된 다수의 문자에 대한 폰트 데이터, 문자 코드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
표시부(40)는 제어부(30)의 제어하에 표시동작을 수행하며, 표시부(40)에 표시되는 문자정보는 키패드(10) 또는 터치스크린부(20)를 통해 입력된 문자정보이다. 즉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면 이에 대응되는 문자 코드 데이터가 추출되고 그 코드 데이터와 함께 폰트 데이터가 출력되어 표시부(40)의 표시화면상에 표시되는 것이다.
한글 입력 모드에서, 한글의 초성 자음 개수는 총 19개이면 표현 가능하므로, 이러한 초성은 단자음 14개('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와 쌍자음 5개('ㄲ', 'ㄸ', 'ㅃ', 'ㅆ', 'ㅉ')면 족하다. 또한 중성의 모음 개수는 총 21개이면 표현 가능하므로, 이러한 중성은 단모음 8개('ㅏ', 'ㅓ', 'ㅗ', 'ㅜ', 'ㅡ', 'ㅣ', 'ㅐ', 'ㅔ')와 이중모음 6개('ㅑ', 'ㅕ', 'ㅛ', 'ㅠ', 'ㅒ', 'ㅖ'), 복모음 7개('ㅘ', 'ㅙ', 'ㅚ', 'ㅝ', 'ㅞ', 'ㅟ', 'ㅢ')면 족하다. 또한 종성의 자음 개수는 총 27이면 표현 가능하므로, 이러한 종성은 단자음 14개와 쌍자음 5개와 복자음 11개('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면 족하다.
터치스크린부(20)에 표시되는 자음 소프트키는 도2a 내지 도2j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도2a는 14개의 단자음과, 5개의 쌍자음('ㄲ', 'ㄸ', 'ㅃ', 'ㅆ', 'ㅉ')을 그의 단자음('ㄱ', 'ㄷ', 'ㅂ', 'ㅅ', 'ㅈ')에 대응시켜 구성한 자음 소프트키이고, 도2b는 14개의 단자음과, 쌍자음만을 별도로 구분하여 구성한 자음 소프트키이다. 도2a 및 도2b는 한글의 단자음 뿐만 아니라, 쌍자음을 하나의 음소로 간주하는 것이다. 또한 도2c와 같이, 14개의 단자음과 5개의 쌍자음 뿐만 아니라, 11개의 복자음을 자음 소프트키에 추가로 할당할 수도 있다. 도2c는 한글의 단자음 및 쌍자음 뿐만 아니라, 복자음에 대해서도 하나의 음소로 간주하는 것이다. 또한 자음 소프트키에는 모음 소프트키로 전환할 수 있는 '모음' 키가 존재할 수 있다.
도2a 내지 도2c의 자음 소프트키에서는 하나의 버튼에 적어도 하나의 자음(하나의 버튼에 1개 또는 2개 또는 3개의 자음이 할당됨)이 할당된 예를 보여주지만, 도2d와 같이 하나의 버튼에 하나의 단자음 및 쌍자음을 각각 하나씩 할당할 수도 있다. 도2d는 한글의 단자음 뿐만 아니라, 쌍자음을 하나의 음소로 간주하는 것이다. 또한 도2e 내지 도2g와 같이 하나의 버튼에 하나의 단자음, 쌍자음 및 복자음을 각각 하나씩 할당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2e 내지 도2g는 한글의 단자음 및 쌍자음 뿐만 아니라, 복자음에 대해서도 하나의 음소로 간주하는 것이다. 이때 버튼의 개수는 31개(14개의 단자음키, 5개의 쌍자음키, 11개의 복자음키, 1개의 모음 키)면 족하다. 도2e 및 도2f에서는 14개의 단자음 및 5개의 쌍자음을 좌측에 일대일 버튼 방식으로 구현하고 11개의 복자음을 우측에 일대일 버튼 방식으로 구현한 것이고, 도2g에서는 14개의 단자음 및 5개의 쌍자음을 상측에 일대일 버튼 방식으로 구현하고 11개의 복자음을 하측에 일대일 버튼 방식으로 구현한 것이다. 도2e 내지 도2g에서는 초성 및 종성에 모두 사용 가능한 단자음 및 쌍자음과, 종성에만 사용되는 복자음의 구분이 용이하도록 경계 부분에 식별(예컨대 '굵은 선' 등)을 줄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부(20)에 표시되는 모음 소프트키는 도3a 내지 도3c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통상 기본 단모음(예컨대 'ㅏ', 'ㅓ', 'ㅗ', 'ㅜ', 'ㅡ', 'ㅑ')이나 기본 이중모음(예컨대 'ㅑ', 'ㅕ', 'ㅛ', 'ㅠ')의 경우에도 모음을 조합하거나(천지인 방식), 기본 단모음이나 이중모음을 한 번의 키 입력으로 완성한다 하더라도 "ㅐ", "ㅔ"의 단모음이나, "ㅒ", "ㅖ"의 이중모음, 또는 "ㅘ", "ㅙ", "ㅚ", "ㅝ", "ㅞ", "ㅟ", "ㅢ"의 복모음에 대해서는 모음의 조합이 필요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도3a 및 도3b와 같이 한글에서 사용되는 총 21개의 중성 모음을 모음 소프트키에 표현하여 한 번의 키 입력으로 모든 모음을 표현할 수 있게 한다. 도3a 및 도3b는 한글의 단모음 뿐만 아니라 이중모음, 복모음을 하나의 음소로 간주하는 것이다. 또한 모음 소프트키에는 자음 소프트키로 전환할 수 있는 '자음' 키가 존재할 수 있다.
도3a의 모음 소프트키에서는 하나의 버튼에 적어도 하나의 모음(하나의 버튼에 1개 또는 2개의 모음이 할당됨)이 할당된 예를 보여주지만, 도3b와 같이 하나의 버튼에 하나의 단모음, 이중모음 및 복모음을 각각 하나씩 할당할 수도 있다. 도3c는 초성으로 입력된 자음(예컨대 'ㄱ')을 도3a의 모음 소프트키에 함께 보여주는 방식이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초성으로 입력된 자음을 도3b의 모음 소프트키에 함께 보여주는 방식 역시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도2a(또는 도2b 또는 2d) 및 도3a(또는 도3b 또는 도3c)에 의하면, 복자음을 제외한 한글의 모든 음절을 두 개(즉 받침(종성)이 없는 경우) 또는 세 개(즉 받침(종성)이 있는 경우)의 음소로 구성할 수 있다. 도2a(또는 도2b 또는 2d) 및 도3a(또는 도3b 또는 도3c)에 따라 입력해야 하는 음소의 예는 다음의 표1과 같다.
단어 | 초성 | 중성 | 종성 | 음소 개수 |
너 | ㄴ | ㅓ | 2 | |
강 | ㄱ | ㅏ | ㅇ | 3 |
왕 | ㅇ | ㅘ | ㅇ | 3 |
닭 | ㄷ | ㅏ | ㄺ | 4 |
꽝 | ㄲ | ㅘ | ㅇ | 3 |
도2c(또는 도2e 또는 도2f 또는 도2g) 및 도3a(또는 도3b 또는 도3c)에 의하면, 복자음을 포함하는 한글의 모든 음절을 두 개 또는 세 개의 음소로 구성 가능하다. 도2c(또는 도2e 또는 도2f 또는 도2g) 및 도3a(또는 도3b 또는 도3c)에 따라 입력해야 하는 음소의 예는 다음의 표2와 같다.
단어 | 초성 | 중성 | 종성 | 음소 개수 |
너 | ㄴ | ㅓ | 2 | |
강 | ㄱ | ㅏ | ㅇ | 3 |
왕 | ㅇ | ㅘ | ㅇ | 3 |
닭 | ㄷ | ㅏ | ㄺ | 3 |
꽝 | ㄲ | ㅘ | ㅇ | 3 |
일실시예에 있어서, 음소의 후보군(자음 소프트키 또는 모음 소프트키)은, 도2a 내지 도2c, 도3a 및 도3c와 같이 화면 크기 등을 고려하여 페이지 전환없이 가로 3개, 세로 4개로 총 12개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키에 2~3개의 음소(자음 또는 모음)를 할당한다. 음소의 후보군을 가로 4개, 세로 3개로 구성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다양한 변형(4×4, 3×5, 5×3 등)이 가능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음소의 후보군(자음 소프트키 또는 모음 소프트키)은, 페이지 전환키를 별도로 두어 도2d 내지 도2g, 도3b와 같이 하나의 키에 하나의 음소(자음 또는 모음)를 할당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2d 내지 도2g, 도3b와 같은 음소의 후보군(자음 소프트키 또는 모음 소프트키)은, 페이지 전환없이 하나의 키에 하나의 음소(자음 또는 모음)를 할당할 수 있다. 이 경우 화면 크기 등을 감안할 때 자음 또는 모음이 전부 표시될 수 없으므로 화면을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스크롤바가 상하 또는 좌우측에 구성되어 이를 터치하면 상하 또는 좌우로 화면이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하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예로서, 하나의 키에 2~3의 음소가 할당된 경우, 해당 키를 한 번 누르면 첫 번째 자음(또는 모음)이 선택되고, 연속하여 2번 누르면 두 번째 자음(또는 모음)이 선택되며, 연속하여 3번 누르면 세 번째 자음(또는 모음)이 선택된다. 예컨대 도2a 내지 도2g 중 어느 하나의 자음 소프트키에서 "ㄱ"을 초성으로 입력하는 경우에는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으로 터치한 후, 가볍게 '상'으로 끌어 올리거나(또는 '하'로 끌어 내리거나 또는 '좌'로 끌거나 또는 '우'로 끌거나) 모음 소프트키로 전환할 수 있는 '모음' 키를 터치한다. 또한 도2a의 자음 소프트키에서 "ㄲ"을 초성으로 입력하는 경우에는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으로 연속하여 2번 터치한 후, 가볍게 상/하/좌/우로 끌거나 모음 소프트키로 전환할 수 있는 '모음' 키를 터치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구분하여 각각의 소프트키를 구성하고, 소프트키를 통한 문자 입력 모드(엄밀하게는 '한글 입력 모드'임)에서는 우선 제어부(30)가 자음 소프트키를 터치스크린부(20)에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초성이 입력되면 모음 소프트키를 터치스크린부(20)에 자동 전환하여 표시하며, 모음이 입력되면 다시 자음 소프트키를 터치스크린부(20)에 자동 전환하여 표시한다. 한글의 특성상 받침(종성)이 없는 경우와 받침(종성)이 있는 경우, 받침(종성)이 있어도 복자음의 경우에는 2개가 조합되는 경우도 있으므로(도2c, 도2e 내지 도2g에서는 복자음을 지원하지만 도2a, 도2b 및 도2d에서는 복자음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초성 입력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는 모음 소프트키를 활성화시키지 않는다(자동 전환하여 표시하지 않음). 자음 소프트키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자음이 입력되면 글자가 형성되다가(음절의 종성으로 인식), 이후 입력되는 자음에 대해 초성 입력이 확인되지 않으면 자음이 무의미하게 나열된다.
여기서 초성 입력시 사용자는 도2a 내지 도2g 중 어느 하나의 자음 소프트키에서 특정 음소(자음) 키(예컨대 'ㄱ')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 또는 '하' 또는 '좌' 또는 '우'로 작은 움직임을 주거나 모음 소프트키로 전환할 수 있는 '모음' 키를 터치한다. 그러면 제어부(30)는 상/하/좌/우 움직임 또는 모음 키 터치를 감지하여 초성 입력을 확인한 후, 자음 소프트키를 비활성화시키고(터치스크린부(20)에서 사라짐) 도3a 내지 도3c 중 어느 하나의 모음 소프트키를 활성화시켜 터치스크린부(20)에 표시한다. 다만 초성 입력이 확인되지 않으면 현재의 자음 소프트키를 터치스크린부(20)에 유지한다. 또한 제어부(30)는 모음 입력이 확인되면 모음 소프트키를 비활성화시키고(터치스크린부(20)에서 사라짐) 도2a 내지 도2g 중 어느 하나의 자음 소프트키를 활성화시켜 터치스크린부(20)에 표시한다. 즉 현재의 활성화된 도2a 내지 도2g 중 어느 하나의 자음 소프트키에서 초성 입력이 확인되면 자음 소프트키를 모음 소프트키로 자동 전환하고, 현재의 활성화된 도3a 내지 도3c 중 어느 하나의 모음 소프트키에서 모음 입력이 확인되면 모음 소프트키를 자음 소프트키로 전환하지만, 활성화된 자음 소프트키에서 초성 입력이 확인되지 않으면(즉 종성 입력후 초성 입력이 있을 수 있으므로) 활성화된 자음 소프트키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만약 초성 입력이 확인되어 자음 소프트키가 모음 소프트키로 자동 전환된 상태에서, 오타 입력된 초성을 삭제하면 다시 자음 소프트키가 활성화된다. 또한 모음(중성) 입력이 확인되어, 모음 소프트키가 자음 소프트키로 자동 전환된 상태에서, 오타 입력된 중성을 삭제하면 다시 모음 소프트키가 활성화된다. 또한 한글 입력 도중 SPACE와 같은 한 칸 다음 기능에 해당되는 버튼 입력이 이루어지면 커서가 우측으로 이동하고, 도2a 내지 도2g 중 어느 하나의 자음 소프트키를 활성화시킨다.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초성 입력이 감지된 후 자동으로 활성화된 모음 소프트키에 도3c와 같이 기 입력된 초성(예컨대 'ㄱ')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한글 소프트웨어에 의해 올바른 음절을 구성할 수 있는 글자만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비록 도면에는 기 입력된 초성이 "ㄱ"으로 표기되어 있지만, 이하에서 도3c는 기 입력된 임의의 초성을 모음 소프트키에 함께 표시한 것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자음 및 모음 소프트키를 바탕으로 한 한글 입력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터치스크린부(20)에 표시된 자음/모음 소프트키를 이용하여 실제 "세종대왕"이라는 글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세"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단말기의 문자 입력 모드(물론 문자 입력 모드로 단말기가 전환되기 위해서는 단말기의 키패드(10)에 있는 특정 버튼을 선택하는 방식과 터치스크린부(20)에서 표시되는 메뉴를 선택하는 방식이 있을 것이나 상기 언급한 두 방식은 동일한 결과를 발생함)로 진행하게 된다. 단말기가 문자 입력 모드 중 한글 입력 모드로 진행하게 되면 도2a 내지 도2g 중 어느 하나의 자음 소프트키가 활성화되어 터치스크린부(20)에 표시된다.
먼저, 도 2a 내지 도2g 중 어느 하나의 자음 소프트키에서 사용자가 "ㅅ"을 터치한 후 '상' 또는 '하' 또는 '좌' 또는 '우'로 작은 움직임을 주거나 모음 소프트키로 전환할 수 있는 '모음' 키를 터치하면, 단말기는 입력된 "ㅅ"을 초성으로 인지하여 도3a 내지 도3c 중 어느 하나의 모음 소프트키를 활성화시켜 터치스크린부(20)에 표시한다. 도3a 내지 도3c 중 어느 하나의 모음 소프트키에서 사용자가 "ㅔ"를 터치하면 단말기는 모음 입력을 확인하여 도2a 내지 도2g 중 어느 하나의 자음 소프트키를 활성화시켜 터치스크린부(20)에 표시한다. 이때 "세"라는 문자가 인식되어 표시부(40)에 표시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초성 입력후 단말기가 초성임을 인지할 수 있는 행위(상/하/좌/우 움직임 또는 모드 전환키)를 하지만, 모음 입력후에는 사용자의 별도 행위가 없어도 단말기가 자음 소프트키를 자동으로 활성화시켜 터치스크린부(20)에 표시한다.
이후, 도2a 내지 도2g 중 어느 하나의 자음 소프트키에서 사용자가 "ㅈ"을 터치한 후 '상' 또는 '하' 또는 '좌' 또는 '우'로 작은 움직임을 주거나 모음 소프트키로 전환할 수 있는 '모음' 키를 터치하면, 단말기는 입력된 "ㅈ"을 초성으로 인지하여 도3a 내지 도3c 중 어느 하나의 모음 소프트키를 활성화시켜 터치스크린부(20)에 표시한다. 도3a 내지 도3c 중 어느 하나의 모음 소프트키에서 사용자가 "ㅗ"를 터치하면 단말기는 모음 입력을 확인하여 도2a 내지 도2g 중 어느 하나의 자음 소프트키를 활성화시켜 터치스크린부(20)에 표시한다. 이후 도2a 내지 도2g 중 어느 하나의 자음 소프트키에서 사용자가 "ㅇ"을 터치한 후 '상' 또는 '하' 또는 '좌' 또는 '우'로 작은 움직임을 주지 않거나 모음 소프트키로 전환할 수 있는 '모음' 키를 터치하지 않으면, 단말기는 입력된 "ㅇ"을 종성으로 인지하여 현재의 활성화된 자음 소프트키를 터치스크린부(20)에 그대로 유지한다. 이때 "세종"이라는 문자가 인식되어 표시부(40)에 표시된다.
다음으로, 도2a 내지 도2g 중 어느 하나의 자음 소프트키가 유지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ㄷ"을 터치한 후 '상' 또는 '하' 또는 '좌' 또는 '우'로 작은 움직임을 주거나 모음 소프트키로 전환할 수 있는 '모음' 키를 터치하면, 단말기는 입력된 "ㄷ"을 초성으로 인지하여 도3a 내지 도3c 중 어느 하나의 모음 소프트키를 활성화시켜 터치스크린부(20)에 표시한다. 도3a 내지 도3c 중 어느 하나의 모음 소프트키에서 사용자가 "ㅐ"를 터치하면 단말기는 모음 입력을 확인하여 도2a 내지 도2g 중 어느 하나의 자음 소프트키를 활성화시켜 터치스크린부(20)에 표시한다. 이때 "세종대"라는 문자가 인식되어 표시부(40)에 표시된다.
이어서, 도2a 내지 도2g 중 어느 하나의 자음 소프트키에서 사용자가 "ㅇ"을 터치한 후 '상' 또는 '하' 또는 '좌' 또는 '우'로 작은 움직임을 주거나 모음 소프트키로 전환할 수 있는 '모음' 키를 터치하면, 단말기는 입력된 "ㅇ"을 초성으로 인지하여 도3a 내지 도3c 중 어느 하나의 모음 소프트키를 활성화시켜 터치스크린부(20)에 표시한다. 도3a 내지 도3c 중 어느 하나의 모음 소프트키에서 사용자가 "ㅘ"를 터치하면 단말기는 모음 입력을 확인하여 도2a 내지 도2g 중 어느 하나의 자음 소프트키를 활성화시켜 터치스크린부(20)에 표시한다. 이후 도2a 내지 도2g 중 어느 하나의 자음 소프트키에서 사용자가 "ㅇ"을 터치하면 "세종대왕"이라는 문자가 인식되어 표시부(40)에 표시된다. 이후 사용자는 입력 확인 버튼을 클릭 또는 터치하여 문자 입력을 완료할 수 있다.
상기에서, 초성 입력이 확인되어 도2a 내지 도2g 중 어느 하나의 자음 소프트키가 도3a 내지 도3c 중 어느 하나의 모음 소프트키로 자동 전환된 상태에서, 만약 오타 입력된 초성을 삭제하면 다시 도2a 내지 도2g 중 어느 하나의 자음 소프트키가 활성화되고, 모음(중성) 입력이 확인되어 도3a 내지 도3c 중 어느 하나의 모음 소프트키가 도2a 내지 도2g 중 어느 하나의 자음 소프트키로 자동 전환된 상태에서, 오타 입력된 중성을 삭제하면 다시 도3a 내지 도3c 중 어느 하나의 모음 소프트키가 활성화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구분하여 각각의 소프트키를 구성하고, 소프트키를 통한 문자 입력 모드(엄밀하게는 '한글 입력 모드'임)에서는 우선 제어부(30)가 자음 소프트키를 터치스크린부(20)에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초성(자음)이 입력되면 모음 소프트키를 터치스크린부(20)에 자동 전환하여 표시하는데, 이때 모음(중성)이 입력되면 모음 입력 방식에 따라 모음 소프트키를 유지하거나(예로서 해당 음절이 받침이 없고 다음 음절의 초성이 특정 자음(예컨대 'ㅇ')으로 구성된 한글 입력의 경우), 자음 소프트키를 터치스크린부(20)에 자동 전환하여 표시하거나(예컨대 해당 음절이 받침이 없거나 받침이 있어도 단자음 또는 쌍자음의 받침으로 구성된 한글 입력의 경우), 복자음 소프트키를 터치스크린부(20)에 자동 전환하여 표시한다(예컨대 해당 음절의 받침이 복자음으로 구성된 한글 입력의 경우). 한글의 특성상 받침(종성)이 없는 경우와 받침이 있는 경우(종성이 단자음 또는 쌍자음으로 구성된 경우), 받침이 없는 경우 다음 음절의 초성이 특정 자음(예컨대 'ㅇ')인 경우, 받침이 있어도 복자음의 경우에는 2개가 조합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모음(중성) 입력 방식에 따라 적절한 소프트키를 활성화시킨다.
여기서 초성 입력시 사용자는 도2a 내지 도2g 중 어느 하나의 자음 소프트키(또는 복자음은 종성에만 해당되므로 도2a, 도2b, 도2d 중 어느 하나와 같은 복자음을 제외한 단자음, 쌍자음의 자음 소프트키가 될 수 있음)에서 음소(자음) 키(예컨대 'ㄱ')를 터치하기만 하면 된다(상기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사용자는 단말기가 초성으로 인지할 수 있는 행위를 할 필요가 없다). 그러면 제어부(30)는 초성 입력을 확인한 후, 자음 소프트키를 비활성화시키고(터치스크린부(20)에서 사라짐) 도3a 내지 도3c 중 어느 하나의 모음 소프트키를 활성화시켜 터치스크린부(20)에 표시한다. 특히 제어부(30)는 모음 입력이 확인되면(예컨대 'ㅏ') 모음 입력 방식에 따라 현재의 활성화된 모음 소프트키를 터치스크린부(20)에 그대로 유지하거나, 모음 소프트키를 비활성화시키고(터치스크린부(20)에서 사라짐) 도2a 내지 도2g 중 어느 하나의 자음 소프트키를 활성화시켜 터치스크린부(20)에 표시하거나, 모음 소프트키를 비활성화시키고(터치스크린부(20)에서 사라짐) 도2h 내지 도2j 중 어느 하나의 복자음 소프트키를 활성화시켜 터치스크린부(20)에 표시한다. 상기에서 모음 입력 방식은 모음 키(예컨대 'ㅏ')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 또는 '하' 또는 '좌' 또는 '우'로 작은 움직임을 주는 것이다. 즉 현재의 활성화된 자음 소프트키에서 초성 입력이 확인되면 자음 소프트키를 모음 소프트키로 자동 전환하고, 현재의 활성화된 모음 소프트키에서 모음 입력이 확인되면 모음 입력 방식에 따라 현재의 모음 소프트키를 유지하거나 자음 소프트키로 전환한다. 만약 초성 입력이 확인되어 자음 소프트키가 모음 소프트키로 자동 전환된 상태에서, 오타 입력된 초성을 삭제하면 다시 자음 소프트키가 활성화된다. 또한 모음(중성) 입력이 확인되어, 모음 소프트키가 유지된 상태이거나 모음 소프트키가 자음 소프트키로 자동 전환된 상태에서, 오타 입력된 중성을 삭제하면 다시 모음 소프트키가 활성화된다. 또한 한글 입력 도중 SPACE와 같은 한 칸 다음 기능에 해당되는 버튼 입력이 이루어지면 커서가 우측으로 이동하고, 도2a 내지 도2g 중 어느 하나의 자음 소프트키를 활성화시킨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초성 입력시 자음 소프트키가 모음 소프트키로 자동 전환된 상태에서 모음 입력 방식에 따라 현재의 모음 소프트키를 유지하거나 자음 소프트키로 전환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모음 입력 방식을 달리하는 이유는 현재 입력하고자 하는 한글의 음절이 받침(종성)이 없고 다음 음절의 초성이 특정 자음(예컨대 'ㅇ')으로 구성되거나(제2-1 실시예), 현재 입력하고자 하는 한글의 음절이 받침(종성)이 없는 초성과 중성으로만 구성된 경우이거나(제2-2 실시예), 현재 입력하고자 하는 한글 음절의 받침(종성)이 단자음 또는 쌍자음으로 구성된 경우이거나(제2-3 실시예), 현재 입력하고자 하는 한글 음절의 받침(종성)이 복자음으로 구성된 경우(제2-4 실시예)와 같이 다양한 한글 구성에 기인한다. 상기 제2-3 실시예 및 제2-4 실시예는 복자음을 별도의 자음 소프트키로 구성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도2c, 도2e 내지 도2g 중 어느 하나의 자음 소프트키와 같이 단자음, 쌍자음과 더불어 복자음이 함께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3 실시예 및 제2-4 실시예의 구분은 무의미할 것이나, 이하에서는 양자를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2-1 실시예에 따라, 한글 입력 모드에서 초성이 입력되면 제어부(30)는 자음 소프트키를 비활성화시키고(터치스크린부(20)에서 사라짐) 도3a 내지 도3c 중 어느 하나의 모음 소프트키를 활성화시켜 터치스크린부(20)에 표시한다. 이후 사용자가 도3a 내지 도3c 중 어느 하나의 모음 소프트키에서 모음 키(예컨대 'ㅏ')를 터치한 상태에서 예컨대 '상'으로 작은 움직임을 주면 제어부(30)는 '상'으로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터치된 모음을 입력된 것으로 표시부(40)에 표시함과 동시에 다음 음절의 초성이 입력되지 않아도 다음 음절의 초성(예컨대 'ㅇ')이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여 기 약정된 초성을 표시부(40)에 표시한다. 따라서 초성이 자동 입력되었으므로, 현재의 모음 소프트키를 터치스크린부(20)에 그대로 유지(활성화)한다. 제2-1 실시예는 받침(종성)이 없이, 초성과 중성만으로 구성된 한글의 한 음절을 입력한 후, 다음 음절의 초성이 특정 자음(예컨대 'ㅇ')으로 구성된 한글을 입력하는 경우에 유용한다.
상기 제2-2 실시예에 따라, 한글 입력 모드에서 초성이 입력되면 제어부(30)는 자음 소프트키를 비활성화시키고(터치스크린부(20)에서 사라짐) 도3a 내지 도3c 중 어느 하나의 모음 소프트키를 활성화시켜 터치스크린부(20)에 표시한다. 이후 사용자가 도3a 내지 도3c 중 어느 하나의 모음 소프트키에서 모음 키(예컨대 'ㅏ')를 터치한 상태에서 예컨대 '하'로 작은 움직임을 주면 제어부(30)는 '하'로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터치된 모음을 입력된 것으로 표시부(40)에 표시하며, 현재의 모음 소프트키를 비활성화시키고 도2a 내지 도2g 중 어느 하나의 자음 소프트키(또는 복자음은 종성에만 해당되므로 도2a, 도2b, 도2d 중 어느 하나와 같은 복자음을 제외한 단자음, 쌍자음의 자음 소프트키가 될 수 있음)를 활성화시켜 터치스크린부(20)에 표시한다. 이때 자음 소프트키에서 초성 자음이 입력되면 현재의 자음 소프트키를 비활성화시키고(터치스크린부(20)에서 사라짐) 도3a 내지 도3c 중 어느 하나의 모음 소프트키를 활성화시켜 터치스크린부(20)에 표시한다. 제2-2 실시예는 받침(종성)이 없이, 초성과 중성만으로 구성된 한글을 입력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상기 제2-1 실시예와 다른 점은 다음 음절의 초성이 특정 자음(예컨대 'ㅇ')이 아닌 경우이다.
상기 제2-3 실시예에 따라, 한글 입력 모드에서 초성이 입력되면 제어부(30)는 자음 소프트키를 비활성화시키고(터치스크린부(20)에서 사라짐) 도3a 내지 도3c 중 어느 하나의 모음 소프트키를 활성화시켜 터치스크린부(20)에 표시한다. 이후 사용자가 도3a 내지 도3c 중 어느 하나의 모음 소프트키에서 모음 키(예컨대 'ㅏ')를 터치한 상태에서 예컨대 '좌'로 작은 움직임을 주면 제어부(30)는 '좌'로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터치된 모음을 입력된 것으로 표시부(40)에 표시하며, 현재의 모음 소프트키를 비활성화시키고 도2a 내지 도2g 중 어느 하나의 자음 소프트키(또는 복자음은 종성에만 해당되므로 도2a, 도2b, 도2d 중 어느 하나와 같은 복자음을 제외한 단자음, 쌍자음의 자음 소프트키가 될 수 있음)를 활성화시켜 터치스크린부(20)에 표시한다. 이때 자음 소프트키에서 종성 및 초음 자음이 연속하여 2개가 입력되어야만 현재의 자음 소프트키를 비활성화시키고(터치스크린부(20)에서 사라짐) 도3a 내지 도3c 중 어느 하나의 모음 소프트키를 활성화시켜 터치스크린부(20)에 표시한다. 즉 현재 음절의 종성, 다음 음절의 초성이 연속하여 입력된 후에 자음 소프트키를 모음 소프트키로 전환한다. 제2-3 실시예는 초성과 중성, 단자음이나 쌍자음의 종성으로 구성된 한글을 입력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상기 제2-4 실시예에 따라, 한글 입력 모드에서 초성이 입력되면 제어부(30)는 자음 소프트키를 비활성화시키고(터치스크린부(20)에서 사라짐) 도3a 내지 도3c 중 어느 하나의 모음 소프트키를 활성화시켜 터치스크린부(20)에 표시한다. 이후 사용자가 도3a 내지 도3c 중 어느 하나의 모음 소프트키에서 모음 키(예컨대 'ㅏ')를 터치한 상태에서 예컨대 '우'로 작은 움직임을 주면 제어부(30)는 '우'로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터치된 모음을 입력된 것으로 표시부(40)에 표시하며, 현재의 모음 소프트키를 비활성화시키고 도2h 내지 도2j 중 어느 하나의 복자음 소프트키를 활성화시켜 터치스크린부(20)에 표시한다. 이때 복자음 소프트키에서 종성이 입력되면 현재의 복자음 소프트키를 비활성화시키고 도2a 내지 도2g 중 어느 하나의 자음 소프트키(또는 복자음은 종성에만 해당되므로 도2a, 도2b, 도2d 중 어느 하나와 같은 복자음을 제외한 단자음, 쌍자음의 자음 소프트키가 될 수 있음)를 활성화시켜 터치스크린부(20)에 표시한다. 이후 자음 소프트키에서 초성이 입력되면 제어부(30)는 현재의 자음 소프트키를 비활성화시키고(터치스크린부(20)에서 사라짐) 도3a 내지 도3c 중 어느 하나의 모음 소프트키를 활성화시켜 터치스크린부(20)에 표시한다. 제2-4 실시예는 초성과 중성, 복자음의 종성으로 구성된 한글을 입력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상기 제2-1 내지 제2-4 실시예에서, 초성이 입력된 후 활성화된 모음 소프트키에 도3c와 같이 기 입력된 초성(예컨대 'ㄱ')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4 실시예에서, 복자음 소프트키에 도2i와 같이 이전 음절의 초성과 중성을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이때 무의미한 모든 한글 음절을 포함하여 표시하지 않고 한글 소프트웨어에 의해 올바른 음절을 구성할 수 있는 글자(예컨대 '닭', '닮', '닳' 등)만을 도2j와 같이 활성화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인지가 용이하여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올바른 한글 사용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자음 및 모음 소프트키를 바탕으로 한 한글 입력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터치스크린부(20)에 표시된 자음/모음 소프트키를 이용하여 실제 "세종대왕"이라는 글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세"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단말기의 문자 입력 모드(물론 문자 입력 모드로 단말기가 전환되기 위해서는 단말기의 키패드(10)에 있는 특정 버튼을 선택하는 방식과 터치스크린부(20)에서 표시되는 메뉴를 선택하는 방식이 있을 것이나 상기 언급한 두 방식은 동일한 결과를 발생함)로 진행하게 된다. 단말기가 문자 입력 모드 중 한글 입력 모드로 진행하게 되면 도2a 내지 도2g 중 어느 하나의 자음 소프트키(또는 복자음은 종성에만 해당되므로 도2a, 도2b, 도2d 중 어느 하나와 같은 복자음을 제외한 단자음, 쌍자음의 자음 소프트키가 될 수 있음)가 활성화되어 터치스크린부(20)에 표시된다.
먼저, 도2a, 도2b 및 도2d 중 어느 하나의 자음 소프트키에서 사용자가 "ㅅ"을 터치하면, 단말기는 입력된 "ㅅ"을 초성으로 인지하여 도3a 내지 도3c 중 어느 하나의 모음 소프트키를 활성화시켜 터치스크린부(20)에 표시한다. 활성화된 모음 소프트키에서 상기 제2-2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ㅔ"를 터치한 후 '하'로 작은 움직임을 주면, 단말기는 모음 입력을 확인하여 도2a, 도2b 및 도2d 중 어느 하나의 자음 소프트키를 활성화시켜 터치스크린부(20)에 표시한다. 이때 "세"라는 문자가 인식되어 표시부(40)에 표시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모음(중성) 입력시 단말기가 "현재 입력하는 음절이 초성+중성으로 구성된 음절"의 입력임을 인지할 수 있는 행위(하 움직임)를 한다. 따라서 단말기는 이후 입력되는 자음을 다음 음절의 초성으로 인지하여 자음 입력시 바로 모음 소프트키로 전환하게 된다.
즉 도2a, 도2b 및 도2d 중 어느 하나의 자음 소프트키에서 사용자가 "ㅈ"을 터치하면, 단말기는 입력된 "ㅈ"을 초성으로 인지하여 바로 도3a 내지 도3c 중 어느 하나의 모음 소프트키를 활성화시켜 터치스크린부(20)에 표시한다. 활성화된 모음 소프트키에서 사용자가 상기 제2-3 실시예에 따라 "ㅗ"를 터치한 후 '좌'로 작은 움직임을 주면, 단말기는 모음 입력을 확인하여 도2a, 도2b 및 도2d 중 어느 하나의 자음 소프트키를 활성화시켜 터치스크린부(20)에 표시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모음(중성) 입력시 단말기가 "현재 입력하는 음절이 초성+중성+종성(단자음, 쌍자음 포함)으로 구성된 음절"의 입력임을 인지할 수 있는 행위(좌 움직임)를 한다. 따라서 단말기는 이후 입력되는 자음은 종성으로 인지하고 그 다음 입력되는 자음은 다음 음절의 초성으로 인지하여 2개의 자음이 입력된 후 모음 소프트키로 전환하게 된다.
즉 도2a, 도2b 및 도2d 중 어느 하나의 자음 소프트키에서 사용자가 "ㅇ"을 터치하면, 단말기는 입력된 "ㅇ"을 종성으로 인지하여 현재의 활성화된 자음 소프트키를 터치스크린부(20)에 그대로 유지한다. 이때 "세종"이라는 문자가 인식되어 표시부(40)에 표시된다. 또한 도2a, 도2b 및 도2d 중 어느 하나의 자음 소프트키가 유지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ㄷ"을 터치하면, 단말기는 입력된 "ㄷ"을 초성으로 인지하여 비로소 도3a 내지 도3c 중 어느 하나의 모음 소프트키를 활성화시켜 터치스크린부(20)에 표시한다. 도3a 내지 도3c 중 어느 하나의 모음 소프트키에서 사용자가 상기 제2-1 실시예에 따라 "ㅐ"를 터치한 후 '상'으로 작은 움직임을 주면, 단말기는 모음 입력을 확인하고 현재의 모음 소프트키를 유지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모음(중성) 입력시 단말기가 "현재 입력하는 음절이 초성+중성으로 구성되고 다음 음절의 초성이 특정 자음(예컨대 'ㅇ')으로 구성된 음절"의 입력임을 인지할 수 있는 행위(상 움직임)를 한다. 따라서 단말기는 다음 음절의 초성이 입력되지 않아도 다음 음절의 초성(예컨대 'ㅇ')이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여 해당 초성을 표시부(40)에 자동으로 표시하고, 현재의 활성화된 모음 소프트키를 터치스크린부(20)에 그대로 유지한다. 이때 "세종대ㅇ"이라는 문자가 표시부(40)에 표시된다.
이후 도3a 내지 도3c 중 어느 하나의 모음 소프트키에서 사용자가 상기 제2-3 실시예에 따라 "ㅘ"를 터치한 후 '좌'로 작은 움직임을 주면, 단말기는 모음 입력을 확인하여 도2a, 도2b 및 도2d 중 어느 하나의 자음 소프트키를 활성화시켜 터치스크린부(20)에 표시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모음(중성) 입력시 단말기가 "현재 입력하는 음절이 초성+중성+종성(단자음, 쌍자음 포함)으로 구성된 음절"의 입력임을 인지할 수 있는 행위(좌 움직임)를 한다. 따라서 단말기는 이후 입력되는 자음을 종성으로 인지하게 된다.
따라서 도2a, 도2b 및 도2d 중 어느 하나의 자음 소프트키에서 사용자가 "ㅇ"을 터치하면 "세종대왕"이라는 문자가 인식되어 표시부(40)에 표시된다. 이후 사용자는 입력 확인 버튼을 클릭 또는 터치하여 문자 입력을 완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자음 및 모음 소프트키를 바탕으로 한 한글 입력의 다른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예로, "다음에"라는 글자를 입력하는 경우, 도2a, 도2b 및 도2d 중 어느 하나의 자음 소프트키에서 사용자가 "ㄷ"을 터치하면, 단말기는 입력된 "ㄷ"을 초성으로 인지하여 도3a 내지 도3c 중 어느 하나의 모음 소프트키를 활성화시켜 터치스크린부(20)에 표시한다. 도3a 내지 도3c 중 어느 하나의 모음 소프트키에서 상기 제2-1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ㅏ"를 터치한 후 '상'으로 작은 움직임을 주면, 단말기는 다음 음절의 초성이 입력되지 않아도 다음 음절의 초성(예컨대 'ㅇ')이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여 해당 초성을 표시부(40)에 자동으로 표시하고, 현재의 활성화된 모음 소프트키를 터치스크린부(20)에 그대로 유지한다. 이때 "다ㅇ"이라는 문자가 표시부(40)에 표시된다.
이후 도3a 내지 도3c 중 어느 하나의 모음 소프트키에서 사용자가 상기 제2-3 실시예에 따라 "ㅡ"를 터치한 후 '좌'로 작은 움직임을 주면, 단말기는 모음 입력을 확인하여 도2a, 도2b 및 도2d 중 어느 하나의 자음 소프트키를 활성화시켜 터치스크린부(20)에 표시한다. 이후에 활성화된 자음 소프트키에서 사용자가 "ㅁ"을 터치하면, 단말기는 입력된 "ㅁ"을 종성으로 인지하여 현재의 활성화된 자음 소프트키를 터치스크린부(20)에 그대로 유지한다. 이때 "다음"이라는 문자가 인식되어 표시부(40)에 표시된다. 또한 도2a, 도2b 및 도2d 중 어느 하나의 자음 소프트키가 유지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ㅇ"을 터치하면, 단말기는 입력된 "ㅇ"을 초성으로 인지하여 도3a 내지 도3c 중 어느 하나의 모음 소프트키를 활성화시켜 터치스크린부(20)에 표시한다. 활성화된 모음 소프트키에서 사용자가 상기 제2-2 실시예에 따라 "ㅔ"를 터치한 후 '하'로 작은 움직임을 주면 "다음에"라는 문자가 인식되어 표시부(40)에 표시된다. 이후 사용자는 입력 확인 버튼을 클릭 또는 터치하여 문자 입력을 완료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닭죽"이라는 글자를 입력하는 경우, 도2a, 도2b 및 도2d 중 어느 하나의 자음 소프트키에서 사용자가 "ㄷ"을 터치하면, 단말기는 입력된 "ㄷ"을 초성으로 인지하여 도3a 내지 도3c 중 어느 하나의 모음 소프트키를 활성화시켜 터치스크린부(20)에 표시한다. 도3a 내지 도3c 중 어느 하나의 모음 소프트키에서 상기 제2-4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ㅏ"를 터치한 후 '우'로 작은 움직임을 주면, 단말기는 현재의 모음 소프트키를 비활성화시키고 도2h 내지 도2j 중 어느 하나의 복자음 소프트키를 활성화시켜 터치스크린부(20)에 표시한다. 이때 도2h와 같이 복자음 소프트키만을 표시할 수도 있고, 이전 자음, 모음을 포함하여 전체 복자음 소프트키를 표시할 수도 있고, 도2j와 같이 한글 소프트웨어에 의해 올바른 음절을 구성할 수 있는 글자(예컨대 '닭', '닮', '닳' 등)만을 활성화시켜 표시할 수도 있다.
복자음의 종성이 입력되면, 단말기는 입력된 "ㄺ"을 종성으로 인지하여 현재의 활성화된 복자음 소프트키를 비활성화시키고 도2a, 도2b 및 도2d 중 어느 하나의 자음 소프트키를 터치스크린부(20)에 활성화시킨다. 이때 "닭"이라는 문자가 인식되어 표시부(40)에 표시된다.
이후에 도2a, 도2b 및 도2d 중 어느 하나의 자음 소프트키에서 사용자가 "ㅈ"을 터치하면, 단말기는 입력된 "ㅈ"을 초성으로 인지하여 도3a 내지 도3c 중 어느 하나의 모음 소프트키를 활성화시켜 터치스크린부(20)에 표시한다. 활성화된 모음 소프트키에서 상기 제2-3 실시예에 따라 "ㅜ"를 터치한 후 '좌'로 작은 움직임을 주면, 단말기는 모음 입력을 확인하여 도2a, 도2b, 도2d 중 어느 하나의 자음 소프트키를 활성화시켜 터치스크린부(20)에 표시한다. 활성화된 자음 소프트키에서 사용자가 "ㄱ"을 터치하면, 단말기는 입력된 "ㄱ"을 종성으로 인지하여 "닭죽"이라는 문자를 표시부(40)에 표시된다. 이후 사용자는 입력 확인 버튼을 클릭 또는 터치하여 문자 입력을 완료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하나의 소프트키 버튼에 두 개 이상의 자음 또는 모음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 한 개의 자음 또는 모음이 입력 완료되고 다시 동일한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자음 또는 모음을 입력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이를 실현하는 방법으로는, 버튼을 한 번 누르거나 두 번 연속해서 눌러야 자음 또는 모음이 선택되는데 이때 사람마다 버튼을 누르는 속도에 차이가 있으므로, 리드타임 간격을 사용자의 숙련도에 따라 임의적으로 입력해 놓으면 된다. 예를 들면, 하나의 버튼에 두 개의 자음, 즉 "ㄱ"과 "ㄲ"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 "ㄱ"을 입력하고 다시 "ㄲ"을 입력할 경우에 "ㄱ"을 누른 후 리드타임 간격(예컨대 0.3초)이 경과한 후에 다시 "ㄲ"을 누르면 "ㄱ"과 "ㄲ"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한다. 이 리드타임 간격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임의의 음소가 입력으로 인식하는데 필요한 시간이고, 사용자의 키 누름 숙련도에 따라 임의적으로 조절하여 사용 가능하다.
리드타임 간격은 하나의 소프트키 버튼에 두 개 이상의 자음 또는 모음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 한 개의 자음 또는 모음이 입력 완료되도록 하는데도 유용하다. 예컨대 하나의 버튼에 두 개의 모음, 즉 "ㅏ"와 "ㅑ"가 할당되어 있는 경우, "ㅏ"를 입력하려면 한 번을 누르면 되고 "ㅑ"를 입력하려면 두 번을 연속해서 누르면 되는데, "ㅏ" 또는 "ㅑ"를 누른 후 리드타임 간격(예컨대 0.3초)이 경과한 후에는 해당 모음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한다. 이는 자음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자음 및 모음 소프트키를 키패드(10)에 구현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5와 같이 도2a와 도3a를 동시에 키패드(10)에 하드키로 구현하는 것이다. 예컨대 1번키에 "ㄱ", "ㄲ", "ㅔ", "ㅖ"를 할당한다. 하드키를 통한 문자 입력 모드(한글 입력 모드)에서는 우선 자음키가 활성화된다. 자음키가 활성화 상태에서, 1번키를 한 번 누르면 "ㄱ"이 입력되고, 두 번 누르면 "ㄲ"이 입력된다. 사용자는 자음 입력후 모드 전환키('#'키)를 눌러 모음키를 활성화시키고, 모음 입력후 모드 전환키('#'키)를 눌러 자음키를 활성화시킨다. 모음키가 활성화 상태에서는 1번키를 한 번 누르면 "ㅔ"가 입력되고, 두 번 누르면 "ㅖ"가 입력된다. 이러한 하드키를 바탕으로 한 한글 입력에 있어서는 소프트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식과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는데, 다만 이 경우에는 자음 및 모음 후보군의 활성화를 위해 모드 전환키(모음 전환키, 자음 전환키)의 사용자 입력이 필요하다.
한편 터치스크린부(20)에 도4a 및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음 및 모음 소프트키를 함께 구성할 수도 있다. 도4a는 도2a의 자음 소프트키와 도3a의 모음 소프트키를 함께 구성한 것이고, 도4b는 도2b의 자음 소프트키와 도3a의 모음 소프트키를 함께 구성한 것이다. 다만 이 경우에는 자음 또는 모음 소프트키로 전환할 수 있는 모드 전환키('모음' 키 또는 '자음' 키)가 필요없게 된다.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2a 또는 도2b의 자음 소프트키를 도3b의 모음 소프트키와 함께 구성하는 것 역시 가능하고, 도2c 내지 도2g 중 어느 하나의 자음 소프트키와 도3a 또는 도3b의 모음 소프트키를 함께 구성하는 것 역시 가능할 것이다.
상기 방법은 특정 실시예들을 통하여 설명되었지만, 상기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이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0: 키패드 20: 터치스크린부
30: 제어부 40: 표시부
50: 메모리부
30: 제어부 40: 표시부
50: 메모리부
Claims (16)
- 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으로서,
a) 한글 입력 모드에서 자음키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b) 상기 활성화된 자음키를 통해 입력된 자음과 초성인지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자음이 초성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확인결과에 따라 입력된 자음이 초성인 경우 제1 키 전환하여 모음키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활성화된 모음키를 통해 중성이 입력되면, 제2 키 전환하여 자음키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모음키는, 8개의 단모음('ㅏ', 'ㅓ', 'ㅗ', 'ㅜ', 'ㅡ', 'ㅣ', 'ㅐ', 'ㅔ'), 6개의 이중모음('ㅑ', 'ㅕ', 'ㅛ', 'ㅠ', 'ㅒ', 'ㅖ'), 7개의 복모음('ㅘ', 'ㅙ', 'ㅚ', 'ㅝ', 'ㅞ', 'ㅟ', 'ㅢ')을 포함하는 총 21개의 중성 모음을 모음의 조합없이 하나의 음소로 간주하여 표현 가능하며, 상기 제1 키 전환에 따라 활성화시에 상기 제1 키 전환 이전에 입력된 초성 자음을 중성 모음과 함께 표시하되 올바른 음절을 구성할 수 있는 음절만을 활성화시키는, 한글 입력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성인지정보는, 입력되는 자음을 단말기가 초성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자음 입력후 사용자가 추가적으로 입력하는 정보인, 한글 입력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키 전환에 따라 활성화된 자음키를 통해 종성이 입력되면, 상기 활성화된 자음키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한글 입력 방법.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키 전환에 따라 모음키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오타 입력된 초성을 삭제하면 제4 키 전환하여 자음키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한글 입력 방법.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키 전환에 따라 자음키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오타 입력된 중성을 삭제하면 제5 키 전환하여 모음키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한글 입력 방법.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활성화된 자음키 또는 모음키를 통해 자음 또는 모음을 입력하는 도중 커서를 한 칸 다음으로 이동시키는 버튼의 입력시에 자음키를 유지하거나 제6 키 전환하여 자음키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한글 입력 방법.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키는, 터치스크린 방식을 지원하는 자음 소프트키이고,
상기 모음키는, 터치스크린 방식을 지원하는 모음 소프트키인, 한글 입력 방법.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키 전환은, 초성 입력 확인시 상기 활성화된 자음키를 비활성화시키고 비활성 상태의 모음키를 활성화시키며,
상기 제2 키 전환은, 중성 입력 확인시 상기 활성화된 모음키를 비활성화시키고 비활성 상태의 자음키를 활성화시키며,
상기 자음키는, 음소의 조합없이, 14개의 단자음 및 5개의 쌍자음을 지원하거나, 14개의 단자음, 5개의 쌍자음 및 11개의 복자음을 지원하는, 한글 입력 방법.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 입력 모드에서, 리드타임 간격을 이용하여 음소 입력후 상기 리드타임 간격이 경과한 후에는 해당 음소가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는, 한글 입력 방법. - 통신 단말기로서,
한글 입력 모드에서 자음키를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자음키를 통해 입력된 자음과 초성인지정보 - 상기 초성인지정보는, 입력되는 자음을 단말기가 초성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자음 입력후 사용자가 추가적으로 입력하는 정보임 - 를 바탕으로 해당 자음이 초성인지를 확인하여, 입력된 자음이 초성인 경우 제1 키 전환하여 모음키를 활성화시키며, 활성화된 모음키를 통해 중성이 입력되면 제2 키 전환하여 자음키를 활성화시키되,
상기 모음키는, 8개의 단모음('ㅏ', 'ㅓ', 'ㅗ', 'ㅜ', 'ㅡ', 'ㅣ', 'ㅐ', 'ㅔ'), 6개의 이중모음('ㅑ', 'ㅕ', 'ㅛ', 'ㅠ', 'ㅒ', 'ㅖ'), 7개의 복모음('ㅘ', 'ㅙ', 'ㅚ', 'ㅝ', 'ㅞ', 'ㅟ', 'ㅢ')을 포함하는 총 21개의 중성 모음을 모음의 조합없이 하나의 음소로 간주하여 표현 가능하며, 상기 제1 키 전환에 따라 활성화시에 상기 제1 키 전환 이전에 입력된 초성 자음을 중성 모음과 함께 표시하되 올바른 음절을 구성할 수 있는 음절만을 활성화시키는, 통신 단말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키 전환에 따라 활성화된 자음키를 통해 종성이 입력되면, 상기 활성화된 자음키를 유지하는 기능을 더 구비하는 통신 단말기. -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키 전환에 따라 모음키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오타 입력된 초성을 삭제하면 제4 키 전환하여 자음키를 활성화시키는 기능과,
상기 제2 키 전환에 따라 자음키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오타 입력된 중성을 삭제하면 제5 키 전환하여 모음키를 활성화시키는 기능과,
활성화된 자음키 또는 모음키를 통해 자음 또는 모음을 입력하는 도중 커서를 한 칸 다음으로 이동시키는 버튼의 입력시에 자음키를 유지하거나 제6 키 전환하여 자음키를 활성화시키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는 통신 단말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키는, 터치스크린 방식을 지원하는 자음 소프트키이고,
상기 모음키는, 터치스크린 방식을 지원하는 모음 소프트키인, 통신 단말기. -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키 전환은, 초성 입력 확인시 상기 활성화된 자음키를 비활성화시키고 비활성 상태의 모음키를 활성화시키며,
상기 제2 키 전환은, 중성 입력 확인시 상기 활성화된 모음키를 비활성화시키고 비활성 상태의 자음키를 활성화시키며,
상기 자음키는, 음소의 조합없이, 14개의 단자음 및 5개의 쌍자음을 지원하거나, 14개의 단자음, 5개의 쌍자음 및 11개의 복자음을 지원하는, 통신 단말기. -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 입력 모드에서, 리드타임 간격을 이용하여 음소 입력후 상기 리드타임 간격이 경과한 후에는 해당 음소가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는, 통신 단말기.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16479 | 2010-02-24 | ||
KR20100016479 | 2010-02-24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24577A Division KR101024848B1 (ko) | 2010-02-24 | 2010-03-19 | 한글 입력 방법 및 그를 위한 통신 단말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97593A true KR20110097593A (ko) | 2011-08-31 |
KR101086590B1 KR101086590B1 (ko) | 2011-11-23 |
Family
ID=4393942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24577A KR101024848B1 (ko) | 2010-02-24 | 2010-03-19 | 한글 입력 방법 및 그를 위한 통신 단말기 |
KR1020100092333A KR101086590B1 (ko) | 2010-02-24 | 2010-09-20 | 한글 입력 방법 및 그를 위한 통신 단말 장치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24577A KR101024848B1 (ko) | 2010-02-24 | 2010-03-19 | 한글 입력 방법 및 그를 위한 통신 단말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1024848B1 (ko)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08873A (ko) * | 2001-07-20 | 2003-01-29 | (주)네이스텍 | 자판 자동변환을 통한 문자 입력 방법 및 이 방법을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기록 매체 |
KR20090025610A (ko) * | 2007-09-06 | 2009-03-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처리 방법 및 한글 입력장치 |
-
2010
- 2010-03-19 KR KR1020100024577A patent/KR10102484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0-09-20 KR KR1020100092333A patent/KR10108659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86590B1 (ko) | 2011-11-23 |
KR101024848B1 (ko) | 2011-03-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863211B2 (ja) | 文字データ入力装置 | |
WO2010099835A1 (en) | Improved text input | |
KR20090035752A (ko) | 통신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 |
JP2013515295A (ja) | データ入力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 |
WO2002088920A1 (fr) | Organe de saisie a touches tactiles | |
KR20110018075A (ko) |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 |
TWI397001B (zh) | 電子裝置之注音輸入系統與方法 | |
JP2007514363A (ja) | 通信端末機の文字・数字入力装置及び該入力方法 | |
JP2009205303A (ja) | 入力方法および入力装置 | |
KR20120097836A (ko) | 단말기에서 텍스트 작성 방법 및 장치 | |
JP2008059568A (ja) | 数字キーを用いる文字入力装置及び文字入力方法 | |
KR20100121218A (ko) | 터치 스크린 문자 입력 방법 | |
KR20110003130A (ko) |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 |
KR101099652B1 (ko) |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장치 및 방법 | |
KR101046660B1 (ko) | 문자 입출력 장치 및 그 방법 | |
KR101086590B1 (ko) | 한글 입력 방법 및 그를 위한 통신 단말 장치 | |
JP2017027096A (ja) | ソフトウエアキーボードプログラム、文字入力装置および文字入力方法 | |
JP2014140236A (ja) | 文字データ入力装置 | |
KR102199974B1 (ko) | 한글 입력 방법 및 장치 | |
JP2013033553A (ja) | 文字データ入力装置 | |
TWI468986B (zh) | 電子裝置、其輸入方法與電腦程式產品 | |
KR20070082777A (ko) | 문자 입력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문자 입력방법 | |
KR100777052B1 (ko) | 게임기용 한글 입력장치 | |
CN1858684B (zh) | 通过运动及其特征完成信号输入的方法 | |
JP6605921B2 (ja) | ソフトウエアキーボードプログラム、文字入力装置および文字入力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